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親環境 觀光 民俗마을 造成計劃 : 제천시 수산면 상, 하천리 일원을 대상으로

        박재석 漢陽大學校 環境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9711

        Ⅰ.서론 현대산업사회의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사회체제의 새로운 대안으로 소량생산, 저소비의 생활양식, 생산양식의 사회시스템을 제시하고, 지역간의 문제를 분리하여 해석하지 않고 하나의 문제로 이해하여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는 대안으로서 요즘 생태마을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생태마을의 한 대안으로서 우리의 전통민속마을을 단순한 흥밋거리가 아닌 지속가능한 공동체의 한 모델로서 새로운 주거개념의 형성을 위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주거형태의 대안으로써 자연의 생태적인 흐름에 위배되지 않는 친환경 관광 민속마을을 제시하면서 지역의 자연환경에 적합한 친환경 관광 민속마을을 계획하기 위한 기초이론과 방법을 조사하고, 도농 교류의 확대와 농업 외 소득의 개발로 지역경제의 활성화 및 청정산업으로서 특성화 할 수 있는 친환경 관광 민속마을 모델정립 및 시범마을조성계획을 수립하고자 이번 연구의 주제를 선택했다. Ⅱ.친환경 관광 민속마을의 개념정립 이론 연구에서는 전통민속마을의 이해와 함께 현대사회에서의 친환경 관광 민속마을의 의미와 성격, 그리고 그 중요성을 알아보고 국내외의 사례를 통해 친환경 관광 민속마을의 올바른 계획방향을 모색한다. Ⅲ.대상지 여건분석 ■ 대상지 선정 근거 -월악산 국립공원과 바로 접하고 있어 자연환경조건이 우수하다. -내륙문화관광권으로서 관광객 유치를 위한 위치적 유리함을 가지고 있다. ■ 자연환경분석 -북측으로는 금수산, 남측으로는 가은산에 의해 3면이 위요되어 있으며 서측으 로는 청풍호반이 연결되어 있는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지형을 형성하고 있다. ■ 인문환경분석 -제천시는 내륙문화관광권으로서 산악, 수변, 역사, 문화 등의 관광자원이 다양 하게 산재되어 있으나, 관광자원간의 계획적 연계개발 및 운영프로그램이 빈약 하여 경유형 관광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Ⅳ.친환경 관광 민속마을 기본구상 ■ 계획의 방향 -전통적인 마을구성과 자연을 효율적으로 이용한 마을의 배치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도로경관의 조성 -지역소재의 적극적 활용으로 친밀감 있는 향토경관 조성 -특화된 경관 및 특이한 체험을 활용한 프로그램 제공 ■ 친환경 관광민속마을 부분별 구상 -마을내부공간 구상/ 하천정비 구상/ 프로그램 개발 구상/ 부분구상의 종합 v.친환경 관광 민속마을 기본계획 ■ 기본계획 -토지이용계획/ 동선계획/ 조경계획/ 시설물계획/ 하천정비계획 ■ 세부계획 -진입로계획/ 정자주변상세/ 시설배치상세/ 장승, 솟대, 마을안내석상세 Ⅵ.결론 ■ MASTER PLAN I. Introduction As a new substitute of social systems of mass productivity and mass consumption in a modern society, to show the low productivity and life style of low consumption and social systems of productive style and to understand the problems between locals as the same highly related problem not regarding those problems were scattered and to solve them, the practical way of building the environmental towns now can have has recently been popular. As a substitute of the environmental towns, our traditional folk villages, the model of a sustainable community, the social need for making a new type of town has been soaring. So this study, presenting a friendly-natured village that makes harmony to the nature as the new house form substitute, to investigate the basic theories for planning that village that is proper to natural environments, to develop the model of the sightseeing traditional villages specialized as a clean industry and to achieve the plans of making the example town having that form and the expansion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urban and the suburban and the activity of local economic power, were selected. II. Definition of the conception of friendly-natured traditional village After both the understanding traditional villages and the meaning, features and that importance of traditional villages, prospected the proper planning way of the friendly-natured traditional village through the domestic cases of that III. Analyzing objective locations ∙The grounds of selecting locations -the excellence of the natural condition due to be near the Mt. Wolac National Park -having merits geographically to hold sightseers as an inland cultural boundary ∙Analyzing the natural environments -to the north, by the Mt. Kumsu and to the south, by the Mt. Kaun, three sides are closed and to the west, linked to the lake side Chongpung making the geography of surrounding by mountains and waters ∙Analyzing humanity environments -as an inland cultural boundary, the city Jechon has various sources of sightseeing like mountains, waters, histories and cultures, but because of the lackness of operating systems and stepping developments seeking connection between sightseeing sources, it is used focused on just visual sightseeing IV. Simple design for Friendly-natured sightseeing traditional village ∙the way of planning -arraying by using the form of traditional towns and natures efficiently -making views of the sidewalks having harmony to the near environments -making friendly folk views by using the local places positively -providing the programs using weird experiences of specialized views ∙designing the friendly-natured sightseeing villages partly -design of the interiors of towns/design of ditch equipments/design of program development/assembling the parts of the designs V. Main plan of making friendly-natured sightseeing traditional village ∙main plan -plan of using location/plan of boundary of town/plan of facilities/plan of ditch equipments ∙details -plan of starting roads/details of vicinity of rest place/plan of arraying facilities in detail/milestones in detail (Jangsung and Sotdae) VI. Conclusion ∙MASTER PLAN

