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역 · 번역 교수 역량 분석 연구

        최은실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77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elements of Interpretation/ Translation Teaching Competencies are needed to operat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based on apprenticeship training and how these competencies can actually be applied to Interpreter and Translator Trainers classes. For them, trainers with practical and professional experiences as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have been traditionally passed on their know-hows and strategies necessary for any given tasks with the goal of producing professional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Such apprenticeship-based classes don't require textbooks. That means trainers themselves select the text for the practice of translating and interpreting or trainers make students to select the text according to their guideline on the difficulty or amount of texts. In addition, apprenticeship-based classes require coaching and feedback from trainers. Such characteristics make the role of trainers more important in designing and operating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Given this, who should be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Trainers? Is an experience as a translator and interpreter the prerequisite for becoming a good trainer? The practical experience of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is an essential qualification for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Trainers has been posited in several studies (Kelly 2005; EMT Expert Group 2013; Pavlović and Autunović 2019). In addition, as more trainers are in the Ph.D. program at the Graduate School of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the number of operating lectures with a theoretical background o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pedagogy is also expected to increase. In other words, the number of trainers with knowledge of interpretation practice (interpretation/translation subject knowledge) and knowledge of interpretation/translation pedagogy is increasing. This begs the question, ‘Are these two kinds of knowledge sufficient for efficient and effectiv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And that wa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and the point where the concep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was introduced to fin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PCK refers to knowledge about how to transform into knowledge that learners can understand, beyond subject knowledge or pedagogical knowledge. When the concept of PCK is applied to interpretation/translation classes, it is necessary to convert experiential knowledge related to the practice of interpretation/translation or pedagogical knowledge for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Trainers into a certain form of knowledge which learners can understand it.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s to come up with answers to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factors regarding Interpretation/Translation Teaching Competencies for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Trainers composed of and what is the ranking of their importance? Second, how can the Teaching Competency of Interpreter and Translator Trainers be converted to PCK when they design interpretation/translation classes? At this juncture, both research question 1 and research question 2 are not independent of each other. That means research question 1 is characterized by a prerequisite problem to solve research question 2. To begi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Delphi method were used to address research question 1,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deal with research question 2. The interview consisted of a concept map method and a Content Representation (CoRe) method. The Delphi method is a research methodology that can achieve consensus among experts (panelists) by implementing several surveys with feedback. And this study attempted to reach an agreement on interpretation/translation teaching competencies through two surveys of 22 translator trainers and 22 interpreter trainers. In in-depth interviews to find out how teaching competency was converted to PCK in the process of designing their classes, four instructors were first asked to draw the concept map of sub-knowledge categories, which were components of Interpretation/Translation Teaching Competency, and then nine questions were used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CoRe method, one of measuring PCK. In the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s of teaching competency and PCK were derived from various studies to categorize the Interpretation/Translation Teaching Competency. And the ensuing categorization laid the foundation for designing questionnaires used in the Delphi method. In the first Delphi survey, the questionnaires both for translator trainers and interpreter trainers consisted of 24 questions. There, teaching competency was divided into five sub-categories: curriculum knowledge, teaching content knowledge, teaching methodology knowledge, learner knowledge, and evaluation knowledge. In addition,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four detailed indicators on each teaching competency and one subjective question. Evaluation knowledge differed slightly in structure (The category of evaluation knowledge had three indicators, as opposed to four, and one subjective question.). In addition, panels were asked to indicate the importance of each detailed indicator on a Likert scale. The survey results, in this study, were suggested after it was decided whether or not to maintain and delete sub-competencies based on the content validity, agreement value, and convergence valu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ranslator trainers considered ‘knowledge of causes that interfere with learning and solutions,’ and interpreter trainers considered ‘knowledge acquired through theory’ as unimportant teaching competencies. In the second Delphi survey, a questionnaire was provided after adding the results of the first Delphi survey to the panel. Adding comments were aimed to allow panels to reconsider their opinions when judging the importance of teaching competencies after knowing the opinions of other panels. As a result of the second survey, the Translation Teaching Competency outlined a total of 14 detailed sub-competencies, and the Interpretation Teaching Competency outlined a total of 15 detailed sub-competencies. Among them, the top thre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were ‘subject knowledge in the field of translation translators do,’ ‘knowledge of translators as jobs and translation markets,’ and ‘knowledge of job-related variables and strategies acquired through practice’ for Translation Teaching Competency. In regards to Interpretation Teaching Competency, ‘knowledge of interpreters as jobs and interpretation markets,’ ‘knowledge of job-related variables and strategies acquired through practice,’ and ‘knowledge of interpretation competence.’ The result showed that interpretation/translation classes were designed mainly with the goal of producing professional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and operated in a practice-centered approach. Based on the Interpretation/Translation Teaching Competencies—results from the Delphi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a concept map and the CoRe method to analyze how the Teaching Competencies actually work in the process of designing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First of all, the four trainers (A, B, C, and D)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practical experience, lecture experience, and research. They were asked to draw a concept map to learn how to represent their teaching competencies that were conceptualized. In the design stage, each trainer had a different approach to the combination of knowledge categories corresponding to teaching competencies, and perceived priority of each competency slightly differently. In addition, when deciding on teaching content, teaching methodology, and evaluation methods, such decision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market or jobs—that was the base knowledge of curriculum.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of the CoRe method were analyzed using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used in Grounded Theory. Putting the analysis results together, the four trainers regarded the situation of the interpretation/translation market or the occupation of interpreters/translators as a “Causal Condition” and then identified the “Phenomenon” of the condition. And most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henomenon” was presented in the form of interpretation competence or translation competence. Experiences, especially ones during classes, of the trainers acted as “Context.” As an “Intervening Condition,” examples of trainers as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and requests or reactions of learners were used. Then “Action and Interaction Strategies” are represented in the form of teaching strategies. Finally, as a result, learners produce “Consequences” in which their interpretation or translation competence have improved. With such resul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elected and studied trainers, one of the key players i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the study of interpretation/translation education, and applied the concept of teaching competency to interpretation/translation education. However, the Delphi survey did not consider some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 result — for example, the specific language major and the status of trainers. In-depth interviews were also limited by the fact that only four instructors were surveyed, and that the study was not able to find trainers who are currently conducting research, practice, and lecture at the same time. Despite these limitations, based on the Interpretation/Translation Teaching Competencies derived in this study, I hope that attempts to study competencies of trainers in more detail using various factors, especially sub-competencies more specialized in Interpretation/Translation Teaching Competencies, will continue in a qualitative way. 본 연구는 도제식 훈련을 기반으로 실습 위주의 수업을 진행하는 통역 및 번역 수업을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통역·번역 교수 역량은 어떤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고 실제로 수업을 설계할 때 해당 역량들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 통번역사를 배출한다는 목표 하에 통번역 수업에서는 보통 실무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교수자가 학습자에게 통번역 관련 노하우와 전략을 전수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통번역 수업에서는 특정 교재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교수자가 통번역 실습 활동에 사용되는 텍스트를 직접 선정하거나 교수자가 텍스트의 난이도나 분량 등을 지정한 후 학습자들이 해당 텍스트를 준비하게 된다. 또한 도제식 훈련 기반 수업에서는 교수자의 코칭과 피드백 역시 중요하다. 이와 같이 통번역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하는데 통번역 교수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그렇다면 통번역 교수자들은 실무 경험만으로 그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는가? 우선 통번역 교수자들의 실무 경험이 통번역 교육에 있어 필수 자격 요건인 사실은 여러 연구에서도 잘 드러나 있다(EMT Expert Group 2013; Kelly 2005; Pavlović and Autunović 2019). 또한 최근 들어 통역번역대학원 박사 과정에 진학하고 있는 교수자들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통번역 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가지고 강의를 운영하는 사례 역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즉, 통번역 실무에 대한 지식(통번역 교과 지식)과 통번역 교육학 지식을 겸비한 교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두 가지 지식이 갖추어진 교수자가 운영하는 수업은 좋은 통번역 수업이 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이 생겨났고, 이 질문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며,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교과교육학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었다. PCK는 단순한 교과 지식이나 교육학적 지식을 넘어서서 학습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지식으로 변환시키는 방법에 관한 지식을 의미한다. 통번역 수업에 적용해보면 통번역 교수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통번역 실무에 대한 지식이나 교육학적 지식을 학습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지식 혹은 변환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이 필요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의 두 가지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하였다. 첫째, 통번역 교수자를 위한 교수 역량은 어떤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요도는 어떠한가? 둘째, 통번역 교수자의 교수 역량은 수업 설계 과정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PCK로 전환되는가? 이 때 연구 문제 1과 연구 문제 2는 각각 독립적인 질문이라기보다는 연구 문제 1이 연구 문제 2를 최종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선결 문제의 성격을 띠고 있다. 우선 연구 문제 1을 해결하기 위해 문헌 연구와 델파이 기법이 활용되었고, 연구 문제 2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심층 면담이 실시되었다. 심층 면담은 개념도 작성법과 내용 표상법(Content Representation, CoRe)으로 구성되어 있다. 델파이 기법은 피드백이 첨가된 설문 조사를 여러 차례 시행함으로써 전문가들의 의견을 합의에 이르게 하는 연구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번역 교수자 22명과 통역 교수자 22명을 대상으로 2회에 걸친 설문 조사를 통해 통역·번역 교수 역량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수업 설계 과정에서 교수 역량이 어떻게 PCK로 변환되는지 알아보고자 한 심층 면담에서는 먼저 4명의 교수자들에게 통역·번역 교수 역량의 구성 요소인 하위 지식 범주들에 대한 개념도를 그려줄 것을 요청했고 PCK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인 CoRe법의 원리에 근거하여 9개의 질문을 활용했다. 문헌 연구에서는 교수 역량의 개념부터 출발하여 PCK의 개념을 도출하고 통번역 교수자들이 갖추어야 할 교수 역량을 범주화함으로써 이후 실시한 델파이 기법에 활용되는 설문지 문항 작성의 기초를 마련했다. 델파이 1차 조사에서 활용된 번역 교수자용 설문지와 통역 교수자용 설문지 모두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수 역량은 교과과정 지식, 수업내용 지식, 교수법 지식, 학습자 지식, 평가 지식의 총 5개 하위 범주로 나뉘어져 있으며, 평가 지식을 제외하고는 4개의 세부 지표와 1개의 주관식 문항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문가 패널들에게는 각각의 세부 지표의 중요도에 대해 리커트 척도로 중요도를 표시해 줄 것을 요청했다. 설문 조사 결과의 경우 본 연구에서는 내용 타당도와 합의도, 수렴도 값을 근거로 해당 문항의 유지 및 삭제 여부를 결정했다. 델파이 1차 조사 결과, 번역 교수자들은 ‘학습을 방해하는 요소 및 해결 방안에 대한 지식’을, 통역 교수자들은 ‘이론을 통해 습득된 지식’을 중요하지 않은 교수 역량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델파이 2차 조사에서는 델파이 1차 조사의 결과를 패널들이 알 수 있도록 그 내용을 수치화하여 추가한 후 설문지가 제공되었다. 이는 다른 패널들의 의견을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패널들이 교수 역량에 대한 중요도를 판단할 때 본인의 생각을 재고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2차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번역 교수 역량은 총 14개의 세부 지표로, 통역 교수 역량은 총 15개의 세부 지표로 확정되었다. 그중 가장 중요하다고 간주되는 상위 3개 역량을 살펴보면 번역 교수 역량의 경우 번역 분야별 주제 지식, 번역 시장 및 번역사라는 직업에 대한 지식, 실무를 통해 습득된 업무 관련 변수 및 전략에 대한 지식으로 나타났고, 통역 교수 역량의 경우 통역 시장 및 통역사라는 직업에 대한 지식, 실무를 통해 습득된 업무 관련 변수 및 전략에 대한 지식, 통역능력에 대한 지식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통번역 교육은 통번역사 배출이라는 목표하에 통번역 실무 위주로 수업이 설계되고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된 통역·번역 교수 역량이 실제 통역 및 번역 수업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작용되는지 그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개념도와 CoRe법을 활용해 심층 면담을 실시했다. 우선 실무 경력, 강의 경력, 연구 경력을 중심으로 선정한 4명의 교수자(A, B, C, D 교수자)를 대상으로 각자 암묵적인 형태로 개념화하고 있던 교수 역량을 활용해서 가르치기 위한 형태로 어떻게 표상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개념도를 그려줄 것을 요청했다. 각 교수자들은 수업 설계 단계에서 교수 역량에 해당하는 지식 범주들의 결합 방식에 대해 다르게 접근하고 있었으며 역량별 우선순위도 조금씩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수업 설계 시 통번역 시장이나 실무, 즉 교수학습 목표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수업내용이나 운영, 평가 방법을 결정하고 있었다. CoRe법의 질문에 대한 답변은 근거 이론에서 사용하는 개방 코딩과 축 코딩을 활용해서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4명의 교수자들은 통번역 시장 상황이나 통번역사라는 직업에 대한 인식을 ‘인과적 조건’으로 간주한 후 해당 원인에 대한 ‘현상’을 파악했다. 그리고 ‘현상’에 해당하는 내용은 대부분 통역능력 혹은 번역능력의 형태로 제시되었다. ‘맥락’으로 작용한 요소는 통번역 교수자가 경험했던 내용 중에서도 교수 경험을 통해 얻은 사례들이었다. ‘중재적 조건’으로는 교수자의 경험 중 실무 경험 사례들과 학습자들의 요청 혹은 반응 등이 활용되었다. 그에 따라 ‘작용 및 상호작용’이 교수 전략의 형태로 표상되고 그 결과 학습자들은 통역능력이나 번역능력이 향상되는 ‘결과’를 내게 된다. 본 연구는 통번역 교육 연구에서 교수 활동의 주체 중 한 요소인 교수자를 주제로 선정해 연구했다는 점과 교수 역량이라는 개념을 통번역 교육에 적용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델파이 조사에서는 교수 역량을 산출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 예를 들어 전공 언어별, 교수자의 지위별 등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점을 한계로 들 수 있다. 심층 면담 역시 4명의 교수자만을 대상으로 조사했다는 점, 지금 현재 연구와 실무, 강의를 모두 하고 있는 교수자를 섭외하지 못했다는 점 등이 한계로 남는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도출한 통역·번역 교수 역량을 바탕으로 통역 교수 역량, 번역 교수 역량에 좀 더 특화된 하위 역량 연구를 비롯해 교수자의 다양한 요소들을 변수로 삼아 교수 역량을 질적으로 연구하려는 시도가 계속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 한국교회내 설교통역에 대한 조사연구 : 설교통역의 현황과 특징을 중심으로

