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보통신윤리의식 향상을 위한 TPB기반 토의학습 설계 및 적용

        박영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83

        정보화 사회가 발달되어 감에 따라 정보 역기능 현상이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를 일으키면서 정보통신윤리 교육이 강화되고 있으나 현행 학교 정보통신윤리교육은 수업 방식에 대한 연구가 부진하여, 이론적이거나 수동적인 교육에 그치고 있는 경우가 많아 학습자 중심의 자발적, 적극적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계획된 행동이론(TPB)에 기반하여 정보통신윤리 의식은 물론 행동실천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정보통신윤리 토의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정보통신윤리의 상위지표인 절제, 존중, 책임, 참여를 기준으로 개정 7차 교육과정과 ICT 교육 운영지침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정보통신 윤리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선정하였다. 둘째,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도출한 기본 교수‧학습전략을 습관화와 내면화 과정으로 정립하고 정보통신윤리 수업 모형의 구체적인 교수‧학습전략과 활동을 정하여 토의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셋째, 설계된 수업 모형을 검토하고 수정·보완하여 토의수업 모형의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 모형에 따라 수업을 설계하고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전문계 고등학생의 구체적 실습을 통한 정보통신 개념학습의 효과

        양지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교의 정보통신 학습에서 구체적 실습을 통한 정보통신 개념학습의 효과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습 성취도의 향상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네트워크 실습 장비를 이용한 실습 실행 후 정보통신의 개념 설명 수업을 실시한 실헙집단의 학업성취도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정보통신 학습에서 구체적 실습을 통한 개념 설명 학습이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하며, 기존 정보통신 교과의 교수 방법의 어려움을 해소하는데 다소나마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 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cept learning through specific practices on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verified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As the subject of study, two classes in grade 3 of the "S" Technical High School located at Geoyeo-dong, Seoul were divided into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s to the units of the subje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verview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verview, Construction of LAN and practice, and Internet communication), the Treatment group was given actual practice using practice equipment and took a class on the abstract concept of communication. The Control group took a existing lecturing class in the computer room. And an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was performed for the two group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Treatment group who was given actual practice using practice equipment and took a class on the abstract concept of communication and the Control group. This result suggests that to utilize specific practic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ducation has a possibility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it may help teacher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get rid of difficulties in teaching.

      • 無線通信을 이용한 水 처리 시스템 廣域化에 대한 硏究

        黃鍾鐵 영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735

        현재 수 처리 시스템은 단위 사업장 별로 또는 독립적으로 운영되어 있어서 단위 지역 간 필요한 정보를 연계하거나 시스템 운영이 효율적이지 못하다. 또한 전문인력의 부제로 시스템의 빈번한 고장, 지역 간 운영자의 격차로 인해 양질의 수자원을 확보 활 수 없다. 결국, 주 라인은 유선 망으로 해야 하지만 수 처리 시스템 특성상 안전성이 최우선 과제이다. 그러므로 예비 망으로 무선 전송장치와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광역화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첫째, 시설의 통합 운영에 따른 인력 및 비용절감 시설의 중복 투자를 막을 수 있으며, 인건비, 유지 관리비 면에서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둘째, 전문 인력 투입에 따른 효율적인 운영/관리 단위사업장별로 운영되던 중앙운영실이 하나로 통합됨으로써 보다 전문화된 인력을 투입, 효율적인 설비의 운영을 기할 수 있으며 체계적인 정비체제를 도입하여 설비의 수명을 연장 할 수 있다. 셋째, 실시간 수 처리 및 수질 데이터를 DB화하고, DB 데이터의 분석을 통하여 처리현황 및 시설현황을 파악/분석 할 수 있다. 현장 별로 분산 화된 수질 데이터의 REPORT를 통합하고, 정형화된 형태로 생성하고, 관리 할 수 있으며 이를 DB화하여 이력 (Historical) 데이터 관리를 할 수 있다. 넷째, 국가의 전체 수자원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볼 수 있으므로 국민에게 홍보의 효과와 수자원 정책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다. 다섯째, 현재 각 단위 사업장에서 유인 운전되고 있는 것을 무인으로 운전하고, 현장의 운전 데이터 및 처리 데이터를 중앙의 통합 관리실에서 감시/제어할 수 있다. The current water treatment systems are being operated in an independent fashion, mostly by every single unit. That is why sharing necessary information with the unit of every area and the operation of the systems fail to be effective. High-quality water resources cannot be secured on account of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the frequent defaults of the systems, and a wide gap between regional operation. After all, the main lines are connected by wired networks, but security is of paramount importance in terms of the features of the water treatment systems. Therefore the widening of the systems with the aid of radio transmission devices and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based on preliminary networks can generate the following effects. First, such a widening can prevent overlapped investments in facilities to reduce manpower and expenses on the basis of the integrated operation of facilities. Second, the unified integration of central operation offices which used to be operated by unit makes it possible to engage in effective operation and management caused by the input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to prolong the life span of equipment. Third, real-time water treatment and water quality data can be changed into DB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reatment and facilities can be understood and analysed through the analysis of DB data. Reports on water-quality data distributed by field can be integrated, generated in a fixed form and managed, whose data enable us to manage historical data. Fourth, publicity can be made for the nation and water-resource policies should be made efficient since data on the Korean national water resources at large can be seen on a real-time basis. Fifth, the currently manned operation of the system by unit can be converted into manned operation and the operational data and treatment data of the field can be monitored and controled at central integrated control offices.

