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의 정서지능 및 자아존중감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신은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야) 2018 국내석사

        RANK : 252719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정서지능, 자아존중감, 또래유능성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고, 유아들의 정서지능, 자아존중감, 또래유능성 간의 영향 관계를 하위 요인 별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은 또래유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또래유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실증분석의 경우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소재 유치원 재학 만 4세 및 5세 유아 195명을 대상으로 유아들의 정서지능, 자아존중감, 또래유능성 측정도구는 선행연구에서 많이 사용되는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의 배경변인별 특성에 따라 정서지능 및 자아존중감, 또래유능감의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둘째, 유아의 정서지능 및 자아존중감과 또래유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유아의 정서지능 및 자아존중감이 또래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이 또래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정서지능 요인 중 자기조절능력, 타인인식능력, 타인조절능력 요인이 또래유능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타인인식능력, 타인조절능력이 높을수록 유아의 또래유능감이 높아지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는 바, 유아들의 또래유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의 정서지능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또래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자아존중감 요인 중 인지적 능력, 동료 수용요인이 또래유능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인지적 능력과 동료 수용이 높을수록 유아의 또래유능감이 높아지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는 바, 유아들의 또래유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esteem and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steem and peer competence by sub-factors. Based on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are defined. First, how do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 peer competence? Second, how do the children's self-esteem affect peer competence? The emotional intelligence, self-esteem, and peer competence were measured in 195 children who were 4 and 5 years old at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measurement tools frequently used in previous studies were used and the data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0.0 application. First, t-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emotional intelligence, self-esteem, and peer compet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background variables. Seco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steem and peer competence. Thir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steem on peer competence The main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on peer competence was verified. It was found that self–control ability, other–awareness ability, and other-control ability of children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peer competence.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higher the self-control ability, the other-awareness ability, and other-control ability of children, the higher the positive effect of children's peer competence. Therefore, to increase the peer competence of childre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Second, the effect of self-esteem of children on peer competence was verified. It was found that cognitive ability and peer acceptance of childre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er competence.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higher the cognitive ability and peer acceptance of children, the higher the positive effect of the children's peer competence. Therefore, efforts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children are needed to improve children's peer competence. Keywords: emotional intelligence, self-esteem, peer competence, early childhood

