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 만족도 조사 : 부산·경남지역으로

        임예지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50년 역사를 통해서 많은 성장을 한 교육대학원은 우리나라의 교육발전에 많은 공헌해왔다. 교육대학원의 학생유치 경쟁은 앞으로도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는 사실과 각 교육대학원은 생존을 위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의 질을 높이고 학생들에게 만족할 만한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교육에 있어 교육과정 만족도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재학생들이 수강하고자 하는 교과목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지, 연장선상에 이뤄지고 있는 학습 과제가 적절한지, 성적평가에 있어서 학생들이 만족하고 있는지 등의 여러 요인과 교육 만족도는 수요자들의 교육의 질적 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경남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미래의 교육대학원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부산·경남 4개의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 만족도 조사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교육대학원 재학생들은 진학동기 이유 중 교사가 되기 위해 진학했다는 답이 가장 많았으며, 교사가 되기를 희망하고 졸업 후 교사로 활동하기 원하는 학생들이 진학하는 만큼 교육대학원에서는 수요에 따른 질 높은 교육과정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부산·경남 소재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재학생들의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만족도 조사 분석에 의한 불만족 요인들과 그에 대한 해결책을 기초로 하여 음악교육전공 교과과정이 더욱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 사회교육원 스포츠프로그램 참가자의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강동식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일반대중의 생활체육활동에 대한 활성화 측면에서 공공성을 가진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 스포츠프로그램 참가자의 기대정도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소비자들의 의견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서비스 개선 요구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 스포츠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향후 보완·개선되어야 할 지침을 마련하여 각 대학들의 사회교육원이 지역주민의 필요와 욕구에 부응한 스포츠활동의 장으로서 그 운영의 기초자료를 얻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의 각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 스포츠프로그램 교육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506명의 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중 성별에 따라서 남자는 207명(40.9%), 여자는 299명(59.1%)으로 여자의 참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에 따라서 20대 148명(29.2%), 30대 189명(37.4%), 40대 122명(24.1%), 50대 이상은 47명(9.3%)으로 30대가 가장 높은 참가율이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주부가 168명(33.2%), 사무직이 146명(28.9%), 학생이 91명(18.0%), 자영업이 76명(15.0%), 경영직이 25명(4.9%)으로 주부의 참가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프로그램 참여형태에서는 수영 221명(43.7%), 헬스 179명(35.4%), 테니스 42명(8.3%), 에어로빅 30명(5.9%), 스쿼시 28명(5.5%), 스포츠댄스 6명(1.2%)으로 수영의 참가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용형태별 구성비는 단기회원제 389명(76.9%), 자유이용제 90명(17.8%), 평생회원제 27명(5.3%)으로 단기회원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프로그램 참가자의 참가전 기대정도의 특성에서 성별과 직업에서는 시설 기대정도, 연령에 따라서는 지도자 자질에 대한 기대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모든 변인들에서 공통적으로 지도자 자질에 대한 기대정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다른 변인들보다 스포츠프로그램에 참여를 할 경우 지도자 자질이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참가후 서비스 만족도에서 성별에 따라서는 시설과 편의성에 대한 만족도, 연령에 따라서는 지도자 자질에 대한 만족도, 직업과 결혼유무에 따라서는 시설에 대한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모든 변인들에서 공통적으로 지도자 자질에 대한 만족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다른 변인들보다 스포츠프로그램 참여후 지도자 자질이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참가전 기대정도와 참가후 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모두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시설에 대한 기대정도와 만족도사이의 상관계수가 .683으로, 지도자 자질에 대한 기대정도와 만족도사이의 상관계수가 .750으로, 스포츠프로그램에 대한 기대정도와 만족도사이의 상관계수가 .686으로, 편의성에 대한 기대정도와 만족도사이의 상관계수가 .648로 나타났다. 모든 기대정도와 만족도 사이의 상관관계는 평균적으로 .600 이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을 종합하여 보면 스포츠프로그램 참가자의 참가전 기대정도와 참가후 만족도에서 지도자의 자질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지도자는 이론적인 지식과 실천적인 전문기술을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전달하여야 한다. 이는 스포츠프로그램 이용자에게 각종 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는 것이며, 각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이 추구하는 지역사회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intend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of living sports programs provided by social education centers (or extensions or lifelong education centers) attached to some universities. It also aims to reveal what the program customers want to be improved in program management as the basic data for the successful activities of the centers to meet local residents' diverse desires and needs. The subjects were 506 members in the centers' sports facilities in the Pusan area, and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adopted and statistically treated. The results thought the analytical are as the follows. 1. Demographically speaking, there were 207 males (40.9%) and 299 females (59.1%). Those in their 20s were 148 (29.2%), 30s 189 (37.4%), 40s 122 (24.1%), and above 50s 47 (9.3%). So people in their thirties show the greatest participation rate. The sports program members by job division were in the order of housewives (168, 33.2%), office workers (146, 28.9%), students (91, 18.0%), independent enterprisers (76, 15.0%), and administrators (25, 4/9%). 2. The most popular sports program was swimming (221, 43.7%), followed by physical fitness training (179, 35.4%), tennis (42, 8.3%), aerobics (30, 5.9%), squash (28, 5.5%), and sports dance (6, 1.2%). By consumption patterns, 27 used lifelong membership, 90 ticket membership, and 389 short-term membership. 3. In the subjects' expectations before program participation,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iced in leader quality(by age) and sports facilities(by sex and job). But the expectation about the leader's quality obtained the highest scor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4. In their service satisfaction after joining the programs, some significance was noted in leader quality(by age), convenience(by sex), and facilities(by job, and marital status). Above all, the factor of the leader's characteristics showed the greatest score and proved to be the most vital factor. 5.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rogram consumers' prior expectations and posterior satisfaction were all high, more than .600 on the averag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683 (sports facilities), .750 (leader quality), .686 (sports programs), and .648 (convenience). In conclusion, leader quality serves as a very important factor both in program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So the program leader should be able to deliver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skills systematically and gradually. In this way, sports program consumers will continue to use various programs, while the social education centers can have an affirmative influence on the progress of regional society.

