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캠퍼스 에너지 효율화 방안 연구 : 혼합적 연구방법론 중심으로

        이문범 호서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71

        최근, 대학 캠퍼스의 에너지 소비량이 이슈가 되고 있다. 대학은 백화점 등과 더불어 에너지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에너지사용군으로 조사되었다(대학뉴스, 2019). 특히 2018년까지 7년 연속 서울시 에너지 최다 소비 건물로 서울대학교가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대학 캠퍼스가 에너지 소비 절감의 핵심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 캠퍼스의 에너지 소비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과 입주기업이 함께 고민하는「전력 에너지 절감」을 연구목표로 설정하고 이에 관한 정책적 연구와 데이터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 적용된 혼합연구방법론은 정량적 방법과 정성적 방법을사용하면서 각 연구의 장점을 취하고 약점은 보완하기 위해 시도되는 연구 방법이다. 대학 캠퍼스의 에너지 소비효율 향상과 비용 절감을 위한 정책적 측면의 연구로서 첫째, 신속한 의사 결정 및 캠퍼스 에너지 소비에 대한평가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대학의 자체 전담 조직 등을 담아내는 제도연구와, 둘째, 그린 캠퍼스 등에 대한 산학협력단 차원의 정책 참여 및 전담 예산 편성 등의 정책 재정 수립연구, 셋째, 관련 정보의 데이터베이스화를 포함한 프로파일링 등을 통한 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및 에너지 저감의 방해요인을 찾고 이를 제거하는 모델링 구축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량적 연구로서는, 본 논문에서는 호서대학교 산학협력의 일환으로 사례기업을 선정하고 자료 수집, 데이터 전처리, 최적화 알고리즘 선정,분석 및 결론을 통하여 최적의 알고리즘을 선정하고, 어떤 개선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지 검증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본 논문의 3가지 분석알고리즘(SVR, LSTM, C-LSTM)에 대한 모형의 검정력에서 가장 큰 신뢰도를 보인 SVR 알고리즘을 적용한 예측분석으로 분당, 시간당 전력 소비 추세 곡선을 확인하였고, 에너지 과소비 특이점을 확인하였다. 추가로 시행된 하위센서 분석을 통하여 더 정밀하게 건물 단위가 아닌 설비시설에 단위의 에너지 다소비 특이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논문은 캠퍼스 전력 사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구축 모델을 제시하고 구체적으로 이를 구현할 데이터 센터와 모델을 확대 적용하였다. 더 나아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IoT하드웨어 접목 연구로 그 영역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학교 당국과 입주 기업들에게 데이터 기반의 현장 문제 해결을 지속적으로 해나가고자 하는데 필요한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제공할 것이다.

      • 산학협력촉진법상 산학연협력 기술지주회사 제도에 관한 연구

        한규일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Universities are socially demanding university-led companies that allow companies to have global competitiveness and lead the stabilization of the corporate ecosystem through open innovation (open innovation). In the past, the government included the promotion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in the purpose of the law through the revision of the Industrial Education Promotion an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Promotion Act in 2003 in the promotion of industrial education necessary for fostering industrial manpower. Accordingly, the government revised the Act on December 21, 2007 to allow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to establish and operat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technology holding companies to spread technology and knowledge to local industries, and expanded the scope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on July 25, 2011. Through technology holding companies, universities are attempting a virtuous cycle structure through the production of innovative talent by achieving research-based commercialization promotion and commercialization in the role of fostering manpower that they have been pursued. Accordingly, this thesis will investigate the issues of technology transfer owned by universities and the limitations of holding companies that are small and medium-sized corporations in the start-up period and requirements for establishing holding companies under the Commercial Act. problems with investment in kind, problems with technology holding companies' terms commonly used under individual laws, structural problems with the governance structure of technology holding companies and th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group's business support system, and timing of technology evaluation and inventor compensation.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laws related to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I will focus on fostering local industries and present development measures such as supplementing the legal system.

