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미술과 성취기준, 평가기준 및 평가도구 분석 연구 : 3학년을 중심으로

        설진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학교에서 교육과정 정신을 구현한 수업과 평가 활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국가 수준의 평가 지원 활동을 강화한다는 정책적 차원에서 2000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개발한『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학년 미술과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에 대하여 성취기준, 평가기준 설정의 준거에 따른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적절성 및 타당성을 분석하고, 예시 평가도구를 현장에 실시하여 예시 평가도구의 적절성 및 현장 적용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학년 미술과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이전에 기준 개발과 관련된 국내외 문헌을 연구하였으며 개발된 예시 평가도구(문항)를 학교 현장에 직접 적용하여 실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한 내용으로는 첫째,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학년 미술과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설정의 준거가 되는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3학년 아동들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둘째, 미술과 성취기준, 평가기준, 평가도구의 의미와 초등 미술과와 관련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평가도구의 종류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개발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살펴보았다. 셋째,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학년 미술과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설정 준거에 따른 적절성 및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개발단위와 수, 진술 형태 및 상세화 수준으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넷째, 개발된 예시 평가도구(문항)의 적절성 및 현장 적용성을 분석하기 위해 개발된 예시 평가도구(문항)를 학교 현장에 직접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각 평가문항에 따라 학생들의 수업 과정과 결과물을 평가하고 그 중 상, 중, 하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예시 답안을 첨부하였다. 평가도구를 현장에 적용한 후 각 평가도구의 평가문항, 평가방법 및 성취기준, 평가기준, 채점기준, 평가관점을 분석하여 평가도구의 적절성 및 현장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지역이나 학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겠지만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된『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학년 미술과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에 의거하여 평가를 실시할 경우, 학생들의 교육 성취도를 평가할 때 다른 학생들의 성취도와 서로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잘 설정된 교육목표에 근거하여 평가하게 되므로써 교육과정상에 제시된 교육목표나 내용(혹은 평가영역)에 대한 학생의 성취도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평가의 근본 취지를 학교 교육 현장에 정착시킴으로써 교수·학습 활동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분석 결과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수준의 기준을 수업 제재가 드러나는 교과서나 교사의 수업 계획과 어떻게 연결 시켜 나갈 것이며 이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 제시에 대한 더 많은 안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미술과의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성취기준, 평가기준이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실시되기 위해서는 기준에 대한 철저한 검증과 현장 실시 문제점에 대한 적절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해결해 나가려는 노력과 평가를 할 수 있는 시간의 확보, 미술실 확보, 감상 교재 및 시청각 자료의 확보가 선행될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교사, 학생, 학부모들의 평가에 관한 올바른 인식의 전환,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성취기준, 평가기준의 실시를 위한 여건이 마련되었을 때 올바로 활용할 수 있는 평가 전문가의 자격을 갖출 수 있는 교사의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In 2000,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conducted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 in the Elementary School 3rd Grade Art Education According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under the reinforcement policy of state-level support activities for assessment in order to activate the classes and assessment activities, to which the mentality of the National Curriculum at schools. In connection wit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and validity of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 and the criteria of their establishment; to implement the exemplary assessment tools in the actual field of education, and; to analyze their appropriateness as well as their applicability to the educational setting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literature pertinent to the topic of standards development prior to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 in the Elementary School 3rd Grade Art Education According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and used the method of applying and implementing the previously developed exemplary assessment tools (question items) at the school scenes. The contents studied are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were examined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art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3rd grade students, which become the criteria in the establish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 in the 3rd grade art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the second were examined the meaning of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tools, especially those tools most frequently used in concern with elementary school art education subjects. In addition, developed standards for achievement and assessment were also examined. Third, to analyze their appropriateness and validity based on the establishment criteria of achievement and assessment in the 3rd grade art education, the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 were analyzed in detail at the levels of their units and numbers of development and the types and specification of the statement. Fourth,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and on-the-spot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exemplary assessment tools(question items), they were directly applied and implemented at the school scenes. According to each assessment item, the process and the student's result of the classes were evaluated, among which representative exemplary answers that can be graded to be excellent, good, and moderate were attached. After applying the assessment tools at the school scene, assessment items, assessment method, standards of achievement, assessment, and scoring, and perspective of assessment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and on-the-spot applicability of the tool.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demonstrate that - though there may be differences by the each region and individual school - assessment based on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 in the Elementary School 3rd Grade Art Education According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national curriculums, can improv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by firmly settle the basic intentions of assessment, which attempt to concretely examine the student's achievement against the goals or contents (or area of assessment) proposed in the curriculum because it evaluates one student's achievement not by comparing it with that of other students, but based on the educational objectives well established beforehand. Furtherm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emerged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more endurance is necessary in suggesting the directions concerning the ways to connect the state-level standards with the textbooks(where instruction materials are revealed), or with the teacher's teaching plans, as well as how to solve the problems appeared in this process. The prerequisites of effective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at the school scene of the assessment standards of art education subject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are: strict verification of the standards; efforts to find appropriate solutions to the problems emerged as a result of on-the-spot implementation, and; procurements of time for assessment, art rooms, textbooks for appreciation and audiovosual materials. However, of the most importance are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s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regarding assessment, and the continuous research and effort in the part of the teachers qualified as a assessment expert who can make the most of the standards of achievement and assessment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when the conditions for their implementation are ready.

