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 박물관 디지털 실감 콘텐츠의 교육적 가능성 탐색 : 어포던스 이론에 기반한 충청도 국립 박물관 사례 분석

        임채은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2020 국립문화시설 실감 콘텐츠 체험관 조성 및 공공 향유형 콘텐츠 제작⌟ 지원사업을 시작으로 제작된 지역 국립 박물관 디지털 실감 콘텐츠가 어떠한 지역적 특징을 드러내고 지역주민의 정체성 향상에 도움을 주는지에 대한 고민으로 시작한 연구이다. 충청지역 국립 박물관 3곳의 디지털 실감 콘텐츠를 중심으로 사례 분석 및 어포던스 요소를 통한 특성 분석, 향유 하는 지역주민 참여관찰 및 심층 면담, 담당 학예연구사 심층 면담을 통해 지역 국립 박물관 디지털 실감 콘텐츠의 교육적 가능성과 향후 과제에 대해 모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박물관 디지털 실감 콘텐츠는 어떠한 지역적 정체성을 반영하고 있는가? 둘째, 관람객의 몰입을 이끄는 디지털 실감 콘텐츠는 어떠한 특성이 있으며 어포던스 요소 분석을 통해 나타나는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지역주민은 지역 박물관 디지털 실감 콘텐츠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며 무엇을 기대하는가? 넷째, 담당 학예연구사는 디지털 실감 콘텐츠를 개발, 운영하는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며, 디지털 실감 콘텐츠의 발전 방향과 향후 과제는 무엇인가? 다섯째, 지역 박물관 디지털 실감 콘텐츠는 교육적으로 어떻게 해석할 수 있으며, 어떠한 교육적 가능성을 갖는가에 관한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 지역 박물관 디지털 실감 콘텐츠의 특성에 의해 형성된 경험이나 인식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사례를 선정을 통한 연구 주제를 설정 후 연구 사례 체험 및 관찰을 통한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충청 지역주민 연구참여자 5명과 함께 디지털 실감 콘텐츠를 중심으로 박물관 관람을 통한 체험 및 개별 면담을 통한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담당 학예연구사 4명과 개별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박물관 디지털 실감 콘텐츠의 교육적 가능성과 향후 과제에 대해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데이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박물관 디지털 실감 콘텐츠는 각기 다른 실감 기술을 활용해 관람객의 흥미와 몰입을 이끌어 내고 있었으며 각 박물관에서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적 특색을 반영하여 전달하는 내용과 소장품을 중심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 특징이 있었다. 둘째, 박물관 디지털 실감 콘텐츠에서는 어포던스 요소가 흥미와 몰입을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어포던스 4가지 요소(감각적, 기능적, 물리적, 인지적)를 모두 포함한 콘텐츠가 관람객에게 가장 효과적으로인 경험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어포던스 4가지 요소를 모두 포함되지 않더라도 박물관의 건축 구조를 살린 공간 활용, 다양한 효과 등을 통해 관람객의 만족스러운 경험을 선사하고 있었다. 셋째, 지역주민 연구참여자들은 지역 박물관 디지털 실감 콘텐츠를 통해 대체로 기존 박물관에 대한 이미지, 경험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이 디지털 실감 콘텐츠 체험을 통해 긍정적 새로운 박물관 경험으로 인식으로 변화, 일부 디지털 실감 콘텐츠에서 친근한 지역의 모습, 추억을 회상시켜주는 지역의 자연환경을 통해 정서적 공감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디지털 실감 콘텐츠의 오작동과 이로 인한 체험중단, 일부 디지털 실감 기술 특성상 노약자는 체험이 제한된다는 점에서 디지털 실감 콘텐츠 체험에 제약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담당 학예연구사는 디지털 실감 콘텐츠를 개발, 운영하는 과정에서 관람객에게 체적화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관련 전문 분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개발과정에서는 각각의 박물관마다 박물관의 특색, 정체성, 운영상황이 다르다는 점에서 주제선정, 활용 가능한 자료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소장품을 기반으로 흥미 유발 및 효과적으로 전달을 하기 위한 학예연구사들의 숨은 노력과 고민이 있었다. 또한 운영과정에서는 유지보수관리 관련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더불어 학예연구사가 생각하는 박물관 디지털 실감 콘텐츠의 발전 방향과 향후 과제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디지털 기술과 많은 박물관에서 디지털 실감 콘텐츠를 운영하고 있다는 점과 지역민의 선호도를 반영한 관람객이 만족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콘텐츠 제공, 디지털 실감 콘텐츠 사업을 지속하기 위한 원활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박물관에서 관람객이 직접 디지털 실감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콘텐츠 개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 등으로 나타났다. 다섯 째, 지역 박물관 디지털 실감 콘텐츠는 소장품을 활용해 정체성을 가시화하며, 지역주민들에게 관심과 참여를 유발하여 지역주민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해 주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박물관으로서 차별성을 나타내기 위해 박물관 디지털 실감 콘텐츠의 교육적 가능성과 향후 과제에 대해 모색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차별성 가시화이다. 지역주민 연구참여자들은 디지털 실감 콘텐츠 속 지역 자연환경에 대한 영상을 통해 정서적 공감이 발생 되며 박물관을 더욱 친근하게 인식함에 따라 소장품 중심에서 벗어나 지역민의 정서적 공감이 가능한 지역에 대한 것을 기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문화복합 공간으로서 기능 강화이다. 지역주민 60대 연구참여자들은 VR 기술 특성상 노약자 체험 제한을 경험과 더불어 박물관은 어린이를 위한 공간, 학교에서 수학여행으로 가는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는 이전 경험을 통해 고령화 시대에 따른 장년층에서도 체험 가능한 다양한 콘텐츠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예연구사 D는 디지털 실감 콘텐츠를 직접 제작할 수 있는 IT를 결합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가능성을 제안하였는데 이러한 제안은 다양한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기억에 오랫동안 남고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 할 수 있다. 셋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전시 공간에 변화에 따른 향후 과제이다. 지역주민 연구참여자들은 3곳 박물관 디지털 실감 콘텐츠를 체험하면서 기기 오작동 및 기기 점검으로 인한 체험중단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담당 학예연구사는 박물관 이미지 실추에 대해 걱정하였으며 관람객들은 부정적 인식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실감 콘텐츠 담당자는 고고학, 사학 등을 전공한 학예연구사로서 디지털 기술 관련 문제 발생 시 즉각 대처가 어렵고 유지보수관리 업체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어 원활한 유지보수관리를 받기란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에 디지털 실감 콘텐츠의 원활한 체험을 위해선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박물관 디지털 실감 콘텐츠에 대한 지역 차별성 가시화, 문화복합 공간으로서 기능 강화, 테크놀로지 변화에 대한 전시 공간의 변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 박물관의 디지털 실감 콘텐츠에 대해 어포던스 이론을 기반하여 분석하고 연구대상자들의 면담을 통해 이에 대한 경험 및 교육적 가능성과 향후 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Digital immersive contents exhibited at local national museums started with the ⌜2020 National cultural facilities immersive contents experience center establishment and contents creation for public enjoyment⌟ support program and this research was initiated for thinking of how those contents showed local characteristics and how they helped to improve identity of local people. Focusing on digital immersive contents exhibited at 3 national museums in Chungcheong-do, this research analyzes various cases and features through affordance elements, observes participation of local people who actually enjoy those contents and conducts in-depth interviews along with a comprehensive interview with curators in charge in order to seek educational potential and future tasks of digital immersive contents at local national museums. Consequent research goals are as follows. First, what sorts of local identity is reflected on digital immersive contents at local museums? Second, what features do digital immersive contents have in order to have the audience immersed in the works and what are their features demonstrated through affordance elements analyses? Third, what do local people experience through digital immersive contents at local museums and what do they expect? Fourth, what do curator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managing digital immersive contents and what are future directivity and tasks of digital immersive contents? Fifth, how can we interpret digital immersive contents at local museums in educational terms and what educational possibility do they have within? The present research applied the qualitative methodology in order to figure out experiences and awareness formed on the basis of features of digital immersive contents at local museums. Setting research themes by choosing academic cases, the research collected data through experience and observation on research cases and analyzed their features based on collected data. The researcher also visited local museums with 5 research participants who were Chungcheong-do residents focusing on digital immersive contents and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m for data collection along with in-depth interview with 4 curators in charge for data analyses. Based on analytical results, the study sought educational possibility and future tasks of digital immersive contents at local museums. The result of data analyzed on the present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digital immersive contents at local museums utilize various real-feel technologies so that they excite and absorb the audience and each museum exhibits descriptions and collections that reflect local history and cultural features, which thus highlights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Second, affordance elements play an important role for excitement and absorption of digital immersive contents at museums. Contents which incorporate all of 4 elements (sensory, functional, physical and cognitive) seem to provide the most effective experience to the audience but ones that do not include all the 4 elements also give the audience satisfactory experience through space utilization that spotlights the museum’s architectural structure as well as a variety of effects. Third, the local research participants used to have negative awareness about the existing museum image and experience but that changed into new, positive museum experience through digital immersive contents. In addition, they seem to feel empathy for familiar local looks and natural environment that recalls their memory through some pieces of digital immersive contents. However, digital immersive contents still have limitations that the audience may experience interruption due to contents malfunction and that some digital immersive technologies may restrict experience for the weak and the elderly due to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Fourth, curators in charge are required to do professional study in associated fields in order to provide optimized contents to the audienc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managing digital immersive contents. Theme selection and available data may vary in the development process depending on features, identities and managerial conditions of each museum but on the basis of collections of different museums, they do make hidden efforts and think of how to excite the audience along with effective communication. They also have difficulties in maintenance in managerial terms. The future direction and tasks for digital immersive contents that curators have explored are need of rapidly developing digital technologies; digital immersive contents managed at various museums; providing high-quality contents reaching the audience’s satisfaction reflecting preferences of local people; a maintenance system to properly keep running the digital immersive contents project; on-hand contents development training programs so that the audiences create digital immersive contents themselves, etc. Fifth, they also seek that digital immersive contents at local museums utilize the museum’s collection and realize its identity and; these contents lead to attention and participation of local people so that it would serve as a serendipitous chance to actively promote the work to the local residents. Seeking educational possibility and future tasks of digital immersive contents for differentiation as a local museum, the present research reached the following result. First, realization of local differentiation. The study foun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local residents, felt empathy for natural environment in their local community realized on a video played in digital immersive contents and found the museum more familiar. Thus, they seemed to expect emotional empathy with locality instead of collection-centered museums. Second, reinforced functionality as a complex cultural space. Research participants in their 60s perceived a museum as a place for children and students for a field trip and they wanted various hands-on experiences that they also could enjoy in this aging era with fewer physical restrictions on VR, etc. Curator D suggested possibility of an educational program combining IT for hands-on creation of digital immersive contents and such a suggestion would facilitate easy access of more people and longer memory and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y. Third, future tasks with changes on exhibition space utilizing technologies.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interruption due to device malfunction and inspection while they visited 3 museums and appreciated digital immersive contents. In this respect, the curator in charge worried that the image of the museum would be compromised and the audience felt negative awareness. The person in charge of digital immersive contents is curators majoring in archaeology or historical studies so they have difficulties in immediately dealing with digital technology-associated problems. Maintenance companies are clustered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so it is also challenging to get maintenance service promptly. They told that systematic maintenance measures should be arranged in order for smooth experience of digital immersive contents. Thus, the present study discussed realization of local differentiation as to digital immersive contents at local museums; reinforcement of functionality as complex cultural space and; changes on exhibition space utilizing technologies with technical changes. The research has significance that it analyzes digital immersive contents at local museums based on the affordance theory and makes suggestions about educational possibility and future task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research participants.

