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체육지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전교육과 사회화 과정의 관계

        이승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775

        연구는 사회체육지도자의 직전교육과 사회화 과정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0년 현재 수도권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스포츠센터 정규사원으로 근무하는 사회체육지도자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의 표집은 군집표집(cluster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표본추출의 절차는 남·녀 지도자를 총 280명을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256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측정도구로 사회체육지도자의 직전교육에 대한 도구는 김문재(1992)가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으며, 사회화 과정은 김경숙(1995)이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에 사용된 구체적인 통계방법은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표준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사회체육지도자의 직전교육과 사회화 과정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인 성별, 연령, 지도경력, 자격증, 전공, 결혼여부, 총수입, 학력, 시설유형에 따른 직전교육은 집단간 차이가 있다. 성별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일반지식은 남자가 높으며 전공지식, 현장실습에서 여자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연령이 많은 집단이 일반지식, 전공지식, 현장실습이 높았고 지도경력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경력이 높은 집단이 일반지식, 전공지식, 현장실습이 상위로 나타났다. 자격증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경기지도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집단이 모두 높았고 전공여부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전공자 집단이 일반지식, 전공지식, 현장실습 에서, 결혼여부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기혼인 집단이 각각 높았다. 총수입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급여수준이 200만원이상 집단이 일반지식, 전공지식, 현장실습에서 높았으며, 학력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학력이 상위인 집단이 일반지식, 전공지식, 현장실습이 높았고, 시설유형에 따른 직전교육의 차이는 민간종합시설에서 근무하는 집단에서 일반지식, 전공지식, 현장실습에서 높았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인 성별, 연령, 지도경력, 자격증, 전공, 결혼여부, 총수입, 학력, 시설유형에 따른 사회화 과정에는 집단간 차이가 있다. 성별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기대에서는 여자가 높고, 성취에서는 남자가 높다. 연령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기대, 성취에서 연령이 많은 집단이 높았고, 지도경력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경력이 많은 집단에서 기대, 성취가 높았다. 자격증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경기지도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집단이 높다. 전공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기대는 전공자와 비전공자에서는 차이가 없고, 성취에서는 전공자가 높다. 결혼여부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미혼인 집단에서 기대가 높으며, 성취에서는 기혼인 집단이 높다. 총수입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200만원이상의 집단이 기대, 성취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집단에서 기대, 성취가 높았다. 시설유형에 따른 사회화 과정의 차이는 공공체육시설, 민간단일시설에서 근무하는 집단에서 기대가 높고, 성취에서는 민간단일시설에서 근무하는 집단이 높다. 셋째, 사회체육지도자의 직전교육이 사회화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전공지식, 현장실습의 대한 직전교육이 높을 수 록 사회화 과정의 하위변인인 기대. 성취가 높다. This study is intended for a positive examination of what relation the prfeservice education for the instructors in "sport for a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ort instructors") has with their social proces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made with those sport instructors who were working, as regular employees, for sport centers bas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in 2000. The cluster sampling was used for sampling of the objects of survey. A total of 280 sports instructors, male and female, were selected in the sampling process. Data from 256 out of these were actually applied to the study. As tools for collecting and measuring the data required for study, the questionnaires adopted Moon-Je Kim(1992) and Kyung-Sook Kim(1995)were used respectively for the data on the preservice education and those on the social process. The analysis of data collected was based on technical statistics, one-way ANOVA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ade by above-mentioned approaches, the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reach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service education and social process in sport instructors: Firstly, the following differences relating to the preservice education are found among different groups classified by various demographic factors, such as sex, age, teaching experience, certified qualification, majoring subject, marital status, gross income, educational background, and type of sports facilities involved: - By sex, male instructors are superior in general knowledge to female ones, and vice versa in subject meta knowledge and on-the-field practice. - By age, older instructors are superior to younger ones in all areas general knowledge, subject meta knowledge and on-the-field practice. - By other factors, groups of instructors, who are married and more experienced in teaching, who hold qualification certificates and who majored in the same subjects as they are presently involved in, prove to be superior to their counterparts in all areas-general knowledge, subject meta knowledge and on-the-field practice. Secondly, differences are also found with regard to the social process of sports instructors, among different groups classified by various demographic factors, such as sex, age, teaching experience, certified qualification, and type of sports facilities involved: - By sex female instructors are higher in the expectation than female ones and vice versa in the achievement. - By age, older instructors are higher than younger ones in both expectation and achievement. The same applies to those who are more experienced in teaching and who hold qualification certificates. Thirdly, the preservice education for the instructors in "sport for all" has an impact on their social process. Particularly, the higher the presercvice education on subject meta knowledge and on-the-field practice, the higher the expectation and achievement in social process.

