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地方環境行政機能의 合理的 配分 方案에 관한 硏究 : 환경관리청과 지방자치단체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영근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711

        Todays, due to the government's development-oriented policy starting from 1960s, we have become only to enjoy quantitive richness and convenience, but also to have a lot of problems in quality. 1995's election for local autonomy opened up the actual era of localization. After the election, the local government have built several systems to serve good administration service to their people. As the people's life has improved, the people's interest on environment and improved administration service has increased. In this situation, it is natural to emphasize the role of the government on environment. To complete the role successfully, I strongly believe that the government should make the consistent policies and execute them under the efficient system between government-related ministries, or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There are two subjects, local government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dealing with environmental problems in each region. So, here we should need to review totally the system of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with focusing on How efficiently they distribute the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Function. Currently, in our country, the administrative system on local environment has some problems systemically, or in the aspect of function distribution as follows; First, uncertainty and unreasonable distribution of administrative functions on local environment. They have caused work's overlapping, inconvenience and made it harder for the two organizations to act promptly against the environment accidents. Second, dualization of management system on emission company into local government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EMO). So, it has made it happened overlapping of regulation organizations on the same company and made it difficulty to control environmental contaminents emission and management synthetically. Finally, shortage of the institutional device on local environment problems, although the local government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EMO) discuss together on the problems before doing a action, but the short legal power has given the agencies a limit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with two or more regions, and more, local government's ability of arbitration and control on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has been very weak. With the awareness of poor current address on local environmental-administration as showed, I want to suggest three ways to put local environmental-administration on the track. First, the organization of loc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basically must be set up to come true the concept of autonomy and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the local government, considering locality and spot of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However, the road to get there is still too long, because the finance of the local government is too weak, besides, the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needs professional-techs and deals wide area, So, until time is ripe, you should redistribute the functions practically into two organizations with maintaining the current system. Second, you would know the need of unification into one of the two organizations on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for the more structural management on emission company, such as clearness of responsibility for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However, taking it into consideration that the manpower, structure, financial problem, administerial speciality, and condition which two organization is having, you might think, functional distribution would be better. Finally, you should strengthen some functions related with arbitration and control of pending problems on local environment, and make them as rules. Water and air pollution are the main environmental problems in our country, and the problems are crossing the borders, so it could trigger the conflicts easily between related local governments. So,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EMO), which has been dealing the problems widely in the stance of the central ministry and office, should deal with them. Also, you should form a network(namely, Local Environment Promotion Association) and evolve the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variously, including EMO, environmental companies, private organizations, and experts,

