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심상담자의 진로결정동기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임하영 광주대학교 보건상담정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초심상담자를 대상으로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로결정동기와 심리적 소진 및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밝히고, 상담자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광주·전남북 소재 대학원 10곳에 재학 중인 상담전공 석사 대학원생들과 상담현장에 있는 상담경력 3년 미만 상담사 225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동기 척도, 한국판 상담자 소진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R을 사용하였으며,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위하여 ‘lavaan’패키지를 활용하였다. 주요결과는 첫째, 내적 진로결정동기와 심리적 소진은 부적으로 상관되어 있으며, 둘째, 내적 진로결정동기와 자기효능감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은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발견되었다. 넷째, 상담자 자기효능감이 내적 진로결정동기와 상담자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제언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어: 초심상담자, 진로결정동기, 심리적 소진, 자기효능감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motivation, psychological burnout and counselor self-efficacy for preventing psychological burnout among novice counselors and to verify whether counselor self-efficacy mediates. This study was conducted 225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nd counselors with less than 3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in the counseling field by using career decision-making motivation scale, korean Burnout Inventory, and self-efficacy scale. For analysis, statistical program R was used and the 'lavaan' package was used to verif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ernal career decision-making motivation and counselor's psychological burnout were negatively correlated. Second, internal career decision-making motivation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hird, counselor self-efficacy and counselor psychological burnou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Fourth, counselor self-effica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career decision-making motivation and counselor psychological burn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Key words:novice counselor, career decision-making motivation, psychological burnout, self-efficacy

      • 자기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백소정 광주대학교 보건상담정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how Self-differentiation affects the Adaptation of college life. It focuses on the point of view of Self-asser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which are belong to the side of inner feelings in Self-differentiation. The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oes Self-efficacy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ssertion and Adaption to college life ? Second, does Self-efficacy play a mediating role in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and Adaption to college life? To investigate this, we conducted a survey with 400 students at four-year universities in both gwang-ju and jeon-ju city. After all, 322 survey(Male 106, Female 216) questionnaires were adopted for analysis. By using this collected data, we excuted a statistics analysis and a correlation analysis with SAS 9.3 (proc means, proc calis, proc univariate) program to each study question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Self-efficacy has a complete mediation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Self-assertion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at is, Self-assertion via Self-efficacy has a indirect influence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Second, Self-efficacy has a partial mediation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at is, Emotional regulation has not only a direct influence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but also Emotional regulation via Self-efficacy has a indirect influence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refore, it seems that attempting various methods for improving Self-efficacy is effective to the student who is having difficulty in Adaptation to college life due to low level of Self-asser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In conclusion, if we carry out a counseling and an educational program to the student who has difficulty in Adaptation to college life, Self-efficacy will be increased and then it will be helpful for Adaptation to college lif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necessity of follow up study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기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자기분화의 심리내적 측면에 속하는 자기주장, 정서조절의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역할을 하는가? 둘째, 정서조절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역할을 하는가? 연구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와 전주시의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322부(남 106명, 여 216명)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AS 9.3 (proc means, proc calis, proc univariat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은 자기주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효과가 있었다. 자기주장은 자기효능감을 거쳐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정서조절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다. 정서조절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자기효능감을 거쳐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다. 결론적으로 자기주장, 정서조절 수준이 낮아 대학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에게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상담과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한 대학생활적응력 향상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가 시도하지 않은 자기분화의 심리내적 측면만을 분리하여 대학생활적응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사회적 지지가 중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정경미 광주대학교 보건상담정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679