        신혜인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9727

        Korea is known for its large, strong and vibrant Christian population, with the world's largest Presbyterian, Methodist, and Full Gospel churches found in Seoul, the capital city. Korea is also currently the second largest missionary-sending country after the USA. In line with growing international exchanges, demand for and interest in sermon interpreting is increasing in Korea.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it as there is limited coverage on interpreting in religious settings, both in and outside of the country, let alone on the expectations of users and information on service providers. This study thus aims to promote general understanding of sermon interpreting in Korea in both consecutive (CI) and simultaneous (SI) mode taking place in formal Sunday worship services settings in Korea's large-size protestant churches. Specifically, this study carried out a comprehensive macro-level research that included surveys of churches (the service providing agency), congregations (the service users or consumers), and sermon interpreters (the service providers). The outcomes were examined taking into account the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theories of Eugene Nida, Danica Seleskovitch, Franz Pöchhacker and Hella Kirchhoff, and also used Pierre Bourdieu's habitus to better understand sermon interpreters. The study focused on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it looked into the situation of sermon interpreting in 247 Korean protestant churches through telephone and online questionnaire surveys.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past three years, 42 of them (17%) had CI incidences where foreign speakers (mostly English-speaking pastors) gave sermons that were interpreted in consecutive mode into Korean for the Korean congregation. Most consecutive interpreters (77.3%) were male pastors with formal seminary training but without training in interpreting. As for SI, among those surveyed 47 churches (19.1%) provided SI service for foreign worshippers who could not understand the Korean language. English was the most common target language (77.1%), followed by Chinese (8.6%) and Japanese (5.7%). However SI into other foreign language such as Russian, Mongolian, and Nepalese was made available according to the foreign population concentrated in different regions of Korea. Simultaneous interpreters in the churches were mainly composed of young Korean lay women. The survey showed that while churches were cautious in appointing sermon interpreters in CI mode and reluctant to give lay persons the opportunity to consecutively interpret sermons in formal church settings, most churches did not have qualification screening procedures for interpreters in SI mode and allowed laity to join in the interpreting for the foreign minority. Churches did not seem to fully understand the difficulty of SI, and interpreters, mostly untrained, often had to interpret simultaneously sermons, testimonies and other speeches without a written text. Churches’ enhanced understanding of how SI works and greater cooperation with interpreters seem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I service for foreigners. Second, questionnaire surveys were carried out of 530 CI users (Korean audience only) and 54 SI users (both foreigners and Koreans). These surveys used a list of nine criteria (language competence, knowledge of the bible, fluent interpreting skill, confident voice and eye contact, faith and spirituality, personality, passionate attitude and sense of calling, position in church, relation with the church) to be rated on a 5-point Likert scale to identify user-expectations of eligibility requirements for CI sermon interpreters. Respondents emphasized 'interpreting skills' (4.68) the most, followed by 'faith and spirituality' (4.50) and 'language competence' (4.46). When asked to put the qualities in order of importance, 29.1% of respondents marked 'faith and spirituality' the most important quality, while 28.5% and 28.3% put the highest priority on 'interpreting skills' and 'language competence' respectively, manifesting an equal emphasis on faith and interpreting criteria. When compared between clergy and non-clergy church members, clergy respondents tended to put greater emphasis on interpreters' language competence, interpreting skills and delivery, as well as faith, character and sense of calling, than their lay counterparts. When compared by respondents' age bracket, those between 30 and 40 years of age were found to be most conservative in terms of assessing the qualifications of sermon interpreters; they underlined spirituality, character, deep knowledge of the bible and sense of calling, more than other age groups. The youngest age group of 20 and under was confirmed to be the most permissive and lenient in regard to qualifications for sermon interpreters. Nevertheless, as underscored in Pöchhacker's interactant model (2004), interpreters had to have faith in Christian doctrine and share the typical Christian socio-cultural background or 'horizon' with the interacting parties in order to make communication successful. As for CI in sermon interpreting, among seven criteria (fidelity, reformulation with minor adding and omitting to promote understanding, fluent delivery, echoing speaker'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peed, correct biblical terminology, commentary by interpreter), 71.1% of respondents underlined 'fidelity to the original message' as the number one priority. However respondents did not favor literal translation, but rather interpreting that faithfully and accurately transferred the core message of the speaker in a manner that communicated and made the message easy to understand. Respondents evaluated highly sermon interpreting that made them feel like they were receiving the message directly from the speaker and not through the interpreter. Respondents also expected speaker and interpreter to become one and deliver the message in total unity in terms of both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The outcome confirmed that Nida's theory of dynamic equivalence (Nida 1964) is applicable to sermon interpreting. SI-users also put the most emphasis on consistency and accuracy in the transfer of meaning. Finally third, research was carried out on CI service providers, namely eight professional sermon interpreters who interpret in consecutive mode into Korean for the Korean congregation.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to effectively look into their individual experiences and understanding of sermon interpreting. The group was composed of seven clergy and one lay person, seven of them male and one female. The results showed that all saw themselves as co-preacher and emphasized preaching skill, as well as a sense of calling and ownership in order to communicate God's message accurately and effectively. Their attitude contrasted with Hella Kirchhoff's communication model (Kirchhoff 1976, reiterated in Pöchhacker 2004), in which interpreters were introduced as side-participants outside the situation of primary parties. While it was found that pastors were in better position to interpret effectively at churches, thanks to their habitus, a term made famous by Pierre Bourdieu, pastor-interpreters faced the additional task of overcoming their own embedded preaching style and habits, thus their habitus, in order to faithfully interpret and flexibly follow the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trategy of the speaker.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f 20 SI service providers in five churches, who interpret in a booth with the use of technical equipment, to better understand, among other things, their general traits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 results showed that simultaneous interpreters were mostly female lay members of the church in their 20s to 40s. Six of the respondents (30%) had formal interpreting training while others were untrained. Most had experience living abroad, which explains their fluency in the target language. They saw themselves more as 'communicators.' The study showed that sermon interpreting displayed features of both conference and community interpreting. It resembled community interpreting in that it took place in intra-social settings, as labeled by Pöchhacker (2004), and that most interpreters were untrained and did not receive proper remuneration. However, differences between sermon and community interpreting were seen in the directionality of the discourse and the format of interaction (one-to-many vs. one-to-one). This is where sermon interpreting exhibits a similarity with conference interpreting; like the latter it is made in one direction with the speaker delivering a one-way speech. For effective communication, interpreters are encouraged to grasp 'sense' and reexpress it in target language as outlined in Seleskovitch's triangular process model of interpreting. In the case of CI, sermon interpreting also shares features with conference interpreting as sermon interpreters are expected to offer skilled performance, and their eligibility is controlled (the task being mostly confined to clergy). However sermon interpreting in SI mode also manifests differences from conference interpreting as sermon interpreters work alone and simultaneously interpret the whole 60 to 90 minutes-long worship service, often without background documents needed for preparation and with little or no compensation. The full research study showed that sermon interpreting had the following four unique distinguishable features: First, sermon interpreters, unlike conference and community interpreters, view themselves as core participants between the interlocutors and perceive their role as being God's messenger along with the speaker. Second, while interpreters' impartiality is emphasized in conference and community interpreting, sermon interpreters are not expected to be ideologically neutral as the aim of the exercise is to appeal to and strengthen the faith of the audience. Third, besides the common qualifications of interpreters such as language competence, encyclopedic and thematic knowledge, delivery and interpreting competence, sermon interpreting highlights factors such as faith, spirituality, and personality that seem less related to interpreting per se. Fourth, unlike conference and community interpreting which have clearly defined modes of interpreting, i.e. SI and CI respectively, sermon interpreting has two-fold user-expectations and working environments according to interpreting modes with different conditions and levels of prestige. Furthermore, there is a two-fold perspective on sermon interpreting - one that emphasizes the 'sermon' or 'preaching' aspect, and another that highlights the 'interpreting' or 'translating' aspect. The former, mostly evident in but not confined to CI, sees interpreters as 'co-preachers' or 'semi-preachers,' and expects interpreters to have deep faith, spirituality, and high moral character, along with interpreting competence. This observation is backed by the fact that consecutive interpreters in Korean churches are dominated by male pastors, although the survey shows that users did not necessarily equate the level of spirituality with position in the church. The latter, on the other hand, views interpreters more as 'interpreting volunteers' doing service for the church, and emphasizes interpreting skill over the depth of faith. People with this perspective underlined interpreters' fidelity to the original text and showed strong resistance to freer interpreting approaches aiming to intensify persuasion and emotion. While they looked for unity between speaker and interpreter in terms of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they expected interpreters to assist speakers with a humble attitude and not draw attention to themselves. This perspective was found in both interpreting modes, and may explain in part the reason for the different outcomes by respondents' age bracket. The 30-to-40 age group was found to put more emphasis on the preaching aspect of sermon interpreting, while respondents 20 and under underscored the interpreting aspect. In sum, sermon interpreting has multi-faceted characteristics that make it difficult to categorize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division of conference and community interpret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benefit those already serving or preparing to serve as sermon interpreters, as well as scholars in Interpreting Studies, with the extensive amount of research it has done to enhance understanding of sermon interpreting in Korea and comprehensively identify user-expectations and hence, distinct features of interpreting in religious settings. 한국의 개신교는 현재 세계최대 규모의 장로교회, 감리교회, 순복음교회가 서울시내에 위치하고 있을 정도로 많이 성장하였다. 많은 학자들은 이러한 급속한 한국교회의 성장의 요인 중의 하나로 1973년 빌리 그레이엄(Billy Graham) 목사 초청 한국전도대회 및 이 대회에서의 유려한 설교통역을 들고 있다. 또한 한국 개신교 교회의 국제화에 따라 다양한 방면에서 설교통역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이처럼 설교통역이 한국에 미친 영향과 설교통역에 대한 수요증대에도 불구하고 설교통역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은 편이다. 이러한 연구공백을 메우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한국교회의 설교통역의 현황과 특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설교통역 분야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바람직한 설교통역의 모습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에 대해서 연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전국 대형 개신교 교회를 중심으로 일어나는 설교통역(순차통역과 동시통역)의 발생 현황을 확인한다(연구문제 1). 둘째, 커뮤니케이션 수용자로서의 청중이 설교통역에 대해서 기대하는 것은 무엇인지 분석한다(연구문제 2). 셋째, 커뮤니케이션 전달자로서의 설교통역사가 가지고 있는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다(연구문제 3). 위와 같은 연구문제에 대해 연구조사를 하되, 그 범위는 ① 한국의 대표적 대형 개신교 교회의, ② 공식적인 예배환경에서, ③ 순차통역이나 동시통역으로 이루어지는 설교통역으로, ④ 한국인(주로 순차통역) 혹은 외국인(주로 동시통역)이 청중이 되고, ⑤ 구어로 이루어지는 설교통역에 한정하였다. 연구조사결과를 보면 우선 연구문제 1과 관련해서는 전국 247개 대상 중 42개 교회가 지난 3년간 순차통역을 실시한 실적이 있었고 47개 교회는 동시통역서비스를 정기적 혹은 비정기적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19개 교회는 순차통역과 동시통역 서비스를 모두 진행하고 있었다. 동시통역 언어는 영어가 대부분(77.1%)이지만 교회 소재지에 따른 외국인의 사용 언어에 따라 중국어, 러시아어, 몽골어 등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순차통역의 경우, 설교자와 같이 무대 위에 서서 순차통역하는 설교통역사들은 대부분 남성이며 신학훈련을 받은 목회자(77.3%)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동시통역의 경우, 통역부스에서 설교자의 메시지를 동시통역하는 설교통역사는 대부분 20대∼40대 연령분포를 보이는 여성이며 신학훈련을 받지 않은 일반신자(37.5%)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이처럼 순차통역은 전문사역자만 할 수 있고, 동시통역은 일반신자도 할 수 있다는 생각이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한국교회의 통역에 대한 이중적 이해는 통역사의 가시성의 문제와 청자의 규모와 밀접히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수의 한국인 청중이 보는 앞에서 통역하는 순차통역사의 경우 교회는 설교통역사를 신중하게 세우는 데 반해 비가시적이고 청자의 규모도 적은 동시통역사에 대해서 교회의 관심이 적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외국인 예배참석자를 위한 양질의 동시통역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교회가 동시통역사에게 설교 원고문을 사전에 전달하여 준비하도록 협조하는 등 동시통역사에 대한 지원과 관심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다음으로 연구문제 2의 결과를 보면 설교통역 청자대상 인식조사에서 설교통역사의 주요 자격요건으로 강조된 것은 매끄러운 통역기술(5점 만점에서 4.68점), 신앙과 영성(4.50점), 언어능력(4.46점) 순이었다. 이를 순위형 질문으로 재차 확인한 결과, 1순위로 강조된 조건은 신앙과 영성(29.1%), 매끄러운 통역기술(28.5%), 언어능력(28.3%)순으로 비슷한 수준에서 신앙과 통역능력이 중시된 것을 볼 수 있다. 설교통역사의 자격요건에 대한 인식을 집단별로 비교했을 때 목회자 집단이 비목회자 집단보다 통역사의 언어능력, 통역기술, 전달력뿐 아니라 통역사의 신앙, 인격과 소명의식을 중시하는 성향을 보였다. 응답자의 연령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도 다수 발견되었는데, 상대적으로 30∼40대 집단이 설교통역사의 신앙과 인격, 해박한 성경지식, 교회생활 등에서 보수적인 성향을 보였다. 이에 비해 20대와 그 이하의 집단이 설교통역사의 인격, 성경지식, 소명의식, 교회 생활 등에 대해서 개방적이었다. 다음으로 청중이 선호하는 설교통역방법은 ‘통역사가 아닌 설교자를 통해 직접 듣는 것과 같은 느낌’을 주며 청중의 몰입을 유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람직한 설교통역에 대한 기대를 종합하면 ‘설교자의 정신과 핵심 메시지를 충실하게, 청중의 상황에 맞게 자연스럽고 쉬운 언어로 전달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는 결국 원메시지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번역 같지 않은 번역’이 되도록 청자의 언어로 자연스럽게 재구성할 것을 주장한 나이다의 등가이론이 설교통역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Nida 1964: 166, Nida & Taber 1969: 12). 마지막으로 연구문제 3과 관련하여 통역사 조사 일환으로 설교통역사와 심층면접한 결과 순차통역사들은 스스로를 ‘동료 설교자(co-preacher)’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교통역사들에 의하면 바람직한 설교통역은 설교자를 통한 하나님의 말씀을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청중에게 전달하는 것이고 이를 위해 통역사가 주인의식과 소명감을 갖고 적극적인 자세로 그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고 말하였다. 이러한 설교통역사의 자세는 주변적 참여자에 불과한 것으로 통역사를 이해한 키르히호프의 모델이 설교통역상황에 적용되기 힘든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푀히하커의 상호작용자 모델처럼 성공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설교통역사는 설교의 목적과 의미에 대한 합의뿐 아니라 교회의 사회 문화적 배경에 대한 공유가 전제되기 때문에 기독교 신앙에 대한 기본적인 믿음 없이는 설교통역이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청중 앞에서 설교통역하는 순차통역의 경우 설교자 아비투스 혹은 몸에 벤 설교커뮤니케이션 성향과 습관으로 인해 목회자들이 청중의 기대에 보다 부응하는 설교통역을 수행하는데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반면에 목회자는 자신의 설교자 아비투스를 최소화하여만 유연성 있게 설교자의 언어적·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요소에 맞추어 성실하게 통역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의식적인 노력을 필요로 한다고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조사결과를 토대로 설교통역을 기존의 커뮤니티통역과 국제회의통역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설교통역과 커뮤니티통역의 유사점으로는 주로 국가내 조직에서 이루어진다는 점, 통역훈련을 받지 않은 비전문 통역사들이 주로 충분한 경제적 보상 없이 활동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설교통역과 커뮤니티통역의 주요 차이점으로는 커뮤니티통역이 주로 일 대 일의 면 대 면 대화로 양방향으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데에 반해, 설교통역은 주로 일 대 다의 일방향으로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설교통역과 국제회의통역의 유사점으로는 양자 모두 연사 발화 위주의 일 대 다의 상황에서 일방향으로 통역이 진행된다는 점, 설교통역과 국제회의통역 모두 셀레스코비치가 주장한 탈언어화-의미추출-재표현의 과정에 따른 통역사의 매끄러운 전달력을 중시한다는 점, 순차통역사의 경우 설교통역사가 주로 목회자 집단으로 제한되는 점으로 인해 설교통역사로 활동하기 위한 조건이 까다롭고 국제회의통역의 경우에도 엄격한 자격 검증체계를 통해 통역사의 자격이 제한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설교통역과 국제회의통역의 차이점으로는 국제회의통역사 2∼3명이 한 조가 되어 교대로 동시통역하는 것과 달리 교회 동시통역사들은 60∼90분간 지속되는 예배를 혼자서 통역하고 있다는 점, 국제회의통역은 충분한 보상이 이루어지는 데 비해 설교통역은 그렇지 않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기존통역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설교통역의 고유한 특징을 분석하면 다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설교통역사는 커뮤니케이션 당사자와 구별되는 주변 참여자로 스스로 인식하는 국제회의통역사와 커뮤니티통역사와 달리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참여자이며 더 나아가 설교자와 마찬가지로 하나님 계시의 전달자로서의 정체성을 갖고 있다. 둘째, 기존통역유형에서 이념 중립성을 강조하는데 비해 설교통역의 목표는 정보전달 뿐 아니라 신앙의 강화, 감동, 삶의 변화를 촉진하는데 있으므로 이념적으로 중립적이지 않다. 셋째, 설교통역사의 자격요건은 기존 통역유형에서 중시하는 언어능력, 주제지식능력, 전달력, 통역기술 이외에 통역행위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낮아 보이는 신앙과 영성, 인격 등도 주요 자질로 강조된다. 넷째, 기존의 통역유형은 명확한 대표적인 특성이 있는데 반해, 설교통역은 순차통역과 동시통역에 따른 통역사 조건, 통역환경 등의 차이가 있고, 더 나아가 설교통역의 ‘설교’적 측면과 ‘통역’적 측면 중 어디에 강조점을 두는지에 따라 통역사에 대한 전반적 기대와 입장이 다르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해보면 설교통역은 국제회의통역과 커뮤니티통역의 분류에 맞지 않는 성질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광범위한 설문조사, 통역사 심층면접 등 실증적 조사연구를 통해 한국교회의 설교통역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한 본 연구는 현재 설교통역을 담당하고 있는 사람이나 향후 설교통역에 관심 있는 통역사, 목회자, 선교사에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종교적 환경에서 발생하는 설교통역에 대한 연구는 통역학 연구 관심의 다변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학습자 중심 통역 평가 교육을 위한 실행연구 : 자기평가 포트폴리오 모델을 중심으로

