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대학교 비전공 교육 효율성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서효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대학교의 예술교육은 비예술계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예술교육이며, 교육의 목적은 예술계의 전문 인재 양성이 아니라 비전공자의 예술적 자질을 끌어올리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학생의 미적 자질과 지혜를 발굴해내고 있다. 본고의 연구는 주로 대학교의 예술교육 중에서 비전공 음악 교육을 예로 들어 실증분석을 진행했다. 이에 따라 예술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제기하였으며, 나아가 대학교의 비예술계 음악 교육의 개혁과 혁신에 참고 가치가 되기를 기대한다. 본고는 중국의 대학교 비전공 음악 교육을 연구대상으로 삼았으며, 이론 정리와 설문 조사, 인터뷰를 토대로 대학교 음악 교육의 효율성 향상 문제를 분석하였으며, 또 대학교의 음악 교육과 교육 개혁, 음악 교육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이론과 실천을 탐구하였다. 첫째, 본고는 대학교 음악 교육과 교육 효율의 개념을 정의하였고 음악 교육과 효율 등을 이론적으로 통합하여 음악 교육을 둘러싼 인재 양성 기능을 분석하였다. 중국 일부 비예술계 대학교를 연구 표본으로 삼았고, 대학교의 음악 교육에서의 학생의 심리 건강과 인간관계 능력을 조사하고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음악 교육은 학생의 자기 일치성(Self Consistency)과 우울 성향 교정에 순기능적인 역할을 하고 인간관계에 대해서는 순기능과 역기능이 공존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둘째, 연구의 배경과 이론 정리를 토대로 대학교 음악 교육의 효율 현황에 대해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대학교 음악 교육의 기본적 내용을 정리했으며, 대학교 음악 교육이 달성해야 할 구체적인 목표를 제기하였다. 첫째, 가장 기본적으로 음악 이론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둘째, 기본적인 감상 능력과 인지 능력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중국과 해외의 예술 음악의 발전 역사와 시대적 배경, 대표작품, 명인 명가 등을 이해해야 한다. 넷째, 현대 예술 음악의 흐름과 유파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개인 취미를 바탕으로 기본적인 표현력을 갖춰야 한다. 중국 대학교의 음악 교육 현황과 효율 등의 이론을 분석하여 대학교 학생들의 음악 교육에 대한 태도와 인지, 평가, 개혁과 희망 사항 등 문제에 대해 설문조사를 설계 및 진행했으며 통계분석법과 모형(spss)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였다. 셋째, 경제적 효과 분석을 바탕으로 음악 교육의 효율성을 정량평가하는 연구모형을 통해 예술(음악) 교수 확대, 수업시간 확대, 물질적 투자를 교육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삼고, SPSS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종합하였고 상관분석과 회귀 분석을 통해 가설의 정확성을 검정하였다. 넷째, 대학교 음악 교육의 실체와 교육 투자-산출의 특성에 따라 인력, 물력, 재력과 시간 등 네 가지 측면의 투자를 고려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예술(음악) 교사의 확대와 수업시간 확대, 물질적 투자를 효율성 평가 지표로 삼았다. 산출 지표는 “양”과 “질” 두 가지 측면에 따라 교재 편찬 수, 과학연구 프로젝트, 논문 발표 및 수상 횟수, 예술단 공연 횟수, 예술 수상 횟수 등을 더한 합을 효율성 평가의 산출 지표로 삼았다. 산동농업대학의 2015년~2020년 예술교육의 측정(measurable) 가능한 투자-산출 데이터를 표본으로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넷째, 중국의 대학교 음악 교육 효율이 낮은 원인은 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이유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중국 대학교의 교육 목표는 덕·지·체·미가 종합적으로 발전한 사회주의 현대화사업의 건설자와 후계자를 양성하는 것이다. 중국의 경우, 아직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미육(美育)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았기 때문에 덕·지·체와 비교해보면 미육에 대한 자원배치는 교사 배치, 수업 시스템, 교육 여건, 목표 설정, 교육 이념 등이 미흡한 상태에 놓여있다. 교육 자원배치가 인재 양성의 목표와 맞지 않으면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둘째,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학교의 음악 교육 수업 시스템은 계획적이지 못하고 교육 목표와 시스템 구조가 합리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수요와 국가의 인재 양성 목표에 대한 이해가 깊어야만 교육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오늘날 대학교의 예술교육(음악 교 육)을 보면, 교육의 시행 과정과 학교의 인재 양성 목표가 연계되지 않았고 음악 교육의 수업 시스템도 능동적으로 설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교 학생들의 음악 교육 수요는 양에서 질적인 변화로 바뀌었으며, 갈수록 심층적인 음악적 이론과 기법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수업 시스템으로 학생들의 다차원적인 수요를 만족시키기 어렵고 나아가 대학교의 음악 교육 효율이 떨어지고 있다. 다섯째,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다차원적인 음악 교육 시스템은 학생들의 음악적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여러 대학교에 대한 설문 조사와 인터뷰에서 얻은 시사점과 음악 교육의 효율성이라는 특수성을 결합하여 본고에서는 대학교 예술교육의 교육 시스템을 세 단계로 나누었고, 또 대학교의 교육 대상(학생)을 세 단계로 분류했다. 학생의 상황에 따라 논자는 대학교의 교육 시스템을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양 수업. 둘째, 학생 개인별 수요에 따른 선택 수업. 셋째, 음악 예술에 관심이 많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심화 수업 등이다. 여섯째,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음악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대학교의 음악 교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비예술계 대학교의 음악 교육에 나타난 문제점은 교육 자원이 부족하고 수업의 시간 배치가 합리적이지 않고 교수진이 부족한 것이다. 인터넷과 정보기술은 전 세계의 우수한 교육 자원을 하나로 통합하여 완전히 새롭고 완전한 ‘교(教)’와 ‘학(学)’을 실현하였다. 논자는 대학교 음악 교육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대해 MOOC 교육 모델을 참고하였고, 음악 교육의 특성과 결합하였으며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인터넷 음악 교육 플랫폼을 개발하여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살리고 다양한 음악 교육의 수요를 만족시키려고 한다. 인터넷 음악 교육 플랫폼은 학습 지식, 질의응답, 학습 토론, 수업 테스트, 시스템 모니터링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온라인에서 음악 교육의 목표를 잘 수행할 수 있다.