      •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김세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교직과목 「교육행정」이 예비교사에게 갖는 의미를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의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 수강 이유와 기대는 무엇인가? 둘째, 예비교사들의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을 통한 경험과 그 의미는 무엇인가? 셋째,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요구는 무엇인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가 속한 교사양성기관의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을 대상으로 하여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문서분석을 통해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한 학기 동안의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에서 진행한 참여관찰과 14명의 예비교사와 교수자와의 심층면담, 수업에 참여한 예비교사 70명이 제출하는 자기 성찰 보고서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이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을 수강하게 된 이유와 수업에서 기대하는 바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들의 수강 동기, 교직과목 「교육행정」에서 무엇을 배울 것 같은지와 수업을 듣기 전 교직과목 「교육행정」에 대한 생각을 파악하였다. 예비교사들의 수강 동기는 ‘임용시험을 준비하기’ 위하여와 별 생각 없이 ‘학점을 채우기’ 위해가 주된 이유였으며, ‘교육행정에 대해 배우기’ 위해 수강한 예비교사들은 소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이 교사와 학교의 ‘행정 업무를 배우며 이론 중심의 수업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으며, 수업을 듣기 전 교직과목 「교육행정」에 대해 ‘생소하고, 거리감이 느껴져서 필요한지 의문이 드는 과목’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의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을 통한 경험과 그것의 의미를 알아보았다. 예비교사들은 각 교수요목에 대해 거시적 교육행정 이론을 단편적, 수박 겉핥기식으로 다루는 것보다는 실제와 연계된 이론이 더 유익하고 공감이 된다고 하였으며, 교직과목 「교육행정」의 전반적 수업 내용에 대해서는 거시적이고 체계적이지만 용어가 어렵고 방대한 내용을 학습하였다고 하였다. 수업 초·중기, 예비교사들은 교직과목 「교육행정」의 필요성에 의문을 가지고 ‘가질 것은 가지고 버릴 것은 버리는’ 태도를 취하다가 수업 후기, 교직과목「교육행정」이 교사에게 관심을 갖는 ‘유용한 과목’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수업에서 얻게 된 점을 통해, 예비교사들은 최종적으로 ‘이상적인 교육에 대한 고민’을 해볼 수 있었다는 경험의 의미를 찾았다고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교직과목 「교육행정」이 ‘교사의 주체성을 신장’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과목이라는 교육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셋째,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요구를 알아보았다. 예비교사들은 ‘실제적인 교육행정을 배우기’를 원하고 있었고, ‘교사의 사례를 듣고 배운 내용을 학교 현장과 연결하기’를 그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예비교사들은 교직과목 「교육행정」의 필요성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하며 궁극적으로는 교육 현상을 교육행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성찰적, 교육행정적 사고 함양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 ‘이론을 배우는 이유를 알고, 서로의 생각 공유하기’를 그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얻게 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이 요구하는 교직과목 「교육행정」의 필요성에 대한 성찰적 사고와 교육행정적 사고 함양을 위한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향후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예비교사, 교수자, 교육행정학 연구자, 그리고 교원양성기관 차원에서의 고민이 필요하다. 우선적으로,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의 교수자와 교육행정학 연구자는 교육행정학의 내용이 교직과목 「교육행정」에 맞게 연계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지난 수업에서 부족했던 점을 강의평가에서 교수자에게 요구하고, 교수자는 이를 적극 수용하여 다음 수업에 반영하며, 교원양성기관에서는 학생들이 원하는 수업을 할 수 있도록 교수자를 제도적으로 독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예비교사들이 교육행정을 일찍부터 자주 접하며 교직과목 「교육행정」에 대한 공감대를 미리 형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수업 초기 연구를 진행하며 발견한 사실은 대다수 예비교사들이 생소한 교육행정에 대해 거리감을 느낄 수 있다는 것과, ‘수업이 행정보다 중요하다는’ 인식으로 인해 교직과목 「교육행정」의 필요성에까지 의문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예비교사들이 교육행정이라는 학문에 거리감을 넘어서서 거부감을 가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육행정을 수업과 관련된 다른 과목처럼 친숙하게 만들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교직과목 「교육행정」의 수강 대상을 확대하거나, 교육행정 관련 교양 강좌를 개설해 안내함으로써 교육행정을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늘리는 방안이 교사양성기관 차원에서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교직 준비에 적합한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 내용 재구성 및 방법 마련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 본 연구의 대상 수업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교직과목 「교육행정」의 용어가 어렵고 다루는 내용이 많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이는 교직과목「교육행정」이 과연 교직 준비에 적합한지에 대한 지속적인 의문을 제기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직과목 「교육행정」의 수업 내용을 교직을 준비하는 예비교사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재구성하고, 수업 방법 또한 그에 맞게 고안할 필요가 있다. 현재 국가수준 중심의 교육행정이 주가 되는 내용에서 학교경영이나 학급경영 등의 학교수준 교육행정의 내용을 확대하여 분량을 조정하는 것이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교육행정 이론을 실제 교육과 연계하여 교직을 준비하는 예비교사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수업 방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조직문화가 행정정보시스템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윤희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711

