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등학교 생물임용시험과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교과과정의 관련성 분석

        나기선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ppointment in Biology and Biology Education curriculu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questions of Teachers' Appointment in biology are based on the biology education curriculu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refore the curriculums should consist of contents covering overall courses of study in secondary school, which would be fundamental for students to study in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This study is about whether the questions in current Teachers' Appointment correspond well to requirements in the curriculums. In this study, I used three different approaches to address these questions as follow: First, I analyzed all the questions in biology Teachers' Appointment given last 5 years from 2003 to 2007. Second, I analyzed 6 biology education curriculums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hich are represented each province. Third, I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the questions and curriculums and studied how to improve the teachers' appointment in the future. When the questions in biology were analyzed, the number of questions were not enough to cover all the contents suggested in the 7th Version of N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the questions were not related to the modern environmental biology and biotechnology. In conclus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t develop unique curriculum for biology major because it aims at train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he curriculums should be standardized to be connected with secondary school of biology. Teachers have great responsibility which they must develop future leaders who lead our society. Therefore, it is crucial that we select right people for the position.

      • 대학생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효율적 지도방안 연구 : 동국대학교 글쓰기 센터 글쓰기 상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박솔잎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n effective guideline for improving college students' writing skill by analyzing education programs and writing consulting sessions provided by university writing centers. As writing skill has become ever more important in the society recently, many universities have established writing education institutions. Most universities have provided writing courses in their liberal arts curriculum, and such courses have been improved due to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writing skill. The reason why universities pay attention to writing education is because the modern society requires each individual to have a sufficient level of writing skill. In the modern society, writing serves as a means to express one’s thoughts and is an important tool to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In other words, writing skill is required not just for writing college admission essays and academic papers. Rather, it has become a new communication tool in our daily lives. Acknowledging this change, each university tries to provide systematic writing education. However, despite such an effort, they have failed to produce satisfying results so far. This is because most college writing courses are given in a large lecture class when a small group session is proper for efficient writing education. Facing such a problem, universities have established and operated college writing centers as an alternative in order to offer more practical wiring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opened a writing center in August 2007, and has provided writing consulting and writing lecture programs, etc. ever since. Especially, writing consulting is a basic program where consultants offer customized advice on undergraduate student's writings. This paper focuses on the role of the writing center as a college writing education institution, and proposes effective guidelines for teaching writing to university students such as systematic consultant education and training, establishing a consulting manual, consulting evaluation and feedback, and diversifying programs, based on student survey on their consulting and writing experience. Most of all, writing consulting should not be a one-off event. Rather, repeated revisions and consulting will have a bigger effect. Also, the program should focus on revisions through a one-on-one session with consultants. Result-oriented writing education will not help students to develop their writing proficiency. Writing education accompanied by consulting at the writing center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students' writing skill through repeated revisions based on discussions and debates.

      • 유아 성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실시현황 : 5개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신은영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is set the follow questions to study the present conditions of sex-education oper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teachers for developing the child sex-education program. 1) what is the difference of the present condition of sex-education operation by regions and types of the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2) what is the difference of understanding of teachers by regions and types of the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3)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teachers and the present operation condition of child sex-education? This study is conducted with 207 teachers currently working at children’s education institutes in 5 different regions, Seoul, KyoungGi, KangWon, ChungCheong, KyoungSang, JeolLa.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research group was presented by percentage after ran SPSS/PC+ program by frequency, and it was verified the level of significance by regions and types of children’s education institutes each question.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is suggested the context below. 