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사회공동체를 위한 주민자치센터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제안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서구를 중심으로

        김태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과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815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100대 개혁과제 중의 하나로 추진되어 본격적인 지방화시대를 맞이하였다. 이에 따라 읍. 면. 동 기능전환이라는 역할 감소에 따른 지방행정 개혁의 일환으로 효율적인 행정체계 개선과 주민들의 생활수준 향상과 함께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평생교육이 지방자치단체의 몫이 되어 전국적으로 주민자치센터에서 실시되고 있다. 주민자치센터는 행정서비스 구축이란 측면에서 기능을 전환하면서 차츰 발전해가고 있으며, 주민들의 평생교육의 장으로 자리매김 해가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대부분의 주민자치센터들이 정부의 일반적 지침에 따른 시설 배치와 프로그램 운영으로 지역사회 주민의 참여에 의한 주체적. 자발적 운영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주민자치센터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프로그램 운영이 중요하므로 본 연구에서 조사한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 운영실태 및 문제점을 요약하면, 시설 및 협소한 활용공간의 부족한 문제, 프로그램 운용이 천편일률적이고 형식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 민간사설기관과의 프로그램 중복문제, 저녁시간이나 주말에는 운영이 되지 않아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여 이용하기가 어렵다. 또 담당공무원의 업무과중으로 주민자치센터 업무에 전념할 수 없다는 점, 또, 프로그램 운영, 관리에 있어 주민들의 자발적인 활동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강사 및 자원봉사자, 전문강사, 관계자들의 전문성 결여 등 인적자원 확보에 어려운 점이 있다. 주민자치센터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서는 주민의 참여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선정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단기적인 것보다 장기적인 측면에서 개인이 참여한 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주민자치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방향으로 이끌고 주민자치센터를 주민이 자율적으로 운영하여 지역사회 공동체 형성하는데 의의를 두고 4개 분야로 분류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4장에서 제안하였다. 위에서 조사한 지역사회 공동체 형성을 위한 주민자치센터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주민자치센터의 시설 및 운영 재원의 지속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주민자치센터 공간 활용을 협소한 센터 공간에 한정하지 말고 융통성있는 운영을 위해 지역사회 전체 시설, 기관, 인적자원들 간의 네트워크가 원활히 되도록 기관의 협조가 있어야 한다. 셋째, 이용 시간대를 늘여서 아침, 저녁, 주말로 확대하여 모든 계층의 주민들이 이용하도록 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네째, 주민자치센터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사회 주민들의 자율적인 참여와 운영, 관리를 위해 자원봉사자 뱅크제도, 주민자치위원들의 소양 교육, 자원봉사자 양성교육을 지원하여야 한다. 다섯째, 행정기관에서는 교육, 홈페이지 구축, 구정소식 등을 통한 홍보 전략으로 주민들의 참여 분위기를 조성하여야 한다. 여섯째, 주민자치센터를 일반 시민들의 평생학습관으로 지정하여 활용하는 문제이다. According to reduction of role about the functional diversion of Eeup, Myon and Dong, resident conscious level with improvement of efficient administrative system and elevation of the standard of living went up, then lifelong education for qualitative elevation of resident life is being enforced at the resident self-government center of local self-government body on the national scale. The resident self-government center is diverting function, in the side of construction of administrative service, and gradual developing , also this is being settled as a field for resident lifelong education. But most of all the resident self-government centers don't have the actual conditions that subjective and spontaneous managements by the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institutional disposition and program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general guide of the government is managed. Though the resident self-government center to be engorced has passed three years, yet is elementary step, so that we can say that forming resident participation and local community is our social subject. This research is result classified and analyzed about managing realities and lifefong educative program of the resident self-government center for SeoKu (district).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s above, if we are going to see management problems of resident self-government center, they are, as follows, deficient problem of institution and narrow practical room, problem which program management is monotonous and is being advanced formally, overlaped problem of program between private insitution and resident self-government center, problem which is difficult for using of resident self-government center in the evening time, problem that officer in charge cann't absorbed business of resident self-government center because of their overfreight, problems which are lack of finances, volunteer worker, instructor and speciality of the persons concerned and so on. So such a program selections have to be long-tern thing more than short-term thing, furthermore, to lead to be possessed the concern of resident self-government through individual participating program activities. And there is siginificance that let residents manage autonomously. Such a resident self-government centers are to be fixed, the conditions are needed as follows; First of all, relative government has continually to support facilities of the resident self-government center. relative institutions have to offer diverse programs for various resident classes, to make available opportunity, to prepare speciality of managing subject in the resident self-government center, and to have resident committee's conversion of comprehension and volunteer worker urgently. Second of all, relative institution has not to persist in narrow center space for practical use of resident self-government center space, to make network among facilities, government and human resources, and to attain diversity of management. Third, the programs of resident self-government center should be conformed to resident cultural welfare desire of local society, and to be developed variously for the formation of local community. Forth, relative institutions should extend using times such like morning, evening and weekend expanded, to develope various and available programs for all classes of residents to be used. Fifth, relative institutions, for the activation of resident self-government center, outonomous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grounding education of volunteer worker and resident self-government committee, promoting for resident understanding level, need steady informative activities, and have to make atmosphere of resident participation in informative strategy through the construction of homepage, news for local district and etc for them. Sixth, the relative institutions should study about the practical use of resident self-government center to use at area of general civil lifelong education center,