        Our government has used Public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PMIS) in the public sectors by the radical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change of the environments of our government. So then, the introduction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MIS) in our government organization reaches the remarkable performance. But there are few studies of the performance produced by the introduction of MIS in our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the studies on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 culture on the performance of PMIS. So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composing factors of the organization culture affected on the performance of PMIS is significant for trying to find a solution to be a proper organization culture for the improving performance in our government. Independent variables using in this study are structures, systems and the leadership composing the organization culture and subordinate variables are the performances of PMIS. The variables to measure the structure of the organization are a degree of centralization, formalization and complexity. And the variables to measure the system of the organization are the smooth of communication systems, the participations in decision-making systems and the fairness of reward systems. And the variable to measure the leadership is the support of the leader in the organization. The variables to measure PMIS are the amount of PMIS used, the satisfaction of PMIS and the improvement of operating environments. This is a study to inspect hypothesis. So, this study set up 31 hypotheses. For this study, I accumulated data through the survey and used statistical analyses. Objects of surveying are organizations in our public and private sectors separated by the types of organization culture.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T-Test analysis of composing factors of the organization culture i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shows a little difference. There is a difference only in the reward system. And there is a difference of the improvement of operating environments in the T-Test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PMIS by the types of organization culture. This means that the types of organization culture do not affect on the amount of PMIS used and the satisfaction of PMIS. And from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re are several meanings like below: First, composing factors of organization culture affected on the amount of PMIS used in public organizations are centralization and th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organization. Second, the variables affected on the satisfaction of PMIS are the communication system of the organization like the amount of PMIS used. Third, the variables affected on the improvement of operating environments produced by the using PMIS are the decision-making systems, the communication systems and the reward systems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From these empirical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ome directions of policy like below: First, the performance of PMIS will make better when centralization of the public organizations will make low. Second, it needs to make the smooth communication systems. And it is essential to make the organization culture using this system positively. Third, it needs to make the organization culture that makes the participant decision-making systems of the organization and leads the positive participations. Forth, when constituents in the organization think that they reward fairly, they will try to do their best for the making progress of the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So, it is essential that makes the smooth communication systems, the participant decision-making systems and the fair reward systems for the advancement of performance of PMIS produced by the introduction of MIS in the public organizations. 현대 사회의 급격한 정보과학기술의 변화와, 이로 인한 행정 내ㆍ외부적인 변화로 인하여 행정 영역에 기존의 업무처리 방식 이외에 좀 더 효과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행정정보시스템을 도입하게 되었다. 이렇듯 우리 나라 정부조직에의 정보시스템 도입은 어느 정도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발생하는 성과 측정 및 행정정보시스템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문화적인 요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행정정보시스템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 직문화의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성과 향상에 적절한 공조 직의 조직문화를 모색해 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논문에서 연구를 위해 사용한 독립변수는 조직문화의 구성요 소인 구조, 시스템 및 리더십이고, 종속변수는 행정정보시스템의 성 과이다. 구조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변수는 집권화 정도, 공식화 정 도 및 복잡성 정도이고, 시스템의 측정변수는 의사소통시스템의 원 활성 정도, 의사결정시스템에의 참여정도 및 보상시스템의 공정성 정도이다. 