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종양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과 수행 비교

        이은미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암환자의 가장 주된 문제는 통증으로 보고되고 있어 통증관리가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의 주요 과제가 되고 있다. 그런데 암환자의 증가로 인해 암환자가 종양병동이 아닌 일반병동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는 경우가 많다. 여러 연구들에서 일반병동 간호사는 종양병동 간호사에 비해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교육 횟수 및 교육 이수시간이 적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또한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 정도가 높을수록 암성통증 관리를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일반병동에 입원해 있는 암환자들이 통증관리를 적절히 받고 있는지 또한 암환자들만을 돌보고 있는 종양병동 간호사들도 암성통증 관리에 대해 높은 지식을 가지고 수행을 잘 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종양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 정도와 수행 정도를 비교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종양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 정도와 수행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J시, U시 소재 각 1개의 대학병원과 B시, D시 소재 각 2개의 대학병원에서 각각 6개월 이상 근무한 종양병동 간호사 129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131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10월 25부터 동년 11월 7일까지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B시에 소재한 2개 대학병원과 D시, U시에 소재한 각 1개 대학병원은 본 연구자가 전화로 간호부서 담당자에게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설문에 협조를 얻은 후 간호부서를 통해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그런 다음 연구에 참여를 동의하는 대상자의 서면동의를 받은 후 설문지를 작성토록 하였다. D시, J시에 소재한 각 1개 대학병원은 본 연구자가 전화로 간호부서 담당자에게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설문에 협조를 얻은 후 수간호사의 허락을 받은 후 연구 보조원을 통해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그런 다음 연구에 참여를 동의하는 대상자의 서면동의를 받은 후 설문지를 작성토록 하였다. 작성된 설문지는 연구 보조원을 통해 회수하여 우편으로 수거하였다. 연구 도구는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 측정도구는 조은경(2009)이 개발한 통증관리 지식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암성 통증관리 수행 측정도구는 보건복지가족부의 암성 통증관리지침 권고안(2008)을 조은경(2009)이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수행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do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test 및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제 특성을 비교한 결과, 연령, 총 근무경력, 현부서 근무경력, 종교, 학력, 결혼 상태, 암 환자 간호경력, 통증교육 필요성에서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직위, 현재 근무부서, 암성통증관리 교육 이수 경험 유무 및 암성통증관리 교육 횟수 에서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암성통증관리 교육 이수 경험 유무에서는 종양병동 간호사가 교육받은 비율이 더 높았으며, 암성통증관리 교육 횟수도 종양병동 간호사가 더 많았다. 2. 대상자의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총 지식 정도는 종양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정답율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χ2=105.890, p< .000). 대상자의 암성통증에 대한 지식 정도는 종양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정답율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χ2=5.820, p= .032). 약물요법에 대한 지식 정도는 종양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정답율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χ2=54.600, p< .000). 비약물요법에 대한 지식 정도는 종양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정답율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χ2=20.643, p< .000). 한편, 암성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 정도를 문항별로 비교하였을 때 일반병동 간호사와 종양병동 간호사 간에 전체 30개 문항 중 20개 문항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10개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0개 문항 모두 종양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3. 대상자의 암성 통증관리 총 수행 정도는 종양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1.406, p= .161). 통증사정 수행 영역은 종양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1.618, p= .107). 통증중재 수행 영역은 종양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통증중재 수행 정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t=-2.331, p= .021). 통증평가 수행 영역은 종양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751, p= .453). 한편, 종양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암성 통증관리 수행 정도를 문항별로 비교해 보았을 때 21개 문항 중 5개 문항은 종양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수행 정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 2개 문항은 일반병동 간호사가 종양병동 간호사보다 수행 정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고, 14개 문항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특히 일반병동 간호사가 종양병동 간호사보다 수행 정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던 문항은 ‘환자 스스로 통증을 관리할 수 있도록 PCA의 작동 원리, 사용방법 등을 교육한

      • 대학병원 수술실 간호사의 피로, 팀워크인식, 안전분위기 및 수술간호오류경험 간의 관계

        이소정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최근 환자안전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면서, 작은 실수도 환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수술환자안전에 대한 관심이 특히 높아지고 있다. 수술간호오류가 발생할 경우, 환자는 심각한 장애와 그로 인한 재원일수의 증가를 비롯하여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으므로, 수술간호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가 요구된다. 수술실 간호사는 장시간의 수술과 과도한 업무 등으로 인해 피로수준이 높으며 특히 수술간호오류경험을 통하여 업무스트레스와 소진을 비롯한 외상 후 스트레스 등을 겪을 수 있다. 수술실은 의료진이 팀을 이루어 업무가 진행되므로, 팀워크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며, 환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분위기 마련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병원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피로, 팀워크인식, 안전분위기와 수술간호오류경험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수술간호오류경험을 경감시킴으로써 수술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고 환자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개선활동 수립에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연구대상은 B, D광역시, C특례시에 소재하는 7개의 대학병원 수술실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1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6월 22일부터 동년 9월 2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K대학교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B, D광역시, C특례시에 소재하는 7개 대학병원의 간호부에 허가를 받아,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로 피로 측정 도구는 장은희(2013)가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팀워크인식 측정 도구는 AHRQ 등 (2006)이 개발한 TPQ(Teamwork Perceptions Questionnaire)를 안신애 등(2016) 이 수술실 의료인을 대상으로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안전분위기 측정 도구는 Singer 등 (2009)이 개발한 도구를 황미숙(2014)이 수정,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술간호오류경험 측정도구는 박경숙(2010)이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IBM SPSS WIN 29.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t-test, ANOVA, Scheffé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피로의 정도는 평균 73.56±15.58(도구범위: 24-120), 평균평점 3.07±0.65(척도:1-5)이었고, 대상자의 팀워크인식 정도는 평균 124.86±17.17(도구 범위:35-175), 평균평점 3.57±0.49(척도:1-5)이었다. 대상자의 안전분위기 정도는 평균 108.63±16.78(도구범위:33-165), 평균평점 3.29±0.51(척도범위: 1-5)이었고, 대상자의 수술간호오류경험 정도는 평균 62.60±13.47(도구범위:36-144), 평균평점 1.74±0.37(척도:1-4)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피로는 총임상경력(F=5.658, p<.001), 수술실 경력(F=6.182, p<.001), 주관적인 건강상태(F=4.303,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팀워크인식는 총임상경력(F=5.151, p<.001), 수술실 경력(F=5.536,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안전분위기는 총임상경력(F=5.770, p<.001), 수술실 경력(F=5.661, p<.001), 주관적인 건강상태(F=3.809, p<.001)에 따라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술간호오류경험는 연령(F=3.511, p=.017), 결혼상태(t=-2.498, p=.014), 수술실 경력(F=3.153, p=.01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 었다. 3. 대상자의 피로는 팀워크인식(r=-.262, p<.001), 안전분위기(r=-.274,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수술간호오류경험(r=.108, p=.023)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팀워크인식과 안전분위기(r=.769,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팀워크인식과 수술간호오류경험(r=-.204, p=.010)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안전분위기와 수술간호오류경험(r=-.169, p=.033)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대학병원 수술실 간호사의 피로는 팀워크인식, 안전분위기, 수술간호오류경험과 상관관계가 있었고, 팀워크인식은 안전분위기, 수술간호오류 경험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안전분위기는 수술간호오류경험과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학병원 수술실 간호사의 수술간호오류경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피로를 경감시키는 프로그램과 팀워크인식 향상 및 안전분위기 수준을 높이기 위한 개선활동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주요용어 : 수술실간호사, 피로, 팀워크, 안전분위기, 의료오류