      • Arts PROPEL을 적용한 중학교 미술과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

        정은욱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visual art education in public schools is losing its ground. This phenomenon is more rampant in the middle school level. The new school curriculums, revised in 2009, consolidated the visual art education with music education as the Art Subjects. By not being included in the eight main school subject groups, the visual art education is not even considered as an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 This study started with the realization of the current visual art education's diminishing foothold. To decide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previous literatures and researches of related subjects were examined. Korean visual art education policies went though many changes; starting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post-Korean war period. These policy changes caused confusions in theoretical adoptions and field applications. Industrial Revolution brought the change in traditional teaching method to meet the popular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the education itself. This transformation was spread into Korea via Europe and Japan and expressive functionality became the center of the visual art education. The American progressive educational ideas were added to this and practical techniques for creative self-expression developed into the mainstream of visual art education even today. In order to overcome the confusion and lack of consistency in public visual art education, the alternative should be convincing and based on today’s paradigm.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pects of post-modernism paradigm. As a resul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on the newly proposed art curriculums can be found on post-cognitive revolution Cognitive Approach to art education, Constructivism, Arthur D. Efland's Semi-lattice curriculum model and Multi-intelligence theory of Howard Gardner. As a successful example of the evaluation method in the U.S., Arts PROPEL project was closely studied. The post-modernism emphasizes pluralism, multiple perspectives, and understanding of a subject with context and background. The evaluation in post-modern paradigm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evaluation in modernism. Visual art education has an inherent value of expression namely the production. The Arts PROPEL case is worthy of exploration because it not only respects the production but also perception, reflection and learning which inevitably occur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should be included in the process of evaluation. Some scholars in Korean visual art education community debate the value of the evaluation. They question the value of the evaluation and even believe the evaluation lowers the enthusiasm of the students. Arts PROPEL puts emphasis on the process not the evaluation. Therefore, it would be valuable in Korean visual art education as a possible improvement or an addition. In addition, the 2011 Visual art curriculum and assessment were investigated. 2011 Visual art curriculum was the revision of 2009’s. It is applied to 7th and 8th grade students in 2014 and expected to be applied across all grades in 2015. Within 2009's Visual art curriculum, continuous teaching is possibl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block-timing method. However, Visual art is taught in two semesters not in six in the course of the middle school. In this study, the subject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was not limited to a particular grade. For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following current situations were considered. First, in June 2012,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emphasized strengthening the education that builds students’ character through Physical Education and Arts (music/visual art). Contents that help foster a positive personality would be selected. Second, the 2009 revision of the curriculum emphasized the realization of the caring and sharing creative talents beyond the memorization-oriented education. This is reflected in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 Self is the subject that ties the three sub-domains; expression, experience and appreciation. Appreciation has two categories; art history and art criticism. In order to select the configuration of the training content, first, expression, experience and appreciation of arts were studied under one unified theme in middle schools. Integrated configuration mentioned in the study has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Arthur D. Efland’s unified field of education in visual art and his vision for the semi-lattice curriculum model. Therefore, the class contents will reflect the practical area and theoretical area as in Efland's semi-lattice curriculum model. This integration of educational content is also based on the configuration away from excessive memorization-oriented education following the direction of curriculum revision in 2009. Secondly, in selected educational contents, Arts PROPEL’s emphasis on the process of education, that is production, perception, and reflection, will be followed as the process of development. The expected effects of Arts PROPEL’s instruction and evaluation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Arts PROPEL encourages the student’s interaction and participation, it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questioning. Second, unlike the conventional evaluation systems, Arts PROPEL includes evaluation of the process itself and it allows motivation to students in subgroups. Thus, a positive impact on classroom is possible and sub-grade students' engagement and concentration can be derived. Third, the proposed Arts PROPEL instruction and evaluation techniques in this study include evaluation by shorthand in every period and students can reflect it on their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PROPEL portfolio. Therefore, the meta-cognition of the student can be improved. The proposed instruction and assessment methods were tested with non-structured interviews with experts to evaluate if the expected effects possibly be able to achieved and easily applicable in middle school visual arts curriculum. Conducted over four times, and each time the two groups of participants each, for a total of eight interviews was conducted. Experts consisting of middle school art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recorded. Experts who participated in a non-structured interview showed positive reactions for the evaluation method that applies the Arts PROPEL. All the interview subjects agreed that the integrated arts curriculum that emphasizes access and performance evaluation process is needed to be recognized as the valuable. The proposed teaching and assessment methods are considered timely because it emphasize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building as in the revised 2009 art curriculum. There were many negative perceptions about course evaluation because of the results-oriented nature and multiple choice questions of the current art evaluations. This study may present the evidence that process-emphasized methods like Arts PROPEL can be the alternative to the evaluation-uselessness view of some education community. Shortcomings of the Arts PROPEL might be the applicability in the Korean middle schools. First, the three-tier assessment system will diminish concentration of the students compared to the other study subjects; so it is not easy to adjust the amount of the study workload. Second, in the evaluation criteria selection process, students’ participation is needed.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not familiar with self-expression and democratic process and sometime shy away from speaking up. In addition, the cost and time to prepare for the class might cause concerns among the parents. Evaluation methods have an enormous impact on the entire discourse on public education in Korea. There are agreements among the education experts that the current assessment method of measuring fragmentary knowledge does not improve students' thinking skills.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the meaningful education that cultivates critical thinking. Arts PROPEL’s process of production, perception and reflection requires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Therefore, the continued research on Arts PROPEL is needed. 