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사회 자연재난 리질리언스에 관한 연구 : 성북천과 정릉천 사례를 중심으로

        황철운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1679

        국문요약 본 논문은 지역사회 하천의 리질리언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사례연구 방법을 통하여 미시적 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성북구 관내에 흐르는 성북천과 정릉천 사례를 분석하여, 두 하천이 리질리언스를 높이기 위해서 어떤 노력을 했으며 어떤 변화와 개선을 했는지를 논의하였다. 오랫동안 하천은 우리 일상에서 필수적이고 친숙한 생활공간으로 자리매김해왔다. 따라서 지역하천의 리질리언스를 높이기 위한 연구는 매우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연구방법은 먼저 기존의 문헌검토, 사업보고서, 관련자료 등을 수집하여 하천 리질리언스를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더 나아가 하천 개보수 과정에 대한 자료 및 현장답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두 하천을 이용하는 사람과 지역의 대표성 있는 상가 주민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보다 심층적 분석이 되도록 하였다. 연구의 시간적 범주는 2002년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의 기간으로 즉, 복개하천을 자연형 하천으로 조성한 기간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내용 분석은 자연적/물리적 시스템, 사회/문화적 시스템, 경제적 시스템, 제도적 시스템, 인적 시스템 등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4Rs(내구성, 자원부존성, 신속성, 가외성) 개념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복개하천을 복원하였을 경우 나타나는 하천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의 삶의 질, 환경변화, 생태계의 회복 등을 리질리언스(resilience) 4Rs 시각에서 내구성, 자원부존성, 신속성, 가외성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성북천과 정릉천의 자연천 복원 과정에서 어떻게 하천 리질리언스를 제고시켰으며, 또한 주민들의 지속 가능하고 건강한 삶을 위해서 어떠한 변화를 모색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성북천과 정릉천은 모두 자연적/물리적 하부 시스템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 수질개선, 제방 및 배수펌프장 등을 새롭게 만들었다. 또한 장비가동체계를 개선하여 자원부존성을 높였으며, 재난안전본부 지휘체계에서 신속성을 높였다. 인적 측면에서 볼 때 성북구청 내에 재난관리조직을 확대하고 민방위 및 학생 등의 가용자원을 파악하여 가외성을 동시에 높였다. 또한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정릉천과 성북천에 체력단련과 문화 활동을 위한 공간을 조성하여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증진과 공동체 활동을 강화시켜서 지역사회의 리질리언스는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고 분석되었다. 지역하천의 지속가능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은 지역하천이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의미있는 것이다. 따라서 학계에서는 지역사회 단위에서 지역하천의 리질리언스와 삶의 질 제고를 위한 노력들에 더욱 많은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시각에서 체계적인 연구를 지속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많은 한계점을 가진 연구에도 불구하고 위와 같은 시도를 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가 갖는 한계점들은 후속연구들에서 발전적으로 보완되어 후속 연구들이 체계적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하천 리질리언스, 지역사회, 재난관리 Abstract The Study on Community Natural Disaster Resilience - Seongbuk-cheon and Jeongleng-cheon cases - by Chealun Hwang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Kookmin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carry out a systematic micro-analysis through the case study of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river resilience in the local community. The cases of Seongbukcheon and Jeongneungcheon were analyzed to find what efforts, changes, and improvements were made to raise their resilience. Rivers/streams have long been our essential and familiar living spac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research on raising the resilience of local community has a great deal of importance and significance. The research was done through the collection of the current reference source review, business report, etc. to build a theoretical model; river renovation process report, field investigation as well as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 two river users and locally representative shopping mall residents, were conducted for a more profound analysis. The research time range was set between 2002 to December 31, 2010, which is the period range of the covered river reformed to the natural river. The analysis was made by applying the 4Rs(durability, natural Resources blessing, Rapidness, excessiveness) into the effects of natural/physical, social/cultural, economic, institutional, and human system on the local community. More specifically, the residents’ life quality, environmental changes, and the recovery of the ecosystem, etc., when the covered river is reformed were analyzed in the 4Rs perspective, thereby seeking how the resilience of Jeongneungcheon and Seongbukcheon were raised and what changes were made to guarantee a sustainable and healthy life of the resi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both rivers improved water quality and freshly built the dike and drainage pumping station; they enhanced the equipment operation system to raise the resources blessing. The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commanding system agility was raised. And in the aspect of the human resources system, a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within the Seongbuk-gu office was expanded; available resources from the civil defense and students were counted to increase the excessiveness. Also, in the aspect of the social/cultural system, a space for physical training and cultural activity was made to improve the residents’ health conditions as well as enforcing community activity through space creation, contributing to the local community resilience. Studying the local rivers/streams sustainability and effect on our life quality is significant in that they are closely related to our live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systematic research to be made at various angles to raise local river resilience and life quality in the academic field. In such aspect,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spite of the many limitations, which, in the following studies is expected to be supplemented. Keywords: River Resilience, Local community, Disaster management

      • 노인유사체험이 요양병원 간호사의 노인 돌봄태도와 간호실천에 미치는 영향

        기이분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1679

        As the aging population is up-surging and the number of medical care hospitals is increasing, supporting nurses working at the nursing hospital to improve the attitude toward caring for the elderly and nursing practice is very important for improvement of nursing quality towards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lated to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quasi-experimental research which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ducation on the elderly, video clip improving social and psychological empathy with the elderly and senior simulation, both in theory and in practice, on attitude toward caring for elderly and nursing practice for elderly of the nurses working at the nursing hospital. This study was conducted subjected to 90 nurse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underst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among the nurses working at the B nursing hospital located in Seoul. Ninety nurs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even number assigned) and control group (odd number assigned) fifty-fifty. Of them, 2 were dropped out of the research, and 44 were in the final experimental group and 44 were in the final control group each.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3, 2017 to August 7, 2017. Research 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three times, one week before the experiment, one week after the experiment and one month after the experiment,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senior simulation. The control group did not experience the similar experience of the elderly. The control group did not have senior simulation, and instea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wice, a week before and one week after the experiment during the same perio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ypothesis 1 was supported si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 scores in attitude toward caring for elderly of the nursing hospital nurses and between the post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Hypothesis 2 was support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 scores in nursing practice for elderly of the nursing hospital nurses and between the post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rd, Hypothesis 3 was supported since attitude toward caring for elderly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over time as a result of monitoring whether such attitude is maintained constantly one week before the experiment, one week after the experiment and one month after the experiment. Fourth, Hypothesis 4 was supported since nursing practice for elderly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over time as a result of monitoring whether such attitude is maintained constantly one week before the experiment, one week after the experiment and one month after the experiment. As a result, the senior simulation positively affects the attitude toward caring for elderly and the nursing practice for elderly, which means the simulation can be recommended to the nurses at the fil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on the elderly that can improve the attitude toward caring for elderly and the nursing practice for elderly of the nursing hospital nurses. Even though the effectiveness of the senior simulation has been proved in the similar experiences in the existing studies,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is able to double the effects by improving education methods and programs. It is expected that these active efforts will contribute in laying the founda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nursing for the elderly in the upcoming aging society. 노인 인구의 빠른 증가와 요양병원 수 증가됨에 따라 노인을 돌보는 요양 병원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돌봄태도와 간호실천 향상을 돕는 것은 노인 간호 질 향상 도모에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교육, 노인을 사회· 심리적 공감할 수 있는 동영상, 노인유사체험 등 세 가지 구성으로 이론과 체험을 병행하여 실시한 후 노인 돌봄태도 및 노인 간호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설계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소재 B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요양병원 간호사를 9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방법으로 짝·홀수 투표하여 배정하였고 짝수번호를 배정받은 그룹은 실험군 45명, 홀수 번호를 배정받은 그룹은 대조군 45명으로 선정하였다. 그중 중도 탈락자 2명을 제외한 최종 실험군 44명, 대조군 44명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7월 3일부터 8월 7일이며 실험군은 노인유사체험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체험 1주일 전과 체험 1주일 후, 체험 1개월 후, 총 3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노인유사체험을 체험하지 않았으며 실험군과 동일한 시기인 체험 1주일 전과 체험 1주일 후, 총 2회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다음은 본 연구의 주요 결과의 요약이다. 첫째, 요양병원 간호사의 노인 돌봄태도는 사전·사후 점수의 유의미한 차이와 사후 실험군과 대조군 간 점수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가설 1은 지지 되었다. 둘째, 요양병원 간호사의 노인 간호실천은 사전·사후 점수의 유의미한 차이와 사후 실험군과 대조군 간 점수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가설 2는 지지되었다. 셋째, 실험군의 시간 경과에 따른 노인 돌봄태도 수준이 체험 1주일 전-1주 후-1개월 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지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 가설 3은 지지 되었다. 넷째, 실험군의 시간 경과에 따른 노인 간호실천 수준이 체험 1주일 전-1주 후-1개월 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지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 가설 4는 지지 되었다. 결론적으로, 노인유사체험은 노인 환자에 대한 노인 돌봄태도와 노인 간호실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다양한 실무현장의 간호사에게 노인유사체험을 권장하고자 한다. 아울러, 요양병원 간호사의 노인 돌봄태도와 노인 간호실천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기존의 연구에서 이미 노인유사체험의 효과를 입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교육 방법과 프로그램의 개선을 통하여 효과를 배가할 수 있음은 의미 있는 부분이라고 여겨진다. 이와 같은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다가오는 고령사회에서 노인 간호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토대 마련에 기여될 것으로 판단된다.

