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기도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제도와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김명숙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79

        Appointing a teacher as a department manager is very important at the elementary school, because the group of manager teachers carry out a lot of principal decisions and have authorities and influences as a main field. As the role of a nursing teacher being expanded, the number of manager nursing teacher is increasing gradually. All the studies on the appointment of a manager teacher, however, are for general school teachers, not for a nursing teachers. This thesis is the study on the system for appointing school teachers and nursing teachers as a department manager, which is studi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health education and the students’ health management . For the study, reference materials, survey, statistical data and depth interviews are used. 190 general teachers and 110 nursing teachers (total 300 teachers) working at the elementary school in Kyunggi province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5 days from August 25, 2018 to September 30, 2018. The subject of the survey was about the cognition of manager nursing teacher system and its management. The statistical data was about the status of appointing the manager teacher at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conclusion of the case on the appointment of manager nursing teacher was derived by classifying the reference data of each school and depth interview data.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system of appointing the manager teachers started from 1970 by Education Dept., and it was devolved to provincial and municipal Office of Education in 1998. And now it is managed after being named the title and its official authority by school principals. Kyu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presents the qualification standard with affairs and human elements. But most of schools define the qualification as a teacher who has the first-level certificate and it has caused a structural inequality and restriction for nonsubject teachers. The appointment are proceeded by making a list by self-respect or recommendation, and appointing by the school principal. According to the survey, however, three quarters of manager teachers were appointed by the principal’s designation. Based on the conclusion, it is checked out that, for the criteria and procedure for appointing the manager teacher at the elementary school, there are som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general teachers and the nursing teachers. According to the survey about the cognition for the manager teacher system and its management which was categorized by three areas,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14 answers among total 20 questions between the general teachers and the nursing teachers. Especially, the appointment ratio between all woman-teachers versus manager nursing teachers in Kyunggi province was 20.4 : 1. Among 300 teachers distributed by the position, the rate gap of the manager teachers between the general teacher and the nursing teacher is 24.8 times. As a result of interviewing the nursing teachers who were a manager teacher, only four nursing teachers have participated in the school planning meeting, school steering committee, etc which are the organizations making main decisions on school affairs, had authorities to carry forward the business, and taken professional leadership with cooperation of the school managers and colleagues. This result shows that appointing the manager nursing teachers can make the health and business promotion activities more effective and easier.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this is a useful case to enhanc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personal sense of accomplishment. Therefore,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Kyu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hould guarantee the reasonable position of the public educational staffs by innovating the realistic and effective personnel affairs. And the personnel policy of each school should be corrected the promotion system and performance-based bonus system for nonsubject teachers as instructed. And the authorities have to compensate the system and make a legal instrument to resolve the structural unfair and social discrimination. In the end, before fully implementing the 2015 revision school curriculum which will be started from March 2019, the achievement standard should be led from ‘based on teacher’ to ‘based to learner’. I want to suggest that the affairs be set up : notification of ‘Elementary school Health education curriculum’, the continuous studies for installing the Exclusive Health Care Department at school and granting qualification for the regular licensed teacher through the earlier law revision. Keyword : Health Education, Student Health Care, Nursing Teacher, Manager Teacher 초등학교에서 부장교사의 임명은 의사결정과정의 중요한 통로이며, 권한과 영향력 행사의 주요한 장(場)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보건교사의 역할변화에 따라 학교조직에서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부장교사 임명에 관한 연구 대상은 모두 일반교사이고,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논문은 보건교육과 학생건강관리의 제도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초등학교 부장교사 제도와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연구도구는 문헌자료와 설문조사, 통계자료, 심층인터뷰를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는 경기도 초등학교 일반교사 190명과 보건교사 110명, 총 3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8월 7일부터 9월 3일까지 26일간, 부장교사 제도와 운영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통계자료는 경기도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임명실태 분석에 활용하였고,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에 관한 사례는 단위학교의 문헌자료와 심층인터뷰 자료를 유목화 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장교사 임명은 1970년 문교부령으로 시작되었고, 1998년 교육부의 권한이 각급 시․도 교육청으로 이양(移讓)되었다. 현재는 학교별로 학교장이 명칭과 권한을 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은 부장교사 임명기준을 직무와 인적요소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단위학교는 1급 정교사로 규정하여 비교과 교사들의 부장교사 임명에 제한과 구조적 불평등이 초래되고 있다. 부장교사의 임명절차는 본인의 희망과 추천에 의한 명부작성을 거쳐 학교장이 최종 임명한다. 하지만 연구에 참여한 부장교사 경험이 있는 보건교사들의 경우는 4명 중 1명은 본인 희망, 3명은 학교장 지명에 의해 임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부장교사 임명기준과 절차는 일반교사와 보건교사 사이에 구조적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3개 영역으로 범주화(範疇化)된 부장교사 제도와 운영에 관한 인식조사 결과, 총 20문항 중 14문항에서 일반교사와 보건교사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경기도 전체 여자교사 대(對)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비율은 20.4배, 연구 대상자 300명의 직위별 분포에서 일반교사와 보건교사의 부장 임명비율은 24.8배 차이가 있었다. 보건교사 중 부장교사 임명 경험이 있는 4명의 대상자를 심층인터뷰한 결과는 학교 내 의사결정 기관인 기획회의와 학교운영위원회 등을 통해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업무추진에 대한 결정 권한을 부여받고, 지원적인 관리자와 협조적인 동료들 속에서 전문가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보건교사의 부장교사 임명이 보건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건강증진활동과 효율적인 업무추진에 용이하고, 교사효능감 증진과 개인적 성취감을 획득하는 등 학교의 인적자원관리에 유용한 사례임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교육부와 경기도교육청은 실효성 있는 인사제도 혁신을 통해 교육공무원의 직무수행에 합당한 지위를 보장하여야 한다. 또한 지침에 따라 단위학교의 인사내규를 정정(正定)하는 등 비교과 교사에 대한 승진체계와 성과급제도 등에서 구조적 불공평함과 신분적 차별 해소를 위한 제도적 보완과 법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끝으로 국가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우리나라는 2019년 3월을 기점으로 2015 개정교육과정의 전면시행을 앞두고 있는 바, ‘교사중심 교육’으로부터 ‘학습자중심 교육’으로 이동하고 성취기준을 통해 구체화되는 보건교육의 연계성을 확보해야한다. 이에 ‘초등보건교육과정’의 고시, 정교사 자격과 표시과목의 부여, 조속한 법(法) 개정을 통한 보건교사의 직무 정립, 단위학교의 보건전담 부서 설치를 위한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 만족도 연구

