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매니큐어 文化 類型에 따른 治療와 表現 技法에 관한 硏究

        윤미선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과거와 현재까지 시대적 흐름에 따라 문헌연구 및 자료를 통한 매니큐어의 역사적인 사례와 예술적 표현유형을 살펴봄으로서, 매니큐어에 대한 표현기법의 기초 자료로 사용되며 미래에 더 나은 표현기법을 구현하는데 밑거름이 되고, 표현기법이 단순히 네일샵 이라는 현장에서 행하여지는 것에서 승화 발전하여 학문적으로 지위를 얻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며, 이론에서부터 실무에 이르기까지 네일산업의 발전에 기여하는 데에 그 의미가 있다.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에게 있어서 아주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동양 ・ 서양 그리고 과거 ・ 현재에도 문화적, 기후적, 인종적인 각각의 차이로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방법은 달랐지만 미(美)를 추구하는 마음은 큰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시대가 흘러 사회・경제적인 문화와 환경의 변화로 유행하는 아름다움의 기준도 변화한다 할 수 있다.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한 분야인 매니큐어도 그렇다 할 수 있겠다. 과거에는 상류층, 집권층, 부유층 등 특수 계층의 향유 물이던 매니큐어가 현대에 와서는 대중화 되어 많은 층의 다양한 사람들에게 이용되고 발전을 하였으며, 특히 놀랄만한 것은 전통적 유교 문화인 한국 사회에서 이용되어 있지 않았던 남성에게까지도 서서히 유행하게 되었다. 또한 매니큐어는 단순히 신체의 일부분을 감추거나 보이기 위한 것이 발달을 하여 이제는 여러 가지 기구나 약품 그리고 화학 재료를 이용하여 더 나은 여러 가지 표현 기법으로 아름다움을 추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논문은 동・서양의 네일에대한 역사적 사례를 통한 문헌고찰과 시대별 유행 트렌드에 대하여도 살펴보아 미(美)를 추구하는 마음은 서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 사회에서는 매니큐어와 네일아트는 다른 의미이지만 유사한 의미로 혼용되어 인식이 잘못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인체 구조학적으로 손톱과 발톱에 대하여 연구 하였으며, 일반적으로 매니큐어라 함은 팔리쉬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졌다. 그러나 정확한 매니큐어의 의미를 전달하고자 손과 발톱의 구조와 기능, 특징, 질병, 증상, 치료 요법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서 매니큐어리스트들이 시술할 수 있는 질환과 할 수 없는 질환에 대하여 알 수 있었다. 셋째, 매니큐어의 일반적인 표현유형으로 매니큐어, 페디큐어, 왁싱 등이 있으며, 인조적인 유형으로 아크릴릭, 실크익스텐션, 젤, 파우더 등을 이용한 전문적인 매니큐어리스트 만이 할 수 있는 관리유형이 있고, 매니큐어의 예술적 표현유형의 기법으로는 핸드페인팅, 포크아트, 에어브러쉬, 마블, 2D 아트, 3D 아트, 댕글, 워터데칼, 스트라이핑 테이프, 라인스톤, 콘페티, 프로트렌스 등 다양한 재료와 테크닉을 접목하여 여러 가지 아름다움과 예술적인 표현을 하여 네일에 미(美)를 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매니큐어를 이용한 치료적 유형과 손 ・ 발마사지에 대하여도 연구하여 네일샵에서 할 수 있는 미용적 치료 방법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네일샵의 매니큐어리스트들이 할 수 있는 매니큐어의 치료적 유형 중 7가지를 연구 적용하여 네일에 자신감이 없는 여성들의 비노출적 스트레스 해소와 자신감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예술적 표현 유형은 새로운 예술을 창조하는 것과 여성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감성적이고 심미적인 측면을 표현하고자 노력하였고, 생동하는 자연과 추상적인 주제를 모티브로 다양한 재료와 표현기법을 시대적 유행성도 고려하여 제작하였다. 21세기 뷰티 분야의 산업화가 다양하게 발전하면서 매니큐어산업은 그 성장 가능성과 전망을 세계가 인정하고 있는 추세다. 그런 만큼 이제는 네일 관련단체나 기업, 네일 분야종사자들은 매니큐어산업이 우리 문화에 한 축으로 자리 잡고 대중의 건강한 미용관리를 위해 그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할 것이다. 특히 아름다움에 대한 완성은 손끝에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매니큐어가 이제는 단순히 외모를 위한 것이 아니라 건강을 위한 신체 관리로도 유행이 되어가는 추세이다. 손과 발은 인체의 축소판이라는 말이 있다. 손과 발은 다른 신체 부위이지만 매니큐어에 있어서는 같은 부위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동안 매니큐어에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이에 비해 페디큐어에는 다소 연구가 미약했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매니큐어와 마찬가지로 페디큐어에 대해서도 많은 문헌과 자료를 통한 연구를 하였다. 앞으로는 페디큐어에 대해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그리고 과거의 네일 샵에서는 고객들에게 예쁜 색깔과 아름다운 디자인을 제공하는 것이었으나 최근에는 이것 뿐 만 아니라 향기나 아로마마사지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형태로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매니큐어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네일 샵에서 매니큐어리스트들이 고객에게 아름다움을 제공하는 것만이 아닌 더 나아가 손과 발 관리로 건강을 위한 더 나은 서비스제공을 해야 하는 데 많은 질적 향상이 요구된다. 앞으로 매니큐어산업의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매니큐어가 단순히 미용을 위한 것이라는 미시적 관점보다는 신체 건강과 위생에 관련 된 분야도 연구되어야 한다는 거시적인 관점으로 보아야 하며 이를 위한 실질적인 위생교육에 대한 프로그램이 요구되며, 네일 샵에서 매니큐어리스트들이 할 수 있는 치료유형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세분화하여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매니큐어산업의 발전과 초기 단계에 있는 네일 분야의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론에서부터 실무에 이르기까지 매니큐어에 대하여 전반적이고 일관적인 기초학력에서부터 대학 학부 교육에 까지 교육 시스템을 확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피카소의 회화를 응용한 바디 아트(Body art)에 관한 연구