      • 의료서비스 품질이 환자 신뢰와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보훈병원을 중심으로

        정희철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1679

        VHS Medical Center is a general public hospital established so that patriots and war veterans can live a healthy life and receive necessary medical treatments at a proper time. Recently, patriots and war veterans’ families are aging rapidly, the expansion of medical facilities and high-quality medical services are continuously needed. VHS Medical Center needs to enhance its competiveness to win the competition with other hospitals and provide superior medical services, and improvements are also needed to satisfy the medical needs to live up to heightened expectations of patriots and war veterans. Accordingly, in this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VHS Medical Center and patriots and war veterans were examined, and in order to raise the national meritorious persons’ satisfaction, trust, and revisiting intent with regard to the medical services that they receive from VHS Medical Center, the quality of current medical services were examined and the related problems were derived.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needed for this research,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74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in or visitig VHS Medical Center from September 11, 2017 to October 22, 2017, and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SPSS and AMOS were used. As a result of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verify the validity and trust of VHS Medical Center’s quality of medical services, trust, and revisiting intent, which are the variables of this research,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were divided into interaction quality,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procedural quality, outcome quality, and trust and revisiting intent were explained in a single dimension.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ubordinate factors of VHS Medical Center’s quality of medical services – interaction quality,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procedural quality, and outcome quality all had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s on the patients’ trust. Particularly, it was found that the outcome quality of VHS Medical Center’s quality of medical services had the biggest effects on trust and that satisfaction was influenced most by interaction quality, followed by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and procedural quality. Second,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procedural quality, and outcome quality excluding interaction quality of the subordinate factors of VHS Medical Center’s quality of medical services had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s on the patients’ revisiting intent. Particularly, it was found that the outcome quality of VHS Medical Center’s quality of medical services had the biggest effects on revisiting intent and that satisfaction was influenced most by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and procedural quality. Finally, it was found that trust of VHS Medical Center’s patients had significantly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Strategies for providing the medical services that meet the patients’ demands through conducting questionnaire surveys about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perceived by the patients in VHS Medical Center need to be established. Also, if medical services for VHS Medical Center’s own specific targets are reinforced, trust in VHS Medical Center will be enhanced further, raising satisfaction with it. In addition, in order for patients to have trust in the hospital’s medical services,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patients and the medical institution should be made. In other words, by making efforts to enable patients to have trust, rather than external environment, to receive medical services, patients’ trust can be secured and continuous visiting intent toward VHS Medical Center can be enhanced. 보훈병원은 보훈대상자들이 더욱 건강하게 생활하고 필요한 치료를 제때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보훈대상자 전담 병원을 의미한다. 최근 국가유공자 및 보훈가족의 연령대가 급속히 고령화됨에 따라 의료시설 확대와 양질의 의료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보훈병원에서는 뛰어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여 외부병원과의 경쟁에서 도태되지 않기 위한 개선이 필요하고, 보훈대상자의 높아진 기대 수준에 맞춘 의료수요 충족을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훈병원 및 보훈대상자의 특수성을 고려하고, 국가유공자들이 보훈병원에서 받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 및 재이용의도를 높이고자 현재의 의료서비스 품질에 관해 조사하고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7년 09월 11일부터 10월 22일까지 24일 동안 보훈병원에 입원하거나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전체 연구대상은 374명으로 자료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변수인 보훈병원의 의료서비스 품질, 신뢰, 재이용의도의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료서비스 품질은 상호작용 품질, 물리적 환경 품질, 절차적 품질, 결과적 품질로 구분되었고, 신뢰, 재이용의도는 단일차원으로 설명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훈병원 의료서비스 품질의 하위요인인 상호작용 품질, 물리 환경적 품질, 절차적 품질, 결과적 품질은 환자의 신뢰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훈병원의 의료서비스 품질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결과적 품질이 가장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상호작용 품질, 물리 환경적 품질, 절차적 품질 순으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훈병원 의료서비스 품질의 하위요인 중 상호작용 품질을 제외한 물리 환경적 품질, 절차적 품질, 결과적 품질은 환자의 재이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훈병원의 의료서비스 품질이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결과적 품질이 가장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물리 환경적 품질, 절차적 품질 순으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훈병원을 이용하는 환자의 신뢰는 보훈병원에 대한 재이용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지속적으로 보훈병원에서 환자들이 인식하는 의료서비스 품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환자들의 요구에 맞는 의료서비스 제공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보훈병원만의 특정 대상에 대한 의료서비스가 강화된다면 보훈병원에 대한 신뢰가 더욱 향상되면서 병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다. 뿐만 아니라 환자가 병원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신뢰를 갖기 위해서는 환자와 의료기관 간의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외형적인 환경보다는 환자가 신뢰하여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노력함으로써 환자들의 신뢰를 확보하고 추후 보훈병원에 대한 지속적인 이용의도가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 간호사의 폭력경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처를 조절효과 중심으로