        상우연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self-assessment portfolio model to be used as a learner-centered teaching tool for interpretation evaluation, to use it in interpretation classe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In the field of interpreter training, the learner has typically been regarded as the object of evaluation, and learner perception of the interpretation evaluation has not been afforded much attention. Interpretation evaluation has rarely been viewed as an el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various interpretation quality evaluation standards, such as interpreters' working conditions, the purpose of interpretation, evaluators, and evaluation criteria. After all, although learners perform evaluations throughout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interpretation,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learners' evaluations are not verified due to the absence of any relevant curriculum. It should not be overlooked, however, that learner knowledge of proper evaluation criteria is a prerequisite for continuous, self-regulated learning. As society changes rapidly, interpretation services are provided in increasingly diverse settings. Professional interpreters need to be able to detect and respond to changing situations, acquire the evaluation criteria required on site, and perform their work accordingly. In other words, the ability to engage in self-regulated learning is crucial. Self-regulated learning is characterized by a repetitive and continued cycle of forethought, performance or volitional control, and self-reflection, driven by active cognitive-processing efforts. The self-assessment portfolio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s a pedagogical tool for interpretation evaluation aimed at supporting learners' self-evaluation and self-reflection. If the use of the self-assessment portfolio model helps learners develop a proper set of interpretation evaluation criteria, which would help improve the leaner’s interpreting competency, it would be worthwhile to consider using the model as a teaching tool for interpretation evaluation. Based on this expectation, the author conducted an action research project attempting to develop a self-assessment portfolio model as an interpretation evaluation teaching tool that facilitates the self-regulated learning process. This study first describes the action research project aimed at developing the self-assessment portfolio model in order to discuss the basis of developing the model. The characteristics required of a learner-centered interpretation evaluation training tool, identified in the process, are discussed, and the self-assessment portfolio model developed as a result of the action research project is proposed. Secondly, by analyzing learners' self-assessment portfolios collected throughout the research, the effectiveness of applying the model is examined both from the learners' and the teachers' perspective, and the benefit of the model as a training tool is discussed. Thirdly, the model was actually applied in interpretation class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learners and to explore its pedagogical relevance. In order to confirm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eories from educational psychology were consulted as to self-regulated learning (i.e., the intended outcome of using the self-assessment portfolio model) and were explored in terms of their relevance to the study of interpreter/translator training.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intersection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process-oriented education, and self-evaluation. Furthermore, existing studies on interpreter/translator training were also consulted, which indicated that research that looks into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is particularly restrained due to the nature of spoken language - the very product of interpretation. This also means the self-assessment portfolio model, developed by combining the reflective journal commonly used in translator training and Gile’s effort model (Gile 1983, 2004) can be a potentially useful tool for process-oriented education, which encourages learners to reflect upon their own interpretation processe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f-assessment portfolio model, designed to help learners form a comprehensive viewpoint for evaluating interpretation as opposed to solely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process, were examined in the context of education theories on portfolio-based assessment.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ve, this paper describes in detail the action research project carried out from 2010 to 2017, which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self-assessment portfolio model. The proposed model is the outcome of preliminary research that started from 2010, underwent six rounds of improvement by 2015, and went through a stabilization phase by 2017. By reviewing the model improvement history and results over the six rounds, insights were gained as to the required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in terms of the user and the model’s effectiveness as a tool. First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t was necessary that the model provide design clarity centered on core elements, interactiveness to consider the users of interpretation services, and sustainability to allow for the mediation of task burden. In terms of effectiveness as a tool, the model needed to provide 1) flexibility to manipulate the use of various elements to serve different purposes and 2) measurability to assist learners and teachers in sharing their observations effectively and tracing the progress made. In addition, the model needed to be open to improvement to allow for the addition and/or modification of elements in line with its effectiveness perceived by the users of the model - that is, the learner and the teacher. Secondly, learners' portfolio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effects of using the model from a user perspective and the model’s effectiveness as an educational tool. First, it was observed that the model assisted the teacher in better understanding the learners' methods of evaluation, and changing, if necessary, the learners' evaluation perspective by providing evaluation instructions, feedback, etc. Meanwhile, the examination of learner perceptions revealed that learners felt the model helped them cope with various challenges they face in interpreter training. More specifically, it was indicated that learners found the model useful in identifying the source of error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ir own interpretation process, as it provided a renewed perspective on the issue of interpretation quality, which ultimately shed light o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learners themselves. The model, as a tool, was also found useful in providing the learner with opportunitie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and reflect upon their own learning and in increasing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 and the teacher. Thirdly, an action research project was conducted where the self-assessment portfolio model was utilized in an actual interpretation class to investigate the model’s pedagogical relevance by tracking changes observed in the collection of learner portfolios. The portfolio analysis indicated that the learners' tendency to agree with the teacher in specifying error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process increased over 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er-teacher agreement and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s interpreting skills, in particular, was examined on the basis of academic grades achieved by learners. The group with higher grades demonstrated a notable increase in the tendency to agree with their teacher, compared to the group with lower grades. This could mean that the self-assessment portfolio model bears at least some relevance to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s' interpreting competence, although the complexity of other variables at play in interpreter training should be fully recognized. In other words, the self-assessment portfolio can potentially help learners and teachers communicate more actively to narrow the gap in their perceived evaluation standards. Learners, therefore, are better equipped to observe and evaluate the process and the product of interpretation in the closest proximity possible to the set of criteria addressed in a given training session in order to develop strategies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for the next session. The self-assessment portfolio model is designed to repeat this process, so the learners can enhance their interpreting skills effectively by performing tasks. The change in the degree of the learner-teacher agreement, as evidenced by the portfolio analysis, could confirm that utilizing the model helps learners create a self-regulated evaluation cycle, which, in turn, improves their interpreting skills - a finding in line with the initial expectations of this study. The impact of self-assessment portfolio tasks on self-regulated learning was also identified in the analysis of the different evaluation stages employed by users. User evaluations were categorized into different stages based on the evaluations' degrees of proactiveness. The stages included (A) phenomenon diagnosis, (B) cause analysis, (C) training method for improvement, (D) calling for attention and improvement, and (E) observing the improvement process. The stages were listed in terms of the phases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cycle. Comparisons were made between the different evaluation stages employed by users, which indicated that the learner evaluations tend to be more commensurate with creating self-regulated cycles when the evaluation is on their own work, as opposed to their peer’s work. In other words, their self-evaluation displayed more proactiveness (i.e., going beyond diagnosis to process-oriented cause analysis and strategic planning), compared to peer evaluations. It was also found that the stages of self-evaluation changed over the period when learners engaged in self-assessment portfolio tasks. This could mean that the use of the self-assessment portfolio model encourages learners to employ evaluation stages in a way that increases self-regulation.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of an action research project aimed at developing the self-assessment portfolio model that reflects the realities and practices of actual interpreter training. The research was conducted over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from 2010 to 2017)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research outcomes, a common issue in translation/interpretation studies, given the typically small number of learners at T&I institutions. It is also notable that this study verified the benefit of the model as a learner-centered training tool not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s but also from a learner perspective by investigating learner experience of using the mod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identified the elements required of the self-assessment portfolio model and confirmed the model’s effectiveness as an interpretation evaluation training tool. It is proposed that the model be used in interpretation class as a learner-centered training tool on the subject of interpretation evaluation. 본 논문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 통역 평가 교육 도구로써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을 개발하여 통역 수업에 활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통역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는 평가의 대상으로 간주되어 왔으며 통역 평가에 대한 학습자 인식은 주목받지 못했다. 통역 현장 조건, 통역 수행 목적, 평가 주체, 평가 기준과 같은 다양한 통역 품질 평가 기준이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상황은 통역 평가가 교육 대상이 되지 못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결국 실제 통역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는 평가를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역 평가 교육 과정의 부재로 그 과정과 결과에 대한 검증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학습자의 적절한 평가 기준 형성은 지속적인 자기조절학습의 전제가 된다는 점에서 간과되어서는 안된다. 급변하는 사회 흐름에 따라 통역이 필요한 현장도 다양해지는 만큼 전문가로서 통역사는 상황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현장에서 요구하는 평가 기준을 습득하고 통역을 수행할 수 있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 자기조절학습은 능동적인 인지처리 노력에 의해서 계획, 수행•의지통제, 자기 성찰이라는 순환고리를 형성하면서 반복적으로 지속되는 학습의 특징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은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통역 평가를 수행하고 성찰하는 것을 지원하여, 학습자가 통역 평가에 대해 자기조절학습의 순환고리를 형성하도록 하는 목적을 가진 통역 평가 교육을 위한 도구이다.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 활용이 학습자의 통역 평가 기준 형성에 공헌하고 그 결과가 학습자의 통역 실력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면, 이를 통역 평가 교육 도구로써 통역 수업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만하다. 이러한 기대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자기조절학습 실현을 위한 통역 평가 교육 도구로써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을 개발하는 실행연구를 수행하였고, 본 논문은 그 과정과 결과에 대한 보고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을 개발한 실행연구 과정을 기술하여 모델 개발 근거를 논의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확인된 학습자 중심 통역 평가 교육 도구의 요구 특성과 실행연구 결과 완성된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실행연구 결과 축적된 학습자의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를 분석하여 학습자와 교수자 입장에서 인식한 모델 활용의 효용성을 살펴보고 도구 효과를 정리하였다. 세 번째로 실제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을 활용한 결과 학습자에게 확인되는 변화를 통해 교육 효과를 고찰하였다. 먼저 실행연구 보고에 앞서 본 연구가 가지는 교육적 의의를 확인하기 위해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이 지향하는 자기조절학습의 교육심리학적 이론 배경을 살펴보고 통번역 교육 연구와의 접점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 중심 교육과 과정 중심 교육, 자기평가와 관련한 교집합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통번역 교육 연구 분야의 선행연구를 조사한 결과 특히 통역 교육의 경우 구어로 생성되는 통역 결과물의 특성으로 인해 통역 과정에 주목한 연구에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학습자가 통역 과정을 성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번역 교육에서 활용하는 ‘번역일지’에 질(Gile 1983, 2004)의 노력모델을 접목하여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것의 과정 중심 교육 도구로서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포트폴리오 평가법에 대한 교육학 이론 배경을 고찰하여 학습자가 통역 과정에만 주목하는 것에서 벗어나 종합적인 통역 평가 관점을 형성하도록 설계한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우선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실행연구 방법을 통해 개발한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의 개발 배경과 그 간의 실행연구 경위를 상세히 기술하였다. 그 결과로써 2010년 예비연구를 시작으로 2015년까지 6차에 걸친 모델 개선 과정과 2017년까지 안정화 기간을 거쳐 개발이 완료된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을 제시하였다. 6차에 걸친 모델 개선 내역과 결과를 고찰함으로써 모델 사용자와 모델의 도구 효용성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의 요구 특성을 정리할 수 있었다. 먼저 사용자 관점에서는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모델을 설계하는 구성 요소의 명료성, 통역 사용자 관점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는 상호작용성, 과업 부담 조정을 통한 지속가능성이 필요함을 확인하였고, 다음으로 도구 효용성 관점에서는 목적에 따라 도구의 다양한 구성 요소 활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유연성, 성찰 결과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효과적인 인식 공유와 변화 과정 추적을 용이하게 하는 도구의 계량성, 도구 사용자인 학습자와 교수자가 인식하는 효용성 점검을 바탕으로 필요한 요소를 추가•변경 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가능성 등의 요구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축적된 학습자의 포트폴리오를 분석하여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 활용 효과를 사용자 관점과 도구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교수자 입장에서는 학습자의 평가 특성을 자세하게 파악할 수 있고, 필요 시 평가 지침, 교수자 피드백 등의 기능을 통해서 학습자의 평가 관점 변화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학습자 인식 조사 결과를 통해 학습자는 통역 수업에서 겪는 다양한 어려움을 해소하는데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이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학습자는 통역 품질 문제를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고 통역 과정에 근거하여 통역 문제를 유발한 원인을 분석할 수 있게 되어 본인의 강점과 약점을 인지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 활용이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사용자 입장에서 인식한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 효용성을 도구 기능의 관점에서 정리한 결과 학습자가 통역 과정을 이해하고, 자기 성찰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는 점과 학습자와 교수자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점을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이 가지는 도구 효과로 도출할 수 있었다. 세 번째로, 실행연구를 통해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을 실제 통역 수업에서 활용한 결과 축적된 학습자의 포트폴리오에서 확인되는 변화를 추적하여 모델의 교육 효과를 고찰하였다. 포트폴리오 분석 결과 학습자는 전반적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통역 과정에 근거하여 통역 문제를 특정하는데 있어서 교수자와 의견일치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나아가 의견일치율과 통역 실력 향상의 관계에 주목하여 학습자 그룹을 성적을 기준으로 나누어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성적 상위 그룹이 하위 그룹에 비해 의견일치율이 현저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통역 훈련에 포함되는 복합적인 변인들을 고려할 때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이 학습자의 통역 실력 향상과도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즉, 학습자와 교수자는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를 통해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평가 기준에 대한 인식의 간극을 좁힐 수 있다. 그 결과 학습자는 해당 통역 수업에 적용되는 기준에 근접하여 통역 과정과 결과를 관찰하고 평가하여 통역 개선 및 훈련 방안을 모색하고 전략을 세워 다음 통역 수행에 임한다.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은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학습자는 과업 수행을 통해 효과적으로 통역 실력을 개선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에서 본 연구자는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 활용을 통해 학습자가 통역 평가에 대한 자기조절적 순환고리를 형성하는 것이 학습자의 통역 실력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였는데,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해 확인한 학습자의 의견일치율 변화에서 연구 기대가 일정 부분 적중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기평가 포트폴리오’과업을 통한 자기조절학습 효과는 평가 주체 별 통역 평가 단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평가 주체들이 평가한 내용을 현상 진단(A), 원인 분석(B), 개선을 위한 훈련 방법(C), 주의환기•개선요청(D), 개선변화 관찰(E)과 같은 형태로 평가 주체의 평가 의도 적극성을 기준으로 단계를 분류하고 이를 자기조절학습 순환단계의 관점에서 나열하였다. 평가 주체 별 평가 내용에서 나타나는 통역 평가 단계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학습자는 동료평가 대비 자기평가 수행 시에 보다 자기조절적 순환고리를 형성하는 평가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해 학습자의 동료평가 수행 내용에 비해 자기평가 내용에서 현상 진단에 머물기 보다는 통역 과정에 주목하여 원인을 분석하고 전략을 세우는 적극적인 평가 요소가 관찰되었다. 또한 이러한 자기평가에서 나타나는 통역 평가 단계 특성은 ‘자기평가 포트폴리오’과업 수행 기간 동안 변화하였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 활용이 학습자가 자기조절적인 방향으로 통역 평가 단계를 형성하게 작용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 통역 평가 교육 도구인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실행연구 과정을 기술하여 실제 교육 현장의 상황에 기반한 모델 개발 근거를 제시하였다. 2010~17년이라는 비교적 장기간의 실행연구 기간을 확보하여 소수 학습자로 구성되는 통번역 교육 기관의 특성에 기인한 연구 신뢰도 문제를 보완하였다. 또한 학습자 인식 조사 결과를 통해 모델 활용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학습자 중심 통역 평가 교육 도구로써의 가치를 교수자 관점만이 아닌 학습자 입장에서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연구 결과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의 요구 특성과 통역 평가 교육 도구로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통역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 통역 평가 교육 도구로써 ‘자기평가 포트폴리오’모델 활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 번역사 연구방법을 통한 『단권 성경주석』(1934)의 고찰