        김예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언어연수생을 대상으로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 교육원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언어연수생들을 중도탈락 없이 지속적으로 교육원에 잔류시키고 상급학교로의 진학을 통해 학습을 지속할 수 있게 유도하기 위해서는 언어연수생들의 교육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 중 교수와의 관계성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교육의 질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교육시설 및 환경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교직원과의 관계성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5. 한국어교육원 교육서비스 중 행정서비스의 질은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K대학부설 국제교육원에 재학 중인 중국과 베트남 언어연수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장미내(2016)의 교육서비스 품질 설문지와 하호정(2012)의 교육만족도 설문지를 토대로 중국어, 베트남어, 영어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온라인 조사와 지면 조사를 동시에 진행하여 응답을 수집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교육서비스, 즉 선생님과의 관계가 좋을수록, 교육의 질이 높을수록, 교육시설 및 환경이 좋을수록, 교직원과의 관계가 좋을수록, 행정서비스의 질이 높을수록 교육만족도가 높았다. 이 중 학생들의 교육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교육시설 및 환경’이었다. 둘째, 교육서비스 품질에 대해서는 중국 국적의 학생들이 베트남 국적의 학생들에 비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교육서비스 품질 인식은 남자가 여자보다 교수와의 관계성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 진학을 목적으로 공부하는 집단은 교육의 질을 상대적으로 더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원 진학을 목적으로 공부하는 집단은 교육의 질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국적의 응답자가 베트남 국적의 응답자보다 교육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언어연수생 응답자들의 한국어교육원에 대한 요구사항 중에서 ‘한국인과 만나는 기회 확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언어연수생의 인식을 참고하여 대학부설 한국어교육원의 양적·질적 향상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언어연수생의 교육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교육시설 및 환경’에 대한 대학의 적극적이고 아낌없는 투자가 필요하다. 주요어: 언어연수생, 교육만족도, 교육서비스 The purpose of this study, regarding Korean language institutes attached to the universit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ducational service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o suggest actions for qualitative growth.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to achieve these goal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does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2. How does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3. How does the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4. How does the relationship with the staff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Research Question 5. How does the qua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s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ec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Using the abov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of Chinese and Vietnamese language trainees attending K-university International Education Institute located in Suwon, Gyeonggi-do, was conducted. The survey was translated into Chinese, Vietnamese, and English based on the Education Service Quality Questionnaire by Jang Mi-nae (2016) and the Education Satisfaction Questionnaire by Ha Ho-jung (2012). The survey collected responses by conducting online and in-person surveys simultaneously.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etter the educational service of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ttached to the university, the higher the satisfaction rating. That is higher quality of education, better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better relationships with the staff, and higher qua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s resulted in higher satisfaction rating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on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Second, the students of Chinese nationality had a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compared to those of Vietnamese nationality. In relation to teachers, male respondents perceived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according to sex more positively than female respondents. Groups studying for university admissions perceived a lower quality of education, while those studying for graduate school perceived a higher quality of education. Third, respondents of Chinese nationality demonstrated higher education satisfaction than those of Vietnamese nationality. Fourth, expanding opportunities to meet Koreans was of the highest importance to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s of language trainees’ respondents. In recognition of the language trainees’ responses, it is necessary to make concrete and practical efforts to mak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s to the quality of the University’s Korean language institut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invest earnestly and generously i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which would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language trainees. Key Words: Language trainee, Educational Satisfaction, Educational Services

