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울산 A대학병원 사례를 중심으로

        이미정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국내·외 의료관광 산업의 활성화 정도에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부족한 울산지역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외국인 의료관광 현황, 의료관광의 국내·외 성공사례 및 제약 요인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문헌 고찰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울산지역 A대학병원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해외환자 유치 및 의료관광의 활성화 정도를 알아보고 울산지역 의료관광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다양한 논의와 실제적인 제안사항 등을 살펴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하여 1차 A대학병원 해외환자 유치 TFT의 자료를 살펴보았고 2차적으로 울산지역 의료관광 전문가의 인식을 중심으로 의료관광의 기반조성정책 및 의료 인프라, 의료 경쟁력, 경쟁력을 위한 제고 방안 등을 심층 면담하여 이를 토대로 PEST, SWOT 분석을 통하여 활성화를 위한 전략 수립을 하였다. 그 결과 A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외국인을 위한 건강검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다양한 외국인 대상 의료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후 전문 특화 의료서비스 개발과 중국과의 MOU 체결로 A대학병원 중심의 활성화 방안이 울산지역 지자체의 지원과 더불어 전문에이전시 육성, 지자체 차원의 홍보 활동이 이루어진다면 긍정적인 발전이 기대되는 상황으로 나타났다.

      • 다가구주택의 평면유형에 따른 주거만족도 분석 : 울산광역시 도심지, 대학가, 공단밀집지역

        박태준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71

        현재 다가구주택은 1993년 이후, 독신자와 대학생, 신혼부부들에게 선호되어 급속도로 개발, 보급되어 오던 주택으로서, 점차 우리의 실정에 맞게 계속해서 개선되어져 가고 있으나 오래전부터 독신가구의 비율이 높았던 선진국들과 비교해서 양적, 질적 측면, 특히 질적인 측면에서 아직은 많은 개선이 필요한 것이 또한 사실이다. 울산광역시 역시 다가구주택은 독신자와 대학생, 신혼부부들에게 선호되어 개발된 주택으로 이러한 다가구주택의 선호대상에 맞게 대부분의 다가구주택들이 대학가들이나 단독주택 밀집지역인 도심단독주택가에 주로 많이 분포 되어있으며, 울산시의 경우 1960년대의 공업화로 인한 마을형성과 함께 공단밀집지역에 다가구 단독주택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이들의 지역은 최근 울산지역에서 원룸형의 다가구주택 붐이 일어나고 있는 지역 중 매우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는 지역으로 남구지역은 전체 단독주택 중 다가구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이 80%를 넘어서고 있으며, 온산지역의 경우 울주군 지역 중 다가구주택의 34.2%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울산시 전체에서는 9번째로 많은 다가구주택의 비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이들 대학가지역과 도심지역, 공단밀집지역의 경우 울산시의 다가구주택 현황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지역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가구주택의 경우 다른 아파트 형 주거와 오피스텔 형 1-2인 가구 등 다른 주거와 비교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져 있지 않은 실정이며 특히 울산의 경우 다가구주택이 가진 문제점뿐만이 아니라 공단조성과 그에 따른 다가구 주거들의 무분별한 조성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들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가구주택이 밀집한 도심지역인 남구 달동·삼산동 지역, 대학가중심지역인 무거동 지역, 공단밀집지역인 온산공단 주변인 울주군 온산읍 지역 3개를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들 3개 지역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다가구주택의 내부평면 유형을 분류하고, 분류한 유형에 따른 주거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여 내부평면 구성방식의 개선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조사대상 지역 다가구주택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조사대상 지역 다가구주택의 내부평면 유형을 분류한다. 셋째, 각 다가구주택의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주거만족도를 분석한다. 넷째, 각 다가구주택의 내부평면 유형별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주거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다. 다섯째, 각 유형별 거주자들의 만족도 및 선호도를 반영하여 만족도가 높은 내부평면 유형에 따른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다가구주택의 내부를 이루는 공간 중 방, 욕실, 다용도실, 주방의 구성방식에 따라 평면유형을 분류해 본 결과 본 연구의 조사대상 다가구주택의 평면유형을 4개의 유형(원룸형(내부주방), 원룸형(미니주방), 투룸형, 쓰리룸형)으로 범주화하여 분류하였다. 첫 번째 유형인 원룸형(내부주방)은 방이 1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방이 내부에 방과 함께 통합되어 있고 욕실과 다용도실이 구성된 형태로 방과 주방이 통합된 형태(1RK)이다. 이 형태는 4가지 유형 중 완전 통합형에 가까운 원룸형 구조로서 가장 작은 규모의 구조를 가지기도 한 형태이기도 하며, 대학가나 1인가구가 거주하는 평면유형으로 가장 많은 유형이기도 하다. 이 유형의 경우 주방이 내부에 위치해 있어 위생 및 청소, 환기 등의 여러 가지 문제 등을 야기하며 다가구주택의 열악한 주거환경을 형성하는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유형의 경우 작은 평수로 여러 가구를 지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많은 다가구주택을 건축하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유형이기도 하다. 