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음악전공 대학생들을 위한 중국 전통음악 교육체계 개선방안 연구

        소영위 계명대학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Through full analysis and research of Chinese Traditional Music Education’s current situation, curriculum system, teaching modes, and teaching cases in common universities and colleges,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construction of curriculum system and reform of teaching modes of traditional music.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research is divided into two phases: First, it aims to establish a rationally and clearly structured curriculum system which can satisfy the aesthetic needs of students of different specialties; Second, it aims to find out the problems of curriculum settings, contents, management and teaching process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and put forward feasible plans and improvement strategies. The specific research content is as follows: Firstly, explore the problems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by questionnaire surveys about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non-music majors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Secondly,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acquire a full and multi-dimension understanding about college students’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Chinese traditional music. The result indicates that college students show little interest in traditional musical culture in music educational activities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and the teaching contents are mainly about western musical system. As educators of university music education,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usion of traditional music and art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constantly explore new ways to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continually improve the quality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Thirdly, after analyzing college students’ aesthetic value and attitudes toward traditional musical culture,the experience degree and expectation of the course, and the teaching practice of traditional music in schools, several main reasons are finally concluded: (1) the influences of Europe-centralism still exist; (2)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of cultural identity needs to be strengthened; (3) utilitarian is prominent i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4) the construction of teaching textbooks needs to be perfected; (5) traditional music education lacks of innovation impetus. Therefore, in terms of these problems, the specific improvement plans and strategies are as follows: (1) change people’s concept of traditional musical culture; (2) establish college students’ cultural confidence and strengthen their recognition of cultural identity; (3) turn back to ultimate source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4) perfect traditional music educational curriculum system and reinforce the construction of traditional musical culture on campus; (5) improve teachers’ appreciation ability of traditional culture and intensify cultural ecological consciousness in art education. Finally, combining the teaching case “ A Beginners’ Guide to Chinese Traditional Music”, this research analyzes the specific teaching problems. The teaching practice shows that hybrid course teaching can effectively improve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intensify interaction among teachers and students, encourage more college students to love study and be willing to learn Chinese traditional music, then achieve the goal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t is mainly reflected in the following points: (1) it helps promote students’ initiative of learn traditional music, improve their learning experience, thus creates a good atmosphere among teachers and students; (2) it helps enhance students’ comprehension and command of knowledge, knowledge transfer and knowledge consolidation; (3) it helps foster students’ autonomous learning ability, capacity of independent thinking and the ability of using learned knowledge to solve problems. Thus it can be seen that something about traditional musical culture are missing in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olleges. For most non-music majors, traditional musical culture only holds small share in optional courses, so they can not deeply understand the humanistic spirit of Chinese traditional musical culture. So,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hould incorporate teaching practice. (1) University and college’s traditional music teaching should be based on modern educational system, further improve their traditional music curriculum system, and innovate traditional music courses. (2) Innovate the traditional teaching modes and reinforce teaching practice. (3) Innovate traditional music teaching forms and methods and carry out online music education on internet teaching platforms. Use more visual and picturesque ways to present traditional music and interpret the humanistic spirit of Chinese traditional music. (4) Establish the concept of the amalgamation of multifold subjects. First, modern teaching methods should be reinforced, teaching concept be renewed, teaching materials and contents be integrated, and interdisciplinary and cross-professional course groups about traditional music, art, literature, drama and psychology be established to continually broaden students’ horizon. Second, combine relative knowledge and research methods of psychology of music and dig deep into the positive influence of traditional music on college students’ emotional experience. (5) Fuse together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aesthetic, and remodel Chinese traditional music’s modern aesthetic means of expression to deepen comprehension of the cultural connotation and traits of Chinese traditional music.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대학의 중국 전통음악 교육현황, 과정체계, 수업모델, 그리고 수업사례 등에 대한 분석과 연구를 통하여 전통음악 교육과정체계의 구축과 수업모델의 개혁을 시도해 보고자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단계로 나누어 진행 되었다. 그 하나는 교육기능, 교육목적, 심미적 요구, 과정체계, 수업실시 등 방면에서 일반대학 전통음악 교육의 효율을 제고하고, 음악전공 학생들의 다양한 심미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합리적인 교육과정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현 대학교육에서 전통음악관련 과정개설, 과정내용, 관리, 그리고 강의와 수업과정에 존재하고 있는 문제들을 찾아내어 실현 가능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대학의 비음악전공 학생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일반대학 전통음악 교육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수업개혁의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둘째, 개방형 인터뷰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중국 전통음악에 대한 인식과 수용 실태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조사 결과, 대학 음악수업에서 대학생들은 전통음악문화에 별로 흥미를 느끼지 않고 있었으며, 음악교육의 내용은 여전히 서양음악 위주였다. 