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교사 전보제도의 운영실태와 개선요구 분석

        강세정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연구의 목적은 대구광역시의 초등교사 전보제도의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개선요구를 분석하여 대구시의 전보제도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대구광역시 초등교사들의 전보제도에 대한 인식정도는 어떠한가? 2. 초등교사 전보제도 운영의 실태는 인식정도는 어떠한가? 3. 지역 교육청간 전보제도에 대한 실태는 어떠한가? 4. 대구광역시교육청 인사전보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개선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대구광역시내 4개 지역교육청의 초등교사 364명을 연구대상으로 표집하여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행 전보기준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도는 다소 양호한 편이나 만족도는 낮았으며 전보기준 설정시 교사들의 의견이 별로 반영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2) 전보 희망 학교를 선택한 이유로는 거주지와 가까운 곳에 전보 되기를 희망하는 교사가 과반수가 넘었으며 근무분위기가 좋은 곳과 규모가 큰 학교도 교사들이 선호하는 학교로 나타났다. 3) 교사들은 달성군 교육청과 서부교육청에 부여하는 승진 가산점이 전보 희망에 매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거주지와 거리가 먼 달성교육청과 서부교육청을 기피하는 경향이 많았으며 가산점 부여기준이 공정하지 못하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4) 전보점의 구성항목인 경력점, 근무평점점, 개인 및 집단가산점 중에서도 근평점축소와 개인가산점축소에 대한 개선 요구가 가장 많았다. 또한 청간 전보조건 불균형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는 대구시 전체를 단일 전보권으로 하자는데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operational conditions of transference system for elementary schoolteach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analyze corresponding remedial needs, so that it may show the directions of improving current transference system in the municipal level. For these goals, the basic assignments can be outlined in detail as follows: 1 How elementary schoolteach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recognize current transference system? 2. How they recognize the operational conditions of current transference system for elementary schoolteachers. 3. How they recognize current transference system between local offices of education? 4. What they request and need in current system of personnel transference in 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this study, total 364 elementary schoolteachers sampled as subjects from 4 district offic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who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a questionnaire survey as specially designed. The results of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or a question asking "Do you have overall comprehension about current criteria of transference?", majority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understood the criteria. However, most of them recognized that their opinions were not well reflected on setting up new transference criteria. 2) For a question asking "Why did you select your desired schools to transfer?", majority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was because they wanted to transfer into schools near to their home. Of course, many of them preferred the schools with good working atmosphere or large-sized schools. 3) Lots of respondents thought that current promotion incentive points as provided by Dalseong/Seobu Office of Education in Daegu metropolitan c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desire for transference into another school. Many of them had high tendency to shirk aforementioned offices because of long distance from their home, while recognizing that the current criteria of incentive points are not fair. 4) For transference incentive points such as career points, work rating and individual/group incentive points, it was most often pointed out that current curtailed work rating and individual incentive points should be improved sooner or later. For the practical policies to relieve imbalanced conditions of transference between local offices of education in a region, all respondents showed the highest response to a proposal that the Daegu metropolitan area should be considered as a single transference coverage.

      • 대구광역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명암(明暗)

        임영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DMOE’s(Daegu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policy on the creativity education during the past 20 years has been carried out, and to evaluate its process and results. To complete the study’s objective, this study uses documents analysis and interview as the research method. The followings ar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explored in the study. Firstly, what are the positive aspects(the light) on the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Secondly, what are the negative aspects(the shade) on the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Thirdly, what are the implications and alternatives of the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found ‘congruency’, ‘continuity’, ‘systematicity’, ‘specificity’, and ‘validity’ as positive aspects of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found followings: First, the DMOE failed to realize the plan to develop a tool for measuring creativity. Furthermore,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there existed gaps in satisfaction level for each concrete project and perception on the factors that restricted proper implementation of the DMOE’s policy on creativity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third research ques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ings are discussed. Firstly, the gap in perception between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is inevitable in the course