      •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3학년 과학교과서 화학영역의 STS 내용 분석

        구본경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8종의 중학교 3학년 과학교과서 화학영역의 STS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우선 과학 교과서에서 화학 단원을 선정하여 그 중 STS 내용이 차지하는 비율을 살펴보고, Yager의 STS 과정의 필수 구성요소, SATIS 프로그램의 학습 활동 유형별로 비교․분석하여 교과서에 STS 관련 내용이 어느 정도 반영되고 있으며 어떤 형태로 반영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별로 STS 내용의 포함 정도를 분석한 결과 8종의 중학교 3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화학영역의 STS 내용은 평균 12.6%의 지면을 차지하고 있다. 출판사별로는 최저 7.4%에서 최고 16.2%의 STS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둘째, Yager의 STS 교육과정의 필수 구성 요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 대부분 과학의 응용성(20.4쪽, 33.0%)과 지역사회와 관련성(18.1쪽, 29.3%)에 관련된 내용들이었으며 협동작업, 직업인식, 사회적 문제에 관한 내용의 비율은 적었다. 셋째, SATIS의 활동 영역에 따라 분석한 결과 조사활동(15회, 35.7%)이 가장 많았으며 문제해결 및 의사결정(11회, 26.2%), 실제활동(7회, 16.7%) 순으로 나타났다. 그 외의 영역들의 활동은 부족한 편이다.

      • 영양교육이 음식물 쓰레기 감량화에 미치는 효과 : 경기도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김은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영양교육을 실시한 후 음식물 쓰레기의 잔반량을 측정 조사하여 영양교육이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의식변화를 살펴보고자 생각되는 여러 요인들 중 주요한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감량화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 감량화 교육을 3단계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별로는 5학년 학생이 34.5%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3학년 33.8%, 4학년 31.7%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은 영양교육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에 학교급식 섭치 시 밥과 국, 주반찬, 부반찬, 김치, 과일의 잔반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양교육은 학생들의 학교급식 섭취 시 잔반량 감소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학생들은 영양교육을 실시한 후에 식단과 음식의 맛, 음식의 품질, 위생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은 영양교육 실시 이후 학교급식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영양교육을 실시한 후에 밥과 국, 주반찬, 부반찬, 김치의 양이 이 적당하다고 인식하는 학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은 영양교육 실시 이후 학교급식 배식량이 비교적 적당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영양교육 후 맛이 없거나 처음 보는 음식도 먹어보게 된 학생이 43.6%로 가장 많았으며, 영양교육 후 편식이 줄었다고 인식하는 학생이 58.0%로 그렇지 않다고 인식하는 학생 20.3%보다 많았다. 또한 학생들은 영양교육 후에 건강에 좋은 음식과 음식을 남기면 몸에 필요한 영양소를 섭취하지 못한다는 사실에 대해 비교적 알게 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이 영양교육 후 자신이 먹을 양을 알고 배식량을 조절하려고 노력하였으며, 영양교육 후 어려운 이웃을 생각하며, 음식을 비교적 소중히 여기게 되었다. 따라서, 영양교육 실시 이후 학생들의 음식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영양교육은 음식물 쓰레기 감량에 효과적이므로, 지식전달 위주의 교육이 아닌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영양교육이 실시되어야 하며, 국가적인 차원에서 제도적인 뒷받침과 보다 효과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어야 한다.

      • 자유발도르프 학교 교육에 기초한 미술교육방안 연구

        조영주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We are living in a convenient and wealthy knowledge-based society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civilization in the 21st century, in the so-called age of information and globalization. In addition to abundant knowledge, the present society which rejects the impersonality and uniformity, while emphasizing diversity, shows feature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ages and requires new type of human being. These phenomena have influenced education to raise the necessity of diverse and new creative teaching at schools. Among others, it can be said that the ultimate goal of art education is to bring up holistic persons, and to form the basis for sensibility education and increasing creativity through free activities. Thus, this thesis considers the art educational method rooted in Freie Waldorfschule's educational arts, represented by Steiner's educational thoughts arguing that 'art is exactly education itself' and also the origin of all educations, which is getting attention recently. In this respect, Freie Waldorfschule's art education is an effective education for creativity, and it is expected to suggest much to our art education as a model of integrated teaching. Freie Waldorfschule has been systematically operated by unique curricula and teaching methods, etc. and has shown striking contrasts with impersonal and non-holistic aspects of Korean art education, which has been pointed out as problems. Free thoughts and expression in art education advocated by Freie Waldorfschule can increase sensibility and widen creative thinking, as well as can be regarded as good alternatives for self-expression and humanity education. In chapter 2, the beginning of the text, the problems of our country's art education are considered, and the Freie Waldorfschule's education i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And to study the school's education in the concrete, in chapter 3 the only differentiated educational features of the school, including 8-year teacher in charge, intensified classes on each period, and eurythmie are examined. And Steiner's life and his thoughts, such as anthroposophy and educational art theory, on which the school's foundation and ideology has been grounded, are explored. Also a theoretical study for the form (Formen), watercolor painting, and handcraft classes, specifically their features, goals, and realities is conducted. Finally in chapter 4, based on the Freie Waldorfschule's art education stated above, the way to apply the school's educational methods to Korean art education based on the curricula in the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is considered as a basic direction of this thesis. It might be not be concluded that the Freie Waldorfschule's methods are always proper to our conditions and realities. If just the technical means of Freie Waldorfschule are imitated at classes while its educational thoughts are not exactly understood, another adverse effects might happen. However, it can not be denied that Freie Waldorfschule's education indicates creative and holistic educational methods. Just, the way how to accept and apply them to our educational realities is up to ourselves. From now on, continuous studies and cooperation will be required to achieve free and creative education in our art education in reality.

