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가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최영재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807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how the values of college students of beauty art major influence the career-decision making style, thereby laying the foundation for career guidance for college students of beauty art major to become a professional person. To achieve this aim, a survey was carried out on students of beauty art major (hair, skin esthetic, make-up, nail art) in colleg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between April and June 5, 2014, and 332 copies among them were selected as final subject of analysis. Collected data was used for SPSS 18.0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female students were the majority with 309 persons (92.0%), 99 respondents among them were senior students (29.5%), and 235 students (69.9%) responded that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the beauty art major was ‘because they had interest and aptitude’, implying that large percentage of students give priority to their interest and aptitude in selecting their major. Yet 181 students (53.9%) answered that ‘I did not take an aptitude test upon entering the college’, implying that still there are more colleges that do not administer an aptitude test. Presently, the skin esthetic was taken up by most students as a detailed major, with 181 students (53.9%), followed by majors of Make-Up, Hair, and Nail Art. Most desired field of employment after graduation was opening a personal shop or franchise shop, with 145 respondents (43.2%), followed by working at a hospital, the research or educational institute, department store or goods corporation. Sightly high percentage of respondents, 187 students (55.7%), said that they obtained esthetic-related national certificates. Second, it was revealed that factors for values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were values of material orientation, ego-realization orientation, practicality orientation, emotion-orientation, social-relation orientation, and consciousness-of-others orientation. Factors for satisfaction with major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included satisfaction with subjects, class, relation, and awareness; and factors for career maturity were purposefulness, decisiveness, preparedness, confidence, and independence. Factors for career decision-making were rationality, intuitiveness, and dependence. Third,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showed distinct corelation in terms of every factor for values, except for material-oriented and emotion-oriented values; and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and their career maturity showed distinct corelation in terms of all factors for values. Gratification with major of beauty art students and career maturity showed corelation in terms of every factor, except for satisfaction with the class. Satisfaction with majors and career maturity showed corelation in terms of every factor. Career decision-making style and career maturity also showed corelation in terms of all factors. Fourth, with regard to difference in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students in upper grades showed higher values of material orientation and ego-realization orientation, and consciousness-of-others orientation, and students in lower grades showed higher social relation-oriented values and emotion-oriented values. With regard to different values according to the specific major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material-oriented values and ego realization-oriented values were high in majors of skin esthetic, and social relation-oriented values and practicality-oriented values were high in majors of hair. Students who want to work at the research or educational institute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material orientation, ego-realization orientation, and social relation-orientation. With regard to the different satisfaction with majo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senior stud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majors, and students of skin esthetic or hair major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respect to different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senior students showed high career maturity, and students of skin esthetic or hair major showed high preparedness, and students who want to work at the research or educational institute showed high career maturity. With respect to different career decision-making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senior students, skin aesthetic majors, and students intending to work at the research or educational institutes showed high rationality in decision making. Fifth, the results of analysis of influence between values, satisfaction with majors,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tyle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are as follows.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were turned out to influence every factor for satisfaction with major and career maturity, especially the values of ego-realization orientation showed the biggest influence.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influence every factor for career decision-making style. Satisfaction with majors by beauty art college student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maturity, and it was analyzed that satisfaction with majors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every factor for career decision-making style. This research outcomes are significant in that it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a rational decision making concerning the career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by analyzing the impact of values of beauty art college students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tyle. Through this research, a career educational course for the right and accurate career decision-making by beauty art students, as well a 본 연구는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이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미용전공대학생이 전문직업인으로 나아가기 위한 진로지도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2014년 04월부터 06월 05일까지 수도권 지역의 미용전공대학생(헤어, 피부, 메이크업, 네일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분석 대상으로 332부를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의 빈도분석, 요인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은 여학생이 309명(92.0%)으로 높았으며, 학년은 4학년이 99명(29.5%)으로 나타났고 미용전공을 선택한 동기는 ‘관심과 적성이 있어서’가 235명(69.9%)로 나타나 학생들이 전공 선택 시, 자신의 관심과 적성을 고려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입학 시 ’적성검사를 받은 적이 없다’가 181명(53.9%)으로 아직 적성검사를 하지 않는 학교가 더 많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재 세부전공은 피부가 178명(53.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메이크업, 헤어, 네일 전공 순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취업희망분야는 개인 샵 또는 프랜차이즈 샵이 145명(43.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병원, 연구기관 또는 교육기관, 백화점 또는 제품회사의 순으로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관련 국가자격증을 취득하였다는 187명(55.7%)으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 요인은 물질지향 가치관, 자아성취지향 가치관, 실용지향 가치관, 감성지향 가치관, 사회관계지향 가치관, 타인의식지향 가치관으로 나타났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요인은 교과만족, 수업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으로 나타났으며, 미용전공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요인은 목적성, 결정성, 준비성, 확신성, 독립성으로 나타났다. 진로의사결정유형 요인은 합리적, 직관적,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과 전공만족도간에는 물질지향, 감성지향가치관을 제외한 모든 가치관 요인과 뚜렷한 상호관련성을 보였으며, 가치관과 진로성숙도간에는 모든 가치관 요인과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가치관과 진로의사결정유형 간에도 모든 가치관 요인과 상호관련성을 나타냈다. 전공만족도와 진로의사결정유형 간에는 수업만족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간에는 모든 요인에서 상호관련성을 나타냈다.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성숙도간에도 모든 요인에서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넷째,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치관의 차이는 고학년일수록 물질지향, 자아성취지향, 타인의식지향 가치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저학년일수록 사회관계지향, 감성지향 가치관이 높게 나타났다. 전공에 따른 가치관의 차이는 물질지향과 자아성취지향 가치관은 피부전공이 높았으며, 사회관계지향과 실용지향 가치관은 헤어전공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기관 또는 교육기관에 취업하고자 하는 학생은 물질지향, 자아성취지향, 사회관계지향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는 고학년일수록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헤어·피부 전공학생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는 고학년 일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피부나 헤어전공학생이 다른 전공학생에 비해 높은 준비성을 보였으며, 연구기관 또는 교육기관에 취업하고자 하는 학생의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의사결정의 차이는 고학년과 피부 전공자, 연구기관 또는 교육기관에 취업하고자 하는 학생에게서 합리적 의사결정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 진로의사결정유형간의 영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은 전공만족도, 진로성숙도의 모든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가장 많은 영향력을 보인 것은 자아성취지향 가치관으로 나타났다.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은 진로의사결정유형의 모든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용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도는 진로의사결정유형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용전공대학생의 가치관에 따른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미용전공대학생의 합리적인 진로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미용전공대학생의 바르고 정확한 진로결정을 위한 진로교육과정 개발과 향후 전문직업인으로써 직무만족 향상 및 자부심 고취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미용 산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피부미용사 직무분석을 위한 국가자격제도에 관한 연구