      • 대학 무용전공 교과과정의 개선방안 연구

        박경남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743

        대학무용교육이 대학에서의 기능을 실기분야에 비중을 많이 두고 있는 반면에 이론과목과 이론연구가 비교적 가볍게 취급 되어왔다. 대학 본래의 역할인 학문을 학습하고 발전시키는 의미로서 대학무용 교육의 진정한 역할을 찾아보고 연구하는 것이 매우 의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무용 이론의 보다 효과적인 연구를 위하여 대학에서의 무용 교과과정을 무용이론과 무용교육, 무용실기로 대분류하고 분류된 과정에서 각각의 이론적 기반들이 마련되도록 교과과정에 대한 새 모델을 제시하였다. 먼저, 각 대학 무용(학)과의 교과과정 및 교과과목을 비교, 분석하고 외국대학에서의 무용 교육의 체계를 검토하였다. 선행연구들에서 지적된 문제점들을 참고, 보완하여 새로운 무용(학)과 교과과정의 모델을 제시하기 위하여 교과과정 및 교과목 구성에 있어 무용(학)과 교수 및 강사들에 대한 인터뷰를 통하여 각 과정별 교과목에 대한 선정기준을 마련하였다. 1,2학년의 교과과목은 무용의 전반적인 이해와 심화과정을 위한 기본과목 중심으로 설정하고 3,4학년의 교과과목은 이론, 실기, 교육 전공으로 분리하여 전공필수와 전공선택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무용이론에서는 철학과 과학적 측면을 바탕으로 교과과목을 세분화하고 개론, 역사, 미학, 비평, 무대효과 등의 이론을 큰 범주로 소분류하여 이론의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하였고 무용실기에서는 한국무용과 현대무용, 발레의 분류형태에 재즈, 댄스 스포츠, 궁중무용, 전통무용, 각국의 민속무용등의 다양한 교과과목을 제시하였다. 무용교육에서는 무용교육가를 양성하기 위한 교과목들을 제도적으로 설정하고 과목 계정 안에 연령별, 수준별의 교육법에 관한 과목들을 선정·편성하였다 무용교과과정에 대한 재편성을 통해 무용이론, 무용실기와 무용교육이 독립될 수 있는 기반을 다지고 무용이론의 체계적인 적립과 무용가들의 과학적 분석하에 행하여지는 동작의 구성을 바탕으로 창작능력의 향상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교육관련 행정의 체계화로 교육자를 양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oretical study in college dance education has treated lightly, while practical aspects are highly regarded. In view of the original purpose of a college which plays a major role in developing scholarship, it is considered that researching the role of college dance education is very meaningful. For effective research, the curriculum was classified into three parts, dance theory, dance education and dance practice, and with each classified curriculum, the new model was proposed for a theoretical basis. At first, dance curriculums and subjects of domestic colleges are compared and analyzed, and educational system of foreign colleges are examined. To propose new model of dance major curriculum, the issues pointed in the previous researches were referred, and criteria for selection of the subjects was propose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professors and instructors. The main course for freshman and sophomore is composed of basic subjects for general understanding, and junior and senior courses were divided into theory, education and practice as compulsory and optional subjects. To establish a firm basis, theoretical subjects were divided into introduction, history, criticism, scene effect on basis of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aspects, and various courses are proposed in practice subjects, like jazz dance, dance sports, courtly dance, traditional dance, foreign folk dance as well as Korean dance, modern dance and ballet. In dance educational course, subjects for dance instructor were systematically established, and educational methods regarding educatee's age and level were selected and organized. Foundation for independence of dance theory, practice and education was consolidated through the reorganizing courses of dance study, and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was tried to be found through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dance theories and the scientific analysis. With the systematiz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dance educators can be trained.

