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사의 특성이 초등학생의 육상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춘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831

        This study examined which effects there were between teachers' characteristic variables(gender, educational career, yes or no of physical education major, yes or no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terest in the athletics instruction, and skill in athletics)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in boy and girl students, in the athletics instruction of elementary school. Thus, its aim was to offer basic data in designing and operating the athletics instruction of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arried out targeting 120 teachers in charge of physical education and 1200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ith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data of this study was analyzed targeting the collected 108 teachers (men:38, women:70) and 1055 students(boys:529, girls:526) whom they were guiding. The collected data was used SPSS statistical program for Windows. In order to grasp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research subject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re was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athletics instruction between boy and girl students according to teachers' variables, Two-way ANOVA was carried out. As a result of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with athletics instruction between boy and girl students according to teachers' gender, the boy students had the high satisfaction with athletics instruction of both male and female teachers. The satisfaction with male teachers' athletics instruction was the highest. The girl students had the high satisfaction at male teachers, but had the low satisfaction at female teachers' athletics instruction. Overall, both boy and girl students had the high satisfaction with athletics instruction given being the male teacher than the female teacher. And, regardless of teachers' gender, all the boy students were indicated to have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than the girl student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according to teachers' educational career, the teachers' educational career hadn't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However,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s' educational career and the students' gender had significant influence. In other words, when teachers' educational career was more than 20 years, the boy students' satisfaction with instruction was the highest. And, when teachers' educational career was 6~10 years, the girl students' satisfaction with instruction was the highest. Also, regardless of teachers' educational career, the boy students were indicated to have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instruction than the girl student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eachers' physical education major, the boy students had the high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in both teachers with physical-education major and teachers without physical-education major. However, the girl students had the low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toward teachers without physical-education major. Overall, both boy and girl students had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in a case with a major than a case without a major in physical education by teachers. And, in both teachers' major and non-major, the boy students were indicated to hav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than the girl student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e boy students had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in both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homeroom teachers. However, the girl students had the low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toward homeroom teachers. Overall, both boy and girl students had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in a cas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an homeroom teachers. And, regardles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homeroom teachers, all the boy students were indicated to hav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than the girl students.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according to teachers' interest in athletics activity, the boy students had a little difference depending on teachers' high, moderate, and low interest. However, all had the high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However, the girl students had the low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when teachers' interest level in athletics was moderate and low. Overall, both boy and girl students had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in teachers' higher interest in athletics instruction. And, regardless of teachers' interest, all the boy students were indicated to have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than the girl students.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according to teachers' skill level in athletics instruction, the boy students had a little difference depending on teachers' high, moderate, and low skill level in athletics instruction. However, all had the high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However, the girl students had the low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when teachers' skill was low. Overall, both boy and girl students had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in teachers' more excellent skill in athletics instruction. And, regardless of teachers' skill, all the boy students were indicated to have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than the girl students. Given seeing the above conclusions,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athletics instruction was indicated to be high in male teachers, in teachers with the teaching profession of over 20 years, in teachers with physical education major, i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teachers with high interest in athletics instruction, and in teachers with excellent skill in athletics . This was considered to indicate that school teachers need to strive to promote diverse teaching skills and practical-skill guidance ability, and to have interest in guiding the athletics instruction. 이 연구는 초등학교 육상수업에서 교사의 특성 변인(성별, 교육경력, 체육전공 여부, 체육전담교사 여부, 육상수업의 관심도, 육상기능)과 남·여 학생의 육상수업만족도 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봄으로써 초등학교 육상수업을 설계, 운영하는데 기초 자료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주광역시 관내 초등학교 5,6학년 체육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120명 학생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교사 108명(남:38, 여:70)과 이 들이 지도하고 있는 학생 1055명(남:529명, 여526명)을 대상으로 이 연구논문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s용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교사의 변인에 따라 남·여 학생들의 육상수업 만족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wo-way ANOVA(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사의 성별에 따른 남·여 학생의 육상수업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은 남·여교사 모두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며 남교사에 대한 육상수업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여학생은 남교사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으나 여교사에 대한 육상수업 만족도는 낮았다. 전체적으로 남·여학생 모두 여교사보다 남교사일 때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며, 교사의 모든 성별요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교육경력에 따른 육상수업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교육경력이 학생의 육상수업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교사 교육경력과 학생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교사의 교육경력이 20년 이상일 때 남학생의 수업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교사의 교육경력이 6~10년일 때 여학생의 수업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남학생이 교사의 교육경력 모든 변인에서 여학생보다 수업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체육전공에 여부에 따른 육상수업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은 체육전공교사, 비전공교사 모두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나, 여학생은 비전공교사에 대한 육상수업 만족도가 낮았다. 전체적으로 남·여학생 모두 교사가 체육교육을 전공하지 않은 경우보다 전공한 경우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며, 교사의 전공, 비전공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체육전담교사 여부에 따른 육상수업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은 체육전담교사나 비전담교사 모두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나 여학생은 비전담교사에 대한 육상수업 만족도는 낮았다. 전체적으로 남·여학생 모두 비전담교사보다 체육전담교사의 경우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며, 체육전담교사, 비전담교사 변인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의 육상 활동의 관심도에 따른 육상수업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은 교사의 육상관심도의 상, 중, 하 수준 모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나, 여학생은 교사의 육상관심도가 중, 하 수준 일 때 육상수업 만족도가 낮았다. 전체적으로 남·여학생 모두 교사가 육상수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수록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며, 교사의 육상 활동의 관심도에 따른 모든 변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사의 육상수업의 기능 정도에 따른 육상수업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은 교사의 육상기능이 상, 중, 하 수준 모두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나, 여학생은 교사의 기능이 하 수준 일 때 육상수업 만족도가 낮았다. 전체적으로 남·여학생 모두 교사가 육상수업에 대한 기능이 우수할수록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으며, 교사의 육상 기능 정도의 모든 변인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론을 보면 교사의 특성 변인이 남교사일 때, 교직경력 20년 이상의 교사일 때, 체육교육 전공 교사일 때, 체육전담교사일 때, 육상수업에 관심도가 높은 교사일 때, 육상기능이 우수한 교사일 때 학생의 육상수업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선 교사들이 다양한 수업기술 향상과 실기 지도능력함양에 노력하여야 하며, 육상수업과 기능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고 사료된다.