        ABSTRACT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Subjective Happiness : Mediating Effect of Self-encouragement Jeong Gyeong-Mi Supervised by Professor Kim Dong-Won Graduate School of Gwangju University Dept. of Clinical and Counseling Psychology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subjective happiness, and whether self-encouragement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ubjective happines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achievement of the research goal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encouragement, and subjective happiness? Second, what is the effect that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of middle school students have on subjective happiness? Third, does self-encouragement play a mediating role on the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subjective happiness? For thi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on 450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currently attending 2 schools located in G City. Data from 388 subject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WIN Ver. 21.0 statistical program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MOS 21.0 statistical program. To test the accuracies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we aimed test, TLI, CFI, and RMSEA accuracy values. We used bootstrapping test method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and dissemble the effectiveness of the structural model.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social support, self-encouragement, and subjective happi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Friend support and family support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but teacher support was not found to have an effect. This signifies that subjective happiness can be increased with increases in friend support and family support, but teacher support does not play a big role in increasing the happiness. Third, self-encouragemen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happiness.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upport, friend support, and teacher support and the subfactors of self-encouragement, teacher support did not show a direct or indirect effect; friend support partially mediated subjective happiness through the paths of cognitive self-encouragement, behavioral self-encouragement, and emotional self-encouragement; and family support also showed partial mediation on subjective happiness through the paths of cognitive self-encouragement, behavioral self-encouragement, and emotional self-encouragement. In conclusion, we found indirect and direct effects that social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self-encouragement had on subjective happiness and identified the major variables that can increase subjective happiness. We also tested the indirect effect of self-encour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subjective happiness and identified its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Therefore, we found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strengthening courage and confidence through self-encouragement even if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environmental factors can promote individual growth and development, thereby affecting the happines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the need for helping with self-encouragement in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therapy sites and education progra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Key words : middle school students, social support, self-encouragement, subjective happiness < 국문초록 > 사회적 지지가 중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격려 매개효과 정 경 미 지도교수 김 동 원 광주대학교 보건상담정책대학원 임상상담심리학과 본 연구는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기 격려가 매개 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사회적지지, 자기 격려,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기 격려가 매개 역할을 하는가? 이를 위하여 G광역시에 소재한 2곳에 재학 중인 중학생 450명 남・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388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er.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해 검증, TLI, CFI, RMSEA 적합도 지수를 살펴보았고, 구조모형의 효과성을 분해하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의 검정방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 자기격려, 주관적 행복감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다. 둘째, 사회적 지지가 중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친구지지와 가족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나, 교사지지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는 친구지지와 가족 지지가 증가할수록 주관적 행복감을 높일 수 있으나, 교사지지는 행복감을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자기격려는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가족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를 자기격려 하위요인과의 관계를 보았을 때 교사지지는 직・간접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친구지지는 인지적 자기격려, 행동적 자기격려, 정서적 자기격려의 경로를 통해 주관적 행복감에 부분매개 하였고, 가족지지도 인위적 자기격려, 행동적 자기격려, 정서적 자기격려의 경로를 통해 주관적 행복감에 부분매개 함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중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자기격려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확인하여 주관적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주요 변인을 확인하였고,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간접효과를 검증하고, 매개 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중학생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환경적 요인의 한계가 있더라도 자기 격려를 통해 용기와 자신감을 강화함으로 개인의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여 중학생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고, 중학생을 대상으로 상담 및 심리치료 현장, 교육 프로그램 등에서 자기 격려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초심상담자의 전문직 정체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정현숙 광주대학교 보건상담정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counselor self-efficacy, and burnout for beginner counselors, and to figure out the mediating effect of counselor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and burnout.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professional identity scale, counselor burnout scale, and counselor self-efficacy scale for 225 counselors majoring in counseling and counselors with less than 3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at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in Gwangju and Jeon nam-buk. For data analysis, the ‘lavaan’ package was used to estimat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the R progra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and burnout.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and self-efficacy.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burnout. Fourth,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and burnout. Based on the main result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Key Words: Beginner Counselor, Professional Identity, Counselor Self-Efficacy, Burnout

