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Permutation-순열과 치환군, 그의 응용

        임순정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To be how should have become the justice from each high school and university curriculum, to search the relation of two curricula it examined the concept of the Permutation from the army, it tried. Reason the justice of the Permutation to be different became interpretation entirely from the high school and university curriculum of present time, as teaching it was a same concept and the place where the recognition studies becomes as studying sleeping field this different is difficult knew is. It will know the difference of problem point from like this two curricula from the dissertation which it sees, from high school curriculum concept of the Permutation studying it will sleep and when studying, petty will be easier, it introduces the application portion of the multi branch Permutation which it will study effectively and application it tries and to sleep it does.

      • 低層 高密度 住居地 計劃에 관한 基礎的 硏究 : 光州直轄市 永久賃貸住宅을 中心으로

        임순정 全南大學校 1995 국내석사

        RANK : 248639

        住居需要의 增加와 垈地의 不足에 따른 都市 住居問題를 解決하기 위해 土地利用의 效率性을 내세워 大規模 高層 住宅團地의 開發이 普遍化되고 劃一化되었다. 하지만, 大規模 高層 住居環境은 社會的, 醫學的, 環境的, 文化的, 心理的. 經濟的, 技術的 側面에서 많은 問題點이 導出되었고, 開發 規模에 있어서 適合性과 大規模 宅地 開發의 어려움, 中間住居類型의 不足, 環境的 必要性과 居住者들의 住要求의 變化는 새로운 住居類型의 開發을 必要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住居類型으로 居住性을 確保하기가서 容易하면서 土地의 效率的 利用이 可能하고 漸進的 開發이 可能한 低層高密度 住居地 開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本 論文에서는 低層高密度 住居地 計劃에 관한 基礎的 段階로, 高層住居에 대한 居住者들의 反應을 把握하기 위하여, 面積狹小에 따른 高層의 問題가 더욱 深化되어질 것을 감안하고 현재 제일 적은 坪數로 建設되고 있는 永久賃貸住宅을 對象으로 하여, 光州直轄市의 永久賃貸住宅 居住民들의 住居滿足度에서의 層別(低層部, 中層部, 高層部)에 따른 差異와 住謄環境에 대한 認識을 說間을 통하여 分析하였다. 이에 대한 分析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高層住居에 대해서 居住者들은 全體的으로 不滿足하고 있으며 低層으로 갈수록 不滿足을 나타내고 있으나, 不安의 정도는 高層으로 갈수록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2. 高層 住居環境의 滿足度에서는 住宅의 面積, 眺望, 현재 사는 層, 어린이 安全, 駐車施設, 隣棟間隔, 바람소리나 강풍, 層높이, 엘리베이터 事故, 어린이·고령자의 엘리베이터 使用, 어린이나 물건의 墮落 危險의 變數에서 低層部, 中層部, 高層部에 따라 有意한 差異를 보이고 있다. 3. 住居環境에 대한 居住者들의 認識에 대한 因子分析의 結果, 高層 住居의 特性은 親近性, 團地 特性, 住宅 環境, 活動性, 調和性, 騷音, 安定感, 密室感, 높이의 因子로 說明할 수 있다. High-rise development has become very popular and formalized development pattern to solve the urban housing problems; more housing demands and the shortage of lot. However, it is said that residential environment has become worse by high-rise/high-density housing development; in the light of socio-cultural relationships, medical pathology, environmental problems, psychology, economy. and technical difficulties. A new housing type, therefore, should be developed to the fit in human scale, the difficulty in large scale development, the absence of the medium development type between large scale development and very small one, environmental qualities, and residents' changes in the housing need. Low-rise/high-density housing development might be an alternative that is easy to get the livability, to increase population density, to make gradual developments, and to seek the variety and vitality in environment. Therefore, this paper prepares a basic data to establish the low rise/high density housing development through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high-rise housing.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 this paper surveyed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residents by the floor levels (lower level, from first to fifth floor; middle level, from sixth to tenth floor; and higher level, from eleventh to fifteenth floor), and their consciousness sampling 600 households living in permanent rental housing in Kwangju, because it is expected that the smaller is the size of housing, the more problems in high liv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households living in permanent rental housing generally dissatisfy their houses. The households living in lower levels feel more dissatisfaction than those in higher levels, but those in lower levels feel less fearful than those in higher levels. 2.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residents in high-rise apartment: in the satisfaction on housing; the size of housing, the view, the floor in which they live, the safety of children, and the degree of the fear; the fear of wind sound and a gale, living in high, children and the elderlies' uses and safety in elevator, and the danger of a falling. 3. The relative important factors identified by factor analysis are "intimacy", "the attributes of housing site", "the environment of housing", "activity in dwelling", "harmony", "perceiving a noise", "safety", "the sense of closeness", and "height".