of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policies. Due to this, it is crucial to constantly revise them based on reality to solve this problem. Secondly, as a suggestion of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for the past 20 years, it was discussed that the direction of policy should be placed on the expression of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through daily classroom classes. Finally, the meaning of 'question' in creativity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classroom with questions' as an alternative to DMOE’s creativity education were examined. The practical contribu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One of practical contributions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a basic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from 2001-20 through an overview and analysis of pros and cons. Thi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This study also provides organized data on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for the past 20 years despite the DMOE has not published a white paper on the creativity education policy. On the other hand, sinc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rough an overview of the DMOE’s creativity education policy, it has a limitation in specifically dealing with cases of creative instruction and evaluation. Another limitation to the study is that it collected data through a small number of interviewees because it conducted interviews to supplement the literature analysis as the main research method. 본 연구는 2001~2020년의 대구광역시교육청(이하 대구시교육청)의 창의성 교육 정책의 전개 과정을 되돌아보고, 그에 대한 명암(明暗)을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에 대한 문헌 분석과 면담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명(明)은 무엇인가? 둘째,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암(暗)은 무엇인가? 셋째,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시사점과 대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결과는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명(明)은 정합성, 지속성, 체계성, 구체성 및 타당성의 다섯 가지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암(暗)은 두 가지로 나타났다. 우선, 대구시교육청이 창의성 측정 도구 개발 계획을 실현하지 못한 점이다. 둘째, 2002~2008년의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실태 조사에 대한 분석에서 사업별 만족도와 장애 요인에 대해 관리자와 교사 간 인식의 차이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탐색한 세 번째 연구 결과에서는,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시사점과 대안이 논의되었다. 우선, 교육 정책의 집행 과정에서 관리자와 교사 간의 인식의 차이는 불가피하다는 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실에 맞게 끊임없이 수정해 나가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이 논의되었다. 둘째, 지난 20년간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시사점으로 일상적인 교실 수업을 통해 학생의 일상적인 창의성의 발휘에 정책의 방향성을 두어야 한다는 점이 논의되었다. 마지막으로, 창의성 교육에서 ‘질문’의 의미와,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의 대안으로 ‘질문이 있는 교실’의 도입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와 한계를 지닌다. 우선, 본 연구는 2001~2020년의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개관과 명암의 분석을 통해 그에 대한 기초적 이해와 평가 작업을 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는 추후 대구 창의성 교육 정책에 대한 방안을 모색할 때 기초자료로 유용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대구시교육청이 그간의 창의성 교육 정책에 대한 별도의 백서를 발간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난 20년간의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에 대한 자료들을 수집, 정리하여 기록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편, 본 연구는 대구시교육청 창의성 교육 정책의 개관을 통한 평가를 목적으로 하였기에 창의성 교육에 대한 수업과 평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은 한계를 지닌다. 그리고 본 연구는 주 연구 방법인 문헌 분석의 보완을 위해 면담을 수행하였기에 소수의 면담자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 대구 지역 초등학교 '방과후학교'의 음악활동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김태웅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79

        초등학교 시기는 신체적, 지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성장․발달하는 중요한 시기이며 한 인간이 평생을 살기 위해 당연히 갖추어야하는 학습습관과 생활습관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특히 정서는 앞으로 살아가는 동안 아동에게 크게 영향을 끼치며 올바른 정서를 갖춘 아동은 사회의 구성원으로써 조화롭고 자신의 자아실현을 위해 끊임없이 열중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갖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초등학교 시기에 올바른 정서를 길러주기 위한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세계화추진위원회는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10대 정책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중 단기과제의 하나인 「방과 후 아동지도제도 도입」은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에 따른 자녀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과 사회가 함께 아동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교육해야 할 책무가 있음을 제시했다. 이는 더 이상 아동의 방과 후 지도는 가정만의 책임이 아니라 사회가 그 해결의 주체가 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해야 할 일임에는 틀림이 없다. 지금까지 각 가정에서 맡아오던 아동의 보호 및 지도에 대한 책임을 이제는 사회가 분담해야 할 시기가 되었음을 고지하고, 아동보호의 공적 책임을 강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방과 후 아동지도는 맞벌이 부부와 편모․편부의 취업활동을 돕고, 아동들을 안전하게 보호․지도하기 위해 절실하게 요구되는 부분이다. 아동의 방과 후 시간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지도함으로써 기혼 여성들이 마음 놓고 취업 전선에서 일을 할 수 있고, 기혼여성이 취업의 기회를 갖거나 이미 취업을 하고 있는 여성에게 자신의 일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회적 차원에서 지원을 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최근 아동 양육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날이 갈수록 떨어지는 출산율을 높일 수 있는 근본적인 방편이 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게다가 방과 후 아동지도는 「여성발전기본법」에서도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방과 후 아동의 보호와 건전한 생활을 위한 시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방과 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은 가정교육과 학교교육을 연계시키고, 학교수업시간과는 차별화하면서 이루어져야 할 특성을 가진다. 