      • 대학사회교육시설의 팽창요인과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조은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9663

        오늘날은 과학기술과 지식의 급격한 변동으로 인하여 사회 및 경제활동의 종류와 형태가 급속히 변모하고 있으며,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사회기조와 가치관도 급속히 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 발맞추어 인간은 이미 습득한 지식과 기술 및 태도를 항상 새롭게 해나가야 할 상황에 놓여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교육이 사회교육을 도외시하고 전통적으로 학교교육에만 치중한 나머지 학교교육의 기회를 상실하였거나 학교교육을 마친 사람들에게 새로운 교육의 기회를 부여하지 않음으로써 생업에 대한 부적응 상태를 유발하게 되고, 이러한 부적응은 해결하여야 할 교육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더구나 오늘날의 사회는 폐쇄적 계급사회가 아니라 개방적 민주사회이므로 자기의 능력에 맞는 사회적 지위를 획득할 기회가 주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육의 기회가 균등하게 보장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교육 수준이 높은 전문 지식인까지도 교육의 기회가 계속적으로 주어져야 하기 때문에 더욱 더 사회교육의 역할은 막중하다 하겠다. 이러한 학교교육의 문제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세계적으로 현재의 교육체제를 평생교육체제로 변화시켜야 한다는 논의가 점진적으로 발전되고 있다. 그리고 평생교육의 이념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도 시행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1982년 사회교육법이 제정·공포됨으로써 제도적인 사회교육체제의 구축을 시작하였고 최근에는 이러한 사회교육법의 개정작업이 구체화되고 있다. 본 논문은 1980년 중반 이후 급격하게 팽창하는 대학사회교육시설의 팽창원인과 운영실태를 사회교육학적으로 분석하여 이의 문제점을 통해 발전적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내용으로서는 첫째, 한국 사회교육의 현황파악을 위해 먼저 한국 사회교육의 필요성 및 발전지표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둘째, 대학사회교육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대학사회교육의 이념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역사적 변천과정을 영국·미국 대학의 사회교육을 분석하여 알아보고, 대학사회교육의 기능과 역할을 고찰하였다. 넷째, 한국 대학사회교육의 특성과 현실을 파악하였다. 넷째, 대학사회교육시설의 팽창요인, 프로그램 내용 및 운영실태를 세분하여 파악하였다. 한국 대학사회교육시설은 중상층의 여성위주 교육프로그램 일색이며, 프로그램 내용은 각 학교의 특성이 나타나 있지 않고 거의 비슷한 내용이며, 사회교육전문요원과정의 실습공간이 부족한 상태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 보다 나은 한국대학사회교육시설의 자리를 확보해 갈 수 있기 위해서는 치밀한 계획이 요청된다. 이상에서 한국대학사회교육시설의 발전적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이나 지역주민들의 특성에 맞는 사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둘째, 다른 사회교육기관과 대학사회교육시설의 차별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셋째, 교육프로그램 참가자들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시간적·공간적 개방 넷째, 대학사회교육시설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사회교육원 전문 관리자 연수교육 다섯째, 정부나 지방 공공단체의 정책적 배려 및 지원 등을 제시할 수 있다. These days the kind and the pattern of society and economic activity are rapidly assuming different forms owing to technology and sudden change in knowledge. And social base and the sense of value is, too caused by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People are under the new circumstances where they will develop already acquired knowledge, technology and attitude keeping pace with present state of affairs. However, our education, until the present, has neglected adult continuing education and attached weight only to formal education. Accordingly, many people lost their opportunities for formal education and some people didn't get different opportunities of education even though they finished a formal education. This caused them not to adapt themselves for making a living and this kind of unadaptation produced new educational problems to solve. In addition, the current society is not closed hierarchical society but open democratic society. So all the people must be given opportunities to come by social positions which are suitable for their ability. To make this come tru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must be given to anybody. And also even the professional intellects have to continuously get the opportunity of education. Therefore the role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 cannot too be important. With wider recognition of problems for formal education, it has been discussed that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should be gradually changed into a lifelong education. And various counter plans are being enforced to put ideas of a lifelong education in practice. In 1982 the government established and proclaimed the law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 and the began to construct an institutional adult continuing education system. Recently the reform of it is becoming concrete. This study is educational-sociologically analyzing the cause for increase and administrative realities as to adult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of university.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let's examine This helps us both the necessity and the problems related with them. to inquire into the present condition. Secondly, let's examine ideas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 in university as a theoretical background of it and then analyze historical process of transition with the examples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 of university in Britain and U. S. And also we need to know function and role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 in university. Thirdly, let's grasp characteristics and realities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 in university. Finally, let's hold analysis of the cause for increase and the contents of programs and administrative actual realities including the details of them. The system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 in universities of Korea is made up of the women belonging to middle upper class and the contents are almost the same without universities' unique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others. Another problem is that most of universities have insufficient space for practice in the curriculum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 specialists. Thus it requires carefully though-out plan to guarantee position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in universities of Korea. The followings are the developmental tasks for adult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in universities of Korea. First, adult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fit for local inhabitants. Secondly,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s differentiated with other adult continuing education center and adult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in universities. Thirdly, openness in time and space for extending opportunities of participants in educational programs. Fourthly, training program for special managers at adult continuing education center to efficiently operate adult continuing education facilities in universities. Finally, policy and aid of government and local public body.