두 번째 유형인 원룸형(미니주방)은 앞의 첫 번째 원룸형(내부주방)과 달리 주방이 분리된 형태로 완전 통합형인 첫 번째 유형에서 주방이 분리된 원룸형태(1R+K)이다. 이 유형의 경우 첫 번째 유형인 원룸형(내부 주방)이 주방이 방 내부에 있음으로 인해 환기 및 미관 청소 등 여러 가지 문제 등을 야기할 수 있는 것을 개선한 형태로 열악한 다가구주택의 환경을 조금 더 개선한 형태로 볼 수 있다. 이 유형은 1인가구 거주용 원룸형으로 현재 가장 많이 선호하는 주택 평면유형이다. 세 번째 유형인 투룸형의 경우는 1개의 방과 거실로 이루어진 형태로 거실에 주방이 통합된 형태(1R+LK)이다. 이 형태는 앞의 두 원룸형과 다르게 거실이 추가된 형태로 규모가 넓으며 방 이외의 거실이 따로 있어 공간활용도가 뛰어나고 1인 뿐만이 아니라 2인까지 사용가능한 구조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 유형인 쓰리룸의 경우는 가장 규모가 큰 유형으로 방 2개와 거실을 가지며, 거실에 주방이 통합된 형태(2R+LK)이다. 이 형태는 1인이 사용하기에는 큰 평면유형으로 2인이 사용하기에 적절한 공간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형태는 1인 가구보다는 2인가구인 신혼기 가구나 2인 동거가구에 적합한 평면유형으로 대학가지역보다는 도심지지역이나 공단밀집지역에 더 많이 분포한 유형이다. 본 조사의 연구방법으로 연구의 대상지역은 다가구주택이 많이 밀집한 도심지지역 주변인 남구 달동·삼산동 지역, 대학가 주변인 무거동 지역, 공단밀집지역인 온산공단 주변인 울주군 온산읍 지역 3개를 선정하였으며, 3개 지역의 비율을 동일하게 하여 층화한 후 다가구주택 1-2인 타가 거주자를 대상으로 단순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총 100가구를 선정하기 위하여 1단계에서는 지역에 따라 조사대상을 할당하고 2단계에서는 다가구주택에 거주하는 1-2인 타가 거주자로 조사대상 할당하였고, 응답대상자는 1인 또는 2인 거주자로 신혼기인 경우 아동의 경우는 3인까지 대상자로 포함하여 다가구주택에 거주하는 자가 소유자를 제외한 전세 및 월세, 사원주택 등에 거주하는 타가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2013년 10월 7일부터 10월 20일까지 총 120부의 설문지를 배포 후 내용이 부실하거나 맞지 않는 31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40부를 배포 후 회수하여 총 129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조사자료 분석에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를 통해 전반적인 경향을 파악하고 주요개념에 대한 집단별 평균비교를 통해 만족도와 필요여부에 대한 평균을 비교하기 위하여 평균비교 F검정과 t-검정 실시하였으며, 또한 두 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종속 변수가 독립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교차분석과 χ²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조사결과에 따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가구주택이 도심지역과 대학가지역, 공단밀집지역인 3개 지역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각 지역별로 4개의 평면유형이 가지는 특성을 살펴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에 따른 각 지역별 특성이 반영된 연구의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 대학가 지역인 무거동의 경우는 대학생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곳으로 대부분 원룸형(내부주방), 원룸형(미니주방)의 두가지 유형이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붙박이장과 외부발코니에 대한 필요성이 높게 요구되고 있어 향후 이에 대한 개선안이 이 지역의 다가구주택 건축에 반영되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도심지역인 달동·삼산동 지역은 원룸형(미니 주방)과 투룸형에 많이 거주하고 있으나 향후 투룸과 쓰리룸에 거주하길 원하는 비율이 높고 거실에 대한 불만이 높아 이에 대한 검토와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공단밀집지역인 온산읍지역은 원룸형(미니 주방)과 투룸, 쓰리룸형 등 세 지역 중 제일 넓은 규모에 거주하고 가장 많은 기혼자들이 거주하고 있어 다른 집단과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어 이에 대한 특성이 반영된 계획이 필요할 것이다. 이 지역은 다른 지역과 다르게 공용시설인 휴게실과 회의 및 다목적실을 필요로 하고 있어 계획과정에서 이에 대한 파악과 숙지가 필요할 것이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현대사회 생활양식의 변화와 가구 분화 등으로 인하여 다가구주택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다가구주택의 경우 일률적인 평면유형으로 공급되어지고 있으며, 거주자에 초점을 두어 사용자의 측면에서 평면유형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둘째, 최근 다가구주택에 대한 수요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공급이 급격히 증가되었으며 앞으로의 주택시장 동향과 사회변화를 예측해 볼 때 이러한 변화는 가속화할 수도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를 위해 적절한 공급과 계획을 위하여 본 연구의 결과에 나타나듯이 지역적 특성과 유형에 따라 수요층의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계획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다가구주택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본격적으로 실시되기 시작한 시점인 2000년대 이후의 주택유형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방법과 연구대상에 있어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과 논의로 인한 다소 한정적인 연구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를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연구진행을 통해 연구의 기준을 마련하고 확립하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울산의 전체 지역이 아닌 일부지역만을 대상으로 조사함으로써 연구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을 가지므로 다양한 지역과 많은 다가구주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간호서비스에 대한 입원환자와 간호사의 인식차이 분석 : 울산대학교병원을 중심으로