      • 학교 밖 교육의 학점 인정 양상에 관한 연구 : 고교학점제 시범 사례를 중심으로

        박지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학교 밖 교육의 학점 인정 양상을, 고교학점제 선도지구와 교육소외지역의 시범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교육 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학교 밖 교육의 학점 인정 양상을 파악하여, 향후 학교 밖 교육이 학생 성장에 필요한 교육경험의 다양성을 확대하는 제도로써 정착되기 위해 어떠한 맥락들이 고려되어야 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학교 밖 교육이 교육과정의 일부로 전개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목표, 경험, 평가의 측면에서 양상을 조명하였으며, 또한 그것이 형식교육과 비형식교육의 상호작용이라는 점에 주목, 이를 학교 정규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이라는 맥락과 지역사회의 교육활동 주도성이라는 맥락에서 양상을 분석하였다. 학교 밖 교육의 학점 인정 양상을 탐구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사례연구의 분석단위는 특정 지역에서 전개되고 있는 학교 밖 교육 시범 운영 사례로서, 고교학점제 선도지구의 사례로 수도권 여름시를, 교육소외지역의 사례로 충청권 겨울군을 각각 선정하였다. 하위 분석단위는 장학사, 교사, 강사로 설정하여 이들에 대한 개별 면담을 실시하고 관련 문헌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범주화 하고, 이를 통해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사례연구의 결과 학교 정규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이라는 맥락에서는 ‘학생의 진로를 위한 정규교육과정’으로서의 양상이 ‘학생의 요구로서 진로’, ‘관심만 있다면 이수 가능한 교과목’, ‘평가결과 기재의 부담과 중요성’의 범주로 나타나고 있었다. 지역사회의 교육활동 주도성이라는 맥락에서는 ‘지역시민 양성을 위한 교육활동’으로서의 양상이 ‘정주하는 시민의 육성’, ‘교육을 통한 지역의 이해’, ‘지역사회 학습장에서의 활동 중심 평가’의 범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와 함께 학교 밖 교육의 학점 인정 과정에서는 ‘인프라가 좌우하는 교육 기회’, ‘광역화에 따른 지역성의 약화’, ‘공교육 체계 확장에 대한 경계’라는 쟁점의 양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사례지역의 학교 밖 교육 학점 인정 양상은 각각 학생의 ‘진로’와, 지역과의 ‘관계’를 핵심 가치로 추구하는 두 흐름으로 정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를 ‘진로지향적 지역사회 연계’로 후자를 ‘관계지향적 지역사회 연계’로 규정하였다. 그간 주류 연구에서 조명받지 못했던 교육소외지역을 사례로 포함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 밖 교육이 새로운 방식의 교육 기회 격차를 초래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추진과정에서 지역사회의 여건이 보다 면밀하게 검토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에 대한 고려 없이 관계지향적 지역사회 연계의 입장이 지나치게 강조될 경우, 이는 지역 간 인프라 차이로 인한 교육 격차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하위 분석단위에 학교교육 관계자들을 포함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 밖 교육이 보편화되기 위해서는 공교육 체계의 개방에 대한 우려가 해소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에 대한 고민 없이 진로지향적 지역사회 연계의 입장이 지나치게 강조될 경우, 이는 자칫 무분별한 외부 요소가 공교육 체제에 침투토록 하는 교육 개방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학교 밖 교육이 학생 성장에 필요한 교육경험의 다양성을 확대하는, 교육과정의 일부로 교육 현장에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진로지향적 지역사회 연계와 관계지향적 지역사회 연계 입장 간의 적절한 균형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 결혼이주여성의 전문대학 학습경험 의미 탐색