      • 초등교사의 미술수업 어려움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진주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미술수업 어려움을 교사의 미술교육 경험으로부터 이해하는 것에 있다. 또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를 통하여 교사의 성찰 기회를 가지며, 나아가 초등미술교육과 관련한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 및 교사 재교육에 대한 새로운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문제는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그것은 ‘첫째, 초등교사가 미술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의 범위와 내용을 어떻게 개념화할 수 있는가? 둘째, 미술수업에 어려움을 겪는 초등교사는 미술수업을 하게 되기까지 어떠한 미술교육을 경험해왔는가? 셋째, 초등교사는 미술수업에서 어떠한 어려움을 경험하였는가?’이다. 초등교사의 미술수업 어려움에 대한 경험을 탐구하기 위하여, ‘미술수업 어려움’에 대한 정의와 범주를 설정했다.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미술수업 어려움’을 가지고 교사의 미술수업 어려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도출한 ‘미술수업 어려움’의 범주는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PCK와 함께 코드를 생성하는 데 활용되었다. 미술수업에 어려움을 겪는 초등교사의 미술교육 경험의 의미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교사가 되기 이전 겪었던 미술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은 미술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부족하게 하는 경험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미술에 대한 흥미와 관심의 부족은 미술 관련 교원연수 경험의 부족으로도 이어졌다. 둘째, 미술교육 경험이 부족한 교사는 미술수업 지도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하였다. 셋째, 교원양성기관에서 이론 없이 이루어졌던 실기수업을 받은 교사는 미술에 대한 고정관념을 극복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초등교사의 미술수업 어려움도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것은 미술과 목표 및 내용 관련, 미술과 교수학습방법 관련, 미술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및 상황 관련이다. ‘미술과 목표 및 내용’과 관련하여서는 두 가지로 나누어보았다. 첫째, 교사가 미술교육의 목표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면 미술수업 학습 목표도 이해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교사가 학습 목표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기도 하였다. 둘째, 작품 표현과 관련한 지식 및 기능이 부족한 교사는 표현 지도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해 보였다. ‘미술과 교수학습방법’과 관련해서는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 미술과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교사는 미술수업 전반에 대한 지도에 곤란함이 있었다. 둘째, 피드백에 대한 이해가 없는 교사는 학생에게 감흥 없는 칭찬만을 하기도 했다. 셋째, 교사는 미술과 평가의 변별력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기도 했다. ‘미술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및 상황’과 관련하여서는 다섯 가지로 구분해보았다. 첫째, 교사가 학습자의 수준을 파악하지 못하면 시간 조절 실패, 작품 완성도 미흡, 과정보다 결과물을 중시하는 학생이 발생하였다. 둘째, 교사가 미술교육의 목표를 이해하지 못하여 담임교사로서의 역할과 미술과 지도 교사로서의 역할이 충돌하기도 하였다. 셋째, 미술수업 준비물 구입비 및 미술실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해 보였다. 넷째, 교사의 많은 역할이 미술수업을 소홀히 하는 데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다섯째, 미술수업은 정책에 의한 영향을 받기도 했다. 초등교사의 미술교육 경험과 미술수업 어려움에 대한 이해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양성교육을 통한 교사의 미술교육에 대한 가치 정립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교원양성교육은 이론과 실기가 연계되어 실시되어야 한다. 셋째, 교원양성교육에서는 표현 영역뿐만 아니라 교수학습방법을 접목한 감상교육 및 평가와 관련한 내용이 다루어져야 한다. 넷째, 교사의 교육활동 외 업무를 경감하여야 한다. 다섯째, 미술 교과서의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교과서의 자료가 개발되어야 한다.