      • 대학 로고디자인의 감성요소를 통한 브랜드 인지도 향상 연구 : 중국 ‘985프로젝트’대학교를 중심으로

        펑윈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55

        대학교 브랜드 이미지의 핵심 요소인 대학교 로고는 대학 문화 형성의 발전을 촉진하고 대외 전시의 중요한 창구이며, 대학의 브랜드 이미지 및 홍보에 큰 역할을 한다. 또한 대학교 로고는 대학 브랜드 문화를 더욱 부각하고 브랜드 가치를 구현하여 향상시키며 시장 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충분히 연구할 가치가 있는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 브랜드 로고 디자인의 감성 요소 분석과 구체적인 실증방법을 통해 중국 대학교 로고 이미지 감성 디자인 요소의 적용을 연구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대학의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우수한 재인성, 기억력, 예술성을 갖춘 디자인 방법론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제1장에서 연구 배경과 목적과 함께 연구 문제를 제시하고,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선정하며, 선행 연구를 통해 연구의 차이점과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제2장에서 ‘중국 대학교 로고’, ‘감성 디자인’, ‘브랜드 인식’, ‘소비자 지식수준’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진행하였고, 특히 이론 연구를 통해 연구 모델을 도출하였다. 제3장에서 985프로젝트’의 39개 대학교 로고에서 시각적 기호를 추출하고 분류한 후 사례 분석 대상으로 하여 감성 디자인의 본능 측면, 행동 측면, 반성 측면과 브랜드 인지의 브랜드 기억, 브랜드 재인, 대중의 지식수준 등에 대한 디자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제4장에서 연구 모델과 사례 분석의 결론에 따라 가설을 제시하고 실증 분석 설문지를 설계하였다. 제5장에서 설문지 설문스타를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고, SPSS 데이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설문지 데이터에 대한 실증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제6장에서 실증 분석을 근거로 가설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중국 대학교 브랜드 로고 디자인은 감성 디자인 요소에 융합되어 브랜드의 관련 속성에 대한 대중의 연상을 적절히 유발하여 대중의 감성적 공감을 불러일으켜 대중이 대학교 이미지를 더욱 신속하게 이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브랜드를 빠르게 기억하고 재인식하며, 이를 통해 브랜드 인식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 둘째, 중국 대학교의 브랜드 로고 감성 디자인 요소와 브랜드 인지 관계는 대중의 지식수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며, 이는 주로 대학교에 대한 대중의 친숙도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대학교는 브랜드 인지도를 더욱 적절히 향상시키기 위해 감성 디자인을 브랜드 로고 디자인에 융합하며, 대학교 브랜드 문화의 집약적이고 효과적인 전파에 중점을 두는 동시에 대학교는 자체 건설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며고 교수 및 과학 연구 수준을 향상시키며, 특색을 집약하고 핵심 우위 학과를 만드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발전 방법이다. 셋째, 중국 대학교의 브랜드 로고 디자인 요소에 대한 현황 분석에 따르면 중국 대학교의 로고 디자인에 핵심적인 디자인 요소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는 우선 높은 재인성을 가진 텍스트에 의한 중국어 학교명, 영어 학교명, 개교 시간으로 나타난다. 그다음 학교 운영 이념, 학과 특색, 역사 연혁, 지역 특색 등 문화적 의미를 추출하여 표현한 그래픽 기호이다. 마지막으로 학교의 특색을 대표하는 색채요소이다. 넷째, 도널드 아서 노먼의( Donald Arthur Norman) 감성 디자인 이념은 디자이너에게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조사 대상 395명 중 18-30세 참여율이 최고 65.8%이며, 대학교 로고가 나타나는 장소인 ‘입시 관련 자료 사이트’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로고 디자이너로서의 디자이너는 이 연령대의 감성적 니즈와 함께 자료 인쇄 및 웹사이트 게시와 같은 상호작용적이고 흥미로운 행동 수준에서 로고의 감성적 공감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다섯째, 브랜드 로고의 그래픽 기호, 텍스트 기호, 컬러 기호의 선호도 관점에서 볼 때 응답자는 그래픽 기호> 텍스트 기호> 컬러 기호 순으로 감성 공감을 형성한다. 또한 그래픽 기호에서 선호도는 건축 그래픽> 동물 그래픽> 식물 그래픽> 인물 그래픽> 산천 그래픽> 기타 형상 순으로 나타났다. 텍스트 기호 선호도는 중국어 학교명> 학교명 약칭> 개교 시간> 학교 교훈> 영어 명칭 순이었다. 컬러 기호 선호도는 빨간색> 파란색> 두 가지 이상의 색> 기타 단색 순이었으며, 위 결과는 디자이너에게 효과적인 디자인 방법론을 제공할 수 있다. 결국 대학교 브랜드 로고의 감성 디자인 구축은 대학 이미지와 브랜드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매개체로써 대학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매우 중요한 감성 디자인 전략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가 향후 중국 대학교의 브랜드 로고 디자인 마케팅 전략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As the core element of the brand logo of a university, the brand logo of a university promotes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construction of a university. It is an important window for a university to display externally and plays a huge role in the brand logo and brand communication of a university. How to better highlight the brand culture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through the brand logo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highlight and enhance brand value, and then establish a good brand logo and improve market competitiveness has become a problem worth studying. Therefore, based on this problem,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motional design of Chinese university brand logos, specifically studies the impact of the application of Chinese university school logo image emotional design elements on university brand cognition through empirical methods. The design structure of nature and artistry provides inspir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rand