즉, ‘방과후학교’ 교육자는 부모와 학교 교사의 역할을 함께 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아동들이 가정에서 부모로부터 받게 되는 사랑과 신뢰를 충분히 부여하면서, 또한 학교에서 교사들이 제시하는 올바른 인성 교육과 실습 위주의 교육 역시 행해야 한다. 방과 후 아동지도는 학교 교육과 연계하여 지도하되, 학교교육의 연장이 아니라 보다 자유롭고 새로운 방법으로 아동을 다루고 지도해야 한다. 방과 후 아동지도는 사회적․정서적 발달에 중점을 두고 획일화된 학습이 아닌 다원화된 실천 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방과 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전 학년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전 학년의 발달특성을 감안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방과 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은 초등학교의 학습영역과 가정에서의 생활영역을 종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들이 방과 후 아동지도를 통해 안전하게 보호되고, 가정에서 부모를 대신하는 활동을 통해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며, 학교교육을 보완하는 활동을 위해 창의성 개발과 사고력 신장을 위한 활동을 모색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크게 방과 후 학교에 대한 이론적 검토, 현재 초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음악분야 방과 후 학교의 실태 및 공공단체에서 실시되고 있는 방과 후 학교 음악활동 사례에 대한 조사, 앞으로 갖추어지고 보완되어야 할 방과 후 학교 음악활동 개선 방안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론적 검토는 최근에 발표된 논문과 신문기사 등 문헌을 보고 분석하였으며 ‘방과후학교’의 음악활동 실태는 대구 시에서 2006년 현재 ‘방과후학교’ 시범학교로 지정되어서 운영되고 있는 대구시 교육청 지정시범학교 'DE'초등학교, 'S'초등학교, 'C'초등학교, 'G'초등학교와 교육인적자원부 지정 'D'초등학교, 그리고 대구광역시 공공단체를 선정하여 현재 실시하고 있는 ‘방과후학교’ 음악활동분야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그러므로 지역별로 있을 수 있는 충분한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각 초등학교의 ‘방과후학교’의 실태를 정확히 분석해야만 그에 따른 올바른 개선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하지만, 정확한 실태 파악을 위해서는 대구 시에 모든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조사를 해야만 하지만, 인적, 물적, 시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현재 ‘방과후학교’ 시범학교로 운영하고 있는 5개 학교와 대구시 공공단체에서 현재 운영하고 있는 ‘방과후학교’로 그 실태분석을 제한한다. 대구 시에서 5개 학교를 분석하는 것으로는 여러 가지 객관성의 차원에서 자료가 부족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하여 제2의 제3의 후속 연구가 진행된다면 대구시의 ‘방과후학교’ 음악활동의 문제점들과 실태를 보다 제대로 알고 훨씬 더 발전된 개선방안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 전문상담교사양성과정에재학중인상담전공교육대학원생의 첫상담실습참여경험에관한합의적질적연구

        윤선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상담 전공 대학원생의 첫 상 담 실습 참여 경험에 관한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문상담 교사 양성과정 커리큘럼 중 상담 실습 및 사례연구 강좌를 수강하면서 상담 실습에 참여한 연구참여자 25명의 경험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큰 표본을 통해 모집단을 더 완벽하게 묘사하며 개별 사례의 특별함을 탐색할 수 있는 연구 방법으로서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CQR-M)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상담 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첫 상담 실습 경험은 25명의 경험 내 용으로부터 4개 영역과 2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각 경험에서 나타난 구체 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로서 기대감과 부담을 동시에 가짐’ 영역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첫 실습에 대한 설렘과 기대감을 보였지만 자신의 부족한 상담역량을 인식하 고 실습에 부담감을 느낀 경험이 주요 범주로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이러한 부담을 덜어내고자 스스로 다양한 방법으로 전문성을 강화하고자 노력하는 모 습을 보여주었다. 둘째, ‘상담 수행과정에서 상담자로서 전문성의 한계를 절감함’ 영역에서는 상담 실습 중 연구참여자들이 겪은 어려움이 주요 범주로 도출되었다. 참여자 들이 상담 실습 중 경험한 다양한 어려움은 부족한 상담역량으로 내담자 선정 부터 막막하게 느껴짐, 전문성의 한계로 상담 방향을 확신하지 못한 채 성급 하게 문제를 해결하려는 자신을 발견함, 주 호소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 해 상담 중 예상치 못한 문제를 발견하여 당황함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담자로서 성장과 변화를 경험함’ 영역에서는 이전까지 학교 장면에 서 피상적인 일회성 상담을 해왔던 연구참여자들이 여러 회기의 과정으로서 상담을 진행하면서 상담에 자신감을 느끼고 상담자로서 자부심을 얻게 된 경 험들이 주요 범주로 도출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실습 경험을 통해 공감과 지 지로 내담자의 깊은 내면을 끌어낼 수 있음을 배우고, 전문성을 높여 내담자 를 돕고자 하는 초심을 떠올리며 부족한 역량을 보완하고자 노력한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이 영역에서는 상담자로서 내담자를 조력하여 상담 목표를 달성 해 보람을 느끼고, 실제 상담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연구참여자들 스스로 자 부심과 자신감을 갖게 된 경험 등이 드러났다. 넷째, ‘실습제도 및 교육과정 개선의 필요성 절감’ 영역에서는 연구참여자들 이 실습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을 토대로 개선되기를 바라는 점이 주요 범주 로 도출되었다. 주요 내용으로는 실습에 직접 도움이 되는 과목 편성 필요, 실 습 내용을 충분히 연구하고 나눌 수 있는 사례연구 시간이 확보되어야 함, 졸 업 전 상담 실습이 한 번 뿐이라는 두려움과 아쉬움, 실습 중 상담자의 불안 을 낮추어 줄 슈퍼바이저의 지지와 적극적인 피드백이 필요함, 학교상담 매뉴 얼의 필요성 절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첫째,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서 상담 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첫 상담 실습 경험을 자세히 분석하여 실습 전, 중, 후에 초심상담자가 겪는 다양한 경험을 파악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전문상담사 양성과 관련되어 초심상담자가 겪는 어려움에 주목하였다면, 본 연구는 기존의 교사들이 전문상담교사가 되 기 위해 노력하는 양성과정에서 경험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참여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서 상담 실습이 갖는 의미와 한계를 분석한 후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 는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서 ‘상담 실습 및 사례연구’에 처음 참여하는 교육 대학원생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상담 전공 에서 상담 실습 및 사례연구 강의의 의의과 가치를 확인하고 전문상담교사 양 성과정과 관련 해당 과목을 내실 있게 운영하기 위해 과목의 수정 및 보완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주요어 : 전문상담교사, 상담, 교육대학원,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CQR-M), 상담 실습