      • RISS 인기논문

        한국 교육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 독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의석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재 한국은 교육과 관련하여 많은 문제들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고 많은 문제들이 학부모 단체나 교육관련 단체들에 의해 제기되고 있다. 이런 문제들의 원인은 우리의 교육제도가 대학입시를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것에 있다. 표면적으로는 시대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고 인성을 개발하는 등의 목표를 제시하고 있기는 하지만 사회적인 풍토나 실질적인 운영 면에서는 오로지 대학입시라는 한가지 목표를 위해 교육제도가 움직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한국은 현재 고학력 취업난과 제조업 인력난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거나 취업 및 재취업교육을 강화하는 등의 대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이 또한 각종 부작용으로 인하여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많은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학벌보다 진정한 능력과 실력을 가진 인재를 키워내는 교육이 필요하고 본 연구에서는 그 모델을 독일의 교육제도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독일은 완전히 복선화 된 교육과정을 통해 무조건적인 대학진학이 아닌 직업교육과 대학진학이라는 큰 틀 속에서 다양한 선택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대학교육도 입학만 하면 졸업이 가능한 한국과 달리 철저한 관리 없이는 학위취득이 불가능한 독일의 교육시스템은 독일이 막대한 통일비용을 부담하면서도 세계 경제에서 여전히 강대국의 지위를 확보하는 밑거름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제도와 독일의 학제, 학교의 운영 방식을 문헌자료를 이용하여 서로를 비교하고 독일제도의 장점을 수용하여 한국 교육제도의 개선방안을 찾아보았다. 현재의 한국의 6-3-3-4학제를 개편하여 유치원 교육을 초등학교 과정에 포함시킨 6-3-3-4제도로 개편하거나 유치원 교육도 기본 학제에 포함시키고 중등교육과정을 완전 복선화 하여 중등교육 2단계를 대학진학이나 산업현장 진출을 의한 실습 및 준비과정으로 하는 6-4-2-4제도로 한국의 기본 학제를 개편할 필요가 있다. 공교육부분에서 제외되어 있던 유치원 교육을 공교육제도 안으로 포함시키고, 중등교육에서 중복되고 있던 과정을 좀더 효율적으로 운영하며, 독일과 같이 현장과의 연계정책과 대학진학 준비과정의 교육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우수 인력을 조기에 확보하고, 대학은 입학과 동시에 전공 과정을 이수하기 시작하여 연구기능을 강화해야 것이다. 이러한 학제의 개편과 아울러 독일처럼 초·중등과정의 학교에 상담전문교사나 전문 상담사를 배치하고, 학교의사나 보건전담 교사를 배치하는 등 교육환경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전체적인 수업 시간 축소를 통해 다양한 경험을 하고 교과과정 이외의 다른 곳에서 직접 보고 체험하면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늘리는 등 한국 교육제도를 전반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Today there are many social issues on nation's education in Korean society and lots of them are presented by parents' group and educational kinds of groups. The reason of these issues is that Our educational system is dependant on entrance system to the collage. In the superficial point of view, it suggests the goal for raising competent persons and developing good human nature, but in the substantial point of view, our educational system is just for collage entrance. Due to these kinds of problems, high educated persons have trouble in getting job and manufacturing industry has trouble in getting human resources. To solve these problems, though, some industries have hired foreign workers or enforce re-education for career, this policy has causes lots of social problems and lots of loss in society through various ill side effects. To solve this serious problems, our education system must put stress upon raising a competent person, so in this research, I want to look for the proper model in the Germany educational system. In Germany, two other curriculums provide various choices such as vocationa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collage. In the collage, German educational system does not permit graduation without complete self-management. The power which German has in the world is based on this educational system. In this research, comparing with educational system, curriculum, management in German through various previous researches, I tried to search for improvement of our educational system. At first, I suggest that our 6-3-3-4 educational system should be changed to 6-3-3-4 system which includes kindergarten. Second, I think that our current system had better change into 6-4-2-4 system which includes kindergarten and two-way system in middle school - one is for collage and the other career. This system will provide efficient human resources to the industries and proper preparation for collage education. If so, collage has to enforce function for research. In addition to this change of educational system, eve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hould have professional counsellor, school doctor, etc. And by reduction in classes, school have to give various experience to students. In short, we should escape from education for exam and provide students various experiences in various social fields to help them choose their future for themselves.

