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 만족도 조사 : 부산·경남지역으로

        임예지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50년 역사를 통해서 많은 성장을 한 교육대학원은 우리나라의 교육발전에 많은 공헌해왔다. 교육대학원의 학생유치 경쟁은 앞으로도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는 사실과 각 교육대학원은 생존을 위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의 질을 높이고 학생들에게 만족할 만한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교육에 있어 교육과정 만족도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재학생들이 수강하고자 하는 교과목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지, 연장선상에 이뤄지고 있는 학습 과제가 적절한지, 성적평가에 있어서 학생들이 만족하고 있는지 등의 여러 요인과 교육 만족도는 수요자들의 교육의 질적 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경남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미래의 교육대학원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부산·경남 4개의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 만족도 조사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교육대학원 재학생들은 진학동기 이유 중 교사가 되기 위해 진학했다는 답이 가장 많았으며, 교사가 되기를 희망하고 졸업 후 교사로 활동하기 원하는 학생들이 진학하는 만큼 교육대학원에서는 수요에 따른 질 높은 교육과정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부산·경남 소재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재학생들의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한 만족도 조사 분석에 의한 불만족 요인들과 그에 대한 해결책을 기초로 하여 음악교육전공 교과과정이 더욱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 한국 교육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 독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의석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재 한국은 교육과 관련하여 많은 문제들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고 많은 문제들이 학부모 단체나 교육관련 단체들에 의해 제기되고 있다. 이런 문제들의 원인은 우리의 교육제도가 대학입시를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것에 있다. 표면적으로는 시대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고 인성을 개발하는 등의 목표를 제시하고 있기는 하지만 사회적인 풍토나 실질적인 운영 면에서는 오로지 대학입시라는 한가지 목표를 위해 교육제도가 움직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한국은 현재 고학력 취업난과 제조업 인력난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거나 취업 및 재취업교육을 강화하는 등의 대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이 또한 각종 부작용으로 인하여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많은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학벌보다 진정한 능력과 실력을 가진 인재를 키워내는 교육이 필요하고 본 연구에서는 그 모델을 독일의 교육제도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독일은 완전히 복선화 된 교육과정을 통해 무조건적인 대학진학이 아닌 직업교육과 대학진학이라는 큰 틀 속에서 다양한 선택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대학교육도 입학만 하면 졸업이 가능한 한국과 달리 철저한 관리 없이는 학위취득이 불가능한 독일의 교육시스템은 독일이 막대한 통일비용을 부담하면서도 세계 경제에서 여전히 강대국의 지위를 확보하는 밑거름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제도와 독일의 학제, 학교의 운영 방식을 문헌자료를 이용하여 서로를 비교하고 독일제도의 장점을 수용하여 한국 교육제도의 개선방안을 찾아보았다. 현재의 한국의 6-3-3-4학제를 개편하여 유치원 교육을 초등학교 과정에 포함시킨 6-3-3-4제도로 개편하거나 유치원 교육도 기본 학제에 포함시키고 중등교육과정을 완전 복선화 하여 중등교육 2단계를 대학진학이나 산업현장 진출을 의한 실습 및 준비과정으로 하는 6-4-2-4제도로 한국의 기본 학제를 개편할 필요가 있다. 공교육부분에서 제외되어 있던 유치원 교육을 공교육제도 안으로 포함시키고, 중등교육에서 중복되고 있던 과정을 좀더 효율적으로 운영하며, 독일과 같이 현장과의 연계정책과 대학진학 준비과정의 교육을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우수 인력을 조기에 확보하고, 대학은 입학과 동시에 전공 과정을 이수하기 시작하여 연구기능을 강화해야 것이다. 이러한 학제의 개편과 아울러 독일처럼 초·중등과정의 학교에 상담전문교사나 전문 상담사를 배치하고, 학교의사나 보건전담 교사를 배치하는 등 교육환경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전체적인 수업 시간 축소를 통해 다양한 경험을 하고 교과과정 이외의 다른 곳에서 직접 보고 체험하면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늘리는 등 한국 교육제도를 전반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Today there are many social issues on nation's education in Korean society and lots of them are presented by parents' group and educational kinds of groups. The reason of these issues is that Our educational system is dependant on entrance system to the collage. In the superficial point of view, it suggests the goal for raising competent persons and developing good human nature, but in the substantial point of view, our educational system is just for collage entrance. Due to these kinds of problems, high educated persons have trouble in getting job and manufacturing industry has trouble in getting human resources. To solve these problems, though, some industries have hired foreign workers or enforce re-education for career, this policy has causes lots of social problems and lots of loss in society through various ill side effects. To solve this serious problems, our education system must put stress upon raising a competent person, so in this research, I want to look for the proper model in the Germany educational system. In Germany, two other curriculums provide various choices such as vocationa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collage. In the collage, German educational system does not permit graduation without complete self-management. The power which German has in the world is based on this educational system. In this research, comparing with educational system, curriculum, management in German through various previous researches, I tried to search for improvement of our educational system. At first, I suggest that our 6-3-3-4 educational system should be changed to 6-3-3-4 system which includes kindergarten. Second, I think that our current system had better change into 6-4-2-4 system which includes kindergarten and two-way system in middle school - one is for collage and the other career. This system will provide efficient human resources to the industries and proper preparation for collage education. If so, collage has to enforce function for research. In addition to this change of educational system, eve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hould have professional counsellor, school doctor, etc. And by reduction in classes, school have to give various experience to students. In short, we should escape from education for exam and provide students various experiences in various social fields to help them choose their future for themselves.

