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차이온질량분석기를 이용한 PZT 박막의 특성에 관한 연구

        심등 성균관대학교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15

        Lead zirconate titanate(PZT) films have been intensively investigated due to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in nonvolatile memories, optical device and piezoelectric device. In semiconductor technology, there are several problems about estimating the integration of PZT thin films need to be overcome. One of the key problems is to find a ferroelectric thin film fabrication method with excellent electrical properties. In PZT thin film research, usually XRD, SEM are used to observed the crystal structure and the morphology, AES, XPS were also used to observed the elements in PZT film. But the SIMS can give a real-time element distribution. As AES result in some peaks has duplication, SIMS can give a more accurate result than both AES and XPS. And we focus on the Pb element in all reaction conditions. It can give a relative quantitative of Pb element among all reaction conditions. In this thesis, the effects of the sputtering pressure, the gas ratio, the post-annealing temperature, post-annealing time, the configuration and the electronic characteristics are investigated. And the elements in each interlayer is investigated by SIMS method. In particular, the Pb element played an significant role in PZT thin film crystallization process and so that influence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each films.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PZT thin film at 700℃ 3 min RTA conditions show Pr =21.6 μC/cm2, Ps = 44.3 μC/cm2, Ec= 110 kV/cm, J = 2.1×10-7 A/cm2. 압전재료는 휘발성 메모리, 광학기기로써 많이 연구된다. 압전 재료 중에서 중요한 것은 제일 좋은 압전성질 가지고 있는 PZT 박막 만드는 것이다.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PZT는 뛰어난 강유전특성과 높은 전기 기계적 결함계수, 열적 안정성 등으로 널리 상용되는 압전 물질이다. PZT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바꾸어 주는 압전 정효과를 이용하여 각종센서와 액추에이터, 트랜스듀서 등 다방면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초소형, 고성능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최첨단 미세가공 기술이 MEMS 기술과 함께 마이크로 크기의 제작이 가능해진다. PZT 박막의 연구 중에서 많이 이용된 것은 X선 회절분석기(XRD), 주사형 전자현미경(SEM)등이다. X선 회절분석기를 이용하여 결정구조의 특성을 볼 수 있고, 주사형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표면구조의 특성을 볼 수 있다. 오제 전자 분광법(AES), X선 광전자분광법(XPS)은 PZT 박막 중에서 각각 원소의 비례관계 관찰하는 장비다. 그렇지만 오제 전자 분광법은 중첩 피크가 자주 생기고, X선 광전자분광법은 표면분석만 이용될 수 있는 장비다. 이차이온질량분석기(secondary ion mass spectroscopy, 약자는 SIMS) 장비는 감도가 오제 전자 분광법, X선 광전자분광법에 비교해보면 더 정확하고 X-선 광전자분광법보다 실시간 원소의 PZT 박막 중에 각각 원소 높이에 따라 비례관계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ZT 박막제조 할 때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 사용한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은 타겟에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을 이용하여 자장을 형성시키고 플라즈마를 타겟에 국한시켜 플라즈마 밀도를 높여서 방전전압이 낮아도 큰 전류를 얻을 수 있으므로 비교적 불순물이 적고 높은 에너지의 원자들이 기판에 증착되어 결성이 좋으며 증착조건의 조절이 용이하여 양질의 박막을 쉽게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PZT 박막을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으로 성장 할 경우 기판의 증착압력, 온도, 아르곤과 산소가스의 비율, 증착 시간, 기판과 타겟 간의 거리, 입력 파워 등 증착조건의 따라 박막의 특성이 크게 변화되며 후열처리 조건도 박막의 특성을 크게 좌우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 실리콘 기판에 RF 마그네트론법으로 PZT 압전재료 증착하여 아르곤가스와 산소 가스의 가스비에 따라, 압력에 강하에 따라, 후열처리 온도와 시간에 따라 구조적과 전기적 특성 살펴보고, 그 다음에 이차이온질량분석기를 이용 각각 PZT 시편 내에 원소의 비례관계 측정 하고 Pb/Zr+Ti 원소 비례변화, Pt/Ti 원소가 서로 내부의 침투와 분포를 측정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차이온질량분석측정법으로 실리콘 기판 위에 PZT 증착하는 것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더욱 좋은 깊이 분포도(depth profile)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형법상 책임원칙과 형사제재체계

