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건축도시박물관의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 분석에 관한 연구

        최동광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research is worth studying on providing direction to build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through study about analyzing the programs and space composition of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where effectively collects, exhibits, and stores displays, model, and images showing the transition process of architecture and city and data and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creative process of architects. It has been a recent trend for architecture museum and architecture materials exhibition which have been widely constructed about between 20 and 30 years ago to be expanded more and more. And, reasons why the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is recently needed can be founded in the expansion of the material and social needs. It is considered that literature on architecture currently distributed and stored according to several management authorities should be managed as one, especially, it is urgently required for each management authority to be linked with services sector related to digital. Architecture is widely regarded as one of important fields representing the history and culture of a city. All countries of the world has been collecting and managing the data on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cultural grounds of their own architecture and city filed and operating and utilizing the museum highlighted with the exhibits and education programs as a base for the conservation and spread of their own architectural culture. In Korea, cultural understanding in comparison with the share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he gross domestic product (GDP) is relatively low. Whether or not there is the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led and supported by a country and its operation as effective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 are a major factor in the balance of national cultural industries when thinking about a past history of culture advanced countries. So,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core organization to improve the national culture level, at the same time, and accumulate and manage competitiveness on the basis of Korea’s potential energy in architecture are new periodic subject. This study is scheduled to proceed analyzing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yearbook and literature, web research, and etc with looking at the situation of domestic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and its similar facilities through the preceding paper and limiting the data to be appropriate cases for the size and facilities of the related facilities. Also, it also intended to set standards for the practical planning and design in architecture and present the basic data through the average data by drawing statistics for space requirements, area, and etc per each facility and calculating the percentage by understanding the program in the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and analyzing the space composition on the basis of information obtained after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in foreign countries and its relevant facilities. First, as an effective lifetime educational institution possessed by the Museum of Architectural City Museums, we will balance the national cultural industry, so we will accumulate competitiveness based on Japan's architectural bottom powers, manage it, and build a citizen's architectureAnd establish and operate an important mechanism that can enhance the cultural level of the urban field. Secondly,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architectural city museum, it is necessary to go beyond simply exhibiting architecture and urban themes, and if it is appropriate for a variety of users and educational programs and research programs There is also a need for a building and urban museum in which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restoration program and a collec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collected relics. Third, the exhibition area (20% to 30%), the long area (15% to 25%), the research and education area (10% to 20%) The management area (5% to 15%), the service area (5% to 15%) and the public area (5% to 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and to draw up problems and to make a rational proposal on the program and spatial composition by looking at the program and space composition of the architecture and urbanism museum and related facilities. We will make this study to present a program for effective and rational spatial manipulation through reconstruction of these spatial configurations when planning a new installation. 이 연구는 건축과 도시의 변천과정을 체감하게 할 수 있는 전시물품, 모형, 유물 및 영상물 그리고 건축가의 창작과정에서 생성되는 자료 및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 수장, 전시할 수 있는 건축도시박물관의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 분석에 관련된 연구를 통해 건축도시박물관 건립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건축박물관 또는 건축전시관이 선진국인 OECD국가에서는 벌써 20∼30년 전부터 활발하게 건립하고 있으며 또한 확장되는 것이 추세로 보인다. 최근 들어 건축도시박물관이 필요하게 된 데에는 그 자료들의 팽창과 사회적 수요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현재 한국에서는 건축에 관한 문헌이 여러 관리 주체에 따라 분산하여 보관되어 통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특히 디지털 관련 서비스 분야에서는 각 관리주체에서 향후 링크가 절실히 필요할 것 이라고 사료된다. 건축은 흔히 한도시의 문화와 역사를 가장 잘 반영해 주는 분야로 널리 인지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본국의 건축 및 도시 분야의 문화 및 기술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축 및 도시 분야 자료의 수집 및 관리가 이루어지며,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이 강조된 박물관을 운영하면서 자국의 건축문화를 보존하고 확산을 위한 거점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국내 총 생산량에서의 건설 산업이 차지하는 점유율에 비해 문화적인 이해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문화 선진국의 지나온 역사를 관찰해 볼 때 국가가 선도하고 지원하는 건축도시박물관의 보유여부와 효과적인 평생교육기관의 운영은 국가 문화산업균형을 이루는 주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건축 및 도시적 저력을 기반으로 경쟁력을 높이 하고 관리하는 동시에 국민적 문화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핵심적인 기구를 설립하고, 운영해야 한다는 점은 새로운 시대적 과제이기도 하다. 조사방법으로는 선행논문을 통해 국내 건축도시박물관 및 유사 시설의 현황을 살펴보고, 건축도시박물관 및 관련시설의 규모와 시설이 적합한 사례로 제한하고 문헌조사, 연감조사 및 웹 조사 등을 통해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해외 건축도시박물과 및 관련시설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한 기초로 건축도시박물관의 프로그램과 공간구성을 분석하여 각 시설별 면적, 소요 공간 등을 통계하여 도출하고 그 면적비율을 산출하여 평균적 데이터를 통해 실질적인 건축계획 및 설계안을 계획하였으며 분석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건축도시박물관을 보유하여 효과적인 평생 교육기관으로 운영하며 국가 문화 산업의 균형을 이루고 따라서 우리나라의 건축저력을 기반으로 경쟁력을 축적하고, 관리하여 국민의 건축 및 도시 분야의 문화수준을 높일수 있는 핵심기구를 설립하고, 운영해야 한다. 둘째, 건축도시박물관의 공간구성에 있어 단순히 건축 및 도시의 주제로 전시만 하는 것을 벗어나 다양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각자에 맞는 교육프로그램 혹은 연구프로그램으로 대응해야 하며 또한 수집된 유물에 맞은 복원프로그램 및 수장 프로그램을 수행해야 할 역할이 필요한 건축도시박물관의 필요성이 있다. 셋째, 건축도시박물관의 공간구성비에 있어 전시영역은 (20% ~ 30%), 수장영역은 (15% ~ 25%), 연구 및 교육영역은 (10% ~ 20%), 운영 및 관리영역은 (5% ~ 15%), 서비스영역은 (5% ~ 15%), 공공영역은 (5% ~ 15%)로 제안한다. 본 연구는 해외 건축도시박물관 및 관련시설의 프로그램과 공간구성을 이해하고 국내의 현황을 파악한 후 문제점을 도출하여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에 있어서 합리적인 제안을 하고자 한다. 서울건축도시박물관의 신설계획을 할 경우 이러한 프로그램의 추가와 공간구성의 재구성을 통하여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공간운영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미를 두고자 한다.

