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이클 선수와 체육전공학생의 심폐기능에 관한 연구

        정영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5375

        본 연구 목적은 사이클선수와 일반체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심폐기능의 요인들을 측정 비교 이해함으로서 사이클 트레이닝의 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있어 기초자료을 얻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사이클선수집단과 생활체육인집단으로 운동부하검사를 실시한 후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가설 1. 사이클선수 집단은 생활체육전공인 집단의 비해 최대산소섭취량이 많을 것이다(p<.05). 사이클선수 집단이 65.38±6.38㎖/㎏/min으로 생활체육인 집단이 42.05±4.49㎖/㎏/min으로 나타나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p<.001)가 나타났다. 가설 2. 사이클선수 집단은 생활체육전공 집단에 비해 최대심박수가 높을 것이다(p<.05). 사이클선수 집단이 181.50±11.19beat/min으로 생활체육인 집단이 176.17±22.70beat/min으로 나타나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가 없었다. 가설 3. 사이클선수 집단은 생활체육전공 집단에 비해 안정시 혈압이 낮을 것이다(p<.05). 사이클선수 집단이 115.00±5.27mmHg으로 생활체육인 집단이 113.33±5.16mmHg 나타나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가 없었다. 가설 4. 사이클선수 집단은 생활체육전공 집단에 비해 최대혈압이 높을 것이다(p<.05). 사이클선수 집단이 212.71±18.13mmHg으로 생활체육인 집단이 179.33±21.96mmHg으로 나타나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p<.012)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basic data for planning the program of the cycle training by the comparative estimating and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on the cardiac and pulmonary function subjecting the cycling athletes and general athletic college students. As the research method, t-examination was performed after the exercise-load examination subjecting the group of the cycling athletes and the group of the routine exercise was done. 1. The cycling athlete will take more amount of the maximum oxygen than the general athletic college students(P<.05). In VO2max, the group of the cycling athletes showed 65.38±6.38㎖/㎏/min, and the group of the general athletic college students displayed 42.05±4.49㎖/㎏/min,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was the meaningful difference(p<0.05). 2. The group of the cycling athletes will show the higher frequency of the maximum heartbeat than the group of the general athletic college student(P>.05). In HRmax, the group of the cycling athletes showed 181.50±11.19bpm. and the group of the general athletic college students displayed 176.17±22.7bpm. Consequently,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was concluded that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3. The group of the cycling athletes will show the lower blood pressure in the stable condition than the group of the general athletic college students(P<.05). The blood pressure in the stable condition was shown as 115.00±5.27mmHg in the group of the cycling athlete and 113.33±5.16mmHg in the group of the general athletic college students.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4. The group of the cycling athletes will show the higher maximum blood pressure than the group of the general athletic college students(P<.05). In the maximum blood pressure, the numerical value was shown as 212.71±18.13mmHg in the group of the cycling athlete and 179.33±21.96mmHg in the group of the general athletic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ere was the meaningful difference(p<0.05).

