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되메움재 종류에 따른 지하매설관의 개량 효과에 관한 연구

        천충성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7391

        다양한 지반주입공법 중 저유동성 몰탈을 이용하는 CGS공법은 부등침하된 구조물의 복원, 폐광 함몰지역 및 석회암 동굴지역에서의 지반보강, 구조물 기초의 지반보강, 손상된 흙댐 코어의 보수보강 등 연약지반 개량을 위하여 폭넓게 쓰이고 있으며, 작업 공간이 협소한 경우도 주변 여건에 크게 구속받지 않고 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공법이 현재 다양한 토질에서 더욱 폭넓게 적용되어지기 위하여, 사질토와 점성토 등의 토질의 종류에 따른 지반개량효과에 관한 검토가 요망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본 공법에 대한 이론적인 이해가 불확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준설매립지반에서의 연약점성토지반 개량 및 매립토의 액상화 방지를 위한 공법으로 수행된 CGS시공현장에 대한 시공결과를 분석하여 본 공법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분석결과 연약점성토뿐만 아니라 매립토(사질지반)에서도 CGS공법에 의한 지반개량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 토질 및 현장여건에 따라 적용이 유용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Also, as CGS can be applied to very small construction, it is characterized by a wide use. To apply to the CGS method to diverse kinds of soils, it has been called for tests that conduct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effects on ground improvement and types of soil, such as cohesive soils and sandy soils. However, to date robust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CGS has not been built. Therefore, the current study aims to provide a theoretical approach to CGS in order to figure out the fundamental mechanism of CGS. Also, this study attempts to test the effects of CGSby analyzing the constructions that employed it in order to improve (reinforce) soft cohesive soil ground and prevent the liquefaction of sandy cla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GS has a great effect on improvement of soft cohesive soil as well as sandy clay. This finding implies that CGS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the soil and construction.

      • 수치해석을 통한 버켓기초의 극한인발지지력에 관한 연구

        이명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7391

        최근 들어 해안 및 심해 개발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해안과 심해에 여러토목구조물이 건설되고 있으며 향후 그 종류와 수가 늘어날 전망이다. 해안이나 심해에 건설되는 구조물 또한 일반적인 구조물과 같이 기초의 설치가 중요하지만, 작업의 환경적 경제적인 제약으로 인해 가능한 공법은 그리 많지 않다. 이러한 제한적인 여건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해상기초가 버켓기초이다. 이 논문에서는 버켓기초에 인발하중이 재하되는 경우 기초의 인발거동을 유한차분법 프로그램인 FLAC 3D를 활용하여 예측하고자 하였다. 버켓기초에서 발생 가능한 3가지 인발 파괴 중 활동파괴(Sliding failure)의 지지력 예측식과 수치해석의 결과값을 비교하였으며, 세장비와 점착력을 변화시키는 변수연구를 통하여 예측식의 정확성을 검토해 보았다. 수치해석모델은 반단면을 이용한 3차원모델로 총 108개의 경우에 대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결과 버켓기초의 활동파괴에 대한 지지력 예측식의 정확성은 버켓기초의 외부와 내부 경계면에 발휘되는 전단응력의 발휘율에 따라 달라진다. 경계면의 전단응력 발휘율이 높을수록 예측식의 정확도가 증가했으며, 활동파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파괴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는 전단응력이 부분적으로 발휘되거나 극히 적은 수치가 발휘되는 경우로 변수로 사용된 세장비와 점착력의 함수로 나타낼수 있다. 세장비(L/D)가 작을수록, 그리고 점착력이 작을수록 활동파괴가 발생하는 경향이 컸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활동파괴시 사용되는 기존의 인발 지지력 예측식을 수정하여 보다 정확한 지지력 예측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Recently, attentions are paid on the offshore construction as the demands in offshore and deepwater development gradually increase; and it is expected that a number of offshore structures will be constructed in the near future. Because of the severe construction condition offshore, a few foundation systems are economically feasible for the offshore foundations, one of which is the bucket foundation. This paper presents the pullout behavior of bucket foundation using finite difference method, and the commercial software, FLAC3D, was employed for the numerical analysis. The conventional equation for predicting ultimate pullout capacity for sliding failure was compared with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The pile diameter, pile length, and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of the clay were va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arameters. Three dimensional analyses with total 108 cases were performed. It was concluded that the conventional equation for sliding failure could be adopted reasonably if the inner side friction of bucket foundation was fully developed. However, the inner side friction was partly developed in many cases such as when the length-diameter ratio and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were large. For such cases, the conventional equation could lead to overestimation of the pullout capacity; thus, modification of the conventional equation was proposed based on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 토목섬유로 보강된 철도노반의 보강 효과에 관한 연구

