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오순절주의자들의 방언연구 : 조직신학의 주요쟁점과 관련하여

        이창승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50671

        The thesis of this work is that theological meaning of speaking in tongues can be expanded through the main themes of systematic theology. Modern Pentecostal movement was born when the baptism of Holy Spirit was combined with speaking in tongues. Naturally the movement has been understood as "tongue movement" by both advocators and critics. Therefore the study of speaking in tongues is utterly meaningful to Pentecostal movement and it's theology. But, unfortunately, systematic theological approach to speaking in tongues was very rare. This work tried to improve such a theological situation by interpreting speaking in tongues through the themes: theology proper, creationology, soteriology, ecclesiology, and eschat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Pentecostalism. Chapter 2 interprets speaking in tongues through theology proper. This work is to scrutinize the essence of speaking in tongues. For classical Pentecostalists speaking in tongues can't be separated from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The essence of Spirit Baptism is immersion into the Holy Spirit. The ignorance of speaker's reason of the content of speaking in tongues corresponds well with the essence. Speaking in tongues is generated from the intimate communion among the three persons of Trinity. So, speaking in tongues is man's participation in the divine communion. The origin of Speaking in tongues is Triune God. Speaking in tongues, and the interpretation of it is a way of revelation of the Holy Spirit. Chapter 3 deals with speaking in tongues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onology. Man's possibility of speaking in tongues comes from the fact that he was created as the image of God internally, externally(physically), and relationally. Speaking in tongues can be uttered by the three elements of man. It is a speaking of man's spirit through his body(vocal organ) with the control of his mind. Speaking in tongues isn't ex-rational, but super-rational, and the expression not of man's feeling, but of divine emotion. Man's original sin was man's disobedience against God' word, and the sin destroyed the linguistic relation between God and man. The Variety of languages of men at the Bable tower was God's word resulted in the opportunity of evil spirits' utterance through man's vocal organ. The separation between the prayer of spirit and that of mind discloses man's sinful existential situation. Chapter 4 construes speaking in tongues from the point of Soteriology. Speaking in tongues is the recovering experience of the Image of God, the communication, and the becoming one between God and man, and among men, destructed by sin. It is a sign of the universality, concreteness, and existential personality of New Covenant. Grace is indirectly connected, but gift directly with speaking in tongues. The different languages at eh Babel was God's judgement, but the speaking in tongues on the day of Pentecost was the sign of God' forgiveness. Speaking in tongues is a sign carrying conviction and faith of salvation. There is possibility of sanctified and being sanctified word in speaking in tongues. In one respect, speaking in tongues is the sigh of the Holy Spirit on man's sinful nature. And it is man's sigh too, so it may be repentance and a way of participation into deification. Positively, speaking in tongues is a duct through which God's love flows out. Speaking in tongues is the baptism of love: emerging in the love the Holy Spirit and coming out from the love. Chapter 5 scrutinizes the ecclesiological meaning of speaking in tongues. Chruch was born with speaking in tongues as a baby with crying. Speaking in tongues is the sign designating church as one community harmonized with pastor and laity. Two directions in speaking in tongues from God to man, and from man to God signify the two directions and relationship of church from the head Christ to the limbs and body, and from the body to the head. The first gift to church, speaking in tongues is a sign of the charismatic structure of church, and a part of the structure also. Speaking in tongues is a way through which church may become a witness community to the world. Speaking in tongues makes church recognize that mission is fundamentally of God, not of man. Chapter 6 investigates the deep eschatological meaning of speaking in tongues. Speaking in tongues started to utter in the last days and became the anticipating sign of the Lord's day. Speaking in tongues is not only the anticipating sign of the free communication in the Heaven, but also the present accomplishment of intimate conversation in the Heaven. Praise with speaking in tongues is a sign of eschatological praise toward God in the Heaven. Speaking in tongues is a eschatological medium to preach the everlasting Gospel, to transform the world by the Holy Spirit. Speaking n tongues may be uttered continuously till the second coming of Christ and further in the Heaven as a eternal communication.