대학에서 전통음악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 사람으로서 전통음악과 대학 예술교육의 융합을 통하여 전통음악 교육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길을 모색하고 일반대학 전통음악 교육의 질적 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보고자 하였다. 셋째, 대학생들의 심미적 가치관과 전통음악 문화에 대한 태도, 수업에서의 체험감, 기대치, 그리고 전통음악 강의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현 일반대학에서의 전통음악 교육에서 다음 몇 가지 문제점들을 발견하였다. (1) 음악교육에서 유럽 중심론의 영향이 여전히 남아있다. (2) 현 대학생들의 문화적인 정체성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3) 전통음악 교육분야에서 공리적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4) 효과적인 전통음악 교육을 위한 교재의 편찬이 부족하다. (5) 전통음악 교육 혁신의 원동력이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로서는 (1) 전통음악문화에 대한 관념의 전환이 필요하다. (2) 대학생들의 문화적인 자신감과 문화적인 정체성을 증대시켜야 한다. (3) 전통음악 교육 원래의 정신과 취지로 되돌아가야 한다. (4) 전통음악 교육체계를 완비하고 대학 캠퍼스에서 활발한 전통문화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5) 교수들의 전통문화 소양을 제고하고 예술교육에서 문화생태적인 관념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본 연구는 필자가 개설한 국악사랑 강좌를 전통음악 강좌의 사례로서 분석하였다. 동 강좌는 온·오프라인 혼합형 강좌가 학생들의 강의실 수업참여도를 효과적으로 높여 주고, 교수와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강화시켜 줌으로써 더 많은 대학생들이 전통음악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으며, 주도적으로 중국 전통음악을 공부하게 되었다. 이로써 전통음악 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동 강좌를 통하여 (1) 학생들의 전통음악 학습에 대한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유발하고 음악수업에서의 체험감을 증대시켜 훌륭한 수업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었다. (2) 학생들의 전통음악에 대한 이해와 지식전달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3) 학생들의 주도적 학습능력과 독립적인 사고능력, 그리고 지식을 활용한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할 수 있었다. 현재의 대학 음악교육에서는 전통음악 문화에 대한 교육과정이 결여 되어 있거나 미흡하여 대부분의 비음악전공 학생들이 중국 전통음악문화의 인문정신을 이해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이러한 실태를 바탕으로 (1) 대학 전통음악 교육은 현대교육체계의 기초위에 대학 전통음악 교육과정 체계를 완비하고 전통음악 교육과정을 혁신해야 한다. (2) 전통음악 수업모델을 혁신하여 수업효율을 제고시켜야 한다. (3) 전통음악 강의형식과 방법을 혁신하여 인터넷을 활용한 온라인 강좌개설을 모색해야 한다. 즉 온라인 강좌를 통하여 더욱 직관적이고 형상화된 방식으로 전통음악을 보여주면서 중국 전통음악의 인문정신을 해석해 주어야 한다. (4) 학제간 융합을 통하여 현대적인 교수법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한편으로는 교육이념을 쇄신하고, 전통음악과 미술, 문학, 연극, 심리학 등의 학문분야의 교육자원을 통합하여 학생들의 시야를 넓혀주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음악과 심리학을 연계시킨 연구가 필요하다. 이는 전통음악이 대학생들의 정서적 체험감 향상에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를 밝혀 줄 수 있을 것이다. (5) 전통문화와 현대적인 심미관의 융합을 통하여 중국 전통음악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표현함으로써 중국 전통음악문화의 함의와 문화적인 특징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노인들의 식품섭취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제5기 1차년도(2010)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김은미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the elderly and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them to provide basic data for dietary improvement of the elderly. Data from a total of 1,172 elderly subjects (all over 65 years old) from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Ⅴ-1)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result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es of food consumption frequency measure, 7 factors were extracted and each factor was named as 'fruits', 'foods for Korean style meal', 'alcohols', 'instant foods', 'carbohydrate snacks', 'vegetables' and 'legumes and mixed grains', respectively. Food consumption pattern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food consumption frequency using cluster analysis. Cluster 4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ood consumption frequency and cluster 3 tended to be higher in overall food consumption frequency, whereas alcohol consumption frequency was lower than other clusters. Cluster 2 was characterized by generally low food consumption frequency but alcohol consumption frequency was significantly higher. Cluster 1 showed generally low food consumption frequency, however, the consumption frequency of 'legumes and mixed grains' was higher than cluster 2. Overall, even 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sub-groups, the female subjects had higher consumption frequencies of 'fruits (p<0.001)' and 'legumes and mixed grains (p<0.05)', and low 'alcohols (p<0.001)' consumption frequency. Although food consumption frequency of the rural elderly was lower than the urban elderly, the rural elderly who ate out sometimes, and had meals with family, showed higher food consumption frequency of the 'fruits' and 'legumes and mixed grains'. In conclusion, the food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derly was affected by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town, economic status, education level, family type, and eating out frequency. It is considered that proper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cope with nutrition problems for each elderly segmentation. 본 연구는 전국규모의 표본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년도(2010)자료를 이용하여 만 65세 이상 노인 1,172명을 대상으로 식품섭취 패턴을 파악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분석하여 노인 식생활 지도와 건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식품섭취 빈도변수를 이용하여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7개의 요인이 선정되었으며, ‘과일류’, ‘한식류’, ‘주류’, ‘인스턴트 식품류’, ‘탄수화물 간식류’, ‘채소류’, ‘두류 및 잡곡류’로 명명하였다. 식품군별 섭취빈도에 따라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군집이 추출되었고, 모든 식품군에 대해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각 식품군 p<0.001). 군집 4는 전반적인 식품섭취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군집 3은 식품섭취 빈도가 높은 경향이었지만, 주류의 섭취빈도는 낮게 나타났다. 군집 2는 식품섭취 빈도가 전반적으로 낮았지만 주류의 섭취빈도는 높게 나타났고, 군집 1은 대체적으로 식품류의 섭취빈도는 낮았지만 군집 2보다 두류 및 잡곡류의 섭취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식품군별 식품섭취 빈도는 대체적으로 대상자의 연령이 낮고, 교육 수준과 경제적 수준이 높으며 다양한 세대와 어울려 거주하는 사람들이 높게 나타났고, 세부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여성이 과일류(p<0.001), 두류 및 잡곡류(p<0.05)의 섭취는 높고 주류(p<0.001) 섭취는 낮아 남성보다 건강한 식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시지역 대상자들에 비해 농촌지역 대상자들의 식품섭취 빈도가 전반적으로 낮았으나, 농촌지역 대상자들 중 외식을 가끔하는 사람들과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하는 사람들이 채소류(p<0.05), 두류 및 잡곡류(p<0.05) 섭취빈도가 높아 상대적으로 건강한 식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성별, 나이, 거주지역, 소득 수준, 교육 수준, 세대 등에 따라 노인들의 식품섭취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노인들의 식생활지도에 있어 이와 같은 세부집단별 영양문제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영양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겠다.