      • 웹 기반의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김은정 大邱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1990년대 이후 학교 교육 현장의 변화를 주도한 것은 '열린 교육'과 '교육 정보화'였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영향을 받아 제7차 교육과정이 탄생하였다. 제7차 교육 과정에서 강조하는 7세계화·정보화 시대에 적합한 인간 육성과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교육 현장에서 실현시키기 위한, 가장 적합한 학습 방법 중 하나는 최근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Web-Based Project Learning)이다. 그러나 아직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하기에는 교육 현장의 여건이 제대로 조성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위한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과정을 '프로젝트 주제 제안', '프로젝트 계획', '프로젝트 수행', '웹 출판', '프로젝트 평가'의 5단계로 제시하고, 이에 따른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시스템을 설계·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학습자가 시스템 환경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학습자가 개별 프로젝트를 등록하거나 선택하여 계획, 수행, 웹 출판, 평가에 이르는 일련의 학습 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학습자 모듈', 그리고 시스템 관리자가 프로젝트 학습 시스템과 학습자 및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자 모듈'과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설계·구혈한 시스템을 대구광역시내 초등학교 3학년 남 44명, 여 33 명, 총 77명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 적용한 결과,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시스템을 적용한 학습이 전통적인 수업 방식에 비해 학습자의 정보통신기술활용 능력과 학업 성취도에서 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향후 연구 과제로는 프로젝트 학습 시스템에 대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후속 되어야 하고, 프로젝트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도움을 받고자 하는 전문가와 쉽게 연결될 수 있는 방법도 모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sign and implement an efficient Web-based Project Learning System(WPLS) in particular for the interactive of 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Web-based Project Learning System(WPLS) in this paper has four main parts ; user interface, learner module, administrator module and database. This system was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ject themes solving learning processes. So the learner module consists of five steps ; project theme proposal, project plan, project execution, web-publishing, and project test. In order to inquire of this system's effectiveness, two classes of the 3rd grade students in Taegu were selected and examined as a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group was taught by WPLS and the control group was organized by teacher's lectrue.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performed for assessing student'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us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thesis were summarized as follow :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moting ICT using ability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moting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 that WPLS can improve student's ICT us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thesis because there are not so many students engaged in this system. Now I expect the system to be develop more interactive.

      • 학교 조직풍토가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미치는 영향

        전리나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학교 조직풍토가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 조직풍토가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세가지 설정하고 가설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로 대구지역의 초등학교 교사 120명에게 노종희(1990)의 OCDQ-KOR 설문지를 수정한 것과 이경진(2020)의 통합교과 운영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첫째, 교사들의 개인변인 및 학교 배경변인이 학교 조직풍토와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주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교 배경변인 중 일부만이 학교 조직풍토에 영향을 줄 뿐 교사의 개인변인은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학교 조직풍토 중 교사의 행동이 교장의 행동에 비해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조직풍토의 개방성 지수는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를 통해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동질성이 높은 교사들의 내적 의지를 높일 수 있는 헌신적 행동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교사간 서로 성장과 배움이 일어날 수 있는 학교 조직풍토를 만들어 가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문화예술적 소양 함양을 위한 1인 1악기 체험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

        이진화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one–person–one–musical instrument experience program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designated ‘Art flower seed school project’ and examine how it affects cultivation of cultural artistic literacy. For this purpose, literature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musical education, cultural artistic literacy was reviewed.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s and elements of cultural arts education, musical instrument education, cultural artistic literacy is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ior research. Second, we will develop a one–person–one–musical instrument-centered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fter-school club activities, and curriculum convergence lesson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apply the developed program to the class. Fourth, analyze the effects of one-person-one-musical instrument experience program on cultural and artistic cultivation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8 students in the 1st ~ 6th grades of K elementary school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e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one-person-one-musical instrument experience program on cultural and artistic cultivation. To investigate the quantitative change, we conducted pre-test and post-test using the standardized test paper and the satisfaction survey paper presented by the Korea Culture and Arts Promotion Agency as a measurement tool. The degree of cultural and artistic cultivation of students was measured and analyzed through t-t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tandardization survey of cultivating arts and culture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t=-2.679, p<0.01) in overall cultural artistic