      • 상황주의자 인터내셔널의 일원화 도시계획과 렘 콜하스 건축도시계획과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송선화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influences of the radical theory of city shown in theories and projects of Situationist International , the last avant-garde political art group actively worked in 1950s and 1960s, and to make clear interrelations with situationists especially by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theory of architecture and city of Rem Koolhaas, the most active architect for modern architecture. The theories of situationists include spectacle, d?tournement, psychogeographym and drift, and the project carried out with such theories and strategies is unitary urbanism. The situationists were cardinally socialistic political parties. They criticized consumption culture of a capitalistic society and tried to reconstitute cities with humanistic views by overturning cities encroached by capital. The unitary urbanism with such purposes is shown in <Guide psychog?ographique de Paris>, <The Naked City> and <New Babylon>, and their strategies, d?tournement, psychogeography and drift were realized in the project. Their strategies for creation of new city involve rather subjective and individual perspectives. As situationists claim importance of 'daily life' of city and present 'events' as the determinant for atmosphere of city, situationists objected genealogical orders of rational functionalism in modernism and form determinism and insisted flexible theory of city receptive of change. The theory of city influences modern theory of city. Modern theory of city after the modernism focuses on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as events, cultural meanings and landscape images in city; in particular, it discusses psychological views of residents to an important element. The situationists' extended view towards applying unquantifiable elements as 'daily life' and 'events' on the theory of city embodied more specifically in architecture of Koolhaas. The architecture theory of Koolhaas is represented by Manhattanism and Bigness. His architectural grounds based on mixed-uses of various elements of philosophical backgrounds and modern scientific theories including fl?ner of Charles-Pierre Baudelaire, the image of city of Walter Benjamin, concept of events and rhizome by Gilles Deleuze. The realizations of such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theories in architectures are shown with methodologies of indeterminacy, nonlinear, juxtaposition of heterogeneous programs and architectural scenarios. In the process of actualization, the interrelations with situationists can be inferred from his architectural concepts within the projects. The interrelations of situationists and Koolhaas can be summarized to the following. The first is the view on culture of modern consumption shown in essays written by Koolhaas. In Whatever Happened to Urbanism? and Generic City, he recorded changes of growing modern cities by capitalism as they are. Especially the part in Junk Space ,he mentioned that the shopping culture of modern capitalistic society is rapidly invading architecture. It reminds of Society of Spectacle by Guy Debord. Second, varied forms of Russian constructivism projects he was influenced by shown in his works show much similarity with d?tournement of situationists. D?tournement is development of the original to extreme use until the meaning of the original is diluted and overturned. The elements of Russian constructivism shown in works of Koolhaas newly appear in his works as if they originally belong to him. Third, He often used nonlinear circulation system in his works. This appearance of architectural walker is closely related with drift of situationists. A mazelike circulation system created in his architectures is similar to a person spontaneously plays and enjoys in New Babylon by a situationist, Benjamin Constant. Fourth, the relation between psychogeography and architectural scenarios is described. The attempts of situatiniosts to emotionally rediscover established cities were reinterpreted as creation of situations with collision of events and acts in composition of architectural scenarios with the juxtaposition of heterogeneous programs by Koolhaas. As explained abo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ing modern theory of city with works of Situationits International is to look over cultural and historical nutritive elements of architecture to stabilize architectural concepts and to enrich terms of architecture. 본 논문은 1950년대와 60년대에 활동하였던 최후의 아방가르드 정치예술집단인 상황주의자 인터내셔널의 이론과 프로젝트에 나타나는 급진적 도시론이 현대의 건축도시론에 미친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며 특히 현대건축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는 렘 콜하스의 건축도시론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상황주의자들과의 연계성을 밝히는 것이다. 상황주의자들의 이론은 스펙터클, 전용, 심리지리, 표류 등이며 이러한 이론과 전략들이 실행된 프로젝트가 일원화 도시계획이었다. 상황주의자들은 근본적으로 사회주의 정치집단이었다. 따라서 그들은 자본주의 사회의 소비 문화를 비판하며 자본에 의해 잠식당한 도시를 전복시키고 인본주의적 관점으로 도시를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의 일원화도시계획은 <파리 심리지리가이드>, <벌거벗은 도시>, <뉴 바빌론>등으로 나타났고 그들의 전략인 전용, 심리지리, 표류 등이 이들 프로젝트에서 구현되었다. 그들이 새로운 도시를 창조하기 위한 전략들은 상당히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관점을 내포하고 있는데 이는 그들이 도시의 '일상생활'의 중요성을 주장하며 도시의 분위기를 결정하는 요소로서 '사건'을 들고 있음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상황주의자들은 모더니즘의 합리적 기능주의의 계도적 질서와 형태 결정론에 반대하고 변화를 수용하는 유연한 관점의 도시론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상황주의자들의 도시론은 현대도시론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모더니즘 이후의 현대 도시론은 도시 속에서의 사건과 문화적 의미, 경관 이미지 등 다양한 요소의 결합에 주목하며 특히 거주민의 심리적 관점을 중요한 구성요소로 등장시키고 있다. '일상생활'과 '사건'등 정량화 할 수 없는 요소들을 도시론에 도입한 상황주의자들의 관점의 확장은 콜하스의 건축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콜하스의 건축이론은 맨해터니즘, 거대함 등으로 대표되는데 그의 건축적 사유의 바탕에는 보들레르의 산보객, 벤야민의 도시이미지, 들뢰즈의 사건 개념과 리좀 개념등의 철학적 배경과 함께 현대과학이론까지 다양한 요소들이 혼재되어있다. 그의 건축 개념의 바탕이 되는 철학적 과학적 이론들이 건축적으로 구현됨에 있어서 불확정성, 비선형, 이질적 프로그램의 병치, 건축적 시나리오 등의 방법론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건축개념이 프로젝트로 실현되는 과정에서 상황주의자들과의 연계성을 추론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밝히고 있는 상황주의자와 콜하스의 연계성은 다음의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는 콜하스가 쓴 에세이에서 드러나는 현대소비문화를 바라보는 시각이다. '도시계획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보편적 도시' 등에서 그는 자본주의에 의해 더욱 거대해지고 있는 현대도시의 변화를 있는 그대로 기록하고 있다. 특히 '정크스페이스'에서는 현대자본주의 사회의 쇼핑문화 시스템이 건축에 빠르게 침범하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는 대목은 드보르의《스펙터클의 사회》를 떠올리게 한다. 둘째는 그가 영향 받은 러시아 구성주의의 프로젝트들이 그의 작품에서 여러 형태로 변주되어 나타나는 것은 상황주의자들의 전용과 많은 유사점을 보여 준다. 전용은 원본의 의미가 희석되고 전복될 때까지 극단적인 쓰임의 상태로 까지 나아가는 것인데 콜하스의 작품에 등장하는 러시아 구성주의적 요소들은 이제 그 진본이 콜하스의 것인 듯 여겨질 정도로 그의 작업에서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셋째는 그의 프로젝트에서 자주 쓰이는 비선형적 동선체계인데 이러한 건축적 산책자의 등장은 상황주의자들의 표류와 맞닿아 있다. 콜하스가 그의 건축에서 창조해내는 미로 같은 동선체계는 상황주의자 콘스탄트의 <뉴 바빌론>에 등장하는 자율적으로 놀이하며 즐기는 유희적 인간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넷째는 심리지리와 건축적 시나리오의 관계이다. 기존의 도시를 정서적 관점으로 재발견하고자하는 상황주의자들의 시도는 콜하스가 이질적 프로그램이 병치되는 건축적 시나리오를 구성함으로써 사건과 행위의 충돌로 상황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재해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황주의자 인터내셔널의 작업을 통해 현재 건축론을 분석한 본 연구의 의도는 건축의 문화적 역사적 자양분을 되짚어 봄으로써 건축적 개념을 공고히 하고 건축적 어휘을 풍부하게 하고자 함이다.

