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악적 개념형성에 필요한 음악놀이에 대한 연구 : 피아노학원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음악놀이중심으로

        이복자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음악교육이 성격과 인격형성에 많은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아울러 풍요로운 삶을 선택하기 위한 방안으로 많은 어린이들이 음악을 배우고 있다. 그런데 사실상 많은 어린이들이 학교에서도 음악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예체능교육의 첫걸음으로 사설학원인 피아노학원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논리적 사고력이 부족하고, 신체발달상 집중력이 짧고 움직이거나 활동적인 것을 좋아하는 어린이들에게 기능습득 위주의 피아노실기수업과 인지적인 딱딱한 이론수업으로는 아이들에게 음악의 즐거움을 느끼게 하기엔 역부족이다. 따라서 교사의 강요나 지시가 아닌 어린이 스스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수업을 하기위한 자발적이고 창조적인 음악활동을 유발시킬 수 있는 음악놀이 프로그램 학습개발이 요구되므로 어린이들이 자발적으로 흥미를 느끼는 효율적 교육방법으로 놀이를 통한 음악 프로그램 중에서 피아노학원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음악놀이 프로그램을 수집, 개발, 변형해서 피아노학원에 적용할 수 있는 음악놀이 방법을 제시하였다. 현실적으로 피아노학원에서는 유치부, 초등학생이 대부분인 점을 감안하여본 연구는 유치부, 초등부학생 어린이들이 학습해야 할 음악적 개념과 피아노이론수업에 필요한 다양한 음악놀이 프로그램을 수집, 개발, 변형한 음악 지도방법을 제시하고 가능한 피아노학원 특강수업에 활용하도록 했다. 첫째, 이론노래 부르기 수업은 노래를 부르며 어린이들이 어려워하는 이론을 자연스럽게 가창능력과 함께 쉽게 습득하는 시도를 하여 음악적 개념을 노래를 통해 즐겁게 습득하도록 하였다. 둘째, 이론놀이는 노래로서 이해한 이론을 놀이를 통하여 반복 학습효과를 경험하고 그러한 놀이과정을 통해 선의의 경쟁심을 불러일으키는 자극을 주어 음악적 개념을 더욱 확실하게 다지도록 했다. 셋째, 리듬치기에서는 추상적인 리듬의 개념을 구체적인 언어로 접목시켜 리듬을 몸으로 익히게 하는 리듬놀이를 통해 재미있게 리듬을 몸으로 느끼도록하여 악기연주에 도움을 주도록 했다. 넷째, 가락놀이에서는 가락을 구성하는 음들을 이해하고 가락의 흐름을 느끼고 이해하도록 했다. 다섯째, 셈여림놀이와 빠르기말 놀이를 통해 셈여림과 빠르기의 개념형성에 도움을 주도록 했다. 여섯째, 민요노래를 통해 우리나라 국악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했다. 일곱째, 음악 감상을 통해 여러 가지 악기에 대해 배우고 이해하고 그 악기의 소리를 구분할 수 있도록 했다. 최근에는 음악놀이의 중요성이 인식됨에 따라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학교 음악수업에서는 부분적으로 음악놀이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피아노학원에서는 보편화되지는 않아 음악학원에서 활용 가능한 음악놀이학습의 개발이 요구된다. 앞으로 음악교육 활동의 발전을 위해서는 유치부에서 고학년에 이르기까지 음악적 개념 형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아동의 흥미와 수준에 맞는 놀이 활동을 통하여 잠재되어 있는 음악적 소질을 살리는데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실제 음악교육현장인 피아노학원 수업에 실제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음악놀이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 많은 검증과 인식이 필요하다. Musical education has a great influence in building the personality and character. Many children learn music as a way to have high standard of living and to choose the abundant life. Although many children receive musical education from schools, they tend to choose private piano institutes for their first education in art. This study shows the skill-centered piano lessons and cognitive theoretical class lacks pleasure of learning music for active children, who lack logical thinking and concentrations due to physical development, and like to move around. Therefore, as the development of musical program is needed to entice children to engage in voluntary and creative musical activities, and actively participate in interesting class rather than taking orders by teachers, this research offers the methods of musical plays that are applicable at piano institutes after collecting, developing and changing a variety of musical plays as a effective educational way to let children have fun voluntarily. In consideration of the reality that the most piano institutes are filled with kindergarten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provides musical guidance with various collected, developed and changed musical programs that are needed for musical concept and piano theory class which kindergarten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required to learn, and also allows utilizing special class at piano institutes if possible. First, Theory-singing class is designed for children to accept theories easily with more fun, which they find difficulties in, as they sing together and learn musical concept. Second, Theory play attempts to allow students experience learning effects by repeating the theories they learn from singing, and the playing process would encourage them to compete each other, and build musical concept more firmly. Third, Beating rhythm is a musical play that is transformed abstract concept of rhythm into specific language and lets children to feel the rhythm with their bodies and help to play instruments. Forth, Tone play is designed to help understanding the notes that compose for a tone, and also the flow of the tones. Fifth, Dynamics and tempo play assists children to form the concepts of dynamics and tempos. Sixth, Singing folk songs helps to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and classical music. Seventh, Through music appreciations, children are encouraged to learn and understand various instruments and how to differentiate the sounds of each instrument. As the importance of musical play has been recognized, the musical play class is held at kindergartens, nurseries, and schools as part of music education, except at piano institutes, so that the development of musical play programs is needed to be used at the institutes. To develop musical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future, the musical concept shall be built systematically from kindergarteners until higher graders, and especially more researches shall be conducted to create plays that entice interests of children encourage their potential musical ability. Also more examination and recognition in educational effectives of musical plays are essential in order to practically utilize them during piano lessons at the institutes.

      • 프로축구 선수의 상해경험이 스포츠 경쟁불안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Injury Experience of Professional Soccer Players on Sport Competition Anxiety