      • 유아교사가 인지한 원장의 서번트리더십과 유아교사의 행복감간의 관계

        진정하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야) 2018 국내석사

        RANK : 252719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인지한 원장의 서번트리더십과 유아교사의 행복감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알아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별 원장의 서번트리더쉽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배경변인별 교사의 행복감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원장의 서번트리더쉽과 교사의 행복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조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사립 유아교육기관(유치원)및 보육기관(어린이집)의 협조를 얻어 유아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250부 중 무응답이나 무성의한 답변을 제외한 214부를 분석 자료로사용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도구는 서번트리더십은 Laub(1999)이 개발한 측정 문항 신숙희(2011)와 성복련(2010) 이 재 구성한 총 24문항으로 하였다. 유아 교사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Argyle(2001)가 개발한 옥스퍼드행복척 도를 권석만(2011)이 번안한 것을 바탕으로 교사를 대상으로 타당화한 최 영옥(2011)의 척도 21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서번트리더십과 교사의 행복감과의 관계가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영향력을 검증하기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를 통한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은 가치존중, 성장지원, 공동체형성, 진정성, 리더십발휘, 리더쉽 공유의 6개 하위변인으로 유아교사의 배경변인별 요인의 일반적인 경향은 대체적으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행복감으로는 교사의 내적행복, 외적행복, 자기조절행복 3개의 변수로 구분 하였으나 하위 요인별 행복감 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일반적 경향을 통해 알아본 결과는 대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장의 서번트리더십과 교사의 행복감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은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모두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원장의 서번 트리더십과 교사의 행복감에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변수로 는 서번트리더십을 종속변수로는 행복감을 투입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원장의 서번트리더십과 교사의 행복감 하위요인 중 내적행복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 모두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가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을 높게 지각할수록 유아교사의 행 복감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증명 해 주며 원장의 수준 높은 리더십은 유아교육기관에 리더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 해 준다. The study is intended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al's servant relationship and the infant the infant teacher's well being. The following studies have been studied. First, the difference of the Servant leadership by background variables. Second, the difference of a teacher's well being by background variable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teacher's well being. Fourth, the relative influence of servant leadership on the well being of the infant teacher.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eachers of infant nursery institutions and infant nursery school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with cooperation. Out of 250 responses, 214 cases were analyzed except non-response or careless responses. The Servant leadership of this study is a total of 24 questions compiled by the Raub(1999) and Shinsookhee(2011) Sungboklyun (2010). In order to measure the happiness of the infant teacher, the Oxford welfare scale (for teachers) of the Argyle (2001) was utilized which was adapted by Kwon Seok-man (2011) adopted and reformed by Choi Young-ok (2001).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urvant leadership and the teacher's well-being,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and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ut into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with respect to Value respect, growth support, community formation, authenticity, leadership, sharing leadership, the general tendency of back ground of the infant's teachers variables is recoginzed highly. Second, the teacher's happiness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 the inner & external well-being of teachers, and self governing well-being. The happiness of the lower facto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ut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general trends were generally higher. Third, as a result of the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al's leadership and the teacher's well-being, the Servant leadership of a principal appears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happiness of a infant teacher. Fourth, we conducted a mid - to long-term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principal's leadership and the relative influenc of the teacher's well-being.

