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과병원의 경영전략 사례연구 : 경희대학교 치과대학병원을 중심으로

        박영국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55

        2000년을 목전에 둔 지금 치과대학병원은 환자의 진료라는 문제 뿐만 아니라 경영적인 관점에서 다수의 난제에 직면하여 있다. 먼저 국내 환경의 변화로서는 보다 양질의 진료를 원하는 환자들이 의료를 의ㆍ식ㆍ주에 부가하여 또 하나의 기본 권리로서 요구하게 되었고 이에 수반되는 병원에 대한 권리 의식의 증가를 꽂을 수 있다. 또한 필연적으로 대형화할 수 밖에 없는 대학 병원과 재벌의 의료계 진출에 따른 경쟁의 발생과 이로 인한 자기 희생적 시설 투자가 강요되고 있다. 이에 부가하여 현실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의료 보험수가가 지배하는 의료공급체계로 인한 경영 여건의 악화에 봉착하여 있다. 또한 대외적으로는 의료 시장의 개방이라는 난제가 목전에 다가와 있다. 특히 치과대학 병원의 경우 그 대상이 되는 치과 질환이라는 자체가 치명율이 낮으며 만성적인 병의 진행을 가짐과 동시에 경제적으로는 가격탄력성이 크기 때문에 어려움은 더욱 큰 실정이다. 이와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치과대학 병원은 일반 의과대학병원과는 다른 특이한 경영전략이 필요하며, 성공적인 치과병원 경영 사례의 연구와 분석 및 이에 근거한 미래지향적 경영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경희대학교 치과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전략적 경영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해 보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사실들이 성공적 경영을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전략적 경영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우리가 처한 상황에서 전략은 선택의 여지가 아니고 오히려 필수적인 것이다. 둘째, 전략적 경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전략적 사고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전략적 경영이 나오게 된 배경을 명확히 이해하고 문제에 부딪혔을 때 전략적 패러다임으로 문제에 접근을 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전략을 단순히 하나의 분석틀로만 생각한다면 급변하는 환경 하에서 유효 적절한 전략의 수립은 어려운 것은 전략의 본질적인 의미에서 깨달을 수 있다. 셋째, 전략적 경영은 고객의 가치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근본적으로 소비자가 원하지 않는 것을 위한 전략은 또 하나의 자원의 낭비가 될 것이다. 전략은 무한한 상황 하에서는 의미가 없다. 자원이 유한하기에 하나를 버리고 하나를 취하게 되는 것이 전략이다. 무엇을 취해야 하고 무엇을 버려야 하는지는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가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넷째, 전략적 경영은 그것이 영리조직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왔지만 성격을 달리하는 비영리조직에서도 유효하다는 것이다. 경제적으로 비영리를 취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즉 비영리조직은 영리조직이 생산하지 못하는 사회적으로 필요한 공공재를 생산한다는 의미와 함께, 그 급부로 세금의 혜택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비영리조직에서의 전략적 경영의 적용이 무리가 있다고 볼 수 있으나 비영리조직이 공공의 목적을 위한 것이라면 유한한 자원의 배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실제 경희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사례에서 경영전략의 효익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경영전략이 주효 하였음을 인지하였다. (1) 지속적인 직원 교육을 통한 전 직원의 경영마인드 제고 및 경영의 중요성 인식 (2) 각종 위원회를 활성화 하여 보다 당면과제를 구성원이 직접 해결 (3) 각종 홍보활동을 통한 진료 권역의 지속적 확장 (4) 인화단결을 기본으로 한 인사 정책과 감사 제도의 활용으로 인한 합리적 경영 (5) 진료 및 진료지원부문의 조직 개편을 통한 다기능 수행 (6) 효율적인 경영정보시스템의 구축 (7) 진료환경의 개선으로 인한 근무의욕 고취 이러한 결과는 향후 환자들에 의한 진료서비스 만족도를 높임과 동시에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치과병원 경영을 도모함으로써 미래의 경쟁력 있는 치과병원 경영전략수립 자료의 일단으로서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management of dental hospitals has been challenging in terms of the maintenance of a reasonable level of income and high-rank reputation by domestic competition, and encountering the threat of entrepreneur-based hospitals. Dental hospitals, especially university infirmaries are facing against various issues of a qualified patient care as well as management efficiency. The domestic change in managemental environment forces the hospital to improve the quality of patient care to correspond to the increasing demand of the consumer group. An inevitable competition with entrepreneur-managed hospital and the domestic health care market structure controlled by HMO drive the university hospital to reform the management strategies. Dental disease itself is not so critical as disorders in the body elsewhere and chronic in its nature which makes bigger price-elasticity. To overcome all the hurdle, the dental hospitals are obliged to establish the specific management strategy which is based upon the actual case study and discriminative to the medical hospitals. It is the aim of the study to investigate the management strategies of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and suggest the working remedies for further management and marketing p olicy.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was investigated by means of review of the brief history, management environment, recognition of the crisis situation, establishment and execution of the strategies, and the efficiency of the very strategies were analyzed. The eight keys to success in financial status and eventual management situation attributed to ; 1)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the management by continuous employee education, 2) activation of the various committees followed by problem solving by their own, 3) expansion of hospital umbrella by effective public relation, 4) effective control in management of man power, 5) restructuring of the main and supporting system, 6) building up effective information system, 7) desirable motivation with improved working environment, 8) favorable response from union shop. These results signify that the strateg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status and will result in favorable assets in the future management goals.