        최효은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711

        The aim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One Volume Bible Commentary (1934, hereafter referred as to “OBC” or “TT’) in the context of Korea’s modern time translation history of Bible commentaries. OBC is a translated Bible commentary, translating Abingdon Bible Commentary (1929, hereafter “ABC” or “ST), edited and published by YOU, Hyunggi, a Methodist pastor and in itself is frequently reoccurring in the context of Korean church history because of the theological dispute over its view on the Bible, which generally called “Abingdon Bible Commentary Matter” (hereafter “Abingdon Matter”). Against this backdrop, the overarching question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Does OBC, which matters in church history, also matters in translation history? With this simple curiosity on a historical translation, the study first explores the method of translation historiography in order to approach the object, not from theological standpoint, but from the interest and view of translation studies while maintaining the frame of historical research (Chapter II). The necessity of this theoretical exploration stems from the demand for specific theory of translation, which has been lacking compared to other research areas within translation studies despite its vibrant disciplinary growth since 1990s (Pym 1998: 1-3, Woodsworth 2001: 100). As the result of theoretical review, the study proposes the triangular approach to a historical translation, i.e. study on internal history (Chap. IV), on translator (Chap. V), and on external history (Chap. VI) in order to examine its multiple implications in a balanced way. Separating internal and external history was hinted from the method of linguistic historiography, yet its concepts were redefin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ranslation. In this study, translation is viewed as a historical event consisting four distinctive elements, which are subject area (Christianity in this case), text type (annotation), translator (theologians, pastors), and reader (denomination bodies s as an authoritative reader and readers in general including theologians, pastors, church members and theological students in time of 1930s in Korea). The study on internal history focuses on the literature side of the translation, which is determined by its subject area and text type. And it becomes important to collect and arrange relevant bibliographies in chronicled order. The study accumulated bibliographies for Bible commentaries translated and published in the period, starting from 1882, if based on the year of the first Korean Bible translated, or 1908, if based on the year of the first Korean Bible commentary appeared, to 1945. The research found 44 literatures in the kind and tries periodization, which divides into 4 stages of the history: 1900s as the period that key publishers presented their first translated Bible commentaries, 1910s the period of “from Chinese to Korean” translations by Korean translators, 1920s the period of “from English to Korean” translations by English speaking translators, 1930s the period of “from English to Korean” translations by Korean translators. In this translation history of Korea’s modern time Bible commentaries, OBC is found to be stood out with following features. First, its choice of writing style is Chinese and Korean characters combined, which was a familiar mode for the learned. Yet this was unlike from the prevailing style norm in Christian publications, which was the all-out Korean characters and was influenced by the foreign missionaries’ mission plan whose main target was general public, not necessarily educated with Chinese characters. Second, it is the first Bible commentary that covers all books of the Bible, while preceding ones only annotated the New Testament. Third, its “from English to Korean” translation was carried out mainly by Korean translators, while the most of the same kind were done by foreign missionaries. Fourth, restating the third feature in terms of translation direction, it displays BA translation, not AB translation, which implies a range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ranslation. Fifth, it is a collaborative translation project conducted by a large group of 51 persons. The study on translator naturally focuses on the human identity of OBC. Especially in this study, the change of major driving force in the Christian literature translation history has been brought up as a main issue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on internal history. The study identifies the nationality of a translator during the period on question was whether Korean or English speaking foreign missionaries. Yet the translation history of Korea’s modern time Bible commentaries constitutes too narrow context, consisting only 44 bibliographies, to properly deal with the issue of main agent of the history. Thus the scope of the context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human aspects of OBC was expanded to Christian literature translation history in general, not limiting text types to Bible commentaries. With this measure, the study found that the average 70% of translators in Christian literature translation history during the time of 1882 to 1945 was English speaking foreigners, more specifically, almost 100% during 1880s and 1890s, and almost 70% during 1930s and 1940s. This means Korean translators slowly took up the portion of the scene yet the major driving force of the Christian literature translation history was still foreign missionaries during the time. The situation changed only after the drastic fall in the number of foreign missionaries in 1940s due to the deportation order decreed by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after a worsening of the political relation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this context, it is exceptional that more than 82%, 44 in number, of OBC translators was Korean. Also their ages were average 20 years younger than foreign missionaries that time, which foreshows the natural change of main driving force of the Christian literature translation history, though the actual change was taken place by the outside cause. And the study then traced their life paths after the translation and found that they served the country as leaderships in various kinds, including church leaders, educators, statesmen, female leaders, independence patriots, publishers and writers, etc. Their life paths indirectly indicate the role of translation that time of Korean history. In the mean time, it prov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OBC from the human identity perspective. The study on external history can be categorized as a study to understand history through translation, asking “what translation can tell about history” according to Rundle (2012: 239) and examining “what role translation did in the given time” according to Hermans (2012: 244) and Olohan (2014: 9), while the studies on internal history and on translator is a study on translation history itself. Thus this portion of the study directly deals with the issue of Abingdon Matter through translation analysis, which has never been done in previous studies. From the translation analysis focusing on how the elements of liberal theology in ABC (ST) were received by OBC (TT) translators, the study identified two different attitudes, liberalistic and conservative. Though both attitudes share translation strategies, such as changing or omitting or adding text, the effect of those same strategies were varied by the choice of translation attitude. When a translator chose liberalistic standpoint the level of liberal theology stayed same or became intensified, while if it was a conservative attitude a translator chose to display, liberalist text turned into conservative ones, or the theological color of the text became neutralized, or the liberalistic intensity weakened. And it is important to notice that the different modes of reception attitue are not the matter of each translator’s inherent and static attitude, but the choice that they made concerning how to present the text to readers. For example, translations for chapter titles, which are more visible to readers, are more frequently changed into conservative ones while body-texts likely deliver liberal messages of ST. It reflects the inner conflict of OBC translators who were well aware of both potentially problematic nature of ST and firmly conservative nature of TC (target culture). The portions of the study summed up above are studies that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macro level context, whether in form of chronicles (Chapter IV, V) or in relation to a historical affair (Chapter VI). Yet in the study, before diving into the context, micro level investigation on OBC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onfirm historical facts around the object as well as to indentify clues that demand macro level research on OBC. Thus following items were checked: text type; bibliography such as titles, publishing years and changes made in later editions; ST including its reception in SC (Start Culture) and unknown STs; full list of all 51 translators; translation characteristics, organizing-wise as well as text-wise; translation style of several notable translators including a female, writer, and foreigner (Chapter III). The value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it corrects key historical facts on OBC, for example its cover title and chronological order in the translation history of Bible commentaries. Second, the study is one of the first attempts to describe translation history focusing on Christian literatures that are not the Bible, which is one of the most described areas in translation history. And it includes the periodization of the Korea’s modern translation history of Bible commentaries. Third, the study conducts translation text analysis in relation to Abingdon Matter. Previous studies on Abingdon Matter have not looked into the text though its essential issue belongs to the reception of new ideas from a foreign culture. Fourth, the study presents a new method of translation historiography, which approaches the historical translation from triangular points for macro level studies, and micro investigation as a presupposition to the contextual research. Fifth, the study provides a research example of translation historiography, which is one of the most under-conducted areas in translation studies. Further studies can be developed in many directions. One of them is more language and text oriented study on OBC, which can be served as a corpus of intellectual language uses in 1930s, and of conceptual and theological term translations. Both further studies on OBC and studies in the area of translation history deserve more attentions from translation researchers. 본 연구는 그간 한국 교회사 문헌에서 ‘아빙돈주석사건’과 함께 빈번히 언급되어 온 번역서 『單卷 聖經註釋』(1934, 이하 『단권 성경주석』)을 번역사적 맥락과 번역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여 그 역사적 의의를 다각적으로 이해할 것을 도모하는 번역사 연구(translation historiography)이다. 이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본고 전반에 걸친 연구문제는 교회사적으로 문제적이었던 『단권 성경주석』이 번역사적으로도 문제적인가 하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번역사 연구방법의 틀 안에서 수행되었다. 그 구체적인 방법은 본고 II장 이론적 탐색에 정리되었다. III장에서 VI장에까지 이르는 『단권 성경주석』의 기초사항으로부터 내사적 연구, 번역자 연구, 외사적 연구는 이론적 탐색의 결과로 도출된 번역사 연구에 대한 본고의 이론적 체계와 조사방법으로 구성된 연구들이다. 먼저 II장 이론적 탐색에서는 본고의 연구체계와 방법의 기초를 이룬 번역학자들의 이론적 제안을 번역사 연구의 목적, 대상, 체계의 측면에서 정리하고, 본고가 채택하고 있는 이론적 틀을 설명한다. 본고의 연구체계는 번역사 연구를 2단계의 과정으로 개념화한 헤르만스(Hermans 2012)의 견해와 언어사 기술방법인 내사와 외사의 구분을 번역사 기술에 도입할 것을 시사한 김정우(2008)의 제안으로부터 실마리를 얻어 수립되었다. 체계 내 각 부문의 방법은 핌(Pym 1998)의 제안을 기초로 하고 있다. 번역사 연구대상을 항목화한 듈스트(D’hulst 2010)의 정리는 본고의 연구대상의 제반 기초사항을 확인하는 점검목록의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그간 번역학 내·외적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연구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번역사 연구의 종류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이어서 III장 『단권 성경주석』의 기초사항에서는 본 역서의 텍스트유형과 서지, 원문 및 번역 관련 제반 사항들을 살펴보았다. 기독교텍스트유형으로 잘 알려진 성경과 구별되는 본 역서의 텍스트유형(성경주석서)을 나이다(Nida 1994)의 정의에 입각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본 역서와 성경의 번역과정 상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또한 번역과정에서 참여 번역자들이 어떤 기대감을 가지고 번역작업에 참여하였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본 역서를 역사적 맥락 속에서 조명할 구체적인 실마리를 발견하고 이를 IV장 내사적 연구와 V장 번역자 연구의 근거로 삼았다. 그리고 현재로부터 상당히 거리가 먼 과거의 대상인 본 역서의 표제 및 부표제, 발행연도, 판본별 차이 등을 실물자료를 통해 확인하며, ‘아빙돈주석사건’이 본 역서의 출판과 후대 판본에 미친 물적·텍스트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역서의 번역상의 특징을 구성적인 측면과 텍스트적 측면으로 나누어 검토함으로써, 이후 IV장에서 이루어질 ‘아빙돈주석사건’의 쟁점에 초점을 맞춘 심층 텍스트분석의 기반으로 삼았다. 더불어 1930년대의 번역규범 및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한 사례로서 본 역서의 번역에 참여한 다양한 번역자들 가운데 몇몇 주목할 만한 유형(여성, 소설가, 외국인)을 선정하여 그들의 번역문체를 분석하였다. IV장 내사적 연구에서는 본 역서와 동일한 텍스트유형의 번역서들이 형성하는 역사적 맥락(근대 성경주석번역사) 속에서 본 역서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먼저 그 주변 혹은 상위의 맥락을 살펴봄으로써 본고의 내사 맥락에 대한 기초적인 안목을 형성하고, 그를 바탕으로 근대시기에 번역된 성경주석서들을 조사하고 목록화하였다. 이렇게 조사된 근대 성경주석번역사 맥락의 개관하여 시대구분을 시도하였다. 1900년대를 주요 기관별 최초의 주석서가 발행된 시기, 1910년대는 한국인 주도의 중한번역 시기, 1920년대는 외국인 주도의 영한번역 시기, 1930년대는 한국인 주도의 영한번역 시기로 각 시기별 특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그 각각의 시기에 출판된 성경주석번역서들과 본 역서를 비교할 때 본 역서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본 역서는 순한글체를 지배적인 규범으로 하던 기독교출판물들 가운데 이례적으로 국한문혼용체를 사용하였다. 둘째, 성경전권에 대한 최초의 번역주석서이다. 셋째, 한국인 주도의 번역이다. 넷째, 한국인 주도의 번역이면서 영문을 원문으로 했다. 다섯 째, 외국인과 한국인이 분리된 협업 방식으로 진정한 번역양식을 형성하고 있다. 여섯째, 대규모 공동작업에 의한 번역이다. 다음으로 V장 번역자 연구에서는 번역자 측면에서 본 역서가 가지는 역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그런데 주체변동이라는 거시적 변동과 함께 번역자 측면에서 본 역서의 의의를 살펴보기 위해 성경주석번역사 맥락은 그 사건의 수, 즉, 번역서의 종수가 44종으로 상당히 제한적이고 협소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그 검토 범위를 기독교출판번역사로 확대하였다. 검토 범위를 확대한다는 것은 근대시기 기독교출판번역사를 구성할 방대한 서지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대대적인 번역고고학적 조사를 전제한다. 그런데 다행이 이 부분의 조사는 텍스트유형 면에서나 시대적으로나 적절한 기초자료가 되는 선행연구(김봉희 1987)를 활용할 수 있었다. 김봉희(1987)의 서지목록을 분석함으로써 근대시기 기독교출판물에서의 번역물의 비중(평균 71%)을 비롯하여 기간별 번역자 변동추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간 내 기독교번역물의 생산에서 외국인 번역자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약 평균 70%로, 1880년대와 1890년대에는 거의 100%, 1930년대와 1940년대에는 60% 후반 정도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이들의 수가 1940년대 급감하게 되는데 그 원인은 미·일관계 악화에 따른 외국인 선교사 추방 조치로, 이 조치에 따른 국내 선교사 수의 변화를 UCLA 한국학 연구소의 자료를 토대로 확인하였다. 이 같은 맥락을 바탕으로 본 역서의 번역자 51명의 정보를 확인할 때, 그 중 82%가 넘는 42명이 한국인으로, 근대시기 번역물의 출판 주체의 70%가 외국인이었던 점과 대조적이었다. 또한 본 역서의 번역에 참여한 번역자들의 연령과 내한 선교사들의 연령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인들이 외국인들에 비해 20세 가량 어린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독교출판물의 번역의 주체가 국적 면에서 세대교체를 하게 됨을 예고하는 상황이라 하겠다. 그리고 『단권 성경주석』(1934)의 번역이라는 하나의 과업 아래 모인 42명의 한국인 번역자들이 번역 이후 어떤 삶을 살았는지를 간략히 살펴볼 때, 교계 지도자를 비롯하여 교육계 지도자, 여성 지도자, 독립유공자, 출판인·문인을 등을 비롯하여 현대사의 격랑과 함께 비극적인 운명을 맞이한 인사들도 있었다. 이는 번역이 곧 근·현대시기 우리나라의 지도력을 형성한 인사들의 공통과업이었음에 가리키는 방증이기도 하고 또한 본 역서의 번역에 참여한 인사들 가운데 유력인사가 상당수라는 점은 본 역서의 역사적 의의를 번역자 측면에서 증명하는 일이기도 했다. 번역사 연구의 목적에 대한 헤르만스(Hermans 2012), 런들(Rundle 2012), 올로한(Olohan 2014) 등의 견해에 따르면 앞서 IV장 내사적 연구와 V장 번역자 연구는 ‘번역의 역사에 관한 연구’로 분류될 수 있다. 번역사의 구성 자체와 그 맥락의 검토가 목적이기 때문이다. 반면, 마지막 VI장 외사적 연구는 ‘번역을 통해 역사를 바라보는 연구’로 분류될 수 있다. 앞의 두 연구와 달리 여기에서는 본 역서에 관한 기존 교회사 기술의 관심사인 자유주의적신학과 보수주의적신학 간의 대립이라는 쟁점이 공유된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아빙돈주석사건’을 다루되 기존 교회사적 연구들이 결여하고 있는 번역문에 대한 텍스트분석으로 사건의 쟁점에 접근한다. 즉, 번역문의 요소요소를 짚어가며 쟁점이 된 부분의 실제 번역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빙돈주석사건’은 원서 Abingdon Bible Commentary(1929, 이하 ABC)에 대한 평가를 번역서에 그대로 이식함으로써 벌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실제 번역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번역자들에 의한 수용 양상은 훨씬 복잡했다. 크게 자유주의적인 ST를 자유주의적인 태도로 수용하는 경우와 반대로 보수주의적 태도로 수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각각의 태도로 인한 번역의 효과는, 전자의 경우 자유주의적 관점의 유지 혹은 강화, 후자의 경우 자유주의적 ST의 약화 혹은 보수화 내지 중립화로 나타났다. 번역과정에는 변형, 삭제, 첨가 등 주요 전략을 비롯하여 다양한 세부전략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해당 번역자가 어떤 수용태도를 선택했느냐에 따라 그 전략의 효과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반된 방향으로 나타났다. 번역문 분석에서 엿볼 수 있었던 번역자들의 수용태도는 성경에 대한 각 번역자들의 내재적이고 고정적인 관점에 따른 것이라기 보다는 원문의 자유주의적 사상에 대해서도 잘 알고, 도착문화의 보수주의적 토양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었던 번역자들이 문제의 소지가 있는 ST의 요소들을 어떻게 재현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결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소제목과 같이 독자들에게 좀더 가시적인 텍스트들은 자유주의적 색채를 잃고 보수화되거나 중립화되는 경우가 있었고, 본문 텍스트들의 경우는 자유주의적 텍스트가 그대로 유지되거나 때로는 강화되기도 하였다. 또한 본 연구 전체의 연구동기가 된 ‘아빙돈주석사건’의 사후처리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번역서 『단권 성경주석』이 도착문화에 끼친 파장을 확인하고 그 의미를 베르만(Berman 1984)의 ‘낯선 것의 시련’이라는 말로 요약하였다. 이것은 새로운 외래요소가 새로운 도착문화에 정착하는 과정이 쌍방향의 시련이라는 점을 함의하는 것으로, ABC라는 외래요소가 1930년대 한국교계를 만나 『단권 성경주석』이라는 결과물로 정착되기까지, ABC는 스스로 텍스트적으로 변이해야 하는 시련을, 도착문화인 한국교계는 ‘아빙돈주석사건’이라는 자극과 충격을 경험했다. 이상으로 II장 이론적 탐색, III장 『단권 성경주석』의 기초사항, IV장 내사적 연구, V장 번역자 연구, VI장 외사적 연구로 구성된 본 연구 전체의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요약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를 『단권 성경주석』에 관한 연구의 차원, 번역사 연구의 차원, 번역학 연구의 차원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의의는 먼저 『단권 성경주석』에 관한 연구의 차원에서 볼 때 본 역서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구성하고 관련 기술 내용을 대폭 확장했을 뿐 아니라 그간 본 역서와 관련해 조명되지 않은 번역사적 측면의 역사적 의의를 조명했다는 데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간 그다지 주목 받은 바 없는 텍스트유형인 성경주석번역서들의 서지목록을 정리하고 분석하여 시대구분을 시도하였다(IV장). 또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 방대한 서지정보를 수집하였으나 그 분석을 시도하지는 않았던 김봉희(1987)의 서지목록을 양적으로 분석하여 근대시기 번역물의 비중이나 번역자들의 기간별 추이 등을 도출해냈다(V장). 또한 그간 본 역서에 관해서는 관련 사건만 기술될 뿐 사건의 쟁점이 된 외래요소가 번역문 안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변이하였는지 실제 텍스트를 통해 확인한 바가 없었다. 본고에서는 사건의 쟁점에 초점을 맞춘 심층 텍스트분석을 실행하여 도착문화의 지배규범에 배치되는 외래지식을 수용하는 번역자들의 갈등과 다양한 번역양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역사 속에서 번역이 하는 역할과 파장을 ‘아빙돈주석사건’의 처리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그 번역학적 함의를 이야기하였다(VI장). 두 번째로 번역사 연구의 차원에서 본다면 그간 성경번역과 문학번역 위주로 연구되어 온 번역사 연구의 범주를 확장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기독교라는 주제분야에서는 성경이 아닌 성경주석서의 번역사를 다루었다. 문학번역을 중심에 두고 볼 때는 비문학번역 혹은 전문번역(specialized translation)을 다루었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본고의 번역사 연구는 기존 번역사 연구자의 이론적 제안에 머물지 않고 방법론과 체계를 숙고하여 본고의 제안을 내놓았을 뿐 아니라 실제 연구를 그 틀에 따라 수행하고 결과를 정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번역학 연구의 차원에서 본다면 본 연구는 그간 필요성은 많이 제기되었으나 번역학의 다른 분야에 비해 자주 시도되지 않았던 번역사 연구라는 점 자체가 중요한 의의가 될 수 있다. 향후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TV 뉴스 영한 번역 전략 연구 : 영상 기호와 언어 기호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정나영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TV 국제 뉴스 영한 번역에서의 영상과 관련된 번역 전략과 보도 규범을 파악하여 지금까지 본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진 바 없는 TV 뉴스에서의 영상 관련 번역 분야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원천 언어로 방송된 해외의 TV 뉴스가 목표 언어인 한국어 TV 뉴스로 번역된 기호 채널의 변화가 없는 뉴스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신문이나 통신사 뉴스 등 활자 매체가 TV 뉴스로 번역되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TV 뉴스의 채널이 늘어나고 글로벌화로 국가간 이해관계가 첨예해지면서 TV 뉴스의 숫자가 절대적으로 늘어나는 것은 물론 이 중 TV 국제 뉴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자연스레 TV 뉴스 제작에서의 통번역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뉴스 번역 연구는 대부분 인쇄 매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일부 TV 뉴스 번역 연구에서도 TV 뉴스가 다른 매체와 차별성을 가지는 가장 큰 특징인 보도 영상은 부차적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TV 뉴스 제작의 패러다임이 보도문 중심에서 보도 영상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는 만큼 TV 뉴스의 번역 연구 역시 단순한 보도문의 번역에서 영상을 전달하는 보도문의 번역에 관한 논의로 시각을 전환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TV 뉴스 텍스트는 정보적 텍스트(informative text)와 시청각 텍스트(multimedial text)의 성격을 동시에 띠는 혼성형 텍스트(mixed-form text)이며, TV 뉴스에서는 영상 자체가 정보 전달이 수단이 되는 만큼 혼성형 텍스트로서의 TV 뉴스 번역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보도 영상이 번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영상 번역에서는 원천 텍스트와 목표 텍스트가 영상을 공유한 채 언어 기호만 번역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과 의미있는 관계를 형성하는 새로운 목표 언어를 창조하는 것인 만큼 TV 뉴스 번역 전략을 논의하는 데에 있어 영상에 관한 논의는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번역학에서 비언어적 요소에 관한 논의를 가장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는 기존의 다중모드 텍스트의 번역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TV 뉴스 텍스트 분석의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TV 뉴스에서의 영상 관련 번역 전략과 이와 관련된 보도 규범 고찰이라는 연구 목표를 설정하고, 다음의 세 가지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하였다. 첫째, TV 국제 뉴스의 제작 과정은 어떠하며, 제작 과정이 TV 뉴스 번역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둘째, 영상 보도 규범, 좀 더 구체적으로는 영상을 전달하는 보도문을 작성하는 데에 있어 원천 언어권과 목표 언어권의 규범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목표 언어권의 보도 규범을 준수하기 위한 영상 관련 번역 전략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현장관찰조사 그리고 심층면접조사와 텍스트 분석의 네 가지를 병행하였다. 첫 번째 연구 질문인 TV 뉴스 제작 과정과 제작 과정이 TV 뉴스에서의 영상 관련 번역 전략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번역사와 기자의 국제 뉴스 작성의 두 가지 방법을 각각 관찰 분석한 후 두 가지의 경로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TV 뉴스 번역에 시사하는 바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연구 질문인 영상 전달 보도문 작성에 있어서 원천 언어권과 목표 언어권에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문헌 연구와 텍스트의 양적 분석을 주된 연구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해 TV 뉴스에서 영상을 전달하는 보도문 작성 규범이 본 연구의 원천 언어권인 영미권과 목표언어권인 한국어권에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실증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텍스트에서 영상을 전달하는 보도문 작성 규범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를 영상 기호와 언어 기호의 연관성, 좀 더 구체적으로는 영상과 언어 기호의 중복, 교차, 고정의 연관성에서 찾은 후 원천 텍스트와 병렬 텍스트 105쌍을 상대로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세 번째 연구 질문인 목표 언어권의 보도 규범 준수에 의한 TV 뉴스에서의 영상 관련 번역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원천 텍스트와 목표 텍스트 그리고 병렬 텍스트 105쌍을 상대로 텍스트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제 뉴스 번역사 8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통해서 텍스트 분석 결과를 보강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방법을 통해 TV 뉴스 영한 번역에서의 영상과 관련된 번역 현상 및 특성과 관련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첫 번째 연구 질문인 TV 뉴스 번역의 과정과 관련해서는 국제부 기자와 TV 뉴스 번역사는 동일하게 기사 발굴 및 기사 최종 선정, 기사 작성 및 데스크 감수, 더빙, 영상 편집, 최종 감수, 송출의 6단계에 거쳐 TV 뉴스를 제작하며, 두 업무 주체의 작업 환경과 데스크, 기사 선택 및 작성 원칙 역시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 기자는 활자 외신 매체를, 번역사는 해외의 TV 뉴스, 즉 영상과 보도문이 결합된 다중모드 텍스트를 원천 텍스트로 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기자에 비해 원천 언어권 TV 뉴스의 영상 전달 보도문 작성 규범에 빈번하게 노출되는 번역사에게 원천 언어권과 목표 언어권의 규범 차이를 인지하고 목표 언어권의 규범에 맞게 조정하여 번역하는 노력이 더 적극적으로 요구될 것임을 시사하였다. 두 번째 연구 질문인 원천 언어권과 목표 언어권에서의 영상을 전달하는 보도문 작성 규범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원천 언어권인 영미권에서는 영상을 객관적 현실, 보도문을 주관성의 매개체로 인식하고 주관적 보도문을 통한 영상 속 객관적 현실의 기의 정박을 지양하는 것이 TV 뉴스의 주요 보도 규범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목표 언어권인 한국어권에서는 보도문을 통해 영상 속 객관적 현실의 기의를 정박함으로써 영상이 가진 객관성의 힘을 빌려 보도문의 객관성을 획득하는 것이 TV 뉴스 기사 작성의 주요 규범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TV 뉴스 제작에 있어서 원천 언어권에서는 영상과 보도문의 분리화 규범, 목표 언어권에서는 일치화 규범이 부과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텍스트의 양적 분석에서는 영상을 전달하는 보도문 작성 규범의 지표를 영상과 보도문의 연관성에서 찾고 원천 텍스트 105쌍과 병렬 텍스트 105쌍을 대상으로 영상과 보도문의 연관성에 관한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원천 텍스트에서는 분리화 규범의 지표인 고정과 교차의 연관성이 60% 이상, 목표 텍스트에서는 일치화 규범의 지표인 중복의 연관성이 90% 이상에서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천 언어권인 영미권에서는 영상과 보도문의 분리화 규범, 목표 언어권인 한국어권에서는 영상과 보도문의 일치화 규범이 적용된다는 문헌연구를 실증적으로 뒷받침해 주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셋째, 목표 언어권의 보도 규범을 준수하기 위한 TV 뉴스의 영상 관련 전략은 텍스트의 질적 분석과 심층 면접 조사를 통해 도출하였다. 그 결과 목표 언어권의 영상과 보도문의 일치화 규범을 준수하기 위해서 영상 속 행위자와 벡터, 목표물과 현장음, 그리고 반응자의 감정을 언어 기호로 명시화하는 전략이 활용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목표 언어권의 일치화 규범 준수를 위해 전역과 카메라와의 거리 설명 첨가 전략 등이 활용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밖에도 목표 언어권의 TV 뉴스 길이 규범 준수를 위해서는 전후 영상에 의한 첨가 전략과 문자 기호에 의한 삭제 전략이 활용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시청자의 즉각적 이해를 도모하여야 하는 목표 언어권의 TV 뉴스 보도 규범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영상의 배경 설명을 첨가하는 전략 등이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보도 영상에 초점을 맞추어 TV 뉴스의 번역 전략에 관해 본격적이고 체계적인 고찰을 시도한 연구로 뉴스 번역 연구의 중요한 공백을 메운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아울러 기존의 영상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지 문법(Visual Grammar)을 기반으로 보도 영상을 체계적으로 유형화하고 분석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또한 현장관찰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국내에서 논의된 바 없는 TV 뉴스 번역의 과정을 조사함으로써 연구 공백을 메운 것은 물론 방대한 양의 병렬 텍스트를 발췌해 목표 언어권의 보도 규범을 실증적으로 고찰한 것도 본 연구의 주요 성과로 볼 수 있다. 다만 본 연구는 뉴스 번역사들이 보도하는 TV 뉴스 번역에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만큼 애초 모집단이 크지 않아 심층 면접 대상자의 규모가 충분하지 못했다는 점, 그리고 뉴스 번역사들이 보도하는 뉴스는 대부분 오전 시간대에 배정되어 있어 오전 시간대에 맞는 목표 시청자 층이 번역 전략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음을 간과했다는 점 등에서 한계를 지닐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TV 국제 뉴스의 비중이 날로 확대되고 TV 뉴스 보도의 중심이 언어 기호에서 영상 기호로 이전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TV 뉴스 번역에 영향을 미치는 영상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논의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시작으로 TV 뉴스에서의 보도 영상과 관련된 번역에 후속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As a growing number of news channels are being made and the interest of each country is becoming more and more interconnected, the international news in TV takes up an increasing portion of the entire news boosting the demand for the translation task in TV news production. However, despite this growing demand, most of the research on news translation is focusing on newspaper and if any, the study on TV news translation is focusing on the translation of verbal sign itself, considering image sign one of the secondary factors affecting TV news translation. However, as the paradigm of TV news production is shifting towards focusing image signs rather than verbal signs, the need is growing to study how the verbal sign, which is a means to deliver the meaning of the image sign, are translated. TV news is a mixed-form text that is informative and multimedial at the same time and the image itself is a means to convey information in TV news. In this regard, the research on how the image affects translation in TV news, that is informative and multimedial at the same time, is needed. In addition, since media translation is not just about translating between the source and target language, but about creating a new target text that builds a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image, the image should be considered a main factor in discussing TV new transla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seeks to answer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 First, what is the process of the production of the international news in TV and what implications does the process have for TV news translation? Second, what differences do the media of the source and target country have in terms of reporting norms, especially norms about writing verbal signs that convey the meaning of the image? Third, what are the image-related translation strategies that comply with the reporting norms of the target country’s media?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four different types of research methods, that is literature review, site investigation, in-depth interview, and text analysis were employed. To find an answer to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sit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wo independent processes of news production where either reporters or news translators participate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drew what implications the two different processes have to TV news translation. The literature review and quantitative text analysis were employed to answe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 literature review presents an overview of the difference of reporting norms, which is, the way the verbal sign in TV news deliver the meaning of the image sign, in particular, between the source and target country’s media. To find the further evidence to support the result of the literature review, the text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ext analysis considered three typ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rbal and visual sign, which is redundancy, complementarity, and anchorage, as an index of how the verbal signs deliver the image in TV news. In total of 105 of source, target and parallel texts were collected in order to analyze quantita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rbal and visual sign. Mainly qualitative text analysis was employed to answer the third question regarding image-related translation strategies in TV news and in-depth interview was also conducted with 8 news translators to support the result of text analysis. Based on the methods above,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Concerning the first research question, reporters and news translators go through basically the same process of news production from finding and selecting items to writing, desking, dubbing, image editing, final editing and transmitting. They also have the same working environment, desk, principles of selecting and writing news. However, the source text that reporters use is mainly newspapers or written text whereas the one that translators use is TV news text, which is a type of multimodal text that has both image signs and verbal signs. This means translators, rather than reporters, are more frequently exposed to the reporting norms of TV news in the source country’s media, which implies translators, rather than reporters, are more strongly required to recognize the difference of the reporting norms between the source and target country’s media and coordinate the source text’s writing to fit the target media through translation. As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 media of the source country, mainly the US and UK sees image signs as objective reality and verbal signs as a means to deliver subjectivity, and its reporting norms suggest that subjective verbal signs should not fix the meaning of objective image signs.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media considers both image and verbal signs as a means to deliver objectivity and the objectivity of TV news can be achieved by objective verbal signs fixing the meaning of objective image signs. The former and the latter are called distance norms and redundancy norms, respectively. The quantitative text analysis also found that more than 60 perc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and verbal sign of the source text is complementarity or anchorage, which is an index of distance norms, whereas more than 90 perc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and verbal signs of the target text is redundancy, which is an index of redundancy norms. This supports the result of literature review, which is the reporting norms of the US and UK is distance norms whereas those of Korea is redundancy norms. Regarding the third research question, in order to comply with the redundancy norms of the Korean media, the actor, vetor and the goal, the soundbite, and the emotions of the reactor in the image are explicitated into verbal signs. Total translation and the addition of the verbal signs about the camera distance are also key TV news translation strategies. Furthermore, to comply with the length of the report of the Korean media, the addition of the verbal signs about the context before and after the part that is being translated, and the deletion of the verbal signs that appears the same on the screen are mainly adopted. In addition, to encourage the prompt understanding of the target viewers, the addition of the verbal signs about the background information is also employed as one of the key translation strategies. Given these conclusions, this study has met the goal of identifying image-related TV news translation strategies and related reporting norms. This research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lays a basis for the study of the area of image translation, which has long been left unexplored in translation studies.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adopted a systematic theoretical frame, which is ‘Visual Grammar’ proposed by Kress and van Leewen(2006), to overcome the difficulty of analyzing visual communication, and in that it collected a big size of parallel text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porting norms of the media of the target country. Despite these contributions, however, this research has also some limitations in that the number of the in-depth interview respondents was not sufficient and the time slots of the transmission of the translated news is limited only to morning and early afternoon, which may have affected the generalizability of this research. However, as mentioned above, given the importance and significance of the image signs of TV news production, the discussion on the visual signs can no longer be ruled out in TV news translatio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esent the first important step ahead into the area of image sign translation in TV news.