      • 뉴미디어 시대 대학교 위기관리에 관한 연구

        왕로연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frequent crises in Chinese universities, with student suicides, campus violence, student-teacher conflicts, academic corruption and financial crises, etc. The social repercussions have seriously affected the normal teaching order and the overall image and reputation of universities. It even affects the harmony,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is increasingly difficult to manage. This study believes that the new media era has brought new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o the crisis management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t has become one of the important tasks of university management and construction development, and a realistic and difficult task for university administrators to deal with various crisis events in the new media era and to predict and evaluate the role and influence of new media in the process of university crisis management. This study aims to carry out research on the new problems faced by the crisis management of Chinese universities in the new media era as the research background. The research hypotheses on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new media on university crisis management are analysed and test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lead to effective improvement of the current situation of university crisis management. The data was obtained from a special survey on crisis management in universities in the new media era conducted from December 2020 to March 2021 in eight key universities in China, including Tsinghua University, Henan University, Northwestern University, Xi'an Jiaotong University, Renmin University of China, Central University of Finance and Economics, China University of Mining and Technology, and Nanjing University, and the responses of 1,967 participants. Key universities were chosen as the research subjects because they are higher than ordinary universities in terms of management mechanism,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system and resources, as well as the overall quality and level of teachers, staff and students. It is representative and convincing to use key universities as the research subjects. At present, the literature and research results combining the "new media era" and "university crisis management" are still relatively few. After the SARS outbreak, as the research on emergency management intensified, universities did not have a comprehensive emergency response plan (Peng Zongchao, Zhong Kaibin, 2003). This thesis argues the research hypothesis of university crisis management in the new media era with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case analysis and comprehensive index analysis. The impact of the variables in the management stages that should be present in the crisis management of universities in the new media era on the research subject is demonstrated. It is expected that in future research, more samples will be collected and further refinements will be made through more in-depth empirical research.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tested one by one in conjunction with the empirical data results. The analysis methods used to validate the hypotheses were factor analysis, trust analysis, case study analysis, composite indicator analysis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analysis using SPSS 26.0. This thesis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monitoring, early warning and prevention and control work of crisis management in universities in the new media era, crisis response and disposal work, crisis rehearsal and recovery and improvement of management system evaluation mechanism, etc. The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is relevant research, a comprehensive capability evaluation of crisis management capability was conduct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data results were carried out separat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university's emergency assessment. (1) Crisis management in universities in the new media era should be composed of six systems: early warning system, planning system, organization system, leadership system, control system and evaluation system. Crisis management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depen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x systems, which affect each other and are indispensable to each other. (2) After the SARS outbreak, with the in-depth research on emergency management, the learning situation and psychological state of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ave improved, but there is no comprehensive emergency response plan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Peng Zongchao, Zhong Kaibing, 2003). An evaluation index system and a comprehensive evaluation model were developed to assess the emergency management capability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 empirical analysis of a "double first-class" university in China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cientific reasonableness and operability of the index system and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model. (3) This paper proposes countermeasures for the crisis management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new media era. It is suggested that a crisis management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in order to distinguish the priorities and powers and responsibilities in the daily management of universities, so as to ensure the timely, comprehensive, efficient and orderly handling of crisis emergencies in universities. (4) Many universities are currently facing the same or similar situation. In fact, the occurrence of many crisis emergencies has its international background, so "in the handling of crisis, although there are geographical or 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in the world, the responses are similar" (R.J Stillman, 1989). In terms of technical support and emergency resources for crisis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organically integrate the emergency resources scattered in different regions and units, form a resource guarantee system with clear division of labour, complementary advantages and synergy, and an integrated service platform for emergency information, as well as to improve the technological content of equipment and speed up the construction of emergency rescue teams (Xue Lan, Zhong Kaibin, 2005). This paper researches the methods to enhance the crisis management of universities, which provides reference and reference for universities to avoid and prevent all kinds of risks in a timely and effective manner, minimize the damage in unexpected events, and provide reference for the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universities. 뉴미디어 시대는 대학교의 위기관리에 새로운 도전을 가져다 주었다. 최근 몇 년간 중국 대학교에서 위기사건이 빈번히 발생하였으며, 학생자살, 교사도덕과 교사기풍, 학교폭력, 교사와 학생 간의 충돌, 학술부정, 재정위기 등 현상이 끊임없이 나타나 사회반향이 강렬하고 대학교에 대한 영향이 날로 두드러지고 있다. 학교의 정상적인 교학질서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고 대학교의 전체 이미지와 명성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며 심지어는 대학교의 조화, 안정과 발전에도 영향을 끼치면서 대학교의 관리가 날로 어려워진다.국가 및 관련 부서는 대학교의 안전과 위기관리에 대해 매우 중요시하고 있으며, 대학교의 위기관리 능력을 제고하는 중요한 의미를 깊이 인식하고 있어 대학교의 위기관리를 강화하는 것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중요한 관리과제가 되었다. 본 연구는 뉴미디어 시대 대학교 위기관리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을 진행하였으며, 뉴미디어 시대 대학교 위기관리와 관련된 일련의 문제에 대해 깊은 토론을 진행하였다. (1) 첫째, 본 연구는 대학교가 뉴미디어 시대에 발생하는 각종 위기사건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대학교 위기처리 과정에서 뉴미디어가 일으키는 역할과 영향을 미리 예측하고 평가하는 것이 대학교 관리와 건설 발전의 중요한 업무중의 하나이며 또한 대학교 관리자들이 직면한 현실적이고도 간고한 임무라고 생각한다. 이론적으로 보면 본 연구는 대학교 위기관리의 연구대상인 "대학교 비상사건"을 분석하였다. 대학교 비상사건과 위기관리의 특징에 따라 대학교 비상사건을 6 가지로 분류하였다. 대학교 위기관리의 과정의 분석에 따라 뉴미디어 시대에 대학교 위기관리의 핵심은 종합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일정한 인적자원과 물자 등을 통해 투입, 조기 경보 및 관리를 통해 비상사건에 대한 학교, 교사와 학생 등 주체로 인하여 초래된 손실과 상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2) 둘째, 연구를 바탕으로 뉴미디어 시대의 배경에서 대학교 위기관리에 존재하는 문제를 분석하였다. 대학교 관리는 새로운 시대, 뉴미디어와 새로운 환경의 "3 가지 새로운"시대에서 직면한 새로운 문제, 새로운 담체와 새로운 상황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해결하여 뉴미디어 시대에 대학교의 전반적인 위기관리체계를 구축할 것인가 분석하였다. 셋째, 위기관리의 의미를 깊이 탐색하기 위해 중국 "쌍일류"대학의 전반적인 위기관리시스템의 실제 적용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진행하였다. 관리과정으로부터 조기 경보 시스템, 처리시스템, 보장시스템, 사후처리시스템으로 나뉘며 관리기능에 따라 계획시스템, 조직시스템, 지휘시스템, 통제시스템, 평가시스템; 능력구성요소 차원에서는 대학 위기관리의 자원과 지식능력으로 나뉜다. 위 각 차원의 분석을 종합하여 뉴미디어 시대에 대학교의 전반적인 위기관리체계의 3 차원 구조를 구축하였다. 이런 요소들을 종합해 중국 '쌍일류'대학의 위기관리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위기관리에 대한 대책과 건의를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뉴미디어 시대에 대학교 위기관리의 구조와 실질적인 문제를 전면적이고 깊이 있게 해결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뉴미디어 시대를 연구배경으로 중국 대학교의 위기관리가 직면한 새로운 문제에 대해 연구를 전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교 위기관리에 대한 뉴미디어의 영향, 뉴미디어 시대 대학교의 위기관리 연구를 분석하고, 뉴미디어 시대 대학교의 전반적인 위기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며 현재 대학교의 위기관리 현황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중국 '쌍일류'대학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것은 중점대학이 일반대학교비해 관리메커니즘, 관리체계, 관리제도와 자원배치 및 교사, 직원과 학생 등 전반적인 자질과 수준 등 면에서 높은 편이고 중점대학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대표성과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위기관리의 기술적 뒷받침과 위기자원 보장의 측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지역과 단위별로 분산되어 있는 위기자원을 통합하고, 분업이 명확하고, 강점을 보완하고,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자원보장 체계와 위기정보와 위기사례의 종합공유 플랫폼을 구축하고, 뉴미디어의 장비를 과학기술로 적시에 향상시켜 긴급구호대 건설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현재, "뉴미디어 시대"와 "대학교 위기관리"를 결합한 문헌 및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비상사태에 따른 위기관리 연구의 깊이에 따라, 현실적 측면에서 볼 때, 각 대학교는 아직 위기관리 시스템을 완벽하게 갖추어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인터뷰, 사례분석, 통해 뉴미디어 시대의 대학교 위기관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 뉴미디어 시대의 대학교 위기관리에 대해 대책을 건의하였다. 대학교의 위기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대학교 일상적인 관리 중에서 주요 순서를 분명히 하고, 권한과 책임이 명확하도록 하여, 대학 위기 비상사건의 적기적 전면적 효율적인 처리와 질서를 보장한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뉴미디어 시대의 대학교의 위기관리 방법을 제고하고, 대학교를 위해 각종 위기와 위험을 효과적으로 회피하고 예방하며, 만일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대학교의 안전과 안정을 위해 관련 대책과 건의를 제기하였다.

