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물리적 환경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 -서울특별시와 전라북도 농촌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선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도시와 농촌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물리적 환경과 그들의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 변인을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조사하였고, 실증적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대상은 연구 목적에 따라 도시와 농촌을 나누어 선정하였다. 도시는 서울의 3개 고등학교, 농촌은 전라북도의 4개 고등학교의 재학 중인 1학년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도구는 선행연구를 기초로 작성하였다. 조사는 2013년 8월 27일부터 9월 6일까지 총 11일간 실시하였다 회수한 454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였고, 최종 446부의 설문지를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청소년이 인지한 물리적 환경과 그 범주에 속한 주거환경․동네환경․학교환경의 질적 수준은 보통 이상의 수준이며, 농촌 청소년보다 도시 청소년이 인지한 물리적 환경의 질적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농촌 청소년보다 도시청소년이 인지한 주거환경의 설비․시설, 안전․건강, 쾌적성 변인과 동네환경의 무질서, 시설편리성, 자연쾌적성 변인, 학교환경의 소음, 과밀, 안전성 변인의 질적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신건강의 우울감은 도시 청소년과 농촌 청소년 모두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도시 청소년과 농촌 청소년 모두 보통 이상의 수준이며, 자아존중감에서 농촌 청소년보다 도시 청소년이 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이 느끼는 우울감․자아존중감과 공통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물리적 환경은 주거환경의 설비․시설, 쾌적성과 동네환경의 시설편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본 결과, 도시 청소년이 느끼는 우울감·자아존중감과 공통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물리적 환경은 주거환경의 설비·시설, 안전·건강, 쾌적성, 자연인식이며, 동네 환경의 자연쾌적성, 학교환경의 소음, 과밀, 안전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 청소년 경우, 일부 우울감과 학교환경의 안전성, 자아존중감과 주거환경의 설비·시설과 쾌적성, 동네환경의 자연쾌적성이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물리적 환경의 범주 중, 주거환경의 설비․시설이 청소년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설비․시설과 쾌적성의 순서대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다. 동네환경의 시설편리성이 우울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연쾌적성과 시설편리성이 순서대로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다. 학교환경의 소음은 우울감에 영향을 미쳤다. 지역별로 살펴본 결과, 도시 청소년이 느끼는 우울감에 주거환경의 쾌적성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자아존중감에 주거환경의 안전·건강과 쾌적성이 영향을 미쳤다. 농촌 청소년의 경우, 주거환경의 쾌적성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다. 동네환경에서는 도시 청소년의 우울감에 무질서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고 자아존중감에는 자연쾌적성이 영향을 미쳤다. 농촌 청소년의 경우, 도시 청소년과 마찬가지로 자연쾌적성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영향력은 도시 청소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교환경에서는 도시청소년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에 과밀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농촌 청소년은 학교환경의 안전성이 우울감에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에서 도시와 농촌 청소년이 인지한 물리적 환경 중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지역별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건강하게 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을 조성 시에는 지역적 특성에 맞게 고려되어야 할 환경요소들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디지털 문화로 인한 물리적 환경의 변화가능성 예측 연구

        이기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775

        새로운 세기의 시작 앞에 디지털이라는 거대한 조류가 인류와의 동행을 위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디지털화는 사회 전반에 변화를 야기하여 하나의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고 있으나 아직 이것에 대한 정확한 개념조차 정립되지 못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 또한 일부 학문에 치우쳐져 있다. 인류의 역사를 통해 문화와 그 맥락을 함께 해 오며 상호작용해 온 물리적 환경 역시 디지털 문화 속에서 기존의 패러다임이 강력한 위협을 받고 있으며, 새롭고 포괄적인 시각으로 그 미래를 이해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디지털 문화의 변화에 휩쓸리는 것이 아니라 이를 주도하며, 보다 나은 삶의 질을 확보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다학제적 관점에서 디지털 문화와 물리적 환경의 관계를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그 변화 양상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문화와 이로 인한 미래환경 변화의 이해 기반을 넓히는 지식정보 기반을 구축하여 창의적인 사고를 고무하며, 21세기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정립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문화와 그 속에서의 물리적 환경 및 주거환경의 특성을 분석하고, 결론적으로 디지털 문화로 인한 물리적 환경 및 주거환경의 변화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질적 분석방법인 문헌 및 사례분석을 행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문화적 현상으로부터 환경의 변화를 예측하고 있는 디지털계 리더 3인의 저서와, 디지털 문화에 대응하는 물리적 환경을 창조한 연구계, 산업계, 교육계의 통합적, 실제적, 실험적 사례를 각각 선정하였다. 선정된 사례는 기준 분석단위 별로 구조화된 분석의 틀에 맞추어 분석한 뒤 종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디지털 문화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디지털 문화는 기술적 혁명으로부터 시작되어 동시다발적이면서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상호적으로 관계를 맺고 영향을 주고 받는다. 디지털 문화를 주도하는 디지털 기술은 정보통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와 가상현실의 멀티미디어, 재료라는 네 가지 측면으로 요약된다. 디지털 정보통신의 발달은 범세계적인 디지털 정보통신 네트워크망을 형성하여 상호작용적인 의사소통과 정보교류를 가능케 하며, 이를 통해 탈시공간성, 탈중심성, 탈물질성, 탈이동성의 특성이 나타난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서의 발전은 지능성과 인간적 감성, 감각성을 획득한 스마트하고 지능적인 에이전트와 인공 로봇을 출현하게 함으로써 개인적 요구와 필요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고 인간의 임무를 대행한다. 멀티미디어의 발전은 인간의 다양한 감각을 이용한 다형태의 인터페이스와 가상현실을 구축하여 인간과 디지털 세계를 유연하게 이어주고, 현실을 확장하며, 하이브리드 세계를 창조한다. 한편, 재료의 발전으로 탈물질화와 소형화·스마트화된 물질화가 이루어져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문화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디지털 기술과 그 획득 특성으로부터 나타난 문화적 현상이 갖는 특성은 범세계주의와 지역주의, 수평(평등)주의, 참여주의, 다가치주의, 다차원적 소비주의(대량주문), 개인주의, 감각(감성)주의, 친환경주의의 8가지로 요약할 수 있었다. 2) 디지털 문화로 인한 물리적 환경 및 주거환경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디지털 문화 속에서 물리적 환경 및 주거환경은 가상의 환경, 확장된 물리적 환경, 그리고 이 둘 사이를 연결하는 하이브리드 환경을 포괄하는 것으로, 그 특성은 탈중심화, 재조직화, 지능화, 탈물질화, 하이브리드화, 다감각화, 대량주문화의 7가지로 요약된다. 탈중심화된 환경은 도시의 분산화, 지역화, 경계의 모호화를 불러일으킨다. 또한 물리적 환경의 재중심화와 재조직화가 이루어져 가상환경과 현실이 공존하며 조화하는 새로운 구조와 구성이 이루어질 것이다. 환경의 지능화로 인간과 같은 지적, 감성적, 감정적 능력을 구축한 환경이 인간과 사물의 경계를 허물고 공존가능성을 높일 것이다. 한편, 탈물질화는 인간이 만들어낸 모든 물리적 환경을 더욱 환경친화적이며 지속가능한 것으로 만들 것이다. 하이브리드화는 물리적 환경의 개념과 그 범위를 확장시키는 근본적인 특성이 될 것이며, 모든 디자인적 변화의 기본적인 고려사항이 될 것이다. 또한 디지털 문화 속에서는 다양한 인간의 감각을 지원하며 만족시키는 다감각적 환경이 보편화될 것이며, 하나의 패턴이나 규칙에 얽매이지 않은 다양한 구조와 형태, 기능 및 디자인을 갖춘 대량주문화 된 환경이 창출될 것이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문화로 인한 미래 물리적 환경 및 주거환경의 변화가능성을 예측하면 다음과 같다. 1) 개념적 변화 디지털 문화 속에서 확장된 물리적 환경은 기존의 물리적 환경에 더하여 가상의 환경과 이를 현실로 연결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환경이 통합된 개념이 될 것이다. 이 때 하이브리드 환경은 가상환경 뿐 아니라 시공간을 초월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 범세계적 환경을 연결한다. 따라서 물리적 환경은 현실과 가상, 시간과 시간, 공간과 공간 사이의 모든 경계가 모호하게 해체되어 증식된 형태가 된다. 도시와 도시, 도시와 지역, 지역과 주거권, 실외와 실내 등의 구분이 모호해짐에 따라 이를 계획하고 디자인하기 위해 분류되었던 도시, 조경, 건축, 실내건축 등의 분야는 단독적으로는 존재할 수 없으며 서로 공유되고 혼합되어야 할 것이다. 환경에 관련한 분야 간의 협력 뿐 아니라 타분야와의 수렴과 동맹이 요구될 것이다. 2) 물리적 환경의 변화가능성 미래의 물리적 환경은 기존의 물리적 환경을 최대한 이용하고 변형해 가는 과정을 통해 재조직되고 재설계 및 재디자인 될 것이다. 