1. The most teachers(97.5%) answered that they conduct the sex-education to children at children’s education institutes. But, in ChungCheong region, there are more institutes that don’t conduct the sex-education to children than in Seoul, KyoungGi, KyoungSang, JeolLa regions. 2. About the time for child sex-education, two answers were the most popular that they have organized sex-education plan by yearly, monthly and weekly and follow those plans, or they conduct it flexible without regular schedule according to related topic with daily life. When it comes to the types of child education institutes, the research shows that the day-care-room teachers conduct the sex-education with organized plans by yearly, monthly and weekly compared to kindergarten teachers. From 3 years old to 4 years old is thought that the most desirable time for child sex-education by teacher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it is shown the difference that kindergarten teachers answered the 3 to 4 years old is the best time to be conducted the sex-education and the teachers of the day-care-rooms answered age under 3 is the most desirable time for that. According to type of the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the number of times of sex-education conducted each semester is 3 to 4 times at kindergarten, 5 to 6 times at the day-care-room. It presents that the teachers of the day-care-room perform sex-education more than teacher’s of kindergarten. The question of the teachers' understanding on sexual language usage, teachers chose the answer the most that children start using baby talk and then gradually develop the correct words. According to difference of regions, compared to other areas, teachers in Jeolla area responded more that they use the baby talk which children are supposed to understand than teachers in other areas. On the present condition of sex-education materials, most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are short of or average, and the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 to have less sex-education materials than day-care-room teacher's. The answer to the reason of having less materials for sex-education is due to lack of the available materials which they can buy. On the effect of the current conducted sex-education, most of teachers respond to be positiv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hild education institute, day-care-room respond to be positive more than kindergarten. It is answered that developing the organized child sex-education program, building the sex-education system with home, preparing the sex-education training program for current teachers on the question of the most efficient alternative for the desirable sex-education. It doesn't show the difference by regions and the types of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3. The result of the 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recognition for sex-education purpose and current condition of performance, they respond the most that the purpose of the sex-education is to build the healthy attitude of sex, among to have them know the straight knowledge about sex as each growth level, to raise necessary behavior in everyday life in aspect of guiding the living, to be a human education that sex-education should form the complete character as its goal. The result of the 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recognition for the conducting time and current condition of performance, without the reason of conducting the sex-education, mostly teachers of day-care-room think they should conduct the sex-education by yearly, monthly, and weekly plans, and teachers of kindergarten think by themes related to everyday life flexible. The result of the 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recognition to times of sex-education and current condition of performance, teachers at day-care-room and kindergarten, who conduct the sex-education to build the healthy attitude of sex, to raise necessary behavior in everyday life, and to prevent the sexual misconduct and damage, answered to perform the sex-education once to twice a semester, The result of the 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recognition to the starting time for sex-education and current condition of performance, without the reason of conducting the sex-education, teachers think the age between 3 and 4 would be the most desirable time to start conducting the sex-education. 본 연구는 유아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유아교육기관 성교육 실시현황 및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 성교육의 실시 현황은 지역별 · 유아교육기관유형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유아 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지역별 · 유아교육기관유형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유아 성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과 유아교육기관 성교육 실시현황 간에는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의 5개 지방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프로그램으로 컴퓨터 처리하여 빈도수에 따라 백분율로 표시하였으며 문항에 따라 지역, 유아교육기관 유형별에 따라 x² 검증을 실시하여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교육의 실시현황에 대한 대부분의 교사(97.5%) 유아 성교육을 실시한다고 응답하였다. 지역별에 따라 서울 · 경기, 경상도, 전라도, 강원도 지역에 비해 충청도 지역이 성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기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유아 성교육 실시 시기에 대해 교사들은 연간 · 월간 · 주간 계획에 따라 체계적으로 실시한다는 응답과 연관되는 생활주제에 따라 융통성 있게 실시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유아교육기관 형태에 따른 차이에 있어서 어린이집 교사가 유치원 교사에 비해 연간·월간·주간 계획에 따라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있다는 응답을 많이 보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아 성교육을 시작하기에 바람직한 시기는 만 3~4세라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았다. 