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國 傳統鍼灸 歷史의 再照明과 發展方向에 관한 硏究

        허동수 선문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6351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의 현대의학은 ‘병 중심의 의학(Diese Oriented Medicine) ’에서 ‘생명 중심의 의학(Life Oriented Medicine)' 의 시대, 즉 ‘생명이 건강해야 참 건강’인 시대로 가고 있다. 이에 따 라 우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웰빙(Well-being) 으로의 변화와 함께 자연의학에 대한 개념과 인식이 점차 사회적으로 확대되고 있 다. 수 천년 전부터 우리의 전통의술로 전래되어 오면서 우리 국민들 의 건강을 전담해 오던 고유의 민족의학인 침구의학이 서양의학의 유 입과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도입된서양의학에 밀려 소외되고 비 과학으로 멸시되어 왔다. 하지만 그 와중에도 완전하게 소멸되지 않고 우리 사회의 주변부에 서 끊임없이 존속되면서 오히려 전통의술에 대한 기대감이 증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함께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전 세계 대부분 의 국가에서 전통의학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게 된다. 새로운 형태의 각종 대체요법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현대의학을 전 공한 많은 의사들까지도 이제는 대체의학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 와 임상에 참여하고 있다. 그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우리 고유 의 민족의학인 전통 침구의학이다. 우리나라는 ‘침의 종주국’이라 할 정도로 침구에 대한 역사적인 전 통을 가지고 있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침구술을 전통의료의 전문분야 로 깊은 관심을 가지고 육성하였으며 일제 강점기에도 비록 어려움은 있었지만 제도화를 통해 침구사의 독자적인 지위는 인정이 되었다. 그러나 침구학에 관심이 있는 각 분야의 사람들이 1962년 국민의료 법이 의료법으로 개정되면서 침구사법이 폐지되어 없어진 것으로 잘 못 인식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이러한 판단으로 침구사법을 지금까 지 시행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많은 사회적 문제가 발생되고 민원이 제기되고 있다. 의료유사업자에 관련한 현행의료법을 올바르게 해석 하고 판단해서 시행만 하면 문제 해결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료법 개정 내용과 관련 조항을 살펴보면서 밝혀 보고자 한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며 ‘침구 종주국’이라 불리는 우리나라는 안타깝게도 침구의술에 관해서 부끄러운 역사를 만들어 가고 있다. 이제 우리사회 저변으로 침구사에 대한 새로운 사회적 관심이 제기되 었을 때 더 넓은 식견과 혜안으로 사회적인 변화를 인지하고 재야의 단체를 비롯한 대체의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계에서 일심(一心) 으로 대처해야 할 것이다. 또한 고령화 시대를 대비하여 우리나라도 조속히 이에 대비한 복지정책의 방안으로 경제적면에서도 효과가 크 고 고령사회에서 선호하는 침구술 등 전통요법을 마련하여야 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 고령화 인구와 막대한 재정이 필요한 효율 적인 의료정책 서비스 제공이다. 고령화 시대의 노인성 질환에 가장 적합한 대처방법은 우리의 전통의술인 침뜸이 으뜸이라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침구시술은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 에 빠른 시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즉시 만족스러운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제 우리나라에서도 더 이상 기득권과 단체의 이 익을 위한 업권 다툼으로 시간을 낭비할 시점이 지났다고 본다. 지금 부터라도 법제도를 재정비하고 많은 침구사를 양성함으로써 노령화 문제를 침구술로 해결하고 날로 증가하는 의료보험 재정적자 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전 세계에 침구술을 수출하여 침 구술의 종주국의 면모를 갖추어야 할 때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傳統 鍼灸歷史의 再照明과 發展方向에 관한 硏究이다. 먼저 기존의 문헌 자료를 중심으로 침구의학의 기원과 역사 및 이 론적인 고찰을 하고 그 흐름대로 정리해서 서술한다. 한국침구사 제 도에 관한 심포지엄, 입법정책 공청회 및 학술지와 이와 관련한 연구 보고서, 침술연합신문, 학회지 등을 통한 실증적인 자료를 사용할 예 정이다. 이를 분석 검토하는 과정에서 침구사 제도를 여러 가지 모습 으로 발전시켜 가고 있는 세계 각국의 침구의료 상황과도 비교하여 본다. 이어서 최근의 침구입법과 관련한 사회적인 쟁점 보도와 관련 한 내용 등을 바탕으로 우리 나라 침구의료의 현실적인 상황을 분석 해본다. 우리나라의 침구사 제도와 관련되는 의료법제와 입법형태 등 을 분석하여 침구사 제도 입법을 위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 침구의학의 현실을 재조명한다. 고령화 사회에서 첨단을 자랑하는 현대의술이 풀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을 가진, 우리 고유의 전통의술인 침구의학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해 본다. 현 정부의 고용율 70% 로드맵과 연계하여 우리 사 회에서 침구사 제도의 입법화를 추진하여 침구의학의 새 지표를 마련 하고자 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끝으로 우리나라 침구의학 의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향과 방안에 대해 결론을 맺을 것이다. 논문 마지막에는 침구의 역사를 도표로 정리해서 참고자료로 제시했다. 주요 용어 : 침구의학, 전통의학, 양한방, 침구사, 의료법, 국민의료법, 의료유사업자