      •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 영향요인

        곽원진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간호활동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환자안전간호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21년 2월 22일부터 8월 28일까지 진행되었고, 3개 권역응급의료센터와 3개 지역응급의료센터, 2개 지역응급의료시설에서 근무하는 총 8개 병원의 응급실 간호사 165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수행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안전통제감은 5점 만점에 평균 3.65점이며, 환자안전역량은 5점 만점에 평균 3.72점, 환자안전문화는 5점 만점에 평균 3.53점, 환자안전간호활동은 5점 만점에 평균 3.96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 및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간호활동은 연령(F=15.92, p<.001), 결혼 여부(t=-4.49, p<.001), 학력(F=4.25, p=.016), 총 근무경력(F=10.23, p<.001), 현 부서 근무경력(F=3.66, p=.007), 환자안전 관련 교육 경험(F=9.22, p<.001), 환자안전 관련 교육 빈도(F=2.96, p=.034), 환자안전 관련 활동경험(t=-2.44, p=.016), 환자안전사고 보고 경험(F=3.21, p=.01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환자안전간호활동은 안전통제감(r=.67, p<.001), 환자안전역량(r=.75, p<.001), 환자안전문화(r=.65,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안전통제감(β=.24, p<.001), 환자안전지식(β=.27, p<.001), 환자안전태도(β=.23, p<.001), 환자안전 관련 교육 경험(11회 이상)(β=.18, p<.001), 환자안전 정책/절차(β=.17, p=.005), 환자안전 관련 교육 빈도(1개월마다 교육시행)(β=.18, p<.001), 결혼여부(기혼)(β=.13, p=.006), 환자안전 관련 교육 빈도(6개월마다 교육시행)(β=.12, p=.016)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69%로 나타났다(F=45.75, p<.001).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안전통제감과 환자안전지식을 증진시키고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전략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조직 차원에서 환자안전문화의 정착을 위한 정책/절차적인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fluencing factors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was found through a survey of emergency room nurses. Based on the result, we searched for ways to improv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22 February 2021 to 28 August 2021, analyzing data collected from 165 emergency room nurses from eight hospitals: three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three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s, and two local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SPSS Statistics 23.0 statistical analysis software to run various statistical tests—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for participant responses were: the mean score for safety control was 3.65 out of 5 maximum possible points, the mean score for patient safety competency was 3.72 out of 5 maximum possible points, the mean score for patient safety culture was 3.53 out of 5 maximum possible points, and the mean score for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was 3.96 out of 5 maximum possible points. Seco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consider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F=15.92, p<.001), marital status (t=-4.49, p<.001), education level (F=4.25, p=.016), total work experience (F=10.23, p<.001), work experience at the current department (F=3.66, p=.007), patient safety-related training experience (F=9.22, p<.001), frequency of patient safety-related training (F=2.96, p=.034), experience in patient safety-related activities (t=-2.44, p=.016), and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ing (F=3.21, p=.015). Thir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afety control (r=.67, p<.001), patient safety competency (r=.75, p<.001), and patient safety culture (r=.65, p<.001). Fourth,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mong emergency room nurses were identified to be safety control (β=.24, p<.001), patient safety knowledge (β=.27, p<.001), patient safety attitude (β=.23, p<.001), patient safety-related training experience (more than eleven sessions) (β=.18, p<.001), patient safety policy/procedures (β=.17, p=.005), frequency of patient safety-related training (monthly training sessions) (β=.18, p<.001), marital status (married) (β=.13, p=.006), and frequency of patient safety-related training (semi-annual training sessions) (β=.12, p=.016). These factors had an explanatory power of 69% (F=45.75, p<.00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hould improve safety control and patient safety knowledge to improv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emergency room nurses.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to improve patient safety awareness are needed. Also, should make policy/procedural efforts to establish a patient safety cultur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ogether.