첫째, 디지털 문화 속에서는 지역의 특성 개발 및 문화적 특성 부각이 강력하게 요구될 것이다. 둘째, 어디에서나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가 하는 접근성이 중요시됨에 따라 공공을 위한 정보공간 및 시설이 요구된다. 디자인에 있어서는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을 위한 설비, 인터페이스 구축을 위한 멀티미디어 설비, 소프트웨어와 혼합된 신재료 등을 얼마나 통합적이고 유연하게 설치하고 사용하여 조화를 이루게 하는가 하는 점이 중요할 것이다. 3) 주거환경의 변화가능성 네트워크를 통해 주택에서 생활 뿐 아니라 업무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고, 개인과 가족의 관계가 강화됨으로써 그 어느 때보다 주거환경에 대한 가치가 상승될 것이다. 우선, 주택의 기본적인 평면 설계 및 구조에 변경이 요구된다. 첫째, 생활공간과 업무공간이 서로 연결된 가운데 독립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업무공간을 위해서는 기본적인 네트워크 환경 및 업무환경 뿐 아니라 간단한 회의 등을 위해 외부사람을 맞이할 수 있는 공간이 요구된다. 둘째,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최대한 보호해줄 수 있는 공간 디자인과 더불어 가족간의 유대를 증대할 수 있는 가족실의 계획이 중요할 것이다. 셋째, 하이브리드 환경 속에서 원거리의 가족과도 직접 만나는 것과 같은 경험이 가능해지고 생활화됨에 따라 부모와의 독립, 세대간 독립 등의 단독 세대 주거유형이 확대되어 주택의 중소형화가 보편화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많은 제품과 물질의 디지털화를 통해 기존의 생활용품을 위한 수납재는 디지털화 된 정보의 수납을 위한 구조와 디자인으로 변경되어야 한다. 다섯째, 벽, 바닥, 천장, 기둥 등의 건축 구조는 멀티미디어를 내장하여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어야 하며 창문과 문은 디스플레이가 방해받지 않도록 조명과 채광을 유의한 위치 및 디자인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주택 내의 수많은 지능적 에이전트를 제어할 수 있는 설비와 장치가 평면 설계시부터 계획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주택 내의 변화가능성과 더불어 주거환경권에서는 첫째, 과거 씨족 부락과 같은 자급자족식의 가족, 친지, 동료, 동호인 등의 집단주거환경이 형성될것이다. 둘째, 지역 공유공간의 기능이 확대됨과 더불어 그 가치가 강화될 것이다. 기존의 생활지원적 공유공간 뿐 아니라 정보의 편중을 해소할 수 있는 텔레커뮤팅 센터 등의 기능이 부가된 공유공간이 계획되고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4) 물리적 환경 및 주거환경에 요구되는 디자인적 특성 주거환경을 포함하는 물리적 환경 디자인에 있어서 다음의 세가지 특성이 기본적으로 요구될 것이다. 첫째,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유연성이 요구된다. 다기능과 다형태를 자체적으로 수용하여 상황에 따라 유연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구조와 디자인은 가장 기본적이고 절대적인 것이 될 것이다. 둘째,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친환경성이 요구되어 재료적, 구조적 측면과 더불어 도보권의 친환경적 디자인이 중요시될 것이다. 셋째, 환경의 정체성이 중요한 디자인적 요소로 부각될 것이다. 본 연구는 기본적인 연구조차 전무한 실정의 디지털 문화와 이로 인한 물리적 환경 및 주거환경의 변화가능성을 다각적인 방법으로 모색해보고 예측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디지털 기술과 문화를 도입하여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환경 개발 및 패러다임 구축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tanding at dawn of the new century, human beings are surrounded and are forced to change their whole life pattern by a new mega-trend, named Digital. As a matter of fact, 'digitalization' is shaking the ground of the conventional human society and creating a new culture. However, we still do not have enough understanding of it. Despite the fact that a great social upheaval is imminent by this new trend, only a limited field of study has treated this subject, so far. By the upcoming demand of socio-cultural reorganization, the existing paradigm of man-made physical environment and residential environment which have been established by corresponding human culture through its long history, are also strongly threatened to be changed and this provides us the reason why we should look into the subject of man-made physical environment and residential environment anew with a totally different approach from the past. The new approach is to include comprehensive reviewing of a relationship between the new digital culture and physical environment on the multidisciplinary basis, forecasting the aspect of changing society and providing a new physical environment, which will guarantee the improved quality of human life. This study focuses to enhance the general understanding on the new approach and to provide a clue for a new paradigm in man-made physical and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21^(st) Century. Through case analysi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culture itself and of its physical &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o ultimately forecast the changeability of physical & residential environment prompted by the new digital wave. To carry out the task, this study includes review of the relevant studies for qualitative analysis and content & case study as well. For qualitative analysis of the forecasting cultural changes, the printed materials of three individuals, the current leading figures in the field of digital culture, were selected. And for reviewing creative projections of physical environment, integrative, practical, and experimental case was selected respectively, in the field of research, industry and education. Each case was duly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analysis frame structured by analysis-unit, and the result of analysis was obtained through the process of generalization.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major findings of the analyses: 1.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culture are to be summarized as follows; Evolution of digital culture was triggered by revolutionary development of technology. Evolution progress of digital culture has been taking place concurrently with and/or sometimes immediately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both has been interfacing and affecting each other. Digital technology, which has led evolution of digital, has 4 key elements; telecommunication, hardware & software, interface & virtual reality of multimedia, and material. -Development of digital telecommunication has enabled construction of global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which, thus, catalyzed characteristics of de-time/space, de-centrality, de-materiality, and demobility in human life. -Development of hardware & software has led to the advent of smart and intelligent agents and artificial robots, equipped with intelligence, human sensitivity and sensing ability, which are helping and/or substituting human duties by supplying necessary data and information. -Development of multimedia has connected human beings to digital world with marvelous flexibility and has expanded reality and created hybrid world by constructing multi-modal interface and virtual reality with utilization of versatile human senses. -On the other hand, development of material has provided the base for sustainable culture by its brilliant adjustment of material itself towards dematerialization, miniaturization, and smartization. The general phenomena in social culture which has risen from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its influence to human life have certain characteristics, which can be categorized in 8 directions; globalization & localization, equalization, participatization, multi-valuezation, multi-dimensional consumization (masscustomization), individualization, sensualization, and pro-ecologization. 