그리고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한 변수로는 리더의 지원정 도이다. 종속변수인 행정정보시스템을 측정하기 위한 변수로는 행정 정보시스템의 사용도, 만족도 및 업무환경개선정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공조직의 행정정보시스템의 성과 향상에 영향을 미치 는 조직문화의 구성요소를 알아보기 위한 가설검증형 연구로써, 총 31개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이 자료를 통계처리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은 공조직 과 비교집단인 사기업조직으로써, 이들은 사전에 조직문화 유형별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결과, 조직문화의 구성요소의 조직간 차이 검증에서는 보 상시스템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행정정보시스템의 성과는 단지 업무환경개선정도만이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이는 행정정보시스템의 사용도와 만족도는 조직문화 유형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공조직에서 행 정정보시스템의 사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문화의 구성요소로는 조직의 집권화 정도와 조직의 의사소통시스템임을 알 수 있다. 그리 고, 행정정보시스템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역시 사용도 에서와 마찬가지로 조직의 의사소통시스템이며, 이와 더불어 보상시 스템 역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행정정 보시스템을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업무환경개선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의사결정시스템과 의사소통시스템 및 보상시스템 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 제시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은 첫째, 공조직의 집권 화 정도를 낮추고 분권화된 조직을 구축할수록 행정정보시스템의 성과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조직의 원활한 의사소통의 장 마련과, 이를 적극적으로 활 용할 수 있는 조직문화의 조성은 행정정보시스템의 성과 향상에 필 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조직 구성원들로 하여금 조직의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참여적 의사소통시스템의 마련과,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조직문화의 형성이 필요하다. 넷째, 조직 구성원들이 자신들이 공정한 보상을 받는다고 느낄 때, 조직의 성과 향상에 기여하고자 함을 보여주는 것이므로, 조직 의 구성원들이 공식적이거나 혹은 비공식적이라고 공정하다고 느낄 수 있는 보상시스템의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공조직에서의 정보시스템 도입ㆍ활용으로 인해 나타날 수 는 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좀 더 분권화 되고, 원활한 의사소통의 통 로와 참여적 의사결정시스템 및 공정한 보상시스템 구축을 위한 노 력을 해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학교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하성미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토대로 여덟 명의 초임교사가 초등학교 교직 문화에 어떻게 적응해 나가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초임교사들이 교직 생활에 적응하는 과정을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교사는 처음 접하는 교직적응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 둘째, 초임교사가 교직적응 과정 중 겪는 어려움과 해결방법은 무엇인가? 셋째, 초임교사가 교직적응 과정에서 사고방식이나, 태도, 가치관 등은 어떻게 변하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교사의 발달 과정에 관계된 국내·외의 문헌을 고찰하고, 초임교사들이 갖는다는 특징들을 기준으로 하여 초임교사 기간을 교직 경력 0-3년 사이의 교사로 설정하였다. 초임교사 8명을 대상으로 2008년 2월부터 9월까지 장기간의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내용분석 등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첫째, 초등학교에 발령 받은 초임교사들은 새로운 만남에 설레이면서도 막연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아무런 준비 없이 맞이하는 학교의 상황이나, 일방적인 학년과 업무 배정은 초임교사를 어렵게 만든다. 둘째, 초임교사들은 학교생활을 하면서 이상과 현실에서 오는 괴리감으로 인해 혼란을 겪기도 하고 교무 업무 수행, 학습지도, 생활지도의 측면 등에 있어서도 그 방법을 몰라 어려움을 겪는다. 교실의 구조적 특성이나 교사의 직무적 특성은 초임교사에게 닫힌 학교의 이미지를 주고 동료교사에게 도움을 얻는데도 어려움을 느낀다. 그러나 아이들을 가르치고자 하는 열정은 매우 크며, 교사로서 생존하기 위하여 동료교사들에게 도움을 청하거나 동료교사를 모방하거나 연수 등을 통하여 스스로 배우는 방법을 택하기도 한다. 셋째, 초임교사가 교직 문화에 적응하는 동안 나타나는 변화는 낯설게 느껴지던 학교의 모든 것으로부터 안정감을 느끼고, 시간적으로도 여유가 있음을 느낀다. 또한 학교 행사를 예측하거나 융통성 있게 일을 처리할 수 있고,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선택했던 배움은 초임교사가 스스로가 성장했음을 느끼게 해준다. 그러나 초임교사가 학교에 적응하는 동안 포기하게 되는 것들도 있다. 연장자 우대로 이뤄지는 학년 담임이나 업무의 분장이 그러하다. 또 학생들에게 가졌던 지나친 기대로 줄여서 아동의 학업 성취를 높이는 것만이 우선이 아님을 깨닫게 되면서 편안한 교사가 되기도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초임교사의 긍정적인 가치관과 아이들에 대한 열정을 엿볼 수 있었다. 그리고 초임교사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학교 차원에서 적극적인 안내나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질적 연구의 매력과 그 이면의 어려움도 함께 느꼈다. 그러나 교사의 삶을 살펴보는 작업은 교직사회 속으로 들어가야만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았고 교직 문화의 여러 부분이 질적 연구방법으로 연구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how beginning teachers are adapting to the teaching profession working in an elementary school and to identify the process of professional adjustment, based on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how the beginning teachers feel about the profession when they get first access to it? Second, what difficulties do they go through 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 adjustment and how do they solve them? Third, 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 adjustment, how do their ways of thinking, attitude, and sense of value chang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regarding the teacher development process. According to this literature analysis, beginning teachers