      • 중학교 체육교사들의 보건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 서울에 소재하는 중학교 체육교사를 중심으로

        함기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학교 체육교육에서 체계화 되어있지 않은 보건교육에 대하여 보건교육에 참여하는 중학교 체육교사들의 보건교육에 대한 인식과 보건교육의 실태 등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우리 나라 실정에 맞는 효과적인 중학교 보건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99년 현재 서울에 소재한 중학교 중에서 40개 중학교를 단순 무선 표집에 의하여 추출하고, 표집된 40개 중학교의 체육교사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중학교 체육교사들의 보건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는 보건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 - 배원환(1983), 김동근(1989), 김요한(1991), 이인구(1992), 김재희(1996) - 자료들과 여러 문헌 고찰을 기초로 작성하였다. 제작된 설문지는 본 대학의 체육계열 교수님들의 검토와 논평을 통하여 수정 보완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사전 검사를 통해 얻은 30부의 설문지를 토대로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ronbach'α 계수를 산출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통계기법은 SPSS 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일원분산분석, Chi-Square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절차를 거쳐 얻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보건 교육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② 교사들의 연령 및 교직 경력에 따른 보건 교육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③ 교사들의 근무 학교에 따른 보건 교육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④ 교사들이 근무하고 있는 학교의 설립 주체의 차이에 따른 보건 교육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⑤ 교사들의 연령 및 교직 경력에 따른 보건 교육의 실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⑥ 교사들의 근무학교에 따른 보건 교육의 실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보건수업의 방법에서 남자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과 여자중학교와 남녀공학 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보건영역의 평가 실시에 있어서 남자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과 여자중학교와 남녀공학 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보건교육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⑦ 교사들이 근무하고 있는 학교의 설립 주체에 따른 보건 교육의 실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보건수업의 방법과 보건영역의 평가실시에 있어서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education in middle schools setting. First, we will try to find out the realities of the health education in schools and the ideal of health education of which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ink about. We selected 40 middle schools in Seoul by random sampling, and handed out the questionnaires to 199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f the selected schools. The survey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were invented after study survey used in previous studies concerning the health education - By Bae Wonhwan(1983), Kim Dongkeun(1989), Kim Yohan(1991), Lee Inku(1992), Kim Jaehee(1996) - and the various related books. Professors of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at Yonsei University reviewed and commented on the questionnaires. They also helped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questionnaires. They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s. Researcher could verify the reliance of this study by using SP 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8.0 version to get Chronbach's a of the 30 preliminary survey questionnaires. Researcher performed T-test, oneway Anova test and Chi-Square test by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in order to test this study's hypothe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procedur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in terms of physical education, the sex of teachers does not make any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ir recognition of the health education. Second, the age and the career of the teachers do not make any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ir recognition of the health education. Third, the schools work do not make any statistical differences in teachers' recognition of the health education. Fourth, the fact whether the schools are public or not, does not make any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health education. Fifth, the schools where the teachers work do not make any statistical differences in teachers' health education at their schools. Sixth, the fact whether the schools are boys' schools or not, does makes a statistical difference. The teaching methods of the health education in the boy's school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co-ed schools and in the girls' schools. And in the area of the health test, the same difference was be found. These differences can help us to find out what is impeding the development of health education. Seventh, whether the schools are public or private, it makes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 health education which is going on these days. The public and the private schools are distinguished themselves from teaching methods and the tests of the health education.