      • 초등체육지도교사 유형에 따른 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정서 및 수업 만족도 관계

        고전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5083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체육지도교사가 체육교육에 대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지닌 교사와 전문적 지식이 부족한 교사가 학생들을 지도했을 때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 정서, 수업 만족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밝혀 초등체육교육이 바람직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체육을 담당하는 교사와 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교사 유형을 체육전공학급담임, 체육비전공학급담임, 체육전공교과전담, 체육비전공교과전담으로 분류하였으며, 총 71명이 포함되었다. 학생들은 연구에 참여한 교사에게 6개월 간 체육수업을 받는 학생을 대상으로 총 987명의 자료를 전산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초등체육지도교사 유형과 신체적 자기개념 차이 첫째, 교사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개념은 체육전공학급담임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집단이 가장 높았고, 체육비전공교과전담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집단이 가장 낮았다. 둘째, 학생의 성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2. 초등체육지도교사 유형과 정서 차이 첫째, 교사 유형에 따른 긍정적 정서는 체육전공학급담임이 가장 높았으며, 부정적 정서는 체육전공교과전담, 체육비전공교과전담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이 체육비전공학급담임과 체육전공학급담임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보다 높았다. 둘째, 긍정적 정서는 남학생이 높고, 부정적 정서는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 유형과 성별 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는 부정적 정서에서 체육비전공교과전담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의 성별에 대한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3. 초등체육지도교사 유형과 수업 만족도 차이 첫째, 교사 유형에 따른 학생의 수업 만족도는 체육전공학급담임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이 가장 높았고, 체육비전공교과전담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이 가장 낮았다. 둘째, 수업 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으며, 성별 내에서 교사 유형에 따른 수업 만족도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체육전공학급담임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이 가장 높았다. 셋째, 교사 유형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는 체육비전공교과전담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성별에 대한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4. 초등체육지도교사 유형과 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정서, 수업 만족도 간의 관계 첫째, 초등체육지도교사 유형에 따른 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긍정적 정서, 부정적 정서, 수업 만족도 간의 관계는 체육전공학급담임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의 모형이 가장 잘 성립하였으며, 체육전공교과전담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의 모형은 성립되지 않았다. 둘째, 체육전공교과전담교사를 제외한 모든 교사유형에서 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은 긍정적 정서에 정적인 관계가 있고, 부정적 정서에는 부적인 관계가 있었다. 또한 체육전공학급담임, 체육비전공학급담임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 집단은 신체적 자기개념과 수업 만족도 간에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셋째, 모든 교사유형에서 부정적 정서는 긍정적 정서와 수업 만족도에 부적인 관계가 성립되었으며, 체육전공학급담임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의 모형에서 긍정적 정서는 수업 만족도에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 초등학교 교사들의 체육수업 운영에 따른 스트레스 분석

        강경애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83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체육교육의 현장에서 체육 수업 운영에 따른 스트레스를 체육교육과정요인, 체육수업요인, 환경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남녀별, 경력별, 학급수별, 체육교육 전공 유무별, 스포츠 동호회 참여 유무별) 스트레스의 정도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여 초등체육 수업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 남자 86명 여자 214명을 무선 표집 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송봉규(2001)의 “초등교사가 인식한 체육수업의 스트레스 요인 분석”과 우명식(1999)의 “체육교사의 수업지도 스트레스 요인 내용 분석”을 바탕으로 스트레스 요인을 체육교육 과정 영역, 체육수업 영역, 체육 환경 영역으로 분류하여 연구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다.자료분석은 SPSS Win 1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남녀별, 교직경력별, 학급수별, 체육교육 전공 유무별, 스포츠 동호회 참여 유무별에 따라 세 가지 영역의 스트레스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연구 세부 목표에 따라 독립 t검정(unpaired t-test) 및 일원변량 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고 집단간 차이가 있을 경우 Duncan의 다중검증법으로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에 의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 처리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수업 운영에 따른 성별 스트레스 차이를 알아본 결과 교육과정영역, 수업영역, 환경영역에서 모두 여교사가 체육수업을 운영함에 있어 남교사 보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수업 운영에 따른 교직경력별 스트레스를 알아본 결과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5년 미만의 교사들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신규 교사들이 체육교육과정 이해가 미흡하고 지역과 학교 실정에 맞는 체육교육과정을 재구성 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기 때문이다.셋째, 체육수업 운영에 따른 학급수별 스트레스를 알아본 결과 교육과정 영역에서 6학급 이하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6학급 이하 학교에서 아동 수의 감소로 복식수업을 운영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체육교육과정편성과 재구성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학급규모가 클수록 환경영역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좁은 운동장, 체육기구의 부족, 시설 불결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육수업 운영에 따른 체육전공교사와 비전공교사의 스트레스는 교육과정영역에서 비전공 교사들이 체육전공 교사들보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체육전공 교사들이 체육비전공교사들 보다 비교적 체육교육과정을 잘 이해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다섯째, 체육수업 운영에 따른 스포츠 동호회 참여교사와 스포츠 동호회 비참여교사의 스트레스를 비교해 본 결과 전체적으로 스포츠 동호회 비참여 교사가 스포츠 동호회 참여 교사 보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stress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to compare the levels of the stress among the factors, and utilize the findings to improve the quality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futur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gido. The survey sheets contained three categories-P.E. curriculum, P.E. lessons, and environment-which were based on "Analysis of the causes of elementary school P.E. teachers' stress"(Song Bong Gyou 2001) and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causes of P.E. teachers' stress"(Woo Myeong Sik 1999).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Win 10.0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level of the stress was analyzed by the teachers' sex, teaching career, number of classes, university major, club activities they are joining in the three categories comparing the means and the standard deviations. Unpaired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conducted on each category and Duncan's multi-verification method was used to post-test when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emale teachers were under a lot more stress than male teachers in all three categories-P.E. curriculum, P.E. lessons, and environment. Second, teachers who have less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ere under more stress than those who have been teaching longerwhen it comes to following the P.E. curriculum. The main cause is that teachers who have little teaching experience can't understand the P.E. curriculum well and tend to have difficulty restructuring aspects of the curriculum to cater to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ird, teachers who work at small schools were more stressed than those who work at bigger ones because they have to teach many different grades and more subjects making it hard to develop and customize the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those teachers who work at bigger schools experienced more stress in the environmental sector. Small playground, lack of sports facilities, and dirty sports equipment were found to be the main causes of the problem. Fourth, those who did not major in P.E. were under more stress than those who did, implying P.E. majors hav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and can therefore teach better. Fifth, those who don't join a sports club are under more stress than those who do. Considering the above findings, it is desirable for well-experienced male teachers who majored in physical education or those who have lots of interest in sports to teach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is would probably be hard to implement in reality but we should at least tr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somehow.