        이현주 漢城大學校 藝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Body Art는 인체에 표현하는 종합예술로 아티스트의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예술 분야이다. 이 분야는 다양한 주제와 기법을 독특한 연출을 통하여 다른 문화 예술 전반에 접목하거나 그 자체로도 작품세계를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Body Art들 중에서도 바디 페인팅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표현의 다양함과 예술적 풍부함을 위해 현대 미술의 거장 피카소의 회화세계를 응용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피카소(1881∼1973)의 작품세계는 다양한 시대적 변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의 예술작품들은 Body Art 분야에 응용하기에 충분하였다. 즉, 1907년의 영원히 기념할 명작 '아비뇽의 아가씨들'의 경우, 아프리카 흑인 조각의 영향이 많이 나타나는 동시에 형태분석(形態分析)이 구체화되기 시작하였음에서 알 수 있듯이, 수많은 그의 회화 작품들은 Body Art의 풍부한 표현과 신선한 내용을 담기 위한 원천이 되었다. 둘째, 피카소 회화를 응용하여 인체에 구성한 결과 현대적 조형감각과 선 감각이 표출되었으며, 여러 각도로 응용하여 다양한 소재의 메이크업과 흥미로운 표현 방법으로 인한 새로운 창작의 가능성을 부여하였다. Body Art는 단순히 인체에 그림을 그리는 것이 아닌 인체의 아름다움과 예술성을 접목하여 조형성과 예술적인 면을 가지고 메이크업을 한층 높은 차원의 개념으로 아름다움을 추구하며 동시에 미에 대한 창조적인 작업을 진행하는 분야이다. 완벽한 메이크업과 문양이나 선, 면, 윤곽에 따라 이루어지는 Body Art의 표현 방법을 보면 다양한 문양, 추상적인 화법, 사실적 묘사, 의상, 빛의 음영처리로 부각시키는 조각상과 사진기법을 이용한 연출 등 전통적인 기법과 새로운 아이디어의 다양한 기법 등 표현 방법이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영감도 중요하지만 작품을 더욱 돋보이게 하기 위해선 특정한 테마를 주제로, 기획한 의도대로 의상, 헤어, 메이크업, 소품을 준비하고 그에 따른 색상분석을 하는 등, 토탈적인 연출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바디 페인팅은 자연광, 인공 조명과 무대디자인, 음악, 소품 등과 함께 공연, 패션쇼 등에서 움직이는 인체에 행해지는 것이 보통이므로 평면적이고 정적인 회화적 표현으로는 한계를 실감하였다. 앞으로 대중문화, 정보미디어 시대에 메이크업 분야가 단순히 뷰티 산업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환타지아 메이크업, 바디페인팅, 특수분장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이벤트화 시켜 문화 공연의 활성화를 이룰 수 있기를 기대한다. Body art, a composite art expressed on the body, is a genre of art which can maximize artist’s creative and unique world of art. Hence, diverse themes and techniques may be grafted onto other genres of art through unique renderings or a unique world of art may be expressed by body art al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body art, particularly the body painting, and thereby, apply the modem art master Picasso’s paintings to the body art to diversify the expressions and enrich the artistic sens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nce Picasso‘s (1881-1973) world of art changed reflecting the changing real world, his artworks may well be applied to the body art. Second, as a result of composing the body by applying Picasso’s paintings to it, it was found that a modern formative and linear sense could be expressed. Moreover, his works could be applied for makeups of diverse materials and interesting expressive techniques only to expand the possibility of new creations. Body art grafts the arts onto the beautiful body rather than simply paints the body, and thereby, serves to enhance makeup to a higher dimension in fantastic and artistic terms. In short, body art is a creative aesthetic genre of art. Third, although creative ideas and inspirations are important, it may also be important to plan a certain theme highlighting the work, and prepare costumes, hairs, makeups and sets as planned, and analyze the color tones. Namely, it is necessary to produce a work through a total production. Since body painting is usually combined with natural lights, artificial illumination, stage design, music and sets to be produced for such events as fashion show, it may not be well produced with a planar and static painting. In the age of popular culture and information media, it is hoped that makeup will remain a simple beauty industry but develop into such diverse programs as fantasia makeup, body painting and special makeup and thereby contribute to developments of cultural performances.