literacy improvement program. Second,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ulture and arts and culture standardization test site showed that creativity (t=-2.710, p<0.01), sociality (t=-2.193, p<.05) , And cultural arts sensitivity (t=-3.922, p<0.001). Thir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tandardization test for cultural artistic literacy, it was found that the self-efficacy, self-control ability, and self-expression power of the sub-factors of cultural artistic literacy improved on the averag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survey on the operation of one musical instrument experience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infrastructure, human infrastructure, and cooperation base for the one-person-one-musical instrument experience program were formed through the creation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environment for one person. Second, through the operation of one-person-one-musical instrument experience program, music club activity, culture art education,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focused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plan were developed and developed effectively. Third, the after-school music club, woodwind orchestra, cultural concert, local culture and art classroom, and community-related events were effectively conducted through the activation of one-person musical instrument experience. In order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questionnaire and to analyze the research results qualitatively, additional analyzes were carried out by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students have a sense of self-efficacy as a belief in one's own ability to succeed when one's own musical experience program is operated. Second, the operation of musical instrument experience program for one person has a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He showed a wide range of thoughts and a fusion of thinking. Third, self-regulated ability was able to be raised through the operation of one-person-one-musical instrument experience program. Students listened to each other's voices and regulated some of their actions in order to keep the norms of the group. Fourth, the students experience the concert activities of several musicians through the one-person musical instrument experience program, so they listen to the sound of their opponents and develop self-expressive ability to convey their voices accordingly. Fifth, the operation of the one - person musical instrument experience program is based on ensemble and concert activities which are composed of a large number of students, so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ociality and reaches the stage of feeling happiness through peer and senior relationship. Sixth, the operation of experience program for one-person-one-musical instrument positively influenced the sensitivity of culture and arts, so that they have the habit of enjoying culture and art in their lives and they have developed an aesthetic sense of beauty. Seventh, it was effective to reduce the stress and to live happily through the experience program of one-person-one-musical instrument. Students were able to control their own stress by controlling their emotions through one-person-one-musical instrument experience programs and improved relationships, thus contributing to emotional health and happiness. Key words: one-person-one-musical instrument, cultural artistic literacy, culture and arts education, orchestra, elementary school.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으로 실시된 1인 1악기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문화예술적 소양 함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서 문화예술교육, 악기 교육, 문화예술적 소양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교육과 악기 교육, 문화예술적 소양에 관한 개념과 요소를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한다. 둘째, 1인 1악기 체험 프로그램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1인 1악기 중심 창의적 체험활동, 방과후 동아리 활동, 교과 융합 수업을 개발한다. 셋째, 개발한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한다. 넷째, 실험 처치 후 1인 1악기 체험 프로그램이 문화예술적 소양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K 초등학교 1~6학년 238명으로 하였다. 1인 1악기 체험 프로그램이 문화예술적 소양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양적,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양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제시한 표준화 검사지 및 만족도 조사지를 측정 도구로 활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에 학생들의 문화예술적 소양 함양 정도를 측정하여 t-검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적 소양 함양 표준화검사지 통계분석 결과, 1인 1악기 체험 프로그램은 문화예술적 소양 향상 전반에 유의한 효과(t=-2.679, p<0.01)가 있었다. 둘째, 문화예술적 소양 함양 표준화검사지 통계분석 결과, 1인 1악기 체험 프로그램은 문화예술적 소양의 하위요인 중 창의성(t=-2.710, p<0.01), 사회성(t=-2.193, p<.05), 문화예술민감성(t=-3.922, p<0.001)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문화예술적 소양 함양 표준화검사지 통계분석 결과, 1인 1악기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문화예술적 소양의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력, 자기표현력의 수치는 평균적으로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인 1악기 체험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 1악기 체험 교육환경 조성을 통해 1인 1악기 체험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물적 기반, 인적 기반, 협력 기반이 형성되었다. 둘째, 1인 1악기 체험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음악 동아리 활동,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 교수·학습안 구안 및 전개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다. 셋째, 1인 1악기 체험 활성화 운영을 통해 방과후 음악동아리, 우드윈드 오케스트라, 문화콘서트, 지역 문화예술교실, 지역사회 연계 행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다. 