      • 풍수이론을 적용한 환경친화적 주거단지 조성에 관한 연구

        안태환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11

        우리나라의 주거단지는 지난 세기의 고도 경제성장으로 인한 인구의 도시집중에 의한 주거난으로 그동안 대도시를 중심으로 절대적으로 부족한 주호의 수를 확보하는데 주력해 왔으나 오늘날 주거단지의 ‘대규모 단지화’ 경향으로 인한 자연 및 생태계 파괴는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국제적으로 환경을 고려한 개발에 대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지금 OECD 가입국인 우리나라도 공간이론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본 논문은 이런 국내외적인 상황에 대처하는 대안적 개념으로 동양적 자연관이면서 전통적 토지이용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 풍수이론과 국제적으로 실용화되고 있는 환경친화적인 개발개념을 통합한 계획 기법을 도출하여 우리의 환경과 정서에 적합하고 지역적․문화적으로 정체성 있는 환경친화적인 주거단지를 조성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우리 전통 풍수이론이 하나의 이론이나, 단순히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하는 차원에 그친 것이 아니라 인간행태를 반영하고 기존의 자연질서와의 상호관련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이념적이고 생태적인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장 환경친화적이며 동시에 생태학적인 사고에 바탕을 두고 있는 풍수이론과 현대 선진국의 주거단지 계획들은 모두 자연과 인간이 유기적 공동체임을 기본으로 하고 있어서 통합된 환경친화적 주거단지 계획 기법의 도출이 가능하였고 통합된 환경친화적 계획 기법을 사례 주거단지에 적용함으로써 우리의 환경과 정서에 적합한 주거단지 창출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향후 계속 보완되어야 하며 특히 풍수이론의 정확한 이론 정립을 바탕으로 현대적인 공간 계획 및 도시계획의 기법과 풍수이론을 통합한 한국적 공간계획기법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환경친화적 주거단지 조성과 계획에서 중요한 것은 거주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이다. 주변 환경과 친화하는 주거지는 만들어진 후에도 항상 유지관리에 힘써야 한다. 그리고 그것을 위해서는 개인 개인이 각각 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가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Housing estates of Korea has been made effort to secure lack of house numbers at the metropolitan area which caused by the city-ward drifting due to high growth of economy bring people in the big city for last century. However, the tendency of "large scale estates development" for housing estates leaded to serious problem to this day of breaking balance of nature and ecosystem. Giving concerns and efforts universally for the development considered environment at this time, it is also real demanding new paradigm for space theory to us as one of OECD members. This thesis contribute to mak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housing estates with true characters of regional and cultural that fit to our emotion and surroundings that bring planning techniques from a fung-shui theory as traditional land use system of oriental view of nature and utilizing idea of development environmentally friendly which cope with situation of inside and out side of country as substitute concep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make us know it is worthy of ideological and ecological value because it is taking serious view of mutual relation of existing nature saving energy as well as reflecting human life, even though our traditional fung-shui theory is just one theory itself. It is possible to bring planning techniques for making environmentally friendly housing estates because fung-shui is based on ecological thought of most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basic idea of present advanced countries which nature and human is an organic unit. More over, it tries to find possibility housing estates fitting our emotion and surroundings through case study by using integrated environmentally friendly planning techniques. But, hereafter this research must be supplied and study continuously for Koreanizational space planning technique which integrating fung-shui, based on making accurate thesis of the theory, modernized space planning and technique of city planning. In addition, important matter for mak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planning need positive participating of the resident and also have to make effort to maintain the residential area and surrounding environmentally friendly. To be this, it needs to confront from individuals as well as entire local society.

      • 북부 내장산 국립공원 환경해설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연구

        홍성문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711

        국립공원의 지정목적은 자연풍경지를 보호하고 적정한 이용을 도모하여, 국민의 보건․휴양 및 정서생활 향상에 기여하고자 함이다. 그러나 국가에서 관리하는 국립공원이 다른 휴양지나 유원지와 다른 것은, 생태적으로 건전한 산림을 유지하고, 국민들의 생태․교육의 장으로서의 활용과 자연환경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제고 및 관리목표를 동시에 수행하고자 함이다. 따라서 국립공원 방문자로 하여금, 자신들이 방문한 장소에 대한 지식이나 친근감․인지도는 국립공원을 관리하는 수단뿐만 아니라, 국립공원의 생물다양성의 증진 및 국민들이 생태계을 이해하는 사고방식의 전환에 큰 변환점의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경해설프로그램에 대한 해외사례 및 국내문헌조사를 통해 무분별한 국립공원이용을 방지하는 적합한 이용방안을 체계적으로 제시하는데 그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찰법 및 이용자․관리자 인터뷰를 주로 이용한 현지조사를 통해 이용실태를 파악한 후 설문조사를 한 결과 자연자원뿐만 아니라 역사․문화자원에도 탐방객들의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환경해설 이용유무와 이해도와의 관계도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5개의 환경해설 탐방로를 계획하였는데 첫째 수목탐방로, 둘째 탐방객안내소, 셋째 경관․야생화탐방로, 넷째 역사․문화탐방로, 다섯째 숲․계곡․폭포탐방로를 계획하였다. 이러한 계획에 대한 타당성의 검증을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한 결과 환경해설이 교육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상당히 영향이 있고, 관리․운영적 측면의 경제성에서도 매우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입확대의 필요성 및 효용성부분에서도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대상지 특성을 고려한 환경해설프로그램 평가에서는 보존가치와 동․식물, 자연사 부분에서도 상당히 높게 반영이 되었으며, 코스선정기준의 타당성평가에서도 전체적으로 상당히 타당성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환경해설프로그램의 주제․소재 선정의 타당성평가에서도 긍정적인 응답이 50%이상을 차지해 주제․소재선정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환경해설프로그램의 구현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기본 방향적인 측면에서 보면 환경해설 프로그램의 구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지는 그 지역이 갖고있는 자연자원 및 인문자원의 특성을 파악하여, 환경해설 대상지에 맞게끔 체계적으로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것이다. 둘째, 시행 주체적인 측면에서 보면 환경해설 프로그램을 원활히 운영하기 위해서는 관련민간단체 및 관련기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므로 각 환경단체들과의 연대 및 상호 연계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셋째, 프로그램의 내용면에서는 국립공원의 주요이용객이 인구통계학적으로 매우 다양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이용자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적합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넷째, 전문인력의 양성적인 측면에서 보면 우리나라의 경우 환경해설자에 대한 인력양성이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를 보다 더 확대시켜 환경부나 지방자체단체에서 제도적 뒷받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환경해설프로그램의 구현은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되고 단시일 내에 갖추어지는 것이 아니며, 지속적인 관심과 자연에 대한 애착이 있을 때 이루어지는 것이다. 앞으로 환경해설프로그램은 자연경관이 뛰어난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활발히 조성될 것으로 보이며, 범국민적 차원에서 환경해설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 高速道路 景觀改善을 위한 防音壁 環境色彩計劃에 관한 연구 : 仁川國際空港 專用 高速道路를 중심으로