        김혜련 서경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9791

        국 문 요 약 피부미용사 직무분석을 위한 국가자격제도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한국 산업인력공단이 제시한 미용사(피부)교육훈련과정의 교과편성에 대한 피부미용관련자들의 만족도와 실무능력과 전문성간의 영향관계 존재여부와 과목별 영향력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여 자격제도 및 각 교육훈련기관별 피부미용사 인재양성의 전략 및 커리큘럼 구성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가역량체계(NQF)기반의 외국 피부미용사 자격제도와 비교해보고 피부미용 관계자들이 미용사 (피부) 국가자격제도에 대해 실제로 원하는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피부미용사 국가자격제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울·경기 및 대구·경북지역의 피부미용관련 실무자와 학생, 교수 총600명에게 직접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총542부의 설문지가 수거되었으며, 누락·훼손·불성실기재 등의 65부를 제외한 총 477부가 연구에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산업인력공단이 제시한 미용사(피부)교육훈련과정 교과목 중에 개인적 기초직업능력은 전문성과 피부미용 시술실무에 영향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술적 기초직업능력은 고객 상담 및 관리 실무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거의 모든 교과목들은 응답자들이 실제 보유한 전문성과 실무능력과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이러한 교육훈련과정이 피부미용사 실무능력과 전문성에 매우 긍정적인 교과목들로 구성되어있고 실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조건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실증한 것으로 자격제도나 교육훈련 등에 활용되고 주기적으로 보완 개발되어서 변화하는 산업현장의 요구를 반영해야 할 것이다. 반면에 피부미용 관련자들이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지식·기술적인 측면의 인지적 요소로 한정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책임·열정·자기개발·대인 관계적 요소 등을 포함하는 정의적 요소와 관계적 요소를 포함하는 전문성으로의 인식전환을 통해 피부 미용직이 전문직으로서 사회적으로 당당히 평가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할 필요성이 보인다. 둘째, 현장의 피부미용관련자들에게 한 설문조사 결과 미용사(피부) 국가자격제도의 자격수준을 최소한 3단계 수준으로 체계화 시킬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시자격요건에 있어서는 최소 900시간미만의 수업이수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검정 방법은 현재 자격검정 방법에 실무과정 실습을 필히 병행해야 할 필요성이 가장 크며 또한 2-3단계의 자격수준이 구성될 경우 필기·실기의 심화과정 평가에 케이스연구논문과 구술시험과정을 도입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피부미용사 종목은 현재 그대로 한 종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부미용 관련자들이 필요로 하는 피부미용사 국가자격검정에 추가로 도입하여야 할 교과목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교과목들은 산업현장의 피부미용 실무에 매우 필요한 과목들로 자격 검정과목에 선택적으로 반영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이고 세분화한 직무분석과 그것을 표준화시켜 자격검정이나 교육훈련에 적용했을 때 교과목별 적용 될 검정방법의 적합성이나 교육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에센셜 오일이 피부미용사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자각증상 및 혈액지표를 기준으로

        이인희 서경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9775

        현재 에센셜오일의 특수한 효능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에센셜오일이 피부미용사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피부 관리실에서의 에센셜오일 노출 시간에 따른 피부미용사의 자각증상 및 생리학적 변화를 조사하여 피부미용사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피부미용사의 자각증상에 따라 에센셜오일이 피부미용사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혈액지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실험결과를 분석하여 에센셜오일의 안전성을 확립하고 에센셜오일이 원인이 되어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조사는 아로마테라피 관리경력에 따른 피부미용사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2009년 2월 23일부터 3월 14일까지 20일간 서울, 경기, 광주, 부산지역에 피부관리실을 직접 방문하여 아로마테라피 관리경력에 따른 피부미용사를 대상으로 300부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설문지 12부를 제외하고 총 288부의 자료를 최종으로 분석하였으며, 실험 연구는 30대 일반여성 12명과 아로마테라피 관리경력 6년~9년 미만의 30대 피부미용사 12명 등 총 24명을 선정하여 2009년 5월 1일부터 6월 17일까지 혈액지표 변화를 조사 하였다. Currently, the special effects of essential oil are being researched in different ways, but the research of the influence of essential oil on estheticians' health is short.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estheticians' subjective symptoms and physiological changes by the time they are exposed to essential oil in skin care shops, and further, it studied the symptoms that can be found in estheticians. Based on estheticians' subjective symptoms, it measured the influence of essential oil on estheticians' health, using blood indices, a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esting results, it proposed the necessary data for formulating the safety of essential oil and preventing the symptoms resulting from essential oil. In order to analyze estheticians' health status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working on aroma therapy, it visited skin care shops in Seoul, Gyeonggi, Gwangju, and Busan for 20 days from February 23 to March 14, 2009, and distributed 300 questionnaires to estheticians.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12 insincerely replied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and a total of 288 questionnaires were finally analyzed. 12 general women in 30s and 12 estheticians in 30s having the experience of working on aroma therapy for 6~9 years were chosen for the experiment on the changes in blood indices from May 1, 2009 to June 17.

      • 미용심리치료를 위한 자가 미용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김영란 서경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자가 미용교육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사회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과 미용심리치료를 위한 자가 미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1차 연구 대상자는 서울 및 경기도와 대전 및 충청도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07명을 대상으로 2009년 3월15일부터 3월 30일까지 1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차 실험 대상자는 대전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여대생 30명을 대상으로 7주간 미용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인구통계학적 특성, 미용에 대한 일반적 인식 및 태도, 미용관심도,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이해, 스트레스, 전체프로그램 만족도, 내용만족도, 실천도에 대한 문항을 포함하여 1차 설문지와 2차 프로그램 만족도 설문지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SPSS WIN 1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ronbach's alpha, 요인분석, K-means 군집분석, 다중회귀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1. 미용에 대한 일반적 인식 및 태도에서의 결과는 희망하는 관리유형은 피부관리, 선호하는 관리 유형은 체형관리, 미용지식은 약간 안다가 가장 높았다. 미용관리에 대한 월비용은 월3∼5만원이 가장 많았고, 미용관리에 대한 지식 정보는 인터넷 검색, 미용용품 구입처는 화장품 전문점, 미용제품 구입 시기는 제품 필요시 구입한다가 가장 높게 응답 조사되었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용의 목적은 자기만족이 가장 높았고, 취업, 이성, 건강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 학년, 용돈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전공과 월수입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미용관심도 요인에 따른 사회 심리적 변인에서의 결과는 미용관심도에 대한 집단 간 미용관심도의 차이는 네일요인, 피부요인, 헤어요인, 화장요인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군집분석에 의해 네일관심 집단, 무관심 집단, 피부화장 관심집단, 헤어관심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미용관심도 집단에 대한 자아존중감은 부정 자아존중감과 긍정 자아존중감으로 구분되어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인관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는 자기이해, 타인이해, 의사소통이해, 관계이해로 명명하였고,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스트레스는 교우스트레스, 이성스트레스, 취업스트레스로 구분하여 명명하였고,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미용관심도가 사회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아존중감과 미용관심도 요인과의 관계에서는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피부와 헤어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정 자아존중감에는 피부와 헤어가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네일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에서는 자기이해에 대한 결과 네일과 화장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타인이해에서는 피부, 헤어가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네일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이해에서는 피부와 헤어, 화장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관계 이해에 대한 분석 결과는 피부와 헤어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에서는 교우 스트레스에는 피부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이성 스트레스에 피부와 헤어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취업 스트레스에는 피부와 네일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화장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4. 자가 미용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미용관심도는 피부, 헤어, 네일, 화장의 순으로 차이가 있었고, 미용관심도의 전체 평균도 크게 높아져 교육프로그램의 참여가 여대생들의 전반적인 미용관심도를 높아지게 함을 알 수 있었다. 자아존중감은 모두 유의한 결과로 프로그램 실시 후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낮아지고,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대인관계의 차이는 자기이해, 타인이해, 의사소통이해, 관계이해의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조사되어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스트레스의 결과에서도 교우관계, 이성, 취업의 스트레스가 낮아지고, 전체적인 스트레스 평균도 낮아져 자가 미용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스트레스 감소의 효과가 나타났다. 5. 전체프로그램 만족도에서 자가 미용프로그램 중 가장 도움을 준 항목으로는 피부미용, 체형관리, 화장, 헤어, 네일, 이미지메이킹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내용 만족도 결과는 다른 자가 미용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희망, 교육 강사 만족, 다른 사람에게 자가 미용교육프로그램 추천, 교육내용, 본인 참여도 정도, 교육방법, 교육시간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교육내용 중에서 도움을 받은 문항은 피부의 안면 마사지교육, 헤어의 아이론 사용방법, 화장의 제품 사용 순서 교육, 네일의 손발마사지방법, 체형의 하체 미용체조, 이미지메이킹 교육의 이미지 기본교육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교육프로그램 실천도 결과는 피부의 안면 마사지와 화장의 제품 사 This study focuses on female universities students and aims to identify a self-beauty program’s effect on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and to develop Self-Beauty Program for Beauty Psychological Therapy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from 307 female students from universities in Seoul, Gyonggi and Daejeon, Chung Cheong from March 15th 2009 to March 30th for the first group. The second group's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from 30 female freshmen students from universities in Daejeon during 7 weeks by beauty educating program. The program consists of hair care, skin care, make-up care, nail care, body care and image making care. The first questions were composed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eral cognition and attitude of beauty, beauty concer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The second questions were composed of beauty concer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ress. program satisfaction, program contents satisfaction and program practice. For this study, the data used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x²-test, K-means cluster analysis,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correlations with SPSS WIN 16.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below: 1. For the general cognition and attitude of beauty, the most hopeful beauty care type was skin care, the most preferable beauty care type was body care, asking beauty knowledge was I know some, monthly cost for beauty care was 30,000-50,000 won, how to get information of beauty care was internet search, place for purchasing the cosmetic was cosmetics store, time for purchasing the cosmetic was when I need. The highest factor among beauty purposes was self satisf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rea, grade and pocket money, while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jor and monthly income. 2. In the result of social-psychological variable by beauty concer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ail factor, skin factor, hair factor, and make up factor. This data was divided by K-means cluster analysis as group of nail concern, no concern, make up concern, and hair concern. Self-esteem was named as positive self-esteem and negative self-esteem by beauty concern group.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named as self-understanding, others-understanding, communication-understanding, relationship-understanding by beauty concern group and all factor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Stress was named as friendship-stress, sexual-stress, job-stress and all factor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3. Between self-esteem and beauty concern factors, showed skin and hair have positive effect to positive self-esteem and have negative effect to negative self-esteem. Nail has positive effect to negative self-esteem. In self-understanding, nail and make-up have positive effect. In others-understanding, skin and hair have negative effect and nail have positive effect. In communication-understanding, skin, hair, make-up have positive effect. In relationship-understanding, skin and hair have negative effect. In stress, skin has negative effect on friend-stress. In sexual- stress, skin and hair have negative effect. In occupation-stress, skin and nail have negative effect while make-up has positive effect. 4. After the beauty program,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beauty concer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the negative self-esteem was decreased and positive self-esteem was increased in self-estee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understanding, others- understanding, communication-understanding and relationship-understanding. It affected positively on increased mak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Friend stress, sexual stress, and occupation stress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after the program. 5. In the program satisfaction, the most beneficial activities of self- beauty program was skin care. In program contents, the most helpful program content was the skin massage for face, followed as instruction of iron for hair, order of make-up, hand and foot massage for nail. lower part exercise for body and basic program for image. The most practicable activity of the program was facial massage and order of make up. 6. There is a significant interrelation among total satisfaction and program practice, beauty concern. The beauty concern has interrelation with program satisfaction and program practice. Also all program satisfaction has a high interrelation with program practice.