      • 한국 장로교 신학교 및 신학계 기독교대학교의 신학적 정체성과 기독교종교교육 유형에 관한 연구

        홍성수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47

        한국 장로교에는 여러 교파들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대한예수교 장로회와 한국기독교 장로회(기장)가 있고, 대한예수교 장로회 내에는 고신, 장신(통합), 총신(합동) 교단이 있다. 이들은 모두 하나의 장로교에서 분열되어 나왔다. 이들 교파들은 각각의 신학교를 설립 운영했고, 장로교 신학계 기독교대학교들을 발전시켜왔다. 고신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총신대학교, 한신대학교가 이들 학교들이다. 이에 이들 학교들은 한국 장로교의 첫 신학교였던 평양 장로회 신학교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어떤 경위로 이들 학교들이 설립 발전되었는지에 관심을 갖게 된다. 본 논문은 이런 의문에서 출발하여 이들 학교의 전체 역사를 추적하면서 그 정체성과 유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한국 장로교 신학교와 신학계 기독교대학교의 역사를 포괄하게 되므로, 한국 개신교의 시작부터해서 현재에 이르는 방대한 기간을 망라하게 되었다. 이런 까닭에 이들 학교의 시작과 정착 그리고 발전에 이르기까지 정체성과 유형에 의미 있다고 여겨지는 사건들을 선택적으로 기술하였다. 먼저, 이들 학교들의 시원이 되는 평양신학교를 다루었고, 다음으로 이들 학교들과 평양신학교의 관련성을 고려하였다. 또한 이들 네 개의 학교들을 상호대비하면서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개혁주의 기독교고등교육 관점에서 이들을 평가하고 의의를 정리해 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들 중 몇 가지를 거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평양 장로회 신학교는 네 개의 학교들과 연속적인 면에서 혹은 불연속적인 면에서 모델이 되었다. 평양신학교는 보수 칼빈주의를 기조로 출발하여 그러한 정체성을 다음 신학교와 한국 장로교회에 심어 주었다. 그러나 평양신학교의 정체성이 철저한 칼빈주의에 기초하지는 못하였으므로, 1920년대 이후 한국 장로교회에 유입된 진보주의 및 자유주의 신학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였다. 이는 해방 후 장로교 분열의 한 요인이 된다. 그럼에도 평양신학교는 해방 후 보수 개혁주의를 표방하는 장로교 신학교의 모델이 되었고, 유형에 있어서도 그러했다. 둘째로, 한국장로교 분열과 네 개 신학교의 형성과 발전이다. 이들 학교는 하나의 장로교에서 출발하였지만 일치된 정체성을 발전시킨 것이 아니라, 각각의 정체성을 발전시켰다. 고려신학교는 평양신학교의 정체성을 계승하되 초기부터 박윤선에 의해 정초된 네덜란드계 칼빈주의를 발전시켰고, 합동 측 총회신학교는 박형룡의 영미청교도개혁주의를 토대로 정체성을 발전시키면서도 이후 박윤선 등의 영향에 의해 네덜란드 칼빈주의 역시 가미시켰다. 통합 측 장로회 신학교는 합동과의 분열 이후 박형룡의 신학과 거리를 두면서 나름대로 폭이 넓은 신학을 추구하였다. 이러므로 통전적 신학, 중심에 서는 신학, 그리고 온신학에 이르기까지 정체성의 확장을 나타내었고, 이렇게 해서 처음의 보수 칼빈주의와는 다른 정체성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조선신학교(한국신학대학)는 처음부터 평양신학교와 다른 토착적이면서도 현대신학 사조에 편승하는 신학을 추구하였다. 또한 조선신학교는 하나님의 선교신학을 적용하여 복음의 대사회적인 기능과 예언자적인 기능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런 점은 일면 장신과도 유사하다. 셋째로, 네 개의 신학교는 기독교종합대학교로 발전하였다. 신학교들이 정체성을 각각 다르게 발전시켰던 것처럼, 이들 기독교대학은 서로 다른 유형으로 발전하였다. 2000년대 이후 기독교대학과 비기독교대학을 묶어서 동일 기준에서 평가하는 국가 차원의 평가는 신학계 대학교들이 고유의 특성에서 벗어나서 교육학적으로 정체성과 유형을 나타내게 만들었다. 이런 가운데 이들 대학교는 각각 차이가 나게 학교의 기독교적 특성과 유형을 발전시켰다. 예컨대 고신대학교는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개혁주의 기독교대학교를 추구하였고, 총신대학교는 고신대학교와 유사하면서도 신학의 비중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는 가운데 일부 사범계열 학과들과 사회과학계 학과들을 갖춘 신학계 기독교대학교를 발전시켰다. 장로회신학대학교는 신학 및 교회에 관련된 소규모 학과들을 중심으로 복음주의 신학계 기독교대학교로 발전하였다. 한신대학교는 신학교로 출발하였으나 현재는 범위를 확장하여 여러 단과대학들을 거느린 인문사회과학이 강조된 기독교대학교가 되었다. 신학교들은 교파 분열과 연결되었고, 기독교대학교로의 발전은 이미 교파가 분열된 상황에서 성장우선 분위기에 편승하여 이루어진 면이 있다. 그러므로 현 시점에서 정체성과 유형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첫째로, 교회사 영역에서 일부 다루어져 왔던 학교교육 역사와 각 학교의 신학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에서 폭을 넓혀서 기독교교육학의 관점에서 정체성과 유형을 심도 있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때에 이미 각각의 학교들이 정착 발전되어 왔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각각을 공정하게 평가하는 가운데 학교들의 특성을 연구하고 건설적인 방향을 설정해야 하겠다. 둘째로, 한국 장로교의 근간이 되는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와 개혁주의 신앙고백서들 그리고 신학성명 등이 교육신조와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교육학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신앙과 학문은 구분되지 않고 통전적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교리문서에 대한 교육학적 접근은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셋째로, 개혁주의 기독교고등교육에 대한 통찰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는 평양신학교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부단하게 추구해 온 칼빈주의를 성찰하면서 아울러 세속화로 더욱 심화되는 상황 속에서 그리고 비기독교대학과 기독교대학이 하나로 평가되는 현실 속에서 기독교대학의 정체성과 유형을 새롭게 하는데 기반이 되어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ere are many denominations within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but they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e is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and the other is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Additionally, there are four representative parts which have been divided from one Presbyterian church, such as Kosin(Koryu), Tonghap(Jangshin), Hapdong(Chongshin) and Hanshin(Kijang). These four denominations created theological seminaries which subsequently grew and evolved into Christian theological universities. They are Kosin University (KU),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PUTS), Chongshin University (CU) and Hanshin University (HU).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 of how these universities relate to the first seminary in Korea, Pyongyang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PS), explores the historical beginnings and subsequent development of these four universities, and focuses on investigating their respective identities and types. This study includes the comprehensive history of Korean Presbyterian seminaries and theological universities. That is why this researcher highlighted significant events in identity and types. PS, the origin of these seminaries, was examined first, which lead to the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S and the four seminaries. Then, the traits of these four seminaries and universities were analyzed through comparison and contrast. Lastly, this study evaluated and arranged their identity and types according to Christian higher education theories, leading to meaningful discoveries. Firstly, PS was a model for these four seminaries from both continuous aspect and discontinuous aspect. PS began as a conservative and Calvinistic seminary and later planted its identity in four seminaries and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However, since it could not fully establish a firm Calvinism, PS failed to cope with the growing liberalism and progressivism in the Korean Presbytery from the 1920’s onwards. This caused and triggere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into different denominations. Nevertheless, PS has been a model and in its type to these Presbyterian seminaries and theological universities that represent conservative reformed stance that came to exist after the national independence from Japan. Secondly, the study delves into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divisions an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four