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요양시설 운영형태에 따른 조직공정성의 차이가 종사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북지역 노인요양시설을 중심으로

        양광희 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종사자들의 운영형태 를 파악하고, 사회복지 실천에 임하고 종사자들의 복리개선방안을 찾아 사회복지 서비스의 질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기여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운영형태에 따른 노인요양시설 종사자들의 일반적 사항 및 근무 운영형태 에 따른 조직 공정성의 차이를 실증적인 조사를 통해 분석해 보고 종사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시설의 발전방향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전라북도지역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 공공부문과민간부문의 454명의 종사자이며, 조사방법은 사전 협조를 거쳐 우편을 통한 설문지 발송 및 직접방문을 통한 설문지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일차적으로 측정변수들의 평균, 표준편차 및 상관관계를 구하기 위해 SPSS Win․Ver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단순기술통계법과 교차분석(Cross-tab),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F검정결과 유의한 차이가 발견된 사항에 대해서는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조직 공정성이 종속변수인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 사이에서 운영형태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운영형태에 따른 연구변인의 차이 노인요양시설의 운영형태에 따른 종사자들의 개인특성, 근로환경별 변인(성별,연령,결혼여부,종교,학력,고용형태,담당직무,근무시간,시간외수당지급여부, 연간급여, 급여방식)중 성별의 경우 운영형태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 경우 운영형태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민간부문이 공공부문에 비해 전체적인 연령대가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형태에 따른 직무요인 및 조직 공정성과 조직몰입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검정한 내용이다. T검정결과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직무요인의 ‘업무경우 공공부문이 민간부문에 비해 약 0.70점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직, 이직’의 경우 민간부문이 공공부문에 비해 약 0.85점 높았으며 ‘상사’의 경우 민간부문이 공공부문에 비해 약 0.48점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절차 공정성의 경우 공공부문이 민간부문에 비해 약 0.76점 더 높은 평점을 보였으며 분배 공정성의 경우는 민간부문이 약 0.97점 더 높은 평점을 보였다. 조직몰입의 경우 공공부문이 민간부문에 비해 약 0.76점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의 상관관계 운영형태의 경우 절차공정성 및 조직몰입과 부(-)적 보통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분배공정성 과 보통수준의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차공정성의 경우 분배공정성과 부(-)적 강한상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조직몰입과는 정(+)적 강한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분배공정성의 경우 조직몰입과 강한 부(-)적 상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운영형태의 효과 절차공정성과 분배공정성을 투입한 모형1의 경우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절차공정성은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으며 분배공정성은 조직몰입에 부(-)의 관계를 보였다. 영향력의 크기는 절차공정성이 분배공정성에 비해 더 큰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형태를 추가로 투입한 모형2의 경우 회귀식은 여전히 유의하였으나 투입된 운영형태의 역시 유의 하게 나타났다. 상호작용 항을 추가로 투입한 모형3의 경우 회귀식 은 여전히 유의하였으나 본 모형에서는 운영형태에 따른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보수체계개선, 운영형태에 따라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시설종사자들이 경제문제로 이직을 결정하지 않도록 적절한 보수가 보장 될 수 있는 정책적 조정이 요구된다. 둘째, 사회복지시설의 근속기간의 준수,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에서 사회복지사업법 에서 규정함에도 불구하고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은 시설장이나 이사장의 결정 의로 종사자들이 임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공공부문은 행정 절차의 엄격한 준수로 임용당사자의 자부심과 근로의욕, 본인의 사의에 의하지 않는 한 정년의 보장 등 많은 자존감을 갖을 것이라 본다. 셋째, 조직의 영속성, 사회복지시설 활동은 공공성을 가지므로 그 목적을 확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 그 조직기구도 안정되지 않으면 안 되며, 전문사회사업가가 자기 자신에게 주어진 직무의 범위를 잘 이해하고 그 직무에 관해서 책임을 갖도록 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 by understanding operation type of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and finding ways to improve benefits for social welfare workers. To achieve the purpose,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justice due to general matters and work operation type of workers was empirically analyzed, and measures to improve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workers are suggested in order to find development directions of Korean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454 workers in public or private elderly care facilities located in Jeollabuk-do. After getting prior consent, questionnaires were sent by mail or handed over in person.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initially analyzed using SPSS Win. Ver 18.0 to find out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correlation of measured variables. After executing simple d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 T-test, One-way ANOVA and F-test, matters that are identified to have meaningful difference were examined later. To understand influence of oragnizationall justice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 dependent variable, and moderating effect of operation type in the 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Following are the results. Difference of Research Variables by Operation Type By operation type of elderly care facilities, variables related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 environment (gender, age, marital status, religion, academic background, employment type, handling job, working hours, payment for overtime work, annual wage and wage type) of workers were considered. Gender showed no difference due to operation type, but age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by operation type. Average age of workers in private welfare facilities were older compared to public welfare facilities. This is the result of independent T-test to measure difference of job factors,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operation type. The result showed all criteria showed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 In details, for job factors, work showed that public part is approximately 0.70 point higher than private part, change of post or occupation showed that private part is approximately 0.85 point higher than public part, and boss showed private part is approximately 0.48 point higher than public part. Procedural justice showed public part is approximately 0.76 point higher than private part, and distributive justice showed private part is approximately 0.97 point higher.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public part is approximately 0.76 point higher than public part. Correlation of Research Variables Operation type had moderate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cedur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had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ith distributive justice and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Distributive justice had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Effects of Operation Type in Rela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odel 1 with procedural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showed meaningful result. The relation with procedural justice was meaningfully positive, but distributive justi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cedural justice had bigger influence than distributive justice. Operation type was additionally input to model 2. In this case, regression equation was still meaningful, and input operation type was also meaningful. Interaction was additionally input to model 3. In this case, regression equation was still meaningful, but operation type did not have moderating effect in this model. Based on above described result, following are suggested. First, to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improved payment system and operation type of public and private parts, related policies needs to be modified to secure proper amount of payment so that social welfare workers do not change their occupations due to economic hardships. Second, the period of continuous service provided in Social Welfare Service Act must be complied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However, in private facilities, it is common that workers are employed at discretion of the head of the facilities or the chairman of the foundation. On the contrary, in public facilities, administrative procedures are strictly complied, and therefore workers are more likely to have pride, motivation for work and strong self-esteem because the retirement age is promised unless they quit. Third, the organization's permanence must be secured. Because service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have publicity. To expand and develop the purpose, related organizations must be stable. Also, professional social welfare workers need to understand and be responsible for scope of their work.