        이지영 漢陽大學校 環境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9711

        경제적 성장과 맥을 같이 한 지역간 고속도로의 증가는 도로교통소음의 증가를 초래하였고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원인자 부담을 원칙으로 하는 방음벽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방음벽은 경관의 구성요소로써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즉, 성장의 부산물인 공해에 대한 자구책으로 제시된 방음벽은 소음감쇠라는 기능적인 단편적 문제해결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설치되는 자체로, 경관의 구성인자로서의 역할과 의미를 부여받는 것이다. 따라서 경관구성요소간의 균형은 중요한 사회적․경관적 측면에서 거론되어지지 않을 수 없다. 무질서로 가득 채워진 색채정보는 인간의 건강과 안전에 직결된 문제로서 시민에게 정서적 불안과 혐오감 등의 부정적 자극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부적합한 색채의 사용은 환경문제로서 인간과 환경의 관계를 바탕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인간의 생리, 심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인간 삶의 질적 향상과 정체성 회복을 위해 색채를 여러 분야의 통합된 환경 속에서 전체를 유기적으로 조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필요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인 환경색채계획은 색채를 현상적으로 관찰하여 상대적인 상호관계성을 중시하는 연구방법으로 인공환경의 자연성 회복과 인간화 실현을 위한 체계적이고 합목적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능적 설치에 편중되어 사용됨으로써 이용자 및 주변 생활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방음벽에 대하여 쾌적하고 조화로운 경관을 형성하고 나아가 경관적 해석과 환경색채분석을 통한 계획을 연구함으로써 이미지 통합과 시각적․질적 수준을 제고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된다. 첫째, 경관의 일반적 개념과 고속도로경관의 특성을 비교하여 속도에 의한 고속도로경관의 시지각적 인지변화를 파악하고, 환경색채의 개념 및 필요성과 색체계, 나아가 색채계획의 원리와 그 영향를 고찰함으로서 계획의 이론적 근거를 정리하였다. 둘째, 도로교통소음의 발생배경 및 원인과 우리나라 고속도로 방음벽의 현 황 및 설치기준․추이를 통한 고속도로 방음벽경관의 한계점을 살펴 봄으로써 연구의 의의를 정리하였다. 셋째, 환경색채계획의 대상지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를 선정하여 대상지 내 방음벽을 계획함으로써 경관적 시각적 수준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 시해 보았다. - 고속도로를 시각 결절점을 중심으로 구분하여 환경인자를 조사한 후, 시감측색과 사진촬영을 하여 이를 면적비로 환산한 환경색채 칼라 팔레트(color palette)를 작성하고, 계절색을 추출하여 색채 포 지셔닝(color positioning)을 통한 상징이미지분석을 체계적으로 진 행하고 색채의 물리적․생리적 기능 및 고속도로운전자의 행태도 함께 고려하여 색채를 선정하였다. - 환경색채계획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환경색채계획 안에 대한 Simulation을 통해 연구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방음벽의 환경색채계획적 접근을 통한 경관개선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고속도로경관의 질적 향상과 합목적적이고 체계적인 환경색채계획의 적용범위 확대의 하나의 방안으로서 그 의의를 갖는다.

      • 환경친화적 조경 포장 재료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정재균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11

        산업혁명 이후 도시 발전이 거듭해 온 결과 점점 삶의 질은 높아지게 되었고 인간에게 있어 이에 따른 많은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그에 따른 폐해 중 가장 민감하고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바로 환경 문제였다. 이에 대한 문제제기는 많은 연구와 발전을 거듭하게 되었으며 이는 곧 조경분야에도 영향을 미쳐 외부 공간에 대한 환경친화적인 조경시공 및 계획에 있어 관심이 점차 높아지게 되었다. 환경친화적 조경 포장용 소재에 대한 관심과 개발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들 환경친화적 조경 소재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립도 현재 갖춰져 있지 않으며 관련 연구 역시 전무한 실정이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도 시급하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친화적인 조경 포장용 소재에 대한 관심 저하와 발전에 대한 노력은 좀더 적극적으로 도입되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며, 현 우리나라 환경친화적 조경소재의 실정을 파악하여 앞으로 환경친화적 조경소재를 연구하는데 있어 기준설정을 위한 방향 및 향후 조경소재 시장에 대한 방향성에 대한 제시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 하에 현재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친화적 조경 포장 재료에 대한 현황 및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 전문가 설문을 통하여 개선 방안 및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친화적 조경 소재 및 포장재에 대해 개념 정립을 실시하고 유형화 및 분류를 한다. 둘째, 외국사례 연구 및 조경관련 잡지, 2003년 경향 하우징페어 등에 나타 난 카탈로그와 인터넷 자료 검색을 통해 환경친화적 조경 포장 재료 의 현황을 분석 한다. 셋째, 개념정립 시 나타난 유형을 토대로 사례별 대상지를 선정하고 현장 답 사 및 담당자 인터뷰를 통한 문제점 및 한계를 제시한다. 넷째, 현황조사 및 인터뷰 조사를 통하여 나타난 내용을 토대로 전문가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환경친화적 조경 포장 재료의 향후 발전 방향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시하고자 하는 것은 아직 명확히 설정되어지지 않은 환경친화적 조경 포장 재료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는 것이며, 환경친화적 조경 포장 재료에 대한 사업체별 개발만 이루어질 뿐 학문적인 연구나 계획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한 지적을 실시하고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개발 및 연구에 대한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문제점 제시 및 소재 개발 시 개선해야할 사항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며 향후 환경친화적 조경 포장 재료에 대한 연구 시행 시 기초 자료로서의 활용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After an industrial revolution, urban is developed, and so quality of life is improved. But environmental pollution is concomitant with that. To overcome this problem, many studies is carrying out, and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studies of environmental friendly construction and planning is executed. Many environmental friendly paving materials is developed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recently. But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friendly paving materials is not stood, and so, the studies for standard and direction of market of environmental friendly paving materials, is necessary. This study is executed for developing direction and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friendly paving materials,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is executed by next method. - Classification and standing concept for environmental friendly paving materials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 Analyses of foreign case, landscape architecture journal, brochure of housing fairs and internet site for environmental friendly paving materials - Giving problems and limita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paving materials, by interview, field survey and the questionnaire on it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 Giving direction and improving program for developing of environmental friendly paving materials in landscape architecture.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friendly paving materials is stood, and direction of developing and problem of it, is given. This result can be used basic research materials for environmental friendly paving materials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 대규모 개발공사가 주변지역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임희택 경북대학교 농업생명융합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11