logo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future. Chapter 1, first of all, present the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raise research questions, select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and find the differences and necessity of research through previous studies. Chapter 2, theore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University of China logo', 'emotional design', 'brand recognition', and 'consumer knowledge level'. A research model was derived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Chapter 3, '985 Project' extracted and classified visual symbols from 39 university logos, and conducted design analysis in terms of emotional design instinct, behavior, reflection, brand memory, brand recognition, and public knowledge. Chapter 4, hypotheses were presented and empirical analysis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according to the conclusions of the research model and case analysis. Chapter 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stars, and empirical analysis of questionnaire data was conducted using SPSS data software. Chapter 6, the hypothesis is verified and concluded based on empirical analysis. First, Chinese university brand logo design can be fused with emotional design elements to attract the public's association with brand-related attributes and arouse public emotional empathy, allowing the public to understand the university image more quickly. It can also quickly remember and re-sign brands, and deepen brand awareness. Second, the results differ according to the level of public knowledge in the brand logo emotional design element and brand cognitive relationship of Chinese universities. It mainly appears in public familiarity with universities. Therefore, the most effective way to develop is to integrate emotional design into brand logo design to improve brand awareness and to focus on intensive and effective dissemination of university brand culture, while universities pay more attention to their own construction, improve teaching and scientific research levels, and focus on features and create core advantages.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brand logo design elements at Chinese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reflect key design elements in logo design at Chinese universities. First of all, it is a text with high re-personality and appears as a Chinese school name, an English school name, and an opening time. Next, it is a graphic symbol that shows and extracts cultural meanings such as school management ideology, department characteristics, history history,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Finally, it is a color element that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Fourth, Donald Arthur Norman's emotional design ideology has a very important impact on designers. Of the 395 surveyed, participation rates between the ages of 18 and 30 were up to 65.8%, the most interested in "admission-related materials and sites," a place with university logos. Therefore, designers as logo designers had to fully consider the emotional needs of this age group as well as the emotional empathy of the logo at the level of interactive and interesting behavior such as printing materials and posting websites. Fift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eference of graphic symbols, text symbols, and color symbols of the brand logo, respondents form emotional empathy in the order of graphic symbols > text symbols > color symbols. In graphic symbols, preferences are in order of architectural graphics > animal graphics > plant graphics > human graphics > mountainous graphics > other features. The preference for text symbols is in the order of Chinese school name > abbreviation of school name > school opening time > school lesson > English name. Color symbol preferences are in order of red > blue > two or more colors > other monochrome. Through the above results, effective reference materials can be provided to designers. In the end, the establishment of the emotional design of the university brand logo is a very important emotional design strategy that improves the university brand image as an important medium that affects the university image and brand awarenes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reference to the brand logo design marketing strategy of Chinese universities in the future.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높임법 연구