      • 兒童用家具의 디자인方向 摸索에 관한 硏究 : 놀이·學習兼用家具를 中心으로

        이상범 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아동기는 일생을 통하여 그 어느 시기보다도 중요한 시기로 어떠한 환경을 제공하였느냐가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이 시기에 형성된 성격은 일생동안 거의 변화되지 않고 고정됨으로써 성인의 행동성향이 이미 아동기에 결정된다. 아동들에게 있어서 놀이는 자기 선택이고 자발적이며 자유로운 재미있는 활동을 말하며, 아동들은 놀이를 통하여 학습하고 성인의 삶을 배우며 신체를 성장시키고 인지능력을 키우게 됨으로 놀이를 통한 학습효과의 극대화와 다양한 활동이 발현될 수 있는 공간계획, 상상력, 창의력을 향상시키는 디자인이 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용 가구의 이용실태, 아동용 가구의 조건, 아동용 가구의 만족도, 놀이․학습겸용 아동용 가구의 디자인 4가지로 구분하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이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아동용 가구의 사용실태 • 아동용가구의 보유실태 및 즐겨 사용하는 가구는, 책상(100%), 의자(97%), 책장(85.8%), 책꽂이(65.6%)를 많이 보유하고 있었고, 놀이기구는 소파(35.8%), 목마(21.1%), 그네(15.6%), 미끄럼틀(15.1%), 안락의자(11.5%)를 보유하고 있었다. • 아동용가구 구입시 자녀+부모와 상의하여 브랜드, 가격 위주로 가구를 구입하며 교육을 전담하고 있는 엄마의 의지로 가구가 선택되는 경우가 많았다. •형태는 완전조립, 재질은 목재와 플라스틱(합성수지) 많았다. 색상은 흰색계열과 나무색계열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공간은 놀이공간이 공간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남녀․대상별로도 놀이공간이 역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 놀이․학습용 아동용가구의 유용성은 “보통이다”라는 인식부족에 따른 약간 부정적으로 인지하고 있다. 2. 아동용 가구의 조건 • 아동용가구 디자인시 가장 고려해야 할 사항은 기능적조건과 미적조건을 우선하여 상상력이 풍부한 아동용가구는 인체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활동, 휴식, 작업등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체력, 동작, 영역 등 특징을 고려한 디자인이 필요하다. • 아동용가구의 기능적 조건은 다용도성과 적합성을 우선하여 다른 가구와 어울릴 수 있도록 위치, 방향, 접촉면에서 상호작용과 디자인의 평가 기능에서 안전, 건강기능, 쾌적함은 아동용가구가 필요하다. •미적 조건은 심미성, 조화성과 간결성을 우선하여 디자인하고 교육적 조건은 정서적 발달과 신체적 발달을 우선하여 아동의 지적 선택안과 생활의 패턴변화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놀이․학습겸용 가구디자인이 필요하며, •제작조건은 이동성과 저렴성을 우선하고 외부의 강한 충격에 의하여 부자재, 유닛 등의 부품에 파손․분실했을 경우 쉽게 교환할 수 있는 아동용 가구제작이 필요하다. 3. 아동용 가구 만족도 • 아동용가구의 디자인, 기능성, 조립성, 안전성, 색상 등의 만족도는 “보통이다”라고 답한 경우가 대부분으로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4. 놀이․학습 겸용 아동용 가구디자인 • 놀이․학습겸용 아동가구디자인 적용시 최우선 고려해야 할 사항은, 창의성과 실용성을 우선하여 아동 지향적인 디자인은 즉 창의성, 실용성, 장식성, 발달수준, 흥미, 욕구에 맞게 디자인되어야 한다. • 놀이․학습겸용 아동용가구 기능성 적용시 창의성과 다목적성을 우선하여 아동들의 창의력과 상상력을 발달시켜주며 인지와 정서발달과 아동의 성향에 맞고 안정적인 가구디자인 필요하다. •디자인은 창의성과 다목적성을 우선하여 아동의 지적 선택안과 생활의 패턴변화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창의성을 겸비 아동용 가구의 디자인이 필요하다. •안전성은 흥미유발과 창의성을 우선하여 신체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충분히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강도와 모서리 부위의 날카로움을 제거하여 모든 활동으로부터 안전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디자인이 필요하다. •주재료는 적용시 실용성과 장식성을 우선하여 재질을 혁신적으로 바꾸는 시도와 더불어 실용성을 겸비한 색상과 구조의 문제를 해결하고 목재, 합성수지 등 기존재질이 갖는 결함을 보완하여 디자인이 필요하다. •색상은 장식성과 흥미유발을 우선하여 너무 단순한 것은 쉽게 질리므로 밝고 화사한 파스텔 톤으로 생활환경과 공 에 맞는 색상의 선택과 장식성을 고려한 디자인이 필요하다. 아동들의 보다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위해선 상당한 연구가 필요하며, 아동들의 생활, 아동들의 일, 아동들의 공간에서 작은 물건을 가지고 하는 모든 활동이 연구되어져야 한다. 연구결과를 디자인하는 것이야말로 아동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아동가구 디자이너들은 특히 아동들의 창의성, 정서적 발달을 충분히 고려한 디자인이 필요하다. Childhood is important factor that decides entire life. Characteristic which is made in childhood lasts forever and adultood is already decided by childhood. For kids playing is self decision and voluntarily so called interesting activity, Through playing children learns adult's life and develops body and perception. So, it should be desinged which maximizes activities and develops space planning, imagination, creation This research got result through classifying 4 ways which is Children furniture use reality, Children furniture condition, Children furniture satisfied, playable learnable. as follows I got conclusion. 