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기업의 경영주역량, 기술혁신역량, 사업화역량 및 경영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동남권 제조, 건설 및 지식서비스 기업들을 중심으로

        진봉재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1711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play a crucial role as follows as a core component of our nation's economy. Firstly, in many countries, SMEs act as a major source of employment and hold a significant portion of jobs in specific industrial sectors. Secondly, SMEs play an essential role in introducing new ideas and technologies to the market, thereby promoting innovation, enhancing productivity, and vitalizing the national and local economies. Thirdly, SMEs expand the range of choices for consumers by offering a variety of products and services. Finally, SMEs maintain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local communities, fostering social integration through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nd investments in these communities. However, SMEs face considerable constraints in resources, infrastructure, and establishing competitiveness compared to large corporations. In such an environment, they must possess unique and robust core competencies for continuous growth and sustaining competitiveness. Numerous studies have activel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MEs' core competencies, as management capability,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business capability—on their performance. Existing research on the core competencies of SMEs primarily focuses on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or spirit on technological outcomes. However, such studies are limited in explaining a company's ultimate goal of sustainable growth. Consequently, this study, focusing on manufacturing, construction, and knowledge service enterprises in the southeastern region, analyzed the impact of management capability,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business capability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is study utilized corporate data from the Korea Credit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first half of 2023.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alysis, were employed for hypothesis testing. Research findings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anagement capability of SMEs has a positive impact on business capabilit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positively affects business capability,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Additionally, business capability positively influences financial performance, and a mediating effect was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capability,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This suggests that enhancing manage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is essential for SMEs to achieve business success, with firms possessing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likely to gain a competitive edge in the market. Moreover, SMEs should focus on strengthening a combina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business capabilities for both short-term profits and long-term growth. Secondly,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cross different industrial sectors revealed that the key factors determining business performance vary by industry. In manufacturing,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is a crucial factor, while in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afet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capabilities are more important. For knowledge service companies, brand recognition and service quality are seen as essential for sustainable growth. Thirdly, an analysis based on the age of the enterprise showed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is vital for start-ups, whereas manage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are crucial for more established companies. This implies that for continuous growth, SMEs need to identify key competencies appropriate for their business tenure and growth stage, and develop strategies and implementation plans accordingly. Therefor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MEs shoul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ey competencies required in their industry sector and business performance. They should also accurately assess their position in their growth stage to establish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Additionally, governments and related agencies should take the lead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detailed policy support measure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SME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중소기업은 우리나라 경제의 핵심 구성요소로서 다음과 같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첫째, 중소기업은 많은 국가에서 중요한 고용 원천으로 작용하며, 특히, 제조업 산업 분야에서 고용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둘째, 중소기업은 새로운 아이디어나 기술을 시장에 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혁신과 생산성 증대를 촉진하는 등 국가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셋째, 중소기업은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는 역할을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중소기업은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사회적 책임과 지역사회에 대한 투자를 통해 사회적 통합을 촉진시키고 있다. 그러나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비교하면 자원, 인프라 및 경쟁력 확보에 있어서 많은 제약이 있으며, 이러한 환경에서 중소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들만의 독특하고 강력한 핵심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중소기업의 핵심역량 중 경영주역량, 기술혁신역량 및 사업화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들은 현재까지 활발히 수행되어 왔다. 기존 중소기업의 핵심역량에 관련한 선행연구는 경영자의 특성 혹은 기업가정신과 기술적 성과에 관한 영향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기업의 존재 목적인 지속가능한 성장과 수익 창출을 설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동남권 소재 제조, 건설 및 지식서비스 기업들을 중심으로 경영주역량, 기술혁신역량 및 사업화역량이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신용정보원의 2023년 상반기 기업 데이터를 활용하여 1,786개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 다변량 통계분석 방법인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분석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의 경영주역량은 사업화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술혁신역량은 사업화역량,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업화역량은 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영주역량과 기술혁신역량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소기업의 사업적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경영주역량과 기술혁신역량 강화가 필요하고, 기술혁신역량을 갖춘 기업은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소기업은 단기적인 이익 추구와 함께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기술혁신역량과 사업화역량을 결합하여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산업 분야별 구조적 영향 관계를 비교·분석한 결과, 각 산업 분야별로 경영성과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술혁신역량이 경영성과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제조기업과는 다르게 건설기업은 프로젝트 관리, 안전성 및 환경경영역량 등이 중요한 요인이며, 지식서비스기업은 브랜드 인지도나 서비스 품질이 지속가능한 성장의 핵심 요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업력별 구조적 영향 관계를 비교·분석한 결과, 창업기업은 기술혁신역량이 중요한 요인이고, 일반기업은 경영주역량과 기술혁신역량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중소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사업경력과 성장단계에 맞는 핵심역량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전략과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중소기업들은 그들이 속한 산업 분야에서 필요한 핵심역량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자신들의 성장단계에서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효율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나 관련 기관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분화된 정책적 지원방안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