      • 태권도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오기성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초등교육현장에서 태권도 교육의 적용이 아동의 사회성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수업 내용 중 태권도의 필요성을 규명하고, 나아가서 교사의 수업진행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사 대상은 서울 양천구에 위치하고 있는 K초등학교 3학년 10개 학급중 동학년에서 성별, 학력, 경력 등 교사변인이 비슷한 교사가 담임하고 있는 두 학급 아동들을 선정하여 실험집단(G_(1))과 통제집단(G_(2))로 나누었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참여하지 못한 아동을 제외한 79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도구는 이조천(1993)이 개발한 아동기 태권도 교육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종속변인의 사회성 검사도구는 Moreno의 사회성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통계처리는 사회성 검사를 실시한 후 사회성측정 행렬표를 작성하여 결과를 처리하였다. 실험집단과 통계집단의 집단내 사회성 지위는 피선택수를 산출하여 알아보았다. 피선지위가 높은 아동은 낮은 아동에 비해 사회성 발달이 높은 아동이고 좋은 인간관계를 가져 교우간에 선호를 받을 것이라는 가정에 근거하였다. 집단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집단확장성과 집단응집성을 산출하였다. 집단확장성은 각각의 아동이 선택한 아동수에 의하여, 집단응집성은 상호선택한 아동수에 의하여 산출한 후 SPSS 7.5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두 집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의수준 1%에서 t-test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와 자료분석 결과를 기초로 얻어진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집단내 개인의 사회성 지위가 향상되었다. 이는 태권도 교육을 통하여 집단형성에 중요한 협동, 규칙, 질서 등 사회성을 배우게 되며, 자연스럽게 아동 상호간에 친밀한 교류를 유도하여 아동의 사회성 지위를 향상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태권도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집단확장성이 향상되었다. 이는 태권도 교육 중 아동 상호간에 친밀도가 향상되어 교우관계의 폭이 넓어지고, 친구의 선택을 적극적으로 하게끔 유도된 원인으로 사료된다. 셋째, 태권도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집단응집성이 향상되었다. 이는 태권도 교육 중 타인의 입장을 고려하고 자기를 억제하는 태권도 정신을 배우고, 또한 그 속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왕성히 하게되어 서로간에 상호 선택하는 경향이 높아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학교 교과과정 중 태권도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아이들의 교우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고, 이는 아이들의 사회성을 향상시켰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This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learning teakwondo in an actual elementary school setting has three purposes. The first is to analyze what, if any, influence this training has on the sociability of the students. The second is to illuminate the necessity for this training as part of a regular school curricula. The third and final goal of this paper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eachers to aid them in the process of giving instruction in teakwondo.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he author selected third grade students from two classes at the K elementary school in Yangchon-gu, Seoul. which had teachers who shared similar levels in terms of sex, educational background, and experience.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G_(1)) and the control group(G_(2)). A total of 79 students (a figure which excludes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pre- and post-testing) were used as subjects for this research. This research utilized as its test management tool the childhood teakwondo training program developed by Lee Cho-chon(1993) and Moreno's Sociality test chart to measure the dependant variable, sociability. Statistics were used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of a sociability evaluation and plotted on a sociability matrix chart to obtain result. The level of sociability with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number of selections received. Children with a higher level of selection status had a much more highly developed sense of sociability than those with a lower level of selection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y enjoyed good relationships with their peers and were favorites among their peers. In order to analyze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the group's expansiveness and cohesiveness were calculated. After the group's expansiveness(determined by the number selected by the children) and the group cohesiveness(determined by the number of mutually selected children) were calculated, the SPSS 7.5 program was used to obtain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t the significant level of 1 %, the t-test was administered. The results obtained by using the above research method and analysis of materials a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exposed to the teakwondo training program showed an improvement in their level of sociability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that was not. This seems to result from a sense of group effort and awareness of rules and order that the teakwondo teacher encourages, which further stimulates the feelings of closeness and exchange among peers. 2)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exposed to the teakwondo training program showed an improvement in their level of group expansiveness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without the teakwondo training program. This is considered to be the result of the portion of teakwondo training that develops a sense of comradeship among the students, encourages a deepening of the relationship among classmates, and the active pursuit of friendship among the participants. 3)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exposed to the teakwondo training program showed an improvement in their level of group cohesiveness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without the teakwondo training program. This is regarded as coming from the portion of teakwondo spiritual training that teaches its students to consider the position of others and exercise self restraint as well as to adopt positive social behavior.

      • 대학 무용 지도자의 리더십 형태에 관한 연구