        정웅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3279

        Der Ausgangspunkt des strafrechtlichen Schuldprinzips befindet sich darin, dass die Legalität der Staatsbestrafung beleuchtet werden soll, indem ein Gedanke der Erfolgshaftung überwunden wird und das Verbrechen als ein Verhaltenserfolg begriffen wird. Das an solchem herkömmlichen Hintergrund angeknüpfte Schuldprinzip wird neben „dem nullum crimen sine lege“ zu einem Grundsatz in der modernen Strafrechtswissenschaft. Diese Anerkennung ist darauf zurückzuführen, dass sowohl für die Begründung einer Strafe als auch für ihre Beschränkung eine besondere Funktion dadurch betont wird, dass eine Berechtigung der staatlichen Bestrafung nur dann zu bejahen ist, wenn eine Person als Rechtsträger eine Kriminalität begeht, und zwar dann, wenn jeder – aber auch die Staat – eine strafrechtliche Verantwortung für seine Täterschaft als richtig und notwendig ansieht. Nach der überwiegenden Meinung handelt es sich dabei nicht um einer Vorwerfbarkeit für einen psychischen Zustand, sondern um eine Vorwerfbarkeit für ein psychisches Verfahren, in dessen der Täter ein Verbrechen begeht, obschon er sich rechtmäßig verhalten müssen hätte. Diesem Verständnis steht aber es gegenüber, dass einerseits der Schuldbegriff und die Grundlage des Schuldprinzips, andererseits eine Berechtigung einer stattlichen Bestrafung weniger überzeugend werden, weil es immer noch zur uferlosen Auseinandersetzung mit dem Vorhandensein einer willkürlichen Entscheidung kommt und ein damit Verbindung stehende Strafmaßstab vor allem im Hinblick auf das Grundsatz des Anders-Handeln-Können als ein objektiv beweislose Formellbegriff betrachtet werden und dementsprechend dies in der Tat nicht mehr anwendbar ist. Darüber hinaus hätte dies zu einem Punitivismus führen können, vor allem im Zusammenhang mit einer Vergeltungstheorie, welche ein Verbrechen nicht gesellschaftlich sondern nur individuell betrachtet hätte. Damit ein materieller Schuldbegriff aufgebaut werden kann, geht somit die moderne Auffassung, welche gegenüber dem traditionellen Verständnis für die Schuld kritisch Stellung nimmt, von dem Zweck der Strafe aus, welches aus der Vorwerfbarkeit einer Täterschaft innerhalb der Gesellschaft zu entnehmen ist. Im gegenwärtigen Staat, welcher als ein Mittel bzw. Funktion zu verstehen ist, soll die Strafe sowohl die Aufgabe einer Rechtsgutsprävention als auch die Sicherungsaufgabe für ihre Rechtsfertigung wahrnehmen und zugleich die hierfür notwendigen bzw. angemessenen Instrumente zum Inhalt haben. Das Ziel der Strafe liegt vor allem darin, dass man sich auf eine Soll-Vergeltung durch die Mittel der Spezialprävention und die Mittel der rechtsstaatlichen Formalisierung richtet und demzufolge eine positive Generalprävention verwirklicht werden kann, deren Ziel insbesondere aus der Grundlegung und der Stabilisierung der Normen – vor allem unter die Voraussetzung einer Vergeltung als eine Tatsache - im Hinblick auf die Reaktion oder Antwort auf eine begegangen Kriminalität besteht. Somit ist der Schuldbegriff „als eine Nachforschung eines inneren Zusammenhangs des Täters für sein Verbrechen“ zu betrachten, um solch eine positive Prävention durch die rechtsstaatliche Typisierung zu ermöglichen. Dieser durch die positive Prävention ausgeprägte Schuldbegriff stellt eine komplexe Schuldauffassung und auch eine funktionale Schuldauffassung dar, und zwar deswegen, weil es sich nämlich um eine Substanz der Schuld - etwa ein Wertungsgegenstand - und um das Ergebnis aus solcher Wertung – etwa Wertung eines Gegenstandes – handelt und somit die Wertrationalität mit einer Grundlage der Zweckmäßigkeit und zugleich mit einer Berücksichtigung der Substanz der Schuld umfasst wird (komplexe bzw. funktionale Schuldauffassung). Ein diesbezügliches Schuldprinzip, welches einen eigenen Weg für rechtdogmatische Vernunftmäßigkeit geht, führt dazu, dass die strafrechtliche Sanktion materiell erfolgt werden kann, in deren Rahmen das Strafrecht und die Gesellschaft eine zusammentreffenden Rolle spielen. Nach dem dualistischen Strafsanktionssystem, welches im Hinblick auf den überkommenen sozialen Schuldbegriff zwischen der Verantwortung und der Gefahr des Rückfalls ausdrücklich unterscheidet, stellt das Schuldprinzip lediglich eine Theorie für die Begründung einer Straferforderlichkeit dar, denn der Schuldbegriff geht unter der formalen Haftungsbegründung ohne eingehendes Argumentieren der dualistischen Strafsanktion ins leer und somit es kommt zu atypischer Strafbemessung, die zu einem Präventionszweck beiträgt. Diese Schwierigkeit möchte solche Erkenntnis, die von dem materiellen Umgang mit dem komplexen und funktionellen Schuldbegriff ausgeht, durch die Anlehnung an einem sog. Schuldsanktionssystem überwinden, welches als gemeinsame Entstehung- und Beschrankungsgrundlage für die Strafe und die sichernde Maßnahme funktioniert. Demzufolge wird eine Einführungsmöglichkeit für neue Strafsanktion wie innengesellschaftliche Behandlung und Wiedergutmachung erleichtert und gleichzeitig ermöglicht diese Betrachtungsweise die Ersetzbarkeit zwischen Sanktionsmitteln, denn bezüglich der effektivsten Gegenmaßnahme für Kriminalität sind die neue strafrechtlichen Sanktionssysteme nicht mehr auf den Vergeltungsgedanke angewiesen. 형법에 있어서 책임원칙은 결과책임사상을 극복하고 범죄를 행위자의 행위의 결과로 파악함으로써 국가형벌권의 정당성을 획득하려는 시도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러한 태생적 배경을 가진 책임원칙은 국가가 형벌이라는 고통을 부과할 때에는 주체로서 인정받는 개인이 범죄를 범한 때, 즉 국가를 비롯한 누구라도 행위자에게 책임을 귀속시킬 수 있는 경우 외에는 형벌을 부과해서는 안 된다는 형벌이 근거가 되는 동시에 형벌을 한정해야 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됨으로써, 죄형법정주의와 더불어 근대형법의 대원칙이 되었다. 이러한 책임개념을 심리적 상태 자체가 아니라 적법행위로 행위할 의사결정이 자유로웠음에도 불구하고 범죄를 저지른 심리상태의 형성과정에 대한 비난가능성으로 이해하는 입장이 현재의 지배적인 견해이다. 하지만 의사결정의 존재여부에 대한 끊이지 않는 논쟁과 이를 전제로 한 일반인의 타행위가능성이라는 책임인정의 판단척도는 객관적으로 증명이 불가능한 형식적 개념으로서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없는 허구에 불과하므로 책임개념과 책임원칙의 존재의미 뿐만 아니라와 국가형벌권의 정당성을 위협하고 있다. 더 나아가 범죄를 철저히 사회와 무관하게 개인적인 것으로 파악하는 응보주의적 사고와 결합하여 현대사회에서 강벌주의를 정당화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책임개념에 비판적인 견해들은 실질적인 책임개념을 구상하기 위해 사회 내에서 책임비난을 통해 부과하는 형벌의 목적에 주목하였다. 오늘날의 수단적․기능적 국가에서는 형벌의 목적은 형법의 존재근거인 법익보호과제와 정당화를 위한 보장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적합한 내용이어야 한다. 이러한 형벌의 목적은 형벌을 발생한 범죄에 대한 반응 또는 응답이라는 점에서 사실로서의 응보를 전제로 규범의 내면화와 안정화를 추구하는 적극적 일반예방을 실현하기 위해 재사회화목적 특별예방과 법치국가적 정형화를 수단으로 하여 당위적인 응보를 지향하는 것이다. 따라서 책임개념은 이와 같은 법치국가적 정형화에 의한 적극적 일반예방을 실현하기 위해 ‘범죄행위에 대한 행위자의 내적 관련성을 형벌목적에 의해 사후적으로 진단’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책임의 실체를 적극적 일반예방에 의해 규범화하는 책임개념은 목적합리성에 기초를 두면서 여기에 다시 책임의 실체까지 포섭함으로써 가치합리성까지 보장해 줄 수 있는, 즉 책임의 실체(평가의 객체) 뿐만 아니라 그것을 평가한 결과(객체의 평가)까지도 포함한다는 점에서 ‘복합적 책임개념’인 동시에 형법의 과제와 형벌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기능적 책임개념’인 것이다(복합적․기능적 책임개념). 복합적․기능적 책임개념은 그 자체 이론적으로 타당성을 추구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책임개념을 내용으로 하는 책임원칙이 형법과 사회가 실제적으로 만나는 지점인 형사제재 부분에서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한다. 종래의 사회적 책임개념을 전제로 책임과 행위자의 재범위험성을 준별하는 이원주의 형사제재체계에 의하면 오히려 그러한 구별을 철저하게 논증하지 않고 필요성에 따른 형식적인 책임부과절차를 통해 책임개념을 공허하게 만들어 책임원칙을 형해화시킬 뿐만 아니라, 비정형적인 양형절차를 통해 그 빈자리를 예방목적으로 채워넣음으로써, 책임원칙은 처벌필요성에 의한 요구를 정당화시키는 이론으로 전락하였다. 따라서 실체적인 복합적·기능적 책임개념으로 채워진 책임원칙은 형벌 뿐만 아니라 보안처분에도 공통의 근거이자 제한원리로 작용한다는 이른바 ‘책임제재체계’를 통해 이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책임제재체계에 의하면 모든 형사제재체계는 가장 효과적인 범죄대응을 위해 더 이상 응보에 억매이지 않게 되어 사회내 처우와 원상회복 등의 새로운 형사제재를 도입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재수단간 상호대체가 가능할 수 있게 된다.