        이은주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1679

        Abstract A Study on the Influence of Violence Experience on Job Satisfaction of Nurse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coping mechan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experience of workplace violence, coping measures and job satisfaction focused on nurses’ experience at the Veterans Hospitals an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which occurs between coping measures and job satisfaction, and ultimately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violence prevention service and coping program at the hospital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bout 184 (87.6%) nurses had frequently experienced verbal abuse while 179 (85.2%) encountered physical threats, and 104 (49.5%) experienced physical abuse from the patients. More in detail, among others, unmarried nurses (1.63), nurses with less than 15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nurses with general position (1.57) and nurses working in intensive care unit (2.10) are experiencing significantly higher violence. The experience of physical threat i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among nurses with less than 5∼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0.88) and nurses working in ICU (1.48). Unmarried (0.37) and the general nurse (0.33) showed the relatively higher experience of physical violence. Second,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violence experience on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variables of verbal abuse had a meaningful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s the nurses experience more verbal abuse, the job satisfaction is lower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experience of verbal abuse affects job satisfaction. The variables related to verbal abuse have nega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which affect work satisfaction, operation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of human relations, which are sub - factors of job satisfaction. However, variables of verbal abuse, physical threat and physical violenc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human relations, which is one of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Third, in order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violence experience on job satisfaction, the effect of variables of interactions on job satisfaction was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physical violence×problem-oriented coping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proving moderating effect. In the case of the group with low level of problem-oriented coping against violence, as they experience more physical violence, their job satisfaction was lower. Thus, the negative effect of physical violence on job satisfaction is higher in the group with lower level of problem-oriented coping against violence. It was found out that problem-oriented coping had a moderating effect on operation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of human relations which are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it was identified that physical threat×variables of emotional coping have a meaningful negative effect on operational satisfaction, which is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Violence will never be eradicated. No one can avoid violence, but violence can be prevented. By exploring ways to prevent violence and educating and developing programs to cope with violence, nurses should be allowed to work in a safe working environment with higher job satisfaction. Key words: Experience of violence, Coping, 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보훈병원 간호사가 경험하는 사례를 중심으로 폭력의 경험과 대처, 직무만족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에 대처가 미치는 조절효과를 확인하여 병원 내 폭력예방 서비스와 대처방법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폭력경험 빈도를 살펴보면 184명(87.6%)의 간호사가 환자에게 언어폭력을 경험했으며 신체적 위협은 179명(85.2%), 신체적 폭력은 104명(49.5%)이 환자에게 신체적 폭력을 경험했다. 언어적 폭력경험은 미혼자(1.63), 임상 경력에 따라서는 15년 미만의 간호사, 직책별로는 일반간호사(1.57)가, 근무 부서에 따라서는 응급실 간호사(2.10)가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위협 경험은 임상 경력이 5~10년 미만 간호사(0.88), 근무 부서에 따라서는 응급실 간호사(1.48)가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폭력 경험은 미혼자(0.37), 일반간호사(0.33)가 상대적으로 신체적 폭력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폭력 경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언어적 폭력 변수가 직무만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들이 언어적 폭력을 많이 경험할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폭력 경험 중 언어적 폭력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언어적 폭력 변수가 직무만족의 하위 요인인 업무만족, 운영 만족, 인사 만족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언어적 폭력, 신체적 위협, 신체적 폭력 변인은 직무 만족의 하위 요인인 인간관계만족에는 유의한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 셋째, 폭력 경험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상호작용 변수의 직무만족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신체적 폭력×문제중심 대처 변수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폭력에 대해 문제중심 대처 수준이 낮은 집단의 경우에는 신체적 폭력을 많이 경험할수록 직무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신체적 폭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폭력에 대한 문제중심적 대처를 적게 하는 집단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으로 운영만족과 인사만족에서도 문제중심 대처가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신체적 위협×정서중심 대처 변수가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인 운영만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폭력은 없어지지 않고 계속 나타날 것이다. 폭력을 피할 수는 없지만 예방하기 위한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 교육하며 폭력 대처방법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안전한 근무환경에서 간호업무를 수행하며 직무만족을 높이기를 기대한다.

      •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특성과 임파워먼트 중심으로

        정경희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1679

        The importance of intensive care in intensive care unit (ICU) is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 and serious patients. The intensive care unit is the place where the most seriously ill patients are admitted to the hospital, where they focus and monitor patients with various health problems that are life threatening. The ICU nurse must hav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nd all nurses should be responsible for ensuring that all ICUs receive optimal care. The role of the ICU nurse is crucial to achieving that goal. The nurse's human resources are important factors in providing quality nurse care, which is determined by the job design that enables the nurses to perform the tasks efficiently and positivel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of the factors of job characteristics of the ICU nurses and the level of empowerment, and investigated what job characteristics and empowerment can improve the nursing performance of the ICU .Based on systematic review and theoretical discussion, this study derived the factors affecting the nursing performance of ICU nurses. These factors were job characteristics and empowerment, and job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and revised based on JDS (Job Diagnostic Survey) developed by Hackman and Oldham(1975). The measurement of empowerment was based on the structural empowerment of Kanter(1977) And nursing work performance was measured using the measurement tools developed by Park Sung-ae(1988).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nurses with more than 1 year of experience in ICU working in Jeollanam-do, Seoul.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ugust 25, 2017 to September 8, 2017, and a total of 24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In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cognition level of job characteristics of ICU nurses was high in technology diversity, task importance, task identity, and feedback and autonomy were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usual. The level of empowerment was perceived support, opportunity, and information more than usual but resources were low. Seco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factors in the difference of the job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ge, education level, ICU career experience, and the performance of the nursing work in the ICU nurses. The higher the age and final education level, The recognition of factors and the level of empowerment were high and the nursing work performance was high.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empowerment of ICU nurs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formation and task importance, opportunity, support, and information, while technological diversit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pportunity and support, Support, information, resources, and empowerment factor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job characteristics of nurses and the nursing performance of ICU nurses, such as technical diversity, task identity, task importance, autonomy, and feedback, Relationship.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mpowerment of nurses in the ICU and the performance of the nursing work. Especially, the information factor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factors of nursing work performance. Fourth,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characteristics and empowerment of nursing work performance were analyzed as follows: task ident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independent nursing performance, non - proprietary nursing performance, interpersonal nursing performance,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only, and other job importance, autonomy, and feedback were not affected. Empowerment was analyzed as information and resources that support independent nursing performance, non - proprietary nursing performance support, and inform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nursing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ursing work performance of the ICU nurse as a specific target, unlike the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lated to nursing work performance, it provided a knowledge system that empirically analyzes and explains the work performance of nurses in IC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olicy implication of the present study, which can be used as empirical basic data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intensive care unit in nursing organization and the utilization of human resources by understanding the factors of job characteristics, the level of empowerment and job attributes perceived by ICU nurses There will be. Many of the existing studies have been limited to explain the job characteristics of specialist and special ICU nurses as a result of covering the entire nur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nurses of the ICU recognized the lowest job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ward nurses and the job characteristics which were not significant to the job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attributes of work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partments among the same occupations, an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job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epartment and to search for ways to redesign the job to improve the work performance and apply it to the field of nursing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현대사회는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어 만성질환자 및 중증 환자의 증가로 인해 중환자실 집중 간호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중환자실은 병원 내에서 가장 중증도가 높은 환자가 입원하는 곳으로 생명에 위협을 초래하는 여러 가지 건강 문제를 가진 환자를 집중적으로 감시하고 치료하는 곳이다. 중환자실 간호사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모든 중환자가 최적의 간호를 받을 수 있도록 책임 있는 간호를 해야 하며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환자실 간호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적 자원 확보 및 유지는 양질의 중환자 간호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며 이는 간호사 개인에게 주어진 업무를 효율적 긍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직무 설계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환자 간호업무의 효율성과 효과적인 인적 관리 방안으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특성요인에 대한 인식과 임파워먼트 수준을 확인하고 어떠한 직무특성과 임파워먼트가 간호업무성과를 향상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 검토와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요인은 직무특성 요인과 임파워먼트이며 직무특성요인 측정은 Hackman과 Oldham(1975)이 개발한 JDS(Job diagnostic survey)를 기초로 이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임파워먼트 측정은 Kanter(1977)의 구조적 임파워먼트를 측정 도구로 사용하였고 간호업무성과 측정은 박성애(1988)가 개발한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서울 전라남도 지역에 근무하는 중환자실 근무경력 1년 이상 간호사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8월 25일부터 9월 8일 까지 2주간 이었으며 총 240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과 기술 통계분석, T-test, 일원 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특성요인 인식 수준은 기술 다양성, 과업 중요성, 과업 정체성은 높은 편이었고 피드백과 자율성은 보통 이상으로 크게 높지 않았다. 임파워먼트 수준은 지지, 기회, 정보는 보통 이상으로 지각하고 있었으나 자원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령, 학력, 중환자실 근무경력에 따른 직무특성과 임파워먼트 간호업무성과 차이는 세 가지 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과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중환자실 근무경력이 길수록 직무특성 요인의 인식과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고 간호업무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특성과 임파워먼트 간 상관관계는 기술 다양성은 기회와 지지, 과업 정체성은 지지와 정보, 과업 중요성은 기회, 지지, 정보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율성과 피드백은 기회, 지지, 정보, 자원 등의 임파워먼트 요인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특성과 간호업무성과 간에는 기술 다양성, 과업 정체성, 과업 중요성, 자율성, 피드백 등의 직무특성 요인은 간호업무성과 하부 요인 모두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특히 과업 정체성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파워먼트와 간호업무성과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특히 정보 요인이 간호업무성과 하부 요인 모두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직무특성요인과 임파워먼트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과업 정체성이 독자적 간호업무성과, 비 독자적 간호업무성과, 대인관계 간호업무성과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기술 다양성은 독자적 간호업무성과에만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고 그 외 과업 중요성, 자율성, 피드백은 영향이 없었다. 임파워먼트는 정보와 자원은 독자적 간호업무성과에 지지는 비독자적 간호업무성과 지지와 정보는 대인관계 간호업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기회는 영향이 없었다. 본 연구의 학술적 의의는 기존의 선행연구와는 달리 중환자실 간호사를 특정 대상으로 간호업무성과를 연구했다는 점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간호업무성과와 관련된 선행연구와 문헌들을 바탕으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성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는 지식체계를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면, 중환자실 간호사가 지각하는 조직 내 직무특성요인과 임파워먼트 수준과 직무 속성을 파악함으로써, 간호조직 내 중환자실 교육훈련 및 인력활용 방안 마련에 실증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많은 선행연구는 간호사 전체를 포괄하여 나타난 결과로 전문적이고 특수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속성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결과 기존의 일반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가장 낮게 인식하고 업무성과에 유의미하지 않았던 직무특성 요인을 중환자실 간호사는 높게 인식하고 업무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같은 직종 간에도 근무부서에 따라 업무의 속성이 다름을 보여주는 것으로 부서에 따른 직무특성을 파악하고 업무성과를 증진할 수 있는 직무 재설계의 방안을 모색하고 간호실무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보다 구체화한 실무적인 성과관리 전략 수립의 기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만성질환자 가족 돌봄자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국가유공자 입원환자와 가정간호환자 중심으로