      •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Interaction in an Elementary English Immersion Classroom

        임순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몰입 교육은 영어를 배우는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대한 효과를 염두에 두고 2000년대부터 한국에서 인기를 끌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인기는 영어가 국제어로서 높은 위상을 떨치고 있는 국제적 정세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몰입 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과 인기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아직까지 실제 몰입 교육을 받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모습을 자세하게 담고 있는 연구들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몰입 교육 수업에서 선생님의 수업 전략과 의사소통 양상에 대해 자세히 살펴 보고자 노력하였다. 우선, 영어 몰입 수업에서 담당 선생님이 어떠한 수업 전략을 사용하는지 살펴 보고, 선생님과 학생 사이에 어떤 유형의 의사소통이 이루어 지는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담당 교사가 몰입 교육에 대해 어떠한 시각을 지니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본질적으로 제2언어 습득에 관한 입력, 상호작용, 그리고 출력 모델들과 관련이 있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들은 사설 영어 학원에서 3개월 동안 수업 녹음과 담당 선생님 인터뷰, 그리고 현장 관찰 기록지들을 통해 모아졌다. 선생님의 수업 전략은 Wang(2008)의 연구에서 사용된 수업 전략과 비교를 하였으며, 의사소통 유형은 정해진 틀 없이 특징적으로 많이 보여지는 유형들을 소개하였다. 이 연구에서 담당 선생님은 몸짓으로 의미를 표현하거나 어려운 단어는 쉬운 표현을 찾아내어 설명하는 전략을 자주 사용하였다. 또한 의미 파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상황설정이나, 학생들의 경험과 연결해서 설명하기, 내용 파악 확인, 발표 순서 통제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수업 내용을 쉽게 받아 들일 수 있도록 지도해 주었다. 수업 시간에 의사소통은 주로 선생님의 질문을 통해 이루어 졌다. 선생님은 학생들이 수업 내용을 쉽게 이해하게 하기 위해서 자주 수업 내용과 관련된 학생 자신들의 경험이나 느낌을 표현하도록 기회를 주었고, 수업 내용에 관해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이나 이해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질문이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또한, 학생들이 적절한 단어나 표현을 찾지 못해서 의사소통이 원만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선생님의 도움이 의사소통에 활력소가 되었고, 학생들이 시간을 가지고 대답을 생각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제공해 줌으로써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듯 보였다. 특징적으로 학생들은 수업 시간에 친구들이나 담당 선생님을 놀리기 위해 영어로 의사소통을 시작하는 모습이 보이기도 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가 아닌 사설 영어 학원에서 연구 자료가 수집되었다는 점에서 정규 학교에서와는 다른 결과를 가져 올 수도 있지만, 내용 중심 학습이나 몰입 교육을 통해 새로운 교수법을 찾는 교육자들에게 미약하나마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기를 희망한다. Immersion programs have gained popularity in Korea since the early 2000s due to its effect on enhancing the communication skill of English learners. This trend corresponds with the trend of English as a world language. However, few studies have specifically investigated the nature of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experience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mmersion programs in Korea. This study aims to help provide a more detailed picture of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strategies and patterns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n an English immersion classroom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First, it investigates teaching strategies that an immersion teacher uses in an English immersion classroom. Second, it further investigates the patterns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Lastly, it reveals an immerion teacher’s perception about immersion programs. The study fundamentally draws from the input, interaction, and output model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in a private English institution for three months through audio recording of classroom interactions, interview with the teacher, and field notes during observations. The teaching strategies were analyzed comparing Wang’s (2008) study. The patterns of interaction were examined using grounded theory approach. In the study, the immersion teacher used various teaching strategies such as body language, language modification, contextual clues, connection to students’ lives, comprehension check, and turn-taking control to facillitate students’ comprehension of content. The interaction in the classroom occurred through the teacher’s questioning to share experience and feeling, to check comprehension, and to elicit prior knowledge of content. The interaction also took place through error correction as scaffolding, longer wait-time, and students’ teasing each other in the classroom. Based on the finding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CBI or immersion teachers who are looking for new approaches to teach their students more effectively.