      • 누가복음에 나타난 이적의 특징에 관한 고찰

        김미연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누가복음에 나타난 이적의 특징에 관한 고찰이다. 이 주제는 예수의 복음 선포에 있어 핵심이었던 하나님 나라와의 관계에서 조명하였다. 하나님 나라는 메시아 사상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누가복음의 이적들은 하나님나라의 현재적인 도래의 모습과 예수의 메시아 되심을 분명하게 나타낸다. 본 논문은 총5장으로 구성된다. 제1장에서 문제제기와 전체적인 연구 방향을 개괄적으로 요약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적에 관한 성서적 이해를 얻기 위하여, 신약에 나타난 이적에 관한 용어들과 이적 전승들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누가의 이적에 관한 관심을 몇 가지로 살펴보았는데 이러한 관심은 누가복음에 나타난 이적의 일반적인 형태를 보여준다. 제4장에서 본 논문의 중심과제인 누가복음 이적의 특징을 다루었다. 먼저 왜 이적이 하나님나라의 도래를 보여주는가를 알기 위해 하나님 나라에 대한 소망과 그 도래시기에 대해 논의 하였다. 이로써 이적이 하나님 나라의 현재적 실현이란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다. 하나님 나라와 이적과의 관계는 하나님 나라 건설을 위한 필연의 전투적인 싸움이 이적에 드러나 있다는 점이다. 누가의 두 번째 특징은 이적이 메시아의 정체성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스스로를 인자로써 지칭한 종말론적 메시아로서의 예수는 권세와 능력을 가지고 이적을 베풀고 있다. 이적을 행하는 인자의 권세와 능력은 예수가 메시아이심을 분명하게 나타낸다. 이 능력이 제자들에게 위임되어 동일한 이적을 베풀고 있는 곳은 공관복음 중 누가복음 밖에 없다. 제 5장은 본 논문의 전체적인 결론이다.

      • 요한복음의 ‘파라클레토스’에 대한 약속 : 14장〜16장을 중심으로

        박용문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논문은 요한복음 14장부터 16장에 나타난 “파라클레토스”에 관 한 연구이다. 특히 파라클레토스가 사용되고 있는 본문은 예수의 고 별설교라는 특수한 문맥에 위치해 있다. 요한의 성령 이해는 예수의 메시아로서의 임무와 은사에 더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 근거로 서 요한은 성령을 비둘기, 생수, 그리고 참 떡과 음료의 이미지를 사 용하여 성령을 이해하고 있다. 요한은 파라클레토스를 ‘변호자’의 의미로 이해하고 있으며, 파라클 레토스의 역할을 세 가지로 강조하고 있다. 첫째로 또 다른 보혜사로 강조하고 있다. 그것은 예수 자신이 보혜사로서 또 다른 보혜사이신 파라클레토스를 보내시어서, 예수는 하늘 법정에서 보혜사로서 자신 의 백성을 위해 변호하시는 것으로서, 파라클레토스를 보혜사이신 자 신과 동등시하였다. 둘째로 가르치고 생각나게 하는 역할이다. 이것은 예수의 가르침이 모자라거나 결함이 있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제자 들은 예수의 가르침에도 불구하고 예수에 대해 몰이해 하고 있었다. 바로 파라클레토스의 역할은 제자들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구속의 사 건의 의미를 깨닫게 하고 예수를 증언하는 사역이다. 셋째로 심판하 고 책망하는 역할이다. 파라클레토스는 예수에 대해 불의하다고 여기 는 자들에게, 폭로하고 가책을 느끼게 함으로써 심판하시는 역할을 하신다. 그러므로 파라클레토스는 예수와 함께 하나님의 왕국에서 그리스도 인을 위하여 변호자의 역할을 하신다.