      • 한국인의 일반·전문의약품-한약제제 병용 처방 실태 분석 및 잠재적 상호작용 고찰

        박상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279

        의학 및 한의학 치료 간 이해와 교차 소통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는 현 국내 의료 시스템에서는 약과 한약의 병용으로 인한 상호작용 위험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한의학 치료는 DUR 등의 안전사용서비스 대상이 아니며, 약과 한약을 동시에 다룰 수 있는 의료인이 드문 상황에서 의약품(한방 제외) 및 한약제제의 사용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민이 약과 한약을 동시에 복용할 가능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병용으로 인한 잠재적 상호작용 위험에 대해 면밀한 관찰 및 중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2.0을 활용하여 2010-2015년간 일반•전문의약품-한약제제 병용 처방 추이, 2015년 병용군의 인구사회•임상적 특성, 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빈도 일반•전문의약품-한약제제 병용 조합 도출 및 발생가능한 잠재적 상호작용 고찰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2010-2015년 동안 일반•전문의약품과 한약제제를 병용하는 환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였다. 일반•전문의약품-한약제제 병용 처방이 2010년 2.5%에서 2015년 5.2%로 증가 추세였으며, 한약제제 복용환자 중 일반•전문의약품-한약제제를 병용 처방받은 대상자는 2010년 62%에서 2015년 76%로 증가했다. 특히, 병용 환자 중 60-79세 분율은 2015년 54%로 가장 높았다. 뿐만 아니라 당뇨•고혈압•고지혈증 등의 만성질환이 있을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남성 대비 여성에서 병용이 많았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 결과들과 일치하였다. 병용 투여군 중 고혈압 환자는 47%, 고지혈증 환자는 43%, 당뇨 환자는 27%를 차지했으며 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고혈압(aOR, 4.89; 95% CI, 4.54-5.27), 고지혈증(aOR, 2.01; 95% CI, 1.89-2.14), 당뇨(aOR, 1.81; 95% CI, 1.67-1.98) 등의 만성질환이 병용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였다. 다음으로는 CCI(aOR, 1.59; 95% CI, 1.53-1.66)가 병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빈도 일반•전문의약품-한약제제 병용 처방 조합을 살펴보면, 궁하탕-Aspirin, 오적산-Aspirin, 오적산-Atorvastatin 등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심혈관계, 소화기계 일반•전문의약품과 소화기계 한약제제의 병용 처방이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Amlodipine-감초•생강 함유 한약제제, Aspirin-천궁•당귀 함유 한약제제 등은 노인, 만성질환자 등 취약한 대상자가 장기간 병용 시에 위알도스테론증, 출혈 등의 약리학적 기전상 이상반응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향후, 병용 유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다빈도 병용 조합의 임상약리학적, 역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병용의 안전성 근거 확립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Herbal medicines have built a good reputation by proving their efficacy and safety over hundreds of years. However, as society modernizes, people are easily exposed to the situation that they take both drugs and herbal medicines at the same time. In the current domestic medical system, where medicine and oriental medicine coexist, we cannot exclude the risk of herb-drug interaction. In particular, there are few medical personnel who can cover both drugs and herbal medicines, and herbal medicine is not subject to Drug Utilization Review(DUR).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imperative for regulatory authorities and physicians to closely monitor and observe potential herb-drug interaction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prevalence of concurrent use of drugs and herbal medicines and discuss potential herb-drug interactions using a nationwide insurance claims database. We aim to assess (1) prevalence, (2)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oncurrent users, (3)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oncurrent use, (4) prescribing patterns, and (5) potential herb-drug interactions. We selected the study participants with records of taking herbal medicine in 2010-2015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 National Sample Cohort 2.0. Among the herbal medicine users, we divided the cohort into two groups consisting of concurrent users who had took drugs at the same time and non-concurrent users. Concurrent use increased steadily from 2.5% to 5.2% from 2010 to 2015 and the growth rate in the elderly population aged 60-79 was the highest from 0.7% in 2010 to 2.8% in 2015. Concurrent users in 2015 were prone to be female, old, and have chronic diseases including hypertension(aOR, 4.89; 95% CI, 4.54-5.27), hyperlipidemia(aOR, 2.01; 95% CI, 1.89-2.14), diabetes(aOR, 1.81; 95% CI, 1.67-1.98). Gastrointestinal herbal medicines were frequently administered with drugs, especially for gastrointestinal and cardiovascular treatment. Combinations of the most concurrent use are Gungha tang-Aspirin, Ojeoksan-Aspirin, Ojeoksan-Atorvastatin and so on. Among these, Amlodipine-herbal medicine including Licorice•Ginger, Aspirin-herbal medicine including Cnidium•Angelica root may cause adverse drug reactions such as pseudoaldosteronism or bleeding when the elderly or chronically ill patients taking for a long time. Clinical or epidemiological studies for the frequently used combination are needed to establish the evidence demonstrating the safety of concurrent use.