      • 박물관의 사회적 소통과 콘텐츠 개발 :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박유진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현대사회는 변화의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지식의 지속적인 융합이 이루어지는 시대가 되었고, 이러한 시대적 변화는 박물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같은 사회적 환경 변화에 따라 현대 박물관의 기능은 수집에서 경영과 마케팅까지 폭넓게 확대되었다. 또한, 현대 박물관에서는 소통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으며, 이는 곧 박물관이 어떠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전달하느냐 하는 문제로 귀결된다. 박물관의 콘텐츠는 박물관이 관람객들과의 소통을 이루기 위해서 행하는 모든 전시물과 행위 등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박물관의 변화양상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고 변화의 지향점을 학술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이론적 접목을 통해 박물관의 소통 문제와 박물관이 미래지향적으로 나갈 수 있도록 콘텐츠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적 연구에 의한 역사적 제도주의 분석방법론을 따랐으며, 분석체계는 선행연구의 분석방법과 분석모형, 분석틀을 참고하여 만들었다. 이를 통해 박물관의 태동배경과 사회적 담론, 이를 제도화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박물관의 형태와 특성을 밝혔다. 연구 대상은 운영 주체에 따라 일본군위안부역사관(사립), 독도박물관(공립),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대학)을 선정하여 제도적 관점, 운영의 관점, 소통의 관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박물관 운영과 소통의 문제점을 파악한 후,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역사적 제도주의의 관점에서 본 박물관들의 분석결과, 제도적 관점에서 일본군위안부역사관은 기존 제도의 저항에 부딪혀 발전적인 모습이 다소 미진하였으며, 독도박물관 또한 국가적 노력의 일환으로 사회적 담론이 표출되었으나 제도화하는 과정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리고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은 경영적인 부분의 제도적 뒷받침이 상대적으로 미흡하여 박물관 대중문화사업이 비효율적으로 진행되었다. 운영의 관점에서 일본군위안부역사관은 관리․운영 전담 조직 및 시설이 미흡하며, 실질적으로 연구에 집중할 수 없는 한계에 직면해 있고 독도박물관은 시설과 관리 인력은 다소 좋은 환경이나 학술적 요소가 매우 부진하다.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은 소장품 전문 학예 인력이 불충분하며 전반적으로 박물관 시설의 환경 개선이 시급하다. 소통의 관점에서 일본군위안부역사관은 비슷한 성격의 타 기관에 비해 홍보가 부족한 상태로 역사관만의 상징성을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를 창출할 필요가 있다. 독도박물관은 새로운 홍보통로의 구축으로 박물관 홍보의 좋은 사례가 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이용계층이 한정되어 독도박물관만의 특색 있는 콘텐츠 개발이 매우 미흡하다.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은 내부 환경적인 요인으로 홍보가 전반적으로 부진한 편으로 소장자료를 활용한 콘텐츠 개발을 중점적으로 두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각각의 박물관들은 사회적 담론을 거쳐 박물관이라는 형태로 구체화되고 박물관의 특성에 맞는 콘텐츠 등을 갖추어가고 있으나 제도의 고착화라는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 근거로서 과거의 콘텐츠와 현재의 콘텐츠가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는 점에서 일단 형성된 제도는 제도를 그대로 유지하려 한다는 역사적 제도주의의 제도적 속성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따라서 박물관이 미래지향적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소통과 콘텐츠 개발을 중점적으로 추진하여야 하며, 지원정책이 강화되어야 한다. 앞으로는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이라는 이론적 분석체계를 확대하여 적용하지 못한 특수 박물관을 분석하고, 더욱 많은 분야의 콘텐츠 개발의 지향점을 찾아 새로운 박물관으로서의 실천적인 요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e domain and function of modern museum is being expanded management and marketing by communication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ree museums, the historical museum of sexual slavery by Japanese military, Dokdo Museum, Hye Jung Museum (Kyung-Hee University), and analyzed by three aspects, institutional point of view, in terms of operations, the point of view of communication. The aspect of historical institutional, the historical museum of sexual slavery by Japanese military depending on the resistance of the developmental state was somewhat secluded, Dokdo museum is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resulted in unsatisfactory results. Hye Jung Museum is a museum of popular culture project management issues was conducted inefficient. The aspect of operations, the historical museum of sexual slavery by Japanese military operation dedicated to the organization and the lack of facilities, Hye Jung Museum is an urgent ne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museum facilities. The aspect of communications, the historical museum of sexual slavery by Japanese military is the necessity of symbolic history, but to take advantage of a variety of content that needs to be created. Dokdo Museum, unique content development is very insufficient. Hye Jung Museum is to promote the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s of poor service. Each museums are limitations of the institutional framework. Therefore the future museum were given the task of institutional limitations by the communication and development of contents.