      • 음악교육 관련 웹사이트 연구

        박지혜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21세기는 급속히 변화하는 고도정보화사회이다. 이에 맞는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교육방법에도 변화가 생겼다. 이는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필요와 욕구가 무엇인지 판단하여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중시하는 것으로, 오늘날 학교 교육 현장은 종래의 교사 중심 주입식 암기 위주의 학습에서 탈피하여 수업에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고 있다. 특히 컴퓨터의 급속한 발달과 다양한 이용 방법으로 인하여 교육의 정보화, 세계화는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 가고 있다. 사회 전반에 걸쳐 확산되고 있는 정보화의 물결 속에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 인터넷이다. 흔히 정보의 바다라고 일컬어지는 인터넷은 평생교육, 열린 교육, 수요자 중심의 교육으로 대변되는 현대사회의 교육에 많은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으며, 특히, 근래에 들어 인터넷의 웹을 교수- 학습 상황에 활용하는 웹기반 수업이 강조되고 있다. 음악교육 분야에 있어서도 음악 학습과정의 일부영역과 과정에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교육적 가능성을 최대한 반영하고 있으며, 그 매체의 실용성을 활용하여 음악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인터넷 상에는 음악교육 관련 웹사이트들이 무수히 많으며, 음악가, 음악사, 악기, 감상곡 등 방대한 양의 사이트가 조직화 되어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사이트들 전부가 교육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이에 본 연구는 음악교육 관련 사이트들을 검색하여 분류하고 그 검색 결과를 분석하여 현재 음악교육 관련 웹사이트들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문헌을 통해 웹의 개념, 웹을 활용한 교육, 웹을 활용한 음악교육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음악교육 관련 사이트를 찾기 위해서 대표적인 한글 검색엔진인 엠파스, 네이버, 야후 코리아를 이용하였고, 검색어는 '음악교육', '음악사', '음악이론', '기악', '성악', '국악'으로 제한하였다. 검색된 결과를 주된 내용에 따라 유아음악교육, 초등음악교육, 중등음악교육, 대학교 학과 및 부설기관 홈페이지, 컴퓨터음악 및 실용음악, 교회음악, 기악, 성악, 국악, 음악치료 ,음악교육가 및 음악교육협회, 음악교육 종합 사이트, 음악교육 관련 매체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방대한 양의 음악교육 관련 웹사이트들이 존재하고 있으나, 이들 사이트들의 보다 전문적이고, 조직적인 분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수많은 인터넷 음악교육 관련 사이트 중에서 규모가 작아서 지속적인 존속여부가 불투명한 사이트나 특정목적으로 잠시 만든 사이트, 내용이 부실하거나 새로운 내용의 갱신이 없는 사이트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음악교육 포탈 사이트가 제작되어 정보화 시대에 걸맞는 음악교육이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앞으로 보다 나은 방향으로 웹사이트가 구성되어 교사와 학생에게 음악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본 연구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e 21st century is a rapidly changing, highly advanced information- orientation society. To meet some social demands raised by the society, educational system is changing now. In other words, it is being considered important that learners determine their own needs and demands by themselves and select and use necessary information for themselves. Today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is utilizing a variety of media avoiding teacher-oriented, cramming education. The rapid development and various applications of computer allow music to be rapidly information-oriented and globalized. Under information-orientation that is prevailing throughout our society, the key is the Internet. Often called as the ocean of information, the Internet provide many possibilities of modern society educa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lifelong education, open education and demander-oriented education. Recently, web-based classes in which the Internet web is used for teaching-learning situation are emphasized. Also in music education, the Internet is being utilized for some parts and procedures of music learning, reflecting its educational possibility to the utmost and raising the effectiveness of music education. There a number of sit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on the Internet. Such sites provide an enormous quantity of information about musicians, music history, musical instruments and songs for appreciation. But all of them are not positive educationall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raise the effectiveness of music education by searching and classifying music education-related sites, analyzing results of the searching and determining problems of the sites and looking for ways of improving the problem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first reviewed and discussed the concept of web, web-based education and web-based music education. To look for music education-related sites, main search engines in Korean language, Empas, Naver and Yahoo Korea were used. Words for search were restricted to 'music education', 'music history', 'music theory', 'instrumental music', 'vocal music' and 'Korean classical music'. Data obtained from searching the sites were classified in term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elementary music education, middle music education, music college and its home page, computer music and practical music, church music, instrumental music, vocal music, Korean classical music, music therapy, music educators, Music Education Association and the total site of music education and media related to music education.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are numerous sites of music education on the Internet, but they are not properly and systematically classified. To keep pace with the era of information-orientation, music education should be supported by a portal site that manages other sites which are difficult or unclear to be sustained, created temporarily for a particular purpose and not updated and which provide inappropriate information.

      • 부산지역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음악교육 프로그램 비교 및 분석 연구

        최주원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부산지역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비교 및 분석함으로써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활성화를 위한 좀 더 나은 방향의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평생교육의 의의와 대학 평생교육을 이론적 배경으로 알아보았으며 대학의 평생음악 교육유형과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학점은행제 등의 이론적 탐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으로 부산지역 내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대학의 홈페이지를 2019년 2학기를 기준으로 각 대학 평생교육원의 인터넷 홈페이지 자료만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부산지역에서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설치, 운영하고 있는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은 4년제 대학, 전문대학을 포함하여 15개 대학이다. 둘째, 각 대학 평생교육원의 인터넷 홈페이지 조사로 비교, 분석한 결과 4년제 대학 평생교육기관이 전문대학 평생교육기관보다 더 많은 프로그램을 설치, 운영하고 있었고 각 과정의 교육과목과 교육내용에 대한 정보도 4년제 대학이 비교적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었다. 셋째, 대학 평생교육기관의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일반과정, 자격증과정, 전문가과정, 문화예술과정, 학점은행제 5가지로 분류하고 있었는데 프로그램 수를 포함하여 일반과정이 많이 개설되어 있었다. 넷째, 음악교육 프로그램은 대학별로 거의 비슷하거나 동일한 유형의 프로그램이 많았다. 다섯째, 교육대상자는 일반 성인으로 학력, 나이에 제한 없이 모든 사람에게 열려있었다. 여섯째, 수강인원은 5명부터 60명, 선착순 등 폭넓게 모집하고 있었다. 일곱째, 수업은 주, 야간으로 구분되어 있었지만 대부분의 수업은 주간에 개설되어 있었다. 여덟째, 교육기간은 8일부터 18개월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실기유형의 서양음악 중심으로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있었다. 아홉째, 학점은행제는 음악학(순수음악)과 실용음악학으로 나누어 국가평생교육원에서 제시하는 정해진 과목을 해당 대학 교수와 외래교수가 지도를 하고 있었다.