      • 영아반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비교

        안현주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영아반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비교하고자 한다. 영아반 영어교육에 대한 실태, 필요성, 교수-학습방법, 만족도,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대해 살펴보고, 영아반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차이를 고찰해 보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영아반 영어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2. 영아반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1) 영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2) 영어교육의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3) 영어교육의 만족도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4) 영어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교사와 부모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는데, 교사는 경기도에 위치한 평택시, 오산시, 화성시, 수원시, 용인시, 의왕시의 어린이집 영아반을 맡고 있는 담당교사 139명이다. 부모는 경기도에 위치한 평택시, 오산시, 화성시, 수원시, 어린이집에 등원시키고 영어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영아의 부모 186명이다. 교사와 부모는 서로 연관되어 있지 않으며 각각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영아반 영어교육의 실태와 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이다. 사용된 설문 문항 구성은 선행연구 배미숙(2010)의 연구를 참고하여 연구문제에 맞게 수정⋅보완하였고 내가 직접 만든 문항도 추가하여 재구성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3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빈도, 점수, 백분율, χ2(Chi-square)검정, t-test(검정),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 Duncan 사후검정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영어교육의 실태에 대해 알아본 결과, 영어교육을 실시한다가 79.1%, 실시하지 않는다가 19.42%로 나타났다. 이는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대부분의 영아들이 영어교육을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영아반 영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영아반 영어교육의 필요성, 영어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 영어교육을 실시하는 중요한 계기에 대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영아반 영어교육이 필요점에선 부모의 인식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부모가 영어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반대로 교사는 과반수 넘게 영어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영아반 영어교육의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영아반 영어교육에 적합한 영어교사, 영어교육의 주 횟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어교육에 적합한 교사로 교사와 부모 모두 한국인 영어교사를 가장 높게 선호하였고 영어교육의 주 횟수로는 교사와 부모 모두 주 2회가 가장 적합하다고 인식되고 있었다. 넷째, 영아반 영어교육의 만족도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영어교육의 만족도, 영어교육이 불만족스러운 이유, 영어교육이 만족스러운 이유, 영어교육의 평가방법, 영어교육에 대한 영아의 흥미도, 영어교육의 효과, 영아들이 영어교육에 소극적인 이유 등 거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영어교육의 만족도에서 교사와 부모 모두 영어교육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고, 교사보다 부모의 만족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교사와 부모 모두 영어에 대한 흥미와 동기유발로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반면 영어교육이 불만족스러운 이유로 영아의 영어능력 향상 미비가 교사와 부모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고, 영어교육의 평가에 대해서는 교사와 부모의 인식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부모는 수업 시 영아가 겪는 어려움을 적절히 파악하였는지 여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는 교육과정, 수업매체, 수업절차 등이 효과적이었는지의 여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영어교육의 효과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교사는 영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부모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말을 영어로 말하려고 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영아반 영어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영어교육의 문제점, 영어수업 시 가장 큰 어려움에 대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어교육의 문제점으로 교사와 부모 모두 영아의 실제 영어 활용기회 부족을 가장 높게 인식했고 영어수업 시 가장 큰 어려움으로 흥미와 관심이 없어 집중하지 못하는 영아들의 지도를 교사와 부모 모두 가장 높게 꼽았다. 종합해보면, 유아기에서 영아기까지 영어교육의 연령이 더욱 낮아졌고 부모는 영어교육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져 가는데 영아반 영어교육의 현장에서는 문제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바라보는 시각과 교사가 바라보는 시각에 차이가 있음으로 영어교육에 대해서 제고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acher’s DISC behaviors type and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atic behaviors in young Children (3 ~ 5 years old)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DISC behaviors ty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atic behaviors according to the teacher’s DISC behaviors type. In this regar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What is the status of English education in infants? 2.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eacher and parent's perception of English education in infants? 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need for English education? 2)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s in English education? 3)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 of satisfaction with English education? 4)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problems and directions of English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eachers and their parents, 139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classes at day care centers in Pyeongtaek, Osan, Hwaseong, Suwon, Yongin and Uiwang,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The parents are 186 parents of infants who attend schools in Pyeongtaek, Osan, Hwaseong, Suwon and daycare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and provide English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are not related to each other and were investigated separately. The research tool is a questionnaire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English education in infants and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parents. Based on the study by Bae Mi-sook (2010), the questionnaire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and the questionnaire that I made myself was reconstructed by adding it. Analysis of the data was made using the SPSS 23 statistical package to use frequency, score, percentage, Δ2 (Chi-square) test,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 post-test.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status of English education in the infant class showed that 79.1% did not do so, and 19.42% did. This means that most infants who attend daycare centers are receiving English education. Second, finding ou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need for English education in inf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eed for English education in infants, the reason why English education was not necessary, and the important opportunity for English education. If you look at this in detail, parents are more aware of the need for English education in infants. Most parents recognize that English education is necessary, and on the contrary, more than half of the teachers recognize that English education is not necessary. Third,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English education in the infant cla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weeks of English teaching and English education in the infant class. Both teachers and parents preferred Korean English teachers the most, and in terms of the number of weeks, both teachers and parents were considered the most suitable teachers for English education twice a week.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satisfaction of English education in the infant cla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most all areas, such as satisfaction in English education, reason why English education is unsatisfactory, evaluation method of English education, infant interest in English education, effectiveness of English education, and reason why infants are passive in English education. If you look at this in detail, it turns out that both teachers and parents were satisfied with English education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English education, and their par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English education than teachers. Looking at the reasons for being satisfied, both teachers and parents have most often recognized interest in English and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both teachers and parents showed the highest lack of improvement in English proficiency for the reasons of dissatisfaction with English education, and in the evaluation of English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of whether or not they had properly grasped the difficulties of infants in class, and teache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effectiveness in the curriculum, the medium of classes, and the procedure. Also, the effects of English education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of teachers and parents, who showed the highest level of interest in English, and parents tried to speak the language they often use in their daily lives in English. Fif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blems of English education and the biggest difficulties of English class was found in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 of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English education. As a problem with English education, both teachers and parents recognized the lack of actual English skills in infants, and both teachers and parents cited the highest level of guidance from infants who are not interested or interested in English as the biggest difficulty in English classes. In sum, the age of English education from infancy to infancy has been further lowered and parent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English education, and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in the infant class. Differences in the way parents look and the way teachers look suggest the need to improve English education.