      • UV바디페인팅 사례를 통한 시각적 효과의 인지도 검증

        김미림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21st century, real-time information are available these days from the age of turbulence without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media and communications in the affected area are creating into a new art and its area is incorporated into the body painting to develop the visual arts. Body painting is refined and specialized to be recognized as a comprehensive art. and display is a medium of aesthetic. From the techniques of body painting, UV body painting gets attention recently to utilize for performances, events, images, etc. Because of the splendid colors and 3D effects of UV techniques, the area of UV techniques has been expanded to the visual arts. ‘Janus seminar 2010’ said, UV body painting has begun as a valuable opportunity to increase public art. With all these UV body painting performance provide a possibility to narrow the gap between popularity and fine arts. It is also free from any type of concepts and use as artistic expression. As a preliminary study on body painting works through the theoretical formulation proposed expansion area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but the actual data is not sufficient for UV body painting. In this study, visual effects and performance of UV body painting would be revisited in several ways to provide a visual verification of the data. According to ‘Janus seminar 2010’ who highlighted UV body painting nationally, it is significant to prove influential by a survey of the visual effects of UV body painting from relevant academic experts and college students. UV body painting should be interpreted with the real intention of the author and audience. In addition, to maximize the optical illusion effects, design and color elements are expressed. Moreover, UV body painting has been used visual materials to express body structure, sense of design and color in artistic way rather than particular body pat or the entire body. UV body painting has the basic properties such as light, color and contrast, and visual illusion is appeared by physical theories, effect of color contrast and sense of space. People could perceive 3D through the principle of perceptual. Properties of these 3D effects and colorful lighting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colorful light with stage lighting. Because of the neon color are unique, it helps with the visual effects of UV body painting. Through this study, UV body painting has better perspective results and resolution power than other human factors or sensory perception in a visually prominent modern society. Furthermore, visual sense is used as another way to communicate to human and its ability affects many other areas such as, conversation, pictures and body painting digital. 21세기 격동의 시대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실시간으로 정보 활용이 가능한 시대에 이르렀다. 다양한 미디어의 발전과 커뮤니케이션의 영향은 새로운 예술영역으로 창조되고 이러한 예술영역은 바디페인팅에 접목되어 시각예술의 한 분야로 발전되고 있다. 바디페인팅은 구체화되고 전문화되어 종합예술로써 인정받고 있으며, 미학적 표시의 매개물이 된다. 바디페인팅의 기법 중 UV바디페인팅은 근래의 주목받는 페인팅 기법으로 공연, 이벤트, 영상 등에 활용되고 있다. UV기법의 화려한 색채와 3D효과로 인해 시각예술 부분으로 영역이 확대되고 있으며, 퍼포먼스를 접목한 ‘2010야누스세미나’는 UV바디페인팅이 부각되기 시작한 계기로서 가치를 높이고 대중예술로 인식할 수 있는 발판이 되었다. 이러한 퍼포먼스를 접목한 UV바디페인팅 공연은 대중성과 순수예술성과의 간극을 좁힐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새로운 장르로서 그 의미를 정립해 나가고 있다. 형식이나 개념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바디이미지의 예술성과 조형성을 통해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고 미적표현의 수단으로 의미가 확대되기도 한다. 바디페인팅에 관한 선행연구로 이론적 정립을 통한 작품제시 및 바디페인팅 영역 확대와 정립을 위한 탐색적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정확한 데이터를 통해 실증적 자료를 유추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에 있고, UV바디페인팅의 연구자료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효과가 극대화되고 공연물로서의 가치가 높은 UV바디페인팅의 이론을 재조명하여 UV바디페인팅의 시각적 검증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에서의 UV바디페인팅을 부각시킨 ‘2010야누스세미나’를 바탕으로 미용관련 학업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 및 대학생, 대학원생, 학원생에게 UV바디페인팅의 시각효과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해서 UV바디페인팅의 인지도 및 영향력을 입증하는데 의의가 있다. UV바디페인팅은 현실의 단순한 모방이 아닌 작가의 의도와 의미에 함축하거나 제시하는 방법으로 관객과 함께 해석해야 한다. 또한 착시적 기능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디자인 요소, 색감요소를 표현함으로써 촉각적, 시각적 전달 기능으로 의미 있는 조형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UV바디페인팅은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몸의 일부 혹은 전체에 표현하는 것이 아닌 신체의 구조, 디자인 감각, 색채 등을 인지해야 예술적 표현이 가능하다. UV바디페인팅은 빛, 색감, 명암의 기본속성을 가지고 있고 물리적 지각효과인 색의 대비, 운동감, 원근감, 공간감에 따라 착시효과가 일어나며 색이 갖는 상징성이 심리적 연상을 유발함으로써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지각원리를 통해 3D를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3D효과와 화려한 색의 속성은 무대의 블랙배경색과 조명이 함께 어우러진 발광하는 색의 변화로 인해 찬란한 광채의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이러한 시각적 효과는 UV색감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네온색의 감각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UV바디페인팅은 시각적으로 관심이 부각되는 현대사회에서 인간에게 시각적 감각은 다른 감각요소나 언어에 비해 인지력과 해상력이 뛰어나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각이라는 감각은 인류에게 언어 이외의 또 다른 의사소통 방법이 되어 왔으며 이러한 인간의 능력은 회화나 사진, 바디페인팅 디지털 등 많은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바디아트의 표현적 특성과 형태 연구 : 지역 특성과 시대 변화를 중심으로

        문정은 漢城大學校 藝術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인류의 태동과 함께 시작됐던 바디 아트는 고대 원시사회에서부터 문명이 극도로 발달한 현대사회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본능적, 사회적 표현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되어 왔다. 바디 아트는 상흔, 문신, 채색, 제거, 변형 등을 통한 일시적 혹은 영구적 신체 장식 방법으로 인간의 신체에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이미지를 형상화하는 의식화된 행위이자 표현의 양식이요. 예술과 인간이 조화된 독창적 예술이라 할 수 있다. Body Art는 심리적, 신체적 보호 수단만이 아니라 본능적인 미적 표현의식의 발로이며 그 시대의 문화와 사회 현상을 반영한다. 바디 아트는 집단 의식과 종교 의식을 나타내는 특성이 있다. 또한 심리적, 사회적, 신체적 보호의 의미도 지니고 있으며 에로티시즘 적이고 하위 문화적인 표현 특성도 있다. 각 민족의 Body Art의 표현 특성을 살펴보면 그들 민속의 독자적인 표식이나 문양을 발견하게 된다. 이것은 자연 환경과 일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을 그들이 자기 민족의 시대적, 역사적, 종교적, 미적 생활 감정을 반영하여 그 민족의 기호성에 맞게 구성하였기 때문이며 바디 아트는 그런 의식을 반영한 상징적 행위라 할 수 있다. 이들의 민족적 사상과 예술적 혼은 신체를 생동감 있는 예술품으로 바꾸어 놓았고 많은 조형 예술에 영향을 주었으며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 그러나 문명과 의복의 발달로 인해 바디 아트의 상징적 의미는 축소되었고 미의 개념도 변화하여 영구적 신체장식의 방법은 하위 문화로 간주되기도 했다. 하지만 포스트 모더니즘의 영향으로 새로운 미의식이 대두되고 일부 계층에 의해 간헐적으로 이용되었던 Body Art가 하이 패션에까지 도입되면서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인정받아 부상하게 되었다. 하이 패션으로의 Body Art의 도입과 스티커 문신(Tattoo Seal)이나 크리스탈 문신, 헤나 같은 일시적 장식 방법은 바디아트에 대한 기존의 부정적 인식을 전환시키는데 공헌을 하였고 대중화를 불러오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바디아트의 예술적 영역을 넓히는데 기여하였다. 현대의 바디아트는 헤나, 스티커, 크리스탈, 반영구적 화장 등을 포함한 문신과 메이크업 및 바디 페인팅, 피어싱, 그리고 공연이나 패션쇼에서의 '분장' 등 다양한 형태와 방법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패션 디자이너들에게는 창조적 모티브 (Motif)를 제공하여 타투룩(Tattoo look)이라는 새로운 스타일로 나타나 패션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미적 의식세계의 표현을 위한 과정으로서만이 아니라 무대예술과 전위예술의 한 분야로서도 인정받고 있다. 현대 패션에서의 바디아트는 오브제의 기용에 있어서 다채롭고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는데 이러한 시도는 새로운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Body Art 의 대중화와 보편화에 더욱 기여 할 것이며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조형 예술로 확고히 자리잡아 가도록 할 것이라 여겨진다. As for the body art which started with the quickening of mankind, diverse methods are being used so as to satisfy the instinctive and social expression desire of mankind up to the modern society that civilization developed extremely since ancient primitive society. Body art may be referred to as the conscious act to make image into form by mobilizing all the methods to be able to express visu-ally on human body, the expression style and the original art that art and human beings harmonize as the method for temporary or permanent body decoration through scar, tattoo, coloring, removal and transformation etc. Body art is the manifestation of instinctive aesthetic expression consciousness as well as the psychological and bodily protection means, and it reflects the culture and society phe-nomenon of the period. To examine the expression feature of body art of each race gets to discover the original indication and pattern of the race. This is because natural environment and daily affairs constituted by suiting to the taste of the race through reflecting the periodical, historical, religious and aesthetic life feeling of their own race, and body art may be referred to as the symbolical act to re-flect such consciousness. The racial thought and artistic soul of these changed body into lively work of art, had influence on many plastic arts, and became the motive power of development. The symbolical meaning of body art were reduced and the concept of beauty changed by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and clothing. Thus, the method of permanent body decoration came to be regard- ed as subculture. However, as new aesthetic consciousness came to fore by the influence of post-modemism and the body art which was used intermittently by partial classes were introduced to high fashion, it came to rise by receiving recognition for new meaningand value. The introduction of body art to high fashion and the temporary decoration methods such as sticker tattoo or crystal tattoo and henna contritubed toward converting the existing negative recognition for body art and aroused the popularization, and also itcontributed toward widening the artistic domain of body art. The body art of modem times is appearing with diverse forms and methods such as tattoo or makeup, body-painting, piercing, and make-up at performance or fashion show etc. including henna, stick-er, crystal, and semi-permanent makeup etc., and it is occupying wide domain up to the domain of fashion by appearing as new style to be tattoo look through offering creative motive to fashion designers. Besides, it is receiving recognition as one field of thea-trical art and avant-garde art as well as the course �or the expre-ssion of aesthetic conscious world. Body art in modern fashion is doing more colorful and diverse trials in the use of object and motiff. Then, it is deemed that this trial will contribute toward the popularization and universalization of body art all the more with the development of new technique and it will enable body art to settle as more original and creative plastic art.

