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사회과 탐구 수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초등 교사들의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이석수 대구교육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사회과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 특징과 인식의 발생 맥락을 분석하고, 그것을 토대로 초등사회과 탐구 수업의 문제점의 근원을 찾아서, 초등 사회과 교육에 적합한 탐구 수업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회과 탐구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그 발생 맥락의 조사는 2차에 걸친 설문지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과 탐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행 특징을 종합해 보면, 탐구 수업이 사회과 학습 목표 도달을 위해서 가장 바람직한 학습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실행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같은 인식과 실행의 차이는 본인은 탐구 수업을 거의 하지 않지만, 다른 교사들은 자신보다 탐구 수업을 많이 할 것으로 인식하는 것에서 잘 알 수 있었다. 인식과 실행의 차이로 교사들은 여건만 갖추어 진다면 사회과 수업을 탐구 수업으로 하겠다는 인식이 강하였다. 사회과교육과 탐구의 관계에 대한 인식의 긍정성에도 불구하고, 탐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 못하는 이유를 내․외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내적 이유는 탐구에 대한 이해 부족이며, 외적 이유는 교육의 시스템과 교육 문화 문제이다. 내적 이유를 구체적으로 보면, 탐구의 목적인 학문의 구조(원리, 기본개념)에 대한 이해 부족이 가장 근원적이다. 이로 인해 가설 구성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가설의 올바른 구성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탐구의 핵심인 가설과 올바른 가설로 이끄는 학문의 구조에 대한 이해 부족이 초등학교 사회과 탐구 수업을 탐구답지 않게 만드는 핵심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외적 이유를 구체적으로 보면, 입시 위주의 교육 풍토로 인해 초중고를 거치면서 탐구다운 탐구를 해 보지 못한 것과 교육대학에서도 여전히 이론 위주의 탐구 수업을 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비탐구적인 교과서와 평가가 탐구를 가로막는 또 다른 요인이 되고 있다. 이 같은 문제점 이외에도 올바른 탐구 수업을 가로막는 현상과 요인들이 있다. 하나는 탐구의 목적보다 탐구 절차에 초점을 맞춘 수업이며, 다른 하나는 한 시간 안에 탐구의 모든 절차를 끝내고자 하는 것이다. 이 같은 경향은 탐구에 대한 교사들의 부정확한 이해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그 같은 탐구를 요구하는 장학 환경이 보다 큰 원인이다. 한편, 교사들은 가설과 같은 추론적 인식은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되는 초등학생들에게는 어려운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교사들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3, 4학년의 자료 조작 중심 탐구가 초등학생들에게 바람직한 탐구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이 사회과 탐구의 문제점 요인들과 초등학생들의 발달 단계, 학습의 기본 양식 육성이라는 초등교육의 특성으로 볼 때 ‘문제제기-가설 구성-자료 수집-자료 분석 및 해석-결론-일반화’라는 과정을 거치는 탐구가 초등학생들에게 적합한지는 진지하게 검토되어야 한다. 학생들의 발달 단계를 고려할 때, 자료 관찰, 자료 분석, 자료 해석과 같은 자료 조작 중심의 탐구가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이 대안은 비탐구적인 사회교과서의 문제와 탐구 준비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의 과다뿐만 아니라 진도 맞추기의 어려움도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다. 또한, 교사의 탐구 자질 문제에도 벗어나, 초등학생들 수준에 적합한 사회과적 탐구를 안내할 수 있다.

      •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반영된 인구교육 내용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혁 광주교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반영된 인구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고, 향후 인구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고령화 속도에 따른 인구 문제를 안고 있다. 인구 문제는 짧은 시간 내에 해결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장기적인 노력과 대책이 필요하기 때문에 학교 교육의 효과성이 재조명받고 있다. 학생들이 학교 인구교육을 통해 가족친화적인 가치관을 형성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동안 인구교육과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아직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반영된 인구교육 내용을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사회과 교과서에 반영된 인구교육 내용을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양적 분석에서는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제시된 인구교육 내용의 대영역별 분량과 비율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Ⅰ.인간 존중(47, 37.89%)’, ‘Ⅱ.가족(42, 33.87%)’, ‘Ⅲ.인구(34, 27.42%)’, , ‘Ⅳ.복지(1, 0.81%)’ 순으로 인구교육 내용 체계의 모든 영역을 다루고 있었으나, 복지 영역의 분량 비율이 현저히 낮게 드러났다. 그리고 학년별 내용 분량을 살펴본 결과 3학년은 42쪽, 4학년은 33쪽, 5학년은 39쪽, 6학년은 10쪽 정도로 인구교육 내용이 대체적으로 3∼5학년 교과서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질적 분석에서는 인구교육 내용의 대영역별 내용적인 특징과 경향을 살펴보았다. ‘Ⅰ.인간 존중’ 영역에서는 인권과 평등에 대한 내용을 주로 다루며 친인권적인 태도 형성을 위한 긍정적 서술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Ⅱ.가족’ 영역에서도 가족의 의미와 변화 및 결혼 관련 내용을 다루며 가족친화적인 가치관 형성을 목적으로 한 긍정적인 서술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Ⅲ.인구’ 영역에서는 인구변동 및 저출산·고령화 현상을 다루고 있었는데, 저출산·고령화와 관련한 내용은 서술 형태에 있어 일부 부정적인 시각이 드러났다. ‘Ⅳ.복지’ 영역에서는 가족친화 정책과 고령친화 정책에 대해 간단하게 언급하는데 그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인구교육 내용 선정과 서술의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복지’ 영역 관련 인구교육 내용 분량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현재 인구교육 내용의 대영역별 내용 비율 중 ‘복지’ 영역은 1% 미만으로 학생들이 인구 관련 복지 제도를 정확히 이해하기에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가족친화 정책 및 고령친화 정책과 관련된 다양한 복지 제도의 필요성과 활용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6학년 교과서의 인구교육 내용 비중을 늘릴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행 초등사회과에서의 인구교육은 주로 3∼5학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인구 문제는 우리나라에만 국한되어 발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세계적 차원에서도 다룰 가치가 있다. 따라서 세계시민교육과 연계한 인구교육 내용을 6학년 2학기 세계 관련 단원에 반영한다면 3∼6학년으로 이어지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인구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친인권적 서술이나 가족친화적인 가치관 형성을 목적으로 한 긍정적인 서술 태도는 바람직한 민주 시민의 양성이라는 사회과교육 목표에 비추어 국가 및 개인 수준에서 모두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저출산·고령화 현상에 대한 부정적인 서술 형태는 개인과 사회의 가치관의 충돌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의도한 교육적인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저출산·고령화 현상을 사회 문제로 바라보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내용으로 서술할 것인지, 사회의 한 현상으로 바라보며 사회 변화에 대한 준비 내지 대응을 위한 내용으로 서술할 것인지 교과서 서술에 있어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는 교육부 고시 제2019-195호에 따라 2022년도부터 검정으로 전환되는 사회과 교과서 개발에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인권교육의 글로벌 동향에 따른 2009개정 초등 사회과 내용 분석

        박윤정 서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855

        This study is a content analysis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s and textbooks according to global trends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global trends of human rights education, this study researched the human rights education under the UN leadership, the human rights education of Non Governmental Organization, and human rights education status in foreign countries. With the implications earned from these researches, the analysis framework was set by reconstructing the factors of human rights education's content which was suggested by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Also compared the results with 2015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suggested improvement points. The subject of the analysis were the 2009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2009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of 3rd to 6th graders were analyzed. And the textbook of 2nd semester of 5th grade and 1st semester of 6th grade were excluded, because they are all composed with Historical area. The analysis result for the 2009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included the education for human rights the most. Education about human rights took next place and the education through human rights was the least. This means the curriculum includes functional aspects of the human rights education the most and does not include much about participation. Second, the proportion of each area was uneven and concentrated in the area of values and attitudes of the respect of human rights. The area of values and attitudes of the respect of human rights accounted for 33.3%, analysis and solving problems of human rights accounted for 25%, a fundamental concept of human rights accounted for 20.9%, participation and action in human rights accounted for 12.5%, laws and system of human rights accounted for 8.3%. In the textbooks analysis, detail of the categories, areas and content