        Material abundance and living convenience owing to economic development raise interests about the quality of life. Those interests accelerate concerns and asks for better environment. Nowadays conflicts have been growing due to environmental issues coming from surroundings. One of the main causes for those conflicts is environment aggravation which development constructions bring about. This paper aims at analysing how various contaminants resulting from development constructions affect surrounding areas' environment and examining ways to mitigate those harmful effects. A subject of analysis is confined to businesses which are related to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Measured values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 and post environmental impact survey report are used for analysing work. It analyses the effects according to area, business type, distance from construction sites and number of work equipment. Also some measures to reduce environmentally detrimental effects-enhancing environmental standards, making main control areas and examining reduction effect of woodland- are implemented. This thesis will give a good data for environment management because it quantifies deleterious effects of the development constructions and suggests ways to lessen them.

      • 도심하천의 자연친화적 이용방안 : 강릉시 남대천을 중심으로

        조용국 강릉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논문은 도심에 소재하는 하천이 환경적으로 어떠한 ,기능을 하는 것인지를 고찰하고, 기존의 환경친화적 하천이 그 본래적 기능을 상실하게 된 원인을 밝힘으로써 도심하천이 도심내 녹지공간으로서 역할과 기능을 다 할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 논문은 먼·저 하천일반 및 도시하천의 특성과 기능을 문헌적으로 살펴보고, 도심하천의 개발과 이용 형태가 하천의 형상을 어떻게 변모시켰는가를 객관적 자료를 토대로 고찰한다. 다음으로 강릉시 남대천을 그 .자연적 환경과 현재의 이용현황을 검토함으로써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에 대한 개전을 포함하여 환경친화적인 남대천 이용방안을 제시한다. 강릉남대천은 도심지역을 가로질러 흐르는 도시하천으로 환경친화적으로 보존·관리되어야 하는 가장 큰이유는 남대천이 다양한 종류의 철새들에게 우수한 서식환경을 제공하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도심하천이라는 점이다. 이는 곧 이곳의 자연생태계가 살아있다는 증거이다. 남대천 조사결과 수질, 접근시설, 주변 이용시설물의 배치, 자연서식환경의 제공 등의 면에서는 아직도 많은 부분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남대천이 도심하천에서 나타나는 생활용수 특히, 이 ·취수의 목적에서 탈피하여 환경친화적인 개발과 보전의 대상이 되어야 하며, 수변공간을 주변환경에 적합하게 개선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나마 강릉 남대천은 자연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한 지리적 위치적 자연 복원력이 어느 지역보다 빠르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조사결과 남대천 수변개발로 직선화된 콘크리트의 수변둑이 조사구간 7구역중 5구역에서 자연형 하천의 지형인 사형으로 복원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용객들의 형태도 생활주변에 자연공간을 쉽게 접할 수 있어서, 대도시의 시민들보다 자연 동·식물에 대한 관심도나 애착이 덜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무관심은 환경적인 측면에서 자연 동·식물에게는 안정적인 서식환경 제공이라는 긍정적인 측면도 없지 않으나, 자연과 환경을 보전하기 위하여 인간이 무엇을 하여야 할 것인지에 관한 교육적 측면에서는 자연과 환경에 불리한 점이라 하겠다, 이 연구에서 먼저 하천과 도심하천의 특성을 개관하고, 도시를 지나는 국내외의 주요 하천들이 어떤 역사적 개발과정을 거쳤는가를 살펴보았다. 이것은 지금의 강릉 남대천이 이용되는 현황자료와 함께 향후 강릉 남대천의 환경친화적인 이용방안의 바람직한 방향제시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강릉남대천은 우리나라의 청정지역에 속하는 강릉시를 관통하며 빈번한 국내외 관광객을 맞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서 이곳을 친자연(Natumahe)적인 도심하천으로 만드는 일은 더욱 중요하다. 강릉 남대천의 현재의 이용현황은 특별한 자연친화적 구상이나 계획없이 진행된 감이 없지 않다. 이러한 이용현황을 참고로 하고 한강개발을 비롯한 국내 하천들의 개발사례와 독일, 스위스, 일본 등의 환경친화적인 하천개발 자연 복원 사레를 본받아 남대천 수변공간을 환경친화적 이용모델을 만들 것을 제안하였다 환경친화적 조성을 위한 개선방안은 주변공간 이용형태의 개선에 있다 이를 위하여는 수변공간을 효율적으로 재구성하여야 한다. 하지만 전면적인 공간변경은 현실적으로 많은 시간과 예산이 소요된다. 자연 환경복원과 효율적인 시민의 휴식공간 조성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변공간의 효율적인 공간 재배치, 둘째, 정근시설의 개선, 셋째, 수변지의 식재공간 조성이다. 강릉지역은 전통과 문화의 도시이며 대표적인 관광도시이다. 내·외국인의 발길이 끊이지 않은 곳이며, 자연관광자원이 많은 지역이다. 그러나 지금껏 영동지역의 관광은 도심외곽의 자연형 관광이 대부분이었다. 이제는 남대천을 자연과 도심이 공존하는 하천으로 변모시킴으로써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생래적인 교육의 장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도심의 대표적 하천으로 조성할 시기가 되었음이 분명하다. 남대천의 현황과 향후 바람직한 친환경적이용 모델에 관하여는 남대천으로부터 혜택을 입고 사는 주민을 상대로 한 실증연구와 더불어 환경친화적인 이용방안에 참고가 되어야 할 것이다. 5장으로 구성된 이 논문은 남대천을 실질적인 사례로 활용함으로써 국내 도시하천의 자연친화적인 이용방안에 하나의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arch the way the rivers in the urban areas can execute their own roles and functions as a greenzone by studying how the urban rivers function environmentally and by clarifying the cause why and how the existing environmentally friendly rivers lose their own functions. This thesis consisted of five chapters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general rivers and the urban rivers through references and then studies how the ways of exploitation and development of the urban rivers have influence on the shape of a river on the basis of objective materials. Namdaecheon river crossing the urban area of Gangnung city must be preserved and managed environmentally friendly way. In this study, what is the significant thing is the fact that Namdaecheon river serves as a good habitat for a wide variety of migratory birds, which means its ecosystem of nature is alive. As a result of the study of Namdaecheon river, it has many things to be improved in the matters of the quality of water, of the accessible facilities, of the organization of facilities of utilization, and of the natural habitat for animals and plants. It is suggested that it should be the objec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being out of the aim of living water, in particular, that of getting water. That is to say, the waterside of Namdaecheon river should be improved in accordance with its circumstances. Due to its geographical location, the natural restoration of Namdaecheon river is relatively completed quickly and easily and therefore, its natural preservation state remains at a good level. The bank of Namdaecheon river which was transfoi nied into the straight concrete due to its waterside development, is being restored, in five sections of the seven, to the shape of slope which is a natural state of river. In comparison with the citizens of a big city, the visitors of Namdaecheon river are less interested in animals and plants because they are more exposed to nature. Such indifference has a positive aspect in that animals and plants can have a habitat which is not disturbed. On the contrary, it has a negative effect on education of natural preservation. This thesis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rivers and urban rivers and the historical process of develop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major rivers. This presents the proper direction of the way of environmentally friendly use of Namdaecheon river with other references of its present condition. It is important to make Namdaecheon a naturally friendly urban river because it is located in Gangnung city, Kangwon province which is visited by lots of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Its development is, as a matter of fact, progressed without any specific naturally friendly idea or plan. It is assumed that the model of environmentally friendly use of Namdaecheon waterside should be presented on the basis of the cases of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rivers including Han river and of environmentally friendly development of rivers in Geimany, Swiss, and Japan.

