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 영어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연구

        김수연 부산교육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에서는 전국 교육대학교에서 전담하고 있는 초등 영어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교사들이 바라는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초등 영어교사의 양성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지향적인 영어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10개 교육대학교의 영어교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1993년 이후 교육대학교를 입학한 초등교사 1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영어심화과정을 이수한 초등 영어교사 5명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영어교사 양성과정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영어 교양과정에서는 예비교사의 영어구사능력 향상을 위해 영어실기 과목을 집중적으로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나 주로 일상적인 회화 중심의 강의였기 때문에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기능을 동시에 향상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초등 교사에게 필요한 영어능력을 함양하는 과목 개설이 요구되었다. 영어 전공과정에서는 모든 예비교사가 영어교육에 대한 기본적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영어교육이론 및 영어수업실기와 관련한 과목들을 필수 과목으로 개설하고 있었다. 영어 심화과정은 영어 전담교사 교육의 핵심적 과정이었으며, 교과교육학의 편성 비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가장 큰 문제점은 교육과정에 대한 일관된 기준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각 교육대학교에서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 이수학점, 이수방법, 이수학기 등이 매우 상이하여 영어교사로서 일정한 자질을 갖추기는 어려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초등 영어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한 결과 영어 교사의 필수적인 자질은 ‘영어 교수법에 대한 이해와 활용 능력’과 ‘유창한 영어 사용능력 및 교실 영어 구사력’이며, 대부분의 교사들이 교육대학교의 영어교과 교육과정을 통해서 이러한 자질을 충분히 함양할 수 있는 정도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영어 심화과정에 대해서도 지나치게 이론 중심의 강의가 많고, 영어 수업실습 과목이 부족하다는 인식을 보였다. 개별 교과목의 중요도와 활용도를 알아본 결과 <초등 영어과 수업실습>, <초등 영어교육론>, <교실영어> 순으로 교과교육학과 관련한 과목들이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대다수의 교사들이 영어교과 교육과정에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따라서 영어수업실기의 강화 등 영어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실질적인 정비가 필요하였다. 셋째, 초등 영어교사의 양성과정의 개선점에 대해 영어 심화과정을 중심으로 살펴 본 결과 실기와 이론 과목이 서로 균형을 이룰 수 있어야 하며, 초등교육과 관계성이 낮고 지나치게 이론 중심적인 과목들은 축소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영어교사를 양성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기존의 교육과정 운영체제를 최대한 유지하여 큰 변화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영어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키울 수 있는 ‘영어 계절제 운영’ 또는 ‘영어심화과정의 교과목 강화’와 같은 방안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초등교사로서의 정체성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는 영어교사의 분리양성과 같은 극단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초등교사의 양성 및 배치의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할 때, 전국 교육대학교 간에 표준화된 교육과정이 요구된다. 반복적인 내용을 가진 과목들을 재조정하고 영어수업실기 과목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이렇게 표준화된 기준을 바탕으로 강의를 담당하는 교수자 간의 협의 과정을 통해 개별 교과목이 갖는 중요성과 그 내용을 공유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둘째, 장기적으로 우수한 초등 영어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 영어교과 교육과정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빠르게 변화하는 영어교육의 패러다임과 초등학교의 현실, 초등교사의 요구를 충실히 반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영어교사의 전문성을 인증하여 전담교사의 자격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국가영어능력평가 시험이나 TOEIC, TEPS, TOEFL 등의 공인 인증 영어시험, 영어수업실기 인증제 등의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영어교과 교육과정 및 영어 심화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예비교사들의 인식조사 및 교과목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앞으로 더욱 발전적인 교육과정이 되기 위해서는 예비 교사들의 목소리를 듣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방법에 있어 문헌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수업관찰 및 심층면담 등의 질적 연구를 적용하여 실제적으로 강의가 진행되는 과정과 이에 대해 가지는 인식을 함께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질적 연구를 기반으로 한 장기적인 종단적 연구를 수행 할 필요가 있다. 예비교사에서 현직교사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소속집단과 경험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영어교사를 양성하는데 더욱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논문은 2012년 1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 학위 논문임.