        윤숙화 울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71

        < 국 문 초 록 > 간호서비스에 대한 입원환자와 간호사의 인식차이 분석 - 울산대학교병원을 중심으로 -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경 영 학 전 공 윤 숙 화 본 연구의 목적은 환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간호서비스의 질을 평가하고, 입원환자가 인식하는 간호서비스 만족도와 간호사가 인식하는 간호서비스 수행도를 비교하고 두 집단 간의 간호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차이를 파악하여 환자의 기대에 적합한 간호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또한 간호업무 수행 시 제공 되어지는 간호서비스를 환자가 어떻게 인식하는 지를 파악하여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울산시에 있는 울산대학교병원 입원환자 170명과 간호사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1년 5월2일부터 5월11일까지 10일간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La-Monica(1987)등이 Risser(1975)의 환자만족도 도구를 근거로 개발한 환자만족도 측정도구(Patient Satisfaction Scale : LOPSS)를 양은진(2002)의 연구에서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30개 문항의 5점 척도도구이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중 환자의 일반적 특성은 환자의 성별은 여자가 89명(52.4%), 교육정도는 고졸이 90명(52.9%), 종교는 불교가 82명(48.5%), 결혼상태는 기혼이 139명(81.8%), 월수입은 200~300만원이 55명(39.0%)이었으며 환자의 평균연령은 41.5세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연령 29세로 결혼상태는 미혼이 123명(61.5%), 학력은 전문대졸이 132명(66.3%),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138명(69.0%), 임상경력은 5~10년이 61명(30.5%), 간호직을 택한 동기로는 취업의 용이성이 98명(49.0%)로 나타났다. 둘째, 간호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와 간호사의 수행도간 인식차이는 전문․기술영역의 결과를 보면 ‘숙련된 기술로 능숙하게 일처리’하는 것에 대한 환자의 평가는 평균 4.253, 간호사의 평가는 3.612로 두 집단의 평균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의견을 제시’하는 것에 대한 환자의 평가는 평균 4.059, 간호사의 평가는 3.518로 두 집단의 평균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성․공감성영역의 결과를 보면 ‘환자의 기대만큼 친절하게 대함’, ‘환자의 말을 경청하고 응답’, ‘환자의 병원생활이 즐겁도록 배려’, ‘환자들에게 공평하게 대함’, ‘환자의 의견과 요구를 고려해서 간호함’, ‘환자가 도움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응함’, ‘환자의 문제를 잘 이해함’에 대해서도 환자가 간호사보다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영역의 결과를 보면 .‘치료계획에 따라 환자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설명’, ‘환자가 편안하게 질문할 수 있도록 행동’, ‘주사, 투약, 검사 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제공’, ‘간호사는 자신이 이야기하는 것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있음’에 대해 환자가 간호사보다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외의 다른 문항에 있어서는 환자와 간호사간에 유의한 인식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간호서비스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차이는 ‘숙련된 기술로 능숙하게 일처리’, ‘안전하게 주사와 처치’에 대해서도 환자가 간호사보다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자가 도움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응함’에 대해서만 환자가 간호사보다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외의 모든 문항에 있어서는 환자와 간호사의 유의한 인식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간호서비스에 대한 입원환자의 만족도와 간호사의 수행도 평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문항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고, 반면 항목별 중요도 평가에 있어서는 대부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와 간호사의 수행도 평가는 두 집단 모두 중요도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실제로 환자가 입원해 있는 동안 간호사로부터 제공받은 간호서비스에 대한 요구와 기대에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간호사들은 입원환자와 간호사의 인식차이를 제대로 알고 간호서비스 질을 향상시켜 환자들의 간호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하겠다.

      • 가상대학 활성화 방안 : 울산대학교 중심으로

        조상석 울산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71

        지식은 보다 나은 생활환경여건과 발전의 원동력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누구나 지식을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더 나은 지식을 교육받기를 원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는 학습자들에게 보다 쉽고, 보다 많은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을 모색하게 하였다. 최근 들어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거리와 시간, 그리고 장소에 구애없이 누구나 언제나 어디서나 교육받을 수 있는 가상대학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교육방법으로 변화하고 있다. 본 논문은 가상대학의 올바른 개념 정립과 현재 국내·외에서 시범운영 및 설립운영 중에 있는 가상대학의 사례를 알아본다. '98년 교육부로부터 가상대학 시범운영 대학으로 지정받아 운영 중인 울산대학교 가상대학이 제대로 활성화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이유 등을 알아보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우리 대학 구성원들 모두가 새로운 교육여건의 변화를 보다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새로운 교육환경 변화에 적극 대처하고자 하는 기대에서 시작한다. Since knowledge is considered a dynamic(driving) force in the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and the qualities of human life, we are constantly trying to obtain more information and quality education. To satisfy people's desire to learn, we have paid much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thods of convey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learners. Recentl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have made it possible to establish a new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a Cyber University, in which anyone can receive education regardless of time, distance, and place. In this thesis, we have established a proper definition of a Cyber University and examined several local and international Cyber Universities presently in operation or under construction. In particular, we investigated a case of a Cyber University run by the University of Ulsan, which earned permission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open it in 1998. We examined why the Cyber University at UOU has not been vitalized and suggested possible methods to run it more effectively. This thesis has started in the hopes that all university members in Ulsan will accept the changes in educational conditions and be able to cope with a different educational environment.