      • 외식산업 경영에 관한 연구 : 최근 외식산업경영 동향분석을 중심으로

        김금자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conducted both literary and empirical research in order to analyze the recent research trends on management of restaurant industry in the graduate school. First,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doctoral dissertation on the management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for the last five years were collected, and the literatur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addition, an empirical study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research. As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meta analysis technique was used to calculate the frequency and proportion of the analysis subjects and compare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was carried out in 26 universities during the study period. Three schools including Kyonggi University(21.3%), Kyunghee University (13.6%), and Sejong University (10.6%) took about half(45.5%), that is, 30 out of the total 66 papers, and remaining 23 universities carried out 3 to 1 papers respectively. And 29 cases of research were conducted at 3 departments of eating-out cooking, accounting for 43.94%, almost half of them. 20 cases of research were conducted at departments of tourism and hotel, accounting for 30.3%, 14, at departments of general business administration, accounting for 21.21%, and then 3, at departments of food and nutrition, accounting for 4.55%. Second, among the 66 research subjects, the quantitative research was 62 (93.9%)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3 (4.5%). The number of complex studies in whic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combined was 1 (1.6%). The reason why the quantitative researches are too many is that the research result is highly reliable and feasible due to the numerical value. The subject of the research was a core element of the research purpose and showed almost conformity with the title of th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ubject of the study consisted of direct elements of management and subsidiary elements necessary for management. 17 cases(25.75%) were about the management strategies and management activities, 10 (15.15%), about employees, 9 (13.64%), about food franchises, 5 (7.67%), about entrepreneurship (founding), 4 (4.55%), about eating-out bakery and customers. In the study, there were 29 out of 66 studies in which there were sub-themes that put the core or central points of the topic after the topic of th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8 sub-topics (27.6%) were 'focused on eating-out industry' or similar ones and the most frequent, 5 sub-topics (13.8%) were about frequency of employees, and 4 sub-topics (13.8%) were about customers, trust and others. And 2 sub-topics (6.9%) were about group meals and franchises. Third, among the 64 papers with the sample of subject, 26 (40.62%) were about customers, 17 (26.57%), about employees, 15 (23.44%), about administrator, and 6 (9.37%), about enterprises in order.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taurant industry aims at profit, and its highest interest is in customers, and then employees who provide customers with direct service. As for the number of specimen, 34.38% was between 300 and 400. It is shown that the food service industry is segmented and divers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dustry by type, and globalized due to the development of global transportation network and informationization, and the specialized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is emerging. Fourth, in the analysis of the variable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22 variables (34.8%) were about customers, 12 (19.0%), about employees, 9 (14.2%), about management activities and management factors, 5 (7.9%), about business owners and franchise members respectively, 4 (6.3%), about franchises, 2 (3.2%), about online management activities and food materials, and 1 (1.6%), about smart environment and overseas market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subordinate variables showed that 21 (33.3%) were about customers, 13 (20.6%), about management performance, and 7 (11.1%), about management performance of franchise members. 