1. Reality of Children furniture •The favorite furniture of children furniture were Table(100%), Chair(97%), Table case(85.8%), Book shelf(65.6%) and amusements were Couch(35.8%) Hobbyhorse(21.1%), Swing(15.6%), Slide(15.1%), Armchair (11.5%) •Before purchasing children furniture children+parents discuss brand, price in order and most of em mother who manages education were chosen by her word. Most used form was fully assembled, material were wood, plastic, color were white affiliation and wood affiliation in order. •People are recognizing that Playing room is most important in children's room and also it's important for boys and girls. Children furniture for playing and learning usability were normal It was kind of negative result. 2. Conditions of children furniture •The most considerable conditions while designing children furniture it should consider function-able conditions and esthetic conditions above it all children furniture should built which can support human body and appropriate for activity, rest, work also anatomy design that contains stamina, moves, space. •Functional conditions when designing children furnitures need multi purpose and suitable in order, which can fit other furnitures location, direction, contact-able they need children furniture that interact safety, health function and pleasant. •Educational conditions when designing children furnitures must prefer emotional development and physical development, so they should design children furniture which can change children life pattern and spend them efficiently, Esthetic conditions while designing children furniture should prefer aesthetic, harmony and simplicity. •Manufacturing conditions while designing children furnitures should prefer mobility cheap-ability in order, unit, material destruction or lose caused by external damages, they need to manufacture furniture which can easily replaced. 3. Satisfaction of children furniture •Majority of people responded "common" in children furnitures design, functionable, assemble, safety, color satisfaction. most of people are estimating negative about them 4. Design of Playable learnable children furniture •Considering adapting playable learnable children furniture should prefer creativity and practicality in order which should be designed aimed for kids in other words creativity, practicality, decorative, development, interest, desire which fits children 's type. •Playable learnable children furniture should preference function-able, creativity, multi purpose in order, we need furniture design which can develop children's creativity and imagination and fits children's type. •Design should prefer creativity and multi purposed furniture is essential which can change life pattern and use them efficiently which contains creativity. •Safety should prefer interest induction and imaginative furniture can sustain body weight and get rid of sharp corners which could be safe from every activity and bring interest. •Material should prefer practicality and decorative in order, we need design can attempt change materials has practicality and solves and prevent detections of wood and plastic. •Color should prefer decorative and interest induction in order and make design which considered color and choice decorations and didn't use simple colors like bright and pastel tone colors They need to research a lot to solve basic problems. It should be researched every kid's activities like kid's life kid's work and kid's space Designing result of research can satisfy kids desire. Children furniture designer should specially design furniture which helps development creation and emotion.