      • 준비운동 세트수와 강도의 차이가 75% 1RM 벤치프레스 운동 시 반복횟수, 총운동량, 생리학적 변인 및 iEMG에 미치는 영향

        정환종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5375

        본 연구의 목적은 준비운동 세트 수와 강도의 차이가 75% 1RM 벤치프레스 운동 시 반복횟수, 총운동량, 생리학적 변인 및 주동근의 iEMG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피험자는 웨이트 트레이닝 경력이 6개월 이상인 남자 대학생 8명을 선정하였다. 75% 1RM의 무게로 벤치프레스 수행전 준비운동의 형태를 총 4가지로 하였다. 준비운동시 각 세트 당 반복 횟수는 사전측정에서 75% 1RM 측정 시 실시한 횟수와 동일하게 실시하였고, 세트 간 휴식시간은 2분으로 설정하였다. 준비운동의 형태는 ➀NON세트, ➁3세트, ➂6세트, ➃9세트로 세트수를 달리하였으며, 각각 실시한 후 75% 1RM 벤치프레스를 실시하였다. ➀NON세트조건은 준비운동 없이 벤치프레스를 실시하며, ➁3세트조건은 【75% 1RM의 30%】× 【75% 1RM의 50%】 × 【75% 1RM의 70%】 순으로 벤치프레스를 실시하였으며, ➂6세트조건은 【75% 1RM의 30%】× 【75% 1RM의 40%】 × 【75% 1RM의 50%】 ×【75% 1RM의 60%】× 【75% 1RM의 70%】 × 【75% 1RM의 80%】 순으로 벤치프레스를 실시하였으며, ➃9세트조건은【75% 1RM의 10%】× 【75% 1RM의 20%】 × 【75% 1RM의 30%】× 【75% 1RM의 40%】 × 【75% 1RM의 50%】 ×【75% 1RM의 60%】× 【75% 1RM의 70%】 × 【75% 1RM의 80%】 × 【75% 1RM의 90%】 순으로 벤치프레스를 실시하였다. 각 조건 별 준비운동 시 큰 가슴근과 앞세모근 및 위팔세갈래근 바깥머리의 근전도를 측정 하였다. 매 세트 간 휴식 시간에는 10초마다 심박수를 측정 하였고, 50~60초 사이의 혈압을 1회 측정 하였다. 측정은 운동 순서를 달리할 수 있도록 무작위로 교차 배분하여 진행하였으며, 조건별 1주일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준비운동 세트조건과 세트 간에 따른 생리학적 변인과 운동량 및 근전도 반응은 Repeated one-way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Difference와 Simple 방법을 적용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은(a)=.05로 설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첫째, 3세트 준비운동 시 세트별 심박수는 2세트보다 3세트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1), 수축기 혈압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심부담도는 2세트보다 3세트가 높게 나타났다(p<.01). iEMG의 변화 중 큰가슴근의 iEMG는 1세트보다 2세트에서(p<.05),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1) 높게 나타났다. 앞세모근의 iEMG는 1세트보다 2세트에서(p<.01),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01)높게 나타났다. 위팔세갈래근 가쪽갈래의 iEMG는 1세트보다 2세트에서(p<.01),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01)높게 나타났다. 둘째, 6세트 준비운동 시 세트별 심박수는 3세트보다 4세트에서(p<.01), 4세트보다 5세트에서(p<.01), 5세트보다 6세트에서(p<.01)높게 나타났으며, 수축기 혈압은 4세트보다 5세트에서 높게 나타났고(p<.05), 심부담도는 3세트보다 4세트에서(p<.05), 4세트보다 5세트에서(p<.01)높게 나타났다. iEMG의 변화 중 큰가슴근의 iEMG는 1세트보다 2세트에서(p<.05), 3세트보다 4세트에서(p<.01), 4세트보다 5세트에서(p<.01), 5세트보다 6세트에서(p<.05), 5세트보다 6세트에서(p<.05)높게 나타났으며, 앞세모근의 iEMG는 1세트보다 2세트에서(p<.05),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5), 3세트보다 4세트에서(p<.01), 4세트보다 5세트에서(p<.001), 5세트보다 6세트에서(p<.001)높게 나타났고, 위팔세갈래근 가쪽갈래의 iEMG는 1세트보다 2세트에서(p<.01),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5), 5세트보다 6세트에서(p<.01)높게 나타났다. 셋째, 9세트 준비운동 시 세트별 심박수는 3세트보다 4세트에서(p<.05), 5세트보다 6세트에서(p<.01), 6세트보다 7세트에서(p<.05), 7세트보다 8세트에서(p<.05), 8세트보다 9세트에서(p<.05)높게 나타났으며, 수축기 혈압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심부담도는 8세트보다 9세트에서(p<.05)높게 나타났다. iEMG의 변화 중 큰가슴근의 iEMG는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5), 3세트보다 4세트에서(p<.01), 4세트보다 5세트에서(p<.05), 5세트보다 6세트에서(p<.05), 6세트보다 7세트에서(p<.05), 8세트보다 9세트에서(p<.05)높게 나타났으며, 앞세모근의 iEMG는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5), 3세트보다 4세트에서(p<.05), 4세트보다 5세트에서(p<.05), 5세트보다 6세트에서(p<.01), 6세트보다 7세트에서(p<.05), 7세트보다 8세트에서(p<.05), 8세트보다 9세트에서(p<.05)높게 나타났고, 심부담도는 1세트보다 2세트에서(p<.01),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01), 3세트보다 4세트에서(p<.05), 4세트보다 5세트에서(p<.01), 5세트보다 6세트에서(p<.01), 6세트보다 7세트에서(p<.001), 8세트보다 9세트에서(p<.01)높게 나타났다. 넷째, 준비운동 조건 별 75% 1RM 벤치프레스 수행직전 심박수의 차이는NON세트보다 3세트에서(p<.05), 3세트보다6세트에서(p<.01), 6세트보다 9세트에서(p<.001)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수축기 혈압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심부담도는 3세트보다 6세트에서(p<.01), 6세트보다 9세트에서(p<.01)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준비운동에 따른 75% 1RM 벤치프레스 운동시 생리학적 변인의 심박수와, 수축기혈압, 심부담도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iEMG 또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반복횟수는 NON세트보다 3세트(p<.01), 6세트보다 3세트에서(p<.01), 9세트보다 3세트에서(p<.01), 9세트보다 6세트에서(p<.01)높게 나타났으며, NON세트와 6세트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총운동량의 NON세트보다 3세트에서(p<.01), 6세트보다 3세건에서(p<.01), 9세트보다 3세트에서(p<.01), 9세트보다 6세트에서(p<.01)높게 나타났으며,NON세트와 6세트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준비운동 시 세트가 진행되면서 심박수와 심부담도가 증가되며, 수축기혈압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9세트 준비운동 조건에서 가장 높은 심박수와 심부담도를 보였다. 벤치프레스 수행능력은 3세트 준비운동 조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9세트 준비운동 조건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벤치프레스시 수행하고자 하는 운동 강도보다 낮은 강도로 3세트 준비운동을 하는 것이 적절한 준비운동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preparation sets and the intensity on the repetition, total work, physiological variables and iEMG of the 75% 1RM bench press exercise. The subjects were 8 male college students with a weight training career of 6 months or more. A total of four types of preparatory exercises were carried out before bench press with 75% 1RM. The number of repetitions per set during the preparation exercise was the same as the number of repetitions per 75% 1RM measurement in the preliminary measurement, and the rest interval between the sets was set to 2 minutes. The types of preparatory movements were set as follows: ➀NONset, ➁3set, ➂ 6set, ➃ 9set, and 75% 1RM bench press was performed. ➀Non set conditions are bench press without preparation motion ➁3set conditions were [75% 1RM 30%] × [75% 1RM 50%] × [75% 70% of 1RM], 75% of 1RM, 75% of 1RM, 50% of 75% of 1RM, 75% of 1RM, 75% of 1RM, [75% 1RM 80%], followed by a bench press, ➃9 set conditions are 75% 1RM 10% X 75% 1RM 20% X 75% 30% of 1RM X 75% 75% 1RM 40%】 X 75% 1RM 50% X 75% 1RM 60% X 75% 70% of 1RM X 75% 80% of 1RM X 75% 90% of 1RM Followed by bench pressing. We measured the EMG of the pectoralis major, the anterior deltoid and triceps brachii during the preparation exercise for each condition. At rest intervals between sets, heart rate was measured every 10 seconds and blood pressure between 50 and 60 seconds was measured once. The order of the measurements were randomly distributed and crossed every week.