최근 공교육에서 미술교과는 그 입지가 크게 흔들리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중학교 교육과정에서의 미술교과의 경우, 2009년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음악 교과와 함께 예술 교과로 통폐합되어 8개의 교과군 중 하나의 독립된 교과로도 인정받지 못한 형편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약화된 미술교과의 현 입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의 방향을 정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먼저 한국 미술교육과정의 특징과 문제점에 대해 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한국 미술교육이 일본 식민지 시대와 해방 이후 미군정시대 등을 거치며 교육정책 결정권자의 빈번한 변화를 겪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잦은 교육정책 결정권자의 변화는 한국 미술교육 전반에 이론적 혼동 및 여러 실습에서 일관성이 결여되는 등 많은 과도기적 현상이 두드러지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한국 근대 미술교육은 일찍이 산업혁명이후 서양에서 급속히 전개되었던 교육의 대중화와 산업화라는 근대사회의 요구에 맞추어 전통 아카데미 교수법을 변형시켜 시도되었던 교육 형태들이 유럽과 일본을 통해서 뒤늦게 근대화에 편승하게 된 조선에 전파되면서 표현기능중심으로 그 틀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여기에 해방이후 국내에 소개되었던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사상이 결합되면서 "창의적인 자아표현을 목적으로 한 테크닉위주의 실기중심 교육”이라는 모순된 형태로 발전되어 오늘날까지 현장의 주류로 자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 공교육 미술교육 현장에서의 현재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은, 해결방안으로서의 타당성을 가지기 위해 현 시대의 패러다임 내에서 설명 가능한 이론에 토대를 두어야 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미술교육에 대한 여러 관점들 가운데 포스트모더니즘의 패러다임과 맥을 함께하는 시각들에서 찾기로 했다. 이에 따라 본론에서 소개된 이론적 동향들은 인지혁명 이후의 미술교과에 대한 인지적 접근, 구성주의 이론, 미국의 미술교육학자 Arthur D. Efland의 반 격자형 교육과정 모델(semi-latticecurriculum model) 및 미 하버드대 Howard Gardner 교수의 다중지능이론이다. 본론에서는 미국의 미술교과 수행평가의 성공적인 사례로 꼽히는 Arts PROPEL의 연구사례에 대해서도 자세히 다루었다. 다원성, 다양한 시각, 맥락과 배경을 포함한 대상의 이해가 강조되는 포스트모던 패러다임 시대의 평가는 모더니즘 패러다임 내의 평가와 같이 단편적이고 결과 중심적인 것이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미술교과목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가치인 표현, 즉 창작(Production)을 존중하면서 그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인지(Perception)와 반성(Reflection), 배움(Learning)의 과정까지 평가의 대상으로 삼은 Arts PROPEL의 사례는 연구, 적용할 충분한 타당성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한국 미술교육 현장에서는 새로운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가 절실한 상황이다. 미술교육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평가무용론(評價無用論)은 학습자의 학습의욕을 저하시키고 중등교육을 대입준비를 위한 준비단계로 인식시키고 있다. 평가에 의해 교육의 내용이 좌지우지되는 한국의 교육현실을 감안할 때 과정을 중시하고 과정 속에서 일어나는 인지적이고 반성적인 활동까지 평가의 영역에 포함시킨 Arts PROPEL 평가방식의 도입은 교육과정 정상화를 위해서도 시급하다. 본론에서는 또한 2011년 고시 미술과 교육과정과 평가방법에 대해 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2011년 고시 미술과 교육 과정은 2009년 개정 교육 과정을 부분 수정한 것으로 2014년 현재 중학교 1·2학년 학급에 적용되고 2015년부터 중학교 전 학년에 걸쳐 적용될 예정이다.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집중이수제의 도입으로 블록타임제 등을 이용한 연속수업이 가능하지만 미술이 중학교 3학년 과정동안 총 6학기가 아닌 총 2학기에 걸쳐 이수 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수업과 평가의 대상을 특정 학년에 한정하지 않았다. 교육내용의 선정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현재의 교육 상황을 고려하였다. 첫째, 2012년 6월 교육과학기술부가 중·고등학교의 체육·예술(음악/미술) 교육 강화를 통한‘바른 인성 함양’을 강조한 바 있다. 학생들의 긍정적인 인성 함양에 도움이 되는 내용을 선정하고자 했다. 둘째, 2009년 교육과정 개정에서는 암기중심 교육에서 벗어난 배려와 나눔을 실현하는 창의인재 양성을 강조한 바 있다. 배려할 줄 아는 공동체의 구성원이 되고 민주적이고 창의적인 의사결정방식에 익숙해 질 수 있도록 이를 교육내용 선정에 반영하였다. 따라서 교육과정 구성은“나”라는 주제로 중학교 미술의대영역인 표현, 체험, 감상(미술사 및 미술비평의 두 중영역으로 구성)의 세영역에서 4개의 소단원을 선정하여 재구성하였다. 선정된 교육내용의 구성은 다음의 원칙을 따랐다. 첫째, 하나의 통일된 주제아래 중학교 미술 교육과정의 세 영역인 표현, 체험, 감상이 통합적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했다. 현행 중학교 미술교과는 미술교과의 내용을 세 대영역인 표현, 체험, 감상으로 나누고 감상은 다시 두 중영역, 미술사 및 미술비평으로 분리되어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중학교 미술수업의 교과서로 선정한 (주)천재교과서의 2009년 개정 중학교 미술 교사용 지도서에도 “교과간 통합적 접근을 통하여 해당 영역(표현; 체험; 감상)을 확장할 수 있게 한다”라는 문구로 그 가능성을 열어두었으나 구체적인 방법론이나 학습지도안은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미술교과 내의 통합적 교육과정 구성의 이론적 근거로 Ⅱ장 이론적 배경의 Arthur D. Efland의 반 격자형 교육과정 모델(semi-lattice curriculum model)을 제시하였다. 미술교과 내의 통합적 교육과정의 구성은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토대로 설계된 Arts PROPEL이 제시하는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의 “전제”이기도 하다. Efland가 미술교과 내의 통합적 교육과정을 추상적으로 제시했다면 Gardner는 미술교과 내의 통합적 교육과정을 “어떻게”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론, 즉 교육과정의 틀을 제시한다. Gardner는 다중지능이론을 통하여 인간의 다양한 지능에 대해 연구한 바 있고, 예술적 역량에 대한 평가를 인지적인 영역을 통해 실시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한 바 있다. Gardner는“분명한 사실은 각각의 예술 분야마다 선호되는 교육방법이 있다는 것이다”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프로젝트 제로와 관련된 주요 사항들을 제시하면서, 일회적인 학습경험은 사라져야 하며, 예술 학습은 유의미한 프로젝트를 통해 조직되어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얻고, 토론을 하고, 성찰을 할 수 있는 상당한 시간과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다른 사람의 작품을 이질적인 맥락 안에서 소개하기 보다는 아동 자신이 관련된 예술 작품이나 문제들을 통해 대상을 소개해야 한다고 하였다. 즉, Gardner의 주장을 정리하면, 미술교과의 교수-학습은 미술 고유의 언어인 상징체계를 학습자가 습득하는 과정이 되도록 하되, 교수-학습의 주요 산출물은 창작이 되도록 하며, 그 창작에 관련하여 미술사, 미학, 미술비평 등의 교과가 맥락에 맞게 소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창작활동을 하는 예술가, 작품을 문화적인 맥락에서 분석하고 비평하고 연구하는 사람 등 예술에 몸담고 있는 사람들의 사고방식이며, Gardner는 그의저작에서 밝혔듯이, 창작활동을 하는 예술가, 예술에 몸담고 있는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학생들에게 소개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둘째, 선정된 교육내용은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Arts PROPEL에서 강조한 교육의 과정, 즉 창작, 지각, 반성의 과정으로 재구성 하였다. 학습지도안에 구체적으로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 본 연구자는 <표 8>에서 소개된 김정희의 <Arts PROPEL 프로그램에 기초한 미술 수업 절차>(김정희, 2003:174)를 참고하였다. 셋째, 학생평가를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이 제안되었다. Arts PROPEL의 사례 중 영역 프로젝트에서 적용한 속기법(shorthand)이 매 차시마다, 총 4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을 담은 프로세스폴리오(processfolio) 평가방법이 2회(중간평가 및 최종평가) 제안되었다. 뛰어난 완성품만을 담은 전통적인 포트폴리오와 구분하기 위해서 프로펠 포트폴리오, 또는 프로세스폴리오라고 불리우는 이 평가방법은 학습자의 최종 작품뿐만 아니라, 스케치, 영감을 준 자료들, 노트 등을 모두 포함하여 학습자의 인지발달 과정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총 4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은 프로세스폴리오에 모두 기록되고 중간 평가 및 최종평가를 통해 평가된다.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설계된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은 전문가와 비 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그 기대효과가 달성되었는지 평가하였다. 평가는 총4회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각 회마다 참여자는 2명씩, 총 8명과 면담을 진행하였다. 현직 중학교 미술교사로 구성된 전문가들의 자유로운 의견제시 과정을 녹취하여 전사하였다. Arts PROPEL의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상호작용과 참여를 유도하는 수업내용이므로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발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둘째, 기존의 평가체제와는 달리 과정에 대한 평가가 포함되므로 하위 그룹 학생들에게도 동기부여가 가능하다. 따라서 수업분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하위 성적 학생들의 참여와 집중을 유도할 수 있다. 셋째, 다중지능이론에 따르면 학습자가 9가지 영역 중 한 가지 영역에 뛰어나다는 사실이 다른 영역에서의 성공을 보장하지 않는다. 미술 고유의 방법으로 평가하는 Arts PROPEL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의 도입을 통해지필고사에 뛰어나지 않은 학생도 자신의 자질을 발견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 넷째, 본 연구의 Arts PROPEL 교수-학습 및 평가에서는 매 차시마다 속기 (shorthand)에 의한 평가가 이뤄지고 프로세스폴리오(processfolio)를 통해 자신의 학습과정을 돌아볼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반성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 구조화된 면담에 참여했던 전문가들은 Arts PROPEL의 평가방법을 응용한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미술교과가 교육 가치가 있는 교과로 인정받고 미술교과 운영의 당위성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미술교과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과 과정을 강조한 수행평가의 적용이 필요하다는 데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은 2009년 개정 교육과정 이래 강조되어온 창의·인성 교육과도 맥을 같이 하므로 시기적으로도 타당하다는 의견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본 연구자가 제시한 기대효과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다음과 같았다. 하위 그룹학생들에게 동기부여를 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끌어내어야하는 과정이 많다는 점에 대해서는 실제 수업환경에 적용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특히 평가 범위를 학생들과의 토론을 통해 결정한다는 점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는데 민주적인 의사결정 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에게 토론문화가 너무 생소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평가방식에 대해서는 속기법의 적용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프로세스폴리오 평가에 대해서는 학생들과 학부모들로부터 학습준비에 기대되는 시간과 비용에 따른 부정적인 반응이 예상된다는 의견이 많았다. 주입식 교육에 익숙한 학습자들의 참여도에 대해 우려하는 시각도 있었다. 본 연구자의 연구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으로 가장 많이 지적된 것은 중학교 교육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이었다.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3등급으로 바뀐 평가체제로 인해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몰입도가 다른 교과에 비해 낮기 때문에 과제의 양을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둘째, 평가 기준을 학생들과 같이 선정하는 과정 자체가 의사표현이나 민주적인 과정에 익숙하지 않은 중학생들에게 적용하기에 용이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 지적되었다. 셋째, 수업 준비를 위한 비용과 시간이 많이 지출될 경우 예상되는 학부모들의 반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가가 교육목표를 주도하는 현실에서 단편적 지식들을 측정하는 기존의 평가 제도로는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을 충분히 배양할 수 없다는 점에 대해서는 평가자들 모두가 공감하고 있었다.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의미 있는 교육, 비판적 사고력을 배양할 수 있는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Arts PROPEL의 창작, 지각, 반성의 과정에서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는 필수적이며 반성능력의 향상을 통해 학습자의 인지능력향상이 기대되는 만큼 앞으로도 Arts PROPEL을 적용한 연구는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문화소외지역 어린이를 위한 미술관교육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 아웃리치(outreach) 프로그램 <찾아가는 미술관교육>을 중심으로