      • 중등음악교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연구 : 사범대학 음악교육과를 중심으로

        우수정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What teachers, immature beings(students) and helping to grow a mature presence, thereby to promote social development is an education specialist. Colleg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especially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through the training courses that are equivalent to a teacher's license is obtained by taking. Further country. If a public secondary school teachers since 1991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teacher employment exam will be spent on education. Throughout adolescence, encompassing the knowledge and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the ratio of teachers to field a very large and important role. Such as the severity of these courses are also higher level of perfection no doubt. If the field of music is no exception. In this study, the current College of Music Education with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music education courses. By studying the future, rational and effective curriculum seeks to what is aimed at. In this study, the first teacher-training and employment system in Korea, and the 7th revision of secondary education, and employment assessment test, the field of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and music status for employment in the process of apoptosis was investigated. Then, secondary school teachers, this study of type 10 finalists for the purpose of the discharge of Music Education Teachers College, 34 College non-teaching courses, and graduate music education majors, including 50 training courses were discussed comprehensively. Specifically, this study of 10 colleges of music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curriculum revision 7' and 'employment assessment test' based on analysis of the key challenges and made things. College of Education with the current music education curriculum analysis, the following issues were pointed out. The low proportion of academic disciplines, the first point, the second 'Teaching subjects' limited the point of the Hours, traditional music low percentage points of the third, fourth, and world folk music history class on the Orient have no points, fifth in the music media and computer music is not essential for the class and it is the point. Improve these problems, and to complement the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for the next series of training courses can be granted some degree of rationality and efficiency should be considered. 교원이란, 미성숙한 존재(학생)를 성숙한 존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이로써 사회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교육전문가이다. 특히 고등교육기관인 사범대학을 통해 양성되는 중등학교 교원은 이에 상응하는 교육과정을 이수함으로써 교원자격증을 획득하게 된다. 나아가 국․공립 중등학교 교원의 경우 1991년부터 시행되는 교원임용고사를 거쳐 교육현장에 투입된다. 청소년기의 지식과 교양을 두루 아우르는 중등교육에 있어서 현장 교원의 비중과 역할이 대단히 크고 중요하다. 그런 만큼 이들의 교육과정 또한 엄격하고 수준 높아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이는 음악분야의 경우도 결코 예외가 아니다. 이에 본 연구는 현행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교육과정의 현황을 분석․연구함으로써 향후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교육과정이 무엇인지를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먼저 한국의 교원양성과 임용제도, 그리고 개정 제7차 중등교육과정과 임용고사 평가기준, 중등음악교원 양성현황과 음악분야 임용고사의 절차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 중등음악교원 양성현황 분야는 중등교원 자격자를 배출하는 목적형의 10개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34개의 비 사범대학 교직과정, 그리고 50개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양성현황을 제시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10개의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교육과정을 ‘개정 7차 교육과정’과 ‘임용고사 평가내용’에 의거, 분석하는 것을 핵심적인 연구과제로 삼았다. 현행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첫째 교과교육학의 비중이 낮다는 점, 둘째 ‘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 법’의 시 수가 제한적이라는 점, 셋째 국악의 비중이 낮다는 점, 넷째 동양음악사와 세계민요에 관한 수업이 없다는 점, 다섯째 음악매체와 컴퓨터음악에 대한 수업이 필수적이지 않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 보완하는 것은 향후 중등음악교원 양성을 위한 일련의 교육과정에 어느 정도 합리성과 효율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工業高等學校 實驗ㆍ實習 敎育 實態 調査 및 改善方案 硏究