      • 제약·바이오 기업의 경영전략 유형이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기술혁신 활동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박세진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71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management strategi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in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on ESG evaluation ratings. ESG is widely used as an indicator of corporate sustainability.Previous research on management strategies,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and ESG primarily focused on financial performance. There is limited research examining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non-financial performance. Accordingly, this study classified the management strategy types of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into Prospector strategy and defender strategy type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complex factors surrounding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and examined the impact on ESG evaluation ratings. Additionally, we examined whether companies’ innovation activities could be categorized as closed of open innovation for better control. We conducted an analysis on 90 pharmaceutical and bio companies that received an evaluation grade from the Korea ESG Standards Institute. The company’s management strategy score was derived from Fn Dataguid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patent information search servi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SG was analyzed us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The result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leading management strategy had a positive (+) effect on all grades of ESG integration (T), environmental (E), social (S), and governance (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open innovation activities have a negative (-) regulation effect in the impact of leading management strategies on integration (T) and social (S) ratings. Several implications can be present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since leading management strategie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ESG evaluation, companies should strive to improve their non-financial performance by establishing leading management strategies and reflecting ESG evaluation criteria well. Second, since open innovation activities have a negative control effect on ESG (T) and social (S) ratings, efforts should be made to minimize the impact of open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to prepare a response strategy according to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본 연구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지표로써 “ESG”가 활용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제약·바이오 기업의 경영전략 유형과 기술혁신 활동이 ESG 평가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영전략, 기술혁신 활동, ESG와 관련된 연구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의 연관성이나 ESG 성과지표에 대한 연구들이 다수를 이루고 있으며, ESG 활동과 경영전략,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을 함께 고려하여 이 요인들이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연구는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제약·바이오 기업을 둘러싼 여러 복잡한 요인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제약·바이오 기업의 경영전략 유형을 선도형과 방어형으로 구분하고, ESG 평가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기업의 혁신 활동을 폐쇄형 혁신과 개방형 혁신으로 세분화하여 조절작용을 할 수 있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한국 ESG 기준원의 평가등급을 받은 90개의 제약·바이오 기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Fn Data-Guide의 재무제표를 통 해 기업의 경영전략 점수를 도출하여 유형을 구분하고, 한국특허정보검색 서비스를 이용하여 기술혁신 활동을 측정한 후 위계적 회귀모형을 통한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선도형 경영전략은 ESG 통합(T), 환경(E), 사회(S), 지 배구조(G) 모든 등급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선도형 경영전략이 통합(T)과 사회(S)등급에 미 치는 영향에서 개방형 혁신 활동이 부(-)의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의 시사점을 제약·바이오 기업에게 제시할 수 있다. 선도형 경영전략은 ESG 평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기업은 선도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하고 ESG 평가 기준을 잘 반영하여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개방형 혁신 활동이 ESG(T)등급과 사회(S)등급에 부정적인 조절작용을 보이고 있으므로 개방형 기술혁신 활동 추진함에 있어 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머신러닝 예지보전기술 기반의 PLC 모듈 적용에 관한 연구 : HVAC의 블로워 전력 저감을 중심으로

        송재우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95

        21세기에 들어서며 스마트팩토리의 성장성은 날로 발전되어 오고 있으 며 스마트 팩토리의 가장 기초 단계인 자동화 분야의 세계시장은 2027년 까지 연평균 8.8% 성장률을 기록하며 규모는 3,684억달러까지 상승할 것 으로 예측된다. 제조공정 운영에 있어서 HVAC 설비가 사용하는 전력량은 전체 전력 사 용량의 50%에 해당되며 그 중 Blower의 전력 사용량은 40%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HVAC 설비의 전력사용을 줄이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 고 있으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기계적인 구조를 변경하여 에너지를 저감하 는 등의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딥러닝 등을 이용한 예지보전기술이 일부 적용되고 있으나 딥러닝 기술은 관련 서버와 전문가 등의 소요로 많은 비 용이 발생된다. 더구나 딥러닝 기반의 예지보전기술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여러 회사들에서 개발된 AI를 적용한 제품들이 출시되어 현장적용 을 검토하고 있지만, 모두 빅데이터를 활용한 Data 분석에 기반한 제품이 대부분이다. 이는 H/W의 많은 투자가 필요하여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화 공정의 주요 설비인 HVAC에서 가장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Blower를 제어하는 PLC 모듈에 지도학습 기반의 머신러 닝을 적용하여 사전 예지보전을 통해 설비운영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전력 사용의 효율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더구나 본 연구에서 활용한 Logix AI 는 AI의 가장 기초단계인 지도학습 기반의 머신러닝을 사용하여 적은 비 용으로 현장에 바로 적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PLC 모듈 사용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Logix AI를 적용한 단상 AC 220V 0.2kW의 Blower Test용 Demo 장비를 구 축하여, 1회 10일 기준으로 5회 반복 실험을 통해 시뮬레이션 실험을 진 행하였다. 이상신호 발생빈도를 Excel의 RAND 함수를 사용하여 발생시 키고 이를 통해 AI 기반의 예지보전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5회 시 뮬레이션 실험의 결과로, 하루 평균 0.752kWh만큼 전력저감 효과가 발생 되었다. 이를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100kWh의 Blower에 적용한다고 가정할 경우, 하루 평균 375kWh를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 다. 또한 1개월 단위로 환산 시, 약 11,250kWh를 절약하게 되고 이는 금 액으로 산출 시 1,125,000원의 전기요금 절약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 다. 더구나 제조공정의 라인 수와 PLC 모듈 사용개수가 늘어날수록 본 연 구의 적용 효과성은 더욱 증대되리라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AI 기반의 예지보전시스템의 적용 시, 산업에 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으며 자동화 제조공정의 운영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21st century, the growth of smart factories has been continually advancing. The global market for automation, which is the most basic stage of smart factories, is expected to grow at an annual rate of 8.8% and to reach $368.4 billion by 2027. In the operations of manufacturing process, the power consumption of HVAC equipment accounts for 50% of the total electricity usage, with blowers alone consuming 40% of this power. Consequentl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HVAC equipment, but most existing researches have focused on reducing the energy through mechanical structural changes. Although predictive maintenance technologies using deep learning have been partially applied, the deep learning technology incurs considerable costs due to the needs for related servers and specialists. Moreover, researches on deep learning-based predictive maintenance technologies are scant. Furthermore, products developed by various companies that apply AI, have been released and are being reviewed for an on-site application. But the most are based on data analysis using big data, which requires significant hardware investments and poses challenges for widespread us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pply machine learning based on supervised learning to the PLC module that controls the blower, which consumes the most power in HVAC, a key facility in the automation process. This approach seeks to enhance the stability of equipment operation and the efficiency of power usage through predictive maintenance. The Logix AI used in this study employs a machine learning technology based on supervised learning, which is the most basic level of AI, enabling its immediate and cost-effective application in the field.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PLC module, a demo equipment with Logix AI was set up for testing a single-phase AC 220V 0.2kW blower. A series of simul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over five replications with each spanning 10 days. Abnormal signal frequencies were generated using Excel's RAND function to validate the performance of the AI-based predictive maintenance system. The results of the five simulation experiments showed an average daily power reduction of 0.752 kWh. Extrapolating this to a 100 kWh blower commonly used in the field, it is predicted that an average of 375 kWh could be saved per day. Monthly, this amounts to approximately 11,250 kWh, equating to a saving of 1,125,000 won in electricity costs. Additionally, the effectiveness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more increase as the number of manufacturing lines and PLC modules used increa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an AI-based predictive maintenance system can contribute to industrial energy savings and reduce operating costs in automated manufacturing processes.