      • 미용 전공 대학생의 심리적 자본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휴먼 커뮤니케이션과 학습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지우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미용을 전공하는 대학생 남, 여 254명을 대상으로 미 용 전공 대학생의 심리적 자본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미용 전공 대학생의 심리적 자본과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휴먼 커뮤니케 이션과 학습 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변인 및 조작적 정의와 설문 문항은 문헌 고찰과 선행연구를 참고 하여 목적에 맞게 구성하였다. 조사 방법은 온라인 설문과 자기기입식 설문을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Ver. 26.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 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요인분석 결과, 심리적 자본은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회 복 탄력성’으로 분류되었고 심리적 안녕감, 휴먼 커뮤니케이션, 학습 몰입은 하나의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상관관계 분석 결과, 심리적 자본의 ‘자기효능감’은 ‘희망’, ‘낙관주 의’, ‘회복 탄력성’, 학습 몰입, 심리적 안녕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심리적 자본의 ‘희망’은 ‘낙관주의’, ‘회복 탄력성’, 학습 몰입, 심리적 안녕감 과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심리적 자본의 ‘낙관주의’는 ‘회복 탄력성’, 학습 몰입, 심리적 안녕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심리적 자본의 ‘탄 력성’은 학습 몰입, 심리적 안녕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학습 몰입 은 심리적 안년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셋째, 변수들의 차이 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서 성별 에 따른 개방적 의사소통과 타인 관점 이해에서 모두 여성이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여부에 따른 차이에서 심리적 자본의 희망과 회복 탄 력성은 미혼이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감은 기혼이 높게 나타났다. 연 령에 따른 심리적 자본의 차이에서 자기효능감과 낙관주의는 50대 이상 그룹 이 높게 나타났으며, 희망과 회복탄력성은 40대 그룹과 50대 이상 그룹이 높 게 나타났다. 휴먼 커뮤니케이션의 차이에서는 50대 이상 그룹이 높게 나타 났다. 학습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에서는 모두 50대 이상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최종학력에 따른 심리적 자본에서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는 대 학원 재학/수료/졸업 그룹이 높게 나타났으며, 회복 탄력성은 대학원 재학/수 료/졸업 그룹과 4년제 대학교 재학/졸업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휴먼 커뮤니 케이션은 대학원 재학/수료/졸업 그룹과 4년제 대학교 재학/졸업 그룹이 높 게 나타났다. 학습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에서는 모두 대학원 재학/수 료/졸업 그룹과 4년제 대학교 재학/졸업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직업에 따른 심리적 자본에서는 자기효능감은 서비스업과 전문직, 기타 그룹이 높게 나타 났으며, 희망과 낙관주의는 전문직 그룹이 높게 나타났으며, 회복 탄력성은 전문직과 기타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휴먼 커뮤니케이션에서는 기타 그룹과 전문직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학습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에서는 모두 전문직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월 평균 소득에 따른 심리적 자본에서는 자기 효능감은 100만원 미만 그룹이 높게 나타났으며, 회복 탄력성은 500만원 이 상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휴먼 커뮤니케이션에서는 100만원 미만 그룹과 500만원 이상 그룹이 높게 나타났다. 학습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에서는 학습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넷째, 미용 전공 대학생의 심리적 자본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자본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 휴먼 커뮤니케이션과 학습 몰입이 미치는 영향 파악을 위한 직접 효과와 매개효과의 가설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미용 전공 대학생의 심리적 자본은 휴먼 커뮤니케이션에 정(+)의 영향을 미 칠 것이라는 전제는 심리적 자본은 휴먼 커뮤니케이션에 정(+)의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가설 1-1 자기효능감, 가설 1-2 희망, 가설 1-3 낙관주의, 가설 1-4 회복 탄력성 모두 휴먼 커뮤니케이션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가설 2. 미용 전공 대학 생의 심리적 자본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제는 미용 전공 대학생의 심리적 자본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 는 채택되었다. 가설 2-1 자기효능감, 가설 2-2 희망, 가설 2-3 낙관주의, 가설 2-4 회복 탄력성 모두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가설 3. 미용 전공 대학생의 심리 적 자본은 학습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제는 미용 전공 대 학생의 심리적 자본은 학습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3은 채택되었다. 가설 3-1 자기효능감, 가설 3-2 희망, 가설 3-3 낙관 주의, 가설 3-4 회복 탄력성 모두 학습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 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가설 4 미용 전공 대학생의 휴먼 커뮤니케이션은 심 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제는 미용 전공 대학생의 휴 먼 커뮤니케이션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4는 채택되었다. 가설 5.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학습 몰입은 심리적 안녕 감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라는 전제는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학습 몰 입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5는 채택 되었다. 가설 검증 결과 매개효과에서 가설 6. 미용 전공 대학생의 심리적 자 본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휴먼 커뮤니케이션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 라는 전제는 휴먼 커뮤니케이션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6은 채택되었다. 가설 7. 미용 전공 대학생의 심리적 자본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학습 몰입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전제는 학습 몰입이 매개효 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7은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는 심리적 자본에 의해서 휴먼 커뮤니케이션과 학습 몰입이 이에 상응하여 반응하게 되고 이러한 관계는 심리적 안녕감 증진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심리적 자본인 자기효능감, 회복 탄력성, 낙관주의, 희망에 긍정적인 변화가 생기게 되면 타인과 소통을 하는 휴먼 커뮤니케이션과 학습의 흥미와 학습 몰입도가 높아져 전공에 대한 확신, 대인관계, 학업관리, 자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심리적 안녕감 중 진에 도움을 준다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미용 전공 대학생들의 심리적 자본은 휴먼 커뮤니케 이션과 학습 몰입이 향상되게 하고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미용 전공 대학생들이 뷰티 산업 시대에서 전문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주요어】미용전공대학생, 심리적 자본, 심리적 안녕감, 휴먼 커뮤니케이션, 학습 몰입