유아교육기관형태에 따른 차이에 있어서 유치원 교사들이 만 3~4세에 시작하는 것이 좋고, 어린이집 교사들은 만 3세 미만에 성교육을 처음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교육 실시횟수는 유아교육기관 형태에 따라 어린이집 교사들이 한 학기당 3~4회 또는 5~6회 정도 실시하고 있다는 응답을 많이 보여 어린이집 교사들이 유치원 교사들에 비해 성교육을 더 많이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성과 관련된 언어의 사용에 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에서는 ‘유아어를 사용하다가 점차 정확한 언어를 사용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지역에 따른 차이에 있어서는 다른 지역에 비해 전라도 지역의 교사들은 유아가 알아듣기 쉽다고 생각하는 유아어를 사용한다는 응답을 더 많이 보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성교육 관련 자료 구비 현황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교사가 보통이거나 부족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유아교육기관형태에 따라 유치원 교사들이 어린이집 교사에 비해 성교육 관련 자료 구비 현황에 대해 부족하다는 인식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성교육 자료가 부족한 이유에 대해 교사들은 구입할 수 있는 유아 성교육자료가 없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현재 실시하고 있는 성교육에 대한 효과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긍정적이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유아교육기관 형태에 따라 어린이집이 유치원에 비해 유아 성교육에 대한 효과에 대해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더 많았다. 바람직한 성교육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안으로 체계적인 유아 성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가정과의 연계지도 체제 마련, 유아 성교육에 대한 교사 현직 연수 실시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 유아교육기관 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성교육의 목적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시 현황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 각발달 단계에 따른 올바른 성 지식을 알게 하기 위해서’와 ‘생활지도 측면에서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기본 생활 습관을 기르게 하기 위해’ 성교육을 실시한다고 응답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교사들은 성교육의 목적에 있어서 성에 대한 건전한 태도 육성을 위해 성교육을 실시한다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성교육의 실시시기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시 현황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교육을 ‘각 발달 단계에 따른 올바른 성 지식을 알게 하기 위해’와 ‘생활지도 측면에서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기본생활 습관을 기르게 하기 위해’ 성교육을 실시한다고 응답한 교사 중 어린이집 교사들은 연간·월간·주간 계획에 따라 체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유치원 교사들은 연관되는 생활주제에 따라 융통성 있게 해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성교육의 실시횟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시 현황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발달 단계에 따른 올바른 성지식을 알게 하기 위해’와 ‘생활지도 측면에서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기본생활습관을 기르게 하기 위해’와 같은 이유로 성교육을 실시한다고 응답한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들이 모두 한학기당 성교육을 1~2회 정도 실시한다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성교육의 시작 시기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시 현황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발달 단계에 따른 올바른 성지식을 알게 하기 위해’와 같은 이유로 성교육을 실시한다고 응답한 교사들이 모두 만 3~4세에 성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가장 많이 응답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문화예술 및 무용교육에 관한 인지실태 연구

        송은령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aiming of this research shows us how to develop the dancing education and this survey of the targets is the 250 kindergartens' teachers in Seoul and Kyoung-gi area. According to this survey, I have found out the results after verification and analysis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First, there are teachers with a high level of human knowledge about the cutural art education but this shows us a difference between the cultural art education and they ordinary put it in operation. It appears that a short of contents and methods for the cultural art education. Second, there is a high level of human knowledge about the cultural art education and dancing education in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s is being accomplished. However, people think dancing education is strongly physical and aesthetic sentiment. This is a lack of understing about dancing education. Third, the teachers want to develop and diffuse the educational program about cultural art and dancing education also they demand to strengthen the administration and financial support for it. See these above, we have a matter to attend the aiming of cultural art education and developing new program to teach based on national and territorial society are cooperated and assisted each other. It is to make cultural art education and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s activate. I expect a following studies to develop a dancing education program will be realized as a cultural art education.

      • 공교육 활성화를 위한 유아교육 현황 분석

        정경화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유아교육 공교육의 활성화에 대하여 재조명하려 하며, 이를 위하여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공교육화에 대한 인식과 공교육화 방향에 대한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유아교육 공교육화 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 유아교육 공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 유치원 교육환경은 어떠한가? 셋째 : 부모와 교사는 유아교육 교사의 전문성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 넷째 : 유아교육 공교육의 추진방향은 어떠한가?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 공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은 서로 많은 차이를 보였다. 유아교육의 공교육의 정의에 대하여 부모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공립과 사립유치원을 모두 관리·보조하는 것' 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사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공립유치원을 설립·운영할 뿐 아니라, 사립유치원에 대해서도 교육비를 보조하며 관리하는 것' 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육 공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부모들은 교육기회의 균등화 등을 이유로 꼭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사들은 사립 유아교육기관들의 운영이 어려워질 것이기 때문 등의 이유로 유아교육 공교육이 아직까지는 필요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육환경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교사와 부모들은 우리나라 유아들의 유치원 취학 기회에 대하여 불공정하며, 유아교사의 자질에 대해서는 양호한 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유아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이 유아의 발달에 따라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아교육기관의 설립유형에 따라 교육의 질이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교육기관의 시설 및 설비가 양호한 편이라고 하였으며, 유아교육의 안전도와 청결도 또한 양호한 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교육의 공교육화가 추진될 때의 교육비 재정부담에 대해 국고지원으로 무상화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유아교육의 공교육화에서 추진해야 하는 교육 내용의 방식에 대해서는 지역중심 프로그램의 개발 실시라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육여건과 관련하여 공교육화 추진 시 적당한 유치원 규모에 대해 부모들은 3-4학급이라는 의견이 많았으며, 교사들은 4-5학급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유치원 교육여건과 관련하여 교사 1인당 적당한 원아 수에 대하여 부모들은 11-15명이라는 의견이 