        김인나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국립현대미술관 아웃리치 프로그램인 <찾아가는 미술관교육>을 중심으로 문화소외지역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미술관교육이 지닌 교육적 가치와 의미를 드러내고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미술관은 사회적 교육기관으로서 문화소외계층을 대상으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한다. 그럼에도 현재 접근성의 제약으로 인해 문화예술에의 경험과 교육으로부터 소외된 어린이들은 무수히 많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의 지원을 받아 국·공립 미술관/박물관에서는 문화소외지역 어린이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형태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지만, 실제 교육의 주체자인 어린이들과 강사의 입장에서의 실행에 참여한 경험과 평가를 다룬 연구가 미약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자는 아웃리치 프로그램의 실제적인 발전과 학문적 의미를 발견하기 위해 질적인 측면에서의 연구를 수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찾아가는 미술관교육>이 문화소외지역 어린이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교육 방법이 될 수 있는가’,‘참여 어린이들의 관심과 학습의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어떠한 교육적 의미와 가치가 있는가’,‘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가’이를 위해 프로그램의 참여자이자 연구자로서 교육현장인 문화소외지역 초등학교 교실, <찾아가는 미술관교육> 버스에서의 참여관찰, 인터뷰 등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로 집약된다. 첫째, 작품 감상과 표현의 경험은 어린이들에게 미적 체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미술관 버스와 교육재료들은 감상과 학습의 대상이 되었으며, 미술과 미술관에 대한 관심과 흥미, 만족도를 높이는 데 영향을 주었다. 둘째, 이해 및 감상, 표현활동으로 구성된 통합적 체험활동은 어린이들이 미술작품에 쉽게 접근하고 이해하는 방법이 되었다. 어린이들은 작품과 재료, 또래, 교육강사와 상호작용하며 언어가 아닌 또 다른 자기표현의 방식인 미적 행위로 감정과 생각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공감, 협동의 가치 등을 학습할 수 있었다. 셋째, 문화해독력 신장에 도움을 주는 학습경험을 제공하였다. 상대적으로 문화예술경험이 부족한 어린이들이기에 그 교육적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지역 간 미술문화와 교육격차를 해소하는 데 한걸음 나아갔다. 결과적으로 일회성 프로그램임에도 불구하고 <찾아가는 미술관교육>은 어린이들의 가치 있는 경험과 학습,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프로그램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진정한 의미에서의 문화소외지역 어린이를 위한 미술관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축약하여 제언하였다. 첫째, 일회적, 형식적 교육에 머물지 않기 위해서는 어린이들의 생활과 연계된 일상적인 주제의 삶을 위한 미술관교육이 되어야 한다. 그들이 살아가고 있는 문화 안에서 의미를 발견하고 읽어낼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 내용은 어린이 자신의 능력으로 새로운 사실을 탐구, 발견, 창조,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작품과의 상호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양적, 질적으로 확산되고 가치 있는 프로그램이 되기 위해서는 미술관과 지역사회, 학교, 학부모와의 협력을 위한 고민과 노력이 필요하다. 중요한 것은 어린 시절의 경험이며, 그 기회를 문화소외지역 어린이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미술관 전문가, 교사와 학부모, 지역단체는 협력해야 한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미술관 아웃리치 교육프로그램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Museums in Korea today provid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ose in culturally less-accessible area. Although Korean museums provide several outreach programs in order to reach the public audience, there is still limited number of such outreach programs. Moreover, only few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the nature of the programs and learning experiences of participants. As such,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outreach programs in art museums to understand how the participants in those outreach programs build their own meanings about the arts. The case of this study was Visiting Art Museum Education, an outreach program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the largest art museum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made implications for museum educators in art museums of Korea. This study adopt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order to discover the complicated nature of the museum outreach program Visiting Art Museum Education. The data of this study was collected by the researcher acting as both an active participant and an educator. The researcher observed several classes in the program, made detailed descriptions about the observations, and interviewed several participating children and educators in the program. The data were carefully analyzed, and the results findings came as: 1) Appreciation of works of art and art-making experiences in the program provide meaningful experiences to participating children: 2) Integrated experiences of understanding, appreciation, and making works of art provide them opportunities to approach and understand the complicated meanings of contemporary artworks; 3) Cultural literacy of the participants was enhanced.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suggests three implications for art museums and their educators. First,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should focus on the children's interests found in their everyday life with the long-term plan. Second, the programs should be designed for participating children to think, discover, create, and solve meanings of artworks by themselves. Finally, the program should be supported by the local neighbors such as administrators in public organizations, school teachers and administrators, and parents in order to amplify the quality and the quantity of the program. Despite several limit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outreach education programs in museums and become significant factors when art museum educators initiate and develop their outreach programs.