      • 온라인 대학행정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몽골 'Ikh Zasag 국제대학교'와 한국'울산대학교'의 비교 연구

        바타르쿠 이시둘람 울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온라인 대학행정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품질이 고객 만족도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몽골 사립 대학교들 중에 “IKH ZASAG”대학교와 대한민국의 울산대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비교 연구했다.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는 Davis et al.(1989)의 TAM 모형, Zeithaml, Parasuraman and Berry (1988)가 제시한 SERVQUAL 척도를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Gronroos (1982, 1984), Bitner (1990)의 연구 등을 이론적 토대로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을 설정했다. 본 연구는 서비스 품질, 시스템 품질, 고객만족도, 서비스 이용 태도, 재이용의도의 5가지 항목의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설문조사하였으며, SPSS 및 AMOS 구조방정식 모형을 채택하여 수령타당성, 판별타당성 그리고 본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울산대학교 학생들은 서비스에 전반적으로 만족하며 재이용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학교 당국이 만족도를 향상시키고자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결과를 보여준 몽골 Ikh Zasag 국제대학교의 경우는 학생들이 대학에서 제공해 주는 온라인 서비스에 신뢰가 없어서 만족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Ikh Zasag 국제대학교는 앞으로 학생들의 신뢰도, 편리성, 유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서비스품질, 시스템 품질 개선 및 마케팅에 많이 투자해야 될 것이고,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몽골의 대학교에서 마케팅의 실질적인 전략을 실행하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건축계획적 측면의 고층 주상복합아파트 거주후평가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조희덕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 국 문 초 록 》 본 연구는 울산시에 위치한 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중 대상지역 A, B, C 3개의 고층주상복합아파트를 대상으로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거주후평가를 실시하여 거주자들의 선호도와 만족도를 파악하여 이를 건축계획적 측면에서 반영 할 수 있도록 개선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지역은 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주요 요소 중 하나인 경관을 중심으로 태화강에 인접하여 위치한 주상복합아파트로서 주상복합아파트의 특성상 중요한 하나의 요소인 경관을 중심으로 남향의 중구 2개(우정동, 옥교동 2개)와 북향의 남구 1개(신정동 1개)의 총 3개의 주상복합아파트를 선정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지역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사례를 실태파악을 통해 현황분석 한 결과 A 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입주기간이 가장 오래되었고 아파트와 기타시설의 입주율이 가장 높았으며, 주차공간은 조명설비와 환기시설이 가장 부족하고 주차율도 초과된 상태로 현재도 방문객의 경우 주변 골목이나 상가 등에 주차를 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심각한 주차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여겨져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B 고층 주상복합아파트는 분양이 완료된 상태로 시설이 가장 좋았으며, 주차공간은 포화상태지만 상가입주가 되어있지 않아 상가주차공간으로 충당하고 있으나 장기적 측면에서는 주차공간이 문제가 될 소지가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C 고층 주상복합아파트는 가장 최근 입주된 아파트로 아파트의 분양과 입주율이 저조하며, 기타시설은 전혀 분양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주차공간은 여유가 있는 편이지만 다른 두 곳과 비교해 진출입 부분과 통로부분의 폭이 협소한 것으로 조사되어 향후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조사대상 고층 주상복합아파트 거주후평가 결과 소득이 90% 정도가 500만원이상의 소득을 가지고 있어 일반 주택유형 거주자에 비해 높은 소득을 가지고 있으며, 차량보유율이 40%이상이 2대를 소유하고 있으며, 거주향은 태화강과 근접한 조망권을 가지고 있어 이에 연관이 있다고 보여진다. 선호도 조사결과에서는 선호시설의 경우 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장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생활의 편리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발코니의 경우 대부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적합용도로 확장 및 다용도실로 활용 하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근시 주차장에서 빠져나오는 시간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10분 이내에 빠져나오는 것으로 매우 짧은 시간이 소요되어 이는 조사대상 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상가 및 아파트 입주율과 등으로 인한 주차공간의 여유로 인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셋째, 조사대상 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만족도 조사결과 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경우 조망권의 만족도(4.13)가 높게 나타난 것은 태화강주변에 위치하여 경관의 우수한 입지조건으로 전망이 뛰어난 것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주택관리비(3.43) 및 주거 내 자연환기(3.58), 세대내 층간소음(3.79)은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난 것은 고층주상복합 아파트 단점으로 소음, 채광, 환기 등의 주거환경문제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과 연관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지하주차장 환기시설(3.24) 및 조명시설(3.48)은 전반적인 만족도에 비해 불만족도가 높아 지하주차장의 환기 및 조명이 가장 문제점인 것도 같은 맥락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매우 높았으며, 이는 고가에 분양받은 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자가 거주비율이 높고, 미래의 가치를 중요시함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것으로 표현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론을 통하여 살펴 본 결과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조사대상 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현황조사결과 향후에는 주차공간이 문제가 될 것으로 여겨지며 이에 대한 보완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장점인 생활의 편리성이 거주후 평가 결과 시설의 선호도와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복합시설 및 상업시설의 계획에 있어 이를 고려한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경우 조망권은 고층 주상복합아파트가 가진 매우 중요한 선호요소로서 가장 만족도가 높은 항목으로 조사된 만큼 앞으로 조망에 대한 고려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넷째, 만족도 조사결과 관리비 및 세대내 자연환기(통풍, 창문), 지하주차장의 환기 및 조명의 항목에서 가장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각 항목별 만족도 결과에서도 거의 대부분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어 이러한 관리비와 세대내의 환기 및 주차장의 환기, 조명의 불만족을 해소하기 위해서 앞으로 고층 주상복합아파트의 건축계획시 이러한 문제점을 검토하여 보완 해결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는 울산에 위치한 고층 주상복합아파트(30층이상)를 중심으로 3개 단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기 때문에 이를 일반화하기에는 연구의 한계점을 가진며 거주년수 또한 2년-5년으로매우 짧아 거주후 평가에 적합한 주거 만족도를 측정 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한계점을극복하기 위하여 앞으로 보다 많은 고층 주상복합아파트와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 심도 깊은조사가 이루어져야 할것이다.