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physiological variables, the momentum and the EMG response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repared exercise set and the set was analyzed by the repeated one-way ANOVA, and the difference and the simple method were applied for the post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s (a) =. 05. As a result, first, heart rate per set was higher in 3 sets than in 2 sets in 3 sets (p <.01), systolic blood pressur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nd Rate pressure product was 3 sets (P <.01), respectively. Among the changes of iEMG, the iEMG of the pectoralis major muscle was higher in 2 sets than in 1 set (p <.05) and 3 sets (p <.01) higher than 2 sets. The iEMG of the anterior deltoid was higher in two sets than in the first set (p <.01), and was higher in three sets (p <.001) than the second set. The iEMG of the triceps brachii was higher in the two sets (p <.01) than in the lower arm, and higher in the three sets (p <.001) than the two sets. Second, the heart rate per set was higher in 4 sets than in 3 sets (p <.01), and 5 sets (p <.01) was higher than 4 sets in 5 sets Systolic blood pressure was higher in 5 sets than in 4 sets (p <.05), and Rate pressure product was higher in 4 sets than in 3 sets (p <.01) <.05) and 5 sets (p <.01) higher than 4 sets. Among the changes of iEMG, iEMG of pectoralis major was higher in 2 sets than in 1 set (p <.05), higher than 4 sets in 3 sets (p <.01), 5 sets in 4 sets (P <.05) than in the 5 sets (p <.05), and in the 6 sets (p <.05) IEMG was higher in two sets than in one set (p <.05), higher in three sets than in two sets (p <.05), higher in four sets than in three sets (P <.001), and it was higher in 5 sets than in 4 sets (p <.001), higher than 6 sets in 5 sets (p <.001) The iEMG of the forked group was higher in two sets than in one set (p <.01), higher than three sets in two sets (p <.05), and in 6 sets (p <. 01). Third, the heart rate per set was greater in 4 sets than in 3 sets (p <.05), and 6 sets in 5 sets (p <.01) (P <.05), which was higher than the 7 sets (p <.05), 9 sets (p <.05) higher than the 8 sets, Systolic blood pressur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nd Rate pressure product was higher in 9 sets (p <.05) than 8 sets. Among the changes of iEMG, the iEMG of the pectoralis major was higher in 3 sets than in 2 sets (p <.05), higher in 4 sets than in 3 sets (p <.01) (P <.05), which was higher in 6 sets than in 5 sets (p <.05) and higher in 7 sets than 6 sets (p <.05) (P <.05)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set (p <.05). The iEMG of the anterior deltoid was higher in the third set than in the second set (p <.05) (P <.05), and it was higher in 5 sets than in 4 sets (p <.05), higher than 6 sets in 5 sets (p <.01) (P <.05), which was higher in 8 sets than in 7 sets (p <.05), higher in 9 sets than in 8 sets (p <.05) (P <.01), and the burden was greater in two sets than in one set (p <.01), and was higher in three sets than in two sets (p <.001) (P <.05), which was higher in 5 sets than in 4 sets (p <.01), higher in 6 sets than in 5 sets (p <.01) (P <.001), and 9 sets (p <.01) higher than 8 sets. Fourth, the heart rate difference before the 75% 1RM bench pr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hree sets than in the NON set (p <.05), in the 6 sets (p <.01) (P <.001), and the systolic blood pressur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ate pressure product was higher in 6 sets than in 3 sets (p <.01) respectively. 6th, the number of repetition was higher in 3 sets than in NON set (p <.01), higher in 3 sets than in 6 sets (p <.01) and higher in 3 sets than 9 sets (P <.01), and 6 sets (p <.01) higher than 9 se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N set and 6 sets. (P <.01), which was higher than the NON set of total momentum (p <.01), greater than that of the three sets (p <.01) (P <.01), and it was higher in 6 sets than in 9 sets (p <.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N set and 6 sets. In summary, the phys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sets during the conditional preparatory exercise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heart rate increased, and iEMG increased as the set number of pectoralis major muscle, front deltoid muscle and triceps muscle increased. The warm-up (10 seconds before) exercise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exercise. Physiological variables were higher heart rate with more sets. The number of repetitions per set condition was the highest at 3 sets, and the total exercise quantity was the highest at 3 sets. In conclusion, heart rate and Rate pressure product were increased and systolic blood pressure remained constant as the set was progressed during preparatory exercise. 9 sets of exercise conditions showed the highest heart rate and heart burden. Bench press performance was the highest in the three sets of preparation conditions and lowest in the nine sets of preparation conditions.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perform three sets of preparatory exercises with a strength lower than the exercise intensity to be performed during the bench press.