      • 도시건축 Up-cycling을 활용한 건축계획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공명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industrialization has led to building many industrial facilities over the past decades. However, deterioration and functional transition of them are producing a lot of abandoned buildings. Moreove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celerates the circumstances of that and a decrease in population in local areas also generates such happenings. For this reason, many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in many directions in order to find a solution for revitalizing many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architectural planning in the sustainable way to rehabilitate the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and enhance the value of the original buildings themselves through idea of Up-cycling. It is obvious that the abandoned facilities and buildings will continue to be produced because social and environmental circumstances keep changing.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the facilities and buildings and prepare the plan to improve the value of the reuse of them. The term "Up-cycling" means that a useless thing is to be reproduced as a newly functional and well designed product. In architecture the term "Up-cycling" can represent that a abandoned building is to rehabilitate as a newly functioned one. Awaren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resulted in increasing an interest in how to dispose the wastes. As a result, the way to dispose and reuse the wastes utilizing Up-cycling have been studying and many products are made of them in such way. It is true that utilizing Up-cycling is actively applied to produce clothes and daily products. The institutes and organizations for Up-cycling are being set up in various fields. Likewise in architecture, the studies on minimiz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wastes caused by demolition of abandoned buildings and following social overhead costs are being achieved. Utilizing Up-cycling concept, reusable parts and recyclable materials are applied at the early stage when a building is designed. Up-cycling in architectural planning needs to plan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function and design of the buildings and apply the suitability of necessary use required for the local areas. By analyzing the several domestic and overseas cases, it was concluded that Up-cycling the abandoned building instead of demolishing them makes it possible to adopt them as functionally useful spaces required for rehabilitation. If necessary, the newly constructed extensions are added to reused building in harmony. Up-cycled building can also receive good evaluations in design, provide required spaces for the area, and induce people for regional revitalization. 산업화로 인해 많은 산업시설과 건물들이 지어졌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건물의 노후와 용도의 변화 등으로 인해 버려지고 방치된 건물들이 생겨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폐 산업시설도 방치되어 버려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인구감소로 인한 지역의 낙후로 버려지는 건물들도 많아지고 있어 사회적인 해결 방한을 찾으려 하며 활성화를 위해 다방면에서 연구가 진행되어지고 있다. 여러 사회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설물들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버려진 시설물과 건축물을 Up-cycling을 통해 기능적 공간과 환경 친화적이며 사회에 기여하도록 활용 가치를 높이는 건축 계획을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앞으로 노후되는 건물과 변화하는 여러 사회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폐 건축물들을 활용하는 경우가 계속 발생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런 시설들을 연구하여 필요한 공간으로 활용 가치를 높이는데 계획안의 필요성이 있다. Up-cycling의 용어는 쓸모없게 되어 버려지는 것을 새롭게 기능적이며 디자인적으로 우수한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우리말로는 ‘새활용’이라는 말로 정해져 사용되어지고 있다. 도시건축 Up-cycling도 폐 건축물을 새로운 용도의 기능과 디자인으로 재탄생 시키는 것을 의미 한다. 환경오염의 심각성이 폐기물 처리에 대한 관심을 가져왔고 각 분야에서 폐기물에 대한 처리방법으로 Up-cycling 활용 방안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제품으로 출시되어 판매가 되고 있다. 제품, 의류, 잡화류 등에서는 Up-cycling 활용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각 분야에서 연구하는 기관과 단체들도 생겨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듯 앞으로 Up-cycling에 대한 많은 관심으로 더욱 활성화 될 것이다. 건축분야도 폐 건축물들의 철거로 인한 폐기물 발생으로 환경오염 및 여러 가지의 사회적 간접비용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므로 건축 폐기물 발생과 활용 방안을 연구하고 있으며, 폐기물이 발생하기 전 활용 방안으로 Up-cycling을 진행하고 있다. 철거단계에서부터 분별 해체로 재사용 가능성을 계획하기도하고, 사용 가능한 공간과 필요한 부분을 계획하여 구분하기도 한다. 도시건축 Up-cycling 건축계획은 기능적이며 디자인적으로도 가치를 높이도록 계획하며 지역에 필요한 용도의 적합성이 적용되어야한다. 폐 건축물을 Up-cycling하여 필요한 공간으로 사용하는 건축물을 국내외 사례조사 및 분석을 통해 철거 하지 않고도 용도에 맞는 기능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했음을 도출 할 수 있었고, 필요한 건축물도 신축하여 연결이 가능했으며, 기존 건축물과의 조화도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Up-cycling한 건축물들이 디자인적으로도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고 사회적으로 필요한 공간을 제공하기도하며, 인구 유입으로 지역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도시건축 Up-cycling 계획안을 계획하여 제안했다. 폐 산업시설을 지역 사회에 필요한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도록 계획하였다. 최대한 버려진 공간도 다시 사용하도록 계획하고 기능적인 공간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했으며, 필요한 시설은 부분 신축을 통해 사용가능하도록 계획하였다. 이렇게 부족한 문화시설도 확보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계획하고 생태공간도 조성하여 자연친화적이며 활용 가능하도록 계획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폐 건축물을 Up-cycling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첫째, 공간구성에 있어 기능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Up-cycling의 공간 특성을 도출하여 적용할 방향을 계획해야한다. 둘째, 사용가능한 건축물을 구분하고 필요한 공간을 구분하여 확보하되 기존에 있는 공간들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Up-cycling 계획을 한다. 셋째, 기존 건물과 필요한 건물을 신축하여 조화롭게 연결하고 디자인적인 측면을 도출하여 방향성을 계획해야한다. 넷째, 도시건축 Up-cycling로 역사 보존과 폐기물의 최소화 및 환경오염으로 부터 환경 친화적인 방안을 연구하여 계획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에 필요한 공간을 조사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계획해야한다. 공공시설이든 아니든 버려지는 공간을 Up-cycling하여 필요한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계획해서 활용 가능성을 최대한 높여야한다. 아무리 좋은 시설도 필요한 공간의 역할을 못하면 계획의 방향이 잘못된 것이다. 무조건 Up-cycling하는 것보다 조사와 분석을 통해 활용방안을 연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필요한 공간이 제공되어야 활성화가 되고 지역 사회에 기여하게 되기 때문이다. 앞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노후되는 건물과 변화하는 여러 사회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폐 건축물들을 활용하는 경우가 계속 발생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런 시설들을 연구하여 필요한 공간으로 활용 가치를 높이는데 계획안의 필요성이 있다. 환경의 변화와 생활의 변화로 좀 더 좋은 것을 찾고 소비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런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도시건축Up-cycling을 통해 버려지고 방치되어 쓸모없는 건물들을 현시대에 필요로 하는 건물로 변화시켜 사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계획하여 환경도 살리며 실용성도 갖추고 디자인도 만족할 수 있게 하고자한다.

      • 삼성역 초고층 복합빌딩 계획 : 도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상민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03

        초고층 건축은 1990년대로 접어들면서 신흥 경제부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동 및 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초고층 건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초고층 건물이 가지는 도시의 랜드마크 차원을 넘어서 해당 지역 및 관련 산업의 허브로의 역할은 물론 국가의 문화 및 경제의 우월성을 나타내는데 활용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서울, 인천, 부산 등지에서 활발하게 초고층 건축물이 계획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이런 초고층 건축물의 특성상 나홀로 건물이 아닌 도시계획적 차원에서의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 초고층 건축물의 입지선정에서부터 다각도로 분석되어져야 한다. 또한 현대건축의 화두인 친환경성과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의 개념에서 초고층 건물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초고층 건물의 개발은 교통비용 절감 효과, 에너지 절약 및 환경비용(대기오염)저감 효과, 기반시설비용 절감 효과, 신재생 에너지의 이용 등을 통한 탄소 저감 효과의 장점이 있다. 또한 대규모 오픈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어 외부 공공공간(Public Space)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수 있다. 본 연구는 초고층 건축물이 가지는 건축계획적 요소들을 이해하고 입지적 차원에서의 도시와의 관계에 대한 고찰과 친환경성과 지속가능성의 측면에서의 초고층 건축물의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발전과 흐름, 최근의 설계경향에 대한 알아본다. 제3장에서는 도시와 초고층 건축물의 상호관계와 이론적인 개념에 대해 살펴본다. 제4장에서는 초고층 건물의 건축계획적 요소에 대해 살펴본다. 제5장에서는 초고층 건축물의 도시계획적 차원에서의 입지선정에서부터 초고층 건축에서 반영해야 되는 건축계획적 적용과 친환경성, 지속가능성의 개념이 적용된 삼성역 초고층 복합빌딩을 제시하였다. 제 6장에서는 본 연구에 대한 종합적 고찰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현대사회가 점점 고도화, 고밀화 되면서 한정된 토지에서 필요한 만큼의 토지를 확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층 건물이 지어지게 된다. 또한 건물이 초고층화 되면서 도시의 상징으로서 랜드마크가 되며 용도가 복합화된 수직도시 집약형 초고층 건축물로 개발되어 지고 있다. 본 연구는 초고층 건축물과 도시를 개별로 보지 않고 도시속의 건축물로, 또한 도시와 건축물로 서로 상관관계를 가지며 상호작용을 하는 관점에서 바라보며 초고층 건축물이 나아가야할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좋은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After 1990, high-rise building has been developed actively around newly-rising economy nations such as the Middle East and Asia. High-rise building functions as city landmark and becomes the hub of related industry and region. Also, it expresses economical supremacy of culture and nation. In Korea, lots of high-rise building developments are progressing in various cities such as Seoul, Incheon and Busan. Design of high-rise building should consider the relationship with urban structure. Therefore, various analytical study is needed including appropriate site selection. In addition, designing eco-friendly and sustainable high-rise building is important issue. Development of Mixed Use Tall Building results to decrease in traffic and infrastructure fee, and it reduces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and air pollution by using newly developed energy. Also, it allows having large open space which helps to enhance the quality of public space.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model of eco-friendly and sustainable Mixed Use Tall Building which reflects the idea of building as a part of city development based on understanding architectural design elements for high-rise building.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2, development and recent design trend features of high-rise building will be explained. In chapter 3, theoretical concept and relationship between urban structure and high-rise building will be analyzed. In chapter 4, architectural design elements for high-rise building will be explained. In chapter 5, Mixed Use Tall Building at Samsung Subway Station will be analyzed as precedent case which reflects the idea of sustainability and illustrates proper site selection with consideration of city plan and shows how to reflect architectural design elements for high-rise building into the design. In chapter 6, conclusion and overall consideration of this study will be presented. As contemporary society has been highly industrialized and denser, high-rise building suggested as a solution for efficient land use in the city. In addition, high-rise building becomes the landmark of the city as the multi-functioned vertical development. This study suggests considering high-rise building as a part of a city not just as one object. I wish this study could be the starting point to find a way to develop Mixed Use Tall Building which is integrated with urban plan.