separate seminaries. Although they all emerged from one Presbyterian Church, they did not keep a common identity, but each formed their own identity instead. Korea Seminary inherited PS’s Calvinism, and developed under Park Yun Sun’s Dutch Calvinism. Chongshin Seminary developed through Great Britain and the US’s Puritan Calvinism under Park Hyung Ryoung. It was also later influenced by Park Yun Sun’s Dutch Calvinism. Presbyterian Seminary broadened theological traits, keeping some distance from Park Hyung Ryoung’s theology, and developed a wholistic, middle-ground, ‘Ohn’(whole) theology. Chosun seminary (Hankuk Theological College) began from the beginning to pursue theology that accommodates indigenous and modern theological stance. Furthermore, Chosun seminary applied ‘Missio Dei,’ focusing on the prophetic and social functions of the gospel on the basis of this theology, similar to Tonghap’s. Thirdly, these four seminaries have developed into Christian universities. Just as they emerged with different identities, so are the different types in which each formed their own institutions. From 2000 onwards, Christian and non-Christian universities have been evaluated equally at the national level. Christian universities were prompted to form their educational values and curriculum from an educational standpoint, as opposed to its unique tradition. Through such process each university developed its own Christian identity and types. For example, KS consequently sought and developed a Reformed Christian university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CU similarly mirrored KU, but strengthened its ground as a theological university, putting a strong emphasis on the seminary department alongside education department and social science department. PUTS developed a small evangelical theological university with a theology department alongside other small scale departments related to theology and church ministry. HS began as a seminary but became a Christian university with the addition of liberal arts, science, and social science colleges. These seminaries were all involved in the division of the Korean Presbytery, creating an advantageous opportunity that enabled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hristian universities. Therefore,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of identity and types in seminary and Christian universities. Firstly,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is issue of identity and type with depth from the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by expanding the study of theological education curriculum of each school and school education history which have been so far limitedly dealt within the church history curriculum. This should be done by research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and set the direction constructively while assessing them with fairness, having considered the fact that each school has been established and developed thus far already. Secondly, there is a need for studies on how the Westminster Standard documents, Reformed Confessions and theological proclamations and etc. which have been the cornerstone of the Korean Presbyterianism, have been reflected in the areas of educational belief and curriculum from the educational point of view. Because faith and academics are not separate: they are integrated, it is viewed as significant attempt to have educational approach toward confessional documents. Thirdly, we must apply insight into the study of Reformed Christian higher education. As we are in the midst of a situation in which the society evaluates both non-Christian universities and Christians universities in the same evaluation system and also in the midst of our societal acceleration toward secularism, this researcher believes that such study would provide a firm foundation that renews the identity and type of Christian university through the reflection on Calvinism that we have pursued unwaveringly from the PS until today. KEY WORDS: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Theological Christian University, Theological Identity,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al Type(Model), Pyongyang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PS), Korea Theological Seminary (Kosin University - KU), Chosun Theological Seminary (Hanshin University-HU), Presbyterian Seminary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 PUTS), General Assembly Theological Seminary (Chongshin University - CU), Reformed Christian Higher Education

      • 어머니의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양육스트레스, 부모 효능감, 부모-자녀 관계에 미치는 효과

        최은경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47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인간의 긍정성을 성장시키는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으며, 아동, 청소년, 대학생, 성인에 이르기까지 많은 관심과 집중을 받고 있으며, 임상적 문제가 없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좀 더 나은 최상의 기능 상태로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부모 효능감, 부모-자녀 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한 심리 상담 센터에서 상담 센터를 방문한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2019년 8월 말부터 2019년 11월 초까지 실시되었다. 양육스트레스 검사와 부모 효능감 검사 및 부모-자녀 관계 검사는 실험집단 29명, 통제집단 30명으로 수행되었다.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에서만 주1회 10회기 동안 진행되었다. 10회기 후, 두 집단 모두 사후 테스트로 양육 스트레스, 부모효능감, 부모-자녀 관계 검사를 받았다. 자료처리는 SA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는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 실시 후 3.3±0.6에서 2.3±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부모 효능감은 2.6±0.7에서 3.6±0.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부모-자녀 관계는 2.5±0.7에서 3.6±0.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아졌다. 부모-자녀 관계의 하위 그룹에 따른 분석에서도 모든 실험집단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부모 효능감, 부모-자녀 관계의 개선을 위해서는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한국교회 주일학교 교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이준탁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Study on the curriculum of the Sunday School Teacher of Korean Church Lee Jun tak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Kos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Summary Education is one of the top priority subjects and essences of Church. And the quality & success of education depends on the quality and capability of teachers. Therefore, in this article the study of the curriculum for teachers to be responsible for the Sunday School of Korean Church is made in search of the curriculum of Christian religion as well as training program of teachers recorded in the history of Korean Church based on the study of historic records. And an analysis & appraisal being made regarding the curriculum for teachers of respective religious body of christian religion and the training program for teacher of respective church. First of all, emphasis is placed that the object & purpose of education of Christian religion be placed to Jesus Christ and the rightful course of christian education be exposed the will of God in our ordinary life the principle of Bible the word of God. This being reflected the God centric principle, Bible