        백은숙 단국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5076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earching the meaning of learning experience at community college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rough phenomenological inquiry. This study shows the reason why marriage migrant women enter the community college, the meaning of learning experience from the college life, and structuring explanation about the meaning of expectations for life after the learning experience. I involved six female foreign participants who have married to Korean males and lived in urban-rural region for from ten to eighteen years. They completed language education and adjustment training course to Korean society, and graduated from D community college in Jecheon of Chungcheongbuk-do. I chose those participants who have experienced matters related to the subject to ensure the quality of the study with using phenomenological inquiry with 「intentional sampling strategy」, suggested by Miles & Huberman(1994). This study had collected data through additional interviews and viewing process from Faburary 2014 to April. Especially, extra interviews, telephones, e-mails, internet data, lectures, events, and group activities were so helpful for collecting and using that informations, and I analyzed data in circular structure. The interpretation of the study's result is as below. Firstly, entering community college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s to realize dream, have confident parent image, pursue stable domestic economy, get specialized job, and decide career. Secondly, the learning experience of community college course for immigrant wives is to become self-directed learner, develop communication ability, establish self-awareness in family, get confidence in child rearing, improve healthy living for family, build healthy relationship, be a lifelong learner. Third, expected future life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with learning experience is to live in a independent life with economic stability and a confident life as a Korean with learning. Through the study result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design the policy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practical requirements of married immigrant women is to stand their own feet with financial independency. They need educational support such as customized vocational training and learning improvement to qualify for employment. Secondly, community college have to give immigrant wives more opportunities, education of vocational knowledge and technical training, and supplementary education after getting a job. For this, they need to make efforts to operate activation for the college-affiliated academy of continuing education, and maintain a close cooperation and develop the easy accessibility between multi-cultural support centers and community college. Third, members of family and society also make efforts to respect for individuals, communicate with faith and consideration, establish reciprocal interaction with respecting and embracing cultures to build mature multicultural society. Forth, married immigrant women have to try to learn Korean traditional cultures, customs, manners and values for themselves. They also need improvement of language ability, understanding of sociocultural area,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encouraging potential, and active participation to lifelong learning activity for economic independence. 이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한 결혼이주여성의 전문대학 학습경험 의미 탐색이다. 즉, 결혼이주여성이 왜 전문대학에 진학을 하고, 그들의 전문대학 학교생활을 통한 학습경험 의미는 무엇인지, 그리고 학습경험 이후의 삶에 대한 기대 의미를 구조화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한국에 거주한 시기가 10~18년이 경과된 도농지역의 결혼이주여성 6명이었고, 그들은 이주 후 국내에서 한국어교육과 한국사회 적응교육과정을 마치고 충청북도 제천지역의 D전문대학을 수료하였다. 이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한 이유는 이 연구가 현상학적 해석방법을 활용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 참여자 모두가 연구문제와 관련된 사항에 대한 유경험자이어야 함을, 그리고 연구의 질적 보증이 가능하도록 Miles & Huberman (1994)이 제시한 「의도적 표본 추출 전략」 방법으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이 연구절차는 2014년 2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 과 추가면담 및 관찰과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특히 추가면담, 전화, 메일, 인터넷자료와 학교강의, 행사, 동아리모임 등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연구 참여자를 관찰하면서 연구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활용하였다. 그리고 자료 분석은 선형적이 아닌 순환적 구조로 진행하였고, 연구결과 해석은 Giorgi의 ‘과학적 현상학’ 4단계와 Moustakas의 4단계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 활용을 통한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전문대학 진학과정은 자신의 꿈 실현, 당당한 부모상 찾기, 안정된 가정경제 추구, 전문직업 갖기, 진로결정의 수단의 의미로 탐색되었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전문대학 진학 후 학습경험의 의미는 자기주도적학습인으로 성장, 의사소통 능력증진, 가족관계에서의 자아상 확립, 자녀양육에 대한 자신감, 가족건강생활 증진, 인간관계증진, 배움을 통한 평생학습 인간이 됨으로 탐색되었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학습경험이 미래의 삶과 관계 짓는 의미 구조로는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을 추구해 나가는 주체적 삶, 배움의 가치추구를 통한 한국인으로서의 당당함과 인간답게 사는 삶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다문화교육정책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결혼이주여성의 실제적인 요구는 경제적 자립이다. 한국의 취업제도에 부응하는 자격을 갖추고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소양을 기르기 위한 맞춤형 직업교육과 학력향상을 통해 사회구성원으로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는 교육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전문대학은 결혼이주여성들의 교육요구 충족을 위하여 입학기회 확대, 직업전문지식과 기술교육, 취업 후 보수교육 등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문대학 내의 부설 평생교육원 운영 활성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와 전문대학간의 협력 관계 유지 및 접근의 용이성을 위하여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가족과 사회구성원은 인간존중, 믿음과 배려의 소통,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고 포용하는 상호호혜적인 관계형성이 가능한 성숙한 다문화 사회가 형성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결혼이주여성 스스로도 한국 전통문화와 관습, 예절과 가치관 등을 배우고 익혀서 당당한 한국시민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언어능력 향상, 사회문화 이해, 자신과 가족 간의 소통능력 및 관계향상, 자신의 잠재능력 개발 그리고 경제적으로도 풍요로운 자립을 위하여 평생학습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평생학습인간이 되어야 할 것이다.

      • 중학생의 능력 개념의 구성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조현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51