      • 피부미용실의 서비스품질이 거래신뢰와 점포몰입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태희 서경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9775

        ABSTRACT Effects of Service Quality at Skin Care Shops on Business Confidence, Store Devotion and Loyalty This study is aimed at suggesting concrete ways to vitalize desirable management of skin care shops by cultivating abilities to handle various desires of customers, improving functions to be faithful toward jobs and effectively coping with customer desires. For the purpose, I looked into effects of service quality at those stores on business confidence, store devotion and loyalty. I conducted surveys about male and female adults who were taking or have taken cares at skin care shops to analyze processes that each factor of skin care shop service quality affected business confidence (service confidence, customer orientation and satisfaction) and made customers highly perceiving shop devotion ultimately forming loyalty toward service providers. A verification analysis was made through SPSS 18.0 and AMOS 16.0 using 530 copies of questionnaires. About effects of service quality on business confidence, I found that the factor of expertise had the strongest effect on the factor of service confidence and that professional techniques and knowledge provided by skin care experts had the strongest effect on customer confidence. Price had positive effects on all of service confidence, customer orientation and satisfaction. In the meantime, service confidence out of factors of business confidence had positive effects on customer orientation and satisfaction, while customer orientation had indirect positive effects on satisfaction. Business confidence had positive effects on store devotion and the factor of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other factors. If satisfaction with price of skin care service, techniques and service was higher, people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s with keener interest in skin care shops. Satisfaction out of business confidence had stronger effects on loyalty and store devotion had positive effects on loyalty. It seems that the influence of store devotion caused positive responses leading to larger confidence in loyalty because customers received skin care service and had positive effects on satisfaction. A modified model was proposed in order to find a significant route which didn't appear in this study model based on study models. I studied effects of three factors of service quality (physical factors, customer orientation and satisfaction) with independent variables on store devotion and loyalty using a modified index suggested by AMOS and found that only price influenced shop devotion and loyalty because six routes were added. I analyzed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of a causal relationship among those variables in order to know roles and connection of parameters, instead of direct connection between service quality and business confidence, store devotion and loyalty. I linked service confidence to the rel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factors and customer orientation and found that the factor of expertise had the strongest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I also linked customer orientation to the rel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factors and satisfaction and found that the factor of expertise had the strongest effect on satisfaction. I linked customer orientation and satisfaction to the relation among service confidence, store devotion and loyalty and found that they had the strong effect on store devotion. I linked satisfaction to the relation among customer orientation, store devotion and loyalty and found that customer orientation had the stronger effect on store devotion. I linked store devotion to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and loyalty and found that store devotion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I linked business confidence factors to the rel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factors and store devotion and found that the factor of expertise had the stronger effect. I linked business confidence factors to the rel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factors and loyalty and found that the factor of expertise had the stronger effect. When skin care service shop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formation of confidence, devotion and loyalty toward those stores got stronger. Therefore, skin care shops should establish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to prevent customers from leaving those shops through exactly understanding their unsatisfaction with facilities and service provided by workers and strengthening relations with individual customers. Those store also should develop human resources about inner customer satisfaction affect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provide high-quality service and convenience to customers. 본 연구는 피부미용실의 서비스품질이 거래신뢰와 점포몰입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조사하고 고객의 다양한 욕구에 대한 효율적으로 대처 능력 함양과 직무에 충실할 수 있는 기능을 향상시켜 고객의 욕구에 효율적으로 대처하여 피부미용실의 바람직한 경영활성화에 대하여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피부미용실의 서비스품질(물리적요인, 전문성, 가격)의 각 요인들이 거래신뢰(서비스신뢰, 고객지향성,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고객으로 하여금 점포몰입에 높게 인식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충성도를 형성하는 과정을 분석하고자 피부미용실을 현재 다니거나 다녔던 경험이 있는 성인 남‧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 530부를 이용하여 SPSS 18.0과 AMOS 16.0을 통한 실증분석이 이루어졌다. 서비스품질이 거래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전문성 요인이 서비스신뢰 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피부미용사에 의해 제공되는 전문기술과 전문지식 등 고객들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는 가장 큰 영향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가격은 서비스신뢰, 고객지향성, 만족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쉬 있다. 한편, 거래신뢰 요인 중 서비스신뢰는 고객지향성과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고객지향성이 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거래신뢰가 점포몰입에 정(+)의 영향을 나타났으며, 그 중 만족도 요인이 다른 요인들보다 높게 나타났고 피부미용실에 대한 가격, 기술, 서비스 등의 만족도가 높으면 현재 다니고 있는 피부미용실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거래신뢰 중 만족도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포몰입은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고객이 피부미용 서비스를 제공 받고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점포몰입의 영향력 또한 긍정적인 반응을 가져오면서 충성도에 대한 믿음이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연구모델에서 나타내어지지 않는 유의한 경로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정모형을 제시하였다. AMOS에서 제시하는 수정지수를 이용하여 독립변수의 3가지 요인의 서비스품질(물리적요인, 고객지향성, 만족도)을 종속변수인 점포몰입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결과 6가지 경로가 추가되어 서비스품질은 점포몰입, 충성도에 가격만 영향력을 보였고 서비스품질이 거래신뢰와 점포몰입 및 충성도에 직접적인 관련성보다는 그 매개변수의 역할과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이들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를 분석하였다. 서비스품질 요인들과 고객지향성 관계에 서비스신뢰를 매개하여 본 결과 전문성 요인이 고객지향성에 가장 높은 효과가 나타났고 서비스품질 요인들과 만족도 관계에 고객지향성을 매개하여 전문성 요인이 만족도에 가장 높은 효과가 나타났다. 서비스신뢰와 점포몰입, 충성도 관계에 고객지향성과 만족도를 매개하여 점포몰입에 높은 효과가 나타났으며 고객지향성과 점포몰입, 충성도 관계에서 만족도를 매개하여 본 연구결과 고객지향성은 점포몰입에 더 높은 효과가 나타났다. 만족도와 충성도 관계에 점포몰입을 매개하여 결과가 직‧간접효과도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품질 요인들과 점포몰입 관계에 거래신뢰 요인들을 매개하여 조사 한 결과 전문성 요인이 높은 효과가 나타났고 서비스품질 요인들과 충성도 관계에 거래신뢰 요인들을 매개하여 조사 한 결과 전문성 요인이 높은 효과가 나타났다. 피부미용 서비스업은 신뢰의 형성에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 결과 점포에 대한 몰입과 충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부미용실은 고객이 피부미용관리 시 시설 및 직원들에게 제공 받는 서비스 불만족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개별 고객과의 관계밀착을 통하여 고객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마케팅전략을 세우고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내부 고객만족에 대한 인적자원을 개발하여 우수한 서비스와 편익을 고객에게 제공한다.