      • 정전감지 기반 실내 바닥광고 조명장치의 기술사업화 타당성 연구

        김광수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1695

        최근, 사회적 재난과 함께 실내 화재사고에 따른 인명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피난 유도등 및 대피 안내 장치가 있으나, 매입 구조 등 의 한계가 존재한다. 한편, 적극적인 마케팅 방법 중 하나로 옥외 바닥 광고용 조명기구가 최근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옥외용 바닥조명 의 경우에는 옥외광고물법에 따른 제약과 고출력 발열, 방수, 교류전원 요구 등 많은 제약이 따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내에 최적화된 실내바닥 광고조명장치인 듀오 라이트(Duo Light) 제품을 기술사업화하는 것이다. 평상시에는 광 고 홍보로 활용하고 정전감지로 비상대피 안내표시를 통한 빠른 대피를 유도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술사업 화의 선행연구와 바닥조명의 기술과 동향을 살펴본다. 특허 분석을 통해 IP 기술 분석과 SMART 5를 활용한 보유 특허의 권리성, 기술 성, 활용성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보완하였다. 사례 연구로 상용 제품과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시제품을 설계, 제작하여 시험 규격에 의한 테스트와 현장 확인을 실시하였다. 기술사업화 전략을 위해 Jolly’s Model과 Lean Canvas Model 분석을 통해 기술사업화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BMO 분석과 FGI 전략으로 사업화를 검증하였고, 기술로드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안된 실내 바닥광고 조명장치인 듀오 라이트(Duo Light)를 통해 광고 및 재난 상황에 활용함으로써 실내 광고의 효과를 높이며, 재난 발생 시 빠른 대응을 통해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along with social disasters, casualties due to indoor fire accidents are increasing. There are evacuation guidance lights and devices, but they have limitations such as embedded structures. Meanwhile, outdoor floor advertising lighting fixtures have recently emerged as one of the active marketing methods. However, in the case of outdoor floor lighting, there are many restrictions, such as restrictions under the Outdoor Advertising Act, the high output heat generation, the waterproofing, and AC power requir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mercialize a Duo Light product as an indoor floor advertising lighting device optimized for indoor use. In normal times, it is used for advertising and promotion, and emergency evacu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power outage detection to encourage quick evacuation to minimize casualties. To this end, we investigate the prior research on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e technologies, and the trends of floor lighting. Through the patent analysis, we examined and supplemented the rights, the technologies, and the usability of the patents held using IP technology analysis and SMART 5. As a case study, the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commercial products were conducted. In addition, a prototype of the proposed Duo Light was designed and made, tested according to test standards, and field confirmation was conducted. For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rategy, the feasibility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was reviewed through Jolly's Model and Lean Canvas Model analysis. Also, the commercialization was verified through BMO analysis and FGI strategy, and a technology roadmap was presen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uo Light product, the proposed indoor floor advertising lighting device, can be used in advertising and disaster situation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indoor advertising, and also can contribute to minimize human casualties through the quick response in the event of a disaster.