      • 초등학교 체육수업에 대한 특별편입교사의 인식 분석

        전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831

        이 연구는 교육부에서 시행한 『 교육발전 5개년 계획 』과 맞물린 여러 교육 정책들로 인해 목적형 양성체제를 갖고 있는 초등학교 교원양성정책에, 유래없던 새로운 개방형 체제로의 전환을 가져온 초등학교 특별편입교사들을 대상으로 체육수업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운영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분석하여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발전과 정상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교대와 H대에 편입학하여 졸업 후 임용고시를 통해 경기도 각 지역교육청에 임용된 초등학교 특별편입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연구 대상자들의 학교현장 재직특성으로 인해 이메일(E-Mail)을 이용한 온라인 설문(On-Line Survey) 방법으로 238개의 결과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사 배경변인에 따라 성별, 나이, 학교급, 교육경력, 전공, 전담여부, 체육전담 경험유무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변인요소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x2검정을 통하여 초등학교 체육수업(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운영)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이 연구자료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학교 체육수업 목표에 대한 인식 연구대상자들은 초등학교 체육수업 목표 중 다양한 신체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의 움직임 욕구를 실현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여자교사와 체육을 전공하지 않은 교사 및 체육전담을 경험한 교사에게서 응답이 높게 나왔다. 체육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체육 수업에서 가장 강조되어야 하는 목표는 체력 향상 및 운동기능 향상이라고 하였으며, 연구지역의 교육 강조점에 따라 아동의 체력 및 운동기능 향상을 강조하고 있음으로 나타났다. 특히나 높은 연령의 교사일수록 체육 교과를 통해 체력 향상 및 운동기능의 습득보다는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태도 및 교우 간 협응, 서로 어울려 지내는 친교성에 더욱 의미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수업 후 수업을 통해 가장 많은 변화를 꾀할 수 있는 영역으로 운동기능과 체력 및 심신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심동적 영역이라고 대다수가 응답하였으나, 체육전공자와 전담교사의 경우 심동적 영역보다는 사회적 태도 및 문화적 가치규범을 익히는 정의적 영역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게 나왔다. 둘째, 초등학교 체육수업 내용에 대한 인식 제7차 체육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내용의 난이도에 대해 대체로 보통 및 조금 어렵다고 응답하였으며, 체육과 교육과정 실제 학습 내용량은 조금 많다고 응답하였다. 대부분의 교사가 체육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내용을 이와 같이 인식하고 있는 바, 학교 현장에서 체육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한 교육과정 난이도 적합성 수준결정 및 내용량 결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과 교육과정의 필수내용과 선택내용의 지도상황은 필수내용과 선택내용을 적절하게 재구성하여 지도한다고 하였으며, 체육과 교육과정 필수내용 모두를 지도하기 힘든 이유로는 시설 및 기구의 부족과 다음으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들었으며, 체육과 교육과정 선택내용 선정 시 학생 여건(흥미,실기능력,준비도 등)을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는 지도능력과 관련된 교사의 내적인 부분보다는 학교지원의 부족함과 시설 구비의 인식부족으로 인한 교사의 외적인 부분에서 교육과정 운영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연구대상자들이 초등교직경력 4년 미만의 초임교사들로서 아동의 상황과 특성을 고려하여 체육 교육과정 내용을 선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체육수업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인식 체육과 교육과정 중 가장 지도하기 어려운 내용영역으로는 표현활동 영역을 들었으며, 이처럼 지도하기 어려운 영역은 지도하기 쉬운 영역으로 바꾸어 지도하거나 기능이 좋은 학생의 도움을 받아 지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체육수업 시간에 가장 편중하여 지도하는 활동으로는 게임활동 영역을 꼽았으며 편중하여 지도하는 원인으로는 아동의 흥미나 의견을 존중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체육수업 시 실기지도가 어려운 이유로는 체육과 교과특성상 신체를 많이 움직이고 기구를 이용하는 활동이 많아 수업지도 중 상존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성과 실기 지도를 위한 시설 용구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을 선택하고 적용하기 위해서 갖추어야할 선행능력으로는 교수학습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마련이라고 하였으며, 교수·학습 계획 및 내용의 재구성 시 가장 많이 고려하는 사항은 학생들의 흥미를 끌만한 다양한 과제 제시라고 응답하였다. 이는 체육과 수업을 계획하고 내용을 재구성함에 있어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업전략 수립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구비되어 있는 시설·용구에 대한 활용도를 우선시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초등학교 체육수업 평가에 대한 인식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생각하는 평가목표는 학생의 심동적, 인지적, 정의적 영역의 발전을 확인하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평가 기준의 설정이 곤란하여 체육수업 시 평가의 어려움을 느낀다고 응답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선행요건으로 다양한 평가도구의 개발 및 보급을 꼽았으며, 평소 체육수업 평가 과제(문항) 작성은 동학년 협의회 때 동료교사의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사항은 학습(평가)목표의 구현이라고 하였고, 기록이나 성취결과에 의한 평가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평가결과는 주로 성적에 반영하거나 생활기록부를 기술할 때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학교 체육수업 운영에 대한 인식 연구대상자들은 초등교사로 임용되기 전 교사양성기관에서 체육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운동영역의 활동내용을 보통 또는 대체로 교육 받았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실제 학교현장에서는 체육수업 운영에 대해 대체적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원인으로 수업준비의 번거로움과 실외수업의 부담 및 전문지식과 실기기능이 요구되는 교과이기에 수업운영이 어렵다고 하였다. 체육수업 운영 시 준비운동은 가볍게 하고 주운동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으며, 자발적으로 즐겁게 참여하는 태도향상에 가장 중점을 두어 지도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정상적인 체육수업운영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지도내용의 어려움과 실기능력의 부족을 꼽았으며, 교육경력이 짧을수록, 체육을 전공하지 않은 교사일수록 이와 같이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체육과 실기연수를 실시하여 체육수업 지도 시 느끼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부족한 학교 내 교재·교구와 시설의 미흡함을 지역사회와 연계한 체육 교육과정 운영으로 해소하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lementary specially enlisted teacher's cognition concerning physical education(P.E.) of the goals, the content,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e evaluation and the management conditions involved in teaching elementary P.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the on-line research questionaire submitted to 238 elementary specially enlisted teachers who work a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Kyonggi-do. The SPSS program was used, and collected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percentage and χ2-test by teacher's gender, age, school size, teaching experience, major, subject specialism or not, and the concerned teachers' opportunities for exclusive teaching of P.E.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 1. Cognition concerning the Goals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aching The subjects believed that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was to provide a variety of physical activities for students to unleash their needs for movement, and that the improvement of physical fitness and motor skills should be most accentuated. And they thought P.E. instruction could bring the greatest change to students in the psychomotor domain related to motor skills, physical fitness,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2. Cognition concerning the Content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s for the degree of difficulty of learning content in the 7th National P.E. curriculum, they found it to be on the average or a little difficult, and student workload was considered to be a little heavy. Regarding education about the essential and elective segments of the curriculum, essential and elective segments were combined and reorganized properly. Concerning the reason why it's not easy to teach all the essentials, a lack of facilities and equipment was cited as the most common reason, followed by possible safety accidents. Student conditions, including interest, practical skills and readiness, were most taken into account when they selected what to teach from elective segments. 3. Cognition concern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aching They found it most difficult to teach students in the area of 'expression activities' in the P.E. curriculum. In the case of handling such areas that were hard to teach, they replaced them with others that were easier to instruct, or provided instruction with the help of students with good motor skills. They gave the most weight to a game area in class, and as for the reason why they answered they valued children's interest or opinion. In regard to the reason why it's hard to offer practical guidance, safety accidents were likely to take place because many activities required lots of physical movement and the use of tools, and a shortage of facilities or equipment necessary for practical guidance was pointed out as the reason as well. In order to ensure the successful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s, specific strategies should be prepared to attain learning objectives. A supply of diverse intriguing tasks was most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they mapped out lesson plans. 4. Cognition concerning the Evaluation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aching In terms of evaluation in elementary P.E. instruction, the top priority should be to check into the psychomotor,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of students. The teachers found it difficult to evaluate as it's not easy to select evaluation criteria. To remedy the situation,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various evaluation tools were most emphasized, and they were helped by other teachers in charge of the same grade when they prepared evaluation tasks. They attached the most importance to the achievement of learning(evaluation) objectives at that time, and they often made an evaluation based on records or student achievement. The evaluation results were mostly reflected in students' school grades or used when they wrote about them on their personal school records. 5. Cognition concerning the Management Conditions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aching Before being appointed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st participants had thought they received education about physical education in general at teacher training institutes. In fact, however, they had difficulties in managing P.E. instruction, because it was onerous to make a preparation for lessons, because outdoor instruction put pressure on them and because physical education required specific expertise and practical skills. In class, they gave lots of time to the main exercise after light warming-up was conducted, and considered it most important to teach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 voluntarily and with pleasure. Tough teaching content and poor practical skills were pointed out as what deteriorated instructional management. To iron out the problems, it's required to provide practical training for them not to face any difficulties in class, and the P.E. curriculum should be applied in collaboration with local community as teaching aids and facilities weren't sufficient enough.