elements were analyzed. Among the 278 classes, 44 classes included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2009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which is 15.8% of the total. The result of the 2009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for human rights was the highest, accounted for 55.5%, followed by education about human rights accounted for 30.2% and education through human rights accounted for 14.3%. Through this result, we can understand that human rights are mainly dealt with the functional aspect of human rights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department, and that the area of analysis and settlement of human rights issues and values and attitudes of respect for human rights are dealt with the most. Second, the propor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instruments and laws such as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nd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were low. The human rights education system chart created by the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OHCHR) includes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nd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which means that it’s an appropriate cont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the cases were focused on the cases of human rights violation of all people, rather than on the cases related to children's daily life. The human rights violation of all the people took 49.9% which was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the human rights violation of children/teenagers, which took 28.6%, and lastly, human rights violation of minority took 21.5%. There is a need for the children/teenagers human rights violation cases to be included in the textbooks more than now. Also, usually the international cases were less dealt more compared to the domestic cases, which increase of international cases are needed to foster the global citizen living in a global community. Fourth, the contents and methods in order to lead the actual participation of the learners were hardly suggested. Most of the problem situations and the methods of participation could not arouse the sympathy of the young learners. Therefore, various methods should be suggested such as easy ways to participate, so that the young learners can sympathize and participate in their real life. Fifth, the contents of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were limited than the content dealt in foreign countries. In foreign countries, they teach that as my rights are important, the other people's rights are also important so that there are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to respect and protect those. But in the textbooks of Korea, the contents of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were just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people's obligations and connecting the rights and obligations in a line. Sixth, the distribu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contents analyzed by grade level, 6th grade accounted for 50% which was the highest, followed by 31.7% for 4th grade, 10.4% for 5th grade and 7.9% for 3rd grade. As the 5th grade is an upper grade, it needs to include more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case of the 3rd grade, there are many components that they do not include. This does not suit to the global trends of the human rights education which the contents of human rights are taught in lower grades. Based o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poses are as follows. First, the systematic study about human rights education is needed. Second, the study for the cases of human rights violations and participations in the daily life of the learner are needed. Third, the human rights training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for the teachers. 본 연구는 인권교육의 글로벌 동향에 따른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인권교육 내용에 관한 분석 연구이다. 인권교육의 글로벌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UN 주도 하의 인권교육, 국제비정부기구들의 인권교육, 그리고 외국의 인권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얻은 시사점을 가지고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제시한 인권교육 내용요소를 재구성하여 분석틀을 마련하고, 2009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또한 2015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비교·분석하여 앞으로 개선되었으면 하는 점을 제안하였다. 분석 대상은 2009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이다. 3~6학년 교육과정과 교과서로 선정하였고, 5학년 2학기와 6학년 1학기는 모두 역사영역으로 이루어져 있어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교육과정은 범주와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을 위한 교육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다. 인권에 대한 교육이 그 뒤를 따르고 있으며, 인권을 통한 교육이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즉, 인권에 대한 기능적인 측면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으며, 참여에 대한 부분은 비중이 낮다. 둘째, 영역별 비중이 고르지 못하고 인권 존중의 가치·태도 영역에 집중되어 있다. 인권교육의 영역별 비중을 살펴보면, 인권 존중의 가치·태도 영역이 33.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인권 문제의 분석·해결이 25%, 인권의 기본 개념이 20.9%, 인권 친화적 참여·실천이 12.5%, 인권에 관한 법과 제도가 8.3%를 차지하고 있다. 교육과정에서는 범주와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면, 교과서에서는 범주와 영역 그리고 내용요소까지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2009개정 초등 사회과 3~6학년 교과서의 전체 278차시 가운데 인권교육을 다루고 있는 부분은 44차시로 전체의 15.8%로 분석되었다. 교과서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을 위한 교육이 55.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인권에 대한 교육이 30.2%를 차지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인권을 통한 교육이 14.3%를 차지하고 있다. 초등 사회과에서는 인권의 기능적인 측면을 주로 다루고 있으며, 인권을 위한 교육에 포함된 인권 문제의 분석·해결과 인권 존중의 가치·태도 영역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다. 둘째, 세계인권선언, 아동권리협약과 같은 국제 인권문서와 법의 비중이 낮다. UN의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에서 작성한 인권교육 체계도에는 세계인권선언과 아동권리협약이 초등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한 지도 내용으로 제시되어 있고, 현재 영국이나 미국의 인권교재에서 교육 내용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으로 보아 충분히 우리나라 교과서에 반영될 수 있는 내용요소라고 생각된다. 셋째, 아동의 일상생활과 연관된 사례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기 보다는 모든 사람의 인권 침해 사례를 주로 다루고 있다. 모든 사람의 인권 침해 사례가 49.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아동/청소년의 인권 침해 사례가 28.6%를 차지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소수자의 인권 침해 사례가 21.5%를 차지하고 있다. 아동/청소년의 인권 침해 사례를 교과서에서 더욱 많이 다룰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국내 사례에 비해 해외 사례가 많이 다루어지지 않는데, 글로벌 지구촌 사회에서 살아가는 글로벌 시민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해외 사례를 더욱 늘려야 한다. 넷째, 학습자들의 실질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내용과 방법이 거의 제시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문제 상황과 참여 방법으로 제시된 내용들이 어린 학습자들의 공감을 이끌어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참여의 상황을 제시하고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책임과 의무의 내용은 해외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보다 제한적이다. 해외의 경우 나의 권리가 소중하듯이 타인의 권리도 소중함을 알고 이를 존중하고 보호할 책임과 의무가 있음을 지도하는데, 우리나라 교과서에서는 국민의 의무에 대한 소개와, 권리와 의무를 찾아 연결하는 정도의 활동으로 책임과 의무의 내용을 제한적으로 다루고 있다. 여섯째, 인권교육 내용의 학년별 분포도를 봤을 때, 6학년이 5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그 뒤를 이어 4학년이 31.7%, 5학년이 10.4%를 차지하고 있으며, 3학년이 7.9%로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5학년은 고학년인데도 불구하고 비중이 낮은 점은 개선이 필요하다. 3학년의 경우 다루지 않는 내용요소가 많아서 저학년부터 인권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인권교육의 글로벌 동향에 맞지 않는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제언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학습자들의 일상생활 속에서의 인권 침해 사례와 참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 연수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