        김유미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1679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conducted to find out about the degree of burden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longtime family caregivers of the patriots and veterans in a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them with chronic diseases is increasing while aging along with functional and psychological disorders. This study includes 240 people among the caregivers of the patients hospitalized in Central Veterans Hospital located in downtown Seoul for more than 1 month and home health care patients, who agreed to be survey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 1, 2017 to Sept. 28, 2017 and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he total of 84 questions were asked. In order to measure the degree of burden, 25 questions were asked using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Suh & Oh(1993) with 6 of the questions modified and adap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riots and veterans. 28 questions modified by Choi Shin Ok(2009) were uesd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17 questions were asked to measure the normal characteristics and 3 other questions were used in the questionnaire.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the normal and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by using SPSS 22.0.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for the degree of burden and quality of life, followed by a reliability test for each factor (Cronbach’s α coeffici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ndertaken to find out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gree of burden and quality of life a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variables of the burden and quality of lif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in an effort to take a look at the effects of the degree of burden of family caregivers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on the quality of lif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urden of the family care givers were shown to be 3.44 on average based on the Likert-type 5 point scale, and physical burden was the highest(4.03) by factor followed by social burden(3.72), financial burden(3.50), positive burden(3.27), and emotional burden(2.65) which appeared to be relatively low in terms of the degree. Second. The quality of life was below normal with the average of 2.88 based on the Likert-type 5 point scale. The quality of life was above normal in the areas of social relationship(3.22) and living environment(3.12), below normal in the areas of spirituality(2.95) and psychology(2.85), and quite low in the physical area(2.25). Third. When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s of the burden between the care givers of hospitalized patients and home care patients, any meaningful difference was not shown between the two, though the degree of the caregivers of hospitalized patients(3.47)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caregivers of home care patients(3.40). However, some meaningful differences(t=2.086, p<.05) appeared to exist between the care givers of hospitalized patients and home care patients in the area of financial burden in the sub factors of the degree of burden. Here, the degree of financial burden was higher on the part of the family of hospitalized patients(3.61) than that of home care patients(3.39). Fourth.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of the quality of life between the family caregivers of hospitalized patients and home care patients indicated a slightly higher degree on the part of the home care patients’ families(2.96) than the families of hospitalized patients(2.80), and the difference was also statistically meaningful(t=-2.133, p<.05).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t=-2.935, p<.01) in the area of living environment, which is a sub-factor category of the quality of life, between the family caregivers of hospitalized patients and home care patients. Here, the quality of life of the family of home care patients(3.28)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amily of hospitalized patients(2.96) in the area of living environment. Fifth.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burden and the quality of life of family caregivers showed a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r=-.605, p<.001), which indicates that a higher degree of burden of the family caregivers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can lead to a lower quality of life. Sixth. When looking at the effects of the quality of life affected by the degree of th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social burden(b=-.199, t=-3.727, p<.001), financial burden(b=-.141, t=-2.762, p<.01), and positive burden(b=-.276, t=-8.504, p<.001) appeared to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family caregivers in a meaningful negative way and it was expected that the relative influence of positive burden(β=-.450) was highest, followed by social burden(β=-.241) and financial burden(β=-.189) in terms of the influence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higher degree of burden of the family caregivers leads to a lower quality of life and the family of hospitalized patients carries a higher burden and has a lower quality of life than that of home care patients. Therefore, it seems to be necessary that institutions related to patriots and veterans do more research and pay more attention to developing support systems, boosting home care services, and providing higher quality medical services in order to diminish the burden of the family caregivers of patriots and veterans with chronic disorders and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Key words: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family caregivers, degree of burden, quality of life, patriots and veterans, home care service 본 연구는 국가유공자들의 기능적․정신적 장애와 더불어 고령화로 인한 만성질환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들을 장기간 돌보는 가족 돌봄자들이 경험하는 부담감과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 내 소재한 중앙보훈병원에서 만성질환을 가진 국가유공자의 1개월 이상 입원환자와 가정간호환자 가족 돌봄자 중 연구에 동의한 240명이었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17년 9월 1일부터 9월 28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 도구로 부담감 측정은 서미혜, 오가실(1993)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본 연구자가 국가유공자 특성에 맞게 6문항을 수정․보완하여 총2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삶의 질 측정 도구는 최신옥(2009)이 수정․보완하여 개발한 총 28문항, 가족의 일반적 및 부양 특성 17문항, 환자의 일반적 특성 11문항, 그 외 3문항으로 총 8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반적 특성과 질병 관련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사용하였다. 부담감과 삶의 질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 한 후, 각 요인에 대한 신뢰성 검증(Cronbach's α 계수)을 실시하였다. 부담감과 삶의 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부담감과 삶의 질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만성질환자 가족 돌봄자의 부담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돌봄자의 부담감은 5점 척도에 평균 3.44점으로 나타났으며 요인별로는 신체적 부담감(4.03)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사회적 부담감(3.72), 경제적 부담감(3.50), 긍정적 부담감(3.27), 정서적 부담감(2.65)은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둘째, 삶의 질은 5점 척도에 평균 2.88점으로 보통 이하였고, 영역별로는 사회적 관계 영역(3.22), 생활환경 영역(3.12)의 삶의 질은 보통 이상이었으나 영적 영역(2.95), 심리적 영역(2.85)의 삶의 질은 보통 이하였고, 신체적 건강 영역(2.25)의 삶의 질 수준은 매우 낮은 편이었다. 셋째, 입원환자와 가정간호환자 가족 돌봄자의 부담감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입원환자 가족(3.47)이 가정간호환자 가족(3.40)에 비해 다소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부담감 하위 요인에서는 경제적 부담감에서 입원환자와 가정간호환자 가족 돌봄자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t=2.086, p<.05), 입원환자 가족(3.61)이 가정간호환자 가족(3.39)에 비해 경제적 부담감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입원환자와 가정간호환자 가족 돌봄자의 삶의 질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가정간호환자 가족(2.96)이 입원환자 가족(2.80)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2.133, p<.05). 삶의 질 하위 요인에서는 생활환경 영역의 삶의 질에서 입원환자와 가정간호환자의 가족 돌봄자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데(t=-2.935, p<.01), 가정간호환자 가족(3.28)이 입원환자 가족(2.96)에 비해 생활환경 영역의 삶의 질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족 돌봄자의 부담감과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는 분석결과 만성질환자 가족 돌봄자의 전체적인 부담감과 삶의 질 간에는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r=-.605,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만성질환자 가족 돌봄자의 환자에 대한 부담감이 높을수록 삶의 질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가족 돌봄자의 부담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사회적 부담감(b=-.199, t=-3.727, p<.001)과 경제적 부담감(b=-.141, t=-2.762, p<.01), 긍정적 부담감(b=-.276, t=-8.504, p<.001) 요인이 가족 돌봄자의 삶의 질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 영향력은 긍정적 부담감(β=-.450), 사회적 부담감(β=-.241, 경제적 부담감(β=-.189) 순으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가족 돌봄자의 부담감이 높을수록 삶의 질은 저하되며 입원환자 가족이 가정간호환자 가족보다 부담감이 높고 삶의 질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국가유공자 유관기관들의 지속적인 지원 시스템 개발과 가정간호를 더욱 활성화하고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만성질환을 가진 국가유공자들과 가족 돌봄자들의 부담감 감소와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 교육특구 결정과정에서 거버넌스의 역동적 변화에 관한 연구 : 구로·금천 교육 거버넌스의 거래비용 분석을 중심으로