      • 플립러닝 초등체육수업 설계원리와 영역별 설계모델 개발

        권정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0831

        현장의 교사들은 미래 교육을 위한 시대적 요구를 충족하고 학습자 중심 활동 전개를 위한 시간 확보의 목적으로 플립러닝 체육수업에 대한 요구와 필요도가 높다. 하지만 플립러닝 체육수업을 어떻게 설계하고 운영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방법을 몰라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체육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플립러닝 체육수업 설계원리와 영역별 설계모델을 개발하여 초등교사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것에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플립러닝 체육수업 설계원리와 영역별 설계모델은 초등교사가 플립러닝 체육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할 때 따라야 할 준거와 영역별 핵심 설계 절차로 초등 체육수업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플립러닝 체육수업 설계원리와 영역별 설계모델은 문헌 연구를 통해 개발된 초기 플립러닝 체육수업 설계원리와 영역별 설계모델을 내적 타당화와 외적 타당화 과정을 거쳐 완성하였다. 내적 타당화는 전문가 타당성 검토와 사용성 평가로 진행하였다. 전문가 타당성 검토는 설계원리와 영역별 설계모델이 이론적이고 논리적인 측면에서 타당한지를 확인할 목적으로 스포츠교육학 전공의 박사학위를 소지한 전문가들과 3차례에 걸쳐 설계원리와 영역별 설계모델의 세부 내용을 개선하였다. 사용성 평가는 플립러닝 체육수업을 실행한 경험이 있거나 향후 실행할 예정인 초등교사 4명을 대상으로 설계원리와 영역별 설계모델이 수업 설계 과정에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적 타당화는 현장평가를 통해 설계원리와 영역별 설계모델의 영향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여 최종 산출물로 확정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다양한 연령과 경력을 가진 경기도 K초등학교에 근무하는 학교 안(內) 전문적 학습공동체 교사 7명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47명을 대상으로 설계원리와 설계모델을 적용해 총 21차시의 플립러닝 체육수업을 설계하여 실행하였다. 7주 동안 플립러닝 체육수업을 실행한 후 교수자와 학습자의 변화와 반응을 살펴 그 효과성을 검토해 최종 플립러닝 체육수업 설계원리와 영역별 설계모델을 완성하였다. 최종 개발된 플립러닝 체육수업 구성요소로는 학습자 분석 및 지원, 온·오프라인 상호작용, 학습자 중심 신체활동, 협업, 성장중심평가를 도출할 수 있었는데 이는 초등학교 체육교육 현장에서 플립러닝 체육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변인을 의미한다. 설계원리는 분석의 원리, 교육환경 구축의 원리, 연계성의 원리, 소통의 원리, 개별성의 원리, 자발성의 원리, 팀 기반 학습의 원리, 협력적 교수의 원리, 성찰의 원리, 과정 중심 다면평가의 원리 총 10개와 이에 따른 세부 지침 25개가 도출되었다. 설계원리와 세부 지침은 플립러닝 체육수업을 설계할 때 따라야 할 준거를 행위 동사로 진술하여 체육과 영역 구분 없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영역별 설계모델은 교수자가 어떻게 플립러닝 체육수업을 설계해야 할지 구체적인 절차를 안내한 것이다. 이는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상향식 접근의 선순환적 구조로 학습자의 요구와 상황을 고려해 플립러닝 체육수업을 설계한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영역별 설계모델은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단계로 구성되어있다. 분석, 설계, 개발, 평가 단계는 영역과 무관하게 공통으로 거쳐야 하는 절차이고 실행단계는 영역별로 어떤 내용을 포함해야 할지 명시하여 영역 특색에 맞는 수업이 구현되도록 개발했다. 분석, 설계, 개발은 수업 전 단계에서, 실행은 수업 과정에서, 평가는 수업 후에 진행되는데 이는 플립러닝 체육수업 설계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환류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분석단계에서는 학습자, 교육과정, 교육환경을 분석하고 설계단계에서는 협력적 교수설계, 플립러닝 기반 신체활동 설계, 신체활동 지원 전략 설계를 해야 하며 개발 단계에서는 교수학습 자료 및 성장중심평가를 개발해야 한다. 실행단계에서는 영역 무관하게 플립러닝 체육수업 전반에서 공통으로 지도해야 할 설계 요소와 영역별 특색에 맞는 설계 요소가 기술되어 있는데, 공통 설계 요소로는 팀 기반의 신체활동 실행, 학습자 개인 수준별 지도, 온·오프라인 신체활동 연계, 학습자-학습자와 학습자-교수자 간 상호작용 촉진, 학습자 자발적 참여 유도가 있다. 평가 단계에서는 성찰, 성장중심평가, 수업 평가를 하도록 영역별 설계모델이 개발되었다. 요컨대, 설계원리와 영역별 설계모델의 개발은 종합적이고 짜임새있는 플립러닝 체육수업 설계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연구의 설계원리와 설계모델은 플립러닝 체육수업 설계에 어려움을 겪는 현장 교사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고, 변화하는 교육환경의 새로운 체육수업 패러다임으로서 초등학교 체육교육 현장에서 활발히 사용되길 기대한다.