      •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이 대학생의 창의 역량 함양에 미치는 영향

        조연정 신한대학교 일반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의 핵심 교양인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을 적용하여, 대학생에게 중요시되고 있는 창의 역량의 변화에 미친 영향을 사례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교양교육에서의 창의 역량에 대한 인식 및 수업 만족도에 대한 연구,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의 핵심 요소(자율성, 자기 계발, 자기 성찰, 상호존중, 개방성)에 따른 대학생의 창의 역량 함양에 효과가 있었는지를 편의 군집 표집 방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4년제 S대학교에서 핵심교양 과목으로 개설된 ‘발상의 표현 기법’수업의 수강생 8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에 기반한 학습 방법이 대학생의 창의 역량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문헌 연구 및 설계, 개발, 사례를 적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총 12주 동안 진행하였다. 매 차시별 학생 창작 결과물과 자신의 작품에 대한 분석 및 평가의 사례를 통해 예술적 역량이 향상되었음을 증명하였다. 둘째, 학습자는 창작활동을 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성찰일지와 면담을 통해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의 변화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마인드 맵의 사전, 사후 작업을 통해 단어의 수와 가지의 변화에서 사고 과정이 확장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마인드 맵을 평가하는 세부 영역별 점수 차이에서도 사후 검사에서 평균 점수가 높고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개인 특성에 따른 창의 역량에 대한 인식 결과에서는 성별의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전공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의 개인 특성에 따른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결과에서도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전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되었다. 여섯째,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의 선호도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 학생 스스로 창의력 발상에 관련된 표현 기법을 배우고 싶어서 수업을 수강한 것으로 보아 평소 창의 예술 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 기반 핵심 요소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되지 않았으나, 학년에 따른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 기반 핵심 요소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과 자기 계발, 자기 성찰, 개방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전공에 따른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의 핵심 요소들의 차이 역시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과 자율성, 자기 계발, 자기 성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 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은 학습자 스스로가 이론 수업을 학습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창작활동을 자율적으로 진행하여 사고하는 과정을 통해,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고 직접 평가함으로써 창의 역량이 향상되었음을 사례를 통해 증명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추후 연구에서는 객관화된 정보를 얻기 위해 전국 지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인구통계학적인 측면에서의 접근 분석이 필요하며, 각 지역의 대학에서 요구하는 창의 역량에 필요한 핵심역량을 분석하여 학생들에게 교양교육으로서 예술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대학생의 창의 역량 함양을 위해 한 학기 동안의 단기간 사례 연구를 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후속 연구를 진행하여 대학의 창의 역량을 고취 시킬 수 있는 창의적 예술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구체적인 방안 마련에 대한 추가적인 제언이 필요하다. This study applied self-design-focused art education, a core liberal arts education of universities, and analyzed the effect on the change in creative competency, which is important to undergraduate students, through a case study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addition, I tried to find out whether it was effective for students' creative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core elements of self-designed-focused art education (openness, autonomy, self-development, self-reflection, and mutual respect) in liberal arts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5 students in the "Idea Expression Technique" class, which was opened as a core liberal arts course at 4-year S University in Gyeonggi-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learning methods based on self-designed-focused art education on the creative compete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an educational program applied with pre-literature research, design, development, and cases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2 weeks. It was proved that artistic competence was improved through the case of analysis and evaluation of student creative results and their works at each time. Second, the learner confirmed that the change was made due to art education focused on self-design through self-reflection diaries and interviews written based on the contents of creative activitie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nking process was expanded in the number of words and changes in branches through the pre- and post-work of mind map, and the average score was high in the post-tes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Four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der in the results of the students' perception of creative competency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bu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and major. Fifth,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the results of the students' perception of creativity educ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ported in grades and majors. Sixth, looking at the results of self-designed focused art education, it was found that most students took classes because they wanted to learn expression techniques related to creativity ideas. Seven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core elements based on self-design art education, no meaningful differences were reported according to gender, bu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core elements based on self-design art education, self-reflection, and openness.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re elements of self-design-oriented art education according to major were also reported in self-designed-focused art education and autonomy, self-development, and self-reflection. Summarizing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proved through examples that self-designed-focused art education improved creative abilities by creatively solving problems and directly evaluating them through the process of learning theory and autonomously conducting creative activities. Therefore,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studies need to analyze various demographic asp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 nationwide to obtain objectified inform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the core abilities required by universities in each region can be analyze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art education to students. In addition, in order to cultivate undergraduate students' creative capabilities,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direction of creative art education that can promote the university's creative capabilities through long-term follow-up studies rather than short-term case studies for a semester.