      • 초등 미술과 교수역량 개발 연구

        공윤경 경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미술교과 전문성에 대해 고찰하고, 전문성 있는 미술수업을 위한 교수역량을 개발하는 것이다. 초등 미술교육은 전문 미술가를 양성하는 미술교육과는 다르며 미술 실기능력 이외의 다양한 교수역량들이 요구된다. 그러나 담임교사가 대부분의 교과를 가르치는 초등교육의 특성상 초등교사에게 각 교과별 전문성(subject specific expertise)은 부담스러운 과제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교과별 전문성은 학생의 학습을 긍정적으로 강화하고 양질의 수업을 제공하여 내실화된 초등교육을 이룰 수 있는 바탕이 되며, 특히 미술교과는 그 특성상 타 교과와는 차별화된 수업전문성을 필요로 한다.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나타내는 ‘교수역량’에 대해서는 학교급별 교수역량요소를 도출하고 타당화한 연구가 2000년대 초반부터 꾸준히 이어져오고 있으나, 교과별 교수역량요소를 도출 및 타당화한 연구는 미비하며 미술교과 교수역량요소가 무엇인지 밝힌 연구는 아직 없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등미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그에 맞는 초등교사의 미술교과 전문성은 무엇인지 고찰하고, 초등 미술과 교수역량을 구체화시키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초등 미술과 교수역량의 개발은 ‘문헌연구 및 초안 개발, 심층 질문지 조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초안의 수정, 타당도검사를 통한 교수역량 확정’의 3단계에 거쳐 이루어졌다. 먼저 1단계, 문헌연구 및 초안 개발 단계에서는 ‘초등교사의 미술교과 전문성에 대한 고찰, 교수역량 관련 선행연구의 분석, 초등 미술과 내용교수지식(PCK)과 교육과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 미술과 교수역량의 초안을 개발하였으며 7개의 교수역량과 총 42개의 교수역량요소가 도출되었다. 2단계, 초안의 수정 단계에서는 초등미술교육 전공 수석교사 2명과 박사과정 초등교사 3명을 대상으로 하여 1, 2차에 걸친 수정을 통해 문헌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실제적인 요소들이 반영되도록 하였다. 먼저 1차 수정에서는 심층 질문지 조사를 통해 현직 초등교사들이 생각하는 교수역량요소를 반영하였고, 2차 수정에서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초안의 적절성을 검토 및 수정하였다. 2차에 거친 수정의 결과, 초등 미술과 교수역량은 7개 교수역량과 40개 교수역량요소로 정비되었다. 3단계, 타당도 검사 단계에서는 교직경력 10년 이상의 42명 현직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교수역량요소의 중요도를 5단계 척도로 나타내도록 하였고, 그 결과 전체 교수역량요소의 평균평점이 4.49점으로 산출되었으며, 각각의 교수역량요소의 평균평점은 3.86점~4.81점의 높은 범위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초등 미술과 교수역량은 총 7개의 교수역량과 40개의 교수역량요소로 확정되었다. 첫 번째 교수역량은 ‘내용지식 활용 역량’으로서 체험, 표현, 감상의 미술과 내용체계에 따라 가르치는 데 필요한 요소들과 미술사적 지식, 미술용어 등 미술 및 미술교육 관련 일반적 지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술과 핵심역량 중 하나인 시각적 소통능력과 문화역량도 포함하고 있다. 내용지식 활용 역량의 하위 교수역량요소들은 ①미술 향유 능력, ②시각적 소통능력 및 문화역량, ③상상력/관찰력, ④미술실기 능력, ⑤감상 방법적 지식, ⑥감상 지도 능력, ⑦초등 미술과 교과 지식, ⑧미술사적 지식, ⑨미술관련 용어나 이론, 도구, 기법에 대한 지식이 있다. 두 번째, ‘교수설계 및 실행 역량’은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과 관련된 것으로 ⑩목표 이해 및 설정 역량, ⑪교수 설계 능력, ⑫교수법 활용 능력, ⑬교수 학습 자료 활용 능력, ⑭수업진행 능력을 포함하고 있다. 세 번째, ‘평가 수행 역량’은 초등 미술과 평가의 계획과 실행, 활용 등에 대한 것으로서, ⑮평가 이해 능력, ⑯평가 계획 능력, ⑰평가도구 활용 능력, ⑱평가수행 능력, ⑲평가결과 활용 능력, ⑳공정성의 다섯 가지 교수역량요소로 구성하였다. 미술과의 평가는 객관적인 정답이 정해진 평가가 아니라 학생의 개성과 주관성이 담긴 미술 작품을 평가해야 하는 만큼 초등 교사들에게 매우 어려운 과제이다. 그러나 초등 미술과 교육과정의 지침과 현장 교사들의 풍부한 경험을 반영하여 창조 과정에 대한 평가,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고려한 피드백 등의 지향점을 찾을 수 있었다. 네 번째, ‘학습자 이해 역량’은 초등 미술 수업에서 교사가 고려해야 할 학습자 관련 요소들을 포함하여 ㉑학습자에 대한 이해 능력, ㉒개성 존중 및 이해 능력, ㉓학습자와의 의사소통 능력, ㉔학습자의 자기주도적 참여 유도 능력, ㉕미술을 통한 전인적 성장 촉진 능력의 다섯 가지 교수역량요소로 나타내었다. 다섯 번 째, ‘환경 조성 역량’은 미술수업에서의 물리적 환경과 심리적 환경 조성과 관련된 것으로서 ㉖재료(매체)에 대한 지식 및 활용 능력, ㉗공간 활용 능력, 심리적 안정감 제공으로 구성하였다. 여섯 번째, ‘기질적 특성 역량’은 초등교사로서 전문성 있는 미술 수업을 할 수 있는 데 도움이 되는 교사의 개인적인 특성으로 구성하였으며, ㉙미적 감수성, 창의성, 유연성, 다양성에 대한 인정, 도전정신과 실천력, 친절과 배려, 인내심이 있다. 일곱 번째, ‘수업전문성 개발 역량’은 초등교사가 미술수업 전문성 개발을 위해 할 수 있는 보다 직접적인 방안들로 구성하였는데, ㊱미술 및 미술교육에 대한 관심과 열정, ㊲미술수업 비평 및 성찰, 미술수업 개선 노력, 미술 동향 파악,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가 이에 해당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40개 교수역량요소들을 도출하고 각각에 대한 정의를 함께 제시하여 각 교수역량요소에 대한 의미를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전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초등 미술과 교수역량은 초등교사의 미술교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구체적인 교수역량을 제시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문헌연구뿐만 아니라 현직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질문지 조사, 포커스 그룹 인터뷰, 타당도검사 등 다각화된 연구 방법을 통해 교육 현장의 맥락을 반영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개발된 초등 미술과 교수역량은 현직 초등 교사들의 수업 비평이나 교사연수 개발, 예비교사교육 등에 활용할 수 있으며, 앞으로 초등 미술과 교수역량에 대한 추가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 문제중심학습(PBL)에 의한 초등미술과 수업 설계에 대한 연구

        윤미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855