      • 초등교사의 체육전공 석사과정 파견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유예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831

        파견연수는 2년의 긴 호흡으로 현직교사에게 학습과 연구의 기회를 보장한다는 점에서 그 정책적 중요성이 매우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견연수의 실상을 들여다보는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특히 초등체육전공 파견교사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초등체육전공 석사과정 파견교사들의 주관적 경험을 그들의 시각에서 해석하여 그들의 경험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첫째, 초등교사들은 체육전공 석사과정 파견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 둘째, 초등교사들의 체육전공 석사과정 파견 경험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체육 전공 석사과정을 경험한 현직교사 3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의 5단계에 따라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된 자료 수집 방법은 심층면담으로 연구참여자 각각에 대해 약 2시간씩 3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이와 더불어 연구자의 연구노트, 연구참여자의 개인적 기록물 등을 보조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 각각의 경험을 살펴보면 A교사의 파견 경험은 도전, 연습, 확장, 고난, 성찰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B교사의 파견 경험은 열망, 혼란, 도전, 발전, 도약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C교사의 파견 경험은 탐색, 습득, 각성, 비판, 회의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이들의 파견 경험을 삼차원적 탐구 공간 위에서 파악한 결과 그들의 파견교사 지원 동기는 체육교육 전문성 신장 의지, 학위 취득 욕구, 개인적 욕구로 함축되었다. 그들의 파견 경험에 영향을 미친 내적 요인은 지원 동기, 학문적 관심, 개인적 경험 및 성향이었고 외적 요인은 대학원 교육과정의 특성, 지도교수 및 전공 선택, 연구실의 특성 등이었다. 세 연구참여자는 파견 경험을 통해 연구 및 업무 능력 신장, 개인적 변화, 체육수업 및 철학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둘째, 세 연구참여자의 체육 전공 파견 경험의 공통적 의미는 '연구의 문외한에서 교사연구자로', '넓어지고, 깊어지고', '기대와 현실의 불일치, 그로부터 나아가기', '도약을 향한 작은 날갯짓'이었다. 본 연구는 파견연수에 관심이 있거나 이와 관련된 교사 및 교육 관련자 등에게 파견연수에 대한 생생한 자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파견연수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수업 스트레스 요인과 수업실태 분석

        이유경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831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a fundamental material for the normal operation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order to achieve such aims, the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at caused stress for female elementary teachers, generated specific problem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tual state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analyzed differences caused by the teacher's experience and marital status, and teachers' recognition of the ideal method for a normal oper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200 female teachers from 10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research instrument employed in this study was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53questions on stress factor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actual state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he ideal method for a normal oper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using SPSS 12.0 program, and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study. First, the stress factor female elementary teachers recognized the most was the factor of the environment, followed by the shortage of class condition, security, education content and teacher's speciality. Second, the factors of the environment, shortage of class condition, security and personal negligence caused significantly more stress for married teachers with more than 20 years experience than for other teachers. Third, with regard to the actual state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eachers recognized the goal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most, followed by instruction on the physical education environment and the operation of physical education. The instruction state of physical education class ranked the lowest. Although the higher proportion of teachers recognized that physical activities is helpful for the balanced growth of children, they thought physical classes were being delivered inefficiently at schools. Fourth, with regard to the differences of the actual state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ccording to teachers' experience and marital status, married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experience turned out to operate physical education class more efficiently in all sectors. This runs counter to the result that they got more stress than other teacher groups. Overall, it is highly considered that teachers with more experience have confidence in delivering classes, regardless of their preference for class, and operate classes more efficiently. Fifth, as for the ideal method for the normal operation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eferred exclus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most among teacher types. The higher proportion of teachers wanted the expansion of physical education facility equipments and the expansion of the system which requires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be delivered by exclus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s for the amou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ree hours per week, the same amount delivered under the current curriculum, was preferred the most. In conclusion, in order to deliver physical education efficiently, the system requiring exclus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deliver physical education classes should take root in schools. In addition, equipments that increase the efficiency of physical education class should be developed. Furthermore, community physical exercise facilities need to be aggressively utilized, and more financial investment should be made in school facilities. Lastly, training opportunities for teachers should be increased and three hour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should be delivered per week. 본 연구는 초등학교 여교사를 대상으로 체육수업에 대한 스트레스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 체육수업 실태를 분석하여 구체적인 문제점을 도출하고 교육경력, 결혼여부에 따른 차이점과 바람직한 운영방안에 대한 인식 등을 분석, 연구하여 개선책을 제시함으로써 체육교육과정 운영의 정상화와 체육수업의 질적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소재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여교사 10개교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로는 설문지법을 이용하였고 그 내용은 체육수업 스트레스 요인, 체육수업실태, 바람직한 운영방안의 5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test와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학교 여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스트레스는 환경의 요인이 가장 높았고 수업여건 부족, 안전, 교육내용과 교사의 전문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소홀 요인은 스트레스 요인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의 영향, 수업여건부족, 안전, 개인적 소홀의 요인에서 교육경력 20년 이상과 기혼인 경우에 스트레스가 더욱 높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체육수업실태에 있어서는 체육교육 목표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체육 환경에 대한 지도, 체육수업 운영 순으로 나타났으며 체육 수업 지도실태가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여교사들은 체육활동이 아동의 고른 성장에 도움을 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은 높은 비율을 나타내는데 반해 실제 수업에는 효율적인 지도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넷째, 교육경력과 결혼 여부에 따른 체육수업 실태의 차이를 보면 모든 항목에서 교육경력 10년 이상이며 기혼일 경우에 체육수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이 집단의 스트레스가 더 높다는 점과는 상반되는 결과이기도 한데 경력이 많은 여교사들은 경력이 낮은 여교사에 비해 자신의 선호도에 상관없이 수업에 대한 자부심이 있고 수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는 인식이 더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 다섯째, 초등체육교육의 바람직한 운영방안에 대해서는 교사유형에는 전담교사를 선호하며, 수업의 정상화 방안으로는 체육전담제의 확대, 시설 용구의 확충을 바라는 의견이 높았다. 주당 체육시간에 대해서는 현재 교육과정과 같은 주당 3시간을 가장 선호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체육 수업의 효율적인 지도를 위해서 체육교과전담제가 정착되어야 할 것이며 체육수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용구, 기구의 개발도 더욱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사회 체육시설 활용을 적극적으로 하며 학교 시설을 위한 재정적인 투자가 필요하며 교사의 연수기회를 확대하고 주당 체육시간 3시간을 준수하여야 할 것이다.

