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승모판륜의 수축기 속도와 삼차원 심초음파를 이용한 좌심실 수축기능의 비교 평가

        박윤선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목적 좌심실 수축기능의 평가는 심질환의 진단, 치료 및 예후의 평가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심초음파검사에서 좌심실 수축기능 평가 방법 중 이면성 심초음파를 이용한 좌심실 구혈율 계산 시 Simpson법은 검사자에 따른 변이도(variability)가 있고 비교적 시간이 많이 들어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집단검진 시 좌심실 기능 부전이 있는 환자를 가려내는데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에 저자는 도플러 조직영상을 이용한 승모판륜 운동 속도를 정량화하고, 좌심실 수축기능의 지표인 좌심실 구혈율을 gold standard인 삼차원 초음파 영상 분석을 통하여 측정한 후 서로 비교함으로서 좌심실 기능의 평가에 있어 승모판륜 수축기 속도를 객관적이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2008년 1월부터 8월까지 충남대학교 병원 내과에 내원하여 심초음파를 시행받는 일련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는 총 125명으로 남자 78명(62.4%), 여자 47명(38.6%) 였고, 이들의 평균 나이는 57.5±13.0세 였다. 이들에서 이면성 심초음파, 삼차원 심초음파 및 조직 도플러 영상을 이용한 승모판륜 운동 속도를 측정하여 서로를 비교하였다. 방법 이면성 심초음파검사는 VIVID 7(GE medical systems, M3S transducer)을 이용하여 표준 심첨2방도 및 표준 심첨4방도를 얻은 다음, 변형 Simpson법을 이용하여 좌심실 구혈율을 측정하였다. 삼차원 심초음파검사는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3V transducer을 이용하여 기초적인 삼차원 심초음파 데이터를 얻어서 디지털로 저장한 후, off-line으로 분석하였는데, 심초음파 분석 프로그램인 EchoPac PC(GE medical systems, Andover, MA)를 이용해 표준 심첨2방도 및 표준 심첨4방도, low parasternal view의 세면에서 심내막과 혈액의 경계면을 구분한 다음 삼차원으로 재구성하여 좌심실 구혈율을 측정하였다. 승모판륜의 수축기 속도는 같은 기기에서 DTI(Doppler tissue image) 기능을 활성화시킨 후, 표준 심첨 4방도에서 색채 박스를 승모판 내륜(septal mitral annulus)에 위치시키고 sample volume을 승모판륜 근처의 심근에 위치한 후 가능한 초음파의 진행방향이 승모판륜의 운동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한 후 간헐파형 도플러를 이용하여 기록하였고 세 심박수 이상 측정한 후 이의 평균을 내서 측정하였다 결과 이면성 및 삼차원 심초음파로 측정한 좌심실 구혈율 서로 상관계수 0.935로 아주 좋은 연관성을 보였다 (p<0.001). 승모판륜 수축기 속도와 이면성 심초음파로 측정한 좌심실 구혈율은 0.738의 상관계수를 보였으며 (p<0.001), 삼차원 심초음파로 측정한 좌심실 구혈율은 0.688로 비교적 좋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p<0.001). 또한 좌심실 구혈율 50% 미만의 좌심실 수축기능 부전 환자를 검출하는데 있어 승모판륜 수축기 속도를 6.8 cm/sec로 할 경우 민감도는 94.1%, 특이도는 87%로 나타났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 조직 도플러 영상을 이용한 승모판륜의 수축기 속도의 측정은 좌심실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좌심실 구혈율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를 이용할 경우 유의한 좌심실 수축기능부전을 가진 환자의 검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s The assessment of left ventricular systolic function is an important clinical assessment of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LVEF) in the 2-dimensional echocardiography, it has some limitations to be used in the mass screening including high inter-observer and intra-observer variabilities and time consuming procedure. Tissue Doppler imaging technology is a newly developed method and i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left ventricular function with mitral annular velociti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at the mitral annular peak systolic velocity can be used to evaluate left ventricular systolic function with comparing mitral peak systolic velocity measured by tissue Doppler imaging and LVEF calculated by 2-dimensional and 3-dimensional echocardiographies. Methods We examined the 2-dimensional echocardiography, 3-dimensional echocardiography and tissue Doppler imaging study in 125 patients(78 males (62.4%), mean age: 57.5 ± 13.0 years) who visited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to August 2008. The 2-dimensional LVEF was calculated by modified Simpson's method with using an apical four chamber and apical two chamber views of the left ventricle. Three-dimensional LVEF was measured with using a commercial computer software EchoPac PC(GE medical systems, Andover, MA). Mitral annular peak systolic velocity was obtained from the medial site with apical 4-chamber view by pulsed-wave tissue Doppler imaging. Results The mean mitral annular peak systolic velocity was 7.7 ± 1.9 cm/s and the mean LVEF was 57.2 ± 10.4%. The mitral annular peak systolic velocity measured by tissue Doppler imaging was correlated linearly with LVEF by 2-dimensional echocardiography(r=0.738, p<0.001) and 3-dimensional echocardiography(r=0.688, p<0.001). When the study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left ventricular systolic dysfunction, total 23 patients were classified to left ventricular systolic dysfunction group; Group Ⅰ(LVEF >50%), n=102 and Group Ⅱ(LVEF < 50%), n=23. In the prediction of significant left ventricular systolic dysfunction by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ccording to mitral annular peak systolic velocity, the optimal cutoff value was 6.8 cm/s. At this cutoff valu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94.1% and 87%, respectively. Conclusion In this study, mitral annular peak systolic velocity measured by tissue Doppler imaging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2-dimensional and 3-dimensional LVEF and it can be used to detect patients with the left ventricular systolic dysfunction.

