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온라인 교육을 위한 학습평가시스템 분석 및 개선 방안

        김경희 서원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온라인교육에서의 학습평가는 기술적인 문제 및 관련 연구의 부족으로 인하여 아직도 정확한 평가를 수행하기엔 미흡하다. 그래서 온라인교육에서의 학습평가가 오프라인교육에서와 같이 시의적절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져 교육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온라인 교육에서의 학습평가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교육을 지원하는 가상교육시스템의 학습평가 부분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기존 시스템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효율적인 학습평가 시스템이 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 하였다. * 본 논문은 2004년 2월 서원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공학석사학위 논문임. The learning evaluation on the online education is still insufficient to provide correct assessment because of the technical difficulties and shortage of the related researches. So, for enhancing the effect of the education like on the offline education, we need a research to improve a learning evaluation assessment system on the online education. In this paper, we analyzed user interface and facilities of the learning evaluation module in the existing cyber education systems to support the online education. And we described the problem of the existing systems, also presented an improvement plan for an efficient learning evaluation system.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3.

      • 중등 체육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과정 연구

        이승희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체육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과정에 대한 현장경험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알아보려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주시 소재의 S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에 재학중인 4학년 교육실습생 대상으로 충북 청주시 소재 W중학교 2명(남), 충남 서산시 소재 S중학교 1명(남), 서울시 소재 O중학교 1명(남)을 선정하여 교육실습 기간인 2003년 5월중에 연구하여 분석 하였다. 본 연구는 심층면담 및 참여, 서술 관찰을 통한 현장기록, 관련문서분석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수집 및 분석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성원간 검토, 동료간 협의, 다각적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중등 체육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을 통한 체육수업과 교육실습 장학요인에 대한 중등 체육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 과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은 체육수업 계획시에 교육과정에 명시되어 있는대로 수업목표를 설정해 놓았으며, 교사용지도서 중심의 교재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대상자들의 연구수업과 같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수업계획 협의가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연구대상자들은 학교생활 4학년 1학기 중 4주라는 실습기간의 한시성으로 인하여 체육수업 실행시에 지도교사가 기존에 사용하던 방법대로 대형조직등의 학습환경을 조성하였으며, 나름대로의 신호체계와 규칙을 정하여 수업에 활용했지만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계획했던 만큼의 효과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학습자 관리의 가장 어려운점은 주의 집중 문제로 드러났으며, 수업도중 일탈행동을 하는 학생들에 대해서는 언어적인 방법으로 제재를 하고 있었다. 과제 제시 방법으로는 시범보다는 언어적인 방법을, 그리고 긍정적이고 교정적인 피드백 위주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차 교육과정의 이해면에서는 대부분 연구대상자들이 좋은 이론적 절차와 내용을 싣고 있고, 긍정적으로 인식 하지만 학생들의 학습능력과 운동능력이 개선된 교육과정과의 매치되지 않는 데서 오는 학교 현장에서의 학생들 수준에 맞는 교육과정을 재정립 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기하기도 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들은 사범대학의 실습 준비교육은 교육실습전에 여러수업을 통하여 준비교육을 하지만 실습 이후 교육에 대하여는 임용고사라는 시험에 합격 해야만 현직 교사로의 발령이 나기 때문에 그다지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대학측의 준비교육과 실습이후 교육에 대하여도 그다지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지 않았다. 대학측의 준비교육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학과의 강의를 통한 준비교육이나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동문 선배 교사들의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한 특강을 더 선호 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들은 실습학교의 환경과 체제에 따라 시범수업, 지도강화, 수업연구 협의회 등의 교육실습 프로그램이 질적으로 많은 차이가 난다고 밝혔으며, 시범수업 관찰기회를 가능하면 많이 갖고, 중복되는 내용의 지도강화에 대해서는 과감히 폐지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들은 지도교사의 체육수업을 관찰할 기회를 거의 경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로는 교육실습 기간 5월중에는 많은 행사로 인해 수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들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의 영역이나 7차교육과정의 이해와 현장 적용면에서는 좋은 이론적 절차와 내용을 싣고 있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학생들의 학습능력과 운동능력이 개선된 교육과정과 매치되지 않는데서 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학교현장에서의 학생들 수준에 맞는 교육과정을 재정립 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기하기도 하였으며, 체육수업의 목표나 내용, 지도방법 측면보다는 수업지도안 형식과 같은 외형적인 부분에 치중되고 있었으며, 교육실습생들의 수업계획과 수업 실행에 대하여 지도교사들의 자질과 열의에 따라서 상당 부분이 좌우됨을 알 수 있었다. 연구대상자들은 현직교사로 나가기 전의 사전 실습교육을 경험한 것에 대해서는 매우 흡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번 교육실습 기간동안 얻은 교훈으로 현직교사로 발령 나기 위해 더욱 더 열심히 학업에 매진할 수 있을 것 같다고 하였다. * 본 논문은 2003년 8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re-service teachers of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perceive their field experiences of teaching practice courses. 4 senior male students majored in Physical Education at 'S'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Cheong-Ju, Choongcheongbook-do,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nd conducted the teaching practice in May 2003 ; 2 students at W middle school in Cheong-Ju, another at S middle school in Seo-San, Choongcheongnam-do, and the other at O middle school in Seoul. For this study, diverse data of quality were collected by using the following methods ; in-depth interview, participation, narrative observation, related documents analysis. The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ductive categorical system, and in order to ensure the credibility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ember checks, peer discussion and multilateral analysis were applied to this study. Through the above process, field lessons conducted by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student teachers by means of teaching practice are analyzed together with teaching practice course for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the cause of learning encourag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wh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planned their lessons, they set up the teaching objective as described in the course of study, and used teachers' guide-books as the first consideration in the teaching plans. In addition, conferences on teaching plans were held as a matter of form except special cases like demonstration teaching conducted by student teachers. Due to the limit of practice period which is only 4 weeks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the 4th year at the university, the student teachers made the learning environment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with a large-sized organization like the same method that guidance teacher have been already using. They also used their own signal system and rules for the class, but they didn't obtain the desired results for lack of consistency. It was revealed that the most difficult problemin the management of learners was inattention, and off-behaviors during the class were in a verbal way. As a method of giving out assignments, explanation by words was used instead of demonstration and as a feedback, positive and corrective feedback was mainly provided. In the aspect of understanding the 7th course of study, most student teachers admitted it positively in terms of theoretic formalities and contents. However, they brought up the need for course reestablishment in accordance with students' level in schools where students'learning ability couldn't match the new course of improved physical ability. Second, the subjects didn't show enough satisfaction about post-practice education because they can be regular teachers only after passing the exams for teacher appointment while preparatory education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take place through many classes prior to the teaching practice. They don't express enough satisfaction about the preparatory education and post-practice education offered by the university. Since preparatory education lecture provided by the university was not practically conducted, they preferred the preparatory education by teaching a class or a special lecture based on field experiences of theirsenior alumni teachers who gave them a practical help. Moreover, the subjects said that training programs such as teaching demonstration, intensified instruction and teaching study conference varied in qualit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system of the school where they practiced teaching. They wanted to have as many opportunities to observe teaching demonstration as possible, and resolutely abolish the intensified instruction of repeated contents. It is showed that the subjects had little experience to observe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led by the guidance teacher because classes were cancelled due to many special events in May that was their teaching practice period. Besides, in regard of the feedback area offered to the pre-service teachers or understanding of the 7th course of study and field application, they admitted there were good theoretic formalities and contents, but they brought up the need for course reestablishment in accordance with students' level in schools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discrepancy between students' learning ability and the new course for improved physical ability. The study shows that special importance was attached to the perfunctory procedure like lesson plans rather than the objective of physical education class, contents, or teaching methods and that teaching plan and practice of the student teachers were considerably dependent on the guidance teacher's quality and enthusiasm.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were very satisfied with the experiences of pre-teaching practice before they become a regular teacher and that they could push on studying harder with experiences acquired during this period of teaching practice to be appointed as a regular teacher.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3.