검사지 반응의 한계를 보완하고 연구 결과를 질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학생, 교사, 학부모의 소감문을 통한 분석을 추가로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1인 1악기 체험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자신도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인 자기효능감을 갖게 되었다. 둘째, 1인 1악기 체험 프로그램 운영은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생각의 폭이 넓어지고 융합적 사고를 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1인 1악기 체험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자기조절력을 기를 수 있었다. 서로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단체의 규범을 지키기 위해 자신의 행동을 일부 조절하게 되었다. 넷째, 1인 1악기 체험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여럿이 함께 활동하는 합주활동을 경험하게 되어 상대방의 소리에 귀 기울이며 그에 맞추어 나의 소리를 전달하는 자기표현력을 기르게 되었다. 다섯째, 1인 1악기 체험 프로그램 운영은 다수의 학생이 집단을 이루는 앙상블 및 합주 활동을 기반으로 하기에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동료, 선후배 관계를 통해 행복을 느끼는 단계에 다다랐다. 여섯째, 1인 1악기 체험 프로그램 운영은 문화예술민감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 생활 중에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습관을 갖게 되고 그 아름다움을 느끼는 심미안을 기르게 되었다. 일곱째, 1인 1악기 체험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행복한 생활을 하는 효과가 있었다. 자신의 감정을 1인 1악기 활동을 통해 조절하며 관계가 개선되는 등 자신의 스트레스를 관리하게 되어 정서 건강 및 행복한 생활 영위에 도움이 되었다. 주요어: 1인 1악기, 문화예술적 소양, 문화예술교육, 오케스트라, 초등학교

      • 『아기 돼지 삼형제』 패러디 동화를 활용한 동화 창작 지도 방법 연구

        서효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It is becoming important for individuals to produce content on their own initiative. In order to produce high-quality contents, sophisticated creative ability capable of appropriately utilizing various media such as writing, painting, music, and video is required based on creative ideas. Among them, writing is the easiest and most basic way to express human expression needs among various media.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ducate the ‘creation’ that an individual can produce a content by writing. However, the creation of these literatures is not done under vacuum. A literary work is made in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other literary works. No matter how innovative the artist has made, it means that he can not be totally independent of the various works that existed before. The interrelation of one text with another is called ‘intertextuality’. There is a literary strategy that utilizes the intertextuality of literature in a sophisticated way. It is ‘parody’. A parody that reveals the world view through the difference by mixing the artist's own discourse with the original text world that already exists can be a representative strategy of the intertextuality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learners can learn parody typ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original text and parody text, and apply it to the creation of a fairy tale for elementary school senior students(5th-6th graders). Therefore, I decided to select one original with various parody works for reducing the burden of teachers and learners and for more creative instruction. As the text to be used in the study, Three Little Pigs were selected. This study is characterized by the learner comparing the original text with the parody text, examin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discovering the parody type. However, if I provide different texts for each stage and type of parody, the burden of learners will be increased. Therefore, one original text and various parody texts are needed to provide enough learner with sufficient quality parody works while reducing the burden of learning amount. Therefore, Three Little Pigs were selected as research texts. In the original text of the Three Little Pigs, I chose Three Little Pigs in the Old Story of the English story by Jacobs. In the parody text, I choose the works suitable for the conditions of Chapter Ⅱ. Then, I consider the subject and purpose of the study. After that, making selection criterias, I present suitable works. This study will devise instructional steps and methods for the fairy tale creation using Three Little Pigs parody works, and suggest the significance of the guidance. First of all, I will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parody and parody fairy tale in chapter Ⅱ, and the three elements(Character, Event, Setting) of fairy tale composition. In chapter Ⅲ, I analyze the original text and parody text, Three Little Pigs, based on the 3 elements of fairy tale composition. Then, I find the key parody elements and summarize the parody type of Three Little Pigs parody texts. In section 1, the original text was analyzed in detail from the viewpoint of Character, Event and Setting. In section 2, parody text was analyzed in detail from the viewpoint of Character, Event and Setting too. In chapter Ⅳ, I apply 3 parody types of Three Little Pigs, which are summarized in Chapter Ⅲ, one step at a time, and add a free parody fairy tale creation stage to present a total of 4 steps. In section 2, I propose a fairy tale creation a teaching - learning model using Three Little Pigs parody texts. In section 3, I suggested the significance of a fairy tale creation instruction using a parody fairy tale.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will be able to compare paradigm texts with original texts and parody texts, and learn parody types, and apply it to fairy tales to create parody works. 개인이 주체적으로 콘텐츠를 생산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글, 그림, 음악, 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교한 창작 능력이 요구된다. 