      • 문화재 분야 한영 번역용 온라인 전문용어사전 구축 방안 연구

        박현주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711

        This study presents a prototype model for an online "translation dictionary" to help translators effectively solve various terminological problems that they face in translating texts in the heritage sector from Korean to English, and explores ways to build such a dictionary. As non-experts in the field and non-native speakers in the target language (TL), translators need a range of information, not only to understand terminologies in the source text (ST) but also to express the concepts in the TL. Due to a lack of terminology dictionaries that provide both the cognitive and communicative information in an integrated way, translators are forced to consult various resources published or built for other user groups. This inconvenience is partly attributed to the fact that "lexicographers are still unfamiliar with the very sophisticated demands and specialized needs of the professional translator, whom they still tend to see as a kind of language learner, and publishers are reluctant to venture into what they see as a risky field with a limited market" (Law 2009, 54). As heritage texts are full of difficult terminologies (e.g. archaic or Chinese-character based words), and as many concepts related with traditional Korean culture have no corresponding concept in the target culture, there is need for a "translation dictionary" conceived specifically for use in Korean-to-English translation in the field. The need is urgent given that translation in the heritage field is closely associated with representing Korea and enhancing its mage around the world and demand for such transl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both in terms of amount and diversity. As such this study seeks to answer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i) the availability of bilingual terminology dictionaries in the heritage field; ii) the effectiveness of the dictionaries as a translation aid and suggestions to improve them; iii) the characteristics of translation-oriented terminology dictionaries overseas to be emulated; and iv) a prototype model of a Korean-to-English translation dictionary for the heritage field and ways to build it. To set up a framework for analysis of existing dictionaries,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in the fields of translation studies, lexicography and terminology, dealing with various aspects of dictionaries that are required in translation situations. The aim was to draw up theoretical suggestions for approaches and lexicographic data to build the envisaged translation dictionary. Nex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existing bilingual (Korean to English) terminology dictionaries in the heritage field to assess their effectiveness as a translation aid. Based on theoretical suggestions from the literature review, a general analytical framework was set up and the details were revised to fit the heritage dictionaries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 theory of lexicography, wherein the emphasis is shifted from the publisher to the user. The framework largely consists of content elements needed to serve the intended function of the dictionaries (i.e. translation), and "user interface" elements associated with user experience. As for the terminological dictionaries overseas,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a focus on those built online by translation-related institutes or organizations, or those intended to be used by translators: IATE, the EU's multilingual term base; EcoLexicon, the terminological knowledge base on the environment by the University of Granada, Spain; and TERMIUM Plus® by Canada's Translation Bureau. JAANUS, or the online dictionary of Japanese architectural and art historical terminology, was also reviewed due to its particular relevance to Korean heritage. Based on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analysis of terminology dictionaries at home and abroad, a prototype model was suggested for a translation dictionary that can facilitate translation of heritage-related texts from Korean to English (hereinafter the "Dictionary"). Using materials from a translation project in the heritage field and DokuWiki, an open source software, the Dictionary was given a concrete form and visibility. One of the problems of existing terminology dictionaries was the poor coverage of specific concepts that actually appear in the source text to be translated, as opposed to general or broad concepts. To resolve this problem, both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es were adopted to select the lemmas of the Dictionary. They include those selected based on glossaries compiled by experts in the heritage field and lists of essential terms, as well as specific terminologies selected in terms of relevance to translation. Given that some existing dictionaries do not reflect standardization efforts in the field, standardized or "purified" terminologies were, in principle, included in the Dictionary as lemmata. The Dictionary is also intended to serve as an effective channel to promote such invaluable efforts by providing links to websites dealing with related standardization guidelines and describing standardization issues for further discussion. Special notes were added in the form of "Translation Note" when caution is required in translation—for example, in the case of terminologies with ideological implications such as cultural identity and geopolitics, or those whose TL correspondence should be clearly differentiated from its synonyms. The bottom-up approach using translated materials is particularly useful for writing the translation notes. Based on concrete information as to which terminologies present what kinds of problems to translators, answers or at least hints to them can be given for handling the same problems. To better serve this purpose, there is need for thorough documentation of how the terminological problems were tackled in translation projects. Considering that its users are non-native TL speakers, the Dictionary also provides TL-related linguistic information such as irregular inflections, collocations and phraseology. A lack of illustrations was also pointed out as a shortcoming of the existing dictionaries. Given this, the Dictionary provides links to websites operated by the public sector where useful illustrations are available. When it was necessary to visualize relations among associated concepts such as part-to-whole relationships, mindmaps were created using the XMind software. By putting the Dictionary in concrete form—albeit a prototype model—this author, a professional translator herself, seeks to show that as active participants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of dictionary projects, translators can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improving the quality. Besides the expanded involvement of translators, the intended users of the Dictionary, collaborative approaches are recommended to enhance its accuracy and credibility. Procedures need to be drawn up to enabl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ictionary by the writers-cum-translators to be checked by field experts and native TL speaker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complicated concepts and standardization issues. Last but not least, the study explores ways to build the envisaged translation dictionary for use in the heritage sector in terms of who should build and operate it, as well as which procedures and principles should be followed or applied. Given the Dictionary's intended use in translation situations, translators should be actively involved in its publication and operation as they best understand the needs of the users. Hence, this study also deals with translator training that will enable them to serve extended roles as lexicographers and terminologists. Despite the significance of translation in the heritage field in representing Korea outside the country, systematic efforts have not been made to improve the translation quality. The availability of credible translation dictionaries would be one of the most efficient ways to directly improve quality. As suc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a concrete prototype model for the translation dictionary and ways to build it. It also can be adapted for various uses through further research in other language pairs and fields. Through collaboration with IT experts, the model can also be revised to develop mobile or built-in dictionaries and translation memory. This study includes a framework devised to evaluate dictionaries based on the lexicographic function theory, which should be a more objective and consistent approach to both dictionary criticism and dictionary making. Another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e presentation of concrete examples demonstrating the need to consider diverse aspects in translating materials in the heritage field. It is expected to raise the awareness of translators to the fact that heritage translation is a complicated process entailing careful consideration of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본 연구는 문화재 분야 한영 번역 시 번역사가 전문용어와 관련하여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번역 보조 도구로서의 온라인 문화재 한영 번역사전의 원형적 모델을 제시하고 그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번역사는 분야 비전문가인 동시에 TL(target language) 비모국어 화자이기도 하므로 SL(source language) 용어를 이해하는 단계는 물론 이를 TL로 표현하는 과정에서도 여러 가지 정보를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전문용어사전의 부재에 따라 다른 사용자를 대상으로 편찬된 여러 종류의 사전을 함께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는다. 이는 사전편찬자들이 번역사만의 특수한 니즈(needs)가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지 못하며 이해한다 하더라도 규모가 제한적인 시장에 투자하기를 꺼리는(Law 2009, 54) 경향에서 일부 기인한다. 특히 고어 및 한자어로 점철되어 있으며 TL 문화권에 대응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많은 문화재 분야의 경우 초기 단계부터 번역 상황에서의 사용을 목적으로 편찬된 전문용어사전, 즉 ‘번역 사전’의 개발이 필요하다. 문화재 분야 번역이 국가 이미지 제고와 직결되며 점차 그 양과 범위가 증가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한영문화재번역사전의 편찬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는 1) 문화재 분야 한영 번역 시 번역사가 참조 수 있는 이언어 전문용어사전 현황 고찰, 2) 번역 보조 도구로서 이들 전문용어사전의 활용성 검토 및 개선점 제시, 3) 선진 사례로서 참고할 수 있는 해외 번역 지향 전문용어사전의 특징 분석 및 시사점 도출, 4) 실질적인 사전 모델 및 구축 방안 제시라는 네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기존 사전의 분석을 위한 분석틀 구축을 위해 우선 번역학, 사전학, 전문용어학 분야에서 번역사가 번역 작업 시 필요로 하는 사전류의 내용 및 구조 등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구체적으로 어떠한 항목 혹은 접근법을 필요로 하는지를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번역 사전 모델 구축을 위한 이론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다음으로 현재 국내 시장에 나와 있는 문화재 분야 한영 전문용어사전의 현황을 조사하고 이들 사전의 번역 보조 도구로서의 활용성을 파악하기 위해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방법과 관련해서는 선행 연구에서 도출한 이론적 시사점을 토대로 큰 틀의 분석틀을 수립한 후, 이를 사전 편찬자 중심에서 사전 사용자 중심으로 인식을 전환한 사전학적 기능주의에 따라 문화재 분야 한영 전문용어사전에 맞게 수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분석틀은 크게 사전의 기능(텍스트의 번역)과 관련된 내용적 요소와 사전 참조 행위 등의 사용자 경험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로 구분하였다. 해외 사전 현황 분석은 해외 이언어 혹은 다언어 전문용어사전 중 번역 관련 기관이 그 편찬 혹은 제작 과정에 참여하였거나 번역사를 잠재적 사용자로 상정한 온라인 사전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은 통번역 관련 기관에서 구축한 전문용어사전 3종, 즉 유럽연합의 IATE, 스페인 그라나다대학교 통번역대학원의 EcoLexicon, 캐나다 번역국의 TERMIUM Plus®를 포함한다. 이들 3종의 사전 모두 문화재 분야에 특정한 전문용어사전은 아닌 관계로 한국 문화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일본 건축사 및 예술사 사전 JAANUS도 분석 대상에 추가하였다. 다음으로 앞의 세 가지 방법(선행 문헌 연구, 국내 및 해외 사전 현황 연구)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을 통합해 번역 효율을 제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문화재 분야 한영 전문용어사전의 원형적 모델(이하 『문화재한영번역사전』)을 제시하고, 실제 번역 프로젝트에서 활용된 자료를 이용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인 도쿠위키(DokuWiki)를 사용해 구체적인 모습까지 구현해 보았다. 기존 사전에서는 번역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필요한 하위 개념 혹은 고유명사가 표제어로 수록되어 있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표제어 추출에 있어 상향식 및 하향식 방식을 접목하였다. 즉 전문가가 작성한 용어집 및 해당 분야의 기본 용어 목록을 바탕으로 표제어를 추출하는 한편으로 번역 텍스트에서 관련성 기준, 즉 번역 과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하위 및 구체적 개념까지 표제어로 수록함으로써 사전의 효용성을 높였다. 또한 기존 사전이 표준화 관련 사항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문화재한영번역사전』에서는 원칙적으로 순화 혹은 표준화된 용어를 표제어로 수록하고 고어, 비표준어 등은 이칭으로 처리하였다. 이 외에도 표준화 관련 지침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웹사이트를 하이퍼링크로 연결하는 한편 용어의 통일 등 표준화 관련 논의가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내용을 수록함으로써 표준화 관련 노력의 효과적 홍보 창구로서 기능하고자 하였다. 대역어와 그 유의어 간에 명확한 구분이 필요한 경우나, 문화정체성이나 지정학적 함의 등 이데올로기적 측면의 고려가 필요한 용어 등 번역 시 특별히 유의할 사항이 있을 경우 대역어 밑에 관련 내용을 ‘[Translation Note]’ 형식으로 삽입하였다. [Translation Note]를 효과적으로 작성하기 위해서는 번역이 이루어진 자료에 기반해 번역용 전문용어사전을 구축하는 상향식 접근법을 취할 필요가 있다. 실제 번역 과정에서 어떤 용어가 어떤 측면에서 문제가 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이에 기반해 차후 동일 문제에 직면하게 될 번역사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보와 해결책을 제시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번역 작업 시 해당 사항을 철저히 문서화할 필요가 있다. 『문화재한영번역사전』은 또한 TL 비모국어 화자인 사전 사용자에게 불규칙 변화형, 성별 정보 등 TL 관련 문법 정보를 제시하고 ‘유용한 표현’ 항목을 통해 연어, LSP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시각 자료가 불충분하다는 점 또한 기존 사전의 단점으로 지적되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기관의 자료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해당 웹사이트로 하이퍼링크를 연결하였다. 유사 개념 간의 정확한 구분이 필요하거나 전체-부분 관계를 보다 명확히 시각화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XMind를 이용해 개념도를 작성해 제공하였다. 원형적 모델이기는 하나 실질적 모델을 전문 번역사이기도 한 연구자가 직접 구현해 봄으로써 이를 통해 대규모 사전 프로젝트에서 번역사가 내용적인 부분에서 뿐만 아니라 구축 및 운영 과정에 전반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번역 사전의 품질 제고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실질 수요자인 번역사의 역할 확대와 더불어 사전 내용의 정확성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해서는 협업적 접근 방식을 제안하였다. 분야 전문가이며 TL 비모국어 화자인 번역사가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거나 혼동할 수 있는 개념 및 언어적 측면에 대한 사항을 번역사 입장에서 원고를 작성하고 분야 전문가 및 TL 모국어 화자에게 검수 받는 방식을 절차화 하는 방안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 『문화재한영번역사전』은 또한 도쿠위키를 활용함으로써 자료를 쉽게 수정 및 추가, 삭제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외에도 산발적으로 진행되는 문화재 분야의 각종 표준화 관련 노력의 결과물을 반영해 이를 전파하는 창구로서 사전이 효과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문화재 분야 한영 번역용 전문용어사전, 즉 문화재 한영 번역사전의 실질적 구축을 위한 방안을 구축 주체, 절차, 원칙 측면에서 모색해 보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번역이라는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사전의 구축을 목적으로 하는 만큼 사전 사용자인 번역사의 니즈를 가장 잘 파악하는 번역사들이 사전 편찬 및 운영 과정에서 적극적 역할을 하는 것을 바람직한 안으로 제시한다. 따라서 사전편찬자 혹은 전문용어학자라는 확장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적 인프라 양성 측면에서 번역사 교육과 관련한 방안도 살펴보았다. 문화재 분야 번역은 한국의 이미지를 해외에 제대로 전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그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품질 제고를 위한 여러 가지 방안 중 번역사가 작업 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고품질의 번역 사전을 구축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번역 사전 모델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 구축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번역 사전은 일종의 ‘원형(prototype)’ 사전으로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 및 개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다른 언어 쌍 및 분야에도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본적으로 온라인 사전으로 구축되므로 IT 분야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해 모바일 사전, 번역 메모리, 빌트인 사전 등으로도 확대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또한 사전학적 기능주의에 기반해 구체적인 사전 평가틀을 제시하였다는 데에도 그 의의가 있다 할 수 있다. 이는 사전 비평뿐만 아니라 사전 구축에 있어서도 보다 객관적이고 일관된 접근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또한 문화재 분야 번역 시 다양한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구체적 사례를 통해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특히 단순한 용어의 ‘치환’이 아니라 문화적, 역사적 맥락을 고려한 번역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측면을 반영한 대역어 및 용례 추출이 중요함을 보여줌으로써 실무 번역사의 인식을 환기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전문가와 학생의 번역 과정에 나타난 검색 및 자기교정 관찰 연구

        김자경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한영 번역 과정에서 전문가와 학생의 검색 및 자기교정 작업을 비교 분석하여 학생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번역자에게 검색과 자기교정은 번역 문제를 해결하고 번역 목적에 적합한 결과물 생산을 위해서 빠질 수 없는 작업으로, 작업 과정의 효율성 및 결과물의 품질 관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크지만, 문제 해결의 순간에 무의식적으로 활용되는 절차적 지식에 가까워 교육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검색 과정의 측면에서 검색 시간, 채널, 세션 검색어, 둘째, 자기교정 과정의 측면에서 움직임, 거리, 범위, 대상에 나타나는 차이점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문헌 연구에서는 국내외 번역학계에서 이루어진 실험 기반의 번역 과정 연구를 방법론적 측면에서 살펴보면서 연구 방법을 설계하고, 번역 과정에서의 검색과 자기교정 과정을 분석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이후, 본 실험 전 전문가와 학생을 대상으로 예비 실험을 실시하여 발생 가능한 문제점을 최대한 보완한 후, 전문가와 학생 그룹으로 구성된 총 1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 참가한 전문가는 통번역대학원 졸업 후 최소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지고 있는 참가자이며, 학생은 통번역대학원 번역학과 1학년 2학기에 재학 중인 참가자이다. 전문가와 학생 모두 모국어는 한국어이다. 약 160자 분량의 미-중 무역 갈등을 다룬 중앙일보 기사와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경제 전망 보고서를 실험 텍스트로 활용하였다. 실험은 일대일로 실시하였으며 실험을 실시하기 전 워밍업 시간을 두었다. 번역 과정은 컴퓨터 화면 상에서 나타나는 모든 움직임을 영상으로 저장하는 스크린 레코딩 프로그램과 번역 과정에서 입력한 모든 자판과 그 자판이 입력된 시간, 순서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키스트로크 로깅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록하였으며, 본 연구는 캠타시아와 트랜스로그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 두 프로그램을 통해 기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험 참가자의 검색과 자기교정 과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검색 과정의 분석 결과, 첫째, 검색 시간의 측면에서 전문가는 학생에 비해 검색 시간이 짧았으며, 검색 포즈의 빈도 역시 낮았고, 텍스트에 따라 그 차이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다만 텍스트에 관계없는 개인적 성향도 나타났다. 전문가 그룹에서도 상당히 많은 시간을 검색에 쓰고 검색 포즈도 많은 참가자도 있었으며, 이와 달리 검색 시간과 포즈가 매우 적은 참가자도 있었고, 초안 작성 전 검색 시간을 길게 쓰는 참가자도 있었고 초안을 끝낸 뒤에 검색 시간을 가장 길게 쓰는 참가자도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텍스트에 관계없이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전문가가 검색 시간의 측면에서 더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전문가 역시 검색 시간의 합과 빈도, 지점의 측면에서 개인적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검색 채널의 분석 결과, 학생은 전문가에 비해 사전 의존도가 매우 높았다. 하지만 검색엔진은 학생에 따라 다른 모습이 나타났다. 학생 세 명은 전문가만큼 때로는 그 이상 검색엔진을 많이 찾았지만, 두 명은 매우 제한적으로만 활용했기 때문이다. 검색 채널을 사전과 검색엔진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학생의 사전 검색 비중은 압도적으로 더 높았다. 전문가와 큰 차이 없는 빈도로 검색엔진을 활용하는 학생도 세 명 있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학생은 검색엔진도 쓰지만 그 이상으로 사전을 많이 쓰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사전의 유형을 살펴본 결과, 전문가와 학생 모두 이중언어사전을 주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전문가와 달리 학생은 숙어, 유의어, 예문 검색을 더 자주 활용했고, 학술 검색, 블로그, 언어 검색엔진 등 검색 채널이 더 다양했다. 셋째, 검색 세션의 분석 결과, 학생은 전문가보다 텍스트에 관계없이 세션이 더 많이 나타났다. 전문가보다 학생은 원문에서 검색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부분이 많았다는 의미다. 에피소드 한 개로 구성된 세션의 비중은 두 그룹 모두 약 76% 로, 전문가와 학생 모두 10번 중에서 7번은 하나의 포즈에서 검색을 끝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문가는 많아도 세 번의 포즈에서 검색이 완료된 반면, 학생은 그 이상의 포즈로 넘어간 경우도 있었다. 스텝 빈도에서도 전문가는 5개를 넘지 않았으나 학생은 10개까지 늘어나는 경우도 있었고, 전문가는 주로 은유, 용어에서 긴 스텝이 나타났지만 학생은 일반적 표현에서도 나타나, 때로는 비효율적인 긴 검색이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넷째, 검색어를 분석한 결과, 학생은 한국어 검색어의 선호도가 높았고 두 단어 이상의 한국어 검색어도 많이 활용하고 있었으나, 전문가는 영어 검색어의 선호도가 더 높았고 한국어 검색어는 제한적로만 활용했으며 두 단어 이상의 한국어 검색어는 거의 쓰지 않았다. 쓰는 경우에도 학생과 달리 검색엔진에서 검색하는 경우도 많았다. 전문가는 혼합 검색어도 자주 활용했다. 최초 검색어를 분석한 결과, 전문가는 검색엔진에서 영어로 검색을 시작하는 경우가 더 많았지만 학생은 사전에서 한국어로 검색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후속 검색어를 분석한 결과, 전문가와 학생 모두 수정 검색어를 가장 많이 활용했으나, 전문가는 새로운 검색어를 그 다음으로 선호한 반면 학생은 반복 검색어를 수정 검색어만큼 선호했다. 자기교정 과정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안 단계에 나타난 교정 움직임을 삽입, 삭제, 교체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삭제와 삽입의 빈도는 전문가와 학생 그룹의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교체는 학생 그룹의 빈도가 전반적으로 더 높았다. 삭제와 삽입, 교체의 총합을 살펴볼 때, 초안 단계에서 전문가 그룹은 교정 빈도가 평균적으로 낮았으며, 하단도 더 낮았다. 원문 내용 추가를 위한 삽입을 제외해도, 전문가 그룹의 자기교정은 학생 그룹보다 낮았고, 텍스트 2에서는 차이가 더 벌어졌다. 최종 교정 단계에서는 텍스트 1에서는 그룹간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으나, 텍스트 2에서는 전문가 그룹의 자기교정 빈도가 더 높았다. 흥미로운 것은 모든 전문가가 모든 학생보다 적은 교정을 한 것은 아니라는 점이었다. 전문가 그룹에서도 교정을 매우 많이 하는 참가자가 있었고 이 성향은 텍스트에 관계없이 계속해서 나타났다. 학생 그룹도 마찬가지였다. 자기 교정 빈도에 개인 스타일의 영향도 크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초안 단계에 나타난 자기교정을 거리에 따라 거리교정과 즉각교정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즉각교정의 빈도는 학생 그룹이 큰 폭으로 더 높았으나 거리교정의 빈도는 그룹간 차이보다는 개인간 차이가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텍스트에 관계없이 거리교정을 많이 하는 참가자와 그렇지 않은 참가자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하지만 원문 내용의 삽입을 위한 거리교정을 제외하면, 전문가 그룹의 거리교정이 더 많았다. 거리교정의 전체 빈도에는 그룹간 차이가 없었지만, 전문가 그룹은 번역문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거리교정이 더 많았다는 의미다. 거리에 따라 나누어 살펴본 결과, 전문가 그룹과 학생 그룹 모두 문장밖 교정은 많지 않았고, 10단어 이내의 거리에서 교정을 자주 했으며, 먼거리 교정 빈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두 그룹 모두 먼거리 교정을 선호하는 참가자가 나타났는데, 이 경우 전문가에 비해 학생은 문법 교정이나 원문 내용의 삽입을 위해 멀리 움직인 경우가 많았다. 셋째, 교정 범위를 어휘, 구문, 문법적 교체로 나누어 본 결과, 어휘 교체가 두 그룹 모두 초안 단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학생 그룹은 더 많았다. 구문 교체는 전문가 그룹이 초안 단계에서 더 적극적이며, 학생 그룹은 어휘에 비해 구문 교체는 적고, 전혀 하지 않는 참가자도 있었다. 초안을 끝낸 뒤에는 전문가와 학생 모두 구문 교체가 많지 않았다. 구문 교체는 초안 단계에서 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종 교정 단계에서는 어휘 교체가 더 자주 이루어지고 있었다. 하지만 전문가의 경우 초안을 끝낸 뒤 가독성 개선을 위해 구문 교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참가자도 있었다. 문법적 교체는 학생 그룹이 더 많았고, 학생 그룹은 모든 참가자의 초안 단계에서 문법적 교체가 나타났으나 전문가 그룹은 나타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학생의 경우 초안 단계에서도 문법 교체가 활발했던 참가자가 최종 교정 단계에서도 가장 문법 교체가 활발했던 반면, 전문가의 경우 초안 단계에서는 문법 교체를 하지 않고 최종 교정 단계에서 집중적으로 문법 교체를 하고 있는 참가자가 있었다. 교정 범위를 단어 이하, 단어, 구, 절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두 그룹 모두 단어와 구 교정이 단어이하, 절 교정보다 큰 폭으로 많았다. 다만 전문가 그룹은 텍스트에 관계없이 단어 교정이 가장 많았으나, 학생 그룹은 텍스트 1에서는 구 교정이 더 많았다. 전문가 그룹은 초안 단계에서 단어 교정이 큰 폭으로 더 많았으나, 학생 그룹은 두 텍스트 모두 구 교정이 조금 더 많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룹에 관계없이 교정 범위는 단어나 구가 가장 많지만 전문가 그룹은 초안 단계에서 단어를, 학생 그룹은 구를 움직이는 경우가 더 많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학생 그룹의 전체 교정 빈도가 높기 때문에 단어 교정도 빈도로는 학생이 더 많다. 따라서 학생은 전문가에 비해 단어도 구도 더 많이 고치는데, 하나의 단어보다는 여러 단어를 교정하는 빈도가 더 많다고 할 수 있다. 넷째, 교정 대상의 분석 결과, 전문가 그룹은 텍스트 1에서 논리 교정이, 텍스트 2에서 언어와 문체 교정이 더 많았으나, 학생 그룹은 두 텍스트 모두 언어와 문체 교정이 절반 이상으로 가장 많았다. 메시지 전달 교정은 학생 그룹이 소폭 더 높았다. 메시지 전달 교정에서 잘못 전달된 부분을 고치는 경우는 많지 않았으며 대부분 빠진 원문의 내용을 덧붙이는 완결성 교정이었다. 완결성 교정은 전문가 그룹이 더 적었지만 개인적 성향도 나타났다. 각 그룹에서 두 명은 두 텍스트 모두에서 많이, 두 명은 적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경험이 쌓일수록 초안 단계에서 원문 내용 추가를 위해 뒤로 돌아가는 경우가 줄어들고는 있지만 개인적인 성향도 함께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논리 교정은 번역 단계, 텍스트에 관계없이 전문가 그룹이 더 적극적이었다. 특히 최종 교정 단계에서 전문가 그룹은 모든 참가자에게 논리 교정이 나타났으나, 학생 그룹은 나타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또한 전문가 그룹은 텍스트 1은 초안 단계, 텍스트 2는 초안 후 논리 교정이 집중적으로 나타났으나, 학생 그룹은 이와 같은 모습이 발견되지 않았다. 논리 교정 중에서도 주제구조와 연결 교정이 두 그룹 모두 가장 많았으나, 학생 그룹은 텍스트에 관계없이 연결교정이 가장 많고 그 다음 주제구조 교정이 나타났지만, 전문가 그룹은 주제구조 교정도 텍스트에 따라 연결 교정만큼 자주 활용하였으며, 학생과 달리 외연화 교정이 두드러지게 높았다. 언어와 문체 교정에서는 두 그룹 모두 문법적 교정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다만 전문가 그룹은 텍스트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학생 그룹은 텍스트 2에서 크게 증가했다. 두 그룹 모두 문법적 차원에서 가장 많이 교정하는 것은 시제와 관사로 나타났고, 최종 교정 단계에서도 다르지 않았다. 다만 학생 그룹은 수 교정과 형태 변환도 더 빈번히 나타났다. 두 그룹 모두 문법적 교정을 제외하면 사용 적합도 교정이 가장 많았으나, 학생 그룹이 큰 폭으로 많았으며, 상대적으로 용어나 연어 교정은 두 그룹 모두 더 적었다. 본 연구는 학생과 전문가의 검색과 자기교정 과정을 여러 측면에서 비교 분석함으로써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으며, 키스트로크 로깅과 스크린 레코딩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방법론적 의의를 지닌다. 다만 1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더욱 의미 있는 분석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실험 규모를 확대하여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계기로 실험 기반의 번역 과정 연구에 대한 관심이 커지기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ifferences in searching, and self-revision activities between experts and novices in the Korean-to-English translation process. Translation process efficiency and product quality control are achieved by searching and self-revision activities, which are integral to translation process in the digital age. Although these activities are important, and involve pedagogical difficulties, they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domestic translation studies; only a few process-oriented researches with ‘think-aloud’ protocols and screen-recording data have been conducted until now.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how novices differ from experts in searching activities—in terms of time, channels, sessions and queries, and in self-revision activities—in terms of moves, distance, scope and objective. The literature review shows that the use of screen recording and keystroke logging programs is appropriate for the analysis of web-search and self-revision activities during the translation process. Further, studies on searching and self-revision activities during translation were referred to build a framework for data analysis. A pilot study was conducted with an expert and a novice to verify the adequacy of experiment condition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wo different groups: Five experts and five novices. Experts are translato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after graduating from the Graduate School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and novices are first-year students in the Graduate School. All participants had Korean as their L1 (First Language). They were asked to translate two texts (each 160 words long) — a newspaper article and a report — from Korean to English, within a time frame. The translation process was recorded with Translog and Camtasia. The key finding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Novices took longer to search than experts did, especially, in report translation, and paused more frequently for searching while translating. Consequently, a large part of their total translation time was spent in searching. Novices relied more on dictionaries than experts who preferred searching on search engines. Novices used an array of channels such as idiom dictionary, thesaurus, sample sentences, ludwig, blogs, and google scholar. Novices had more search sessions than experts, indicating that they were more likely to solve a problem using external resources. About 76% of sessions had one episode (search operation in one pause) in both groups, which means that at least seven out of ten searches were finished within one pause. However, unlike experts, novices were found to have 17% of sessions with more than four episodes, mainly due to inefficient searching skills, and delayed decision-making. Episodes with one or two steps comprised 80% of the search for the first text, and 90% for the second text, in both groups. This means that both experts and novices searched only once or twice within a single pause. However, novices had episodes with as many as ten steps, whereas experts had episodes with not more than five steps. Novices took many steps even while searching general expressions, whereas experts did so only in the case of idiomatic expressions or terminology. Novices preferred SL (Source Language) queries which comprised 50% to 80% of their search queries, whereas experts preferred TL (Target Language) queries; three experts used over 80% TL queries. Additionally, experts used mixed queries having both SL and TL. Novices applied Korean queries longer than two words in dictionaries which meant a heavy dependence on sample sentences. Experts, on the other hand, used one-word Korean queries in dictionaries. Novices had many one-word English queries arising from the previous dictionary search results, whereas experts made English queries without any usage of external resources. Novices were less likely to use English queries with more than two words not only because some of the novices rarely verified collocation in search engines, but also because experts frequently included prepositions and articles in their queries in order to narrow down the search results. The analysis result of initial queries showed that novices started their search with SL queries in dictionaries, whereas experts started with TL queries in search engines. As for subsequent queries, both experts and novices favored modified queries (a part of query was deleted, added, or changed). However, novices used more repeated queries, whereas experts used more unique queries. During the self-revision process, novices used more substitutions (revision moves are categorized as insertions, deletions and substitutions) than experts, and consequently, performed more revision moves in the drafting phase. The novice-expert difference was more significant in report translation. However, there was also the influence of personal style. Both groups had participants who made a remarkable number of revisions in the drafting phase; some made revisions in both drafting as well as post-drafting phases, and some, who spent a long time before starting on the drafting process, made fewer revisions. Based on the distance analysis of the drafting phas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distant revisions (with a distance of more than one word)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immediate revisions (with no distance); novices made more immediate revisions than experts. When revisions were excluded for ST addition, novices had lesser distant revisions, indicating that experts revised more mostly to improve textual quality. Although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distant revisions with a distance of more than ten words, novices more often revised in an effort to add missing content or correct grammar. In terms of revision scope, lexical substitution was the most frequent revision in both groups. Syntactical substitution was lesser in novices than in experts, especially in the drafting phase. One expert, however, focused on syntactical substitution in the post-drafting phase in order to improve textual flow. Novices made more grammatical substitutions in the drafting phase. There were some experts who did not make any grammatical corrections during the drafting phase, but did so afterward. This indicates that experts tend to prioritize lexical and syntactical substitutions over grammatical substitutions. Moreover, the combined share of word and phrase revisions was over 70% in both groups, although novices had more phrase revisions. However, below-word revisions were found more in novices, and clause revisions in experts. The revision objectives are: i) transfer (accuracy and completeness based on ST), ii) content (revision with above-sentence focus), and iii) language (a sentence-focused revision). Transfer revisions were made mostly during the drafting phase and found slightly more in novices. Content revisions were made mostly by experts, all across the translation phase. Particularly in the post-drafting phase, all experts performed content revisions but some novices did not do any content revisions. Although thematic structures and sentence connections were most frequently revised by both groups, novices mostly focused on sentence linkers, whereas experts put more focus on thematic structures and explicitation. Mechanics accounted for a large portion of language revisions, and lexical tailoring was more frequent than terminology and collocation revisions in both groups. This study has limitations, considering the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Nevertheless, the key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ovices and experts in searching and self-revision activities during the translation process, which offers considerabl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ranslation teachers. In addition, this study has methodological implications, given that exploration of the translation process based on keystroke logging and screen recording data has not yet been attempted in domestic translation studies.