      • 학부모가 인식한 유치원 교사의 부모상담 역량에 대한 분석

        신혜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야) 2018 국내석사

        RANK : 252719

        ABSTRACT An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parental consulting competence Shin, Hye Jin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e purposes of counseling with parents in kindergartens are to solve the problems of some children with serious problematic behaviors, to solve and prevent the problems of children with various developmental problems, to develop children and to realize their potentiality, etc. Enhancing kindergarten teachers’ counseling abilities will help to discover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in early stage and to correct and prevent them This study, therefore, aimed at analyzing kindergarten teachers’ counseling abilities into five factors, which are teacher’s personality and attitudes, teacher’s counseling techniques, teacher’s professionalism, teacher’s understanding of children and teacher’s communication skills, in order to help kindergarten teachers to take counsel with parents on children’s various problems, thereb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the enhancement of teachers’ counseling abiliti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up. First, how are the actual conditions of counseling with parents in kindergartens? Second, how are kindergarten teachers’ abilities to counsel with parents perceived by parents? A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300 parents of children in two kindergartens in A city, Chungcheongnam-do for two weeks from October 10 to October 23, 2017. The questionnaire used for the study had been modified and sup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with reference to the questionnaire for parents used by Ha Jeong-bin (2014) and Jo Hyeon-mi (2017). Out of 3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251 were collected and used as data. In the study, in order to examine parents’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bilities to counsel with them,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and analyzed as follows using SPSS 18.0 program. First, in order to find out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counseling with parents in kindergartens, a χ² test was carried out. Third, for the examination of difference in parents’ percep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counseling with them, a t-test and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arried out, and Scheffe’s test was conducted as a post-tes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questionnaire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for the actual conditions of counseling with parents in kindergartens, an examination was carried out on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ounseling with parents according to parents’ background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a child’s “life attitudes” and “friendship” accounted for higher proportions of counseling themes in counselings taken with parents in kindergartens. As for parents’ participation in counseling, “twice per year” took the first spot. As for participants in counseling with parents, “mother” recorded the highest figure. With regard to the time for parents’ participation in counseling, at the beginning of semester took the first spot, followed by the middle of semester. The results above indicate that higher attention is given to children’s adaption to a kindergarten at the beginning of semester and to children’s life in a kindergarten in the middle of semester. As for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ime for participation in counseling with parents, “no more than 20 minutes”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With regard to materials provided in counseling with parents, “record on observation of a child” was highest in number. Counseling with parents was shared with family members, suggesting that “mothers,” who were participating in counseling share the contents of counseling with “fathers.” As for kindergarten teachers’ abilities to counsel with parents perceived by parents, all of the parents who were aged less than 40, graduated from a four year university or higher and had three children gave the highest perception to teacher’s personality and attitudes in terms of teacher’s counseling ability, followed by teacher’ understanding of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parents think that teacher’s personality and attitudes displayed in counseling with them are important even when the teacher educates their children. Furthermore, their higher perception of teacher’s understanding of children suggests that they put more importance to teacher’s attention to and understanding of their children than to teacher’s counseling techniques,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teacher’s communication techniques. Keywords early childhood teachers’ counseling, counseling ability, personality and attitudes, counseling techniques, teacher’s professionalism, understanding of children, communication techniques 국문초록 학부모가 인식한 유치원 교사의 부모상담 역량에 대한 분석 신혜진 유아교육전공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치원에서의 부모 상담은 문제가 심각한 일부 아동의 문제해결뿐만 아니라 발달상의 다양한 문제를 보이는 유아의 문제 해결과 예방, 유아의 성장, 잠재력 실현 등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가 부모와 유아의 여러 가지 문제들에 대해 상담할 수 있도록 교사의 상담 역량을 교사의 인성 및 태도, 교사의 상담기법, 교사의 전문성, 교사의 유아의 이해, 교사의 의사소통 기술의 5가지 요인으로 분석해서 교사의 상담 역량을 강화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유치원에서의 부모상담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학부모가 인식한 유치원 교사의 부모상담 역량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A시에 소재한 2곳의 유치원의 재원중인 유아의 학부모 300명 을 선정하여 2017년 10월 10일부터 10월 23일까지 2주간 실시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하정빈(2014), 조현미(2017)가 사용한 부모용 설문지를 참고하여 연구와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총 300부에 251부가 회수되어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의 부모상담 역량에 대한 학부모 인식이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수집된 자료들을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고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유치원에서의 부모상담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셋째, 학부모가 인식한 유치원 교사의 부모상담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및 사후검증으로 Scheffe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치원에서의 부모상담 실태는 부모의 배경변인별로 부모상담의 대한 인식차이를 보았다. 그 결과로는 유치원에서 진행되는 부모상담 시 상담 주제로 유아의 생활태도와 교우관계에 대한 비율이 높았고 학부모의 상담참여는 연 2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부모상담의 참여자는 어머니가 가장 높았고 학부모의 상담 참여시기에 관한 질문에는 학기 초와 학기중간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기 초에는 유아의 유치원 적응기간에 따른 관심도가 높음을 알 수 있고 학기중간은 유아의 유치원생활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모상담 참여시간에 대한 인식차이에서는 20분 이내가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부모상담시 안내받은 부모 상담자료 제공으로는 유아 관찰기록이 제일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상담은 가족이 함께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냈는데 이는 상담에 참여하는 어머니가 아버지와 함께 공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부모가 인식한 유치원 교사의 부모상담 역량에서는 부모의 나이가 40세미만, 4년대 졸업 이상, 3명의 자녀를 둔 부모 모두에게서 교사의 상담역량으로 교사의 인성 및 태도를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교사의 유아의 이해가 높은 중요도를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살펴보면 학부모들은 상담을 하면서 보이는 교사의 인성과 태도가 내 아이를 교육할 때에도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교사의 유아의 이해가 높은 것은 교사가 내 아이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갖고 이해하고 있는가의 중요성이 교사의 상담기술, 교사의 전문성, 교사의 의사소통 기술 보다 더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열린 어린이집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운영실태 및 요구조사