        김애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무용 전공 학생들이 지각하는 무용 지도자들의 리더십 형태와 이들의 학생들에 대한 지도 열의 및 학생들의 지도자에 만족도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4개 대학교의 무용을 전공하는 여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불충분한 응답을 제외한 발레 73명, 한국무용 169명, 현대무용 83명 총 3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이 지각하는 전공별 지도자들의 리더십 형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학 무용 지도자들의 리더십 형태를 과제지향성 독단형, 민주형, 자유방임형으로 나누었으며 이들의 리더십 형태뿐만 아니라, 학생에 대한 긍정적 보상행동 정도, 레슨 성과 그리고 지도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전공 즉, 발레, 한국무용, 현대무용 등 각각의 무용 전공에 따른 지도자들의 지도형태와 경력에 따른 지도형태, 긍정적 보상정도, 그리고 전공 지도자에게 레슨 받은 기간에 따른 지도 형태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공에 따른 대학교 무용전공 지도자들의 지도형태는 먼저, 과제 지향적 및 독단적 지도유형에 대해서 발레를 전공한 학생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였고, 현대무용을 전공한 학생이 한국무용을 전공한 학생보다 낮은 인식을 보였다. 민주형 지도유형에 대해서는 발레를 전공한 학생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였고, 현대무용을 전공한 학생이 한국무용을 전공한 학생보다 낮은 인식을 보였다. 이에 반해 자유방임형 지도유형에 대해서는 현대무용을 전공한 학생이 발레와 한국무용을 전공한 학생보다 높은 인식을 보였으나 무용 전공분야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각각의 무용지도자들의 지도형태는 독단적 지도유형에 대해서 1학년과 4학년이 2학년과 3학년보다 낮은 인식을 보였으며, 민주형 지도유형에 대해서는 1학년과 2학년이 높은 인식을 보였고, 3학년이 4학년보다 낮은 인식을 보였다. 경력에 따른 무용 지도자들의 지도형태는 과제 지향적 및 독단적 지도유형에 대해서는 무용 경력이 많을수록 높은 인식을 보였으나 큰 의미는 얻을 수 없었다. 민주형 지도유형에 대해서는 무용경력이 7∼10년 미만인 학생 지도자의 지도유형에 가장 두드러진 성격을 나타내어 5년 미만 10년 이상인 학생보다 높은 인식을 보였다. 자유방임형 지도유형에 대해서는 무용 경력이 7∼10년 미만인 학생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였고, 무용 경력이 5년 미만인 학생과 5∼7년 미만인 학생이 무용 경력이 10년 이상인 학생보다 낮은 인식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무용전공자의 무용 경력에 따라 무용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대한 인식은 독단적 및 과제 지향적 지도자와 자유방임형 지도자에게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민주형 지도자에게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레를 전공한 학생이 무용 지도자의 지도열의 및 보상행동 정도에 대해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현대무용을 전공한 학생이 한국무용을 전공한 학생보다 무용 지도자의 지도열의 및 보상행동 정도에 대해 낮은 인식을 보인 것으로 보아 학생들은 전공에 따라 무용지도자의 지도열의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무용경력에 따른 무용 지도자의 지도열의 및 보상행동 정도를 묻는 문항에서 경력이 7∼10년 미만인 학생이 무용 지도자의 지도열의 및 보상행동 정도에 대해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무용 경력이 5년 미만인 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무용 지도자의 지도열의 및 보상행동 정도에 대해 낮은 인식을 보였다. 다음으로 지도자들의 지도 만족도를 묻는 문항에서 발레를 전공한 학생이 무용 지도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현대무용을 전공한 학생이 한국무용을 전공한 학생보다 무용 지도자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걸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leadership structures of dance instructors among university dance students. The sample size of the data consists of 355 surveys representing 73 ballet students, 169 Korean dance students, and 83 modem dance students. The survey design utilizes Chelladurai & Salehs (1978) Competing Values and Leadership Scale for Sport. One of the important premises of the study is based on the categorization of leadership structure into instruction-based autocratic leadership style, democratic leadership style, and laissez-faire leadership style. Furthermore, different variables such as emphasis on positive feedback, instructors enthusiasm for teaching, and student satisfaction toward his instructor are investigated.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revailing leadership structure of dance instructors by considering different dance majors, the duration of the students dancing career, emphasis on positive feedback, and the length of lesson commitments with the instructor.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or the study. By utilizing one-way ANOVA statistical analysis, three competing categories of leaderships are established. In the category of instruction-based autocratic leadership style, ballet majors display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hile modem dance majors reveal the lowest correlation, even less than Korean dance majors. In the category of democratic leadership style, ballet majors also display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hile modem dance majors show lower correlation than Korean dance majors. Although modem dance majors show higher correlation than ballet and Korean dance majors in the category of laissez-faire leadership style, a significant difference across the three dance majors is absent. When analyzing different grade levels, freshmen and seniors show lower correlation to autocratic leadership style than sophomores and juniors, while freshmen and sophomores show higher correlation for democratic leadership style than juniors and seniors. By considering the duration of the students dance career,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length of duration positively corresponds to instruction-based autocratic leadership style, although not all that meaningful. In the category of democratic leadership style, students with dance career of less than 7 to 10 years show remarkable positive correlation than students with less than 5 years or greater than 10 years of dance career. In the category of laissez-faire leadership style, students with dance career of less than 7 to 10 years show the highest correlation. Although students with dance career of less than 5 years and less than 5 to 7 years show lower correlation than students with dance career of less than 10 years, the data fail to prove statistical significance. Overall, the length of career does not show any relationship with instruction-based autocratic leadership style and laissez-faire leadership style. However, the length of career show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democratic leadership style. In the category of emphasis on positive feedback and instructor enthusiasm, ballet students indicate the highest correlation, while modem dance majors show lower correlation than Korean dance majors. From this data, the study suggests that teachers enthusiasm for teaching and emphasis on positive feedback differ across different dance majors. Students with less than 7 to 10 years of experience show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category of emphasis on positive feedback and instructor enthusiasm, while students with less than 5 years of experience show lower correlation than other students. Finally when considering student satisfaction at his instructor, ballet students display the highest mark while modem dance majors show lower student satisfaction mark than Korean dance majors.