      •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조혈모세포이식센터에서 시행한 첫 2년간의 이식 성적 분석

        장원영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is one of the important treatment modalities in the treatment of hematologic disease. Dong-San Medical Center have opened an HSCT center after approval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HIRA) on the December 2010. The researcher reviewed experience of the first 2 years of the HSCT center from 2011 to 2012 at Dong-San Medical Center, Daegu. 23 cases of HSCT were performed in that period, and the sourece of stem cells were 10 allogeneic, 12 autologous, and 1 cord blood. The median age of allogeneic and autologous recipients was 45 years and 54 years, respectively. Median follow-up duration was 22 months. Over 2 ⅹ 106/kg CD34 positive cells were infused to all patients. 21 cases (87%) were engrafted successfully. Transplant-related mortality was 18% (N=4). Other causes of deaths were disease relapse and infection including septic shock. Progression free survival and overall survival at median (22months) follow-up was 64.6% and 59.8%, respectively. At present, HSCT is a standard procedure for the cure of hematologic disease. Although this center started HSCT later than others, its results are comparable to already set up HSCT hospitals in the limited pool of patients, and continued effort can overcome difficulties. 조혈모세포이식은 혈액 질환과 고형암에서 중요한 치료법으로 부각되어 있다.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2010년 12월 조혈모세포이식 센터 승인을 받았고 2011년 1월부터 2년간 시행한 이식 환자들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총 23예의 이식이 이루어졌고, 그 중 10예가 동종이식, 12예가 자가이식, 1예는 제대혈이식이었다. 이식 대상 질병으로는 급성 골수구성 백혈병,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중증 재생불량빈혈, 골수이형성증후군, 다발성 골수종, 비호지킨 림프종, 호지킨병과 고형암 중 신경내분비종양이었다. 동종이식 및 자가이식 환자의 중간 나이는 각각 45세, 54세였고 추적관찰 기간의 중간값은 22개월이었다. 모든 이식 환자에서 최소 2 ⅹ 106/kg 이상의 CD34 세포를 투여하였고 총 22건에서 생착에 성공하였다. 이식 후 주요 합병증은 구내염, 감염, 급성 이식편대 숙주병 등이었고 이식 관련 사망률은 18%(4명)이었다. 무병 생존율은 64.6%, 전체 생존율은 59.8% 이었다. 근래 혈액질환에서 조혈모세포 이식은 표준치료로 시행되고 있으며 이식의 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본원 조혈모세포 이식센터는 늦게 이식을 시작한 불리한 환경에서도 타기관과 비교하여 전체생존율, 무병생존율 및 재발율 등이 뒤처지지 않았고 이식관련사망 및 그 외 합병증을 감소시켜 나간다면 보다 많은 혈액질환 환자들에게 근본적인 치료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조혈모세포 이식 치료법의 발전과 이식 관련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유전자변형생물체(GMO) 상품 무역에 관한 통상법적 쟁점 : EC-Biotech 사건을 중심으로

        김은미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유전자변형생물체(Genetically Modifed Oranisms: 이하 ‘GMO’)는 유전자공학의 발달로 인하여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개념이다. GMO 상품은 이미 우리생활 깊숙한 곳에 자리잡고 있으며 GMO 상품무역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GMO 상품에 적용 가능한 협정은 WTO 협정의 SPS 협정, TBT 협정, GATT 1994 협정 등이 있다. 또한 GMO 상품의 국가간 이동을 규제하는 다자간환경협정인 카르타헤나 의정서(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가 있다. 본 논문은 GMO 상품무역의 법적 쟁점을 살펴보기 위해서 GMO 상품무역의 분쟁을 최초로 다룬 WTO 분쟁해결기관(DSB)의 EC-Biotech 사건을 분석하였다. 이에 본 사건은 GMO 상품관련 분쟁발생시 조화로운 해결을 위한 지침서가 되어줄 것이며, GMO 상품의 무역규제 관한 국내법률 운영하는 국가들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EC-Biotech 사건은 EC가 GMO 상품의 유통승인과정의 지연과 몇몇 개별회원국의 GMO 상품 긴급수입제한조치(safegaurd)를 취한데 대하여 미국, 캐나다, 아르헨티나가 제소한 사건으로 패널은 EC의 유통승인절차의 부당한지연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또한 긴급수입제한조치에 대하여 패널은 SPS 협정 제5조 1항과, 7항에 위배된다고 판단하였다. EC-Biotech 사건의 판단과정에서 주목할 점은 다자간환경협약인(MEAs) 카르타헤나 의정서의 WTO 관계여부이다. 이미 국제사회에서는 WTO 협정과 카르타헤나 의정서가 서로 상호보완적 관계임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다. 현재 WTO 협정과 MEAs의 관계정립문제에 관한 논의가 계속되었으며, WTO DDA 환경협상에서 논의되고 있다. The development of science has created a new concept termed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 products are already used in our lives, and GMO products trade figures are increasing steadily. GMO products can be applied to the WTO SPS Agreement, TBT Agreement, and GATT 1994 agreement. In addition, the Cartagena Protocol regulates GMOs in regard to the movement of GMO products between nations.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EC-Biotech case and we find legal issues of trade in GMO products. EC-Biotech is the first case for the WTO dispute settlement body. Therefore, this case will establish guidelines for GMO products disputes, and will affect the operation of domestic law when other nations establish new law for GMO. EC has been delayed in the GMO approval process, and some EC individual members are have taken actions to safeguard rules for GMO products. So,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Argentina have submitted DSB. The panel has confirmed the presence of the injustice of delay. In addition, safeguard measures are violations against SPS Agreement, article 5.1 and 5.7. The EC-Biotech case issued relations between MEAs of the Cartagena Protocol and W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lready has awareness about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the WTO agreements and the Cartagena Protocol to each other. Today, the relationship between WTO agreements and MEAs gives rise to continued discussion on the issue, and WTO DDA negotiations on the environment are also discussed.