      • 르 꼬르뷔지에 건축 작품을 모티브로 한 헤어디자인 제언

        박유순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디자인은 그 어떤 형태를 창조해내는 과학기술의 행위로서 문화적, 경제적, 실용적, 심미적이며, 인간생활에 적용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는 동시에 표현되어 새롭고 다양한 가치를 창출한다. 현 시대에서 인간의 높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풍요로워진 삶속에서 미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인간의 욕구 증가로 인하여 뷰티산업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자신의 외모를 아름답고 개성 있게 표현하는데 가장 중요한 하나의 수단은 인체의 한 부분인 헤어 커트 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건축을 통한 헤어디자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조사해 본 결과 건축조형과 뷰티예술로서의 시각적으로 미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예술성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건축과 관련된 헤어디자인 논문은 매우 미비하였으며, 현재 발표 되어 있는 헤어디자인의 다양성 또한 제한적인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에 조형예술의 한 분야인 건축의 미적조형예술을 바탕으로 미적 원리를 구상함에 시각적인 다양함과 기하학적 형태의 점, 선, 면의 중요한 구성 요소와 디자인 원리의 통일, 균형, 리듬, 비례, 강조 등에 입각하여 근대건축가 르 꼬르뷔지에(Le Corbusier)의 건축 작품을 모티브로 한 다양한 헤어커트디자인을 창출하여 실무에 적용될 수 있도록 6개의 헤어디자인을 제언 하고자 한다. 작품1, 르네상스(Renaissance) 솔리드 형(Solid Form)의 무거운 질감의 스타일로 두상 인테리어에 디자인의 중심을 두고 프린지 라인(Fringe line)을 연장하여 아웃라인으로 표현 하였고, 황금비(1:1.618)를 적용하여 비례체계와 질서 있는 디자인을 하였으며, 건축물 조형의 이미지를 강한 형태로 연출하였다. 또한 밝고 화려함을 나타내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밝은 색상의 블루(Blue color)컬러와 탑 부분에 흰색(White)을 사용하였다. 작품2, 메이플(Maple) 곡선을 강조하는 디자인으로 형태에서 미적 아름다움이 묻어나는 심화된, 낭만적인 버섯 형태의 조형미에서 색상과 커트기법을 각기 달리 표현 하였으며, 탑(Top)부분은 가벼운 볼륨을 주고 컬러(Color)에서 반대 색상을 사용하는 등의 부 조화롭게 독특한 조화미를 표현하였다. 작품3, 바이올렛핑크(Violet Punk) 하부 층의 가벼움과 상부의 콘크리트 공법의 육중한 이중적 개념의 건축물로서 외부의 벽면이 거칠다. 건축조형물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디자인 구조를 표현하기 위해 헤어디자인에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흘러내리는 듯 한 디자인구성을 연출하고자 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두상 상단에 시선을 주목하기 위해 컬러링 톤을 익스테리어(Exterior)보다 인테리어(Interior)를 더 밝은 톤으로 디자인하였다. 작품4, 큐빅(Cubic) 건축조형물 상단의 지그재그 패턴과 화려한 색채 디자인에 착안하여 비대칭의 무거운 라인으로 디자인 하였고 색상은 그라데이션(Gradation)으로 표현하여 빛과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하고자 하였으며, 앞머리에 중점을 두고 삼각형태의 모양을 강조해 도도하고 매혹적인 디자인으로 표현하였다. 작품5, 샹들리에(Chandlier) 건축조형물의 비 안정적인 구조적 특징을 중심으로 표현하기 위해 불안정 적이고 불규칙적인 커트라인과 비대칭 디자인을 표현하였고 전체적으로 커트가 층층이 겹을 쌓아 무거움이 뭉치게 하는 디자인으로 표현하였다. 작품6, 람프(Ramp) 건축조형물에서 보여 지는 오르고 내리는 사선의 디자인 흐름에 주목하여 5개의 사선라인의 오버랩 되는 커트디자인을 제작 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비대칭적인 라인의 교차적인 흐름을 통해 통일성 있는 디자인이 아닌 의외성이 있는 불규칙한 라인을 형성해 디자인의 미적 구성을 하였다. 건축의 조형예술과 미적 조형예술의 헤어디자인에서 다양하고 상징적인 헤어디자인으로서 응용되어 실무에서 트렌드 화 되고 헤어디자인에 따른 스타일링 북 등에서도 널리 이용되어 뷰티산업이 발전하는데 한 발 다가설 수 있도록 기여하고 향후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되기를 바란다.