      • 대학생 모바일 숏클립앱 지속 이용 의도의 영향 요인 연구

        손시웬 신한대학교,신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인터넷 앱이 광범위하게 퍼지고 모바일 스마트 기기가 빠르게 보급되면서 대학생들에게 숏클립이 쉽고, 공유하기 편하며, 빠르게 전파되는 특징을 바탕으로 주목받고 있고, 숏클립의 문자, 이미지, 음악, 동영상, 특수효과 등을 결합하여 대학생들의 심리적 문화생활을 만족시키는 새로운 장으로 자리잡으면서 대학생들의 학습방식, 교제방식, 사고방식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숏클립을 대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 메커니즘을 분석하여, 숏클립과 대학생의 교육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숏클립을 활용한 대학생의 전반적인 교육 활용 전략을 모색하여, 신세대 대학생의 발전 가능성과 교육 실효성을 높인다. 본 연구는 문헌분석법으로 숏클립과 대학생의 연관성 및 숏클립을 통한 대학교 교육의 강점을 설명한 후 국내외 학자들의 연구이론과 문헌을 정리하고, 현 시대 배경을 접목하여 기술수용모델(TAM), 희망확인모델(ECM) 등의 모델이론에 기초하여 대학생의 지속적인 이용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7가지 영향요인, 유용성 감지, 오락성 감지, 유사성 감지, 대학생의 영향, 만족도, 관습, 응용모델 구축 등을 제시했다. 이어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 수집 작업을 벌이고 SPSS 22.0과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해 실증분석하여 가설 변수가 대학생의 지속적인 이용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유용성 감지, 오락성 감지, 유사성 감지, 사회적 영향 감지 등은 모두 몰입 체험과 만족도를 통해 대학생의 지속적인 이용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습관, 몰입 체험, 만족도는 대학생들의 지속적인 이용 성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숏클립의 발전은 대학교 교육 패러다임의 혁신에 전례 없는 기회를 가져왔다. 숏클립은 오프라인 수업 형식을 풍부하게 하고 온라인 수업을 발전시키며 대학교 교육 업무를 보조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학교 교육이 시대에 맞게 발전하려면 반드시 새로운 미디어 기술의 강점을 활용하고, 교육 패러다임을 혁신하며, 숏클립이라는 새로운 매체의 기능과 가치를 중시해야 한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숏클립이 대학교 교육의 강점, 폐해, 현실의 어려움에 대해 힘써야 할 점으로 “플랫폼의 사회적 영향력 발휘”, “혁신적 콘텐츠의 질적 향상 대학생 교육융합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 모색” , “정부의 규제완화를 통한 건강한 교육환경 조성” , “대학생의 전반적인 미디어 소양 향상” 등 4가지 대안책을 제시하여 단기 영상 과학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활용을 촉진하고, 대학생 교육의 혁신적인 발전을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을 제안한다. With the widespread penetration of Internet applications and the rapid popularization of mobile smart terminals, short video apps have been favored by college students due to their advantages of simple production, convenient sharing, and rapid dissemination.Short video integrates text, pictures, music, video, and special effects,which has become a new field that satisfies the spiritual and cultural life of college students, and has an important impact on college students' learning style, communication style, and thinking style.This research analyzes the mechanism of short video APP attracting the continuous use of college students, organically combines short video with the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and explores educational methods and strategies for the all-round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with short videos, and enhances the overall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in the new era.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This research adopts the literature analysis method, which first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short videos and college students and the advantages of short video APPs that can help college education, and then combs the research theories and literature of scholars at home and abroad.Combining the background of the current era, based on the technical acceptance model (TAM), the 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 (ECM) and other model theories, seven influencing factors that affect the willingness of college students to continue to use are proposed, namely,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tertainment, perceived similarity, and social influence ,Habits, flow experience and satisfaction, and constructed a model of influencing factors for college students' continuous use of short video APP.Then, the data collection work is carried out by means of questionnaire survey, and empirical analysis is carried out using SPSS22.0 and AMOS software to verify the influence of hypothetical variables on the willingness of college students to continue to use.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tertainment, perceived similarity, and social influence a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ntinuous use of college students through flow experience and satisfaction. Habits, flow experience, and satisfaction directly affect the willingness of college students to continue using.The development of short video apps has brought unprecedented opportunities to the innovation of college education models, and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enriching offline classroom forms, developing online teaching and assisting college education.In order to adapt to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college education must make good use of the advantages of new media technology, innovate educational models, and attach importance to the function and value of short video APP, a new medium in educ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author starts from the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difficulties faced by short videos in assisting college education, and emphatically puts forward:the platform exerts social influence and innovates content to improve quality; colleges and universities follow the mainstream trend and explore new ways of education integration; the government improves the supervision system to create a new environment for healthy education; college students comprehensively improve media literacy and other four aspects.In order to further promote the scientific, reasonable and effective use of short videos for the innovation and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 education.