      • 한·중 부정문의 번역 연구 : 『아프니까 청춘이다』를 중심으로

        왕곤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아프니까 청춘이다』의 원문과 중국어 번역본에서 부정문을 예문으로 사용하여 단형부정문, 장형부정문, 특수부정문으로 나누어 비교하여 분석했으며, 부정사가 수식하는 주성분을 술어와 관형어로, 또는 수식하는 성분을 동사와 형용사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아프니까 청춘이다』의 중국어번역본 중에 나오는 오역 유형에 대해 분석하고 수정했다. 아래는 본 논문에서 논의한 내용을 간략하게 서술한 것이다. 1. 기존의 연구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고 문제점을 제시하여, 문학작품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이 번역에 있어 큰 의미가 있다는 것을 제시했다. 2. 단형부정문, 장형부정문, 특수부정문으로 나누어 비교하여 분석했다. 단형부정문과 장형부정문은 문장 시제와 수식하는 성분의 제약을 받아 그와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도 다르다. 단형부정문의 관점은 다음과 같다. ‘안’ 부정문과 ‘못’ 부정문은 술어 위치인 현재와 미래시제의 동사를 부정할 때는 ‘不’로 하고 과거를 부정할 때는 일반적으로 ‘没(有)’로 번역하는데, 주어의 의지를 강조하면 ‘不’로 번역해야 한다. 관형어 동사 부분의 부정은 상대시제에 제약을 받기 때문에 문장 술어의 시제보다 과거이면 반드시 ‘没(有)’로 번역해야 하는 것이다. ‘안’부정문의 형용사 관형어 부분의 부정은 형용사 술어 부분의 부정과 같이 시제와 상관없이 ‘不’로 번역하는 것이다. ‘못’ 부정문의 관형어 부분 부정은 중국어 ‘不’과 대응하여 번역할 수 있고, 또는 동사 뒤에 보어를 더해 동사 보어 표현(動補短語)으로 번역할 수도 있다. 장형부정문의 관점은 다음과 같다. ‘-지 않다’부정문과 ‘-지 못하다’부정문은 동사 술어를 부정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현재와 미래를 부정할 때는 ‘不’로 하고 과거를 부정할 때는 ‘没(有)’로 번역하는데, 주어의 의지를 강조하면 ‘不’로 번역해야 한다. 동사 관형어 부분의 부정은 술어 부분의 부정과 같다. 또한 형용사 술어와 형용사 관형어를 부정할 때 시제와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형용사를 부정하는 ‘不’로 번역한다. 그러나 형용사 부정은 비교문장에 있을 때 중국어 ‘没(有)’로 번역해도 무관하다. ‘-지 말다’는 명령문과 청유문에 쓰이며 어떤 행위의 금지나 청유를 나타내는 표현이기 때문에 그와 대응하는 금지와 청유의 뜻을 가진 ‘不要’,‘別’로 번역한다. 특수부정문 부분은 ‘아니다’부정문, ‘없다’부정문, ‘모르다’부정문 또는 의역, 반어문, 이중부정문에 대해 논의했다. ‘아니다’부정문을 번역할 때는 ‘不是’로 번역하는데 그 위치가 중요하다. 만약 부정하는 부분은 주어가 동사에서 변화된 것이고, 또 동사와 그의 논항이 모두 함께 주어로 될 때 ‘不是’는 문장의 제일 앞에 놓아야 한다. 만약 부정하는 목적어가 체언 구조이면 체언 구조 앞에 놓아야 한다. ‘없다’는 ‘있다’의 반어라고 하며 수식하는 부분은 명사이기 때문에 ‘没(有)’로 번역해야 한다. 또한 ‘없다’는 ‘毫無’, ‘毫不’, ‘缺乏’ 등 ‘没(有)’와 같은 의미를 가진 표현으로 번역할 수도 있다. ‘없다’가 관형어를 수식할 때는 술어를 수식하는 경우와 같다. ‘모르다’는 체언 뒤에 쓰이며 관형어 부정과 술어 부분의 부정은 모두 ‘不知道’로 번역 할 수 있다. 또한 ‘모르다’는 추측의 의미가 있기도 하다. 이때 중국어 표현인 ‘也許’,‘可能’으로 번역한다. 부정문 의역의 경우, 원문은 부정이지만 그와 대응하는 긍정표현을 찾아 번역할 수 있고 원문의 뜻을 벗어나지 않는 한 부정의미를 가지는 동사로 번역해도 된다. 반어문은 겉으로 드러나는 의미와 실제 의미가 정반대이기 때문에 한국어 반어문을 중국어 긍정문으로 번역할 수 있다. 이중 부정은 부정을 다시 부정하는 뜻이며 긍정의 뜻을 나타내는 어감을 강조하는 표현이기 때문에 한국어 이중부정표현을 중국어 긍정문으로 번역할 수 있다. 3. 번역할 때는 부정사 부분이 빠지거나 원문 문장을 함부로 빠뜨리면 원문의 뜻을 정확히 나타내지 못하거나 원문의 의미에서 벗어나기 쉽다. 또한 미묘한 뉘앙스의 차이가 있어서 오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부분에서 󰡔아프니까 청춘이다󰡕의 중국어번역본 중에 나오는 오역 유형을 잘못된 의역과 오역, 부정사가 빠진 부분, 문장 전체가 빠진 부분을 나누어 분석하고 수정했다. This thesis is comparison and analysis on negative sentences in the original text of 『It hurts being in the youth』 and Chinese translation text by dividing into a short negative sentence, a long negative sentence, and a special negative sentence. I classified the main component that the infinitive modifies as predicative and pronominal or the modifying component as the verb and adjective. Moreover, I analyzed mistranslations types of 『It hurts being in the youth』in the Chinese translation and corrected them.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discussion in the thesis. 1. It briefly introduced existing research, suggested problems, and offered the meaning of research on literature for translation. 