      • 차크라 각성과 아로마테라피의 파동에너지적 관계 연구

        장은주 선문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6335

        본 논문은 전인적 테라피로서의 아로마테라피가 가지는 에너지적 특성으로 차크라 각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차크라 각성은 우리가 전체를 이해하며 통합하는 행동을 할 때 전인적인 힐링이 될 것이라는 믿음을 기반으로 한다. 전인적 테라피의 전제는 우리 안에 생명력의 에너지가 있다는 것이다. 차크라 체계는 우리 몸속에 흐르 는 우주의 생명 에너지인 ‘전기적 흐름’의 통로이고 또한 아로마테라 피는 아로마 에센셜 오일에 내재한 식물 에너지의 파장을 가지고 있 다. 차크라 각성과 아로마테라피가 신체에 적용되면 건강한 신체의 상태는 감성적 건강에도 영향을 준다. 이러한 원리가 사람에게 적용 되었을 때에는 정신과 육체의 조화로 나타난다. 모든 생명체는 우주 의 생명 원리에 의해 창조되고 그 원리로 발전, 쇠퇴, 소멸해 가는데 우주 생명의 원리는 바로 균형과 조화의 원리다. 본 연구는 차크라 체계의 특징과 다양한 각성요법을 살펴보고, 아 로마테라피의 전반적인 특성들을 고찰하고 인도의 고전 문헌들의 고 찰로 차크라 각성에 향을 이용하는 아로마테라피가 시작점일 수 있는 근거를 규명하였다. 또한 파동에너지적 측면으로의 차크라와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관 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차크라 각성에 아로마테라피가 에너지적 특성 으로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다. 정화는 육체와 마음이 점점 미세해지고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 과 정이다. 상키야의 세계 전변설로 보면 순수 의식인 진아(眞我)로의 정 화는 5종 조대요소와 5종 미세요소가 출발점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물라다라 차크라에 대응되는 미세요소인 향을 이용한 각성 요법인 아 로마테라피가 전체 차크라 체계의 균형과 조화 즉, 활성화에 긴밀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말해준다. 파동에너지 측면으로 볼 때 우리의 몸은 생리적, 화학적 측면 이외에 에너지 체계로서 차크라와 오라를 기반으로 하는 에너지 구조이다. 차크라는 주위의 파동이 각 개인의 진동수에 부합되어 공명할 때 주변으로부터 파동을 끌어들인다. 에너 지 파동의 안테나로서 환경과 자연, 우주와 연결시키며 전인적으로 작용한다. 각 차크라는 일정한 움직임을 가지고 있고, 특정한 진동수 의 아로마에센셜 오일에 공명한다. 치유는 보이지 않는 내면에서 시작한다. 생체에너지 장인 생명 장의 균형과 활성화는 육체의 건강과 직접 결부되어 있다. 생체에너지 장 의 활성화와 균형을 맞추는 방법으로서 차크라와 아로마 에센셜 오일 의 결합은 바람직하다. 차크라는 육체를 둘러싸고 있으면서 진동적 수준에 따라 다양한 층으로 구성되어 에너지를 유입, 배출한다. 그리 고 아로마 에센셜 오일에는 내재되어 있는 식물 에너지가 신체와 공 명한다. 이 둘의 에너지 시스템으로 신체와 삶 자체의 균형과 조화를 얻을 수 있다. 주요용어 : 차크라, 아로마테라피, 파동에너지, 향, 전인치유