2. The characteristics of man-made physical and residential environment changed by digital culture are analyzed in 7 attributes as follows; 1) Decentraliz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culture, the conventional concept of urban planning will be dismantled by decentralization of city-center function, localization as well as by increasing uncertainty in boundary distinction. 2) Recombinization; the physical environment will be recentralized and recombinized to pursue coexistence and harmony between virtual environment and reality. 3) Intelligization: Intelligization of environment will enable construction of a new environment which level corresponds to the level of intellectual, sensitive and emotional capability of human beings. 4) Dematerialization: dematerialization will make the physical environment more ecological and sustainable. 5) Hybridization: hybridization will transform and expand the concept of man-made physical environment, thus will become essential parameter in future design. 6) Multi-sensorization: multi-sensorization to support and satisfy the human beings' various senses will be possible in digital culture. 7) Mass customization: mass customized environment will appear, which has varieties in structure, shape and function, not limited by major pattern or restriction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is study forecasts the trend and changability of future man-made physical, and residential environment as follows; 1) Changes in Concept: The expanded man-made physical environment in digital culture will include the virtual and hybrid environment advanced to the existing conventional physical environment. The hybrid environment here covers not only the virtual but also the global, which is connected by a huge network beyond time and space, and thus, the expanded physical environment signifies an expanded concept where distinction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time to time and space to space is dissolved. In this new environment, distinction between urban and urban, region and community, and interior and exterior will fade away. Therefore, in this new culture, all the existing field of conventional design such as urban planning, landscape architecture, architecture, and interior architecture can no longer remain independently as had been in the past. Instead, each field shall interface and be mixed with each other, and the demand for the new alliances and cooperation will be increased ever more. 2) Changes in the man-made physical environment: the future physical environment will be reorganized and redesigned through a process of maximized utilization of the existing environment and its transformation. In this design, development of regional and cultural character needs to be strengthened first, and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such as public space and facility is strongly required. Integration and flexible layout of facilities for constructing network infrastructure, multi-media facility for structuring interface and new material mixed with software will also be considered important. 3) Changes in residential environment: expanded network will enable people to carry out business at home, and strengthen the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members and between individuals. Valu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ill be greatly enhanced from the conventional concept of the house as a space for living. New requirement in floor plan and structure of the changed residential environment will include the following demands; (1) The space for living and working shall be interwoven, but at the same tim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dependently. In the working space, supporting environment and necessary network are to be provided, and a reasonable space for meeting guests needs to be included. (2) Plan of family rooms which enhance the ties between the family members while at the same time protecting individual privacy, will become more important. (3) Since hybrid environment makes possible frequent meeting among family members regardless of distance, separate living grouped by different generation will become more common. Accordingly, small size housing for single generation will become a general type of residential environment. (4) Substantial portion of material for living will be transformed into bits, so the structure and design for storage space for those will be changed to accept such digitalized information. (5) Architectural structure such as wall, floor, ceiling and column shall contain multimedia and construct a natural interface. In designing windows and doors, lighting and electricity shall be equipped in order not to obstruct display of multimedia. (6) From the stage of floor plan, proper instruments and installations are to be included for controlling numerous intellectual agents in the house. Together with such changes in architectural design aspects, significant changes are expected to take place in the community which include: (1) Collective residence like primitive tribe shape will be formed among families, relatives, colleagues etc. (2) Public and common spaces by region become important, and their function and values will be increased. Such public spaces will be equipped with telecommunication center and be utilized in a way more positive and diverse than just simply supporting the residents' life. 4) Basic requirements in design: In designing physical and residential environment, three characteristic requirements are to be considered and they are; (1) Flexibility - which accommodates and accepts various demands. The future physical environment shall include multi-functions and multi-shapes, and shall be transformed by demand with flexibility. (2) Sustainability - which considers ecological environment. In material selection, design of structure as well as pedestrian circle, sustainability is to be considered with ecological concerns. (3) Identify - which maintains the character of environment. Without having precedent study about digital culture related to environmental issu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digital culture in the field of physical environment and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o forecast the changability in those field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also aimed to be applicable in construction of a new paradigm in designing physical &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near future, so a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new environment which will eventually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life.