        김현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야) 2018 국내석사

        RANK : 252703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operation of open child-care centers and the demand of parents and teachers for it, and to provide the base line data to boost the level of the operation of open child-care centers. The main themes of this study are stipulated as below; First,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he operation of open child-care centers and demands for it according to the factor of teachers’ background level (ages, careers, education level, and grade in charge)? Second, what transpire as the discrepancy in the operation of open child-care centers and demands for it due to the factor of parents’ background level (ages, careers, the number of children, and time to take children to the center)? Third, what is different between what parents want for the operation and what teachers do? In this study,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the operation of open child-care centers and demands for it, which has targeted at 84 teachers in 13 open child-care centers, the municipal-established, and at 269 parents of a certain district, K initialized municipal one in Seoul. The research paper for this study is based on what Lim Hyun Jung (2016) and Kyoung Minyoung (2016) have used as the measurement of the guideline for open child-care centers made by MOHW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s the open child-care managed well? The sub-realm of the research are composed of 43 questions scaling to 5 scores about openness of the child-care(6ea), spontaneity of the parents’ participation(4ea), ordinariness of the participation(4ea), diversity of the activities(4ea), flexibility of the operation(4ea), education to highlight abilities(4ea), chances and paths of multi-dimensional communication(4ea), activities made with parents altogether(4ea), activities linked to the child-care(4ea), and participation to make decisions(5ea). For analyzing the assembled research data,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Cronbach’s α (coefficient of internal consistency), t-test, and one-way ANOVA a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come as below; First of all, among the differences in the operation of open child-care centers and demands for it according to the factor of teachers’ background level (ages, careers, education level, and grade in charge), only the gap in teachers’ educational level shows a significant meaning. On the one hand, when it comes to the operation of the centers, teachers who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s have higher recognition levels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four-year course universities in the questions about diversity of the activities and education to highlight abilities. On the other hand, about the demand for the centers, it is found that teachers who graduated from the universities have higher recognition levels in the questions about openness of the child-care, spontaneity of the parents’ participation, ordinariness of the participation, chances and paths of multi-dimensional communication, activities made with parents’ altogether, and activities linked to the child-care. This means as teachers have higher level of education, they require more openness, spontaneity and participation for the child-care center than the current operation situation. Second, what about the differences in the operation of open child-care centers and demands for it according to the factor of parents’ background level (ages, careers, the number of children, and time to take children to the center)? On the point of the operation, meaningful gaps have come in mothers’ educational level, the number of children, age of the children, and time to take children to the center. As they have more children, as they have children at older age, and as they have longer experience to take children to the center, they have higher recognition levels in the operation of the child-care center. According to mothers’ educational level, mothers who have relatively low educational level show less interest in activities linked to the child-care, which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linked