      • 학교벽화가 초등학생의 성격요인과 정서지능 영역에 미치는 영향

        홍경숙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Students in Korea are living in an environment where combination of various factors such as the Internet, flood of mass media, indifference in dual income households, violence and bullying in school are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reach emotional stability. Amidst such reality, schools are committed to personality and emotional education in various ways. One of such efforts is to use murals drawn on school walls to provide students positive mental and physical educational space. According to a research, “Factors which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can b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innate and environmental. Recent studies from the field of psychology view environment as the more influential of these two.” And 5 factors of personality are recommended to use together as criteria in study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se theories worth studying to determine what influence the murals on school wall exert on character element and emotional realm of students on cognitive and emotional persp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xtent of influence such murals exerted on the character ele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students. In another word, the study aims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such murals as an effective tool in emotional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 of 302 5th and 6th graders from elementary schools across Seoul and Gyeonggi area. 150 of them were from 3 schools with murals (mural group) and 152 were from 3 schools without murals (control group). The study used 5 character facto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a measuring tool and evaluated the influence of each subordinate element using average, correlation, regression, and channel analysis through SPSS ver32 program. In order to digitize and quantify abstract concept such as character and emotions, scores were assigned using research surveys and statistical analysis mentioned above.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the average value of 5 character factors between mural and control groups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average value of application ability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ur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f application ability is high, width of emotion gets enlarged and they show attitude to accept various conditions and standpoints of other people. Therefore we can expect the existence of mural can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of students and emotional education through murals can be possible. Second, as for emotional intelligence in mural group, empathy ability of female students shows higher mean value. Also empathy showed high interrelationship with character factor of trying to trusting in others, helping those who are in difficulty situation with warm heart and keeping convenient and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others, which is considered to imply correlation between empathy ability and character factor. Third, 5 character facto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based on degree of favoring murals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mostly. The higher was the interest in murals, the higher was congeniality which is the characteristic related to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penness and sincerity. Also degree of favoring murals has correlation with the ability to promote thinking in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can understand how to change its his or her own emotion to do its duty as well as empathy ability which can communicate with other’s emotion and behave according to i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school mural as public art that we can encounter in everyday life of school has close correlation with character facto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it has the possibility to be educational tool which can be utilized to bring change of person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I hope that further study is necessary which includes expanded age and region and more detailed studies about how the detailed contents of murals affect emotion of students will be followed. 현재 우리나라 학생들은 인터넷과 상업화된 매스미디어의 홍수, 맞벌이 가정에서의 무관심, 학교 성적에 대한 지나친 부담감, 학교 폭력과 집단 따돌림 등 정서적으로 안정되기 어려운 상황에서 생활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학교는 다양한 방법으로 인성교육과 정서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그 노력의 하나로 학교벽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심리적, 물리적 교육환경을 제공하기도 한다. 사람의 성격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경의 영향과 유전적 기질로 나눌 수 있으며 최근 심리학계에서는 환경이 유전적 기질보다 성격 형성에 더 큰 영향 김영봉(2007).「교육심리학」. 서현사, p.98 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다수의 학자들은 정서지능도 선천적인 요소와 함께 후천적으로 학습이나 교육, 경험, 연습 등 다양한 환경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고 보았다. 강윤선.(2007). 동시 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1학년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p.13 성격이론의 몇 가지 하위요인들이 정서지능의 개념과 유사성을 보이고 있고, 선천적 기질과 더불어 후천적 환경에 영향을 받는 두 개념 때문에 많은 학자들은 정서지능을 연구하는데 성격 5요인을 척도로 함께 활용하는 것을 권장 Wiggins, J.S., P. Trapnell, and N. Phillips,(1988.) Psychometric and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Revised Interpersonal Adjective Scales (IAS-R).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3(4): p. 517-530. 한다. 이러한 이론은 학생들의 물리적 환경이 되는 학교벽화가 인지적, 정서적 측면에서 학생들의 성격 요인과 정서의 어떤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지, 학교벽화를 통한 정서 교육이 가능한지 연구의 필요성에 바탕이 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학교벽화가 학생들의 성격요인과 정서지능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학교벽화가 정서교육의 도구로서 가치가 있는가를 가늠해 보려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로 벽화가 있는 3개 학교 150명(벽화군)과 벽화가 없는 3개 학교의 152명(대조군), 총 302명이다. 연구방법은 성격 5요인과 정서지능을 측정 도구로 하여 각 하위요인들의 영향력 관계를 SPSS ver.32 프로그램으로 평균, 분산, 상관분석을 하여 확인하였다. 성격, 정서 등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 크기로 수치화, 계량화하기 위해서 각각의 연구용 설문항을 이용하여 점수를 부여하고, 위의 통계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분산분석 결과 벽화군과 대조군 사이에 성격 5요인의 평균값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벽화군에서 정서지식의 활용능력 평균값이 의미 있게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정서지식 활용능력이 높으면 감정의 폭이 넓어져서 타인의 다양한 상황과 입장을 받아들이려는 태도를 취하게 된다. 이것은 학교벽화가 교육도구로서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둘째, 벽화군 내에서 남녀 정서지능은 여학생의 감정이입 능력이 더 높은 평균 수치를 보였다. 또 감정이입은 타인을 신뢰하고, 따뜻한 마음으로 주위에 어려운 이들을 돕고, 타인과 편안하고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려는 성격요인의 친화성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는데, 이것은 성격요인에 따른 공감능력의 연관성을 암시하는 것이라 추정된다. 셋째, 벽화선호도에 따른 성격 5요인과 정서지능은 대부분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벽화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신경증인 불안, 적대적 분노, 우울감이 낮았다. 또한 벽화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원만한 대인관계와 관련된 성격 특성인 친화성이 높았고, 개방성, 성실성과도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벽화선호도는 해야 할 일을 위해 자신의 감정을 바꿀 줄 아는 정서지능의 사고촉진 능력과 다른 사람의 감정과 의사소통하고 행동하는 감정이입 능력과도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들이 학교에서 일상적으로 만날 수 있는 공공미술로서의 학교벽화가 학생들의 성격요인, 정서지능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으며, 긍정적 인성변화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정서지능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교육 도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향후 연구대상의 학령과 지역이 더 확대된 추가연구가 필요하고, 벽화의 구체적인 내용에 따라 학생들의 정서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연구가 이어지길 제언한다.