      • 탈춤위주의 움직임교육이 자폐아동의 상동 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윤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의 목적은 상동행동을 나타내는 남·여 자폐아동을 대상으로 탈춤을 실시하여 움직임교육이 상동행동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한 것이다.탈춤은 그 기술이 신체의 자연스러운 동작이며 탈춤에서 탈은 자폐아동에게 자신을 숨길 수 있는 자신만의 공간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심리적 안정을 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서울의 특수학교에 다니는 남·여 자폐아동을 1명씩 선정한 단일대상연구설계(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이다. 한국 무용의 한가지 유형인 탈춤은 풍부하고 자유로운 리듬감을 살려 감수성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며 인간의 정신적·육체적 능력상의 균형을 무엇보다 잘 유지시킨다. H복지관에서 탈춤을 응용한 덩더꿍 체조를 실시한 후 학교 수업 시간에서 대표적으로 문제되는 상동 행동 1가지씩을 표적 행동으로 선정하여 상동 행동 변화의 수를 기록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은 기초선 측정 기간, 실험 처치 기간, 반전 기간으로 구분하여 상동 행동 반응 횟수를 기록한 ABA′형태이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대상 학생의 상동행동인 손바닥에 침을 뱉어 다시 빨아먹기는 기초선 기간의 횟수 대비 실험 처치 기간의 횟수에서 약 61.14%가 감소되었고, 기초선 기간의 횟수 대비 반전기간에서는 평균 48.34%가 감소되어 탈춤을 통한 움직임교육이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B대상 학생의 상동행동인 손톱 물어뜯기는 기초선 기간의 횟수 대비 실험 처치 기간의 횟수에서 약 38.34%가 감소되었고, 기초선 기간의 횟수 대비 반전기간에서는 평균 27.58%가 감소되어 탈춤을 통한 움직임교육이 상동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앞서 제시한 선행연구와 비교해 볼 때 신체 움직임과 강화요인을 병행하여 실시한 학생에게도 긍정적인 문제 행동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이는 운동 혹은 움직임 교육을 이용한 신체 활동이 자폐아동의 상동행동 감소에 분명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n the change of streotype behavior through the movement education by the mask dance to a female and a male who were mentally retarded. As a kind of korean traditional dances, the mask dance helps in developing human receptivity by supporting sufficient and free sensitive rhythm, and also making the balance of physical ability. The method of this study used a single subject design which selected each one child of the special school for mentally retarded children located in Seoul. It is easy to learn the mask dance because it is one of the natural movements of human being, and the mask could provide an opporunity for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 to hide themselves that could also give them a metal recuperation ; by securing their own space behind the mask. The number of streotype behavior change were recorded by selecting each "target behavior" related to representative streotype behavior. The subjects were selected and tested Duengdekung Gymnastics in H-Welfare facility after school hour. The measurement method of this study was ABA' type which was recorded the number of reaction of streotype behavior divisions following three periods of baseline measurement, experimentation treatment and reversal,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A" subject children - whose streotype behavior was to spit and suck it again. the number of this streotype behavior had been reduced by 61.14% in the experimental treatment period and had been reduced by 48.34% in the reversal period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baseline period. 2. "B" subject children - whose streotype behavior was biting a nail. The number of this streotype behavior had been reduced by 38.34% in the experimental treatment and by 27.58% in the reversal period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baseline period. From above results, we could find the effect on streotype behavior by the movement education through the mask dance.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uld find the posit ive reduction of the streotype behavior from the students who were educated body movement combined with primary - secondary reinforcement .It can be useful that body movement by movement education like a mask dance could r educe the negative streotype behavior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 중등청소년의 여가만족에 관한 질적분석

        조상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79

        1990년대 이후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의식의 변화로 중등청소년들이 즐길 수 있는 여가활동의 형태와 구조는 다양해졌지만 현행 교육과의 부조화 및 입시위주의 교육은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여가활동을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다. 여기서 비롯된 문제들로 중등청소년의 여가선용의 방향을 제시하는 이와 같은 분야의 연구 노력이 요구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중등청소년들과 여가만족의 관계를 질적으로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현재 서울 시내 중학교 3학년에 재학중인 학생 11명(남학생 6명, 여학생 5명)으로 선정되었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주로 심층면담 방법(개별면담 및 집단면담)을 활용하였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참여관찰법을 실시하여 관련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현상학적인 연구를 수행할 때 많이 쓰이는 주제적 분석의 기법이 사용되었으며, 여가의 의미, 즐겨하는 여가활동, 학교생활과 여가, 여가만족 요인, 여가제약 요인이라는 다섯 가지 상위주제 하에 하위주제들로 나뉘어 졌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중등청소년들이 생각하는 여가의 의미는 연구대상자 대부분이 시간적 개념 하에서의 여가로 생각하였고, 자발적인 활동이라 생각하는 의견도 나타났다. 