      •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작품의 조형적 요소를 응용한 메이크업 일러스트레이션 디자인 연구

        신화정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47

        오늘날 뷰티산업의 발달과 함께 메이크업 일러스트레이션은 단순히 디자인 정보만 제공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대중예술의 한 분야로서 대중들에게 여러 매체를 통해 두드러지게 노출되고 있다. 이는 메이크업 일러스트레이션이 학문적이고 예술적으로 발전해 나가야 할 계기가 되고 있으며 이것을 위해서 다양한 디자인 제시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메이크업 일러스트레이션이 사실주의적 접근만으로는 표현의 다양성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되어 추상주의의 선구자이며 독자적인 예술이론을 확립한 바실리 칸딘스키의 작품을 분석하고 응용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바실리 칸딘스키는 논리적인 조형이론으로 현대미술의 이론적 토대를 세웠으며 그의 예술론은 인간의 정신세계를 외적인 요소를 통해 표현할 수 있어야 하며 예술가가 느끼고 있는 내적 감정들을 감상자에게 유사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기초 조형요소들만으로 충분히 작가의 사상과 목적을 전달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그의 작품에 나타난 조형요소를 응용하여 총 11점의 작품제작을 하여 디자인 제시를 하였고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뮌헨 시대의 작품들 중 추상주의 이전 작품들은 사실주의적인 표현이 남아있거나 강렬한 색채가 돋보였다. 러시아 시대에는 세계대전의 영향으로 작품들이 대체로 어둡고 차분한 분위기였으며, 바우하우스 시대는 기하학적이고 건축학적인 문양이 많았고 다양한 색채와 기법을 꾸준히 연구한 흔적이 보였다. 파리 시대의 작품들은 생물학적이고 유기적인 형태와 선명하고 밝은 톤의 색채가 많았으나 작고하기 전의 작품에서는 어둡고 차분한 분위기가 나타났다. 둘째, 가장 기본적인 조형요소만으로도 인간의 내적 울림을 전달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색채와 형태와의 관계에서 더 많은 가치를 찾을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조형요소 그 자체로도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Adobe Photoshop CS3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제작한 작품의 배경색을 변형하거나 합성하여 다른 느낌으로 표현해봄으로써 형태적인 요소들은 작품에 필수적으로 영향을 주지만 색의 요소는 선택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다작의 시기였던 바우하우스를 중심으로 기하학적이고 건축학적인 문양이 많았으며 이를 여러 각도로 응용해 디자인 연구를 해 봄으로써 얼굴만 디자인 하는 일러스트레이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완성도 높은 작품으로 표현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예술적 가치부여의 가능성도 기대해 볼 수 있다. 다섯째, 색다른 질감표현을 위해 사용하였던 나무합판은 제작과정에서 수성물감이 다른 재료들 보다 훨씬 효과적이었으나 사진상으로 질감이 나타나지 않아 아쉬움이 남았다. 어두운 색의 머메이드지에서는 선명한 색채표현에 많이 사용하였던 마카펜보다 아크릴물감으로 작업하는 것이 유리했다. 본 연구를 통해 칸딘스키의 추상미술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기를 바라며 이를 바탕으로 시도된 디자인을 통하여 메이크업 일러스트레이션이 학문적이고 예술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본 논문에서 다뤄지지 않은 현대미술의 많은 사조들을 메이크업 일러스트레이션에 응용하여 독창적이고 실험적인 다양한 디자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기를 바란다.