      • 개인맞춤형화장품 자동조제기의 기술사업화 연구

        강용웅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95

        After the customized cosmetics system was implemented by law in March 2020, the number of people who hold national certificates is expected to accumulate 6,200 as of March 2023 and additional successful applicants will be produced on average in the future, but only about 200 people are currently starting or employed (in March 202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stomer's skin type, problems, and necessary ingredients using technologies such as optical skin analysis, vacuum equilibrium extraction, and centrifugal stirring, and to study the technical commercialization of a customized cosmetics automatic preparation system that can accurately extract and mix and stir the ingredients accordingly to provide cosmetics that satisfy the customer's skin. To this end, based on patent analysis, the validity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s evaluated and analyzed by analyzing the rights, technology, business feasibility, and marketability of patents. Sinc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using a customized cosmetics automatic preparation system is expensive equipment centered on large companies, this study is a high-performance customized cosmetics automatic preparation system of small and portable low-cost types that differentiates it from large companies. It was confirmed that when a customized cosmetics manufacturer prepares skin, essence, and cream, it takes 40 to 60 minutes in the order of skin analysis, preparation for checking necessary ingredients, quantitative extraction using scales, and mixed stirring. After that, it took more than 30 minutes to clean various equipment, including beakers. On the other hand, preparation managers using customized cosmetics automatic preparation systems did not exceed 10 minut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Y method and the automatic preparation system showed that the dispensary's fatigue and stress decreased and the speed of work increased, resulting in a big difference in sal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a briefing session and experience practice of the preparation management system to about 100 preparation managers at "Dr. Hwah:", a group of customized cosmetics preparation managers, they were interested enough to sign a pre-contract for 10 units. As a result of research and comparative analysis, it was proved that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s effective and marketability also exists. The automatic preparation system for customized cosmetics is expected to help the accumulated preparation managers start up and find employment and grow in the customized cosmetics market. 맞춤형화장품은 개인의 피부 특성과 취향에 맞추어 조제하는 것으로, 조제 방식에는 기존 화장품에 성분을 추가하여 혼합하거나 작은 양으로 소분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이중에서 첫 번째 방식의 맞춤형화장품을 자동조제기를 이용하여 기술사업화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내용이다. 한국은 맞춤형 화장품을 법적으로 정의하고 이 분야를 선도하는 국가로, 다양한 소비 계층의 확대와 소비 트렌드의 변화로 인해 맞춤형화장품 산업이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맞춤형화장품 산업의 육성을 위한 제도 개선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형 맞춤형화장품 산업의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보인다​​. 맞춤형화장품 자동조제기의 기술사업화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맞춤형화장품 관련 특허 분석으로, 자동취출기의 진공실린더를 이용한 원리 분석, 교반기의 자전과 공전을 동시에 시행하는 원심교반 방식 등이 포함된다. 또한, 국내·외 맞춤형화장품 관련 업체들의 유사 특허 분석, 특허 연도별 및 국가별 출원 추이 분석, 테크트리와 검색식 도출 등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맞춤형화장품 시장을 파악하고 사업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플루언서의 도움을 받아 현장 설명회를 진행하고 맞춤형화장품 판매업장의 요구를 수집하였다​​. 기술사업화 평가를 위해 기술성, 시장성, 사업성을 분석하였는데, 특허기술의 경제적 수명을 산출하여 현금흐름 추정기간을 15.5년으로 도출하여 기술성을 평가하였다. STEEP 환경분석 모델을 활용하여 사회적 요인, 기술적 요인, 경제적 요인, 환경적 요인 및 정치적 요인 등 5가지 요인이 모두 충족되어 시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업성 평가 또한 BMO 사업매력도 평가점수와 자사적합도 평가 점수가 모두 40점 이상으로 유망사업에 해당된다. 이와 더불어, 경력 10년 이상의 국내 맞춤형화장품 전문가 5인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통해 소상공인이 사용가능한 가격대의 자동조제기라는 점을 부각하고, 재고의 부담을 줄여주며 전성분 표시 라벨 출력과 판매내역서와 원료목록의 자동보관이 이루어지는 점을 개발의 방향과 마케팅 시 활용해야 할 전략으로 삼았다. 기술사업화 실행전략을 위해 이미 피부 건강과 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갖추고 있으며, 고객들의 신뢰를 얻고 있는 곳인 피부과병원을 1차 타겟으로 하고, 표적시장에 제품의 가치를 설명하고 시연하여 그 가치를 경험하게 하는 STP 전략을 작성하였다. 또한 졸리이론에 의한 다윈의 바다를 극복하기 위한 단계의 방안으로, Marketing Mix 4P 전략을 Product, Place, Price, Promotion 4개의 항목별로 수립하고, 수익을 예측하여 기술로드맵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는 이미 개발된 제품을 기반으로 한 사업화 모델로, 스타트업 기업의 기술사업화에 대한 모범사례인 점과 초기시장 단계인 맞춤형화장품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며, 저가의 자동조제기와 필수 소모품 사업화로 소상공인들에게 화장품 창업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시사점이 있다.