20 (31.7%) were about the results of actual management performance, 9 (14.3%), about employees, 5 (7.9%), about brand, 2 (3.2%), about market value and business owners, and 1 (1.6%), about environmental management, organizational buying strategy and franchise respectively. As a whole, the results of analysis of subordinate variables were all element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management performance or have an important effect on it. In conclusion, most of the researches are related to the successful performance of the food service industry. In general, research trends in the management of food industry have shown that quantitative resear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qualitative research, and research on customers and employees is conducted a lot in the selection of survey subjects and research variables. It was found out that these are 2 important factors of management. Key words: Foodservice industry, franchise, meta-analysis, management performance, research trend 본 연구는 최근의 외식산업 경영과 관련하여 최근 대학원에서 이루어진 외식산업 경영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최근 5년 간 외식산업 경영에 대한 박사학위 논문과 관련된 선행 연구결과를 수집하여 문헌연구를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 분석은 메타분석(meta analysis)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 주제별로 빈도, 비율을 산출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 기간 중에 26개 대학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경기대학교(21.3%), 경희대학교(13.6%), 세종대학교(10.6%)로 이상 3개 학교가 전체 대상 논문 66편 중30편으로 45.5%로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나머지 23개 대학에서 3 ̴ 1편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학과별 외식조리 계열의 3개 학과에서 29편의 연구가 이루어져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43.94%로 나타났다. 관광 및 호텔 계열에서는 20편의 연구가 이루어져 30.3%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경영일반 기타 계열에서 는 14편의 연구가 이루어져 21.21%로 나타났고, 식품영양 계열은 3편의 연구가 이루어져 4.55%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 대상 연구 66편 중 양적 연구가 62편으로 93.9%로 나타났고, 질적 연구가 3편으로 4.5%로 나타났다.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가 복합적으로 나타난 복합연구는 1건으로 1.6%로 나타났다. 양적 연구가 월등하게 많이 나타난 원인은 연구 결과가 수치(數値)로 이루어지는 특성상 연구 결과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게 인정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연구의 주제는 연구목적의 핵심적 요소이고, 연구의 제목과 거의 일치하는 현상을 보였다. 분석 결과 연구의 주제는 경영에 관한 직접적인 요소와 경영에 필요한 부수적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영전략 및 경영활동에 대한 주제가 17편(25.75%), 종업원에 대한 주제가 10편(15.15%), 외식프랜차이즈 9편(13.64%), 기업(창업)에 대한 주제 5편(7.67&) 순서로 나타났다, 이어서 외식베이커리와 고객에 대한 주제가 4편(4.55%)으로 뒤를 이었다. 연구에서 주제에 대한 핵심적인 사항 또는 중심적 사항을 논문의 주제 다음에 표시하는 부 주제(副主題)가 있는 연구는 전체 66편 중 29편 이었다. 분석 결과 ‘외식산업을 중심으로’ 또는 이와 유사한 내용의 부 주제가 8편(27.6%)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종업원에 대한 빈도가 5편(13.8%)로 나타났고, 고객, 신뢰, 기타에서 4편(13.8%)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단체급식과 프랜차이즈가 2편(6.9%)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 표본이 있는 64편의 논문 중 고객을 표본으로 하는 대상이 26편(40.62%). 종업원 17편(26.57%), 경영자 15편(23.44%), 기업체 6편(9.37%)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는 외식산업이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이기 때문에 고객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높았다고 판단되며, 다음으로는 고객을 직접 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업원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고 판단된다. 표본의 수는 300명 이상 400명 미만이 34.38%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외식산업 유형별 분석을 통하여 외식산업의 세분화와 다양화가가 이루어지고 있고, 또 세계적 교통망과 정보화의 발전으로 인하여 세계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외식업의 전문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양적 연구의 변인 분석에서 독립변인은 고객에 대한 부분이 22편(34.8%), 종업원 12편(19.0%), 경영활동 및 경영요인이 9편(14.2%), 으로 나타났고, 사업주와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각 5편(7.9%), 프랜차이즈 4편(6.3%), 온라인 경영활동과 식자재가 각 2편(3.2%), 스마트 환경과 해외시장이 각 1편(1.6%)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에 대한 분석 결과는 고객이 21편(33.3%), 경영성과가 13편(20.6%), 프랜차이즈 가맹점에 대한 경영성과가 7편(11.1%)으로 나타나 실질적인 경영성과에 대한 결과는 20편(31.7%)이었고, 종업원이 9편(14.3%), 브랜드가 5편(7.9%), 시장가치와 기업주가 각 2편(3.2%), 환경경영, 조직 구매전략, 프랜차이즈에 관한 것이 각 1편(1.6%)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에 대한 분석결과를 전체적으로 판단하면, 모두 경영성과에 직결되거나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서, 연구의 대부분이 외식산업 경영에 대한 성공적 성과에 관하여 연구가 이루지고 있다고 결론을 지을 수 있다. 종합적으로 외식산업 경영에 관한 연구동향은 양적 연구가 질적 연구에 비해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고, 조사 대상 표본의 선정과 연구의 변인에서 고객, 종업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이들이 경영의 중요한 2대 요소라는 것이 연구 결과 밝혀졌다.