      • 통합환경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이 교사와 발달지체유아 및 일반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김경윤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33279

        The Effect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Teachers and Children with and without Delayed Development in the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Kyung Yoon, Kim Dep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With a view to assessing the success and adoptability of inclusive education for intervening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a powerful "interventional" approach, on teachers and children with and without delayed development in the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using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BS in the inclusive settings on the level of instructional intervention of instructors and the consequent changes in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with delayed development and in the perception of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about those with delayed development in same class by coaching PBS instructional strategies to the teachers .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three public,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those with initials of U, M and D, located in the same district in Seoul. The former two served as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latter, the control group. Three delayed development children (aged 3, 4 and 5) who strongly needed instructional intervention for their behavioral problems were selected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t U and M. PBS training was offered to each instructor particularly assigned to each children. We observed the changes both in the level of instructional intervention from instructors and in the frequency of problem and engagement behaviors of children with delayed development.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general children about ones with developmental delay, peer acceptance tests were delivered to 42 children, each from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PBS. The results showed an increased level of instructional intervention from PBS-trained instructors and a decreased rate of problem behaviors while a greater increased rate of engagement behaviors from delayed developmental childre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were found between instructional intervention and behavio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 negative relation between instructional intervention and problem behaviors and a positive relation between instructional intervention and engagement ones. In sum, the greater instructional intervention instructors provided, the fewer behavioral problems and the more engagement behaviors, the developmentally delayed children showed. Peer acceptance tests exhibited that there was a gap between the perception of general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ir counterparts in control group, regarding those with delayed development. Experimental group with the intervention of PBS showed the improved perception about those with developmental delay, while control group, a somewhat worse than before. Although this study found that PBS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approach and proved close relations between instructional intervention and problem/engagement behaviors of children with delayed development, it had limitations of the sample - small sample size, exclusion of general children and their instructors - and the ignored factors including the roles of home. Based in these, the implementation of interventional instruction for general children with challenging behaviors, the class and school-wide PBS implementation, the support system building for instructors assigned for developmentally delayed children, the collaboration system organization between general and special instructors, and the further investigation for effects of association between educational setting and family were suggested. Keywords : inclusive education sett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behavior problem, engagement behavior, instructional intervention, peer acceptance. 통합환경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이 교사와 발달지체유아 및 일반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통합교육의 성공과 발달지체일반유아의 문제행동지도에 관한 적용 가능성 탐색에 의의를 두고 통합환경의 발달지체유아와 장애전담 교사, 그리고 일반유아를 대상으로 효율적인 중재전략인 긍정적 행동지원의 효과를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통해 탐색하였다. 통합환경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에 따른 교사의 교수행동 변화와 그에 따른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의 변화, 그리고 일반유아의 발달지체유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서울 동일지역에 위치하고 통합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국공립 어린이집 세 기관(U, M 그리고 D어린이집)을 선정하였다. 이들 기관 중 U와 M어린이집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나머지 D어린이집을 통제집단으로 정한 후, 실험집단인 기관에서 문제행동 중재가 시급히 요청되는 발달지체유아를 연령별(만3, 4, 5세)로 각 1명씩 총 3명을 선정하였다. 그런 다음 U어린이집 만 3세, 만 5세반의 장애전담교사, M어린이집 만 4세반의 장애전담 교사에게 긍정적 행동지원 훈련을 실시한 후, 교사의 교수행동의 변화와 그에 따른 각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과 참여행동의 변화를 관찰, 기록하였다. 그리고 일반유아의 인식의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서 U와 M어린이집의 일반유아들 42명과 D어린이집의 일반유아들 42명을 대상으로 또래수용도 검사를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 사전과 사후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 행동지원 교사훈련을 받은 장애전담 교사의 교수행동이 증가하였고,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이 감소하고 참여행동이 증가하였다. 교사의 교수행동과 발달지체유아의 행동 간의 관계는 매우 밀접한 상관성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교수행동과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은 부적관계를, 교사의 교수행동과 발달지체유아의 참여행동은 정적관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교사의 교수행동이 증가할수록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이 감소하고 참여행동이 증가하는 관계성이 확인되었다. 또래수용도 검사를 통해 확인한 일반유아의 인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가 이루어진 실험집단에서는 발달지체유아들에 대한 일반유아들의 인식이 개선된 반면, 통제집단에서는 오히려 다소 나빠진 결과를 얻었다. 이는 물리적 통합이 아닌 최소 교수 활동적 통합이 시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긍정적 행동지원이 효율적인 중재전략이었음을 확인하고, 교사의 교수행동과 발달지체유아의 문제, 참여행동 간의 관계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한 본 연구는 소수의 연구대상으로 인한 일반화의 어려움이 따른다. 이 외에도 일반유아와 일반보육교사 배제, 그리고 가정과의 비연계라는 제한점이 있다. 이에 일반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중재전략의 수행, 개별차원뿐 아닌 학급차원과 학교차원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 장애전담 교사에 대한 체계적인 훈련 지원, 장애전담 교사와 일반보육교사와의 협력체제 구축, 가정과의 연계 연구를 제언한다. 주제어 : 통합환경(inclusive education setting) , 긍정적 행동지원(positive behavior support),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설계(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문제행동(behavior problem), 참여행동(engagement behavior), 교수행동(instructional intervention), 또래수용도(peer acceptance)