        조성익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1679

        지역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의 성장 잠재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참여와 협력의 거버넌스 방식이 확산되고 있다. 지방정부가 교육정책을 수립하려면 거버넌스 방식으로 접근할 수밖에 없다. 교육은 지방정부의 고유사무가 아니지만, 주민들의 삶과 직접적 관련이 높은 사업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동안의 교육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는 교육학적 측면에서만 연구되어 왔고 거버넌스를 사업 수행의 당위적 방법으로만 제시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거래비용이론을 활용하여 교육특구 정책결정과정에서 교육 거버넌스의 구축요인과 역동적 변화를 행정학적 측면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 사회에서 교육특구란 관용적 교육특구, 경제·행정적 교육특구, 교육 본연으로서의 교육특구 등 크게 세 가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교육특구는 교육 본연으로서의 교육특구 중 서울특별시교육청이 주관하고 있는 서울형혁신교육지구와, 경제·행정적 교육특구 중 교육부가 주관하고 있는 교육국제화특구이다. 연구는 혁신교육지구를 통하여 교육 거버넌스가 충분히 형성되어 있는 구로구와 금천구를 대상으로 교육 거버넌스 구성원과 1:1 심층면담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지역별로 교육국제화특구라는 변화요인이 교육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을 거래비용이론과 접목하여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구로구는 초기에 거버넌스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시민사회영역[민]과 학교교육영역[학]이 적극적으로 교육의제를 제시하고 중간지원조직을 통해 교육 거버넌스에서 공공기관영역[관]의 역할을 이끌어냈다. 하지만 교육국제화특구 결정과정에서 교육 거버넌스 구축요인이 활성화 되지 않아 거래비용이 증가하였고 지역 갈등으로 확산되었다. 반면 금천구의 교육 거버넌스는 공공기관영역[관]의 주도로 단시간에 협치 체계가 자리 잡히도록 만들었지만, 시민사회영역[민]으로부터 공공기관영역[관]이 교육 정책을 과도하게 주도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런데 교육국제화특구 정책결정 과정에 있어서 거버넌스 구축요인을 관리하여 거래비용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그 결과 교육국제화특구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해소되고, 대안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지역 갈등도 해소되었다. 연구결과 교육특구 과정에서 거버넌스 구축요인이 없거나 적어지면, 거래비용이 발생하게 되어 지역갈등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교육특구 정책결정 과정에서 지역갈등이 발생할 때, 갈등의 이해당사자 간 협력과 지방정부 간 거버넌스 구성을 통해 거래비용을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거버넌스는 구축된 이후에도 정적인 형태로 머무는 것이 아니라 구축요인들이 상호작용하면서 역동적으로 변한다. 따라서 교육정책 의사결정 시 지역 갈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육 거버넌스의 구축요인을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하겠다. This study targets on building a model to analyze dynamics of educational governance. Because previous studies only have interpreted educational governance pedagogically, although educational public administration have recently emphasized governance among actors in community. These studies have not provided policy implication drawn from attributes of governance and its dynamic change. This study focuses on critical two district of Guro-gu and Geumcheon-gu according to Transaction Cost Theory. This model is composed of main actors forming governance, factors promoting the governance, and transaction cost, and investigates these factors through comparison analysis in depth interview.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ynamic changes of factors promoting the governance depended on transaction cost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strict. When a factor promoting the governance is not activated, transaction costs increase and the conflicts occur. And then the conflicts is resolved by actors in community through governance. At the beginning, educational governance was formed through cooperation between NGOs and schools in Guro-gu. However, the transaction cost has increased because the factor promoting governance has not been activated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the Special District for Education. As a result, stable governance has changed in a conflict. On the other hand, despite being public-centric governance, Geumcheon-gu promoted governance through task-forces. Thus Geumcheon-gu has no transaction costs and change to balanced governa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For the cooperation between the autonomy of educational and public adminstration, this study emphasizes policy decision makers need to consider governance participation based on attributes of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build a mechanism and critical factors promoting the governance by transaction cost in Special District for Education.