activities more easily. As about the demands for the child-care centers, fathers’ educational level only shows a meaningful gap, which is found that fathers of the high school graduate have more demands than those of the junior college. This means that nowadays fathers have much interest in the centers and want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as well as work out for economic activities. Third, what is the discrepancy between what parents want and what teachers do in the operation of open child-care centers and demands for it? Through comparing for the results of the operation, teachers have more recognition than parents. When it comes to the demand for the centers, parents have higher recognition than teachers, vice versa. This result explains that parents are not satisfied with the current operation level and have more demand for it, so they want to more positively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in the center.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research results, in order to activate the open child-care cen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ehold and the center has to be more cooperative in communication and activities, which will lead to reduce to the recognition gap between the parents and teachers. 본 연구는 열린 어린이집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운영실태와 요구를 분석하고, 연구 결과를 통해 열린 어린이집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배경변인별(연령, 경력, 학력, 담당학급) 열린 어린이집의 운영실태와 요구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부모 배경변인별(연령, 학력, 자녀수, 자녀연령, 어린이집 보낸 기간) 열린 어린이집의 운영실태와 요구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교사와 부모의 열린 어린이집의 운영실태와 요구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열린 어린이집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운영실태와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 K구에 소재하고 있는 구립 어린이집 13곳의 교사84명과 부모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보건복지부(2015)의 열린 어린이집 가이드라인 “열린 어린이집을 잘 실천하고 있나요?̋̋̋” 측정도구를 기초로 임현정(2016), 경민영(2016)이 사용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하위영역은 어린이집 공간의 개방성(6문항), 부모참여의 자발성(4문항), 참여활동의 일상성(4문항), 참여수준의 다양성(4문항), 운영의 융통성(4문항),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4문항), 다면적 의사소통의 기회와 통로(4문항), 함께하는 부모참여 활동(4문항), 어린이집과의 연계활동(4문항), 의사결정에의 참여(5문항)으로 5점 척도로 평점하는 4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내적 일관성계수인 Cronbach’s α, t-검증, 일원분산분석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배경변인별(연령, 경력, 학력, 담당학급) 열린 어린이집의 운영실태와 요구의 차이에서는 교사의 학력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운영실태에서는 참여수준의 다양성과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에 대해서 4년제 대학교 졸업이상의 교사들보다 2∼3년제 대학 졸업미만의 교사들이 더 높은 인식수준을 나타났다. 요구에서는 어린이집의 공간의 개방성, 부모참여의 자발성, 참여활동의 일상성, 다면적 의사소통의 기회와 통로, 함께하는 부모참여활동, 어린이집과의 연계활동에서 4년제 대학교 졸업이상의 교사들이 높은 요구를 인식한다고 나타났다. 이는 현재의 열린 어린이집에 대한 운영실태와 요구에 대해 학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열린 어린이집에 대한 개방성과 자발성과 참여성이 지금의 운영실태보다 더 높아야한다고 요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부모 배경변인별(연령, 학력, 자녀수, 자녀연령, 어린이집 보낸 기간) 열린 어린이집의 운영실태와 요구의 차이는 어떠한가? 운영실태에서는 어머니 학력, 자녀수, 자녀의 연령, 어린이집 보낸 기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녀가 많을수록, 자녀의 연령이 높거나, 어린이집에 보낸 기간이 긴 부모일수록 어린이집 운영실태에 대해 높은 인식이 나타났다. 어머니의 학력에 따른 차이는 어린이집과의 연계활동에 대해 낮은 학력을 갖은 어머니들이 낮게 인식을 하는 것을 나타났다. 이는 연계활동에 대해 조금 더 알기 쉽게 준비하여 부모들에게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요구에서는 아버지 학력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2∼3년제 대학 졸업이하의 아버지보다 고등학교 졸업이하의 아버지들의 요구가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4년제 대학교 졸업이상의 아버지들의 요구가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아버지들이 경제활동만 하는 역할이 아닌 자녀들의 관심과 더불어 어린이집에도 많은 관심과 참여를 원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셋째, 교사와 부모의 열린 어린이집의 운영실태와 요구의 차이는 어떠한가? 운영실태에 대한 차이를 비교한 결과, 부모보다 교사가 더 높은 인식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요구에 대한 차이를 비교한 결과를 살펴보면 교사보다 부모가 높은 인식을 보였다. 이는 현재의 운영실태에 대해서 부모가 만족하지 않고 있고 요구가 더 많음은 부모가 어린이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함을 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열린 어린이집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가정과 어린이집이 서로 소통하고 참여할 수 있는 지지적인 관계로 발전하여 교사와 부모의 인식차이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해야한다.