        유영호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공업고등학교 교육의 중핵이 되는 실험·실습 교육의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그 문제점들을 도출하여 보다 내실 있는 공고 실험·실습 교육을 위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전국 118개교 공고 실과 교사 67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응답자 95개교 511명(회수율 75.4%)의 응답 내용을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실험·실습 시설·설비 기준령은 실험·실습 내용과 일치하고 급속히 변화하는 산업체의 시설·설비와 관련 있는 설비를 선정하여 개정되어야 하고 실험·실습 시설·설비의 확충 및 산업체 수준에 대응하는 첨단 실험·실습 장비의 확보와 실험·실습비의 현실화를 위해 정부에서 공고에 대폭적인 행·재정적 지원을 하여야 한다. 아울러 모든 공고를 설립별 구별 없이 투자 육성하여 시설의 평준화가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 기능사 자격 검정에 치중하는 실험·실습 운영을 과감히 탈피하여 실험·실습 교육의 정상화를 이룰 수 있도록 기능 검정 내용을 산업 현장의 표준 작업기준에 맞추어 주기적으로 개편하고 이를 공고 교육과정에 반영함으로써, 정상적인 공고 교육과정을 이수한 일정 수준의 공고생들에게는 무시험 검정으로 학교장이 해당 전공 과목의 자격증을 수여하는 제도적 방안이 필요하다. 3. 다양한 기술·기능을 내포한 실험·실습 과제를 개발 보급하고 전학년을 대상으로 분반 실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실과 교사 증원 및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 4. 우수한 학생들을 공고에 확보하기 위하여는 기능 인력 우대 정책 실시 및 전문대학과 산업·공업대학에 공고 졸업자나 산업체 근로자가 입학할 수 있는 비율을 대폭 상향 조정하고 일반 공과 대학에도 전학할 수 있는 특혜 제도를 마련하여 우수한 공고생의 계속 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등의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5. 공고 실과 교사의 산업체 연수를 마련하여 3-5년마다 받을 수 있도록 제도화하고 산업체 기술자와 실과 교사와의 1-2년 기간으로 교환 근무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최신 기술 정보와 신기술 교육 자료를 발간 보급하고 공고 실과 교원 전담 양성 및 연수 기관의 설립과 공고 실과 교사를 공업 선진국으로 파견하여 일정 기관 연수를 받도록 제도화하여야 한다. 6. 전문 교과의 교육과정 및 전문 교과서를 개발할 때에는 반드시 산업체 요구분석 및 직무 분석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산업체의 기술 변화에 대응하는 현장 직무 기능을 선정하고 이것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고 학생들의 학습 능력과 태도를 고려하여 학생 수준에 적합하게 학습 지도 방법 및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7. 실험·실습 시설·설비를 관리하고 실험·실습을 보조할 수 있는 시설 관리 보수 담당 기능직을 임명하고 사용 빈도가 적고 고가인 첨단 기자재의 실험·실습을 위해 공업계 고등학교 공동 실습소를 지역별, 계열별로 증설하여 운영을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산업체에서 기자재를 무상으로 대여 및 기증할 수 있도록 제도화 하며, 리스(lease)제도의 도입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 education system of technical high school needs reconsideration about practice classes to bring up the faculty and equipment to be adaptable in industrial fields.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status of practice class in technical high school and propose a possible improved practice class program. The research is done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questionnaire. The results axe as follows. 1. The standard for training equipment in practice class is to be revised toward corresponding with contents of industrial company which is rapidly changing.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lower financial ability of technical high school to be equalized about equipment with industries. 2. It is necessary that students completed from regular technical. high school curriculum should be given license without any examinations. 3. It ought to be arbitrated for the graduate of technical high school to be able to enter a polytechnical college and be enforced a privilege to enter a regular engineering college. It is necessary to give a chance to the excellent students from the technical high school taking a higher education without interruption. 4. It is to be institutionalized for practice course teachers to join a training program in well advanced countries to strengthen international competition. 5. Special curriculum ought to be improved toward being able to correspond to industrial skill exchange and considering students and faculty. 6. It is to be increased the public experimental place in technical high school by regional groups or partial groups to use expensive equipment. A lease system is necessary to be examined.