많았으며, 교사들은 16-20명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셋째, 부모와 교사에 따른 유아교육 교사의 전문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부모는 졸업 후 현장 적응 실습을 거쳐 교직 적성 자격자에게만 공교육화 된 유아교육 기관의 교사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 낫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사는 현행대로 졸업과 동시에 라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또한 적당한 유아 교사의 학력에 대해 부모는 3년제 전문대 졸이라는 의견이 많았으며, 교사는 대학원 졸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공교육화 추진 시 유아 교사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우선 시 되어야 할 점에 대해 부모는 유아교사의 자격기준 상향조정과 그에 따른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사는 연수제도 등의 기회확대와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유아교육 공교육의 추진방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육의 공교육화를 추진하고자 할 때, 앞으로의 공립 유치원의 설립형태에 대한 생각에 대해 부모들은 국가의 재정적 지원과 관리 감독이라는 의견이 많았으며, 교사들은 교원인건비 및 운영비 보조 및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라는 의견이 많았다. 유아교육의 공교육화를 추진하는데 있어서의 행정적 주체에 대해서는 교사와 부모 모두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학부모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유아교육의 공교육화 추진과정에서 우선적으로 투자해야 할 부분에 대해서는 부모들은 다양한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라는 의견이 많았으며, 교사들은 유치원의 정식 학제로의 편입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This study intended to activate public education, researched and analyzed real conditions of preschool education to know desirable directions of public education and help parents recognize public education. The final purpose is to offer basic materials to reestablish preschool educ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Following study issues were set under those purposes. First : What about recognition of parents and teachers concerning preschool educ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Second : What about educational environments of kindergartens? Third : What evaluations do parents and teachers give about specialty of preschool education? Fourth : What about developmental directions of preschool educ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parents' recognition concerning preschool educ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was much different from that of teachers. As for definitions of preschool education as a public education, parents understood that it means 'the nation and self-governing bodies manage·aid both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nd teachers recognized that it means that 'the nation and self-governing bodies not only found·operate public kindergartens but also aid·manage educational funds of private kindergartens. As for necessity of preschool education as a public education, parents recognized that it is necessary to equalize educational opportunity, but teachers recognized that preschool education as a public education is not necessary yet because management of private preschool education organs might become difficult. Second, the examina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s of kindergartens told that teachers and parents thought that opportunity to enter the kindergarten is not equal for all children in our country, and quality of kindergarten teachers is satisfactory. Also, they thought that curriculums of preschool educational organs have been set well according to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education quality is different according to preschool education organs' foundation-types. They recognized that facilities and apparatus of preschools are satisfactory, security and neatness of preschools are satisfactory, too. Educational funds for settlement of preschool education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should be supported without compensation by the government. As for educational contents to be pursued, many thought the ways ought to be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 by each local community. As for the most proper size of kindergartens to be considered when promoting preschool education as a public education, which is related with conditions of kindergarten education, parents thought it is 3-4 classes' size, teachers thought it is 4-5 classes' size. As for the most proper number of students per one teacher, which is related with conditions of preschool education, parents thought it is 11-15 students' size, teachers thought it is 16-20 students' size. Third, the examination of specialty of kindergarten teachers according to parents and teachers proved following facts; parents thought that the teaching certificate should be given to persons who went through trainings for field-adjustment after graduation and have a teacher's license, teachers had a recognition of 'simultaneously with graduation'. As for school career of preschool teachers, parents thought that graduation from 3-year college is proper, teachers thought that it is graduation from the graduate school. As for the most important thing to be thought on behalf of preschool teachers' specialty, when promoting preschool education as a public education, parents thought that qualification level of preschool teachers need be elevated and the government must support for it, teachers recognized that opportunities need be expanded, for example, the training system, also, opportunities need be verified. Fourth, the examination of developmental directions of preschool education as a public education proved following facts; as for foundation-types of kindergartens in the future when promoting preschool education as a public education, parents answered financial support and supervision by the government, teachers answered aid and management of operational fees as well as support for teacher personnel expenses. With respect to administrative subjects who will promote preschool education as a public education, both parents and teachers answered the government, self-governing bodies, and parents. Also, as for the part to be invested in the promotion process forward preschool education as a public education, parents thought that various preschool education programs need be developed, teachers recognized that kindergartens should be included in the regular school system.