      • 초등 영어교육에 있어서 내국인 교사와 외국인 교사의 교사 효율성 비교

        최상균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초등영어 교육에 있어서 내국인 교사와 외국인 교사가 초등학교 아동들의 정의적 영역과 영어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내국인 교사와 외국인 교사가 가르치는 학급에서 학습하는 I초등학교 3학년 영어 수업을 관찰하고 녹음 및 녹화한 다음 이를 전사하여 내국인 교사와 외국인 교사의 수업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첫째, 내국인 교사가 가르친 아동들과 외국인 교사가 가르친 아동들 사이에는 정의적인 영역으로 영어에 대한 불안도와 흥미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한 결과,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국인 교사가 가르친 아동들과 외국인 교사가 가르친 아동들 사이에는 영어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한 결과, 내국인 교사가 가르친 반의 아동들이 읽기와 쓰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로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말하기와 듣기 영역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국인 교사와 외국인 교사의 수업은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수업의 조직과 치밀성 면에 있어서 내국인 교사가 외국인 교사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목표 언어의 입력에 있어서도 내국인 교사는 외국인 교사보다 더 많은 언어입력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내국인 교사와 외국인 교사가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정의적 영역과 영어 능력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아래 시행되었다. 그러나 실험대상이 사립학교의 소인수 학급이라는 한정적인 대상이어서 실험대상을 확대할 경우에도 동일한 결론이 나올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보다 폭넓은 대상과 집단을 선정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본다면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추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초등학교에는 교육대학교의 초등 영어 교육과 출신 교사와 타과 출신의 초등 영어 교사 연수를 받은 교사, 그리고 중등교사 자격증 소지자를 일정기간 연수하여 초등영어 교육현장에 배치한 기간제 교사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교사들이 초등영어 교육의 현장에서 저마다 열성을 가지고 양질의 초등 영어교육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교사의 노력이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최적의 교사환경을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한 검증이 없는 관계로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교육대학 출신 교사와 사범대학 출신교사의 교사효율성을 검증해 보는 연구가 보다 체계적으로 실시되어진다면, 매우 유용한 연구가 되어 초등영어교육의 정책 결정과 초등영어교사의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셋째, 영어가 초등학교의 정식교과로 채택되어질 당시에는 초등학교의 영어교육 현장에도 실제적(authentic)인 영어 발음과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서의 영어를 제공하는 외국인 교사가 투입되어야한다는 요구가 많았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각 학교에 와 있는 외국인 교사의 대부분이 효과적인 교수 방법을 구사하지 못하여 원어민으로서의 장점을 충분히 살리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외국인 교사의 교사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외국인 교사도 자격 요건을 강화하고, 엄격한 심사를 거쳐서 배치하여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mainly lies in finding out how a Korean and an English native teacher have an effect on affective and cognitive learning strategies while joining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programs. To do this, two classes of the third grade were selected from the school I': one was taught by an English native teacher, the other by a Korean teacher. Then observing, recording and videotaping of their classes were done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teaching. Though some restrictions were still apparent during the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out. First, students taught by the two different teachers had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emotional domain such as the anxiety of and interest in English. Second, in the matter of students' achievement, the class taught by the Korean teacher statistically got a little better in reading and writing skills than the native teacher's class; no statistical difference came true in speaking and listening skills between two groups. Third, the main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eachers are likely to be the amount of target language use and verbal interactions with students, and the range of teaching methodology and teaching materials. In the organization of the lesson, Korean teacher was more premeditated than the native one. Moreover, Korean teacher provided students with more input of target language than native speaker did. Based on the result, some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the research was done with much limitation uncontrollable. So there will be much room left to be questioned. It will be worth performing a public research with more subjects. Second, English program and its curriculum have nationwide been set out and run in every elementary school. The teachers for this program can be classified into 3 groups: 1) teachers majored in English in the teachers' college 2) teachers completing the inservice training course, 3) teachers with the secondary English teacher's certificate. It is not proved which group is the best to teach English to the elementary students. Therefore, in the future,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teacher effectiveness will be a great resource for addressing the educational policy and making out the teachers' training programs. Third, Since English was taught as one of the regular subject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re was the very need for native teachers in order that students could acquire authentic language for real life situations. Most of native teachers in our schools, however, seemed to have failed not only in meeting our needs, but showing their effectiveness. Therefore they should be employed after a thorough examination about their competence in classroom.