      • 자녀양육시 부모의 스트레스 : 만3-5세 중심으로

        김춘희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에서는 자녀양육시 부모가 느끼는 스트레스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부모가 경험하는 자녀양육에 대한 스트레스의 원인과 유형 등을 알아보고 또한 어떠한 변인이 자녀양육시 스트레스에 큰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수원시내에 거주하는 만3세-5세 미취학 아동을 둔 부부(아버지, 어머니)들 중심으로 설문을 통해 조사되었다. 부모가 자녀양육시 받는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은 스트레스척도 1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 유형별 인식정도에 따라서는 자녀양육 책임감에 부모들이 느끼는 스트레스가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체적으로 부모들이 자녀를 양육할 때 스트레스를 덜 받고 있는 것으로 죄사되었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서 아버지보다 어머니의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또 자녀 수가 많은 부모일수록 적은 부모보다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특성 중 연령, 학력, 아버지의 직업, 어머니의 직업 유, 무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아버지는 자녀수가 많을 때 자녀의 학습부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는 자녀수가 많을 때 어머니의 일상생활 불편함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녀의 수가 많은 부모님들이 겪는 스트레스 유형에 따라 다양한 해결방안들을 제공해주어야 된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ress of parent to children nurture. This thesis has been developed in five chapters as follows. In the first chapter, I discussed limitation, problem and purpose of study as the introduction. In the second chapter, I described stress and children nurture, theory to growth development of 3∼5 years old, precedently study as the theory for study. In the third chapter, I discussed date management, reliable inspection, measurement instrument, study procedure and study target as the method. In the fourth chapter, I discussed influence on stress by parent's feature, reciprocity of stress' type, difference of stress on parent's feature and type of stress as stress analysis of parent by children nurture. In the conclusion, I discussed proposal and result.

      • 네일아트 감성이미지에 관한 연구

        김해주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39

        현대인들은 자신만의 개성을 매우 중요시 여긴다. 사람을 보고 예쁘다, 귀엽다, 사랑스럽다, 화려하다 등 사람의 이미지를 용어로 표현하고, 그 용어로 표현된 이미지는 내적인 요소보다는 외적인 요소에서 더 많이 연상할 것이다. 타고난 외형을 바꾸지는 못하지만 의상, 액세서리, 헤어 메이크업, 네일아트 등을 통해 자신의 개성에 맞게 이미지 연출이 가능 할 것 이고, 때와 장소에 따라 그 이미지를 바꾸고 싶어 한다. 본 연구는 자신의 개성을 중요시 여기는 현대인의 기호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네일아트가 장식적인 요소에만 치우치는 것에서 벗어나 ‘감성이미지’라는 관점에서 재조명한다는 의의를 지니며, 네일아트에서 감성을 자극하는 구성요소들을 도출하고 분류하여, 이를 체계적인 개념으로 인식시키려는 중요한 연구 의도를 갖는다. 연구방법은 12명의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대표적 감성이미지 용어를 고상한, 귀여운, 깨끗한(clear), 낭만적인(romantic), 발랄한, 세련된(chic), 우아한(elegance), 자연스러운(natural), 화려한 으로 추출하였고, 추출된 용어들을 색채, 손톱형태, 네일아트재료에 접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12.0K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결과를 통해 네일아트가 자신의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충분한 수단임을 알 수 있었으며, 네일아트의 감성이미지의 지표를 마련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감성이미지에 관한 연구가 턱없이 부족함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시대의 흐름에 따른 네일아트 감성이미지의 체계를 정립하고, 자신만의 이미지를 찾으려는 고객의 성향을 좀 더 잘 파악하여 디자인 개발과 제품개발에 전략적인 접근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 노인의 고독과 소외감의 갈등을 이겨내는 프로그램 개발