        사회문화적인 맥락과 지식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면서 현대에는 소비자 중심, 수요자 중심, 학습자 중심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미술교육에서 구성주의의 상대주의적 인식론을 이론적 근거로 한 구성주의의 학습원칙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 학습모형인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Learning) 방법의 도입을 생각해 보았다. 문제중심학습(PBL)은 실제로 발생하는 문제와 상황을 중심으로 교수-학습을 구조화한 교육적 접근으로서 학습자들이 문제를 자기 주도적으로 해결해 가는 과정을 통해 내용을 학습하고, 협동학습이 함께 이루어져 사고력과 협력기능을 기르도록 하는 학습 형태이다. 본 논문은 문제중심학습의 본질적 특성을 살펴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초등미술과 수업을 설계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수업설계자로서의 초등미술교사의 역할 수행을 충분히 해내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먼저 문제중심학습의 본질적 특성을 이해하고 문제중심학습과 미술교과간의 교육적 목적의 관계성을 살펴 미술교과에서 실생활과 밀접하고 사고력을 요하는 문제를 어떻게 설계해 나가는지 그 과정을 중심으로 제시하고, 실제 문제를 작성하고, 그에 따른 수업 방안을 모색하였다. 문제중심학습의 본질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Ⅱ장에서는 문제중심학습의 개념과 등장배경을 살피고, 문제중심학습의 지식관과 맥락을 같이하여 교육에 접목하게 된 이론적 근거를 듀이의 이론과 구성주의에서 찾았다. 또한 문제중심학습의 유형들을 살펴봄으로써 그 학습과정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문제해결학습, 과제중심학습, 프로젝트중심학습과의 특성비교를 통해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초등미술과 수업을 설계하기 위한 준비단계로 Ⅲ장에서는 문제중심학습의 교육적 가치와 초등미술에서 추구하고 있는 교육목표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문제해결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협동능력의 향상과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 내고자 하는 초등미술교육 목적의 방향전환과 문제중심학습의 교육적 효과와 관련성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문제설계자로서의 교수자의 역할을 파악하고 문제의 본질을 규명한 후, 선행 문제설계 절차에 대한 연구를 고찰하여 초등미술교과에 알맞은 문제설계절차를 마련하였다. Ⅳ장에서는 정보를 활용한 시각적 이미지를 탐구하는 ‘우리학교 알리는 것 꾸미기’ 수업, 새로운 표현재료·표현방법을 탐구하는 ‘초현실주의 작품 이해를 통한 상상표현’수업, 미술비평을 통해 미술품을 감상하는 ‘민화를 통한 우리 문화 알리기’수업으로 나누어 Ⅲ장에서 마련한 문제설계 절차에 의해 문제를 개발하고 이에 따른 문제중심학습 교수-학습 설계 방안을 제시하여 현장 교사들이 문제개발과정을 이해하고 실제 활용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같은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초등미술과 수업설계 방안에 대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유용성으로 인해 현대의 다원화된 정보화 시대에 미술교육이 추구하고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적 요구에 부합하여 초등 미술교육의 수업방법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첫째, 초등미술교과에서 비구조화된 문제를 중심으로 하는 문제중심학습에 의해 그 교육적 목적을 이끌 수 있다.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수업은 우리주변에서 볼 수 있는 시각적 정보들을 이용하고 비교하며 다른 개념들과 스스로 충돌할 수 있는 경험을 학생들에게 제공하여 사고력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 지를 살피고, 주어진 문제에 대한 원인과 결과, 가능한 문제의 해결책을 그 생각을 나타내기 위해 더 적합한 방법이나 재료는 없는지 끊임없이 생각하고 탐구하게 할 수 있어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게 한다는 것이다. 문제중심학습은 소집단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협동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미술교육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에 대한 이해의 또 다른 언어교육이므로 주변세계에 대해 이해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은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로 설계된다. 삶 속에서 시각적 문제를 해결하는 탐구 과정을 통해 비평적 탐구태도를 기르고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 뿐만 아니라, 나아가 미술을 우리의 삶과 연관된 문화로 인식하게 한다. 이를 통하여 폭넓은 미적인 안목을 기르고자 하는 초등미술의 궁극적 목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특히 미술교육이 표현뿐만 아니라 이해와 감상 학습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면서, 삶속에서의 미적체험과 감상·비평의 학습을 요구하고 있는 교육적 환경을 살펴볼 때, 미술감상과 비평학습에 문제중심학습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설계는 설계자와 진행자라는 교사의 역할에 대한 바른 인식을 갖게 하며, 그 역할 수행 방법을 안내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육적 변화에 대처하는 현장 초등학교 미술 교사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사회적 소통을 통한 초등 미술 교수·학습 방안 연구 :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윤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각 분야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소통에 대한 기회를 학생들에게 적극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소통을 통한 성장을 중요시하고 소통에 필요한 정서를 함양하는 데 기여하는 미술 교육을 선택하여 그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미술과 교육과정과 미술과 검정 교과서 7종의 교과서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미술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안 및 적용하여 사회적 소통을 통한 미술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이해, 공감 능력 및 표현 능력, 즉 사회적 소통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상의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첫째, 국, 내외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소통과 사회적 소통의 개념 및 미술 교육에서의 사회적 소통, 그리고 초등 미술 교육과 사회적 소통과의 관계를 탐색 및 고찰하였고,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미술과 교육과정과 3~4학년 초등 미술과 검정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소통을 통한 교수·학습 활동의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셋째,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소통을 통한 새로운 미술 수업과 관련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성하였다. 