centric principle, Realism principle. In the next step, regarding on the education curriculum for teachers in the history of Korean church, the study is made to the education curriculum for teachers implemented by church and religious body, education associations of christian religion based on time frame from 1888 to the late teacher's training program. Until 1970, the education curriculum for teachers was being implemented mainly by a religious body or a christianity school or by person. However, since 1970 the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settled down by the respective religious body mainly by the scholars completed their major in education of christian religion from foreign countries. To verify the practical curriculums for teachers, an analysis and appraisal of education curriculum is made comprising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of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Presbyterian Church of Kosin, presbyterian church, Reformed Presbyterian Church, and Methodist Church. And an analysis and appraisal has been made to the teacher's education program mainly to that of the protestant church. The analysis is targeted for Salang Community Church, Onnuri church, Somang Church, Flowergarden church, Sooyongro church, Youngnak church. And analysis is executed based on education curriculum of christian religion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pective christian body, respective church in terms of Studies on Individual School Subjects, Studies on education contents, Christian Education, teaching profession. Finally, a draft is made on the education curriculum for training teachers as well as sustained program for already appointed teachers by analysing & appraising education curriculum of respective christian body & church in addition to the education curriculum being reviewed in this study. And a lecturing program is presented for practical application by establishing basic education system in the training course as a teacher's education curriculum. while helping to develop professionalism of teacher by offering lecturing curriculum for professional teacher's school and teacher's college as sustained educational course. The curriculum of teacher should be understood as the paradigm of Church education and should overcome the paradigm of theology pursuing as a sci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ology and the education of christian religion for sustained quality development as a teacher through teacher's college at the same time necessary to have educational curriculum to discover and develop the given talent from God and receive continuous professional training to be able to apply at Sunday School. Also educations for teacher training as well as for general believers should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relate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collage and youth department. At the same time a concrete study to be able to apply to the small scale church such program & education curriculum for teacher offered in this study. 한국교회 주일학교 교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이 준 탁 고신대학교 대학원 기독교 교육학 전공 교회의 필수적 과제요 본질은 교육이며, 교육의 질과 성패는 교사의 자질과 능력에 달려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교회 주일학교 교육을 책임질 교사 교육에 근간이 되는 교육과정을 기독교 교육과정과 한국 교회사에 나타난 교사 교육과정으로 나누어 문헌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단별 교사 교육과정과 교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회별 교사 교육과정을 분석·평가하였다. 먼저 기독교 교육과정의 핵심과 목적은 그리스도가 중심이어야 한다는 것과 참된 기독교 교육과정은 하나님 말씀인 성경의 원리가 기독교인의 생활 속에서 하나님의 뜻으로 드러나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는 기독교 교육과정의 하나님 중심의 원리, 성경 중심의 원리, 실제성의 원리를 반영한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 교회사에 나타난 교사 교육과정에 대하여 1888년부터 최근의 교사교육에 이르기까지 시기별로 나누어 교회와 교단, 기독교 교육단체를 통해 전개된 교사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1970년대까지 교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은 주로 한 교단을 중심으로, 또는 한 신학교나 개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외국에서 기독교 교육을 전공하고 돌아온 학자들을 중심으로 교사 교육과정이 전문화되어, 각 교단별로 교사 교육과정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교사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실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 대한예수교장로회 고신,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대한예수교장로회 개혁, 기독교대한감리회 기감의 교사 교육과정을 정리, 평가를 하였다. 그리고 개교회를 중심으로 실시되고 있는 교사 교육과정을 정리, 평가해 보았다. 분석한 교회로는 사랑의 교회, 온누리 교회, 소망교회, 꽃동산 교회, 수영로 교회, 영락 교회이다. 교단별, 교회별 교육과정의 특성을 기독교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교과교육학, 교육내용학, 기독교교육학, 교직 등과 관련된 분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살펴본 기독교 교육과정과 교단별 및 교회별 교사 교육과정을 분석·평가하여 교사의 양성교육과 임용된 교사의 계속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구안하였다. 교사 교육과정으로 양성교육 과정의 기본 내용 체계를 수립하여 실제적인 적용을 위한 강의 계획안을 제시하였으며, 계속 교육과정으로 교사대학과 전문 교사 스쿨의 강의 계획을 제시하여 교사의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사 교육과정은 교회교육의 패러다임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학문 추구로 일괄되는 신학의 패러다임을 뛰어 넘어야 한다. 때문에 교사로서의 자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 교사 대학을 통한 신학 및 기독교 교육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킴과 동시에 자신의 은사를 발견하고 개발하여 주일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전문가적 훈련을 지속적으로 받는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 양성교육과 계속 교육을 위한 평신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더불어 대학·청년부의 교육과 연계된 교사교육 방안이 추진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사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을 소규모 교회의 실정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의 모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기독대학생의 인터넷중독과 신앙성숙도에 관한 통합연구

        김경희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기독대학생의 인터넷중독과 신앙성숙도에 관한 다면적 접근을 통하여 두 변수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제공하고, 기독교교육과 기독교상담 분야에서의 전략적 지원 및 정책 수립에 함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의 내용은 네 가지로 구성되었으며, 효과적인 연구 수행을 위한 방법론으로 통합연구 방법을 채택하였고, 설명설계(explanatory design)의 모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연구의 방법으로 기독대학생, 인터넷중독, 신앙성숙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둘째, 양적연구의 방법으로 기독대학생의 인터넷중독 수준과 신앙성숙도 수준을 파악한 후 차이 및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문제 및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기독대학생 500명을 선정하여 가설을 검증하는 실증적 탐색의 과정을 거쳤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독대학생들의 인터넷중독 수준은 건전하게 사용하는 일반사용군과 잠재적인 문제 발생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지만 현재 뚜렷한 문제가 없는 주의사용군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서 사회적으로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신앙성숙도 수준은 높은 집단과 중간 집단에 속하는 학생들이 대다수이며, 낮은 집단에 속하는 학생들은 적은 분포를 보였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된 내용을 살펴보면, 집단간 차이분석에서 신앙성숙도는 연령, 학년, 신앙연수, 신급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분석에서 인터넷중독은 성별, 연령별, 학년별 변인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별과 긍정적 기대 간에는 부적상관관계, 연령과 긍정적 기대 간에도 부적상관관계, 학년과 내성 및 몰입 간에는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앙성숙도는 성별, 연령별, 학년별, 신급별 변인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별과 신앙적 측면 간에는 정적상관관계, 연령 및 학년 변인과 교리적 측면, 신앙적 측면, 인격적 측면 등 모든 하위척도 간에는 정적상관관계, 신급과 교리적 측면, 신앙적 측면, 인격적 측면 등 모든 하위척도 간에는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인터넷중독의 하위척도와 신앙성숙도의 하위척도간 상관성을 보면, 가상세계지향과 교리적 측면 간에는 부적상관관계, 인터넷에 대한 자기인식과 신앙적 측면 간에는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질적연구의 방법으로 기독대학생들에게 있어 인터넷과 신앙성숙의 본질은 무엇이며 어떤 의미와 현상으로 나타나는지를 심층적으로 확인하였다. 