      • 성인남성들의 외모성공지향에 따른 피부미용 및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박선애 서경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성인남성들의 외모성공지향에 따른 피부미용 및 화장품 구매행동, 외모만족도에 관한 연구로 피부미용 및 화장품 소비자는 여성이라는 고정관념이 아닌 남성들을 위한 다양화되고 세분화된 피부미용 및 화장품 시장의 마케팅 전략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에 거주하는 20-50대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인 정량분석과 집중 인터뷰 조사인 정성분석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정량분석은 설문지 458부를 이용하여 SPSSWIN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정성분석은 2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외모 성공지향에 따라 외모/성공 관심 집단, 외모/성공 자신감 집단, 무관심 집단으로 구분되었고, 외모/성공 관심집단이 피부지식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미용실 이용동기는 탄력관리와 피부결 관리, 스트레스 해소관리, 메디컬 시술 후 관리(재생)는 외모/성공지향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탄력관리는 차이가 없이 나타났고 피부결 관리 및 스트레스 해소관리는 외모/성공 관심 집단과 외모/성공 자신감 집단이 구분 없이 모두 높게 나타났고 메디컬 시술 후 관리(재생)는 외모/성공 자신감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피부미용실 이용의도는 외모/성공 관심이 있는 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피부미용 서비스 추구혜택으로 전문성/합리적 가격은 외모/성공 관심집단, 친절/신뢰성은 외모/성공 관심집단, 물리적환경과 예약시스템은 외모/성공 관심집단과 외모/성공 자신감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남성들의 화장품 소비가치는 기능적 가치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쾌락가치와 과시적 가치, 기능적 가치는 외모/성공 자신감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남성들의 화장품 구매 시 중요한 속성은 품질을 가장 중요 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화장품요구도도 가격의 다양성을 가장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들의 외모 성공지향에 따른 외모만족도, 얼굴에 변화를 원하는 부위의 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코높이, 코모양은 외모/성공 자신감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얼굴에서 변화를 원하는 부위 중에서는 피부상태가 가장 높은 관심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 성공 지향변인과, 화장품 소비가치, 화장품요구도, 화장품구매 시 중요시 생각하는 점의 특성의 경로는 외모 성공지향의 가시적 외모와 성공 추구는 남성화장품 소비가치의 쾌락가치, 과시적 가치, 기능적 가치에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직업적 성공과 외모자신감은 기능적 가치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화장품 소비가치의 쾌락가치와 과시적 가치는 남성화장품 요구도의 제품의 기능성과 가격의 다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적 가치는 제품의 기능성, 가격의 다양성, 구매환경 편이성 모두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화장품 요구도의 제품의 기능성은 화장품 구매 시 중요한 속성의 사용성, 품질, 가격, 브랜드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격의 다양성은 사용성, 품질, 가격, 향취에는 정의 영향을, 프로모션과 용기디자인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매환경편이성은 프로모션, 향취, 브랜드, 용기디자인에는 정의 영향을, 품질과 가격에는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적 외모이미지 및 남성이미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이상적 외모이미지로 20대와 30대 모두 타원형을 가정 선호하였으며 이유로는 20대는 인상 좋은(선한)얼굴형과 편안한 이미지의 응답이 가장 많았고, 30대는 인상 좋은(선한)얼굴형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남성이미지에서 내가 생각하는 꽃미남의 이미지는 20대는 여성스러움을 30대는 순수함과 귀여움을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관점에서의 꽃미남의 이미지는 20대와 30대 모두 꽃미남은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는다라고 생각하였고 그 이유로 20대는 편안한 인상, 30대는 신뢰감과 편안한 인상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점에서의 남성다움의 이미지는 20대와 30대 모두 리더쉽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관점에서의 남성다움의 이미지는 20대 와 30대 모두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는다라고 생각하였고, 그 이유로는 20대는 리더쉽, 30대는 리더쉽과 책임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30대가 생각하는 남성다움의 이미지 중 부정적인 이유로 부담스러움, 무식함이 50%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성인남성들의 화장품사용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피부미용 및 사회 이상적 남성외모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시점에서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성인남성들의 외모성공지향에 따른 피부미용 및 화장품에 대한 관심은 전반적으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외모만족도 및 얼굴에 변화를 원하는 부위 및 이상적 남성외모에 대한 생각들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진 것으로 보아 이제는 피부미용과 화장품, 외모만족도, 사회 이상적 남성외모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함께 여성의 전유물만

      • 미용전공 중국유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자아존중감에 따른 전공만족 및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허함옥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75