        박정규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15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축구 선수의 상해경험이 경쟁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05년 현재, 한국프로축구연맹에 등록되어 있는 프로 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조사 대상의 여건을 감안한 유층집락 무선표집법(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의 방법으로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이 연구에서 사용된 총 인원은 409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측정도구는 설문지로서 프로축구 선수의 경쟁불안을 측정하는 문항은 Martens(1977)에 의하여 개발된 스포츠 경쟁불안 검사지 SCAT(Sport Competition Anxiety Test) 성인용 검사지를 강주희(2000)가 국내실정에 맞게 번안하여 표준화시킨 27개 문항의 경쟁불안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경쟁불안의 하위변인으로는 인지적 상태 불안, 신체적 상태불안, 상태 자신감의 3가지 하위변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분석은 이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의 하위변인별 신뢰도 검증과 각 변인별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기술통계분석, X^(2) (chi-square)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프로축구 선수의 상해경험, 상해정도, 경쟁불안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프로축구 선수의 상해경험은 선수경력에 따라서 1~3년차 집단의 수술경험이 가장 높으며, 연령, 연봉, 교육수준, 포지션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 프로축구 선수의 상해정도의 하위변인인 수술경험은 연령에 따라 24세 이상 29세 미만 집단의 수술경험이 가장 많으며, 연봉에 따라서는 5천만원미만 집단의 수술경험이 가장 많다. 교육수준, 선수경력에 따라서는 대졸이상 집단과 1~3년차 집단이 가장 많은 수술 경험을 하였으며, 프로축구 선수의 상해정도의 하위변인인 재발경험 연봉에 따라 5천만원 미만 집단의 재발경험이 가장 많다. 연령, 교육수준, 선수경력, 포지션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 또한 프로축구 선수의 경쟁불안은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인 연령, 연봉, 교육수준, 선수경력, 포지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 둘째, 프로축구 선수의 상해경험에 따른 경쟁불안의 차이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상해경험이 없는 집단은 경쟁불안의 하위변인인 상태 자신감을 높게 인식한다. 셋째, 프로축구 선수의 상해정도에 따른 경쟁불안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수술경험이 있는 집단은 경쟁불안의 하위변인인 인지적 상태불안과 신체적 상태불안을 수술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높게 느끼고 있다. 또한 수술경험이 없는 집단은 경쟁불안의 하위변인인 상태자신감을 수술경험이 있는 집단보다 높게 느낀다. 또한 재발경험에 따른 경쟁불안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재발경험이 있는 집단은 경쟁불안의 하위변인인 신체적 상태불안을 재발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높게 인식한다. 재발경험이 없는 집단은 경쟁불안의 하위변인이 상태자신감을 재발경험이 있는 집단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the influence of injury experience of professional soccer players for sport competition anxiet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in this thesis, professional soccer players, who registered at Korea Football Association, were chosen as population, and then 500 players were selected as sample from them using the systematic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Finally 409 subjects were used as the data for the study. Th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questionnaires. For measuring the sport competition, Joo-Hee Kang's(2000) 27-item questionnaire was used after complementing as well as adjusting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is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one-way ANOVA. Through the above analy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Firstly, there are differences in professional soccer players's injury experience, injury degree by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ly, there are differences in sport competition anxiety along with players's injury experience. In detail, the uninjured group in their throwing order has higher self-confidence feeling. Lastly, there are differences in sport competition anxiety along with injury degree. In detail, the group of operational experience in their throwing order has higher recognized conditional anxiety, physical conditional anxiety. The other side, the group of operational inexperience in their throwing order has higher self-confidence feeling. And the group of relapse experience in their throwing order has higher physical conditional anxiety. The other side, the group of unrelapse experience in their throwing order has higher self-confidence feeling.