      • 한 대학병원 종사자들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과 노후준비

        이임주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base required for seeking positive strategies toward old age life by investigating the recognition of employees of a university hospital toward successful aging and by identifying factors relating to the preparation for old age life. A total of 305 full-time employees at a university hospital completed the questionnaire during the period from June 10 through June 17, 2011.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cited financial security, self-reliance in everyday life, self-satisfied attitude, active interpersonal relations, optimistic approach, less attachment to children, positive mind and sustaining life purpose as major factors for successful aging. The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was significantly high in age groups aged less than 50, the group with average monthly income of Won 4 million or above and the group who actively prepares for old age. Secondly, the actual preparation for old age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group with average monthly income of Won 5 million or above and the group who actively prepare for old age. Thirdly,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as identified between the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and sub-factors relating to preparation for old age.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higher with preparing for recreation time among those sub-factors, followed by psychological/emotional readiness, economical readiness and physical readiness in descending order. Fourthl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included sex, education level and subjective degree of preparation for old age, explaining 14.3% of the variance. That is, the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rose in women, and in the group with higher education. Lastly, the factors relating to preparation for old age included age and the preparation level and the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explaining 15.5% of the variance. That is, the more scores on old age preparation increased with the age, the more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and the preparation for old age.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the higher recognition of successful aging led to better preparation for old age. It is possible to investigate further strategies that are necessary to prepare the old age life successfully based on these findings.

      • 일개 대학 학생들의 헌혈 참여 관련 요인

        박경선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현대 의학의 발달로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혈액이 부족하여 헌혈이 절실한 실정이다. 헌혈자에 국한되어 있는 연구에서 벗어나 헌혈 가능성이 잠재되어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헌혈 경험 유무에 관계없이 조사하여 헌혈 참여에 영향을 주는 구체적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지속적이고 안정된 헌혈자 확보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자발적 헌혈 참여 유도를 위해 헌혈 전 충분한 홍보와 다양한 교육으로 올바른 인식과 긍정적 태도가 필요하고 시행중인 헌혈의 여러 방안을 활성화 시켜 적극적 헌혈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 이다.