      • 운동이 비만 초등학생의 체지방률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혜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5359

        이 연구는 운동이 비만 초등학생의 체지방률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비만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운동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조절효과 검증을 통해 비만 개선 운동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타당하고 실용적인 근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운동이 비만 초등학생의 체지방률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운동이 비만 초등학생의 체지방률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는 조절변인(운동 유형, 운동 빈도, 운동 시간,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메타분석을 위해 2012년 1월부터 2022년 1월까지 국내에서 발간된 관련 학위 및 학술지 논문 224편을 수집하였고, PICOS 선정 기준과 연구의 질검증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37편을 분석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논문에서 하위 변인 분류에 따른 104개 데이터를 추출하여 메타분석 전용프로그램인 CMA 3.0에 코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효과크기는 개별 연구의 작은 표본 수를 고려하여 Hedges’s g로 산출하였으며, 효과크기 계산 모형은 연구 결과를 다른 집단에도 일반화하여 적용하고자 무선효과모형으로 선택하였다. 분석을 통해 산출된 효과크기는 Hedges & Olkin(1985)의 기준에 따라 해석하였다. 효과크기에 대한 이질성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반영하여 조절변인에 따른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출간오류 검증과 민감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문헌 선정 및 코딩 과정을 다수의 연구자와 함께 진행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은 비만 초등학생의 체지방률과 혈중지질 개선에 큰 효과(1.006)가 있다. 세부적으로 체지방률에는 큰 효과(1.229), 혈중지질에는 중간 효과(0.755)가 있으며, 혈중지질의 하위 요소인 중성지방에는 큰 효과(0.994), 총 콜레스테롤(0.542),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0.701),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0.653)에는 중간 정도의 개선 효과가 있다. 둘째, 비만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운동프로그램의 효과크기는 운동 유형, 운동 빈도, 운동 시간의 하위 범주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대부분 나타나지 않았다. 중성지방의 경우 운동 빈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메타분석에 포함된 사례 수에 한계가 있고, 상반된 선행연구 결과가 존재해 추가적인 연구와 검증을 통한 재확인이 필요하다. 셋째, 비만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운동프로그램은 체지방률과 혈중지질, 중성지방 개선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효과차이가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큰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운동은 비만 초등학생의 체지방률과 혈중지질 개선에 큰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재 운영되고 있는 아동 비만 개선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은 운동 유형, 시간, 빈도 등에 따른 큰 차이 없이 체지방률과 혈중지질 개선에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비만 초등학생이 흥미를 가지고 규칙적인 운동에 참여해 운동 습관을 만들 수 있도록, 여러 운동 유형을 놀이, 게임, 스포츠 등 다양한 형태로 가능한 시간과 빈도 내에서 제공하는 것이 비만 치료와 장기적인 건강 유지에 더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비만 여학생의 운동 참여율과 비만 개선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와 검증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슬링운동치료가 만성요통환자의 척추정렬과 근활성도 및 다열근에 미치는 영향