      • 암환자 대상 온라인 예술치유 프로그램 효과 연구 :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암병원의 온라인 연극예술치유를 중심으로

        이희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Online Theater Art Healing" program, which has been conducted for cancer patients at Kyung Hee University Humantas Cancer Hospital since September 2020,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times brought by the COVID-19 Pandemics. Based on these research purposes, the research methodology derived the effectiveness of online theater art healing program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on relevant materials, program observation surveys, surveys, in-depth interviews of artists and participating cancer patients. To this end, we first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art and health, the effectiveness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art healing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reviewed the case studies of online and offline cultural arts healing and art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at home and abroad to derive current status and issues. Based on these studies,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art healing program was examined through the example of the "Online Theater Art Healing" program, which describes and reads one’s writings and combines them with literary works. In the research methodology, the evaluation of art healing was based on social impact evaluation, where outcome measurement is important, and a mixed research method that combin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as adopted. As a result of applying evaluation indicators on the "Online Theater Art Healing" program for cancer patients, it was found that it was effective in positive self-enhancing, recovery, and community building, which was also verified i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On the other hand, the online service experience was the lowest among the categories of experience at the social level, indicating the problem of reverse discrimination due to differences in the presence and capacity of those who experience digital alienation due to the transition from face-to-face to non-face services. Demand for non-face-to-face services and digital platforms due to the situation characteristic of the COVID-19 Pandemic is expected to remain high even after the end of the COVID-19, and the technology and strategy of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are required.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study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and necessity of online art healing programs for cancer patients. I think continuous research will be needed for the scalability of online culture and arts healing programs by participants in the future. 본 논문은 코로나19 팬데믹이 가져온 시대적 변화에 따라 2020년 9월부터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암병원 암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온라인 연극예술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는 데 연구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기반으로 수립된 연구방법으로는 관련 자료에 대한 문헌연구 및 사례조사, 프로그램 관찰조사, 설문조사, 예술가 및 참여 암환자의 심층 인터뷰를 통한 온라인 연극예술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한 예술과 건강의 상관성, 예술치유의 효과성과 이론적 배경에 대해 조사하였고, 선행연구 및 국내·외 진행 된 온·오프라인 문화예술치유 및 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연구를 검토하여 현황과 쟁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들 연구를 기반으로 예술치유 프로그램의 평가체계를 자신의 글을 기술하고 이를 낭독하고 문학작품과 접목시키는 ‘온라인 연극예술치유’ 프로그램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방법론에 있어 예술치유에 대한 평가는 성과(Outcome) 측정이 중요시 되는 사회적 영향평가에 기준을 두고 질적 연구방법과 양적 연구방법을 병행하는 혼합 연구방법을 채택했다. 암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연극예술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지표를 적용한 결과 긍정적 자아강화(Empowerment)와 회복(Recovery), 공동체 인식형성(Community Building)에서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관찰조사 및 심층 인터뷰 조사에서도 평가지표의 검증이 확인되었다. 반면, 사회적 차원의 범주에 속한 체험의 평가 항목 중 온라인 서비스경험의 경우 가장 낮게 평가되었으며 이는 대면 서비스에서 비대면 서비스로의 전환에 따른 디지털 소외를 겪는 계층의 존재와 활용 역량 차이에 따른 역차별의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상황적 특성에 따른 비대면 서비스와 디지털 플랫폼에 대한 수요는 코로나 종식 후에도 높은 수준으로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기술과 전략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가 암환자 대상 온라인 예술치유 프로그램으로서의 효과와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는 연구로 의미가 있다고 본다. 향후 참여자별 온라인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확장성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 거버넌스 영역이 소비자들의 기업신뢰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윤지유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거버넌스가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컨설팅학과 윤지유 기업은 법인으로 구별되고 법인은 법인격이라는 것이 법에 의해 부여된 것이다. 인격 이 있다는 말은 곧 생명체라는 말이며 이는 생명의 가장 기본적 개념인 번식과 생존 본능을 가진다는 이야기가 된다. 기업은 이윤추구를 궁극적 목표로 하지만, 이윤을 추구한다고 해서 번식과 생존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윤을 위해서 이윤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들의 인식을 고려하 지 않을 수가 없어서 기업들은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쏟고 있으며 팬데 믹에 의해 장기화된 위기로 인해 더더욱 지속가능한 경영에 포커스를 맞추게 만들었 다. 그 전에는 기업 경영에 있어서 ‘선택 사항’ 정도로만 여겨지는 활동 이였지만 이제는 핵심 가치 중 하나로 떠오른 것이다. 지속가능경영은 재무적 비재무적 요소를 둘 다 고려하는 것인데, 비재무적 요소는 사 회와 환경 측면에서 좋은 영향력을 끼치는 것을 말한다. 이해관계자들도 지속가능경영 여부를 심도 있게 들여다 보기 시작했으며, 이를 위해 1년간의 수행을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로 제출하는 시행도 하고 있다. 본래 ESG는 투자가치성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 로 사용되어져 왔기 때문이다. ESG 라는 용어는 2004년 ‘UN 글로벌 콤팩트’에서 발표한 보고서에서 처음 등장했 다. ESG 의 목적은 경제,사회,환경 영역으로 나뉘어 진다. 