      • 문학 작품의 재번역 현상 연구 : 스탕달의 『적과 흑』을 중심으로

        임순정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39

        Tout au long de cette etude, nous nous sommes attaches a repondre a la question suivante: Pourquoi retraduit-on? Le phenomene de retraduction etant aussi complexe que la traduction elle-meme, nous avons axe notre recherche autour de themes aussi divers que le systeme ideologique et poetique du pays d'accueil, la situation du systeme d'edition ou l'analyse et la comparaison des traductions. Dans le cadre de notre etude, nous avons analyse 79 volumes de 66 editions differentes du roman Le Rouge et Le Noir de Stendhal disponibles a la Bibliotheque Nationale de Coree. De cette analyse, nous avons pu determiner les cinq enseignements suivants: Dans un premier temps, nous avons constate que le changement de systeme ideologique et notamment politique du pays d'accueil constitue l’un des principaux motifs de la retraduction. L'adaptation etait une pratique courante en Coree a l’epoque ou les premieres traductions des œuvres litteraires occidentales ont ete introduites en Coree. Dans le cas du roman Le Rouge et Le Noir, l'adaptation intralinguistique s'est egalement accompagnee d’un changement de genre: le texte original, qui est un roman, a ete traduit sous forme de piece de theatre. Par ailleurs, on remarque que dans de nombreux cas, les textes chinois ou japonais ont ete utilises comme texte de depart a la place du texte original. Cette pratique de double traduction a notamment ete multipliee durant la periode de la colonisation japonaise. Les traductions issues de doubles traductions a partir du japonais montrent de nombreuses insuffisances; en effet, il n’est pas rare de retrouver des transcriptions phonetiques a la japonaise de mots etrangers, des expressions calquees du japonais ou des omissions ne pouvant etre expliquees par les differences linguistiques ou culturelles entre les pays de depart et d'arrivee. Malgre cela, la double traduction a ete pratiquee insidieusement longtemps apres l'independance de la Coree, rendant ainsi la dependance culturelle vis a vis du Japon plus forte. L'adaptation ou la double traduction ne sont pas des traductions fideles a l'original en terme de genre, de contenu et de forme du texte; ces textes engendrent donc une necessite de retraduction. En second lieu, notre etude a revele que le changement linguistique diachronique est egalement une cause majeure de retraduction. Le texte de depart est produit a un moment donne dans l'evolution de la langue de depart et garde sa fraicheur tandis que la traduction vieillit rapidement: la traduction est ancree dans une periode specifique du pays d'arrivee. Sa fonction, sa valeur, son effet ne sont garantis que dans cette situation particuliere et le texte traduit peut perdre de sa signification une fois l’epoque revolue. Loin de montrer les limites de la traduction, les retraductions de differentes epoques permettent au contraire de prolonger la vie de l'original dans le pays d'arrivee. Bien que nous ayons limite notre etude a l’analyse des traductions publiees apres 1950, nous avons pu constater que des traductions plus anciennes comportaient des mots ou appellations contenant des caracteres chinois et que ces mots etrangers peu naturels ne figurent plus dans les traductions plus recentes. Ces expressions, peu familieres aux lecteurs modernes, n'entravent pas la comprehension du texte mais peuvent donner l'impression que celui-ci est vieux ou obsolete et motiver la retraduction. L'analyse diachronique des retraductions a donc permis de verifier que les traductions etaient conformes a la modalite linguistique du l’epoque de la traduction. Troisiemement, d’autres facteurs tels que le changement des normes relatives a la langue d'arrivee, tels que l'orthographe des mots etrangers, les ponctuations et l'alignement du texte peuvent egalement induire une retraduction. Selon les editeurs qui sont les initiateurs de la traduction des textes litteraires, les motifs de la retraduction peuvent etre liees a l’anciennete des traductions existantes, demodees, et elles ne repondent plus a la sensibilite des lecteurs modernes. Souvent, seule l’evolution de la langue est designe comme raison leur permettant de justifier la retraduction. Cependant, la comparaison de traductions realisees par un meme traducteur a des epoques differentes nous a revele que des changements de normes linguistiques telles que l'orthographe, la ponctuation et l'alignement du texte pouvaient aussi etre des facteurs poussant les editeurs a retraduire tout autant que l’archaisme des mots. Quatriemement, nous avons pu constater que le nombre de retraductions exceptionnellement eleve du roman Le Rouge et Le Noir en Coree est egalement attribuable