        서정아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39

        21세기 현대 사회의 특징에는 고령화와 핵가족화다. 특히 한국에서의 고령화 사회는 이미 이루어져 가고 있다. 특히 핵가족화로 인해 노인들의 설자리는 없어졌다. 이는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낳게 했는데, 부모를 버리는 자식들, 부모를 때리는 자식들, 심지어는 죽이기까지 서슴지 않는 패륜아의 모습들이 세상 거울에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내용들을 통해, 노인들이 비록 육체적으로는 건강할지라도 심리적으로 병들어 가고 있는 이 시대의 노인상을 바라볼 수 있다. 특히 가정에서 버림받고, 스스로가 쓸모없는 존재라고 생각하며, 인생을 잘못 살았다고 인정하는 그들의 고독과 소외감은 아주 심각하다. 고독과 소외감에 빠진 그들은 우울증에 걸리고, 자살까지 이르게 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정에서, 사회에서, 나라에서는 대책이 따라가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노인들의 고독과 소외감을 이겨내는 프로그램의 개발을 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서 그들의 어려운 부분들을 조금이나마 극복하고 나아가서는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남은 생을 행복하게 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연구를 시도했다. 본 논문의 1장인 서론에서는 배경을 언급하면서 문제의 제기와 목적과 방법에 대해 논하였다. 제2장에서는 이론의 배경을 통하여 노인과 노화의 개념 그리고 고독감과 소외감의 정의를 말함으로 노인들의 심리적인면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고독과 소외를 이겨내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즉 프로그램의 목적, 구성 및 방법, 회기별 목표 및 내용을 설명하였다. 제4장에는 실제적인 프로그램으로서 7단계인 일곱째 날 까지를 세우고 제시하였다. 첫째 날은 Orientation을 한다. 프로그램의 주제와 규칙에 대해 설명, 자기소개를 한다. 둘째 날은 나는 누구인가?에 대해서이다. 자신의 정체감을 통하여 나 자신을 분석하는 것이다. 셋째 날은 용서의 삶에 대해서이다. 이것은 화해와 신뢰감의 회복하는 단계다. 넷째 날은 용서에 대한 2번째의 부분으로 나-전달기법을 사용하였다. 이것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달하여 상대방과 관계회복을 했다. 다섯째 날은 노인들의 자아 통합감이다. 이것은 기쁨으로 살며 죽음까지도 수용하게 한다. 여섯째 날은 감사하기다. 삶이 축복과 감사라는 것을 알게 한다. 일곱째 날은 마무리하기다 평가하고, 용기를 주며, 격려한다. 늘 도우시는 하나님께 감사하며, 영광의 삶을 살 수 있도록 결단하게 한다. 제5장에서는 결론으로 노인들의 고독과 소외감을 이김으로 남은 생을 하나님과 함께 행복하고 기쁨으로 살아갈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The Feature of 21th Modern society is an aging society and an two generation family. Especially, an aging society is already realizing in the South Korea. There was no been the old' position by an two generation family. This laid various kinds of side effects. For example, Offsprings who abandon parents, Offsprings who strike parents, even, an immoral person's images which do not hesitate to kill their parents, these are modern social side effects today. Through these things, even if the old mans are healthy physically, it says that they are getting sick psychologically. Specially, they are abandoned in home, Themselves thinks that they are useless existence, their feelings of solitude and alienation regards their life as failure is very serious. They who fall into solitude and alienation are melancholia, Even get to suicide. Nevertheless, in home, On society, in country, the countermeasure is excessively lacking. Through development of program that overcome solitude and alienation of the old overcome a little their difficulties and furthermore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fe in mind to want to live remained life happily, this investigator tried this research. It referring background in 1 chapter, introduction of this dissertation, we arguing about indication and purpose and methodology of problem. In Chapter 2 on background of theory, we take into account old man and concept of aging and definition of solitude and alienation, examined psychological side of old mans. In Chapter 3 presented program that resist solitude and estrangement. That is, purpose of this program, Composition and method, explained target and contents of each session. To Chapter 4 we present program of 7 steps as actual program. To conclusion in Chapter 5 As it wins old mans' solitude and alienation, Presented method that they can be happy and alive by delight remained life with God.