      • 秘書職 專門人力 養成을 위한 專門大學 敎育課程改善 方案 硏究

        손상영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49663

        Current technological advances and international trends toward golbalization demand more competent businessmen and professional secretaries. It is, thus, important to educate secretary majoring students to be equipped with quality professionalism in secretarial po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current curriculum adopted in junior college secretary departments, and to suggest a desirable curriculum meeting various societal demands upon secretarial work. Specific problems in this study were (a) to clear the meaning of secretarial work and secretarial administrations, (b) to find out the needs that both currently employed secretaries and employers have, (c) to analyze current curriculum adopted, and (d) to suggest a desirable curriculum for secretary education in junior college level. Both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were done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1. There is a need for more specific and specialized curriculum for secretary education in junior college level. 2. Newly employed secretaries seem to be in need of more information as well as better skills to meet job demands. 3. As criteria for employing secretaries, competency and qualification should have priority over personal appearance. 4. Profession-oriented curriculum, instead of task-oriented one, should be encouraged for secretary education in junior college. 5. Practice-oriented curriculum, instead of theory-oriented one, should be encouraged for secretary education in junior college. 6. The frist item with which secretaries are to be equipped for qualification are business etiquette, and organization skil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mon sense. office management, and secretarial pratice are included as for the secretarial qualification items.

      • 합창음악교육 지도방안을 주제로 한 국내 석사학위 논문분석 연구 : 2012년부터 2019년까지

        허수빈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Choral music education in the singing domain of ​​music education has been actively studied until now because it has positive influence on personality and sociability development as well as development of basic ability of mus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research the domestic master's thesis on choral music teaching method presented from 2012 to 2019, to provid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information to researchers in related fields and to help choral education leaders The purpose is to give. First of all, we analyzed 70 chapters of master's theses about teaching methods of choral music education from 2012 to 2019 through RISS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after considering choral music education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the total analysis of 70 papers, 15 papers (21%) were the most published in 2015 and 2016. In the analysis by school and major, 65 articles (93%)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f general graduate school. In the analysis by subject, the subjects of the choral guidance in the school occupied a higher proportion than in the out-of-school. Among the subjects, middle school student was most popular. The paper for the out-of-school choral guidance was found to be comparatively same, with eight of the teens (11%) and six of the adults (9%). In the thematic analysis, 36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51%) were the most common. In the area of ​​vocal instruction, there were seven studies (42%) of school choral guidance, three of studies (33%) for personality development in educational psychology, four of studies (67%) through textbook analyses in the education curriculum, in the philosophy of education, one study (50%) of practical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and a study of teaching method based on realism, idealism and pragmatic philosophy of education were presented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firstly, the direction in development of the choral music education teaching guidance method needs to be balanced research for various age groups. Secondly, practical guidance and evaluation of choral music education instruction through experimental research or research study should be done. Finally, through analysis of existing papers, it is necessary to avoid overlapping themes and to conduct creative research. 음악교육의 가창영역 중 합창음악교육은 음악의 기초능력 개발 뿐 아니라 인격과 사회성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현재까지 활발히 연구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합창음악교육 지도방안을 주제로 한 국내 석사학위 논문을 분석·연구하여, 관련분야 연구자들에게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합창교육 지도자들에게도 도움을 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합창음악교육에 대해 고찰한 후 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통해 2012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합창음악교육 지도방안에 대한 모든 국내 석사학위 논문 70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외형적 분석으로는 연도별, 학교 및 전공별, 대상별, 주제별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내용적 분석으로는 외형적 분석에서 분류한 전체 논문 70편의 지도방안 내용을 구체화하여 총 정리하였다. 그 결과 총 70편의 논문 중 연도별 분석에서는 2015년과 2016년에 각각 15편(21%)으로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매년 증가하지는 않지만 꾸준히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 및 전공별 분석에서는 교육대학원생의 논문이 65편(93%)으로 일반대학원의 논문 5편(7%)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음악교육전공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일반대학원의 경우 발표된 논문의 수는 적지만 다양한 전공이 논문을 발표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상별 분석에서는 학교 내 합창지도의 대상이 학교 외 대상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중 중학생 대상의 논문이 26편(37%)으로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학교 외 대상은 청소년 8편(11%), 성인 6편(9%)으로 연구가 비교적 균등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별 분석에서는 교수·학습방법이 36편(51%)으로 가장 많았고, 그 중 협동학습을 활용한 논문이 8편(22%)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이어서 발성지도 영역에서는 학교합창 지도방안 연구가 7편(42%), 교육심리 중에서는 인성발달을 위한 연구가 3편(33%), 교육과정 중에서는 교과서 분석을 통한 연구가 4편(67%)으로 가장 많았고, 교육철학에서는 실천주의 음악교육 철학과 실재주의, 이상주의, 실용주의 교육철학에 근거한 지도방안 연구가 각각 1편(50%) 발표되었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합창음악교육 지도방안 연구의 발전방향은 먼저 학생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균형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실험연구나 조사연구를 통한 합창음악교육 지도방안의 실제적 검증과 평가가 이루어져야한다. 마지막으로 기존논문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하여 주제선정 시 중복된 주제를 피하고 연구자만의 창의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실천모형 연구