      • 급성심근경색환자의 지연요인과 원내사망의 예측인자

        김정애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Background and objectives: After the occurrence of the symptoms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the early and prompt reperfusion therapy is vital to improve the early prognosis of these patients. In patients with acute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STEMI), Primary coronary angioplasty and thrombolytic therapy with intravenous thrombolytic agents are used in the reperfusion therapy. However, the time delay in the visiting to hospital is one of the interrupting steps from the early reperfusion therapy. I want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the factors influencing time delay to hospital with prognosis of the patients with acute STEMI. Subjects and methods: Patients with acute STEMI undergoing primary coronary angioplasty were enrolled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7 in the Cardiovascular Center in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onsecutively. Factors influencing time delay of the patients were recorded from their medical records and interview with patients or their family members. Other medical parameters were obtained from the review of their medical records.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total 370 patients with acute STEMI (mean age: 64±12 years, male gender: 254 (69.2%)) were included in this study. Compared with male group, female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mean age, lower incidence of current smoker and hypertension. Majority of patients (65.7%) visited hospital by their own car and more than 70% of patients (74.8%) were transferred from other clinics. The mean time interval from the onset of chest pain to determine visiting hospital was 110210 minutes (median: 50 minutes), mean time interval from the onset of chest pain to the emergency department was 221235 minutes (median: 170 minutes), and mean time interval from the arrival to the emergency department to reperfusion was 89114 minutes. The mean time interval from onset of chest pain to successful reperfusion therapy was 310257 minutes (median: 247 minutes). The result of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e significant risk factors increasing in-hospital mortality were female gender, older age, presence of cardiogenic shock, loss of consciousness before reperfusion therapy, Killip class IV, direct current cardioversion, complete atrioventricular block, sinus arrest, lower blood pressure on admission and higher heart rate. The mean time interval from the onset of chest pain to decide to visit hospital, mean time interval from the onset of chest pain to visit emergency department and mean time interval from the onset of chest pain to reperfusion therapy were also significant risk factors increasing in-hospital mortality rate. After multivariate analysis, age (relative risk 1.160, 95% confidence interval 1.038~1.297, P=0.009), sinus arrest (relative risk 25.167, 95% confidence interval 1.172~540.244, P=0.039), and time interval from the onset of chest pain to decide to visit emergency department (relative risk 1.006, 95% confidence interval 1.001~1.011, P=0.027)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increasing in-hospital mortality Conclusion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isk factors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in patients with acute STEMI underwent primary angioplasty. Many patients transferred to the emergent department from other clinics. Significant time delay was occurred in the determining to visit the emergency department and in the way of transfer. More over, time delay to visit emergency department, old age, and sinus arrest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in-hospital mortality. With prompt education of the high risk group, the time delay can be reduced and the prognosis may be improved. 연구 배경 및 목적; 급성심근경색증은 증상의 발생 후 가장 빠른 시간에 재관류 치료가 이루어지는 것이 조기 성적을 향상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연구자는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병원 방문까지의 지연시간과 요인, 및 임상 양상을 분석하고 원내 사망을 증가시키는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 심혈관센터에 ST분절 상승형 급성심근경색증으로 내원하여 일차적 관동맥 중재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응급실 도착까지의 지연 시간 및 요인, 임상상, 및 원내 사망 여부 및 예측 인자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기간 동안 370명(평균 연령 64±12세, 남성 254명(69.2%))의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나이가 적고 흡연의 빈도가 높았으며, 고혈압의 빈도는 유의하게 낮았다. 전체 환자의 65.7%는 처음 병원 방문 시 자가용을 이용하였고, 적어도 한 군데 이상의 병원을 거친 환자가 74.8%였다. 증상 발생 후 병원에 가기로 작정하기까지 걸린 평균 시간은 110210분(중앙값 50분), 증상 발현에서 본원 응급실에 도착하기까지 걸린 평균 시간은 221235분(중앙값 170분), 응급실 도착 후 재관류까지 걸린 평균 시간은 89114분, 및 증상 발현 후 일차적 중재술로 재관류 치료가 이루어지기까지 걸린 평균 시간은 310257분(중앙값 247분)이었다. 원내 사망을 증가시키는 유의한 위험인자로 단변량 분석에서는 여성, 고령, 심인성 쇽, 재관류 전 의식소실, Killip class IV, 제세동 실시, 완전 방실차단, 동정지, 통증 후 병원방문을 작심하기까지의 시간, 통증 후 응급실 방문까지 걸린 시간, 통증후 재관류까지 걸린 시간, 내원 시 낮은 수축기 혈압 및 이완기 혈압, 및 높은 맥박수 등이었다. 이 중 다변량 분석 상 원내 사망을 증가시키는 독립적인 위험 인자는 나이 (비교위험도1.160, 95% 신뢰 구간 1.038-1.297, p=0.009), 동정지 (비교위험도25.167, 95% 신뢰 구간 1.172-540.244, p=0.039) 및 통증 발생 후 응급실에 방문하기까지 걸린 시간 (비교위험도1.006, 95% 신뢰 구간 1.001-1.011, p=0.027). 연구 결론; ST분절 상승형 급성심근경색으로 일차적 관동맥 성형술이 이루어진 환자를 분석하였을 때 남녀 간의 연령 및 위험 인자에 차이가 있었다. 증상 발생 후 재관류가 가능한 병원에 이르기까지 많은 환자가 타 병원을 경유하였고, 도착까지 소요된 시간의 약 절반은 증상 발생 후 병원에 가기로 작정한 시간이었고 약 절반은 이송 과정에서 소요된 시간이었다. 원내 사망을 증가시키는 유의한 인자는 고령, 동정지의 발생, 및 통증 발생 후 응급실에 방문하기까지의 시간이 오래 걸린 경우였다.