      • 취업모의 근로 특성에 따른 영·유아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박희정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야) 2018 국내석사

        RANK : 252703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difference in the parenting stress of working mothers with infants according to their working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arenting stress and working characteristics, thereb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needed for infants’ positive development. The research qu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the actual conditions of working mothers’ working characteristics? Second, how are the relationships among working mothers’ working characteristics, flexibility of working conditions, spous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A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300 parents with infants in five daycare centers. Out of the 3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225 were returned and used as final research data.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11 items on general characteristics, 5 items on flexibility of working conditions, 10 items on spousal support and 32 items on parenting stress. A total of 58 item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had been reorganized by this researcher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validity of their contents were verified by an exper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an examination of difference in working mothers’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child’s gender,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working hours, tasks after work, the number of children, mother’s age, whether or not to get help with parenting, work experience, commuting time and distance, child’s age and mother’s job),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according to child’s gender,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working hours, tasks after work, the number of children and mother’s job. In addition, difference in spousal support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child’s gender,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working hours, tasks after work, the number of children, mother’s age, whether or not to get help with parenting, work experience, commuting time and distance, child’s age and mother’s job)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working hours, mother’s age, work experience and child’s age. Second,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working mothers’ flexibility of working conditions, spous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showed a partially negative correla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working mothers’ flexibility of working conditions and spousal support is closely related with their parenting stress.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working mothers’ flexibility of working conditions and spousal support on their parenting stress,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influence of working mothers’ flexibility of working conditions on their parenting stre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daily stress caused by parenting. This suggests that more flexible working conditions reduce parenting stress. The suggestions acquired from the results above are as follows. Flexible working conditions should be created for working mothers in order to reduce their parenting stress or support at institutional level should be provided to help them to continue economic activities without limitations and conflicts caused by maternal affection.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spouses’ participation in parenting, measures for the increase of participation in parenting are sought and a policy in which offering time for participation in parenting should be made. Furthermore, measures which encourage spouses’ participation in parenting, including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spouses and the class participated by spouses, are needed. Moreover, socially and emotionally parents’ participation in parenting should be perceived as normal, and spouses’ participation in housework and parenting should be developed more actively. This study, therefore, tried to help to minimize working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needed for infants’ positive development. 본 연구는 취업모의 근로 특성에 따른 영·유아 양육스트레스의 차이와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긍정적인 영·유아 발달을 이끄는데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본 연구는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의 근로 특성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취업모의 근로 특성과 근로조건의 융통성, 배우자지지와 양육스트레스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는 어린이집 5곳을 선정하여 300명의 영·유아 부모에게 설문지를 배부한 후 회수된 225부를 최종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취업모의 일반적 특성 11문항, 근로조건의 융통성 5문항, 배우자지지 10문항, 양육스트레스 32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전문가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은 총 58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분석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의 배경변인(자녀성별, 어머니학력, 근로시간, 퇴근 후 업무, 자녀수, 어머니연령, 자녀양육 도움, 근무경력, 출퇴근시간거리, 자녀연령, 어머니직업)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녀성별, 어머니학력, 근로시간, 퇴근 후 잔업유무, 자녀수와 어머니직업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배경변인(자녀성별, 어머니학력, 근로시간, 퇴근 후 잔업유무, 자녀수, 어머니연령, 자녀양육 도움, 근무경력, 출퇴근시간거리, 자녀연령, 어머니직업)별 배우자지지의 차이에 대해 알아본 결과 어머니학력, 근로시간, 어머니연령, 근무경력, 자녀연령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취업모의 근로조건의 융통성과 배우자지지,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분적으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와 같이 나타난 결과를 통해 근로조건의 융통성과 배우자지지가 취업모 양육스트레스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취업모의 근로조건의 융통성과 배우자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회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취업모의 근로조건의 융통성이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자녀양육으로 인한 일상적 스트레스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근로조건이 융통적일수록 양육스트레스가 줄어듦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통해 얻게 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 취업모들에게 융통성 있는 근무환경을 조성해 주거나, 모성애의 제한과 갈등 없이 지속적으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배우자 양육참여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 양육에 참여할 수 있는 시간을 배려해주는 정책이 마련되어야 하며, 배우자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나 배우자 참여수업 등 배우자의 양육참여를 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 정서적으로도 배우자의 양육참여가 보편화되도록 인식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가사와 육아에 배우자들의 참여가 보다 활발하게 전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긍정적인 영·유아 발달을 이끄는데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맞춤형 보육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 조사