were those who have 0-3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including long-term participating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content analysis from February 2008 to September 2008. First, the beginning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had expectations and excitement about new meetings and nervousness, too. Also, they felt difficulties in the circumstances of school. However, they didn't feel any dissatisfaction with them, but decide to work hard doing their best, since every job was unfamiliar and difficult at the beginning. Second, the beginning teachers were sometimes shocked because of estrangement ideal and reality, and felt uncomfortable at not knowing how to deal with school affairs, learning instruction, practical education, etc.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lassroom and the features of teachers' tasks gave them the image of a closed school, and they felt uncomfortable in asking for help from fellow teachers. However, they had a great enthusiasm to teach children and learn by themselves to survive as teachers through asking fellow teachers for help, copying fellow teachers, or training. Third, while they were adjusting to the professional teaching culture, they had a stable feeling about everything in school, which were unfamiliar before, and had time to spare. Moreover, they thought themselves were developed through prediction of school occasions, dealing with affairs flexibly, and learning to reduce errors. They were approved of by other people due to the development. However, there was also what they gave up. It was related with seniors' priority over grade assignment resulted from school practice, which overemphasizes preferential treatment for seniors, division of tasks, and excessive expectation and desire for students.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could see their positive views and enthusiasms about children. Also, it was found that school should provide active guidance or assistance to reduce their difficulties. As a last comment, it is desired that this study will be read by those who want to b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ginning teachers adjusting to the profession after being placed in an elementary school, many members in school, and those who would start research about the teacher development process.

      •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연구

        장민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담당교사의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인식과 방과후학교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개선점을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 담당교사는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둘째, 방과후학교 담당교사는 방과후학교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 어떠한 문제점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질적연구의 한 방법인 포커스 인터뷰를 사용하였다. 포커스 인터뷰는 충청남도에서 근무하는 방과후학교 담당교사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포커스 인터뷰에 사용된 질문은 교육과학기술부의 방과후학교 운영 계획 및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선정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방과후학교 담당교사는 방과후학교 정책이 정규 수업을 보완하는 다양한 교육경험을 사교육기관에 비해 저렴하게 제공하여 학교의 교육기능을 보완하고 소외계층 학생을 지원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시설적인 지원, 예산의 융통적인 사용, 업무의 경감, 실질적인 인센티브 제공, 운영에 관한 교육청의 행정적 지원 등에 관한 문제점이 개선되어야 그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views that teachers have about the operation of after-school extracurricular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goal, my research will address the following objectives: First, what ar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operation of after-school programs for elementary students? Second, what are some teacher's ideas on improving these programs? In this study, focus interviewing wa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used. The subjects were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the Chungchengnamdo school district. The instruments used were questionnaires prepa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for this after-school program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eachers have a positive perception about after-school programs. These programs supplement the regular education students receive, at little or no cost to the families. This makes it very affordable for low-income families, and offers the various experiences to every student. It is mandatory to thank the education offices for having a flexible budget that supplies the equipment and money needed to support these after-school classes. Overall, it is this positive outlook of teachers and education offices that make these programs possible.