사회적 소통을 통한 미술 교육 프로그램은 경청하기, 공감하기, 질문하기, 북돋아주기, 그리고 자기표현 등 다양한 사회적 소통 기술을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나누는 사회적 소통의 과정에 대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안하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디자인 활동을 중심으로 6회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소통을 통한 새로운 미술 수업을 학생들에게 실제로 적용해 봄으로써 초등 미술 교과에서의 학생들의 사회적 소통능력 및 사회성의 변화의 효과성에 대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소통을 통한 미술 교육의 효과를 통해 학생들의 사회적 소통능력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통제집단 학생들에 비해 실험집단 학생들의 사회적 소통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사회적 소통을 통한 미술 교육의 효과를 통해 학생들의 사회성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통제집단 학생들에 비해 실험집단 학생들의 사회성이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술 교수․학습 방안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들의 사회성 및 사회적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추후에는 연구 대상 확대 및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고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의 다양화를 통하여 더욱 일반화할 수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구성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서 확대하여 적용하기 위해서는 디자인 활동뿐만 아니라 그 외의 미술 활동에 대한 확장 가능성을 탐색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 메타인지를 활용한 미술 감상과 비평 지도방안 연구 :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김경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메타인지(meta-cognition)를 활용한 미술 감상과 비평 지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메타인지란 주변세계에 대한 자신의 지식, 경험, 자기통제, 조절, 신념, 동기, 정서, 직관 등의 인지활동을 통제하고 평가하는 반성의 정신적 작용이다. 미술작품을 감상하고 비평하는데 있어서도 중학교 연계 과정에 있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이 메타인지를 적절히 활용할 경우 사고 전략과 더불어 자기주도적인 미술 감상과 비평 능력 및 태도를 기를 수 있다. 미술작품이나 미술적 현상을 직접 보고 감상할 수 있는 환경이나 기회가 많아짐에 따라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 감상과 비평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지만 교수․학습내용 및 방법, 학습의 과정, 미술용어 사용, 형식주의 감상교육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메타인지의 개념과 교육적 활용을 고찰해 봄으로써 학습자들이 감상활동을 통해 적극적으로 미술 작품과 문화를 향수하기 위한 자원을 형성함으로써 비판적이며 자기주도적인 미술 감상 및 비평 능력과 태도를 길러주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 문헌연구를 통해 메타인지 개념과 학교 교육의 연계성을 통해 교육적 활용을 탐색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초등 미술과(美術科) 감상과 비평에서 메타인지의 교육적 접근을 모색하기 위해 감상과 비평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및 현황과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메타인지를 활용한 실제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 지도 과정과 방법을 모색하였다. Ⅴ장은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메타인지를 활용한 미술 감상과 비평 교수․학습안을 미술 수업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메타인지를 활용한 미술 감상과 비평 수업의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았다. 감상방법을 알고 비평할 수 있는 자신감을 높여 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증대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하고 작품에 대한 탐색의 동기를 마련해주었으며 표현의 결과뿐만 아니라 감상 활동 과정의 중요성과 즐거움을 인식하게 되었다. 미술 작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감상과 비평 및 표현의 통합 활동을 통해 고학년의 표현 정체성 극복에 도움이 되었다. 반성적 사고를 함으로써 학생 자신의 미술 활동을 계획하고 점검하며 조절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할 수 있었고, 수업 후 생활 주변의 시각문화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는 자기주도적인 태도를 기를 수 있었다. 이처럼 메타인지를 활용한 미술 감상과 비평 수업은 표현활동과 연계하여 학생들의 생활 주변의 경험과 사물들을 재해석함으로써 감상활동에 대한 흥미와 미적 인식능력을 높일 수 있는 수업 방안이었다. 또한 미술용어에 대한 접근이 수월함에 따라 모둠별 및 개별 활동을 통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워크북을 활용함으로써 미술언어 사용이 활발하였다. 앞으로 미술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메타인지를 활용한 수업 방안이 모색되기를 기대한다.