      • 환경보전을 위한 자연환경복원전문업 도입

        홍태식 단국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9711

        21세기는 환경의 시대임이 틀림없다. 20세기 중반부터 이루어진 환경을 고려하지 못했던 개발 방식에서 벗어나서 21세기에는 환경을 우선시 하려는 변화가 일고 있다. 결과적으로 환경산업이 21세기의 유망산업으로 선정되기도 하였고, 따라서 그동안 무심하였던 훼손된 생태계를 복원하는 다양한 사업들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청계천 복원사업, 자연형 하천 조성사업, 백두대간 보전 및 복원사업들은 자연회복을 위한 첫걸음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서 국내의 토목, 조경, 임학, 원예 등 관련 분야에서도 생태환경을 복원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술 개발과 아울러 학문적, 제도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1990년대 중반 이후 개정된 각종 표준시방서, 설계기준 등 국가 표준 기술 체계에도 자연환경복원 또는 이와 유사한 단원이나 항목들이 새로 추가되고 있으며, 주요 공종마다 친환경 사고를 반영한 기술이나 품질 기준이 제시되기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은 각 분야의 개별적 특성만을 반영한 부분적이고 단편적인 접근이 대부분이며, 각 분야의 분리된 기술들을 물리적으로 통합한 것에 지나지 않아 포괄적, 종합적 사고를 필요로 하는 생태계 복원의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어, 생태계 복원 시스템을 반영한 전문 영역의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다. 무엇보다도 가장 큰 문제는 자연환경복원 사업을 건설공사의 일부분으로 이해하여 사업진행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사전환경조사 및 사업후 모니터링에 대한 배려가 없는 점이다. 건설공사는 인간을 위한 시설물을 설치·유지·보수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자연환경복원사업은 보전해야 하거나 파괴된 자연환경을 복원하는 것이 목표이다. 건설공사에 똑같이 적용되는 기술이라도 자연환경복원에 적용해야 하므로, 일반적인 건설공사 진행 과정과는 차이가 많이 날 수 밖에 없다. 그러한 점을 무시하면서 건설공사로 취급하여 시행한 여러 복원사업의 결과는 당초의 복원목표가 실현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자연환경복원 사업은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라 전문가인 자연환경관리기술사 등이 배출되고 있다. 하지만 업역이 법률에 규정되지 않고 있어 기존의 조경이나 건축, 토목, 도시계획 등의 건설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자연환경복원 등에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이는 전문업임에도 불구하고 비전문가들이 참여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자연환경복원 분야의 발전이나 복원후 효과 등에 대해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있는 위협 요인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자연환경복원사업을 위해서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의 참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자연환경복원전문업의 도입 및 육성이 매우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서 본 연구는 환경보전을 위한 새로운 자연환경복원전문업의 도입에 관한 연구로 설정하였다. 자연환경복원과 관련된 사업, 법, 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복원산업의 도입 방향에 대해서 모색하였고,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의견을 수렴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여 자연환경복원전문업 도입의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연환경복원을 위한 전문업종의 설치 및 도입과 관련된 법률적 근거와 그 육성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문가 설문의 분석 결과, 자연환경복원의 중요성을 인식한 응답자일수록 전문업종의 신설을 찬성하였고, 도입에 대하여 대부분이 찬성 나타났다. 그리고 자연환경보전법에 법적 근거를 두는 것에 찬성하였다. 주요 대상으로는 ‘비탈면훼손지 복원’, ‘자연형 하천’ 및 ‘동물이동통로’로 조사되었다. 신설 업종의 업무 범위는 복원설계 및 복원공사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신설업종이 사업의 설계에서부터 시공까지 책임을 가지고 효율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어야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관련 사업을 발주할 때에는 관련 법률에 자연환경복원전문업을 신설한 다음 그 전문업체에게 입찰자격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 결과 자연환경보전법을 개정하여 자연환경복원전문업의 근거 조항을 설치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서 자연환경복원의 대상과 업종에 대한 내용을 새롭게 규정해야 하고, 자연환경복원산업의 육성 및 기술 개발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본 연구를 바탕으로 보다 좋은 제도의 도입을 위한 연구와 복원기술의 개발과 복원 사업에 대한 평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21st century must be the period for the environment. In the 21st century, changes took place to preserve the natural environment. This was an escape from the mid‐20th century ideas on developments, which were not considered very environmental. As a result the environmental industry has been chosen as a hopeful future industry. The various environmentalist groups that were previously left behind are now actively restoring destroyed ecosystems. The ChungGyeChun River is currently being conserved and restored to a natural river and the BaekDuDaeGan reservation and restoration projects are regarded as just some of the first steps towards nature’s restoration. With the changes in current times, the various national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the academic and institutional approach to restore ecosystem environment, there have been accomplishments in civil engineering, landscape architecture, forestry, horticulture and related fields. After the middle of 1990s, the national planning standards for developmental specifications revised to add an ecosystem provision or something similar within their standards. The technology and the standard quality reflecting pro‐environment thoughts have since become wide recognized as well in other major industries. However, these efforts are only partial and fragmental approaches that reflect only