      • 폐쇄음 앞에서 영어모음의 길이차이에 대한 발화 연구

        김온동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의 목적은 음향ㆍ음성 실험을 통하여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영어모음 발화의 길이 차이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 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어 모음길이가 차이를 보이며 발화되는 환경 중 유ㆍ무성 폐쇄음을 선행하는 모음 길이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부산 소재 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0명의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10주간의 영어 발음 교육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과 관련한 핵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모음 길이와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원어민 화자들의 모음 길이를 비교ㆍ분석 하는 것이다. 둘째는 한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영어 발음 교육을 실시하고 이들의 교육 전 녹음 데이터와 교육 후 녹음 데이터를 비교하여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실험을 위하여 단모음 단어 중 종성자음이 폐쇄음으로 끝나는 영어 단어 60개를 선정하였다. 실험 목표 단어는 종성의 유ㆍ무성의 자질이 최소대립쌍이 되는 서른 쌍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 10명과 미국 동부지역 출신의 원어민 화자 3명에게 동일한 단어의 목록을 읽게 요구하였다. 녹음 된 자료는 프라트(Praat)를 통해 모음 길이를 측정(ms)하고 모음과 종성자음 간 길이의 비율을 퍼센트(%)로 나타내었다. 한국인 영어 학습자와 원어민 화자의 결과 값을 비교하였다. 실험 자료는 통계프로그램(SPSS)를 이용하여 비교분석 하였는데 독립표본 t-test(independent samples t-test)와 대응표본 t-test(paired samples t-test), 그리고 이원배치 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교육 전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유ㆍ무성 폐쇄음을 선행하는 모음 발화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가 있었다. 즉,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발음 교육 전 종성 자음의 유ㆍ무성에 따라 모음길이에 차이를 두고 영어단어를 발화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교육 전 한국인의 유ㆍ무성 폐쇄음을 선행하는 모음의 발화 길이와 비율은 원어민화자의 발화와 비교해 보았을 때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원어민 화자에 비해 무성폐쇄음 앞에서 모음을 조금 더 길게 발음 하였고 유성 폐쇄음 앞에서는 조금 더 짧게 발화하였다. 즉, 유ㆍ무성 폐쇄음 앞에서 모음 길이의 평균차이는 원어민의 발화에 비해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육 후 한국인의 유ㆍ무성 폐쇄음을 선행하는 모음의 발화 길이와 비율은 원어민화자와 비교해 보았을 때, 모음길이는 무성폐쇄음 앞의 모음 길이는 교육 전과 비교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유성폐쇄음 앞의 모음 길이에서는 오히려 더 짧아진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반면 모음길이의 비율에 관해서는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에 모음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단모음 내에서 음절 어말에 나타나는 유ㆍ무성 폐쇄음 앞에서 유의한 차이를 두고 모음을 발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원어민의 발화에 비해 두 환경의 모음 길이 차이의 폭은 작았고 교육을 통한 변별적 발화능력은 크게 향상되지 않았음을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Korean learners' vowel length differences in a rhyme with a stop coda. A 10-week course on English pronunciation was provided to 10 female learners studying at a university located in Busan. Research aims are as follows. First is to compare vowel lengths in the rhyme with a voiceless or voiced stop coda of Korean learners with that of native English speakers. The second is to verify the effect possibility of pronunciation training by comparing the difference of vowel duration between Korean learners' pre-recording and post-recording. In experiment, both Korean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read selected words with a voiceless and voiced stop at coda and the pronunciations were recorded. In the recordings, the duration is measured and examined using Praat. The measurements were used to implement independent samples t-test, paired samples t-test and two-way ANOVA through IBM SPSS ver.2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Korean learners case, the vowel length in front of a voiceless and voiced stop has meaningful differences before pronunciation training. However, the gap of duration in two contrastive condition is more significant in natives' case. Secon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pronunciation learning, pre-record and post-recor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paired t-test result, there is no improvement. This results show Korean learners originally make a distinction between two contrastive conditions. However, compared with native speakers, range of gap is bigger than Korean learners. In addition, short-time pronunciation training cannot reduced this gap.