      •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만족도, 삶의 질 및 자아실현에 관한 연구

        왕녕 신한대학교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23

        This study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adjustment, college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and self-actualization amo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Research Hypothes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type and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n college adjustment and college satisfaction.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to find ou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reliability test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To check the normality of the variables, skewness and kurtosi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SPSS, and pe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screte-valued correlation between the four variables of college adjustment, quality of life, self-actualization, and college satisfac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university environmental adaptatio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and self-realization according to gender.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grade, age, and time spent in Korea on the four factor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has a positive effect o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nd quality of life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actualizatio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differs depending on the frequency, time, and duration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Grade/Gend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iversity environmental adjustment,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and self-actualization according to grade/gender and time of residence in Korea'. Improvi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fe, and quality of life can enhance their self-actualization. 본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적응, 대학생활만족도, 삶의 질, 자아실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여가활동에 따라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 점을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신뢰도 검사와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습니다. 대학적응, 삶의 질, 자아실현, 대학만족의 네 가지 변인 간의 이산값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공적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른 대학 환경 적응, 대학 생활 만족도, 삶의 질, 자아실현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다. 학년, 연령, 한국 거주 기간이 네 가지 요인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항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대학생활만족도, 삶의 질에게 정(+)의 영향을 미친다’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와 삶의 질은 자아실현에게 정(+)의 영향을 미친다’ ‘여가활동 참여 유형은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대학생활만족도에서 조절효과가 있다’ ‘여가활동 참여 특셩(빈도/시간/기간)은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삶의 질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있다’ ‘학년에 따라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만족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연령에 따라 네 변수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없다’ ‘성별에 따라 대학생활적응, 대학생활만족도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있다’‘한국에서 거주 시간에 따라 네 변수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있다’.

      • 대학의 유학생 정책이 학생의 글로벌 역량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영국에 대한 비교 연구