      • 지방자치단체의 생활임금 실현 방안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생활임금 정책의 실현 과제를 중심으로

        한주희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국 문 초 록 지방자치단체의 생활임금 실현 방안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생활임금 정책의 실현 과제를 중심으로 - 울산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한 주 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인한 경기 침체는 일자리 감소와 소비 감소로 이어졌고, 저임금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고용주들은 이러한 경기 침체로 인한 손해를 근로자들의 일자리를 줄이는 것으로 해소하려는 분위기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저임금 근로자들이 느끼는 경기 침체의 영향은 이전보다 더 커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현실은 사회 양극화를 가속화하고, 빈곤층을 확대시킨다는 점에서 빠른 대처가 필요하나, 이들에 대한 보호정책은 여전히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현행법상 이러한 사회 양극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최저임금제가 시행되고는 있으나, 이 역시도 그 한계로 인하여 저임금 근로자들의 빈곤 해소를 위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도입이 논의되고 있는 생활임금은 임금의 하한을 높여 근로자들의 안정된 생활을 보장함과 동시에 노동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써, 최저임금제를 보완 또는 대체할 수 있는 제도로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다른 광역자치단체에 비해 울산광역시의 경우에는 비교적 재정자립도나 지역 경제상황 자체는 좋다고 볼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대기업 근로자와 저임금 근로자 사이의 큰 임금 격차가 지역적 문제로서 지적되고 있기도 하다. 생활임금은 이러한 임금격차 해소에도 유의미한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근로자의 기본적 임금 보장 및 각 근로자 간의 임금 격차를 줄이는 것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으로서의 생활임금의 도입 필요성과 함께, 특히 울산광역시의 생활임금 정책 실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검토해 보자면, 생활임금은 경기 침체에 따른 저임금 근로자의 존엄성을 유지·대처하기 위해 도입한 것으로 저임금 근로자와 그 가족의 안정된 생활을 보장하고, 지역사회의 소득 불평등을 개선하며,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제도이다. 우리 헌법 제32조에서는 모든 국민은 근로의 권리를 가지며 국가는 사회적·경제적 방법으로 근로자의 고용 증진과 적정 임금의 보장에 노력하며,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도록 하고 있는데, 생활임금은 이러한 법리에 부합하기에 이를 근거 규범으로 삼을 수 있다. 다만, 이 제도가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법률에 근거한 제도로서 자리매김해야 할 것이나, 현행법상 이 제도의 활용을 강제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고,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생활임금에 관한 조례를 마련하고 있기는 하나, 이 역시도 상위법과의 충돌 여부나 문제점 등은 없는지 검토가 되고 정리되어야 한다. 이러한 검토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주로 생활임금 제도를 두고 있는 다수의 외국 사례를 소개한다. 먼저 영국은 생활임금을 국가적 차원의 법으로 도입해 국가생활임금법으로 시행하고 있고, 이와 더불어 노조, 지역 단체, 종교 단체, 정치 조직 등이 함께 생활임금 캠페인을 하여 기업으로의 적용 범위 확산에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미국은 연방국가로서 각 주의 특성에 맞게 운영되고 있으며, 특히 조례의 법적 효력 논란은 각 주의 사법 시스템을 통해 해소하고 있다. 한편, 일본은 생활임금의 한 부분으로 기업 소속 근로자에게만 적용하는 별도의 공계약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이 공계약 조례 안에는 임금의 하한액과 함께 위반 시의 제재 규정 및 시정조치 명령 규정도 두고 있는데, 이러한 규정은 우리나라에서 생활임금의 민간 확대를 추진함에 있어서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사례라 여겨진다. 이와 관련하여 지방자치법 제22조를 살펴보면, “지방자치단체는 법령의 범위 안에서 그 사무에 관하여 조례를 제정할 수 있다”라고 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지방자치단체는 원칙적으로 법령에 위반되지 않는다면 법령의 위임이 없이도 조례를 제정할 수 있다고 해석되고 있다. 다만, 같은 조항의 단서에서는 “주민의 권리 제한 또는 의무 부과에 관한 사항이나 벌칙을 정할 때에는 법률의 위임이 있어야 한다.”고 정하고 있다. 이 위임에 대해서는 위헌성 여부가 논의된 바 있으나, 대법원과 헌법재판소는 기본권 제한에 대해 헌법 제37조제2항을 근거로 법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있다. 따라서 현행법상 생활임금 지급대상자는 지방자치단체 소속 공공부문 근로자에게만 한정될 수밖에 없으며, 이는 현행 조례가 갖는 한계점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현 상황에서 생활임금 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지급 범위를 확장시키는 것은 법의 범위를 벗어나 지방자치단체장의 고유권한을 침해하는 결과를 낳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현행법의 범위 안에서 보다 효율적인 생활임금 제도 도입 방안의 모색과 함께 상위법의 개정 등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울산광역시 생활임금 조례의 내용 중에서 제·개정 되어야 할 내용이 있는지를 다른 광역자치단체의 조례와 비교함으로써, 울산광역시 생활임금 조례의 내용 중에 개정할 부분과 신설할 조항을 찾아 제시해 본다. 그리고 생활임금 조례의 내용 중에서 적용 대상자의 범위가 공공부문 소속 근로자에게만 한정되어있어 적은 수의 근로자만이 생활임금의 혜택을 누리고 있다. 그렇기에, 더 많은 근로자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민간 부문으로의 확산을 위해서 국내에서 먼저 시행 중인 지자체의 사례와 외국 사례를 바탕으로 효과적으로 민간기업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울산광역시는 재정여건이 좋은 상황이지만, 반면에 대기업과 저임금 근로자와의 임금격차를 줄여야할 과제가 있다. 기업이 자발적으로 최저임금 이상인 생활임금 수준으로 임금을 인상해 준다면 가장 이상적이겠지만,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이 이렇게 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울산광역시 생활임금을 시행함에 있어 민간 기업에게 적용할 법적, 제도적인 방안과 타 시도와의 조례 분석을 바탕으로 조례의 제·개정 내용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울산광역시가 생활임금을 공공부문만이 아닌 민간부문으로의 확산할 수 있는 방안도 제시한다. 주요어: 임금, 저임금 근로자, 생활임금, 최저임금, 지방자치법, 조례 제정, 생활 안정, 사회 양극화, 정책 실행