        김유신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37375

        Since 1970's, the studies on increasing the bearing capacity of railway roadbed using geogrid have been conducted for the reinforcement of railways. The general concept of reinforced roadbed in the railway is to cope with the soft ground for bearing capacity and settlement of foundation soil. In this paper, the railway roadbed reinforced with geogrid was analyzed and investigated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From results of finite element analysis, the effects of reinforcement estimated with subgrade modulus and bearing capacity ratio.

      • 가설기자재 시공안정성 확보를 위한 안전인증제도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원방희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37375

        본 연구는 국내․외 가설기자재 관련 제도 및 기준 등을 비교․분석하여 가설기자재 안전인증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며 건설 산업에서 사용 중인 가설기자재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현재 사용되는 가설기자재 안전인증제도 이행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생산․임대․사용의 가설기자재 관련 종사자에 대해 인터넷 설문조사 및 현장방문 인터뷰를 실시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하고 안전인증제도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안전인증제도는 2009년부터 시행되고 있지만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건설중대재해 사례와 대책’을 확인하면 건설재해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가설기자재 관련 종사자의 안전인증품목 적절성에 대한 응답은 ‘예(36%)’, ‘아니오(30%)’, ‘잘 모르겠음(35%)’으로 현행 안전인증제도 적합성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률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의 가설기자재 안전인증제도는 건설 환경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국외 가설기자재 및 신소재․신제품에 대한 인증방안 모색과 재사용가설기자재 자율등록제의 제도보완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행 안전인증제도 인증대상 품목, 제품 규격 적합성 및 인증방법을 분석하고, 안전인증 및 자율안전확인 신고 대상 품목 변경 및 축소방안 모색, 신소재․신제품에 대한 인증방안, 가설기자재 관리방안을 포함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토목섬유 보강에 따른 연약지반 모형실험

        김형준 경북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37375

        Since decades ago, geosynthetics have been used in various application fields by its effective way of inforcement. Reinforced soils with geosynthetics exhibited an improvement in strength and deformation haracteristics under static and repeat loading conditions. under the static loading condition, geosynthetics provided lateral restrains along its interface where the additional restrains resulted in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deformation and stress relation. It is common condition that geosynthetics reinforced soil is ubjected to cyclic or repeated loading in roadway than static load condition. But the overall performance has not been learly defined compare with the results of static load condition. In this paper involved comparative static load and repeat load test section with reinforcement and unreinforcement in soft clay layer. The test sections contained an extensive array of sensors to measure pplying load, surface deformation, underground deformation and strain in the geosynthetics. Test section ariables include load type, number of geotextile within the soil. In the study, geosynthetic-reinforced soil had more effective ground improvement effect, comparing with unreinforced soil at the same load. The test results show that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bearing capacity and relation of static load with repeat load in soft clay layer.

      • 현장조건에 따른 그라운드 앵커의 긴장력 손실에 관한 분석

        김동훈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7375

        일반적으로 그라운드 앵커 공법은 토목이나 건축 구조물을 지반에 정착시키기 위하여 고강도의 강재로 연결하고 그 강재에 높은 긴장력을 도입함으로써 구조물에 횡방향 또는 연직방향의 구속력 또는 선행하중을 가할 수 있는 효과적인 공법으로 일반적으로 강선과 시멘트 그라우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근래에 국내외에서 그 사용정도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이미 기 시공된 다른 지역의 앵커와 향후 시공될 앵커의 유지관리 및 공용기간 중에 결함이 발생했을 경우, 그로 인한 앵커의 초기 긴장력 손실 및 파괴에 대한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경상남도 김해시에 전도 및 변위를 억제하기 위한 공법으로 그라운드 앵커를 설계부터 시공, 인장시험까지 진행하였고 그로인해 각각 토사층, 암반3m, 암반5m에 정착된 결과를 통한 각기 다른 초기 긴장력 손실 및 회차별 손실을 알 수 있었고 암반층에 정착되는 길이가 길수록 시간별 긴장력 손실이 일어나더라도 설계앵커력에 근접,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했으며, 향후 시공될 그라운드 앵커에 있어 원지반 구성에 따라 자유장과 정착장의 길이를 다르게 설계 및 시공하는 것이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Generally, Ground anchor system is effective method that it find a way to make stability of structures. It is commonly composed of strand and cement-based grout. According to case research, it is rapidly increasing at home and abroad because it’s nice method with stability of construction. However, They haven’t managed very well about some of loss when it is already constructed somewhere or it is going to construct. So, it needs to prepare measure about tensible force loss and destroyed it. Thus, in this thesis, I have proceeded design, construction and tensile test for controling displacement and overturning in Kimhae, Kyeongsangnamdo. Therefore, when each of them are fixed in 3m deep rock mass, 5m deep rock mass and soil layer, I could realize about their initial tensible force loss and tensible force loss by 3 weeks. Meanwhile, as for stability of ground anchor, I have produced result that if anchor’s bond length is designed longer to rock mass, it can make sure of stability whatever may happen with tensible force loss. Overall, when ground anchor is designed and constructed if its bond length can make longer and deeper, I’m judged that it could be make sure of anchor’s stability and it will be successful.