      • 초등학교 3학년 미술교과와 수학교과의 통합 교육 : 조형 요소와 도형 학습을 중심으로

        공휘영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855

        이 연구는 미래 사회에 필요한 융합형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초등교육에서는 어떠한 교육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에서 부터 시작되었다. 융합형 인재란 기술이나 지식 뿐만 아니라 감성과 창의성을 갖추고 학문의 경계를 넘나들 수 있는 능력을 겸비한 사람을 일컫는다. 이러한 융합형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지식과 기술을 익힐 수 있는 교과와 감성과 창의성을 기를 수 있는 교과를 통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미술교과와 수학교과를 통합한 수업 지도안을 구안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몇 가지의 수업 지도안이 있지만 그 중 상호 관련성이 있는 미술교과의 조형 요소와 수학교과의 도형 영역의 통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수업 적용 후 결과를 분석하여 조형 요소와 도형을 중심으로 한 미술교과와 수학교과의 통합 교육 효과를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통합 교육에 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현장 교육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 먼저 알아야할 개념은 통합 교육과정이다. 이와 관련된 문헌 자료 및 선행 연구 자료를 조사한 결과 연구자가 재해석한 통합 교육과정의 의미는 교과 간의 경계선을 허물고 교과를 합쳐 재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단순하게 여러 교과를 하나로 합쳐 놓는 것이 아니라 각각 다른 학습 경험들을 의미 있고 상호 관련되게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에게 일어나는 학습의 통합과 더불어 학습자의 인격적 통합까지 도모할 수 있는 과정을 일컫는다. 통합 교육과정의 유형을 살펴보면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다학문적 통합, 간학문적 통합, 탈학문적 통합이 그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간학문적 통합의 측면에서 수학교과와 미술교과를 통합하는 지도안을 구상하고 적용하였다. 왜냐하면 탈학문적 통합은 학교 현장에서 행정적, 물리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용이 어려우나 간학문적 통합은 그에 비해 실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미술과 수학은 학문간 개념의 기본 특성에서 공통점이 많기 때문에 간학문적 통합이 적합하다. 수업 지도안을 구상하기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3학년 초등 미술과와 초등 수학과의 목표 및 내용 체계를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3학년 미술교과의 내용 체계를 단원별로 나열한 후 수학교과와 통합 가능한 차시를 서로 연결 시켜 보았다. 통합 가능한 차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수업 지도안을 구안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미술교과의 조형 요소와 수학교과의 평면 도형 간에 공통적인 특성이 있으므로 이 두 가지 학습 요소를 통합하여 수업 지도안을 계획하였다. 부산광역시 반여동에 위치한 ○○초등학교 3학년 남자 12명, 여자 10명, 총 22명을 대상으로 수업 지도안을 적용하였다. 수업결과 분석은 수업 시간에 학생들을 관찰하고, 수업을 마친 후 활동지를 나누어 주고 새롭게 알게 된 점, 느낀 점을 글로 표현하도록 한 내용을 근거로 하였다. 조형 요소와 도형을 중심으로 한 미술교과와 수학교과의 통합 교육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수업을 흥미롭게 느꼈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학습방법에 관심을 가졌다. 둘째, 창의성을 기를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이 수업 목표에 자연스럽게 도달할 수 있다. 넷째, 인성적인 면의 함양을 도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수업 결과로 학생들은 타 교과 수업에도 즐겁게 참여하였다. 덕분에 교사도 의욕을 얻을 수 있는 수업이 되었다. 또한 창의성이 길러지며, 자연스럽게 수업 목표에 도달 하였다는 점에서 지적인 측면도 발달됨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인성적인 면이 함양되면서 전인적 발달과 인격 통합을 도모했다고 볼 수 있다. 이 점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중요하게 다루는 것으로서 2018년부터 현장에 적용될 학생들의 학습에 기여하는 바가 있으리라 본다. 학교 현장에서는 행정적 지원의 어려움, 과도한 업무로 인한 교재 연구 시간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통합 교육을 실행하기가 어렵다. 이 연구에서 구안한 통합 교육 수업 지도안은 미술교과와 수학교과를 어떻게 통합할 수 있고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지에 대한 교수방법의 대안을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 미술가로 활동하는 초등교사의 미술 수업에서 나타나는 암묵적 지식에 관한 연구

        이미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은 수업에서 찾을 수 있으며, 미술 수업의 전문성은 미술 교육의 본질에 초점을 둔 수업이라는 관점에서 미술 수업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미술가로 활동하는 초등교사의 암묵적 지식이 미술 수업에서 드러나는 양상을 밝히고 그 특성을 탐색하여, 보다 확장된 교사 지식의 이해를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로 첫째, 미술가로 활동하는 초등교사의 지식은 미술 수업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미술가로 활동하는 초등 교사의 미술 수업에서 어떠한 암묵적 지식이 나타나는가? 셋째, 미술가로 활동하는 초등 교사의 암묵적 지식이 가진 의미와 특성은 무엇인가를 설정하였다. 연구의 실행에 앞서 암묵적 지식에 대한 연구의 토대를 다지기 위해 미술가로 활동하는 교사로서의 지식과 관련한 미술가의 의미와 역할, 교사의 지식을 비롯하여 연구의 핵심 주제인 암묵적 지식의 학문적 논의와 관점을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바탕 하에 세 가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본질주의적 질적 연구를 방법론으로 하여, 인물 연구를 주로 하는 사례연구의 한 방법인 초상화법을 연구의 방법으로 선택하였다. 