      • 수준별 학습이론을 지원하는 사이버 강의운영시스템 설계방안

        전선영 서원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23

        웹기반교육이 21세기를 위한 대안적 교육방식으로 제대로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그것의 이론적 바탕에 대한 논의를 동시에 병행해야한다. 웹기반교육은 구성주의라는 학습이론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때, '정보'로서의 차원에 머물지 않고, '교수'의 차원으로 발전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주의는 웹기반교육의 중요한 이론적 배경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매체로서의 웹이 지니고 있는 속성을 구성주의라는 이론과 결합하여, 21세기 교육에 적합한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서 구성주의 수준별 학습이론을 웹기반교육에 어떻게 적용해야하는지 연구해 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지금 운영되고 있는 서원대학교의 가상교육시스템을 사례 분석하고 문제점을 지적해서 수준별 교육과정을 적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 설계방안과 기능구성 설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ly, as more web-based applications are widely used, various methods for education are developed in practical areas. As a result, in many organizations, cyber educations such as WBI learning, CAI, and distance learning are offered actively. With the advantages of web-based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feasible and efficient effects on education, a new web-based instruction model that considers the abilities, the interests, and the aptitudes of students individually is required. In this paper, a web-based instruction model, called a hybrid model, is explained. The results of study of the existing cyber class management system operated at Seowon University are described. Finally, as a result of the study, we present a design methodology of the cyber class management system for supporting the level-based instruction.