        이 연구는 중학생들이 학교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실천을 통해 능력 개념을 어떻게 구성하는지 살펴보고, 그들이 이것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지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동안 능력주의 논의는 주로 거시적인 차원에서 능력주의의 의의와 한계를 다룰 뿐 능력주의가 작동하는 구체적인 맥락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능력 그 자체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기울이지 못했다. 학교는 능력주의를 내면화하는 기관으로 여겨지지만, 그곳에서는 학업능력뿐 아니라 다양한 능력이 키워지고 있다. 이는 학교를 중심에 놓고 능력주의에서 말하는 추상적인 능력을 들여다보면 기존의 논의와 다른 능력과 능력주의의 의미를 발견할 수도 있다는 시사점을 준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학교에서 구성되는 능력과 그것의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생들은 능력 개념을 어떻게 구성하는가? 둘째, 중학생들은 능력 개념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가? 학교에서 능력 개념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특히 중학생에게 주목한다. 중학생에게 주목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은 초기 청소년기를 거치며 자신과 주변의 상황을 조금 더 현실적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학교에서 경험하는 일상적이고 제도적인 실천에 조금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둘째, 중학교는 표준화된 시험을 거의 치르지 않는 초등학교, 표준화된 시험의 중요성이 매우 높아지는 고등학교의 중간에 있으면서 학생들에게 비교적 다양한 교육적 실천을 경험하게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 1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는 중학생들이 구성하는 능력 개념에 관심을 기울이므로 되도록 연구자의 편향을 배제하면서 연구 참여자들의 관점을 잘 드러낼 수 있도록 개념도 연구법(Concept mapping)을 연구 방법으로 삼는다. 개념도 연구법은 연구 참여자들이 구성하고 있는 개념적 지형을 시각적으로 드러내기 위하여 질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적으로 이를 표현하는 연구 방법이다. 전반적으로 개념도 연구법의 절차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여 50개의 진술문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 참여자들이 구조화한 자료를 다차원척도법, 위계적 군집분석으로 시각화·범주화하였다. 다만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이 구성한 능력 개념을 어떻게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하여 개념도 연구법의 한 절차에 집단면담을 추가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생들은 능력을 무엇인가를 해낼 수 있는 힘이라고 이해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삶을 더욱 편안하게 만들어 주는 것,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을 수 있게 하는 특성 등으로 다양하게 개념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이 구성한 능력 개념은 다음과 같이 여섯 개의 군집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1) 사교성과 외향성과 같이 관계의 폭을 확장할 수 있는 능력인 인싸형 능력(관계 확장형 능력), (2) 예의범절과 희생정신처럼 관계의 깊이를 더할 수 있는 능력인 모범생형 능력(관계 심화형 능력), (3) 자기 이해와 존중에서 우러나오는 당당함과 긍정성을 의미하는 소크라테스형 능력(자기 확신형 능력), (4) 자기 계발과 근면한 노력을 의미하는 노오력형 능력(과정 중심형 노력), (5) 집중하여 노력한 끝에 얻을 수 있는 성적과 성취를 나타내는 우등생형 능력(결과 지향형 노력), (6) 타고남과 뛰어남 등을 특징으로 하는 엄친아·엄친딸형 능력(타고난 능력)이 그것이다. 이 범주는 능력이 인정되는 영역과 방식에 따라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성취 지향과 관계 지향을 끝으로 하는 한 축, 능력이 겉으로 잘 드러나는 외부형 능력과 그렇지 않은 내부형 능력을 다른 한 축으로 하여 외부-성취, 내부-성취, 외부-관계, 내부-관계로 군집을 다시 분류할 수 있다. 중학생들은 그들이 구성한 능력 개념을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특히 학교에서 교사와 동료들에게 얼마나 인정받을 수 있는가를 기준으로 능력의 경중을 결정하고 있었다. 또한 학교에서 어떠한 능력이든지 능력을 갖춘 학생은 특별한 인정이 부여되는, 남들이 부러워할 만한 존재, 친해지고 싶은 존재가 될 수 있는 반면, 그렇지 못한 학생은 몰인정의 상태에 놓이며 자책과 자기 비하에 시달리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한편 중학생들은 학교 안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능력이 학교 밖에서도 똑같이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을 수 있음을 간파하고 있었다. 이는 능력에 대한 보상이 대개 물질적으로 주어지는 사회와 달리 학교는 주로 교사의 칭찬과 교우관계에서의 긍정적 변화와 같은 인정을 통해 보상받는다는 차이를 인식한 데서 비롯된다. 누가 더 인정받고 있느냐를 어림잡아 얘기할 수는 있지만 인정의 수준을 객관적으로 표현할 수는 없다. 그러나 누가 더 많은 물질을 보상으로 받았는가는 수치화하기 어렵지 않다. 결국 전자보다 후자의 방식에서 더 엄밀한 분배의 기준을 요구하게 되고, 중학생들 역시 학교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다양한 능력 가운데 특히 사회에서 요구되는 능력, 경제적 보상으로 이어지는 능력을 재평가하고 있었다. 학교와 사회 사이의 괴리를 인식한 중학생들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두 가지 전략을 구사하였다. 하나는 사회생활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능력을 포함하여 학교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능력을 모두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학교에서 구성한 여러 능력 가운데 사회에서 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몇몇 능력을 배제한 채 일부 능력만을 강화하고자 노력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그동안 능력주의 논의가 집중했던 이데올로기 비판에서 벗어나 맥락에 따라 여러 모습을 한 능력주의, 구체적으로 학교 맥락에서 작동하는 능력주의를 드러냄으로써 텅 빈 기표로 남아 있던 능력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능력주의의 의미가 분화되었을 가능성을 포착하고 일반적인 능력주의와 다르게 작동하는 학교 능력주의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이다. 분배되는 가치가 경제적 재화이냐 인정이냐에 따라, 그리고 그것을 배분하는 기준이 수치화된 능력에 한정되느냐 수치화하기 어려운 다양한 능력을 포함하느냐에 따라 능력주의의 의미와 유형은 달라질 수 있다. 학교 능력주의는 주로 인정을 배분하고, 다양한 능력을 분배의 기준으로 삼는다는 특징이 있다. 둘째, 학교 능력주의에서 작동하던 다양한 능력이 사회 능력주의의 강한 영향을 받아 점차 획일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사회의 경쟁적 분위기에 대한 두려움은 학생들로 하여금 사회에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능력을 계발하는 데만 집중하게 한다. 이러한 실천이 계속되면 학교에서 인정받았던 다양한 능력이 사장되고 사회 능력주의에 알맞은 능력을 중심으로 능력 개념이 협소해질 수 있다. 셋째, 그렇지만 학교에서 능력 개념을 다원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점은 획일화된 능력주의에 균열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점이다. 학생들은 사회에서 의미를 부여하는 획일적인 능력 이외의 능력에도 의미를 부여하며 그 능력 기준만으로 자신을 평가하지 않는다. 학교에서도 다양한 능력을 키워주고자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있다. 학교는 협소한 능력주의에서 패배자로 내몰리는 이들의 다양한 능력에 의미를 부여하며 더 많은 이에게 인정을 부여하는 대안적 능력주의를 작동시킨다.