경제영역에서는 정당한 이 익분배와 지속적인 이익, 사회영역에서는 이해관계자의 법적권리보호를 핵심으로 하 며, 환경영역은 오늘날 가장 많은 소비자들이 관심을 갖는 영역인데 친환경적인 요소 를 고려하는 노력이다. 이러한 세 가지 영역이 평가지표로 만들어져있으며 우리 사회 에 실질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지속가능경영으로 ESG 활동을 한다는 것은 결국 장기적인 이윤과도 관련이 없을 수는 없을 것이다. 기업은 목적은 앞서 언급했듯이 지속적인 이윤을 추구하기 때문에 생존 전략으로 ESG를 필수적으로 택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기후에 대한 위기의식이 고조되고, 전 세계의 기업의 소식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접할 수 있으며 인권에 대한 의식이 지난 날 보다 높아진 지금 ESG경영은 이제 인류의 공동 목표중 하나가 되었다. 이 논문은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ESG에 대한 개념과, 소비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결정영향력을 가지고 있는지 인과관계를 밝혀내기 위해 시작 했으며 성별과 나아대별 ESG 인식도와 이에 따른 기업신뢰도 상승이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 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선 환경적 요소인 E와 사회적 요소인S는 소비자들의 신뢰도를 높이지 못했다. 선행연구에서 환경적 E,S 에 의해 소비자들의 기업에 대한 신뢰도 가 높아진 선행연구들과는 차이점을 보였다. 반면에 거버넌스 영역은 소비자들의 신뢰도를 높이고 구매의도가 상승한다는 결과를 도출해 내어 거버넌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도가 구매의도에 유의한 요인 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 선행연구들과 일치한다. 기존 연구들은 MZ세대들이 ESG에 반응한다고 했지만, 나의 연구에서는 Z세대들은 반응하지만 30대들보다 60대들이 ESG에 신뢰도를 더 높게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대나 4년제를 졸업한 사람들이 ESG 경영기업에 신뢰를 갖고있거나 구매의도 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DEA에 의한 병원 효율성 평가에서 질적 측면 통합 모형에 관한 연구 : 국립대학교 병원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신동욱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관의 효율성 평가에서 질적 측면을 통합하는 모델을 모색해보고, 그 결과로 질적 수준을 산출 변수 자체에 보정하는, 질보정산출 자료포락분석(Quality-adjusted output data envelopment analysis, QAO-DEA)이라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여 보았다. 실증 분석을 위하여 이 모델을 국립대학교 병원의 인적 효율성 평가에 적용시, 기존의 양적 효율성에 치우친 표준적인 DEA모델에 비해 보다 나은 효율성 평가 및 유인 규제의 도구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논의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국립대학교 병원들은 공공 병원으로서의 공익성과, 독립 채산제 형식에 의한 수익성을 함께 요구받고 있다.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한 대규모의 재원(5년간 4조 3000억원)이 투입될 예정으로 되어있으나,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식의 지원이 되어서는 곤란하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타개책으로 정부의 지원이 각 국립대학교 병원의 효율성에 기반하여 주어지도록 함으로써, 병원들이 경영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복지적 성격을 띤 의료 서비스 제공에 효율성의 개념을 적용하는 것은, 특히 해당 분야의 종사자에게는 복지 예산 삭감을 위한 가혹한 처사로 보일 수도 있으나, 한정된 자원 하에서 낭비 요소를 가능한 감소시키는 것은 절감된 자원을 다른 필요한 보건 사업에 투입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필요한 일일 것이다(김성옥, 2000). 이러한 유인 규제의 관점에서 여러 선행 연구들이 병원을 대상으로 DEA를 이용한 효율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하지만 비록 효율적이더라도 의료의 질이 낮다면 이는 ‘best practice’ 의 적합한 정의는 아닐 것이며, 따라서 ‘의료의 질’이 매우 중대한 차원인 의료에 있어서는 이를 통합한 방법론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효율성에 대한 올바른 측정 및 평가가 없이 시행되는 규제는 피평가자들의 저항만을 가져올 뿐, 올바른 방향으로의 향상을 유인할 것으로 기대하기 힘들기 때문이다(석영기, 2004). 양적인 효율성만을 평가하는 근시안적인(myopic) 시스템하에서는 효율성의 제고 노력은 흔히 의료의 질 저하를 수반하면서, 사회-경제학적 최적 상태(socio-economic optimum)의 달성을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효율성과 함께 질적 개선도 함께 유도할 수 있는 유인 규제의 도구가 필요한 상태이다. 이에 질적 측면을 고려하는 DEA효율성 분석이 여러 저자들에 의해 다양한 유형으로 시도되었으나, 이론적으로나 실용적으로 많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출물을 질적 수준으로 보정하여 효율성 분석을 하는 방법인 ‘질보정산출 자료포락분석(Quality-adjusted output DEA, QAO-DEA)을 제안하였고, 이를 국립대학교 병원의 2004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질보정산출 자료포락분석(QAO-DEA)은 표준적인 자료포락분석(Standard DEA)모형과 기본적인 틀을 공유하고 있어 직관적인 이해가 쉬우면서도 다른 정보를 제공해주고 있다. 기존의 다른 질 통합 모델들에 비하여 질적 수준에 의한 차이를 보다 잘 반영하였으며, 판별력도 높이는 효과가 있었다. 국립대 병원의 효율성에 대한 실증 분석에도 잘 적용되어, 본 QAO-DEA 모델은Standard DEA 모델에 대한 상호 보완적 기능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Rising healthcare cost is a global phenomenon that justifies governments’ introduction of ‘incentive regulation’ plan designed for the improvement of hospital efficiency.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tri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healthcare organization b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a common efficiency benchmarking method. However, there is a concern that this kind of efficiency evaluation can result in “Quantity-Quality trade off”. Moreover, as quality aspect is especially important in terms of ‘effectiveness’ of health care, it should be considered in efficiency evalu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 Various ways to incorporating quality aspect into DEA were tried so far in a variety of field, but none of them is universally recognized as a standard. Thus, in this study, quality-incorporating DEA models were categorized into 6 types according to the way of incorporating quality aspect, and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each types were reviewed with a set of artificial data as an example. Based on this review, a new quality-incorporating efficiency evaluation model, named Quality-adjusted output DEA(QAO-DEA), was suggested. As an exploratory empirical analysis, 2004 data fro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were applied to each types of quality-incorporating DEA models to calculate the technical efficiency of human resource, and the result was discussed from the view point of health policy implication. In conclusion, Quality-adjusted output DEA(QAO-DEA) Model seems to be one of the desirable alternatives incorporating quality aspect in efficiency evaluation of hospital, and deserves the consideration as a policy tool to induce simultaneous improvement of both efficiency and quality.