      • 태권도 수련에 따른 대인성향과 자기조절변화 및 학교생활만족의 관계 연구

        고길수 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9615

        최근 우리나라의 가족 구성 체제는 대가족에서 핵가족, 맞벌이 부부, 편부모, 조손가정 등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아울러 출산율의 저조로 자녀에 대한 지나친 기대와 과잉보호로 인하여 아이들의 스트레스 수준은 높아져만 가고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정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결국 대인성향은 물론 자기조절능력과 학교생활만족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연구목적으로 하여 이 연구는 유소년들의 태권도 수련에 따른 대인성향과 자기조절변화 및 학교생활만족에 관한 연구발전에 도움이 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S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초등학생 80명을 대상으로 40명은 태권도 초급자를 대상으로 수련프로그램에 참여 시키는 실험집단으로 하고, 다른 40명은 수련프로그램에 참여 시키지 않은 통제집단으로 구분하고, 분산분석(ANOVA)으로 전산처리하여 자료 분석은 이원변량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으로 조사하였다. 이러한 과정과 절차를 거쳐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대인성향과 자기조절 및 학교생활만족은 부분적으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태권도 수련의 영향을 받아 유의한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태권도 수련정도와 대인성향은 3차에 걸친 태권도 수련 결과 1차와 2차, 2차와 3차 수련 결과의 경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95%신뢰수준 이상에서 유의하게 태권도 수련의 영향을 받아 대인성향에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태권도 수련정도와 자기조절변화는 3차에 걸친 태권도 수련 결과 1차와 2차는 차이가 없으나, 3차 수련 결과의 경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95%신뢰수준 이상에서 유의하게 태권도 수련의 영향을 받아 자기조절변화에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태권도 수련정도와 학교생활만족은 3차에 걸친 태권도 수련 결과 1차와 2차는 차이가 없으나, 3차 수련 결과의 경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95%신뢰수준 이상에서 유의하게 태권도 수련의 영향을 받아 학교생활만족에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수련 참여자의 대인성향이 자기조절 척도에 미치는 영향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회귀식은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식은 47.3%의 설명력을 가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태권도 수련 참여자의 대인성향이 학교생활만족 척도에 미치는 영향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회귀식은 99.9%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식은 49.1%의 설명력을 가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태권도 수련참여자의 자기조절 척도가 학교생활만족 척도에 미치는 영향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회귀식은 99.9%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식은 44.1%의 설명력을 가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베타계수를 살펴보면 자기조절 척도는(β=0.664, p<.001)로 99.9%신뢰수준에서 종속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태권도 수련에 따른 대인성향과 자기조절변화 및 학교생활만족은 인과적 관계가 있을 것이다 라는 연구가설 분석을 위하여 3가지 변인들 사이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3변인 사이에는 50%이상의 높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 연구가설이 채택되었다. 다중 회귀분석 결과 대인성향과 자기조절변화는 학교생활만족에 유의한 인과관계가 나타나 연구가설이 채택되었다. 세부적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자기조절 척도와 학교생활만족 척도 사이에는(r=.685)로 상관크기가 나타나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대인성향 사이에는(r=.730)로 상관크기가 나타나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학교생활만족 척도와 대인성향 사이에는(r=.692)로 상관크기가 나타나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자기조절 척도, 대인성향이 학교생활만족 척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회귀식은 99.9%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별로 보면 자기조절 척도(β=.307, p<.001), 대인성향(β=.469, p<.001) 95% 신뢰수준 이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이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간의 인과적 관계가 존재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Recently, our family configuration system is changing drastically from a large family to nuclear families, working couples, single parents, grandparents- grandchildren etc. Additionally, the children's stress levels are increasing due to the overprotection and excessive expectations for the children resulted from the poor birthrate. The goal of this study resides in helping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udy on the personal inclination, self-regulating chang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the youth who are in training Taekwondo, regarding these stress end up having a negative impact on the emotions as well as the interpersonal tendencies, the self-regulating abil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o achieve these objectives, 80students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40students of them for the experimental group as beginners in a training program and the other 40patients as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the residency program. The data were investigated by computational Analysis of Variance and analysed with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rough these processes and procedures, the following results are derived. First,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in interpersonal tendencies and self-regulating, and school satisfaction, the experimental group under taekwondo train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taekwondo training and interpersonal disposition, among the three rounds of taekwondo training, after primary and secondary, secondary and tertiary training,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howed interpersonal differernces in the propensity under the impact of taekwondo training with the 95%confidence level or higher. In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taekwondo training and self-regulating changes, among the three rounds of taekwondo train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primary and secondary but after secondary and tertiary training,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ppeared the 95%confidence level or higher in the self-adjusting changes under the taekwondo training. In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taekwondo training and school satisfaction, among the three rounds of taekwondo train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primary and secondary but after secondary and tertiary training,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ppeared the 95%confidence level or higher in the school satisfaction under the taekwondo training. Second,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The impact on the self-adjusting scale affected by interpersonal tendencies of taekwondo training participants", result of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of confidence in the regression equation. For testing the hypothesis about the impact of interpersonal propensity of the taekwondo training participants o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scale, the result of sim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a regression equation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99.9%confidence level. The regression equation can be interpreted to have the explanatory power of 49.1%. To test the hypothesis "The impact of the self-adjusting scale of the taekwondo training participants on the school satisfaction", the result of sim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a regression equation tha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99.9%confidence level. The regression equation can be interpreted to have the explanatory power of 44.1%. Looking at the beta coefficient, the self-adjusting scale(β=0.664, p<.001)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dependent variables at the 99.9%confidence level. Third, for the analysis of the hypothesis that there would be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inclination, self-regulating changes and school satisfaction following taekwondo training, the result of a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three kinds of variables represented the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more than 50% among the three variables. So the research hypothesis was adopted.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dispositions and the self-regulating changes in school life satisfaction. So the research hypothesis was adopted. The detailed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self-adjusting scal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s the scale correlation size(r=.685) appears. Interpersonal tendencies can be interpreted to have a high correlation as the size(r=.730) correlation shows. Between school life satisfaction scale, and interpersonal tendencies there is a correlation with the size(r=.692) that can be interpreted as correlated highly. In order to analyze the impact of interpersonal tendencies and the self-adjusting scale on school life satisfaction scale, conducte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gression equa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99.9%confidence level of th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self-adjusting scale(β=.307, p<.001), interpersonal tendencies(β=.469, p<.001), hav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fidence level with more than 95%. These results represent that there may be the causal relationships in a set of variables that exist in this study.