      • 일부 대학생들의 심리적 행동특성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김윤지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심리적 행동특성(자기존중감, 대인의존행동특성, 통제신념)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수준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의 남녀 대학생 362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의 수집은 2018년 7월 15일부터 8월 1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수준을 종속변수로, 관련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변수들 간의 단변량 분석, 상관관계,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처리에는 SPSSWIN(ver 22.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조사대상 학생 362명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의 분포를 보면 「건강군」이 33명으로 9.1%, 「잠재적 스트레스군」이 220명으로 60.8%, 「고위험스트레스군」이 109명으로 30.1%로 나타났다. 2.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의 분포에서 「고위험스트레스군」의 분포는 남자보다 여자에서(p=0.008), 자신의 체형에 대한 인식에서 비만도가 높을수록(p=0.041), 자신의 체형에 대해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군에서(p=0.030) 유의하게 높았다. 3. 가정생활특성별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의 분포에서 「고위험스트레스군」의 분포는 가정의 경제 상태가 좋지 않다는 군에서(p=0.011), 월 사용하는 용돈에 대해 만족하지 못할수록(p=0.016), 가정생활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군에서(p=0.000) 유의하게 높았다. 4. 학교생활특성별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의 분포에서 「고위험스트레스군」, 의 분포는 전공학과가 문과계열인 경우보다 자연계열에서(p=0.000), 학교성적이 좋지 않을수록(p=0.014), 교우관계가 좋지 않다는 군에서(p=0.018), 전공에 대한 적성이 맞지 않는다는 군에서(p=0.001), 학교생활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다는 군에서(p=0.006) 유의하게 높았다. 5. 건강관련행위특성별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의 분포에서 「고위험스트레스군」의 분포는 음주를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p=0.001), 규칙적인 식사를 한다는 군에서(p=0.001),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p=0.001), 주관적인 수면의 질이 좋지 않다는 군에서(p=0.000),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는 군에서(p=0.000) 유의하게 높았다. 6. 심리적 행동특성별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의 분포에서 「고위험스트레스군」의 분포는 자기존중감이 낮은 군에서(p=0.000), 통제신념이 낮은 군에서(p=0.043) 유의하게 높았다. 7.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은 자기존중감(r=-0.520, p<0.01) 및 통제신념(r=-0.159, p<0.05)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8.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고위험 스트레스군」이 나타날 교차비는 자기존중감이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2.12배(95% CI=1.166~4.419)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통제신념이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2.06배(95% CI=1.206~4.965)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9. 다중회귀분석 결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신의 체형에 대한 스트레스 유무, 전공학과, 전공 적성여부, 학교생활 만족도, 규칙적 식사여부, 규칙적 운동여부, 주관적인 수면의 질, 주관적인 건강상태, 자기존중감 및 통제신념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45.3%이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학생들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수준은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정생활 및 학교생활특성, 건강관련행위특성 등 다양한 요인이 관여하고 있으며, 특히 심리적 행동특성으로 자기존중감과 통제신념이 낮을 경우 증가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고 스트레스 원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e dissertation is to investigate the relevance between undergraduates' social and psychological stress level and their psychologic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respect, dependent behaviors upon person, and control belief.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July 15th to August 10th in 2018 targeting 362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D Metropolitan City an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m.