      • 초등사회과의 사회참여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손경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그 동안 초등사회과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여겨져 왔던 사회참여 교육에 대하여 살펴보고, 현재 초등사회과에서의 사회참여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후 개선점을 찾아 앞으로 현장에서 사회참여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사회과의 목표로서 시민성 교육, 시민성 함양을 위한 참여, 사회참여 교육에 대한 이해로서 사회참여 교육의 의미, 사회참여 교육의 특징과 필요성, 사회참여 교육의 유형, 사회참여 교육의 과정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교육과정 분석을 실시하여 사회과 교육과정과 현재 사회교과서에 들어있는 사회참여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학년 별로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사회과에서의 사회참여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사회문제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사회문제를 좀 더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지만 실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참여하는 교사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올바른 가치관 확립,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학생의 책임의식 신장, 학생에게 사회참여에 대한 내적인 동기 부여를 위하여 초등사회과에서 사회참여 교육이 필요하며, 앞으로 사회참여 교육을 실시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현재 초등사회과에서 사회참여 교육의 실시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제 7차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는 사회교과서 속에 들어있는 사회참여 교육 내용의 양과 사회참여 교육 내용의 소재는 적당하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학교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사회참여 교육 방법으로 매체에 글쓰기, 캠페인 활동하기, 서명 운동에 참여하기, 시민단체의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자원봉사 활동하기, 설문조사활동하기, 모금 활동하기 등이 적합하다고 응답하였다. 여섯째, 초등학생들의 사회참여 교육에 대한 흥미는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참여 교육에 대한 참여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들을 바탕으로 초등사회과에서 사회참여 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참여 교육이 활성화되고 발전되기 위해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우리사회에서 사회참여를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참여 교육에 대한 목표와 내용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시킬 수 있도록 교사를 대상으로 사회참여 교육에 대한 연수를 확대 실시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들의 사회참여 교육 실천을 위한 수업 시간의 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특별활동 영역의 봉사활동 시간과 연계한 사회참여 교육 실시 방안을 제안해 본다. 넷째, 앞으로 개정되는 교과서 속에 학년 간 수준을 고려한 사회참여 교육 내용과 학생들이 흥미 있게 참여할 수 있는 내용을 첨가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사회참여 교육 방법에 대한 세심한 지도가 필요하다. 여섯째, 학생들과 함께 시민단체의 활동에 참여하거나 단체들을 학교 안으로 들여와 함께 사회참여 교육을 실천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일곱째, 교육청 차원에서 사회참여 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 지역사회 기관이나 단체의 지원 등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사회과에서 사회참여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다소 포괄적으로 조사하였다. 보다 구체적이고 맥락적인 수업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회참여 교육을 실천하는 교사들의 실행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고, 사회참여 교육에 대한 수업과 수업 일지 등을 통한 분석이 후속연구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importance of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ourse by investigating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current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improvements to be made; thereby, provide directions for the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which was the basis of which this research was progressed on. For this research, through the theoretically studies, the social studies department's goals of the public education, participation for public training, and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were understood; hence, the meaning of the social particip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necessities of the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the types of the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the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were explored. Moreove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 process, the current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any relatable contents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e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were organized by different grade levels. Lastly, the elementary level social studies department's teacher's thought and attitude on the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result looks like the following. First, the teachers show concern and interest on the social dilemma. They use various media for further understanding on the problem; however, there is a lack of participation when it comes to actually solving the problem. Second, the establishment of student's values, student's realization of the responsibilities as a part of the social community, and the an inner motive for social participation for students are required, and the teachers have responded to implement the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for the students. Third, the current elementary level social studies curriculum shows lack of teaching towards social participation. Fourth, they responded that the Seventh Curriculum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 carries appropriate amount of content and depth of social participation. Fifth, they responded that appropriate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activities that can be practiced within the school premise are writing to the media, holding a campaign, practicing voting, participating in citizen body programs, doing volunteer work, conducting surveys, holding a fund-raising and etc. Sixth, elementary students displayed a relatively high interest towards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however lack of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involvement rate. With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as the background,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department provides the activation methods of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as follows. First, before the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can be implemented, there needs to be a change in the way the social participation is perceived in our current society. Second, the expanded training for the teachers has to implemented in order for them to clearly understand the content and the goals of the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Third, as one of the ways to resolve the shortage of class time for practicing the teacher's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the method of implementing the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special activity sections of the voluntary activities is proposed. Fourth, in the future revision of the textbooks, the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content that considers different grade levels and that studentscan participate with interest should be inserted. Fifth, a careful guidance is needed for the method of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for the students. Sixth, it would be a good way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activities with the students or bring the community groups to the school to implement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with the students. Seventh, the support for the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from the school board, regional social organizations or groups is needed. In this research paper,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with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department. In order to grasp the meaning of the detailed and coherent class, active research on the teachers who implement the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has to be followed, and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done on the analysis of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class and the class logs.