      • 중년여성 고혈압 환자들의 수중운동에 따른 신체조성, 혈중지질, 혈압이 염증표지 인자에 미치는 영향

        권오성 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9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 weeks of aquarobic training according to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TC, TG, LDL-C, and HDL-C), blood pressure on inflammatory markers in middle-aged hypertensive women.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training group (n=10) or control (n=10) group. The auarobic group exercised for 1 hour (10 minutes warm-up, 40 minutes aquarobic exercise, and 10 minutes cool-down), 2 days per week during the 12 week training program. The control group was asked to maintain their normal daily activity levels. Results: 1. Body composition Significant decreases in body weight and % body fat, and increases in muscle mass for aquarobic training group. 2. Blood lipid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TG and LDL-C for the training group following 12-weeks of training. TC decreased for the control group, and the aquarobic training group showed a greater increase in HDL-C compared to the training group; however, these variables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3. Blood Pressure A significant decrease was observed in both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for aquarobic training group. 4. Inflammatory Marker The CPR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training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s in TNF-α, but TNF-α was reduced in the training group. In conclusion, the 12 week aquarobic train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for producing positive benefits to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blood pressure, and inflammatory markers in these middle-aged hypertensive women. 본 연구는 중년 여성 고혈압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중운동을 실시하여 전․후 신체조성(체중, 근육량, 체지방율), 혈중지질(TC. TG, LDL-C, HDL-C), 혈압(수축기, 이완기), 염증표지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여성 고혈압환자 20명을 수중운동 집단 10명과 통제군 10명으로 분류하여 운동집단은 준비운동 10분, 본 운동 40분, 정리운동 10분으로 운동 빈도는 주 3회, 하루 60분 12주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운동 처치가 없으며 일상생활의 변화가 없도록 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신체조성의 변화 체중과 체지방율은 수중운동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하여 참여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근육량은 운동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 2. 혈중지질의 변화 TC는 운동후 통제집단에 비해 다소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지 않았으며, TG와 LDL-C는 실험집단에서 운동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HDL-C는 운동전후 실험집단에서 다소 증가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3. 혈압의 변화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에서 모두 실험집단에서 운동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염증표지 인자의 변화 CRP는 실험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TNF-α는 운동전후에 실험집단에서 다소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볼 때 12주간의 수중운동은 여성 고혈압환자들의 신체조성(체중, 근육량, 체지방율), 혈중지질(TC, TG, LDL-C, HDL-C), 혈압(수축기, 이완기), 염증표지인자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TC, HDL-C, TNF-α에서는 다소 영향을 미쳤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지 않아 운동 강도와 기간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 남·녀 축구선수들의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재활운동프로그램이 슬관절 등속성 근기능 및 기능적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안도열 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9615

        본 연구의 목적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받은 남·여 축구선수 18명을 대상으로 24주간의 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이 참여시기 및 남·여 성별 간 슬관절의 등속성 근기능 및 기능적 운동수행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구명하는데 있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실시한 축구선수 22명을 대상으로 각 변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술직후부터 주 5회 재활운동을 24주간 실시하였으며, 대상자로부터 등속성 근기능 및 기능적 운동수행능력의 변인을 수술 전, 수술 후 12주, 수술 후 24주 총 3회에 걸쳐 측정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재활 운동 기간에 따라 등속성 대퇴근력, 양측 대퇴 근력 결손율, 대퇴 근파워, 한발멀리뛰기, 동시수축검사, 카리오카 검사, 3종 기능적 수행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남녀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은, 환측 신전 및 건측 굴곡의 대퇴근력, 한발멀리뛰기, 동시수축검사, 왕복달리기, 3종 기능적 수행능력 이었다. 셋째, 재활 운동 기간과 남녀 그룹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한 변인은, 기능적 운동수행능력 검사 중 동시수축검사 및 3종 기능적 수행능력 검사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24주간의 재활운동 프로그램은 전방십자인대 손상 선수들의 등속성 근기능과 기능적 수행능력 향상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나, 동일한 형태의 재활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음에도 남·여 간에 서로 다른 결과가 확인 되었으므로 성차를 고려한 훈련프로그램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20 male and female soccer players who had a ACLR(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caused by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24-week rehabilitation exercise on isokinetic muscle function of Knee and functional exercise performance according to genders. 18 soccer players after ACLR were made to perform 24-week rehabilitation exercise five times a week right after the surger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determinant in each group. During this exercise, the changes of determinants such as isokinetic muscle function, functional exercise performance change were measured after before surgery, after 12 weeks(the frist follow-up) and 24 weeks(the second follow-up). The results were as below. First, Isokinetic quadriceps strength on the involved leg, bilateral quadriceps deficit ratio, quadriceps power one-leg hop test, co-contraction semicircular test, carioca test, and TFPT after rehabilitative exercise program, both male and female soccer player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occasions. Second, quadriceps strength on involved extension & uninvolved flexion, one-leg hop test, co-contraction semicircular test, shuttle run test, and TFP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s. Third, co-contraction semicircular test and TFPT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As a result, 24-week rehabilitative exercise program in this study can help players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do rehabilitative exercise. Also, in the change of isokinetic muscle function and functional exercise performance, athough the common rehabilitative exercise program was adapted to both male and female subjects, the result according to genders was different, meaning that the development of respective rehabilitative exercise programs after ACLR according to genders is required.