      • 行政電算化에 대한 大學職員의 認識硏究

        박영규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23

        급속한 사회변화에 적응해 나아가기 위한 사회의 각 분야의 노력에 힘입어 대학행정 또한 사회변화의 속도에 적응해 나아가기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대학의 적응 노력에 발 맞추어 대학행정 직원들의 적응노력도 크게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학행정 직원들의 전산화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그리하여, 이 연구는 정보화 시대에 서비스에 부응하기 위한 교육행정 서비스에 있어서 질 높은 행정서비스로 학생들과 구성원, 모든 민원인들에게 필요한 행정업무를 개선함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한 업무처리를 해야할 것이며, 이는 전산화에 대한 인식변화가 선행되어 야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이에 대한 행정직원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는 대학행정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을 행정의 효율화 차원에서 전산화를 통한 업무의 개선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데 두고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첫째, 대학행정 직원들의 전산화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컴퓨터를 통한 전산화가 행정업무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가? 셋째, 전산화와 관련하여 대학행정 업무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행정직원들의 의견은 어떠한가? 넷째, 성별, 국. 사립별로 대학행정 전산화에 대한 의견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연구의 방법은 충북에 소재 하는 대학 4개교(국립 2, 사립 2)의 행정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217명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행정직원들의 컴퓨터 기능수준은 현재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없으며, 주어진 컴퓨터 시스템의 활용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행정을 위한 전산화는 추가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 업무의 70이상이 전산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자 직원들은 소프트웨어의 보급과 전산화에 대한 의식변화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여자 직원들은 업무의 표준화가 우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 공립대학 직원들이 기기의 부족을 사립대학 직원들보다 더 강하게 느끼고 있으며, 전산화 추진 체계는 국 공립대학 직원보다 사립대학 직원들이 더 강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산화를 통하여 행정직원들의 업무량은 많이 늘어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는 더욱 향상된 전산화를 통해 개선되어야할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현재 업무에 활용하는 내용은 인터넷 등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문서전달 수준이 가장 높고, 통계수치의 관리나 인사 또는 재무자료의 관리수준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대학행정 정보화에 우선되어야 할 사항은 남자 직원의 경우, 정보보안 유지 등 법과 제도적 문제를 우선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여자 직원들은 인력의 확충과 컴퓨터 활용교육의 강화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전산화를 통한 비용 및 경비절감, 의사전달의 정확성, 인력절감, 문서작성, 정책자료 제공, 근무환경, 업무의 투명성, 대민 서비스, 책임감 등의 효과는 매우 크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현재의 비효율성을 개선하는데 전산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부서별 인력을 재배치하고, 책임의 소재를 명확히 하여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 논문은 2000년 8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 of th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perceived by college staffs who were pursuing administrative effectiveness and speediness based on computer-used job performance. College staffs were trying to reduce those impacts and to solve their problems of maximum change of their conventional job skills and knowledge into new media-based job performances. To these problematic sources were asked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was the level of th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perceived by the college staffs? Second, on what level of the task performance do they perceive the effect of th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Third, what were their opinions perceived by college staffs for the desirabl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Fourth, what differences of th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do they have between the male and female groups of the college staffs, and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 members of them? To find out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were involved 217 college staffs in Chung- Buk Province who were engaged in two private and two public universities/colleges, and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constructed for this thesi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were interpreted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the college staffs perceived no difficulties of handling present job task and performance based on computer system.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college staffs thought that th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should be applied to the future job task and that the handling of this job task should be computerized more than seventy percent. Third, it was shown that the male staff members thought that the more important things were to distribute software programs and to make positive changes into computerization in higher education but it was known that the female members thought that the standardization of computerization was more important. Fourth, it was known that public organization staffs thought that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needed more hardware items than the private ones. However, it was known that private organization staffs thought that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needed more systematic systems than any other ones. Fifth, it was conceived that higher education staffs thought that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contributed to make their conventional job tasks easier than before but to make more elaborated job tasks added and them felt more complicated in the near future. Sixth, it was shown that higher education staffs thought that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contributed to make them most frequently and dominantly use internet networking systems for delivering documents, and next use them for performing statistical data managements, and financial and personnel managements. Seventh, it was also shown that the male staff members thought that the important priorities were to keep security systems against illegal usages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However, it was known that the female members thought that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was more important and in-service education for computer-assisted administration should be activated. Eighth, it was analyzed that the college staffs thought that th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reduced cost/expenditure, staff numbers, and bad working conditions, and made it effective to manage documentation and policy-making resources, services for clients, and job responsibilities, and also made it clear to communicate each other and to process job tasks. Ninth, it was finally Inferred that the college staffs thought that the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would make it necessary to remove present job inefficiency and also make it possible to assign staff members into their own jobs and to recognize their own Job responsibilities. It was concluded that college/university staff members should be trained for nationwide educational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processes: standardization, communication, clarity, and adaptiveness. And it was also suggested that well-designed education for administrative computerization is to improve the belief that college/university staff members should make develop their own potentiality into higher order of administrative effectiveness and into solving of worldwide future problems in higher education.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0