        박승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5359

        (국문초록) 슬링운동치료가 만성요통환자의 척추정렬과 근활성도 및 다열근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운동생리학전공 박 승 진 지도교수: 신 윤 아 이 연구는 슬링운동치료가 만성요통환자의 척추정렬과 근활성도 및 다열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단순무선표집추출법(simple random sampling)을 통하여 슬링운동치료집단과 보존적 물리치료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집단은 12주간 주 3회 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치료 전과 후 척추정렬인 요추전만각(LLA), 요추추간판각(LIVDA)과 골반정렬인 골반입사각(PI), 천추경사각(SS), 골반경사각(PT) 그리고 근활성도 및 다열근 위축 등급을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LLA는 슬링운동치료집단이 보존적 물리치료집단보다 유의한 변화량(p<.01)과 치료효과가 나타났다(d=-0.54). 이원 반복측정 분산분석결과 시기에 따른 유의한 변화(p<.01)와 상호작용효과(p<.01)가 있었고, SS와 PI는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시기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p<.05). VAS는 각각의 치료집단에서 시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LIVDA의 변화는 L1-L2는 슬링운동치료집단에서 유의한 변화량(p<.05)과 치료효과가 나타났다(d=-0.47).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시기에 따른 차이와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L3-L4는 슬링운동치료집단에서 유의한 변화량(p<.01)과 치료효과가 나타났다(d=-0.51). 집단 간 차이는 없었으나, 시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L4-L5는 슬링운동치료집단에서 유의한 변화량(p<.01)과 치료효과가 나타났고(d=-0.51), 집단 간 차이는 없었으나, 시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와(p<.001)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p<.001). 2. 근활성도의 변화 중 정적 근활성도는 과긴장 spine level 중 각각 L4, L5, S1의 빈도분석 결과 슬링운동치료집단에서 과긴장의 빈도수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적 근활성도의 좌·우 균형차이의 변화는 치료 후 슬링운동치료집단에서 좌측(p<.01, d=0.79)·우측(p<.05, d=0.71) 모두 유의한 변화량과 치료효과가 나타났다. 집단 간 차이는 없었으나, 시기에 따른 차이(p<.001)와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p<.01). 3. 요추부 다열근 위축 등급의 변화는 슬링운동치료집단에서 보존적 물리치료집단보다 근위축 등급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Mild가 치료 전 20명(36.4%)에서 40명(72.7%)으로 증가하였고, moderate는 31명(56.4%)에서 14명(25.5%), severe는 4명(7.3%)에서 1명(1.8%)으로 감소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슬링운동치료프로그램은 요추 및 골반정렬 그리고 요추추간판각의 유의한 변화와 통증감소에 효과적이었다. 근활성도의 변화는 과긴장 spine level의 빈도수가 감소되었고, 요추부 근활성도 좌·우 차이의 감소로 인한 근육의 균형 있는 발달과 다열근 위축의 회복을 보였다. 따라서 슬링운동치료는 만성요통환자에게 척추정렬과 근활성도 및 다열근 위축의 회복 그리고 통증감소에 효과적인 운동치료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12주간의 스텝 운동이 비만 초등학생의 건강 체력, 혈청 지질 및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엄태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5359

        이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스텝 운동이 비만 초등학생의 건강 체력, 혈청 지질 및 성장호르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여 학교 현장에서 스텝 운동을 통한 비만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D도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12세~13세의 비만 여학생 20명을 임의로 선정한 후, 운동집단과 비교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 배정하고 운동처치 전‧후의 건강 체력과 혈청 지질, 성장호르몬을 측정하였다. 스텝 운동 프로그램은 ACSM에서 제시한 방법을 참고하여 1~4주까지는 40~55%HRmax, 5~12주까지는 55~70%HRmax의 운동 강도로 주 5회, 40분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처리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 내 운동 전후의 차이는 대응표본 t-검증으로, 집단 간의 차이는 사전 사후 결과의 변화량을 통한 독립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주 동안의 스텝 운동 후 건강 체력의 변화를 보면, 순발력은 두 집단 모두 기록의 향상은 있었으나 집단 간 변화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근지구력은 운동집단에서 기록의 유의한 증가를(p<.05)보여 집단 간 변화량에서도 유의한 차이를(p<.05)나타냈다. 유연성은 두 집단 모두 기록의 향상은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심폐지구력의 경우도 운동집단에서만 기록의 유의한 증가를(p<.05)보여 집단 간 변화량에서 유의한 차이를(p<.05)나타냈다. 체지방률의 경우에는 비교집단은 체지방률이 증가되었고, 운동집단은 체지방률의 유의한 감소가(p<.05)나타나 집단 간 변화량에서도 유의한 차이를(p<.05)보였다. 둘째, 12주 동안의 스텝 운동 후 혈청 지질의 변화를 보면, TC는 비교집단은 증가되었고, 운동집단에서는 감소하긴 하였으나 집단 간 변화량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TG의 경우 운동집단에서만 유의한 감소를(p<.01)보여, 집단 간 변화량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p<.05)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DL-C는 비교집단의 경우 LDL-C가 증가되었고, 운동집단의 경우 유의하게(p<.01)감소되어 집단 간 변화량에서도 유의한 차이를(p<.01)보였다. HDL-C는 비교집단에서는 HDL-C가 증가되었고, 운동집단에서는 HDL-C가 감소되긴 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12주간의 스텝 운동 후 성장호르몬의 변화를 보면, 비교집단의 경우 성장호르몬이 감소되었고, 운동집단에서는 성장호르몬이 유의하게(p<.01)증가되어 집단 간 변화량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를(p<.05)나타냈다. 결론적으로, 12주간의 스텝 운동은 초등학교 비만 여학생의 근지구력과 심폐지구력을 향상시켰고, 체지방률과 TG, LDL-C는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성장호르몬의 분비는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운동 강도, 연령, 비만정도에 따른 다양한 스텝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비만 학생들의 건강과 체력 증진 및 비만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12주간 복합운동이 갱년기 비만중년여성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및 건강 체력에 미치는 영향