      • Jean Dubuffet 작품을 응용한 아트메이크업 작품제작 연구

        김선경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예술은 고상하고 접근하기 어려운 장르로 여겨져 왔으나 요즈음 현대사회에서는 그 장르의 벽이 허물어지고 실생활의 한 부분으로 자리하고 있다. 회화, 조각, 건축 등의 순수 예술이 패션, 광고, 영화 및 다양한 장르와 접목됨으로써 점차 그 장르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새로운 창작 장르로 여겨지며 유행처럼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순수 예술과 디자인 분야의 상호 교류와 협력을 통한 새로운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융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에 대한 장점을 주목하여 순수 예술 작가의 작품을 분석하고 이를 아트메이크업으로 표현함으로써 그 표현 영역을 확대시키며, 회화양식을 아트메이크업에 응용하는 것은 순수 예술의 아름다움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것을 신체위에 메이크업으로 재창조함으로써 아트메이크업의 예술적 미적 감각과 미적 요소를 폭넓게 활용하여 독창적인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독자적인 예술로서 인정받고 있는 아트메이크업의 창의적 발상을 위한 새로운 시도로써 관례적인 예술방식에서 벗어나 독특한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펼쳤던 장 뒤뷔페(Jean Dubuffet)의 작품을 모티브로 응용하여 아트메이크업 작품제작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아트메이크업을 더욱 새롭게 인식시키고, 표현양식을 다양하게 하여 보다 예술적 차원의 창작 표현 방법으로 아트메이크업 분야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의 범위로는 아트메이크업의 정의 및 특성과 종류를 세 가지로 분류하여 연구하였으며, 재료 및 도구, 표현기법을 순차적으로 서술하였다. 그리고 장 뒤뷔페의 삶과 작가의 미술사적 성향과 작품의 경향 및 작가의 작품 탐구시기를 구별하여 고찰하였다. 위 연구를 토대로 장 뒤뷔페의 예술적 특성과 앵포르멜(informel)및 반문화적(anti-cultural)성향이 강하게 드러난 60년대 이후의 작품 6점을 선정하여, 이를 응용한 작품을 우를루프와 추상회화, 아르 브뤼 성향으로 분류하여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 및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장 뒤뷔페는 앵포르멜, 즉 비정형과 반문화적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일반적이지 않은 미적 기준과 잣대를 지닌 그의 예술적 성향을 기반으로 ‘아르 브뤼(art brut)’라는 마치 아이가 그림을 그린 것 같은 순수한 예술 세계를 보여주었다. 장 뒤뷔페를 기준으로 아르 브뤼의 명칭과 개념이 확고하게 자리 잡게 되었으며, 그의 미술 작품 전반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장 뒤뷔페 작품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우를루프 시리즈(L’Hourloupe series)’이다. 선과 형태의 증식되어가는 듯 한 유기적인 형태와 정형화된 색채 사용을 유지하면서 회화작품과 조각, 조형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는 장 뒤뷔페를 대표할 만한 작품들이며 성향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우를루프 스타일의 작품은 70년대 이후 추상회화시기에서도 다양한 색채와 함께 다른 듯 연결된 작품이미지로 표현하고 있었다. 셋째, 앵포르멜 및 반문화에 대한 확고한 장 뒤뷔페의 신념과 순수예술에 대한 그의 갈망은 그의 작품세계와 다양한 창작 활동에서도 여실히 볼 수 있었다. 또한 그의 자유롭고 선명한 느낌의 작품을 아트메이크업으로 제작해 본 결과 컬러와 형태에 대한 본 연구자가 가지고 있던 고정관념에서 자유로워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추후 연구자들에게 장 뒤뷔페 뿐만 아니라 순수 예술 회화 작품들을 보다 다양한 방식과 기법을 적용하여 새롭고 신선한 디자인의 아트 메이크업 작품을 창작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Art, which used to be considered as a genre that was noble and difficult to approach in the past, has settled down as part of daily life with genre barriers crumbled down in modern society these days. As pure art such as painting, sculpture, and architecture is incorporated into fashion, advertising, film, and other various genres, the boundaries among the genres are increasingly blurry. What comes out of two or more genres incorporated together is regarded as a new creative genre and becomes active like a vogue. Responding to those flows of the times, there rises a need for new design based on mutual exchanges and collaborations between pure art and design. Paying attention to the advantages of synergy effects through "convergence," the investigator set out to analyze works by pure artists, express them in art make-up, and expand the scope of its expression. Applying the painting styles to art make-up would not only exhibit beauty in pure art, but also enhance the artistic and aesthetic sense of art make-up and make broad use of aesthetic elements to create original results by recreating pure art in make-up on the body. As a new attempt for creative conception in art make-up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art, the study aimed to apply works by Jean Dubuffet, who created his own unique artistic world beyond the customary art style, as motives and investigate design for art make-up works, thus renewing the perceptions of art make-up, adding more diversity to its expressive styles, and contributing to the field with creative methods of expression at the artistic level. As for research scope,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art make-up, categorized it into three groups, and reviewed materials, devices, and expressive techniques. Based on the examination results of the life, artistic tendencies, and work exploration periods of Jean Dubuffet and the trends in his works, the investigator selected six of his works since the 1960s that strongly showed his artistic characteristics and informel and anti-cultural tendencies and created works according to the L’Hourloupe, abstract painting, and art brut tendency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six works. The research content and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ubuffet had an informel tendency or non-uniform and anti-cultural tendency. Based on his artistic tendencies containing irregular aesthetic criteria and standards, he created "art brut," his own world of pure art that seemed as if it were painted by a child. He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solid establishment of its name and concept, which, in turn, had huge influence on his works. Second, one of the essential works of his portfolio is the very "L’Hourloupe Series." He created a wide variety of works from paintings to sculpture and formative art by maintaining organic forms in which lines and shapes seemed to multiply and standardized color schemes. Those works represent the artist and make his characteristic tendency. In the period of abstract paintings after the 1970s, he created works in the L’Hourloupe style by using diverse colors and work images that seemed to be different and yet connected. Finally, his firm faith in informel and anti-culture and his yearning for pure art were clearly reflected in his world of works and various creative activities. By expressing his free and vivid feelings inherent in his works in her art make-up works, the investigator became free from the old stereotype with colors and forms. As for research limitations, there is no big pool of previous studies that combined make-up with paintings in spite of the huge volumes of special books, reference literature, and thesis data on make-up. The investigator was faced with difficulty in the process of creating her works as there was no research on Dubuffet's works in make-up as well as art make-up with only a couple of cases in which paintings were applied to art make-up. The study will hopefully help follow-up study create art make-up works of new and fresh design by applying paintings of pure art including the works by Jean Dubuffet in more various styles and techniques.

      • 舞臺照明이 扮裝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뮤지컬 '레미라제라블'을 중심으로