그중에서도 글은 다양한 매체 가운데 인간의 표현 욕구를 나타낼 수 있는 가장 쉽고도 기본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개인이 글로써 하나의 콘텐츠를 생산해 낼 수 있는 ‘창작’에 대한 교육은 중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문학의 창작은 진공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하나의 문학 작품은 다른 문학 작품들과 유기적인 관련성 속에서 만들어 지는데, 이러한 문학의 상호텍스트성을 세련된 방식으로 적극 활용한 문학 전략이 있다. 바로 ‘패러디’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5~6학년)을 대상으로 학습자들이 원텍스트와 패러디텍스트의 비교 분석을 통해 패러디 유형을 알아보고 이를 동화 창작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도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교사와 학습자의 부담을 줄이고 보다 연계성 있는 창작 지도를 위해 다양한 패러디 작품을 가진 하나의 원작을 선정하기로 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될 텍스트로는 『아기 돼지 삼형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원텍스트와 패러디텍스트를 비교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패러디 유형을 발견하는 것에서 시작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런데 매 단계, 패러디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텍스트를 자료로 제공한다면 학습자들의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학습량의 부담은 줄이면서도 양질의 패러디 작품을 충분히 학습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원텍스트와 다양한 패러디텍스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를 만족하는 『아기 돼지 삼형제』를 연구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아기 돼지 삼형제』의 원텍스트로는 『제이콥스가 들려주는 영국 옛이야기』에 실린 「아기 돼지 삼형제」를 선정하였다. 패러디텍스트로는 다양한 『아기 돼지 삼형제』 관련 작품들 중 Ⅱ장 3절에서 알아볼 패러디의 조건에 알맞은 작품을 선발한 뒤, 본 연구의 연구 대상과 연구 목적을 고려하여 최종 작품 선정을 위한 세부 기준을 세워 Ⅲ장에서 구체적인 연구 대상 작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아기 돼지 삼형제』 패러디 동화를 활용한 동화 창작 지도를 위한 지도 단계와 방법을 고안하고 지도상 유의점을 제안할 것이다. 우선 Ⅱ장에서는 창작과 패러디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았다. 먼저 1절에서 국어과 창작 교육 이론에 대해 알아본 후 2절에서 교육과정 속에 창작과 패러디가 어떻게 반영 되어있는지 정리하고, 3절에서는 패러디의 개념을 정리한 뒤 일반적인 동화와 패러디 동화를 비교하여 각각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 텍스트인 『아기 돼지 삼형제』의 원텍스트와 패러디텍스트를 앞서 Ⅱ장에서 알아본 동화 구성의 3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여 각각의 핵심적인 패러디 요소를 찾고 『아기 돼지 삼형제』 패러디텍스트의 패러디 유형을 정리하였다. 1절에서는 원텍스트를 인물, 사건, 배경의 관점에서 면밀하게 분석하였으며, 2절에서는 패러디 유형을 기준으로 『아기 돼지 삼형제』 패러디텍스트를 인물과 관련된 작품 3개, 사건과 관련된 작품 2개, 배경과 관련된 작품 1개로 분류한 뒤 각각을 분석하였다. Ⅱ장과 Ⅲ장을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아기 돼지 삼형제』의 패러디 유형 3가지를 각각 한 단계마다 적용하고 여기에 자유로운 패러디 동화 창작 단계를 추가하여 총 4단계의 수업을 제시할 수 있었다. 그 후 각 단계마다 적용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고안하고 과정별로 세부적인 지도 방법과 지도상 유의점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은 원텍스트와 패러디텍스트의 비교 분석을 하고 패러디 유형을 알아 볼 수 있으며, 이를 동화 창작에 적용하여 패러디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초등학교 자폐성장애학생의 음악과 교수적합화에 관한 연구

        김혜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학급에 있는 자폐성장애학생이 질적으로 통합된 수업에 참여하도록 학생의 요구에 적합하게 음악과 교수·학습 지도안을 재구성하고 수업에 활용하여 그 결과를 관찰한 것으로 현장에서 수업하고 있는 교사들에게 교수적합화와 관련하여 도움을 주고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자폐성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 발달적 특징,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음악과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통합수업을 위한 교수적합화를 통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재구성하였고, 실제 적용을 통하여 수정·보완하였다. 프로그램은 40분씩 5회기에 걸쳐 대구의 O초등학교에서 자폐성장애학생이 포함된 5학년 학급의 음악 수업에 적용되었으며, 교수적합화 적용 환경인 교수환경, 교수내용, 교수방법, 교수적 집단, 평가방법을 중심으로 대상학생의 참여도를 관찰하고 면담자료, 관찰일지 등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학급 환경에서 자폐성장애학생의 음악 수업에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 음악교육 환경에서 음악 교과의 교수·학습 지도안 재구성을 하기 위한 기준을 사전에 정립하여 사전에 학생에 대한 관찰, 분석, 목표의 설정, 계획, 적용, 반성 등의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고 체계적으로 운영하여야 한다. 둘째, 자폐성장애 아동을 위한 음악교과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적용하는 환경은 긍정적이고 수용적이어야 한다. 또, 보조교사의 집중적인 도움이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는 자폐성장애아동의 음악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nstruct the music and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 to suit the students' needs so that the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 in elementary school integration class participate in the qualitatively integrated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eachers with help with teaching adaptation. For this purpose, the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with autism,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music and curriculum applied to the field were analyzed, and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 was reconfigured through teaching adaptation for integrated teaching. The program was applied to music classes of 5th grade class which includes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 in O elementary school in Daegu over 5 sessions for 40 minutes. The instructional environment, teaching contents, teaching method, teaching group, evaluation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music education for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 in integrated class environmen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riteria for reconstruct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 of music subjects in the integrated music education environment are set up in advance, and the students are repeatedly observed, analyzed, set goals, planned and applied. It should operate systematically. Second, the environment in which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 of music curriculum for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should be applied should be positive and receptive. In addition, the intensive assistance of the assistant teachers can help improve the music func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초등교사 영어연수 실태와 요구 분석