      •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지역 박물관을 활용한 학습방안 연구 : 제주교육박물관을 중심으로

        고홍자 제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855

        지역의 문화는 해당지역의 오랜 역사를 배경으로 전통적 기반 위에서 성장하고 발전하는 것이다. 문화와 전통은 지역주민들이 오랜 세월 동안에 축적해 온 생활양식과 의식구조 등을 반영한 결과로서, 과거와 현재 나아가 미래를 일관하는 지역적 특성 혹은 공동체 의식으로 자리잡는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전통과 문화를 올바르고 가치 있게 이해하고 재창조하는 노력은 곧 현대의 문화활동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지역주민들이 문화활동의 일환으로서 혹은 학교교육과 관련된 사회과 학습이나 역사학습에 중점을 두고 박물관을 찾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각 지역마다 학생들에게 전통문화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동시에 그 가치를 이해시키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학교에서 행해지는 수업내용의 일부를 보충하거나 정해진 횟수의 현장학습을 소화하는 정도에 그치는, 그야말로 아주 소극적인 차원에서 박물관을 찾는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학교교육의 현실을 개선해 보고자 하는 취지에서 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전통과 문화의 산실인 지역 박물관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렵거나 생소하게 느낄 수 있는 전통문화에 대하여 친근감을 가지고 흥미롭게 학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논의의 흐름은, ① 초등 사회과와 지역 박물관 학습과의 관련성 ② 제주교육박물관의 현황과 박물관 학습 ③ 제주교육박물관을 활용한 학습방안의 제시 라는 세 가지 대주제를 토대로 하여 전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었던 지역 박물관을 활용한 학습방안은 개별화 과제 선택학습, 소집단 주제 협동학습, 박물관 현장학습의 세 가지 형태로 구안하여 접근하였으며, 지역 박물관의 사례로서는 ‘제주교육박물관’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핵심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사회과와 지역 박물관 학습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제주도에서는 사회과 교과서의 단원 중 ‘경제’와 ‘정치’를 제외한 거의 모든 단원이 지역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여러 가지 자료와 깊게 관련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초등학교 사회과 학습이 지역 박물관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학생들이 학습할 단원과 지역 박물관의 자료(인쇄자료), 전시물, 학습방법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전개한다면, 결과적으로 사회과의 학습능력이나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는 한층 더 향상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둘째, 제주지역의 박물관은 제주의 특수한 자연환경을 이용했던 생활모습과 전통적인 문화양식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다양한 전시물은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고장생활의 변천이나 지역의 역사 및 문화적 특성과 관련된 학습주제를 소화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지적할 수 있다. 특히, 제주교육박물관은 교육전문 박물관으로서 초등학교 학생들이 아주 쉽게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는 전시형태와 전시물들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학습활동을 하는 데는 비교적 좋은 환경이라고 지적할 수 있다. 셋째,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제주교육박물관 현장학습 방안은 학습형태별로 검토·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개별화 과제 선택학습 방안은 학습능력, 학습속도 및 흥미도에 따라 스스로 학습내용과 박물관 유물을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점이 매우 유효하였다. 나. 소집단 주제 협동학습 방안은 학생들이 박물관 전시물을 활용한 학습주제를 함께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한층 더 학습능력을 높일 수 있었다. 다. 박물관 현장학습은 교사의 주도 하에 개별적으로 또는 소집단끼리 박물관 현장학습을 실시한 후에, 여러 가지 체험활동을 다양한 표현방법에 의해 다가서는 학습방법이 훨씬 창의적이었으며, 동시에 기존의 학습방법에 비하여 학습목표를 달성하는 데도 보다 효율적이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초등사회과에서 지역 박물관을 활용한 학습방안은 전통문화와 지역적 특성을 이해하고 안목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 박물관의 전시물이나 자료 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현장학습을 시행한다면, 지역의 전통문화와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변화를 이끌어내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박물관을 활용한 학습이 학교교실과 연계되어 살아있는 현장수업으로 대체할 수 있는 학습기회를 교사 스스로가 많이 만들어야 한다. 둘째, 초등 사회과 학습은 교과 특성상 교과서 중심의 학습을 과감히 탈피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교사들은 수업현장을 교실 밖이나 학교 밖으로 자주 옮기려는 기본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셋째, 지역 박물관에서는 학생들의 학교수업과 관련하여 유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시자료나 인쇄 자료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와 더불어, 가능하다면 학생들이 실제로 체험하거나 시연해 볼 수 있는 학습공간(장소)이 갖추어져야만 보다 효율적인 박물관 학습이 실행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렇기 때문에, 초등학교 학생들에게는 박물관의 구조나 전시물을 중심으로 하여 상세한 설명이나 안내를 해 줄 있는 교육 전문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Local culture can be developed, based on a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The effort to understand and create the tradition and culture can be placed on the modern literary activity. Nowadays museums are frequently visited, for educational purpose, social study or history. However, in the real situation, museums are visited only for the passive purposes of supporting classes or field tr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reality of school education by helping children feel enthusiastic and take interest in local culture which they are unfamiliar with through local museums. The major topic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ocial study and local museums ■ design of program for field trip to museums ■ suggestions of learning methods through Jeju Educational Museum The main learning methods through local museums, designed in this study, include individual assignment work, cooperative learning by small groups and field trips to museums. Jeju Educational Museum is selected as an example.