2. I classified into short negative sentences, long negative sentences, and special negative sentences for comparison and analysis. The short negative sentence and the long negative sentence had limits in the sentence tense and component of modifiers so that corresponding Chinese expressions are also different. The standpoint of the short negative sentence is as follows. ‘안’ and ‘못’ negative sentence are translated as ‘不’ when negating the present and future tense of predicate verb and ‘没(有)’ when negating the past tense. It should be translated as ‘不’ when emphasizing the will of the subject. Negation of the predicate verb limits the opponent tense so that it must be translated as ‘没(有)’ if it is more past than the tense of predicate of the sentence. Negation of the adjective pronominal in ‘안’ negative sentence should be translated as ‘不’ regardless the tense like negation of adjective predicate part. Negation of the pronominal part in a ‘못’ negative sentence can be translated corresponding with ‘不’ or it can be translated as verb complement expression (動補短語) by adding a complement in the end. The standpoint of the long negative sentence is as follows. ‘-지 않다’ and ‘-지 못하다’ negative sentences are translated as ‘不’ when negating the present and future of verb predicative and ‘没(有)’ when negating the past. It should be translated as ‘不’ if emphasizing the will of the subject. Negation of the verb pronominal part is the same as negation of the predicative part. Moreover, negation of adjective predicative and pronominal are translated as ‘不’ to negate the adjective regardless the tense. However, adjective negation may be translated as ‘没(有)’ if there’s comparison sentence. ‘-지 말다’ is used for imperative and inviting sentences and they express prohibition or invitation of some action so they are translated as ‘不要’ and ‘別’ which mean prohibition and invitation. Special negative sentences are about ‘아니다’ and ‘없다’ negative sentences, ‘모르다’ negative sentence or liberal translation, ironic sentences, and double negative sentences. The ‘아니다’ negative sentence is translated as ‘不是’ and the position is important. If the negative part is changed from subject to verb and the verb and its clause are both in the subject, ‘不是’ should come in front of the sentence. If the negating object has substantive structure, it should come before the substantive structure. ‘없다’ is the reverse word of ‘있다’ and the modifying part is a noun so that it should be translated as ‘没(有)’. Moreover, ‘없다’ can be translated with the words that have meaning of ‘没(有)’ such as ‘毫無’, ‘毫不’, ‘缺乏’. When ‘없다’ modifies a pronominal, it is the same as modifying predicative. Furthermore, ‘모르다’ has the meaning of presumption. It is translated as ‘也許’ and ‘可能’. In the case of liberal translation of negative sentences, the negative sentence can be translated as a corresponding positive expression, or it may be translated as a verb with negative meaning within the meaning of original text. The ironic sentence has the opposite actual meaning from the external meaning. Therefore, the Korean ironic sentence can be translated as a Chinese positive sentence. A Double negative sentence negates the negative sentence again. It emphasizes the nuance of positive meaning. Thus, a Korean double negative sentence can be translated as a Chinese positive sentence. 3. Omitting the infinitive or some parts of the original sentence in translation can’t accurately express the original meaning or the original text. Moreover, it can be said as a mistranslation due to a delicate nuance difference. Thus, mistranslation types in the Chinese translation of 󰡔It hurts being in the youth󰡕 are divided as the part with infinitive omission and the part with the whole sentence omitted, then I analyzed and corrected them.