        한진위안 호서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55

        한국어 특징 가운데 하나는 높임법이 정교하게 발달한 언어라는 것이다. 그리하여 외국인이 한국어를 학습할 때에 어려움을 겪는 문법 범주 가운데 한 가지가 높임법이라고 한다. 한국어의 높임법을 모르면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원만히 하기 어려울 정도로 높임법이 한국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대단히 크다. 본 논문은 한국어의 가장 큰 특징적인 높임법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중국어권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한국어 교재의 높임법 구성을 조사, 특성을 분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의 내용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1장에서 본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살펴본 후, 연구 대상을 제시한다. 2장에서는 한국어 높임법에 관하여 이론적으로 검토 분석한다. 우선 한국어 높임법의 개념과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으로 한국어 높임법 실현 양상을 문법 형태와 어휘 형태에 의한 높임 표현으로 나누어 분석한 뒤, 한국어 높임 표현의 요인을 상하 관계, 친소 관계, 공식성으로 살펴보았다. 3장은 한국어 교재의 높임법 교육 내용 분석이다. 이 장의 구성은 크게 3분야로 나뉜다. 첫째, 한국어 교재 높임법의 현황이다. 이 절에서 먼저 대상 교재와 분석 방법을 설명한 후, 한국어 교재의 높임법 구현 양상에 대해 분석한다. 둘째, 한국어의 높임법은 대화 텍스트에 나타난 높임법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한국어 교재 대화 텍스트의 높임법에 대하여 다루고 있는 내용을 주체 높임법 표현, 상대 높임법 표현, 어휘적 높임 표현 등을 포함하여 고찰해 본다. 이러한 논의 후에 한국어 교재에 존재한 높임법의 문제점과 한국어 교재의 대화 텍스트에 나타난 문제점들을 고찰하였다. 또한 주체 높임법 선어말 어미 ‘-시-’와 관련한 교육 내용을 1)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시-’의 존대 대상과 기능, 2) 주체 높임과 간접 높임의 제시 현황, 3) 청자 또는 상황 주체 높임의 제시 현황, 4) ‘-시-’의 중복 표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그리고 상대 높임법에 대해 사회언어학적 측면을 고려하여 아래 다섯 가지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1) 교재의 대화 텍스트에 나타난 상대 높임법 양상, 2) 교재의 대화 텍스트에 나타난 사회적 관계, 3) 화자와 청자 간에 사용된 상대 높임 양상, 4) 교재의 대화 텍스트에 나타난 호칭 현황, 5) 호칭과 상대 높임법의 공기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한편, 어휘적 높임법 사용에 대해 겸양 어휘와 존대 어휘 등의 항목으로 나누어 교재에 나타난 어휘적 높임법 요소를 어떻게 사용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 후에 한국어 교재에 존재한 높임법의 문제점과 한국어 교재의 대화 텍스트에 나타난 부적절성을 발견했음을 알 수 있다. 4장에서는 앞서 3장에서 논의된 한·중 양국의 주요 대표적인 한국어 교재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중국어권 학습자용 한국어 교재의 높임법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학습자들이 높임법의 특성을 정확히 알고 이를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높임법 교육 내용의 개선 방안과 대화 텍스트의 개선 방안을 설정하고 그 구체적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5장의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였다. 주요어: 한국어교재, 높임법, 주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 존대 어휘, 겸양 어휘, 사회언어학, 의사소통능력, 대화 텍스트, 사회적 관계, 화 계, 호칭, 공기 관계, 개선 방안.

      • 대학내 기념관 건축에 관한 연구 : 호서대학교 장영실 기념관을 중심으로

        오영숙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re recently have been founded the new colleges that surpassed the spatially and temporally limited concepts of traditional colleges. The roles of colleges as well have been broaden from just education and studies to their connection and cooperation with industries. This trends force them to change from educational institutions to the basic infrastructures for industrial development. Their features, hence, have become various and complex. In this process, lots of memorial buildings within many colleges have been being constructed. However, the skepticism on the construction of these multi-functional memorial buildings is arising. The skeptics argue that the enormous amount of money expend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se buildings can be wasted on account of the lack of systemized operational programs. I hereby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s, facilities and operational programs of these memorial buildings in colleges and suggested my opinion on the appropriate way to construct 'Jang young-sil memorial' in 'Hoseo University'. The outcome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ly, It can be classified as 'person oriented' and 'fact oriented' memorial buildings. And the location of the memorial buildings in campus is influencd by the establishing purposes. Secondly, the memorial buildings have been constructed in recent are composed of various facility program, and especially research support program occupies great importances. Thirdly, the management program is important which can make self-profit model in financial aspects. And local demand based management program will make strong relationship with local area and the memorial buildings in campus. As a results of these study, the new design model of memorial building in campus is proposed.