      • 코로나바이러스-19 감염병 발생 현황으로 본 의료기관에서 갖추어야 할 시스템에 관한 연구

        선문규 광주대학교 보건정책상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679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광주·전남지역의 의료기관이 정부의 코로나-19 감염병의 대응지침을 잘 준수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대응지침의 준수 여부가 의료기관 내에서 발생한 코로나-19 감염병 확진자와 연관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광주·전남지역 의료기관간의 코로나-19 감염병 대응의 시스템 차이를 비교하여 의료기관에서 시스템의 구축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정부의 감염병 등에 관한 지침에 따른 실증적 자료 분석 및 정부의 감염병 지침 등의 정책에 따른 의료법 등에서 명시한 기준을 바탕으로 감염병 전파로 인한 의료기관 시설을 점검하고 이를 보완하고자 한다. (1) 환자 관리 차원에서 코로나-19 감염병을 통해 우리의 일상에서 체온측정과 손소독의 실시는 일상생활의 일환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청결과 소독 관리를 유지하여 기본으로 생활에서도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기본수칙이 되어 가고 있다. (2) 면회 및 병문안객 및 간병인의 관리를 통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병원을 이용하는 사람은 의료진을 포함한 병원 관계자와 환자 그리고 방문객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3) 직원의 안전한 관리를 위하여 비대면 시스템의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4) 광주지역과 전남지역의 의료기관 내에서 확진된 확진자 발생 현황을 조사하고 정부 대응지침에 따른 준수사항 및 의료기관 자체적인 준수사항이 의료기관 종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관성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84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SPSS 26.0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광주 지 및 전남 지역 109개 의료기관에 대한 면접조사를 담당자의 섀도잉 방식 및 담당자 면담방식을 병행하여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정부의 대응 지침에도 불구하고 의료기관에서의 확진자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관의 정부 대응 지침 준수 여부와 코로나-19 감염병에 대한 의료기관에서 확산되는 원인을 찾고자 하였다. 이에 의료기관에서의 현장의 조건에 따라 대응지침의 준수사항 준수 여부를 파악하여 보완해야 할 문제점에 대해 도출하고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의료기관에서 중점적으로 점검하고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호흡기질환자 및 호흡기질환 의심자를 위한 진료를 위한 별도의 시설 공간은 많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호흡기질환자 및 의심환자를 일반환자와 동선을 구분하여 진료할 수 있는 공간 및 시설에 대해 정부차원의 기준과 지원이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2) 스크린도어의 경우 감염병 확산의 목적보다는 의료법 기준에 따른 환자 안전 목적으로 설치된 병원이 많아 감염병 관련 외부인 출입 제한에 대한 방안의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보안인력의 상주는 출입제한을 위해 강화된 통제와 환자안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3) 직원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 직원 출입 시 감시체계인 체온 측정에 대한 기준은 의료기관별 차이를 보였다. 종합병원(상급종합 포함)은 잘 준수하고 있었으나 요양병원은 미흡함을 보였다. 환자 접점 부서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접점 부서에서의 개인보호구 착용의 의무화 및 비대면 시스템의 도입을 위한 비말차단 가림막의 설치와 관련하여 정부의 지침과 기준의 제시의 필요성과 의료기관 자체적인 시스템 구축을 통한 강화된 직원 안전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 의료기관의 확진자 인원과 코로나-19 감염병 대응 지침의 준수와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환자 접점 부서의 개인보호구 착용을 비롯하여 비말차단을 위한 가림막의 설치 여부, 야간 출입 관리를 위한 보안 인력의 배치 여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의료기관에서는 직원의 안전 관리를 위한 자체 지침의 수립과 시스템 구축을 통해 감염병 확산의 원인이 되지 않도록 충실한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대학생의 충동성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김미리 광주대학교 보건상담정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679

        대학생의 충동성이 문제 음주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과 음주 동기의 매개효과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충동성이 정서조절곤란과 음주 동기를 각각 매개하여 문제 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정서조절곤란과 음주 동기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이중매개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4년제 대학(원)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 305명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알코올 사용장애 진단 검사(AUDIT-K), 음주동기 척도, 한국어판 다차원적 충동성 척도(UPPS-P), 한국판 정서조절곤란 척도(K-DERS)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을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IBM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잠재변인 간의 직/간접 효과를 분석한 후 SPSS Statistics 18 프로그램의 Hayes Macro PROCESS를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문제음주와 충동성, 정서조절곤란, 음주 동기는 서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문제음주와 충동성의 관계에 대하여 정서조절곤란과 음주동기의 매개효과를 살펴 본 결과 문제음주와 충동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단순매개효과는 검증되지 않았으나, 문제음주와 충동성의 관계에서 음주동기의 단순매개효과는 검증되었다. 다음으로, 문제음주와 충동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음주동기의 이중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요약 및 의의, 제한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 대학생의 긍정 정서가 코로나–19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성란 광주대학교 보건상담정책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679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motions and COVID-19 stress, and to verify the dual mediated effect. To this end, a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03 four-year college students in the G city area consisting of a positive emotion scale, a COVID-19 stress scale, a cognitive flexibility scale, and an integrated self-regulation scale.