en partie au plagiat et a la reedition. En effet, lors de notre analyse, les traductions identiques aux traductions existantes d'un meme traducteur ou de traducteur differents se sont revelees tres nombreuses. Parailleurs, notons que les traductions identiques de differents traducteurs sont des cas de plagiat portant atteinte aux droits du traducteur. De la meme maniere, parmi les 28 traducteurs du roman Le Rouge et Le Noir, 10 ont publie leur retraduction au sein d’une meme maison d'edition: les seules differences notables etaient para textuelles (prix, format et reliure uniquement), le contenu textuel de celles-ci etait quasi identique. Dans ce contexte, ces traductions ne peuvent etre considerees comme des retraductions mais comme des reeditions sans mention specifique sur ce point. Dans un cinquieme point, nous avons note que la retraduction peut aussi etre interpretee comme une attestation de la subjectivite du traducteur vis a vis du texte de depart. On ne retraduit pas uniquement parce que la traduction existante est defectueuse ou obsolete. Une œuvre litteraire est un texte ouvert permettant plusieurs lectures et interpretations. Meme si le traducteur de la premiere traduction s’est voulu objectif , il se peut que son interpretation s’avere selective; des traductions posterieures peuvent reveler une nouvelle perspective. C'est notamment le cas pour certaines expressions metaphoriques ou jeux de mots pour lesquels l'association du signifiant et du signifie de la langue de depart est difficilement reproduisible dans la langue d'arrivee. Une retraduction n’est pas forcement la preuve d’une inferiorite de la premiere traduction vis a vis du texte original. Une traduction possede une valeur et une signification a un moment donne de l'histoire, mais elle peut perdre ses qualites par la suite et avoir besoin d’etre remplacee par une nouvelle traduction revelatrice de nouvelles perspectives. Dans ce contexte, toute retraduction se place dans un schema de complementarite et non de confrontation et contribue ainsi a une comprehension hermeneutique plus complete du texte d’origine. Notre etude a propose cinq facteurs qui sont generalement les sources de retraductions d’œuvres litteraires. Chacun de ces facteurs constitue une excellente piste de recherche et meriterait la realisation d’une etude approfondie. Il convient de preciser que l'objectif de notre recherche n'est pas d'evaluer et de hierarchiser les traductions existantes, mais plutot d’etablir un etat des lieux du phenomene de la retraduction des œuvres litteraires en Coree. De meme, compte tenu du cadre de l’etude limite au seul cas du roman Le Rouge et Le Noir de Stendhal, notre etude ne peut aucun cas se vouloir generaliste. Neanmoins, notre etude a permis d’apporter des conclusions significatives grace a la definition de caracteristiques des differentes categories de retraductions diachronique et synchroniques. De plus, la description des differents aspects du phenomene de retraduction reste inedite malgre la multiplication des retraductions et le constat d’un interet grandissant pour ce phenomene. Notre souhait est que cette etude puisse constituer une base pour des etudes posterieures sur la thematique de la retraduction. 본 연구는 재번역은 과연 왜 이루어지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구하고자 하였다. 재번역이라는 현상이 번역과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시대별 도착어 국가 시스템의 특징, 출판 번역 상황, 번역 결과물 분석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 문제에 대한 해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광복 이후부터 현재까지 출간된 스탕달의 『적과 흑』의 번역본 중, 국립 중앙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번역본 총 66종 79권의 분석을 실시했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도착어 국가 정치 체제의 변화는 재번역을 유발하는 요인이다. 개화기 이후 서구 문학을 수용하기 시작한 우리나라는 외국 문학 수용 초기에 원작을 번안하여 독자들에게 소개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당시 번안은 단지 원작의 내용을 한국 독자들이 익숙한 내용으로 대체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소설인 원작이 희곡으로 바뀌는 등 장르의 변화도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한역본이나 일역본을 사용한 중역이 빈번하게 이루어졌으며 일본어 중역은 일제 식민지를 거치는 과정에서 더욱 높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일역본을 출발어 텍스트로 사용한 번역문의 경우, 일본식 외래어 표기법, 일본식 표현, 언어적 차이나 문화적 차이로 설명하기 힘든 삭제가 빈번하게 발견된다는 점에서 번역문으로서의 한계를 드러냈다. 중역과 관련해서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해방 이후 상당 기간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원전이 아닌 일역본을 사용하는 중역 관행이 암암리에 지속되어 일본에 대한 은밀한 문화적 종속이 지속되었다는 점이다. 번안이나 중역은 오늘날의 기준으로 볼 때 텍스트의 장르, 내용, 형식 면에서 원문에 충실한 번역이라고 간주하기 힘든 번역이라는 점에서 재번역을 통한 원전의 완역 소개 필요성을 제기한다. 둘째, 통시적으로 발생하는 언어의 변화는 재번역을 유발하는 요인이다. 출발어 국가 언어의 변화 과정에서 어느 특정 순간의 언어로 쓰여 형태가 굳어진 원문은 영원한 생명력을 지니게 되지만 번역문은 원문과 동일한 기능, 의미, 효과를 지닌 텍스트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번역 시점 도착어 국가의 언어 상황에 의존적일 수밖에 없다. 