      • IPTV에서 증권정보 서비스를 위한 DMC 플랫폼과 네트워크 연구

        하성용 호서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50735

        IPTV is pulling down data, a voice, a boundary between visual industry by growth media to let you accelerate information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merge communication division broadcast. Specially, the financial business or a security world to make around real-time transactions admit possibility successful of IPTV to attraction of customer and advertisement means, but are feeling necessity of common infrastructure in the situations that cannot look up a solution considering opaque marketability etc. Therefore, you shall provide specialization information, and you establish DMC (Data Media Center) for service offers of specialization information in security worlds as you develop specialization IPTV to financial business nihility, and you shall ensure the base that can enlarge business field through various information communication media. You implement Interactive TV-based Web, and you shall apply solution leading a market at IPTV for this, and confirmation of real-time information and inner contents utilization for an application are necessary, and external contents cooperation regarding CP (Content Provider) and connected animation information, research information, educational information etc. is necessary. Also, you provide the flexible service system that will do advancement while you discriminate company or securities information service for a VIP customer and a commodity for premium class securities information offers discriminated with general older brother in entrance arbitrary the IPTV business subject, and you are policy, and necessary, and you consider investment cost regarding IPTV network and service offer system, and establishing by steps, and an offer-type order shall serve in platform leases, and there is necessity. This paper studies securities information DMC platform in IPTV networks, and you study a system skeptic a portal Application, VOD Application System, Live broadcast Application System, Contents Management System, Total Management System, Service Management System, Digital Rights Management, image, Gateway in DMC platforms. And you establish securities information DMC platform, server, Storage, DBMS, Set Top Box, information security system, a network, and you analyze IPTV network and securities information DMC platform, and you analyze network configuration of securities computer network and IPTV securities information network and performance analysis, service and an expected effect in IPTV networks, and a comparative analysis does internet broadcast, Cable TV, IPTV. Also, discriminate of DMC platform analysis contents, S/W, H/W standardization analysis and DMC platform service regarding analysis study. DMC develops to the information media center of finance and a security world, and will take charge of hub role of securities information distribution in IPTV networks through securities information DMC platform study, and is established by construction and solution to be leading through three Screen Play at the same time to securities information DMC platforms in IPTV networks while leading information service standardization between mass media and security worlds, and lead the IT-Convergence times for securities information offer is important, as a result, will become study. You provide premium securities information, and you strengthen profit structure, and you will be contributed to whether or not there is offer with file exchange and transmission media and network standardization in a network to Ubiquitous Informatization through line information communication media as these results B2B, B2C. IPTV는 통신과 방송을 융합하는 정보통신 환경을 가속화시키는 성장매체로 데이터, 음성, 영상 산업 간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 특히 실시간 거래를 중심으로 하는 금융업이나 증권업계에서는 고객유치와 광고수단으로써 IPTV의 성공 가능성을 인정하나 불투명한 시장성 등을 고려하여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공동인프라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증권업계에서는 금융업무에 특화된 IPTV를 개발하여 특화된 정보를 제공해야하며, 특화된 정보의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DMC(Data Media Center)를 구축하고, 다양한 정보통신매체를 통한 사업영역을 확대해 갈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IPTV에서 웹 기반의 Interactive TV를 구현하여 시장 선도 솔루션을 적용하여야하고, 실시간 정보의 확인과 응용을 위한 내부 콘텐츠 활용이 필요하며, CP(Content Provider)와 연계된 동영상정보, 리서치정보, 교육정보 등에 대한 외부의 콘텐츠 제휴가 필요하다. 또한, IPTV 사업 주체자의 입장에서도 일반형과 차별화된 프리미엄급 증권정보 제공을 위하여 기업이나 VIP고객을 위한 증권정보 서비스와 상품 차별화 정책이 필요하고, IPTV 네트워크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투자비용을 감안하여 단계별로 구축하면서 고도화를 해가는 유연한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여, 플랫폼 임대에서 맞춤형 제공 서비스를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DMC 플랫폼에서 포탈 Application, VOD Application System, Live 방송 Application System, Contents Management System, Total Management System, Service Management System, Digital Rights Management, 영상회의 시스템, Gateway 등을 기반으로 하는 IPTV에서 증권정보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와 DMC 플랫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IPTV 네트워크에서 증권정보 DMC 플랫폼, 서버, Storage, DBMS, Set Top Box, 정보보안 시스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IPTV 네트워크와 증권정보 DMC 플랫폼을 분석하여 증권전산 네트워크와 IPTV 증권정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구성과 성능 분석, 서비스와 기대효과 분석을 하며, 인터넷 방송, Cable TV, IPTV를 비교 분석한다. 또한 DMC 플랫폼 분석콘텐츠, S/W, H/W 표준화 분석과 DMC 플랫폼 서비스의 차별화 분석을 수행한다. IPTV에서 네트워크와 DMC 플랫폼 연구를 통하여 금융과 증권업계의 정보미디어센터로 발전하여 IPTV 네트워크에서 증권정보유통의 허브 역할을 담당할 것이며, 방송매체와 증권업계 간의 정보서비스 표준화를 선도하면서, 구축과 동시에 3 Screen Play를 통해 증권정보 DMC 플랫폼으로 선도적 솔루션으로 구축되어, 증권정보 제공을 위한 IT-Convergence 시대를 선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B2B, B2C로서 프리미엄 증권정보를 제공하여, 수익 구조를 강화하고, 네트워크에서도 파일교환과 전송매체 및 네트워크 표준화를 제공하여 유무선 정보통신 매체를 통한 유비쿼터스 정보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 지리정보시스템(GIS)의 품질평가 기준 및 타당성 검증