      • 울산광역시 건설행정의 변천에 관한 연구

        이상기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5

        토목사업 중에 토목기술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토목기술을 어떻게 향상시켜 나아갈 것인가가 토목행정의 중요과제이다. 이와 같이 복잡 다양한 토목행정을 적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토목행정과 관련된 조직, 법률, 제도의 정비가 중요하다. 최근 필요성의 다양화, 복잡화에 대응해서 조직, 제도, 법률도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각 분야의 토목행정을 국가의 기본방침으로 하고 종합 조정하는 등 치수, 도로, 항만의 각 분야에 걸쳐 계획적 시설정비를 위해 각종 계획 등을 작성해서 토목행정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울산시의 건설행정의 변천과 발전을 제고하기 위해서 타 자치단체의 건설행정의 재정, 조직현황, 담당업무, 민자유치사업 현황 등을 비교·검토하였다. 울산의 경우 처음에는 작게 시작한 건설행정이 현재에 이르러서는 크게 확대되었으나 아직 타 광역시 및 자치단체와 비교해서는 여전히 신설되어야 할 부서가 있는 걸로 생각이 된다. 예를 들면 대구에 있는 건설사업시험소와 부산에 있는 건설안전시험소와 같은 연구시설이 필요하다고 생각이 된다. 그리고 타 광역시의 종합건설본부와 같이 지하철건설본부 조직을 편성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므로 도로건설부내 지하철계획담당과 도시고속도로담당을 두어 지금이라도 지하철건설에 대한 기본조사 및 타당성조사를 하여 향후 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며, 현재 울산시의 재정여건을 고려하여 많은 투자비가 소요되는 사업은 민간 및 외국자본을 투입될 수 있는 민간유치사업에 심의를 기울이야 될 것이다. 또한, 부수적으로 급변하는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건설행정의 인·허가시 온라인으로 처리로 모든 것을 가능케 하는 시스템구축이 필요하고 건설생산 및 관리체계의 개편과 관련해서는 건설사업관리자(CM)의 신고제와 수행능력평가제 도입, 일반건설업과 전문건설업간의 겸업제한 폐지, 일반건설업자간 하도급허용 주약자형 공동도급제도의 도입 등이 본격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2001년부터 1천억 이상 PQ공사에 대해 최적 낙찰제가 실시되고 있어 이행보증서 제출이 의무화됨에 따라 당장 객관적이고 공정한 이행보증심사기준과 이행방법의 정비를 촉진하고, 정상기업과 부실기업을 차별화 할 수 있는 적격심사기준 등의 개선과 함께 등록기준의 상향조정이나 10억원 미만 소규모공사에 대한 최저가 낙찰제의 도입 등도 검토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change of the construction administration and Things abou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Ulsan. Thus it is compared the duty organization and the finance of the construction administration of the self-government group The construction administration to begin in the beginning of the case of Ulsan is small and it is reached present time and were enlarged greatly. but It is compared with the global stroke and self-government group and it is defective level. so It must have the new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which is the additional Finally, Ulsan metropolitan city needs the system setup that a permission to clear online of the construction administration.