      • 私學運營의 自律性 伸張을 위한 學校運營委員會 活性化 硏究

        전진수 西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사학의 특성과 현황을 살펴 한국 사학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공공성과 자율성 논의에 기초하여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원리를 살펴보고, 충청북도 내 사립학교의 학교운영위원회 규정분석을 통해 그 운영실태를 파악하여, 한국 사학의 발전과 학교운영위원회의 효율적 정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학은 공공성과 자율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을 토대로 한국 사학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한국 사학이 지닌 구조적 문제와 해결되어야 할 쟁점들은 첫째 사학교육의 특성결여이다. 한국 사학은 독특한 설립이념 및 건학 정신의 승계가 모호하다는 근본적 문제를 안고 있으며, 교육과정의 획일성으로 국·공립과 다른 사학 고유의 독특성과 다양성이 결여되어 있다. 둘째 중등교육의 확대와 보편화에 따른 국가의 공적 관여와 개입 증대로 인하여 사학운영의 자율성은 심각할 정도로 약화되어 있다. 세째 교육여건의 부실문제이다. 교원 1인당 학생수가 국·공립에 비해 높으며 학생 1인당 교지 면적 및 교실확보율, 실험실습실, 도서관 확보율 등이 국·공립에 비해 현저히 저조하다. 네째 사학교육재정의 영세성 및 재정지원 미흡의 문제이다. 이렇듯 한국 사학은 공공성과 자율성이라는 사학의 특성이 조화롭게 발휘되지 못하는 구조적 문제들을 안고 있다. 충청북도는 학교운영위원회를 설치한 사립학교에 대한 보조금 지급 정책이 발표되면서 전국에서 가장 먼저 도내 전 사립학교에 학교운영위원회가 구성되어 운영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충청북도 내 39개 중·고등학교의 단위학교 규정을 분석하여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실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은 국·공립과 다른 사립학교의 특성을 고려한 면을 살펴볼 수 있었다. 사립학교는 상위법의 심의 사항이 사립학교법에 명시된 이사회의 기능을 침해한다고 하여, 중요한 심의 사항을 자문기능에서 제외시켰다. 학교헌장 및 학칙의 제·개정, 학교예산·결산 심의, 교원초빙제 등이 그것이다. 반면 재정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학교발전기금 조성에 대한 관심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위원선출에서 상위법을 위반하여 비민주적인 절차와 내용을 규정한 사례를 다수 찾아볼 수 있다. 3) 운영위원회 조직에서 임원선출 방법을 구체적으로 규정하지 않은 학교, 임원 선출 규정이 없는 학교, 조례에 의하여 단위학교 규정으로 정하여야 하는 위원의 임기 개시일이나 소위원회의 종류나 운영을 위한 절차 등이 규정되지 않은 학교, 규정은 잘 되어 있으나 실제 선출 시 적용하지 않은 사례가 다수였다. 국·공립과 다른 사학의 특수성을 고려한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 설치의 기본원리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육의 공공성과 설립의 민간주체에 따른 자율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2) 학교운영위원회와 학교법인 이사회의 상호위상 및 관련성을 고려한다. 3) 학교운영위원회와 학교법인의 상호협력과 보완기능을 강화하여야 한다. 이상의 기본원리를 적용하여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1) 사립학교 운영위원회의 성격은 자문기관과 심의기관의 성격을 동시에 지니게 한다. 학교헌장의 제정, 법인회계예산의 심의, 초빙교원제와 같은 사안은 자문기관을 성격을 지니고, 그 이외의 사항은 국·공립과 같은 심의기관의 성격을 지니게 한다. 2) 위원 구성에 교원위원, 학부모위원, 지역위원과 함께 학교법인 이사회의 추천위원을 포함시킨다. 3) 정보제공 및 활성화를 의무화한다. 학교운영위원회는 학교운영에 관한 정보를 교사와 학생, 학부모, 교육청 등에게 보고하고, 학교 홈페이지에 모든 사항을 공개하도록 한다. 4) 운영위원에 대한 교육을 강화시킨다. 학교운영위원회가 단순한 견제기능이 아니라 학교발전과 교육발전을 위해 존재한다는 점을 위원 모두 충분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5) 학교운영위원회가 이사회와 충돌 시 이를 중재할 제3자적 기관이 필요하다. 6) 사립학교의 자율성과 학교운영의 다양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7) 단위학교 학교운영위원회 규정 제정과 개정에 대하여 관할청의 지속적인 검토와 교육을 실시한다. 상위법을 위반한 잘못된 법규정은 형식적, 비민주적 운영의 모태가 된다. * 본 논문은 2004년 2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relating to the properties and situations of Korean private schools and to present the principle of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n the private school, based on the arguments relating to the property of its independence and public. Furthermore, it is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of operation with the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regulation in the private school in Chungbuk and suggest a plan to develop the Korean private schools and to make the settlement of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 have examined the situation of the Korean private schools, which have the property of independence and public. They have the problems which are (ⅰ) a lacking of properties to educate at the private school; (ⅱ) a weakening of the properties to be independent in operating the private schools; (ⅲ) a problem of the educational conditions; (ⅳ) a problem of the financial support for the private schools. I analyzed the regulations of 39 middle and high schools in Chungbuk and examined the situation to operate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The results for this is as follows: Firstly, the function of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n national and public schools carries out to consider all articles suggested by the higher laws. But the private schools excluded to consider the important items in its functions because the items to be considered disturb the function of board directors which is clarified in the law of private schools. On the other hand, the private schools showed much interests in the developing fund for school to overcome financial difficulties. Secondly, many examples are discovered in non-democratic procedures and contents to violate the higher laws in a election of the committee members. Thirdly, There are schools which do not have the methods for electing officers and the regulations for the working day of committee members, kinds of small committee, and the operational procedures. The basic principles of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n the private schools, which is considering their special character, are following. Firstly, they have to consider the independent character, based upon the private main body of establishment as well as the public character of education. Secondly, they have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ard of the school corporation directors and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Thirdly, they have to strengthen the correlative corporation between school corporation and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 will suggest the plan which can activate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n the private schools to make the application the above basic principles. Firstly,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n the private schools are characterised as both advisory and consultant organization. Secondly,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n the private schools includes the teaches's committeeman, the studensts' parents committeeman, the region committeeman, and the recommendation committeeman by the school corporation. Thirdly,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s bound to provide the informations and activate the management. Fourthly,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s ought to strengthen the education for the operation committeeman. Fifthly,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needs the third organization which mediates to clash with the board of directors. Sixthly,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guarantee the independent characters and varieties to operate in the private schools. Sevethly, the education for officers are made to examine the regulation of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and make its revision of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04.