      • 미세먼지 환경에서의 초등학교 실외체육수업 운영실태 및 교사의 인식

        박경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831

        이 연구는 미세먼지 환경에서의 초등학교 실외체육수업 운영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토대로 체육수업의 개선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G도 P시, S시, G시에 소재하고 있는 학교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3~6학년 260명으로 선정하였으며, 할당표집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합 후 설문내용이 부실하거나 무응답 등을 제외한 238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고 자료처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체활동 마련 여부 관련이다. 본 연구결과 미세먼지에 대비하여 대체활동을 마련하는 교사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는 미세먼지 환경에서 대체활동을 위한 충분한 공간 확보, 적절한 프로그램 개발․보급, 장비 지원, 교사 연수, 교사 체육연구회 활성화 등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실외체육수업 운영 전 미세먼지 농도 확인 방법 관련이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뉴스나 앱을 활용하여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나타났다. 최근 미세먼지 측정 기구는 다양해져 교사들은 각기 다른 경로로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자체 또는 교육청차원에서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미세먼지 농도 측정 시스템을 개발, 보급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외체육수업 도중 미세먼지 점검 관련 논의이다. 실외체육수업 도중 미세먼지를 점검하는 횟수에 관한 통계를 살펴보면 미세먼지 교육 경험의 유, 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미세먼지에 관한 교육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교육경험이 없는 교사들 보다 수업 도중에 미세먼지 농도를 수시로 확인했으며 이는 교사 연수나 교육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미세먼지로 인해 실외체육수업이 대체활동으로 바뀐 비율이다. 본 연구에서 결과 많은 실외체육수업이 대체활동으로 바뀌어 진행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학교들이 충분히 넓은 실외체육시설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실정이다. 변해가는 기후 속에서 초등학교 교사들과 학생들의 체육수업 여건을 보장할 수 있는 실내장소와 학생들이 안전하게 체육수업을 할 수 있는 공간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다섯째, 대체활동 공간에서 미세먼지를 방지하기 위한 교사의 노력부분이다. 본 연구에서 대부분의 교사들은 공기정화장치를 이용하여 대체활동 공간에서의 미세먼지를 방지하였다. 그러나 공기청정기는 전기로 운영되는 것이고, 전기를 발전하기 위해 환경을 오염시켜야 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만든다는 점, 필터를 교체하지 않는 등 관리가 부족하면 오히려 공기 질이 좋아지지 않는 점에서 학생들과 함께 공기정화장치 대신 공기정화식물을 키우고 물걸레질을 하는 등 미세먼지에 친환경적으로 대응하는 방안(지옥정, 김경화, 2018)을 능동적으로 모색할 필요도 있다고 본다. 여섯째, 미세먼지 환경에서 초등학교의 실외체육수업의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외체육수업 계획 및 준비, 운영, 대체활동 계획 및 준비에서 교사들은 교직경력, 담당학년, 미세먼지 교육경험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김경수(2019), 김은선(2017)의 연구에서도 위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이는 최근 미세먼지로 인해 실외체육수업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고, 이러한 어려움이 교사들의 인식수준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일곱째, 김경수(2019), 김선미(2015)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도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 수준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다. 따라서 남교사의 미세먼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교육기회 제공과 더불어 미세먼지에 대한 안전문제의 이해도 제고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여덟째, 미세먼지 교육을 받은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실외체육수업에 대하여 더 높은 수준의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교사가 미세먼지에 대해 제대로 알아야 바르게 학생을 지도를 할 수 있으므로 미세먼지 관련 교사교육이 교육과정이나 교사 필수연수에 도입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해져가는 요즘 좋은 체육수업을 위한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학생들의 체육수업을 보장할 수 있는 교육공동체의 해결책이 제시되지 않으면 학생들의 좋은 체육수업을 보장할 수 없을 것이다. 지자체, 교육청 차원에서는 학생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실내체육시설 및 공간 확보가 필요하다. 또한 미세먼지 교육, 연수를 통하여 교사들의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 제고도 필요하다. 교사는 교육공동체간 협의, 체육연구회 활성화를 통해 보다 현실적인 체육수업의 접근방법으로 대비책을 강구해야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급격하게 변해가는 기후환경 속에서 교육공동체 모두가 힘을 모아 체육수업의 발전을 도모해야만 한다고 생각된다. The research aims to confirm the status of the operation of outdoor sports classes at elementary schools and the awareness of teachers in the fine dust environment, and based on it, the research aims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impro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26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to work at schools located in P, S, and G. The survey was conducted by sampling samples from the quota lis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38 people except for poor survey contents or non-response after data collection,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rough data processing. First, it is about whether alternative activities are in place. According to this study, the percentage of teachers preparing alternative activities against fine dust is high. In a fine dust environment that is becoming more serious day by day, measures such as securing enough space for alternative activities, developing and distributing proper programs, supporting equipment, training teachers, and activating teachers' sports research institutes are needed. Second, it is related to how to check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before operating outdoor sports classes. Most teachers used news or apps to measure fine dust levels. Recently, fine dust measuring instruments have become diverse, so teachers check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different way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a standardized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system that can be used by teachers at local governments or education offices.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ll discuss checking fine dust during outdoor sports classes. Statistics on how many times fine dust is checked during outdoor sports class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use and ignorance of fine dust education experiences.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with educational experience on fine dust frequently checked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during class rather than those with no experience in it, which shows the need for teacher training or education. Fourth, the ratio of outdoor sports classes to alternative activities due to fine dust. In this study, many outdoor sports classes were changed to alternative activities. However, many schools still do not have enough outdoor sports facilities. Amid the changing climate, it is necessary to secure indoor venu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to take physical education classes safely. Fifth, it is part of teachers' efforts to prevent fine dust in the space of alternative activities. In this study, most teachers used air purifiers to prevent fine dust in alternative activity areas. However, since air purifiers are operated by electricity, creating a vicious cycle of polluting the environment to generate electricity, and air quality does not improve if management is insufficient such as not replacing filters, students and students need to actively seek ways to cope with fine dust by growing air purification plants instead of air purification devices and wiping water. Sixth, the results of analyzing teachers' perceptions of outdoor sports classes at elementary schools in the fine dust environment are as follows. In planning and preparing for outdoor sports classes, operation, and alternative activities, teacher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ing experience, grades in charge and fine dust education experience. The study by Kim Kyung-soo (2019) and Kim Eun-sun (2017)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bov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hich is believed to be following difficulties in outdoor sports classes due to the recent fine dust, and such difficulties are affecting teachers' level of awareness. Seventh, like the studies of Kim Kyung-soo (2019) and Kim Sun-mi (2015), the level of awareness of fine dust is higher in this study than in men.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a ne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safety issues regarding fine dust, as well as provid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that can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fine dust by male teachers. Eighth, teachers with fine dust education had a higher level of awareness about outdoor sports classes than those who did not. Since teachers can properly teach students when they know about fine dust, we believe that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fine dust needs to be introduced into the curriculum or the required training of teachers. Everyone's efforts are needed for good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se days when the fine dust problem is getting serious. Students will not be able to guarantee good physical education unless a solution is presented to the educational community that can guarantee students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various ways. At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s and education offices, the government needs to secure indoor sports facilities and spaces that can ensure the safety of students. It is also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of fine dust among teachers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of fine dust. Teachers should devise countermeasures as a more realistic approach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rough consultation among education communities and revitalization of sports research institutes. In conclusion, in the rapidly changing climate, it is thought that all the educational community should join force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체육수업 프로그램 예시단원 개발