      • 청·장년층의 노후준비대책 및 관련 요인

        홍종필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15

        청·장년층들의 노후준비 대책 및 의식수준 및 관련요인 분석을 통해 노후의 건강한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효율적인 정책 및 제도적인 보완 방안을 모색을 위해 2007년 4월 15일부터 6월 14일까지 2개월간의 걸쳐 6개 지역을 청·장년층 572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그 요약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요약 1) 일반적 특성별 조사대상자의 분포는 ‘여자’가 51.0%로 남자보다 높았고 연령은 ‘20∼29세’가 25.9% 높았고 전체적으로 비슷한 수준이다. 최종학력수준별로는 ‘고졸’이 32.9%였고, 결혼상태별로는 ‘유배우자’ 55.4% 종교는 ‘무교’ 36.4% 직업별로는 ‘전문기술직’ 21.3%, 월평균 소득으로는 ‘없음’ 26.4%, ‘200이상’ 22.7% 순이었으며, 현 거주지역으로는 ‘대도시’가 52.8%로 가장 높았다 2) 노후대책 준비여부를 보면 ‘준비하고 있다가’ 47.6%로 가장 높았으며, ‘준비하고 있지 않다’ 33.7%, ‘그저 그렇다’ 18.7%순이었다. 3) 노후준비를 세우고 있는 이유에서는 ‘풍요로운 삶을 위해서’가 55.5%, ‘자녀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24.6%, ‘경제문제 대비’ 10.7%, ‘정서적인 안정을 위해’ 5.1%, ‘건강상 문제 발생 대비’ 4.0%순이었다. 4) 노후 준비 형태를 보면 ‘노후생활보장 보험가입’이 39.5%, ‘적금’ 28.1%, ‘아직 생각 안 해봄’ 11.4%, ‘부동산 준비’ 10.7%, ‘국가사회보장제도에 의지’ 7.0%, ‘자녀에게 의존’ 3.3%순이었고, 자녀에게 의존하지 않고 자립 및 사회보장제도에 의존하려는 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5) 노후에 예상되어지는 가장 심각한 문제에 대한 내용에서는 ‘자신의 건강문제’ 53.0%, ‘경제력 상실’ 26.9%, ‘배우자의 건강문제’ 8.7%, ‘부부간의 사별’ 4.5%, ‘외로움’ 3.8%, ‘자손교육 및 양육문제’ 3.0%순으로 나타났다. 6) 노후에 원하는 가족형태별로는 ‘부부끼리 살겠다’가 31.6%, ‘자녀와 동거하지 않겠다’ 22.4%, ‘자녀가 원하면 동거 하겠다’ 20.0%, ‘별거하면서 노환이 있을 때 동거 하겠다’ 5.6%, ‘동거하다 실버타운에 입주 하겠다’ 5.4%, ‘아직 생각해 보지 않았다’ 5.1%, ‘기타’ 2.8%순으로 나타났다. 7) 노후에 배우자와 사별시 원하는 동거형태에서는 ‘혼자 살겠다’가 42.5%, ‘아직 생각해 보지 않음’ 24.0%, 여건이 되는 ‘자녀와 동거 하겠다’ 14.9%, ‘재혼 하겠다’ 11.0%, ‘시설에 입소 하겠다’ 7.7%순으로 나타났다. 8) 노후에 기대되는 주 수입원에 대한 견해를 보면 ‘국민연금’이 42.0%, ‘퇴직금’ 18.5%, ‘부동산 등의 재산소득’ 14.5%, ‘개인연금’ 11.2%, ‘월급(근로, 사업소득)’ 10.8%, ‘자녀의 도움’ 3.0%순이었다. 9) 노후에 여건에 따라 노인주거복지시설에 입소하여야 할 경우 시설 선택시의 고려사항으로는 ‘입주비용’을 30.2%, ‘월 생활비’ 22.9%, ‘서비스 수준’ 19.9%, ‘운영기관의 신뢰도’ 9.3%, ‘입주시설의 편리성’ 9.1%, ‘여가 및 취미, 문화생활 등의 여건’ 4.9%, ‘자녀들과의 접근성’ 3.7%순이었다. 10) 조사대상자들의 노후의 취업의사에서는 ‘취업하겠다’가 69.6%로 가장 높았으며, ‘그저 그렇다’ 22.2%, ‘취업하지 않겠다’ 8.6%,으로 나타났으며, 취업하겠다는 응답자가 91.8%로 상당히 높았다 11) 노후에 취업을 원하는 이유로는 ‘경제적인 문제’가 30.3%, ‘건강유지를 위해’ 20.7%, ‘일하는 것이 좋아서’ 18.4%, ‘소일거리가 필요해서’ 14.4%, ‘대인관계를 위해’ 10.4%, ‘명예유지를 위해’ 5.8%순이었다. 12) 노후취업의 걸림돌로는 ‘건강상의 문제’55.6%, ‘일자리 부족’ 24.1% ‘사회적 인식문제’ 6.6% ‘취업에 따른 제도적인 문제’ 3.5%, ‘시간적 문제’와 ‘임금수준’이 3.0%, ‘가족과의 의견대립’ 2.6%, ‘전문지식 결여’ 1.6%순이었다. 13) 고령자의 취업활성화의 선결과제에 대한 견해를 보면 ‘고령자에 적합한 직종의 고용의무화’ 41.8%, ‘적합한 직종의 지속적인 개발’ 18.4%, ‘고령자 고용기업에 대한 보상제도 보안’ 15.2%, ‘고령자 취업알선 센터 활성화’ 5.6%, ‘고령자의 의식개혁’ 5.1%순이었다. 14) 노후의 취업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노인장기 요양보험제도 필요성, 현재 건강상태, 노인 장기요양 보험제도 지식수준, 현재 부모 및 조부모 동거여부, 향후 부모 및 조부모와의 동거 견해 순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15) 노후준비대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상태와 월평균 수입액, 현재 건강상태, 현재 직업유무, 성별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2. 결론 우리나라의 노인인구 증가추세는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노인의 문제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다방면에서의 대책이 적극적으로 강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첫째, 국가적인 측면에서는 현재의 청·장년층이 노인층으로의 유입시기의 정확한 예측을 바탕으로 건강한 노후를 영위할 수 있는 노후생활에 대비할 수 있는 사회의식의 전환과 노인의 신체적 변화의 특성을 감안한 노동인력의 취업과 고용정책의 수립 및 적용 등의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적인 측면에서는 언젠가는 누구나 거치게 될 노인층이라는 의식을 토대로 삶의 마지막 단계로서가 아니라 생애주기의 한 과정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의식전환이 정착되어질 수 있도록 관계전문기관 및 단체, 학교교육에서 적극적인 노력이 선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노인이 되는 당사자로서 국가 및 사회에 의존하는 식의 노후대책이 아니라 자신의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키려는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아울러 노후의 경제적·사회적 측면을 고려한 자기역량 강화와 꾸준한 자기개발, 그리고 다방면의 평생교육을 통하여 노후의 보다 건강하고 행복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n eff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in a healthy fashion and to search for effective policies and policy support for solving social problems by analyzing the preparatory measures made for old age by those in their prime and middle ages, the awareness levels thereof, and the relative factors. To do so,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a 2 month period from April 15th, 2007, to June 14th of the same year, with a subject base of 572 people in their prime and middle ages. The study and its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Summary 1) The distribution of the subjects of the survey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51.0% of the subjects were women, 25.9% were from 20~29 years old with other age groups relatively in the same range. In terms of education 32.9% were high school graduates, regarding marital status 55.4% were married. 36.4% were not religious, 21.3% worked in a ‘professional technical profession’, 26.4% had no average monthly income and 22.7% had over 2 million won, and in terms of current residence, ‘large cities’ ranked highest with 52.8% of respondents living in large cities. 2) In terms of whether they were making preparations for old age, 47.6% replied that they were making preparations, 33.7% said they were not, and 18.7% replied 'neither here nor there'. 3) Regarding reasons for making preparations for old age, ‘to live a prosperous life’ was the most common reason with 55.5% of the respondents belonging to this category, and 24.6% replied ‘so as not to burden their children’ 24.6%, 10.7% said ‘in preparation for economic problems’, 5.1% said ‘for moral stability’, and 4.0% replied ‘in preparation for health issues’. 4) Regarding the form of preparations for old age, 39.5% replied ‘old age security insurance’, 28.1% said ‘installment savings’, 11.4% said ‘haven't thought about it yet’, 10.7% said ‘real estate preparations’, 7.0% said they ‘relied on the government's social security policy’, and 3.3% replied that they ‘relied on their children’, indicating strong tendencies to become independent or rely on social security rather than on their children. 5) Regarding the most serious problem to be expected in old age 53.0% replied ‘own health issues’, 26.9% ‘loss of financial competence’, 8.7% ‘spouse's health issues’, 4.5% ‘bereavement of one's spouse’, 3.8% ‘loneliness’, and 3.0% ‘education and upbringing of descendants'. 6) In terms of the desired form of family in old age 31.6% responded ‘wish to live with spouse only’, 22.4% ‘will not live with children’, 20.0% ‘will live with children if children wish so’, 5.6% ‘will not live with children until affected by geriatric disease’, 5.4% ‘will live with children until entering a silver-town’, 5.1% ‘haven't thought about it yet’, and 2.8% replied ‘other’. 7) Regarding form of living after bereavement of one's spouse, 42.5% replied ‘will live alone’, 24.0% ‘haven't thought about it yet’, 14.9% ‘will live with children capable of doing so’, 11.0% ‘will remarry’, and 7.7% ‘will enter related facilities’. 8) With regards to opinions on the main expected sources of income in old age 42.0% replied ‘national pension’, 18.5% ‘retirement paycheck’, 14.5% ‘property income from real estate etc.’, 11.2% ‘personal pension’, 10.8% ‘monthly paycheck(income from work, business)’, and 3.0% replied ‘support from children’. 9) When asked what would the subjects consider when selecting a facility in the case that one must enter a live-in elderly welfare facility due to circumstances in old age, 30.2% said ‘cost of entering', 22.9% ‘monthly cost of living’, 19.9% ‘quality of the service’, 9.3% ‘reliability of the operating institution’, 9.1% ‘comfort of the facility’, 4.9% ‘conditions for leisure, hobbies, and cultural activities etc.’, and 3.7% ‘proximity to children’. 10) When asked whether they wished to work in old age 69.9% replied ‘yes’, 22.2% were ‘neither here nor there’, 8.6% ‘will not work’, ‘91.8’. 11) In terms of reasons for wishing to work in old age, 30.03% replied ‘financial trouble’, 20.7% ‘to maintain health’, 18.4% ‘because they enjoy working’, 14.4% ‘because they needed a pastime’, 10.4% ‘to maintain relationships’, and 5.8% ‘to maintain their reputation’. 12) Regarding obstacles to working in old age, 55.6% replied ‘health issues’, 24.1% ‘lack of jobs’, 6.6% ‘social perception’, 3.5% ‘policy issues concerning working’, 3.0% ‘the issue of time’ and ‘the level of wages’, 2.6% ‘conflict of opinions with the family’, and 1.6%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13) When asked about their opinions on tasks to be taken care of in order to revitalize the hiring of the elderly, 41.8% responded ‘mandatory hiring to positions suitable for the elderly’, 18.4% ‘continuous development of adequate professions’, 15.2% ‘strengthening of reward policies for corporations employing the elderly’, 5.6% ‘promotion of job introduction centers for the elderly’, and 5.1% ‘reformation of the minds of the elderly’. 14) Factors affecting the decision whether or not to work in old age were the necessity for long term recuperation insurance policies for the elderly, current health, level of knowledge of long term recuperation insurance policies for the elderly, whether one currently resides with their parents or grandparents, and whether one plans to live with parents or grandparents in the future, in their relative order of significance. 15) Factors affecting preparatory measures for old age were marital status and average monthly income, current health, current employment status, and sex, in order of significance. 2.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of our country will only be accelerated making the issue of the elderly a serious social issue, and therefore measures from various aspects must be actively pursued. First, at the national level, social awareness must be increased so that the current generation of people in their prime and middle ages should be able to accurately predict the time when they will be included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make preparations to lead a healthy life in their old age, and political measures such as establishing policies that increase employment of the elderl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ir physical changes and the enforcement thereof should be pursued. Second, at the social level, the relative organizations, institutions, and school education should make active efforts to change are awareness of old age as a phase that everyone must go through at some point, so that old age may be accepted as a phase in our life cycle rather than the last step of life. Third, at a personal level, efforts to maintain and improve one's health as the one becoming the elderly person rather than relying on the government or society are very much required, as well as active efforts for self improvement, enhancement of personal competence, and lifelong education in a variety of areas, all the while considering the financial and social aspects of old age, in order to improve health and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 노인의 우울증 경험에 관한 관련요인 분석