      • 地域社會 老人을 위한 敎會의 敎育프로그램에 관한 硏究

        오흥수 韓南大學校 社會文化科學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0735

        한국의 인구 고령화로 인하여 노인인구 증가와 노인문제가 발생함에 따라서, 의식을 가진 교회들이 노인들의 사중고(빈고, 병고, 고독고, 무위고)를 위한 도움을 주고, 선교사명을 감당하려고 노인대학을 개설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본 논문은 열악한 환경에서 노인대학을 운영하고 있는 주체기관이 도움을 필요로하고 있는 것들 중에서 프로그램과 교과서를 선택하거나 만들 때에, 갖추어야할 안목과 능력을 키우는데 도움을 주기위해서 “지역사회의 노인을 위한 교회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라는 제목으로 쓰여졌다. 이를 위해서, 대전에서 교회노인대학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특징있는 세 교회를 선택하였고, 프로그램의 분석을 위해 앤드라고지적 Knowles의 모형을 재 구조화여 만든 제1분석틀과, 교과서의 분석을 위해 만들 제2분석틀로 사례교회의 프로그램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가지고, 문제점과 보완점들을 발견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노의대학들이 가진 공통점은 노인들에 대한 사명, 목표와 철학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들 모두는 노인대학의 운영을 잘 시작하였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운영결과 얻어진 결과들에 대하여 매우 많족하고 있었다. 피교육자들 역시 다니고 있는 노인대학에서 얻는 것이 무엇이었든지 매우 만족하고 있었다. 하지만 노인대학의 운영이 성공적이고 느끼는 만족에도 불구하고, 이 기관들은 노인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집단이 아닌고로, 열악하고 한정된 환경으로 인하여 스스로 해결 할 수 없는 문제들을 제외하고도, 보완해야 할 많은 문제점들이 발견 되었다. 이는 아마도 이들 기관의 문제만은 아닐 것이요, 국가의 미래를 위하여 어떤 형태로든지 해결을 위한 도움을 받아야 할 것이다. 그중에 몇가지 노인대학을 위하여 중요한 점을 지적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철저하고 다양한 욕구조사에 의한 프로그램과 교과내용을 준비해야 하는 것이다. 둘째, 노인대학의 이념과 목적에 맞는 프로그램에 충실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프로그램과 교과내용을 선택하거나 만드는데 필요한 관련자의 안목과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전문가에게 전문적인 자문을 받아야 한다. 다섯째, 노인교육이라고 해도 유연성, 혁신성, 창조성을 가지고 생산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여섯째, 노인교육 기관들이 개별적으로 해결하기 힘든 부분에 대하여, 국가의 제반적 도움들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일곱째, 일률적인 운영형태를 벗어나서, 창조적이고 특징적인 프로그램을 준비해야 한다는 점등이다. 이상 참고에 필요한 상세한 사항들에 대하여서는 해결방안, 결론과 제안에서 살펴보기를 바란다. 끝으로 열악한 환경에서 도움도 없이, 열정과 사명감으로 희생하며 봉사하는 노인교육기관 관련자들에게 감사와 깊은 찬사를 보낸다. New our society has fou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long-life elderly people, owing to the benefits of physical, material, and medical civilization which was influenced by industrialization, scientificalization and urbanization. However, fifelity to the elderly people which used to be traditional virtues in our cultural context has not been succeeded to or improved. But rather deteriorated, and accordingly, a variety of problems concerning the elderly people are occurring. In Korea, to solve these problems, a great efforts are given by the goverment and civil organizations, which fail to meet increasingly various and complicated problems of the aged. Under these circumstances, churches have personnel, financial facilities, building and other resourses, are motivated for the aged as essential mission of churches. These resources of churches can compensate for the shortage of welfare programs carried out by the goverment and civil organization. With the sense of duty, many churches have the plans, put in operation of education to help the aged whom had the difficulties of the destitution, pain of sickness, solitude, and inactivity. Therefor the current study was written about the essay entitled " A Study of the Educational programs of the churchs for the aged in the community, for giving to the subject institution which has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cultivation of an eye and ability in poor conditions. For these purpose and research, the related data which were colleted by the selected characteristic three churches which had programs of educational institution of the aged in Taejon city, were used for the main analytic data. The first analysis frame for the program analysis, was made by reorganization of the andragogical theeory, Knowles' prototype, and the second analysis fram was made for the text contents of the selected case churches, and these frames were used for analyzing them. From these product results, the points at issue and supplement were found, groped for the solving scheme and suggested. The common features of the institution of the aged were the mission mind, objective institution and the aged, whatever results follow, were satisfied. In spite of their feeling satisfaction and successful results, they are many points of supplement found, also many parts to have professional help and consultation as below. First of all, when the churches beg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hey have to prepare the programs and textbooks by the various desire research of the aged, people of community and subjective members. Second, the programs of the church educational institution should made suitable by their purpose. Third, the program or textbooks should be made, chosen by the eye and ability of the related. Fourth, the related should have professional consultation. Fifth, the programs and text contents should be made, developed by the pliability, innovativity, and creativity. Sixth, the churches should prepare the creative and charateristic program from the uniformitive management method. Seventh, the more professional service of quality programs should be improved, and provided. Those who are in charge should have expertise in the field, and run a variety of porgrams to meet various needs of the aged. Eighth, the separate spaces or rooms should be prepar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ne who wants to get about more detailed data or informations, please, refer to the conclusion and suggestions. Finally, without the available support, in poor conditions, to those who sacrifice and derve with fervor and sense of duty, be unsparing of my praise heart.