      • 한국 박물관교육을 통한 박물관 마케팅 활성화 가능성 연구

        맹민자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23

        이 연구에서는 박물관·미술관의 교육 활성화가 박물관·미술관 운영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한국의 박물관·미술관 마케팅과 실제적으로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고찰하였다. 첫째, 박물관·미술관 교육과 마케팅의 기본이론을 정리하고 박물관미술관 운영 및 교육현황을 검토하였다. 둘째, 박물관·미술관 교육 및 마케팅의 연결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국립민속박물관의 ‘박물관 홍보와 박물관 교육 연결’ 사례, 독립기념관의 ‘교사연수와 박물관교육 프로그램’ 사례, 경희대학교 자연사박물관의 ‘협업을 통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운영’ 사례, 삼성미술관 리움의 ‘리움틴즈(Leeum Teens)’ 사례를 검토하였다. 셋째, 박물관·미술관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박물관교육은 박물관만이 실시할 수 있는 교육·문화 활동을 의미하고, 이는 박물관을 통해서 일어나는 교육현상을 의미한다. 또한 박물관교육은 그 이론적인 배경을 학습이론(learning theories)과 소통(communication)이론에서 차용하였다. 또한, 마케팅이란 고객의 소망과 요구를 알아내어 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 재화나 용역을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그리고,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으로는 전시안내·설명프로그램, 전문 프로그램 어린이 프로그램, 가족프로그램, 장애인 프로그램, 자원봉사프로그램, 인턴쉽 프로그램, 학교연계 프로그램 등이 있었다. 둘째, 국립민속박물관은 박물관교육과 홍보를 밀접하게 연결시키고 있었다. 그 방법은 참가자 또는 참가기관 모집시의 홍보, 교육을 실시하기 직전에 언론매체에 보도자료를 전달하고 그 내용을 홍보하는 것 등이 있었다. 다음으로, 독립기념관은 역사교수초청사업, 교원연수 등을 통해 학교와의 직접적인 연계를 꾀하고 있다. 또한, 경희대학교 자연사박물관은 협업을 통해 박물관마케팅을 활성화하고 있었다. 다양한 기관의 협업은 지역사회와 연결됨으로 결과적으로는 자연사박물관뿐만 아니라 대학의 마케팅에까지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리고, 삼성미술관 리움은 중등학교와 미술관을 연결한다. 실제로 이러한 중등학교와 미술관의 연결은 일반적으로 미술관 방문을 꺼려하는 중등학교 학생들에게 미술관 방문을 위한 중요한 동인으로 작용한다. 셋째, 박물관들은 박물관 교육활동이 마케팅 활동과 관련이 있다고 응답했다. 또한 박물관들은 교육 후 교육참가자들이 해당 박물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었다고 응답했다. 그리고 박물관이 박물관 교육활동이 경제적인 이익을 가지고 오지 않더라도 계속해서 박물관 교육을 진행하겠다고 응답하였다. In this dissertation, I researched the relation between the activity of museum education and the management of museum. The research contained these subjects. First, I summarized the theories of museum education and museum marketing and investigate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museum management and museum education. Second, I made a case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o relation between museum education and museum marketing. Especially I investigated the case 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independence hall of Korea, the natural museum of Kyeounghee University, and Leeum gallery. Third, I made a survey of museum and gallery which concerning the museum education and museum marketing and analyzed the outcomes. In these process, I gained these conclusions. First, museum education means educational phase which occur only in the museum. And museum education theory based on the theories of learning and communication. Marketing is a process of finding comsumer's needs and giving them an proper goods and services. Most of museums gives museum visitors services such as museum guide, children education program, disabled people program, internship program. Second,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related closely museum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made a direct linking with school doing education program such as teacher training. The natural museum of Kyeounghee University made their education program with other institution. And Leeum gallery had a speciality in middle school education program. Third, most of museum responded museum education related with museum marketing. And the participant of the museum education had a positive thinking of museum after they attended museum education program. Most of museum responded that even if museum education won't brought some profit to their museum, they want to continue their education program.

      • 사무관리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역할인식, 직무만족도 및 직무관련행동에 관한 연구 : 서울·경기지역 사립대학을 중심으로

        이기영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23

        A research in the 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of a role and job satisfaction of the people who work in the field of management of business in municipal universities. The human constituents of a university include professors, students, and the people in charge of administration. Although, in the university, the position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professors and students are well recognized, the existence and importance of the executive officials who realize the intrinsic value of university and make a plan and manage various matters in order to accomplish the work are actually overlooked. Therefore, this research is going to provide the essential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the administration of university by analyzing job satisfaction, recognition of a role, and attitudes of working of the administrative officials who play a central role in the management of university. This research has got 20 random samples from among 45 universities in Seoul and Kyung-in districts and then performed a survey on mail using questionnaires, which was done through a month from March 20th, 2001 to April 20th, 2001.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for this research were a role recognition measurement and the measurement of a attitude of working which the researcher made referring to documentary records by the aid of 2 professors and also used job satisfaction measurement which was invented by Slavitt and other people(1978) after several times of revising and complement. The reliance rates of the measuring instruments are=.82 for a role recognition measurement,=.90 for a job satisfaction measurement, and=.66 for the measurement of a attitude of working with the standard of 5 points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as converted into signs and then dealt with statistically by SPSS Windows 10.0. General qualities were show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role recognition, job satisfaction and an attitude of working caused by the general qualities were analyzed by ANOVA & post-hoc. In the relation between role recognition, job satisfaction, and an attitude of working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F-test). The following is the result. 1. Analyzing role recognition following to the general qualities, role recognition showed slight differences in the both sides - general qualities that include sex, age, official class, and wages and the subordinate facts of role recognition which involve the decision of policy, execution of policy, and evaluation of policy. (F=13.81~2.71, P=.000~.042) And, scholarly attainments and the years of tenure of office showed a few differences just in the decision of policy and total marks which are subordinate facts of role recognition.(F=4.78~3.02, P=.001~.032) 2. In the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s following to the general qualities, scholarly attainments showed slight differences only in wages(F=3.17, P=.027) and the job itself(F=2.72, P=.047). According to one's place of duty, the value of job satisfaction manifested a few differences only in human relationship which is the subordinate fact of job satisfaction.(F=4.31, P=.006) 3. In the relation between role recogni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subordinate facts of role recognition - decision, execution, evaluation of policy and total marks - had relation to only human relationship which is included in the facts of job satisfaction.(r=.314~.212, P=.016~.000) 4. In the relation between role recognition and an attitude of working, the subordinate facts of role recognition and total marks have nothing to do with all of the facts of the attitude of working.(r=-.003~.083, P=.349~.973) 5. In the 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an attitude of working, wages, human relationship, promotion, job itself, and total marks have slight relation with the attitude of working(r=-.533~.329, P=.000~.000). As a consequence, role recognition and job satisfaction can vary according to the general qualities.And also there are relations between the general qualities and role recognition, role recogni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an attitude of working.