      • 재한 중국인 대학생의 한국 대학원 진학계획 영향요인 분석

        이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3279

        교육국제화가 심화되고 고등교육의 국제적인 교류활동이 다양해지면서 유학생에 대한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최근 몇 년간, 대학 학력의 보편화로 인해 석사와 석사 이상 학력의 사람은 직장에서 우대를 받을 수 있고, 실업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그래서 대학원 졸업한 후에 대학원 입학을 선택하는 학생들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내에서 '대학원 진학 열' 현상이 나타나고 있고, 한국으로 온 대학원 지망생 수도 늘어나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도 정책을 통해 학생들의 대학원 진학 결정에 기여하고 있다. 그래서 대학원 진학은 사회적인 화두가 되고 있다. 하지만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진로계획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 대학원 진학계획에 관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 다니고 있는 2학년 이상의 중국인 학부생들이 한국 대학원으로 진학할 계획을 살펴본다. 진학 계획이 있는지, 영향요인이 어떻게 되는지, 각 요인의 영향력이 어떻게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의 학부과정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이 한국 대학원 진학 계획 여부에 따른 독립변인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서울 4년제 대학교 학부과정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원 진학 계획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서울 4년제 대학교의 학부과정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원 진학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의 영향 정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6개의 4년제 종합 대학 학부 과정에 재학 중인 대학교 2학년 이상의 중국인 학부생들이다. 설문지를 만들어 셀프조사연구 소프트웨어 “問卷星”( www.wjx.cn) 을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19년 10월 18일~11월 16일까지 총 474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 응답을 완성하지 않은 경우와 표 집단에서 벗어나는 경우를 제외하고, 총 460부의 유효응답을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 전공, 부모의 기대와 학교생활 만족도는 진학 계획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체능, 사범계열 등 계열의 중국인 대학생들이 인문사회 계열과 자연이공 계열의 학생보다 한국 대학원 진학을 선호하지 않는 편이다. 부모의 자녀가 대학원에 진학할 것을 기대하는 것은 학생들의 대학원 진학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중국인 가정에서 부모의 의견은 여전히 자녀에게 큰 영향을 준다. 학교생활의 만족도도 중국인 대학생들이 한국 대학원 진학계획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진학 계획이 있는 학생과 진학 계획이 없는 학생 간에 교수영역의 만족도, 교육내용의 만족도, 학생활동의 만족도, 학교환경의 만족도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deepening internationalization of education and international exchange activities of higher education, more and more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foreign students. In recent years, people with master's and higher degrees can get better treatment at work, and their unemployment rate is lower. Therefore, the proportion of students choosing to enter graduate school is growing. Against this backdrop, there is a "postgraduate fever” phenomenon in China leading more Chinese students to study in Korea. Chinese government releases the beneficial policies aiming that more students are willing to enter graduate schools. Therefore, gaining a postgraduate degree has become a social issue. However,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the postgraduate study plans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postgraduate study plan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This study aims at researching the plans for Chinese undergraduates at Seoul-based four-year universities about going to graduate schools in Korea. Trying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s' postgraduate study plan, and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Three research problems have been set up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First, what the difference between Chinese students studying at a four-year university who have postgraduate study plans in Korea, and those who don't postgraduate study plans in Korea are. Second, what the Influence Factors in Korean postgraduate study plans of Chinese overseas students studying in the undergraduate program of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are. Third, in which degree these factors influence the Korean postgraduate study plan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the undergraduate program of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To solve these question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via the self-researching software 問卷星(www.wjx.c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Chinese undergraduates who are sophomore and above in six four-year general universities in Seoul. 460 effective responses were collected between October 18, 2019, and November 16, 2019.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students who major in the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prefer to have a postgraduate study plan in Korea than those major in the arts, physical education, and education. Parents' expectations of children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postgraduate study plans. The opinions of parents in Chinese families still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ir children. The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life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postgraduate study plans.