가변적인 도착어 국가의 언어 상황을 반영하여 수행되는 통시적 관점에서의 재번역은 번역문이 지닌 생명력의 한계를 드러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도착어 국가에서 원문이 새로운 생명을 획득하여 존속하게 하는 작업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최근 5-60년 사이에 발간된 도서들에 국한됨에도 불구하고, 과거 출판된 번역문에서는 최근에 출판된 번역문에는 발견되지 않는 예스러운 한자어 일반 어휘나 한자 외래어, 한자어 호칭을 비롯해 어색한 외래어 사용이 눈에 띄었다. 이와 같이 현대 독자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표현들은 번역문의 이해를 방해할 수준은 아니지만, 번역문이 오래되었거나 낡았다는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재번역을 유발하는 주요 동기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통시적으로 생산된 다양한 시대의 재번역 분석을 통해 보다 현대적이고 오늘날 언어 양태(樣態)에 부합하는 번역문이 생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외래어 표기법이나 문장 부호 표기법 내지는 문자 배열 원칙 등 도착어 국가의 언어 관련 법규의 변화는 재번역을 유발하는 강력한 원인이다. 출판 문학 번역의 발주자인 출판사들이 기존의 번역문이 낡았거나 구식이기 때문에 현대 독자들의 감수성에 호소할 수 있는 현대적인 번역을 소개해야 한다는 이유로 재번역의 필요성을 주장할 때, 언어의 변화가 이 같은 현상을 유발하는 유일한 원인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번역가의 주관적인 어휘 선택의 차이라는 변수를 통제하기 위해서 동일한 번역가가 번역한 서로 다른 시대의 번역을 비교해 본 결과, 고어(古語), 사어(死語) 등 도착어 어휘의 의미 변화나 의미 소멸로 인한 재번역 못지 않게 어휘 혹은 문장 부호의 표기법, 문자 배열 방식 등 언어 법규의 변화로 인한 재번역이 빈번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표기법의 변화가 언어의 변화 못지않게 독자들에게 번역문이 낡았다는 인상을 줄 수 있음을 입증한다. 넷째, 광복 이후 현재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적과 흑』 재번역본의 수가 지나치게 많은 것은 표절본과 재출판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기존의 번역본과 토시 하나 다르지 않은 번역본이 동일한 번역가의 번역에서는 물론 다른 번역가의 번역본에서도 발견되었다. 다른 번역가의 기존 번역본과 차이가 발견되지 않는 역본은 2차 저작물로서의 번역문의 번역가 저작권을 침해한 사례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적과 흑』을 번역한 번역자 총 28명 중 16명이 동일한 출판사 혹은 다른 출판사에서 번역문을 출간하였는데, 번역문들 간에 외래어와 문장부호 표기법을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기 힘들었다. 이들 역본 간에 텍스트 내용적인 차이는 거의 없는 상태에서 단지 가격과 판형 및 제본, 곁텍스트적 요소 등 도서의 형태와 관련된 차이만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이들 번역본은 재번역이 아닌 재출판으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출판사에서 이미 동일한 원작의 번역을 출판한 경험이 있는 번역가의 번역본이라 할지라도 번역가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 재판, 중판 등의 어구도 명시하지 않은 채 기존 번역본을 새롭게 편집하여 출간한 경우 역시 2차 저작물로서의 번역문의 저작권이 훼손된 사례로 판단된다. 표절과 재출판이라는 현상은 특정 시대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광복 이후 현재까지 출간된 재번역본 전반에 걸쳐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서양 고전 문학 작품의 번역과 관련 과거 우리 출판 문화의 후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재번역은 번역가 고유의 번역관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원문의 다양한 매력을 드러낸다. 재번역은 비단 기존 번역이 낡았거나 결함이 있기 때문에 이루어지는 것만은 아니다. 문학 작품은 다양하게 해석되고 읽힐 수 있는 열린 구조를 지닌 텍스트이다. 이는 도서를 최종적으로 소비하는 일반 독자 뿐만 아니라 텍스트를 최대한 객관적으로 이해한 후 이를 재현하고자 노력하는 번역가에게도 해당된다. 번역가는 최대한 객관적으로 원작을 이해한 후, 번역문을 생산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지만, 번역가에 따라 원작의 문학성을 결정짓는 요소를 해석하고 재표현 하는 방식은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은유적 표현이나 언어 유희 등 출발어의 기표-기의 결합 관계를 도착어로 재현하기 힘든 경우, 원문의 특정 부분이 손실되거나 보완되는 경향을 보였다. 출발어와 도착어는 그 언어 및 문화 체계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단 한 번의 번역으로 의미와 형태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다층적이며 복합적인 원작 문학 작품과 동일한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 번역을 생산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공시적·통시적으로 생산되는 재번역은 번역문이 원문에 비해 열등하다는 사실을 의미하기 보다는 번역 시점의 언어 관습을 반영하여 개별 번역가가 제시하는 다양한 해석 및 이해 방식을 통해 원문에 새로운 생명을 부여하는 작업으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번역가가 제시하는 번역 방법은 서로 상충 관계에 놓여 있기 보다는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원문의 총체적인 의미를 구성하는데 기여하여 궁극적으로 원작을 온전히 파악하는데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연구는 재번역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추정되는 동기를 다섯 가지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가질 수 있는 일부 한계에 대한 지적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시스템 이론을 비롯하여 다양한 문학 번역 관련 이론을 이론적 토대로 사용하여 국내에서 통시적 공시적으로 출판된 재번역을 번역 주체별로 유형화하여 각 유형의 특징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번역학적인 측면에서 재번역의 양상에 대한 기술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시대를 초월해 독자들의 사랑을 받는 고전의 경우, 재번역을 통해 작품의 숨겨진 매력을 발굴하고 작품의 본질에 다가갈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재번역은 꾸준히 기획 추진될 것이다. 이 때 본 연구의 결과가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기타 불문학 작품의 불한 재번역에 대한 다각적인 추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eeks to answer the question, "Why are retranslations being made?" The phenomenon of retranslation being as complex as translation, the author employs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approaches, including examining periodical characteristics of target countries' systems and the current state of publication translation, as well as analyzing translations in an attempt to find an answer to the research question. Out of all the translations of Stendhal's The Red and The Black (Le Rouge et Le Noir) that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 