        조성재 호서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50719

        전세계적 규모의 지리정보시스템을 총칭하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는 공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분석, 출력할 수 있는 컴퓨터 응용 시스템으로서 GIS 시장은 일반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장비와 실제 이를 활용한 서비스를 포함한다. 최근의 GIS 개념은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정보처리 플랫폼과 환경에서 운용 가능한 기술로 진화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재난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위해 구축된 구·군별 재난 관제 시스템을 지자체에서 통합하고 다시 이를 시·도 별로 통합하여 궁극적으로 통합 재난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사업이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뿐만이 아니라 국내외를 막론하고 국가기반의 대규모 시스템에는 대부분 GIS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공간정보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GIS의 시장 현황 및 관련기술을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GIS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소프트웨어 품질평가를 위해 사용되는 국제표준 ISO/IEC 14598과 ISO/IEC 9126을 참조하여 일반적 요구사항을 포함한 주특성(6가지)의 평가항목을 도출하였으며, 타당성 검증을 위해 GIS 소프트웨어를 선정하여 본 논문에서 개발한 평가항목을 적용하여 각 품질 특성별로 결함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성능시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자원 효율성과 시간 효율성에 대해서 시험 평가하였다.

      • 로봇을 이용한 알고리즘 교육이 정보과학영재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권이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알고리즘 학습에서 로봇을 이용한 수업이 정보과학영재학생들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알고리즘 학습에서 로봇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G, D교육청 정보과학영재교육원 소속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알고리즘 단원에 대해 실험집단은 로봇을 이용한 수업을, 통제집단은 컴퓨터실에서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실시한 후에 문제해결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로봇을 이용한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문제해결력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알고리즘 학습에서 로봇을 이용한 수업이 정보과학영재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사물에 대한 호기심과 학습의욕 고취에 어느 정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좋은 교수·학습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하며, 기존 알고리즘 교수 방법의 어려움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lgorithm learning using robots aff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Algorithm learning using robo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juniors from two classes for Gifted Students in Information Science in Seoul. The two classes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instruction about basics of Algorithm using robots and the control group took typical lessons in the computer lab. After these two groups received different types of educati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was teste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exposed to the robot wa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in regards to academic achievement.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application of the robot to Algorithm learning could be efficient in raising the a motive and desire of students. This could make some significant contributions in handling potential disinterest of learners since it is one of the typical problems concerning the Gifted Students in Information Science,