      •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대학생활적응, 자기효능감,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상대적 영향력 연구

        김유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50735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through practical researches after extracting important variables during the period of college students as a developmental stage of early adulthood based on social phenomenon and previous studies an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suggest the intervention and educational plans to help to prepare the career prepa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ach variable influencing the career preparation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as a main variable which was expected to influence college students to be independent, self-controlling, sound minded workers and citizens, ‘adaptation to college life’,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this study, junior and seni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selected, 6 large universities having the colleges of natural sciences · engineering and humanities · social sciences located in southern Gyeonggi region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the data of 506 college students were finally analyzed. As a study tool,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onsisting of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adaptation scale consisting of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adaptation scale to college life consisting of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individual-emotional adaptation’, and ‘college environment adaptation’, the career preparation for college students consisting of ‘information collecting activities’, ‘tool preparation activities’, and ‘target achievement activities’ were appli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2.0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proces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were conducted. First, what kind of correlation is observed in the career preparation for college students, overall self-efficacy,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Mother’s car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self-efficacy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ther’s overprotectiven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self-efficacy,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highest variable correlation was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a dependent variable followed by self-efficacy, mother’s caring, and mother’s overprotectiveness. Second, how much is the influence of overall self-efficacy,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model I applying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showed the explanation of 18.2%, model II adding self-efficacy showed 26.8%, and model III adding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showed the explanation of 28.6%.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subordinate factors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adaptation of college life, self-efficacy, an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first, model I for information collecting activities showed the explanation of 16.8%, model II was 26.2% increased by 9.4% in comparison with model I. The explanation of model III little increased to 27.5%. Second, model I for the variable of tool preparation activities showed the explanation of 12.7%, model II was 16.4%, and model III was 20.4%. Third, the explanation of model I for the variable of target achievement activities was 13.6%, model II was 21.6%, and model III was 22%. Third, with regard to the results, does self-efficacy mediate the influence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and overprotectiveness)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 overprotectiveness) had a direct influence and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 overprotectiveness)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does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aring / overprotectiveness) mediate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under the influence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mother’s rearing attitude (caring / overprotectiveness)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partially medicated. Finally, the period of college students is an important time to choose the career suited to the aptitude and interests and practice the decision and through the study, mother’s rearing attitude, self-efficacy,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were important variables that influenced in the career preparation for college students. However, since this study is limited to junior and senior college students in southern Gyeonggi region, it failed to represent the whole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up researches in various perspectives, considering a variety of variables related to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and the career development for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성인초기의 발달단계인 대학생 시기에 중요한 변인들을 사회현상 및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추출한 후,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력을 갖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해 진로준비행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입 방향 제시 및 교육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독립적이고, 자율적이며, 심신이 건강한 직장인 및 시민으로 발달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되는 주요변인‘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 및 과보호)’, ‘대학생활적응’,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각 변인들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인문·사회계열을 전공하는 3,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경기 남부에 소재한 자연·공학 및 인문·사회계열 단과대학이 모두 설치 되어있는 대규모 대학 6 곳을 목표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총 50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로 하위요인이 ‘돌봄’과 ‘과보호’로 구성된 어머니의 양육태도척도,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로 구성된 자기효능감척도,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 ‘대학환경적 적응’으로 구성된 대학생활적응척도와 ‘정보수집활동’, ‘도구구비활동’, ‘목표달성활동’으로 구성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Pearson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일반적 자기효능감,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 및 과보호)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어머니의 돌봄은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과보호는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종속변인인 진로준비행동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인은 대학생활적응이었으며, 다음으로 자기효능감, 부모의 돌봄, 부모의 과보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 어머니 양육태도(돌봄 및 과보호)의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분석 결과는 대학생활적응만 투입한 모형Ⅰ은 18.2%의 설명력을 나타낸 반면, 자기효능감이 더해진 모형Ⅱ는 26.8%,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더해진 모형Ⅲ의 설명력은 28.6%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진로준비행동 하위요인들과 대학생활적응, 자기효능감,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영향력를 탐색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첫째로는 정보수집활동 변인에 대한 모델Ⅰ의 설명력은 16.8%, 모델Ⅱ의 설명력은 26.2%로 모델Ⅰ보다 9.4%가 높아졌다. 또 모델Ⅲ의 설명력은 27.5%로 소폭 증가하였다. 둘째로 도구구비활동 변인에 대한 모델Ⅰ의 설명력은 12.7%로 나타났으며, 모델Ⅱ에서는 16.4%, 모델Ⅲ에서는 20.4%로 나타났다. 셋째로 목표달성활동 변인에 대한 모델Ⅰ의 설명력은 13.6%, 모델Ⅱ는 21.6%, 모델Ⅲ은 22%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 및 과보호)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를 하는가? 에 대한 검증 결과,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과보호)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과보호)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과보호)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학생활적응이 매개를 하는가? 에 대한 검증결과, 어머니의 양육태도(돌봄/과보호)는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대학생활적응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생 시기는 자신의 적성과 관심에 적합한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사항을 실행하여야하는 중요한 시기이며, 부모의 양육태도, 자기효능감, 대학생활적응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력이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이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경기남부에 위치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대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제한된 연구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대학생을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부모의 양육태도 및 대학생 진로발달과 관련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여러 각도의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언한다.