      • 아동친화적인 주거커뮤니티를 위한 공간환경 디자인지침 개발

        정경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9775

        현대 사회가 가정의 핵가족화와 자녀수의 감소 등을 경험하게 되면서, 아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그들의 생활환경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져 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환경디자인 분야에서는 그동안 주된 관심대상이 되지 못했던 아동에게 눈을 돌려, 아동을 생활환경의 주요 사용자로 인식하고 아동들의 편의를 중심으로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점차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이 생활하고 있는 주거커뮤니티 환경 내에서 아동의 생활을 적극 지원하고 아동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아동친화적 공간환경 디자인지침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정은 문헌분석, 소그룹 위크샵 패널조사, 설문조사 등의 일련의 절차로 이루어졌다. 아동환경 관련 연구들에 대한 문헌분석 작업은 아동친화적 공간환경 디자인 지침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아동환경의 주요 분야인 주거환경, 옥외 놀이환경, 보육환경 분야에서 주요문헌을 선정한 후, 디자인지침 추출 기준을 마련하여 총 200개의 디자인지침을 추출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해 추출된 디자인지침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아동 부모와 보육전문가를 대상으로 소그룹 워크샵 패널조사를 실시하였다. 소그룹 워크샵 패널조사 1단계에서 아동의 실제 생활상이 반영된 디자인지침을 추가로 추출하였고, 2단계에서는 마련된 공간환경 디자인지침 초안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문헌분석과 워크샵 평가에서 중요하게 다뤄진 지침을 선정하여 주거환경, 옥외 놀이환경, 근린환경에 해당하는 119개의 ‘1차 아동친화적 공간환경 디자인지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디자인지침들의 항목별 중요성을 계량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는 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1차로 개발된 공간환경 디자인지침이 설문조사에 합당한지 검토하였고, 이 결과를 중심으로 수정의 과정을 거쳐, 76개의 ‘2차 아동친화적 공간환경 디자인지침’을 개발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개발된 아동친화적 공간환경 디자인지침의 중요도를 평가하였고, 이를 통해 각 지침에 대한 부모들의 생각과 적용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주거커뮤니티 환경에서 아동들의 주요활동과 활동장소에 대해 조사한 결과, 아동들은 주거내부 뿐 아니라 근린환경 전반에서 폭넓은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내에서도 아동들은 아동방 이외의 여러 공간에서 활동을 하고 있으며, 시설과 공간적 측면에서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거 외부에서는 넓어진 활동반경으로 인해 차량이나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전과 신체적 건강을 위협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둘째, 문헌분석 및 소그룹 워크샵, 설문조사를 통해 76개의 의미있는 공간환경 디자인지침들이 개발되었다. 주거환경 25문항, 옥외 놀이환경 28문항, 근린환경 23문항으로 구성된 공간환경 디자인지침은 부모 설문에 의해 중요도를 평가한 결과 모든 지침이 ‘중요하다’와 ‘매우 중요하다’에 해당하는 의미를 지닌 것으로 평가되었다. 각 분야별로 비교해볼 때, 근린환경에 대한 디자인지침들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주거 외부로 확대된 근린환경에서 아동이 많은 위험에 노출되어있고 여러 시설 및 환경이 시급히 개선되어야 함을 의미한다.셋째, 분야별 디자인지침들의 중요도를 평가한 결과, 분야별로 다음과 같은 경향들이 나타났다. 주거환경 분야에서는 가구, 설비 및 마감재의 선정시 전기사고, 미끄러짐, 부딪힘, 손끼임 등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엘리베이터의 안전을 위한 감시체제가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옥외 놀이공간에서는 아동의 안전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놀이 시설물의 설치와 함께, 아동과 항상 동행하고 있는 어른에 대한 배려들이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근린환경 분야에서는 화재 및 전기 사고, 미끄러짐, 추락사고, 끼임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시설 및 설비를 갖추는 것과 아동의 활동을 어른이 쉽게 관찰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 볼 때, 모든 분야에서 아동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디자인지침들이 우선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아동의 연령에 따라 공간환경 디자인지침의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그룹에서는 미흡한 신체발달 수준에 적합하도록 설비와 안전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학생그룹은 학습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기를 고려하여 학습 분위기 조성과 함께, 다양한 운동을 즐길 수 있는 운동공간이나 운동용품 수납공간 마련이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주거커뮤니티에서의 아동친화적 공간환경 디자인지침을 개발하고 그 중요성을 평가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논할 수 있다.첫째, 환경을 고찰하는 관점의 대상과 범위의 측면에서 본 연구는 아동관점의 주거커뮤니티에 대한 연구라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의 차별성을 갖는다. 아동의 사회적 중요성이 증대되는 시점에서 아동을 환경의 주 대상으로 인식하여 아동관점에서 주거커뮤니티 환경을 고찰하였으며, 연구의 범위를 아동들의 주요 활동을 포괄하는 주거커뮤니티로 확대하여 지금껏 아동관련 연구가 미흡한 근린환경 부분을 새롭게 연구하였다. 둘째, 의사표현이 미흡하여 조사가 어려운 아동을 부모나 전문가를 통해 다양하게 조사하고, 학계와 현장에서 의미있는 디자인지침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각 조사목적에 따라 각각 다른 조사방법을 사용한 멀티모드 조사방법(Multi-mode Research Methods)을 사용하였다. 셋째, 연구의 결과물을 실제 적용이 가능한 디자인지침 형태로 개발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 활용된 소그룹 워크샵 패널조사와 설문조사는 아동생활의 보호자를 디자인지침 개발과정에 직접 참여시킴으로써 개발된 공간환경 디자인지침들이 아동을 위한 주거커뮤니티 계획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현실적용성을 높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hild-friendly planning guidelines for spatial environments in a bid to improve children's lives and step up their development in their residential community. Studies of children's environments were reviewed to select child-friendly planning guidelines for spatial environments. Also, children's parents and child-care experts were investigated by applying a small group workshop panel method to make up for the selected planning guidelines in view of children's real life. A quantitative survey was implemented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the planning guidelines to finalize them. After studies of residential environments, outdoor play environments and child-care environments were scrutinized, selection criteria were prepared, and 200 planning guidelin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When the parents and child-care experts were investigated by the small group workshop, they had a full discussion on children's lives, and additional planning guidelines were selected in light of their lives. They were asked to evaluate the primary planning guidelines for spatial environments. And then 119 planning guidelines wer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the importance evaluation by the studies and workshop, which were categorized into three: residential environments, outdoor place environments and neighborhood environments. The planning guidelines were incorporated again into 76 guidelines based on the survey, and the importance of the finalized guidelines was evaluat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hecking children's major activities and places of action, the sphere of their activities was far-reaching from residential environments to neighborhood environments. They were active in various spaces at their houses in addition to their own rooms, and they felt inconveniences when they used the facilities and spaces. Outside their houses, external environments including vehicles posed a threat to their safety and health. Second, 76 significant planning guidelines for spatial environment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ocument analysis, small group workshop, and survey. The guidelines covered