      • 남북한 국사 교과서 고려시대 서술 비교 : 중학교 『국사』와 『조선력사』를 중심으로

        김일구 西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07

        민족 통일이 현실로 다가오는 오늘날 정치와 사회 경제적으로 통일을 대비하는 부산한 움직임에 비해 가장 중요한 교육 부분의 대비는 상당히 미흡하고 관심도 부족한 실정이다. 남북의 통일 세대들이 지금 교육받고 있는 청소년들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교육 부분에서 남북의 동질성 회복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이다. 특히 같은 역사적 史實과 배경을 가졌으면서도 이념의 차이로 방법과 서술을 달리하고 있는 역사교육의 현장은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남북 중학생들이 학습하는 역사 교과서를 비교·검토함으로써 차이점을 분석하고 동질성을 찾아내어 통일 후 통합 교과서 편성에 조금이나마 일조하고자 한다. 주 연구 분야를 고려시대로 설정한 것은 고려의 통일이 민족의 자주적인 역량으로 이룩한 실질적인 민족 통일이라는 점이다. 고려 시대는 남북 청소년들에게 통일의 당위성과 방법론을 제시해 주고, 한반도 주변을 둘러싼 외세의 영향을 받고 있는 우리 현실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 먼저 남북의 역사 교육과 교과서 구성 및 서술에 대해 검토하였다. 남북 역사교육의 가장 큰 차이점은 그 목적에 있었다. 남은 한국사를 구조적으로 이해하면서 비판적 사고력을 가진 민주 시민 양성과 민족의 정체성 확립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에 비해 북은 사회주의 교육론과 유물 사관을 바탕으로 반외세·반봉건 투쟁을 본받으며 충직한 공산주의적 혁명가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 교육의 목표는 남북의 국사 교과서 구성과 서술에 그대로 반영되어 나타난다. 남의 국사 교과서 구성은 단원 조직과 학습 목표의 제시, 다양한 자료 수록 등으로 체계적인 학습이 가능하고 일관성 있는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획일적이고 단편적인 서술로 인해 학습자의 동기 유발 측면에서 부족하고, 사건이나 주제를 광범위하게 나열함으로써 학습 목표에 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북은 교과서 구성 면에서 체계성과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고 학습 자료도 부족하다. 그러나 반외세·반봉건에 대한 인민의 투쟁 의식 고취 등 그 교육 목표가 뚜렷하여 이에 도달하는 서술 방식은 효율적이다. 다만 목적이 지나치게 주관적이고 표현과 서술에 있어 직설적이고 격렬한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감정적이고 선동적이라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남북의 국사 교과서를 분야별로 비교·검토한 결과 몇몇 차이점이 있었다. 고려의 통일에 대해 남북은 신라의 통일과 관련하여 서로 다른 평가를 하고 있으며, 통치 기구의 목적과 기능에 대해서도 서술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외 항쟁과 사회사 부분에서 서술의 비중에 있어서나 의도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남북 역사교육 목표의 차이점과 상당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고려시대 서술에서 남북이 공유할 수 있는 공통점도 찾을 수 있었다. 고려의 통일에 대해 기본 시각의 차이는 있으나 외세의 간섭 없이 민족의 자주적인 역량으로 통일을 이룩하였다는 점과, 대외 항쟁에 있어 피지배층의 민족 자주성 수호에 대한 의지를 높이 평가한 점,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과학 기술과 민족의 정서를 담은 공예품을 발달시켜 민족 문화를 확립시켰다는점 등에서 공통적인 시각을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정치체제나 이념 아래서 서술한 교과서는 많은 부분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나 남북한은 오랜 기간 동일한 역사적 배경과 현장에서 같은 史實을 공유하며 살아왔기 때문에 나타나는 공통점은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특히 고려시대는 여러 차례 이민족이 침입해 온 국난을 극복하였고, 우수한 과학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민족 문화 유산을 많이 남겼기에 남북 교과서에서도 동질성을 많이 찾아낼 수 있는 시대이다. 민족 통일에 대비하여 남북의 이념과 체제의 차이를 극복하고 민족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남북 국사 교과서의 비교·연구가 활발해져야 한다. 그 방향은 차이보다는 공통점을 찾는 것이고, 그 위에서 통합 국사 교과서가 편찬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남북 청소년들이 통일 후 겪게 되는 역사 의식의 혼란과 갈등을 최소화하는 출발점은 교과서 비교, 분석 자료를 교육과정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이다. * 본 논문은 2003년 8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oday, the prospect of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is becoming more realistic. Yet, in comparison to the active efforts rendered in the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arenas to prepare for reunification, there appears to be a lack of interest and preparation in the most important arena education. Given that the youth of today will be the leading generation of the reunified Korea, recovering the homogeneity in the education of the North and South is a task that should no longer be postponed. This holds particularly true for history education history is taught to students through varying methods and descriptions on account of the differences lying in the theories and ideologies of the two Koreas, despite sharing the same historical facts and background.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hopes to be of some assistance in compiling the integrated history textbook in the aftermath of the reunification. To this end, following a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history textbooks of North and South Korea, this study will analyze the distinctions as well as the similarities. The Goryeo dynasty is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because Goryeo emerged ensuing a substantive national unification made possible by the autonomous capacity of its people. In this regard, the Goryeo dynasty will be able to demonstrate the justification and methodology of unification, not to mention the implications of the direct, indirect influence of Korea's neighboring countries on the Korean peninsula. First of all, I examined history education in general in the two Koreas, and the structure and description of the history textbooks. The results illustrated that the greatest difference lied in the objective of history education between the North and South. Education in South Korea makes an attempt to cultivate democratic citizens equipped with the capacity to think in a critical manner, while understanding Korean history with an institutional approach, as well as establishing the national identity. On the other hand, the objective of North Korean education is to nurture faithful communist revolutionists who learn to struggle against foreign influence and feudalism, based on the education of socialism and historical materialism. These two differing objectives in history education are well reflected in the structure and description of the respective history textbooks in the North and South. The structure of the history textbook in South Korea maintains a coherent structure that allows for systematic learning through such means as clear objectives of learning and a wide collection of materials. However, on account of its standardized and fragmentary description, the textbook falls short in inciting motivation. Also,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learning objectives as they list a wide range of events and themes. In the North, in terms of structure, the textbooks lack consistency and structure, let alone studying materials. But, certain objectives such as arousing the consciousness of the people to struggle against foreign influence and feudalism are explicit and the description methods for achieving such ends are effective. It can be pointed out, however, that the textbooks tend to be extremely emotional and demagogic by using direct and vehement expressions, while the objective is excessively subjective. There were a number of differences between the history textbooks of the two Koreas after comparing and examining each sector during the Goryeo dynasty. Fundamentally, the North and South make a different evaluation on the unification of Goryeo in the context of the unification of Silla. There is also a distinction in the descriptions regarding the objective and functions of the ruling organizations. Further, the textbooks show varying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description and intention in the area of struggle against foreign influence and social history. However, one can also find a range of common grounds that the two Koreas share in the description of the Goryeo dynasty, despite the differences in the basic perspective on the unification of Goryeo. For instance, both Koreas highly assess the fact the Goryeo was unified by the autonomous capacity of the people without any intervention of foreign countries, as well as the will to protect the national autonomy of the people in struggling against foreign nations. North and South Korea also share the view that Goryeo was able to establish its national culture by way of its globally renowned science technology and craft work that carries the spirit of its people As mentioned above, many differences exist in narrating history under differing political systems and ideologies. However, we cannot dismiss the similarities arising from historical universality, since North and South Korea have coexisted by sharing the same historical facts against the same historical background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particular, we can find similarities to a greater extent in the Goryeo dynasty in both the North and South Korea textbooks in comparison to other dynastie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Goryeo overcame numerous national crises on account of the frequent invasion of foreign nations, and created many globally recognized cultural relics with its roots embedded in advanced science technology. In preparing for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it is imperative to actively carry out studies on the history textbooks of the two Koreas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erences lying in the ideologies and systems of the two Koreas. The direction of these studies should be to search for similarities more so than differences for each dynasty and areas. Only when such similarities are accumulated can we compile an integrated history textbook. Furthermore, the starting point in minimizing the confusion and conflict with respect to the perception of history that the younger gene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will undergo, in the aftermath of reunification, would be to consider incorporating the comparison analyses of the textbooks in the education curriculum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3.