둘째, 즐겨하는 여가활동은 컴퓨터의 확대 보급으로 연구대상자 모두가 인터넷 서핑을 즐겨하며, 남학생들은 PC게임과 축구 등에 여학생들은 인터넷 채팅 프로그램과 쇼핑, 요리, 십자수 등을 즐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과 여가에 관해서는 대부분의 연구 대상자들이 여가활동이 학교생활에 도움이 된다'는 입장이었으나 학업과 성적보다는 교우관계 개선 등 학교생활에서의 즐거움 추구에 관한 의견들이 많았다. 넷째, 여가만족 요인에 관해서는 자발성과 승부욕 그리고 성취욕을 느낄 수 있는 심리적 만족이 가장 컸고, 학교 학급에서 교우관계 유지 및 신임을 얻기 위한 태도와 역할을 획득할 수 있는 사회적 요인에 대한 만족이 두 번째로 컸으며, 다음으로 남자 연구대상자들은 운동기술 습득에 있어서 새로운 기술시도를 통한 지적자극과 PC게임을 할 때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실력 등에서 만족과 기쁨을 느끼고 있었고, 여자 연구대상자들은 주로 사회성을 높일 수 있는 여러 가지 상식을 알게 되면서 교육적으로 만족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 외에도 스트레스 해소에 관한 휴식적 만족과 건강 및 체력증진에 대한 생리적 만족 그리고 풍부한 물리적 환경에 관한 언급으로 환경적 만족에 대한 의견들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가제약에 관한 문제는 시간 부족이 여가활동을 함에 있어서 가장 방해가 된다는 의견이 많았고, 다음으로는 학업과 성적에 대한 부담, 그리고 이에 따른 부모님의 잔소리 등을 제약요인으로 생각하고 있음이 공통의견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토대로 보면 중등청소년들은 한정적 여가활동에 소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어 교육적이고 건전한 여가활동을 하는데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중등청소년의 여가만족에 관한 질적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시발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Since 1990, while forms and structures of middle school students' leisure activities have been getting more various thanks to continuous economic growth and the change of consciousness, students haven't been served the appropriate leisure activities because of the discord in the education system and the entrance examination-centered education. Therefore, the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good use of leisure activities has been required. This study aimed to the qualitative researc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leisure satisfaction. The eleven students of the third grade of a middle school in Seoul(six boys and five girls) were selected and the method of in-depth-interview(individual interview and group interview) was chiefly used, to compensate for this method, the rela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method of participation observation. The method of thematic analysis which has been frequently used for performing the phenomenological study is used for analyzing thes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onsidered leisure as the concept of time. Second, the most popular leisure activity was proved to be surfing the Internet. Boys enjoyed playing the computer games and soccer, and girls enjoyed the programs of Internet chatting, shopping, cooking and cross stitching. Third, as school lives and leisure activities were concerned, most students thought that leisure activities could help them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ssociates. Fourth, the primary factor of leisure satisfaction was psychological satisfaction : spontaneity, the desire of winning and achievement. The secondary factor was sociological satisfaction behaviors and roles for maint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ssociates and gaining credit from schoolmates. And the next, boys felt satisfied and happy through the intellectual stimulus and performance ability, otherwise, girls felt satisfied through getting general knowledges. Fifth, the leisure activities were restricted chiefly by time. The burden of studies and parents' interference also restrict the leisure activities. After all, middle school students took part in the limited leisure activities passively, so there were too many problems to be educational and sound leisure activities. This study was thought to be the first step toward th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leisure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 레크리에이션 지도자의 프로그램개발 및 여가유능감과 여가만족에 관한 연구

        박흥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레크리에이션 지도자의 프로그램개발 및 여가유능감과 여가만족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레크리에이션 지도자의 직업에 관한 체계적인 이해, 직업에 대한 구체화 및 전문화 그리고 역할에 대한 올바른 접근을 가능하게 하여 한국사회에서의 올바른 여가문화를 열어 가는 것에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1년 현재 서울 경기도 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레크리에이션 지도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여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305명의 자료가 실제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남자지도자가 주로 대학생·성인을 대상으로, 여자지도자는 노인을 제외한 유아, 초등학생, 성인 등에서 균등하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었으며 30대와 40대 이상으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성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개발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대 