      • 상호작용을 위한 초등영어 교과서의 활동분석

        한문수 부산교육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9855

        제7차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이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이다. 제7차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은 · 개인차를 고려한 학생 중심의 영어교육 · 의사소통 능력을 중시하는 영어교육 · 활동과 과업 중심의 영어교육 ·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력을 기를 수 있는 영어교육 · 국가 발전과 세계화에 기여하는 영어교육이다. 위에서 지적한 활동과 과업 중심의 영어교육은 주로 활동과 과업들을 차례로 제시하여 학습자가 이들 과업을 수행하고 경험하는 과정에서 자연히 언어를 배우게 하는 교수 요목이다. 이러한 활동들은 활동이 요구하는 아동들의 반응과 경험의 본질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언어기능(예:듣기), 주제(예:가족), 활동방법(예:짝활동)의 관점에서 분류할 수도 있겠지만 활동들의 형태(format)나 활동이 포함한 언어내용(linguistic content )보다 활동을 통 해서 아동들이 겪는 경험과 그 활동의 기본이 되는 원칙이 더욱 중요하다고 본다. 그 이유는 정확한 형태들은 여러 환경들 때문에 쉽게 일반화될 수 없지만 한 활동의 기본 원칙이 명확하게 되면 주어진 환경에 적합한 형태를 쉽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업에도 '자극', '안정'의 리듬이 있어야 한다. 현재 초등학교 3, 4학년은 듣기·말하기 위주의 교육과정 때문에 '안정'을 주는 쓰기 활동이 없다. 그리고 우리 나라의 다인수 학급에서는 학습자 개개인이 활동하고 표현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하므로 '정신적 몰입'과 '육체적 몰입', '정신적·육체적 몰입'이 강조하는 학급 전체 아동이 동시에 참여하는 짝 활동이나, 일어나서 조사하기 활동 등으로 학습자 개개인에게 활동과 표현의 기회를 확대하는 효율적인 상호작용 활동이 필요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초등 영어 교육의 보람되고 값진 경험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제7차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기본정신인 정서적 목표와 실제적 언어활용을 바탕으로 두고 효율적인 상호작용 활동을 위한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활동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제7차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기본정신인 정서적 목표와 실제적 언어활용을 아동들이 지닌 외국어를 익히는데 기여하는 본능과 바탕을 기반으로 논의하고 이를 구체화시키는 방법으로 '자극, '안정과 '정신적 몰입', '육체적 몰입', '정신적·육체적 몰입'의 활동을 논의하고 제3장에서는 분석대상을 선정하고 분석기준을 설정하여 4장에서는 분석결과를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3, 4학년에서는 상호작용 활동 중 '자극' 활동과 '안정 '활동 중에서 어느 활동이 많은가 ? 와 둘째, 5, 6학년에서는 상호작용 활동 중 '자극' 활동보다 '정신적 몰입', '육체적 몰입', '정신적·육체적 몰입' 활동이 증가하는가 ? 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 3, 4학년에서는 상호작용 활동 중 '자극', '안정' 활동 중에서 어느 활동이 많은가 ? 3학년 교과서 분석 결과 자극 활동이, A 68%, B 81%, C 80%, D 80%, E 78%로 나타났고, 4학년의 경우 A 75%, B 59%, C 53%, D 88%, E 53%로 나타나 자극 을 주는 게임이나 활동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안정'을 주는 게임 및 활동은 3학년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4학년의 경우에서도 C, E 교과서에서만 각 6%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 : 5, 6학년의 경우 상호작용 활동 중 '자극' 활동보다 '정신적 몰입', '육체적 몰입', '정신적·육체적' 몰입 활동이 증가하는가 ? 5, 6학년의 경우 '정신적 몰입', '육체적 몰입', '정신적·육체적' 몰입을 주는 게임 및 활동이 A 교과서의 경우 3학년 32% → 4학년 38% → 5학년 38% → 6학년 44%, B교과서는 3학년 19% → 4학년 41% → 5학년 40% → 6학년 60%, C 교과서는 3학년 20% → 4학년 41% → 5학년 67% → 6학년 44%, D 교과서는 3학년 7% → 4학년 12% → 5학년 19% → 6학년 0%, E 교과서는 3학년 22% → 4학년 41% → 5학년 55% → 6학년 68%로 대부분의 교과서에서는 자극 활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초등영어 교과서의 게임 및 활동 구성에서 3학년에서 영어에 흥미를 주는 게임 비율이 많아야 함은 중요하나 지나치게 흥미만 중요시하여 승패의 결과를 분명히 하는 게임 및 활동은 아동들에게 지나친 자극을 주어 심리적 부담감을 가중시키는 결과가 되어 오히려 영어에 흥미를 잃어버리게 할 염려가 있으며 게임에 반복적인 실패감으로 인한 자신감의 결여는 초등학교 영어 교육의 우선 순위인 정서적 목표의 우선과 실제적 언어 활용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저학년일수록 게임 및 활동에 자극과 안정의 요소로 수업의 리듬을 살려야 하고 '듣고 그림 그리기', '들은 것의 번호 적기'와 같은 '안정'을 주는 활동의 기회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전체 아동이 동시에 짝 활동에 참가하기'와 '일어나 조사하기'활동과 같은 '정신적 몰입', '육체적 몰입' 및 '정신적·육체적 몰입'에 비중을 둔 게임 및 활동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ctivities found in English textbook for the promotion of interaction in the primary school English classroom. Firstly three priorities in teaching English in the primary classroom have been discussed and identified as follows : 1. basing teaching on the skills and instinct s which children bring with them into the classroom ; 2. developing attitudes and responses which contribute to the process of developing competence in another language ; 3. finding ways of working with language. Secondly games and activities will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response they demand from the children and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they offer. Accordingly, the analytical categories of 'activities that stir', 'activities that settle', 'mental engagement', 'actual occupation', and 'mental/actual occupation' (Halliwell, 1992) will be used to analyze textbooks. Five kinds of textbooks out of the sixteen extant will be analyzed because they are widely used in the Pusan area.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1. which kinds of activities predominate in the third and fourth year textbook, 'stirring' activities, or 'settling' ones ? 2. do fifth and sixth year textbooks show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activities devoted to 'mental engagement', 'actual occupation', 'mental/actual occupation' ?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 in the texts for the third grade, 'stir' type activities occupied 68% of textbook A, 81% of textbook B, 80% of textbook C, 80% of textbook D, and 78% of textbook E. In the textbook for forth grade, 'stir' activities occupied 75%, 59%, 53%, 88%, and 53% of textbooks of A, B, C, D, and E respectively. Thus there are too many 'stir' activities in some books, and no 'settle' type activities at all in the third grade texts. Nor are there 'settle' activities in the fourth grade, with the exception of C and E (Which were both composed of only 6% 'settling' activities). In the textbooks for the fifth and sixth grades, 'mental engagement', 'actual occupation', 'mental engagement/actual occupation' were consistently less than 'stirring' activities. A breakdown by the textbook followed that : 1. textbook A contained only 32% of the former types of activities in the 3rd grade, and 38%, 38%, and 44% in the 4th, 5th, 6th grade of text s respectively ; 2. textbook B contained only 19% of the former type of activities in the 3rd grade, and 41%, 40%, 60% in the 4th, 5th, 6th grade of texts respectively ; 3. in the textbook C, the former activities occupied 20% of the third grade of text, and 41%, 67%, and 44% of the 4th, 5th, and 6th grade of text s respectively ; 4. in the textbook D, the former activities comprised 7% of the third year text, 12% of the 4th and 19% of the 5th year text, but did not appear in the 6th year text at all ; 5. in the textbook E, the former activities comprised 22% of the 3rd year text, 41% of the 4th, 55% of the 5th and 68% of 6th year of texts respectively. Thus it can be seen that A and E do in fact increase the proportion of the book devoted to 'mental engagement', 'actual occupation', and 'mental/actual occupation' activities compared to 'stirring activities' as the elementary year sprogress, with the most striking progression in the textbook E.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too many 'stirring' activities, such as competition, in the textbook, and not enough activities which provide real language use and develop children's confiden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hythm of 'stirring' activities and 'settling' activities, including dictating numbers and picture dictation for third and fourth grades, while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more 'mental/actual occupation' activities, such as simultaneous pair works, should be reinforced.