        강용원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대학 입학 학령 인구의 절대적 감소, 대학 정원 자율화 정책, 교육시장 개방정책 등으로 인한 전문대학의 신입생 감소 문제는 전문대학의 존립을 위협하고 있다. 전문대학이 그 기능을 회복하고 위상을 재정립하기 위해서는 신입생 확보를 위한 피상적이고 단기적인 방안들로 대처하기보다는, 산업체들이 필요로 하는 전문 기능인을 양성할 수 있는 효율적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함으로써 전문대학으로서의 질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변화하고 있는 산업체의 다양한 직무를 분석해 이를 반영하는 효율적인 전문대학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체계적이고 실천가능한 교육과정 개발모형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효율적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실천모형을 구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교육과정 및 전문대학교육과정의 개발을 안내하는 이론적 모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고찰하고, 본 연구에서 목적하는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실천모형의 단계설정 및 각 단계별 과제가 어떠해야 하는지를 탐색한 다음, 효율적인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을 안내하는 실천모형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전 연구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교육과정 모형들은, 각 모형이 기초하고 있는 기본적인 전제나 모형의 성격에 따라 합리적 유형, 순환적 유형, 자연주의적 유형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모형들은 각 모형이 강조하는 개발방식의 성격에 따라 체제적 접근 유형, 요구 또는 직무 분석적 접근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 선행 교육과정 개발모형들은 모형의 기본 성격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계획, 개발, 분석 및 평가라는 단계를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구안하고자 하는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실천모형의 단계를 계획, 개발, 평가의 세 단계로 구성시키기로 결정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구안하고자 하는 모형의 근거와 타당성을 확립하기 위해 교육과정 구성 각 단계별로 요구되는 개발과제들을 탐색하였다.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계획단계에서는, 지역사회가 필요로 하는 직업군을 도출해 대학 차원의 교육과정 기본계획과 학과별 교육과정 계획안을 작성해야 한다. 개발단계에서는, 산업체의 요구를 분석하여 도출된 직업군을 기초로 직종별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전공별 교과목을 선정하고 계열화함으로써 교육과정안을 작성해야 한다. 평가단계에서는 작성된 교육과정안을 면밀히 분석하고 평가하여 교육과정을 확정해야 한다. 셋째, 탐색되어진 교육과정 개발 각 단계별 과제를 검토하여 각 단계별로 필요한 과제들은 단계별 구성요소로 설정함으로써, 산업체들이 요구하는 전문기술인을 양성할 수 있는 새로운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실천모형이 구안되었다. 이로써 이 모형은 전문대학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계획, 개발, 평가의 세 단계로 구성되었고 각 단계별로 수행되어야 하는 과제들이 구성요소로서 포함되었으며, 명칭은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모형으로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