      • 대통령의 평판요인에 관한 연구 : 이해관계자의 일체감과 충성도를 중심으로

        심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33279

        In 2009, the reliability and leadership of the supreme leaders among USA, Germany, Great Britain, France, Russia, China, UN, and Iran were measured in 20 nation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about 61% responded President Obama was the most trustworthy of all the leaders from the previously mentioned countries. As first African-American President, President Obama, whose dedication for the values of mutual cooperation and respect is renown, has come up to the surface as the center of world leadership. This demonstrates 'soft power' thatdraws people's voluntary adaption and approval is more effective than 'hard power' which has to do withmilitary and/or economic strength. This is the reason that many of the leading countries are jumping into the soft power growth competition, and the abstract values such as global reliability and reputation of the leaders are becoming more crucial. To this day, reputation study has been conducted mainly towards corporate organizations, or individuals which mostly included CEO’s and celebrities. Reputation studies towards presidents that represent a whole nation are seldom conducted, and studies that do regard presidents are usually about their leadership. As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 of reputation is constantly increasing, wedecided to apply this general idea of reputation to the presidents. First, composition factors to measure the president’s reputation were drawn, and through this, reputations for the past presidents were measured among various groups of stakeholders (i.e. common citizens, academia, civic group, the press, economic community). Furthermore, relationship between presidential composition factors, sense of unity, and loyalty was analyzed among each stakeholder. Presidents that were analyzedare former presidents Park Chung-Hee, Chun Doo-Hwan, Kim Young-Sam, Kim Dae-Jung and Roh Moo-Hyu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RQ1】 What are the composition factors of a president’s reputation? 【RQ2】How are the perception levels towards the president’s reputation different among each stakeholder (common citizens, the press, academia, and the civic group)? 【RQ3】How does the president’s reputation affect each stakeholder’s (common citizens, the press, academia, and the civic group) sense of unity? 【RQ4】How do the president’s reputation and sense of unity affect each stakeholder’s (common citizens, the press, academia, and the civic group) loyalty? 【RQ5】How does relationship among the president’s reputation (President Park Chung-Hee, Chun Doo-Hwan, Kim Young-Sam, Kim Dae-Jung, and Roh Moo-Hyun), sense of unity, and loyalty appear? To examine the result of 【Research Question 1】, 5 factors -<morality> factor, <economic management> factor, <communication ability> factor, <government administration management> factor, and <global competence> factor- were drawn as the composition factors for the president’s reputation. The result of【Research Question 2】 shows that difference in each stakeholder’s perception levels in the president’s reputation is partially appearing except in President Park Chung-Hee. In particular, there partially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stakeholder such as citizens, academia, civic group, the press, and the economic community. Third, when we examined among five groups of stakeholders the causal relation between past presidents’ reputation and the sense of unity for 【Research Question 3】, the result showed it has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the composition factors for the president’s reputation that affectall five groups of stakeholders’ sense of unity in common did not appear. Fourth,【Research Question 4】wa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 of each president’s reputation, sense of unity, and loyalty among the stakeholder groups. To do th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hich inputsindependent variables in order, was carried out. Result of <Model 1> confirmed that composition factors of the president’s reputations do have influence on loyalty. Although the result of <Model 2> drew differentiated results for each president and stakeholder, it shows the president’s reputation and sense of unity do affect loyalty. Finally, the result of 【Research Question 5】confirms that the president’s reputation, sense of unity, and loyalty do have partial causality. Albeit the difference in result of each president, it can be said that, to some extent, there exists causal relation among them. Morality, global competence, and capability to communicate and operate government administrationand economy, are the most obvious and necessary aspects needed in building the president's reputation. When one that holds all these aspects becomes the chief leader of a nation, he/she will be able to effectively cope during crisis, and also uplift the national strength and stature of Korea. One may question if there ever is a prepared leader from the beginning. However, someone who plans to run for the president and dreams of leading a nation, the largest organization, should face the fact that, in assessing the president’s reputation, there are more factors to consider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a general corpor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references in which areas to manage, train and complement for those who wish to become president. 2009년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 유엔, 이란의 최고지도자를 대상으로 20개국에서 이들에 대한 신뢰도와 리더십을 측정했다. 조사결과, 61%가 세계지도자로서 오바마 대통령을 신뢰한다고 답했다. 최초의 흑인 대통령, 다자협력과 존중의 가치로 상징되는 오바마 대통령이 일약 세계 리더십의 중심으로 떠오른 것이다. 이는 과거의 군사력, 경제력과 같은 하드파워 대신 국민들의 자발적인 순응과 동의를 이끌어내는 소프트파워가 작용했다는 추론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리고 세계 주요강국이 소프트파워 경쟁에 뛰어들고 있는 이유이며, 각 국 지도자의 국제적 신뢰와 평판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의 가치가 점점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지금까지 평판 연구는 주로 기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져왔으며, 개인에 대한 평판 연구는 CEO와 연예인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국가를 대표하는 대통령을 대상으로 한 평판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주로 대통령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평판 개념을 대통령에게 적용해 살펴보고자 했다. 먼저 대통령 평판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그룹(일반시민, 학계, 시민단체, 언론계, 경제계)을 대상으로 실제 전직 대통령을 대상으로 평판을 측정하고자 했다. 또한 대통령 구성요인과 일체감 그리고 충성도와의 관계를 각 이해관계자별로 분석해 보았다. 분석대상 대통령은 전직 대통령 중 박정희, 전두환,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이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를 설정했으며,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대통령 평판 구성요인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연구문제 2】이해관계자별(일반시민, 언론인, 학계, 시민단체)로 대통령 평판을 인식하는 정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가? 【연구문제 3】이해관계자별(일반시민, 언론인, 학계, 시민단체)로 대통령 평판은 일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이해관계자별(일반시민, 언론인, 학계, 시민단체)로 대통령 평판과 일체감이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5】 대통령(박정희 대통령, 전두환 대통령, 김영삼 대통령, 김대중 대통령, 노무현 대통령) 평판과 일체감 그리고 충성도와의 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연구결과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연구문제 1】의 결과는 대통령 평판을 구성하는 요인으로 <도덕성>요인, <경제운영>요인, <소통력>요인, <국정능력>요인, <글로벌 역량>요인 총 5가지가 도출되었다. 둘째, 【연구문제 2】의 결과는 5명의 대통령의 대통령 평판 구성요인에 대한 5개 이해관계자 집단의 인식 차이는 박정희 대통령을 제외하고 부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일반시민과 학계, 시민단체, 언론계, 경제계 등 각 이해관계자별로 부분적으로나마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문제 3】의 결과는 5개 이해관계자 집단별로 5명의 역대 대통령의 대통령 평판과 일체감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한 결과,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5개 이해관계자 그룹이 공통으로 일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대통령 평판 구성요인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연구문제 4】는 이해관계자 집단별로 각 대통령의 평판, 일체감과 충성도와의 인과관계를 알아보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독립변인을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모델 1>의 결과는 대통령 평판 구성요인이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모델 2>의 결과는 대통령별, 이해관계자별 차별화된 결과가 도출되었으나, 대통령 평판과 일체감이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문제 5】의 결과는 대통령 평판과 일체감 그리고 충성도와의 관계가 부분적으로 서로 인과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비록 대통령별로 그 결과에 차이가 나타나지만, 이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영향관계는 어느 정도 있다고 볼 수 있다. 대통령의 평판을 구축하기 위한 덕목으로 도덕성, 경제운영능력, 소통력, 국정운영능력, 글로벌 역량 등은 누가 보아도 바람직한 사항이며, 이러한 요인을 모두 갖춘 인물이 지도자가 되어 국가의 책임자가 된다면 위기 상황에 대한 효율적 대처와 우리나라의 국력과 위상을 한층 고양시키는 것에 있어 큰 역할을 할 것이다. 준비된 대통령이 과연 있겠는가라는 의문 속에서도 자신이 나라를 책임지고 이끌 지도자로서의 꿈을 꾸는 사람이라면 국가라는 가장 큰 조직을 운영하는데 있어 일반 기업과는 다른 평판 요인이 있음을 직시하고 이에 대한 끊임없는 노력과 자기 성찰이 필요할 것이다. 향후 자신이 대통령으로 나서고자 한다면 그리고 대통령의 꿈을 꾸고 있는 사람이라면 어떠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관리하고 수련, 보완해야 하는지 본 연구가 참고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의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 적응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원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279