      •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 성인학습자의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연구

        유재열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부산지역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에서 수강 중인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경험, 만족도 및 요구내용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지역사회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부산지역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에서 수강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참여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부산지역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에서 수강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참여 만족도는 어떠한가? 셋째, 부산지역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에서 수강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요구내용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평생교육에 관한 국내ㆍ외의 문헌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평생교육의 개념과 이념적 속성, 대학평생교육의 발전, 대학평생교육의 국제적 동향과 우리 나라 대학평생교육의 발달에 대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살펴보았다. 조사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관련 자료를 참작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부산지역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의 강좌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 6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 분석에는 미회수 및 무성의한 응답지를 제외한 471부를 이용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포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교차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는 유의수준 1%와 5%에서 검증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WIN. 10.1 통계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프로그램의 참여경험에 대한 결과로서 성인학습자들이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목적은 지식 및 정보의 습득, 직업능력의 향상, 기타, 여가선용, 대인관계의 증진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따라서도 전체적인 반응양상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단지, 학생의 경우에는 지식 및 정보의 습득(45.5%)보다 직업능력의 향상(50.9%)이 더 높게 응답되었다. 이는 직업 및 취업과 관련한 자기계발을 목적으로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참여경로는 아는 사람의 소개를 통해, 홍보물을 통해, 대중매체를 통해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50대 이상의 경우 아는 사람의 소개를 통해서가 다른 연령 대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났다. 이는 50대 이상의 경우 젊은 연령층에 비해 대중매체나 홍보물을 접할 기회가 다소 제한 받고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한 생활의 도움 정도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의 86.2%가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을 선택한 이유로서는 유명 강사진, 기타, 저렴한 수강료, 편리한 교통, 우수한 시설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그러나 월평균 수입이 20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의 경우에는 유명 강사진 보다 저렴한 수강료를 더 많이 선택하였다. 저소득층 성인학습자의 경우 수강료가 평생교육기관을 선택함에 있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평생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성인학습자의 95.1%가 필요하다고 응답함으로써 대부분의 성인학습자들은 평생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프로그램 수강 중 겪은 애로사항으로서는 시간 부족, 거리상의 문제, 수강료 부담, 학습능력의 부족, 기타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간 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설문조사를 통해 성인학습자의 선호시간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프로그램의 개설시간을 편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직장인을 위한 주말 반을 개설하는 등 프로그램의 개설시간을 보다 다양화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에서 수강 중인 성인학습자의 프로그램 참여 만족도에 대한 결과로서 성인학습자의 대부분은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보다는 남성이, 미혼보다는 기혼이, 세대 구성원이 많은 학습자가 세대 구성원이 적은 학습자 보다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 프로그램 참여 만족도 대해 살펴보면 수업분위기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업의 질, 수강인원, 강의방법 및 강사의 강의준비에 대한 만족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난 반면, 교육기간, 교육시설, 수강료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수강료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은 성인학습자들이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을 이용함에 있어서 수강료 부담을 큰 애로점으로 여기는 것과 일치된 반응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에서 수강 중인 성인학습자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의 적정 수강인원은 10-20명 미만, 20-30명 미만, 10명 미만, 30명-40명 미만, 40명 이상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1회 수업시 적정 교육시간으로는 2-3시간 미만, 1-2시간 미만, 3-4시간 미만, 1시간 미만, 4시간 이상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당 적정 교육횟수로는 주2회, 주1회, 주3회, 주4회 이상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의 적정 교육기간으로는 2-3개월 미만, 5개월 이상, 3-4개월 미만, 4-5개월 미만, 2개월 미만의 순으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강의방식으로는 실습 및 현장교육, 강의식 수업, 토론식 수업, 발표식 수업, 기타의 순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적정 수강료는 10-15만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월평균 수입이 100만원 미만인 성인학습자는 5-10만원 미만(54.1%)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월평균 수입이 적은 성인학습자들의 경우 고소득 성인학습자에 비하여 수강료에 대한 부담을 많이 느낄 수밖에 없으므로 저렴한 수강료를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에서 보완해야할 사항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시설·설비, 수강료 부담, 강의방법, 강사자질, 기타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부설 평생교육기관은 다른 교육기관에 비해 양질의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이외로 많은 성인학습자들이 시설·설비의 보완과 수강료 부담을 해소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 대학은 지역사회의 봉사자로서 평생학습체제의 구출과 평생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나 운영에 있어 이러한 성인학습자의 요구를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To help develop and run programs that meet adult learners' demand on continuous learning in the local community, with the subjects of adult learners enrolled in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attached to universities in Busan,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their experiences about and satisfaction with programs offered and their suggestions and demand on programs. The study questions set up to achieve the goal are as follows: (ⅰ) what kinds of experiences do adult learners have who are enrolled in programs offered by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attached to universities in Busan?; (ⅱ) how much these adult learners are satisfied with the programs they are in?; (ⅲ) what they think need to be improved to make better programs? To answer these questions, efforts were made to study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on the programs of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and construct the questionnaires circulated to 600 adult learners of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in Busan. With the exception of uncollected and unsatisfactorily answered questionnaires, 471 copies were examined in two methods: first,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explore the general property of the subjects and then cross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were made to test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for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to develop a variety of high-quality programs to meet adult learners' demand on continuous learning and run those programs effectively. This sounds reasonable in that most of the adult learners of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take classes to develop themselves and learn more. Second, there is a need to offer various classes at different time, given that adult learners surveyed pointed out the lack of time as the most serious problem they have. It is suggested that the time zone preferred by adult learners be investigated and reflected in scheduling classes and that weekend classes be offered for those who are not available during weekdays. Third, now that there are many people who wish to enroll but can't for financial reasons, it seems that mor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s in need to encourage more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At the same time, universities themselves should put more focus on the service function of their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to the society than on their commercial aspects. Fourth, universities are advised to open more school facilities to the students of their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and make more efforts to improve educational environments in various ways. More validity is given to this suggestion by the fact that contrary to the general belief that most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provide high-quality education services based on their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 great number of the center students think that the university facilities they can use are not fully satisfactory in terms of number and quality.