        한삼성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15

        인구의 고령화와 핵가족화로 가족 내 세대간부양이 감소하고 있으며, 이는 독거노인 증가와 노인자살 등 제반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자살의 억제 및 노인 정신건강증진 정책 수립에 기여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년]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자살 등의 주요 원인이 되는 노인의 우울증 경험에 관한 관련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65세 이상 노인인구 중 지난 1년 동안 연속적으로 2주 이상 우울증을 경험한 비율은 22.5%였다. 2. 성별에 따른 우울증은 여성노인이 27.2%로 남성노인의 15.2%보다 매우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도시와 농어촌 등 거주 지역에 따른 우울증은 도시에 거주하는 노인이 24.7%로 농어촌에 거주하는 노인의 19.2%보다 우울증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32). 배우자 유무에 따른 우울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배우자가 없는 노인이 26.7%로 배우자가 있는 노인의 19.2%보다 우울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4). 직업유무의 경우 직업이 없는 노인이 25.2%로 직업이 있는 노인의 16.4%에 비해 우울증이 매우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그러나 연령(p=0.761), 교육수준(p=0.930), 동거 가족 수(p=0.072), 월 가구 소득(p=0.112)은 우울증 경험 여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건강특성별 우울경험여부를 살펴보면 신체적 건강의 경우 만성질환인 당뇨병(p=0.014), 고혈압(p=0.034)을 가지고 있을수록 우울경험 비율이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정신건강의 경우 스트레스를 많이 느낄수록(p<0.001)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p<0.001) 우울경험 비율이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기능적 능력의 경우 ADL(p<0.001), IADL(p=0.002)이 낮을수록 우울경험 비율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건강 행위 및 의료이용 특성별 우울증 여부를 살펴보면 알코올 중독의 경우 정상군의 23.1%로 비정상군의 15.9%보다 우울증 경험 비율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흡연을 하는 노인의 경우 22.9%로 흡연을 하지 않는 노인의 20.7%보다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노인은 19.7%로 규칙적인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 노인의 24.2%보다 우울경험 비율이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외래방문은 우울증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우울증군에서 외래를 방문한 노인의 비율이 23.9%로 외래를 방문하지 않은 노인의 20.9%보다 우울경험 비율이 높았다. 병원입원의 경우 입원을 한 노인이 30.1%로 입원을 하지 않은 노인의 21.1%보다 우울경험 비율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0). 5.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스트레스와 일상생활활동이 우울증과 큰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스트레스를 많이 느낀다고 응답한 노인이(1.000) 스트레스를 거의 느끼지 않는다고 응답한 노인보다(0.067) 우울증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으로 판단한 건강상태가 대체적으로 좋을수록 우울증을 덜 하는 것을 알 수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만성질환의 경우 우울증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암 환자(1.746)의 경우 그렇지 않은 노인(1.000)에 비해 더 많이 우울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양의 연관성을 보였다. 기능적 능력은 일상생활동작이 우울증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일상생활동작에 장애가 있는 노인(1.794)이 그렇지 않은 노인(1.000)에 비해 더 많이 우울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65세 이상 노인이 만성질환, 일상생활동작 장애 및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건강이 좋지 못할수록 우울증 경험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노인의 우울증 예방을 위해서는 정책당국자는 무엇보다도 노인들의 신체 및 정신적 건강증진과 스트레스 감소에 정책의 우선순위를 둘 것을 제안한다. 주요용어: 우울증, 노인우울, 일상생활 수행능력, 주관적 건강, 정신적 건강, 노인 This study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Korea. The subjects were national random samples who were 65 years or older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05. Logit models were used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depression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health-related behaviors, and healthcare utilization.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who had depression among total the elderly within previous 1 year from the survey was 22.5% in 2005. The elderly who self-assessed themselves healthier were less likely to have depression than the elderly who did not healthier. The elderly with spouse were less likely to have depression than the elderly without spouse. Those who suffered from hypochondria or stress and ADL were more likely to have depression than their counterparts. This study suggests that government or policy makers should pay their attentions on improving the physical health of the elderly and preventing hypochondria or stress of the elderly in oder to decrease their suicide rate. Key words: Depression, Late-life depression, Hypochondria, Mental health, the elderly

      • Face architect 베이스 메이크업 기법제시 및 만족도 조사에 관한 연구

        김민성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15

        This study suggested the face architect base make-up technique and investigated its satisfaction to customer. The study conducted research from May 1, 2014 to August 30, 2014 aimed at new 300 female customers in Daegu and Gyeongbuk. The data collections was carried out question investigation of a new female customer after explaining its purpose and contents. And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a total of 279 questionnaire except an insincere ones of 21. The result of analysis is summed up like this. In the case of the below a high school graduate, the complex in it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general ones appeared the lower an average monthly income and an economy that is subjective satisfaction. And the stress level brought on by complex highly appeared, whereas the self-image satisfaction on make-up appeared a higher trend than others in case of the over college graduate and the higher average monthly income. In the case of the lower age, the single women, economic activities, the higher economy that is subjective satisfaction, those surveyed experienced in education and data related to make-up. The average monthly cosmetic cost highly appeared in case of the over college graduate, economic activities, the higher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higher economy that is subjective satisfaction. An average of make-up times a week show a tendency to increase in case of the lower age, the over college graduate, the single women, economic activities and the higher economy that is subjective satisfaction. The average number of cosmetics show a tendency to increase in case of the older age, economic activities, the higher average monthly income and economy that is subjective satisfaction. The monthly average times of a getting make-up in the expert’s shop show a tendency to increase in case of an economic activities and the higher average monthly income. The satisfaction of the face architect base make-up of the education and complex factor is higher than those of the general base make-up. From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he face architect base make-up technique appli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means for the development of training materials and the marketing strategy by the more popular base make-up technique suggestion. 본 연구는 페이스 아키텍트 베이스 메이크업 기법을 제시하고 그 효과성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수행하고자 대구·경북지역 소재 신규 여성고객 300명을 대상으로 2014년 5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 약 4개월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방문한 신규 여성고객에게 설문조사에 필요한 내용을 이해시킨 후 실시하였으며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불성실하게 답변한 설문지를 제외한 279부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콤플렉스 특성에서 학력이 고졸이하인 경우, 월 평균 소득 및 주관적인 경제만족도가 낮을수록 콤플렉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콤플렉스로 인한 스트레스 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력이 대졸이상인 경우와 월 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노 메이크업 상태의 얼굴 이미지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베이스 메이크업 관련 특성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기혼에 비해 미혼인 경우,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주관적인 경제만족도가 높은 경우에 메이크업 관련 교육 및 시연 또는 교육 자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월 평균 화장품 구입비용은 학력이 대졸이상인 경우,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월 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주관적인 경제만족도가 높은 경우에 월 평균 화장품 구입비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당 평균 베이스 메이크업을 하는 횟수는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대졸이상인 경우, 미혼인 경우,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주관적인 경제만족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평균 화장품의 수는 연령이 많을수록,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월 평균 소득 및 주관적인 경제만족도가 높을수록 화장품의 수가 많은 경향을 보였고, 월 평균 전문샵에서 베이스 메이크업을 받는 횟수는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월 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전문샵에서 베이스 메이크업을 받는 횟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 베이스 메이크업 만족도와 페이스 아키텍트 베이스 메이크업에 대한 만족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콤플렉스 요인과 교육 요인 등에 대한 만족도가 일반의 베이스 메이크업에 비해 페이스 아키텍트 베이스 메이크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페이스 아키텍트 베이스 메이크업의 기법은 일반의 베이스 메이크업에 비해 외모 콤플렉스 등의 단점을 보완하고 기법의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대중적인 베이스 메이크업 기법 제시를 통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마케팅 전략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여성의 얼굴 형태에 따른 헤어스타일 결정에 미치는 요인