      • 지진으로 인한 시설물 피해 평가 및 저감방안

        허대양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7375

        지진으로 인한 시설물 피해 평가 및 저감방안 최근 발생한 경주 지역 규모 5.8, 5.1 지진과 울산 동부 해안 규모 5.0 지진 등 한반도 동·남부 지역에 규모 4.5이상의 강진이 연이어 발생하였으며 강진 발생 이후 규모 2.0∼3.0의 여진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규모 5.8 지진 이후 2017.04.01. 까지 총 602회의 여진이 발생한 것으로 기록되었다. 이는 한반도 주위의 거대한 지각판인 인도, 태평양판의 지각 활동이 경상남·북도 지역에 위치한 양산단층대를 자극한 것으로서 양산단층대의 지진 응력이 해소되지 않을 시 언제든지 대규모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지진은 사전에 징후를 파악하기 힘든 재해이며 국내 구조물의 경우 건축물 내진설계법제정 이전에 시공된 구조물들이 많아 지진에 취약한 구조물이 많다. 김해시가 속해있는 경상남도의 경우 전체 건축물 가운데 내진성능이 확보된 건물은 5.3%인 것으로 나타났고 내진대상 건축물 중 40.9% 만이 내진성능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나 경남지방 구조물의 절대 다수가 내진성능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어 김해시의 지진 재해에 대한 방재 계획 수립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하여 김해시 지진발생 현황 조사 및 분석과 지질환경, 지진발생 위험도 평가를 실시하고 공공/민간 건축물에 대한 내진대책 제시 및 지진재해 지도 등을 제공하여 지진 재해에 대한 예방·대비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지진 발생 시 조속한 사회기반시설 회복을 위한 주요시설물 및 라이프라인 기능 확보와 복구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공공 민간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홍보의 종합적인 지진방재 계획을 수립함으로서 지진 피해감소에 기여 하고자 한다. Evaluation of earthquake-induced facility damages and reduction method In recent years, there are so many earthquakes (Mw ≥ 4.5) occurred in east-southern part of Korea, such as Gyeongju (Mw = 5.8, 5.1) earthquakes and Ulsan (Mw = 5.1) earthquake occurred in eastern part of coastal areas. Secondary shocks (Mw = 2.0 ~ 3.0) are continuously occurred and the total number of secondary shocks after Gyeongju (Mw = 5.8) earthquake until April 1, 2017. were 602. It explains that movement of magnificent size of the Indian plate and the Pacific plate around Korea triggered fault zone of Yangsan located at both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If seismic stress of fault zone in Yangsan areas is not released, it is highly possible to induce magnificent scale of earthquake. Earthquake is one of disasters shich cannot be figured out before it occurs. There are so many structures constructed not to earthquake-resistant. Earthquake-resistant structures in Gyeongsangnam-do including Gimhae City are 5.3% of total number of structures and only 40.9% of total number of required earthquake-resistant structures are secured. Most of structures in Gyeongsangnam-do are required to secure the safety of structures against to earthquake and disaster prevention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Therefore, in this study, investigation and analysis for earthquakes in reference to geological environments and risk level of earthquake in Gimhae City are carried out and earthquake-resistant policy and earthquake damage map for public and private buildings are provided to establish prevention and preparedness policy for earthquake disasters. And also, the policy to both prepare the recovery policy and secure functionality of main facilities and lifelines is necessary for the rapid recovery of infrastructures during earthquakes. Earthquake damage can be reduced by doing a publicity through public citizen communication and an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earthquake prevention plan.