        이대성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대학의 유학생 정책이 학생의 글로벌 역량에 미치는영향 : 한국과 영국에 대한 비교 연구 본 연구는 대학의 유학생 정책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실제적 영향력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대학들의 국제 교류 정책의 방향성 제고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 및 영국 대학 20곳의 학생 520명(한국 300명, 영국 200명)이었으며, 편의군집표집법에 의해 선정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유학생 정책 정도에 따른 학생의 글로벌 역량에 대해 분석한 결과, 유학생 정책 정도가 높은 대학의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전반적 글로벌 역량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및 영국 대학생의 국가에 따른 글로벌 역량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 글로벌 역량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하위변인인 해외취업, 글로벌 이슈 관심, 글로벌 리더십에서는 영국 대학생이, 글로벌 경쟁력 개발에서는 한국대학생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셋째, 한국을 대상으로 대학의 유학생 정책 정도에 따른 대학생의 글로벌 역량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 글로벌 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글로벌 이슈관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되지 않았다. 넷째, 영국을 대상으로 대학의 유학생 정책 정도에 따른 대학생의 글로벌 역량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글로벌 역량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되었다. 하위변인에서는 유학생 정책 정도가 높은 대학 학생들의 글로벌 경쟁력 개발, 글로벌 이슈 관심, 글로벌 리더십이 그렇지 않은 대학보다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의 유학생 정책이 학생들이 인식하는 현실성, 개인이 노력해야 하는 글로벌 경쟁력 개발, 외국 문화를 받아들이고 공존하는 능력 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향후 대학의 유학생 정책이 외국인 학생의 유입뿐 아니라 학생들의 국제적 이슈에 대한 관심, 타문화에 대한 이해 및 수용 등 글로벌 역량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코로나19 스트레스가 대학생 정서상태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매개효과 : -경기북부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김민정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지난 2019년 12월 전 세계에 팬데믹을 일으킨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정서 상태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 북부지역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진입기의 대학생 시기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에 취약하다는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과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정서상태,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제도적 개입 방안에 대해 시사하였다. 연구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마인드셋은 서로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코로나19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마인드셋 수준이 낮은 반면 코로나19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스트레스 마인드셋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스트레스는 대학생의 정서상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코로나19 스트레스는 대학생의 정서상태의 하위 변인인 코로나 우울과 상태 불안에는 정적 상관, 정신적 안녕감에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코로나19 스트레스가 대학생 정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셋째, 스트레스 마인드셋은 코로나19 스트레스와 대학생의 코로나 우울, 상태 불안, 정신적 안녕감 등 정서상태에 매개하였으며 모두 부적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코로나19 스트레스에 따른 대학생의 정서 건강은 스트레스 마인드셋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학생 시기는 청소년기를 지나 성인기로 진입하는 단계로 과도기적 단계에 해당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시기에 안정적인 정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시사하고 후속 연구 방안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stress and emotional state of university students about the coronavirus that caused the pandemic around the world in December 2019.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78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effect of COVID-19 on university students emotion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mindsets based on existing research results that university students are more vulnerable to stress caused by COVID-19 than other age group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this paper can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stress, emotional state, and stress mindset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and understand institutional intervention measure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COVID-19 stress and stress mind se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The higher the COVID-19 stress, the lower the stress mind set level, and the lower the COVID-19 stress, the higher the stress mind set level. Second, COVID-19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motional state of university students. COVID-19 str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VID-19 depression and state trait anxiety, which are sub-variables of the emotional state of university students, an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ental health.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COVID-19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university students' emotions. Third, the stress mind set mediated the emotional state of COVID-19 stress, COVID-19 depression, state trait anxiety, and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all showing negative correlat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emotion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COVID-19 stress is affected by the stress mind set. The university student period is a stage that passes puberty and enters adulthood, which corresponds to a transitional perio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a way to maintain a stable emotional state during this period and suggested a follow-up research plan.

      • 대학조직에서 교직원의 학습지향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승예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23

        For university development, the overall development of university organizations must be achieved through the active voluntary participation of faculty members, and for this,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faculty and staff members to recognize themselves as common leaders. In order to respond quickly to the current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have differentiated competitiveness from other groups, and in order to secure this competitiveness,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the management of university organizations. The fundamental role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is to organize and operate curriculums, which are the core functions of universities, and to operate administrative tasks smoothly and provide effective administrative services to professors and students. In this regard, systematic segmentation and specialization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are urgently required to positively and actively accept the external environment that requires university change and innov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administration. However, in reality, most universities do not invest much money in professional development or education and training of employees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and in order to minimize labor costs and reduce the burden of employment, short-term contract workers are filling the gap. Nonetheless,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must change and improve to meet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advance the academic system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connection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mong faculty and staff members in a university organization.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faculty and staff members in the Gyeonggi Northern Province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of university learning orientation and to elucidate empirically the influence of their learning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first, the composition of learning orientation was organiz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examined. Second, the typ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verified whether job satisfaction plays a role as a parameter, and presented a research model that establish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ird, according to the research model, job satisfaction was important based on a research survey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would be high through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survey, we would like to provide basic data for policy suggestion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staff's learning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job satisfaction in university organizations are as follow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variables by checking whether job satisfac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path of learning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university organizational faculty members. A total of 255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used to solve the research purpose and problem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job satisfaction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learning orientation on faculty's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arning orientation, the higher the faculty'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re wa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learning orientation on the job satisfaction of faculty and staff members,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 effect on both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how that the higher the learning orientation,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of faculty and staff members, and that the learning orientation affects the job satisfaction of faculty and staff members. In other words, in order to successfully operate a university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learning orient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faculty and staff members. 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job satisfaction of faculty and staff members through various suppor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aculty and staff member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organization. As such, learning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have been identified as factors that can increase faculty'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ith few prior studies on the impact of faculty and staff memb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can be an alternative to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In the future, detailed research on the learning orient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faculty and staff members who are members of the university organization should continue. 대학 발전을 위해서는 교직원들의 적극적이고 자발적 참여를 통하여 전반적인 부분에서 대학조직 발전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직원들이 공동의 지도자로 인식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현재의 대내외적인 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른 집단과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어야 하며, 이러한 경쟁력의 확보를 위해서 대학조직 교직원 관리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였다는 사실에 본 연구의 배경을 두었다. 대학 행정직원의 근본적인 역할은 대학의 핵심 기능인 교육과정 편성 및 학사 운영에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교무인사, 재무행정, 학생복지, 입학 관리업무, 취업 지원 등의 복잡하고 세분되어있는 역할들을 진행하면서 행정업무를 원활하게 운영하고 교수와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행정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부분에서 대학의 변화와 혁신을 요구하는 외부 환경을 긍정적이고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대학 행정의 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학 행정직원의 체계적인 직무의 세분화와 전문화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대학 대부분은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직원들의 전문성 개발 또는 교육훈련에 많은 예산을 투자하지 못하고 있으며, 대학 행정직원의 인건비 인상을 극소화하고 고용의 부담을 계속 덜기 위하여 정규직 신규인력 충원보다는 단기계약직의 형태 인력 충원으로 대학 행정의 공백을 메워가고 있는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 행정은 대학 특성에 맞게 변화하고 개선해야 하므로, 본연구는 대학조직에서 교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학습지향성과 조직몰입,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학술적 제도개선을 위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 북부 소재 교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교직원의 학습지향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통하여 대학의 학습지향성 방향에 관해 시사점들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학습지향성의 구성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정리하였으며,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살펴보았다. 둘째, 조직몰입의 유형은 학습지향성과 조직몰입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직무만족이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해 보고, 변수 간 관계를 설정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셋째, 연구모형에 따라서 직무만족을 통해 조직몰입이 높을 것이라는 연구조사를 바탕으로 직무만족이 중요하다는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조사 결과로 정책적 제언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대학조직에서 교직원의 학습지향성이 직무만족을 매개하여 조직몰입에 미치는 관계는 어떠한지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조직 교직원의 학습지향성과 조직몰입의 경로에서 직무만족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여 다양한 변수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경기 북부 소재 대학 교직원 3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총 255부를 최종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연구목적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활용하였다. 학습지향성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조직몰입에 미치는 관계는 어떠한지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지향성이 교직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결과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학습지향성이 높을수록 교직원의 조직몰입이 높다는 의미로 학습지향성과 조직몰입의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학습지향성이 교직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 모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습지향성이 높을수록 교직원의 직무만족이 높다는 의미로 학습지향성이 구성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조직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직원의 학습지향성, 조직몰입, 직무만족을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와 함께 다양한 지원을 통해 교직원들의 직무만족을 높임으로써 교직원들의 조직몰입을 재고하여 대학조직의 발전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학습지향성과 직무만족은 교직원의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 확인되었고, 교직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가 거의 전혀 없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교직원을 중심으로 진행한 실증연구를 통하여 대학 행정조직의 조직몰입, 직무만족을 높이는 효율적인 운영 방안이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대안이 될 수 있다. 향후 대학조직 구성원인 교직원의 학습지향성과 조직몰입, 직무만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계속 이어져야 한다.