        홍성희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15

        이 연구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헤어스타일의 결정형태와 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함으로써 가장 인상적인 헤어스타일의 필요성을 알리고 고객의 만족도와 경영 전략의 토대마련에 대한 연구 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에 대상자는 성인 여성400명이었고 조사 연구 기간은 2007년 5월01일부터2007년6월3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설문 자료는 빈도 분석, ANOVA분석, 다중 회기분석을 하였으며, 유의성 검정은 t-test, F-Ratio,x²-test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연령별로는 40-49세가 30.8%로 가장 높았다. 2. 일반적 특성별 얼굴유형(주관적 견해)은 둥근형이 45.8%로 가장 높았으며, 타원형이 17.4%, 장방형이 13.6%, 사각형이 12.0%, 기타 5.7%, 역삼각형 5.4%순이었다. 3. 일반적 특성별 현재 헤어스타일로는 ‘자연스런 웨이브’가 21.8%로 가장 높았으며, ‘층이 진 웨이브’ 15.5%, ‘쇼트 컷트’ 11.2%, ‘세미 롱 직모’ 9.3%, ‘롱 직모’ 9.0%, ‘쇼트 웨이브’ 8.7, ‘유행하는 스타일’ 7.4%순이었다. 4. 현재 헤어스타일의 얼굴형태 고려 여부에서는 고려함이 44.7%로 가장 높았으며, 보통이 37.1%, ‘고려하지 않음이 9.8%, 매우 고려함이 6.0%, 전혀 고려하지 않음이 2.5%순이었다. 5. 얼굴형태 감안한 현재의 헤어스타일 만족도에서는 보통이 46.6%, 만족이 45.5%, 불만족이 7.9%순이었다. 6. 헤어스타일 결정 행태에서는 본인의 결정이 67.3%로 가장 높았으며, 디자이너 권유가 15.3%, 주변인 권유 10.6%, 기타 3.8%, 현재 유행 스타일 모방이 3.0%순이었다. 7. 일반적 특성별 헤어스타일 결정의 심리적 요인으로는 ‘두상(얼굴형태)의 결점 보완을 위해’가 42.0%로 가장 높았으며, ‘현재 스타일을 유지해 왔기에’가 24.8%, ‘즉흥적인 감성에 의해’ 23.7%, ‘기타’ 5.7%, ‘타인에게 과시하기 위해’ 3.8%순이었다. 8. 현재 헤어스타일을 돋보이게 하는데 중요하게 여기는 영역에서는 의상이 47.4%로 가장 높았으며, 메이크업이 34.6%, 기타(10.9), 헤어 장신구가 7.1% 순이었다. 9. 헤어스타일 결정에 자신의 체형고려 수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특성은 연령, 결혼상태, 직업이었으며, 25점 만점에 16.65±3.32점이었다. 10. 헤어스타일 결정에 유행하는 스타일 모방수준에서는 25점 만점에 14.38±3.95점으로 연령, 결혼상태, 현 거주 지역, BMI지수, 직업, 교육수준, 현재 동거형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11. 얼굴 형태에 따른 헤어스타일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두상 및 체형 감안(β=0.178)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헤어스타일 결정 주체(β=0.158)이었고, 가르마 여부(β=-0.109), 건강상태(β=0.095)이었다. 12. 체형에 따른 헤어스타일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얼굴 형태 감안(β=0.560)과 유행 헤어스타일 모방정도(β=0.189)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월평균 수입(β=-0.097), 연령(β=0.164)이었다. 13. 유행하는 스타일 모방으로 헤어스타일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두상 및 체형 감안(β=0.508)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모발 상태(β=-0.108), 현 거주 지역(β=0.119), 연령(β=-0.188)이었다. 2. 결론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특징과 심리적 특징을 감안한 헤어스타일 결정 수준의 범위가 높고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가장 이상적인 헤어스타일을 결정짓는 데 필요한 이론적인 배경과 기초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제공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 된다. 첫째; 헤어스타일 결정에 관한 기초 자료가 되는 정보 제공 둘째; 두상(얼굴형태)의 여러 가지 역할 및 얼굴형태의 결점 보완 셋째; 얼굴형에 맞는 헤어스타일 구현을 위한 헤어디자인 개발의 가치 부각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ypes of hair-style decision and effects on the decision among adult women to suggest the need of the most impressive hair-style and provide data for research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a foundation of management strategies. 400 adult women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distributed from May 1 to June 30, 2007. The collected data went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F-Ratio, and x²-test as significance tests. 1. A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ose of 40 to 49 years formed the largest part (30.8%) in terms of age. 2. As for facial forms, the greatest part of the subjects (45.8%) had a round facial form (subjective views), followed by an oval (17.4%), a rectangle (13.6%), a quadrangle (12.0%), others (5.7%), and an inverted triangle (5.4%). 3. As for the present hair-styles, 'natural waves' formed the largest part (21.8%), followed by 'layered waves' (15.5%), 'short-cut' (11.2%), 'semi-long straight' (9.3%), 'long straight' (9.0%), 'short waves' (8.7%), and 'fashionable styles' (7.4%). 4. 44.7% considered their facial form for the present hair-style, followed by 'average' (37.1%), 'less consideration' (9.8%), 'great consideration' (6.0%), and 'no consideration' (2.5%). 5. As for satisfaction with the present hair-style in consideration of a facial form, 46.6% were at the average level, followed by 'satisfied' (45.5%) and 'dissatisfied' (7.9%). 6. As for types of deciding on a hair-style, 67.3% decided it for themselves, followed by recommendation by a designer (15.3%), recommendation by people around them (10.6%), others (3.8%), and imitation of the present fashionable style (3.0%). 7. As for psychological factors of hair-style decision, 42.0% tried to 'cover up defects of the shape of the head (facial form),' followed by 'maintenance of the present style' (24.8%), 'impromptu emotion' (23.7%), 'others' (5.7%), and 'showing off to others' (3.8%). 8. As for areas to make the present hair-style look better, 47.4% placed importance on clothing, followed by makeup (34.6%), others (10.9%), and hair accessories (7.1%). 9. Characteristics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considering a body type in deciding on a hair-style were age, marital status, and occupation with 16.65±3.32 points out of 25. 10. Age, marital status, the current residential district, BMI index, occupati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presence of cohabit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14.38±3.95 points out of 25 in the levels of imitating a fashionable style in deciding on a hair-style. 11. The greatest factor affecting decision about a hair-style by facial forms was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head and the body type (β=0.178), followed by the subject of hair-style decision (β=0.158), presence of a part (β=-0.109), and health conditions (β=0.095). 12. The greatest factor affecting decision about a hair-style by body types was consideration of a facial form (β=0.560), followed by imitation of a fashionable hair-style (β=0.189), the average monthly income (β=-0.097), and age (β=0.164). 13. The greatest factor affecting decision about a hair-style by imitating a fashionable style was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head and the body type (β=0.508), followed by the condition of hair (β=-0.108), the current residential district (β=0.119), and age (β=-0.188). 2. Conclusion Sinc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wide range of hair-style decisions in consideration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long with great concerns, it seems to be necessary to provide the following information so that people can learn theoretical background and fundamental knowledge necessary to decide on the most ideal hair-style: First, basic data about hair-style decision Second, various roles of the shape of the head (facial form) and making up for defects of a facial form Third, emphasizing values of developing hair design to realize a hair-style suitable for a facial form