      • 유연근무제(Flexible Work Program) 도입이 보훈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효정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1679

        <Abstract> The Effects of Introducing Flexible Work Program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at Veterans Affairs Hospitals: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Even though the demand of nursing services has increased due to soaring population of older people caused by the chronic illness oriented disease structure, and requirement of high quality nursing services by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pproximately 70% of nurses wanted to change their work places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nurses who worked in 178 domestic general hospitals done by Han Dong-hee in 20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an effective plan to lower turnover rate of nurses, which is a current social issue, as a basic resource of manpower management program for nurses in the Korea Veterans Hospital by researching positive effects of flexible work program on nurse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Based on precedent studies, the leading variable, which is the level of using the flexible work program, was established with availability that asks whether anyone can easily use, intention to use and whether they use,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established with the satisfaction with the flexible work program, to find out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The job satisfactio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was 22 questions, and the turnover intention was 9 questions. Whether organizational support is recognized, which is a parameter, was 7 questions, and a control variable was 9 questions of gender, marital status, working years, position, division, work type, salary and family support obligation. The survey was done for 1 week from August 24 to August 30, 2017. Total 25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238 copies were collected. The response rate was 95.2%. Except 10 copies that were not suitable for the analysis, total 228 copies were used to analyze in this study.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regarding demographic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the job positions, regular nurses were 202(88.6%), manager nurses were 16(7.0%), and department head nurses were 10(4.4%), so it is not irrelevant with the fact that most nurses except manager nurses and above have to work in three shifts. Second, through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52 questions were extracted with flexible work program satisfaction level,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turnover intention, job satisfaction co-workers, job satisfaction superiors, job satisfaction salary/welfare benefits, job satisfaction job itself and job satisfaction promotion factor, the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 α measure was used to analyze. The analysis result showed all the elements satisfied over Cronbach, α 0.8, so the reliability was also confirmed. Third, in the analysis of correlation, all the variables except turnover inten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but turnover intention had negative(-) correlation. All the factors had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level of 0.01. Fourth, to find out the effects of using flexible work program on flexible work satisfaction, we di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showed significant analysis result, so it was confirmed that as use availability and use intention ar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was higher. In addition,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satisfaction with flexible work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we di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ll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analysis result, so it was confirmed that independent variables affected dependent variables. Fifth, to find out the mediation effects of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which is a mediation variable, on flexible work satisfaction level and job satisfaction, we did path analysis. The flexible work satisfaction level didn't show significant level of explanatory power to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certain level of explanatory power. However, direct effects were shown on the rest factors except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so significant level was confirmed. The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had direct effects on all the factors, which confirmed significant correlation. Sixth, instead of dividing job satisfaction into sub-factors, we did path analysis to find out the mediation effects of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on flexible work satisfaction level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 showed that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did not mediate the effects of flexible work program on job satisfaction.(There were indirect effects, but the path didn't continue as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didn't mediate the effects of flexible work program on turnover intention.(There were indirect effects, but the path didn't continue as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Job satisfaction partly mediated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on turnover intention.(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The direct effect was -0.238 in -0.403 of total effects of turnover intention, and the indirect effect going through job satisfaction was -0.164, so it showed partial positive mediation effect that is less than direct effect.) Seventh, in the result of path analysis on flexible work satisfaction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with the mediator of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by dividing flexible work users and non-users, non-users' flexible work satisfaction leve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in all the paths except the path about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on flexible work program with the target of flexible work use and satisfaction to be nurses in the Korea Veterans Hospital. The result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nurses who used flexible work program had high satisfaction level, the satisfaction level of flexible work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support recognition 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ole as a mediation variable. In the current situation when the turnover rate of nurses is a social issue, using flexible work program is expected to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so that turnover rate will be ultimately lowered. Key Words : Flexible Work Program,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국문 초록> 유연근무제(Flexible Work Program) 도입이 보훈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만성질환 중심의 질병 구조와 고령화로 인한 급속한 노인 인구의 증가, 환자와 가족들이 간호에 대한 질 향상 요구는 간호 서비스의 수요증가를 가져왔지만, 국내 178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0년 한동희의 조사연구에 따르면 이직의도를 갖고 있는 잠재적 이직자가 70%에 이를 정도로 높다고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의료기관인 보훈병원에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는 유연근무제가 간호사들의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보훈병원 간호사의 인력관리프로그램 기초자료로써의 활용 및 나아가 유능한 인력의 이직을 낮추어 현재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간호사의 이직률을 낮추는데 필요한 대처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선행변수인 유연근무제 제도의 활용 정도는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가를 묻는 이용 용이성, 이용 의사, 이용 유무로 설정하였으며, 독립변수를 유연근무제도에 대한 만족도로 설정하여 어떠한 영향관계에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종속변수인 직무만족은 22문항으로, 이직의도는 9개의 설문문항으로 분석하였다. 이때 매개변수인 조직지원인식여부는 7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여 분석하였으며, 성별, 연령, 결혼 유무, 근무년수, 직위, 근무부서, 근무형태, 연봉, 가족부양의무 등 총 9개의 문항을 통제변수로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2017년 8월 24일부터 30일까지 1주일 동안 이루어졌으며, 총 250부를 배부하여 총 238부를 회수하였고, 응답률은 95.2%였다. 이 중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10부를 제외한 228부를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직위는 일반 간호사가 202명(88.6%), 주임 간호사 16명(7.0%), 간호과장 10명(4.4%)로 구성비율을 보여 주임 간호사 이상인 관리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간호사들이 3교대를 하는 근무형태를 하게 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고 보여진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52개 설문문항을 유연근무 만족도, 조직지원인식, 이직의도, 직무만족 동료, 직무만족 상사, 직무만족 임금/복리후생, 직무만족 직무자체, 직무만족 승진인 요인으로 추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타당도를 확인하고, Cronbach, α 척도를 사용하여 분석결과 요인들 모두 Cronbach, α 0.8 이상을 충족하여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셋째, 상관관계 분석에 있어, 요인별 상관관계는 이직의도를 제외한 모든 변수들은 정(+)의 상관관계를, 이직의도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요인들 모두 0.01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분석하였다. 넷째, 유연근무 활용도가 유연근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순 회귀분석 및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유의한 분석결과를 보여 이용 용이성과 이용 의사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독립변수인 유연근무에 대한 만족도가 종속변수인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각각의 종속변수인 요인에 모두 유의한 분석결과를 보여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매개변수인 조직지원인식이 유연근무 만족도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경로 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유연근무 만족도는 조직지원인식에 유의수준의 설명력은 보여주지 못했지만, 어느 정도의 설명력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조직지원인식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에 대해서는 직접효과를 나타내 유의수준을 확인하였으며, 조직지원인식은 모든 요인들에 대해 직접효과가 나타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직무만족을 하위요인으로 나누지 않고, 매개변수인 조직지원인식이 유연근무만족도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확인결과, 조직지원인식은 유연근무제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지 않는다. (간접효과는 있으나 조직지원인식으로의 path가 이어지지 않는다.) 조직지원인식은 유연근무제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지 않는다. (간접효과는 있으나 조직지원인식으로의 path가 이어지지 않는다.) 직무만족은 조직지원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한다.(조직지원인식->이직의도 총 효과 -0.403 중 직접효과는 -0.238, 직무만족을 거쳐서 가는 간접효과는 -0.164로 직접효과보다는 적은 긍정적 부분매개 효과를 보인다.) 일곱째, 유연근무제 이용자와 미 이용자로 나누어 유연근무제 만족도가 조직지원인식을 매개로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경로 분석한 결과 미 이용자가 유연근무 만족도가 조직지원인식에 대한 경로를 제외한 모든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유연근무 활용 및 만족도의 대상을 보훈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유연근무제를 주제로 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유연근무제를 이용했던 간호사들이 만족도가 높고, 유연근무제 만족도는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긍정적 영향관계를 보였으며, 조직지원인식은 매개변수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역할을 하는 것을 연구결과로 확인하였다. 간호사의 이직이 사회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유연근무제의 활용은 보훈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여 궁극적으로 이직의도를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주제어 : 유연근무제, 조직지원인식, 직무만족, 이직의도

      • 공공부문 성과저해요인이 인식된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도전적 목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길호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과 행정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1679