      • 인터넷 환경에서의 중국 사범대학 성악 교육 모델 연구

        류지핑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Internet uses interconnected networks, with information technology at the core, empowers all kinds of activities which directly affects people's daily life, work, education and other aspects, changes the normalized mode of different industries, and allows people to explore the mysteries of uncharted territor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rapid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Internet technology have greatly changed the educational model as well. Internet education has become a new and unique way for people to learn and teach. In fact, the vigorous development of Internet education in China is based on the sustaine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in the new era and the practical work of educators with great sense of mission and forward thinking. Vocal music teaching has also been brought on the Internet. From the traditional offline education, to online education based on video recordings, and to the currently popular vocal music education APPs, online vocal music teaching platform, and vocal music "MOOC", new modes of vocal music education emerge one after another. They are undoubtedly concrete manifestations of vocal music education under the influence of Internet technology. It is not difficult to see that the new teaching modes empowered by the Internet technology is bound to be the development trend of vocal music education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at this stage, which has reorganized the time-space relationship of offline education. The study reviewed the history of vocal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of vocal music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vocal music education in normal universities at home and abroad, and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present situation of vocal music education in normal universities in China.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ctual teaching cases of massive open online course, mobile APPs and WeChat official accounts using the Internet technology, this paper made an in-depth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pportunities, innovative achievements and key issues of vocal music education on the Internet. In addition to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 the paper is divided into four parts: Firstly, the paper described the present situation of vocal music education in Chinese normal universities. On the basis of expounding the concept of vocal music teaching, the paper introduced the background of vocal music education in Chinese normal universities. Through distributing surveys on vocal music learning to students in Chinese normal universities, the present situation of vocal music teaching was analyzed, and the fact that the traditional teaching model of vocal music in China normal universities can't meet the requirements of students was pointed out. Secondly, starting with the history of Internet education in China, the paper introduced several major models of Internet vocal music education, focusing on massive open online course education, followed by mobile APPs and WeChat official accounts, each part of which was explained with case studies. Thirdly, the paper studied the development of the "new model" of vocal music education for normal university students in China and put forward that the Internet vocal music teaching should be combined with traditional vocal music teaching to form a pre-class, in-class and after-class education model; Then, it made an analysis of real cases applying massive open online course's pre-class, in-class (synchronized with offline class) and after-class education model, as well as the cases in which a comprehensive vocal music education model on mobile APPs and WeCha official accounts pre-class, in-class(during the pandemic) and after-class is constructed, and made a preliminary inquiry into the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effects of this new model in actual education by means of survey. At present, we should solve the problems of shortage of