      • 기술융합기회 예측모델을 활용한 MR Device 산업 전망 예측 연구

        이창용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95

        XR 산업은 그 규모가 상당히 커질 것으로 예측되는 전도유망한 산업 분야다. 하지만 그 안에서 MR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AR/VR에 비해 매우 작다. MR 디바이스의 가격이 AR/VR 기기와 비교하면 월등히 비싼 것이 그 이유 중 하나다. 이런 관점에서 MR 산업이 더욱 커지기 위해서는 MR 디바이스의 발전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R 디바이스 산업이 발전하기 위한 방향성을 MR 디바이스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의 기술융합기회 발굴을 통해 찾는다. 특허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술토픽을 생성하고 토픽과 문서의 관계를 이용하여 융합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구축한 네트워크에 다양한 링크예측 알고리즘들을 적용하여 기술융합 가능성을 예측하는 학습모델을 만들고 미래 기술융합 기회를 예측한다. 그 결과 햅틱 컨트롤러와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기기, 메타버스 와 전자기기의 발열에 관한 토픽 간 기술융합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몰입형 기술의 특성상 사용자에게 현실감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편리하면서도 다양한 감각을 느낄 수 있는 컨트롤러의 개발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HMD의 개발이 필요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기존의 포괄적인 산업 전망/규모 예측 보고서나 MR 기술의 산업 적용 방안 등에 맞춰진 선행연구들과 달리 MR 디바이스분야로 범위를 구체화하여 기술 융합 기회를 발굴함으로써 MR 디바이스 산업의 동향을 예측하는 시도를 한다는 측면에 기여점이 있지만, 특허데이터에 의존한다는 점과 링크예측 결과만을 인풋 피처로 모델을 학습시켜 학습데이터가 편협하다는 것, 학습모델의 성능 지표가 다소 낮게 측정되었다는 한계점이 있다. The XR industry is a promising industry sector that is expected to grow considerably. However, the proportion of the MR industry is very small compared to AR/VR. One of the reasons is that MR devices are much more expensive than AR/VR devices. From this point of view, it was determined that in order for MR devices to grow further, the development of MR devices must precede.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find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MR device industry by discovering technology convergence opportunities in the technology field related to MR devices. It utilizes patent data to create technology topics and util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opics and documents to create learning models that predict technology convergence potential by applying various link prediction algorithms to the built network. As a result, it was predicted that technology convergence would occur in haptic controllers that measure bio-signals and topics related to heat generation of wearable devices, metaverse, and electronic devices. This seems to be because it is important to provide realistic experiences to users due to the nature of immersive technology,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ntroller that can feel convenient and diverse senses and a HMD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have focused on comprehensive industry outlook/scale prediction reports or how MR technology is applied to the indust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edicting trends in the MR device industry by specifying its scope in the MR device field and discovering technology convergence opportunities. However, by relying on patent data and learning a model that only features link prediction results, the training data is narrow, and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training model are somewhat low.

      • Research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Chinese Semiconductor Firms' Innovation Performance from the Perspective of Sectoral Systems