      • 긴급 원격교육 상황에서의 초등 영어 원격수업 운영실태 및 교사 인식

        황지원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rea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remote teaching that has been introduced urgently as a result of COVID-19, look at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deduce implications related to the direction of the remote education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To do this, a survey was performed with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ll over the country, and a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ly, respondents to the questionnaire showed that during COVID-19 situations, most of them had experience in real-time interactive classes and mainly used desktops to conduct elementary English remote classes. Additionally, in regar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such as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hardware, software, and platform, participants noted scores higher than the average of 4points on the 5-point scale. Secondly,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nglish subject,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study participant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classification of instructional methods to some extent. However, in practice, the ratio of teachers who actually classified the teaching method was low. Thirdly, the satisfaction of the remote English teaching class method in elementary school was revealed in the order of real-time interactive, task performance-oriented, content utilization-oriented (lecture-oriented), and content utilization-oriented (lecture-active-type). Fourthly, regarding the evaluation, there were respondents who showed high satisfaction due to various evaluation methods and easy evaluation management. However, regardless of satisfaction, the issue of reliability was generally noted, and while the cognitive domains can be evaluated, the survey results displayed that it is difficult to evaluate domains such as attitudes. Lastly, the problem was presented in various ways, but one of the common ways was the problem of inducing students to participate. To this end, the most necessary improvement that was noted was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In addition, opinions related to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competency development were also presented in the response presented to open questions.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해 긴급하게 진행되었던 초등 영어 원격수업의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초등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뒤 향후 진행될 원격교육의 방향성과 관련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근무 중인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 194명의 응답을 정리 및 분석한 연구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설문에 응답한 연구 대상자들은 대부분 COVID-19 상황 동안 이루어진 초등 영어 원격수업에서 실시간 쌍방향 수업의 경험이 있으며, 주로 데스크톱 컴퓨터를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인의 정보통신 기기 및 기술 활용 능력과 관련하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플랫폼 세 영역 모두 5점 척도 중 평균 4점 이상의 높은 수준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 대상자들은 초등 영어 교과 특성과 관련하여 차시별 수업 방식 구분이 어느 정도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수업 시 차시별 수업 방식 구분을 둔 연구 대상자의 비율은 낮았다. 셋째, 초등 영어 원격수업 방식별 만족도는 실시간 쌍방향, 과제 수행 중심, 콘텐츠 활용 중심(강의형), 콘텐츠 활용 중심(강의 및 활동형) 순으로 높았다. 넷째, 평가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평가 방식, 평가 관리 용이 등의 이유로 보통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응답자가 있었다. 하지만 만족도와 상관없이 응답자들은 대체로 신뢰도 문제를 지적하였고, 학습 내용의 성취에서 인지적 영역의 평가는 가능하지만, 태도와 같은 정의적 영역의 평가는 힘들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다섯째, 수업 방식별로 다양한 문제점이 제시되었고, 그중 공통된 것은 학생의 수업 참여 유도의 어려움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해서 다양한 교수 학습 콘텐츠 개발 및 보급이 가장 시급한 개선점으로 꼽혔다. 그뿐만 아니라 개방형 질문에 제시된 응답에서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 환경 개선, 역량 개발과 관련된 요구를 발견할 수 있었다.