teachers, uneven distribution of teaching resources, large number of students and less class hours, and improve students' autonomy and enthusiasm in learning vocal music. Fourthly, the paper explore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new vocal music teaching model in Chinese normal universities, discussed the construction of a comprehensive platform model of mobile phone network, studied the corresponding teaching materials, curriculum content design and evaluation model, and provided targeted optimization strategies. The paper put forward a "new model" of combining traditional vocal music with Internet education in Chinese normal universities under the background of Internet, and indicated Internet technology can be a beneficial supplement to traditional vocal music education at this stage. Through the desig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vocal music education model, both Chinese normal universities’ teaching quality and efficiency and students' autonomous learning ability can be improved to the greatest extent, so that students can better accumulate vocal music tracks, broaden their horizons, make full use of educational space and time, and share educational resources in time. In this way, more qualified vocal music talents can be cultivated. 인터넷은 정보 기술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관련 사물간의 네트워크 상호 연결 활동으로서 사람들의 일상생활, 업무, 교육 등 여러 방면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터넷은 다양한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놓았고 미지의 영역을 탐구하는 사람들과 함께 해 왔다.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인터넷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보급은 교육 패러다임에도 큰 변화를 가져 오게 되어, 인터넷 강의는 현재 사람들의 지식 습득과 궁금증을 풀어내는 새로 운 방식이 되었다. 중국 인터넷 교육의 활성화는 새로운 시대의 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시대 정신과 사명감을 지닌 수많은 교육 종사자들의 실천에 기초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사회적 배경에서 성악 교육도 인터넷 기술의 영향을 받아 전통적인 오프라인 수업의 동영상 녹화가 일상이 되었고, 모바일 성악 어플리케이션, 인터넷 성악 강의 플랫폼, 그리고 성악 MOOC(온라인대중 공개 수업) 등 새로운 성악 교육 모델들이 인터넷 기술을 통해 활용 되고 있다. 인터넷 기술을 결합한 새로운 교육 모델은 대학교 성악 교육발전을 주도하며, 오프라인 수업의 시공간 관계를 재구성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대학교 성악 교육의 발전사를 살펴보고, 중국 및 해외 사범대학 의 성악 교육 과정 분석을 통해 성악 교육의 특징을 정리하며, 중국 사범대학의 성악 교 육 현황을 조사 연구하고 분석하였다. 인터넷상의 온라인 성악 MOOC,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챗 공식계정 등의 사례 분석을 통해 인터넷 환경에서의 성악 교육의 발전 기회, 교육 성과, 문제점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전체 논문은 서론과 결론 부분을 제외하고 모두 네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2장에서는 주로 중국 사범대학의 성악 교육 현황을 소개한다. 성악 교육 개념에 기초한 사범대학의 성악 교육 특징과 배경을 소개하며 사범대학생들의 성악 학습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중국 사범대학의 성악 강의 현황을 분석하여 현 단계의 중국 사범대학의 전통적 성악 강의 양식이 대학생들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점을 설명한다. 3장에서는 중국 인터넷 교육 역사와 현재 사용되는 인터넷 성악 교육의 몇 가지 주요 모델에 대해 소개한다. MOOC 수업을 중심으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및 위챗 공식계정 등을 설명하며 각 부분마다 실제 강의 내용을 소개한다. 4장에서는 인터넷 환경에서 중국 사범대학의 ‘새로운 성악 교육 모델’에 대한 탐구를 진행한다. 인터넷 성악 강의와 전통 성악 강의를 결합하여 각각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 진행되는 종합 교육 방식을 소개한다. 또한 MOOC의 실제 수업 전, 수업 중(오프 라인 수업과 동시 진행), 수업 후 교육 실습 분석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위챗 공식계정의 수업 전, 수업 중(코로나19 발생 기간) 및 수업 후 종합 성악 교육 모델을 제안한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이 새로운 모델의 실제 교육에서의 장단점과 효과를 검증한다. 현시점에서의 교사 수의 부족, 교육 자원의 불균등, 학생수의 증가, 부족한 수업 시간 등의 현상을 해결하고 학생들의 성악 학습에서의 자주성과 적극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5장에서는 중국사범대학 성악 교육 새로운 모델의 개발과 응용 연구를 탐구하고, 모바일 네트워크 종합 플랫폼 모델을 구축하고 상응하는 교재, 교육과정 내용 설계 및 평가 모델의 구축에 대한 연구를 전개하고 맞춤형 최적화 전략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인터넷 환경에서 중국 사범대학의 전통적 성악 교육과 인터넷 교육을 결합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 인터넷을 활용하여 현재 전통적 성악 교육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보완점을 제시하고 성악 교육의 설계와 활용을 통해 중국 사범대학 성악 강의의 질과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연구한다. 또한,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많은 성악곡을 학습시켜 학생들의 시야를 넓힐 수 있게 하는 한편 수업 공간과 시간을 충분히 활용토록 함으로써 수업 자원을 효율적으로 공유하게 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본 연구가 성악 교육 인력 자원의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희망한다.