설문 조사에 응답한 기독대학생 19명과 이들을 지도하거나 교육하는 위치에 있는 성인 7명 등 총 26명을 선정하고, 연구참여자들을 통해 현상의 본질을 밝혀내는 해석적 탐색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질적연구는 근거이론의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개방코딩과 축코딩의 과정에서 985개의 개념, 112개의 하위 범주, 18개의 범주를 도출하고, ‘중심 현상-인과적 조건-맥락적 조건-중재적 조건-작용/상호작용 전략-결과’의 패러다임 모형에 입각하여 각 범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선택 코딩 과정에서‘올바른 크리스천 문화 정립과 인터넷 선용 문화 형성을 통해 신앙성숙을 도모하기 위하여 열 가지의 요구 사항 제시하기’라는 핵심 범주를 선택하고 이야기의 윤곽을 형성하였다. 넷째,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각각의 결과를 설계 모형에 입각하여 분석하고 통합하여 ‘인터넷을 도구로 활용한 신앙성숙도 향상 전략 수립’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는 인터넷이 신앙성숙을 도모하기 위한 주요 수단이 되기 때문에 적절하고 효과적인 활용 방안이 전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략 수립을 위한 구체적인 대안으로 네 가지를 제안하였다. 먼저, 기독대학생의 인터넷사용 문제와 신앙성숙의 관계를 주제로 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인터넷중독에 관한 문제는 비교적 최근에 다루어진 문제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발표된 연구 결과물에 비해 기독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물은 턱없이 부족한 상태이다. 특히 교회 내에서 인터넷과 신앙의 개념 및 본질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세대간 갈등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기독대학생이라는 대상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 대학생 문화를 대표하는 키워드로 꼽히는 인터넷 문화에 대한 이해, 나아가 신앙성숙에 대한 근원적이고 현실적인 이해가 절실하며, 이론적인 접근이 아니라 삶과 연결되는 접근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목회자(교역자)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의 실시이다. 인터넷과 관련해서는 목회자 스스로가 올바르게 선도해 나갈 역량이 부족하고, 매뉴얼도 충분하지 못한 상황이다 보니, 인터넷 문화를 세상 문화로 치부하여 무조건 적으로 간주해 버리는 극단적인 현상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신앙의 지도자 위치에 있는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 종합병원 간호사의 영적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연지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Patients visiting general hospitals not only suffer unbearable physical pain from the disease, but also experience spiritual conflicts such as fear of the disease. In this situation, spiritual nursing care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who care for various patients can help the health recovery of the subjects. However, they are less interested in spiritual nursing problems due to lack of time due to busy work and space constraints, and have low awareness and practice of spiritual ca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empathy, interpersonal relations, burnout and spiritual well-being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on spiritual care competency and provide them as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development to improve spiritual care competency based on th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8 nurses who worked at six general hospitals in B metropolitan city, D metropolitan city and G city for more than one yea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5, 2021 to March 15, 2021 after receiving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Bioethics Committee (IRB) of K University in B Metropolitan City. The data collection method was to visit the nursing department of the hospital to explain the purpose and procedure of this study to the nursing director and seek cooperation. After fully explaining the research purpose, method, and survey contents to the subjects who met the criteria for selection,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with written consent to respond directly to the questionnaire. The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sealed and immediately recovered or collected. As a research tool in this study, the measurement of empathy was based on the Toronto Empathy Questionnaire(TEQ) developed by Spreng et al.(2009) and translated by Kim Hwan and Han Soo Mi(2016) into Korean and verified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the measur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 the Relationship Change Scale(RCS) developed by Guerney (1977) was adapted by Moon Sun-mo (1980), and Im Eun-ju and Lee Yeo-jin (2014)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nurses. The burnout measurement was performed using a tool that Mijeong Ham (2011) translated and used Copenhagen Burnout Inventory(CBI) developed by Kristen, Borritz, Villadsen and Christensen (2005). Spiritual well-being measurement was developed by Paloutzian and Ellison (1982), using a Korean spiritual well-being measurement tool translated by You and Yoo (2016). The spiritual care competence measurement was translated by Jeong Mi-ja, Park Young-rye, and Eun-young (2016) of Van Leeuwen et al. (2009) and used the Korean Version of the Spiritual Care Competence Scale (K-SCS) to verify validity and reliability. Data analysis methods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5.0 (SPSS Korea, Data Solution Inc) statistics program, using real,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average level of empathy was average 43.35±6.67 (tool range:0-64) and average score was 2.71±0.42 (scale range:0-4). The average interpersonal relations was 84.59±11.01 (tool range:25-125) and the average score was 3.38±0.44 (scale range:1-5). The average burnout was 57.48±13.33 (tool range: 19-95) and the average score was 3.03±0.73 (scale range:1-5). The average spiritual well-being of the subjects was 53.80±13.99 (tool range: 20-100), average score 2.69±0.70 (scale range: 1-5), and religious well-being average 21.89±9.99 (tool range: 10-50) for each sub-area. average score of 2.19±1.00 (scale range: 1-5), existential well-being average of 31.91±6.55 (tool range: 10-50), and average score of 3.19±0.65 (scale range: 1-5). The average spiritual care competency was 67.76±16.19 (tool range:26-130) and the average score was 2.61±0.62 (scale range:1-5). 2.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spiritual care competency of the subjec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roviding spiritual care(t=3.781, p<.001) and the necessity of spiritual care(F=21.534, p<.001). As a result of the post-validation, the level of spiritual care competenc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recognized as normal or unnecessary. 3. The level of spiritual care competence of the subject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mpathy (r=.219, p=.001), interpersonal relations (r=.203, p=.003), spiritual well-being (r=.382, p<.001), religious well-being (r=.402, p<.001), existential well-being (r=.205, p=.003), and burnout (r=-.022, p=.057) was not significant. 4. The factors affecting the spiritual care competency of the subjects were the necessity of spiritual care(β=.303, p=.001), religious well-being (β=.291, p<.001), empathy (β=.149, p=.043), and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se factors was 25.4%.