      •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최진주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problem solving skill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for nursing students, and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f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is study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from March 11, 2019 to March 26, 2019 and 209 nursing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instruments were used for the study were Communication Competence, Problem Solving Skills,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mean valu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58.65±6.73 out of 75, problem solving skills was 163.32±17.63 out of 225,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was 231.83±29.19 out of 33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terms of health condition(F=20.16, p<.001) and satisfaction about the major (F=13.28, p<.001).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r=.60, p<.001); betwee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problem solving skills(r=.34, p<.001); betwee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problem recognition(r=.25, p<.001); betwee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analytic ability(r=.24, p<.001); betwee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widespread thinking(r=.21, p=.003); betwee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decision making(r=.26, p<.001); betwee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planning ability(r=.21, p=.003); betwee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acting and taking risks skills(r=.36, p<.001); betwee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evaluation skills(r=.17, p=.016); betwee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feedback skills(r=.36, p<.001).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were communication competence(β=.41, p<.001), satisfaction about the major(β=.31, p<.001), health condition(β=.24, p<.001), feedback skills(β=.16, p=.019), acting and taking risks skills(β=.15, p=.038), and evaluation skills(β=-.14, p=.034), explaining 46.8% of the variance in the regression model.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satisfaction about the major, health condition, feedback skills, acting and taking risks skills of nursing students manifested the lower the evaluation skills of nursing students and the higher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this regard, in order to enhance the college life adaptation of nursing students, it is required to provide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to strengthen their communication competence, satisfaction about the major, and their health status. In addition, it is needed to develop program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feedback skills and acting and taking risk skills to enhance the problem-solving skil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develop the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for nursing student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고,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19년 3월 11일부터 2019년 3월 26일까지 D시에 위치한 2개 대학 1,2,3,4학년 간호대학생 2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대학생활적응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제공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은 총점 75점에 평균 58.65±6.73점, 문제해결능력은 총점 225점에 평균 163.32±17.63점, 대학생활적응은 총점 335점에 평균 231.83±29.19점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건강상태(F=20.16, p<.001), 전공만족도(F=13.28,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의사소통능력(r=.60, p<.001), 문제해결능력(r=.34, p<.001),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인인 문제인식(r=.25, p<.001), 분석능력(r=.24, p<.001), 확산적사고(r=.21, p=.003), 의사결정(r=.26, p<.001), 기획력(r=.21, p=.003), 실행과 모험 감수(r=.36, p<.001), 평가(r=.17, p=.016), 피드백(r=.36,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능력(β=.41, p<.001), 전공만족도(β=.31, p<.001), 건강상태(β=.24, p<.001), 피드백(β=.16, p=.019), 실행과 모험 감수(β=.15, p=.038), 평가(β=-.14, p=.034)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전체 설명력은 46.8%이었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전공만족도, 건강상태,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인 중 피드백, 실행과 모험 감수 능력이 높을수록, 평가 능력이 낮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의사소통능력, 전공만족도, 건강상태를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인 중 중 피드백, 실행과 모험 감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이며 학생 평가 방식의 개선과 다양화가 필요하다.

      • 간호사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이지수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of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nursing staffing strategies. 211 married nurses with preschoolers, working in 10 hospitals in Gyeongbuk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0 to March 30, 2012.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arry out this survey to measure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SPSS/Win 19.0 program and the values were calculated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parenting stress level of the participants was 3.13 on a five-point scale. The average social support level of the participants was 3.62 on a five-point scale. The average turnover intention of the participants was 3.45 on a five-point scale. 2. The average parenting stress level of the participants by general characteristic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number of children (F=6.95, p=.001). 3. The average turnover intention of the participants by general characteristic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age (F=2.70, p=.047) and the number of children (F=3.74, p=.025). 4. The parenting stress of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urnover intention (r=.41, p<.001). The social support of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turnover intention (r=-.36, p<.001). This study indicates that if parenting stress decreases, the turnover intention should decrease, and if social support increases, the turnover intention should decrease.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effective nursing staffing strategies for decreasing parenting stress and increasing social support are needed and the specific staff management policy for the nurses who have large number of children was recommended. 본 연구는 간호사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경북 지역에 소재한 200병상 이상 규모의 10개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중 한명 이상의 취학 전 자녀가 있는 기혼 간호사 211명을 대상으로, 2012년 3월 10일부터 3월 30일 사이에 자료를 수집 하였다. 연구도구는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이직의도를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양육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평균 3.13점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3.62점, 이직의도는 3.45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는 자녀수(F=6.95, p=.001) 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는 연령(F=2.70, p=.047)과 자녀수(F=3.74, p=.025) 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양육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41, p<.001)가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r=-.36,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 양육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사회적 지지가 증가하면 간호사의 이직의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 스트레스를 낮추고, 사회적 지지를 높여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하여, 효과적인 간호 인사관리 전략을 수립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며 자녀수가 많은 간호사를 배려하여 이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간호인력 정책에 대한 연구를 실시해야 할 것이다.