      • 초등 학교 영어 말하기 평가유형에 관한 연구 : 과제 수행형 평가와 면담 평가유형 비교

        박미성 서울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9855

        초등학교 영어는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기초적인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교과로서 의사소통의 바탕이 되는 언어기능 교육, 그 가운데서도 음성언어 교육이 주가 된다. 그러므로, 음성언어를 중심으로 지도하게 되고 평가도 음성언어 중심의 평가를 하게 된다. 또한, 초등의 목표가 언어사용의 능력개발이나 개발의 기초를 닦는데 있으므로 언어기능의 성취 평가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초등학교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 의한 말하기 평가의 실태를 보면 대부분 참여도나 태도 및 노력 여부 위주의 평가에 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육과정에서는 말하기 평가에 관한 일반적인 지침만 마련해 놓았을 뿐, 구체적인 방법과 척도 등의 안내가 되어 있지 않아 일선 교사들에게는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교사 설문 결과 말하기 평가 유형 중 면담 평가유형과 과제 수행형 평가가 현재 초등 영어의 여건상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평가 방법으로 제시되었다. 따라서, 초등 실정에 맞는 말하기 평가의 두 유형에 대한 실험을 통해 실제 어떤 점에서 우리의 실정과 잘 맞는지 검증해 보고자 한다. 또한, 현실적으로 초등 영어 말하기 평가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평가척도의 제시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Ⅰ장에서는 초등학교 영어 말하기 평가의 중요성 및 말하기 평가 방법에 대한 검증의 필요성, 연구의 내용, 연구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면담 평가유형과 과제수행형 평가의 정의와 본 연구에서 다루려는 내용의 범위를 규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말하기 평가에 대한 교사 설문 결과와 말하기 능력 및 말하기 평가유형에 대한 문헌 연구에 근거하여 우리 실정에 더 맞는 평가유형은 과제 수행형 평가라는 가설을 설정해 보았다. Ⅱ장에서는 말하기 능력과 두 가지 말하기 평가 유형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말과 글의 차이를 알고 말의 특징에 대해 살펴본 뒤 말하기 능력이 의미하는 바를 살펴보았다. 언어학습의 초기 단계로부터 말하기 지도가 필요하고, 말하기 지도와 평가에서는 최소한의 지식을 가지고도 융통성 있게 언어를 연습하고 사용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어야하며, 실제적인 의사소통의 특징이 말하기 지도와 평가에 가미되어야한다는 등 많은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또한, 면담 평가유형의 경우 평가자와 피평가자라는 입장의 차이가 실제 의사소통의 상황과 거리가 있어 수험자에게 심리적 부담을 주게되는 단점이 있으며, 과제 수행형 평가의 경우 두 수험자 사이의 수행능력이나 성격, 과제에 대한 관심의 차이로 인해 서로의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단점이 드러났다. 따라서, 두 가지 평가 유형의 장단점을 살펴본 뒤, 이론적으로 가설을 뒷받침하여 보았다. Ⅲ장에서는 서울시 교육청이 초등 영어 수행평가 문항의 예로 제시하고 있는 말하기 평가문항을 평가유형, 유도기법, 평가항목 등으로 분류하여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문항의 대부분이 실제 의사소통의 성격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주로 수업 중 여러 명의 어린이가 동시에 활동하며 말하기 평가를 받게 되는 유형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여 아동들의 성취정도를 잘 평가하고 있다고 볼 수 없었다. 각 문항에 사용한 말하기 기법의 경우도 한 두개의 평가 기법에 치우쳐 사용되었고, 평가에 사용된 척도도 말하기 능력이 의미하는 바를 잘 규명하지 못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그러므로, 수행평가 문항의 문제점을 분석한 뒤 이를 보완하여 두 가지 평가 유형의 문항을 개발하고, 초등수준에서 적용 가능한 말하기 평가 척도의 예도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현재 본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있는 4학년 아동 32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유형의 말하기 평가 문항을 단원에 따라 각각 두 개씩을 개발하여 네번에 걸쳐 말하기 평가를 한 뒤 녹음평가의 방법으로 점수를 산출하여 성취정도를 살펴보고, 두 유형의 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분석 결과, 과제 수행형 평가가 면담평가에 비해 점수가 좋게 나타나 아동들이 과제 수행형 평가에서 말하기를 잘 수행해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평가항목 중 자신감의 경우 과제수행형 평가가 면담 평가에 비해 현저한 차이로 점수가 높아 면담평가에서 아동이 느끼는 심리적 부담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과제수행형 평가가 아동들의 말하기를 비교적 잘 유도해 낼수 있어 말하기 평가에 효과적임이 드러났다. 또한, 두 유형 모두 채점자간 신뢰도와 채점자내 신뢰도가 비교적 높게 나와 채점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결론 및 제언으로 먼저 초등 영어 말하기 성취 평가가 활발히 진행되기 위해서 평가유형 및 평가기법의 개발이 시급하다. 초등 영어 교과서의 지침서에 초등 실정에 맞는 평가 척도 및 평가 방법에 대한 자세한 안내가 있어야할 것이다. 또한, 학생들에게서 최상의 수행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수행에 대한 측정기법의 좋지 않은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평가에 대한 유형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각 기능에 알맞은 여러 가지 타당한 실용적이고 믿을 만한 유형들을 사용하여 평가의 기반을 넓히는 것만이 현재로서 유형의 영향에 대한 유일한 현실적인 대안인 것이다. 과거의 우리교육에서도 잘 보여 주듯이 평가가 없으면 교육이 없다고 할 정도로 우리의 말하기 교육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97년 6차 교육과정에서 영어가 도입된 이래 영어 말하기 교육에 대한 아동과 학부모의 관심은 지대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초등에서는 직접적인 입시위주의 교육이 아니므로 공교육이 사교육과 학부모의 인식을 주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교사 스스로 음성언어 위주의 영어 교육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여 말하기 평가에의 지속적인 관심과 실천을 한다면 의사소통을 중시하는 음성언어위주의 초등영어의 목표가 잘 성취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task-based tests with the interview for spoken elementary school English, while also offering suggestions for more effective methods of speaking tes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s. The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and questionnaires for teachers were administered on the opinions of teachers concerning English speaking tests and testing methods. Performance testing items. which the government developed in 1989, were also analyzed in relation to the methods of speaking tests. Following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as well as an analysis of the performance test items. new items for the task-based tests and the interview were designed by the researcher. After this, fourth grade elementary students(32 students in one class) served as subjects. During the semester, two types of speaking tests, both of which used the designed items. were performed twice. Each time, data was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l. In the task-based test situations, students felt comfortable and at easy, allowing them greater confidence in their abilities while also earning strong marks. As a result, task-ased tests turned out to have elicited speaking abilities more consistently than the interview. 2. The inter-ra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coefficients of both of the two types of tests registered above .8, suggesting their reliability,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for speaking tests. 3. In the task-based tests, students could speak more fluently than in the interview. Teachers could also mark the task based tests more precisely. 4. In the task-based tests, students used interactive expressions (such as "well","oh", "uhuh", "Sorry?") more frequently, reflecting real-life communication. 5. In the task-based tests, students could select their own words and expressions rather than merely answering questions. As a result, they had more of an opportunity to use language creatively.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understand that speaking testing is a very integral part of .the speaking teaching. Good testing methods and a consistent rating scale of evalu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presented to the teachers with an easy-to-use handbook. Most importantly, teachers must exert an extra effort to develop their own speaking abilities for English class.

      • 웹을 통한 영어학습이 초등 4학년 아동의 영어 듣기ㆍ어휘력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 사이버가정학습을 중심으로