      • 자기침자극요법이 중년여성의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김채연 선문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6335

        국문초록 자기침자극요법이 중년여성의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선문대학교 대학원 통합의학과 자연치유전공 김 채 연 지도교수 : 이 거 룡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전과 후의 자율신경의 변화를 비교분석 하였다. 실험군은 2주간 2회씩 4회기로 시술하며 자기침 자극(자율신경면역요법)이 중년여성의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집단 모두 시술 전에 일반적 특성 기초건강에 대한 설문지와 실험군은 시술전과 후, 대조군은 무 처치 전과 후의 교감신경활성도와 부교감신경활성도, 자율신경균형도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실험군의 시술 후 주관적개선도를 분석하였다. 신경관련 생체 신호는 맥파측정기(uBioClip v70)로 측정하였고, 모든 결과는 SPSS WIN (Version 18.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분석하였다. 대조군보다 실험군의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중 교감신경에서는 실험전보다 실험 후에 활성도가 저하되었고, 부교감신경은 실험 후에 활성도가 항진되었다. 이것으로 자기침자극이 자율신경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군의 자율신경균형의 활성도 또한 실험 후에 최적의 상태에 가까웠다. 자율신경계의 변화는 1)부교감신경계(Parasympathetic Nerve)의 활성도(HF), 2)교감신경계(Sympathetic Nerve)의 활성도(LF), 3)자율신경계의 균형(LF/HF)등의 3가지영역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이애란, 2014; 손현옥, 2013; 정문성, 2013). 실험군의 주관적개선도(이선민, 2012)를 백분율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혈액검사를 통하여 백혈구의 비교 분석 결과 과립구와 림프구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른 자율신경면역의 변화를 분석하고 그 결과에 의하여 면역력 변화 상태를 파악 할 수 있다(정문성, 2013). 생리학적인 지표가 되는 혈액 검사를 통해서 자신의 몸 상태를 백혈구의 림프구와 과립구의 데이터로 유용한 파악을 할 수 있었겠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도구로 사용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상기 연구결과를 통해 자기 침 자극요법(자율신경 면역요법)이 자율 신경계 활성도에 유의한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이 입증 되었으며, 자기침 자극의 효과는 uBio맥파 생체 신호를 통해 측정함으로써, 자기침자극(자율신경면역요법)으로 향후 건강한 사람들의 자가테라피를 시행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The Effect of the acupuncture Magnetic stimulation therapy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of middle-aged women Chae Yeon Kim Major in Natural Healing The Graduate School of Integrative Medicine SunMoon University Advisor : Professor Geo Lyong Lee To target the middle-aged women, it was compared analyzing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control group experiment and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in two weeks, is the practitioner to 4 session, self saliva stimulation (autonomic nervous immunotherapy). was Let's examine the impact on middle-aged women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utonomic nervous). Before both of both populations practitioner, questionnaire and experimental group for health based on the normal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control group of sympathetic nerve activity and parasympathetic before and after untreated active, autonomous and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balance of the nerve were analyzed treatment after subjective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Biological signals associated with the care, is measured by the pulse wave measuring device (uBioClip v70), all results, using the SPSS WIN (Version 18.0), and statistical processing analyzes. Experimental group, the sympathetic and parasympathetic Shingyonjun sympathetic autonomic experiment after the activity is lower than that before the experiment, parasympathetic activity is enhanced after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ir saliva stimulating affect the changes in the autonomic nerves. Activity of the autonomic bala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also, after the experiment, it was close to the optimum state. Changes i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1) the activity of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Parasympathetic Nerve) (HF) (2) sympathetic nervous system (Sympathetic Nerve) activity of the (LF) (3) autonomic nervous system balance(LF / HF). It was measured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hree areas (Lee Ae Ran, 2014; Son Hyun ok, 2013; Chung Moon Sung, 2013). It was analyzed by percent a subjective improvement(Lee seon min, 2012) of the experimental group.