      • 시지각훈련과 청지각훈련이 발달장애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최수희 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시지각훈련과 청지각훈련이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4명의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시지각훈련군 9명, 청지각훈련군 8명, 대조군 7명으로 무작위배치하여 6주간 훈련을 실시하였다. 훈련 전, 훈련 3주 후, 훈련 6주 후에 주의지수의 변화, 심박수 변화, 자율신경계의 변화, 연속수행검사에서 정반응수, 누락 오류수, 오경보 오류수, 반응시간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지각연속수행검사 시 Fp1, Fp2에서는 시지각훈련군과 대조군 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5), O1, O2에서는 시지각훈련군과 대조군, 청지각훈련군과 대조군 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2. 청지각연속수행검사 시 Fp1, Fp2에서는 시지각훈련군과 대조군, 청지각훈련군과 대조군 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5), O1, O2에서는 청지각훈련군과 대조군 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3. 시지각연속수행검사와 청지각연속수행검사 시 심박수의 변화는 집단과 기간 사이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청지각연속수행검사 시 교감신경계에서는 집단과 기간 사이의 교호작용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시지각연속수행검사와 청지각연속수행검사 시 정반응수와 누락 오류수 변화는 시지각훈련군과 청지각훈련군, 시지각훈련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5), 청지각연속수행검사 시 반응시간의 변화는 시지각훈련군과 대조군, 청지각훈련군과 대조군 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결과적으로 시지각연속수행검사와 청지각연속수행검사 시 시지각훈련군과 청지각훈련군에서 모두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 집단 중 시지각훈련군이 청지각훈련군보다 주의집중력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발달장애 아동의 주의집중력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visual perception training(VPT) and sound-based intervention(SBI) on attention in developmental disability were evaluated. Participants(n=24) were into three groups: VPT(n=9), SBI(n=8) and control(n=7). All groups were received occupational therapy for 30 minutes per week during 6 weeks. In addition, VPT and SBI groups practiced training 30 minutes per week during 6 weeks. VPT and SBI were aiming for improvement on attention index, heart rate variability(HRV), sympathetic nerve, continuous performance test(CPT).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 on attention index of Fp1, Fp2 in VPT vs control groups, O1, O2 in VPT vs control groups, SBI vs control groups when visual continuous performance test(VCPT) were performed(p<0.05).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 on attention index of Fp1, Fp2 in VPT vs control, SBI vs control groups, O1, O2 in SBI vs control groups when auditory continuous performance test(ACPT) were performed(p<0.05).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in each group in accordance with the experiment time on HRV when performed of VCPT and ACPT(p<0.05). Also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in each group in accordance with the experiment time on sympathetic nerve when performed of ACPT(p<0.05).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 on hits, omission error in VPT vs SBI groups, SBI vs control groups when VCPT and ACPT were performed(p<0.05).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 on response time in VPT vs control groups, SBI vs control groups when ACPT were performed(p<0.05).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VPT and SBI improve relative on attention index, HRV, sympathetic nerve, CPT, and show that the VPT is more effective. Therefore, this result suggests that VPT and SBI are improve on attention in developmental disability.

      • 동작관찰 신체훈련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뇌파 진동과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희탁 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들의 비우세측 팔 뻗기 동작 시 뇌파의 진동 변화, 뇌파와 근전도의 상관관계 그리고 상지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팔 움직임에 관련된 동작을 관찰 후 팔 과제훈련을 병행한 동작관찰 신체훈련군 15명과 팔 움직임에 관련된 과제훈련만 적용한 신체훈련군 15명이었다. 동작관찰 신체훈련군은 3분 동안 동영상을 관찰한 후 관련 동작을 10분 신체 훈련을 적용하여 총 3세트 씩 훈련하였다. 일주일에 3회, 30분씩, 6주 동안 총 18회 훈련을 받았다. 신체훈련군은 주 3회, 30분씩, 6주 동안 총 18회 훈련을 받았다. 뇌파장비는 뇌파의 사건-관련 비동기화(ERD)와 사건-관련 동기화(ERS)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고자 사용하였다. 상관관계는 뇌파와 표면근전도를 사용하였다. 상지의 기능측정은 상자와 나무토막검사, 소아용 운동활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두 집단의 훈련 전과 후에 뇌파의 ERS와 ERD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된 이요인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정은 Bonferroni 검정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 간, 집단 내의 훈련 전과 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 짝비교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뇌파와 상지근육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관계 검정을 하였고, BBT와 PMAL의 집단 간, 집단 내의 변화는 독립표본 t 검정, 짝비교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 α는 .05로 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파의 ERS는 신체훈련군보다 동작관찰 신체훈련군에서 훈련 후 상대파워값이 더 큰 증가를 보였다. 뇌파의 ERD는 신체훈련군보다 동작관찰 신체훈련군에서 훈련 후 상대파워값이 더 큰 억제를 보였다. 2. 뇌파의 ERS와 비우세측 팔근육의 상관관계는 신체훈련군보다 동작관찰 신체훈련군에서 훈련 전보다 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뇌파의 ERD와 비우세측 팔근육의 상관관계는 신체훈련군보다 동작관찰 신체훈련군에서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3. 비우세측 팔의 BBT 평가는 두 집단 모두 훈련 전보다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두 집단 간 훈련 전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훈련 후 동작관찰 신체훈련군에서 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MAL 평가는 AOU와 QOM 모두 동작관찰 신체훈련군에서 훈련 전보다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두 집단 간 훈련 전과 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에서 MAS 등급이 2∼3등급이고, MACS가 3단계 이하인 대상자들에게 재활중재방법으로 상지의 과제관련 신체훈련만 적용한 신체훈련군보다 상지의 과제 관련 동영상을 동작관찰한 후 관련 과제에 대해 신체훈련을 적용하는 동작관찰 신체훈련방법이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hanges in EEG oscillation, the correlations between EEG and EMG and upper-extremity motions whe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perform the reaching of their arm on the non-dominant side. The subjects were randonly allocated to either the action observation physical training (AOPT) group that performed task training after the observation of their arm action or the physical training (PT) group that performed the arm-related task training. The subjects of AOPT group was instructed to observe a video for 3 minutes, and then performed 3 sets of 10-min physical training session, 3 times per week for 6 weeks (total of 18 sessions). The physical training protocol of the PT group same with the AOPT group. An EEG equipment was used to examine ERD and ERS of EEG with lapse of time. The correlation was measured based on EEG and EMG. To measure function of upper limbs, box and block tests (BBT) and pediatric motor activity log (PMAL) were done based on a scale for children’s activity. To measure changes in ERS and ERD of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repeated measures two-way ANOVA were conducted, and Bonferroni was done for a post-hoc test. To examin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both between the groups and within each group,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matched pair t-test were conducted; Pearson test was done to examine a correlation between eeg and upper limb muscle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matched pair t-test were done to see changes in BBT and PMAL between the groups and within each group. The tests results were analyzed at a significance level (α) of .05. The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outcomes: 1. EEG, ERS showed larger increases of relative power values after training in the AOPT group than in the PT group. EEG, ERD showed larger suppression in relative power values after training in the AOPT group than in the PT group. 2. The AOPT group showed higher correlations between EEG, ERS and non-dominant side upper extremity muscles after training than the PT group. The AOPT group showed higher correlations between EEG, ERD and non-dominant side upper extremity muscles after training than the PT group. 3. The BBT evaluation of the non-dominant side upper extremity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aining than before the training in the AOPT group and the PT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efore the training and the value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AOPT group after the training. In PMAL evaluation both AOU and QOM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aining than before the training in the AOPT group. However, the two group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s a rehabilitation intervention method for spastic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who are capable of performs upper limb function independently, AOPT to have the children observe the upper limb task related video before applying PT on the related task was more effective than only applying upper limb task related PT.