      • CCTV와 교통카드 자료를 이용한 버스정차시간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소재훈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대도시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교통 혼잡은 교통시설에 대한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에 기인하며 증가하는 교통수요에 대한 효과적 대처를 위해서는 시내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의 수단분담률 제고가 필요한데 특히 시내버스의 통행시간 단축과 같은 서비스질의 개선이 필요하다. 시내버스의 통행시간은 주행시간, 정차시간, 교차로 지체시간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대도시 지역에서는 정류소 정차시간이 지체의 가장 큰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어 정차시간 단축을 위해서는 버스의 정차특성 및 승객 승하차 특성 영향요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CTV 자료화면을 활용하여 차량제원에 따른 정차시간 모형 도출과 승객 수에 따른 정차시간 특성 분석, 그리고 이용승객 특성이 버스정차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정차시간 모형은 버스유형에 따라 일반버스, 좌석버스, 저상버스로 승하차 시간은 승차시간이 큰 경우와 하차시간이 큰 경우, 또한 요금지불형태에 따라 분류한 후 회귀분석모형을 적용하여 도출하였다. 정차시간은 저상버스가 가장 짧고 좌석버스가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Dead Time은 하차문의 폭이 큰 저상버스가 다른 차량에 비해 길게 나타났다. 승하차 인원이 정차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승하차 인원이 많을수록 승객 1인당 Dead Time이 단축되어 승하차시간은 단축되는 반면 대기승객의 증가로 인한 승객들 간 간섭 증가로 정차시간이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용승객 특성이 정차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승차시간은 시장이 가장 짧고 병원, 주거지역, 학교의 순으로 길게 나타났으며, 하차시간은 병원, 시장, 주거지역, 학교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승객의 방문지 특성이 정차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시간대 조사된 CCTV 자료와 BMS 자료 간의 정확성 검증을 위해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조사차량에 대하여 유의수준 5%수준에서 평균승차시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BMS 자료만으로도 버스승차시간 모형 개발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차시간 감소를 통한 시내버스의 정시성 향상 및 승객 이용편의증진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It is widely accepted that traffic congestion is usually caused by the unbalance between transport supply and demand and an effective handling strategy would be the increase of mode share of public transport, which requires an upgrade of bus service quality such as travel time reduction. Bus travel time consists of driving time, dwell time and intersection delay time and dwell time at a bus stop i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mongst th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elated factors regarding bus dwell and passenger characteristics to reduce bus dwell time. This research made attempts to develop dwell time models by vehicle dimension with CCTV data installed in the bus, to analyze dwell time characteristics by the number of passenger, and to identify the effect of passenger characteristics on bus dwell time. Bus dwell time models are developed with regression analysis by categorization of vehicle type, boarding and alighting time, and bus fare payment method. Dwell time is found to be shorter for low floor bus type and be longer for seated bus and Dead Time is longer for low floor buses where the width of the alighting door is longer than that of other types of bus vehicles. The number of passenger is seen as a crucial factor for the dwell time duration. The higher number of passengers, less boarding and alighting times due to reduction of dead time per passenger, whereas the increase of number of waiting passengers affects the increase of dwell time by growing passenger interference. Analysis findings passenger characteristics shows that boarding times at bus stops with a market are shorter, followed by hospitals, residential areas, and schools. Alighting times are found to be shorter at hospitals followed by markets, residential areas, and schools, which means that regional characteristics of bus stop areas affect bus dwell time characteristics. To examine the consistency between CCTV and BMS datum, a t-statistics analysis has been performed and result shows no difference between datum type with 5% level of significance, which implies that development of bus alighting time models is also available through BMS data. This study is shown to have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punctuality of inner city bus operation and to upgrade passenger comfort by the reduction of dwell time.

      • 사춘기 자녀 어머니의 양육과 관련된 스트레스, 분노표현 및 자아존중감

        김계필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parenting stress, anger expression, and self-esteem of mothers parenting adolescent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300 mothers parenting adolescent children in G city.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12th to 20t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SPSS program version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s of parenting stress, anger-in, anger-out, anger control, and self-esteem were 2.50, 1.62, 1.85, 2.43, and 2.67, respectively. 2.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degree of partner's support. Anger control of anger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onthly income, degree of partner's support, and child's grade.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monthly income, degree of partner's support, and child's grade. 3.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arenting stress, anger expression, and self-este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artner's support is important for mothers in parenting adolescent children.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arents program to support parenting adolescent children. 본 연구는 사춘기 자녀 어머니의 양육과 관련된 스트레스, 분노표현 및 자아존중감의 정도를 파악하고 각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K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자녀를 둔 어머니 300명을 대상으로 2012년 3월 12일부터 3월 20일까지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김의철과 박영신 (2001), 강희경 (2003)의 양육스트레스 측정도구, Spielberger (1988)가 개발하였고 전겸구 등(2000)이 번안한 분노표현 척도, Rosenberg (1965)가 개발하였고 전병재 (1974)가 번안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는 평균 2.50점(5점 만점), 분노억제 1.62점(4점 만점), 분노표출 1.85점(4점 만점), 분노통제 2.43점(4점 만점), 자아존중감은 2.67점(4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양육스트레스는 배우자의 협조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분노표현의 하위요인인 분노통제는 월평균소득, 배우자 협조정도,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아존중감은 연령, 월평균소득, 배우자 협조정도,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 분노표현 및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양육스트레스와 분노억제(r=.42, p<.001), 양육스트레스와 분노표출(r=.41, p<.001), 분노통제와 자아존중감(r=.37, p<.001)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양육스트레스와 분노통제(r=-.19, p=.001), 양육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r=-.38, p<.001), 분노억제와 자아존중감(r=-.42, p<.001), 분노표출과 자아존중감(r=-.37, p<.001)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사춘기 자녀 어머니의 양육과 관련된 스트레스, 분노표현 및 자아존중감이 높은 편은 아니었으나,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배우자의 협조정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배우자의 적극적인 양육협조를 이끌어낼 수 있는 부모를 위한 자녀양육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부모 모두에게 제공되어질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