      • 지도자의 지도유형이 대학 태권도 시범단의 실패내성 및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김대웅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instructor’s coaching style on Taekwondo demonstrator’s failure tolerance and group cohesion, and analyze the effect of failure tolerance on group cohesion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achieve effective team member coaching and team management for instructors. To verify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ubjects were university students selected from Taekwondo departments and Taekwondo‐related departments of nine universities including Kyunghee University and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Gangwon‐Chungcheong Area, Honam Area, and Yeongnam area, and they were sampled using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30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Of the collected 308 questionnaires, a total of 262 data were used, excluding 46 questionnaires judged to be unfaithful. For the process of data collected, this study used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statistical technique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nalyzed through thes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coaching styles of instructor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was found to show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age and grade, the failure tolerance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and that in group cohesion,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age and grade.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instructor’s coaching style on failure tolerance, the positive reward behavior, a sub‐factor of the instructor’s coaching style, affected the behavior after failure and the emotion after failure, sub‐factors of failure tolerance, and the authoritative behavior affected the preference for the difficulty of the task.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instructor’s coaching style on group cohesion, it affected the individual‐social cohesion, a sub‐factor of group cohesion, but the authoritative behavior had a negative effect. And the democratic behavior and positive reward behavior affected the collective‐social cohesion, and the training, coaching behavior, and positive rewarding behavior affected the individual‐task cohesion. The collective‐task cohesion was found to be affected by training, coaching behavior, and democratic behavior. Fourth, among the sub‐factors of failure tolerance, the post‐failure behavior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personal‐social cohesion, but the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The collective‐social cohesion is affected by the behavior after failure and the emotion after failure, and the behavior after failure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individual‐task and group task cohes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instructor’s coaching style on the failure tolerance and group cohesion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at the university, an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utiliz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are made as follows. First, in the instructor’s coaching style, as all coaching styles excluding the authoritative behavior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 instructor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at the university should coach beyond the authoritative and vertical system in line with the changing trend of the sports world. However, it is difficult to suggest efficient measures because the standard for the distinction between Taekwondo's etiquette and vertical system,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general sports, is not clea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reference point in subsequent studies. Second, due to the nature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the situation in which decisions such as the directions of movement of the members in the program and the ordering of the breaking difficulty level are made by the instructor alone inevitably arise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a follow‐up study should be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nstration team and the controlled coaching behavior that forces the players to act in the direction they want. Thir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aid that efforts to recover from failures helped to improve failure tolerance by creating a positive team atmosphere, but social supportive behaviors that focus on individual well‐being, good team atmosphere, and human relations between players did not affect failure tolerance, demonstrating that additional verification is necessary through follow‐up studies. Fourth, in the Taekwondo demonstration, where success and failure are clearly separated according to the pine board breaking, the instructor should instill in the members the recognition that anyone can fail, and reluctance and fear of failure should be lowered, but a sense of responsibility should be instilled in the members.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basis for enduring failures, and to increase the motivation of the members and increase the group cohesion through praise and reward for these ac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지도자의 지도유형이 태권도 시범단원의 실패내성 및 집단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실패내성이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지도자들의 효율적인 단원지도 및 팀 운영을 이루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검증하기 위해 대상을 수도권, 강원·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소재에 위치한 경희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등 9개의 대학교 태권도학과 및 태권도 관련학과 시범단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표집 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308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회수된 308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46부를 제외한 총 262부의 자료를 최종 사용하였다. 회수된 자료 처리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지도자의 지도유형의 차이는 연령, 학년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패내성에서는 성별, 학년에 따라 차이가 났으며, 집단응집력에서는 연령과 학년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의 지도유형이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도자의 지도유형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보상행동은 실패내성의 하위요인 실패 후 행동과 실패 후 감정에 영향을 미쳤으며 권위적 행동은 과제 난이도 선호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지도자의 지도유형이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집단응집력의 하위요인인 개인적-사회적 응집력에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적 행동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민주적 행동과 긍정적 보상행동은 집단적-사회적 응집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훈련과 지시행동, 긍정적 보상행동은 개인적-과제적 응집력에 영향을 미쳤다. 집단적-과제적 응집력은 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패내성의 하위요인 중 실패 후 행동은 개인적-사회적 응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제 난이도 선호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적-사회적 응집력은 실패 후 행동, 실패 후 감정에 영향을 받으며 실패 후 행동은 개인적-과제적, 집단적 과제적 응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지도자의 지도유형이 대학 태권도 시범단의 실패내성 및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의 활용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자의 지도유형에서 권위적 행동을 제외한 모든 지도유형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남에 따라서 대학 태권도 시범단의 지도자는 변화하는 스포츠계의 흐름에 맞춰 권위적이고 수직적인 체계를 벗어나 지도해야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스포츠와 다른 태권도의 예의범절과 수직적인 체계의 구분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 기준점을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태권도 시범단의 특성상 단원들의 프로그램 내 동선 지시, 격파 난이도별 순서배치 등과 같은 의사결정은 지도자의 단독지시로 이루어지는 상황이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지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선수들을 압박하고 행동하도록 하는 통제적 코칭행동과 시범단의 관계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본 연구결과에서 실패만회를 위한 노력은 긍정적인 팀 분위기를 형성해 실패내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하였으나 개인의 복지, 좋은 팀 분위기 및 선수들 사이의 인간관계에 중점을 둔 사회적 지지행동이 실패내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나타나 후속연구를 통해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지도자는 단원들에게 송판의 격파 유무에 따라 성공과 실패가 명확히 구분되는 태권도 시범에서 누구든 실패할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 실패에 대한 거부감과 두려움을 낮추되 맡은 역할을 책임감 있게 해내야 한다는 의식을 심어주어야 한다. 이를 통해 실패를 견딜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주고 이러한 행위에 대한 칭찬 및 보상을 통해 단원들의 의욕을 증진시키고 집단응집력을 높여야 한다.