        YIN FENG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1695

        중국 정부는 반도체 산업이 다른 하이테크 산업과 군사 발전에 중요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2015 년 '강한 국가를 위한 과학기술 전략'을 내놓았고, '독립적 혁신' 모델을 통해 반도체 산업의 기술 혁신 을 단행했습니다. 하지만 2018 년부터 미국 정부는 중국 반도체 기업들의 기술 혁신을 막기 위해 무역 제재와 기술 봉쇄 조치를 취하기 시작했습니다. 반도체 산업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과 과학기술, 그리고 미국의 제재로 인해 중국 정부는 스스로 혁신하겠다는 의지를 더욱 굳혔습니다. 본 연구는 중국 반도체 기업의 기술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부문별 시스템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합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지원(GS), 사전적 시장지향성(PMO), 과학기술(S&T) 직원투입(STEI), S&T 직원관리(STEM), 기업가정신(EI), 지식공유(KS), 흡수역량(AC), 혁신성과(IP)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입니다. 또한 본 연구는 S&T 직원 투입과 혁신성과의 관계에 대한 흡수역량의 매개효과와 지식공유 와 혁신성과의 관계에 대한 흡수역량의 매개효과를 검정합니다. 중국 반도체 기업들이 기술 제재에 직 면해 있다는 점에서 기술 혁신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반도체 기업의 기술혁신 영향요인으로 환경난류(시장난류, 기술난류, 경쟁강도 포함)를 들고 있습니다. 그리고 본 연구 는 사전적 시장지향성과 혁신성과에 대한 경쟁강도와 시장교란성의 조절효과를 각각 검증합니다. 또한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과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서 지식공유의 매개역할을 검정합니다. 또한 시장의 난 류와 기술의 난류가 각각 조절변수로 사용되어 지식공유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를 검정합니다. 본 연구는 이메일과 우편으로 600 개의 유효표본을 수집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화(SEM) 경로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사전 시장 지향성(PMO), S&T 직원 투입(STEI), S&T 직원 관리(STEM), 흡수 역량(AC)은 혁신 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지원 (GS), 기업가정신, 지식공유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습니다. 매개효과 검정 결과 S&T 직원 투입과 혁신성과에 대한 흡수역량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지식공유와 혁신성과에 대한 흡수역량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지식공유가 기업가정신과 혁신성과에 미 치는 매개효과도 유의하지 않았습니다. 본 연구는 PROCESS 모형 2 를 이용하여 조절효과를 검정하였 으며, 그 결과 시장 난류와 경쟁강도가 사전적 시장지향성과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PROCESS 모형 16 을 이용하여 기업가정신 과 혁신성과 간의 지식공유의 매개효과를 시장의 난류와 기술의 난류가 조절하는지 검증하였으며, 검 증결과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지원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환경난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제 도가 부문제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은 중국 반도체 산업에 적용할 수 없음을 발견하였습니다. 부문제 에서 제도의 의미는 정부가 설정한 우대정책이며, 정치세력(즉, 정치제도가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한 논의는 없습니다. 환경난의 유의하지 않은 조절효과는 강력한 정치체제 환경하에서 외부요인이 중 국 반도체 산업의 독자적 혁신에 미치는 영향이 일시적임을 시사했습니다. 따라서 산업 및 체제 특이 성은 부문별 시스템을 무효화할 수 있으며, 이 연구 결과는 학자들에게 부문별 시스템을 사용하여 기 술적 따라잡기를 분석할 때 산업별 특성과 따라잡기 국가의 정치 시스템을 고려하라는 경고를 주었습 니다.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to the development of other high-tech industries and the military, the Chinese government put forward the "Science and Technology Strategy for a Stronger Nation" in 2015, and carried out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through the "independent innovation" model. However, from 2018, the U.S. government began to impose the trade sanctions and the technology blockades on Chinese semiconductor companies in an attempt to stop their technological innovation. Given the importance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to the economy,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sanctions from the U.S. that have prompted the Chinese government to be more determined to innovate on its own.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in Chinese semiconductor firms based on the sectoral systems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support (GS), proactive market orientation (PMO), science and technology (S&T) employees input (STEI), S&T employees management (STEM), entrepreneurial spirit (EI), knowledge sharing (KS), absorptive capacity (AC), and the innovation performance (IP). In addition, this study tests the mediating effect of absorptive capac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 employees input and the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bsorptive capac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sharing and the innovation performance. Given that Chinese semiconductor companies are facing technological sanctions, it makes technological innovation more difficult. Therefore, this study takes environment turbulence (including market turbulence, technological turbulence, and competitive intensity) as the influencing factor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Chinese semiconductor firms. And this study tests the moderating effects of competitive intensity and market turbulence on proactive market orientation and the innovation performance, respectively. Also, this study tests the mediating role of knowledge shar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spirit and the innovation performance. In addition, market turbulence and technological turbulence are used as moderating variables to test whether they moderate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respectively. This study collected 600 valid samples via email and mailed paper questionnaires, and util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path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proactive market orientation (PMO), S&T employees input (STEI), S&T employees management (STEM), and absorptive capacity (AC) exerted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The effect of government support (GS), entrepreneurial spirit, knowledge sharing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were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e mediation effect test confirmed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the absorptive capacity on the S&T employees input and the innovation performance was significant. The mediation effect of the absorptive capacity on knowledge sharing and the innovation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 and the mediation effect of the knowledge sharing on the entrepreneurial spirit and the innovation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 too. This study used PROCESS model 2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market turbulence and competitive intens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market orientation and the innovation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 Finally, the study used the PROCESS model16 to test whether market turbulence and technological turbulence moderates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sharing between entrepreneurial spirit and the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y were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government support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environment turbulence. This study found that the effect of institutions on the technology innovation in the sectoral systems is not applicable to the Chinese semiconductor industry. The meaning of institutions in sectoral systems are preferential policies set by the government, and there are no discussion of political forces (i.e., the impact of the political regime on the industry). The in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the environment turbulence suggested that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factors on the the independent innovation of China's semiconductor industry under a strong political regime environment are temporary. Therefore, industries and regimes specificities could invalidate the sectoral systems, and the finding gave scholars a warning to consider industry-specific characteristics and the political regime of the catching-up country when using the sectoral systems to analyze technology catch-up.

      • Research on the Influence Mechanism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vestment and Technological Alliances on Business Performance of Enterprises : Focus on listed companies in China