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rranged as follows; Fir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ocial study and local museums is analyzed. The analysis shows that almost all the lesson units except "economics" and "politics" have deep relationships with the materials owned by local museums. Secondly, it can be said that the museums in Jeju represent a life style of overcoming difficulties with natural environment and the traditional cultural style. And the various exhibits can be sai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students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e and the learning subjects related with history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community. Lastly, the method of practical use of Jeju Educational Museum is surveyed and analyzed, based on the third yea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The individual choice of assignment work is very effective by letting students choose their own assignment task according to students' own interest, ability and development. B. The cooperative study by small groups can be more effective by letting students solve problems cooperatively through the exhibits. C. The practice of field trips should be put into by individuals or small groups under the control of teachers so that students can approach and understand the subjects through their own experience. At the same time this method is much more effective than existing ones. In summary, learning methods in elementary social study through local museums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local culture and the community, widening students' judgement. Therefore, the effective use of the exhibits or materials in local museums can be expected to bring us a good result in the change of cognition of the community. The suggest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ore opportunities to use local museums should be given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classroom education. Secondly, the learning method centered by textbooks should be avoid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eachers should try to give students more opportunities for field trips. Lastly, local museums should provide visitors with as many exhibits and printed materials as possible. If possible, they should provide visitors with experiencing places so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and try the traditional culture they acquired. Especially some experts who can give elementary schoolers explanations of the exhibits and guidance should be provided.

      • 초등 사회과 국제이해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김미영 광주교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855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measures to improv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IUE) in the educational field by covering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areas,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IUE in Society subject in primary education and by understanding problems through analysis of contents of IUE.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contents that UNESCO presented for comparison and analysis of contents of IUE in Society subject from Year 3 to Year 6. In addition, it is not an empirical study on how IUE is performed in the educational field in schools. For this study, firstly, the author presents consideration on theoretical background such as purposes and contents of IUE in Society subject of primary school with general aspects of IUE such as its concepts, areas, purposes and contents and then analyzes the system of curriculum of IUE of Society subject in primary education in order to discover current situation of IUE. In addition, this study extracts units related to IUE from Society textbooks in primary schools, and analyzed the units by dividing them into education on UN and its professional institution, other countries, human right, and environment. Along with this, as a result of analyzing problems in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measures to improve IUE in Society subject in primary schools, the author believes that we can achieve our anticipated results by carrying out IUE through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IUE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Matters that we should consider in designing teaching and learning IUE by extracting topics from education on UN and its professional institution, other countries, human right, and environment are restructure of selective contents according to students' interest, contents that can be easily seen and found around us, various case-centered activities and experiences for students rather than simple explanation given by teachers, and development of not only knowledge and understanding but also function and attitudes. With this, experts and scholars sh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IUE and form a network applying e-mail and internet among teachers in the educational field, which will help to improve IUE if we share the contents and methods on IUE. 본 연구는 초등 사회과 국제이해교육의 영역 및 내용 그리고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현재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국제이해교육의 내용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국제이해교육을 개선하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는 3학년~6학년 초등 사회과의 국제이해교육 내용에 대한 비교 분석만을 유네스코가 제시한 내용으로 한하여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어떻게 국제이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아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먼저 국제이해교육의 개념과 영역, 국제이해교육에서 추구하는 목표와 내용 등 국제이해교육 전반과 초등 사회과에서의 국제이해교육의 목표와 내용과 같은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국제 이해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초등 사회과 국제이해교육의 교육과정 체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초등 사회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국제이해교육 관련 단원을 추출하고 유엔 및 그 전문기구에 대한 교육, 타국에 대한 교육, 인권교육, 환경교육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더불어 초등학교 사회과 국제이해교육의 개선 방안에 대한 소개와 실행에 있어서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국제이해교육의 개선 방향과 교수·학습 방법을 통해 국제이해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에 유엔 및 그 전문 기구에 관한 교육, 타국에 대한 교육, 인권교육, 환경교육에서 주제를 추출해 국제이해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을 설계하였는데, 고려해야할 점은 학생들의 흥미나 관심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내용을 재구성해야 하며 생활 주변에서 쉽게 보거나 찾을 수 있는 내용이어야 하며 교사의 단편적인 설명보다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사례 중심의 활동과 경험이 가능하도록 지도하며 지식·이해적 측면과 더 나아가 기능·태도면도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와 함께 전문가와 학자들이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교육 현장의 교사들이 이메일과 인터넷 등을 활용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국제이해교육에 관한 내용과 방법들을 공유한다면 국제이해교육의 개선에 보다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초등사회과 협동학습이 다문화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바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 협동학습구조가 초등학생의 다문화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 연구이다. 