individual characters of each field. This is merely a physical joint of technologies separated in every field. This reveals a limitation that there needs to be a cohesive network working together to achieve the full potential to restore the environment. This limitation has been acknowledged and there has been a growth towards amalgamation of the separate industries. Nonetheless this is still a process that still needs to be continued and researched. Currently, restoration works of natural environment have been conduct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ies like civil engineering,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A restoration of natural environment is considered as part of construction. The objectives for modern day construction are to build up, maintain and repair facilities for the human needs. However, restoration objectives are to conserve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ecosystem. This requires advanced research which is lacking in the current planning on construction projects. If these differences are disregarded and restoration work is seen as merely construction work the primary purposes of conservation will be hard to achieve. As non‐professions participate in the restoration field many risk factors may arise and create problems. These problems will be seen in areas of development and also seen after the restoration work has taken place. Due to the increase demands for the restor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there has been a need to create and maintain a professional position for an engineer of the natural environment. However, rather than creating a separate sphere for environmental reform there has been a reoccurring theme of relying on existing industries such as landscape architecture, civil‐engineering and urban planning. Another problem in achieving the restoration of the environment is that specialized professional knowledge is required. However, in spite of this knowledge many non‐professional personnel are participating in the restoration industry. There are existing risk factors that may occur when these personnel are working within such a specialized industry. It is extremely necessary to support these professional who are working to restore the environment In view of the requirements stated above, this study sets up a direction for researching and establishing a new specialized industry to conserve the natural environment.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an analysis about the current status of the industries problems, the law and the institution in which is related to the restor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this study is trying to search for a direction of establishment for the new restoration industry. This study also takes into account relevant professionals’ opinions and based on an analysis tries to present a specific direction in the restoration field. Also this study addresses concerns about legal foundations and growth methods in relation to the natur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respondents wh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reservation support the creation of this industry. The survey indicates tha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in general supported this creation as well. Also, it advises that this industry has its basis on the Natural Environment Reservation Law. Important work objectives in the restor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re “restoration of damage slop,” “natural river,” and “eco‐bridge.” It is investigated that during development it is important to keep into consideration the environmental issues surrounding the development plans. Therefore, it means that this new industry must be able to be responsible for planning and construction. Accordingly, bidding qualifications for these developments is to only be given to enterprises that hold a license for the restoration industry of the natural environment. This study suggests establishing a legal foundation of the specialized restoration industry, by revising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Law. In the revision of the law, objectives of the restor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ontents of the specialized restoration industry are newly defined and stipulated. Support structures for the growth of technological developments of the restoration industry are deeply necessary. In addition, a study for an introduction of efficient institutions, developments of restoration technologies, and appraisal systems of a restoration work, and a more specific research are continuously needed to be studied.