      • 다문화교육에 대한 초등학생 인식에 관한 연구

        이정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이 다문화 교육에 대하여 개인적인 배경변인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그 차이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다문화 교육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문화적 상대주의, 서구문화의 수용성, 한국문화에 대한 자긍심에 대한 다문화교육의 이해는 개인의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떤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환경문제, 인권문제에 대한 다문화교육 문제의 이해정도는 개인의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떠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빈곤, 기아, 식량, 인구의 문제와 국제관계, 지역분쟁 및 무역전쟁의 문제에 대한 지구촌 문제의 이해정도는 개인의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떠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1995년 유네스코에서 실시한 “국제이해교육의 실태와 국제 비교연구”라는 정책연구에서 이용한 설문 문항 중 다문화 관련 문항과 이수용(2004)이 사용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빈도분석 (Frequency Analysis) 및 기술 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사용하였으며, 설문항목의 내적 일치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Cronbach's Alpha)하였다. 설문응답자의 개인적인 배경 원인에 따라 각 항목의의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서 T 검정과 분산분석의 F 검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의 결론을 살펴보면 학생들의 개인적인 배경 변인은 다문화 이해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생들의 다문화 교육의 이해정도에서 문화 상대적인 부분에서는 성적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고, 서구문화의 수용성부분에서는 남자가 더 많이 친숙하고, 외국 방문의 경험이 있는 경우에도 친숙하였고, 농촌 거주 학생들이 더 친숙하였다. 그리고 한국인으로서 자긍심에 대한 것은 남자가 여자보다 크게 반응을 하였고, 외국 방문 경험이 있는 아동의 경우가 더 유의 하였으며, 학부모의 학력이 고학력일수록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학부모의 수준과 외국방문의 상관관계를 알 수 있게 한다. 학생들의 다문화 교육문제의 이해정도에서 환경문제를 살펴보면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한 결과가 나왔고, 고득점일수록 유의하며, 농촌보다 도시가 더 큰 반응을 나타냈다. 그러나 여기서 특이한 점은 외국 방문의 경험은 있는 경우에 유의하였으나 외국거주 1년 이상의 응답에는 거주 경험이 없다고 응답에 더 큰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인권 문제에서는 개인적 배경 변인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지만, 학부모의 학력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모든 학생들이 인권에 대한 관심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구촌 문제의 이해정도에서 차이를 분석해보면 빈곤, 기아, 식량, 인구 등에 대한 문제에서는 농촌보다 도시가 유의한 차이가 나고, 국제관계, 지역분쟁이나 무역에 대해서는 학부모의 학력이 낮을수록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외국 접촉 경험은 다문화 이해에 크게 유의미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타문화 교육경험이 다문화자녀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 유의미하게 작용한다는 점이다. 즉 접해 본 경험이 많을수록 다문화 이해에 크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다문화 이해 인식도는 개인의 배경 변인에 따라 차이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향후 수행될 몇 가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북부 지역의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이해인식을 조사 연구하였으므로 전국의 각 지역을 다양하게 하여 지역별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다문화 이해에 대한 지적인 부분을 제외하고 태도부분만을 연구가 이루어졌기에 지적인 부분과 정의적인 부분도 함께 반영되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로 다문화 이해 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자료가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장학자료, 타문화 이해 프로그램 개발 등 다문화교육 이해자료의 개발 및 접근이 용이하도록 방안이 모색 되어야 할 것이다.