        송하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815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인성 교육에 효과적인 스토리텔링을 체육과 교수․학습에 적용하고, 학교 현장에서 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체육수업 프로그램 예시단원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체육교과에 적합한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체육과에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창의․인성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한 후 초등학교 6학년 체육과 도전활동을 선택하고 24차시 분량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체육수업 프로그램 예시단원을 개발하였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체육수업 프로그램 예시단원의 목적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체육수업 프로그램 예시단원을 통한 창의적이고 바른 인성을 갖춘 미래인재양성이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창의적 사고를 통해 이야기를 분석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의 창의성을 개발한다.’, ‘이야기 속의 인물이 되어 다양한 생각과 가치판단을 경험하고, 다른 사람의 생각과 의견을 공감하고 함께하는 과정을 통해 바른 인성을 함양한다.’이다. 프로그램 예시단원의 내용은 스토리의 제재를 선정할 때 첫째, 재미있는 스토리, 둘째, 창의․인성 함양에 도움이 되는 스토리, 셋째, 흥미롭고 복잡하지 않은 사건으로 구성 된 스토리, 넷째, 단순하고, 희곡적인 요소를 갖춘 스토리의 기준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스토리텔링의 내용이 갖추어야 할 교수․학습 맥락에서의 요소인 페르소나, 감정이입, 비유, 플롯, 심미적 경험, 시간성에 따라 스토리텔링에 대한 문헌 및 선행연구, 학생 흥미 및 사회적 이슈, 6학년 체육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를 실생활 연계형, 동화 연계형, 동시 연계형, 자료 제시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은 교수․학습 원리, 교수․학습 과정, 교수 전략, 교사 역할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교수․학습 원리는 상호작용의 원리, 자발성의 원리, 통합의 원리이다. 교수․학습 과정은 스토리텔링하기, 스토리 체육활동하기, B&H&P Play, 정리의 4단계로 구성된다. 교수전략은 안전하고 흥미로운 수업 환경 조성, 집중 할 수 있는 수업 분위기 형성, 효과적인 동기유발, 교과지도, 시범의 과정, 더 나은 스토리텔링 초등체육수업을 위한 반성으로 구성 된다. 교사의 역할은 개발자, 인격자, 강화․자극 환경 구성자, 관찰자, 평가자이다. 평가방법은 문헌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체육과에 보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기시험, 서술, 구술 및 논술형 평가, 자기 및 동료평가, 지필평가를 기본으로 하여 각 단원의 스토리텔링에 맞춰 개발한 B&H&P Play의 성격을 고려하여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논의는 첫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체육수업 프로그램 예시단원 개발은 목적 및 목표로서 창의적 사고, 분석적 사고, 문제해결력으로의 창의성과 다양한 생각과 가치 판단, 생각과 의견을 공감하고 함께해 나가는 바른 인성 함양에 두는 것은 최근 교육계의 흐름을 잘 반영한 것으로 바람직한 시도이며 둘째, 스토리텔링을 통한 교육의 가치를 강조하고 있는 선행연구의 견해와 내용을 반영하여 학생 수준에 적합한 체육과의 스토리텔링의 이론적 기초와 실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관련 후속 연구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이 연구에서 효과적인 교수․학습 과정을 구성하기 위해 개발한 체육과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모형인 스토리텔링하기-스토리 체육활동하기-B&H&P Play-정리의 4단계는 창의․인성 교육의 한 방법으로서 학생들의 체육과 활동 경험을 창의성을 개발하고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로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넷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B&H&P Play 평가방법은 학생들이 보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교육활동에 집중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활동을 탐색하도록 격려하며 그 과정에서 창의․인성요소 함양을 돕는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 다섯째, 연구의 교수․학습 방법의 각 단계에서 교사의 발문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에 따라 교사가 쉽게 활용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현장 활용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 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의 결과로 도출 된 예시단원은 체육과에서 추구하는 인지․심동․정의 영역의 목표에 부합하고 학생들의 창의․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설계되었으며 현장 적용 및 실천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자료를 활용한 체육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인성 요소 함양 및 증진에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아야 한다. 둘째, 체육과 교육과정의 창의․인성 교육의 문제 해결을 위해 더 많은 스토리텔링 교수․학습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이 스토리텔링을 체육교과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 초등교사의 체육교육과정 구현 양상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치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8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seeking for the concrete goal of the education support and the elementary teacher training courses. Through the narrative study of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text is focused on analyzing and diagnosing the problems of the elementary chalkface conditions. To enhance the authenticity of the result from the narrative study, I recruited three elementary teachers who have neither political nor hierarchical relationship with the writer. Therefore, the three participants could deliver the each story and submit the related documents objectively. From June 13th(Sat), 2009 to September 11th(Sat), 2010, seven times of official interviews, unofficial observations and the net and phone conversations with the participants were used to gather the data, which were transferred and encoded to be classified and analyzed. As the result,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mplementation could be arranged to four aspects; instruction expertise, student-instruc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chool surroundings. Firstly, instruction expertise. Generally, the instruction expertise for PE class is not considered as the physical or functional skills of the teacher but as the ability and the sincerity to reorganize and apply the contents to achieve the class object. Secondly, student-instruction. The educational achievement of the students starts with the affection of the teacher.