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SPSS Statistics 25.0 program and the SPSS PROCESS macro 3.5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motions and COVID-19 stress, and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was significant. And the sequential dual mediation eff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provide empirical data and effective directions for counseling intervention to relieve COVID-19 stress by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self-regulation variables in the path of positive emotions affecting COVID-19 str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Key Words: Positive Emotion, COVID-19 Stress, Cognitive Flexibility, Self-Regulation 본 연구는 긍정 정서와 코로나-19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조절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시 지역의 4년제 대학생 203명을 대상으로 긍정 정서 척도, 코로나-19 스트레스 척도, 인지적 유연성 척도, 통합적 자기조절 척도로 구성된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긍정정서와 코로나-19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단순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자기조절의 단순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그리고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 정서가 코로나-19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자기조절 변인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코로나-19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상담 개입의 경험적 자료와 효과적인 방향 제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긍정 정서, 코로나-19 스트레스, 인지적 유연성, 자기조절

      •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이현순 광주대학교 보건상담정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의 목적은 내면화된 수치심이 초기 성인기인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 시기가 다른 어느 시기보다 사회불안을 경험할 수 있는 비율이 높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광주광역시 지역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1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9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를 위해 사용된 척도는 내면화된 수치심척도(ISS: Internalized Shame Scale), 사회공포증 척도(SPS: Social Phobia Scale),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EQ: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BFNE: Brief Fear of Negative Evaluation)이다. 분석방법으로는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연구모형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AMOS 22.0)을 실시하여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Macro process 분석 및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사회불안, 정서표현 양가성,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면화된 수치심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유의하게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이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서로 관련이 있음이 검증되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정서표현 양가성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도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사회불안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최종 모형에서는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정서표현 양가성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거쳐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사회불안을 완화시키는 과정에서 자신의 정서를 잘 표출하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수준을 낮춰주는 것이 효과적인 요인일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은 사람이 사회불안을 느낄 때 경험하는 인지적 및 정서적 특징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알아봄으로써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관한 이해를 돕고, 사회불안의 치료적 개입연구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주요어 :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불안, 정서표현 양가성,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how internalized shame affects the social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who in early adulthood, and to verify whethe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310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a four-year universit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based on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that found that the incidence rate at which social anxiety is experienced is higher in university years than any other age. In the end, the 299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scales used for the study are Internalized Shame Scale (ISS), Social Phobia Scale (SP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EQ), and Brie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BFNE). In terms of analysis metho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o ensur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MOS 22.0) was conducted to verify the fit of the measurement model. Finally, Macro process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ernalized shame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Internalized shame showed a remarkab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fear of negative evaluation,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suggesting that internalized shame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re interrelated.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ere exami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as does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hird, internalized sham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bu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final model. This implies that the process in which internalized shame affects social anxiety is influenced throug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rather than the existence of a direct effect. This, therefore, suggests that expressing student’s emotions well and lowering the level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s may be effective factors in alleviating social anxiety. This study examined the cognitive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experienced by people with high internalized shame when they feel social anxiety. Additionally, b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ocial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aid in the understanding of social anxiety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contribute to therapeutic intervention studies of social anxie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follow-up studies. Keywords : internalized shame, social anxiet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fear of negative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