이는 예술가로서의 삶과 교육자로서의 삶이라는 두 가지의 삶의 경험 속에서 형성된 융합적인 교사 지식을 통합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연구 방법으로, 본 연구의 결과 분석 단계에서 연구 참여자가 지닌 지식의 양상들이 어떠한 암묵적 지식에 의해 형성된 교수 지식인가를 보여주는 데 효율적으로 기여할 것이라 판단되어 선택하였다. 이러한 본질주의적 질적 연구인 초상화법을 통해 진행된 연구 주제는 다음과 같이 해결되었다. 첫째, 미술가로 활동하는 초등교사의 지식은 미술 수업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가? 연구 참여자들의 초상화에서 볼 수 있듯이 다양하고 유연한 명시적 지식인 교수 양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수교사의 수업 양상으로는 상황에 따른 교사의 도움 활동, 작품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 작품 활동 과정 중시, 허용적인 수업 분위기 조성, 형식에 대한 절차적 지도, ‘나’라는 존재를 드러내기 위한 교수 노력, 감상 및 체험의 기회 제공으로 나타났으며, 유교사 역시 상황에 따른 교사의 도움 활동, 의견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 작품 활동 과정 중시, 진지한 수업 분위기 조성, 형식적 요소의 집중적 지도, 자신의 느낌, 내면을 통해 존재 확인, 느낌을 전제로 한 대상의 체험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가로 활동하는 초등 교사의 미술 수업에서 어떠한 암묵적 지식이 나타나는가? 미술가로 활동하는 초등 교사의 수업 양상과 면담 속에서, 미술가로 활동하는 초등교사의 암묵적 지식은 크게 주체적 미적 지각, 자의식, 긍정의 유희로 도출할 수 있었다. 주체적 미적 지각은 수업 분위기 조성, 상황에 따른 교사의 도움 활동, 수교사와 유교사의 감상 및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는 교수의 지배 사고로 작용하고 있었다. 자의식은 작품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 작품 활동의 과정을 중시하고 허용적인 수업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하는 교수 행위, 형식에 대한 절차적 지도 중시, ‘나’라는 존재를 드러내기 위한 교수 노력의 지배사고로 작용하였다. 긍정의 유희는 상황에 따른 두 교사의 도움 활동, 아동 개개인의 의견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 작품 활동 과정 중시, 감상 및 체험의 도구로써 형식적 요소의 집중적 지도, 허용적인 수업 분위기 조성, ‘나’라는 존재를 드러내기 위한 교수의 지배 사고로 작용하였다. 셋째, 미술가로 활동하는 초등교사의 미술 수업에서 드러나는 암묵적 지식의 의미와 특성은 무엇인가? 미술가로 활동하는 초등교사의 암묵적 지식은 대상을 바라봄에 있어 주체자의 내면을 우선시하는 주체적 미적 지각, 내면을 바라봄에 있어 존재의 의미를 찾는 자의식, 주체의 정서에 관여하는 긍정의 유희로 도출되었다. 이는 연구 참여자의 수업 양상을 결정하는 지배 사고로서, 암묵적 지식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주체적 미적 지각, 자의식, 긍정의 유희라는 세 가지 암묵적 지식은 미술가로 활동하는 초등교사의 예술가로서의 경험에서 얻어진 통합적인 지식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아울러 이것은 연구 참여자들이 지향하는 일관된 미술교육의 방향과 범주를 규정하는 기준이 되며, 삶을 살아가기 위한 존재론적, 인식론적인 철학적 사고를 요구하는 미술 교육의 성격을 갖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통해 볼 때, 본 연구는 미술 교육에 네 가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초등 미술 교사에게 필요한 지식의 내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미적 지각에 대한 범위의 확장 및 자의식, 생산적이고 긍정적인 유희에 대한 초등 미술 교사의 지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미술 교과를 가르치는 데 요구되어지는 초등교사의 지식 범위를 재검토해 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미술 교육에 필요한 교사 지식의 범위를 명시적 지식은 물론 암묵적 지식의 차원까지 확대할 필요성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이는 명시적 지식의 교사 지식 이외에 주체적인 미적 지각이나 자의식, 유희와 같은 암묵적 지식까지도 포함해야 함을 시사한다. 아울러 미술가로 활동하는 초등교사의 지식을 암묵적 지식의 범위까지 확대한다면 이는 곧 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의 프로그램 개선에도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미술의 본질에 근접한 예술가적 삶을 사는 사람들의 창작 경험에서 오는 예술의 본질에 대한 연구가 교육적 차원의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예술가의 심도 있는 예술에 대한 이해가 어떤 암묵적 지식으로 형성되어 수업에 접목되는지, 예술가와 교육자 사이의 연결고리를 찾는 연구가 향후 연구에 반영되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암묵적 지식은 명시적 지식을 형성하는 요소이자, 현상학적 변형으로서 새로운 명시적 지식으로 확장되는 잠재적인 명시적 지식이다. 암묵적 지식에 주의를 기울이는 순간 암묵적 지식은 새로운 명시적 지식이 되고 이를 통해서 지식은 계속 확장될 수 있다. 미술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암묵적 지식에 대한 연구는 명시적 지식에 내재된 암묵적 지식을 분석해 추출하고 분화하여 명시적 지식으로 드러낸다면 새로운 미술 교사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 작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암묵적 지식을 미술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의 대상으로, 학습의 핵심으로 끌어들여 명시적인 교육적 수단이 될 수 있는 연구의 형태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자는 미술가로 활동하는 초등교사의 암묵적 지식에 관한 연구를 통해, 현장의 초등 교사들이 미술 교육에 필요한 지식이 명시적 지식 뿐 아니라 암묵적 지식도 필요함을 공유하고 지식의 확대를 통해 미술 수업이 보다 미술의 본질에 가까워지기를 바란다. 동시에 많은 아동이 예술가가 느끼는 주체적 미적 지각을 통해 세상을 의미 있게 바라보고, 존재감을 일깨우며 미술 활동 속에서 생산적이고 다양한 긍정의 기쁨을 느끼기를 바라는 바이다.