        WANG LINGKANG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1695

        As a result of the turbulent global economic environment, firms must accelerate technological innovation to cope with intense competition. However, with the rapid diffusion and penetration of knowledge, the shortening of the development cycl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fact that product structures are becoming increasingly complex, the complexity of enterprises' innovation activities is also increasing, causing them to consider improving the speed of product developmen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echnological alliances with other enterprises and the adoption of cooperative technological innovation. Cooperative technology alliances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have become one of the important modes of innovation and an important means for enterprises to improve their innovation performance.Therefore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technology alliances and firm performance. At present, academics usually only us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a single dimension of enterprise performance for correlation test, the research angle is relatively single. Moreover, in the existing research, a large number of literatures only focus on whether the enterprises have technological alliances or not, while the type and degree of technological alliances are not well quantified.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resource base theory,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theory. It divides technological innovation inputs into technological innovation capital input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human capital inputs. Innovatively using the factor analysis method, multiple indicators are constructed to evaluate the business performance of enterprises based on solvency, profitability, turnover capacity, growth capacity and market value. Meanwhile, the word frequency method is used to quantify the degree of technological alliance of enterprises. Finally, a fixed-effect model is used to conduct correlation analy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Both technological innovation capital invest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human capital investment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usiness performance. This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echnological innovation capital investment helps to expand the knowledge base and skills of enterprises and enhance their innovation ability. By researching new fields, firms are able to accumulate expertise, cultivate professionals, form a unique innovation culture, and promote organizational learning and growth. At the same tim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ital investment prompts firms to explore new market opportunities and discover and fulfill potential consumer needs. As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human capital investment, enterprise technological innovation human capital investment realize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enterprise performance through various aspect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theory. Through well-designed recruitment, training, motivation, and career development strategies, firms not only improve their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but also enhance employee-organizational bonding, which drives innovation and growth, thus achieving significant positive performance impacts.(2)The interaction between technology alliance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investment (both capital and human) h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on firm performance.The results of this study disprove what previous studies have said about the positive aspects of technology alliances.The reasons for the results may be: firstly over-reliance on technology alliances for resources leads to a weakening of the impact of firms' innovation inputs on performance; secondly, the sharing of information resources in technology alliances may provide opportunities for technological theft; and the retention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negative willingness to give in technology alliances may also contribute to their negative moderating effect. In conclusion,This study not only challenges prevailing perceptions, but also 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delicate relationship between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technological alliances, providing valuable insights into both academic and practical applications in the field. Keyword:Investment in technological innovation; technology alliances; business performance of firms 글로벌 경제 환경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기업은 치열한 경쟁에 대처하기 위 해 기술 혁신을 가속화해야 한다. 그러나 지식의 급속한 전파와 침투로 신기 술의 개발 주기가 계속 단축되고 제품 구조가 점점 복잡해지고 기업 혁신 활 동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있어 기업은 다른 기업과 기술 동맹을 구축하고 협력 기술 혁신의 방식을 채택하여 제품 개발 속도를 향상하는 방법을 고려하지 않 을 수 없다. 협력 기술 혁신 동맹은 기업 혁신의 중요한 형식 중 하나가 되었 으며 기업이 혁신 성과를 향상하는 중요한 수단이기도 하므로 기술 혁신, 기 술 동맹 및 기업 성과 간의 관계를 논의하는 것이 특히 중요한다. 현재 학계 는 일반적으로 기술 혁신과 기업 성과 간의 단일 차원만을 적용하여 상관성 검증하고 연구 각도는 비교적 단일한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많은 문헌은 기 업에 기술 동맹이 존재하는지 여부에만 초점을 맞추고 기술 동맹의 유형과 정 도를 잘 정량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원 기초 이론, 조직 학습 이론 및 기술 혁신 이론을 기 반으로 하였다. 기술 혁신 투입을 기술 혁신 자본 투입과 기술 혁신 인적 자 본 투입으로 나나누었다. 요인 분석법을 혁신적으로 적용하여 부채 상환 능력, 수익 능력, 회전 능력, 성장 능력 및 시장 가치 측면에서 기업의 경영 성과를 평가하는 여러 지표를 구축하였다. 동시에 단어 빈도 방법을 적용하여 기업의 기술 동맹 정도를 정량화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정 효과 모델을 적용하여 관련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기술 혁신 자본 투입과 기술 혁신 인적 자본 투입은 모두 기업 성과와 긍정적인 관계가 있다. 기술 혁신 자본 투자는 기업 의 지식 기반과 기술을 확대하고 기업의 혁신 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된 다. 새로운 분야에 대한 연구를 통해 기업은 전문 지식을 축적하고 전문 인재 를 육성하며 독특한 혁신 문화를 형성하고 조직의 학습과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동시에 기술 혁신 자본 투자는 기업이 새로운 시장 기회를 탐색하고 소 비자의 잠재적 수요를 발견하고 충족하도록 촉구한다. 기술 혁신 인적 자본 투자 측면에서 기업의 기술 혁신 인적 자본 투자는 인적 자원 관리 이론의 여 러 측면의 역할을 통해 기업 성과에 현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신중하 게 설계한 채용, 교육, 인센티브 및 직업 개발 전략을 통해 기업은 기술 혁신 능력을 향상할 뿐만 아니라 직원과 조직의 접착력을 강화하여 기업의 혁신과 발전을 촉진하고 현저한 긍정적인 성과를 달성했다. (2)기술 동맹과 기술 혁신 투자(자본 투자 및 인력 투자 포함) 간의 상호 작용은 기업 성과에 현저한 부 정적인 관계가 있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은 첫째, 기술 동맹의 자원에 과도하 게 의존하면 기업 혁신 투입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약해지고 둘째, 기술 동 맹의 정보 자원 공유가 기술 도난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술 동맹의 정 보 자원 보유 및 소극적인 기여 의지도 부정적인 조절로 이어질 수 있다. 요컨대, 본 연구는 보편적인 인식에 도전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기술 혁신 과 기술 동맹 간의 미묘한 관계를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 분야의 학술 연구 및 실제 적용에 귀중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Patent-based Competitive Analysis and Development Trend Research on China's Blockchain Industry