      • 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아동의 동적가족화 반응특성 연구 - 미술치료센터 이용자 중심으로 -

        박지연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15

        This study has interest in child-rearing attitude of mother having an important effect on a growth development of children, and desires to examine how child-rearing attitude of mother stands with kinetic family drawing response characteristic of children. Detailed problem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is child-rearing attitude of mother with art therapy center? Second, does general data(gender and age of children, and age gap between mother and child) correlate with child-rearing attitude of mother? Third, does general data(gender and age of children) correlate with kinetic family drawing response characteristic? Fourth, is child-rearing attitude of mother associated with kinetic family drawing response characteristic of children? Objects of the study were 80 mothers using 3 art therapy center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80 of their elementary school student children. Study tool was Parental Attitude Test(PAT) of Hochan Im(2008) to measure child-rearing attitude of mother, and Kinetic Family Drawing(KFD) was conducted to children, so this study marked by using Korean Form of Kinetic Family Drawing Rating Scale of Miok Lee(2012) developed as a Five-point Likert Method based on Kinetic Family Drawing Valuation Basis of Burns(1982). The study conducted quantitative analysis about the results of this scale by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The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n expression of support and rational explanation are insufficient in child-rearing attitude of mother using art therapy center, and these mothers show achievement pressure, interference, punishment, supervision, excessive expectation, and inconsistent child-rearing attitude. Second, in gender of children, child-rearing attitude of mother shows rational explanation to girls more than boys, and shows interference, punishment, and inconsistent child-rearing attitude to boys more than girls. In addition, in child-rearing attitude of mother according to age of children, mothers in young group express support more than mothers in old group, and mothers in old group supervise more than mothers in young group. In child-rearing attitude of mother according to age gap between mother and child, mothers with a big age gap express support more than mothers with a small age gap. Third, in kinetic family drawing respons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gender of children, girls show high degree of completion about eyes of self-statue, face of mother-statue, face of father-statue, and face of self-statue in comparison with boys, and boys show small size of mother-statue, father-statue, and self-statue in comparison with girls. In addition, in kinetic family drawing respons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ge of children, young group describes facial expression of mother better than old group, and mother-statue of young group is smaller. Fourth, kinetic family drawing response characteristic of children according to child-rearing attitude of mother shows a meaningful result in 6 categories(an expression of support, rational explanation, punishment, supervision, excessive expectation, and inconsistency) among 8 subcategories of PAT. Children in group with low expression of support of mother apperceive fathers more positively, and children in group with high rational explanation feel closer to mothers, but excessive explanation can be apperceived as a nitpicking. Children with low punishment show closer distance between themselves and mothers, and children with high supervision express fathers more positively than mothers. Excessive expectation and kinetic family drawing response characteristic show negative correlation, and cooperation of low inconsistent group is higher than cooperation of high inconsistent group. Through above results of the study, relation between child-rearing attitude of mother and kinetic family drawing response characteristic of children can have been confirmed. It was studied by particular objects and testing tools, so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but the researcher thinks that such results can be used in counsel for parents, education for parents, and therapeutic access, and regards it as meaningful to suggest necessity of a follow-up study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아동의 성장발달에 모의 양육태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에 관심을 갖고, 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동적가족화 반응특성은 어떠한 관계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센터를 이용한 모의 양육태도는 어떠한가? 둘째, 일반적 사항(아동 성별, 아동 연령, 모-아동 나이차)과 모의 양육태도는 관련성이 있는가? 셋째, 일반적 사항(아동 성별, 아동 연령)과 동적가족화의 반응특성은 관련성이 있는가? 넷째, 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동적가족화 반응특성은 관련성이 있는가? 연구 대상은 대구, 경북에 소재한 미술치료센터 3곳을 이용한 모 80명과 그들의 초등생 자녀 80명이었다. 연구 도구로는 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임호찬(2008)의 부모양육태도검사(PAT)를 사용하였고, 아동에게는 동적가족화(KFD)를 실시하여 Burns(1982)의 동적가족화 평가기준을 기본으로 하여 5점 리커트식으로 개발된 이미옥(2012)의 한국판 동적가족화 평가척도를 사용해 채점하였다. 이 척도의 결과를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으로 양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센터를 이용한 모의 양육태도는 지지표현과 합리적 설명이 부족하고, 성취압력과 간섭, 처벌, 감독, 과잉기대 그리고 비일관적인 양육태도를 보였다. 둘째, 아동 성별에 따른 모의 양육태도는 남아보다 여아에게 합리적 설명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아보다 남아에게 간섭, 처벌, 비일관성적인 양육태도를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동 연령에 따른 모의 양육 태도는 연령이 높은 집단에 비해 낮은 집단의 모가 지지표현을 더 많이 하고, 연령이 낮은 집단에 비해 높은 집단의 모가 감독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와 아동의 나이 차에 따른 모의 양육 태도는 나이차가 많이 나는 모가 나이 차가 적은 모에 비해 지지표현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성별에 따른 동적가족화 반응특성은 여아가 남아에 비해 자기상의 눈, 어머니상의 얼굴, 아버지 상의 얼굴, 자기상의 얼굴의 완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남아는 여아에 비해 어머니상의 크기, 아버지상의 크기, 자기상의 크기가 작게 나타났다. 그리고 아동의 나이에 따른 동적가족화의 반응특성은 나이가 적은 집단이 나이가 많은 집단에 비해 어머니의 얼굴표정을 더 잘 묘사했으며, 어머니상의 크기가 더 작게 나타났다. 넷째, 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아동의 동적가족화 반응특성은 부모양육태도검사의 하위유형 8개 중 6개(지지표현, 합리적 설명, 처벌, 감독, 과잉기대, 비일관성)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모의 지지표현이 낮은 집단 아동은 부를 더 긍정적으로 지각하였고, 합리적 설명이 높은 집단 아동은 모를 가깝게 생각하지만 지나친 설명은 잔소리로 지각할 수 있음을 배제할 수 없는 결과가 나타났다. 처벌이 낮은 집단의 아동은 자신과 어머니와의 거리를 더 가깝게 나타냈으며, 감독이 높은 집단의 아동은 모보다 부를 더 긍정적으로 표현했다. 과잉기대와 동적가족화의 반응특성은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비일관성은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협동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동적가족화 반응특성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특정 대상과 검사 도구로 연구한 것이기 때문에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이러한 결과가 부모 상담 및 부모 교육과 치료적 접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앞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를 둔다.