        공공부문은 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환경이 불확실하고, 복잡하다. 성과를 단순히 수익성으로만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목표를 구체화하기 힘들며, 다양한 목표와 가치, 이해관계자가 공존함으로써 서로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고, 규칙과 관료적 특성 등으로 제약과 복잡성이 높다. 또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사이의 관계가, 선출직공무원과 관료들 사이의 책임 구조 차이가 공공부문의 모호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공공부문이 맞닥뜨리는 사회문제들은 매우 풀기 힘든 난제(wicked problem)라는 특징이 있으며, 사회 문제의 수는 점점 많아지고, 문제들이 서로 복합적으로 얽혀 있어 쉽사리 해결하기 힘들어지고 있다. 또한 전문지식이 없으면 무엇이 문제인지 파악조차 할 수 없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동시에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해 정부의 정책 결정과 행정서비스가 실시간으로 전국에 공개되고 있으며, 정책 집행 및 결정과정, 예산 사용 내역 등 정책에 관한 투명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민들의 참여 욕구와 소통에 대한 요구는 증대되고 있으며, 정책결정과정에 다양한 목소리를 수용해야하는 환경에 쳐해 있다. 이와 같은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그 방안으로, 목표를 도전적으로 설정하여, 공공부문의 불확실성과 불명확성, 다양성 등에 대응해야한다는 주장이 제시되고 있다. 도전적 목표란, GM(General Motors)의 전(前) 회장 잭 웰치가 그 개념을 사용하면서 주목받게 된 개념으로, 민간부문의 성공 사례들이 알려지면서 공공부문에서도 강조되고 있는 개념이다. 이석환(2008)은 UOFO(Unreasonable Objectives Focus Organization)이라는 개념을 소개하며, 공공부문의 조직 목표들은 서로 충돌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달성하기 어렵지만, 충돌하는 목표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이른바, 비합리적인 목표들을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는 조직의 모습을 역설했다. 또한, 2018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기관평가 편람에서는 “매우 도전적 목표”를 평가 항목으로 제시하여, 목표를 도전적으로 설정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도전적으로 목표를 설정하여 혁신과 변화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조직의 에너지를 증가시키며, 궁극적으로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도전적 목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목표설정이론에 따르면, 극도로 어려운 목표는 구성원들이 목표를 포기하게 만들어 성과를 저해시킨다고 말하고 있으며, 도전적 목표에 대한 일부 선행연구들에서도 도전적 목표는 구성원들의 혼란을 가중키고, 스트레스 과부하, 교착상태, 사기 저하 등 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말하고 있다. 그런데도 공공과 민간 부문 할 것 없이 도전적 목표에 관심을 두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도전적 목표는 공공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블랙박스일까, 오히려 성과를 저해시키는 판도라의 상자일까. 이러한 의문점으로부터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공공부문에는 중앙정부, 지방정부, 공기업, 출연기관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지방정부로 범위를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지방정부는 정책 및 제도를 수립하는 동시에 집행을 담당하는 조직이며, 다양한 분야의 행정서비스를 시민들의 지근거리에서 제공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지방화가 현대 국가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각되고 있고, 대(對)시민 대응성을 높여 국가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지방 정부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는 시기에, 지방정부의 도전적 목표, 성과, 환경 간 관계에 대해 살펴봐야할 중요한 시기라고 판단한다.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했다. 논산시와 부천시 두 지방정부를 대상으로 총 211부의 설문지를 수거하였으며, 논산 103부, 부천 98부의 균일한 응답을 받을 수 있었다. 논산시와 부천시는 DBSC(Double Balanced Score Card)와 시민주도형 성과관리를 시행하는 대표적인 지방정부로 성과와 환경, 도전적 목표를 살펴보고자 하는 본 연구에 적합한 연구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분석에는 다수의 종속변수 및 독립변수들 간의 인과 관계를 동시에 살펴볼 수 있는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했으며, 분석결과 해석의 적절성과 적실성을 높이기 위해 공공부문 종사자 13명(지방정부 6명, 세무서 3명, 공공기관 2명, 기타공공조직 2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구조방정식 분석결과 ‘효과성’에는 ‘미흡한 보상 시스템’이 정(+)의 영향을, ‘모호한 목표’가 부(-)의 영향을 주고 있다고 나타났다. ‘효율성’에는 ‘성과 지향적이지 못한 조직 문화’와 ‘미흡한 보상 시스템’은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응성’에는 ‘모호한 목표’와 ‘성과지향적이지 못한 조직 문화’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도전적 목표’에는 ‘정치적 요인’이 정(+)의 영향을, ‘상위 기관의 지시 및 간섭’과 ‘성과 지향적이지 못한 조직문화’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전적 목표’는 ‘효과성’, ‘효율성’, ‘대응성’세 변수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호한 목표’와 효과성 사이에서, ‘성과지향적이지 못한 조직문화’와 효과성 사이에서 도전적 목표가 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율성’과 ‘성과지향적이지 못한 조직문화’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모호한 목표’와 대응성 사이와 ‘성과지향적이지 못한 조직문화’와 대응성 사이에 도전적 목표가 매개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이론적 함의는 첫째, 경영학이나 시장(기업)에서 다루어지던 도전적 목표의 개념을 공공부문에 적용하고, 계량 분석을 통해 연구의 일반화에 기여했다는 점과 공공부문 종사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결과를 해석함으로써, 이론과 현장의 적실성을 높였다는 의의가 있다. 둘째,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도전적 목표에 미치는 환경적 요인, 도전적 목표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폭넓게 살펴봄으로써, 공공조직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봤다. 셋째, 공공과 민간 조직을 직접 비교한 것은 아니지만, 공공조직을 둘러싼 환경들이 도전적 목표에 영향을 미치고, 성과를 창출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민간부문과 다른 행정학 및 공공관리에서의 차별성을 찾았다. 넷째, 기존의 목표설정이론에서는 극도로 어려운 목표는 조직성과를 하락시킬 수 있다고 했으나 본 연구를 통해 도전적 목표가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목표설정이론의 논의를 확장하는데 기여했다. 다섯째, 도전적 목표의 효과가 ‘긍정적이다’ 혹은 ‘부정적이다’로 선행연구들의 결과가 나뉘는 상황에서 의미 있는 분석 결과를 제시했다는 것이 학술적 의의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제시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는 3가지이다. 첫째, 도전적 목표가 공공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도전적 목표를 바라보는 구성원들의 시각은 부정적임을 고려할 때, 관리자들의 목표 관리 훈련 또는 목표 관리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제대로 된 성과관리에 대한 교육과 훈련을 통해 목표를 관리하고, 도전적 목표를 관리하며, 나아가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목표를 도전적으로 설정하는데 있어 관리자들은 공공조직의 다양한 요인들을 활용하고, 관리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치적 요인과 같은 외부의 새로운 관점과 힘, 책임 소재 완화는 공공조직이 도전적으로 목표를 세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성과지향적이지 못한 여러 조직문화들과 중앙 및 광역 정부의 지시 및 간섭으로 인한 자율성, 유연성, 창의성 등의 제약은 구성원들이 도전적으로 일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를 근거하여 지방정부의 성과 향상, 도전적 목표 관리를 위한 방안 및 전략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공공부문의 성과지향적이지 못한 조직문화는 조직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성과지향적이지 못한 문화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면서도 바꾸지 못하는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 빠져나오려면, 성과평가를 통해 도출한 성과정보들을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 문화는 구성원들에게 내재되어있고, 관리자들은 현재의 문화 속에서 성장했기 때문에, 문화를 바꿔야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성과 평가를 통한 성과 정보를 잘 활용하여, 부정적인 조직 문화를 바꿀 명분과 근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In the public sector it's hard to establish the ground to set up an goal owing to its features of uncertainty, complexity. The achievement is, on the one hand, not merely meant to be judged by profitability that a goal is hard to be isolated set in concrete. On the other hand, It's thought that a various of goals, values, party interested are contracted higher restrictions and complexities. Further, The ambiguities have been increased owing to apportion blames amongst the elected officials in the networks of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In addition to that, a social problems which public sector is dealing with have the common denominator called 'wicked problem'. It's not simple to cover social matters lineary, for those are falling into different problems affecting one another in complicated networks. Moreover, Without knowledges, It's yet harder to grasp a thread of a problem. By the way, with the development in information technologies, a policy-making and administrative services were made public in real time in the whole country in line therewith that policy implementat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es, how budgets are spent matter in terms of transparency. Thus, the participation, communication demands of citizens are increasing that all sort of system in policy-making process are being pushed to embrace different needs The many are introduced to respond positively on such a political circumstance. One of the alternatives given is 'setting a goal aggressively', thereby resolving the ambiguities and uncertainties in the public sectors, absorbing different needs. The 'stretch goal' was highlighted after Jack Welch, an former president of GM, concepted, which has been spread out after a successful case of private sectors became known. After all, The concept is highlighted in the public sector as well. Seok Huan Lee(2008) introduced the concept so-called, UOFO(Unreasonable Objectives Focus Organization). In the concept one can imagines the figure of an organization. That is, an organizational goal in the public sector inevitably comes into conflict with one another. However, the goals work in an contrasted way can be organically combined by an organization in order to achieve an irrational goal. On the one hand, Evaluation Manual of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Science and Technology(NST) in 2018 'exceptionally stretch goal' was provided to make a goal induced aggressively. After all, The evaluation item direct goal to be innovated, changed, thereby improving energies of organization, improving energies of organization to improve performance of an organization ultimately. In this sense, stretch goal is highlighted However, according to the goal-setting theory, an extremely difficult goal is to make members abandon their goals, which hinders achieving performances. In previous studies on stretch goals, the stretch goal is to increase the confusion of members, make stress overloaded, make members reach an deadlock and the morale of the organization is negatively affected. But why are they interested in stretch goals, both public and private? Is the stretch goal a black box that improves the performance of public organizations, or a box of Pandora that hinders performance? The study started from this question. In the public sector, there are various forms such as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 and public enterprise, but this study will be limited to loc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re responsible for establishing policies and systems, as well as for enforcement, and they play a key role in providing administrative services in a variety of areas, near the citizens. Localization has become a new paradigm of contemporary national management. At the time when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has been highlighted as a way to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by enhancing civic responsiveness. So, It is an important time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 and local government's stretch goals.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A total of 21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e local governments of Nonsan City and Bucheon City, and 103 responses of Nonsan and 98 responses of Bucheon 98 were received. Nonsan City and Bucheon City are suitable for the study, which represent local government that implements Double Balanced Score Card(DBSC) and Citizen-led Performance Management to investigate performance, environment and stretch goals. In order to improve the adequacy and appropriateness of the result analysis, 13 public sectors (6 local governments, 3 tax offices, 2 public institution, 2 other public ogranizations) were adopted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dependent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showed that the 'Stretch goal' and 'Insufficient compensation system' had positive, 'Ambiguous goal' had negative effects on 'Effectiveness' each. 'Stretch goals' has a positive impact on 'Efficiency', 'Non-performance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sufficient compensation system' have negative effects to 'Efficiency'. On the other hand, 'Stretch goal' showed positive impact on 'Responsiveness', and 'Ambiguous goal' and 'Non-performance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showed negative influence to 'Responsiveness'. On the other hand, 'Political factors' showed positive effects on 'Stretch goals', and ‘Instruction & interference of upper organization’ and 'Non-performance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had negative effects on 'Stretch goals'. Finally, the 'Stretch goal' positively affects all three variables: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Responsivenes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abo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stretch goal, which was dealt in business administration or market, was applied to public administration, that is, public sector. And contributed to the generalization of research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by interpreting the results through interviews of the public sector workers, it is meaningful that the theoretically and the field are enhanced. Second, we have searched for way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public organizations by broadly examin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impact of stretch goals on performance by using SEM. Third, I did not directly compare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ivate sector and public management was found by examining the effects of environments surrounding public organizations on stretch goals and creating performance. Fourth, In the existing goal-setting theory, an extremely difficult goal could redu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this study contributed to boarding discussion of goal setting theory, thereby confirming that stretch goals can produce positive effects. Fifth, Research suggest meaningful results, because the results show that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fell into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effects of the stretch goal. On the other hand, there are three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be presented. First, although stretch goals have a positive effect on public organizations, managers' goal management education or goal management training is necessary, for the member’s viewpoint about the stretch goals are negative. There is a need for measures to manage goals, manage stretch goals, and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on proper performance management. Second, managers must utilize and manage various elements of public organization in setting goals. New perspectives and external powers, such as ‘Political factors’, can help public organizations to set stretch goals, and restriction of autonomy, flexibility, creativity from 'Non-performance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struction & interference of upper organization’ can have negative effect to members in struggling with working aggressively.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and strategies for enhancing local government performance and managing stretch goals. Third, organizational culture that is not performance-oriented in the public sector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whole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performance information derived through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 order to get out of the present situation which can not changed even if it's widely known that culture that is not performance-oriented has a negative influence. For culture is inherent in its members, and managers have grown in the present cultu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y will not feel the need to change culture. It is necessary to make good use of performance information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 and to secure reason and ground to change the negative organizational culture.