      • 유치원의 전통예절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신성자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전통예절교육이 무엇인지를 밝혀보고, 현 유치원에서의 전통 예절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여 유치원에서의 예절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정립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우리 전통사회에서의 예절교육은 어떠했는가 ? 둘째, 제 6 차 교육과정에서의 전통예절교육은 어떠한가 ? 셋째, 현 유치원의 전통예절 교육의 현황은 어떠한가? 넷째, 유치원에서의 전통예절교육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좋은가 ? 본 연구는 위의 연구문제를 구명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조사연구는 부산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가톨릭계 유치원 중 15개 유치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절(禮節)에서 예(禮)란 원래 신을 섬기는 행위이며 이 행위를 통해 인간은 복을 받을 수 있으므로 예란 인간이 행해야 할 당연한 도리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절(節)도 역시 예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예절이란 여러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간관계를 법제화한 것이고, 이러한 법제화된 것이 외면적 형태에서 점차 각 개인에게 내면화되어 개인이 행해야 할 당연한 도리로서 도덕적 의미를 가지게 된 것이다. 전통사회에서의 예절은 봉건적 계급사회를 안정시키기 위해 필요한 정치적 도구로써의 의미를 지녔지만 이는 인간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형식적 절차이기도 하고 도덕적 원리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예는 바로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기 때문에 인간 교육적 측면에서 필요하므로 어릴 때부터 교육을 시키는 것이 좋다. 전통예절은 인간 생활의 모든 영역에 걸쳐 관계되고 있으므로 그 내용은 인간생활의 범위만큼 광범위하다. 주요한 내용을 제시해보면 자신의 마음과 몸의 수양, 집안을 청소하고 손님응대, 부모에의 효도, 형제간의 우애, 의복과 식사에 대한 예절, 음식먹기, 인사예절 등이 있다. 이러한 전통예절의 교육방법으로는 모방의 원리, 조기교육의 원리, 지행일치의 원리, 생활교육의 원리, 성역할의 원리, 발달특성의 원리 등에 제시되고 있다. 둘째, 현행 제6차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예절교육 관련 내용은 '교육적 인간상'과 '교육과정'에서 각각 찾아 볼 수 있다. 먼저 '교육적 인간상'에서는 '도덕적인 사람', 즉 도덕성과 공동체 의식이 투철한 민주 시민을 육성한다는 교육 목표를 설정해놓고 있다. 그리고 교육과정에서는 현행 5개 영역 중 사회생활 영역의 '기본 생활 습관'에서 '예절 바르게 생활하기'라는 항목에서 수준 Ⅰ과 수준 Ⅱ로 구분하여 언어 예절 관련 내용을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사회생활 영역 이외에도 건강생활 영역, 언어생활 영역 등에 걸쳐 식사 예절, 질서 예절, 인간 관계 예절 등이 교육과정에 설정되어 있다. 셋째, 현 유치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전통예절 관련 교육 프로그램은 총 19 종류이며 이들 프로그램을 영역으로 구분하여 묶어 보면 1) 격언이나 속담, 한자 고사성어나 사자성어 등을 통한 언어 예절교육 프로그램 2) 방석 사용법, 다도예절과 같은 손님 접대 예절 프로그램 3) 한복 입는 법과 같은 의복 예절 교육 프로그램 4) 인사 예절 프로그램 5) 마음가짐 및 몸가짐과 같은 행동거지 관련 예절 프로그램으로 나타나고 있다. 넷째, 현 유치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전통예절 교육방법은 각 프로그램에 따라 언어 전달, 시범, 및 실시, 견학, 노래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1) 언어 예절 교육 프로그램 중 속담은 읽기, 언어 전달, 문장 카드, 동극 활동, 비슷한 속담 만들기 등의 교육 방법이 있고, 고사성어는 노래, 읽기를 통한 뜻풀이, 생활 중에 활용하는 교육 방법이 있고, 시조는 이야기 나누기, 동극 활동, 언어전달, 음을 넣어 외우기, 등의 방법을 활용하고 있었다. 2)손님 접대 예절 교육 프로그램 중 방석 사용법은 시범 후 실시하는 방법을 사용했고, 실용다법은 시범 후에 직접 실시해보는 방법을 사용했다. 3) 의복 예절 프로그램 중 한복 입는 법의 교육 방법은 시범, 비디오 시청, 그리고 동화 등이 있었다. 4) 인사 예절 교육 프로그램은 이야기 나누기, 비디오 시청, 언어전달, 그림과 동화, 역할 놀이, 시범의 실시 등의 교육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5) 행동거지와 관련한 프로그램은 이야기 나누기, 비디오 시청, 그림과 동화, 듣고 말하기, 역할 놀이 시범 후 실시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다섯째, 전통 예절 교육에 활용된 교구를 보면 실물 자료와, 영상매체, 그림도구, 글자판, 각 교육 과정 영역에 속해 있는 교구들이었다. 구체적으로는 속담, 고사성어, 시조를 통한 예절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매체로는 VTR, CD-1, 슬라이드 등의 영상매체와 이야기 꾸미기, 동화, 단어 카드, 둥의 그림도구들이 활용되었고, 손님 접대 예절 교육 프로그램 중 방석 사용법의 교육매체는 그림 자료와 실물 자료가 있으며, VTR, 슬라이드 등의 영상 매체가 있고, 실용다법에서도 역시 그림자료와 실물 자료, 영상매체 등의 교육 매체가 활용되었다. 또 의복 예절 교육 프로그램 중 한복 입는 법의 교육 매체는 그림 자료와 실물 자료, 그리고 VTR, 슬라이드 등의 영상 매체가 있었다. 그리고 인사 예절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매체로는 그림자료, 영상 매체, 등이 있고, 유치원의 각 영역별 교구로 제시되어 있으며, 시범과 실시로 이루어졌고, 행동거지에 대한 교육 매체는 그림 자료, VTR 등의 영상 매체가 활용되었다. 여섯째, 현 유치원에서 전통 예절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는 원장, 교사, 초청인, 학부모 등이 있었으나, 조사대상 19개 프로그램의 대부분이 교사나 원장이 교육을 담당하였고, 명절 예절프로그램에서 부모님이 담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일곱째, 현 유치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전통 예절 교육의 대상 연령은 대체로 만3세에서 만 5세에 두루 적용되나, 조사 내용에 따르면 손님에 대한 예절 중 방석 사용법에 관한 내용은 만 4세 이상으로 되어 있었고, 성별의 경우 대부분 성별 구분 없이 이루어지나, 의복 예절 교육프로그램 중 한복 입는 법과 인사 예절 교육 프로그램 중 절하는 법에서 성별의 차이를 두고 교육이 이루어졌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고려해 볼 때, 유치원에서의 전통예절 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개발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첫째, 현대적 예절과 전통적 예절 교육의 조화가 필요하다. 현행 유치원의 예절 교육을 볼 때, 현대적 예절 교육과 전통 예절 교육은 별도의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 전통 예절 교육은 대부분 특별 프로그램과 같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다 보니 전통 예절 교육은 해도 좋고 안 해도 좋은 일종의 '부가적' 교육, '특별' 교육 같은 것이 되고 있다. 