      •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본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민족주의 서술 문제

        성대훈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look at the need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Korean society, which is converging quickly into the multicultural society. Also, the aim was to criticize the content of the current Korean history textbook that discourage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share the critical thinking of the extensive solutions to such issues. This study was approached from three different directions. Firstly, the definitions and the need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education were investigated for the preceding notion of the study. The actual evidence of transference into the multicultural society was proved through the statistical data, despite the fact that there were dissenting opinions about such evidence. Moreover, it discussed about the correct form for the preparation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Korean society, based on the study on the other countries like United States, which already transferred into the multicultural society from the emigrating society. Secondly, it examined the nationalism that was being criticized for such hindrance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e various developments of modern concept of ‘nation’ and nationalism that originated from formative periods of countries in Europe were investigated. It emphasized that the ideology of homogeneous nationalism was false, by revealing the flow and stories in Korean history that was forgotten or desired to be erased. It also stated the need of replacement of the ideology of homogeneous nationalism to multiculturalism is necessary for the new era with the changed environment, but while accepting the usefulness of what the nationalism had so far. Thirdly, it was looked over the way the Korean History textbook constituted and described the nationalism by subdividing into four subsections. It was criticized that the history can be distorted and misunderstood by grouping the concepts of what it might be transcendental into 'superhistorical reality'. It was clarified that the past history was deliberately selected and excluded to emphasize the nationalism in the section of 'intentional selection and exclusion'. It commented on the content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 which may bring exclusive nationalism due to 'inaccurate description and framework'. It also pointed out that the textbook abused Japan by imaging it as in justice country in the section of 'an eternal enemy: Japan'. It is crucial to change the Korean history textbook to enhance the intrinsic value of historical education that fosters the correct historical thinking, and also on the extrinsic value that provides educated citizen for wealthy and prosper country. It is not reasonable to let the historical view that the future students will encounter, to keep being focused on the narrow minded patriotism and exclusive nationalism. It is desirable for the new Korean history textbook to be the textbook that provides more open preparation for the future. 이 연구의 목적은 급격히 다문화사회로 접어들고 있는 한국 사회가 필요로 하는 다문화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저해하는 현행 국사교과서 기술을 비판하는 동시에 발전적인 대안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려는 데 있다. 이 연구는 크게 세 가지 방향에서 진행되었다. 첫째는 연구를 위한 선행개념으로서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의 정의 그리고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내외의 여러 이견에도 불구하고 명백히 다문화사회로 이행하고 있는 현실을 통계자료를 통해 실증해보았다. 나아가 미국과 같이 이미 이민사회를 거쳐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국가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가 준비해야할 한국식 다문화교육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지 논의해보았다. 둘째는 다문화교육을 저해한다고 지적받는 민족주의가 과연 무엇인지 살펴보고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의 양립이 가능한지도 살펴보았다. 유럽의 국민국가형성기에서 비롯된 근대 ‘민족’의 개념과 민족주의로의 다양한 발전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민족주의가 우리나라에 받아들여지는 과정과 현재까지 가지는 효용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나아가 잊혀 졌거나 혹은 잊고 싶었던 우리 역사 속의 유입과 동화를 다시 드러냄으로서 단일민족 이데올로기가 거짓임을 주장하였다. 역사학계를 비롯한 고고학, 의학 등 다방면의 최신 연구 성과를 토대로 한민족이 순혈의 혈통이 아님을 밝혔고, 근세 초까지도 면면히 이어졌던 이민족의 유입과 동화에 대해 재조명해보았다. 이런 과정을 통해 국민 일반에 오도되고 있는 ‘단일민족’의 이념이 지극히 사회적 합의의 영역에 불과함을 밝혔다. 더 나아가 ‘민족이란 태초에 주어지는 것이 아닌 만들어지는 것’이라는 정의를 확장시켜 현재도 민족 내부의 다양성이 증가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동안 민족주의가 가졌던 효용은 인정하더라도 변화된 환경의 새로운 시대에는 단일민족이데올로기 대신에 다문화주의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셋째는 국사 교과서 속에 민족주의가 어떻게 구성되고 기술되어 있는지 ‘초역사적 실재’, ‘의도적인 선택과 배제’, ‘부정확한 기술과 구성’, ‘영원한 숙적: 일본’의 4개 하위분류로 나눠 살펴보았다. 선험적인 존재로 가정되는 개념들을 ‘초역사적 실재’로 묶고, 이런 개념들로 인해 역사 해석이 왜곡되고 오해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의도적인 선택과 배제’에서는 단일민족을 강조하기 위해 역사적 사실이 계획적으로 선택되거나 배제되었음을 밝혔다. 