        송재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web-based education affects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listening ability, vocabulary skills, and their interest in the English language. In seeking the best approach to effective English education in our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attempt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does web-based education affect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listening ability? Does web-based learning have a greater effect on higher achievers than on lower? Second, how does web-based education affect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vocabulary skills? Third, how does web-based education affect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interest.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48 students from S Elementary School in Busan were selected and split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each of which again wa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groups based on their English fluency. This study was carried out over 15 weeks, during which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web-based learning while the control group followed general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English Teaching Guidebook.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required to express their impressions concerning 'Busan Cyber Study at Home' on the web boar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with respect to listening abilities. Scores and the graphs show a slight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ough not significant, there was a more positive effect with web-based education than with the general education methodology, especially among the lower level students. Second, again, there was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tudents in their vocabulary skill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the lower experimental group. The scores and graphs indicate a more positive eff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respect to vocabulary skills. Third, there was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tudents in their interest level, but their impressions, recorded on the web board 'Busan Cyber Study at Home', show that their self-confidence, interest, and abilities in English were enhance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First, the ‘Busan Cyber Study at Home' web site is comprehensive, including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thus, if all of the capabilities of the web site were used the students would achieve higher results and be even more motivated. By developing supplementary and advanced content more comprehensively, the web site would have a much greater effect on the students' listening ability, vocabulary skills, and interest in English. Second, 63% of the students, i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ich skill became better after using the web site, indicated speaking ability; therefore, more study with respect to 'speaking ability' and this web site are indicated. Third, the term of the study was too short; and differing levels at school, differing characteristics among classes, and the limited number of students make generalizations from this study difficult. More studies on this topic are needed. Fourth,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web-based learning, but few about the web site, 'Busan Cyber Study at Home'. It is hoped that many studies will be done on the 'Busan Cyber Study at Home' web site so that students may take advantage of effective web-based study, enhance achievement levels, and avoid the high cost of private education. The 'Busan Cyber Study at Home' web site can be accessed at any time, anywhere. 본 연구는 초등 4학년 아동에게 웹을 통한 영어학습이 아동의 영어 듣기능력, 어휘력 및 흥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효과적인 초등 영어교육의 방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웹을 통한 교육이 초등 4학년 아동의 영어 듣기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1) 웹을 통한 교육이 초등 4학년 아동의 영어 듣기능력에 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상·하 집단 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웹을 통한 교육이 초등 4학년 아동의 영어 어휘력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1) 웹을 통한 교육이 초등 4학년 아동의 영어 어휘력에 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상·하 집단 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3) 웹을 통한 교육이 초등 4학년 아동의 영어 흥미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3-1) 웹을 통한 교육이 초등 4학년 아동의 영어 흥미도에 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상·하 집단 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S초등학교 2개 학급 4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각 집단에서 상·하 수준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영향을 알아보았다. 15주간 실험집단은 학습 전개의 후반부, 정리 단계에서 웹을 활용한 수업을 하고 통제집단은 일반 교사용지도서에 따른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실험 후 웹 게시판에 웹 활용 소감문을 올리도록 하였다. 실험결과는 첫째, 웹을 통한 교육이 초등 4학년 아동의 영어 듣기능력에 있어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나왔으나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 및 실험 하 집단의 평균점수가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왔으며 사전·사후 비교검사에서도 실험집단 및 실험 하 집단의 그래프의 기울기가 크게 나타나 웹을 통한 영어교육이 일반 수업을 적용한 교육보다 긍정적인 의미가 있다고 보여 지며 특히 하 수준의 아동들에게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다고 보여 진다. 둘째, 웹을 통한 교육이 초등 4학년 아동의 영어 어휘력향상에 사전·사후 차이 검증에서 하 수준의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사후검사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는 나오지 않았으나 사후 평균점수 및 사전·사후 변화그래프를 볼 때 웹을 통한 영어교육이 일반 수업을 적용한 영어교육보다 영어 어휘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여 진다. 셋째, 영어 학습 흥미도에 대한 집단별 및 상·하 수준별 사후검사 결과와 사전·사후 차이 검증결과는 유의미하지 않게 나왔으나 웹 게시판에 올린 실험반 아동의 소감 및 설문조사를 볼 때 사이버가정학습 후 영어에 대한 자신감이 늘었다는 아동이 60%, 흥미도가 높아졌다는 아동이 70%, 영어실력이 많이 늘었다는 아동이 91%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콘텐츠 뿐만 아니라 쪽지기능, 게시판기능, 과제부여 기능, 평가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한다면 아동들의 학습동기와 성취도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학습콘텐츠의 보충 심화 과정 또한 더욱 다양하게 개발하여 아동들에게 부족하거나 필요한 부분을 보충·심화할 수 있게 한다면 아동들의 학습효과를 더욱 높여 학생들의 영어 듣기, 어휘력 및 흥미도 또한 더욱 높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 이후 영어의 어떤 기능이 좋아졌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말하기 능력이 좋아졌다고 생각하는 아동이 19명(63%)으로 제일 많은 것으로 보아 웹을 통한 영어교육이 아동들의 말하기 기능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셋째, 실험기간이 짧고 학교별 수준, 학급의 집단별 특성이 달라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따르므로 실험기간을 좀 더 길게 하거나, 학급의 집단별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많은 집단을 대상으로 아동들의 학급집단의 성격적 요인까지 고려한 연구, 또는 다른 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 같다. 넷째, 인터넷의 영어학습 사이트를 교사가 직접 찾아서 활용한 연구는 많으나 구축된 지 얼마 안 되는 부산사이버가정학습을 이용한 연구논문은 아직 찾아보기가 어려운 것 같다. 웹을 활용한 영어교육의 장점을 살려 학부모에겐 사교육비를 절감할 수 있고 아동들에게는 학업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부산사이버가정학습을 이용한 연구가 많이 나왔으면 한다.

      • 초등영어 리듬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박교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855