      • 연약 지반 침하량 산정에 관한 硏究

        이건섭 仁濟大學校 尖端産業技術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37375

        연약지반은 과거 유수에 의하여 하천상류로부터 운반된 퇴적층(Aluvial Deposit)으로서 S.P.T시험에 의한 N치 값이 5이하의 매우 연약한 층이다. 그래서 적합한 연약지반 처리공법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지층의 성층 구성성분 파악이 중요하다. 또한 연약지반의 침하량 산정이 상부 구조물 안정 및 장기 거동 파악이 대단히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짐해시 인근의 도로 현장에서 실시한 연약 지반 대책 공법 중에서 현장 실험을 통한 침하량 산정방법을 조사 분석하였다. The soft clay layer was alluvial deposit carried by runnign river from an upper stream, N value of standard penetration test number were less than five and classifed as very soft layer. To establish a proper method of soil improvement in the soft clay layer,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out the stratification and composition of layer. Also the estimation of settlement was very important for the safety of superstructure and long term stability. In this study field test results were analyzed during soil improvement for the settlement of soft clay layer near Kimhae area.

      • 연약지반 처리공법 시공시 계측결과 활용한 지반특성 연구

        이영탁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7375

        This study utilizes the measurement results according to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installing a measuring instrument to observe the settlement and displacement during the construction of soft ground treatment method at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site to manage compaction of earthwork and prevent damage to adjacent ground in advance and treat soft ground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the construction method during design work to enable efficient construction in the field. In this study, the instruments such as ground surface settlement gauge, ground inclinometer, pore water pressure gauge, layer-by-layer settlement gauge, groundwater level gauge, etc. were installed and the results of these used to be analyzed in the overburden section. In order to perform the measurement management without problems, the conditions of the site must be investigated. The site's topographical features, soil conditions, and properties of fill materials should be analyzed, and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building structures and facilities around the site is required. After completing the preliminary ground investigation, a measurement performance plan should be prepared to determine the items to be measured and the types and quantity of measuring instruments.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measuring instruments according to each stage of soft ground construction, the frequency of each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ground softness and the plan of construction progress is determined. After the stepwise construction progress of embankment according to its initial plan, the measurement management is performed and the measurement results are obtain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analysis of the measurement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strument, and the stability against settlement is carried out. For the treatment of soft ground, there is generally a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values at the time of design and the actual measured values because the assumptions for the design consisted of the design method or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soil are too much simplified. Therefore, the amount of final settlement is estimated and reviewed based on the actual settlement curve to compare with the predicted values at the time of design. Actual the predicted values of the design can be changed reasonably. Using the measurement results during construction of the soft ground treatment method, the ground behaviors predicted at the time of design and the actual ground behavior that occurs during the construction progress are to help in economical and stable construction performance, such as changing the construction method and adjusting the load, when it is necessary, are compared and reviewed.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settlement so that it can be completed within the scheduled period of the design through settlement measurement and analysis. The construction should be appropriately managed so that the residual settlement in the design is below the allowable residual settlement even after completion of construc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building structures and facilities. It is expected to highly contribute to the safety and construction budget reduction against to ground failure, the stepwise through the management of embankment and measurements. 본 연구는 토목공사 시공현장 중 연약지반 처리공법 시공시 침하 및 변위를 관찰하기 위한 계측기 설치 후 경과시간에 따른 계측결과치를 활용하여 토공사 다짐관리 및 인접지반 피해 유무를 사전에 예방하고 향후 연약지반 처리공법을 설계에 반영하여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연약지반 처리공법 시행 후 과재 성토 구간에 지표면 침하계, 지중경사계, 간극수압계, 층별침하계, 지하수위계 계측기를 설치하고 계측결과를 분석하였다. 원활한 계측관리를 위해서는 현장조건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때 현장 지형지물, 토질조건, 성토 재료의 성질에 대한 분석도 이루어져야 하며 현장 주변 시설물과 지장물에 대한 사전 조사가 필요하다. 사전 지반조사 완료 후에는 계측 수행 계획서를 작성하여 계측 대상 항목과 계측기의 종류와 수량을 정하고 연약지반 단계별 시공에 따라 계측기 매설후 지반의 연약정도와 공정계획에 따른 각 계측기별 측정 빈도를 결정한다. 토공 시공 공정 계획에 따른 단계별 성토 작업이후에 계측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계측 결과를 정리하여 각 계측기별 특성을 고려한 계측분석 작업을 시행하고 이를 토대로 침하에 대한 안정성을 관리할 수 있다. 연약지반공법 설계시에 설계법에 의한 가정이나 복잡 다양한 토질의 특성을 단순화하여 수행하기에 설계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실제 침하곡선을 바탕으로 최종 침하량을 추정하여 설계시 예측치와 실제 계측치를 합리적으로 변경해 나갈 수 있다. 연약지반 처리공법 시공시 계측결과를 활용하여 설계시 예측된 지반 거동과 시공과정 중 발생하는 실제 지반거동을 비교·검토하여 필요시 시공방법의 변경 및 재하 하중의 조정 등 경제적이고 안정된 공사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침하량 계측과 분석을 통해 설계시 계획된 기간내에 침하가 완료될 수 있도록 관리한다. 또한, 시공 완료 후에도 설계상의 허용 잔류 침하량 이하가 될 수 있도록 적절한 시공관리를 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의 과재 성토 작업중 주변의 기반 시설물 및 지장물 등에 대한 피해방지 최소화를 위해 단계별 성토 및 계측을 통하여 지반 활동파괴 사전 예방 등의 안전 및 공사예산 절감에도 많은 기여를 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지진시 치환층 변화에 따른 방파제 안정성에 관한 연구