      • Mobile WiFi환경에서 NSCT 기반의 고속 핸드오버 방안

        신명식 호서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50703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 (4G)는 새로운 무선 접속 기술의 개발과 함께 많은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다. 그 중에서 특히 단말의 끊김 없는 이동성을 제공해 주기 위한 핸드오버 기술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는 새로운 무선 접속 기술과 함께 기존의 무선랜이나 이동통신망 등과 같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이동성 지원을 위하여 Mobile IPv6를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네트워크에서 끊김없는 이동성을 제공해 주기 위해서는 현재까지 연구된 핸드오버 기능 및 구조에 대한 연구와 함께 보다 다양해진 네트워크 환경과 QoS 등을 고려한 종합적인 핸드오버 기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끊김 없는 핸드오버를 제공해 주기 위하여 필요한 기능들을 도출하고, 이들 간의 유기적인 연관관계를 정의하여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과 사용자의 우선순위, 어플리케이션의 QoS 요구 조건 등을 고려한 종합적인 핸드오버 기능 구조를 제안하였다. 연구에서 제안하는 핸드오버 구조의 가장 큰 특징은 핸드오버를 유발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며 이들 간의 수평적인 비교가 아닌 다단계 비교를 수행하여 단말의 QoS 요구 사항을 보장하고 네트워크의 혼잡도(congestion) 및 부하 조절 (load balancing)을 위한 기능을 핸드오버 기능에 추가하여 효율적인 네트워크의 자원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제안 방식에서는 이미 핸드오버 과정을 완료한 단말로 하여금 핸드오버 과정 중 습득했던 주변의 채널 정보를 새로 결합된 BS(Base Station)이 핸드오버 이전에 결합했던 BS에게 중계하고, 이 정보를 수신한 해당 BS는 인접한 영역에서 사용하는 채널의 정보를 고려하여 NSCT(Neighbor Scan Channel Table)를 작성한다. 이때 해당 BS는 수신한 정보의 채널이 두 개 이상인 경우에는 둘 이상의 BS가 서비스하는 영역으로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한 것으로 간주하여 NSCT 항목을 생성한다. 또한 이 정보를 자신의 서비스 영역에 존재하는 단말에게 수시로 알린다. 해당 BS에 접속된 나머지 단말들이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는 해당 유효 채널만을 탐색함으로써 핸드오버 시 채널 검색시간을 단축한다. 그리고 SubNet을 관리하는 AR간의 경로 설정과정을 추가하여 여러 개의 SubNet으로 구성된 망에서도 제안방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모델은 다수의 BS를 관리하는 AR과 각 AR들을 관리하는 MAP로 구성되며, BS, AR 그리고 MAP간의 정보전달과정을 통해 초기화 시킨 후, 단말이 핸드오버 이전에 접속했던 AP에게 자신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채널정보를 AR에게 전달하고 해당 AR은 IP in IP방식을 사용하여 목적지 SubNet을 관리하는 AR에게 전송하고, 해당 AR은 최종 목적지에 해당하는 BS에게 중계해서 NSCT를 작성한 후, 자신의 서비스영역에 존재하는 단말들에게 이 정보를 알려 핸드오버 시 빠른 채널탐색과정을 수행한다. 모의실험에서 채널탐색과정을 제외한 MIP과정을 신속히 처리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안방식을 적용하여 모의실험을 수행한 결과, 채널탐색에서 소비하는 지연시간을 제외한 핸드오버 지연시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기 때문에 제안하는 방식을 적용한다면 성능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The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4G) is a field in which various studies are necessary, such as the development of new radio access technology. Among these, handover technology is the most important, giving seamless mobility to the terminal. The wireless network in next generation is expected to use new wireless access technology and also use existing WiFi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supporting mobility in network class, IPv6 is the expected network application. To provide seamless mobility in this network, current studies on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handover and overall studies based on diversification in network environment and QoS should be considered altogether. In this paper, necessary functions to provide seamless handover in new wireless network are deduced, defining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network environment, users’ priority, demands for QoS, etc. and offer total handover functional structure. In this proposed research, the handover structure’s largest feature is multilevel comparison between diverse factors inducing handover. With this, it guarantees terminal’s QoS requirements; it is designed to use network resources efficiently by adding technology for balancing network congestion and load. In proposed system, terminal which acquired information of surrounding channels by completed handover process relay to the newly combined BS(Base Station), then the BS which received this information consider applicable channel information in adjoined area and frame NSCT(Neighbor Scan Channel Table). At this moment, corresponding BS generates NSCT item; when channel information are obtained over two, the execution of terminal handover performance is regarded to more than two service domains of BS. Also, the BS constantly notify this information to terminals existing in service boundary. When other terminals connected in the corresponding BS perform handover, it reduces searching time by only searching available channels during handover. And apply this proposal to nets composed of diverse SubNet, by appending relation route establishment of SubNet management ARs. This model is composed of multiple BS managing AR and MAP managing each AR. After initialization between BS,AR and MAP transmission, the terminal sends acquired channel information while performing its handover to the AR, then the applicable AR uses IP in IP method transmitting to AR managing SubNet. Corresponding AR frames NSCT by relaying to the applicable BS, and notifies this information to terminals existing in its service field to perform rapid channel searching process during handover. In trial experiment, this system resulted in advanced capacity with the MIP process excluding channel search process to conduct promptly. Since delay time is reduced by effectively excluding channel search delay, prominent advance in capacity can be expected when suggested system is used.