      • 바이올린 합주중심의 음악치료교육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이명화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는 바이올린 합주중심의 음악치료교육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여, 음악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 향상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에 있다. 이러한 효과성 연구를 통하여 음악치료교육의 실제적인 효과 검증과 더불어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예술치료 현장에 실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1) 바이올린 합주중심의 음악치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기표현이 향상되었는가, 2) 바이올린 합주중심의 음악치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는가이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A, B 아동센터의 11세∼13세의 저소득층 아동으로 A아동센터의 아동 8명을 실험집단으로, B아동센터의 아동 8명을 통제집단으로 총 16명의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음악치료교육 프로그램은 2014년 2월부터 6월까지 5개월 동안 총 20회기로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 시작 전 사전검사를 하였고, 5개월 동안 프로그램을 마친 후 사후 검사를 검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교육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둘째, 음악치료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표현과 자아존중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여 비교 · 분석 하였다. 셋째, 바이올린 합주중심의 음악치료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이전과 이후의 결과 값을 대응표본 t-test로 실시한 결과 자기표현에서는 사전 · 사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자기표현 하위요인인 내용적 요소에서는 평균값의 차이가 있었으며, 음성적 요소는 (P<.05), 비언어적 요소(P<.01)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음악치료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에 자기표현이 향상되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바이올린 합주중심의 음악치료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이전과 이후의 결과 값을 대응표본 t-test로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에서는 사전 · 사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자아존중감 하위요인은 전반적으로 사전 · 사후 평균값 비교 결과 사후의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즉, 음악치료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에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바이올린 합주중심의 음악치료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이전과 이후의 결과 값을 대응표본 t-test로 실시한 결과 통제집단은 자기표현, 자아존중감에서 사전에 비하여 사후에 유의미한 차이(P>.05)를 보이지 않았다. 즉, 음악치료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자기표현, 자아존중감은 사전에 비해 사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들의 사회적 · 심리적 위축으로 인한 자기표현과 자아존중감의 결여를 음악치료교육으로 중재함을 통해, 아동기의 발달 과업을 효과적으로 이루게 하는데 의의가 있다. 아동기에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음악적 환경은 아동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따라서 상대적으로 음악적 환경조성이 부족한 저소득층 아동에게 바이올린을 활용한 음악치료교육은 매우 바람직하다는 것에 본 연구의 함의를 두고자 한다.

      • 통합예술치료가 여가 복지시설 이용 노인의 불안,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임숙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39

        연구목적 : 통합예술치료가 여가 복지시설 이용 노인의 불안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D시에 위치한 노인 여가시설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인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여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상태는 고령이지만 최소한 본인이 스스로 일상생활에서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 여가시설 이용이 가능한 노인들이다. 그러나 고령사회에서 노인들의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 약화와, 전반적인 사회적 지지약화를 감안 하면, 타인의 도움 없이 일상생활이 가능하나, 노인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신체적, 심리, 정신적, 사회적인 부분에 취약한 부분이 있을 것을 예상하고, 연구대상로 선택 하였다.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은 무작위 할당에 의해 배정이 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남 녀 노인을 대상으로 총40명으로 20명은 실험집단으로 20명은 대조 집단으로 구성 하였다. 실험집단과 대조 집단을 각 각 20명씩 나누어 구분하여 연구가 시행 되었다. 통합예술치료를 적용하기 전에, 한국간이상태검사MMSE-K, 상태특성불안검사STAT, 한국판역학연구센터우울척도CES-D, 한국판단축형 36문항 건강설문지SF-36-문항은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에게 적용하여 평가 하였다.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진행은 실험집단에게 총12회기로 1회에 60분으로 연구자1명과 사회복지사1명과 보조치료사1명과 여가시설 관계자2명으로 실시되었다. 12회기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을 마친 후 적용 전에 평가된 동일한 측정도구로, 평가척도를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에게 모두 적용하여 평가 되었다. 연구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집단과 제공받지 않은 대조집단 간에 인지 점수에 변화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불안과 우울 및 삶의 질 평가에 긍정적인 변화의 차이를 나타냈으므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통합예술 치료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시행 한다면 시간경과에 따라 인지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 둘째: 불안은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집단과 제공받지 않은 대조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 적용이 삶의 하위변인인 정신적 요소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우울에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집단과 제공받지 않은 대조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긍정적인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므로 목적을 가지고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꾸준히 지속적으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시행해 나간다면 노인들의 신체적, 심리적,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집단과 제공받지 않은 대조집단 간에 삶의 질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적용이 삶의 하위변인인 정신적 요소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여가시설을 이용 하는 노인의 불안, 우울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