      •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적응에 관한 연구

        이지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연구는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적응과 관련하여 영역별 적응 정도와 교직적응을 위해 어떤 지원을 필요로 하는지 알아보고 효율적인 초임교사의 교직적응을 위한 지원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지각하는 영역별 교직적응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지각하는 교직적응을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교직적응을 위해 필요로 하는 지원방안은 무엇인가? 이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초등학교 초임교사에 대한 이해, 초등교사 교직적응 영역에 대한 이론, 초임교사 교직적응을 위한 선행 연구 등을 살펴본 후 교직적응 영역을 교사의 자기 이해, 학급경영, 교수-학습지도, 생활지도, 행정업무, 인간관계의 6개 영역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에 소재한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중에서 근무 경력이 3년 이하인 교사를 대상으로 교직경력별로 유층 표집하여 67개교의 초임교사 27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질문지 중에서 216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또한 질문지는 정지선(2005)이 사용한 질문지와 류제광(2002) 사용한 질문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여기에서 발췌한 문항 이외의 것들은 선행연구와 이론을 토대로 지도교수의 도움을 받아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 F검증, x²(Chi-square)검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앞에서 살펴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경력에 따른 분석에서는 인간관계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성별에서는 교수-학습 지도, 학교 규모에서는 행정업무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보통 평균 3점 이하의 적응 정도를 나타냈다. 둘째, 초임교사가 교직적응의 어려움을 느끼는 곤란의 원인으로는 학교에서의 연수 부족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교직적응시 생기는 곤란의 해결은 시행착오를 거쳐서 또는 인터넷을 활용하여 스스로 해결하거나 친밀한 인간관계에 있는 사람의 도움을 받아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임교사가 필요로 하는 지원방안으로는 학교내 초임교사를 위한 연수를 가장 희망했으며, 다음으로 초임교사를 위한 배려와 관심, 실질적인 멘토링제 운영 등을 필요로 했다. 따라서 초임교사들의 교직적응을 위해서는 초임교사가 겪는 어려움의 원인을 찾아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연구와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교내 연수프로그램과 학교 구성원의 배려, 형식적인 아닌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멘토링제 운영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supporting areas to help the beginning teacher adapt to the professional occupation. In addition, the research provides basic data for the beginning teacher's efficient adaptation. Following are the detailed subjects for the beginning teacher's achievement.: 1. The perceptive degrees for the professional adaptation in the six areas suggested the following, knowing oneself, class management,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 guidance, office management and relationship. 2. The shortcuts to achieve the professional adaptation. 3. Areas of supports for the beginning teacher to achieve the professional adaptation. The compiled questionnaires of 216 out of 260 requested were completed by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for 3 years elementary schools of Chungnam province. The main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adaptive and collective Precedence Researches of J.S.Jeong's(2005) and J.K.Ryu's(2002) with the aid of a guidance professor. The obtained data was analysed according to T, F-verification and X²(CHI-square)-verification, also Frequency-verification in SPSS for Windows, ver.15.0.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indicate the followings. Firstly, the meaningful distinction from the analysis in terms of the teaching career was laid out in all study areas except in relationship. As well as,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 in terms of sex and office management in relation to the scale of the school. The average values of this distinction was 3 or lower. Secondly, the shortage of opportunites, which was the helpful in the induction courses caused professional adaptation difficulties. It resulted in the difficulty to adapt to teaching through trial and error to fix things by themselves or in the intimate human relationships which may be resolved with the help of people. Finally, the main efficient support for the beginning teacher's adaptation are the concerned management of programs, such as, the mentoring of beginner teachers, as well as, providing induction courses.