전통 예절 교육과 현대 예절 교육을 별도로 교육시킬 것이 아니라 같은 단원으로 구성함으로서 오히려 전통과 현대 예절의 공통점과 차이점 및 각각의 특성을 제대로 가르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전통 예절 교육의 내용은 더욱 다양화되어야 하고, 단계는 세분화되어야 한다. 지금 시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은 그 종류를 모두 합쳐야 19종에 불과하고, 연령에 따른 세분화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먼저 유치원 5개 영역 중 전통 예절 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영역은 어떤 부분인지를 연구하여야 하며, 그에 따라 다양한 내용의 프로그램 개발과 각 연령과 수준에 따른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육 방법상 전통적인 예절 교육 방법인 모방과 습관화의 방법은 그대로 계승될 필요가 있다. 예절 교육의 목적이 올바른 생활 습관을 가지도록 하는데 있다면 예절 교육은 그것이 전통적인 것이든 현대적인 것이든 습관화되어야 하고, 그 습관화를 위해 교사나 부모를 비롯한 주위 환경에서 모방의 기회, 모델링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교육 내용과 교육대상의 연령, 그리고 시대에 맞는 교육 매체가 더욱 많이 개발되어야 한다. 교육내용이 전통적인 것이라 해서 교육매체도 전통적인 것에 국한시킬 필요는 없다. 오히려 전통적인 내용일수록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해 현대적인 매체를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전통 예절 교육의 교사교육이 필요하다. 현재 전통예절 교육은 특별 프로그램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어 주로 원장이 담당하고 교사는 보조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의 현직 교사들 자신이 대부분 전통 예절에 익숙하지 않은 상황에서 정상적인 교육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전통 예절교육의 장래는 교사교육에 달렸다고도 할 수 있다. 교사교육의 문제는 단기적으로는 연수 등을 통하여 보완이 될 수도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대학에서 관련 과목이 개설되어야 하고, 이를 통하여 대학에서 전문적인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 education of traditional etiquette, analyze the actual educational conditions of traditional etiquette in the kindergarten, and find out the proper way to develop an excellent program to teach traditional etiquette in the kindergarten. For this study, an analysis of the relevant literary materials and a survey are conducted together. For the survey, a questionaire is distributed to 15 kindergartens among those managed by the Catholic Church in Pusan.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s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contents of traditional etiquette are suggested as follows: cultivation of the mind and body, cleaning in the house and receiving a guest, filial duty to parents, fraternity between brothers and sisters, etiquette in dining and wearing dress, and greeting. Second, the relevant contents in the 6th curriculum of the present times lie in the sections, "An Educational Image of Human" and "Curriculum". Third, the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traditional etiquette in the kindergarten are 19 and these can be divided into some categories as follows: 1) the program of speech to teach etiquette through maxim, sayings, proverb, and fables and phrases in the Chinese letter 2) the program of receiving a guest like etiquette in use of a cushion and tea etiquette 3) the program of etiquette for dressing like dressing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s 4) the program of etiquette for greeting 5) the program of etiquette for behavior related to morals and mental attitude Fourth, there are now diverse kinds of educational method for teaching traditional etiquette in the kindergarten such as speech communication, demonstration, learning by observation, and singing a song according to each program. Fifth, teaching traditional etiquette is conducted using the educational tools such as the actual things, video media, pictures, letters, and other tools in the category of each curriculum in the kindergarten. Sixth, in the present, teaching traditional etiquette is conducted with a head or a teacher as the central figure in the kindergarten, and sometimes parents or gusts are invited. Judging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desirable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eaching traditional etiquette in the kindergarten must be developed towards the directions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harmony between modern etiquette and traditional etiquette is needed. Second, the contents of leaching traditional etiquette must be more diverse and its stages must be classified more in detail. Third, imitation and habituation must be inherited as a method to teach traditional etiquette. Fourth, more diverse media for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s of education, the age of learners, and the times must be much mor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