        This study is the first qualitative study on students who majored in the Korean language at Chinese universities and went to Korean graduate schools for master programs after gradu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explores what they experience in Korea, what challenges they face, and how those challenges can be addressed, so as to find ways for improving their adaptation to their life in Korea. To that end, this study asks the following: What experiences and challenges do they face as Korean language majors from Chinese universities studying at Korean graduate schools? How do they cope with the challenges? What are their expectations about their graduate school life in Korea?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1 students at 10 graduate schools in Seoul who majored in the Korean language in China and graduated from, or are currently studying at, Korean graduate schools as masters or master candidat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is study presents its findings in five categories: the differentiation of Korean language graduates at Chinese universities from ordinary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s of adapting to graduate school life in Korea; the methods for coping with the challenges arising from the adaptation; and the rewarding aspects of living in Korea as graduate student. As for the first category,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have three differentiation from ordinary international students: they boast higher proficiency in the Korean language than other international students; they received formal Korean language training before coming to Korea; and they researched about life in Korea before coming to the country. Secondly, as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their motivations for studying at Korean graduate schools can be broken down into several categories: the goal of improving their Korean and achieving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the revitalization of joint programs between Chinese and Korean universities; difficulties faced by university graduates in the Chinese job market; the language environment in Korea; and the interest in majoring in new areas. Thirdly,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face various academic, socio-cultural, and personal/affective challenges in the course of adapting to their life at Korean graduate schools. Fourthly,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cope with the challenges by seeking help from people around them, taking time to make up for their shortcomings, and accepting a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ociety. The interviewees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ir language skills. Fifthly, the rewarding aspects of living in Korea reported by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included the changes brought on by their life in Korea as graduate students, and the realization of the expectations they had for their life in Korea.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ursued deep understanding of the life of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as graduate students in Korea, at least partially fill the gap in previous literature, and proposes advices to students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at Chinese universities. 본 연구는 중국대학 한국어과를 졸업한 후 한국 대학원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질적 연구로서 심층 면담을 통해 중국대학 한국어과를 졸업한 전공자로서 한국 대학원을 다니면서 어떤 경험이 있고 어떤 어려움을 겪을 것인지, 이 어려움을 어떻게 대처해 해결할 수 있는지를 탐색함으로써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 적응 효과를 향상하게 시키려는 방법들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로서 한국에 와서 대학원 유학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 그리고 어떠한 어려움은 겪는가? 둘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로서 한국에 와서 대학원 유학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 셋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로서 한국에 와서 대학원 유학생활을 통해 갖는 기대는 무엇인가? 이 연구 문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중국대학 한국어과를 졸업하고 한국으로 유학 온 대학원 석사 과정에 졸업하거나 재학하고 있는 서울시 소재 10개 대학의 대학원생 11명을 선정하여 연구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대학 한국어과 졸업생의 일반 유학생과의 차별성, 한국 대학원에 진학 동기,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 적응 문제, 적응 경험에서 겪는 어려움 대처방식,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의 보람이라는 총 5가지의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졸업생은 일반 유학생과의 차별성이 있는데 그 차별성이 다른 유학생에 비해 뛰어난 한국어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을 받았고 한국에 오기 전에 이미 한국에 대한 대학원 수업에 대비해서 한국 문화를 사전 수강한 차별성이 나타났다. 둘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로서 한국 대학원에 진학 동기는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 한국어 실력 및 학력 향상, 중한 대학 간의 연계 프로그램 활성화, 중국 내 대학졸업생 취업난 현황 및 한국에서의 언어 환경 그리고 새로운 전공 학습요구 증가함으로 한국 대학원에 진학 동기가 되었다. 셋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학생들이 한국 대학원에 겪는 유학생활의 적응 문제로 크게 학업적, 사회 문화적, 개인-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눌 수 있었다. 넷째, 한국어과 전공자들은 한국 대학원에 유학생활은 적응하면서 여러 가지 적응 문제들을 겪지만 나름대로 대처방식으로는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받거나 시간을 들여 적극적으로 노력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고, 한국 사회의 특징들에 대해 받음과 이해하며 언어 향상에 대해 강조하고 있었다. 다섯째, 한국어과 전공자들이 가장 보람 있다고 느끼는 것은 크게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을 통해서 나타난 변화와 유학생활을 통한 기대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국대학 한국어과에 졸업한 후 한국 대학원에 진학한 전공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대학원 유학생활 경력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연구결함을 다소나마 보완하고 중국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조언을 제공할 수 있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 아동의 그림책 이해에 관한 비교

        손우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3279

        논문요약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 아동의 그림책 이해에 관한 비교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 아동 간의 차이가 있는지, 차이가 있다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만 6세 일반 아동 10명과 동일한 연령의 고기능 자폐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림책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글 없는 그림책과 글 있는 그림책 용 이야기 이해도 검사를 각각 시행하였고, 상호텍스트성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야기 구조, 내용, 주인공 캐릭터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메인 텍스트와 연관되어 있으며 명백히 드러나는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 두 텍스트 간의 적절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내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글 없는 그림책의 경우 그림책을 이해하는데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 아동 간의 차이가 있는가? 2. 글자 텍스트가 있는 그림책의 경우 그림책을 이해하는데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 아동 간의 차이가 있는가? 3. 그림책의 상호텍스트성 이해에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 아동 간의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 없는 그림책을 이해하는데 그림책 초기탐색과 다시 말하기, 명시적 이야기 이해력에서는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아동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암시적 이야기 이해력에서는 고기능 자폐아동군이 일반 아동군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수행률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글자 텍스트가 있는 그림책을 이해하는데 이야기 구조 이해에서는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아동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이야기 추론 이해에서는 고기능 자폐아동군이 일반 아동군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수행률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그림책들 간의 상호텍스트성을 이해하는데 고기능 자폐아동군이 일반 아동군에 비해 낮은 수행률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아동의 그림책 이해에 관한 차이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글 있는 그림책과 글 없는 그림책, 상호텍스트성 이해도를 두 집단 간 비교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는 현장에서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아동을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을 시행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주제어 : 글 없는 그림책 , 글 있는 그림책 , 상호텍스트성 , 고기능 자폐아동 , 이야기 이해력 ABSTRACT Comparison of picturebook comprehension between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Sohn, Woo Young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picturebook comprehension between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or not. Respectively 10 persons of 6-year-old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measure picturebook comprehension, I tried to test the comprehension for the picturebook without text and with text respectively, to measure comprehension of intertextuality, I investigated points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at they have found in structure of story, contents, character of protagonists in relative main text. The topics following this study as below: 1. In case of picturebook without tex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picturebook between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2. In case of picturebook with tex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picturebook between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3. In intertextuality understanding of picturebook,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picturebook between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regarding understanding picturebook without text, there are no differences in picturewalk, retelling, denotational picturebook comprehension between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But, in suggestive picturebook comprehension,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group showed lower fulfillment than non-disabled children group noticeably, so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Second, regarding understanding picturebooks with text, excepting for picturebook structure comprehension, non-disabled children group had a high level of achievement of picturebook reasoning comprehension in comparison with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group. Thir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group showed lower fulfillment than non-disabled children group in understanding intertextuality among picturebooks. These results showed th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picturebook between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dealt with comparison of understanding about picturebook without text, picturebook with text, intertextuality of two groups, and these results can be used for education materials in classroom when teachers educate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by picturebook.