이상"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개발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과 전공에 따른 프로그램개발 대상에서는 초급대학 출신의 지도자와 예체능계를 전공한 지도자들이 다른 학력 지도자에 비하여 "유아"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개발 비율이 높았으며 경력이 오래되었거나 월수입이 높은 지도자가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개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개발 분야에 있어서는 남자지도자는 체육행사와 게임을, 여자지도자는 댄스분야의 프로그램 개발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20대의 경우 게임과 " 인 지도자들이 주로 댄스분야의 프로그램개발이 높았고 프로그램 아이디어는 TV, 라디오, 영화, 잡지 그리고 동료들에게 정보를 많이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여가만족도(심리적, 교육적, 사회적, 휴식적, 생리적, 환경적 만족도)에는 부분적인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여가만족도에서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사회적 만족도와 휴식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경력에 따른 여가만족도에서는 "5∼10년 미만"인 지도자들이 경력 10년 이상 지도자들 보다 생리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라 여가유능감(신체적, 사회적, 인지적 유능감)에서도 부분적인 차이가 있었다. 고학력 레크리에이션 지도자가 사회적 유능감과 인지적 유능감에서 저학력 레크리에이션 지도자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전공에 따른 여가유능감에서는 예체능계 전공지도자들이 다른 전공자에 비하여 신체적 유능감, 사회적 유능감, 인지적 유능감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수입에 따른 여가유능감에서는 고소득 지도자가 저소득 지도자에 비하여 신체적 유능감 , 사회적 유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레크리에이션 지도자의 신체적 유능감은 심리적, 교육적, 휴식적, 생리적 만족도에 영향을 끼쳤고 레크리에이션지도자의 사회적 유능감은 심리적, 교육적, 휴식적, 생리적 만족도에 영향을 끼쳤으며 레크리에이션 지도자의 인지적 유능감은 사회적, 환경적 만족도에 영향을 주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결과를 주목하면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레크리에이션 지도자가 다른 대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족한 결과를 보였고 프로그램개발 빈도에서는 연 2∼3회로 다소 미진한 개발 현황을 알 수 있다. 앞으로 한국사회의 노인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감안 할 때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적인 레크리에이션 지도자가 양성되어야 할 것이고 레크리에이션 지도자의 프로그램 진행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프로그램개발 간행물 발간,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공모전, 레크리에이션대회 등 다양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program invention, leisure competence and leisure satisfaction of recreation leader, and to understand the multiple positions of recreation leader in Korean society. It makes it possible to know the job as specific and professional duty. Therefore, it may be useful for the fundamental data to suggest the whole aspect of recreation leader as the professional worker.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male and female recreation leaders who are working in Seoul and Kyunggido. The method of data collection was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tal 400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305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is study. For the data analysis, SPSS 8.0 Package was used. Especially,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hi-square,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effectively used. The following were results of the study. 1. Based on the differences of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program invention was variously revealed. Male recreation leader usually treated the program for the adults, and female leader works for all age groups, except for the old. The recreation leaders who majored on the field of art and physical education, and who graduated the Junior college were interested in the program development for the kindergarten pupils. In the specific field of program, male recreation leader focused on the event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and game. On the other hand, female leader treated on the dance program. The source of developing program were from TV, radio, movie and peer groups. 2. In sex, there were significance differences in leisure satisfaction(psychological, educational, social, recuperative, physiological, environmen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sex, female had a high rate on social and recuperative satisfaction rather than male. According to career, the leaders who have been working from 5 yrs to 10 yrs had a high rate than the leader s, working over 10 yrs. 3. In social demographic differ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isure competence(physical, social and cognitive). Specially, depending on the differences of academic background, college major and monthly salary, leisure competence was differently suggested. 4.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leisure competence, the physical competence was closely related to psychological, educational, recuperative, and physiological satisfaction . Social competence was related to psychological, educational, recuperative and physiological satisfaction. Cognitive competence was interacted to social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