      • 도시적 맥락을 적용한 문화 인큐베이터 계획안

        우광진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근대주의자들에 의해 꿈꾸어졌던 기능만을 앞세운 절대적 건축물과 도시는 다원화되고 불확정적인 현대에 와서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주위의 환경과 무관한 건축물과 정체성 없는 도시들은 더 이상 하나의 환경으로써 의미를 찾기 힘들어졌으며 도시와 건축물과 내부 공간들의 관계성은 사라져 가고 있다. 1990년대 이후에는 모더니즘의 재해석을 통해 현대 도시의 여러 문제점들에 대한 새로운 모색이 많은 건축가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가 가지는 정체성과 다양성을 유지하는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도시의 요소들을 일체화 시키거나 건축물과 밀착시킴으로써 도시의 연속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들은 맥락주의적 관점에서 출발하였다고 볼 수 있으나 과거 시각적인 조화만을 모색하던 건축적 맥락에서 한발 더 나아가 건축물을 도시 안에서 움직이는 체계로써 규정한다. 맥락이란 하나 이상의 것들이 얽혀져 관계성을 갖고 이것이 공간적, 시간적 연속성을 띄게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논문은 시각성에 바탕을 둔 유형적 맥락의 형성보다는 문화적이고 사회적인 무형적인 도시 맥락의 적용과 형성에 더 큰 비중을 두었다. 본 논문은 맥락주의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도시의 유형적, 무형적 맥락을 문헌과 관찰, 데이터 분석에 의해 도출 한 뒤 이를 맥락 주의적 관점에서 건축화 시켜 계획안을 작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맥락 주의적 관점이란 경계의 재 정의를 통해 관계성을 회복하여 전체의 연속성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를 건축적으로 해석하자면 도시와 건축물, 건축물의 내, 외부 공간, 내부 공간과 내부 공간, 가구와 건축물의 경계를 재정의한 후 도시에서부터 실내공간까지 도시적 맥락을 형성하는 것이다. 휴먼스케일을 고려해볼 때, 도시적 밀도가 높은 우리나라에서 실내 공간이 도시의 맥락에 끼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실내 공간은 입면(Facade)를 통해 외부로 나타나기 마련이고 사람들은 도시의 밀도와 스케일상 이에 민감히 반응한다. 건축물의 용도 변경 주기가 짧아진 현대에 이르러서는 도시의 맥락과 실내 공간과의 관계는 더욱 더 중요해 지고 있다. 계획 대상지인 홍대 지역은 다양한 문화 예술의 인적 자원이 풍부한 곳으로 복합적인 문화 생산지로써 정체성을 가지며 독특한 맥락을 형성하고 있다. 근래에 들어 지나친 자본화와 상업화에 의해 그 인적자원들이 점차 홍대지역에서 밀려나고 있기에 그들에 대한 보호와 육성, 교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지며 이를 위한 공간을 "문화 인큐베이터"라 칭한다. 따라서 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선정, 조합 후 다음과 같은 디자인 개념으로 관계성을 형성한다. 1. 프로그램의 삽입 2. 경계의 재정의 3. 연속성 4. 매핑(MAPPING) 본 계획안은 프로그램의 선정에서부터 디자인까지 도시의 맥락을 적용한 하나의 체계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Buildings and cities emphasized only their function by Modernists, have shown their limitation as the present age has been becoming diversified and indefinite. These days, buildings have no connection with the surroundings and cities do not have their own identity. Therefore, buildings and cities cannot regarded as one environment any more and there are no correlation between them. Since 1990's, many architects have studied to find solutions to Modern cities' problems through reinterpretation of Modernism. There are movements to regain urban continuity by unifying its elements or kniting them together, on the basis of the paradigm preserving its identity and diversity. Although the new movements originated in a contextual point of view, they are against the past architectual context seeking visual harmony only And, they define that a building is a moving system in the city Context means that one or more things are mixtured and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they show the continuity of time and space. And, the thesis gave priority to the formation of cultural, social and immaterial urban context over visuality- based material context. This thesis is aimed at making a plan applying urban material and immaterial contexts to buildings from a contextual point of view after getting them from literature, observation and data analysis based on theoriential study of context. A contextual point of view means that things have a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show the continuity as a whole by redefining the boundaries. Architecturally, this is interpreted as a formation of urban context between a city and a building, between interior space and exterior space, between interior spaces and between furniture and a building. Considering human scale, interior spaces have a strong influence on urban context in Korea whose urban density is too high. The building's interior is exposed to its exterior through facade. Also, the interrelation between urban context and interior space is growing important as the change cycle of intended usage of buildings are getting shorter in modern times. The planning site, the hong-ik university area is rich in human resources for various cultures and arts. As a complex culture producing center, this area has its own identity and makes a context. However, the human resources have been pushed out of the area due to excessive commercialization these day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tect and foster the human resources and activate interchanges between them, and the space for these activities is called "a Cultural Incubator" in the plan.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design concepts, this plan makes interrelations after selecting and composing the programs for "a Cultural Incubator". 1. Insertion of programs 2. Redefinition of boundaries 3. Continuity This plan is significant as a system applying urban context from exterior to interior space at every stage from selection of programs to a design.