        양진호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5343

        본 연구는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갱년기 비만중년여성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건강 체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의 복합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45세 이상, 체지방률 25% 이상인 갱년기 비만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운동에 참여하는 집단 16명과 운동에 참여하지 않는 비 운동 집단 16명으로 구성하고, 주 3회, 1일 80분, 최대심박수의 50∼70% 강도의 복합운동을 실시하였다. 측정항목은 신체조성(신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혈압, 맥박), 혈중지질(Glucose, TG, TC, LDL-C, HDL-C), 건강 체력(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으로 하였다. 모든 변인들의 측정값은 SPSS ver.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든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도표화하였고, 두 집단 간의 평균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이원 변량분석(two way ANOVA)를 이용하였다. 상호작용의 효과가 있을 경우 Duncan방식으로 사후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통계분석의 유의수준은 5%수준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인 신체조성, 혈중지질, 건강 체력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조성의 변화는 운동 군에서 체중(p<.01), BMI(p<.01), 체지방률(p<.01), 수축기혈압(p<.01), 이완기혈압(p<.05), 맥박수(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집단 간 상호작용은 수축기혈압(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혈중지질의 변화는 운동 군에서 TG(p<.05), TC(p<.05), LDL-C(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Glucose, HDL-C에서는 긍정적인 변화는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집단 간 상호작용은 TG(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건강 체력의 변화는 운동 군에서 근력(p<.01), 근지구력(p<.01), 유연성(p<.01), 심폐지구력(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집단 간 상호작용은 근력(p<.05), 근지구력(p<.05), 심폐지구력(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연구는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이 갱년기 비만중년여성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건강 체력에 긍정적인 결과를 불러 왔으며, 복합운동이 갱년기 비만중년여성들의 체질 개선 및 체력 보강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어 : 복합운동, 신체조성, 혈중지질, 건강 체력, 갱년기 비만중년여성

      • 저항운동 후 수중회복방법 차이가 성장호르몬, 테스토스테론, 혈중젖산농도, 심박수, 심부담도, 체온 및 지연성근통증에 미치는 영향

        박준식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5343

        이 연구는 저항운동 운동 시 수중회복방법 차이가 성장호르몬과 테스토스테론 및 혈중젖산농도, 심박수, 심부담도, 체온, 통증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저항운동 경력 6개월 이상의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동적 회복 조건과 정적 회복 조건에 따라 안정 시, 운동 후, 회복 후의 3가지 시기를 분석하였으며, 저항운동은 서킷형태로 일반 서킷 웨이트 트레이닝과 집중 웨이트 트레이닝으로 진행하였다. 서킷 웨이트 트레이닝은 6가지 운동으로 진행하였으며, 집중 웨이트 트레이닝은 서킷 웨이트 트레이닝에서 세트당 운동을 3번씩 반복하여 1cycle로 진행하였다. 운동강도는 1RM의 60%로, 세트별 운동수행시간과 세트 간 휴식시간은 30초로 진행하였다. Cycle당 휴식시간은 3분으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과을 얻었다. 첫째, 두 집단 모두 저항운동 후 성장호르몬은 운동 후, 회복 후, 안정 시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수중회복형태에 따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지만, 시기에 따른 유의차는 나타났다. 둘째, 저항운동 후 테스토스테론은 운동 후, 회복 후, 안정 시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수중회복형태에 따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시기에 따른 유의차는 나타났다. 셋째, 서킷 웨이트 트레이닝과 집중 웨이트 트레이닝 두 가지 모두 혈중젖산농도는 운동 후, 회복 후, 안정 시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수중회복형태와 시기 모두 유의차가 나타났다. 넷째, 서킷 웨이트 트레이닝과 집중 웨이트 트레이닝 두 가지 모두 심박수는 수중회복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중동적회복시 수중정적회복조건보다 심박수가 높은 수치를 기록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서킷 웨이트 트레이닝과 집중 웨이트 트레이닝 두 가지 모두 심부담도는 운동 후 회복 후 안정 시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수중회복조건 형태에 따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시기에 따른 유의차는 나타났다. 여섯째, 서킷 웨이트 트레이닝과 집중 웨이트 트레이닝 두 가지 모두 체온은 모든 조건과 시기에서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곱째, 서킷 웨이트 트레이닝과 집중 웨이트 트레이닝 두 가지 모두 지연성근통증은 운동직후, 회복 후, 24시간, 48시간, 72시간 순으로 작아졌으며, 조건에 따른 유의차는 나지 않았지만, 시기에 따른 유의차는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서킷 웨이트 트레이닝과 집중 웨이트 트레이닝형(tri set)운동 모두 수중회복에 대한 영향을 받았으며, 수중 동적회복이 수중 정적회복보다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with 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more than 6 months of experience in resistance movement to find out the changes in growth hormone, testosterone, and blood lactic acid concentration, heart rate, heart pressure, body temperature and pain. Three periods of stability, post-workout and post-recovery were analyzed according to dynamic recovery conditions, and resistance movements were conducted in circuit form with general circuit weight exercise and triple set exercise. The circuit weight exercise was carried out in six different exercises, and the triple set exercise was carried out in circuit weight exercise, repeated three times per set, with 1 cycle. The intensity of exercise was 60% of the 1RM, and the exercise performance time for each set and the rest time between sets were 30 seconds. The break time per cycle was set to 3 minut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Both groups showed high growth hormones after exercise, after recovery, and after stabilization,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underwater recover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iming. Second, after the resistance movement, testosterone was high in order of exercise, recovery, and stabilization, and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underwater recover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iming. Third, both circuit weight exercise and intensive training exercise showed high levels of lactate in the blood after exercise, after recovery, and after stabilization,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underwater recovery patterns and timing. Fourth, both circuit weight and intensive training exercises showed a decrease in heart rate during underwater recovery, and recorded a higher heart rate than underwater static recovery conditions during underwater recovery. Fifth, both circuit weight and intensive training exercise showed high cardiac burden in order of stability after recovery, and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underwater recovery con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significance depending on the period. Sixth, both circuit weight and intensive training exercis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temperature in all conditions and timing. Seventh, both circuit weight and intensive training exercise, delayed myocardial pain decreased in order of right after exercise, after recovery, 24 hours, 48 hours and 72 hours,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condit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ime. In conclusion, both circuit weight exercise and triple set exercise were influenced by underwater recovery, and underwater dynamic recovery is believed to be more effective than underwater static recovery.