또한 ‘부정확한 기술과 구성’로 인해 배타적인 민족주의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교과서 내용을 지적하였고, ‘영원한 숙적: 일본’에서는 ‘일본’이 부정적 이미지로 악용되었음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각 하위분류 속에서 교과서 기술의 비판과 더불어 발전적인 교과서 서술의 예시를 제안해보았다. "한국에서 민주주의를 기대하는 것은 쓰레기통에서 장미가 피길 바라는 것과 같다." 영국기자 칼 티 로완(Carl T. Rowan)이 1966년 ‘이브닝스타’라는 일간지에 쓴 글이다. 이 말은 전후 우리나라가 걸어온 길을 극명하게 드러낸다. 처참한 식민지와 내전의 경험을 막 끝내고 아무도 낙관할 수 없었던 혼란한 상황에서 불과 60여년 만에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식민지에서 해방된 나라 가운데 민주화와 산업화를 동시에 이룬 유일한 나라’로 인정받고 있다. 불가능을 이뤄낸 저력은 무엇보다도 온 민족이 하나로 똘똘 뭉쳐 자신감을 가지고 힘을 합쳤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과정에서 국민교과로서 ‘국사’가 큰 역할을 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하지만 목적이 아무리 숭고하다고 해도 진실이 왜곡되고 과장되어선 안 된다. 초역사적 실재로서 단일민족만이 강조되어선 안 된다. 더욱이 세계는 지난 반세기와는 전혀 다른 변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2050년경이면 우리 국민 열 중 하나가 외국인일 것이라고도 한다. 남북한 간 언어와 사상 등이 더욱 멀어지고 우리가 동일한 문화, 언어를 강조하는 단일민족만을 고집할 경우 역설적으로 남북한은 영원히 다른 민족이 될 수도 있다. 새로운 구성원과의 내부 통합뿐만 아니라 통일을 위해서도 단일민족주의는 버려야 한다. 역사가 증명하듯 귀화나 타문화·타민족과의 결합이 미증유의 경험이 아니므로 좋은 선례를 배워 긍정적으로 승화시켜야 할 것이다. 올바른 역사적 사고력 함양이라는 역사교육의 내재가치의 실현은 물론이고, 더욱 부강한 국가의 국민 양성이라는 외재가치의 실현을 위해서도 우리의 국사교과서는 바뀌어야 한다. 미래에 자라날 우리 아이들이 배울 역사관이 편협한 애국심이나 배타적 민족주의여선 안 된다. 새롭게 준비되는 국사교과서는 더욱 개방적으로 미래를 준비하는 교과서가 되었으면 한다.

      • STEAM교육을 적용한 지도 방안 연구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1학년 함수 중심으로

        이주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 창조경제의 시대에 우리는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를 하는 인재가 필요하다. STEAM 교육은 문제해결력과 융합적 사고를 기반으로 과학과 기술의 이해력과 더불어 흥미를 향상시키는 융합 교육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중등 1학년을 대상으로 함수 중심의 STEAM 수업 자료를 적용함으로써 STEAM 교육의 수학 지도 방안 연구와 정의적 영역의 효과를 검사하고자 한다. STEM 교육에 예술적 측면을 더한 것이 STEAM교육이므로 STEM교육 이전부터 발전된 통합교육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교과부와 국가과학기술위원회와 한국과학 창의재단에서 제시한 STEAM 교육에 대해서 기초연구를 하였다. 또한 수학과목 중 함수에 대해 함수의 정의, 발달과정, 역할을 파악하고 함수가 우리나라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조사했다. 비교집단의 수업은 2009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구성하고, 실험집단의 수업은 과학(S), 기술·가정(T, E), 미술(A), 사회(A), 수학(M)의 공통주제로 ‘열기구 제작’을 선정한 후 총 4차시의 수업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서 수학기반 STEAM 프로그램을 구안하였고,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12명)과 비교집단(12명)을 선정하여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아동들의 학습 흥미 및 수학적 태도 변화에 있어서 비교집단 학생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p=0.003,p=0.005<.05). 둘째, 실험집단 아동들의 태도적인 창의성은 비교집단 학생들에 비해 향상 되었다(p=0.009<0.05) 두 경우 모두 실험반의 평균이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p<0.05). 비록 연구 대상자가 소수이며 모둠별로 분석한 결과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지만 STEAM 적용된 수업이 학생들의 학습 흥미 및 태도와 창의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era of Creative Economy, we will need to cultivate people of talent to think creatively and convergency . STEAM is a convergency education intended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understanding in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on problem-solving and convergency thinking. Thus this study was on teaching mathematical and impact on the defined regions by STEAM Education focused on functions in grade 1 of the Middle School. The STEAM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addition to the artistic side of the STEM. Therefore it focuses on integrated education developed since before STEM education. And this basic study analyzes on STEAM education suggested by Ministry of Education,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Committee, and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Also, It analyzes on functions in mathematics such as definition of a function. Comparison group lessons is composed of based on 2009 education courses. Group in real life lessons is developed class materials conducted for total four times after selecting 'Hot air balloon made' as a common theme of Science(S), Technology & Economics(T, E), Art(A), Social Study(A), Mathematics(M). For this study, teaching plans and worksheets for the mathematics-based STEAM were developed and applied for the student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experimental group(12 students) and the comparative group(12 students), composed of the second grade middle school gifted students in Seoul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interest and attitude change in the experimental group applying mathematics-based STEAM program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p=0.003, p=0.005<.05). Second, the creative attitude of the experimental class improved than the comparative group(p=0.009<0.05). All of two cases, analysis of the post-test compared to pre-test showed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 mean of experimental class(p<0.05). Although study objectives were few and there was a limitation by the point that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analysis by a group, it was verified that the STEAM class materials in this study had helped the improvement in the learning interest and attitude, creativity of students.