      • 코로나19를 경험한 초등교사의 교육관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전환학습을 중심으로

        임형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3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들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어떤 경험을 하게 되었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교육관에 관한 전환학습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어떻게 일어났는지, 그리고 이러한 전환학습은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초등교사의 전환학습에 대해 가장 깊이 있는 내러티브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내러티브 연구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장텍스트 수집은 주로 연구 참여자와의 대화 방식의 심층 면담을 통해 이뤄졌으며, 현장텍스트를 분석하여 연구텍스트로 진행되는 과정에 있어서 내러티브의 3차원적 공간을 고려함과 동시에 연구 참여자와의 소통을 통한 확인과 검토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었다. 하지만 모든 경험들이 연구 참여자들에게 혼란스러운 갈등을 불러오지는 않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여러 경험 중 일부에 대해서만 기존의 관점으로 해석하기 힘들어했고, 이러한 경험은 관점이 전환되는 전환학습의 계기가 되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의 전환학습 과정은 개인마다 상이하게 진행되었었다. Mezirow의 전환학습 10단계로 연구 참여자들의 전환학습 과정을 분석해본 결과 연구 참여자에 따라 전환학습 10단계를 모두 충족한 경우도 있었지만 특정 단계를 건너뛰거나 일부 단계가 통합된 형태로 진행된 경우도 있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의 전환학습 결과는 개인의 특성, 개인이 처한 역사적 맥락, 개인이 추구하는 가치에 따라 달랐다. 한 연구 참여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책임감을 가지고 열심히 일한다는 것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고, 결국 책임감 내려놓기를 통해 무너졌던 삶과 일 사이의 균형을 찾기로 결심하기에 이르렀다. 다른 연구 참여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자신이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할 대상을 새롭게 발견하면서, 교사로서 새로운 역할을 인식하게 되었다. 넷째, 연구 참여자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의 경험을 통해 다양한 개인적, 사회적, 실천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 개인적 차원의 의미로는 삶과 일 사이의 균형을 찾는 자기실현적인 삶을 회복할 수 있었으며, 소외된 학생을 위한 새로운 교사 역할을 발견하게 되기도 했다. 사회적 차원의 의미로는 학생과의 관계를 재설정하고, 동료교사를 바라보는 관점이 달라졌다. 그리고 이는 실천적 차원의 의미로 이어질 가능성을 남겨놓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드러나는 논의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그동안의 많은 전환학습에 관한 연구가 전환이 일어난 사람을 대상으로 진행함으로써 왜 특정 경험이 전환학습을 촉발하게 되었는가에 대해서는 깊이 있게 탐구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전환학습에서의 경험의 의미는 개인이 처한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전환학습을 일으키는 경험의 맥락적 요인에 대하여 더욱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의 전환학습의 과정은 동일하지 않으며 Mezirow의 전환학습 10단계 모두를 충족하기도 하지만, 특정 단계를 건너뛰거나 일부 단계가 통합된 형태로 진행된 사례를 찾을 수도 있었다. 또한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인지작용으로써 비판적 성찰과 담화 이외에 감정, 직관, 영성 등 다른 요인도 관점의 전환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코로나19 팬데믹은 연구 참여자들에게 학교의 기능과 교사의 역할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의미 부여는 교육적 실천으로 이어짐으로써 향후 학교교육의 변화의 방향을 이끌 것이다. 따라서 초등교사들의 현재 처해있는 상황을 이해함으로써 이후 학교교육의 변화의 방향을 예측하고, 더 나은 학교교육을 만들기 위해 그들의 어려움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 초등교사의 대학원 박사과정 참여동기와 의미에 관한 연구