      • 광장과의 도시맥락적 상관성을 고려한 도시건축박물관 계획

        설진원 弘益大學校 建築都市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50703

        그리스 시대부터 근세에 이르기까지 광장은 도시적 개방공간으로 정치·종교·상업·교통 등 행사의 중심지로 기능을 해왔다. 따라서 시대의 상황을 가장 잘 반영해주는 사회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으며, 그 특성에 따라 형태와 의미가 다르게 나타난다. 시대에 따른 광장의 변화는 사회 저변 의식을 반영을 통해 광장의 주변건축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중세에서 근세시대에 이르기까지 광장의 주변건축물은 그 상징적 의미와 더불어 도시의 중심에 위치한 지리적 장점 등을 이유로, 국가의 주요 건축물(궁전, 정부청사 등)이 들어서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현대에는 문화적 수요가 증가하면서 광장의 주변건축물이 문화시설로 변화하는 추세이며, 그 대표적 문화시설로서 박물관을 언급할 수 있다. 현대 광장과 주변건축물의 관계에 있어서 이러한 박물관, 기념관 등을 중심으로 문화벨트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사회의 정체성이나 시민의 의식을 반영하여 광장 일대는 물론 사회의 전반적 활동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박물관은 건축공간이 가지는 실제적 기능과 광장의 개방적인 요소가 상호작용하여, 전시영역이 광장으로 뻗어 나가기도 한다. 그것은 비단 전시영역 뿐 아니라 박물관의 공공행사 및 다양한 이벤트, 휴게영역 등이 광장을 통해 확장하여 광장 자체가 박물관으로 거듭나게 된다. 반대로 광장의 광역적 프로그램들은 박물관에 무한한 가능성을 제공하여 공간을 활성화 시킨다. 이렇듯 상호의 건축적 경계를 분명히 하면서 프로그램의 호환이 가능한 것은 광장과 박물관의 관계에 있어서 대표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광장 주변에는 도시와 국가를 대표하는 건축물이 들어서는 것이 적합한데, 한 도시의 물리적인 중심점에 위치한 광장은 도심을 상징하며 공간발전 및 위계를 결정하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문화시설 중 그 중요도가 높은 건축물로 도시건축박물관을 언급할 수 있으며, 도시건축박물관의 사회·문화적 역할과 필요성 등을 볼 때, 그 가치와 국가적 인지도 및 주변에 미치는 여파는 어느 한 부분에 한정될 수 없을 만큼 큰 것이다. 종합하여 볼 때, 본 논문에서는 광장과 그 주변건축물(박물관)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도시맥락적 관점에서 광장 주변건축물을 계획할 때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을 통해, 광장 일대의 문화벨트를 조성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시건축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그 사회·문화적 역할과 필요성, 그리고 공간체계분석을 통해 계획 시 고려사항에 대해서 분석하고, 결론적으로 도시건축 박물관의 계획을 통해 광장이라는 공간과 주변건축물의 프로그램이 상호작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가의 대표적 광장과 함께 현대 건축사를 재조명 할 수 있는 도시건축박물관은 국민 의식고취와 역사성을 널리 알릴 수 있으며, 건축적 구심점으로서 역사적·상징적 의미 이상의 가치를 가질 것이다. Square is a metropolitan (urban) open space that has functioned as a herb of the events such as politics, religion, commerce and transportation, and the change of square ha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the buildings around the square in times. Ranging from the medieval to the modern era, it is general that the nation's major buildings(palace, government buildings, etc.) around the square have been erected. However, in modern, buildings around the square have been in a trend changing to cultural facilities, so in this context, museums are being positioned as representative cultural facili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square and surrounding buildings, based on these museums and memorials, it was known that cultural belts have been formed, and it can be described compatibility among programs while clearing mutually architectural boundaries is a representative features in the relation between square and museum. It is general to build up buildings that represent city and country around square, but out of cultural facilities, urban constructional museums are mentioned as a constructional building with a high priority in its the importance, and when considering social and cultural role and necessity of the urban museum, the values and national awareness and the effected influence round about are very powerful to restrict to any one part. Consequently, in this paper, the purpose is to study creating a cultural belt around the square through the things to be considered, when analyzing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a square and surrounding buildings (museums) and designing buildings around the square in the contextual point of urban. Also, based on some examples of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and through the social and cultural roles and the need, and the space systematic analysis, we suggest the method that the program of space and surrounding constructions of square can be mutually interactive by analyzing the considerations necessary for planning, and finally, planning the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 하이퍼건축적 특성을 적용한 UED 확장에 대한 계획 : 압구정지역의 기존 복합상업시설의 연계를 통한 지역발전 계획안

        전지영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연구의 목적은 첫 번째, 급속도로 변모하는 현대사회의 keyword인 “Hyper-”를 적용한 건축적 특성을 모색하고 분석하여 도시와 건축의 맥락에의 합리적 적용을 통하여 건축적인 디자인의 가능성을 발견하는데 있다. 두 번째 목적은 압구정지역의 사회적, 도시적,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고 현대사회의 변모 속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UED Urban Entertainment District 로서의 기능을 관찰하여 그 지역의 특성에 맞는 확장개념을 먼저 언급한 “Hyper-”적 특성에서 찾아, 현대사회의 흐름과 맥락에 부합되는 디자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과거부터 상업공간은 도시 활동의 근간을 이루는 장소 중의 하나로서, 도시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도시의 활력과 잠재력을 드러내는 공간이다. 특히 현대사회에서는 소득 증대와 문화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사람들의 여가 시간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상업시설의 대형화와 함께 여가 및 문화 공간과의 결합을 통한 소위 ‘복합상업시설’(UEC)은 이러한 추세를 명확히 반영한다. 상품판매를 위한 기존의 상업가로나 전통적인 공공공간을 위한 공원이 담당하고 있던 각각의 기능들이 복합된 UEC는 엔터테인먼트, 가로의 배회, 휴식, 문화공연, 문화센터 등 총체적인 여가의 소비가 행해지는 도시 공간으로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규모의 엔터테인먼트센터는 내부가로의 개방 여부와 상관없이 기존 도시조직과는 별개로 독립되어 도시맥락과 밀접한 연관을 갖지 못하는 상황이다. 도시 조직에서 과거 놀이문화를 담당하던 시설들을 연계하며, 사회현상의 변화를 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한다면, 그 지역이 지니고 있던 문화적인, 공간적인 특성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문화를 수용하며 발전적인 변화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논의되는 UED는 기존도시의 형상과 기억을 파괴하지 않고 도시의 변화를 수용하며 공공의 영역으로서 도시민의 삶을 담아내는 건축과 도시를 만들어가기 위한 제안이 될 것이다. 거대한 상권의 확장으로 무분별하게 개발되고 있는 도시조직에 또 다른 상징적인 공간을 새로 부여하려는 것이 아니다. 압구정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공공적 성격을 지니는 장소들의 유기적인 연계로 도시민들(보행자, 구매자)에게 목적 외의 즐거움을 주고 다시 찾고 싶은 인식을 심겨주는 흥미로운 지역으로 조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상지역의 의미와 한계를 파악하고 사이트와 가로, 공원을 공공성과 네트워크적 연계로 엮어내어 도시의 엔터테인먼트 장소로서 다양한 공간적 시각적 경험을 가능케 하며, 자발적인 이벤트와 우연적 경험을 풍부하게 제공하는 건축적 공간과 도시적 연계의 개념을 계획하고자 노력하였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nd analyze the method of construction that applies the term "Hyper-", which is a keyword in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and to apply such findings adequately to construction and cities so as to help discover the possibilities held in architectural design. The second goal is to analyze the social, urban, and regional properties of the region of Apgujeong to study its functions as a UED Urban Entertainment District , the importance of which is being emphasized more and more with the changes in today's society, and to discover a concept of expansion suitable to the area in the properties of "hyper-construction", which I mentioned above, so that we may propose a method of design that corresponds to modern trends. Since a long time ago, the commercial districts have been one of the areas fundamental to the activities of a city, and the area that forms the image of a city and expresses the vitality and potential it holds. In today's society, as income increases and cultural interest soars, interest is being focused on utilizing the free time that people have. "Urban Entertainment Centers"(UEC Urban Entertainment Center ) which combine enlarged commercial facilities with leisure and culture spaces are a clear expression of such trends. UECs, which combine the functions of former commercial districts that sold products with those of parks that traditionally served public purposes, are becoming expanded urban districts where an overall consumption of anything leisurely- entertainment, strolls, relaxation, cultural performances, culture centers-is taking place. However, such large scale entertainment centers, regardless of whether their internal paths are opened up, are quite independent from the existing urban area and does not have any strong ties to the original city. If we can create an area that incorporates the facilities that were in charge of leisure activities in the urban area and, at the same time, actively accept the different changes that are taking place in our society, we will be able to achieve positive development that accepts new changes and all the while maintains the cultur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Therefore, the UEDs discussed in this dissertation will act as a proposal to create cities and methods of construction which will accept urban changes without destroying the memories and form of the original cities and function as public regions in which the citizens lead there lives. This is not to create yet another symbolic area within our cities, which are already being developed imprudently due to the expansion of giant commercial districts. The goal is to systematically link the areas of public nature that form the region of Apgujeong, so as to turn it into an area that will give the citizens (pedestrians, purchasers) unexpected joy make them wish to return to the area. By determining the exact significance and limits of the subject area and networking the paths and parks through public connections, I have made an effort to establish concepts of construction and urban networking that will allow the subject are to provide various spatial and visual experiences, as well as an abundance of voluntary events and spontaneous experiences as the city's region of entertainment.