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of spiritual care, religious well-being, and empathy as factors affecting the spiritual care competency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Therefore, to improve the spiritual care competency of general hospital nurs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to raise awareness of the need for spiritual care, support and system to ensure religious well-being, and to develop and apply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empathy. 종합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들은 질병으로 인하여 참기 힘든 신체적 고통을 겪을 뿐 아니라 질병으로 인한 두려움과 같은 영적갈등을 경험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양한 환자를 돌보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영적간호수행은 대상자의 건강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바쁜 업무로 인한 시간부족과 공간제약 등의 이유로 영적인 간호문제에 대한 관심이 적으며 영적간호에 대한 인식과 실천정도가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공감, 대인관계 능력, 소진, 영적안녕이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근거로 영적간호역량을 증진할 수 있는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B광역시, D광역시와 G시에 소재한 6개 종합병원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간호사 208명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전 K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은 후 2021년 2월 15일부터 동년 3월 15일까지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해당 병원의 간호부서를 방문하여 간호과장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에 맞는 대상자에게 연구목적과 방법, 설문내용을 충분히 설명한 후 서면동의를 받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직접 자기기입식으로 응답하게 하였으며 작성된 설문지는 밀봉하고 즉시 회수 또는 수거함에 넣도록 한 후 회수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로 공감 능력 측정은 Spreng 등(2009)이 개발한 Toronto Empathy Questionnaire(TEQ)를 김환과 한수미(2016)가 한국어로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도구를, 대인관계 능력 측정은 Guerney (1977)가 개발한 Relationship Change Scale(RCS)를 문선모(1980)가 번안하고 임은주와 이여진(2014)이 간호사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소진 측정은 Kristen, Borritz, Villadsen와 Christensen (2005)이 개발한 Copenhagen Burnout Inventory(CBI)를 함미정(2011)이 번역하여 사용한 도구를, 영적안녕 측정은 Paloutzian과 Ellison (1982)이 개발한 Spiritual Well-Being Scale(SWBS)를 You와 Yoo(2016)가 번역한 한국형 영적안녕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영적간호역량 측정은 van Leeuwen 등(2009)의 Spiritual Care Comeptence Scale(SCCS)을 정미자, 박영례와 은영(2016)이 번안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한 한국어판 영적간호역량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IBM SPSS 25.0(SPSS Korea, Data Solution In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공감은 평균 43.35±6.67(도구범위:0-64), 평균평점 2.71±0.42(척도범위:0-4)이었다. 대인관계 능력은 평균 84.59±11.01(도구범위:25-125), 평균평점 3.38±0.44(척도범위:1-5)이었고, 소진은 평균 57.48±13.33(도구범위:19-95), 평균평점 3.03±0.73(척도범위:1-5)이었다. 영적안녕 정도는 평균 53.80±13.99(도구범위:20-100), 평균평점 2.69±0.70(척도범위:1-5)이었고, 하위영역별로 종교적 안녕 평균 21.89±9.99(도구범위:10-50), 평균평점 2.19±1.00(척도범위:1-5), 실존적 안녕 평균 31.91±6.55(도구범위:10-50), 평균평점 3.19±0.65(척도범위:1-5)이었다. 영적간호역량은 평균 67.76±16.19(도구범위:26-130), 평균평점 2.61±0.62(척도범위:1-5)이었다. 2. 대상자의 영적간호역량 정도의 차이는 일반적 특성 중 영적간호를 제공한 경험(t=3.781, p<.001), 영적간호의 필요성(F=21.534,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 검증한 결과 영적간호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군이 보통이거나 그렇지 않다고 인식하는 군보다 영적간호역량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3. 대상자의 영적간호역량 정도는 공감(r=.219, p=.001), 대인관계 능력(r=.203, p=.003), 영적안녕(r=.382, p<.001), 종교적 안녕(r=.402, p<.001), 실존적 안녕(r=.205, p=.003)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소진(r=-.022, p=.757)과는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4. 대상자의 영적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영적간호의 필요성(β=.303, p=.001), 종교적 안녕(β=.291, p<.001), 공감(β=.149, p=.043)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의 영적간호역량에 대한 총 설명력은 25.4%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종합병원 간호사의 영적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영적간호의 필요성, 종교적 안녕, 공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종합병원 간호사의 영적간호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영적간호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종교적 안녕을 증진시키기 위한 지원과 체계를 구비하고, 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인간호실천의 관계

        구미연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우리나라는 노인인구의 증가추세와 인구의 고령화 현상으로 노인환자가 늘어나는 실정이고 이에 노인간호 수요를 담당하기 위한 노인간호 질적 향상과 노인간호실천의 증진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인간호실천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B시 소재 1개 대학병원과 3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201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10월 4일부터 2014년 2월 19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K대학병원의 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의 승인을 받고 해당 병원 간호부 및 수간호사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여 허가를 얻어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개별적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가 보고법으로 작성한 후 회수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노인간호실천은 최희자(2002)가 개발한 노인간호실천 측정도구를, 노인에 대한 태도는 Sanders 등(1984)이 개발한 노화의미분별척도를 임영신(2002)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평균평점, 최대값, 최소값,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태도 정도는 평균이 78.20±12.24점(도구범위: 20-140), 평균평점이 3.91±0.62점(척도범위: 1-7)으로 중립적으로 나타났고, 대상자의 노인간호실천 정도는 평균이 49.61±5.38점(도구범위: 16-64)이었고, 평균평점이 3.10±0.34점(척도범위: 1-4)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태도 정도는 일반적 특성 중 근무부서(F=3.26, p=.024), 노인을 위한 봉사 활동 경험(t=-2.52, p=.01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노인간호실천 정도는 일반적 특성 중 결혼상태(t=-2.60, p=.010), 최종학력(F=3.83, p=.023), 직위(F=3.30, p=.039), 노인과의 거주경험(t=3.35, p=.001), 노인에 대한 봉사활동 경험(t=2.13, p=.034), 노인에 대한 교육경험(t=2.32, p=.02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인간호실천 정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미약한 상관관계(r=-.146, p=.038)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임상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인간호실천 간에는 매우 미약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추후 임상간호사의 노인간호실천과 관련된 변인들을 더욱 명확히 규명하여 이를 반영한 노인간호실천 증진 중재개발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근골격계 수술환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통증관리 만족도가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정효주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Musculoskeletal surgical patients make up a majority of the patients hospitalized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They need high-quality nursing services as they feel great pain from the surgery.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nurses provide these patients with good pain manage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and provide effective communication for pain manage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and correlations between the types of communication from nurses,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pain management, and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as perceived by musculoskeletal surgical patients hospitalized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to ultimately provide basic data to enhance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as perceived by the patients. The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nd the participants were 152 musculoskeletal surgical patients hospitalized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of I hospital and K hospital of B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6 to October 15, 2019. To collect the data, the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K University and received permission from the nursing departments of I hospital and K hospital of B Metropolitan City. Afterwards, the study’s purpose and methods were explained to the head nurses of the nursing wards and their agreement to cooperate was received. Structured surveys were completed by nurses with at least six months’ experience under the head nurses and who had given written consents. The patients were asked to directly fill out the surveys, which were then collected. The tool used to assess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ERVQUAL model by Parasuraman et al.