        김민경 漢城大學校 藝術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뮤지컬은 무용과 연기(표현의 제 1의 수단인 노래)를 통하여 희. 노. 애. 락 (喜. 怒. 愛. 樂)을 표출하고 그 다음 수단인 무성의 언어인 분장, 장치, 의상, 조명, 소품 등에 의해 나타내는 종합예술인 것이다. 또한 뮤지컬의 배우의 모습은 분장없이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분장 그 자체만으로 등장 인물의 특징을 묘사해 내기는 어렵다. 분장은 배우의 중요한 의사전달 수단으로서 배우의 풍모를 감추거나 변화를 주어 관객들로 하여금 필요한 성격적 사실을 이해시키려는 수단으로서 필요하다. 대사나 몸 동작과 마찬가지로 분장은 배우가 보여주는 기교중의 한가지이며 분장을 소홀히 하는 배우는 그 자신 마음속에 신중하게 있는 등장인물의 개념이나 정확성을 시각적으로 표출하는데 실패할 위험이 있다. 배우의 육체는 관객과 시각적으로 연결되는 수단이며 시각적인 효과를 소홀히 할 경우 그것을 행하는 연기자를 위축시키게 되며, 이런 점이 연기의 성공과 실패의 차이를 결정짓게 될 것이다. '시청각 연극'(연극, 오페라, 뮤지컬, 무용, 창극 등)은 거의 전부가 시각적인 표현 예술이다. 극장에서 창조적으로 시각효과를 얻으려면 칼라와 형태에 대해 분명해야 한다. 연기자에 있어서 분장과 의상은 전체적인 시각효과에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비록 그것이 배우와 관련되어 있긴 하지만 그것은 무대장치를 보완해 주거나 오히려 돋보이게 한다. 분장은 배우에게 의미를 부여하는 동시에 각 등장인물과 전체적 시각적효과 사이에 적절한 관계를 맺어주는 역할을 하고 무대배치 속의 배우가 연기할 때 보완 작용을 해주고 강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무대에서 공연하는 뮤지컬의 조명에 의한 분장의 효과를 구성원리와 표현수단을 통하여 살펴보았고 특히 무대예술의 전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위해 조명에 의한 분장의 효과를 세종문화회관에서 공연한 '레미제라블'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조명의 역할은 예술매체로서 무대분장을 다양하게 느끼게 하고 빛과 색채를 제공할 뿐 아니라 형태 등을 변화시켜준다. 또한 배우의 다양한 얼굴의 표정으로 변화하는 분장을 관객에게 보여지게 됨에 따라 감각적이고 흥미로운 감정을 유도해 내어 시각적인 만족도와 예술의 효과를 제공한다. 이처럼 조명에 의한 분장의 변화(배우의 얼굴이 다르게 보이는 현상)에 따른 시각적 효과는 분장을 하는데 있어서 독창적인 분장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열악한 조건 속에서 공연되어지고 있는 무대공연의 예술의 질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공연 전 사전 작업에 들어가고 스텝회의를 하고 있으나 거의 분장팀은 참여를 안 하는 경우가 있다. 게다가 분장은 분장 조명은 조명. 의상은 의상. 이런 식으로 각기 별개의 팀으로 생각하여 사전 회의 없이 공연에 들어가게 되거나 바로 리허설을 할 경우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래서 서로의 의견 절충이 안되고 각기 의견을 주장하게 되어 공연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서로의 부분을 이해하지 못하고, 인정을 못해서 낳는 결과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무대분장은 배우의 외적 표현수단으로서 다른 시각 요소들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표현되며 특히 조명을 고려한 분장에서는 현대적 감각과 극적인 감동을 증대시킨다. 등장인물의 무대분장은 조명의 변화에 따라 조절되고 표출되며 관객에게 극중의 심리 상태를 전달한다. 분장의 효과에 도입된 조명은 형태, 색 등의 형식적 실체를 표현 창조시키고 관객의 심리와 극중인물의 심리 상태를 추상적 실체로서 일치시켜 시각의 의외성과 창의적인 상상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색채의 상식은 빛의 파장에 의해서 색의 느낌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것은 물리적 현상이며 빛이 눈에 닿아 감각을 느끼게 되는데 이것은 심리적 현상이다. 무대조명은 연기자에게 불필요한 색광을 주게 되면 공연이 관객의 눈을 피로하게 할 뿐 아니라 관객에게 심리적 현상을 도리어 역효과가 되어 작품 공연의 효과를 잃게 된다. 색광의 조명을 어떻게 비추면 인물이 왜곡되어 보이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적절한 조명의 색광을 제시하고, 색채 감각에 관한 적절한 표현을 알아야지만 보다 예술성이 깊은 작품의 인물을 묘사할 수 있으며, 기존의 색감에 관한 이론과 비교 분석하여, 분장함에 있어서 조명의 역할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 할 수 있는 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계의 대문호 '빅토르 위고' 탄생200주년 기념으로 공연되는 뮤지컬 '레미제라블'을 통한 사례연구로 선택하여 분장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대분장의 농도가 점점 약하게 변해간다 하더라도 극장의 규모를 무시한 분장은 관객에게 전달하는 바는 적게 된다. 그러므로 분장사에게는 공연될 극장의 규모를 생각해서 분장을 해야 된다고 본다. 둘째, 조명의 색채는 무대예술의 중요한 시각 표현 매체로서 무대공연을 위한 중요한 요건이 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공간과 시간의 예술이다. 즉, 무대공연에서 하나의 예술적 영역을 형성해 내는 조명의 색채 활용을 어떻게 조성해 내는가 하는 방법 등을 분장을 포함하여 여러 요소들에 대한 안목과 지식을 넓혀야 한다. 셋째, 조명은 분장의 효과를 높일 뿐 아니라 무대 장치적 요소로서 또는 극의 흐름을 매끄럽게 연결하는 매개체적 역할을 담당하게 하는데, 배우의 얼굴 분장은 조명의 색과 빛의 각도에 따라 배우의 얼굴을 밝게, 혹은 어둡거나 검게 보일 수 있으므로 극의 분위기를 깨뜨리지 않는 범위 내의 조명 하에 분장의 색조변화를 알아두어야 한다. 넷째, 조명이 배우에게 비춰지는 각도에 따라 인물의 형태가 다르게 보인다. 조명은 극의 흐름을 전개하는 데에 의의를 두었으나, 인물을 살리기 위해서 스팟 라이트(Spot Light)를 사용하여 극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깨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졌으며, 거의 모든 공연에서의 조명은 분장에 효과를 많이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무대조명을 분장의 부차적인 요소로 무대분장의 효과를 도왔다는데 의의가 있으나 조명이 투사된 무대상황의 정확한 제시가 어려워, 조명의 일부분만을 다루었다는 한계를 지닌다. 그리고 '레미제라블'의 자료 수집에 있어서 어려운 부분이 많아, 보다 구체적이고 조명이 분장에 미치는 효과를 다각도의 분석이 이루어 져야 한다고 본다. The Musical is very composite art which consists of song, dance, performance, make up, costume, lighting and stage In this research, It is shown how stage lighting make influences on made up by analyzing the musical 'Les Miserable' performed in Sejong Art Center. The lighting provides light and colorings for stage and makes audiences have various feelings of characters' facial shapes made up.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strength-weakness control of lighting, it maximizes the dramatic effect and gives visual satisfaction to audiences. In the stage, In conclusion, firstly the artist have to control thickness of makes up according to different scales and sizes of stage. Secondly, artists should understand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make up and other composites especially like lighting fully. Thirdly, it is proved that the lighting make effects of make up distorted and make up artists must know how the coloring of make up change by lighting. Finally, the lighting is very crucial factor for dramatic flow of performance and in this study it is shown that the method of 'Spot light' is used to make light on character not st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