사회과교육이 추구하는 행동목표인 지식, 이해, 기능, 가치‧태도, 참여 영역의 특징을 고려할 때 협동학습구조는 다른 어떤 교과보다 사회과수업에 적합한 학습구조라고 볼 수 있다. 아울러 ‘훌륭한 민주 시민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과에서 다문화교육은 시대가 요구하는 매우 중요한 목표가 되었다. 협동학습구조는 구성원의 긍정적 상호의존성을 기반으로 학성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된 것이지만 결과적으로 정의적 효과에서도 큰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학생들의 이질적 구성을 기본적 특성으로 하는 협동학습구조는 다문화교육의 특성에 매우 부합하는 학습구조임을 논의하였다. 이에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 협동학습구조의 적용이 학생들의 다문화태도에 어떤 변화를 줄 것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웠다. 가설1.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 협동학습 집단이 개별․경쟁학습 집단보다 다문화 태도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가설2.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 협동학습을 통한 학생들의 다문화태도 변화에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3.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 협동학습을 통한 학생들의 다문화태도 변화에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효과가 있을 것이다. 가설4.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 협동학습을 통한 학생들의 다문화태도 변화가 학습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5.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 협동학습을 통한 학생들의 다문화태도 변화에 학습수준에 따른 상호작용효과가 있을 것이다. 가설 검증을 위해 인천 지역 G초등학교 5학년 4개 학급을 가능한 여러 변인들을 고려하여 동질적 4개 집단을 선정하여 2개 집단은 실험집단(협동학습구조), 2개 집단은 비교집단(경쟁‧개별학습구조)로 구성하여 정상적인 교육과정절차에 따라 사회과 수업을 실시하고 사전 사후에 걸쳐 다문화 태도검사를 하여 통계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구조를 적용한 실헙집단이 개별․경쟁학습구조를 적용한 비교집단에 비해 전체 다문화 태도 점수의 차이는 없었지만 하위 영역인 행동태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초등 사회과에서 협동학습구조집단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태도에 긍정적 변화를 주었음이 밝혀졌다. 둘째,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 협동학습을 통한 초등학생의 다문화 태도변화에 대한 좀 더 정교한 분석을 위해 성별, 학습수준에 따른 차이도 알아보았다. 또한 이들 변인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도 이원변량분석으로 조사해보았다. 즉 협동학습구조를 통한 초등학생의 다문화 태도 변화가 독립적인 영향을 받는지, 성별, 학습수준에 따라 두 변인 간 상승 또는 감소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10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05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성별에 따른 협동학습구조의 다문화태도 변화는 좀 더 정교하게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호작용효과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적인 사회과 교육과정속에서 내용을 선택해서 실험을 하였다. 즉 다문화 관련 내용을 학습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보려고 했던 것은 사회과 수업에서 협동학습구조가 학습 내용에 관계없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함이었다. 협동학습이 가지는 다양한 특징들 즉, 긍정적인 상호의존성, 모둠원 사이의 배려, 공동체의식 등이 다문화 태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미세하게나마 나타난 긍정적 효과를 고려할 때 다문화 관련 내용으로 협동학습구조를 실시했을 때는 그 효과가 어떻게 나타날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 초등사회과 교사의 수업에서 나타난 비판적 반성 양상에 관한 연구

        이수룡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85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사회과 교사의 수업현상에 나타난 비판적 반성의 양상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탐색의 과정은 수업에서 발생한 문제해결을 위한 도구적, 기술적 반성에서 나아가 자신의 삶에 대한 반성을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성인학습의 관점으로 이해하고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사회과 수업반성 양상을 Mezirow의 내용반성, 과정반성, 전제반성의 유형으로 분석하였고, Brookfield의 4가지 렌즈로 해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5년차 이상의 경력교사 4명을 대상으로 사회과 수업일지와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학생들의 수업일기와 동료교사들의 동료일지의 자료를 추가로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질적 접근의 관점에서 분석 및 해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의 사회과 수업에서는 내용반성, 과정반성, 전제반성 등의 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내용반성 내용은 수업현상에서 문제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과정이다. 내용 반성은 교과서를 기반으로 한 수업과 교사의 학습경험에 따라 재구성된 학생들의 학습양상이 수업에서 교사의 예상과 다르게 나타날 경우에 발생하였다. 과정반성 내용은 수업현상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교수전략, 방법 및 기술의 양상이다. 이는 교사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교과서의 내용을 재구성하거나, 학생들의 생활세계와 관련된 내용으로 수업활동을 구안하는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전제반성 내용은 교과서, 교수경험,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의문을 갖는 양상을 뜻한다. 이것은 교사 자신의 삶의 경험을 통하여 초등사회과교육에 대한 신념을 점검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의 반성내용을 Brookfield의 4가지 렌즈를 사용하여 3가지 가정 양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원인 가정, 처방적인 가정, 패러다임적인 가정 등이 드러났다. 원인 가정은 교사가 자신이 예상하는 수업의 의미와 학생들의 의미 있는 학습양상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수업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교수전략과 방법을 결정하는 교사의 기술적 지식이라고 할 수 있다. 