        권영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야) 2018 국내석사

        RANK : 252703

        국문초록 맞춤형 보육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 조사 권영희 유아교육전공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2016년 7월부터 실시하고 있는 맞춤형 보육정책에 대하여 현재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맞춤형 보육정책실시에 대한 학부모의 맞춤형보육의 이용현황실태와 맞춤형보육의 만족도, 맞춤형보육에 대한 요구사항을 점검하고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학부모의 다양한 요구와 제도 시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의 해소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맞춤보육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이용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맞춤보육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셋째, 연구문제 3. 맞춤 보육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요구도는 어떠한가? 연구 대상자는 맞춤보육을 이용하는 학부모 25명을 대상으로 1차, 2차, 3차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맞춤형 보육서비스 이용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보건복지부가 서울대학교 아동학과에 의뢰한 맞춤형 보육서비스에 이용실태(2016) 설문문항을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맞춤형 보육서비스 학부모의 이용실태를 1차, 2차 3차에 거쳐 알아본 결과 맞춤반 이용자들이 종일반을 이용하기 위하여 종일반에 필요한 재직증명서 허위제출 경험 있다고 하였고, 맞춤형 보육 정책에 찬성 여부에서 1차는 ‘찬성’과 ‘반대’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2차와 3차에서는 ‘반대’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맞춤형 보육서비스 만족도 분석결과는 맞춤형 보육서비스의 만족도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맞춤형 보육서비스의 만족도는 점점 높아지고 있으나 1, 2, 3차에 걸쳐 설문으로 답변한 결과 차수에 따라 번거로운 시스템으로 인하여 종일형 보육서비스로 전환하는 영아가 점차 많아지는 경향이 보였다. 또한 맞춤형 보육서비스의 요구도는 종일반 선정 기준완화가 나타났다. 개선사항으로는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맞춤형 보육서비스 학부모의 인식개선을 위해서는 정책실시에 앞서 학부모의 요구와 보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맞춤형 보육정책이 정착되기 위해서 정부의 행정적인 지원체제 구축이 필요하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어떠한 정부의 지원 정책이 마련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밝혀보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Parental Satisfaction of Customized Childcare Centers Kwon Young-hee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study inspected and examined use situation, satisfaction, and requirements of customized childcare of parents in respect of implementing customized childcare policy targeting present parents for customized childcare policy that has been conducted since July, 2016. The study is meaningful to offer basic data preparing solutions of a conflict that is created in the application of the system and various demands of parents. Research problems for this were set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How is parental use situation of customized childcare service going? Research Problem 2. How is parental satisfaction of customized childcare service going? Research Problem 2. How is parental requirement of customized childcare service go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rveys were conducted targeting 25 parents using customized childcare. To examine use situation of customized childcare service, the researcher used survey questions of use situation(2016) of customized childcare service tha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sked Children Education Departmen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WIN 18.0 Program, and frequency, percentage, repeated measure, and variance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examining parental use situation of customized childcare service by pass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rveys, users of customized class experienced to submit proof of employment needed to full-day class untruthfully to use full-day class. In agreement of customized childcare policy, ‘ayes’ and ‘noes’ were similarly showed in the first survey, and ‘noes’ were more in the second and third survey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satisfaction of customized childcare service, satisfaction change of customized childcare service is statistically meaningful. Satisfaction of customized childcare service is growing, but as a result of answering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rveys, infants changing to full-day childcare service because of a cumbersome system have increased according to surveys. In addition, requirement of customized childcare service is to relax full-day class selection standard. As improvement,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customized program is the most urgent thing. Based on above study results, it is necessary to build an administratively support system to improve parental awareness of customized childcare service and to establish customized childcare policy that satisfies the demand of parents and raises quality of childcare before implementing the policy. Therefore, a follow-up study stating which support policy of the government should be prepared should b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