      •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아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

        권진주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유아들은 어린 시기부터 서로 다른 사람들의 신체적 능력, 외모, 언어, 성 등에 있어서의 차이를 인식한다. 그리고 사회적 규범과 편견의 영향을 받은 가치관은 이미 어린시기에 형성된다. 따라서, 유아기에 실시되는 반편견 교육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사회적 통합은 장애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것에 있어 보다 효과적이고, 변화에 대해서도 큰 거부감이 생기지 않는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비장애아와 장애아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유아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예비교사들의 인식이 예비교사의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예비교사 변인에 따라 장애아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예비교사 변인에 따라 장애아 반편견 교육 실시방법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예비교사 변인에 따라 장애아 반편견 교육 지도내용별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4. 예비교사 변인에 따라 장애아 반편견 교육 자료 활용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 대상인 예비교사 257명은 대학교 및 보육교사교육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공통된 문항을 발췌하였고, 일반적인 편견과 선입견에 관련된 항목을 제외하고 장애인에 관련된 항목만을 선정하여 유아교육기관에 맞게 수정하여 최종 완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장애아 반편견 교육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χ2 검증과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 반편견 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교육기관에 따라 반편견 교육에 대한인지는 3년제, 4년제 학생 모두 강의·세미나로 인하여 월등하게 인지를 하고 있었으나, 보육교사교육원 학생들은 그에 비해 강의·세미나를 접하는 경로가 부족하여 강의·세미나와 주변지인으로 알게 된 경로가 비슷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반편견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특수교육수강 및 실습 경험이 있는 교사가 받지 않은 교사에 비해 장애아 반편견 교육의 인식과 필요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둘째, 반편견 교육의 실시 방법은 교육기관, 학과, 특수교육수강 유무, 교육경험 유무, 실습경험 유무에 상관없이 대그룹 또는 소그룹 형태로 만3세부터 주2회-3회로 연중 실시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반편견 교육의 지도별 중요도에서 4년제 학생들은 장애아에 대해 이해하는 수준이 매우 높았다. 그리고, 장애아 반편견 교육지도 및 실습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비장애아와 장애아를 동일시하여 수업하기를 원하였다. 넷째, 반편견 교육에 대한 자료 활용은 4년제 학생들이 종전 교수·학습계획안 활용 여부, 각종 연수자료 참고여부, 일반 시사 자료집(신문·잡지) 참고 여부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학과학생과 특수교육수강이나 실습을 한 응답자들은 지도 자료집 및 모든 운영방법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반편견 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 접근법 등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유아교육기관 예비교사를 위한 국가 차원의 반편견 교육의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반편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유아교육과정에 어떻게 통합하고 어떻게 유아들에게 교육시킬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fants recognize difference in physical ability, appearance, language, and gender from a very young age. Also, values influenced by social norm and prejudice form during their early stages of life. Therefore, social integration achieved through the anti-bias education that takes place in early childhood is effective in forming positive attitude toward disability and helps children to have no repulsion toward chang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liminate prejudice against non-handicapped and handicapped children, and to identify how awareness of preservice teachers, who can affect children, differ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preservice teachers to conduct successful integrated education. The established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Is there difference in awareness toward anti-bias education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preservice teacher? Research problem 2. Is there difference in implementation methods of anti-bias education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preservice teacher? Research problem 3. Is there difference in importance by contents of anti-bias education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preservice teacher? Research problem 4. Is there difference in utilization of anti-bias education materials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preservice teacher? 257 preservic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college and child care education center.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extracted common items by reviewing precedent studies, and completed the final questionnaire by selecting and modifying items related to the disabled excluding items related to general bias and prejudice to fi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and conducted χ2 test and ANOVA analysis to investigate awareness of preservice teachers toward anti-bias education for disabled. The analysis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awareness towards anti-bias education for disabled by educational institution, students in both 3-year and 4-year colleges had superior understanding by lecture and seminar, but students in training institutes for child care teachers learned through similar routes as lecture, seminar, and acquaintances because they have limited access to lecture or seminar by comparison. Also, most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anti-bias education, and teachers who took special education classes and have practical experience considered awareness and necessity of anti-bias education for disabled importantly compare to the teachers with no experience. Secondly, they responded that conducting anti-bias education 2~3 times a week throughout the year in big group or small group format from 3 years of age regardless of the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department, class status in special education, existence of education experience, and existence of practical experience is most appropriate. Thirdly, for importance by instruction of anti-bias education, students in 4-year college had very high understanding level of disabled children. Also, respondents who had anti-bias education guidance and practical experience for disabled children wanted to run classes by identifying non-handicapped children with handicapped children. Fourthly,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se of data on anti-bias education as lesson plan of previous professors, various training material references, and general news materials(newspaper·magazine) for students in 4-year college. Students i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ho took or practiced special education responded that all guide and operating methods are necessary. Empirical studies on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approach for anti-bias education would have to b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curriculum of national anti-bias education would have to be developed for preservice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Also,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anti-bias education program and investigating how it should be integrated into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how it should be educated to children would have to be carried out.