(1988), developed by Lee Mi Aie(2004a), edited by Lee Hye Jin(2011), and then re-edited by Choi Jung Sug(2013). The tool to assess the types of communication from the nurses used the tool developed by Jeong Su Yeon(2013). Assessment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pain management used the tool developed by Lee Yoon Young and Park Kwang Ok(2002) and edited by Yoo Hee Jung(2010). Analysis of the data used real numbers,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minimums, maximums, mean ratings and standard deviations, t-test, ANOVA and the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23.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the type of communication as perceived by the patients was 47.90±6.88 (tool range: 11–55), and the mean rating was 4.35±0.63(scale range: 1-5). Among the subfactors, the mean score for nurses’ information-providing communication was 26.49±3.80 (tool range: 6–30), and the mean rating was 4.42±0.63 (scale range: 1–5); the mean score for the degree of friendly communication was 21.41±3.55 (tool range: 5–25), and the mean rating was 4.28±0.71 (scale range: 1–5). The mean score for satisfaction with pain management perceived by the patients was 44.48±5.81 (tool range: 10–50), and the mean rating was 4.45±0.58 (scale range: 1–5). Among the subfactors, the mean score for nurses’ performance competences was 31.04±4.14 (tool range: 7–35), and the mean rating was 4.43±0.59 (scale range: 1–5), the mean score for pain drugs and equipment was 8.93±1.24 (tool range: 2–10), and the mean rating was 4.47±0.62 (scale range: 1–5); the mean score for the degree of overall satisfaction was 4.51±0.74 (tool range: 1–5), and the mean rating was 4.51±0.74 (scale range: 1–5). The mean score for patients’ perception of the degree of nursing services quality was 8.52±15.03 (tool range: -80–+80), and the mean rating was 0.43±0.75 (scale range: -4–+4). 2. Patients’ perceived quality of nursing services differed significantly by gender (t=-2.519, p=.013), age (F=2.985, p=.021), education level (F=6.710, p=.002), occupation (F=2.507, p=.045), monthly average income (F=2.869, p=.039), diseases other than musculoskeletal diseases (t=2.308, p=.022), current health status (F=3.397, p=.036), family support for the treatment (F=4.493, p=.013), and pre-surgical pain (t=2.753, p=.007). 3. Patients’ perceived quality of nursing servic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es’ information-providing communications r=.408(p<.011), nurses’ friendly communications r=.449(p<.001),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pain management r=.460(p<.001). 4. The factors that had the greatest effect on patients’ perceived quality of nursing services was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pain management (β=.308, p=.001), followed by education level (β=.268, p<.001), and nurses’ friendly communications among the nurses’ communication types (β=.221, p=.022). The total explanation power was 30.1%. Through the above result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at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as perceived by the patients was greater with higher perceived satisfaction levels on pain management, an education level below middle school graduate and better levels of friendly communication from nurses. The factor with the greatest effects on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was the satisfaction level with pain management, followed by education level and friendly communication from nurs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as perceived by pati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nursing interventions taking patients’ education levels into consideration and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effective pain management and friendly communication by nurses. 근골격계 수술환자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 중 대다수를 차지한다. 이들은 수술로 인한 통증도가 높기 때문에 양질의 간호서비스가 필요하다. 따라서 간호사는 이러한 간호서비스 질을 높여주기 위해 근골격계 수술환자에게 통증관리를 잘해줘야 하며 통증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근골격계 수술환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 통증관리 만족도, 간호서비스 질의 정도 및 관계를 확인하고 간호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서비스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연구대상자는 B시 I병원과 K병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근골격계 수술환자 1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7월 26일부터 동년 10월 15일까지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K대학교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B광역시 I병원, K병원 간호부의 허락을 받고, 병동 수간호사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협조를 받았다. 수간호사가 배치된 간호단위에 근무하는 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에게 서면 동의를 받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한 후, 환자가 직접 작성토록 한 후 회수하였다. 연구도구로 간호서비스 질 도구는 Parasuraman 등(1988)의 SERVQUAL모형을 근거로 하여 이미애(2004a)가 개발하고 이혜진(2011)이 수정․보완하고 최정숙(2013)이 다시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도구는 정수연(2013)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통증관리 만족도 측정 도구는 이윤영과 박광옥(2002)이 개발하고 유희정(2010)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WIN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평균,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t-test, ANOVA와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 정도는 평균 47.90±6.88점(도구범위: 11-55), 평균평점이 4.35±0.63점(척도범위: 1-5)이였고, 하위영역 중 간호사의 정보제공적 의사소통 유형 정도는 평균 26.49±3.80점(도구범위: 6-30), 평균평점이 4.42±0.63점(척도범위: 1-5), 간호사의 친화적 의사소통 유형 정도는 평균 21.41±3.55점(도구범위: 5-25), 평균평점이 4.28±0.71점(척도범위: 1-5)이었다. 대상자가 지각한 통증관리 만족도 정도는 평균 44.48±5.81점(도구범위: 10-50), 평균평점이 4.45±0.58점(척도범위: 1-5)이었고, 하위영역 중 간호사 수행능력은 평균 31.04±4.14점(도구 범위: 7-35), 평균평점이 4.43±0.59점(척도범위: 1-5), 통증약물 및 기구는 평균 8.93±1.24점(도구 범위: 2-10), 평균평점이 4.47±0.62점(척도범위: 1-5), 전반적인 만족도는 평균 4.51±0.74점(도구 범위: 1-5), 평균평점이 4.51±0.74점(척도범위: 1-5)이었다.