      • 한국 법령의 영문 번역에서 'shall'의 사용에 관한 코퍼스 연구

        유정주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711

        This study explores the issues of using shall in the English translation of Korean statutes with reference to the speech act theory. As the most important performative marker for indicating obligations in legal discourse, shall has assumed almost a “biblical status” in legal English for centuries(Gidová 2012). However, it has also been used in expressing constitutive rules and other declarative forces in English statutes, thus creating difficulties in interpretation of its intended illocutionary forces. Due to the efforts to modernize legal English over the past few decades by Plain Language advocates, shall is now increasingly used for imposing obligations on animate subjects only(“American Rule”), or totally replaced by other verbal constructions such as must, is/are to, and the simple present as in the legislation of U.K and many other common law countries(“ABC Rule”). Although the frequencies and distributions of legal shall used in English-speaking jurisdictions are not even, this so-called “modal revolution(Williams 2009)” in English legislative texts have implications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statutes, as translated law should follow the generic conventions of non-translated law to reduce a cognitive effort on the part of the reader(Biel 2014b). However, shall is still the most frequent word to express various illocutionary forces in the translation of Korean statutes, which causes concerns for distant textual fit in the use of performative markers between translated and non-translated statutes in the future. In this regard, the current study adopted corpus linguistics as the main research methodology and attempted to establish an integrated research model by compiling and analyzing three major types of corpora for translation purposes including parallel corpus, monolingual corpus, and comparable corpus. Prior to the compilation of main corpora for the present study, translated Korean Statutes Corpus(TKSC) and non-translated British Statutes Corpus(BSC), each consisting of approximately 1 million words, were compiled as preliminary corpora. American Statutes Corpus(ASC) of 4 million words was also used for reference corpus. The comparison of the two study corpora shows that TKSC uses shall more excessively than BSC. Keyword analysis also reveals that the frequency of shall in TKSC is much higher than ASC, questioning the current practices of using shall in the translation of Korean statutes. Based on these findings and other parameters confirmed, three types of main corpora were complied and analy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dentify the types of illocutionary forces and performative forms of Korean statutes and their translations, a parallel corpus was established with Korean legislative provisions( 35,118 tokens) and their English translations(70,071 tokens) extracted from Korean-English Glossary of Legal Terms, the only legislative translation guideline made by the authority responsible for legislative translation in Korea. Analysis of the parallel corpus shows that shall is used to translate the illocutionary forces of directives(obligations/prohibitions) and declaratives in Korean statutes, except for few cases where must or the present indicative is used. Shall is used for translating most of the declaratives such as provisions about application or effect, deeming/presumptions, legal status or consequences of particular actions or states of affairs, and provisions creating a statutory body, office, etc., which do not correspond to the ‘right’ use of legal shall. This result confirms that shall is used as the absolute performative and stylistic marker in the translation of Korean statutes.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types of illocutionary forces and performative forms of the statutes of English-speaking jurisdictions and compare them with translated Korean statues, three monolingual corpora, which also served as respective sub-corpora for comparable 2+ corpora, were compiled and analyzed. Consisting of approximately 750 thousand words each, the three corpora(TKSC, ASC, BSC) were compiled in compliance with the comparable corpus design criteria set by Rayson(2003). Of the various performative expressions, the following four uni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based on the prior research findings and legislative guidelines: shall, must, is/are to, and the simple present. In regards to the classification and frequency calculation of verb forms in the simple present, this study employed text files tagged with UCREL CLAWS7 and extracted concordance lines from TKSC, ASC, and BSC with VVZ tag(-s form of lexical verbs). The remaining verbs classified as the simple present other than lexical verbs(i.e. is/are, do/does, have/has) were analyzed by using plain text files. The present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in that it separately calculates the instances of performative forms that convey prescriptive force generally found in main clauses(Williams 2013b), in addition to the instances of those found in the entire corpora. Also, classification of the illocutionary force of each performative form is based on the legal use of shall presented by DTG(2008) with some modifications.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three monolingual corpora and comparable 2+ corpora: First, in the case of TKSC, the present tense is the most frequent performative pattern(18,247 instances) of the four analysis units, followed by shall(11,642), is/are to(233), and must(20). However, the frequency pattern restricted to those verbal phrases with prescriptive force indicates difference in the ranks with shall being the most salient (11,360 instances) followed by the present simple(507), is/are to(28), and must(7). The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shall in TKSC is used most frequently for translating constitutive rules in Korean statutes, such as application/application mutatis mutandis provisions, deeming provisions and presumptions, and provisions about delegated legislation. Analysis of the randomly sampled concordances of shall also showed that it is abused for translating declaratives, as well as for translating obligations, not observing the recommendation made by Plain English advocates that the present tense should be used for communicating constitutives and other declaratives in statutes. Meanwhile, the use of the present simple is restricted to the form of the lexical verb “means” in definition provisions, with some exceptions where used in provisions about the legal status or consequences, application/application mutatis mutandis provisions and requirements. (Semi) modals must and is/are to are also rarely used as performative markers with prescriptive force in TKSC. Second, ASC demonstrates convergence with TKSC in the frequencies of performative expressions in the order of the simple present(17,307 instances), shall(8,861), is/are to(191), and must(113). However, it shows contrast with TKSC in terms of the frequencies restricted to those used in main clauses. As in TKSC, shall(8,440 instances) is the most abused performative marker in ASC; but the simple present(3,059 instances) shows similar salience with shall, indicating the US legislation uses the present tense more often than the translated Korean legislation. The present tense is mainly used for expressing definition clauses, propositions about the legal status or consequences of particular actions or states of affairs, provisions creating a statutory boy, office, etc. and related supplementary provisions, which shows distant textual fit between ASC and TKSC in terms of the use of the present tense as a performative pattern. Shall also shows difference from TKSC in terms of its detailed expressions: unlike TKSC, shall is more frequently expressed in ASC in the form of active structures with an explicit animate subject in provisions about delegated legislation or provisions creating a statutory body, office, etc. Penal provisions, deeming/presumptions, and application mutatis mutandis provisions also reve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sub-corpora in the detailed shall structures. Must is observed to show difference from TKSC in that it is more frequently used for expressing requirements, than expressing the illocutionary force of an order to a natural/legal person. Meanwhile, semi-modal is/are to is rarely used as a deontic performative marker, except where used for expressing purpose clauses as in TKSC. Third, BSC demonstrates very low similarity with TKSC and ASC in the frequencies and use of performative forms. For all of the verb constructions under examination, the simple present(31,636 instances) is used most frequently, followed by is/are to(2,111), must(2,108), and shall(257). The frequency pattern restricted to those verbal phrases with prescriptive force shows no great difference from the above pattern with the present tense(8,911 instances) showing the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must(1,680), is/are to(1,216). and shall(240). This means that shall is rapidly being replaced by other performative forms, notably the present simple, in the UK legislation. However, unlike the results of the prior studies(e.g. Williams 2013a), shall is still found hundreds of times in BSC, marking discrepancies in the use of shall between respective Acts. Meanwhile, must is observed to be used frequently to express requirements with inanimate subjects, obligations with animate subjects, delegated legislation(for which DTG(2008) recommends is/are to form), and deeming provisions and presumptions(for which DTG(2008) recommends the simple present). Verbs in the simple present are analyzed to be used for conveying constitutive rules, such as application/application mutatis mutandis provisions, and propositions about the legal status or consequences of particular actions or states of affairs, marking significant divergence between UK statutes and translated Korean statutes. Semi-modal is/are to, which is rarely used as a performative marker in TKSC and ASC, also occurs frequently in BSC for indicating deeming/presumptions/construction provisions, requirements with no explicit subject, and provisions making orders or regul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esen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using shall in the English translation of Korean statutes: First, if the statutory translation authority decides to keep using shall when translating various illocutionary forces of Korean statutes, narrowing divergent textual fit with US laws would help produce translations more conforming to the generic conventions of English statutes. For this purpose, the current translation guidelines need to be updated and revised, especially for provisions about delegated legislation, provisions creating a statutory body, office, etc., penal provisions, deeming/presumptions, and application mutatis mutandis provisions. Second, if the statutory translation authority decides to introduce shall-free or shall-restrictive style in the translation of Korean statutes in the future, wholly new translation guidelines for the use of performative forms need to be established by referring to the UK drafting guidelines and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Instead of shall, must is recommended for denoting obligations with animate subjects; is/are to for provisions about orders and regulations, and provisions creating a statutory body, office, etc. and related supplementary provisions; and the simple present for constitutive rules and other declaratives. 본 연구는 영미법계 국가들에서 ‘알기 쉬운 언어쓰기 운동’으로 인해 발생되고 있는 법령 수행형식의 변화를 배경으로, 한국 법령의 영문 번역에서 절대적인 빈도로 사용되는 수행표지 ‘shall’의 문제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shall’은 법률영어에서 ‘성서와 같은 지위’를 차지해온 대표적인 스타일 표지로, 유생 주어에 대한 의무부과에만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법적 의무의 발생이라는 ‘올바른’ 용법 외에도 법적 느낌(legalistic flavor)을 고취시키기 위한 토템의 일환으로 무분별하게 사용되면서, 의도된 발화수반력을 정확히 해석하기가 불가능해졌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e.g. Tiersma 1999; Williams 2006; Garner 2011; Goga-Vigaru 2012). 이에 따라 지난 수십 년간 정책적 강제가 용이한 법령을 중심으로 ‘shall’의 사용감소, 직설법 현재시제 동사, ‘must’, ‘is/are to’의 사용증가와 같은 양태혁명(modal revolution)이 진행되어, 현재 영국 등 영연방 국가들의 경우 ‘shall’이 법령문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거나 급격히 사용 감소되는 추세에 있다(Williams 2009; 2013a; 2013b; Garzone 2013).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법령의 영문 번역에서 ‘shall’로 표현된 발화수반행위 및 수행형식의 발생 양상을 분석한 뒤, 이를 대표적인 영미법 국가로 현재 ‘shall’을 전면 사용하고 있는 미국과 ‘shall’의 사용이 급감한 영국 법령의 발화수반행위의 표현 양상과 비교·분석함으로써 번역 시 시사점을 도출하여, ‘shall’ 사용 감소 시대를 대비한 선제적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 한국의 법령영역 텍스트에 나타난 발화수반행위의 종류와 수행형식의 규명, 2) 영미법 국가들의 법령텍스트에 나타난 발화수반행위의 종류와 수행형식의 규명, 3) 한국의 법령영역 텍스트에 나타난 발화수반행위의 수행형식과 영미법계 법령텍스트에 나타난 발화수반행위의 수행형식 간 유사점과 차이점 분석, 4) 분석된 영미법계 법령텍스트와 한국 법령영역 텍스트의 특징 및 양상과 관련하여 번역시 시사점 도출을 연구문제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해답을 구하기 위해 단일어 코퍼스, 병렬코퍼스, 비교코퍼스의 통합 분석틀을 설계하여 정량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코퍼스를 편찬하기에 앞서 설계상의 매개변수 확인 및 각 법령의 수행형식 발생양상을 점검해보기 위해 예비코퍼스 분석을 실시했다. 100만 단어 규모의 한국 법령번역문 코퍼스(TKSC)와 영국 법령문 코퍼스(BSC)를 분석코퍼스로, 400만 단어 규모의 미국 법령문 코퍼스(ASC)를 참조코퍼스로 편찬하여 워드리스트, 키워드 및 클러스터 분석을 실시해 본 결과, TKSC의 경우 BSC와 수행표지 발생 측면에서 극명한 차이가 목격되었고, ‘shall’을 전면 사용하는 ASC와 비교해서도 ‘shall’이 과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본 코퍼스에서 이에 대한 본격적인 규명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예비코퍼스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본 코퍼스를 편찬하였다. 먼저 연구문제 1의 규명을 위해, 한국 법령의 영문 번역을 규율하는 번역규범인「한영법령 표준용어집」의 관용어구와 용례 파트에 나타난 한국어 법령문과 이의 영어 번역문을 ST 35,118어절, TT 70,071어절 규모의 병렬코퍼스로 편찬하여, 국문 법령과 해당 영어 번역 법령에서 빈출되는 대표적인 발화수반행위 및 수행형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구성규칙을 포함한 선언화행과 의무부과 및 금지를 포함한 지시화행의 번역에는 일부 규정을 제외하고 모두 ‘shall’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의무부과화행의 경우 ‘must’로 번역된 1건을 제외하고 TT에 모두 ‘shall’이 사용됐고, 목적규정 및 일부 정의규정을 제외한 모든 선언화행의 번역에도 ‘shall’이 번역규범으로 제시됐다. 즉, 적용범위/다른 법률과의 관계 규정, 호(목) 별표 소개 규정, 위임입법 관련 규정, 의제/추정 규정, 다른 법률의 폐지 규정, 시행일 관련 규정과 같은 구성규칙, 벌칙/금전적 제재 규정, 법적 기관/기구 등의 설립 및 보조규정, 법적 상태/결과 규정 등의 선언화행 번역에 예외 없이‘shall’이 사용되어, 한국 법령의 영문 번역에서 ‘shall’이 절대적인 번역규범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두 번째와 세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한국 법령번역문 코퍼스(TKSC), 영국 법령문 코퍼스(BSC), 미국 법령문 코퍼스(ASC)를 각각 75만 어절 수준의 단일어 하위 비교코퍼스로 편찬하여, 각각 단일어 코퍼스 분석 및 비교 2+개 코퍼스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하위코퍼스는 비교코퍼스의 설계기준을 고려하여 편찬했으며, 분석단위로는 ‘shall’과 주요 법제지침 및 선행연구에서 ‘shall’의 대체표현으로 지목된 ‘must’, ‘is/are to’, 직설법 현재시제 동사를 선정했다. 직설법 현재시제 동사의 집계는 UCREL CLAWS7 기반 POS 주석 코퍼스를 사용해 어휘동사현재형(VVZ)을 검색어로 하여 TKSC, ASC, BSC에서 각각 7,331개, 6,493개, 9,994개의 해당 콘코던스를 도출한 뒤, 유형별로 분류된 해당 동사를 검색어로 한 콘코던스를 하나씩 별도로 발생시켜 빈도수 집계 및 발생양상을 판별하고, ‘is/are’, ‘do/does’, ‘have/has’의 경우에는 플레인 텍스트 코퍼스를 이용해 별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법령 수행표지의 발생빈도 집계 및 분석에서 규범력을 갖는 수행표지로 사용되지 않은 종속절에 사용된 경우까지 포함시킨 대부분의 선행연구와 달리, 주절에 사용된 정형동사구문으로 발생된 경우를 별도 집계하여 연구의 타당성을 높였다. 편찬된 각 하위 코퍼스의 단일어 및 비교 2+개 코퍼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TKSC의 경우 각 수행표지의 코퍼스 전체 출현 빈도수는 직설법 현재시제 동사(18,247회) > shall(11,642회) > is(are) to(233회) > must(20회)로 직설법 현재시제 동사의 빈도수가 ‘shall’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규범력을 갖는 수행표지로 사용된 경우를 기준으로 한 경우에는 shall(11,360회) > 직설법 현재시제 동사(507회) > is(are) to(28회) > must(7회)로 ‘shall’의 빈도수가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shall’의 클러스터 분석 결과 상위 빈출어구 대부분이 적용/준용, 의제/추정, 위임입법 관련 규정 등 구성규칙에 사용돼, 한국 법령의 구성규칙에 해당하는 대부분의 발화수반행위의 번역에 ‘shall’이 사용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금지화행 수행표지 역시 ‘shall not’의 사용빈도가 ‘may not’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오류로 지적된 [No SUBJECT shall]의 형식 또한 상당히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다. 무작위 표집 콘코던스 분석에서도 구성규칙을 비롯해 의무부과(요건)화행, 벌칙/금전적 제재, 법적 기구/기관의 창설 및 보조규정, 법적 상태/결과 등 다양한 선언화행의 번역에 ‘shall’의 포괄적인 사용이 목격되었다. 반면, ‘must’의 경우 규범력을 갖는 수행표지로 사용된 빈도가 극히 적은 수준이었고, ‘is/are to’ 역시 주절의 정형동사구문으로 사용된 콘코던스 가운데 대부분이 목적규정에 사용된 경우로 분석됐다. 직설법 현재시제 동사의 경우도 규범력을 갖는 본동사로 발생된 대부분이 ‘means’를 중심으로 한 정의규정 수행표지에 한정됐고, 그 외에는 법적 상태/결과 규정, 적용/준용 규정, 요건 규정에만 일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됐다. 즉, 표준용어집에서 목적규정과 정의규정을 제외한 모든 선언화행과 의무부과 화행의 번역규범으로 제시된 ‘shall’이 실제 대규모 번역코퍼스에서도 큰 이탈 없이 사용되고 있음이 실증되었다. ASC의 경우 전체 코퍼스를 대상으로 한 발생빈도는 직설법 현재시제 동사(17,307회) > shall(8,861회) > is(are) to(191회) > must(113회) 순으로 TKSC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독립적인 규범력을 갖는 경우만을 대상으로 했을 때는 shall(8,440회) > 직설법 현재시제 동사(3,059회) > must(84회) > is(are) to(13회)의 순으로, TKSC와 많은 차이를 보였다. ASC에서도 TKSC와 마찬가지로 규범력을 갖는 수행표지로 ‘shall’이 사용된 빈도가 압도적으로 높았지만, TKSC에 비해 과소 사용된 ‘shall’의 빈도수만큼 직설법 현재시제 동사가 과대 사용됐고, ‘must’역시 TKSC보다 상당히 많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TKSC와 마찬가지로 의제/추정/해석, 적용/준용, 위임입법 관련 규정 등 직설법 현재시제 동사의 사용이 권장되는 구성규칙에 여전히 ‘shall’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위임입법 규정이나 법적 기관/기구 설립 및 보조 규정 등을 중심으로 TKSC와 달리 수동문보다는 행위자가 명시된 능동형의 빈도수가 훨씬 높게 나타났고, 벌칙/금전적 재제, 의제/추정, 준용 규정 등의 경우에도 구체적인 수행형식 면에서 TKSC와의 차이가 뚜렷했다. 직설법 현재시제 동사의 경우 정의규정과, 법적 상태/결과 규정, 법적 기관/기구 설립 및 관련 보조규정을 나타내는 수행표지로 많이 사용돼, TKSC와의 현저한 차이가 목격됐다. ‘must’의 경우에도 사람/기관 행위자를 주어로 하는 전통적인 의무부과 화행이 아닌 요건화행에 사용된 빈도가 높다는 점에서, ‘must’의 발생빈도가 매우 낮게 나타난 TKSC와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is/are to’의 경우는 TKSC와 마찬가지로 목적규정의 수행형식으로 사용되거나 호/목의 하위조항에서 요건의 나열에 드물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돼, TKSC와의 일치성이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다음으로 BSC의 경우 전체 코퍼스를 대상으로 한 수행표지 발생빈도는 직설법 현재시제 동사(31,636회) > is/are to(2,111회) > must(2,108회) > shall(257회)의 순으로, 규범력을 갖는 주절의 정형동사구문으로 발생된 경우만을 집계한 결과는 직설법 현재시제 동사(8,911회) > must(1,680회) > is/are to(1,216회) > shall(240회)로 집계돼, 두 카테고리 모두 TKSC, ASC와 확연한 차이가 발견됐다. 즉, 직설법 현재시제 동사와 ‘must’, ‘is/are to’가 수행표지로 사용된 빈도수가 TKSC, ASC에 비해 현저하게 높게 나타나, 영국법에서 ‘shall’ 사용급감으로 인한 대체 수행형식이 매우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구성규칙을 중심으로 직설법 현재형 동사의 발생빈도가 주요 수행형식 가운데 가장 높아, 영국법의 경우 규범적 직설법으로의 이행이 뚜렷하게 발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 제시된 바와 달리 ‘shall’의 빈도수가 아직도 수백 회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돼, 법령의 종류 및 성격에 따라 ‘shall’의 폐기 수준에 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ust’의 경우 무생명사를 주어로 한 요건화행, 유생행위자를 주어로 한 의무부과화행, 영국 법제지침에서 ‘is/are to’의 사용이 권장된 위임입법 제정 관련 규정, 직설법 현재시제 동사가 권장된 의제/추정 규정 등에서 높은 사용빈도를 보였다. 금지화행의 경우 ‘shall not’을 대체하는 수행형식으로 ‘may not’과 ‘must not’, [No SUBJECT + 정형동사구문]의 형식이 고루 발생됐으며, ‘may not’은 주로 위임입법과 관련한 행위의 금지에, ‘must not’은 부작위 의무부과나 요건화행의 금지에, [No SUBJECT + 직설법 현재시제 동사/is(are) to] 등의 경우는 직설법 현재형 동사나 ‘is/are to’로 표현된 각 발화수반행위의 부정형 수행형식으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직설법 현재시제 동사의 경우 정의규정, 적용/준용 규정, 개괄 규정 등의 구성규칙은 물론, 효력이나 권한/권리/자격의 부여, 개시와 종결, 금전적 제재 및 세금의 부과 등 다양한 법적 상태/결과를 나타내는 규정에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TKSC와의 텍스트 일치성이 매우 먼 것으로 분석됐다. TKSC, ASC에서 규범력을 갖는 수행표지로 발생된 빈도가 매우 낮게 나타난 ‘is/are to’의 경우에도 의제/추정/해석 규정이나 행위자 없는 요건화행, 위임입법의 제정 맥락에 빈번하게 사용된 것으로 확인돼, 영국 법령에서 ‘shall’을 대체하는 수행형식으로 직설법 현재시제 동사, ‘must’와 ‘is/are to’가 활발히 사용되고 있음이 실증되었다. 끝으로 네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수행한 병렬코퍼스와 단일어 코퍼스, 비교코퍼스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법령 영역에서 ‘shall’의 존속 또는 폐기와 관련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먼저, 현재와 같이 한국 법령화행의 영문 번역에 ‘shall’을 계속 사용할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shall’을 전면 사용하고 있는 미국 법령과 수행형식 측면의 일치성을 높이는 것이 TL 독자들의 기대와 관습에 보다 부합하는 번역텍스트를 제작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임입법, 법적 기관/기구 등의 설립 규정, 벌칙/금전적 제재, 의제/추정/해석, 준용 규정 등 미국 법령의 수행형식과 텍스트 일치성이 먼 것으로 분석된 규정들을 중심으로 한 번역규범 정비가 요구된다. 반면 전 세계 영어 법령의 수행형식 변화 추세를 고려하여 향후 한국 법령화행의 영문 번역에서 ‘shall’을 사용하지 않거나 제한적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할 경우에는, ‘shall’의 사용 급감이 확인된 영국 및 영연방 국가들의 법제지침 등을 토대로 새로운 번역규범을 수립하여 TL 장르 관습과의 일치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영국 법령의 경우 유생 행위자에 대한 의무부과 규정에는 ‘must’를, 명령/규칙과 같은 위임입법의 제정/폐지 관련 규정이나 재정 규정, 법적 기관/기구 등의 설립 및 보조규정 등에는 ‘is/are to’를 사용하고, 법률(규정)의 개정이나 폐지, 적용/준용, 효력, 호/목(별표) 소개, 의제/추정 규정 등의 구성규칙과 법적 상태/결과의 선언화행을 나타내는 수행형식으로는 대부분 직설법 현재시제 동사를 사용하고 있어, 이를 반영한 새로운 번역규범 수립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드물게 시도되는 법률화행 연구이자 법률번역의 관점에서 시도된 언어 간, 번역어-비번역어 간 법률 수행형식 비교 연구로서, 법률번역 연구에서 아직까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는 코퍼스기반 연구방법을 본격적으로 활용한 법학, 번역학, 코퍼스 언어학의 학제 간 연구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결과가 향후 도래할 ‘shall’ 사용감소 시대를 대비한 한국 법령의 수행표지 관련 번역규범 정비 및 번역가 교육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문학의 언어혼종성 번역양상 연구