independence of Korea in 1945, the author looked into 66 versions(in 79 volumes) possessed by the Korean National Library and mad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changes in the political system of target language countries provide a motive for retranslation. As Korea had not embraced western literature before foreign powers forced an opening up of the country's ports in the late 19th Century, adaptations rather than translations of the originals were common for some time after the initial acceptance of foreign literature. The author recognized that adaptations in those days involved not only rewriting of an original text to suit what the Korean readership might find familiar but also a genre switching (e.g. from novel to drama). Further, indirect translations via an intermediate language such as Chinese or Japanese commonly took place. Indeed, the portion of indirectly translated texts based on Japanese translations increas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he translations that use Japanese translations as source text display a number of shortcomings such as foreign words written according to Japanese convention, unfamiliar Japanese expressions, and omissions without any pretext even considering linguistic or cultural differences. The bigger problem relating to this phenomenon is that the practice of using Japanese translations as source text survived covertly and continued even after the independence from Japanese rule, prolonging Korea's cultural subordination, albeit undisclosed, to Japan. By today's criteria, adaptations or indirect translations can hardly be seen as faithful to the originals in genre, content, and form, raising the need for a new, full translation of the original text. Second, diachronic changes in language lead to retranslation. The texts written at a certain point of time when the source language undergoes changes and fully integrated into the language are endowed with perennial vitality. However, this is not the case for translations. Translations are inevitably dependent on the situation of the target language country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exts that have identical function, meaning, and effect to the original. From the diachronic perspective, retranslation done to reflect the shifting language situation of the target language country may reveal the fact that a translation does not last indefinitely. On the other hand, however, it can be seen as a process that resuscitates the original in the target culture by restoring to it the vitality. Despite the fact that what the author has analyzed is limited to the books published over the past 50-60 years, common lexicons archaically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Chinese loan words, Chinese appellations and other awkward words apparently borrowed from other languages were common in the relatively older translations. The words and expressions are unfamiliar to modern readers, even if not to the extent that it hampers the understanding of the translation. However, these aged translations can give an impression that the translated text is out of date, thereby serving as major motive behind retransla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nalyzed retranslations diachronically produced over the long term and recognized that modernized retranslations have been made as part of efforts to reflect the latest language conventions. Third, changes in linguistic rules in the target language country relating to transliteration of loan words and punctuation marks, or the array of characters, are a powerful cause for retranslation. When publishing firms that commission the translation of literary works voice the need for retranslation on grounds that the existing translations have aged and thus need to be replaced by modernized translations more suited to the taste of modern readers, it is easy to conclude that changes in language are the sole factor to cause the phenomenon of retranslation. However, the author recognizes that retranslation caused by changes in the transliteration of words or punctuation marks, the array of characters, and other linguistic rules, are as common as that resulting from changes or losses in the meaning of words as they become archaic or obsolete in the target language. This demonstrates that changes in transliteration as much as changes in language can give readers the impression that the existing translation is out of date. To arrive at this conclusion, the author compared translations from different periods by a single translator in order to control the variable - in this case, the translators' varying, subjective choice of words. Fourth, numerous plagiarisms and repeated publications explain why there have