      • 중학교 컴퓨터 보안교육의 현황 및 활성화 연구

        경미연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정보화 사회로 발전하면서 청소년들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학습 및 과제를 수행하고, 웹을 통해 친구들과 의사소통 하면서 자신이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세계를 접한다. 그러나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음란물 유통, 명예훼손, 사기, 해킹, 바이러스 유포, 스팸메일 전송 등 각종 사이버 범죄를 발생시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터넷의 익명성과 가상성 때문에 사이버 범죄가 확산된다고 말한다. 익명성은 ‘탈 억제(Disinhibition)'적인 행동을 부추기고, 가상성은 현실의 규제에서 풀려나 자신의 마음대로 무엇이든지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컴퓨터를 조금 안다고 하는 학생들은 공공기관이나 기업의 시스템을 해킹하는 것에 대해 조금의 죄의식도 갖지 않으며, 해킹이라는 범죄임에도 불구하고 ‘그 정보를 이용해 나쁜 짓을 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범죄가 아니다’라고 생각한다. 최근에는 대기업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으로 언론에서는 컴퓨터 정보보안의 필요성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언급하였으나 학교에서의 컴퓨터 보안교육은 정보통신 윤리교육 안에 포함되어 채팅, 인터넷 중독, 게임 중독 등 대중적인 주제에 가려져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청소년들의 컴퓨터 정보보안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 그러므로 청소년 시기에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컴퓨터 보안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시기에 컴퓨터 보안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중학교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컴퓨터 정보보안에 대한 지식 습득을 위하여 학생별, 교과서별, 학교별, 교과별로 현황을 분석하여 체계적인 수업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정보통신 윤리교육 안에서 컴퓨터 보안교육을 활성화 시키고자 하였다. 학생별, 교과서별, 학교별 현황은 사전 설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보안의식과 기초 지식을 알아보고, 각 출판사별 컴퓨터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며, 서울시 북부 39개의 공 · 사립학교에서의 컴퓨터 보안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교과별 현황은 도덕, 국어, 사회, 기술 · 가정 교과에서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컴퓨터 보안교육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조사하였고, 그에 맞는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수업방안을 제시하고 실제 수업을 진행하여 평가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체계적인 교육을 위해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지도방법을 바탕으로 제시 한 수업지도안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고 평가함으로써 학생들의 보안의식 향상과 정보화시대의 문제점으로 야기되는 악성댓글, 개인정보 유출, 해킹 등 청소년 사이버 범죄에 대한 예방효과가 기대된다. As we move to information super-highway society, our youth do homework and daily affairs by accessing internet, and they make a friend and new experience in web. On the other side, IT technology causes many cyber crimes, like pornography circulating, libel, fraud, scam, hacking, virus dispersion, and spam mail. The experts say that all crimes of cyber world is spread by anonymity and assumption. While anonymity causes behavior of disinhibition, assumption make them to behave freely beyond restriction of reality. By doing this, some juveniles do hacking without guilty by apologizing and saying that 'we did nothing wrong with that information'. Albeit press media underscores of internet security problem recent days, present situation that focuses only for netizen etiquette, chatting, and internet game addiction cannot affect our youth who are thoroughly indulged in internet. Because most juveniles have no knowledge about information security significance, we need to carry out computer security education. So,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activate computation security system for the youth especially middle school students, by underscoring its significance, and by giving systematic teaching based on classification by students, text books, schools and subjects. The present condition classified by students, text books, schools, and subjects was examined by test questionnaires that related with basic knowledge and data taken from various computer textbooks by publications, and index from 36 public and private schools of northern part of Seoul. In terms of present condition classified by text books, I examined how some subjects like morals, Korean language, public society, technology and engineering, homemaking affect on computer security, and from which I draw out some strategies concerning what is the most effective and systematic method. Accordingly, this research came up with some ideas to protect our youth from this information superhighway society such as malign replies, personal information disclose, hacking, and other juvenile cyber crimes by teaching with guidelines based on cyber world etiquette.