      • 일부 대학병원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전문직 삶의 질과의 관련성

        이예솔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일부 대학병원 임상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직업관련 특성 및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전문직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특히 직무스트레스와 전문직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3개의 대학병원에서 종사하고 있는 임상간호사 342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18년 8월 09일부터 2018년 9월 07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를 사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별 공감 만족의 평균 점수는 연령이 낮을수록(p<0.001), 기혼 군보다 미혼 군에서(p<0.001), 대학원 학력 군보다 전문대학 학력 군에서(p<0.001), 적당한 수면 군보다 부적당한 수면 군에서(p<0.01), 근무경력이 짧을수록(p<0.001), 책임간호사 이상 군보다 일반간호사 군에서(p<0.001), 교대근무를 하지 않는다는 군보다 한다는 군에서(p<0.001), 직무만족도에서 만족한다는 군보다 만족하지 않는다는 군에서(p<0.001) 유의하게 낮았다. 2.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별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의 평균 점수는 적당한 수면 군보다 부적당한 수면 군에서(p<0.01), 근무경력이 길수록(p<0.05), 일반간호사 군보다 책임간호사 이상 군에서(p<0.05), 기타 부서(외래 및 특수부서) 근무군보다 병동 근무군에서 (p<0.05), 교대근무를 하지 않는다는 군보다 한다는 군에서(p<0.05), 직무만족도에서 만족한다는 군보다 만족하지 않는다는 군에서(p<0.001) 유의하게 높았다. 3.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별 소진의 평균 점수는 연령이 낮을수록(p<0.001), 기혼 군보다 미혼 군에서(p<0.001), 대학원 학력 군보다 전문대학 학력 군에서(p<0.001), 적당한 수면 군보다 부적당한 수면 군에서(p<0.001), 근무경력이 짧을수록(p<0.001), 책임간호사 이상 군보다 일반간호사 군에서(p<0.001), 교대근무를 하지 않는다는 군보다 한다는 군에서(p<0.001), 직무만족도에서 만족한다는 군보다 만족하지 않는다는 군에서(p<0.001) 유의하게 높았다. 4. 조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전문직 삶의 질 하위영역별 평균점수를 보면, 공감 만족의 평균 점수는 직무스트레스 총점이 정상군보다 고위험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반면(p<0.001),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와 소진의 평균 점수는 직무스트레스 총점이 정상군보다 고위험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별로 보면, 공감만족,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및 소진 모두 업무의 자율성,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및 직장문화가 정상군에 비해 고위험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5. 조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전문직 삶의 질(공감만족,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소진)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공감만족은 직무스트레스 총점 및 하위영역(직무요구, 직무자율성 결여, 관계갈등, 직무 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와 소진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전문직 삶의 질(공감만족,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소진)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를 보면, 공감만족도가 낮게 나타날 위험비는 직무스트레스 총점이 정상군에 비해 고위험군에서 2.12배, 소진이 높게 나타날 위험비는 직무스트레스 총점이 정상군에 비해 고위험군에서 3.40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날 위험비는 유의하지 않았다. 7. 단계별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 전문직 삶의 질(공감만족,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면, 공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결혼상태, 주관적인 수면의 질, 업무에 대한 만족도, 직무요구, 직무자율성 결여,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43.9%이었다.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직위, 근무부서, 직무자율성 결여, 직무 불안정, 직장문화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7.0%이었다.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주관적인 수면의 질, 근무부서, 업무에 대한 만족도, 직무자율성 결여, 보상부적절, 직장문화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47.8%이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임상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뿐만 아니라 직무스트레스의 여러 변수들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 및 전문직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evel of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and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related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ere given to 342 nurse practitioner working in three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D City from August 9 to September 7, 201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