        세계적으로 불고 있는 한류 열풍의 영향력 아래, 최근 K-beauty를 배우고자 한국으로 유입되는 해외 유학생들이 급증하고 있으며, 그 중 중국유학생들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전공 중국유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자아존중감이 전공만족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 연구를 통해 알아봄으로서, 한국과 중국의 미용산업계의 핵심적 가교역할을 수행할 전문 미용인재로서 중국유학생들의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소재의 4년제 대학 미용학과에 재학 중인 중국유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불성실한 응답 21부을 제외한 총 399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IBM SPSS Statistics 25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전공 중국유학생의 일반적인 특성 중 한국어수준은 토픽(Topik) 등급은 3급, 4급이 가장 많았다. 한국에서의 미용 세부전공은 피부(49.1%), 메이크업(43.1%)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한국으로 유학 온 이유는 ‘한국의 미용기술을 배우고 싶어서’라는 응답이 57.4%로 가장 많았고, 한류 문화에 관심이 많거나(11.5%) 중국과 거리가 가까워서라는 의견(10.3%)이 그 뒤를 이었다. 또한 직장 선택 시 가장 중시하는 사항을 서열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1위는 ‘수입’, ‘개인발전성’, ‘회사규모, 장성’ 순으로 나타났고, 2위는 ‘수입’, ‘근무시간 및 근무환경’, 3위는 ‘개인발전성’, ‘근무시간 및 근무환경’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선택동기는 사회적 동기, 개인적 동기로 구분하였으며, 분석 결과 두 요인 모두 신뢰도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긍정적 자아와 부정적 자아로 구분하였으며, 분석결과 두 요인 모두 신뢰도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은 관계만족, 인식만족, 수업만족, 교과만족으로 구분하였으며, 분석 결과 네 요인 모두 신뢰도에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성숙도는 확신성, 준비성, 독립성, 목적성으로 구분하였으며, 분석 결과 네 요인 모두 신뢰도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전공선택동기와 자아존중감, 전공만족, 진로성숙도 사이에는 부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동기는 상관이 있는 모든 변수와 정(+)적 관계를 보인 반면, 개인적 동기는 상관이 있는 변수 중 부정적 자아를 제외한 모든 변수와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자아는 상관이 있는 모든 변수 중 목적성을 제외한 모든 변수와 부(-)적 관계를, 긍정적 자아는 상관이 있는 모든 변수와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만족은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 중 준비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요인들과 정(+)적 관계를, 인식만족은 진로성숙도의 모든 하위요인과 정(+)적 관계를, 교과만족은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 중 목적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요인들과 정(+)적 관계를 보였으며, 수업만족은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 중 확신성, 준비성과 정(+)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적 동기는 전공만족의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동기는 인식만족, 교과만족에만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개인적 동기가 사회적 동기보다 전공만족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개인적 동기는 진로성숙도의 목적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동기는 독립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긍정적 자아는 인식만족과 수업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자아는 인식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수업만족에는 부(-)적 영향이 있는 경향을 보였다. 일곱째, 긍정적 자아는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인 독립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자아는 확신성, 준비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목적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관계만족은 진로성숙도의 준비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고, 인식만족은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만족은 목적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였으며, 수업만족은 확신성과 준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전공선택동기에 있어서 사회적 동기보다는 개인적 동기가, 자아존중감에 있어서는 긍정적 자아가 전공만족 및 진로성숙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전공만족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국유학생들의 적성과 흥미를 고려하고, 개인의 역량과 소질을 증진할 수 있는 특화된 미용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또한 정규 교육과정 외에도 각종 미용대회 출전, 자격증 취득 등의 전공과 관련된 다양한 성취의 기회를 적극적으로 제공함으로서, 학교와 전공에 대한 소속감과 자긍심을 제고하고 중국유학생들의 긍정적인 자아형성을 위한 다각도의 지원체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With the spread of hallyu (the rise of Korea’s pop culture) around the world,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visiting the Republic of Korea to learn K-beauty has skyrocketed. Among them, Chinese students account for the largest portion.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otivations for selecting an academic major and self-esteem regarding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among Chines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using empirical research and suggests an effective plan to help them grow into professional cosmetologists who will play a key bridge role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smetology industrie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420 Chines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at 4-year universities in Seoul. Excluding 21 poorly answered ones, a total of 399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5.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levels 3 and 4 were the highest in terms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level. In terms of specific major, ‘skincare (49.1%)’ and ‘makeup (43.1%)’ were the highest. When asked why they came to the Republic of Korea, ‘to learn South Korea’s cosmetology skills (57.4%)’ was most responded, followed by ‘high interest in hallyu culture (11.5%)’ and ‘geographical closeness (10.3%)’. When asked what aspects are considered in choosing a job, ‘wage, personal development, size of company and future prospect’ was the most responded order, followed by ‘wage, working hours and working environment’ and ‘personal development, working hours and working environment’. Second, the motivations for selecting an academic major were divided into social and personal motives. According to the analysis, no reliability problem was found in either motive. Self-esteem was classifi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egos, and no reliability problem was observed in either factor. In addition, academic majors were categorized into relationship satisfaction, perception satisfaction, course satisfaction and curriculum satisfaction, and all four factors revealed no problem in reliability. Lastly, career maturity was divided into confidence, preparedness, independence and purpose, and no reliability problem was detected in any of the four factors. Third, regarding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a partial correlation was observed among motivations for selecting a job, self-esteem, academic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While social motives reveal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ll related variables, personal motive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ll variables but negative egos among the related ones. Negative egos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ll variables except purpose among the related variables while positive egos reveal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ll related variables. Relationship satisfactio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factors but preparedness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while perception satisfaction reveal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ll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Curriculum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factors but purpose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while course satisfaction reveal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nfidence and preparedness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Fourth, personal motives affected all sub-factors of academic major satisfaction while social motives had an influence on perception satisfaction and curriculum satisfaction only. In other words, personal motives are greater than social motives in terms of effect on academic major satisfaction. Fifth, personal motives had an effect on all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except purpose while social motives affected all sub-factors but independence. Sixth, positive egos revealed a positive influence on perception satisfaction and course satisfaction while negative egos had a negative effect. Seventh, positive ego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but independence while negative ego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confidence and preparedness but a positive effect on purpose. Eighth, relationship satisfaction affected all sub-factors of career maturity but preparedness while perception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all sub-factors. Curriculum satisfaction affected all sub-factors except purpose while course satisfaction had an influence on confidence and preparedness. The above results found that in motivations for selecting an academic major, personal motives were greater than social motives in terms of the effects of positive egos on academic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in self-esteem. Furthermore, as academic satisfaction increased, career maturity was higher. Based on the said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specialized cosmetology training programs to help Chinese students build their competence and skills, considering their aptitudes and interests. In addition, there should be a comprehensive support system to help them be engaged and proud of their school and major and help them develop positive egos by providing diverse career development opportunities in addition to school curriculum such as hairdressing competition and acquisition of license.