residential environments, outdoor play environments, and neighborhood environments with 25, 28, and 23 items respectively. When the parents were asked to assess the importance of the planning guidelines, every guideline was rated as 'important' or 'very importan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importance of the three categories, the guidelines for neighborhood environments were considered most important, which showed that children were exposed to a lot of dangers in neighborhood environments. And it also implied that there was the urgent necessity to improve facilities and environments. Third, as for the importance of the guidelines in each field, the kinds of furniture, equipment, and materials that could prevent any possible electric accidents or sliding should be selected in the field of residential environments. The parents especially attached importance to elevator monitoring. In outdoor play spaces, the kinds of play equipment that could lesson the risk of accidents should be installed, and adults who accompany playing children should stay careful all the time. In neighborhood environments, the sorts of facilities and equipment that could prevent fire, electric accidents, sliding or fall should be prepared in a manner to make it easier for adults to keep an eye on their children. Forth, the importance of the planning guidelines for spatial environments was different according to child age. For preschoolers,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should be suitable for their body size and guarantee their safety. In the event of school children, it was required to create a good learning climate as they just started to receive education. Also, facilities of sports and keeping sporting supplies should be prepared for them to enjoy various kinds of exercise. This study that attempted to develop child-friendly planning guidelines for spatial environments and assess the importance of the planning guidelines had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children were increasingly considered important in today's society, and the residential community environments were discussed from their perspective by viewing them as the major user of environments. And the scope of the study was extended to their residential community by looking into neighborhood environments on which existing studies hadn't focused. Second, multi-mode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to develop extensive planning guidelines with the help of parents and experts, since it was not easy to survey children who couldn't yet express themselves well. Third, applicable planning guidelines were presented, and a quantitative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guidelines to improve their applicability to residential community planning geared toward children.

      • 정성적 평가 지표를 통한 아파트 외부환경의 친환경성 평가 연구

        박치주 대구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7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reate an index useful for evaluating environment-friendly aspec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by analysing previous studies, and to use the index for Korea's existing apartments for the purpose of evalu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focusing on a qualitative evaluation of environment-friendly aspects based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residents in the apartments, rather than a quantitative evaluation subjectively depending on individual researchers, in order to suggest a new approach to defining and indexing the evaluation of future environment-friendly aspects from the standpoint of residents. Under circumstances where residential environment requirements for inhabitants are increasing, in this study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of apartments were evaluated focusing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residents, in addition to a survey and analysis concerning the quantitative level of apartment environments. Also, correlation was analysed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residents and elements affecting their satisfaction. Satisfaction differences between them were compared in detail to identify a variety of aspects that may influence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when developing environment-friendly apartments in the future. This study used not only the survey methods of questionnaires and field interviews, but the analytic methods including a correlational analysis, average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using statistic SPSS for windows (SPSS Inc.).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the 3rd to 6th day of June, 2003, and the skilled researchers were employed to improve reliability in survey questionnaires. It was found in the surveys and analyses that residents in the surveyed apartments tended to b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environment-friendly aspects of their apartments, but that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correlation between residents, as well as between residenti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se residential characteristic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establish the environment-friendly aspects of apartment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plan and evaluate the environment-friendly aspects of apartment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주거환경의 친환경성 평가의 일환으로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평가 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기존 아파트에 적용하여 아파트 주거환경의 친환경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친환경성 평가가 연구자의 주관에 따른 정량적 평가보다는 거주자의 만족도에 따른 정성적 평가로 이루어짐으로 향후 거주자의 측면에서 친환경성 평가지표선정과 친환경적 환경조성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라 할 수 있다. 주거환경에 대한 거주자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아파트 주거환경을 거주자 만족도 중심으로 평가하고 아파트 환경의 정량적 수준 또한 조사, 분석 하였다. 또한 거주자 만족도와 이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만족도 차이를 상세 비교함으로써 향후 아파트 주거환경의 친환경성 조성에 있어 거주자들의 특성이 미칠 수 있는 영향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에 있어 조사방법은 설문조사와 현장방문조사가 병행되었으며, 분석방법은 통계 프로그램 SPSS를 통해 빈도분석, 평균분석, 상관성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조사 시기는 2003년 6월 3일~6일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교육된 조사자들을 통해 설문의 신뢰성을 높였다. 조사 분석 결과 조사대상 단지의 거주자들은 친환경성 부분에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상관성 부분에 있어서는 거주자 및 주거특성별로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아파트 주거환경의 친환경성 계획에 있어서 거주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계획방향 제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아파트 주거환경의 친환경적 환경 조성계획과 평가에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 주거지 육아커뮤니티 강화를 위한 환경적 지원요소