      • 수중운동이 무릎퇴행성관절염 여성 환자에 미치는 영향

        박진식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의 목적은 50세 이상의 무릎퇴행성관절염 여성에게 수중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고 수중운동이 무릎퇴행성관절염에 있어 중재적 가치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의료기관에서 의사로부터 무릎퇴행성 관절질환으로 진단 받고 2006년과 2007년 수성구보건소 수중운동 프로그램에 지원한 50세 이상의 주민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은 모든 대상자들에게 본 연구에서 고안한 8주간(주 2회, 1회 50분)의 수중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무릎 신전각도와 체중, 체지방, 복부비만의 신체 상태 측정과 일상생활 수행능력 측정을 위한 설문지를 통해 수중운동 전·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자료는 SPSS 14.0을 이용해 t-test와 Wilcoxon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 α는 0.05와 0.01로 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중운동 전과 후 오른쪽 무릎의 신전각도(p<0.01)증가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왼쪽 무릎의 신전각도의 증가에는 호전성은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수중운동 전과 후 체중(p<0.05), 체지방률, 복부비만(p<0.01)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수중운동 전과 후 통증에서 평지 걸을 때, 계단 오를 때, 잠을 잘 때, 앉거나 누워있을 때, 똑바로 서 있을 때(p<0.01)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수중운동 전과 후 아침에 일어날 때 무릎의 뻣뻣함, 낮에 휴식 후에 움직일 때 무릎의 뻣뻣함(p<0.01)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수중운동 전과 후 이부자리에 일어날 때, 이부자리에 누울 때, 양말이나 스타킹을 신을 때, 양말이나 스타킹을 벗을 때, 계단 내려갈 때, 계단 오를 때, 의자에 앉았다가 일어날 때, 서 있을 때, 마루바닥에 몸을 구부릴 때, 평지를 걸을 때, 승용차를 타거나 내릴 때, 시장을 보러 갈 때, 욕조에 들어가고 나올 때, 의자에 앉아 있을 때, 양변기에 앉거나 일어 설 때, 힘든 집안일을 할 때, 가벼운 집안일을 할 때(p<0.01)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 무릎퇴행성관절염을 가진 여성 환자에게 수중운동 프로그램을 시행한 결과 무릎 신전각도 증가, 체성분 변화 그리고 일상생활활동 개선에 의미 있는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수중운동은 무릎퇴행성관절염을 가진 50대 이상의 여성 환자에게 증상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qua exercise on women 50 years of age or older with knee degenerative arthritis, and then examining the therapeutic value of aqua exercise in degenerative arthritis of the knee. This study lays its purpose on finding the effect of aqua exercise on women 50 years of age or older with knee degenerative arthritis, and then examining the mediating value of aqua exercise in degenerative arthritis of the kne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15 residents 50 years of age or older who had been diagnosed as degenerative arthritis of the knee by doctors from medical institutions and applied for the aqua exercise program in the Public Health Care Center in Suseong-gu in 2006 and 2007.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ll the subjects with the application of the 8-week aqua exercise program (2 times a week, 50 minutes a time), designed in the study, and th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aqua exercise were compared through questionnaires for measuring the state of the body such as the knee extension angles, weight, body fat, and abdominal obesity and physical ability in daily life.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d the Wilcoxon method through SPSS 14.0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α was set at 0.05 and 0.01.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In comparison of before and after the aqua exercise, the extension angle of the right knee (p<0.01), and while there was some improvement in the extension angle of the left knee, it was not significant. Second, In comparison of before and after the aqua exercise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weight (p<0.05), body fat ratio, and abdominal obesity (p<0.01). Third, In comparison of before and after the aqua exercise,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 patients' pain when they were walking on even ground, sleeping, sitting, lying and standing upright (p<0.01). Fourth, In comparison of before and after the aqua exercise,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stiffness when they woke up in the morning and started moving their knee after having some break time during the day. Fifth, In comparison of before and after the aqua exercise,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when they got up from the bad, were in bed, put on socks or stockings, put off socks or stockings, went upstairs, went downstairs, sat on a chair and then got up from the chair, stood, bent themselves toward the floor, walked on even ground, got on/off the car, went to market, stepped in/out of the bath, sat on the chair, sat on/got up from the toilet bowl, were engaged in hard household work and were engaged in easy household work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qua exercise program to female patients with knee degenerative arthritis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crease in the extension angle of the knee,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nd improvement in physical activities in daily life.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aqua exercise is an effective meditating method in order for female patients 50 years of age or older to improve their symptoms.