      •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지역중앙도서관 계획 : 구. 제주대학병원 리모델링을 중심으로

        양재영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87

        우리나라는 1980년대 이후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빠른 도시화가 진행되었다. 도시화는 많은 도시 인프라 및 산업시설들을 필요하게 되었고 일자리가 부족한 농촌지역의 젊은이들은 도시로 집중 되면서 도시는 급속하게 팽창하게 되었다. 이러한 도시의 변화를 예측하지 못한 도시의 환경은 주변으로의 외연확장의 한계, 교통문제, 대기오염, 도시민들의 삶의 질 저하 등 많은 문제들을 야기시켰다. 이로 인해 도시는 불가피하게 외곽지역의 또 다른 신도시 건설로 이어졌고 기존 원도심에 있었던 주요시설 및 인구는 외곽 신도시로 유출 되면서 원도심은 심각하게 활력을 잃게 되었다. 이러한 원도심 쇠퇴는 지역의 경제몰락, 주거지의 공가율 상승, 인구계층의 불균형, 지역의 슬럼화 인한 우범지역 발생 등으로 적지않은 사회적 문제점이 되고 있다. 사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유럽의 선진국들도 1970대 이후 원도심 지역의 몰락이라는 과정을 겪었다. 하지만 그들은 자신들의 역사와 문화을 소중하게 인식하고 기존의 시설물들을 구시대의 유물이 아닌 역사적 흔적으로 소중하게 다루었고 이러한 정신의 바탕아래 지역정체성을 간직한 그 지역만의 개성이 묻어나는 훌륭한 도시로 탈바꿈 하여 도시재생을 성공적으로 이루어 냈다. 이러한 사례 중에 공공도서관이 주변 문화시설들과 함께 연계 되면서 주변 지역민들 및 관광객을 끌어들여 원도심 활성화의 거점으로 활용된 예가 많다. 이에 따라 지역중앙도서관의 원도심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원활한 자료서비스, 지역의 중심이 되는 문화/교육, 지식습득의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이동도서관의 운영, 도시속의 휴식처, 지역사회와의 연계 등, 다양한 프로그램 특성에 맞는 공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대건축물의 보존활용 방안을 고려한 리모델링 방식과 지역중앙도서관에 관하여 문헌조사 및 웹 조사를 바탕으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지역중앙도서관의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그 형태에 따른 공간구성을 도출한다. 이러한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국내 4곳의 도서관과 국외의 4곳의 도서관을 사례조사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국내의 사례인 경우 자료서비스 영역과 일부 공용영역이 두드러지게 중요시 되는 반면, 국외의 사례인 경우 자료서비스 영역과 문화교육 영역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중앙도서관의 역할인 이동도서관에 대한 차량동선과 하역장 및 보존서고 와의 동선연계가 국외의 사례인 경우 명확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국내의 사례인 경우 이동도서관에 대한 차고지가 별도로 구획이 되지 않아 이동도서관이 체계적인 운영이 되고 있지 않았다. 셋째. 국내의 사례인 경우 자료서비스 영역, 공용영역, 업무관리영역, 문화교육영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본의 사례인 경우 자료서비스 영역, 업무관리영역, 공용영역, 문화교육영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미국 사례인 경우 자료서비스 영역, 문화교육영역, 업무관리영역, 공용영역으로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내 사례인 경우 공용영역 부문이 차지하는 비율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 효율적인 공간 배분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보존서고의 영역은 추후 증축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여, 향후에 늘어나는 도서의 물량에 대해 수장공간 부족의 문제가 예상된다. 도서의 효율적인 지원서비스와 늘어나는 도서의 원활한 관리 및 보존을 위해 이 부분의 배려가 필요하다. 다섯째, 층별 영역구성에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자료서비스 영역과 업무관리 영역의 자원봉사자 실은 저층부에 위치가 두드러졌다. 그리고 문화교육 영역은 도서관의 출입구과 별개의 출입동선을 두어 지역민들이 도서관 휴무와 상관없이 이용이 가능하도록 계획이 되어 있었다. 고층부에는 증축을 고려한 보존서고 배치가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리모델링시 기존건물 부분은 업무관리 영역을 중심으로 배치하고, 새로 증축되는 건축물에는 적재하중이 비교적 높은 자료서비스 영역 및 보존서고 등을 배치하여 비교적 적재하중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중앙도서관이 공간구성과 프로그램에 따른 공간구성 비율을 도출하였다. 1) 자료서비스 부문 자료서비스 부문의 소요공간은 일반자료열람, 어린이 자료열람, 디지털자료열람으로 세분화 할 수 있으며 면적비율은 40〜45%로 구성한다. 일반자료열람 공간은 일반적인 열람공간과 개방형 대형공간을 두어 비교적 자유롭게 열람 할 수 있는 쾌적한 공간으로 유도한다. 어린이 열람실과 유아열람실은 별도로 분리한다. 특히 유아열람실에는 수면실, 내부화장실, 수유실, 유모차 보관장소를 함께 두고, 외부 놀이공간과도 연계를 고려한다. 노인 및 장애인들을 위해 편안한 열람환경을 배려하고 정기간행물실, 멀티미디어실 등은 접근성을 고려한 배치가 필요하다. 2) 문화/교육부문 문화/교육부문은 20〜25%로 비교적 높게 계획하며, 크게는 문화영역과 교육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다양한 집회, 회의, 교육, 학습을 위한 공간으로 계획을 하며, 특히 지역민들의 도서관 휴관과 상관없이, 별개의 출입공간를 두어 지역민들의 자유스럽게 운영이 가능하도록 계획한다. 그리고 지역민들의 평생교육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구현에 맞는 공간계획이 필요하다. 3) 업무관리 부문 업무관리 부문은 15〜20%로 계획을 하며, 서고영역부문, 사무영역부문, 지원영역 부문으로 구성된다. 서고 영역은 증축을 고려한 위치에 배치를 하여야 하며, 서고 시스템도 자동화서고를 두어 공간의 효율성을 고려한다. 그리고 도서정리실 및 전산실은 열람실과 연계하여 배치하고, 외부 서비스 주차와의 연계도 고려하여야 한다. 4) 공용부문 공용부문은 15〜20%로 계획을 한다. 공용부문은 로비/홀, 계단, ELEV, 화장실, 식당, 북카페, 휴게실 등으로 이용자를 위한 편의시설을 배치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각 부문별 공간비율은 도서관 위계에 따른 상호 효율적이면서 원활한 도서관 운영을 위한 것이다. 각 공간비율은 국내의 지역중앙도서관 계획시 공간구성에 따른 면적 배분의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국외의 사례조사의 범위에서 일본, 미국의 사례조사로 제한된 부분과 사례조사의 대상 수가 소량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한계점으로 보여 진다. 추후 다양한 선진 국가들의 도서관 사례와 국내의 사례의 경우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사례조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져, 보다 더 객관화 할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Since the 1980s, Korea has undergone rapid urbanization due to high economic growth. Urbanization has required many urban infrastructures and industrial facilities, and as many young people in rural areas have moved for jobs to cities, the cities have expanded rapidly. This drastic change of the city has caused many problems in urban environment such as limitation of the expansion to the surroundings, traffic problems, air pollution, and the deterioration of life of the citizens. Inevitably, another new city was built in the outskirts area, and the old downtown area lost its main facilities and population to the new city, losing its vitality. This decline of old downtown has caused many social problems such as the economic collapse of the region, the increase of the vacancy rate, the imbalance of the demographic structure, and the surge of the crime rate due to slumming of the region. In fact, most developed countries of Europe, as well as Korea, have experienced the decline of the old downtown area since the 1970s. However, they appreciated their own history and culture and treated their existing facilities with historical traces rather than old-time relics. Under this spirit, they succeeded in revitalizing the city by transforming it into a great city with regional identity. In this occasion, the public library is linked with the nearby cultural facilities and functions as the base for the revitalization, attracting the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to the old downtown. In order that the regional branch library facilitate the revitalization of the region, it is expected to provide smooth data service, culture/education, the operation of mobile library to reduce the blind spots of knowledge acquisition, the resting place in the city, the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etc.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foundation through literature survey and web survey regarding the urban regeneration preserving modern architectures and the role of regional branch library, thereby drawing out various library programs for revitalizing the old downtown area and its space configuration accordingly. To investigate this process, four domestic libraries and four overseas libraries were stud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ata service area and some of the public area are dominant in the domestic case, whereas the data service area and the culture/education area are more prominent in the overseas case. Second: In the case of overseas library, the linkage between the vehicle line and the loading station and the storage shelf for the mobile library is clearly visible. In the case of the domestic case, the mobile library doesn’t even have its own parking lot. Third: In case of domestic library, data service area, public area, management area, culture/education were in order. In case of Japan, data service area, management area, public area, and culture/education were in order. In case of US, data service area, culture/education area, management area, and public area were in order. Therefore, domestic library has relatively bigger public area than necessary, so the effective space reconfiguration is needed. Fourth: Due to the lack of consideration for future expansion of shelf space, the library is expected to encounter the lack of the space for storing book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efficient support service, the smooth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the books. Fifth: In order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the floor configuration, data service area, management area, and volunteer rooms are located at the lower level. And the culture/education area is designed to have a separate entrance so that the residents to use the library regardless of library closure. It seems effective to place the storage shelves at the upper level due to the chance of expansion. In the case of remodeling, the existing space is mainly used for management area, and the newly added space is used for data service area and storage shelf area. So the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high loading load of storage shelf area. Based on these researches and case studies, I suggest the space configuration and the proportions of regional branch library. 1) Data service area The required space of the data service can be divided into general data reading, children data reading, and digital data reading, and it is planned to be 40 ~ 45% of the total area. The general data reading room is a comfortable space with the large open space. Children's reading room and infant reading room are closed spaces. In particular, the infant reading room accommodates a sleeping room, an internal toilet, a nursing room, and the space for strollers, and the passage to the outside playground is considered. The space is planned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o use comfortably, and periodicals room and multimedia room are easily accessible. 2) Culture/education area The space for cultural/education is relatively big, ranging from 20 to 25%, and the area can be divided into cultural area and educational area. Especially, it is planned as a space for various meetings and classes where the local people use it like their home anytime whenever they need. Also, it is necessary to plan it as the space for lifelong education of the locals. 3) Management area The management area is planned to be 15 ~ 20%, and it is composed of the shelf area, the office area, and the support area. The shelf area should be placed with consideration about expansion, and the shelf system should also consider the efficiency of the space by planning an automated shelf system. Also,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book room and the computer room in connection with the reading room, and plan the checkout and return of the book in connection with the parking area. 4) Public area The public area is planned to be 15 to 20%, and is composed of lobby/hall, stairs, elevator, toilet, restaurant, book cafe, and rest area. The space ratio proposed by this study is for efficient and smooth library operation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each library. And this space ratio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pace configuration in the planning of regional branch library in Korea. In this study, only small number of subjects and case studies were considered and they were limited to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only. This limitation will be overcome by performing the extensive case study of various libraries in developed countries and Korea, which is required for the systematic and objective research.