        김효정 충북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9775

        육아기의 커뮤니티 형성은 양육자간의 육아 스트레스를 경감시킨다. 육아를 통한 공동체성 회복은 육아를 돕는 형태로 선순환되며 자녀들의 커뮤니티 형성은 공동체성의 대물림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전통적 돌봄 체계의 변화, 지역 공동체성 약화, 성인지향적이고 폐쇄적·고립적 주거지 환경의 정착으로 육아세대들은 환경적·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다. 지금까지의 육아환경 관련 연구들은 육아세대의 사회적 관계보다 주거실내 및 건축물 차원의 연구가 많으며 개인영역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육아커뮤니티의 부분이 상대적으로 약화되어 있다. 본 연구는 육아세대의 커뮤니티 관점에서의 주거지의 공간적 지원에 주목하여, 육아네트워크와 공간과의 관계 파악을 근거로 육아커뮤니티 형성을 지원하는 주거지 외부공간의 영향요소를 규명하고 개선요소를 파악하였다. 또한 육아커뮤니티 센터를 제안하여 공간·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육아커뮤니티를 형성하기 위한 주거지 외부공간 및 시설 계획 시 필요한 자료와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과정은 4단계로 진행되었다. 1단계는 다세대·다가구주택 주거지와 아파트단지 주거지의 현 주거지 조건이 매우 다르므로, 청주시에 거주하는 각 주거지의 영유아 육아모를 대상으로 포커스 2개 그룹을 구성하여 그룹 인터뷰(FGI)를 진행하였다. 각 FGI는 2017년 4월 21일과 24일에 진행되었다. 2단계는 조사대상자의 주관적 응답과 비교하여 두 주거지의 차이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공간구문론을 이용해 주거지의 보행동선 네트워크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육아커뮤니티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3단계에서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육아커뮤니티 센터와 유사시설인 공동육아나눔터의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청주시·세종시의 공동육아나눔터 10곳을 현장 조사하였다. 선행연구 및 3단계까지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2018년 9월 9일부터 22일까지 청주시의 육아부모 520명을 대상으로 주거지 외부공간의 육아커뮤니티 환경 및 육아커뮤니티 센터의 요구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거지 외부공간의 육아커뮤니티 환경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도보거리의 모든 유형의 육아부모 네트워크는 육아환경으로서의 외부공간만족도와 관련되어 있었고, 차량거리에서는 필요할 때 도움을 주고받는 관계만이 육아환경으로서의 외부공간만족도와 관련돼 있었다. 이는, 주거지의 육아환경 계획에 있어서 환경의 물리적인 상태 이외에 자녀와 함께 만날 수 있는 이웃과의 교류 및 커뮤니티가 계획에 반영되어야 함의 근거가 된다. 또한, 반드시 가까운 곳에서의 커뮤니티에만 주력하지 않더라도 차량거리라도 도움을 주고받는 관계가 형성되면 먼 거리라도 육아환경에 대한 만족으로 인식하며 주거지의 인식 범위가 확장됨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주거지에서 알고 지내는 이웃, 왕래하는 이웃, 도움을 주고받는 이웃이 형성되도록 고려하는 것과 더불어,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으로 넓은 공간적 범위에서의 상호부조 관계를 지원하는 방안 또한 검토되어야 한다. 둘째, 각 주거지에서 보통 이하의 낮은 만족도를 나타낸 요소들은 현 주거지 상황에서 개선이 필요한 요소이며, 이러한 요소를 지원하는 것은 주거지의 전반적인 질을 높이는 것이므로 커뮤니티 형성과정의 1단계인 밖으로 나오기를 유도한다. 다세대·다가구주택 주거지 및 아파트단지의 공통적 개선요소는 영유아(유모차)동반한 대중교통 이용, 놀이시설의 연령대별 분리, 외부공간의 배기가스, 자연접촉 기회, 녹지면적, 친수공간, 놀이터의 다양한 놀거리 등이었다. 그 외에 다세대·다가구주택 주거지의 추가적인 개선요소는 놀이공간의 영역보호, 바닥이 평평한 광장, 놀이터의 위생 및 안전관리, 놀이공간과 연계한 휴식을 위한 시설물, 보행도로 바닥단차, 유모차 통행에 적합한 보행로 폭, 보행도로의 안전한 연결, 유모차 통행에 불편없는 바닥재질 등이었다. 셋째, 주거지 유형별로 도보거리에서 인사하고 가끔 연락하는 육아모 네트워크 수(다세대·다가구주택 육아모: 3.81명, 아파트단지 육아모: 4.05명)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왕래하고 도움을 주고받는 네트워크 수나 교류빈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외부공간에 대한 만족은 더 자주 바깥으로 나가서 더 자주 마주칠 기회를 제공하지만 외부공간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은 아파트단지의 육아부모도 도움을 주고받을 만큼 친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서로의 자녀와 함께 놀고 도움을 주고받을 만한 강한 연대의 네트워크의 형성에 필요한 중점적 지원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육아환경으로서 외부공간만족도 및 이웃과의 교류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주거지 공통적으로 녹지면적과 놀 만한 장소, 놀이공간과 연계한 휴식을 위한 시설물, 보행도로의 안전한 연결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다세대·다가구주택 주거지는 놀이장소까지 도보가능 거리, 유모차 통행에 불편없는 바닥재질 등이었고, 아파트단지 주거지는 놀이터의 위생 및 안전관리, 자녀와 함께 만날 수 있는 이웃, 유모차 통행에 적합한 보행로 폭, 놀이터의 다양한 놀거리 등이었다. 이러한 요소들은 육아커뮤니티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밖으로 나오기의 다음단계인 육아커뮤니티 형성단계에 필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다. 넷째, 주거지로서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공간요소이나, 육아환경으로서의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소는 동선요소(다세대·다가구주택 주거지: 놀이장소까지 도보가능 거리, 아파트단지 주거지: 유모차 통행에 적합한 보행로 폭)임에 주목해야 한다. 이는, 통행의 목적이 아닌, 밖으로 나가는 자체가 목적인 육아세대들의 생활행태를 반영하고 있다. 육아환경만족도의 영향요소를 제외하고, 자녀와 함께 만날 수 있는 이웃 교류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두 주거지 공통적으로 놀이공간과 연계한 휴식을 위한 시설물이었다. 다른 유모차 이용자와 동행하며 보행동선을 생활공간으로서 사용하는 육아세대의 동반 보행 행태를 고려해 볼 때, 외부공간에서 육아커뮤니티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1대 이상의 유모차 통행에 적합한 보행로 폭과 휴게 시설물의 적정 배치 등 담화와 휴식의 기능이 포함된 동선계획이 필요하다. 육아커뮤니티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각 주거지별로 다르게 나타난 동선요소는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정량적 분석에서도 주거지 유형별로 매우 다른 양상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계기반의 보행동선 네트워크는 보행도로의 연결성과 관련되며, 이는 보행도로를 이용하여 함께 산책하는 육아세대의 커뮤니티 형성을 지원하는 요소로서 중요한 부분이다. 육아커뮤니티 활동단계로서 육아커뮤니티 센터의 요구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가장 어린 자녀 연령대에 따라 상대적 선호도 수준과 각 연령대에서 5순위 안에 나타난 선호공간을 종합하였을 때, 연령대 공통적으로 어린이 도서실, 아이들이 놀 수 있는 옥외정원, 부모들의 교류와 휴식을 위한 카페가 5순위 안에 나타났다. 그 외, 가장 어린 자녀 연령이 생후 0개월부터 1년 사이의 육아부모는 장난감이 있는 놀이방, 낮잠실, 수유실을 상대적으로 더 선호하였고, 가장 어린 자녀 연령이 만1세 이상 만 3세 미만의 육아부모는 식사가 제공되는 카페테리아·식당을 5순위 안에 선호하였고 놀이시설이 있는 실내놀이터, 장난감 재활용 가게, 낮잠실을 다른 연령대에 비해 더 선호하였다. 가장 어린 자녀 연령이 만3세 이상 초등학교 입학 전인 육아부모는 낮잠실을 제외하면 만1세 이상 만 3세 미만과 동일하였다. 둘째, 희망하는 설비·가구에 대해 자녀 연령에 관계없이 이유식(간식)을 준비할 수 있는 간이 싱크대, 양육자를 위한 바닥매트와 쿠션을 5순위 안에 선호하였다. 가장 어린 자녀 연령이 생후 0개월부터 1년 사이의 육아부모는 육아물품 물물교환 등의 광고물 게시판을 5순위 안에 선택하였고, 유모차 보관 장소, 기저귀 갈이대를 다른 연령대에 비해 더 선호하였다. 가장 어린 자녀 연령이 만1세 이상 만3세 미만의 육아부모는 유모차 보관 장소, 기저귀 갈이대를 5순위 안에 선택하였고, 탁자 및 의자를 다른 연령대에 비해 더 선호하였다. 가장 어린 자녀 연령이 만3세 이상 초등학교 입학 전 연령의 육아부모는 육아물품 물물교환 등의 광고물 게시판을 5순위 안에 선택하였고, 온돌식 좌식바닥, 음용수대를 다른 연령대에 비해 더 선호하였다. 셋째, 육아커뮤니티 센터의 옥외정원 공간구성은, 자녀 연령에 관계없이 모든 육아부모가 여름철 물놀이 풀을 높은 수준으로 선호하였다. 모래놀이 공간은 가장 어린 자녀 연령이 생후 0개월부터 1년 사이의 육아부모가, 눈썰매 언덕은 만1세 이상 만3세 미만의 육아부모가, 공놀이 등 뛰어놀기에 적합한 넓은 빈 공간은 만3세 이상 초등학교 입학 전의 육아부모가 상대적으로 더 선호하였다. 필요한 시설·설비는 자녀 연령에 관계없이 아동을 관찰하며 부모들이 휴식하고 교류할 수 있는 시설물, 손발을 씻을 수 있는 수도, 흙놀이에 필요한 도구를 3순위 안에 선택하였다. 넷째, 실내 놀이공간의 연령대별 영역구분은 자녀 연령에 관계없이 모든 육아부모의 매우 높은 요구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 호기심을 자극하고 모험이 가능한 놀이터, 만지고 조작할 수 있는 자연재료, 옥외정원 놀이시설의 연령대 구분, 옥외정원과 실내공간의 연계, 아동들의 모임을 위해 최소 6명이 앉을 수 있는 조용한 장소 조성, 놀이집 등 숨을 수 있는 개인적인 놀이공간에서 4점 중 3점 이상으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가장 어린 자녀 연령대별 차이로, 만3세 이상 초등학교 입학 전 연령의 육아부모는 아동들의 모임을 위해 최소 6명이 앉을 수 있는 조용한 장소 조성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선호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육아커뮤니티 센터에서 제공받기를 희망하는 서비스·프로그램은 도구적(아동놀이 프로그램, 시간제 긴급보육 서비스, 육아부모의 재능기부), 정보적(육아 및 아동발달에 관한 정보지 비치, 육아 및 아동발달 전문가 상담, 부모 교육·아버지 훈련), 정서적(부모 심리상담 전문가 연결), 사교적(교류 지원, 육아품앗이 연결, 육아모간 취미 동아리) 지지 전체에서 필요도가 4점 중 3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장 어린 자녀 연령대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양육특성, 취업여부, 소득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육아커뮤니티 센터의 설치거리는 도보거리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았으며, 운영방식은 지속적으로 관주도의 전문적 직원을 고용하는 것이 1순위, 초기에는 관주도로 운영하나 점차 지역 육아모들의 자체운영으로 재취업의 기회가 되도록 하는 것이 2순위로 나타났다. 