      • 강원행복더하기학교 시행에 따른 교원 간 의사소통 네트워크 변화 분석 : 사랑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강기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에서는 강원행복더하기학교에서 형성되는 네트워크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1, 2차에 걸쳐 네트워크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의사소통 영역별로 구조적 특성, 상호작용 특성, 행위자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궁극적으로 교원 간 의사소통 네트워크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아래와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사랑초등학교 교원 간 의사소통 네트워크의 구조적 차원의 특성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둘째, 사랑초등학교 교원 간 의사소통 네트워크의 상호작용 차원의 특성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셋째, 사랑초등학교 교원 간 의사소통 네트워크의 행위자 측면의 특성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네트워크 분석 설문지를 완성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 재구성하였으며, 현직 초등 교원 5명, 교육학과 대학원생 3명의 의견을 받았다. 또한 선행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4개의 의사소통 영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사랑초등학교를 연구 대상 학교로 선정하였는데, 선정 이유는 강원행복더하기학교로 신규 지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담당 장학사의 추천, 학교 규모가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이 학교에 근무하는 교원들 39명 중 33명(유효응답율 85%)의 설문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학교의 인적 구성 및 의사소통 빈도, 형성계기, 도움 정도, 만족도, 필요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2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밀도 및 중심성 등의 수치와 시각화 자료를 얻기 위하여 Netminer 4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연구 결과에 대한 해석을 위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분석된 본 논문의 연구 문제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 네트워크 구조적 측면의 변화를 살펴보면, 1차 진단에서 2차 진단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네 영역 모두 연결하고 있는 교원 수가 증가하였으며, 학교경영 및 행정업무 영역에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영역별 밀도값의 차이가 줄어들어 2차에서는 고르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네 영역 모두 소수의 교원들에게 의사소통이 몰리는 경향으로 변화하였는데, 특히, 학교경영 및 행정업무 영역에서 변화의 차이가 가장 확연하게 나타났다. 교수․학습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는 고립자 클러스터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의사소통 네트워크 상호작용 측면의 변화를 살펴보면, 1, 2차 모두 교수․학습 영역에서 의사소통 빈도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1차에서는 개인 일상생활, 2차에서는 학교경영 및 행정업무 영역에서 의사소통 빈도 평균이 가장 낮았다. 의사소통의 도움 정도는 1, 2차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1차와 2차 모두 의사소통 빈도 중에서 ‘하루에 여러 번’ 의사소통을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각 영역별로 가장 높았고, 마찬가지로, 도움 정도를 묻는 질문에서는 ‘매우 도움이 됨’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네 영역에서 관계 형성의 주요 계기로는 ‘동학년(동교과) 담당’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셋째, 의사소통 네트워크 행위자 측면의 변화를 살펴보면, 내향 중심성값은 생활지도 및 학급경영 영역에서 학년부장과 업무부장을 겸하고 있는 교원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양상으로 변화하였다. 교수․학습 영역에서도 학년부장과 업무부장을 겸하고 있는 교원의 중심성값이 높아지는 추세로 변화하였지만 2차에서는 예외적으로 두 학년의 전담 과목을 담당하고 교사가 스타로 나타났고, 교감의 중심성값도 높게 나타났다. 학교경영 및 행정업무 영역에서는 1, 2차 모두 교감이 높은 중심성값을 가진 스타의 위치에 있었고, 교무부장이 그 뒤를 이었다. 개인 일상생활 영역에서는 다른 영역에 비해 평교사의 중심성값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1, 2차의 스타는 모두 평교사로서 교직 경력이 5년 이하로 나타났다. 사랑초등학교 교원들에 대한 의사소통 네트워크 변화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강원행복더하기학교 운영은 학교의 조직 문화를 변화시켰고, 의사소통 네트워크의 활성화로 이어졌다. 중간 놀이 시간 협의, 교사 학습의 날, 교사 동아리의 운영과 학년 중심의 학교경영 원칙은 교원 간의 관계를 강화하는 데에 효과를 발휘하였다. 둘째, 의사소통 네트워크의 구조 변화는 직무 영역에 따라 달라진다. ‘교수․학습 영역’과 ‘생활지도 및 학급경영 영역’은 동학년 교사들로 구성된 하위 집단이 잘 발달하였고, ‘학교경영 및 행정업무 영역’은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교원이 나타나는 구조로 변화하였다. 셋째, 1차와 2차 진단을 거치면서 가장 중심성값이 높은 핵심인물은 학교 내에서의 직위와 역할에 따라 변화하였다. 의사소통 패턴의 차이는 다양한 지위에 따라 주어진 역할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Leavitt, 1951: 39). 특히, 학년 중심의 학교경영에서 학년부장이라는 지위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핵심인물이 될 가능성을 높이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강원행복더하기학교 정책과 관련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학습은 가장 본질적인 교원의 직무이다. 교수․학습 영역 의사소통 네트워크가 가장 크고 활발한 것은 바람직하지만 동학년 담임교사와 교과 전담 교사가 함께 참여하여, 서로 교류하는 정보나 도움에 대한 질적 수준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둘째, 동학년을 중심으로 한 의사소통을 학년군으로 확대시켜 나아가야 한다. 셋째, 업무부장을 겸하고 있는 학년부장교사의 업무 부담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의사소통 네트워크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단위학교의 제도적인 지원과 학교장의 지도성 발휘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