        김기영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9711

        다언어성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혼종적 문학 텍스트는 오래 동안 번역불가능의 사례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언어혼종성을 구현한 많은 작품들이 국내에 번역 소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들이 어떤 방식으로 번역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그 양상을 기술하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문학 언어의 혼종성 개념과 구현 방식을 살펴보고, 문학 언어의 혼종성 번역 연구에 참조할 수 있는 번역학의 이론적 논의를 정리하며, 실제 번역양상과 사용된 전략을 확인한다는 내용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언어 혼종적 문학 텍스트는 번역학의 오랜 전제에서 벗어나 있다. 번역학은 오래 동안 원문과 번역문를 각각의 단일어로 가정했고 번역의 공리이자 번역의 의무는 양 언어 사이의 등가 구현이었다. 그러나 실제 언어와 문학 언어는 혼종성을 본질적 특징으로 하며, 특히 주류적 언어 시스템과 타성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위대한 문학 작품들과 문화번역, 식민주의를 거부하는 탈식민문학, 이주의 상황에서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디아스포라문학 등은 강한 언어혼종성을 나타낸다. 전통적 이분법에 기반한 번역이론은 이와 같은 언어 본래적 혼종성과 문화번역의 혼종성, 저자의 의도에 의해 부과되는 문학 언어의 혼종성을 설명하고 이들을 위한 번역전략을 제시하는데 한계를 보일 수밖에 없다. 언어혼종성 번역에 대한 국내외 연구는 아직 본격화되지 못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탈식민문학비평에서 전개된 언어혼종성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언어혼종성의 개념과 구현 방식에 대해 정리하고자 하였다. 언어혼종성은 간단히 정의하기 어려운 광범위한 개념이다. 다언어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체, 화자, 서술기법, 사용역, 비유, 패러디 등이 포괄될 수 있으며, 조이스 문학의 경우 혼종성의 개념은 상징과 정신분석까지 심화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반언어에 섞여 사용된 다언어적 요소들, 즉 제3의 언어(외국어, 토착어), 방언, 슬랭, 사어와 함께, 언어 규범을 의도적으로 위반하는 철자오류와 합성어(어휘조합)등의 텍스트 차원의 혼종성을 논의의 대상으로 한다. 이와 함께 우리말 번역에 참조할 수 있는 번역학 내의 논의들을 정리하고자 했는데 이를 위해서는 언어혼종적 텍스트에 번역불가능성을 환기시키는 전통적 이분법들을 넘어설 필요가 있었다. 먼저 번역이 하나의 출발언어와 하나의 도착언어를 가정하고 있으며 번역의 핵심 개념인 ‘번역 등가’나 ‘번역 변이’ 역시 번역이 두 개의 단일 언어 사이에 이루어지는 행위라는 암묵적인 인정에 기반하고 있다. 또한 등가 개념이 사전적 등가와 의미적 등가를 축으로 하여 확장되어 왔다는 점과 번역이 원전에 대해 가져온 일종의 복제품으로써의 부차적 지위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원전과 번역의 위계질서는 서구의 오랜 이분법적 인식론과 복제품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재현의 원리’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언어혼종성의 번역은 위와 같은 번역을 둘러싼 오랜 개념과 정의에서 벗어난 것으로 원작의 언어혼종성이 유지하고 보상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차원의 대안과 방법론이 필요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대안과 방법론을 모색하기 위해 먼저 번역이 가진 자민족 중심적 성향과 이로 인해 번역에서 발생하는 왜곡 경향들을 베르만(Berman 1984)의 논의를 통해 살펴보고, 의미역과 축어역의 이분법을 뛰어넘어 원작의 의도를 전달하는 방식을 고려하는 벤야민(Benjamin 1972)의 순수언어 개념을 살펴보았다. 주류적 언어 사용을 의도적으로 뒤흔드는 소수문학 쓰기가 언어혼종성 번역에 제공할 수 있는 베누티(Venuti 1998)의 통찰에 대해서도 주목했다. 번역불가능성이 주는 새로운 기회에 대해 통찰한 여러 학자들(Appiah 2000; Lewis 2000)의 논의를 소개하고 그들이 제시하는 구체적인 번역 전략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핵심은 제임스 조이스의 Ulysses와 Finnegans Wake, 탈식민문학 및 디아스포라문학 7편을 대상으로 언어혼종성이 어떻게 번역되었는지 살펴본 번역양상 연구이다. 번역불가능성에 맞서 한국어 번역자들이 어떤 전략을 선택했는지 살펴보고 그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Ulysses의 경우 김종건의 번역에서는 원문의 혼종성 전달을 위해 한자어 활용과 고어체, 만연체 활용, 주석 제공 등이 관찰되었고 김성숙의 번역은 의미역 위주의 번역전략이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nnegans Wake의 번역에서는 원문의 다어성과 다의성을 옮기기 위해 한자어를 활용한 번역어 창안이 두드러졌다. 이어서 7종의 아프리카, 인도, 카리브해의 탈식민문학 작품과 디아스포라문학 작품의 번역을 살펴본 결과 번역자가 역자 후기나 작품 소개 등과 같은 곁텍스트에서 번역전략을 논의한 사례가 극히 소수라는 점과 대부분의 혼종적 언어의 번역이 의미역과 음차, 각주에 의존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미역과 음차, 각주 외에 사용된 전략들은 대부분 원문의 문체를 유지하는 차원에서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차원에서 활용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원문의 언어혼종성이 번역을 통해 전달되기가 쉽지 않음을 시사하며 원작에 대한 번역자의 해석과 번역자의 언어 사용, 번역관에 따라 다양한 전략들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번역자의 개입이 원문의 혼종성 전달 여부에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였다. 이어서 번역양상 고찰의 결론을 번역불가능한 어휘의 ‘의미전달’과 ‘형식전달’, ‘다양한 보상의 방식’으로 분류하여 이들 전략이 가지는 함의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종합적으로 알 수 있었던 것은 첫째 문학 언어의 혼종성이 작가의 개입이 더해지는 탈식민문학과 디아스포라문학, 주류 문학과 언어의 한계를 뛰어넘고자 하는 문학에서 뚜렷이 구현된다는 점이었다. 둘째 문화번역 이론과 번역학 내의 이국성의 수용 논의들을 통해 언어혼종성의 번역불가능성이 가진 가치와 생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소수문학의 쓰기로서의 번역’이 가지는 ‘차이와 생성’의 의미가 실험적인 번역어 창안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하였고 이는 김종건이『피네간의 경야』에서 활용한 한자어조합과 신조어들에 대해 새롭고 지속적인 생성이라는 의미를 더해주었다. 네째 『율리시스』와 『피네간의 경야』에 포함된 방대한 각주와 주해는 원작에 대한 해석과 학술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차후 번역과 연구에 밑거름이 될 수 귀중한 자료임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언어혼종성 번역양상 고찰을 통해 한국어 번역에서 문체를 통한 혼종성 보상, 한자어 활용, 각주와 주석제공, 원문과 유사한 형식을 통한 보상, 맥락화(쿠셔닝), 자유로운 번역 등과 같은 소수의 경우에서지만 다양하고 의미 있는 번역전략들이 시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탈식민문학과 소수문학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언어혼종성 문제를 조명함으로써 단일어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번역학 연구의 범위를 다언어적 차원으로 확대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차후 관련 분야 연구 증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번역불가능성을 내포하는 언어 혼종적 텍스트의 번역양상을 기술하여 번역자들의 고민과 노력이 고스란히 엿보이는 번역 사례들을 확인해 주었다. 혼종성은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논의가 기피되어 왔고 번역학 내에서도 언어혼종서의 번역 문제는 적극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가 언어혼종성의 번역불가능성이 가진 긍정적이고 생산적인 논의들을 소개해 새로운 번역 가능성을 타진했다는 의의도 가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수행된 번역학 이론의 고찰과 번역양상 기술이 국내 전문 번역자들과 번역학 연구자들에게 혼종적 언어의 번역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된 다양한 전략들이 차후 연구자들과 번역 실무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 Literary texts featuring linguistic hybridity induced by the use of multilingual dictions has long been considered‘untranslatable’into other languages, as it is believed that translation can be carried out only between standard languages that seem to have equivalent or correspondent pairs. Despite the negative supposition, many foreign works showing linguistic hybridity have been translated into Korean. This research is an descriptive case study investigating translation strategies and methods adopted in Korean translations of the‘untranslatable’foreign literary works. The aim of the research is to describe aspects of translations of linguistically hybrid literary texts that have been translated into Korea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aim, this study seeks to answer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hat is linguistic hybridity and how is it realized in literary texts? Which theoretical discussions in Translation Studies that can serve translators rendering linguistic hybridity can be available? What is the aspects of Korean translation of linguistically hybrid literary works and which strategies and compensation methods have been adopted by translators? Translation Studies have a long time premise that translation is carried out from a monolingual source language to a monolingual target language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equivalence. In practice, however, hybridity is one of essential features of ordinary languages, cultural translation and some of great literary works of, for example, Shakespeare and Joyce. In particular, postcolonial literary works from countries that have been colonized by European countries and diaspora literary works dealing with displacement and alienation tend to show a high degree of linguistic hybridity as the authors intend to use the language in a new and innovative way. Traditional theoretical discussions have limits in providing directions or solutions to the untranslability problem, and previous researches on the subject are still remain in a beginning stag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which combined highlight the need for in-depth descriptive case study on actual translation practices. To answe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investigates concepts, categories, and representing levels of linguistic hybridity based on scholarly researches in the field of postcolonial literary criticism where substantial amount of research output on the subject has been accumulated. The scope of linguistic hybridity is so broad that this study focuses on the text level of representation of linguistic hybridity, for example, third words(untranslated indigenous words), dialects, slangs, archaic words, dead words, intended misspellings and newly synthesized words. As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needs to consider traditional dichotomy of Translation Studies and practices before reviewing theoretical discussions concerning ‘translating the untranslatable’. Dichotomous approaches, concerning the original and imitation(simulacre), fidelity and acceptability, and word-for-word and sense-for-sense rendering are assumed to impose restraint in seeking solutions to the problem, as translating linguistic hybridity is escaping basic premise of traditional translation theories. Examining theoretical discussions related to ‘translating the untranslatable’, like ‘negative analytic of tranlation’(Berman 1984; 1995), ‘pure language’(Benjamin 1972), ‘minority project’(Venuti 1998), ‘abusive fidelity’(Lews 2000) and ‘thick translation’(Appiah 2000) found that the untranslatable rather tend to arrange a room for translator to exercise their discretion in creating translation options, though they seem to be a little‘abusive’. Regarding the third question, this study reviewed about 90 literary works from postcolonial literature, diaspora literature and James Joyce’s literary works, which seem to present strong linguistic hybridity, before selecting 9 texts to analyze translation. Postcolonial and diaspora writers tend to break norms of imperial languages and Joyce has been renowned for his effort to create ‘world language’, exceeding all languages, including British English. The key findings of this research obtained from seeking answers to the thre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 First, linguistic hybridity features prominently in postcolonial literature and diaspora literature. They devise new methods of language using in order to overcome ruling hegemonies and conceptual systems like colonialism. And James Joyce’s works have been regarded as masterpieces of linguistic hybridity, especially in a way of weaving foreign languages, dialects, dead words, newly made expressions in his texts. Second, translating the untranslatable can provide translators with expanded discretionary power to devise compensation methods with no pertinent translation options available. In conclusion, the problem of untranslatability can be believed to arise from the point where unique identity and cultural differences start to exert their power. Third, translation as ‘writing minority literature’ sheds light on the value of translation as ‘differences’ and ‘becomings’. New and innovative compensation methods adopted in Korean translations of Finnegans Wake and a couple of postcolonial and diaspora literary texts can be valued as a new becoming. Fourth, huge amount of footnotes, annotations and scholarly commentation provided in Korean translations of Ulysses and Finnegans Wake are expected to offer information on the context and languages of the original and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future translations and scholarly researches. Finally, though in small number of cases, the traces of the translators’efforts to maintain linguistic hybridity or compensate it through translations are evident, such as using Chinese characters in composing new words, using archaic expressions, providing footnotes and annotations, making compensations using particular styles, and offering free translations.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This study expected to facilitate further researches on this subject since it proved the need to expand research scope into subjects of translating multilingual hybrid texts. This study also offer valuable descriptions on the dilemmas faced by Korean translators who try to convey exotic mood created by linguistic hybridity of the original and on their options and efforts to compensate it. This study calls attention to positive and creative discussions on linguistic hybridity that has long been considered negative and evasive. Contributions to help literary translators have opportunities to include various translation strategies suggested in this study in their translation options for translating linguistic hybridity are also expected.