      • 수증기증류법으로 추출한 편백정유의 지역별 성분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길태규 선문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6335

        본 연구는 산림치유에서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편백나무의 효과적인 활 용을 위하여 전국의 편백나무 숲 3 지역(전남장흥, 충북영동, 인천대공원)을 지정 하여 성분을 비교 분석을 한 연구이다. 또한 이와 함께 그 성분에 따 른 효능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파악하여 각 지역의 편백정유를 활용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삼기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20여개의 편백 관 련 논문을 메타분석하여 편백정유의 성분과 효능에 대하여 다각적으로 연 구한 결과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남 장흥, 충북 영동, 인천대공원에서 편백을 채취하여. 이것을 이용하여 첫 번째, 3지역의 편백정유와 편백수를 추출하였다. 두 번째, 3지역의 편백정유의 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세 번째, 각 지역별 성분의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사용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Sabinene을 포함한 일반적인 주요 10가지의 성분은 선행연구와 일치하였으며 지역별로 주요 성분의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남쪽지역인 장흥에서는 Sabinene의 함량이 31%로 가장 많이 검출되어 Sibinene의 항균효과를 바탕으로 치유시설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중부 지역인 영동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검출된 delta 3-Carene, alpha-Pinene는 피부보호 기능에 유효하여 화장품 개발의 원료로 사용을 제안하였다. 북부 지역인 인천대공원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성분인 L-Bornyl acetate는 스트 레스 감소효과에 유효한 성분으로 삼림욕장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주요어 : 산림치유, 편백나무, 편백정유, 정유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 탄력테이핑 요법이 여고생의 요통 및 요부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김해룡 선문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6319

        본 연구는 탄력테이핑을 이용하여 요통이 있는 여고생을 대상으로 요통 요부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탄력테이핑 요법이 독자 적이고 효과적인 건강기술 중 하나인 보완요법으로 제안하려는 실험연구이 다. 연구기간은 2015년 10월 20일부터 11월 30일까지, 천안시 소재 B여자고 등학교 재학생들 중 요통으로 보건실을 찾아오는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실 시하였다. 실험군 15명에게는 탄력 테이핑을 적용하고 대조군 15명에게는 시판되는 첨부제(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를 적용하여 총 30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요통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이미영(2010)이 구성한 12항목의 시각 사상척도(VAS)중, 학생에게 해당되는 6항목을 재구성한 박순미(2014)의 측 정도구를 사용하고 요부관절가동범위 측정기(back range of motion : BROMⅡ)을 사용하여 체간 굴곡, 신전, 좌우측굴, 좌우회전 순으로 능동관 절가동범위를 2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측정하였다. 연구절차는 측정 전 일반적인 특성, 요통정도, 요부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고 실험군에는 탄력테이프를 적용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첨부제(ketoprofen - NSAIDS)를 적용한 후 각각 처치 직 후, 24시간 후, 48시간 후에 테이핑(첨부제)을 제거 한 후 측 정하고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요통관리행위에 대한 중요성을 설명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 전에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으로 구분하여 처치효과 외에 개인차 변인으로 인한 오차를 없애 고 탄력테이핑의 순수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점수로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의 사전-처치 직후, 사전-24시간 후, 사전-48시간 후 제거 후로 구분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탄력테이핑요법의 적용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요통의 정도가 감 소할 것이다’ 라는 제1 가설은 지지되었다(p < .05). 처치 직후, 24시간 후, 48시간 후 테이핑 제거 후에도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요통의 정도가 유의하 게 감소하였다.(p < .05) 2) ‘탄력테이핑요법의 적용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요부관절가동범위 가 증가 할 것이다’ 라는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p < .05). 처치 직후, 24 시간 후, 48시간 후 테이핑 제거 후에도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요부관절가동 범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5)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탄력테이핑요법이 요통의 정도를 감소시키고 요부관절가동범위를 증가시키는데 유의한 효과가 입증되었다. 따라서 탄력 테이핑요법은 독자적이고 효과적인 보완요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주요어 : 요통, 여고생, 탄력테이핑요법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