        황영애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개방화와 세계화 시대를 살아가며 국제언어로써의 영어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어느 때 보다 부각되는 요즘의 세계적인 추세 속에, 우리나라도 1997년부터 연차적으로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정규교과로 가르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교사에게 시행되어 온 초등교사 영어연수 제도에 대하여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각 연수기관의 교재와 사전안내 자료를 통하여 그 실태를 알아보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연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한 후 보다 나은 연수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1.9.11.현재 대구·경북지역 초등교사 영어 연수 상황을 보면 전체 교사 13,027명 가운데 11,440명이 연수를 받아 평균 87.8%(대구 82.4%, 경북 91.9%)의 높은 이수율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연수 초창기의 연수동기는 주로 영어에 관심이 있어서 자원하여 받은 경우가 많았지만 현재는 영어를 정규교과로 가르쳐야 함으로(43.3%)에 이어 학교장의 권유에 의해서(39.2%)라는 응답도 많이 나타나 대상자 선정과정부터 재고해 야 할 부분이다. 둘째, 교육부의 계획(1996)은 영어 연수 시 의사소통 능력 배양에 70%, 지도법 개발에 28%의 시간을 배정하고 있으며, 연수 방법에 있어서도 실기와 실습위주의 참여식 수업(86.6%)을 강조하고 강의식 수업(11.7%)에는 시간을 적게 배정하도록 되어 있으나 교재 분석 결과 연수기관에 따라 의사소통 능력과 지도법 개발에 배당 된 시간이 상당히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설문 분석 결과 연수생들은 현장 문제해결 중심의 연수를 원하나 아직도 강사 위주의 강의식 수업을 하는 곳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영어지도 교사 양성 방법은 교육대학교 영어과 심화과정 졸업자를 가장 선호하며 영어지도 능력이 우수한 교사가 영어전담 교사를 희망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유인책이 강구되어져야 한다고 본다. 넷째, 연수 운영 면에 있어서 교과목을 필수와 선택으로 나누어 자기가 원하는 과목을 선택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하든지 능력별 반 편성으로 자기의 수준에 맞는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다양한 연수 모형의 개발이 요구된다. 다섯째, 평가에 대한 부담 없이 연수에 충실할 수 있도록 평가를 폐지하거나 연수과정 중 수업실습, 분임 토의 및 발표, 영어회화 등의 여러 가지 활동에 대한 과정평가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바람직한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여섯째, 강사로는 현장지도 경험이 많은 초등교사를 선호하며 이는 현 장의 문제점을 잘 아는 교사들로부터 실제 적용 가능한 교수 방법 등을 소개받고 수업시연을 볼 수 있기 때문인 것이다. 또 일부 원어민 강사들의 무성의한 강의 준비와 우리 문화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연수생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까지 있어 검증된 원어민 강사의 채용과 사전연수가 꼭 필요하다고 하겠다. 일곱째, 연수가 주로 여름방학과 겨울방학에 실시되는 점을 감안하여 연수기관에서는 냉·난방 시설과 편의시설 등을 갖추어 연수생들의 불편함을 덜어주고, 연수 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시청각 기자재를 구비하여 효율성 높은 연수가 되도록 배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개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연수대상자의 선정과정을 재고하여 영어를 실제로 담당하는 교사나 희망자를 중심으로 집중적이고 심도 있는 연수를 실시하여 그 효율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둘째, 연수 교재에 대하여 계속적인 수정·보완이 필요하며 7차 교육 과정에서 영어교과서가 단일화 된 점을 감안할 때 표준 연수 교재의 제작도 고려해 볼 사항이다. 셋째, 연수 운영 면에서 교과목의 필수·선택화, 능력별 반 편성 등으로 자기에게 필요한 과목을 수강하거나 수준별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배려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우수한 자질을 갖춘 강사를 엄선하여 투입함으로써 연수를 받는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어 영어지도에 자신감을 갖도록 배려해 주어야할 것이다. These days, English is very important as the international language in globalization. So we have had regular English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since 1997.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English training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ir needs: First, whet was the real situation of English training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egu City & Kyung-Buk Province through teaching materials and orientation books? Second, what were sound ways to establish English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for teachers' needs and opin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87.8%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egu City & Kyung-Buk Province have participated in English training program. In the beginning of English training program, most trainees were gathered voluntarily to take the course. But as time goes by, most trainees were forced to take the course by their principals because they had to teach English at their schools. So it was a very important thing to choose those who will take the course. (2) The Educational board planned the training schedule with 70% for developing communication ability and 28% for teaching method. Bu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diverse training centers. Many teachers wanted to get practical teaching skills through training course but many lecturers still taught in traditional theory based teaching plans. (3) The beat way to supply good English teachers was found to have teachers who graduated from the English departments in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There was found to be needed some strong incentives for English teachers to be in elementary schools who have good English abilities. (4) It was necessary for trainees to take the required subjects and to choose among many diverse lectures that they have interests in and then, an appropriate grouping system by the trainees' levels should be developed. (5) The formal test should be abolished. It has increased stress for trainees, so the formal test should be substituted for informal tests such as observation through natural classroom activities. (6) Most trainees thought t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good careers in English teaching was more appropriate as training lecturers than the native speakers who didn't prepare well for their lectures. (7) The trainees participated in the English course wanted to make the training centers to supply good facilities for effective English training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