      • 20 週間의 有酸素運動이 血中 콜레스테롤 濃度에 미치는 效果

        김형대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35343

        본 연구의 목적은 고지혈증인에 있어서 유산소운동이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피검자는 고지혈증을 보이는 평균 40세의 중년남자 9명이었다. 유산소운동은 조깅에 의해 도입.향상 단계로서 주당 3일, 하루 30분, 20주간 실시하였다. 혈액은 전완 주정맥으로 부터 운동전, 10주후, 20주후 3번 채혈을 하였다. 실험 결과는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5로 검증하였다. 20주간의 유산소운동 처치 전후의 측정치를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0주간 및 20주간의 유산소운동 처치후 총콜레스테롤(T-C)의 농도 변화는 운동 처치전에 비하여 모두 유의성이 있었다(p<.05). 2. 10주간 및 20주간의 유산소운동 처치후 고밀도콜레스테롤(HDL-C)의 농도 변화는 운동 처치전에 비하여 모두 유의성이 있었고, 특히 운동처치 전과 20주후의 비교에서는 p<.01로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3. 10주간 및 20주간의 유산소운동 처치후 저밀도콜레스테롤(LDL-C)의 변화는 운동처치전에 비하여 모두 유의성이 있었다(p<.05). 4. 10주간 및 20주간의 유산소운동 처치후 중성지질량(TG)의 농도 변화는 운동처치전에 비하여 모두 유의성이 있었으나(p<.05), 10주와 20주후 간의 변화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5. 10주간 및 20주간의 유산소운동 처치후 총콜레스테롤(T-C)과 고밀도콜레스테롤(T-C/HDL-C) 비의 변화는 운동처치전에 비하여 모두 유의성이 있었다(p<.05). 주요어: 유산소운동, 고밀도콜레스테롤, 저밀도콜레스테롤, 혈장지단백, 종성지질.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plasma lipoprotein after aerobic exercise training in selected hyperlipoproteinemia subjects. This study included 9 hyperlipoproteinemia men with mean age of 40.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 have jogged for aerobic exercise. They performed jogging over 20 minute in every 3 days a week for 20 weeks. Blood was collected from median cubital vein 3 times, just before the exercise training, after 10 weeks, and after 20 weeks. ANOVA test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at the 05 level of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fter the 10 weeks and 20 weeks aerobic exercise trainig, pre-and post-test(10 weeks and 20 weeks) on the T-C concentration was decreased significantly(p<.05). 2. After the 10 weeks and 20 weeks aerobic exercise trainig, pre-and post-test(10 weeks and 20 weeks) on the HDL-C concentratio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There was appeared statically significant(p<.01) between before and after 20 weeks. 3. After the 10 weeks and 20 weeks aerobic exercise trainig, pre-and post-test(10 weeks and 20 weeks) on the LDL-C concentration was decreased significantly p<.05). 4. After the 10 weeks and 20 weeks aerobic exercise trainig, pre-and post-test(10 weeks and 20 weeks) on the TG concentration was decreased significantly(p<.05). Between 10 weeks and 20 weeks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5, After the 10 weeks and 20 weeks aerobic exercise trainig, pre-and post-test(10 weeks and 20 weeks) on the ratio of total cholesterol to HDL-C was decreased significantly(p<.05). Key Word : Aerobic exercise training, Cholesterol, T-C, HDL-C, LDL-C, TG, TC/HDL-C ratio, lipoprotein

      • 운동 중재방법에 따른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당대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최형준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5343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중재를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관찰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고, 당대사 개선 효과를 고찰하여 그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제2형 당뇨병 영역에서 수행된 운동중재 연구를 파악하였고, 체계적 선정기준에 따라 검토하여 연구를 탐색하였다. 전체 7,190 문헌 중 3단계에 걸쳐 중복된 연구와 본 연구목적의 제외기준에 해당하는 연구를 제외하고 최종으로 16편의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최종 연구에서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운동중재에 따른 당대사 하위요인 및 중재유형을 포함한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출판편향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이질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뚤림 위험이 낮아 메타분석결과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둘째, 당대사의 하위요인별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인슐린저항성이 효과크기 g=1.023으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공복혈당 효과크기 g=.786, 당화혈색소 효과크기 g=.609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대별로 운동중재에 따른 당대사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성인(18-64세)보다 노인(65-)기에서 당대사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중재유형별로 당대사 효과크기를 계층화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복합운동이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저항운동, 유산소 운동 순으로 나타났다. 종합하여 당대사 개선에 대한 효과는 복합운동이 매우 큰 효과를 보였으나, 운동지속 및 인지개선 등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의 복합적 개선을 위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적절한 운동중재방법을 찾아야 한다. 주요어 : 운동중재유형, 제2형 당뇨병, 인슐린저항성, 공복혈당, 당화혈색소.