been such an excessive number of retranslations of The Red and The Black published in Korea since the country's independence. Phrases or sentences virtually identical to those in the existing translations were found in the versions retranslated not only by the original translator but also by other translators. The retranslations that display no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translations are thought to infringe on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the secondary sources. In addition, 16 out of 28 translators who translated The Red and The Black have had their translations published by the same or by other publishers. Their translations exhibit few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previous versions except in the transliteration of loan words and punctuation marks. Given that these translations hardly vary in textual content and only differ in price and in the form of the books such as format, binding, and other paratextual features, they must be considered to be republications rather than retranslations. An edited version of an existing translation is thought to infringe on the copyrights of a secondary source if the publisher releases the version without seeking the translator's permission and without stating 'Reprinted' or 'Second Edition' on the book, even if the translator had worked with the publisher. The phenomena of plagiarism and republication of existing translations are not limited to a certain time period but are found during the entire time since Korea gained its independence in 1945, revealing how far Korea's publishing lags behind in terms of translation of literary classics. Fifth and finally, retranslation can reflect the translator's unique perspective on what translation should be as well as delivering the diverse charms of the original text. Simply because the existing translation has aged or is flawed does not lead to the retranslation of the text. Literary works are open to diverse interpretation and appreciation not only by the general reading public as the final consumer but also by translators who exert efforts to understand the texts as objectively as possible in order to reproduce them in another language. Although translators strive to make sense of the original work in the most unbiased manner possible to produce a translation, it can vary from translator to translator how he or she interprets and re-expresses the elements that determine the literary qualities of the original text. Since the linguistic and cultural systems of source and target language do not correspond to each other, a single translation can hardly create the same meaning and value as in the multi-level, complex literary text whose meaning and form are inseparably integrated as if it was a living material. Retranslation made diachronically and synchronically, however, does not necessarily signify the inferiority of translation to the source language text. Rather, it should be seen as a process by which an individual translator bestows new life on the original text through integration of the latest language conventions, and diverse interpretation and appreciation of the text. Moreover, different translating methods adopted by different translators are complementary rather than contradictory to one another. These varying methods help reconstruct the comprehensive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which eventually will allow readers to fully understand the work. As such, this study suggests the five presumed motives behind retranslation. Each motive, closely associated with key research tasks on publication translation, requires more in-depth individual study. Notwithstanding the limitations expected to be pointed ou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based on system theories and other various theories concerning literary translation, it categorizes retranslated versions synchronically and diachronically published by the main factor causing such retranslations to displa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tegory. Another significance lies in the fact that before this study, no descriptive and systematic study analyzing retranslations has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translation studies. Retranslation can uncover hidden charms of literary classics loved beyond time and therefore allow readers to discover their essence. In this light, it will continue to be planned and conducted. The author hopes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reference in the process. The author also expects that based on this study, further studies on retranslations of other French literary works will be carried out from various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