      •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육 실제 연구

        노은영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As the world becomes more connected different cultures in the world rapidly collide. There are needs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questions are as the following: 1. How are perceptions of teachers on multicultural education different depending on types of institution, age, education and experiences? 2. How do the teaching practice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different depending on types of institution, age, education and experiences? The location of the kindergartens and preschools this study was carried out was in Suwon, Young-In, Ahn Yang, Sung Nam. The study consisted of 327 instructors. A survey was served out as the method of collecting data. The survey consisted of 5 questions to explain their own uniqueness, 6 questions testing the knowledge of different cultures, 40 questions of how they currently teach. The total amount of questions used for this survey was 51. The data collected for this experiment was accessed by SPSS WIN 11.5 program. The knowledge of the instructors and the frequency they taugh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as classified in a percentage. To analyze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instructors, x2 test, frequency, t inspection, one-way ANOVA of their teaching was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tes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difference in background of the instructors prove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to their teach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knowled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varied between educators and thought that it was important to teach multicultural education. Race and gender had no effect in the professional workplace. It was agreed that the skills that are needed in the workplace, especially English was incorporated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s important to teach. Also, when teaching multicultural education, the instructors felt the lack of knowledge in the subject. Age, experience, background were all factors in the amount of knowledge the instructors had. Second, The instructors belonged in a multicultural education organization. Background, age, level of education, experience was all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instructors. Usually the instructor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as the homeroom teacher. The instructors that did not attended multicultural workshops or received training. Age, experience, background played no factor in their attendance, but experience was a factor in their decision to attend. Also, dur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structors used the internet as their resource most often. when asked the instructors abou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aking place at their facility, 47.7% said they were satisfied, 47.4% said they were neither satisfied nor unsatisfied and 4.9% said they were unsatisfied. Age, background, education, experience played a role in their decisions. Kindergarten teachers aged 26-30, who graduated with a 3 year degree, and had experience with different cultures were usually satisfied with the education being taught at their facility. The subjects that were taught within multicultural education was ‘How to say hello in many different languages’ and ‘Identifying the flags of different countries, flowers of different countries and simply studying the traits of different countries’ in that order. The subjects varied on the education facility and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active in this type of study than preschool teachers. Instructors agree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must be fun in order for the children to learn. In conclusion, the instructors agree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t the development of children, but the lack of understanding from the teachers prose as a problem. It is suggested that college instructors expand the field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rograms that teach teachers about different cultures be implemented.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needed in order to improve and expand the knowledge of children on the cultures of different countries. 본 연구는 세계화와 더불어 다양화, 다문화, 지구촌화가 가속화 되어가는 현실에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다문화 교육의 실제를 살펴봄으로써 다문화 교육과정의 계획과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은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유형별, 연령, 학력, 다문화 경험여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다문화 교육의 교육 실제는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유형별, 연령, 학력, 다문화 경험여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수원ㆍ용인ㆍ안양ㆍ성남시에 속해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327명이며, 조사방법은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설문지의 구성은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 6문항, 다문화 인식 5문항, 교육 실제 40문항으로 총 5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과 교육 실제를 알아보기 위해 χ2 검증과 빈도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다문화 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 인종이나 성, 사회적 지위에 관계없이 모두 평등함을 알게 해주고, 국제화 시대에 필요한 능력, 특히 영어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고 인식했다. 다문화 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로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강조는 오히려 혼란만 가져오므로 필요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다문화 지도 시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다문화 교육에 대한 지식이나 이해의 부족으로 나타나 유형별, 연령, 학력, 다문화 경험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다문화 교육의 교육 실제를 알아본 결과, 다문화 교육 실시 여부는 유치원이 어린이집보다 다문화 교육을 더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형별, 연령, 학력, 다문화 경험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문화 교육 담당교사는 다문화 교육을 각 반 담임교사가 담당하고 있다고 응답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외국인 다문화 전문 강사, 원내에 상주하는 다문화 교사 순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는 다문화 교육을 외국인 다문화 전문 강사와 담임교사가 골고루 다문화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린이집 교사는 반 정도가 각 반 담임교사가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다문화 실시 방법으로는 소속기관에서 필요한 상황이 생길 때 임의로 다문화 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가 가장 많았고, 교사 워크샵이나 연수 부문에서는 워크샵이나 교사 연수를 1회도 받은 적이 없는 유아교사가 아주 많았으며, 유형, 연령, 학력별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다문화 경험 여부별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다문화 교육 활동 시 대중매체나 인터넷 및 일반 시사 자료집을 가장 많이 참고하였고, 현장에서의 다문화 교육 만족도는 반 이상의 유아교사들이 다문화 교육에 대해 ‘그저 그렇거나 만족한다’로 나타났다. 유형별, 연령, 학력, 다문화 경험 여부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문화 교육 내용 중에서는 ‘세계 여러 나라 인사말과 인사법을 알아보고 표현해 보기’, 다음으로 ‘다른 여러 나라의 국기, 국화, 국가 등에 관해 알아보기’의 순으로 유아교사들이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배경변인에 따른 활용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다문화 수업은 흥미위주의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유아교사들의 의견이 가장 많이 나왔다. 본 연구의 결과로, 유아교사들은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다문화에 대한 지식이나 이해 부족으로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과정 및 현장에서의 적용실태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체적이고 다양한 다문화 교육의 접근을 통하여 유아교사들의 이론과 실천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다문화 프로그램이나 교재, 교구 및 교수방법 등이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유아교사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문화 연수기회가 제공되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다문화 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유아교사의 평화교육 인식과 실천에 대한 연구