      •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관광활동이 문화적응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국어 능력의 조절효과

        김주헌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관광활동, 문화적응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 학업지속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한국어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증적인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관광활동의 실태를 알아본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관광활동이 문화적응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에 각각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셋째, 국내관광활동 및 문화적응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은 한국어 능력에 의해 조절될 것인지 알아본다. 연구문제에 대한 실증분석을 위하여 서울 및 경기에 소재한 수도권 4년제 대학교에 유학 중인 외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에 직접 응답하는 방법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23년 5월 1일부터 6월 2일까지 실시하였고, 미응답 항목이 포함된 설문지와 일률적으로 응답하거나 답변에 일관성이 없는 표본을 제외하고 318부를 유효표본으로 확보하여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표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하고자 하는 연구가설에 대한 분석결과 “국내관광활동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관한 가설 H1은 채택되었고, “문화적응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 H2의 세부 변수요인이 모두 채택되었으며,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가설 H3과 한국어 능력의 조절효과의 검증에서 가설 H4, H5, H6은 모두 채택되었다. 실증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국내관광활동을 통해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다양한 한국의 문화와 역사적 문물 등에 대한 이해를 통해 문화적으로 적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해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해 대학에서는 우리나라의 문화를 대표하는 관광활동을 비교과영역에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국내관광활동은 대학생활적응에 있어서 학문적,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대학의 애착 등 본 연구에서 다루었던 모든 변수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유학생의 관광활동은 선행연구와 같이 한국의 사회에서 이들이 적응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으며, 실증분석을 통해 이들이 대학에 적응하는 것에도 매우 큰 도움을 주고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국내여행활동,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대학생활적응의 변수간 영향관계에 있어 한국어 능력은 모두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능력이 유창할수록 다양하고 수준 높은 국내여행활동을 진행하여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최소화하며, 대학생활에 보다 쉽게 적응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화적응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영향관계에서도 한국어 능력은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들의 정착과 학위취득, 기술습득 등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국어 능력의 배양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한국어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외국인유학생, 국내관광활동, 관광동기, 관광태도, 관광행동의도, 문화적응스트레스, 대학생활만족도, 한국어능력 This study confirm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tourism activities, cultural adaptation stress, college life adaptation, and academic continuity intention of foreign students, and verifies the moderating effect of Korean language Fluency in their relationship.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and the main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it examines the status of domestic tourism activities of foreign students. Second, we examine the effects of foreign students' domestic tourism activities o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respectively.Third, let's see if domestic tourism activities,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will be controlled by Korean language skills. For empirical analysis of research problems, a survey was conducted on foreign students studying at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using a questionnaire, and the survey used a self-written questionnaire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1 to June 2, 2023, and 318 copies were secured as valid samples and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questionnaires containing unanswered items and samples that responded uniformly or were inconsistent in their answer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esting the research hypothesis presented in this study, Hypothesis 1 was adopted, the detailed variables of Hypothesis 2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were all adopt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foreign students in Korea minimize cultural adaptation stress through domestic tourism activities and adapt culturally through understanding various Korean cultures and historical cultures. In response, in order for foreign students to adapt to the culture,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ies to deal with tourism activities representing Korean culture in the field of comparison. In addition, domestic tourism activitie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all variables dealt with in this study, including academic, social, emotional, physical, and university attachment in adapting to college life. As in previous studies, tourism activities of foreign students help them adapt in Korean society, and empirical analysis has shown that they are also very helpful in adapting to universities. In addition, Korean language Fluency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of domestic travel activities,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ore fluent the Korean language skills of foreign students, the more diverse and high-quality domestic travel activities were conducted to minimize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to adapt to college life more easily. Furthermore, since Korean language skills had a moderating effect on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cultivating Korean language skills is important to achieve their goals such as settling, obtaining degrees, and acquiring skills, and various programs should be presented to develop Korean language flu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