        김종식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7375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stability of horizontal displacement and liquefaction for the dynamic behavior of the earthquake wave for the real breakwater by PLAXIS 2D,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 Also, I examined the change of stability for the replacement-layer. Through laboratory and in-situ test, after determining the static & dynamic soil parameters, I determined nonlinear parameters, making use of Proshake. From the result of applying seismic wave on the section of the real breakwater, The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was 5.8 cm. The excess pore water pressure ratio was 0.6; they were so stable. In case of transporting the displaced layer into the clay, sand and gravel layer, coefficient of permeability was applied for 4 cases such as 1.0 × 10-4, 1.0 × 10-3, 1.0 × 10-2, 1.0 × 10-1 cm/s and, as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gets greater, I understood it became stable at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excess pore water pressure ratio from the result of examination. To examine the influence on the thickness of the displaced layer, I explained it for 10 m, 14 m and 18 m. From the result of explanation, as the thickness gets greater, the horizontal displacement and excess pore water pressure ratio were shown to get more stable. In assuming all the layers consist of clay layer, I acquired the displacement depth as 15m. For this condition from the result of above performed explan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for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it was shown to get stable as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gets greater. As this study was the result of explaining the ground condition and breakwater, the study of the variables influenced on the stability according to the kinds of the breakwater and study determining a proper displacing materials. 본 연구는 부산 신항 서방파제에 대하여 지진파에 대한 동적거동을 2D유한요소 해석법에 의해 수평변위 및 액상화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치환층 재료의 변화에 대한 안정성의 변화도 비교?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내 및 현장 실험을 통해 정적?동적 물성치를 산정 한 후, Proshake를 이용하여 비선형 물성치를 산정하였다. 실제 방파제의 단면에 지진파를 적용시킨 결과 최대 수평변위는 5.8 cm가 발생되어 이값은 적용기준치인 30 cm에 비하여 안정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과잉간극수압비를 구한 결과 약 0.6으로 나타나 액상화 가능성이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치환층의 재료변화를 위해 점토, 모래, 자갈층으로 치환했을 경우의 결과를 비교했다. 투수계수는 1.0 × 10-4, 1.0 × 10-3, 1.0 × 10-2, 1.0 × 10-1 cm/s 의 4가지 경우에 대하여 적용하였으며, 검토 결과 투수계수가 커짐에 따라 수평변위 및 과잉간극수압비에서 더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즉, 하부 점토층이 소요의 지지력만 만족된다면 점토보다는 모래, 자갈층으로 치환하였을 경우 방파제는 더 안정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3. 치환층의 두께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0 m, 14 m, 18 m에 대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 치환층의 두께가 커짐에 따라 수평변위 및 과잉간극수압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안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4. 모든 층이 점토층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한 후, 치환심도를 15 m로 구하였다. 이런 조건에 대하여 앞서 실행한 투수계수의 변화에 따른 해석을 하였다. 해석 결과 투수계수가 커짐에 따라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5. 본 연구는 특정 지역에 대한 지반조건 및 방파제의 경우를 해석 한 결과이므로, 지반조건 및 현장 여건에 맞는 적절한 치환재료를 산정하는 연구와 방파제의 종류에 따른 안정성에 미치는 변수들에 대한 연구도 계속 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