      • 피부미용사의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 조사

        권지혜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75

        ABSTRACT An Investigation of Practical Retraining Needs and Significance for Estheticians Kwon, Ji Hye Dept. of Beauty Arts, Major in Esthetic The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training of estheticians by categorizing in two groups of those estheticians in hospitals and general estheticians according to their work places in order to provide the basis for retraining program designing by understanding the needs and significance of the training they want. A survey was conducted on Estheticians from twenties to fifties working at a skin care shop in Seoul and Gyeonggi-do from May 10 to June 26, 2016. Collected data is being process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obtain frequency analysis, cross-correlation analysis, and statistical hypothesis test (t-test) using SPSS WIN 21.0 program.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general statistics of target group described that 406(98.3%) females, 257(62.2%) in their twenties, 221(53.5%) graduated two-year vocational colleges, 206(49.9%) work at shops in hospitals, 111(26.9%) work at private shops, 83(20.1%) work at franchised shops and 13(3.1%) work at shops in hotels and resorts. Secondly, the survey on retraining status differences of estheticians shows 42 persons(37.8%) at private beauty shops answered that the retraining is done by staff managers and shop managers while 33 persons(39.8%) at franchised shops answered that it is performed by staff, shop managers, and retraining managers. For those from shops in hospitals, 62(30.1%) by staff, shop managers and comparably high 61(29.6%) by retraining managers while 58(28.2%) answered that the retraining is provided by beauty product companies to show the difference. Commonly performed retraining consist of technical training (81 persons, 39.3%) and beauty knowledge education (63 persons, 30.6%) at shops in hospitals. Meanwhile, in general shops 65(58.6%) of private shops, 64(77.1%) of franchise shops, 7(63.6%) of shops in hotels and resorts answered that technical training is mostly performed, however, 15(13.5%) of private shops, 8(9.6%) of franchise shops answered beauty knowledge education is mostly done. Accordingl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general estheticians can achieve the balance between technical aspects and knowledge aspects by activating the retraining programs of beauty knowledge educations which were to be performed with relatively low proportions. Thirdly,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needs and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knowledge aspects required to perform facial care at shops in hospitals showed that the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Knowledge of acne’ (M=4.15), ‘Knowledge of effectiveness and usage of tools’ (M=4.04), ‘Knowledge of treatment and laser post-processing’ (M=3.96) in order while needs of retraining on ‘Knowledge of acne’ (M=4.08), ‘Knowledge of effectiveness and usage of tools’ (M=3.92), ‘Knowledge of treatment and laser post-processing’ (M=3.87) in order. Fourthly,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needs and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technical aspects required to perform facial care at shops in hospitals showed that both significance and needs of retraining on ‘Techniques of acne extrusion and management’ (M=4.22), ‘Techniques of treatment and laser post-processing’ (M=4.03), ‘Techniques of adequate tool usage for types of skin’ (M=4.03) in order. Fifthly,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needs and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customer and shop management at shops in hospitals showed that both significance and needs of retraining on ‘Education to improve consultation skills’ (M=3.99), ‘Customer service training’ (M=3.96), ‘Manners and personality education’ (M=3.84) in order. Such results indicate that the growing of medical skin care at beauty skin care market lead to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consulting skills and service skills on their work domain. Sixthly,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needs and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knowledge aspects required to perform facial care by general estheticians showed that the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Knowledge for accurate analysis of skin’ (M=4.21), ‘Knowledge of adequate management methods for skin types and product usage’ (M=4.14), ‘Knowledge of ingredients in cosmetic products’ (M=4.10) in order while needs of retraining on ‘Knowledge for accurate analysis of skin’ (M=4.02), ‘Knowledge of skin physiology and structure’ (M=3.95), ‘Knowledge of adequate management methods for skin types and product usage’ (M=3.92) in order. Sixthly,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needs and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technical aspects required to perform facial care by general estheticians showed that the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Techniques of adequate methods for acne management’ (M=4.14), ‘Techniques of adequate hand skills for facial outline management’ (M=4.10) in order while needs of retraining on ‘Techniques of combining new hand skills to personal skills’ (M=4.06), ‘Techniques of adequate methods for acne management’ (M=3.97), ‘Techniques of adequate hand skills for facial outline management’ (M=3.94) in order. Eighthly,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needs and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knowledge aspects required to perform body care by general estheticians showed that both significance and needs of retraining on ‘Knowledge of muscles and anatomic physiology’ (M=4.10), ‘Knowledge of adequate management methods for body types’ (M=4.04), ‘Knowledge of massage principles and beauty factors’ (M=4.02) in order. Ninthly,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needs and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technical aspects required to perform body care by general estheticians showed that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Techniques of hand skills for antepartum and postpartum care’ (M=4.22), ‘Techniques of adequate hand skills for slimming management’ (M=4.22), ‘Techniques of combining new hand skills to personal skills’ (M=4.20) in order while needs of retraining on ‘Techniques of hand skills for antepartum and postpartum care’ (M=4.09), ‘Techniques of combining new hand skills to personal skills’ (M=4.07), ‘Techniques of adequate hand skills for slimming management’ (M=4.02) in order. Tenthly,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needs and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customer and shop management for general estheticians showed that both significance and needs of retraining on ‘Education to improve consultation skills’ (M=4.23), ‘Trainings for smooth communications with customers’ (M=4.20), ‘Customer service training’ (M=4.13) in order. As a result, when conducting a retraining programs for estheticians, the programs are required to be activated and systematically designed with more diversity and depth by understanding of significance and needs of general estheticians and estheticians hospitals with in order to lead the trainings to improve the quality of individuals and success of beauty care shops to further develop domestic skin care market. 본 연구는 피부미용사를 근무지에 따라 병원 내 피부미용사와 일반피부미용사로 분류하여 그들의 실무재교육 실태가 어떠한지 파악하고 그들이 원하는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를 파악하여 피부미용 재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6년 5월 10일부터 6월 21일까지 서울 및 경기도 소재 피부관리실에서 근무하고 있는 20대에서 50대의 피부미용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회수된 420부 설문지 중 무응답이 있거나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7부를 제외한 41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결과 성별은 406명(98.3)이 여성이었고, 연령은 20대가 257명(62.2%), 학력은 전문대 졸업이 221명(53.5%)이였으며 현재 근무지는 병원 내 피부관리실 206명(49.9%), 개인 피부관리실 111명(26.9%), 프랜차이즈 피부관리실 83명(20.1%), 호텔 및 리조트 내 피부관리실 13명(3.1%)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부미용사의 실무재교육 실태 차이 조사결과 개인 피부관리실은 42명(37.8%)이 실장 및 점장이 재교육을 담당한다고 하였고 프랜차이즈 피부관리실은 33명(39.8%)이 동일하게 실장과 점장, 그리고 교육 담당자가 실무재교육을 담당한다고 응답하였다. 병원 내 피부관리실은 실장 및 점장이 62명(30.1%), 교육담당자가 61명(29.6%)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지만 제품회사가 재교육을 담당한다고 58명(28.2%)이 응답하여 차이를 보였다. 많이 실시하는 실무재교육 내용으로 병원 내 피부관리실은 기술교육이 81명(39.3%), 피부지식 교육이 63명(30.6%)으로 기술교육과 더불어 피부지식 교육의 비중도 높게 나왔지만 일반 피부관리실의 경우 개인 피부관리실 65명(58.6%), 프랜차이즈 피부관리실 64명(77.1%), 호텔 및 리조트 내 피부관리실 7명(63.6%)이 기술교육을 많이 실시한다고 하였고, 개인 피부관리실 15명(13.5%), 프랜차이즈 피부관리실 8명(9.6%)이 피부지식 교육을 많이 실시한다고 응답하여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일반 피부미용사의 비교적 낮은 비중의 피부지식 향상을 위한 실무재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일반 피부미용사의 기술적 측면과 지식적 측면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셋째, 병원 내 피부미용사의 페이스관리 시 필요한 지식적 측면의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의 차이 분석결과, 실무재교육 중요도는 ‘여드름에 대한 지식’(M=4.15), ‘기기 사용법 및 효능에 대한 지식’(M=4.04), ‘시술 및 레이저 후처리에 대한 지식'(M=3.96) 순으로 나타났으며 실무재교육 요구도는 ‘여드름에 대한 지식’(M=4.08), ‘기기 사용법 및 효능에 대한 지식’(M=3.92), ‘시술 및 레이저의 원리와 효능에 대한 지식'(M=3.8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병원 내 피부미용사의 페이스관리 시 필요한 기술적 측면의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의 차이 분석결과,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는 ‘여드름 압출과 관리에 대한 기술’(M=4.22), ‘시술 및 레이저 후처리에 대한 기술’(M=4.03), ‘피부유형별 알맞은 적절한 기기사용의 기술'(M=4.0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병원 내 피부미용사의 고객 및 운영관리 측면의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의 차이 분석결과,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는 ‘상담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M=3.99), ‘서비스 교육’(M=3.96), ‘인성 및 예절을 위한 교육'(M=3.8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피부미용 시장의 메디컬 스킨케어 분야가 커짐에 따라 병원 내 피부미용사의 직무영역이 상담능력과 서비스 능력까지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여섯째, 일반 피부미용사의 페이스관리 시 필요한 지식적 측면의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의 차이 분석결과, 실무재교육 중요도는 ‘정확한 피부분석을 위한 지식’(M=4.21), ‘피부유형별 알맞은 관리방법 및 제품 사용에 대한 지식'(M=4.14), ‘화장품 성분에 대한 지식'(M=4.10)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실무재교육 요구도는 ‘정확한 피부분석을 위한 지식’(M=4.02), ‘피부생리 및 구조에 대한 지식'(M=3.95), ‘피부유형별 알맞은 관리방법 및 제품 사용에 대한 지식'(M=3.92)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일반 피부미용사의 페이스관리 시 필요한 기술적 측면의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의 차이 분석결과, 실무재교육 중요도는 ‘여드름관리에 알맞은 적절한 관리방법의 기술’(M=4.14), ‘윤곽관리에 알맞은 적절한 수기 테크닉의 기술’(M=4.12), ‘본인의 수기테크닉에 새로운 테크닉을 접목 시키는 기술'(M=4.10)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실무재교육 요구도는 ‘본인의 수기테크닉에 새로운 테크닉을 접목 시키는 기술’(M=4.06), ‘여드름관리에 알맞은 적절한 관리방법의 기술’(M=3.97), ‘윤곽관리에 알맞은 적절한 수기 테크닉의 기술'(M=3.9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여덟째, 일반 피부미용사의 바디관리 시 필요한 지식적 측면의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의 차이 분석결과,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는 ‘근육 및 해부생리에 대한 지식’(M=4.10), ‘바디유형별에 알맞은 관리방법에 대한 지식'(M=4.04), ‘경락의 원리와 미용변인에 대한 지식'(M=4.02)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홉째, 일반 피부미용사의 바디관리 시 필요한 기술적 측면의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의 차이 분석결과, 실무재교육 중요도는 ‘산전, 산후관리를 위한 수기 테크닉의 기술’(M=4.22), ‘슬리밍관리에 알맞은 적절한 수기 테크닉의 기술’(M=4.22), ‘본인의 수기테크닉에 새로운 테크닉을 접목 시키는 기술'(M=4.20)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실무재교육 요구도는 ‘산전, 산후관리를 위한 수기 테크닉의 기술’(M=4.09), ‘본인의 수기테크닉에 새로운 테크닉을 접목 시키는 기술’(M=4.07), ‘슬리밍관리에 알맞은 적절한 수기 테크닉의 기술'(M=4.02)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열 번째, 일반 피부미용사의 고객 및 운영관리 측면의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의 차이 분석결과,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는 ‘상담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M=4.23), ‘고객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교육’(M=4.20) ‘서비스 교육'(M=4.1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피부미용사를 위한 실무재교육 프로그램을 진행 할 시 병원 내 피부미용사와 일반 피부미용사가 중요하게 생각하고 요구하는 실무재교육을 파악하여 좀 더 다양하고 심층적인 재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활성화 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재교육의 결과가 교육으로 그치지 않고 피부미용사의 자질 향상과 피부관리실에 좋은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실무재교육이 이루어진다면 국내 피부미용시장은 한층 더 발전 할 수 있을 것이다.