      • 성균관 석전대제 제례복식 착용실태 고찰 : 1920年~2019年 中心으로

        김숙자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263

        석전은 동아시아 유교문화권의 대표적인 의식으로 유교문화 전체의 표현양식이며 유교 정신이 가장 집약적으로 녹아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원형을 보존하고 있고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유교문화유산으로 세계적인 가치와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에 있어 성균관 석전제례복식에 관하여 전례서와 유물 그리고 현재 성균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복에 관하여 전수 조사를 하였다. 이는 시간의 흐름상에서 석전제례의 제도 및 복식의 형태와 형식이 변화되는 양상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올바른 석전제례의 제도와 복식을 논의하기 위해서이다. 석전제례는 국가의 중요 의례로서 모든 기물 및 복식의 형태는 예(禮)를 나타내는 하나의 표현 수단으로 이용된다. 또한 참가자들은 각 의례의 단계에서 착장 가능한 복식의 수준 또한 정해진 예를 표현하는 한 방식이다. 국가의례를 행함이라 함은 가시적인 모든 표현 방법을 동원하여 조선시대에는 백성, 현재는 우리나라의 국민들 모두에게 자긍심과 예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의식이라 할 수 있다. 성균관 석전제례의 여러 가지 변화 양상들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 번째 문무관의 제복제도는 조선 건국 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법제도는 큰 변함없이 지속되었다. 조선의 왕들은 ‘조종성헌존중주의(祖宗成憲尊重主義)’을 원칙으로 하여 유제(遺制)를 함부로 바꾸지 않아 제도는 그대로이나 『조선왕조실록』에는 시대별로 변화를 볼 수 있다. 두 번째 복식 착용 형태의 변화로 전례서의 기록과 도설에는 페슬(蔽膝)은 대(帶)에 걸어 무릎을 덮었으나 지금은 흉배(胸背)처럼 가슴에 붙었으며, 방심곡령은 흑삼(黑衫) 즉 衣 위에 목에 걸었으나 후기 유물에서 직령 깃 위에 부착되었으며, 지금 성균관의 제복에는 단령형의 이중깃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 할 수가 있다. 의례용 치마인 상(裳)은 중단(中單)에 부착되고, 수(綬)는 대대에 부착되었다. 복식이 간소화됨으로 제례복 구성에서도 변화가 왔다. 과거의 제도나 도설로서는 현재의 형태를 찾을 수 없다. 시대에 맞게 제도와 도설이 개정되어야 전통이 바르게 전달될 것으로 사료된다. 세 번째 석전제례의 참여자 변화이다. 일제강점기 성균관이 폐지되고 총독부에 의해 경학원이 설립되어 학교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의 기능만 남겼지만 다시 축소되고 변질되었다. 총독(總督)을 비롯하여 총독부의 관리들의 첨향례(添香禮)가 추가되고, 강연 등으로 석전제례를 식민지 지배의 장으로 활용하였다. 1986년 석전대제가 국가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후, 정부의 관리를 받고, 의례 자체의 외형적인 관심은 고취되었지만, 성균관 내부적으로는 의식의 내면을 표현하는 의물 및 복식을 갖추지 못하여 석전제례복의 본질인 차등을 표현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사회 환경의 변화로 1975년부터 여성들이 성균관을 자유롭게 출입하여 집사자로 참여하게 되지만 여성제복이 정해지지 않아 일정한 복식을 갖추지 못하였다. 네 번째 제복의 구조 변화가 있다. 성균관제복 衣는 큰 옷에 등솔이 없고, 품이 지나치게 넓고 소매길이는 짧다. 혁대 고리는 뒷길 겨드랑이 위에 위치하고, 옆트임은 겨드랑이 아래 10〜15cm에서 시작하여 허리선 아래가 된다. 이로 인해 옷이 뒤틀리고 소매는 짧아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혁대를 매면 무게 중심에 의해 혁대는 등 쪽이 높아지고 앞이 낮아진다. 수가 연결된 대대를 衣 옆트임 사이로 넣어 衣 앞자락 아래서 허리에 매게 되면 앞자락이 달려 올라간다. 석전은 조선시대의 국가의례이며, 석전제례복은 관복으로 차등이 있는 옷이나 지금의 성균관은 의물을 갖출 수가 없으니 차등을 둘 수가 없다. 석전제례복은 중국에서 발생하여 우리나라에 들어온 이래 점차 국속화되고 간소화 되면서 제례복 구성에도 변화가 왔다. 석전은 조선시대의 국가의례이며, 21세기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로 관리되고 있다. 예(禮)를 실천하는 시작은 의관정제(衣冠整齊)로부터 시작된다. 국가무형문화재 제85호 석전대제를 바르게 전승하기 위해서는 의식의 내면을 표현하는 도구로 사용되는 의례복인 석전제례복이 갖추어져야 된다. 이상과 같이 석전제례복 착용실태를 분석함으로 미진한 점은 있으나 제례복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여성제례복은 과거의 복식제도를 고찰하여 만들어져야하기에 사회적인 논의와 합의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