      • 대학로지역 공연장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임진욱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23

        대학로지역 공연장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은 그동안 기초예술의 가치에 대해 당위론적 차원에서만 그 중요성을 주장할 뿐 이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할만한 설득력 있는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산업화 관점에서 그 중요성을 어느정도 입증할 수 있는 공연예술, 특히 대학로지역 공연장의 경제적 가치를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공연예술 실태를 주기적으로 조사하고 있는 공연예술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공연예술의 메카라고 불리우는 ‘대학로지역 공연장’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로지역 공연장의 형성배경과 실태를 알아보고, 공연예술의 메카로서의 대학로지역 공연장의 중요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급격한 상업화로 인한 대학로지역 공연장의 운영상의 어려움을 짚어보고 대학로지역에서 공연장의 중요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기 위한 연구작업이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로지역 공연장과 유사한 성격의 미국 브로드웨이와 영국 웨스트엔드지역 공연장의 경제적 파급효과 조사연구보고서를 사례분석한 후, 우리나라 대학로지역 공연장 상황에 적합한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설계를 하였고, 통계적 기법과 산업연관분석 등을 통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추정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대학로지역 공연장의 ‘직접적 경제적 파급효과’는 총 76,132,418천원으로 산출되었으며, 이 중 공연관람객 소비지출액이 61,179,621천원, 공연장 공연관련 비용이 4,246,594천원, 공연장 유지보수 비용이 10,706,203천원으로 각각 산출되었다. 또한 대학로지역 공연장의 ‘직·간접적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액이 135,515,704천원으로 산출되었고, 부가가치유액 67,757,852천원, 고용유발인원 1,039명(십억원 당)으로 산출되었다. 현재로써는 대학로지역 공연장이 미약한 수준의 경제적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지역문화 활성화와 지역경제 활성화의 주요주체라는 사회경제적 가치를 충분히 지니고 있다. 또한 서울지역 공연장수의 약 25%(70개<2006년 기준>)에 해당하는 공연장이 대학로지역에 밀집해 있고, 미국 브로드웨이와 비견하자면 대학로지역은 ‘오프브로드웨이’ 성격의 지역으로 창의력과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중소규모 연극·뮤지컬 작품이 해마다 활발하게 무대에 올라가고 있다. 하지만 대학로지역의 중소공연장 대부분은 공연장에 적합한 시설을 갖추고 있는 곳은 드물고 일반 상가건물의 지하공간을 임대하여 공연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공연장시설이 열악한 곳이 많고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주차시설이 부족하여 20~30대의 주요 공연관람 소비주체를 대학로지역으로 유인하는데 한계가 있고, 주말에 자주 개최되는 집회(시위) 행사는 대학로지역 공연장을 방문하는 관람객을 끌어들이는데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2004년 서울시가 대학로지역을 문화지구로 지정한 이후 대학로지역에는 공연장 수가 해마다 급격히 증가하고 있지만 상업화가 심해지면서 임대료 상승으로 공연장 운영난이 심각해지고 있고, 공연장에 대한 세제혜택이 거의 없어 일부 공연장들은 임대료가 비교적 저렴한 대학로지역 외곽에서 공연장을 운영하고 있기도 하다. 이렇듯 현장에서 항상 주장하는 법제도적 지원 등이 기본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본 논문에서 시도한 대학로지역 공연장의 경제적 파급효과 외에 정부와 민간의 투자 및 지원을 유인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조사 작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계기로 공연예술 뿐만 아니라 기초예술 전 분야에 대한 사회경제적 가치 입증을 위한 연구작업이 확대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analysis of economic impact on the theatres in Daehangno distirct provides solid evidence of value of performing arts, especially economic value of the theatres in Daehangno distirct. This thesis analyzes economic impact on the theatres in Daehangno distirct, based on the survey on the performing arts. The thesis demonstrates the background and actual conditions of the theatres in Daehangno distirct,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the theatres in Daehangno distirct as a mecca of performing arts. It also touches theatres' operational difficulties due to the increase in rent and discovers that the study based on scientific approach would be necessary to prove the importance of theatres in Daehangno distirct. In the thesis, the case study of the economic impact on the theatres in Broadway in U.S.A. and West End in England, equivalent to Daehangno distirct, was conducted. The Economic impact analysis adjusted to the conditions of Daehangno distirct in the thesis estimates the economic impact through statistical methodology and input-output analysis. The thesis shows that the theatres in Daehangno distirct makes direct and indirect economic impact on the local community. Direct impact is 76,132,418,000won; visitor spending 61,179,621,000 won; show expenses 4,246,594,000won; theatre expenses 10,706,203,000won. Indirect impact includes the knock-on effect 135,515,704,000 won, value added inducement impact 67,757,852,000 won and 1,039/billion won employment. The theatres in Daehangno distirct does not have significant economic value so far, but they have significant socioeconomic value by playing a main role of local revit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About 25% of all theatres in Seoul(70 in 2006) are gathered in Daehangno distirct. Daehangno distirct is considered as offBroadway, and innovative and cutting-edge theatres or musicals from small to medium size are staged every year. Nonetheless, there are still impediments to the prosperity of Daehangno distirct; superannuated facilities of theatres with being exposed to accidents, lack of parking lots, and civic demonstrations on weekends around Daehangno distirct. Commercialization, rent increase and insubstantial tax benefits are already mentioned above. To improve such problems, I suggest that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will be created and the study will be continued to solidify and strengthen my thesis; analysis of economic impact on the theatres in Daehangno distirct. I hope such study will expand its scope from performing arts to whole arts se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