      • 세무대리인 상황과 세무대리서비스 특성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세무대리인 명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병억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세무대리인 상황과 세무대리서비스특성이 계속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세무대리인 명성이 세무대리인 상황과 세무대리서비스특성이 계속이용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들에서 채택한 세무대리인 상황은 세무사사무실 상황, 세무대리인과의 관계, 시간·비용을 연구하였고, 세무대리서비스특성은 전문성과 응답성, 확신성을 연구하였다. 첫째, 세무대리인 상황 중 세무사사무실 상황과 세무대리인과의 관계, 시간·비용은 지속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무대리인 특성 중 전문성은 지속이용의도에 (+)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응답성과 확신성은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무대리서비스 특성 중 전문성과 응답성은 세무대리인 명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세무대리인 특성 중 확신성과, 세무대리인 상황 중 세무사사무실 상황, 세무대리인과의 관계, 시간·비용은 세무대리인 명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성이 높아지면 세무대리인 명성이 높아지는 반면, 응답성이 높아지면 세무대리인 명성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세무대리인 명성은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세무대리인 명성이 증가할수록 지속이용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조사대상자의 집단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해 심층분석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여 지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대학도서관에서 시각적 연속성에 따른 색채이미지와 감성평가 연구 : H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함유진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인간은 신체의 감각을 통해 외부환경을 인식하고 받아들이는데, 로버트 뮈르(Robert Muir)는 인간의 신체 감각기관 중 83%가 시각을 통해 외부정보를 획득한다고 주장한바 있어, 인간의 다섯 가지 감각기관(오감) 중 시각이라는 요소는 환경을 지각하는 핵심적인 인간의 수용기관이며, 오감 중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특징적인 지각체계이다. 시각을 통해 공간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인간은 감성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시각은 환경을 수용하는 인간의 핵심적인 수용기관으로 주변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개되어 나가야 할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인간은 주변 환경의 요소와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되며 이로부터 시지각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은 시퀀스(sequence)의 연구로 이어지게 된다. 대학도서관은 일반 공공도서관이나 다른 도서관과는 다르게 특정 대학교에 소속되어 있어 대학생이나 교수, 교직원을 대상으로 하며, 그 도서관이 속한 대학의 교육적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도서관 자료를 수집, 정리, 보존하여 학생들과 교직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최근 대학도서관에서는 이용자 중심(서비스 중심)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시스템의 변화가 생겨남에 따라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우선, 디지털 기기와 IT시설의 증가로 인한 멀티미디어 공간, 열람공간의 확대와 개인학습공간인 캐럴, 그룹 스터디룸의 확대로 학습공간 영역이 넓어졌으며, 전시공간, 영화감상공간 등의 복합문화기능 수행공간, 커뮤니케이션이나 휴게공간(북카페, 라운지, 실내․야외테라스 등)이 확대되고 있어 다양한 동선체계(흐름)가 형성되기 마련이다. 동시에 공간을 이루고 있는 벽, 천장, 바닥, 가구 등 환경적 요소에 대한 색채 또한 중요한 영역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용자도 교수, 대학생, 교직원에 국한하지 않고, 그 밖의 지역주민들까지 포함하여 이용자층도 확대되고 있다. 이렇듯 대학도서관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으며, 현재 대학도서관들 또한 신축이나 리모델링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 대학도서관은 과거의 열람 및 보존기능과 현재의 복합문화기능 중심에서의 도서관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있으며, 감성적 측면의 접근 또한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감성연구 측면에서 대학도서관에서 시각적 연속성에 따른 공간의 색채이미지가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의 중요성과 최근 도서관에서의 소요공간의 다변화와 구조 및 동선체계의 다양화 양상을 고려해 볼 때 공간디자인의 계획에 있어 본 연구의 목적을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지금까지 실내공간의 색채이미지연구가 부분적·특정적인 공간의 환경적 요인인 벽, 천장, 바닥, 가구 등 각각의 환경적 요소에 색 변화를 주어 어떤 이미지평가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는 H대학교의 도서관을 사례로 공간의 연속성을 기능에 따라 도입부, 전개부, 결말부로 나누고, 공간의 전체적·통합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그 일차적 목적이다. 둘째, 인간의 감각기관 중 시각을 이용하여 공간의 환경에 따른 색채이미지를 발견하고 인식하는 과정에서 인간에게 어떠한 심리적 자극과 결합이 되어 나타나는 반응에 대하여 연구하며, 감성연구에 새로운 방법과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의 목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연구의 범위와 분석 방법을 세부적인 연구의 진행체계에 따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시각적 연속성과 감성연구의 이론고찰을 통해 시지각의 개념 및 특성과 시각적 연속성 공간의 특성과 공간 환경의 감성이론, 감성연구방법론에 대해 고찰하며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의 타당성을 제시한다. 또한 시각적 연속성에 따른 감성평가를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선행연구를 근간으로 구체적인 조사방법을 제시한다. 3장에서는 대학도서관의 공간특성과 색채이미지의 특성 중 환경적 측면에서의 이미지에 대하여 고찰한 후 실험대상공간인 H대학교 도서관공간의 시각적 연속성에 따른 색채평가모형을 통하여 공간의 색채분석이 이루어진다. 