      •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ICT 활용 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김성종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는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이 초등학생의 ICT 활용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기존의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은 학습동기나 타 교과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과정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다. 이러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연구의 문제점은 균형있는 ICT 활용 능력을 분석·검증하는데 부족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프로그램이 실제 ICT 활용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실제 문제 상황에 대처할 수 있고, 균형있는 ICT 활용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기존의 학습방법에서 탈피하여 구성주의 교수-학습 원리에 기반을 둔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개발 및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인천광역시 서구 소재 P 초등학교 6학년 남·여학생 139명을 대상으로 2개 학급씩 2개집단으로 나누어 약 6주간 12차시에 걸쳐 실험이 이루어졌다. 실험 후 ICT 활용 능력 사후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방법에 따른 ICT 활용 능력 점수를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의 실시여부에 따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ICT 활용 능력에서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ICT 활용 능력의 세부 능력에 있어서 정보 수집 능력을 제외한 정보 가공 능력, 정보 교류 능력, 정보 윤리 능력 신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수집 능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ICT 활용 능력 신장에 있어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이 일반적인 웹 기반 수업방법에 비해 효과적이었으며 정보 수집 능력을 제외한 정보 가공 능력, 정보 교류 능력, 정보 윤리 능력 신장에 효과적이었다. 즉,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이 일반적인 웹 기반 학습방법에 비해 균형있는 ICT 활용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점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s of a Web-Based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upon the elementary students' ICT skills. Th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upon the effects of students' ICT skills o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of other subjects. Therefore, the study has been designed to find out how the Web-Based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influences on the elementary student's balanced ICT skills as well as how it prepares students for coping with the problems in real situations. To solve the above mentioned-problem, the study set a goal of developing, adopting and testing of effect of a model of the Web-Based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The experiment of proving the hypotheses was made with 139 of 6th graders who were divided into each two groups of two classes over 12 weeks. 12 classes were administered to the each experimental groups and comparative groups. After the experiment, the effectiveness of the Web-Based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has been tested using t-test of the scores of the students' ICT skills of each groups. The below are results of the experiment of the study. Firs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level of p<.001,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and comparative groups in terms of the Web-Based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Second,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and comparative groups in terms of the specific abilities of the students' ICT skills such as the information-processing, information-exchange and information-ethics except the information collection. In conclusion, the Web-Based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is more effective than the general web-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terms of the information-processing, information-exchange and information-ethics except the information collection. The study suggests that the Web-Based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is more effective than the general web-based teaching method in terms of strengthening the balanced students' ICT skills.