        강세 박자 언어인 영어와는 달리, 한국어는 음절박자 언어이다. 원어민의 경우 강세박자 언어의 특징으로 발생하는 리듬을 모국어 습득 과정에서 자연스레 습득하게 되지만 영어를 학습하는 한국인들은 리듬에 대한 체계나 구조적 이해가 부족하여 의사소통에 있어서 여러 가지 장애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두 언어간의 리듬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현재 초등 영어교육에서는 찬트 및 영어노래를 채택하여 교수하고 있다. 그러나 단원의 학습 내용을 암기하기 위해 학습 내용 전달 기능만을 담당하고 있는 현재의 찬트와 영어 노래 중심의 초등 영어 리듬 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강세, 박자 및 리듬을 습득하여 자연스럽게 발화하도록 하는데 그 본질적인 역할을 담당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리듬 교육의 상황을 살펴보고 리듬 교육의 문제점을 찾아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초등 영어교육에 리듬 교육을 활성화하고자 설계되었다.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초등 영어 리듬 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2009 영어과 개정 교육과정 및 교육과학기술부 검정 초등학교 5․6학년 영어교과서를 분석하였으며 셋째, 초등학교 영어 교육 현장에서의 리듬 교육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초등 영어 교사 40명과 초등학생 2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교사와 초등학생의 설문 조사 분석 결과를 리듬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리듬 교수-학습 방법 구안에 반영하였으며 개발된 리듬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듣기능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2009 영어과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교수․학습 방법, 그리고 교과서를 분석함으로써 교육과정 속에서의 리듬 교육의 실상을 살펴보았고 그 결과를 리듬 교수-학습 모형 개발 시 리듬에 관한 다양한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는데 반영하였다. 둘째, 리듬 지도 및 학습 방법에 대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초등학교에서의 리듬 교육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집하였다. 셋째, 선정된 리듬 교수-학습 모형을 수업에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언어 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연구가 미비한 리듬 교육에 대하여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다양한 리듬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미개척지인 연구 분야에 따르는 미비점이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하는 바이다. 첫째, 학생의 흥미 및 수준에 맞는 좀더 구체적인 리듬 성취요소 및 기준이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생들이 리듬 습득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내용 및 교과서 개발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교과서에 리듬 요소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리듬 습득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생들에게 빈도수를 늘려 지도하여야 한다.

      • 초등영어교육에서 문화지도 실태에 관한 연구

        박혜정 대구敎育大學校 2001 국내석사

        RANK : 249855

        외국어 교육의 가장 큰 목표는 그 언어를 습득하여 원활하게 의사소통하는 것이다.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언어기능 뿐만 아니라 그 언어가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문화 배경을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나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는 언어기능의 습득은 중요시되는 반면 문화지도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 문화지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Ⅱ장에서는 문화의 개념 및 언어와의 관계, 외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의의 등을 살펴 외국어 학습에서 문화적인 배경의 이해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보고, 성공적인 문화교육은 의사소통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Ⅲ장에서는 현재 초등학교 영어권 문화교육의 실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먼저, 현재 초등학교에서 사용중인 교과서 4종을 택하여 문화내용을 분석하고 초등학교 교사들의 영어권 문화에 대한 의식 및 이해도, 초등학생들의 영어권 문화 이해 정도를 알아보았다. 이상의 연구로 얻어진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 문화지도의 실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각 교과서마다 사회·문화적 주체의 비중이나 제시 순서에 차이가 있다. 그러나 4종의 교과서 모두 사회적 관례 영역이 편중되어 나타났으며 그 내용수준 또한 피상적이다. 둘째, 교과서에 영어권 문화에 대한 소개가 미흡했다. 대부분이 보편적인 상황이며 몇몇 영어권 문화에 관한 소개는 영국과 미국에 치우쳐져 있다. 셋째, 초등학교 영어 담당교사들의 문화 의식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자신들의 지식이 문화교육을 하기에는 부족하며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문화 내용이 불충분하다고 느끼고 있다. 넷째, 교사들은 문화교육의 목표와 그 중요성을 분명하게 인지하나 매체나 방법의 부족으로 인해 문화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섯째, 교사와 학생 모두 영어권 문화에 대한 이해 정도가 낮다. 이것은 초등학교에서 문화에 관한 지도가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앞으로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사회·문화적 상황 제시, 비율의 적절성이 반영이 될 뿐만 아니라 초등학생에게 적절한 형태의 문화지도가 이루어 질 수 있는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학생들이 체계적으로 영어권 문화를 접하고 우리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과서 내용에 영어권 문화와 우리 문화를 함께 제시하여야겠다. 그리고 그 범위도 영국과 미국뿐만 아니라 영어를 사용하는 다른 지역의 문화로 확대하여야겠다. 셋째, 초등학교 영어 담당 교사들의 영어권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이 부분에 대한 연수의 질적·양적 향상이 있어야겠다. 넷째, 초등학생에게 맞는 문화지도를 위해 적절한 보조자료와 다양하고 실제적인 교수 방법의 개발이 있어야겠다. Learning a second language means improving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understanding socio-cultural backgrounds. But in Korea, the English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has neglected socio-cultural backgrounds in British or America.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arget-culture teaching is currently carried out in the English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offers some suggestions to take in the future. First, in Chapter Ⅱ, we examine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background understanding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culture, the relation of language and the meaning of the cultural education in EFL. In Chapter Ⅲ, we investigate the current actual conditions for the cultural education in a concrete way. First of all, we analyze four sorts of English textbooks used in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and als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ciousness of the target culture, their degree of comprehension an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rehension degree for English cul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analyzing the English textbooks, each textbook has differences in the proportion of the socio-cultural theme sorts and their orders of presentation. But all of the four sorts of textbooks preferred the social customs in the socio-cultural theme and it's level was also superficial. Second, the introduction of the target culture is insufficient in the most textbooks. Most of them were universal situations, and some of them had the strong inclination toward British and American cultures. Third, in the investigation of the teachers' target culture consciousness, most teachers felt that their knowledge, the cultural contents presented in textbooks, and guide books for them were insufficient in teaching cultures. Fourth, although teachers recognized the purpose of the target culture teaching and its importance, the target culture teaching has not been so successful due to the shortage of materials and methods. Fifth, both of teachers and students have low degree of the target culture understanding. And this also caused the same result right above. So, we suggest as follows; First, textbooks and guide books for the appropriate cultural teaching, as well as the presentation of various socio-cultural situations at the proper rate are needed. Second, the Korean culture and the target culture should be contained together in the textbooks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our culture and contact the target culture systematically. And, in addition to Britain and America, the range should be expanded to the other country where English is spoken . Third, the trainings for teachers on this subject should he increased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arget culture. Fourth, the appropriate supporting materials and the various practical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needed.