      • 우리나라 만화·애니메이션 교육현황 연구

        장경아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9663

        한 나라의 가치관 사고방식, 생활 양식 등 문화요소를 바탕으로 하는 문화산업의 육성은 국가의 문화적 정체성을 확보하는데 절대적으로 중요한 수단으로 부각되어 최근 들어 많은 국가들이 이를 국가의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1990년대 이후 세계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문화산업은 우리나라에서도 정부 및 각 기관과 단체를 비롯한 각종 교육기관에서 지대한 관심을 갖는 분야로 변모하기에 이르렀다. 더불어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과 확산은 영상산업에 대한 가치를 부가시켰으며, 특히 만화·애니메이션은 현 시대정서에 부합되는 영상 이미지, 넓은 산업 영향력, 뉴 미디어의 기술발전과 이에 적합한 체적 강점, 강한 문화 침투력 등의 특성을 지닌 매체로 인식되어 문화산업의 주목받는 한 분야로 대두되면서 그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만화·애니메이션에 대한 사회적 붐 현상과 뉴 미디어 확산, 대중문화의 발달, 청소년의 대중문화 주도 등의 사회·문화적 요인은 정부의 문화육성 지원정책과 맞물려 관련업체의 활성화와 수많은 교육기관 설립으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급속한 팽창을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 만화·애니메이션 관련 교육기관의 현황파악에 목적을 둔 연구로, 이의 선행연구로 만화·애니메이션의 개념 및 특성, 이와 관련한 우리나라 문화산업 현황, 정부의 문화산업 육성지원정책의 내용 등을 고찰하여 이론적 배경을 수립하였다. 여기에서 만화·애니메이션에 대한 논의는 대중문화의 범주에 포함되는 대중 체로서의 만화·애니메이션이 지닌 사회·문화적 유용성에 범위를 한정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이 되는 우리나라 만화·애니메이션 교육 현황조사에서는 만화·애니메이션 교육기관의 발달과정과 현 우리나라 4년제·2년제 대학, 사회 교육기관 및 학원에 설치되어 있는 만화·애니메이션 관련학과들을 면밀히 조사하고 교육과정 및 주요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우리나라의 공식 교육기관에 만화·애니메이션 관련학과가 처음 나타난 것은 1990년도에 공주문화대학 만화예술과가 처음 개설되면서부터였으며, 이를 기점으로 1996년에는 총 9개의 학과가, 2000년 현 4년제 대학교와 2년제 대학에는 총 50여 개가 넘는 관련 학과가 개설되어 있다. 중등교육에서의 만화·애니메이션 교육현황 조사에서는, 주요 관련교과인 제6·7차 교육과정의 미술교과서를 분석하고 정규 교육과정에 만화·애니메이션 관련단원이 등장한 과정과 수록내용 조사를 통해 인식 전환의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실업계 고등학교의 만화·애니메이션 관련학과가 개설된 배경과 설치현황을 조사 하였다. 제6차 교육과정의 미술교과서에 처음 만화관련 단원이 극히 일부에서 수록된 이후, 제7차 교육과정의 중1 미술교과서에는 총 6종 중 5개교과서에 정식 단원명으로 관련 내용이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업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 고등학교에는 2000년도 현 총 11개 학교에 7학과의 만화·애니메이션 관련 학과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과정 및 결과를 통해 본 한국 만화·애니메이션 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전문성 결여를 들 수 있다. 이는 대학 및 사회교육기관, 고등학교 등에 공통 적인 문제로서 철저한 사전 준비 없이 인기학과에 편승한 단기간의 계획에 의해 학과를 설치된 데서 오는 문제로 볼 수 있으며, 만화학과와 애니메이션학과에 뒤섞여 공통으로 개설되어 있는 교과목들은 정형화되지 않은 교육과정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어,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화된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검증되지 않은 교수진과 실 제작과의 거리를 보여주는 뒤떨어진 기자재 등 열악한 교육현장은 이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이 절실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한 만화·애니메이션 교육에 대한 제안점은 크게 두 가지로, (1)만화·애니메이션에 대한 산업적 측면에 관한 심층적이고 원론적인 연구의 필요성 (2)창작력 확보를 위한 전문인력개발 못지 않게 문화교육적 측면에서의 만화·애니메이션에 대한 연구와 교육방안연구에 대한 심층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cultivation of cultural industry based on a nation's value system, ways of thinking and patterns of life is highlighted as an absolutely important vehicle for the security of a nation's cultural identity, Nowadays many countries are supporting it as a national strategic industry. The cultural industry, which has attracted interest from the world at large since the 1990s, has been changed into a sector to which the government,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many kinds of groups in Korea pay much importance. Furthermore, interests in popular culture and its distribution add value to the image industry.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especially to cartoons and animations, for they are recognized as media possessed of images in line with the sensitivity of this age, wide influential power in the industry, strong points fitting for technical development of new media and intense culture-penetrating power. Such a social boom in the field of cartoons and animations and such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s the wide spread of new media, the development of popular culture, the leading role of juveniles in popular culture result in the activation of relevant companies and the establishment of a number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gear with the culture-cultivating policies of the government. This study is designed to grasp the present condi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related to fast-growing cartoons and animations in Korea. For the precedent researches, I look into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artoons and animations,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Korean cultural industry and the contents of the culture-cultivating policies of the government, etc. The discussion of cartoons and anima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social and cultural usefulness of cartoons and animations as mass media included in the categories of popular culture. In terms of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cartoons and animations, I make a close research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relevant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related departments of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social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making an analysis of their curriculum and contents.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it was in the year 1999 when Kongju National Culture College first opened the department of cartoon art that a cartoon & animation-related department came into existence in Korean public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in 1996, the number came to a total of 9 departments. Now the number reaches a total of over 50 department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relation to the current situation of cartoons and animations in the secondary education, I make an analysis of the textbooks of fine art in the 6th and 7th curriculum, taking a look at changes in recognition through a research into the process and contents of cartoon & animation-related units making an appearance in the regular curriculum. And I also examine the background of opening cartoons & animation-related department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ir establishment in technical high schools. The cartoon-related units were first and excessively partly printed in the fine-art textbooks of the 6th curriculum. But in the 7th curriculum, five out of six fine-art textbooks in the first-grade of middle school, deal with cartoons and animations as official units. This frequency is expected to be on the increase. The survey shows that seven cartoon & animation-related departments are currently established in a total of 11 technical high schools in the year 2000. One of the greatest problems with cartoon & animation education in Korea is lack of professionalism. This is ascribable to the fact that relevant departments have been established in a short period without thorough preparations, taking advantage of their popularity. This is common in high schools, colleges and so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curriculum of cartoon & animation is lacking in standardization, which implies that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work on mor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curriculum. Lack of proper instruments, distant from the practical manufacture of the relevant field, and faculty members whose talents are yet to be verified show all signs of reform. I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two suggestions in re1etion to cartoon & animation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hat in-depth and principle-based researches should be made in relation to the industrial aspects of cartoons and animations. Second, it is necessary that professional manpower should be cultivated with a view to securing creativity and that researches on cartoons and animations and on its educational measures should be made in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aspects.

      • ARCS동기전략을 적용한 E-Learning Activities 학습설계 : 대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김선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우리나라에 이러닝(e-learning)이 보편화되면서 우리의 삶의 방향도 변하고 있다. 정보통신의 발달은 급격한 사회의 변화를 준다. 날이 갈수록 변화되는 삶 속에서 새로운 방식의 교육매체를 접하게 된다. 그에 따른 학습자들의 학습방향, 학습방법이 시공간을 뛰어 넘게 된다. 현재 이러닝은 초중고 학교, 대학, 기업, 평생교육을 위한 사이버대학 모든 곳에서 이뤄지고 있다. 이러닝이 보급되어 사용한지도 2000년을 기점으로 하여 12년이 흘렀으며 이러닝의 정의와 발달과정에 대해서 알아보며 계속적으로 이러닝 교육시스템의 미래 방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용되어지는 이러닝의 현 실태 조사를 먼저 연구해보고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이러닝 교육을 비교분석 해보았다. 그래서 현재 시행되어지는 이러닝이 학습자들에게 유용하고 적합성에 맞게 사용되어지는지 알아보았다. 연구조사를 통하여 이러닝 교육시스템 설계과정에서 교육적 이론인 Keller의 ARCS를 적용해보았다. 교육이론인 ARCS모델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나아갈 방향을 연구해보았다. ARCS 동기전략 (Keller,1999) 이론은 주의력(Attention), 관련성(Relevance), 자신감(Confidence), 만족감(Satisfaction)을 통하여 주의력을 높이기 위한 이러닝 설계 방법, 관련성을 높이기 위한 이러닝 설계 방법, 자신감을 높이기 위한 이러닝 설계 방법, 만족감을 높이기 위한 이러닝 설계 방법들을 연구해 보았다. 그에 따른 ARCS 동기전략의 효과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동기전략이론을 바탕으로 활동적인 측면을 강조시켜 사이버상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의 공간을 뛰어넘어 E-Learning Activities를 적용해 보았다. 단순히 일방적인 학습을 멀리하고 집중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창의성과 상호작용 학습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반적으로 이러닝 학습의 동기를 강조시킨다음 학습의 의욕도를 높여주고 창의적인 협동 활동을 통하여 학습의 완성도를 높여주는 방법을 연구해 보았다. As E-Learning becomes more common in Korea, learning patterns of korean students are also changing. Technological advances lead to rapid changes in the society, and as days go by, new types of educational media emerge due to the changed lifestyle. As a result, directions of education for learners and educational methods are observed to go beyond time and space. As a new learning tool, E-Learning is currently practiced 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universities, corporations, and all cyber universities for lifelong education. E-Learning became available and has been in use since 2000. This paper will first discuss the definition of E-Learning and its development in the past 12 years. It will also examine the future direction of E-Learning education system. A surve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current E-Learning environment in Korea. This way, effectiveness and appropriateness of E-Learning method to learners were studied. With research results, Keller's ARCS Model was applied in the designing process of E-Learning system, to devise more specific future directions of this emerging education. The ARCS Model of Motivational Design, an educational theory developed by John M. Keller, states that one's motivation can be explained by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model, the research was expanded to develop E-Learning designing methods that increase each of the four factors and examine possible effects of the ARCS Motivational Design on E-Learning. Finally, some feasible E-Learning activities were devised, applying the active side of Motivational Design Model. These activities focus mainly on creativity and interactions rather than the simple, conventional leaning methods. Overall,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emphasizes the learner's motivation in E-Learning, increases his desire to learn, and finally maximizes educational achievement by creative and cooperative E-Learning activities.