육아세대의 자체운영이 육아부모 커뮤니티를 강화시키는 작용도 하므로 전업주부 비용이나 참여 동기 등의 조건에 따라 점진적으로 관주도로 시작하여 육아모들의 자체운영으로 전환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formation of community during child-rearing reduces stress among rearers. The formation of community through child-rearing generates a benevolent cycle in the form of childcare assistance. However, due to changes in the traditional child-rearing system, weakening of local community bonds, and development of adult-oriented, closed, and isolated residential environments, child-rearing parents are socially and environmentally isolated. Past studies on child-rearing environment focused on personal areas rather than social relationships. This study focused on the spatial support in residential areas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aring communities. Based on the identified relationship between child-rearing networks and spaces, the study revealed elements in residential areas that support the vitalization of child-rearing communities. Further, a proposal is made to create a child-rearing community center, in which an empirical analysis of demands for spaces and services is conducted. The ultimate purpose is to provide materials and evidence required to plan outdoor spaces and facilities for the vitalization of child-rearing communities in residential area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four phases. In the first phase, two focus group interviews(FGI) were done on mothers of infants living multi-family houses and apartments (each 9 residents) in Cheongju on April 21 and April 24, 2017. In the second phase, space syntax was utilized to conduct a quantitative analysis of pedestrian networks in the two different residential areas to compared to the subjective responses provided in the first phase. In the third phase, a site survey of ten child-rearing community centers in Cheongju and Sejong in Korea was conducted as they are similar to the child-rearing community center being plann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three phases of the research,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520 child-rearing parents in Cheongju, from September 9 to 22, 2018.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ll types of child-rearing parent networks formed within walking distances were related to satisfaction with outdoor spaces, while in networks formed within driving distances, give-and-take relationships, need-based, were related to satisfaction with outdoor spaces. This serves as the evidence that the need for exchange with neighbors and a community that can engage with children must be reflected in the community planning process. In addition, plans to develop various programs that support give-and-take relationships in wider spatial ranges must be reviewed. Second, the elements of each residential area with which the residents felt below average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as those requiring improvements. Improving these elements will encourage the residents to take the first step toward community formation: stepping outside. The common elements that require improvement in multi-family houses and apartments are: arrangements for using public transportation with children and infants (strollers), separation of playground facilities by age group, reduction of exhaust gas in outdoor spaces, mor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nature, increase in green area and water bodies, and more variety of playing facilities in playgrounds. Additional elements for improvements in multi-family houses area are: protection of play areas, plazas with a flat surface,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in playgrounds, facilities for relaxation around play areas, curbs on sidewalks and streets, sidewalks with appropriate width for the passage of strollers, safe connection between sidewalks, and the use of flooring material convenient for the passage of strollers. Third, the size of the network of child-rearing mothers within walking distances who sometimes contact each other in multi-family houses area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in apartment area. However, the size of the network of people who visit and help each other, as well as the frequency of such exchanges, were not so different in the two residential areas. This means that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outside spaces led to more opportunities to go outdoors and come across other parent, however, such elements did not help in forming a close network of people who can provide mutual child-rearing assistance. Based on this, elements that influence satisfaction with outdoor spaces as child-rearing environments and satisfaction with exchanges with neighbors were analyzed: The size of green spaces, play areas, facilities for relaxation around play areas, and safe connection between sidewalks were found in both residential areas. Additionally, for multi-family houses, such elements also included the walking distance to play areas and flooring material that does not obstruct the movement of strollers, while for large apartment complexes, the additional elements were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in playgrounds, neighbors and their children to spend time with, sidewalks with appropriate width for the passage of strollers, and diverse playing facilities in playgrounds. These are the elements for the second step toward child-rearing community formation. Fourth, it must be noted that satisfaction with outside spaces as a child-rearing environment is impacted by circulation elements (for multi-family houses area: walking distance to play areas, for apartments area: width of sidewalks appropriate for the passage of strollers). This reflects the behaviors of child-rearing parents for whom sidewalks are not used just for passage, but also for spending time outside. Excluding the elements that influence child-rearing environment, the common elements that impacted the satisfaction regarding