      • 공원과 연계성을 갖는 랜드스케이프 상업건축 계획안 : 신촌 다주상가공원화의 서 측면을 중심으로

        윤일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87

        도시는 인간이 밀집해서 거주함으로써 성립된다. 따라서 어떤 구체적인 방법을 수립하지 않는 한 시가지에 녹지를 확보해 가는 것은 지극히 어려운 기술이다. 그러나 인간은 옛날부터 자연의 특성과 그 시대의 기술수준에 대응하면서 자연과의 공생 도모를 위해 많은 고민을 해왔다. 도시공간의 변화는 사회적으로 매우 다양할 뿐 아니라 거대한 유기체로서의 도시는 끊임없이 변화와 성장을 거듭해 왔다. 특히 현대 도시공안에서 점차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사회적 의미는 공간의 기능과 그 구조가 변화됨에 따라 다양화 되어가고 있다. 변화라는 도시의 속성에 대해서 도식 공간은 필연적으로 이를 방영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도시공간에서 중요한 오픈스페이스인 도시공원 역시 이러한 특성들을 반영함으로서 도시공원의 의미와 역할을 찾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 번째는 신촌에 새로운 녹지공간의 형성으로 그 녹지공간이 주변 상업건물과 공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 건축적 디자인을 만드는가에 있다. 두 번째 목적은 신촌지역의 사회적, 도시적,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고 현대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오픈스페이스의 역할을 기능적으로 관찰하여 그 지역의 특성에 맞는 확장개념을 랜드스케이프적 특성에 부합하여 공원과의 연계를 갖는 디자인 방법을 제안하려 한다. 이러한 고찰을 토대로 하여, 대상지인 신촌 노고산동에 위치한 새로운 고원과 맞물려 있는 대지에 사회적 의미와 다양성부여를 위한 건축적 제안으로 공원의 경계를 해석하여 주변 도시환경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하였다. 근린공원으로 조성될 현 다주상가 주변은 현재 슬럼화 되어 있는 상업지역과 고층화된 오피스텔에 둘러싸여 점차 이질화 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도시와 공원의 경계를 해석함에 있어 고원과 주변 도시환경에 다양한 요소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도시와 공원의 각 경계가 확장되어 장소화 시킴으로서 두 가지 성격, 새로 생길 공원과 도시의 성격을 동일화 시켜 동적인 활동들이 공간과 대지 가로 공간에서 일어 날수 있게 하였고 이를 랜드스케이프 건축이라는 요소를 통해 각 장소에서 발생하나는 독립적이면서도 개성있는 활동들이 그 이용자들에게 시각과 동선의 유기적 연결로 인하여 같은 공간에서의 동일감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 UAM(Urban Air Mobility) 버티포트(Vertiport)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손주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87