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서비스 질의 정도는 평균 8.52±15.03점(도구범위: -80-+80), 평균평점이 0.43±0.75점(척도범위:-4-+4)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 질 정도는 성별(t=-2.519, p=.013), 연령(F=2.985, p=.021), 교육정도(F=6.710, p=.002), 직업(F=2.507, p=.045), 월평균소득(F=2.869, p=.039), 근골격계 외 동반질환여부(t=2.308, p=.022), 현재 건강상태(F=3.397, p=.036), 치료에 대한 가족지지 정도(F=4.493, p=.013), 수술 전 통증여부(t=2.753, p=.00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서비스 질은 간호사의 정보제공적 의사소통 유형과는 r=.408(p<.011), 간호사의 친화적 의사소통 유형과는 r=.449(p<.001), 통증관리 만족도와 r=.460(p<.001)으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서비스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통증관리 만족도(β=.308, p=.001)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학력(β=.268, p<.001),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의 하위영역 중 친화적 유형(β=.221, p=.022)순이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30.1%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대상자가 지각한 통증관리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력은 중졸이하일수록, 간호사의 친화적 의사소통 유형의 성향이 강할수록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서비스 질 정도가 높았다. 간호서비스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통증관리 만족도이었고 그 다음으로 학력, 간호사의 친화적 의사소통 유형 순이었다. 따라서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학력을 고려하여 개별적 간호중재를 제공하고, 간호사를 대상으로 효율적인 통증관리와 친화적 의사소통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 4차 산업혁명시대 인재상과 기독교교육의 방향 :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김도균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Types of Talen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Focusing on Core Competence Kim, Do gyun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Gradeate School of Kosin University Absrtact A huge wav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coming across our society. The forth wav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characterized by hyper-connectivity and hyper-intelligence. It is expected to expand in scope and speed beyond comparable levels in the past, to rapidly affect all areas of our society. So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making various efforts to adapt and respond to rapid change. In particular, the area of education considers and prepares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ethods of education to predict and nurture talents requir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ut our preparation is inadequate, and so is the church. In the area of education,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paying attention to what talents and capabilities are requir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how to educate them. The United States emphasizes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and non-cognitive capacities, while Singapore emphasizes human citizen education with a focus on social integration and citizenship. New Zealand is also promoting educational reform with an emphasis on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and non-cognitive capacities, and Finland focuses on innovation. In Korea, national-level research institutes define talented persons who will lead the future society, and propose curriculum reforms centering on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and competencies necessary for them. In this way, the general education is in line with the rapid chang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Age of Vortex', and is promoting various changes and developments. It is very convincing to argue in the field that we should consider how to redesign the content and format of Christian education and how to set its direction. General education is one step ahead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study and preparation of talent and core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the talented people who want to nurture through general education are inevitably short of value and world view due to the limitation of value neutral general educa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requires talented people to give clear answers to the ethical and moral questions that arise when applying advanced technologies to reality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chnologies. In this regard, Christian education, which focuses on biblical worldviews and values, can give a clear answer to these talent needs. Therefore, the researcher presents w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what the human resources and core competencies that this era needs, should be presented by research institutes, governments, corporations and scholars, and analyze the human resources and core competencies based on the literature. And arranged. In addition, human resources, intellectual competence, social competence, and spiritual competency are analyz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what the Christian talents and core competencies should be in the literature and what the Christian schools have suggested. The results are categorized into four domains. Key word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hristian Education, Competence, Core Competence 4차 산업혁명시대 인재상과 기독교교육의 방향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김 도 균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독교교육학과 국문초록 4차 산업혁명이라는 거대한 파도가 우리 사회 전반에 밀려오고 있다. 거대한 파도가 되어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은 초연결(Hyper-connectivity)과 초지능(Hyper-intelligence)을 그 특징으로 하는데, 범위와 속도에 있어 이전 시대에 비견할 수 없을 정도로 확장되어 급속하게 우리 사회 모든 영역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이 된다. 그래서 세계 여러 나라들은 급속한 변화에 적응하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별히 교육의 영역은 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인재를 예측하고, 양육하기 위한 교육환경과 교육방법을 고민하며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의 준비 상황은 미흡한 수준이며, 교회도 마찬가지 상황이다. 교육의 영역에서 세계 각 나라들이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은 4차 산업혁명시대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나갈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과 필요한 역량이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를 어떻게 개발시킬 것인가에 집중하고 있다. 미국은 인지적 역량뿐만 아니라 비인지적 역량 개발을 통한 창의인성교육을 강조하고 있고, 싱가포르는 사회통합과 시민의식 함양에 초점을 두고 인성 시민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뉴질랜드 역시 인지적, 비인지적 역량 개발을 통해 창의인성교육에 강조점을 두고 교육개혁을 추진중이며, 핀란드는 혁신에 대한 사항을 핵심적으로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국가급 연구 기관들이 미래 사회를 선도해 나갈 인재상을 규정하고 이들에게 필요한 핵심역량과 역량 개발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과정 개편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일반교육의 영역은 ‘변혁의 시대(The Age of Vortex)’인 4차 산업혁명시대의 급속한 변화에 보조를 맞추어 다방면의 변화와 발전을 도모하고 있는 상황에 교회와 기독교학교를 포함한 모든 기독교교육의 현장에서, 기독교교육의 내용과 형식을 어떻게 새로이 디자인해야 하며 그 방향성을 어떻게 설정해야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매우 강하다. 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과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와 준비에 있어 일반교육이 기독교교육 보다 분명 한 발 앞서 있다. 하지만 일반교육을 통해 양육하고자 하는 인재는, 가치중립적인 일반교육의 한계로 말미암아 가치관과 세계관에 있어 부족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4차 산업혁명시대는 다양한 기술의 발전 때문에 진보된 기술을 현실에 적용할 때 생기는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질문들에 명확한 답을 내어 놓을 인재를 요구한다. 이로 볼 때 성경적 세계관과 가치관을 중심으로 교육하는 기독교교육은 이러한 인재상의 요구에 명확한 대답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특징은 무엇이며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인재상과 핵심역량은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 연구기관, 정부, 기업, 학자들이 제시하고 인재상과 핵심역량을 문헌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그리고 기독교적 인재상과 핵심역량은 어떤 것들이 되어야 하는지를 학자들이 문헌을 통하여 제시한 것과 기독교학교들이 제시한 것, 각 교단의 교육원이 제시한 것들을 비교 분석하여 인성적 역량, 지적 역량, 사회적 역량, 영적 역량 등의 4가지 영역으로 범주화 하여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