      • 중년남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민정 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우울, 남성 갱년기, 가족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파악하여 중년남성의 우울프로그램을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행정구역상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만 40세 이상 64세 이하의 남성을 대상으로 180부로부터 자가 보고 질문지를 수집하였고, 불성실한 부를 제외한 153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해 통계처리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우울, 갱년기증상, 가족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는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우울의 차이는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 검증은 Duncan방법을 이용하였다. 중년남성의 우울 정도와 갱년기증상, 가족스트레스, 직무 스트레스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서는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중년남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우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 (F=3.726, p=.026), 가족의 월 평균소득 (F=32.560 p=.041), 근무년수(F=2.841 p=.040), 직업에 대한 만족도(F=7.342, p=.001), 운동(t=-2.477, p=.014), 피로(F=-4.267, p<.001), 노후에 대한 불안(F=13.59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남성의 갱년기 증상, 가족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갱년기 증상이 높을수록(r=.552, p<.001), 가족스트레스가 높을수록(r=.508, p<.001) 우울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우울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남성의 우울에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은 갱년기 증상(β=.970, p<.001), 가족스트레스(β=.145, p<.001), 가족의 월 소득(β=-.005, p=.012), 노후불안(β =.416, p=.028)순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수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은 우울의 약 42.3%를 설명하고 있었고(F=28.895, p<.001), 이 요인 중년 갱년기 증상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Purpose: This study purposed to identify depression of middle-aged men,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mong male climacterium, family stress, occu pation stress and depression and to supply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plan for middle-aged men’s healthcar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53 men aged between 40 and 64, living in a city. SPSS WIN 18.0 program was used. Data were analyzed using number, percentage, mean, grade point ave 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level of depression in de mographical charact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F= 3.726, p=.026), monthly income of a family (F=32.560 p=.041), years of work (F=2.841 p=.040), job satisfaction (F=7.342 p=.001), exercise (t=-2.477, p=.014), fatigue (F=-4.267, p<.001) and aging anxiety (F=13.593, p<.001). Influencing factors of middle-aged men's depression were the symptoms of climacterium (β=.970, p<.001), family stress (β=.145, p<.001), monthly income of a family (β=-.005, p=.012) and aging anxiety (β=.416, p=.028). These variables explaine d 42.3% of depression (F=28.895, p<.001). Climacterium among these variables had a great influencing factor. Conclusion: The result shows that depression of middle-aged men is significantly related with climacterium, family stress, monthly income of a family and aging anxiety. Thus, nursing intervention of depression should be develop for middle-aged men. Key words: Depression, Male climacterium, Family stress.