      • 습지기능평가 항목 요인 분석 및 국토환경성평가 개선방안 연구 : -천안시 마을습지를 중심으로-

        황유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11

        Among ecological sources, wetlands have various functions and types like water purification, species diversity maintenance, and cultural function. Especially, village wetlands are located on approachable living sphere. Although their sizes are small, people can get benefit from the village wetlands directly and indirectly. However, village wetlands are not managed and preserved systemically or by law. Therefore, it is a fact that they are buried and disappearing whe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or establishment of city plans are done. This study was aimed to suggest ways for applying to land ecological assessment with village wetlands, which are ecologically important and easy to access to every day lives, using wetland function assessment, For this, certain functional factors of village wetlands were classified through analysis by function assessment item of village wetlands in Cheonan. When they were classified by score, the number of items over 2.00 was 20. Also, with SPSS 20.0,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between 52 indicators of wetland function evaluation based on wetland function assessment results of 49 village wetlands in Cheonan. When the assessment of land environment was done, it was judged Ram assessment could be utilized as a basic data. As it would be easier to evaluate targeted wetlands than other assessments, RAM assessment was chosen from literature research. The National Environmental Assessment criteria was analyzed and the study of the wetland function assessment on the application of the National Environmental Assessment was done. The current area ratio by grade of the National Land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ecological zoning map centered on 49 village wetlands in Cheonan resulted in wetland function assessment mostly appeared to be the third or fourth grades. The grades were based on the National Land Environmental Assessment. The rate of ecological zoning map was the 3rd grade. Within the grade, development is allowed. Current items in the National Land Environment Assessment (environmental ·ecological assessment) were named ecological property and wetland function assessment was applied. The results of wetland function assessment were divided into three grades of ‘high’, ‘normal’ and ‘low’. But they were changed as ‘1st grade (upper)’, ‘2nd grade (middle)’ and ‘3rd grade (lower)’respectively. The criteria of assessment were ‘forest area’,‘agricultural area’,‘urban area’. Among them, ‘urban area’ was intended to be rated high. As a result of reflecting 52 indicators of the National Land Environmental Assessment in wetland function assessment at 49 village wetlands in Cheonan, the area ratio increased from 1.9% into 45.5% in the 1st grade segment, from 6.9% into 43.4% in the 2nd segment. However, it decreased from 47.2% into 11.1% in the 3rd segment, from 44.1% into 0% in the 4th segment. It was 0% in the 5th segment. As for a result of applying the 20 indicators higher than the average score 2.00, the area ratio sharply increased from 1.9% into 89.5% in the 1st segment, the one in the 2nd segment was 10.5%, and 0% in the 3rd ~4th segments. Among the items of wetland function evaluation, in case of 20 indicators that were higher than the total average score, most of them were upgraded to the 1st grade of the National Land Environmental Assessment. When the results of applying 52 indicators and 20 indicators were compared, the gap was doubled in the 1st grade segment. However, the growth rate was lower when only 20 indicators were applied in the 2nd grade segment. As wetland function evaluation score was only composed of items higher than 2.00 with 20 indicators, it would affect only high grade. Ecologically important village wetlands are rated into the 3rd or 4th grades from the National Land Environmental Assessment that is used in an environmental impact or prior environmental review. It means they are being developed or damaged. To make this phenomenon disappear gradually, wetlands should not be assessed with general factors. Rather, it was judged that assessment including results from wetland function assessment that evaluated functional factors should be done. 생태자원 중 습지는 지구상에서 가장 생산성이 높은 생태계로 수질정화, 생물종다양성 유지, 문화적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과 유형을 지니고 있다. 특히 마을습지는 일상생활을 통해 접근이 가능한 생활권에 위치하고, 규모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에게 혜택을 직·간접적으로 줄 수 있다. 하지만, 마을습지는 제도적이나, 법제적인 보호 및 관리를 받고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환경영향평가나, 도시계획 수립 시에 매몰되고 소멸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생태적으로 중요하고 일상생활을 통해 접근이 용이한 마을습지를 대상으로 습지기능평가를 이용하여 토지 생태성 평가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천안시 마을습지의 기능평가 항목별 분석을 통해 마을습지의 특정 기능적 요인을 구분하였다. 점수별로 구분하였을 때 2.00보다 높은 항목은 20개로 나타났으며 또한, SPSS 20.0을 이용하여 천안시 마을습지 49개소 습지기능평가 결과를 기준으로 습지기능평가의 52개 지표 항목 간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22개의 지표가 비슷한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RAM 평가를 토지 환경성 평가에 적용할 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습지기능평가 중 다른 평가방법에 비해 평가가 용이하면서도 대상습지를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RAM 평가를 선정하였으며, 국토환경성평가기준을 분석하여 습지기능평가의 국토환경성평가 적용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습지기능평가 결과가 도출된 천안시 49개소의 현재 국토환경성평가와 생태자연도의 등급은, 국토환경성평가는 대부분 3-4등급으로 나타났으며 생태자연도의 경우 또한 개발이 허용되는 범위인 3등급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국토환경성평가(환경·생태적 평가) 항목에 생태성으로 명명하여 습지기능평가를 적용하였다. 습지기능평가의‘높음’, ‘보통’, ‘낮음’의 3단계 평가구성을 각각‘1등급(상)’, ‘2등급(중)’, ‘3등급(하)’으로 적용하였다. 평가기준의‘산림지역’, ‘농경지역’, ‘도시지역’중 도시지역은 상대적으로 평가점수를 높게 평가되도록 하였다. 천안시 49개소 마을습지 습지기능평가 52개 지표 결과를 국토환경성평가도에 반영한 결과 1등급은 면적대비 1.9%에서 45.5%로 증가하였으며, 2등급은 6.9%에서 43.4%로 증가하였다. 3등급의 경우 47.2%에서 11.1%로, 4등급은 44.1%에서 0%로 감소하였으며, 5등급은 0%로 나타났다. 평균점수 2.00 보다 높은 20개 지표의 결과를 적용한 결과로는 1등급은 1.9%에서 89.5%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2등급은 10.5%, 3-4등급은 0%로 나타났다. 습지기능평가 항목 중 전체 평균점수보다 높은 20개 지표를 반영한 경우 대부분 국토환경성평가 1등급으로 상승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2개와 20개 지표 적용 결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1등급의 경우 두 배 가량 차이나지만, 2등급의 경우 20개 지표만 선정하였을 때의 증가율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개 지표의 경우 습지기능평가 점수가 2.00보다 높은 항목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등급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재 생태적으로 중요한 마을습지는 환경영향평가, 사전환경성 검토 등에 활용되고 있는 국토환경성평가 시에 3-4등급으로 나타나 개발 또는 훼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을 지체시키기 위해서는 습지를 일반적인 평가가 아닌, 기능적인 요소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 습지기능평가에 대한 결과가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기성시가지 내 거주 노인들의 활동적 삶을 위한 근린환경 개선방안 연구 : 안양시 안양 4동, 5동 일대를 대상으로