      • 피부미용실 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서비스회복의 매개효과

        최민지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피부미용실 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의 관계에서 서비스회복의 매개효과를 갖는지 연구하여, 효과적인 피부미용 서비스회복 시스템을 구축하고, 고객만족을 위한 차별적, 효율적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피부미용실을 이용하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2018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불완전한 응답지 66부를 제외한 334부를 유효자료로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미용실을 이용하는 성인 여성의 일반적 특성 조사결과 성별은 334명(100%), 연령은 40대 106명(31.7%), 학력은 전문대 졸업(재학) 116명(34.7%), 직업은 주부 97명(29.0%), 1회 피부미용 서비스 평균비용으로는 3∼5 만원 152명(45.5%), 정보습득경로는 타인의 추천 및 권유 131명(39.2%), 서비스 불만족 경험여부는 334명(100%)이 다수로 조사되었다. 둘째, 서비스실패에 대한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인적서비스실패, 시스템적서비스실패, 물적서비스실패 3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회복에 대한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무형적서비스회복, 유형적서비스회복 2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객만족의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고객만족 단일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변수 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서비스실패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 간의 상관관계에서 인적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이 부(-)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시스템적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도 부(-)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물적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은 정(+)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서비스실패 하위요인과 서비스회복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는 인적서비스실패와 무형적서비스회복, 인적서비스실패와 유형적서비스회복, 시스템적서비스실패와 무형적서비스회복은 부(-)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시스템적서비스실패와 유형적서비스회복, 물적서비스실패와 무형적서비스회복, 물적서비스실패와 유형적서비스회복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매개변수인 서비스회복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는 무형적서비스회복과 유형적서비스회복이 정(+)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고, 종속변수인 고객만족과 서비스회복 하위요인인 무형적서비스회복과 유형적서비스회복은 모두 고객만족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피부미용실 서비스실패 중 인적서비스실패(β=-.315, P<.001)가 고객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시스템적서비스실패는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일곱째, 서비스실패가 무형적서비스회복(서비스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서비스실패의 하위요인 중 인적서비스실패(β= -.301, P< .001)가 무형적서비스회복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물적서비스실패(β= 0126, P< .05)가 무형적서비스회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적서비스실패는 무형적서비스회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피부미용실 서비스실패 중에서 인적서비스실패가 높아질수록 무형적서비스회복을 취하는 행동이 낮아짐을 의미하며, 물적서비스실패가 높아질수록 무형적서비스회복을 취하는 행동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여덟째, 서비스실패가 유형적서비스회복(서비스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서비스실패 하위요인 중 인적서비스실패(β= -.303, P< .001)가 무형적서비스회복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물적서비스실패(β= .282, P< .001)가 무형적서비스회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적서비스실패는 유형적서비스회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피부미용실 서비스실패 중에서 인적서비스실패가 높아질수록 유형적서비스회복을 취하는 행동이 낮아짐을 의미하며, 물적서비스실패가 높아질수록 무형적서비스회복을 취하는 행동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아홉째, 서비스회복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서비스회복 중 무형적서비스회복(β= .618, P< .001)과 유형적서비스회복(β= 0.294, P< .001)이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서비스실패를 수정하기 위한 서비스회복이 높아질수록 고객만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열째, 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 관계에서 무형적서비스회복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인적서비스실패 β= .-098, P< .01로 고객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며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열한째, 시스템적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무형적서비스회복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단계별 조건에 충족되지 못해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열두째, 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무형적서비스회복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물적서비스실패는 독립변수가 2단계 검증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왔으나 3단계 검증에서 매개변수가 투입되면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피부미용실 물적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무형적서비스회복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열세째, 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유형적서비스회복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인적서비스실패 (β= .149, P< .01)로 고객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며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열네째, 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유형적서비스회복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시스템적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유형적서비스회복의 매개효과는 단계별 조건에 충족되지 못해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열다섯째, 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유형적서비스회복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물적서비스실패는 독립변수가 2단계 검증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왔으나 3단계 검증에서는 매개변수가 투입되면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피부미용실 물적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유형적서비스회복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피부미용실 서비스실패와 고객만족과의 관계에서 서비스회복이 필요하며 고객만족 향상을 위해 무형적서비스회복과 유형적서비스회복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피부미용산업에서 서비스회복방안과 서비스실패를 예방할 수 있고 이를 피부미용산업 관계자들이 이해하여 피부미용시장의 안정된 확장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service recover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sthetic salon service failure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aims to build the effective skin care service recovery system and to help differentiate and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June 1, 2018 to June 30, 3018 for adult women who use the esthetic salon, and 334 copies were used as the effective data except for 66 copies that were incomplet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21.0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women who use the skin beauty salon are as follows. 334 (100%) identify themselves as female for gender, 106 (31.7%) are in their 40s, 116 (34.7%) graduated from (or attend) college and 97 (29.0%) were housewives for occupation. 152 (45.5%) checked 30 to 50 thousand won for the average cost of one-time skin beauty service, 131 (39.2%) checked recommendation and suggestion by others for way to get information, and 334 (100%) experienced service dissatisfaction. Second, there are three factors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of the service failure, human service failure, systemic service failure, and material service failure. Third, there are two factor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n service recovery, intangible service recovery and tangible service recovery. Fourth,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satisfaction was the single factor. Fifth,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the correlations between subfactors of service failures were positive (+),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 service failure and customer satisfaction was negative (-)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rvice failure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material service failure and customer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 correlat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service failure and the subfactors of the service recovery, human service failure and intangible service recovery, human service failure and tangible service recovery, systematic service failure and intangible service recovery were negatively (-) correlated. And systemic service failure and tangible service recovery, material service failure and intangible service recovery, material service failure and tangible service recovery were positively (+) correlated. In addition,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service recovery which are parameters, intangible service recovery and tangible service recovery were positively (+) correlated. All three of customer satisfactio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and both intangible service recovery and tangible service recovery, which are subfactors of service recovery, are positively (+) correlated with customer satisfaction Sixth, in the beauty salon service failure, human service failure (β=-.315, P<.001) had negative (-)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systematic service failure did no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Therefore, the more human service failures in the beauty salon, the lower the customer satisfaction. Seventh,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ervice failure on intangible service recovery (service recovery), in the subfactors of the service failure, human service failure (β=.301, P<.001) has a negative (-) effect on intangible service recovery, and material service failure (β=.126, P<.05) has a positive (+) effect on intangible service recovery. Systemic service failure did not affect intangible service recovery. Therefore, it means that in the beauty salon service failure, the higher the human service failure, the lower the action to recover intangible service. Eighth,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service failure on tangible service recovery (service recovery), in the subfactors of the service failure, human service failure (β=-.303, P<.001) has a negative (-) effect on intangible service recovery, and the systemic service failure did not affect tangible service recovery. Therefore, it means that in the beauty salon service failure, the higher the human service failure, the lower the behavior to take tangible service recovery. Ninth,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ervice recovery on customer satisfaction, in service recovery, intangible service recovery (β=.618, P<.001) and tangible service recovery (β=0.294, P<.001)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service recovery behavior to correct the service failure, the higher the customer satisfaction. Tenth,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angible service recovery in relation to service failure and customer satisfaction, human service failure (β=.-098, P<.01) had a negative (-)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presented. Eleventh,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angible service recovery in relation to systemic service failure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condition by step was not satisfied and the mediating effect could not be confirmed. Twelfth,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angible service recovery in relation to service failure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case of material service failure, the independent variable showed the meaningful result in the two-step verification. However,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with the parameter in the third-step verification. Therefore, it was analyzed that intangible service recovery has a ful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material service failure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beauty salon. Thirteenth,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angible service recovery in relation to service failure and customer satisfaction, human service failure (β=.-149, P<.01) had a negative (-)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presented. Fourteenth,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angible service recovery in relation to service failure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condition by step was not satisfi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angible service recove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stemic service failure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could not be confirmed. Fifteenth,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angible service recovery in relation to service failure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case of material service failure, the independent variable showed the meaningful result in the two-step verification. However,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with the parameter in the third-step verification. Therefore, it was analyzed that tangible service recovery has a ful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material service failure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esthetic salon.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recover the servi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failure in the skin esthetic salon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it is confirmed that intangible service recovery and tangible service recovery are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It is hoped that the skin beauty industry prepare the service recovery plan and the service failur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hrough this study. Moreover, it is hoped that the concerned parties understand it and expand the beauty market steadily with this study.