또한 환경적 측면에서의 색채이미지평가를 실행한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진행된 공간의 시각적 연속성에 따른 색채이미지를 평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학적 검증을 실행한다. 실험의 기준을 설정한 뒤 추출된 감성어휘로 감성평가를 시행하며 SD법을 이용하여 피실험자의 감성 차이를 비교하고, 설문데이터를 통계프로그램(SPSS 18.0)을 이용하여 타당성 검증을 실시한다. 연구의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하는 신뢰도 검증, 각 대상지별 지점에서의 요인을 그룹화하기 위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감성실험에 대한 통계학적 검증과 실증적 분석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연속성에 따른 대학도서관 공간의 통합적 색채이미지연구를 감성평가를 통하여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환경심리학 관점인 인지적 이미지가 공간(환경)의 색이나 질감, 형태로 접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감정반응이 인간의 행동(반응, 감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공간의 색채이미지가 인간의 감성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험대상 공간의 색채이미지평가를 실시해본 결과 도입부의 로비에서는 YR계열과 G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s(strong)’가 많고, ‘dk(dark)’가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통합서비스센터도 마찬가지로 YR계열과 G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p(pale)’가 많이 나타나며 ‘lt(light)’가 가장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책숲길에서는 GY계열과 YR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b(bright)’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s(strong)’의 계열이 적게 분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개부의 서고에서는 YR계열과 GY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p(pale)’가 많이 나타나며 ‘s(strong)’가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열람실에서는 PB, B계열과 GY, Y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p(pale)’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dk(dark)’가 가장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정보검색·과제수행코너에서는 B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sf(soft)’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p(pale)’, ‘dkg(Dark grayish)’의 계열이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스터디룸에서는 B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dkg(Dark grayish)’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p(pale)’의 계열이 적게 분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말부 북카페에서는 Y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sf(soft)’가 많이 나타나며 ‘p(pale)’가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실내테라스에서는 R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sf(soft)’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p(pale)’가 가장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야외테라스에서는 GY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sf(soft)’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p(pale)’의 계열이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무대에서는 Y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sf(soft)’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b(bright)’의 계열이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전시실에서는 Y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p(pale)’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dk(dark)’의 계열이 적게 분포하고 있으며, 메모리얼 홀에서는 Y계열의 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색상·색조 분포도는 ‘ltg(Light grayish)’, ‘g(grayish)’, ‘dkg(Dark grayish)’가 가장 많이 나타나며 ‘lt(light)’의 계열이 적게 분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대상지에서의 색채이미지 감성어휘 평가를 실시해본 결과, 로비에서는 ‘따뜻하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가볍다’는 낮게 나타났다. 인포데스크에서는 ‘조용하다’가 가장 높고, ‘화려하다’가 가장 낮게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고에서는 ‘조용하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화려하다’는 낮게 나타났다. 열람실에서는 ‘차분하다’가 높고, ‘가볍다’, ‘산뜻하다’가 낮으며, 정보검색코너에서는 ‘따뜻하다’가 높고, ‘단순하다’는 낮게 나타났다. 스터디룸에서는 ‘차분하다’, ‘시원하다’가 높게 나타났으며, ‘따뜻하다’는 낮게 나타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북카페에서는 ‘화려하다’는 높고, ‘단순하다’는 낮게 나타났다. 실내테라스에서는 ‘따뜻하다’가 높고, ‘조용하다’가 낮으며, 야외테라스에서는 ‘시원하다’가 높게 나타났고, ‘화려하다’가 낮게 나타났다. 무대에서는 ‘따뜻하다’가 높고, ‘화려하다’가 낮고, 전시실에서는 ‘시원하다’가 높고, ‘가볍다’, ‘산뜻하다’는 낮으며, 메모리얼 홀에서는 ‘화려하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볍다’, ‘단순하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공간에서의 색채이미지와 감성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인지적 이미지, 감정적 이미지와 감성어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감성을 통해 공간의 색채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학문적으로 체계화,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