      • 생체신호 검출을 통한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이규수 東國大學校 産業技術環境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일반적인 운동센터에서 사용자들이 쉽게 이용하면서, 자신의 건강을 관리 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생체신호들을 검출하여 RF 송수신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므로 종합적인 건강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생체신호의 계측과 진단, Data들의 무선 송수신을 접목시켜 개발된 시스템은 객체지향 개념에 의거하여 설계, 구현되었다. 기존에는 개인적으로 건강관리를 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불편함이나 어려움을 느꼈으나,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들이 쉽게 이해 할 수 있게 하여 운동과 더불어 자신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This paper describes new health care system in general health club. We developed synthetic health care system that detects physiological signal and uses RF transmitter-receiver in store database. Developed system which measures and diagnoses physiological signal and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is designed and realized on the object-oriented theory. The past, There were various inconvenience and difficulty in personal health care. But GUI(Graphic User Interface) makes users use easily, so that they can maintain their health.

      • 모의실험이 과학 오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건복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학습에 있어서 지식의 구조가 강조되면서부터 오개념에 대한 형성 요인과 해소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부터 ICT 활용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두 가지 연구가 진행되면서 교사들은 컴퓨터를 활용한 모의실험이 오개념을 형성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우려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모의실험을 활용하여 과학 단원 중 전기 부분을 배우는 동안 오개념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첫 번째 과정으로 과학 교사들에게 오개념을 유발하는 모의실험의 내용과 유형을 조사하고,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도, 태도, 성적을 조사하여 학생들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이 지적한 모의실험을 이용하여 실험 집단의 수업을 진행한 후, 수업 전후의 학생들의 전기에 대한 오개념의 변화를 조사하고, 전통적인 수업을 진행한 학생들과 비교 하였다. 이때 학습의 효과가 개념으로 남아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업에 의한 오개념 변화에 대한 조사를 수업 직후에 한번 조사하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다시 한 번 조사하였다. 과학적 흥미도, 태도, 성적과 오개념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 의하면 과학 성적이 우수할수록 오개념이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학생들이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학습할수록 모의실험 학습을 통하여 오개념이 더 많이 해소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학생들이 과학에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지도하는 것이 오개념 해소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다. 모의실험에 의한 수업 전후의 오개념 정도를 비교한 결과에 의하면 모의실험을 통하여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오개념은 수업 직후에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한 달 정도의 시간만 지나더라도 그 효과는 사라진다. 그러므로 개념 변화를 지속시킬 수 있는 모의실험 자료와 수업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전통적 수업 방법보다는 모의실험을 통하여 학습하는 것이 오개념 해소에 더 효과적이다. 그러나 두 가지 수업 방법 모두 오개념 해소는 일시적인 현상이므로 이를 계속 유지시키기 위한 학습 방법과 자료들이 필요하다. 또한 모의실험을 통하여 오개념이 유발될 수 있다는 것에 대하여 교사들은 크게 우려하지 않아도 되지만, 모의실험 자료를 개발할 때에는 이런 면에서 주의해야 한다. From the structure of the knowledge that is emphasized, a research about the formulation cause and decrement method in misconception is currently being carried out.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research about ICT application educations is progressing. As these two researches are processing, science teachers are thinking that a simulation utilizing computer can clarify misconceptions. So, I am going to present my research about these worries. In this research, I will examine the changes of the misconceptions which took place while the 3rd graders in middle school were learning electricity in science through simulations. For the first step of this research, I asked science teachers contents and types of simulations which cause misconceptions. And I checked the traits of the students investigating their interest, attitude, and records toward science.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ken using the simulations that teachers had pointed out. I researched the changes of the misconception both before and after group, and compared the experimental group to the controlled group. To confirm the effect of learning remaining as a concept, the changes of misconceptions by classes were examined both right after the class and after a given perio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between scientific interests, attitudes, grades and the misconceptions, the misconceptions are less when the students received higher science grades. And the more active attitude the students have, the less misconceptions there are.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part in the correction of the misconceptions to teach students to have an active attitude in class. According to the results which compared the degree of misconceptions before and after class, the misconception which students have decreased right after the class. However, the effect is gone only one month later.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the contents and the teaching method of the simulation which can maintain the concept changing. It is more effective to learn through simulations than traditional methods for correcting the misconceptions. Hence, both methods have limitations; The cancellation of the misconception is a temporary phenomenon, so it is needed to develop the contents and the teaching method of the simulation which can keep the concept changing. Also, science teachers do not need to worry about the occurrence of the misconception, but they must pay attention to this aspect while they are developing the contents of the simu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