      • 유치원 홈페이지를 활용한 부모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장경숙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홈페이지를 활용한 부모교육이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사들이 그 운영상의 문제점과 효율적인 개선방안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유치원 홈페이지를 활용한 부모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나. 유치원 홈페이지를 활용한 부모교육의 문제점에 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다. 유치원 홈페이지를 활용한 부모교육의 개선방안에 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전국의 공립과 사립의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교원 237명이다. 연구문제 가는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의 실태로 51명의 교원들의 인식을 각 항목별로 빈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문제 나, 다는 홈페이지를 활용한 부모교육의 실시여부에 관계없이 문제점과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을 SPS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부모교육을 실시하는 곳은 25%정도였고 이들 유치원에서는 부모교육의 목표에 따른 체계적인 연간계획이 있었다. 그러나 홈페이지를 활용한 부모교육을 위해 사전 준비로 부모의 요구와 흥미도 검사, 문헌연구를 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또한 원활한 운영과 관리를 위해 교사교육을 하는 곳도 있었으나 전담교사를 두지 않는 경우가 더 많았다. 그리고 동영상을 이용한 프로그램은 거의 없었고 내용이 적정시기에 교체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홈페이지를 활용한 부모교육 운영상의 문제점을 보면 우선 홈페이지 관리를 위한 전담교사가 없는 점이고, 교육활동과 내용을 바꾸는데 시간이 많이 드는 점과 부모들의 인식이 부족하여 참여도가 낮은 점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컴퓨터 활용능력도 부족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홈페이지를 활용한 부모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 교사의 인식과 컴퓨터 활용능력의 문제보다는 시간의 부족이나 재정적 지원이 더 큰 문제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홈페이지를 활용한 부모교육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을 살펴보면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부모의 요구와 흥미를 반영하는 과정이 필요하다와 각 유아교육기관에서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대학이나 연구소 등 관련기관이 제공하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필요, 정부와 지역사회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순으로 모두 높은 응답율이 나타났다. * 본 논문은 2003년 8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is research identified how parental education based on the use of homepage at kindergarten is realized at the actual educational sites and how teachers perceive operational problems and effective improvement measures. Key issues addressed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realities of parental education that is based on the use of kindergarten homepage? 2. How is teachers perception of problems related to parental education based on the use of kindergarten' homepage? 3. How is teachers perception on improvement measures related to parental education based on the use of kindergarten homepage? Research targets were 237 teachers of nationwide private and public kindergarten that can be searched on the search engine. Research no. 1 pertains to the realities of 51 kindergarten where parental education is conducted based on the use of homepage. Teachers perception of effective operational measures and problems pertaining to the parental education based on the use of homepage was analyzed in research questions no. 2 and 3 by using frequency analysis based on the use of SPSS.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pproximately 25% used homepage to conduct parental education. These kindergarten had developed structured annual plan accordance to the goals of parental training. However, there were many instances in which parents demands, their level of interest and research of bibliography were not examined as a means of preparing for homepage assisted parental education. Moreover, there were schools that trained their teachers to ensure effective operation and management, but there were greater number of cases in which teachers with exclusive responsibilities were not available. And there were almost no programs that used motion image, and the study showed that the contents were not changed at the appropriate time. Second, when the problem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parental education that leverages kindergarten homepage were examined, the following were cited; absence of teachers whose role is to manage homepage, significant lead time required for changing educational activities and contents, and parents low participation level due to lack of awareness. Meanwhile, responses cited were that there was no shortage of teachers awareness and computer skills pertaining to parental education. This signifies that the foremost problem of executing parental education based on the use of homepage lies in the lack of time or financial support, more so than the teachers lack of awareness or inability to use computers. Third, when the teachers awareness pertaining to the effective operation of homepage assisted parental education was examined, it is possible to witness that there is a need for a process that will reflect the demands and interest of par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participation. Moreover, the following were cited in the order listed; need for educational program for parents, offered at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related institutions to facilitate each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s to purchase easily for use, and the need for government and regional community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hey all manifested high response level.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3.