      • 문학 작품의 재번역 현상 연구 : 스탕달의 『적과 흑』을 중심으로

        임순정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9711

        Tout au long de cette etude, nous nous sommes attaches a repondre a la question suivante: Pourquoi retraduit-on? Le phenomene de retraduction etant aussi complexe que la traduction elle-meme, nous avons axe notre recherche autour de themes aussi divers que le systeme ideologique et poetique du pays d'accueil, la situation du systeme d'edition ou l'analyse et la comparaison des traductions. Dans le cadre de notre etude, nous avons analyse 79 volumes de 66 editions differentes du roman Le Rouge et Le Noir de Stendhal disponibles a la Bibliotheque Nationale de Coree. De cette analyse, nous avons pu determiner les cinq enseignements suivants: Dans un premier temps, nous avons constate que le changement de systeme ideologique et notamment politique du pays d'accueil constitue l’un des principaux motifs de la retraduction. L'adaptation etait une pratique courante en Coree a l’epoque ou les premieres traductions des œuvres litteraires occidentales ont ete introduites en Coree. Dans le cas du roman Le Rouge et Le Noir, l'adaptation intralinguistique s'est egalement accompagnee d’un changement de genre: le texte original, qui est un roman, a ete traduit sous forme de piece de theatre. Par ailleurs, on remarque que dans de nombreux cas, les textes chinois ou japonais ont ete utilises comme texte de depart a la place du texte original. Cette pratique de double traduction a notamment ete multipliee durant la periode de la colonisation japonaise. Les traductions issues de doubles traductions a partir du japonais montrent de nombreuses insuffisances; en effet, il n’est pas rare de retrouver des transcriptions phonetiques a la japonaise de mots etrangers, des expressions calquees du japonais ou des omissions ne pouvant etre expliquees par les differences linguistiques ou culturelles entre les pays de depart et d'arrivee. Malgre cela, la double traduction a ete pratiquee insidieusement longtemps apres l'independance de la Coree, rendant ainsi la dependance culturelle vis a vis du Japon plus forte. L'adaptation ou la double traduction ne sont pas des traductions fideles a l'original en terme de genre, de contenu et de forme du texte; ces textes engendrent donc une necessite de retraduction. En second lieu, notre etude a revele que le changement linguistique diachronique est egalement une cause majeure de retraduction. Le texte de depart est produit a un moment donne dans l'evolution de la langue de depart et garde sa fraicheur tandis que la traduction vieillit rapidement: la traduction est ancree dans une periode specifique du pays d'arrivee. Sa fonction, sa valeur, son effet ne sont garantis que dans cette situation particuliere et le texte traduit peut perdre de sa signification une fois l’epoque revolue. Loin de montrer les limites de la traduction, les retraductions de differentes epoques permettent au contraire de prolonger la vie de l'original dans le pays d'arrivee. Bien que nous ayons limite notre etude a l’analyse des traductions publiees apres 1950, nous avons pu constater que des traductions plus anciennes comportaient des mots ou appellations contenant des caracteres chinois et que ces mots etrangers peu naturels ne figurent plus dans les traductions plus recentes. Ces expressions, peu familieres aux lecteurs modernes, n'entravent pas la comprehension du texte mais peuvent donner l'impression que celui-ci est vieux ou obsolete et motiver la retraduction. L'analyse diachronique des retraductions a donc permis de verifier que les traductions etaient conformes a la modalite linguistique du l’epoque de la traduction. Troisiemement, d’autres facteurs tels que le changement des normes relatives a la langue d'arrivee, tels que l'orthographe des mots etrangers, les ponctuations et l'alignement du texte peuvent egalement induire une retraduction. Selon les editeurs qui sont les initiateurs de la traduction des textes litteraires, les motifs de la retraduction peuvent etre liees a l’anciennete des traductions existantes, demodees, et elles ne repondent plus a la sensibilite des lecteurs modernes. Souvent, seule l’evolution de la langue est designe comme raison leur permettant de justifier la retraduction. Cependant, la comparaison de traductions realisees par un meme traducteur a des epoques differentes nous a revele que des changements de normes linguistiques telles que l'orthographe, la ponctuation et l'alignement du texte pouvaient aussi etre des facteurs poussant les editeurs a retraduire tout autant que l’archaisme des mots. Quatriemement, nous avons pu constater que le nombre de retraductions exceptionnellement eleve du roman Le Rouge et Le Noir en Coree est egalement attribuable en partie au plagiat et a la reedition. En effet, lors de notre analyse, les traductions identiques aux traductions existantes d'un meme traducteur ou de traducteur differents se sont revelees tres nombreuses. Parailleurs, notons que les traductions identiques de differents traducteurs sont des cas de plagiat portant atteinte aux droits du traducteur. De la meme maniere, parmi les 28 traducteurs du roman Le Rouge et Le Noir, 10 ont publie leur retraduction au sein d’une meme maison d'edition: les seules differences notables etaient para textuelles (prix, format et reliure uniquement), le contenu textuel de celles-ci etait quasi identique. Dans ce contexte, ces traductions ne peuvent etre considerees comme des retraductions mais comme des reeditions sans mention specifique sur ce point. Dans un cinquieme point, nous avons note que la retraduction peut aussi etre interpretee comme une attestation de la subjectivite du traducteur vis a vis du texte de depart. On ne retraduit pas uniquement parce que la traduction existante est defectueuse ou obsolete. Une œuvre litteraire est un texte ouvert permettant plusieurs lectures et interpretations. Meme si le traducteur de la premiere traduction s’est voulu objectif , il se peut que son interpretation s’avere selective; des traductions posterieures peuvent reveler une nouvelle perspective. C'est notamment le cas pour certaines expressions metaphoriques ou jeux de mots pour lesquels l'association du signifiant et du signifie de la langue de depart est difficilement reproduisible dans la langue d'arrivee. Une retraduction n’est pas forcement la preuve d’une inferiorite de la premiere traduction vis a vis du texte original. Une traduction possede une valeur et une signification a un moment donne de l'histoire, mais elle peut perdre ses qualites par la suite et avoir besoin d’etre remplacee par une nouvelle traduction revelatrice de nouvelles perspectives. Dans ce contexte, toute retraduction se place dans un schema de complementarite et non de confrontation et contribue ainsi a une comprehension hermeneutique plus complete du texte d’origine. Notre etude a propose cinq facteurs qui sont generalement les sources de retraductions d’œuvres litteraires. Chacun de ces facteurs constitue une excellente piste de recherche et meriterait la realisation d’une etude approfondie. Il convient de preciser que l'objectif de notre recherche n'est pas d'evaluer et de hierarchiser les traductions existantes, mais plutot d’etablir un etat des lieux du phenomene de la retraduction des œuvres litteraires en Coree. De meme, compte tenu du cadre de l’etude limite au seul cas du roman Le Rouge et Le Noir de Stendhal, notre etude ne peut aucun cas se vouloir generaliste. Neanmoins, notre etude a permis d’apporter des conclusions significatives grace a la definition de caracteristiques des differentes categories de retraductions diachronique et synchroniques. De plus, la description des differents aspects du phenomene de retraduction reste inedite malgre la multiplication des retraductions et le constat d’un interet grandissant pour ce phenomene. Notre souhait est que cette etude puisse constituer une base pour des etudes posterieures sur la thematique de la retraduction. 본 연구는 재번역은 과연 왜 이루어지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구하고자 하였다. 재번역이라는 현상이 번역과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시대별 도착어 국가 시스템의 특징, 출판 번역 상황, 번역 결과물 분석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 문제에 대한 해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광복 이후부터 현재까지 출간된 스탕달의 『적과 흑』의 번역본 중, 국립 중앙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번역본 총 66종 79권의 분석을 실시했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도착어 국가 정치 체제의 변화는 재번역을 유발하는 요인이다. 개화기 이후 서구 문학을 수용하기 시작한 우리나라는 외국 문학 수용 초기에 원작을 번안하여 독자들에게 소개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당시 번안은 단지 원작의 내용을 한국 독자들이 익숙한 내용으로 대체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소설인 원작이 희곡으로 바뀌는 등 장르의 변화도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한역본이나 일역본을 사용한 중역이 빈번하게 이루어졌으며 일본어 중역은 일제 식민지를 거치는 과정에서 더욱 높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일역본을 출발어 텍스트로 사용한 번역문의 경우, 일본식 외래어 표기법, 일본식 표현, 언어적 차이나 문화적 차이로 설명하기 힘든 삭제가 빈번하게 발견된다는 점에서 번역문으로서의 한계를 드러냈다. 중역과 관련해서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해방 이후 상당 기간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원전이 아닌 일역본을 사용하는 중역 관행이 암암리에 지속되어 일본에 대한 은밀한 문화적 종속이 지속되었다는 점이다. 번안이나 중역은 오늘날의 기준으로 볼 때 텍스트의 장르, 내용, 형식 면에서 원문에 충실한 번역이라고 간주하기 힘든 번역이라는 점에서 재번역을 통한 원전의 완역 소개 필요성을 제기한다. 둘째, 통시적으로 발생하는 언어의 변화는 재번역을 유발하는 요인이다. 출발어 국가 언어의 변화 과정에서 어느 특정 순간의 언어로 쓰여 형태가 굳어진 원문은 영원한 생명력을 지니게 되지만 번역문은 원문과 동일한 기능, 의미, 효과를 지닌 텍스트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번역 시점 도착어 국가의 언어 상황에 의존적일 수밖에 없다. 가변적인 도착어 국가의 언어 상황을 반영하여 수행되는 통시적 관점에서의 재번역은 번역문이 지닌 생명력의 한계를 드러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도착어 국가에서 원문이 새로운 생명을 획득하여 존속하게 하는 작업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최근 5-60년 사이에 발간된 도서들에 국한됨에도 불구하고, 과거 출판된 번역문에서는 최근에 출판된 번역문에는 발견되지 않는 예스러운 한자어 일반 어휘나 한자 외래어, 한자어 호칭을 비롯해 어색한 외래어 사용이 눈에 띄었다. 이와 같이 현대 독자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표현들은 번역문의 이해를 방해할 수준은 아니지만, 번역문이 오래되었거나 낡았다는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재번역을 유발하는 주요 동기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통시적으로 생산된 다양한 시대의 재번역 분석을 통해 보다 현대적이고 오늘날 언어 양태(樣態)에 부합하는 번역문이 생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외래어 표기법이나 문장 부호 표기법 내지는 문자 배열 원칙 등 도착어 국가의 언어 관련 법규의 변화는 재번역을 유발하는 강력한 원인이다. 출판 문학 번역의 발주자인 출판사들이 기존의 번역문이 낡았거나 구식이기 때문에 현대 독자들의 감수성에 호소할 수 있는 현대적인 번역을 소개해야 한다는 이유로 재번역의 필요성을 주장할 때, 언어의 변화가 이 같은 현상을 유발하는 유일한 원인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번역가의 주관적인 어휘 선택의 차이라는 변수를 통제하기 위해서 동일한 번역가가 번역한 서로 다른 시대의 번역을 비교해 본 결과, 고어(古語), 사어(死語) 등 도착어 어휘의 의미 변화나 의미 소멸로 인한 재번역 못지 않게 어휘 혹은 문장 부호의 표기법, 문자 배열 방식 등 언어 법규의 변화로 인한 재번역이 빈번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표기법의 변화가 언어의 변화 못지않게 독자들에게 번역문이 낡았다는 인상을 줄 수 있음을 입증한다. 넷째, 광복 이후 현재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적과 흑』 재번역본의 수가 지나치게 많은 것은 표절본과 재출판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기존의 번역본과 토시 하나 다르지 않은 번역본이 동일한 번역가의 번역에서는 물론 다른 번역가의 번역본에서도 발견되었다. 다른 번역가의 기존 번역본과 차이가 발견되지 않는 역본은 2차 저작물로서의 번역문의 번역가 저작권을 침해한 사례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적과 흑』을 번역한 번역자 총 28명 중 16명이 동일한 출판사 혹은 다른 출판사에서 번역문을 출간하였는데, 번역문들 간에 외래어와 문장부호 표기법을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기 힘들었다. 이들 역본 간에 텍스트 내용적인 차이는 거의 없는 상태에서 단지 가격과 판형 및 제본, 곁텍스트적 요소 등 도서의 형태와 관련된 차이만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이들 번역본은 재번역이 아닌 재출판으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출판사에서 이미 동일한 원작의 번역을 출판한 경험이 있는 번역가의 번역본이라 할지라도 번역가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 재판, 중판 등의 어구도 명시하지 않은 채 기존 번역본을 새롭게 편집하여 출간한 경우 역시 2차 저작물로서의 번역문의 저작권이 훼손된 사례로 판단된다. 표절과 재출판이라는 현상은 특정 시대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광복 이후 현재까지 출간된 재번역본 전반에 걸쳐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서양 고전 문학 작품의 번역과 관련 과거 우리 출판 문화의 후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재번역은 번역가 고유의 번역관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원문의 다양한 매력을 드러낸다. 재번역은 비단 기존 번역이 낡았거나 결함이 있기 때문에 이루어지는 것만은 아니다. 문학 작품은 다양하게 해석되고 읽힐 수 있는 열린 구조를 지닌 텍스트이다. 이는 도서를 최종적으로 소비하는 일반 독자 뿐만 아니라 텍스트를 최대한 객관적으로 이해한 후 이를 재현하고자 노력하는 번역가에게도 해당된다. 번역가는 최대한 객관적으로 원작을 이해한 후, 번역문을 생산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지만, 번역가에 따라 원작의 문학성을 결정짓는 요소를 해석하고 재표현 하는 방식은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은유적 표현이나 언어 유희 등 출발어의 기표-기의 결합 관계를 도착어로 재현하기 힘든 경우, 원문의 특정 부분이 손실되거나 보완되는 경향을 보였다. 출발어와 도착어는 그 언어 및 문화 체계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단 한 번의 번역으로 의미와 형태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다층적이며 복합적인 원작 문학 작품과 동일한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 번역을 생산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공시적·통시적으로 생산되는 재번역은 번역문이 원문에 비해 열등하다는 사실을 의미하기 보다는 번역 시점의 언어 관습을 반영하여 개별 번역가가 제시하는 다양한 해석 및 이해 방식을 통해 원문에 새로운 생명을 부여하는 작업으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번역가가 제시하는 번역 방법은 서로 상충 관계에 놓여 있기 보다는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원문의 총체적인 의미를 구성하는데 기여하여 궁극적으로 원작을 온전히 파악하는데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연구는 재번역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추정되는 동기를 다섯 가지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가질 수 있는 일부 한계에 대한 지적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시스템 이론을 비롯하여 다양한 문학 번역 관련 이론을 이론적 토대로 사용하여 국내에서 통시적 공시적으로 출판된 재번역을 번역 주체별로 유형화하여 각 유형의 특징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번역학적인 측면에서 재번역의 양상에 대한 기술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시대를 초월해 독자들의 사랑을 받는 고전의 경우, 재번역을 통해 작품의 숨겨진 매력을 발굴하고 작품의 본질에 다가갈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재번역은 꾸준히 기획 추진될 것이다. 이 때 본 연구의 결과가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기타 불문학 작품의 불한 재번역에 대한 다각적인 추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eeks to answer the question, "Why are retranslations being made?" The phenomenon of retranslation being as complex as translation, the author employs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approaches, including examining periodical characteristics of target countries' systems and the current state of publication translation, as well as analyzing translations in an attempt to find an answer to the research question. Out of all the translations of Stendhal's The Red and The Black (Le Rouge et Le Noir) that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 independence of Korea in 1945, the author looked into 66 versions(in 79 volumes) possessed by the Korean National Library and mad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changes in the political system of target language countries provide a motive for retranslation. As Korea had not embraced western literature before foreign powers forced an opening up of the country's ports in the late 19th Century, adaptations rather than translations of the originals were common for some time after the initial acceptance of foreign literature. The author recognized that adaptations in those days involved not only rewriting of an original text to suit what the Korean readership might find familiar but also a genre switching (e.g. from novel to drama). Further, indirect translations via an intermediate language such as Chinese or Japanese commonly took place. Indeed, the portion of indirectly translated texts based on Japanese translations increas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he translations that use Japanese translations as source text display a number of shortcomings such as foreign words written according to Japanese convention, unfamiliar Japanese expressions, and omissions without any pretext even considering linguistic or cultural differences. The bigger problem relating to this phenomenon is that the practice of using Japanese translations as source text survived covertly and continued even after the independence from Japanese rule, prolonging Korea's cultural subordination, albeit undisclosed, to Japan. By today's criteria, adaptations or indirect translations can hardly be seen as faithful to the originals in genre, content, and form, raising the need for a new, full translation of the original text. Second, diachronic changes in language lead to retranslation. The texts written at a certain point of time when the source language undergoes changes and fully integrated into the language are endowed with perennial vitality. However, this is not the case for translations. Translations are inevitably dependent on the situation of the target language country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exts that have identical function, meaning, and effect to the original. From the diachronic perspective, retranslation done to reflect the shifting language situation of the target language country may reveal the fact that a translation does not last indefinitely. On the other hand, however, it can be seen as a process that resuscitates the original in the target culture by restoring to it the vitality. Despite the fact that what the author has analyzed is limited to the books published over the past 50-60 years, common lexicons archaically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Chinese loan words, Chinese appellations and other awkward words apparently borrowed from other languages were common in the relatively older translations. The words and expressions are unfamiliar to modern readers, even if not to the extent that it hampers the understanding of the translation. However, these aged translations can give an impression that the translated text is out of date, thereby serving as major motive behind retransla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nalyzed retranslations diachronically produced over the long term and recognized that modernized retranslations have been made as part of efforts to reflect the latest language conventions. Third, changes in linguistic rules in the target language country relating to transliteration of loan words and punctuation marks, or the array of characters, are a powerful cause for retranslation. When publishing firms that commission the translation of literary works voice the need for retranslation on grounds that the existing translations have aged and thus need to be replaced by modernized translations more suited to the taste of modern readers, it is easy to conclude that changes in language are the sole factor to cause the phenomenon of retranslation. However, the author recognizes that retranslation caused by changes in the transliteration of words or punctuation marks, the array of characters, and other linguistic rules, are as common as that resulting from changes or losses in the meaning of words as they become archaic or obsolete in the target language. This demonstrates that changes in transliteration as much as changes in language can give readers the impression that the existing translation is out of date. To arrive at this conclusion, the author compared translations from different periods by a single translator in order to control the variable - in this case, the translators' varying, subjective choice of words. Fourth, numerous plagiarisms and repeated publications explain why there have been such an excessive number of retranslations of The Red and The Black published in Korea since the country's independence. Phrases or sentences virtually identical to those in the existing translations were found in the versions retranslated not only by the original translator but also by other translators. The retranslations that display no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translations are thought to infringe on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the secondary sources. In addition, 16 out of 28 translators who translated The Red and The Black have had their translations published by the same or by other publishers. Their translations exhibit few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previous versions except in the transliteration of loan words and punctuation marks. Given that these translations hardly vary in textual content and only differ in price and in the form of the books such as format, binding, and other paratextual features, they must be considered to be republications rather than retranslations. An edited version of an existing translation is thought to infringe on the copyrights of a secondary source if the publisher releases the version without seeking the translator's permission and without stating 'Reprinted' or 'Second Edition' on the book, even if the translator had worked with the publisher. The phenomena of plagiarism and republication of existing translations are not limited to a certain time period but are found during the entire time since Korea gained its independence in 1945, revealing how far Korea's publishing lags behind in terms of translation of literary classics. Fifth and finally, retranslation can reflect the translator's unique perspective on what translation should be as well as delivering the diverse charms of the original text. Simply because the existing translation has aged or is flawed does not lead to the retranslation of the text. Literary works are open to diverse interpretation and appreciation not only by the general reading public as the final consumer but also by translators who exert efforts to understand the texts as objectively as possible in order to reproduce them in another language. Although translators strive to make sense of the original work in the most unbiased manner possible to produce a translation, it can vary from translator to translator how he or she interprets and re-expresses the elements that determine the literary qualities of the original text. Since the linguistic and cultural systems of source and target language do not correspond to each other, a single translation can hardly create the same meaning and value as in the multi-level, complex literary text whose meaning and form are inseparably integrated as if it was a living material. Retranslation made diachronically and synchronically, however, does not necessarily signify the inferiority of translation to the source language text. Rather, it should be seen as a process by which an individual translator bestows new life on the original text through integration of the latest language conventions, and diverse interpretation and appreciation of the text. Moreover, different translating methods adopted by different translators are complementary rather than contradictory to one another. These varying methods help reconstruct the comprehensive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which eventually will allow readers to fully understand the work. As such, this study suggests the five presumed motives behind retranslation. Each motive, closely associated with key research tasks on publication translation, requires more in-depth individual study. Notwithstanding the limitations expected to be pointed ou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based on system theories and other various theories concerning literary translation, it categorizes retranslated versions synchronically and diachronically published by the main factor causing such retranslations to displa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tegory. Another significance lies in the fact that before this study, no descriptive and systematic study analyzing retranslations has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translation studies. Retranslation can uncover hidden charms of literary classics loved beyond time and therefore allow readers to discover their essence. In this light, it will continue to be planned and conducted. The author hopes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reference in the process. The author also expects that based on this study, further studies on retranslations of other French literary works will be carried out from various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