      • 초등영어 학습에 있어서의 문화지도 방안 연구

        김희중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 교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언어기능과 문화내용을 통합한 영어학습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 문화지도가 영어능력과 영어학습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문화교육의 필요성 및 방법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피고, 7차 교육과정의 언어 재료로서의 문화 영역과 언어 소재의 내용, 말하기, 읽기의 성취기준을 근거로 문화지도 성취 기준과 그에 따른 지도 내용을 추출하였다. 또한 이 성취기준을 토대로 수업모형을 설계하고 초등학교 4학년 아동들에게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파주시 광탄면의 S초등학교 4학년 중 사전 듣기능력, 말하기능력의 평가와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도, 문화 이해도 그리고 정규 수업 외의 영어학습을 하고 있는 실태 등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동질성이 검증된 두 집단을 선정하여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나누었다. 실험반은 언어와 문화내용을 통합한 수업을 실시하고 비교반은 일반적인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을 하였다. 실험기간은 8월23일부터 10월 31일까지 총 10주 동안 5단원의 20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대해 아동들의 언어 능력과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 및 문화 이해도 측면을 검증하였는데, 영어능력의 평가는 지필평가와 수행평가 형식으로 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영어에 대한 흥미도 및 문화 이해도는 설문조사 결과를 백분율로 비교하였다. 검증결과 체계적인 문화학습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듣기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말하기 능력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지만 비교반에 비해 높은 점수를 얻었다.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문화 이해도에서도 실험반이 실험전과 비교하여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와 문화내용을 통합한 수업이 의사소통 중심의 일반적 수업보다 듣기 능력향상에 효과가 있었고 말하기 능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실험반의 평균이 비교반 보다 더 높은 것으로 보아 영어학습에 문화내용의 통합 지도가 아동들의 듣기, 말하기의 언어 능력 신장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이는 문화내용이 아동들에게 학습에 대한 관심을 모을 수 있는 동기유발 요인이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언어와 문화내용이 통합된 언어재료는 보다 의미있는 학습과제가 될 수 있어 위와 같은 결과를 가져왔다고 해석된다. 둘째, 언어와 문화내용을 통합한 수업은 의사소통 중심의 일반적인 수업에 비하여 흥미도 면에도 매우 효과적이었다. 이는 문화내용 자체가 흥미있을 뿐 아니라 아동들 스스로 자료를 조사하고 찾는 과정에서 학습에 대한 기대를 하게 되고 의미있는 문화내용의 언어활동이 학습의 흥미를 고취시킨 것이라고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들은 영어학습에 있어서 문화지도는 앞으로 아동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언어기능 못지 않게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하고 있는데 효과적인 문화지도를 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 같다. 첫째, 교재에 있어서 영어 상용국들의 문화를 골고루 소개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하고 문화 내용도 필수 내용과 부수적인 내용이 구분이 되어져야 하며 아동의 발달 단계에 맞는 내용의 체계가 갖추어 져야 하겠다. 둘째, 교육현장에서 실제로 활용 될 수 있는 유효한 교수방법들이 학습자의 수준과 학습내용에 맞추어 모색되고 적용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초등영어를 담당하는 교사들은 영미문화에 대한 통찰력을 키우기 위한 시도를 끊임없이 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독서나 시청각 교구를 통한 실제 상황의 간접적인 경험으로 영미문화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교사의 교육이나 재교육과정에 문화교육에 대한 비중을 높여 중요성을 인식시켜야 하며 여건이 허락 되는대로 현장연수의 기회를 넓혀 현지의 문화를 체감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고 본다. 셋째, 본 연구는 실제 수업에 적용한 기간이 짧아 실험처치의 효과가 미흡하고 평가 문항도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출제하여 신뢰도에 있어 제한적이나 문화학습 성취 기준에 따라 문화지도를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하려고 시도한 점은 의의가 있다고 보며 이러한 문화학습에 대한 내용과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초등영어 교육에 활용되도록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grope about the method of integrated English learning in language function and culture contents and to verify influences on English competence and the interest in learning.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necessity and the way of teaching culture and make achievement standards of teaching culture based on the scope of culture materi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speaking and reading of the 7th curriculum. On the basis of the moderated achievement standards, a teaching model was designed and applied to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detail. Subjects of the study was two homogeneous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selected by pre-post test of speaking, listening and questionnaires for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comprehension in culture and extracurricular in English.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through integrated syllabus in language function and culture contents. The comparison group was taught through communication-based syllabus. The period of the study was in 10 weeks from the 23th of August to the 31th of October, for 5 units in 20 period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was focused on language competence, the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and the comprehension of culture. The paper was used for language competence. Performance assessment for percentage statistics, the test of interest and the comprehension questionnaires for percentage statistics were utilize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listening test. In speaking test, the mea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The score of interest and comprehen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too.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e conclusion were drawn as follows. First, integrated teaching in language and culture contents was more effective than communication-based teaching. although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speaking test. The result that the mean score of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comparison group, integrated teaching in language and culture contents implied the affirmative effects on the competence of listening and speaking. This means that culture contents should be a primary factor for students to have an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Accordingly integrated materials in language and culture contents should be meaningful tasks. Second, integrated teaching in language and culture contents was more effective than communication-based teaching on students' interest. This means that culture contents were interesting, and language activities for meaningful culture contents inspired students to have interest in language learning.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conclusions, culture is a very important element in English education and an effective of culture needs some devices. First, A lots of contents for culture education about America and other countries should be developed focused on for students' developmental stages. Second, proper teaching methods including culture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Elementary English teachers should constantly attempt to raise the insight about England and American culture. For this, they should have many indirect experiences through reading and audio-visual teaching aids, and there should be in-service training courses about culture education and chances for teachers to experience real culture. Third, this study had short term in application, the effect of experiment might turn out insufficiently, and test might have restrictions because that made from learning contents. But, the trial to teach culture contents according to culture achievement standards must have meaning. After this study, I wish that it will come into use about cultur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