처방적인 가정은 수업에서 발생한 문제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 교사의 교수전략과 방법을 수정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구적 지식을 사용하여 자신의 교수전략과 방법을 구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패러다임적인 가정은 교사가 실천현상에 대해서 지각하고, 이해하고, 해석하는 관점에 대한 것으로서 초등사회과교육에 대한 신념과 가치가 포함된 내용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의 가정에 대해서 학생들의 학습양상은 그들의 흥미와 생활세계를 반영한 수업내용과 자신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수업활동에 적극적으로 반응하였고, 교사의 가정 내용과 어긋나는 반응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의 가정에 대한 동료들의 의견은 수업현상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서 공감, 해결방안 제안, 자신의 수업행위 반성, 수업현상 내용을 학습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동료들은 수업현상에 대해서 비판적 의견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셋째, Mezirow의 반성유형과 Brookfield의 4가지 렌즈를 통해서 각 연구참여자들의 비판적 반성의 양상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A교사의 비판적 반성의 양상은 긍정적 의미만을 지향하고 있는 교과서에 대한 비판으로 나타났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서 그는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할 수 있는 수업내용 구상,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수업내용 구성, 감정이입할 수 있는 소재 탐색, 부당한 사회현상에 대한 학생들의 관점형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B교사의 비판적 반성의 양상은 학생들의 생활세계와 관련되지 않은 교과서 내용에 대한 비판으로 나타났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그는 교과서의 개념이나 과정을 이해한 후 구체적인 사실을 탐구하는 개념학습, 교과서에 나오지 않지만 흥미를 자극하는 내용학습, 다양한 수업방법을 적용한 교수전략을 구상한다. C교사의 비판적 반성의 양상은 사회현상을 이해하는 교사의 관점이 학생들의 학습양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의문으로 나타났다. 이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그는 교과서의 내용을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그 과정을 통한 학생들의 학습양상에 주목한다. D교사의 비판적 반성의 양상은 사회과 수업내용에 대한 교사의 가치가 학생들의 학습양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가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는 학생들이 수업내용에 관심을 갖고 학습하며 정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수업방법을 사용해서 교과서의 내용을 잘 전달할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한다. 넷째, 연구참여자들의 비판적 반성의 양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그들의 초등사회과 교사되기 과정에서의 학습경험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의 삶의 경험을 통해서 초등사회과교육에 대한 목표를 세웠고, 이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한계를 발견하였다. 그리고 수업현상에서 발생된 문제의 성격, 해결방안 모색의 방향은 그들의 삶의 맥락과 연관되기 때문에 그 경험의 양상은 연구참여자들의 수업현상에 대한 원인, 처방적인, 패러다임적인 가정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반면,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의 시민적 자질이 학생들의 학습양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수업반성 양상에서는 이와 관련된 가정 내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초등사회과 교사가 비판적 반성을 통해서 발달할 수 있는 존재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교사가 수업현상에서 발생한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 의문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삶의 경험과 연관시키는 노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비판적 반성은 교사의 관점뿐만 아니라, 수업현상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학생들의 관점, 동료들의 관점 그리고 이론적인 관점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초등사회과 교사는 자신이 살아온 삶의 경험을 통해서 초등사회과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확인하고, 그것을 실천하기 위해 학습함으로써 자신의 삶의 의미를 찾아야 하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존재의 의미를 찾는 과정은 비판적 반성으로 가능하며, 나아가 교사의 전문성 신장의 기반이 될 것이다.

      •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반영된 법교육의 변천과정 분석 : 제6차 교육과정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를 중심으로

        전성수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855

        학생들은 실제적인 법의 내용을 초등 법교육을 통해 처음 접하게 된다. 그렇다면 초등 법교육은 법의 기초적인 지식을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발달상황과 흥미에 맞추어 제공하고, 학생들이 이를 쉽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제6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법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어떠한 변천을 보였는지 살펴보고 앞으로의 초등 법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를 제6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로 설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인간상의 변화 때문이다. 교수요목기에서 제5차 교육과정까지는 ‘국민적 자질 함양’으로 국가가 중심이었으나, 제6차 교육과정이후 ‘민주시민으로서의 기본적 자질’로 바뀌면서 개인이 중심이 되는 인간상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둘째, 법교육의 내용과 학습방법의 변화 때문이다. 제6차 교육과정 이후 초등 법교육의 내용은 법적지식에서 생활법으로, 학생은 수용자에서 참여자로서의 변화를 보이게 되었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6차 교육과정에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법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무엇인가? 둘째, 제6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법교육은 어떠한 흐름을 보이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초등 사회과 법교육의 변천을 분석하기 위해 내용과 방법의 두 기준을 축으로 하는 분석기준틀을 설정하였다. 내용기준으로는 ‘법적지식 강조’와 ‘생활법 강조’로 설정하였다. 방법기준으로는 학생들의 참여도에 따라 ‘능동적 참여’와 ‘수동적 참여’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분석기준틀을 중심으로 초등 사회과 법교육의 교과서 내용 분석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6차 교육과정의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반영된 법교육은 변화된 사회과 목표에 대해 법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다양하게 적용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학생보다는 교사의 강의식 수업이 대종을 이루며, 학생들의 참여식 수업을 위한 탐구활동에 제약이 많이 따르는 한계점이 있었다. 둘째,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반영된 법교육은 제6차의 한계점을 많이 극복하여 제6차 교육과정이후 초등 법교육이 지향하고자 하는 방향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시작하였으나 과도기적인 현상을 볼 수 있다. 셋째,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반영된 법교육은 일부 법적지식강조와 수동적 태도를 요구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나 점차 실생활과 관련된 내용의 구성을 통한 학생들의 능동적 참여활동이 늘어나게 되었다. 넷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반영된 법교육은 학생이 직접 학교 안에서 경험하고 있는 사례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관심을 갖고 적극적인 참여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초등 법교육이 점차 실생활과 관련된 내용을 통해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탐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가는 방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법교육 내용의 체계성을 더욱 확립하고, 법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더 나아가 법교육 관련 교사를 양성하고 철저히 관리한다면 초등 법교육이 지향하는 바를 더욱 명확하게 뒷받침 할 수 있을 것이다.