      • 지역사회 중심의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제보람 한국교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855

        미술교육이 학습자의 삶 가까이에서 실천되기 위한 접근법으로 지역사회 중심의 미술교육은 점차 그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교육과정과 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서도 지역사회 여러 요소를 미술 교육에 접목시키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지역 문화예술과 학습자 사이를 잇는 지역사회 예술가의 견해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중심의 초등학교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였다. 이는 본 연구가 지역사회의 생태, 역사, 문화예술 등이 다각적으로 고려된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Ⅱ장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중심의 미술교육의 정의와 특징, 지역사회 중심의 미술교육을 위한 지역 문화예술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6학년 미술교과서 5종에 대한 분석과 지역사회 중심의 초등학교 미술교육 실천사례를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현상학적 연구방법과 그에 따른 연구과정을 서술하고, 지역사회 예술가에 대한 심층면담 결과를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 면에서 정리하였다. Ⅳ장에서는 지역사회 중심의 초등학교 미술교육 프로그램 20차시를 개발하고, 6학년 27명의 학생들에게 적용한 후, 그 결과를 정리․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은 공통적으로 지역사회 요소 탐색, 구체화, 적용, 소통 및 공유의 전개과정을 거쳐 진행되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작품과 이야기를 나눠요’는 4차시로 구성된 미술관․박물관 활용교육 관련 프로그램이다. 지역사회문제, 지역산업, 지역 예술가에 관한 세 개의 전시가 동시에 진행되는 미술관을 방문하여 작품을 감상하고 지역문화예술의 가치를 이해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학생들은 인터넷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소집단 활동을 통해 미술 비평의 과정과 방법을 익혔다. 두 번째, ‘숨은 이야기 찾기’는 전통문화 활용 미술교육과 관련된 4차시의 프로그램으로 지역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수묵담채화 표현활동이 주를 이룬다. 면봉을 이용한 점묘기법을 통해 전통미술에 쉽게 접근할 뿐만 아니라 겸재 정선과 관련된 지역 미술사 학습, 지역 전통문화재 탐색을 통해 지역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과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세 번째, ‘철로 만드는 옛 이야기’는 공공미술 활용 미술교육과 관련되어 있으며, 지역설화 조사를 통해 내용을 구성하여 와이어 작품을 제작하고 지역축제기간 동안 행사 장소에 전시하는 순으로 진행되었다. 네 번째, 생태학 중심 미술교육과 관련된 ‘모래로 표현하는 환경이야기’는 지역 환경문제를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 수업 프로그램이다. 학습자들은 지역 생태를 상징하는 모래와 빛을 재료로 하는 샌드 애니메이션 기법으로 지역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작품을 제작하였고, 제작한 작품은 온라인을 통해 공유하기도 하였다. 지역사회 중심의 초등학교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연구 참여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학습효과가 나타났다. 첫째, 학생들의 미술활동에 대한 자신감, 흥미도, 참여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역사회 요소들을 수업내용으로 활용함으로써 학습의 흥미가 높아졌으며 모둠활동을 통한 소통은 학습자의 참여도를 높여주었다. 둘째, 학생들의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 면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도와 관심도가 크게 증가하고 애향심도 높아졌다. 인터넷을 통한 사전조사와 독서활동은 지역사회를 이해하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지역사회 관련 학습 내용은 애향심을 키우는 역할을 하였다. 지역사회 중심의 미술교육은 예술교육이 입시․수능 중심의 경향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소홀히 되는 교육여건 속에서 학습자들의 삶과 연계되어 살아있는 미술교육으로의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교육자들이 지역사회를 학습의 요소로 삼아 실천한다면 학습자들은 자신의 삶 속에서 예술을 발견하고 새로운 가치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 초등학교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 연구

        정현화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855

        우리나라 학교 교육은 최근 수요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짐에 따라 학생 개인의 수준에 맞는 맞춤식 교육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에 그동안 교육의 형평성 논란에 의해 미루어졌던 수월성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미래사회를 대비한 영재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재교육은 수학과 과학 등의 과목에 집중되고 있으며 예술영재 교육에 대한 관심과 지원은 아주 미미한 형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 분야에 영재성을 보이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미술영재를 발굴하고 이들이 지닌 잠재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도우며 나아가 보다 많은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원을 통한 저변확대를 그 목적으로 하고 미술영재의 개념 및 판별 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학습방법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과정의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첫째, 미술영재아들은 정규 미술교과 에서 충분히 발현되지 못한 그들의 표현욕구와 잠재된 미술 영재성을 발현시키고 계발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둘째, 보다 다양한 표현 활동과 미적체험활동, 감상 활동 등을 통해 미술영재아의 창의성, 미적 안목, 시지각 능력 등이 더욱 발전하였고 또한 발상 과정을 통해 생각하는 힘을 기를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자신의 작품뿐만이 아닌 다른 사람의 작품, 미술가의 작품에 더욱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더 나아가 생활 주변에서 아름다움을 찾아 이를 느낄 수 있는 태도가 형성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