      •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예비 미술교사들의 삶에 관한 연구

        박진영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is done to describe the existential lives of prospective art teachers dedicated with their modest ways only to become a teacher even in the keen competition. Thus, four candidates hav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ith the ethnography method. ‘The Lives of Prospective Art Teachers’ has been produced by the preparatory survey, filling in questionnaires, in-depth interview and the participant observation on their daily lives. First, those prospective art teachers were suffering from the ‘loneliness’ while they were preparing for the teacher’s certification examination in their repressed daily lives. In hopes of finding success through becoming a teacher, they have simply isolated themselves from the society and were struggling to continue their solitary lifestyle. Despite their lonesome struggle, they ironically preferred to seclude themselves behind the wall and maintained relationships only with a limited number of people. Also, in fear of failure and rejection, they regarded their isolation as their comfort. Also, the prospective of the art teacher’s certification examination involved an excessive amount of economical burden such as institution fee, food expenses, reading room cost and so on. This financial burden placed a heavy weight on the candidates not only during the preparation period but extended into the future as well. Moreover, the accumulated stress factors placed an even more serious pressure on candidates to pass the examination. This psychological pressure often caused stress disorders such as circular stress alopecia, metabolic disorder and so on. Lastly, the candidates expressed their desperation of not being able to give up their hope of becoming a teacher in spite of the highly limited window of opportunities. Also, it certainly is not easy for them to choose another type of career path after having so much of their time and effort spent on preparing for this examination, and they have been so focused on one path that they find themselves inexperienced and hopeless to other career choices. For these reasons, even after so many failures to pass this exam, they simply could not give up, hoping that ‘just a little more effort and time’ will shine their future one day. It was such an opportunity to observe and possibly comprehend what our prospective art teachers experience in their desperate and unfortunate circumstances. Despite their gloomy reality for not being able to move forward in their lives, one could easily find passion and hope they refuse to let go. Their circumstances in reality were much worse than what was expected. The nature of the art teacher’s certification examination simply limited candidates to memorizing ability instead of applicable skills that can be useful in actual field of education. The reality was that they needed the help of private institution for preparing this kind of test and the graduate program has been degenerated only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the certification. Furthermore, it was not easy for them to turn around their career path once they decide to finally give up, simply because of lack of experience and exposure to other fields since they had been so focused on one thing and only. It also seemed quiet difficult for them to start everything again from the ground in the new field as they have already spent several years being disconnected from the society while preparing for the teacher’s certification test. Furthermore, the fixed negative views on education system in our society has made it even more challenging to move forward with applicable and more creative solutions to suggested issues. Stereotypes and prejudice are another topic those prospective art teachers will have to overcome within our society. 이 연구는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오직 미술교사가 되고자 묵묵히 자신의 길을 가고 있는 예비 미술교사들의 실존적 삶에 대한 연구이다. 또한 이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기 위하여, 총 4명의 예비 미술교사들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예비 미술교사들에 대한 사전조사와 질문지작성, 심층면담과 일상생활의 참여관찰을 통해 드러난&#985168;임용고시를 준비하는 예비 미술교사들의 삶&#985169;은 다음과 같이 드러났다. 첫째,&#985168;유보된 삶&#985169;에서 예비 미술교사들은 임용고시를 준비하면서 단절된 인간관계로 인해 깊은 외로움을 느끼고 있었고 그들 스스로가 외부와의 벽을 쌓고 생활하고 있었다. 또한 결과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한정된 사람들과만 무리를 지어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새로운 인간관계는 더더욱 쉽게 맺지 않으려 하였다. 또한 그들에게 있어&#985168;노량진&#985169;이라는 공간이 임용시험을 준비하기 위한 최선의 장소임과 동시에 실패와 좌절이 존재하는 애증의 장소이며, 그들만의 문화가 존재하는 공간임을 보여주기도 한다. 둘째,&#985168;치러야 하는 과중한 대가&#985169;에서는 예비 미술교사들이&#985168;학원비, 식비, 독서실비&#985169;등의 임용준비를 위한 목적의 과도한 경제적 부담을 지고 있음이 드러나 있다. 이러한 경제적 짐은 현재 마땅한 경제력이 없어 이를 뒷받침 해줘야할 가족들에게는 부담스러운 과정이 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시험 준비 기간 뿐 만이 아닌, 그 이후의 삶에도 그들의 발목을 잡는 족쇄가 되고 있었다. 셋째,&#985168;과중한 스트레스&#985169;에서는 예비 미술교사들의 이 같은 이중, 삼중의 과도한 부담감이 임용고시에 꼭 합격해야만 한다는 압박감으로 작용해 심한 스트레스로 이어지고 있음이 드러난다. 이로 인해 예비 미술교사들의 대부분이 스트레스성 질환인 원형탈모, 신경성 위염 등의 질병을 지니고 있었다. 넷째,&#985168;희망, 놓지 못하는 끈&#985169;에서 예비 미술교사들은 높은 임용경쟁률에 비해 교사임용 인원의 제한으로, 극히 일부 소수에게만 합격의 기회가 주어질 수밖에는 없는 현실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길을 포기하는 것 또한 쉽지 않다고 했다.&nbsp;그 이유는 취업의 기회가 많지 않아 다른 대안이 없으며, 또한 오랜 준비기간을 임용고시에만 매달린 다음에는 오히려 사회에서의 또 다른 취업의 기회로부터 멀어져&nbsp;버렸기 때문이었다.&nbsp;그러기에 여러 번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이들은&#985168;조금만 더…'라는 희망의 끈을 차마 놓지 못하고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모든 것을 쏟아 부어 꿈을 향해 가고 있는 예비 미술교사들의 삶을 더욱 자세히 살펴보고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985168;임용고시를 준비하는 예비 미술교사들의 삶에 관한 연구&#985169;를 통해 본 그들의 삶의 모습에서는 슬픔과 좌절 그리고 열정과 희망이 함께 드러났다. 그들은 연구자가 막연히 상상하던 것보다 더욱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었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임용고시가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육적 능력을 평가하기보다는 단순한 암기 위주의 시험으로 한계성을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임용고시를 준비하기 위해서 사교육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현실과 그저 자격증을 따기 위한 목적으로 전락한 교육대학원 과정에 대한 내용도 드러났다. 또한 임용을 준비하다 포기하게 된 경우 사회에서 그들을 받아 줄 곳이 전혀 없었는데 교육 분야만을 오랫동안 공부하였기에 그들이 들어갈 적합한 회사를 찾기도 힘든 실정이었는데 더군다나 사회와 단절된 채 수년간을 보낸 예비 미술교사들이 다른 분야의 취업을 위해 또다시 새롭게 무언가를 준비를 해야 한다는 것도 막막한 부분이었다. 게다가 이미 굳어져버린 사회 문제들도 교육환경을 어렵고 더디게 만드는 문제들로 미래의 창의적인 교육과는 거리가 먼 교육 시스템과 고정관념, 편견 등은 그들이 사회에 나가서 싸워내야 할 또 다른 문제들로 드러났다.

      • 기업 e-Learning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조성원 (趙聲元)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e-Learning은 기업 내 재직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중요한 교육훈련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e-Business)에 따라 기업교육도 기업과 재직 근로자의 특성을 고려한 e-Learning의 활성화와 질 제고가 이 분야의 주요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e-Learning은 기업들이 기존에 추진해 오던 인력 개발 방법에 비해 새로운 분야이며, 이를 기획·운영하기 위해서는 종사 인력에 대한 보다 전문화된 교육훈련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국내 e-Learning 시장 규모는 전반적으로 확대일로에 있으며, 사교육 시장과 기업 e-Learning을 중심으로 성장해 왔고, 이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평생교육차원에서 그 범위가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e-Learning은 새롭게 주목받는 교육산업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종사 인력의 규모 증대 및 직종의 전문화, 세분화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e-Learning에 대하여 ‘매체’ 중심에서 ‘학습’ 관점으로 인식과 체제의 전환이 강조됨에 따라 e-Learning의 질적 향상과 활성화를 위한 인적 자원(human-ware) 요소의 전문성이 무엇보다도 중요시되고 있다. 현재 기업 e-Learning 인력들은 전반적으로 관리 측면에서 직무를 수행하고 있을 뿐 학습의 운영적 관점에서의 전문성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기업 e-Learning에 대하여 인적자원, 과정개발·운영, 시설·시스템, 문화·제도적 요소를 중심으로 구체적이며 실제적인 실천 전략을 제시하였다. 또, 여러 분야에 걸쳐 e-Learning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으나 정작 이를 체계적으로 설계, 개발, 운영, 관리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정규대학 및 대학원에서 e-Learning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곳도 부족하고 전문가 양성기관도 적어 e-Learning 발전을 위한 인적 인프라는 매우 빈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기업 e-Learning 인력들이 전문적인 직무수행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향상 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더욱 중요할 뿐만 아니라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전문화된 기업 e-Learning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관련 분야 인력에 대한 명확한 직무분석에 근거하여 체계적으로 인력을 양성하고 공급받을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웹이 기업의 다양한 경영활동에 도입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웹을 기반으로한 온라인 교육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더불어 가상교육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네트웍화의 가속화에 기업내 원격교육 활성화의 당위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가상교육을 적용하는 연구가 많지 않고, 효과적인 활용방안의 제시도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기반시대의 기업 내 인적자원 육성을 위한 중요한 방법론으로서 e-Learning의 현주소와 가능성을 실제적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하며, 아울러, e-Learning을 기업의 업무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실천 전략들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Lately, e-learning is taking root as a vital means of education and training to improve the job performance of company employees. To keep up with a new management paradigm called e-business, boosting e-learning and its quality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and workers is emerging as one of major matters of concern in corporate educating sector. Given existing practices of human-resources development, e-learning is a brand-new, up-to-date educational method, and successful e-learning calls for well-trained professional personnels. The domestic e-learning market is generally on the rise. Its growth is indebted to the development of private education and of corporate e-learning, and its scope is rapidly being enlarged as a way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in general. So e-learning gets widespread as a new educational industry that comes into spotlight, and it's needed to increase personnels who are engaged in it and to step up the segmentation of specialized types of relevant occupations. Now it's emphasized that the focus of e-learning should shift from media to learning. To keep up with the trend, the professionalism of human-ware that could serve to boost e-learning and its quality gains in importance. Currently, corporate e-learning personnels just perform management-related duties, and they can hardly be called experts in learning. Therefore, it's attempted in this study to present specific and practical strategies about nurturing required human resources, working on corporate e-learning process, building necessary facilities and equipment and creating a good e-learning culture and institutions. Although e-learning is spreading rapidly in various fields, specialists who can be responsible for its planning, development and management are in extremely short supply. Not many colleges, graduate schools and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nurture e-learning experts, which ends up failing to lay the solid human infrastructure for this sector. Accordingly, what matters more is providing education for existing corporate e-learning workers to foster their professional abilities. And excellent personnels should be trained and supplied after making a thorough job analysis. As the Web has been introduced to business management in diverse manners, many companies are setting up a web-assisted online education system, and studies of various approaches are under way in association with cybereducation. Such a rapid development of the online network justifies the oughtness of internal distance education, but few studies have ever tried to apply cybereducation or to suggest how to take advantage of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state and possibilities of e-learning as one of crucial methods to produce superb human-ware to stay abreast with knowledge-based society, and to present practical strategies to ensure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corporate e-learning.