      • 대학생들의 모발 염색에 관한 인식도

        송준옥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15

        대학생들의 모발염색에 대한 인식 및 경험여부 등을 조사 분석하기 위해 2007년 9월 1일~ 9월 15일까지 15일간에 걸쳐 경북, 부산지역에 위치한 남,녀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중 324부를 본 자료로 이용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요약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의 분포는 남학생이 21.3%, 여학생이 78.7%로 여학생이 높았고 학년별로 2학년이 39.8%로 예능계열이 49.4%높았다. 모발색상은 흑색이 53.4%로 가장 많았으며 모발형태는 약간 곱슬머리 53.7%, 현재 모발 상태는 손상모발이 46.3%, 매우 손상이 13.0%로 절반이상이 손상모였다. 2) 지난 1년 동안 염색경험여부는 53.1%가 경험이 있었으며 여학생의 경우 58.8%가 경험이 있었으며 남학생은 염색경험이 있다가 31.9%로 여학생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학년별로는 4학년 62.2%, 3학년 59.0%, 2학년 56.6%, 1학년이 44.4%로 학년이 높을수록 염색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전공별로는 경험이 있다가 예체능계열이 62.5로 높았고 자연공학계열 51.1%, 인문사회계열이 35.1%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염색경험이 없는 이유는 본래의 머리색이 좋아서 40.8%, 건강에 해로울 것 같아서 25.7%, 보기 좋지 않아서 18.4%, 경제적 부담 때문에 15.1%순이었다. 3) 염색을 하는 주된 이유로는 변화를 주기 위해서가 77.8%로 매우 높았으며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하여 9.4%, 타인의 권유로 5.8%, 유행을 따르고 싶어서 4.1% 남의 시선을 끌기 위해 2.9%순이었고 성별, 학년별, 전공계열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4) 염색주기는 6개월에 1번이상이 46.5%로 가장 높았고 4-5개월에 1번 25.6% 한달에 1번 7.6%, 수시로 바꾼다 3.5%순이었다. 성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으며 학년별, 전공계열별 분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5) 1회에 드는 염색비용은 2-3만원이 41.3%, 2만원이하 27.9% 3-4만원 22.7%, 5만원 이상 8.1%순이었다. 컬러 변화를 주기 위해 이용하는 장소로는 미용실에서 72.7%, 집에서 하는 경우도 27.3%를 차지하였다. 6) 미용실과 집에서 하는 모발염색차이는 조금난다 71.5%, 확실하게 난다 27.9%, 차이가 나지 않는다 0.6%순으로 나타났으며 미용실과 집과의 차이 나는 이유는 전문인과의 기술차이가 48.3%, 제품 차이 23.3%, 모발상태차이 20.9%, 기분 상 7.6% 순이었다. 7) 전문가와의 상담여부는 충분히 상담하지 않는다 62.8%로 높았으며 상담한다가 37.2%이며 염색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 58.7%, 만족 39.0%, 불만족 2.3%순이었다. 8) 좋아하는 모발색은 검정이나 어두운 색이 39.0%로 가장 높았고 황금색29.7%, 적색 10.5%, 갈색 10.5%, 녹색 4.7%, 2가지이상 복합색 4.7%, 회색 3.5%순이며 학년별, 전공계열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05) 염색의 밝기와 색상을 정할 때는 나 자신이 선정 한다 74.4%로 가장 높았으며 시술자의 권유 16.3%, 광고를 통해서 6.4%순이었다. 9) 염색 전 패치테스트를 하는 경우는 11.0%로 경미했으며 패치테스트를 하지 않는 경우는 75.0%로 높게 나왔다. 모발 염색 후 부작용으로는 눈이나 두피가 가렵거나 따가웠다 87.5%로 높았고 구토나 현기증이 5.4%, 모발이 거칠어지고 잘 끊어졌다 1.8%순이었다. 10) 모발 염색 후 염색전용 샴푸를 사용 한다 26.2%에 불과했으며 일반샴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51.2%). 트리트먼트제는 사용한다. 62.8%, 사용하지 않는다 11.0%에 불과했다. 11) 모발염색제의 성분과 작용에 대한 이해정도는 조금 이해한다 53.5%, 이해하지 못한다 40.4%, 완전히 이해하고 있다 6.4%순이었다. 성별, 학년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고 전공별로는 유의성이 있었다(p<0.01) 12) 모발 염색시 손상도가 가장 높은 염모제는 일반 염모제가 68.0%가장 높았으며 산성염모제가 26.7%, 식물성 염모제 5.3%순이었다. 13) 식물성 염모제로 사용한 경험여부에서는 염색경험이 없다 66.3%, 경험이 있다 33.7%로 식물성 염모제 사용경험이 없는 경우가 높았다. 식물성 염색의 장점에 관해서는 자극이 없다가 44.2%로 높았으며, 모발에 윤기가 난다 35.5%, 색상이 좋다 20.3% 순이었다. 식물성 염모제 사용시 불만족의 경우, 원하는 색상에 조금 못 미쳐서 47.2%, 시간이 많이 걸려서 13.9%순이었다. 14) 모발염색 정보는 패션잡지 등의 생활 정보지가 34.9%로 가장 높았으며 헤어디자이너와 TV등의 방송매체가 각각 18.6%로 동일하게 나타났고 친구나 동료가 14.5%이었다. 2. 결론 모발 염색은 외적이미지표현에 변화를 줄 수 있는 강력한 수단으로 헤어패션에 있어서 모발 염색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미용 산업의 성장과 발전에 크게 기여하여 왔다. 그러나 화학제품이 다수를 이루고 있어 모발 손상과 신체적인 부작용에 대한 문제점이 따르기 마련이다. 이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산성컬러, 중성컬러, 식물성 염모제가 나왔지만 화학제품에 비해 유지력도 짧고 색상에 대한 제한도 있어 멋스런 헤어컬러의 연출에는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모발염색을 할 때 주로 화학제품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화학제품으로 염색할 경우, 기존의 모발상태와 두피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염모제를 선택하여 시술하는 것이 To research and analyze recognition and experience of hair dy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50 students of universities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Busan through random sampling. Among questionnaires returned, 324 copies went through analysis, obtaining the following summary and conclusions. 1) A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21.3% were male and 78.7% were female; 39.8% were sophomores; and 49.4% were at the art course. 53.4% were black in terms of color; 53.7% were slightly wavy in terms of style; and more than a half had their hair damaged―46.3% damaged and 13.0% seriously damaged―in terms of conditions. 2) As for experience in dyeing for the last year, 53.1% of females had experience while 68.1% of males had no experience with high significance (p<0.000). In terms of school years, the higher school year, the more experience in dyeing―62.2% for seniors, 59.0% for juniors, 56.6% for sophomores, and 44.4% for freshmen―with no significance (p = 0.117). As for relations between majors and experience in dyeing, the art course showed the largest rate of experience (62.5%), followed by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51.1%) and cultural and social sciences (35.1%), with high significance (p<0.000). The greatest reason for no experience in dyeing was preference for the original color (40.8), followed by concerns about harmfulness to health (25.7%), bad-looking (18.4%), and economic burdens (15.1%). 3) The greatest reason for dyeing was making change (77.8%), followed by relief of stress (9.4%), recommendation by others (5.8%), wish to follow the fashion (4.1%), and attracting others' eyes (2.9%), with no significance by gender, grades, and majors. 4) As for dyeing cycles, 46.5% changed it more frequently than every six months (46.5%), followed by every four or five months (25.6%), once a month (7.6%), and changing at any time (3.5%). It was significant by school years and majors, with no significance by gender. 5) The most widespread cost of dyeing was 20,000 to 30,000 won (41.3%), followed by 20,000 won or less (27.9%), 30,000 to 40,000 won (22.7%), and 50,000 won or more (27.3%). 72.7% used a professional beauty shop to change colors while 27.3% did it at home. 6) 71.5% suggested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hair dyeing between a professional beauty shop and home, followed by remarkable differences (27.9%) and no difference (0.6%); the greatest reason for differences between a professional shop and home was technical differences (48.3%), followed by differences in conditions of hair (20.9%) and feeling (7.6%). 7) As for consultation with an expert, 62.8% had sufficient consultation and 37.2% had consultation; as for satisfaction with dyeing, 58.7% were at the average level, followed by being satisfied (39.0%) and being dissatisfied (2.3%), showing satisfaction as a whole. 8) The most preferred color of hair was black or dark color (39.0%), followed by gold (29.7%), red (10.5%), copper (10.5%), green (4.7%), mixed color (4.7%), and ash or gray (3.5%), with significance by school years and majors (p<0.05). Significantly more subjects selected brightness and color for dyeing by themselves rather than by recommendation by a treatment giver: 74.4% selected themselves, followed by recommendation by a treatment giver (16.3%) and advertisement (6.4%). 9) Only 11.0% went through patch test prior to dyeing and 75.0% went through no patch test. As for side-effects of hair dyeing, 87.5% suffered from itching or tingling in eyes or scalp, followed by vomiting or dizziness (5.4%) and damaged hair such as having hair roughened and broken (1.8%). 10) Only a small number of subjects were using a shampoo specific to dyed hair after hair dyeing (26.2%) and more subjects were using a general shampoo (51.2%). 62.8% were using a treatment agent and 11.0% were not using it. 11) They had some understanding of ingredients and actions of a hair dye: 53.5% for some understanding, 40.4% for no understanding, and 6.4% for full understanding. It was significant by majors (p<0.01), with no significance by gender or school years. 12) They had an understanding of damage of a hair dye: 68.0% suggested that a general hair dye produced the most serious damage in dyeing hair, followed by acidic one (26.7%) and vegetable one (5.3%). 13) More subjects had no experience in using a vegetable dye: 33.7% had experience in using a vegetable hair dye and 66.3% had no such experience. The greatest advantage of a vegetable hair dye was no irritation (44.2%), followed by glossy hair (35.5%) and good color (20.3%). As for dissatisfaction, 47.2% suggested some failure to reach desired color, followed by much time taken (13.9%); therefore, the greatest disadvantage is monotonous color. 14) 34.9% got information on hair dyeing from living information booklets including fashion magazines, followed by hair designers and broadcasting media including TV (18.6%) and friends or colleagues (14.5%). Thus, they primarily got information on hair dyeing from fashion magazines or living information booklets. Hair dyeing holds a great part of hair fashion as a strong means of changing external image expression and has made great contributions to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beauty industry. However, most products are chemical ones, which damage hair and cause physical side-effects. As alternatives, acidic, neutral, and vegetable hair dyes have shorter maintenance as compared with chemical products and give restriction to colors, making it difficult to produce stylish color; for this reason, chemical products are primarily used in dyeing hair. In dyeing hair with a chemical product, it is possible to reduce damage to hair to the minimum and get the maximum effects by determining the conditions of the existing hair and scalp and selecting an appropriate hair dye for treatment.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chemical dyes were mostly being used since vegetable hair dyes have a disadv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