        이지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Recently with the increase of violence in environment surrounding us, peace education is drawing people’s attention as a par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is situation, we need to plan a specific support system for pea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Questions to be answer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peace education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education program, experience, academic qualification)? 2. Is kindergarten teachers’ practice of peace education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education program, experience, academic qualification)? 3. Are the contents of kindergarten teachers’ peace education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education program, experience, academic qualifi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0 teachers at kindergartens executing Montessori programs and 118 teachers at kindergartens executing ordinary programs in Gyeonggi‐do.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f peace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their peace education, and difference was analyzed through χ2‐test,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peace edu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ir academic qualification was high. Perception on the time of peace educa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academic qualification, and perception on the effective type of peace education train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 program. Second, references used to plan peace education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 program, and the method of linking peace education to hom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xperience. Third, among the contents of peace education, which are the knowledge, function and attitude areas, the knowledge are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experience and academic qualification. As presented above, the present study compared and analyzed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f peace education, and through this, provided materials for the execution of peace education in kindergarten an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pea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전쟁과 폭력이 없는 평화로운 세상에서 자유와 행복을 누리는 것은 인류의 오랜 꿈이자 이상이다. 최근 유아교육에서의 평화교육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서의 폭력적 요소가 크게 증가하면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볼 때 바람직한 유아 평화교육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지원 체제에 대한 방향 모색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평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배경 변인(교육프로그램, 경력,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교사의 평화교육에 대한 실제는 배경 변인(교육프로그램, 경력,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아교사의 평화교육 실천 내용은 배경 변인(교육프로그램, 경력,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경기지역에 위치한 몬테소리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20명과 일반 프로그램 실시하는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18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평화교육 인식과 실제, 실천 내용을 비교하기 위해 설문지를 조사도구로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교사들의 평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평화교육에 대한 실제, 교사가 실시하는 평화교육 내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χ2 검증과 빈도분석, t 검증, 그리고 일원변량분석을 사용하여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평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배경 변인(교육 프로그램, 경력,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평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도가 낮았으나 학력이 높을수록 평화교육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화교육의 실시 시기에 대한 인식은 학력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효과적인 평화 교육의 연수 형태 인식은 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평화교육에 대한 실제는 배경 변인(교육 프로그램, 경력,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화 교육 활동 계획 시 참고 자료 선택에 있어서 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평화교육을 가정과 연계하기 위한 방법을 살펴본 결과는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유아교사의 평화교육 실천 내용은 배경 변인(교육 프로그램, 경력,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화교육의 내용인 지식, 기능, 태도 영역 중에서 기능, 태도 영역을 제외한 지식 영역에서 경력과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평화교육 인식과 실제, 실천 내용을 비교 · 분석해 봄으로써 유치원에서의 평화교육에 대한 구체적 실천 방안의 방향을 모색하여 유아평화교육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