      • 병원약사의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 전문직업성에 따른 지원적 조직환경의 영향을 중심으로

        안문옥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한국병원약사를 대상으로 전문직업성에 따른 지원적 조직환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문직업성의 구성요인을 분석하고, 지원적 조직환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전문직업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지원적 조직환경은 4개의 요인으로 결정되어 조직의 지원, 조직의 교육지원,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으로 나누어 분석에 활용하였다. 또한 전문직업성은 공익 사명감, 준거성, 자율성 3개 요인으로 결정되었고, 조직몰입은 4개 차원으로 결정되어 정서적 조직몰입, 유지적 대안몰입, 유지적 이익몰입, 규범적 조직몰입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매개효과 분석에서 전문직업성은 단일 차원의 요인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병원약사에 있어서 전문직업성의 구성요인은, 공익 사명감, 조직준거성, 자율성 3개로 분석되었다. 공익 사명감은 공적 봉사심과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이 합쳐진 요인이며, 병원약사는 직업에 대한 신념을 공익을 위한 기여와 동일시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다차원 조직몰입에 있어서, 공익 사명감 요인만이 정서적 조직몰입과 규범적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단일차원의 전문직업성에 대하여 조직의 지원과 상사의 지원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다차원 조직몰입에 있어서 지원적 조직환경이 영향을 미칠 때 전문직업성의 매개효과는 부분적으로 검증되었다. 정서적 조직몰입에 있어서 조직의 지원과 상사의 지원이 영향을 미칠 때 전문직업성이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며, 규범적 조직몰입에 있어서 상사의 지원이 영향을 미칠 때 전문직업성이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론적으로 전문직업성 강화를 목표로 병원의 조직차원의 지원과 상사의 지원이 이루어질 때 병원약사의 정서적 조직몰입과 규범적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organization’s support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pharmacists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we have analysed the role of professionalism in the relationship. A survey was conduced on 224 hospital pharmacists working in general and advanced general hospital. We found first that support of the hospitals enhance the affective commitment of pharmacists. In addition, supervisors’ support enhances the affective and normative commitment. Second, professionalism influences the pharmacists’ organizational commitment affectively and normatively. That professionalism is affected by organization and supervisor’s support and as such mediates the influence on the pharmacist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scholarship by highlighting the role of mediating factor to understand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hospital pharmacists in South Korea are professionals and their professionalism is subject for development. Thus, hospitals need, as found in this study, to develop further how to effectively support their professional employe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