      • 初等學校 學生의 發達 段階別 進路 認識에 관한 硏究

        박완서 弘益大學校 敎育經營管理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발달 단계에 따라 초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인식 수준에 관한 경향을 성별, 부모 학력 정도별, 발달 단계별로 어떤 유의한 차가 있는가를 조사 분석하여 초등학교 진로 교육의 효율적인 지도 방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학생의 자아 인식과 직업에 대한 가치관은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학생의 일과 직업의 세계에 대한 관심도는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교 학생들의 진로 교육에 대한 인식은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이론적 기저를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 교육 개발원에서 개발한 질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경기도 서부지역 소재의 6개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 600명을 임의로 표집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처리하였으며, 응답된 각 문항의 결과는 응답자의 사례 수에 따라 백분율로 산출하고,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조사 대상자의 배경 변인에 따라 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분석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아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면 자신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정도에서 4학년 여학생이, 그리고 부모의 학력이 낮은 학생이, 또 대도시 학생보다는 중소도시 학생이 자신을 매우 소중하다고 나타냈으며 자신의 능력 수준과 관련해서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한 두 가지 이상의 소질이나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긍정적인 생각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일부 학생들은 자기 자신에 대하여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에게는 자신감을 고취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자신의 능력과 소질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는 정도에서는 거의 모든 학생들이 자신의 소질과 능력을 잘 알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자신의 소질을 가꾸면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생각에서는 과반수 이상의 학생들이 많이 발전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어 꾸준한 자기 소질 계발의 필요성을 인식 시켜주고 있다. 그리고 자신의 능력에 대한 생각의 정도에서 부모 학력이 높을수록, 농촌지역보다는 대도시에 거주하는 학생들이 더 잘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초등 학생의 직업에 대한 가치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직업을 갖는 가장 중요한 이유에 대한 생각에서 돈을 번다는 이유보다는 보람과 기쁨을 얻을 수 있어 좋다는 생각을 대부분의 학생들이 하고 있어 학생들의 건전한 정신을 볼 수 있었으며, 직업의 귀천에 대한 생각을 분석한 결과 아직도 많은 학생들이 직업에 귀천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어 초등 학교 때부터서 직업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해주고 있으며 장래 직업에 대한 생각의 정도에서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장래 자신의 직업에 대하여 생각하고 있다고 하였으나 아직도 장래 자신의 장래 직업에 대하여 생각을 거의 안하고 있는 학생들이 있어 진로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그리고 장차 자신이 살아가는 방법에 대한 생각으로는 장래의 삶을 유명한 사람이 되고 편하게 살기를 바라고 있으며 좋은 직업에 대한 생각으로는 돈보다는 자신의 능력과 소질을 발휘할 수 있는 직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 학생의 직업의 인식과 선택에서 미래의 좋은 직업에 생각을 항목별로 살펴보면 정보화 사회의 흐름을 반영하듯 남학생들은 첨단 산업직을 여학생들은 전문 기술직을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을 잘 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여학생은 소질과 적성을 남학생은 좋은 기술을 소유해야 된다고 하였다. 장래 진로를 결정하는데 애로점에 대한 생각으로는 부모학력이 낮고 농촌지역의 학생들이 진로 정보를 모른다고 응답을 하였으며 진로 선택시 부모님과 의견이 다를 때에는 4학년보다는 6학년이,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자신의 생각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하였다. 부모님의 직업을 이어받는 것에 대한 생각을 분석해 본 결과 4학년 학생들이 6학년 학생들보다 더 많이 꼭 이어받고 싶다고 하였으며 특히 농촌 학생들은 부모 직업을 이어받는 것을 원치 않고 중소도시 학생들은 이어 받기를 바라는 학생들이 다소 많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부모님의 직업에 대한 생각에서 부모 학력이 높을 수록 매우 좋다고 하였으며 부모님의 학력이 낮을수록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넷째, 학생들의 진로 교육에 대한 인식을 변인별로 살펴보면 대부분의 학생들이 부모님과 의논을 했다고 하였으며 많은 학생들이 학교 공부가 장래의 직업 선택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어 학교 공부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또한 좋은 직업을 얻기 위해서는 대학교 이상의 학교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상급 학교 진학의 이유도 자기 적성에 맞는 직업을 갖기 위해서라고 응답하였고 학교에서의 진로 교육도 좋은 직장을 얻기 위해서라고 하였다. 따라서 알맞은 진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모든 학생들의 자아 인식 능력이 길러지도록 교육적인 배려가 필요하다. 아울러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특기 적성 교육을 더욱더 활성화하여 자신의 진로를 생각할 수 있는 많은 기회를 제공하여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uch the career awareness of elementary students significantly differed from one another by gender, parent academic standard and developmental stage in a bid to be of use for more efficient career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First, what difference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tudents make to their values of occupation? Second, what difference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tudents make to their opinion of work and vocational world? Third, what difference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tudents make to their opinion on career education? To address the above-mentioned questions, the literature and earlier studies concerned were reviewed to build a theoretical Sound. The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s questionnaire was modified based on the prepared theoretical groun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0 randomly selected middle and higher graders from six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the southern Gyeonggi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gram. The percentage was calculated for each item, and Chi-square test was implemented to see whether any inter-group differences arose from their background variables.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self-awareness of the elementary students, those who were girl students ill their fourth year, had less-educated parents, or from small urban area, considered themselves more precious. Concerning their own ability, most of them had a positive idea that they had one or more skill(s). But some had a negative view of their own, who called for confidence-encouraging programs. Almost all of them believed they were well aware of their own skills or ability, And the majority of them were of the opinion that their talents would make a lot of development if they try to do, and this fact indicated there was d need to induce them to n-lake sustained self-development efforts, Those who had higher-educated parents, or from large urban area, than from rural community, showed higher confidence that they could do better. Second, concerning their occupational values, most of the students found that the best thing about having a job is not money but that it would make them delightful and feel their lives worth living. This fact implied that they had a sound mind. As a result of looking over their view of job, many of them didn't yet believe all legitimate trades are equally honorable, which signified it's needed to provide vocational education from elementary school, Regarding future job, most of them thought of their own future occupation, but some had little idea about their own future. This fact indicated that career education was called for, As for how they live their lives in the future, they wanted to be famous and lead a comfortable life. And the kind of occupation that they could display their own ability was preferred as a good job. Third, regarding the recommendable futuristic type of occupational, the boy students favored cutting-edge industrial posts, and the girls preferred professional technicians as if they were well aware that it's now post-industrial society, The girl students pointed out appropriate ability did aptitude as what's most needed for successful work, and the boys stressed excellent technology, The pool parent academic standard was regarded as giving them trouble in determining future career, and the students from the rural community were not well-informed about career. In case their parents have a different opinion from their own, the six graders and girl students considered their own opinion more important, compared to the fourth graders and boy students. Concerning all inheritance of their parents' job, the fourth graders wanted to follow their parent's job more than the sixth graders. But the students from the rural area didn't want to do that, but many of the students from the small urban area liked to do so. About the job of parents, those who had better-educated parents had a higher opinion on their job, but the Student’s whose parents were less-educated had a lower opinion on the job of their parents. fourth, as to their view of career education, most of them had ever discussed with their parents, and many thought that learning at school would be helpful for career choice, stressing the need for school learning, To get a good job, they believed they should take university or higher education, and they planed to so to school of higher grade to find a job that fits their aptitude. It's also believed that career education by·school aimed at having their get a good job.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career-education progams should be prepared to develop the self-awareness of every student. Besides, special talent aptitude education should be reinforced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them to think of their own care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