      • '친환경무상급식'정책의 공공적 성과 분석 : 울산광역시 북구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형근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논문 요약 친환경 무상급식정책이 시행된 지 3년째 접어들고 있지만, 그동안의 학교급식 역사에서 차지하는 정책적 의의보다는 보편적 복지를 둘러싼 정치적 성격의 의제에 머물고 있다. 하지만 재원의 지원여부와 상관없이 학교급식이라는 영역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윤중심의 시장논리에 갇혀지면서 공공성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급식을 공공의 영역으로 보고 그러한 공공적 성격을 친환경 무상급식의 시대에 어떻게 구현할 지는 친환경 무상급식정책의 내실과 지속적인 전망을 위해 사활적인 문제이다. 본 논문은 이에 대해 울산북구의 친환경 무상급식정책의 수행주체인 ‘울산북구 친환경급식지원센터’의 구체적인 정책수행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급식지원센터의 유형을 제시함으로써 학교급식에서의 공공성 실현의 단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먼저, 학교급식의 역사를 통해 현재까지의 학교급식이 시장의 이윤중심 폭력성에 포위되어 있다고 분석한다. 대통령 선거공약에서 출발한 초중고교의 학교급식은 위탁급식으로 시작되었다. 그런데 위탁급식은 학교에 급식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조건과 전국적인 급식시작이라는 요구의 절충으로서 탄생된 기형적 제도였다. 부족한 인프라를 업체가 구축하면서 비용대비 이윤 창출을 위해서는 식재료에 대한 저질성이 동반되어야 했고 이는 결국 수많은 급식사고를 야기하면서 대규모의 식중독사고를 계기로 위탁급식시대를 마감하였다. 이후 직영급식시대가 시작되었고 우수한 식재료의 사용을 위해 친환경 농산물이나 우리 농산물을 사용케 하는 ‘우수식재료 차액지원’ 사업이 전국적으로 지방자치단체들의 조례제정과 더불어 시행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이 사업 또한 공공성을 만족시키진 못하였다. 해당 학교와 같은 지역에서 생산되는 생산물이 있어도 기존의 시장 유통구조에서는 학교에서 사용하기가 어려웠다. 심지어 생산자의 자녀가 다니는 학교에 그 생산자가 자신의 농산물을 식단에 올리고 싶어도 방법이 없었다. 그만큼 학교급식은 기존시장에 의존하는 정도가 심하여 시장 종속적인 성격으로 점철되어 있는 구조였다. 시장의 이윤중심 폭력성은 결국 얼마나 값싼 물건을 구하고 만드느냐에 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저질 재료를 친환경 농산물에 혼입하는 것이다. 저질 재료는 주로 수입 농산물이나 일반 관행농산물이 활용되었다. 축산물에서는 한우와 육우의 혼입 등을 활용하였다. 가공품의 경우, 값비싼 국내산 원재료의 함량을 줄이고 값싼 수입산을 사용하고 맛과 색깔을 향상시키기 위해 화학 첨가물을 사용한다. 학교급식은 예산에 얽매여있기 때문에 원재료에 대한 확인보다 가격과 맛이 선택의 기준이 됨으로써 결국 제조사나 유통사의 이윤중심 행태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학교급식을 관리 감독하는 기관인 교육청의 ‘학교급식관리지침’에 대해 지난 10여 년간의 내용을 분석해보면 ‘위생’의 관점에 경도되어 ‘관계’의 관점에서의 적극적인 정책이나 지침은 찾기 힘들고 업체의 평가나 급식평가의 틀은 글자하나 바뀜이 없이 10여 년 동안 계속될 만큼, 변화무쌍한 시장과 대비하여 사실상 무대책임을 스스로 노정하고 있다. 학교급식의 공공성은 막대하게 투입된 예산이 기존의 시장구조 속에서 흔적 없이 용해되어 아무런 성과 없이 시장의 이윤중심 폭력성의 노리갯감이 될 수는 없다는 당위론에서 출발한다. 이는 학교급식법에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의무로서 ‘양질의 식재료’를 ‘안전하게 제공할 의무’ 등등으로 표현된 바와 같다. 당위론과 더불어 ‘양질의 식재료’를 ‘안전하게 제공’하기 위한 기구로서 ‘학교급식지원센터’의 존재 이유와 근거는 명확하다. 문제는 ‘어떻게?’ 이다. 기존시장에 맡기어서는 공공성을 실현할 수 없다는 것이 확연한 역사에서 공공성을 실현할 총괄 관리형 기구가 독립적으로 존재해야 함을 울산북구의 사례는 보여준다. ‘울산북구 친환경급식지원센터’는 민간의 전문 역량과 행정이 결합한 민관협치형 기구이다. 지역의 생산자원을 발굴하여 조직하고 학교의 식단과 연결함으로써 2년간에 걸쳐 지역농산물이 36종이나 친환경으로 생산되어 학교에 사용하게 되는 대 변화를 낳았다. 식재료의 품질기준을 수립하여 조례에 명시함으로써 출처와 근원이 불분명하거나 위해가능성이 있는 물질(GMO, 트랜스지방, 화학첨가물, 벤조피렌, 방사능 등)을 배제하게 되었고 이로써 ‘사전예방의 원칙’에 따라 위해요소들을 사전에 차단하는 성과를 낳았다. 이상과 같이 식재료의 수급을 철저히 지역우선, 품질우선에 둠으로써 지역생산자나 원재료 생산자와의 ‘얼굴이 보이는 관계’가 직접적으로 구축되어 혼입 등 이윤중심의 시장의 폭력성 구조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물류기능 위주의 센터를 벗어나서 물류에 대한 관리감독권을 가지고 기존의 물류시설과 조직을 활용하는 방식을 도입하여 물류업체가 이윤창출을 위해 쓰는 여러 술수들을 원천적으로 차단시켰다. 나아가 이러한 관계 맺기의 과정과 본질에 대해 친환경교육과 체험사업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지역자원의 존재감과 친환경의 소중함을 학생이나 학부모들이 이해하고 공유하게 되었다. 이로써 ‘울산북구 친환경급식지원센터’는 ‘학교급식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행정책임형 직영기구’, ‘물류를 직영하지 않는 콘트롤타워형 정책기구’, ‘자주적으로 운영하는 민관협력기구’, ‘농?도복합 지역조건에 맞는 중간지원기구’로서 급식지원센터의 한 유형을 제시한다. 한계 또한 존재한다. 구청과 교육청, 시민단체가 함께 해결해야할 학교급식의 영역에서 교육청이 센터구성에서 빠짐으로써 3주체가 함께 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다품종 소량 사용하는 급식의 특성상 모든 생산자와 모든 생산량을 전부 소화할 수 없기에 생산자간의 갈등이 생겨 지속가능한 생산조직에 균열이 갈 수 있다. 나아가 지역생산과 학교가 연결하게 됨에 따라 공공성을 잊은 채로 지역생산 이외 모든 품목의 공급을 위한 무분별한 욕심이 생길 수도 있다. 이상의 성과를 잇고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로는, 첫째, 교육청이 주체로 참여하여 명실상부한 급식책임센터의 위상을 갖춰야한다. 둘째, 학교를 넘어서 지역의 전 주민에 대한 지역식량체계구축의 교두보로서 ‘로컬푸드통합지원센터’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 울산시 대학생의 가족기능 및 가족의사소통과 인터넷 중독에 관한 연구