      • 초등 사회과에서의 국제이해교육에 관한 내용분석 :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on the basis of 7th curriculum

        김여경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855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가 정보·통신 및 항공·교통 기술의 발달로 인한 시·공간의 압축으로 인해 국가와 민족에 국한되지 않고 지구촌으로 확장됨에 따라 사회과 교육 역시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이 사회에서 필요로 하고, 이 사회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세계시민을 양성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초등 사회과 교육에서의 국제이해교육의 필요성을 논하고, 현행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국제이해교육에 관한 내용분석을 통하여 나아가 분석을 바탕으로 한 문제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국제이해교육이 나타나게 된 배경과 국제이해교육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국제이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유네스코와 한국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초등 사회과에서의 국제이해교육의 필요성을 논하고, 미국과 일본의 초등 사회과에서의 국제이해교육에 대해 고찰하였다. 유네스코가 제시한 분석내용을 분석의 틀로 정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제 7차 교육과정은 교과서 분석의 기초가 되는 자료로서 목표, 내용, 방법, 평가부분에서 국제이해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찾아보았다. 초등 사회과 교과서는 1·2학년은 『슬기로운생활』교과로서 통합교과이므로 분석대상에서 제외하고 3·4·5·6학년 1·2학기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여 분석의 틀에 맞추어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한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국제이해교육은 유사한 여러 가지 용어가 있으나, 단순히 국제이해를 높이기 위한 교육이 아니라 국제이해와 협력, 국제평화와 인권, 기본적 자유를 함양하기 위한 교육을 말하며, 최근에는 타국 문화를 이해하고, 협력을 강화하는 제반적 교육적 활동 뿐 아니라 평화교육, 인권 교육을 모두 포함하는 총체적 교육활동을 의미한다. 둘째, 국제이해교육은 유네스코를 중심으로 하여 여러 나라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한국은 유네스코 협동학교(ASP)를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다. 셋째, 초등 사회과의 목표와 내용, 국제이해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살펴보았을 때 초등 사회과 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은 많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초등 사회과 교육은 "학생들이 주변의 사회적 사실과 현상에 대하여 관심과 흥미를 가지며, 생활과 관련된 기본적인 지식과 능력을 습득하고, 창의적인 자세로 일상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국제이해교육 또한 초등학교 과정부터 시작하여 중·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효과적임을 파악할 수 있다. 넷째,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의 결과에서 나타난 초등 사회과에서의 국제이해교육 내용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은 7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①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국제이해교육 내용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 선정과 조직의 원리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②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영역별 편중현상이 나타난다. 국제이해교육에 관련된 4가지 영역이 각 학년에서 고르게 배치되어 있지 않았다. ③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학년별 편중현상이 나타난다. 다시 말하여, 각 학년마다 국제이해교육이 일정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④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각 영역별 내용이 다양하지 못하였다. ⑤ 교과서에 등장하는 세계의 여러 나라에서 아시아와 아프리카 국가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알 수 있었다. ⑥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학습방법이 다양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⑦ 이상의 여섯 가지 문제점을 종합하였을 때 사회과를 통한 실질적인 국제이해교육이 되지 않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섯째, 위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향으로 다음의 4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① 초등 사회과 교육에서 제대로 된 국제이해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국제이해교육 내용에 대한 영역별, 학년별 균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기준과 내용 조직의 원리의 변화와 보다 구체적인 국제이해교육에 관한 내용이 언급되어져야한다. ② 보다 넓은 시각의 국제이해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교과서에서 각 영역별에 따른 다양한 제재와 내용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③ 교과서에서 아동들로 하여금 세계 여러 나라에 대한 편견 없는 국가관이 생성될 수 있도록 각 제재별로 고른 국가 제시와 배치가 필요하다. ④ 학습방법 면에서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아동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한 다양한 학습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상의 연구는 앞으로 초등 사회과에서의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하나의 기초적인 자료로서 활용되어 국제이해교육에 관한 내용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논문은 2003년 2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 학위 논문임. Our society becomes smaller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means of transportation develop, and as the society extends its territory to the global village not limited to a state or an ethnic group, social studies have to meet the requirement of the society to bring up the students to global citizen who can actively cope with the social changes and play a leading role in modern societ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relations between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the EIU,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school curriculum of current elementary social studies on the EIU, and to give help to improve the contents concerning the EIU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by presenting several problems based on the analysis. To attain the goal, the background of the origination of the EIU and the terms similar to the EIU were examined, and the trend of the EIU in UNESCO and South Korea was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examination. Also, it discusses the necessity of EIU from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onsidering the EIU from elementary social studies from United States and Japan and it investigated The contents analysis presented by UNESCO was decided as the system of analysis after considering the contents analysis presented by various researchers and institutes. The 7th school curriculum is the basic data for analyzing textbook and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EIU in goal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area. The researcher excluded the textbook of social studies in the 1st and 2nd grade, which is called 『Intelligent Life』, because it is integrated subject, and tri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textbook of the social studies in the 3-6 grades based on the system of analysis. The produc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various terms similar to the EIU, but the EIU is not the education that only enhances th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but the one that cultivates the interation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the world peace and human rights, and fundamental freedom. More recently, it means the entire educational activities that includes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that improves understanding of the foreign culture and reinforces the cooperation as well as the activities that includes the education of peace and human rights. Second, the EIU is promoted in various countries centering around UNESCO, and in South Korea it is promoted centering around Associated Schools Project(ASP). Third, examining the goals and content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the EIU, there was much relation between them. Especially, one of the goal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is 'to lead students to have interest in surrounding social facts and situation, to acquire the fundamental knowledge and abilities related to real life, and to adapt to daily life with creative attitudes', so the EIU can be more effective if it starts in elementary school and continues to the high school. Fourth, the problems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of the EIU which were shown in the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① The principle of concrete selection and structure for the EIU was not presented in the school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② The EIU was not evenly allocated by areas. The 4 areas related to the EIU was not allocated evenly in each grade. ③ The EIU was not evenly allocated by grades. That is to say, the EIU was not performed evenly in each greade. ④ The content of the EIU in each area was not various. ⑤ There was negative point of view to the some countries among the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especially in Asia and Africa. ⑥ The method of study was not various in the EIU. When synthesizing the problem of this over, it does not become the possibility of knowing there was substantial With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Fifth, the direction of reform to the problems can be presented as follows; ① To perform more effective EIU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content of EIU should be allocated evenly by areas and grades. To do this, there shoud be changes in the selection standard of the content and the principle of the content structure in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school curriculum should contain the more specific mention on the EIU. ② More various themes and contents should be presented in the textbook by areas to have the EIU of wide range. ③ The impartial allocation of the countries by theme in textbook is needed to lead students to have unbiased sense to various countries. ④ Various course of study should be considered after the level and interest of students on the EIU is considered.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EIU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is expected to give help to improve the contents of the EIU.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