        ZHANG BOBO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1695

        블록체인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신뢰 협업과 디지털화를 달성하는 데 있어 떠오르는 기술로서 점점 더 각광받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은 비트코인에서 시작되었으며 탈중앙화, 불변성, 공동 유지보수, 보안, 신뢰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21세기 가장 파괴적인 정보 기술 중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 각국이 블록체인 산업의 발전을 어떻게 촉진하는가는 이 분야의 과학 기술 혁신을 위한 중요한 연구 과제입니다. 중국의 블록체인 산업은 활발한 발전 단계에 있지만 여전히 이 산업의 발전 추세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특허 차원에서 기술 혁신에 있어 중국 블록체인 산업의 장단점을 심도 있게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본 논문은 블록체인 특허를 기반으로 경쟁 상황, 협력 네트워크, 혁신 효율성의 연구 관점에서 특허 분석을 기반으로 기술 경쟁 우위 분석의 연구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여 산업 발전 우위 분석에 새로운 연구 관점을 제시합니다. 또한 특허 측정 분석, 소셜 네트워크 분석, 데이터 포락 분석 및 기타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기술 경쟁 우위에 대한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동적 분석을 수행합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블록체인 기술 발전을 가속화하기 위한 대책과 제안,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합니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전체 특허 건수는 상승 후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미국이 중국보다 이 분야에 먼저 배치되었지만, 중국의 총 특허 건수는 미국을 초과하고, IPC 광범위한 범주의 핵심 기술에 위치한 중국의 발명 특허 건수는 미국을 초과하고, 중국과 미국의 활성 기술 유형에 차이가 있으며, 이 분야에서 중국과 미국의 전체 기술 라이프 사이클은 불황기에 접어들었지만 데이터 개인 정보 보호 및 교차 체인 기술과 같은 세분화 된 기술 분야는 여전히 성장 기간에 있습니다. (2) 전체 특허 협력 네트워크는 발전 초기 단계로 협력 효율이 낮고 베이징 우정통신대학 등 일부 핵심 노드가 핵심 역할을 하고 있으며, 시간 진화 관점에서 블록체인 특허 협력 네트워크의 규모는 해마다 확장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네트워크 노드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 중 대학과 기업의 참여가 높고, 연구기관의 중심성이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블록체인 산업 협력을 위한 정책 제언을 통해 기술 협력과 기술 응용을 더욱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합니다. (3) 공통 프론티어 아래 블록체인 상장 기업의 전반적인 기술 혁신 효율은 안정적인 발전 추세를 보이지만 지역 간 차이가 더 분명하며 동부와 중서부 도시의 기술 발전 사이에는 장벽이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상장 블록체인 기업의 기술 혁신 효율은 2.6% 감소했으며, 2019년에만 기술 혁신 효율이 개선되었으며, 자원 활용률을 개선해야 합니다. As an emerging technology, blockchain is increasingly prominent in achieving trust collaboration and digitization in various industries. Blockchain technology originated from Bitcoin and has features such as decentralization, immutability, collective maintenance, security, and trustworthiness, which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disruptive information technologies in the 21st century. How countries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blockchain industry is an important research issue for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is field. China's blockchain industry is in a stage of vigorous development, but there still needs to be an accurate judgment on the development trends of this indus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hina's blockchain industry in technological innovation from the patent level. Based on blockchain patents, this essay establishes a research framework for technology competitive advantage analysis based on patent analysis from the research perspectives of competition situation, cooperation network, and innovation efficiency, which provides a new research perspective for analyzing industrial development advantages. It also uses patent measurement analysis, social network analysis,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other research methods to conduct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dynamic analysis of technological competitive advantages. Finally, countermeasures, suggestions, and specific ways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China's blockchain technology are propos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specif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overall trend of the number of patents is rising first and then declining, and the layout of the USA in this field is earlier than that of China, but the total number of patents in China exceeds that of the USA; the number of Chinese invention patents located in the core area of the IPC large group exceeds that of the USA,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active technologies between China and the USA; The technology life cycle of China and the USA in this field as a whole has entered the declining period, but the segmented technology areas such as privacy protection and cross-chain technology are still in the growth period. (2) The overall patent cooperation network is in the initial stage of development, with low cooperation efficiency and some core nodes playing key roles, such as the Beijing University of Posts and Telecommunications; In the time evolution perspective, the scale of the blockchain patent cooperation network shows a trend of expansion year by year, and the number of network nodes keeps increasing. Among them, the participation of universities and enterprises is high, and the centrality of research institutions is not apparent. Based on the findings, policy recommendations are made for blockchain industry cooperation to promote technical cooperation and technology application better. (3)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efficiency of blockchain-listed companies under the meta-frontier shows a stable development trend.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regions are relatively noticeable, and there are barriers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eastern and central western cities. In general,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efficiency of blockchain-listed companies has dropped by 2.6%. Only in 2019 has technological innovation efficiency improved, and the resource utilization rate needs to be improved.

      • 산학연협력사업의 성과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부경대학교 산학연협력단지 입주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벼리 국립부경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79

        The acceleration of paradigm shifts lik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dustry-academia-research institute collaboration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address challenges stemming from declining potential growth rates, decreasing employment rates, and to drive innovation-led growth. Universities are increasingly recognized for their possession of exceptional human resources and technological expertise, thereby emphasizing the necessity for universities to serve as pivotal platforms for fostering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As the number of idle sites within universities increases due to a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the need for efficient use of space and spatial connectivity has come the forefront. Accordingly, the initiative to attract promising enterprises to universities and reconfigure university spaces into innovation hubs based on university infrastructure, forming collaborative industry-academia-research cooperation complexes within the university, is being pursued as a policy initia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atisfaction of businesses situated within university campuses and investigate correlations between their satisfaction levels and growth rates of these enterprises, focusing on the case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a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among resident companie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IPA analysis. Analysis of satisfaction levels over four years revealed an increasing trend in both satisfaction and revenue, attributed to customized support 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 This study may present somewhat biased results due to its focus on fragmented individual cases. If this project were expanded to universities nationwide, acquiring continuous data, it could lead to more generalized results. Furthermore, it appears that advancing in a more sophisticated direction could be achieved by establishing diverse variables to analyze their respective influences and tre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