        As human society develops, the urban concentration rate of the population is increasing, and the deepening of traffic congestion in large cities is the main factor that causes urban inefficiency and lowers the competitiveness of megacities. Roads and subways built in megacities are inevitably accompanied by astronomical construction costs, and especially in large cities that have been develop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above-ground and underground space of the city is already saturated, so there is a realistic limit to further expansion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ccordingly, UAM (Urban Air Mobility) technology, which is being actively researched and developed recently, is emerging as a new alternative to solve the traffic problems of overcrowded and huge cities, and is expected to be a new means of transportation for megacities encompassing not only the city center but also the surrounding metropolitan areas.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and spread of the UAM ecosystem,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infrastructure is essential, and among them, the development of a Vertiport in the city center that organically connects the UAM transportation system and serves as a terminal for aircraft take-off and landing and users is one of the key factors in establishing the relevant infrastructure. It can be said to be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this study, the type and spatial composition method of Vertiport, which will be the core infrastructure of the future UAM era, are analyzed, and its characteristics are derived, and the direction of the study of the Vertiport architectural plan in the future is presented,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and implementation status of UAM are investigat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the future direction of urban transportation is predicted, and the relationship and role between UAM and Vertiport and related aviation regulations are reviewed. Second, the type,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UAM Vertiport are investigated, and the architectural plan of the UAM Vertiport and the direction of the spatial composition are considered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traditional airport facility configuration. Third, for the UAM Vertiport plan presented by UAM leading companies and participating designers, the type and spatial composition are considered, analyzed, and characteristics are derived through related literature data and case studies. Fourth, based on the above study, plan the UAM vertiport considering development type, location, e-VTOL approach, program zoning, and internal circulation. Fifth, by reflecting the results and analysis of this study, propose the direc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architectural plan to be considered when planning the UAM Vertiport in the future. In preparation for the upcoming UAM era, in order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AM Vertiport architectural plan, the planning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UAM Vertiport are presented through literature data and case studi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ertiport should set the development type that matches the development purpose and role. Vertiport can be divided into hub type, regional base type, and simple functional type according to the type of development, and neither type is superior or inferior, but each type is reasonably priced within the UAM transport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ize or type of facility. It should be constructed so that an efficient urban air traffic network system can be formed by taking on roles and functions suitable for each hierarchy within the city. Second, the location should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aspects of aviation service and the transfer of passengers. Vertiport is the departure and arrival point for aviation service, and on the ground, it is a transfer point where users change from 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to UAM. For safe flight operation, it is subject to restrictions by various aviation regulations such as related operation procedures and obstacle restrictions, and the location of the Vertiport allows basic operation procedures to be established. Currently, the UAM operation system is under development, and regulations related to UAM operation have not been established, but for the safe operation of aircraft, operation procedures and related regulations should b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UAM, which will affect the location of Vertiport. UAM developers in each country are researching ways to reduce operational noise in the city center, but a certain level of operational noise is inevitable due to propeller rotation, so a location that can minimize the noise effect from operation must be selected. In addition, since securing sufficient demand is essential for the activation and popularization of UAM, it is necessary to select a location where it is convenient to transfer with 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and to increase the utility of infrastructure. Third, a spatial configuration should be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e-VTOL approach. In general airports, aircraft took off and landed using a separate runway outside of the passenger terminal, but e-VTOL directly approaches the Vertiport building to take off and land. The approach acts as a major factor influencing the overall Vertiport architectural plan, such as the shape of the Vertiport, program zoning, and internal circulation. Since the development type and location of the Vertiport are also mutually influenced by the e-VTOL approach, the e-VTOL approach determines the spatial composition and character of the Vertiport at the boundary between the exterior and the interior of the Vertiport. This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factor. Fourth, there is a need for a functional and efficient space plan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by a large number of users. Since Vertiport is for the purpose of public transportation, which is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functional program zoning and concise internal circulation must be made. In addition, the spatial arrangement for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Vertiport should be considered, and the composition of commercial facilities such as F&B and retail to serve as a transportation hub and landmark in the region should be considered.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and spatial composition of UAM vertiports based on the contents reviewed in the theoretical review, and identified detailed characteristics through case analysis of vertiport plans such as development type, location, e-VTOL access, program zoning, internal circulation presented by leading UAM companies and participating designers. Based on these studies, the UAM Vertiport plan was proposed, and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the Vertiport architectural plan will continue according to the re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UAM technology in the future. 인류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인구의 도시 집중화율은 갈수록 증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대도시의 교통체증 심화는 도시의 비효율을 야기하고 메가시티의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메가시티 내에 건설되는 도로와 지하철은 천문학적인 건설비용의 수반이 불가피하며, 특히 오랜 기간 개발되고 발전되어 온 대도시일수록 도시의 지상과 지하 공간은 이미 포화상태가 되어 교통 인프라의 추가 확충에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최근 활발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는 UAM(Urban Air Mobility) 기술은 과밀화, 거대화된 대도시의 교통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도심뿐만 아니라 그 주변의 광역권까지 포괄하는 메가시티의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UAM 생태계의 성공적인 정착과 확산을 위해서는 관련 인프라의 구축이 필수적이며, 그중 UAM의 교통시스템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주고 기체의 이착륙과 이용객의 터미널 역할을 하는 도심 내 버티포트의 개발은 관련 인프라 구축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래 UAM 시대의 핵심적인 인프라가 될 버티포트에 대하여 유형과 공간구성 방식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도출하여, 향후 버티포트 건축계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선행연구와 문헌 고찰을 통해 UAM의 개념과 추진현황을 알아보고 향후 도심 교통형태의 변화 방향에 대해 예측하며, UAM과 버티포트의 관계성과 역할, 관련 항공규정에 대하여 고찰한다. 둘째, UAM 버티포트의 유형과 입지 및 공간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하여 알아보고, 기존 전통적인 공항시설의 구성과 대비하여 UAM 버티포트의 건축계획과 공간구성의 방향을 고찰한다. 셋째, UAM 선도기업 및 참여 설계사들에 의해 제시되었던 UAM 버티포트 계획안을 대상으로 관련 문헌 자료 및 사례조사를 통하여 유형 및 공간구성을 고찰, 분석하고 그 특징을 도출한다. 넷째, 상기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개발 유형, 개발입지, 기체 접근방식, 프로그램 조닝, 내부동선을 고려한 UAM 버티포트를 계획한다. 다섯째, 본 연구의 결과와 분석된 내용을 반영하여 향후 UAM 버티포트 계획 시 고려되어야 할 건축계획의 방향과 공간구성에 대한 특징을 제안한다. 다가올 UAM 시대에 대비하여 UAM 버티포트 건축계획의 특징을 도출하고자 문헌 자료 및 사례조사 연구를 통해 향후 UAM 버티포트의 계획 방향과 특성을 제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버티포트는 개발목적과 역할에 부합하는 개발 유형을 설정하여야 한다. 버티포트는 개발 유형에 따라 허브형, 지역 거점형, 단순 기능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어느 한 유형이 우위 또는 열위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규모나 시설형태에 따라 각 유형이 UAM 항공운송체계 내에서 합리적으로 구축되고, 도시 내에서 각각의 위계에 맞는 역할과 기능을 담당함으로써 효율적인 도심 항공교통망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항공 운항적인 측면과 이용객의 환승 측면을 고려한 입지가 선정되어야 한다. 버티포트는 공중으로는 항공 운항의 출도착지이며, 지상으로는 이용객들이 다른 이동수단에서 UAM으로 갈아타는 환승 지점이므로 이러한 특성이 입지 결정에 반영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안전한 항공 운항을 위해서는 관련 운항절차, 장애물 제한 등과 같은 제반 항공규정의 제약을 받게 되며, 버티포트의 입지는 기본적으로 운항절차 수립이 가능하고, 이착륙 시 주변 장애물이 없는 안전한 곳을 선택하여야 한다. 현재 UAM 운항 체계는 개발연구 중으로 운항과 관련한 별도의 항공규정은 제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나, 기체의 안전한 항공 운항을 위해서는 UAM의 특성을 고려한 운항절차와 관련 항공규정들이 수립되어야 하고 이는 버티포트의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현재 각국의 UAM 개발사들은 도심 내에서의 운항을 위하여 운항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 중이나, 프로펠러 회전에 따른 일정 수준의 운항 소음 발생은 불가피하므로 운항으로 인한 소음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입지를 선택하여야 한다. 또한, UAM의 활성화와 대중화를 위해서는 충분한 배후 수요확보가 필수적이므로 타 교통수단과의 환승이 편리한 위치를 선정하고 인프라 효용성을 증대시켜야 한다. 셋째, e-VTOL의 접근방식을 고려한 공간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기존의 일반적인 공항은 여객터미널 외부에 위치한 별도의 활주로를 이용하여 항공기가 이착륙하였으나 버티포트는 e-VTOL이 직접적으로 버티포트 건물로 접근하여 이착륙하게 되므로 버티포트 자체가 이착륙장의 역할을 하게 되고 e-VTOL의 접근방식은 버티포트의 형태, 프로그램 조닝. 내부동선 등 버티포트 건축계획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버티포트의 개발 유형과 입지 또한 e-VTOL의 접근방식과 서로 상호영향을 주고받게 되므로 e-VTOL의 접근방식은 버티포트의 외부와 내부의 경계에서 버티포트의 공간구성과 성격을 결정짓게 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넷째, 다수의 이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능 효율적인 공간계획이 필요하다. 버티포트는 불특정 다수인 대중의 교통이동을 목적으로 하므로 기능적인 프로그램 조닝과 간결한 내부동선 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버티포트의 운영효율을 위한 공간배치가 고려되어야 하며 지역 내 교통거점과 랜드마크로서의 역할을 위한 부대시설의 구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에서 검토된 내용을 바탕으로 UAM 버티포트의 유형과 공간구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UAM 선도기업들에 의해 제시된 버티포트 계획안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개발 유형, 개발입지, e-VTOL 접근방식, 프로그램 조닝, 내부동선 등의 세부특징을 파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UAM 버티포트의 계획안을 제안하였으며 향후 UAM 기술의 실현과 상용화 단계에 따라 버티포트 건축계획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