      • 중국 피부미용실의 관리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손정정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설문조사 된 데이터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이론화하며 중국 피부미용실 시장의 정확한 실태를 알아보고 관리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중국 피부 미용실의 더 발전된 관리 운영적인 부분 및 서비스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설문에 앞서 중국 일부지역에서 피부미용실 관리자 10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2015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해 설문지 400부 중 불성실한 답변과 기타 원인의 29부를 제외하고, 371부를 본 연구를 위한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피부미용실 미용자의 일반적 특성과 피부미용실 특성에 따른 인적 서비스, 물적 서비스, 경쟁역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Scheffe의 다중범위 검정(Scheffe's multiple range test)을 통하여 p<.05에서 유의한 차이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은 ‘여자’가 77.6%로 여자가 가장 높고, 연령은 ‘40대’ 40.2%, 결혼상태는 ‘기혼’이 70.6%, 최종학력은 ‘고졸 이하’가 79.8%로 가장 많았으며, 피부미용 관련 자격증이 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29.6%로, 이 중 ‘사설기관 인증자격증’이 59.1%로 높게 조사되었다. 피부미용실 직원 수는 ‘5-10명 미만’ 38.8%, 면적은 ‘90-150평 미만’ 38.0%, 정기적인 회원수는 ‘500명 이상’ 63.1%, 피부미용실의 가장 큰 기본지출로는 ‘마케팅’항목이 58.2%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여주었다. 둘째, 인적 서비스 전체의 평균은 2.95로, ‘응답성’(M=3.02), ‘전문성’(M=2.98), ‘만족성’(M=2.90) 순으로 인적 서비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적 서비스 전체의 평균은 2.82로, ‘위생성’(M=2.98), ‘확신성’(M=2.91), ‘유형성’(M=2.80), ‘신뢰성’(M=2.63) 순으로 물적 서비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역량 전체의 평균은 2.76으로, ‘재무 및 회계자원 중요역량’(M=2.89), ‘인적자원, 조직미용 중요역량’(M=2.88), ‘피부미용실 마케팅능력역량’(M=2.77), ‘피부미용미용 기술자원, 무형자원역량’(M=2.57) 순으로 경쟁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부미용실 관리자의 연령에 따른 경쟁역량의 차이와 피부미용실 마케팅능력역량은 연령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고, 연령은 30대 이하의 경쟁역량이 가장 높았고, 재무 및 회계자원 중요역량은 연령 역시 30대 이하(M=2.95)가 가장 높았다. 피부미용실 마케팅능력역량은 연령이 30대 이하(M=2.83)가 피부미용실 마케팅능력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물적 서비스 분석결과 위생부분의 개선사항 중에서 ‘고객 가운, 시트, 헤어밴드 세척’이 50.1%, ‘미용기기 및 물품’ 35%, ‘화장품에 대한 신뢰성’ 9.7%, ‘직원의 청결’ 5.1% 순으로 ‘고객 가운, 시트, 헤어밴드 세척’이 개선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피부미용실 이용 시 고객이 느끼는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위생과 소독의철저’ 중요도가 가장 높았다. 여섯째, 경쟁역량 전체의 평균은 2.76으로, ‘재무 및 회계자원 중요역량’(M=2.89), ‘인적자원, 조직미용 중요역량’(M=2.88), ‘피부미용실 마케팅능력역량’(M=2.77), ‘피부미용미용 기술자원, 무형자원역량’(M=2.57) 순으로 경쟁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재무 및 회계자원 중요역량은 ‘적정규모의 유동자금을 보유 하고있다’(M=2.99)로 높았고, 인적자원, 조직미용 중요역량은 ‘우수한 피부미용미용 인적자원이 확보되어있다’(M=3.00)로 높았다. 피부미용미용 기술자원, 무형자원역량은 ‘피부미용실의 경쟁력 선진화 되어 있다’(M=2.66), ‘피부미용실 장비의 현대화 정도가 높다’(M=2.66)로 높았으며, 피부미용실 마케팅능력역량은 ‘피부미용실의 광고 및 홍보능력이 높다’(M=2.94)로 피부미용실 마케팅능력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역량으로는 마케팅의 변화와 관계마케팅의 도입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중국 피부미용실 피부미용실의 실태와 피부미용실을 이용하는 고객의 성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 중국 피부미용실 관리 운영과 인적 서비스, 물적 서비스, 경쟁 역량의 차이를 분석하며, 향 후 더욱 전문적, 세부적으로 발전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중국의 피부 미용실 운영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Study on the state of management condition of beauty parlors in China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base data for ameliorating service and general management condition of Chinese beauty parlors through proper information provision for managers. It also aims at comprehending the actual state of Chinese beauty parlor market by statistical analysis and systematic theorization of survey data. It executed a preliminary survey on 100 beauty parlor managers in certain areas of China. Then from February 1st to March 30th of 2015, survey on 400 subjects was executed. Out of those 400 survey data, 29 were excluded for incomplete survey and other reasons. 371 survey data were ultimately used for final analysis data for this research. For statistical process, SPSSWIN 18.0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In order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in human service, material service and competition ability according to beauty parlor technicians’ and beauty parlors’ character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executed. Significant test showed difference at p<.05 through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survey showed gender difference as a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female’ at a higher percentage of 77.6%, highest age range at ’40s’ by 40.2%, major state of marriage as ‘married’ by 70.6% and major level of education as ‘high school graduate or lower’ as 79.8%. Out of those surveyed 29.6% had certain certification related to skin beauty care, 59.1% of which were issued by private institutions. 38.8% of surveyed beauty parlors had ‘10 or less’ employees, 38.8% ‘495 ㎡ or smaller’ parlor area and 63.1% ‘500 or more’ regular customers. 58.2% responded that the biggest basic expense were ‘marketing’ related. Second, the average of overall human service was 2.95, with categories ‘responsiveness’ (M=3.02), ‘expertise’ (M=2.98), ‘satisfaction’ (M=2.90) as in order of points. Material service averaged 2.82 in overall, with ‘hygiene’ (M=2.98), ‘confidence’ (M=2.91), ‘tangibility’ (M=2.80) and ‘reliability’ (M=2.63) in order of points. Competition ability averaged 2.76, with ‘Finance and account resources major competence’ (M=2.89), ‘Human resource, group beauty treatment major competence’ (M=2.77), ‘Skin care beauty technique resource, intangible resource competence’ (M=2.57) in order of points.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witnessed between age ranges of competition ability and marketing ability of beauty parlor managers. The highest competition ability was shown by group of people under 30s in categories of both competition ability and marketing and account resources core ability. Fourth, material service analysis showed that out of categories of recommended improvements, 50.1% answered ‘customer gowns, sheets and hair band cleanse’, 35% ‘beauty equipment and materials’, 9.7% ‘trustworthiness of cosmetics’ and 5.1% answered ‘employees’ hygiene’. ‘Hygiene and thorough disinfection’ ranked the highest when customers were asked about the most important part when visiting beauty parlors. Fifth, the average of competition ability was 2.76, with ‘finance and account resource competence’ (M=2.89), ‘human resources, group beauty treatment competence’ (M=2.88), ‘beauty parlor marketing ability competence’ (M=2.77) and ‘skin care treatment technique resource, intangible resource competence’ (M=2.57) in order of points. In detail, ‘finance and account resource competence’ showed ‘possession of optimal amount of liquid funds’ as the highest (M=2.99) and human resource, group beauty treatment competence showed ‘securement of excellent beauty technician human resources’ as the highest (M=3.00). Skin care treatment technique resource, intangible resource competence showed ‘advanced competence of beauty parlor’ as the most important (M=2.66) and ‘modernization of beauty parlor facilities’ as equally important (M=2.66). Beauty parlor marketing ability competence showed high points by ‘high competence of beauty parlors’ advertising ability’ (M=2.94). Through competition competence, it was shown that certain changes in marketing and introduction of relationship marketing are called for. Hence, this study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beauty parlor customers and the conditions of Chinese beauty parlors today. With surveyed data, it analyzed the differences of management, human resources, material services and competition competences of Chinese beauty parl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tilized as an important base data for improvements of Chinese beauty parlors professionally and in deta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