      • 10RM 벤치프레스 5set 운동 시 반복횟수, 반복시간, 주동근의 근전도 반응, 총운동량, 심박수 및 혈중젖산농도의 변화

        김병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5343

        본 연구는 10RM 강도에서의 5set 벤치프레스 운동 수행 시 반복시간, 주동근의 근전도 반응, 총운동량, 심박수 및 혈중젖산농도의 변화를 분석하여 벤치프레스 저항운동 중 반복수행 시간이 늦어지는 피로시점을 찾고 그 근거로서 근활성도와 근피로도 및 생리학적인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저항운동경력 6개월 이상의 남성 8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실험 1주 전 측정된 벤치프레스의 최대근력(1RM)을 근거로 10RM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안정 시와 세트 사이, 10RM의 무게의 벤치프레스 운동 중 5세트 간 최대반복으로 실시 중 반복횟수별 수행시간과 큰가슴근과 위팔세갈래근의 근전도 반응을 측정하여 적분근전도(iEMG)와 중간파워주파수(MEF)를 산출하였다. 1set 반복횟수별(10) iEMG와 MEF, 수행시간과 시기별 총운동량, 심박수, 젖산농도는 반복측정 one-way ANOVA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 simple(first)와 helmert 방법으로 사후비교하였다. 통계적인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첫째, 10RM 벤치프레스 5set 운동 시 세트별 반복횟수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세트보다 2세트에서(p<.001),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01), 3세트에서 4세트까지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1). 10RM 벤치프레스 5set 운동 시 세트별 총운동량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세트보다 2세트에서(p<.001),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01), 3세트에서 4세트까지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1). 둘째, 10RM 벤치프레스 5set 운동 시 세트별 평균 반복시간은 세트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세트보다 2세트에서(p<.05),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5), 3세트보다 4세트에서(p<.01), 4세트보다 5세트에서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10RM 벤치프레스 5set 운동 시 세트별 총 반복시간의 변화는 세트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세트와 2세트에서는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01), 3세트보다 4세트에서(p<.001), 4세트보다 5세트에서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10RM 벤치프레스 5set 운동 시 세트별 반복시간 증가 시점횟수의 변화는 세트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세트보다 2세트에서(p<.001),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1), 3세트보다 4세트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1), 4세트와 5세트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10RM 벤치프레스 5set 운동 시 1set 반복시간의 변화는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회부터 7회까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7회보다 8회에서(p<.05), 8회보다 9회에서(p<.01), 9회보다 10회에서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1). 셋째, 10RM 벤치프레스 5set 운동 시 큰가슴근의 세트별 총 iEMG 변화는 세트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세트보다 2세트에서(p<.01),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1), 3세트보다 4세트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1), 5세트에서도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10RM 벤치프레스 5set 운동 시 큰가슴근의 세트별 평균 iEMG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0RM 벤치프레스 5set 운동 시 1set의 반복횟수별 큰가슴근 iEMG 변화는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2회보다 3회에서(p<.001), 3회보다 4회에서(p<.01), 4회보다 5회에서(p<.01), 5회보다 6회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1), 6회보다 7회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1), 7회보다 8회에서 다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1). 이후 8회보다 9회에서 다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가(p<.01), 9회에서 10회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1). 넷째, 10RM 벤치프레스 5set 운동 시 위팔세갈래근의 세트별 총 iEMG 변화는 세트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세트보다 2세트에서(p<.01),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1), 3세트보다 4세트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1), 5세트에서도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10RM 벤치프레스 5set 운동 시 위팔세갈래근의 세트별 평균 iEMG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10RM 벤치프레스 5set 운동 시 1set의 반복횟수별 위팔세갈래근 iEMG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회에서 6회까지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6회보다 7회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가(p<.05), 8회보다 9회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여(p<.05), 10회까지 유지되었다. 다섯째, 10RM 벤치프레스 5set 운동 시 큰가슴근의 세트별 총 MEF 변화는 세트가 증가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1세트보다 2세트(p<.001), 2세트보다 3세트(p<.001), 3세트보다 4세트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1), 5세트에서도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10RM 벤치프레스 5set 운동 시 큰가슴근의 세트별 평균 MEF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0RM 벤치프레스 5set 운동 시 1set의 반복횟수별 큰가슴근 MEF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회보다 2회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2회보다 3회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3회보다 4회(p<.05), 4회보다 5회(p<.01), 5회보다 6회(p<.05), 6회보다 7회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8회에서 10회까지는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여섯째, 10RM 벤치프레스 5set 운동 시 위팔세갈래근의 세트별 총 MEF 변화는 세트가 증가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세트보다 2세트에서(p<.001),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01), 3세트보다 4세트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1), 4세트에서 5세트에도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10RM 벤치프레스 5set 운동 시 위팔세갈래근의 세트별 평균 MEF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0RM 벤치프레스 5set 운동 시 1set의 반복횟수별 위팔세갈래근 MEF 변화는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회보다 2회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2회보다 3회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3회에서 8회까지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8회에서 10회까지는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일곱째, 10RM 벤치프레스 5set 운동 시 세트별 심박수의 변화는 1세트 이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가(p<.001), 2세트보다 3세트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3세트에서 5세트까지는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여덟째, 10RM 벤치프레스 5set 운동 시 시기별 혈중젖산농도의 변화는 세트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세트보다 2세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2세트보다 3세트에서(p<.001), 3세트보다 4세트에서(p<.001), 4세트보다 5세트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이상을 종합해보면 10RM 강도의 벤치프레스 운동 시 세트 종료 시점에 가까운 반복횟수일수록 수행시간, iEMG가 높게 나타나며, MEF는 감소하였다. 세트가 진행될수록 총운동량은 감소하며, 심박수와 혈중젖산농도는 증가하였다. 따라서 10RM 강도의 저항운동 시 운동량와 수행시간을 고려하여 운동 중 신체 내 대사의 변화와 함께 근육 활동을 고려한 훈련프로그램이 작성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fatigue point of repetition time during bench press resistance exercise by analyzing the change of repetition time, electromyographic response, total work,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of 5set bench press exercise at 10RM intensity. Therefore, this study evidence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EMG, MEF and physiological variables. Therefore, 8 men with resistance exercise experience of more than 6months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the weight of 10RM was measured based on the 1 Repetition Maximum(1RM) of the bench press measured 1week before the experiment. The heart rate and lactate concentration were measured between the time of rest and the set, during 5set all-out the bench press exercise with the intensity of 10RM. iEMG and MEF were calculated by measuring pectoralis major and triceps brachii of the EMG response. 1set of repetition times(10) iEMG and MEF, total work, heart rate, and lactate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method using, time and time of execution, and post-comparison used to simple(first) and helmert Respectively. The significance level is set to α = .05.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repetitions per set during 10RM bench press 5set, 2sets than in 1set(p<.001), 3set than in 2set(P<.001), 3set than in 2set respectively decreased(p<.01). The change of total work by se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10RM bench press 5set exercise, and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2sets(p<.001) than in 1set, 3 sets(p<.001) than in 2sets, and 3sets to 4 sets(p<.01). Second, the average repetition time of each set during 10RM bench press 5set exerci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set increased, and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2sets(p<.05) than 1set, 3 sets(p<.05) than 2sets, 4 sets(p<.01) than 3sets, and 5sets than 4sets(p<.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total repetition time per set during 10RM bench press 5set exercise, and the trend of decrease was shown in the first and second set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3sets than the second set (p<.001), 4sets than the 3set (p<.001), and 5sets than the 4set (p<.001). The change of the number of times of the time of the increase of repetition time per set during the 10RM bench press 5set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set increased, and the trend of the increas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2sets(p<.001), 3sets than 2sets(p<.01), and 4sets and 5sets than 3sets(p<.0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1set repetition time in 10RM bench press 5set exercis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times, and the trend of increase was shown from 1rep to 7rep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8reps(p<.05), 9reps than 8reps(p<.01), and 10reps than 9reps(p<.01). Third, the total iEMG change of the pectoralis major by set in the 10RM bench press 5set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set increased, and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2sets than the 1set(p<.01), in the 3sets than the 2sets(p<.01), in the 4sets than the 3 sets(p<.0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5 sets. The average iEMG change of the pectoralis major in the 10RM bench press 5set exercis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hange of the pectoralis major iEMG by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1set during 10RM bench press 5set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number of times increased.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3reps(p<.001), 4reps(p<.01) than 3 reps(p<.01), 5reps(p<.01) than 4reps(p<.01), and 6reps(p<.01), but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7reps(p<.01) than 6reps(p<.01),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gain in 8reps than in 7reps(p<.01). The number of the 10 than 9rep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1). Fourth, the total iEMG change of triceps brachii in the 5set of 10RM bench pre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set increased, and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2sets than the 1set(p<.01), in the 3sets than the 2sets(p<.01), in the 4sets than the 3sets(p<.00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5sets. The mean iEMG change of triceps brachii in the 10RM bench press 5set exercis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hange of the iEMG of the triceps brachii by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1se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uring the 10RM bench press 5set exercise, and the trend was increased from 1 to 6rep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7reps than 6reps(p<.05), and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9reps than 8reps (p<.05), and it was maintained to 10reps. Fifth, the total MEF change of pectoralis major in the 5set of 10RM bench pr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set increased, and it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2set than 1set(p<.001), 3sets than 2sets(p<.001), 4sets than 3sets(p<.01), and 5sets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mean MEF change of the pectoralis major in the 10RM bench press 5set exercis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pectoralis major MEF by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1set during the 10RM bench press 5set exercis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2reps than 1rep, and it increased significantly 3reps than 2reps(p<.05), 4reps than 3reps(p<.05), 5reps than 4reps(p<.01), 6reps than 5reps(p<.05), 7reps than 6reps and it decreased significantly(p<.05), but from 8reps to 10reps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Sixth, the total MEF change of the triceps brachii in the 5set of 10RM bench pr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set increased,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2 sets than the 1set(p<.001), in the 3sets than the 2sets(p<.001), in the 4sets than the 3sets(p<.0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5sets than the 4sets. The mean MEF of the triceps brachii in the 5set of 10RM bench pres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change of MEF of the triceps brachii for each repetition frequency of 1set during the 10RM bench press 5set exercis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number of reps increase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2reps than 1rep, and it increased significantly at 3reps than 2reps(p<.05), and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3 to 8reps(p<.05), but from 8 to 10reps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Seventh, the change of heart rate by set in 10RM bench press 5set exerci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set(p<.001), and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3sets than 2sets(p<.05), but from 3sets to 4sets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Eigh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nges in blood lactat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eriod of 10RM bench press 5set exercise,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2sets than the 1 se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3sets than the 2sets (p<.001), in the 4sets than the 3sets (p<.001), in the 5sets than the 4sets (p<.001). In conclusion, the more repeated reps of 10RM bench press exercise were near the end of the set, the higher the performance time and iEMG were, and the MEF decreased. The total work decreased as the set progressed, and the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increased. Therefore, the training program considering muscle activity should be prepared with changes in metabolism in the body during exercise considering exercise volume and exercise time during resistance exercise of 10RM inten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