      • 대안교육과의 접목을 통한 공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상봉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issue on a crisis of a public education has been raised for a long time. Although many and diverse improvement plans had been proposed for year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asn't improved fundamental problems remain unsolved. The education which has been focused an uniform education, by way of example, an education centered on entrance examination, has drawn many problems by not being able to accommodate the diverse demands from education service users in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with great changes. In addition, public education under the principle of competition, which is training students to see classmates as their competitors for an entrance into leading university of Korea, not as companions of their lives. The movement of the alternative school came from this reflection. and originated in criticism of the uniform system of public education. It has centered on education which has been neglected by public education, for example, 'education for the whole man', 'ecology education', important to the needs and character of each learner and to the cooperation and harmony of man to man and man to nature. After ten years, not a few alternative schools have gotten authorized as an accredited school and settled well into the educational circles as a type of autonomous school. Many people agree that our public school curriculum needs to be changed In this sense,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oretically centered public education curriculums, This study asserts that public education must actively accept merits and diverse curriculums of alternative education to improve it's problem, and also analyzes the causes and the types of public school crisis, and alternative school's status, character, problems, and prospects. In the concrete ways to approach that, Each subject should introduce alternative education's contents which are applicable, For effective operation and integrated procedure, a high priority is placed to Ethical subject and combine with Alternative Education centered on it. because the goal of alternative education is linked up with personality education, In 2008, In Korean public education circles, Open Autonomous School system is under testing. this system combines the autonomy and diversity of alternative education to the public education which has features of stiffness and uniformity. Going forward, Open Autonomous School system will likely be further expanded and prospected to offer the new model for the improvement of public education. This study, therefore, suggests expansion of Open Autonomous School which has been operated for a year, after assessment and analysis of it. In th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wo core settlement plan about improvement of public education; the first, is the change of recognition from the Academical Cliquism to a merit system. second, is return to the 'education for the whole man' which is a essential mission of education. Actually, In korean society, educational background and academic cliques exercise a huge influence on people, triggering a lot of educational and social problems. this is the most primary obstacle factor for the whole society. Therefore, any attempt on public education improvement must not stay superficial changes any longer. The change of fundamental paradigm, that is, the change of educational-sociological recognition and the return to the essential purpose of education, is the only way we can choose and solve the crisis of the public education.

      • 중국 ≪語文≫ 교과서의 현대문학 작품에 나타난 애국주의 : 인민교육출판사의 중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장길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25945;科書不僅是知識的載體,而且凡是增進人們的知識和技能、影響人們的思想品德的活動。因此&#23427;放映著國家的社會文化與國家意識形態。 本論文通過中國《語文》&#25945;科書裏的現代文學作品,要了解中國的社會文化的變化和現象。 20世紀90年代以來,愛國主義思潮由隱而顯,逐漸成爲一股&#24375;大的社會思潮,&#20006;開始對中國未來的走向發生重要的影響。隨著現代化,全球化潮流加深,中國國內經濟,政治體制改革的深入,愛國主義作爲一種社會思潮。愛國主義作爲中國政府重建合法性基礎的一個重要思想資源,在中國未來的社會矛盾解決、國家力量整合等方面,都將發揮重要的作用。因爲中國愛國主義的特殊性,&#21363;民族歸屬感&#24456;大程度體現在有中華民族特色的生活方式、文化觀念的認同上。伴隨著這種愛國思潮,中國政府在進入90年代後從國家的角度出發在全國範圍內,以全國人民爲對象,利用多種方式宣傳愛國主義,&#20006;&#24375;化愛國主義&#25945;育。 語文&#25945;學也受到這樣的社會影響。如,語文&#25945;學大綱的“&#25945;學目的”是“進一步培養學生的愛國主義精神,激發學生熱愛祖國語文的感情”。本論文通過語文&#25945;科書裏的現代文學作品的分析,&#30740;究了&#24590;樣表現出愛國主義&#25945;育。&#23427;大略分四種類:一是抗日戰爭題材的作品;二是魯迅作品;三是傳統文化題材的作品;四是台灣文學作品。根據作品的分析,歸納了&#23427;們&#36319;愛國主義有什&#40636;關系,如何反映著國家意識形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