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lso agreed that the affection toward the students can improve not only the physical aspect but the self-esteem and the sociality of the students. Moreover, they regard watch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carefully as the ideal model of the higher func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Third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The lack of the PE(physical education)―exclusive system of elementary schools results in insufficiency of time to discuss about PE class or share the documents and the experiences related. At this point, the current PE class is accepted as a somewhat big burden to prepare by oneself. Futhermore, often happens the case that PE class is progressed with limping way the students prefer regardless of. A teacher good at lecturing at PE class is accepted as an competent and rare, but his help or support to other colleagues about PE class is hardly possible due to the lack of the PE-exclusive system. Fourthly, the school surroundings. The schools that the three participants belong to, commonly lack in the PE related budget(Considered as a common phenomenon among almost all domestic schools.) Besides, the playground or the space to exercise PE activities are not sufficient enough, not to mention the PE facilities and the teaching tools. In other words, the execution of the PE budget is mostly focused on PE events like a sports day not on the PE class itself. These external factors often cause the failure of PE class lecturing. From this study, 2 suggestions could be made. At first, to reduce the detachment between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actual education, the psychology of the PE curriculum needs to be based on the opinions from the actual education spots. In brief, to settle down the efficient and practical PE system, the writing process of the PE curriculum should be more engaged to the opinions of the general teachers than the current point. At second, to revive the self-esteem of the teachers about PE class, revitalization of the fellow teacher training system and the PE community activities needs to go side by side with the in-depth studies on the elementary PE class expertise. And, "the Mandatory training program for PE class-lecturing" needs to be newly organized to enhance and internalize the PE class expertise of the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들의 체육교육과정 구현 양상을 내러티브적 접근을 통해 살펴보고 교육현장의 실태를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진단함과 더불어 초등 현장의 특색에 맞는 교육 지원 및 교사 연수의 구체적 지향점을 찾는 것이다. 연구 결과의 진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적 기법에 동참할 수 있는 세 명의 초등교사를 선정했고, 연구참여자들은 연구자와 어떤 정치적 관계나 위계 없이 자신의 이야기를 서술했고, 연구에 도움이 될 자료들을 제출하였다. 2009년 6월 13일(토)부터 2010년 9월 11일(토)까지 7차에 걸쳐 진행된 공식적인 내러티브 면담과정과 비공식적인 면담 및 비참여 관찰, 기억상자, 네이트온 채팅, 전화 면담, 다시 이야기하기 등을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전사 및 코딩 과정을 거쳐 분류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교사의 체육교육과정 구현양상을 수업지도 면, 학생지도 면, 교사관계 면, 학교환경 면의 네 가지 측면에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수업지도 면이다. 초등교사들이 생각하는 초등체육수업의 전문성은 교사의 신체적 능력이나 기능적인 면에서 찾아지는 것이 아니라, 수업 목표에 맞게 수업 내용을 재구성하여 적용하며 수업을 짜임새 있게 운용하는 능력과 교육과정 및 수행평가의 내용을 준수하는 성실성에 있었다. 둘째, 학생지도 면이다. 학생의 교육적 성취는 교사의 관심으로부터 시작된다.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도 수업 속에서 학생들의 특성을 세심하게 살펴보는 혜안을 갖고 학생들의 신체발달과 더불어 자존감과 사회성을 길러주는 체육 교과의 고차적 역할을 그들의 이상향으로 삼고 있었다. 셋째, 교사관계 면이다. 초등학교에서는 체육 전담 시스템이 미비하여 동료교사들끼리 체육 수업에 관해 토론하거나 자료를 공유할 계기나 시간적인 여유가 적다. 그래서 자신의 체육수업을 󰡐혼자 준비하는 공개수업󰡑이라고 여기며 부담을 갖기도 하고, 파행적인 학생 선호 위주의 내용 없는 수업으로 시간을 채우기도 한다. 체육을 잘 가르치는 동료교사는 유능하고 희귀한 동료교사로 여겨질 뿐 다른 교사들에게 수업에 관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넷째, 환경조성 면이다. 참여자들이 속한 서울의 초등학교에서는 체육 관련 예산이 전반적으로 부족했고, 운동장이나 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 및 시설이나 교구도 넉넉하지 못했다. 때문에 체육 수업의 실패요인을 이러한 외적요인에 두는 빌미를 제공하기도 했다. 학교에서는 체육교육보다는 체육행사에 더욱 많은 신경을 쓰고 있었고, 예산 집행이나 교육과정 편성에 있어서도 체육행사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두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육과정과 현장의 괴리를 좁히기 위하여 교육과정의 철학적 기저에 현장의 목소리와 숨결을 담아야 한다. 교육과정을 위한 수업이 아닌 󰡐수업을 위한 교육과정󰡑을 수립하고, 보다 실제적인 체육 교육 시스템의 정착을 위해 체육 교육과정 총론의 집필과정부터 현장 교사들의 더 많은 참여가 필요하다. 둘째, 체육 수업에 관한 초등교사들의 자존감을 살리기 위해 초등체육수업의 전문성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체육 동아리 활동’과 ‘동료교사 연수제도(the fellow teacher training system)’를 활성화하여 초등교사의 자존감을 높이고, 체육 교과 내용과 수업지도에 관한 ‘체육의무연수이수제도(the mandatory training program for PE class-lecturing)’를 만들어 초등교사들의 체육 수업 전문성을 확고하게 내면화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