        김지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19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박사과정 참여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참여동기를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초등교사의 박사과정 참여가 가지는 의미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가 대학원 박사과정에 참여하는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초등교사의 대학원 박사과정 참여가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과정을 수행하고 있거나, 22년도에 수료 또는 졸업한 각기 다른 전공의 초등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박사과정 참여 결정에는 참여자들이 교육에 대해 가진 긍정적인 인식과 배움에 대한 열의, 대학원 석사과정에서의 연구 경험의 의미가 바탕이 되었다. 둘째, 초등교사의 박사과정 참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동기는 평소 학문에 대한 흥미와 석사 때 경험한 학문의 즐거움, 교육 현장에서 느낀 문제의식의 해결과 교육 현장에 기여하고 싶은 마음, 연구하는 삶의 추구, 새로운 진로에 대한 탐색으로 나눌 수 있다. 셋째, 초등교사의 박사과정 참여 기회요인은 교수님과 가족의 지지, 동료 연구자들과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났다. 반면 장애요인은 박사과정을 수행하는 초등교사를 바라보는 학교 현장의 인식이었다. 또한 참여자들은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현실과 이론의 간극에서 발생하는 괴리감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넷째, 초등교사가 박사과정을 수행하는 것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먼저 참여자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학문에 대한 새로운 태도와 교육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습득, 삶 자체에 대한 성찰 경험이라는 의미가 있다. 학교 현장 측면에서는 학생들에게 본보기, 학교 현장에서 전문성을 가진 교사로 근무하고 싶다는 참여자의 마음에서 박사과정 참여의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또한 그들은 교실 안에서 초등교사의 역할을 넘어 실제 교육 현장에 영향을 주거나, 다른 교사의 더 나은 수업을 위해 기여하고 싶다는 의지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에게 박사과정은 끊임없이 배움을 추구하는 삶의 과정이며, 곧 존재를 위한 학습이었다. 연구 결과에 의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가 박사과정 참여를 결정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과 동기에 대한 연구 결과는 개인의 교육 경험이 맥락적으로 이해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둘째, 본 연구는 박사과정을 수행하는 초등교사의 모습에서 ‘세상에 대한 사랑’을 실천하는 교사라는 가치를 발견했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연구자로서의 초등교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인식의 변화를 추구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는 박사과정을 수행하는 초등교사를 통해 초등교사의 역할에 대한 보편적인 통념을 깨고 초등교사의 전문성에 대해 재고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다섯째, 본 연구는 박사과정을 지속적인 학습의 과정이라고 여기는 참여자들의 태도를 통해 박사과정의 의미를 다시 되돌아보게 한다.

      • 地域社會文化와 地域社會 正體性 形成關係 硏究

        이세훈 韓南大學校 社會文化科學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50719

        First of all, about the motive and method for question to be presented, in 21C, the age of local decentratization of authority comes to our nation. It means that age which we have independently to lead the local self-govering culture of local society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flow of age, we need to investigate the identity of culture of community. Here, writer wants to study about the points, what kind of shaped culture is it, and what kind of senses on the foundation is it in which we live. Also, the identity which local society has been endured the changes of historical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In tradition, folk-ways and tale of local society have traditional senses and the oriental ideal system. There are traditional folk-ways such like Ge( from the accient time, mutual cooperative group which come down in our nation), Doore( local cooperative group ), or Hyang-Do( good custom in local area) and local music. In such kinds of culture of local society have improtant communality in them as inhabitants' joint senses. The communality had a role prescribing the closing and openness of local society so that about the point which kinds of direction was desirable is ultimate result of this thesis and object to study. Second of all, this is about the life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in culture. All the cultures begin from the area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and they prescribe our practical mode of living. The human which Aristotle had declared was just" the social creature." The social creature means, sometimes, that they give and take each other their food, clothing and shelter to solve. Sharing their food, clothing and shelter for solution, they need mutual communication, and in which their communication has been effected reasonably is formed conscious structure prescribing their culture. Third, it is about the traditional culture and traditional concious structure. Our traditional cultured is confucian culture. The confucian culture is oriental culture and ideal system formed through interchange without ceasing with china. On these foundation, in our local culture, such a chinese culture or metaphsical conscious structure is implied. For example, Yulkok the great confucianist in our country saw that all the space, nature and human being existed being linked with reason and vitality in mystery. So to speak, he said, "reason and vitality cannot be seperated existentially. Of course, such a thinking tradition appears in the area of spirit and material unification in Tangun myth, as distinctive quality of korean idea, and Wonhyo's idea of peace and argument. Forth, about the desirable communality of local culture, the culture of local society is facing crisis by means of whole global economic flow in the name of worldlization. This become critical senses, if we don't follow the flow of worldwide culture, which can be lost the life as culture. But national joint senses is based on our traditional culture as our history and tradition showed. Such a common senses resisted against the flow of undesirable alien influence, and had the united senses. In such standpoint, what we make to revive communality which the culture of local society had is just shortcut which secure our cultural independency. After all, as writer belives what we promote various cultures and events of local society, and support systematically administration and residents' positive participation, would make the way to go to 21C. Ideal society should become the society which is thinking highly of local quality, and recognizing diversity of culture. Then, forming desirable communality, we can need possessing of feeling sympathy together with local residents' common concious structure. Therefore, such a activity of creative culture never can be seperated from historical back ground and tradition which local society had. In transmitting valuable cultur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new formation of communality is possible as we bring conscious structure into relief, which can be showed modernly in times' sit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