        이유영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 문 초 록 울산시 대학생의 가족기능 및 가족의사소통과 인터넷 중독에 관한 연구 아동·가정복지학전공 이 유 영 지 도 교 수 정 민 자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적 특성·가정특성·인터넷 중독관련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 및 가족의사소통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를 알아보고, 인간이 성장하고 살아가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가족 내에서의 가족기능 및 가족의사소통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를 규명하고 인터넷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 및 가정특성, 인터넷 사용관련 특성과 가족기능, 가족의사소통, 인터넷 중독의 전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 및 가정특성과 인터넷사용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 가족의사소통, 인터넷 중독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대학생의 가족기능, 가족의사소통과 인터넷 중독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가족기능 및 가족의사소통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여 58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기재가 미비하거나 불성실한 설문 16부를 제외한 총 571명의 응답이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활용 되었다. 수집된 자료 처리는 SPSS 18.0을 사용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Cronbach'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으로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가족기능 및 가족의사소통, 인터넷 중독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 및 가족의사소통, 인터넷 중독을 알아보기 위해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카이검증을 사용하였으며, 가족기능 및 가족의사소통과 인터넷 중독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개인적 특성과 가족기능 및 가족의사소통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기능 및 가족의사소통과 인터넷 중독의 전반적 경향을 알아 본 결과, 가족응집력의 평균점수는 3.42, 가족 적응력의 평균점수는 3.29, 아버지의사소통의 평균은 2.90, 어머니의사소통의 평균은 3.10, 인터넷 중독의 평균은 3.15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기능적인 가족구조를 갖고 있었으며 가족의사소통도 중간 정도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인터넷 일반 사용자 영역에 속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 및 가족의사소통과 인터넷 중독에 대해 알아 본 결과, 가족기능은 성별, 학년, 성적, 월용돈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아버지 의사소통에서는 성별, 성적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어머니 의사소통의 경우 성적, 월 용돈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인터넷 중독은 성별, 학년, 성적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가정특성에 따른 가족기능 및 가족의사소통과 인터넷 중독에 대해 살펴 본 결과, 가족기능은 경제적수준, 부모님과 대화시간, 아버지관계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사소통에서는 부모님의 결혼상태, 경제적 수준, 부모님과 대화시간, 아버지 관계만족도, 어머니 관계만족도, 형제관계만족도, 가정생활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어머니 의사소통은 부모님과 대화시간, 아버지 관계만족도, 어머니 관계만족도, 형제관계만족도, 가정생활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인터넷 중독은 아버지관계만족도, 어머니관계만족도, 형제관계만족도, 가정생활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터넷 사용 관련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 및 가족의사소통과 인터넷 중독에 대해 살펴본 결과 가족기능은 주말평균사용시간, 평일평균사용시간, 사용시간대, 사용동기, 사용용도, 부모님의 사용능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 의사소통과 어머니 의사소통의 경우 주말평균사용시간, 사용시간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중독에서는 주말평균사용시간, 평일평균사용시간, 사용시간대, 사용동기, 사용용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가족응집력, 가족적응력, 아버지의사소통, 어머니의사소통은 인터넷 중독 과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가족응집력이 낮을수록, 가족적응력이 낮을수록, 아버지의사소통이 낮을수록, 어머니의사소통이 낮을수록 인터넷 중독이 높아지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을 예방하고 치료·개선시키기 위해서는 가족기능과 가족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일곱째, 개인적 특성과 가족기능 및 가족의사소통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성별, 성적, 가족의사소통은 인터넷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3.6%로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남성에 비해 여성이, 성적에서는 성적이 낮은 경우보다 매우 높은 경우에, 그리고 가족의사소통이 개방적일 때 인터넷 중독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 가족의사소통, 인터넷 중독을 살펴보았으며, 대상자의 특성과 가족기능 및 가족의사소통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은 개인적 변인 및 가족의사소통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가족기능과는 다소 낮은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결론을 내린다. 따라서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은 개인 차원의 문제뿐만 아니라 가족, 크게는 사회의 문제임을 인식하고, 개인과 사회, 국가가 함께 인터넷 중독 예방 및 치료에 힘써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