      • 초등학교 음악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가창 교육을 중심으로

        박선영 西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07

        가창은 타 음악 영역과는 달리 외적인 매개물의 도움이 필요 없는 가장 직접적이고 오래된 표현의 형식이며, 따라서 학교에서의 가창 교육도 표현 영역의 중심이 되어 왔다. 온 마음을 다하여 노래 부르기를 할 때 아동들은 음악적 성장, 자아 실현, 가창 기능의 향상, 가창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Zoltan kodaly (1882~1967)는 "음악은 모든 어린이의 것이며, 목소리는 인간의 감정을 직접 나타내기 위하여 모두에게 주어진 악기이다. 학습은 가창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음악의 지도는 어릴 때부터 시작하여야 한다. 음악은 매일의 일과로서 경험되어져야 하며 그들의 능력을 최대한 발전시켜 주어야 한다."라고 하면서 아동기 시기를 중요하게 말하고 있다. 인간의 심성은 다른 어느 시기보다 아동기에 보다 더 건전하게 자라나고 중요한 시기이므로 아동의 흥미와 관심도가 사라지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창 교육이 여러 가지 장애요인으로 인하여 그 흥미와 관심도가 떨어지는 실정에 초점을 맞추어 서울시내 4개 초등학교의 교사와 4~6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으며, 또 현재 7차 교육과정상의 교과서 제재곡을 분석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 아동들에게 좀 더 좋은 음악적 체험과 건전한 음악적 취향을 가지게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도구인 설문지는 교사용과 아동용으로 구분하였는데, 교사용 설문의 내용은 수업 지도 시 음악 영역별 선호도, 교사가 본 아동들의 가창 수업에 대한 선호도, 가창 학습의 지도방법, 가창 지도의 충실도, 교사의 가창 능력과 실기 연수경험, 가창 학습을 위한 교재 활용도, 음악 학습을 위한 시설, 가창 실기에 대한 평가, 교내·외 음악관련 활동 실태, 교육 환경에 대한 실태 등의 10개 항목, 35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동용 설문은 음악 과목에 대한 흥미도, 음악 영역별 선호도, 가창수업 진행 실태 조사, 일상생활에서의 가창 활동 경험과 느낌, 아동의 가창 능력, 교·내외 가창 활동의 실태 등의 6개 항목 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회수된 설문지는 문항의 영역별로 구분, 빈도수를 중심으로 그 결과를 백분율로 처리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교사와 아동이 느끼는 가창 학습의 장애 요인을 도출, 가창 학습의 개선을 위한 나름대로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가창 교육에 대한 설문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교사의 가창 실기 연수에 대한 경험의 부족과 가창 능력에 대한 자신감 결여로 교사의 모범창을 회피하는 대신 CD(Tape)에 의존하여 지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위와 같은 현상으로 아동들은 기계적으로 듣고 따라 부르기로 일관하고 있어 가창활동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셋째, 대중매체를 통한 노래의 보급 효과가 지나치게 확대됨으로 대중음악에 대한 선호도는 높은데 반해 교과서 제재곡은 선호하지 않는다. 넷째, 교사들은 가창 지도 시 교사용 지도서를 잘 활용하지 않고 있으며 이유는 내용이 구체적이지 않아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한다고 하였다. 다섯째, 음악 교과의 특별활동 선호도가 대체적으로 낮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가창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첫째. 교사의 가창 지도력과 가창 실기 능력의 향상을 위한 연수과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는 아동에게 가창학습에서 노래만 익혀서 부르는 것이 아니라 가사의 내용과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자신의 개성적인 표현으로 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셋째, 제재곡 선정시 아동의 발달 단계와 음악교육의 목적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곡이 선정되어야 하며, 제재곡에 따른 부제재곡이 교수자료로 보급되어야 한다. 그리고 학습곡으로 인정받은 창작동요의 원활한 보급을 위해 녹음 CD(Tape)와 악보집 뿐만 아니라 비디오가 제작되어 일선 학교에 보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교사들이 지도서를 잘 활용할 수 있게 구체적인 학습 내용과 효율적인 교수법을 안내하여 가창교육을 위한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게 만들어져야 한다. 다섯째, 학교장과 교육기관의 심도 깊은 관심과 행사의 추진으로 특별활동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 본 논문은 2003년 8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status of singing education which is uninteresting due to several obstacles by making a questionnaire to both teachers and students from 4th to 6th grade at 4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besides to review existing songs in the current textbooks under the 7th curriculum so that improvement of music education which makes children have better musical experience and a taste of sound musical tendency could be suggested.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using a questionnaire which was divided into two objectives, teachers and students. In teachers questionnaire, it consists of 10 categories with 35 questions regarding : preference in teaching by area of music, students preference of singing class detected by teacher, teaching method of singing, reliability of teaching in singing class, teachers singing ability and experience of training related to singing, practical use of textbook for singing study, facility for singing study, practical examination of singing, the status of singing activity in & outside school, environment of education. In case of students questionnaire, it is composed of 6 categories with 20 questions with respect to the degree of interest on the subject of music, preference by area of music, the status of process in singing class, experience of singing activity and feeling in usual life, students singing ability, singing activity in & outside school.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each category and the result was conducted in percentage based on frequency and finally the obstacles which both teachers and students feel in singing education has been pointed out and the improvement of singing education is addressed. The problems based 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eachers have not received training related to music and they have less confidence of singing ability so they count on CD (Tape) rather than giving a fine example of singing. Secondly, students just listen and sing a song by rote so they seem to lose interest in singing. Thirdly, According as songs are spread widely thru mass media, popular music is more preferable than songs in textbook. Fourthly, it is indicated that teachers are not willing to use a guild book of singing for teachers since its contents isnt concrete and helpful. Fifthly, there is considerably less preference of music class in special activity. In order to vitality a singing activity at school with solving problems as mentioned ab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bellows. Firstly, the training course related to singing should be set up in order to help teachers improve teaching skill of singing. Secondly, Teachers need to give student a chance not only to learn songs in music class but also to show their individuality thru the text and a varity of experience. Thirdly, while selecting songs for textbook, it should be considered whether it follows childrens development stage and fulfills the goal of music education or not and sub songs according to main songs in text books need to be distributed as reference for teachers. Besides, In order to promote the spread of creative songs accepted as study so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schools with Recorded CD(tape), music books and video. Fourthly, teachers guild book should be more concrete and include more efficient teaching method so it could be helpful for teachers to utilize practically. Fifthly, As the principle of a school and education organization carry forward a plan of activity with the deep interest, special activities at school could be performed variously.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3.