      • 다공성 식생호안 블록의 수리안정성 해석

        강종찬 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15

        우리나라의 하천은 현재까지 치수기능 증진에 치중하여 통수능력 향상을 위한 정비로 인해 하천의 직강하를 유발하여 호안기단부의 침식 및 세굴 발생을 초래하였고 획일적 하천복개로 인하여 하천생태계의 위험을 유도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하천의 치수성 및 환경성이 조화를 이룬 종합적인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생태하천 복원사업이 널리 적용되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자연친화적인 호안공법들은 아직까지 구조적, 수리학적인 안정성 검토가 제대로 정립되지 않고 충분한 기술적인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친화적인 다공성 식생호안 블록의 수리학적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전라북도 정읍시에 위치한 갈수천에 대상구간을 선정하여 수치해석 및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1차원 수치해석모형인 HEC-RAS와 2차원 수치해석모형인 RMA-2 를 이용하여 1, 2차원 수치해석을 실시하였고, Froude 상사법칙을 적용하여 식생 유, 무에 따른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산정된 결과를 대상구간의 원형크기로 환산하여 수치해석 결과와 동일한 조건하에 비교·검토함으로써 실험결과의 타당성을 도출하였으며 원형으로 환산된 식생 유,무에 따른 수리모형실험의 소류력 결과를 호안의 허용소류력과 비교함으로써 다공성 식생호안 블록의 수리학적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 결과 블록의 현장 적용시 충분한 수리학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이러한 자연친화적인 호안공법에 대한 수리학적 안정성 해석은 치수적 안정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환경성을 고려한 생태하천 복원사업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Rivers in Korea have been focused on improving their flood control function up to now, so they have been maintained for enhancing their capacity, which has caused the steepest descent in the rivers and also the erosion and scour of their revetment stylobate. And the uniform stream coverage has endangered the stream ecosystem. Thereupon, recently, nature-friendly eco-river restoration has been widely applied in order to satisfy the general function that can realize a river’s flood control and environmental harmonized. However, those nature-friendly revetment techniques have not been able to establish structural, hydraulic stability evaluation and have not performed technical validation sufficiently yet, so it is needed to conduct multilateral research on that afterwards. In order to examine the nature-friendly porosity vegetated levee revetment block’s hydraulic stability, this paper selected as its subjects the sections of Galsucheon located in Jeongeup-si, Jeonrabuk-do and conducted numerical analysis and also hydraulic model experiments. And the study conducted 1, 2-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by using HEC-RAS, the 1-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and RMA-2, the 2-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And by applying Froude’s similarity law, this study converted the result calculated through the hydraulic model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vegetation into the size of the prototypes in the subject sections and examined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comparatively under the same conditions to draw feasibility of the experimental result. And the paper compared the tractive force result of the hydraulic model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vegetation converted into prototypes with the revetment’s allowable tractive force to examine the porosity vegetated levee revetment block’s hydraulic stability. The study result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hydraulic stability sufficiently when the block is applied in the field. This hydraulic stability analysis on those nature-friendly revetment techniques will allow flood control stabilization afterwards, so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eco-river restoration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 댐건설 사업의 수문학적 갈등조정지원시스템 개발

        정하옥 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9615

        사회환경과 수자원환경의 변화에 따라 과거와는 달리 댐 건설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환경단체와 이해당사자들의 반대에 의해 사업이 백지화되거나 지연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갈등 원인은 다양한 원인들이 있겠지만 기술(공학)적인 원인 중 이수 측면에서는 인구증가와 공장부지면적 및 농지면적의 변화 등을 고려한 수요예측 결과이다. 또한 치수 측면에서는 댐 규모에 의한 수위저감효과와 그에 따른 침수면적 및 피해액의 감소 등에 대해 일관성 없는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갈등이 발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술한 기술(공학)적인 갈등 원인에 대해 적용하여 갈등 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상대적 이탈지수를 산정하여 갈등의 원인과 강도, 변화추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상지역의 댐 건설의 필요성을 제시하기 위해 하천 및 유역 치수안전도를 산정하였다. 이수 측면은 원단위법을 적용하여 생활, 공업, 농업용수의 수요량을 예측하여 물 부족 분석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치수 측면은 ArcGIS 기반에 HEC-RAS를 연계하여 수위저감효과와 침수면적 및 피해액이 산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모형의 적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한탄강댐 갈등사례가 있었던 임진강 유역에 시나리오별 시범적용하여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이에 따른 정확도 검토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네 가지 갈등 원인 중에서 기술(공학)적인 측면도 댐 건설 갈등에 상당히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용수수요 예측은 행정구역별로 기존에 제시된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또한 수위저감효과, 하천 및 유역 치수안전도, 침수면적 및 피해액 등의 결과를 일관성 있게 제시함으로써 모형의 적용성을 판단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갈등조정지원시스템은 정보공개의 정확성, 분석과정의 일관성, 결과의 신뢰성 등을 확보할 수 있게 함으로써 댐 건설에 대한 갈등 조정 및 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long with the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 and water resource environment, unlike in the past, when dam construction projects are promoted, some of them become flawed or postponed for the objections from environmental organizations or parties interested. The reasons for those conflicts may vary, but among the technological(engineering) reasons, from the aspects of conservation, it can be the result of demand forecasting in consideration of population growth or the changes of factory site area or farmland area. Also, in the aspects of flood control, they present inconsistent result about the effect of water level reduction according to the scale of a dam or the reduction of flood damage or flooded area by it, and that causes the conflicts. Appling the causes of the technological(engineering) conflicts mentioned earlier, this article intends to develop a model that can help conflict mediation. First of all, it calculates the relative deviation index in order to figure out the cause, intensity, and the progress of the conflict.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dam construction in the proper region, this study measured the river and basin flood mitigation safety. And from the aspects of conservation, this paper applies unit requirement to forecast residential, industrial, and agricultural water demand so that it can be used for the water shortage analysis. Also, from the aspects of flood control, this paper connects the ArcGIS basis with HEC-RAS in order to calculate the effect of water level reduction and also the flooded area and flood damage as well.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model, this study conducted pilot applications for each scenario in the basin of Imjin River which happened to have the case of Hantan River dam conflict to suggest the analysis result and then performed accuracy examination according to it. As a result, among the four reasons for the conflict, the technological (engineering) aspect also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dam construction conflict. And the water demand forecasting well corresponds to the result suggested previously for each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Also, by presenting consistent results about the effect of water level reduction, the river or basin flood mitigation safety, and the flooded area or flood damage, this study was able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The conflict mediation model developed here in this study enables us to secure the accuracy of information disclosure, consistency of the analysis process, or reliability of the result; therefor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ediation or resolution of conflicts regarding dam co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