        김지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11

        우리나라는 2025년 고령인구가 총 인구의 20%를 차지하는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다. 꾸준히 증가하는 고령인구와 비율에 비례하여, 은퇴 이후에도 사회적·경제적 영향력을 끼치며 동적 활동에 적극적인 액티브 시니어와 같은 새로운 개념의 용어들이 등장하고 있다. 질적인 노년의 삶, 노인을 위한 질적인 공간 요구가 늘어나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기능이 변화하는 도심 속 노인의 활동적 삶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Aging in Place(AIP)에서 발전된 Aging in Community(AIC), 즉 살던 곳에서 자율적이고 활동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고령친화 근린환경 개선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제 노인들의 보행 및 외부공간 활용방법을 관찰하여 사회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 국내외 노인들을 위한 외부근린환경, 여가·문화 조성사례를 참고하여 안양 4동, 5동 거주 노인의 “Aging in Community”와 더불어“ Active Living“, 살던 곳에서 활동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고령친화 근린환경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관련 문헌 고찰과 사례 조사를 통해 고령친화도시의 도입 속성, 노인을 위한 여가·문화환경의 사회적 역할을 정리하고, 대상 구역의 지역적 특성과 근린환경 이용행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이용행태 관찰조사,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병행한 현장조사를 진행한다. 본 연구의 대상구역은 안양시 만안구 내 고령인구 비율이 가장 높으며, 안양 중앙시장, 수암천, 근린공원, 어린이공원 등 노인의 생활기반 근린환경과 녹지가 조성되어 있는 안양 4동과 5동 일대이다. 고령인구의 공간 점유율이 높고 이용행태가 다양한 장소는 삼덕공원과 어린이공원 두 곳과 안양 중앙시장을 중심으로 삼덕공원과 샘병원으로 이어지는 3개의 가로이다. 삼덕공원, 냉천어린이공원, 밤동산어린이공원의 이용자 중 절반 이상이 노인 이용자이지만 3곳의 공원 모두 공통적으로 벤치, 등의자와 같은 휴식시설과 운동시설이 부족하였다. 공원의 입구부 또한 경사가 가파르거나 계단으로 이루어져 있어, 동행자가 없으면 보행 보조기구를 이용한 고령자들의 공원 및 산책로 이용이 힘든 상황이다. 중앙시장에서 다른 목적지로 거쳐가는 연결 공간인 3곳의 가로도 안양 4, 5동 내 고령자들의 일상이자 이웃 관계의 장으로 기능을 하지만, 보행로와 차도의 경계가 모호하여 차량으로부터 위협이 존재하며, 보행 중 잠시 쉬어갈 수 있는 휴식 공간이 부족하다. 기성시가지 내 노인들의 활동적 삶을 위해서 근린공원 및 공간의 양적 확대와 기존 근린환경의 질적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들의 활동적 삶을 위한 근린환경 개선방안으로서 안양 4동 경로당 인근, 행정복지센터 인근의 휴식공간 조성계획과 수암천변 진입로 및 장내로 개선계획을 물리적 환경 개선방안으로, 삼덕공원 인근 공영주차장의 1·3세대 통합 여가문화 공간계획, 어린이공원의 개선계획으로 여가문화 공간 개선안을 제시하였으며, 공간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방안으로 공동체활동을 위한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노년층의 보행반경 축소로 인한 기존 공간의 역할 증대와 다른 근린환경과의 연계공간으로서 보행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분리를 통한 노년층만을 위한 공간 확보가 아닌 모든 세대를 위한 공간 조성으로 노년층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공간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들의 활동적 삶을 위한 근린환경 개선방안에 있어, 노년층의 근린환경 이용행태를 반영하면서 모든 세대가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개선계획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In a super-aged society, where the elderly population accounts for 20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it is expected to enter 2025. In proportion to the steadily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and proportion, new concepts such as "active seniors" who have social and economic influence and are active in dynamic activities are emerging after retirement.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active life of the elderly in the city, which has changed its function due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quality space for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mproving the elderly-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 so that they can live autonomously and actively in their homes, which has evolved from Aging in Place (AIP). This study observes the actual walking and external space utilization methods of the elderly understands the soci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nd refers to the examples of creating an external neighborhood environment, leisure, and culture for the elderly at home and abroad. Along with the "Aging in Community" of the elderly living in Anyang 4-dong and 5-dong, the research focused on suggesting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of the elderly so that they can live actively in their homes. The research method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roduction of elderly-friendly cities and the social role of leisure and cultural environment for the elderl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area and the utilization of the neighboring environment more specifically, field surveys will be conducted in parallel with the utilization survey,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The area of the study was Anyang 4-dong and 5-dong, which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Anyang City Manan-gu, Anyang Central Market, Suamcheon Stream, Neighborhood Park, and Children's Park. Where the elderly population has a high spatial share and various activities, there are three streets connecting Samdeok Park, Children's Park, Anyang Central Market, and Samdeok Park and hospitals. More than half of the users of Samdeok Park, Naengcheon Children's Park, and Bamdongsan Children's Park are elderly, but all three parks lack rest facilities and sports facilities such as benches and chairs. The entrance to the park is also steep or stairs, making it difficult for elderly people to use the park and walkway without accompanying them. The three streets connecting the central market to other destinations serve as daily life and neighborhood relationships for the elderly in Anyang, but there is not enough rest space to rest for a while due to ambiguous sidewalks and roads. For the elderly to live actively in established urban areas, it is necessary to expand neighborhood parks and spac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existing neighborhood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is a plan to improve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for the active life of the elderly. This paper introduces a plan to create a rest area around Anyang 4-dong Senior center, an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and a plan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along Suamcheon Stream. The first and third-generation integrated leisure cultural space plans for public parking lots near Samdeok Park and the improvement plan for children's parks are proposed. As a way to achieve space sustainability, a community cooperation program for community activities is proposed. The role of existing space due to the reduction of the walking radius of the elderly and the improvement of the walking path as a connection space with other neighboring environments are necessary. Also, has considered creating space for all generations, not just for the elderly through separation, so that the elderly can interact as members of socie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suggesting an improvement plan for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of the elderly as a space shared by all generations while reflecting the use of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of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