      • 여자중학생의 무용수업에 대한 인식 : 충청북도 청주시내 학교를 중심으로

        김은경 西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무용교육에 대한 여자 중학생들의 인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들이 가지고 있는 잠재능력을 충분히 발현시킬 수 있는 적합한 수업내용의 선정과 효율적인 수업 방법을 강구하는데 있어 무용교육의 운영에 이용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총 23개 문항을 구성하여 충청북도 청주시 소재지에 위치한 무용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350부를 배포조사 하였다. 이 중에서 응답을 일부 또는 전혀 기입하지 않은 것, 응답을 했으나 기타로 모두 표기한 것 등 장난형식이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자료 17부를 무효처리한 후의 유효 설문지 총 33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3월과 4월에 설문지를 작성하여 2003년 5월 12일부터 18일까지 일주일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여중생들의 무용에 대한 관심을 살펴 본 결과, 무용에 대해서 관심이 있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더 많았으며, 무용에 대해 관심이 있는 학생은 아름다움에 가치를 두고 있었으며, 그렇지 않은 학생들은 재미없고, 어려워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중생들의 무용에 대한 관람도를 살펴 본 결과, 무용관람 경험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보다 많았으며, 무용관람 횟수는 1~2회가 가장 많게 나타났다. 관람은 주로 공연장이나 TV를 통해 많이 하였고, 관람하게된 동기로는 수행평가로 인한 관람이 가장 많았으며, 많은 학생이 관람의사가 있었으나 일부 학생은 수업의 연장으로 이어지는 것이라도 관람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중생들의 무용수업 내용에 대한 선호도를 살펴 본 결과, 여중생들은 현대무용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스포츠 댄스나 째즈 댄스와 같은 경쾌한 것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무용과 발레는 기본 틀에 박힌 것이어서 어려워하는 학생이 많았다. 또한 수업 내용의 즐거움에 대해 살펴본 결과, 무용수업을 재미있어하는 학생이 많았으며, 일부 학생은 무용수업을 지루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중생들의 무용수업을 통해 얻은 효과에 대해 살펴본 결과, 무용수업을 통해 신체를 움직임으로 몸매유지와 자세교정에 도움을 받는다고 인식하였으며,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고 자신의 생각을 틀에 맞추지 않고 표현할 수 있어 리듬감과 창의력 발달에도 도움을 받는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중생들의 무용수업시간에 대한 인식을 살펴 본 결과, 학생이 생각하는 무용수업 시간은 주당 2시간이 가장 많았다. 대체적으로 여중생들은 주당 수업시간에 만족하였으나 일부 학생은 무용시간이 '부족하다'거나 필요 없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여중생들의 무용수업시설 및 교구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많은 학생들이 무용수업시설 및 교구에 만족하고 있었지만 일부 학생들은 불만족스러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무용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장소로는 모든 학교가 무용실을 갖추고 있어 장소에 대한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교구에 대해서는 자신의 신체를 비추어 볼 수 있는 전신거울 가장 필요로 하였으며, TV·비디오 및 반주악기에 대해 불만족스러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2003년 8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dance course in school, and by doing so, to find implications for effective curriculum that enables students to give full play to their potential ability. For the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research with 23 questions. The subjects were sampled from middle schools in Cheongju city area where dance courses were offered. During the survey, total 350 set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333 sets of answers proved to be valid. The field research had been conducted for a week from May 12 to May 18, 2003. The finding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interests in dance, more stu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dance. Students with positive perception tended to regard dance as something very worthy while those with negative perception showed indifference to the dance largely due to the technical difficulties in performing dances. Second, about their experiences in visiting dance performances, more students gave positive answers. Most of them visited performances at least one to two times. They tended to resort to TV or to visit performing halls to see dances. One thing interesting is that many students were reluctant in visiting, but were forced to visit because of the mandatory assessment of learning performance at school. Third, about their preferences among dance types, they were found to prefer modern dances, particularly such cheerful and rhythmical ones as sports and jazz dance. Students tended to regard the so-called Korean dance and traditional ballet as too typical and too difficult to learn. About the curriculum offered, many students evaluated them as so boring and not delightful. Fourth, about the usefulness of dance course, more students perceived that the dance course is helpful for their physical shape and the correction of posture. They also perceived that the dance course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the sense of rhythm. Fifth, about the course hours, two credit hours are found most common at schools. Most students showe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class hours. Some of them answered for need more or dont need at all. Sixth, concerning facilities and teaching aid, most students showed their satisfaction while others were negative. Students are mostly satisfied with the ground facilities that are set up for dancing. About teaching aid, however, they showed less satisfaction. They are unsatisfactory with such equipments as mirror, TV, video, and accompanied musical instruments.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