exchanges with neighbors and their children was relaxation facilities around play areas in both of residential areas. Considering that the child-rearing parents walk alongside other stroller users and utilize the pedestrian roads as living spaces, sidewalks must be wide enough to accommodate more than one stroller, and circulation elements must feature adequate facilities for relaxation in which stroller users can talk and rest. Pedestrian circulation turned out to be different in each residential areas during quantitative analysis using space syntax as well. Step-based pedestrian network is related to the connectivity of sidewalks, and this is an important element that supports the vitalization of a community for child-rearing parents who stroll using sidewalks. An analysis of the requirements for a child-rearing community center was conducted. First, in a combination of relative preference based on the age group of the youngest child and top five preferred spaces for each age group, parents of children from all age groups preferred children’s library, outdoor garden for children to play, and café as three of the five most important elements. Other than that, parents whose youngest child was less than a year old, preferred the playroom with toys, nap room, and nursing room, while those whose youngest child was between the ages one and three, showed preference for cafeteria/restaurant as one of the top five elements. Additionally, this group showed more preference for indoor playground, toy recycling store, and nap room compared to other groups. Parents whose youngest child was over three years old and below school age had the same preference patterns as parents with children between one and three, except for nap room. Second, regardless of the children’s age group, parents preferred facilities and furniture such as kitchenettes to prepare baby food, as well as floor mats and cushions for rearers as some of the top five elements. Parents whose youngest child was under one year old chose bulletin boards for exchanging baby items as one of the top five elements, and they preferred stroller storage and diaper stands more than parents in other groups. Parents whose youngest child was between one and three chose stroller storage and diaper stand as two of the top five elements, but preferred tables and chairs more than the parents of other age groups. For parents whose youngest child was between three and school-going age, a bulletin board for exchanging baby items was one of the top five, showing more preference for the heated floor and water fountain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Third, for the outdoor garden in the child-rearing community center, all parents highly preferred swimming pool regardless of their children’s ages. Sand play space was preferred by parents whose youngest child was under one year old, snow sledding hill was preferred by parents whose youngest child was between one and three, and open space for running around and playing with balls was preferred by parents of children between three and school age. Regardless of their children’s ages, parents chose facilities for parents to relax and communicate, water taps for washing hands and feet, and sand play tools. Fourth, regardless of their children’s age, parents strongly expressed the demand to separate play areas by children’s age groups. In addition, they showed high preference for a playground that stimulates curiosity and a sense of adventure, natural environment to touch and play with, age group separation in outdoor playground, connection between outdoor garden and indoor space, quiet spaces for at least six children to gather and sit, and personal play areas such as little houses. Parents whose youngest child was between three and school age showed a significantly high preference for quiet spaces for at least six children to gather and sit. Fifth, in terms of services and programs from the child-rearing community center, more than 3 out of 4 points were allocated to the need for instrumental support(child play program, hourly emergency babysitting service, and talent donation by child-rearing parents), informational support(pamphlets on parenting and child development, consultations with child development experts, parent education, fathers’ training), affective support(parent psychological consultation experts), and sociable support(exchange programs, mutual child-rearing assistance programs, hobby clubs for mothers with childre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youngest child’age,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erms of child-rearing traits, employment status, and income levels. Sixth, walking distance had the highest preference as the distance to the child-rearing community center. In terms of an operational method, most parents preferred the government hiring expert employees, followed by those who preferred government leadership in the beginning, with gradual transition to autonomous operation by child-rearing mothers in the area to give them opportunities for reemployment.

      • 대중매체를 통해 본 한국의 아파트 주거문화 특성

        이성미 연세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9775

        대중매체는 중요한 정보매체인 동시에 사회적 관심과 요구를 보여주는 지표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최근 10년간 대중매체에 나타난 아파트와 관련된 현상들은 후기산업사회의 다원적 가치구조, 가구특성 및 생활행태의 변화, 아파트 시장 및 주택 금융시장의 변화 등의 영향으로 인한 주거와 사회문화의 전반적인 변화양상을 보여주고 있다.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 국내 대중매체에 나타난 사회적 관심을 주거문화라는 총체적 개념 속에서 이해하고 이에 내재된 가치와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아파트와 관련된 주거현상을 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하여, 그 내용을 물리적 환경 측면, 행태적 측면, 그리고 가치의 세 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여 각 측면의 특성들을 살펴보고, 세 가지 측면간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서 아파트 주거문화의 정체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 아파트 주거문화의 변화와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국내의 대중매체를 대표하는 주요 종합일간지에 게재된 최근 10년간의 아파트와 관련된 기사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내용분석 방법이 사용되었다.아파트 주거문화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관점에서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첫째, 주거문화를 구성하고 있는 개념을 세 가지 측면, 즉 물리적, 행태적, 가치적 측면으로 정의하고 각 측면의 양적모델을 근거로 하여 최근의 아파트 주거문화 현상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둘째, 아파트 주거문화 현상의 물리적, 행태적, 가치적 측면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관계특성과 요인을 조사하였다. 셋째, 최근10년 동안에 아파트 주거문화에 주요하게 드러난 특성의 시간적 자료를 통해 앞으로의 변화의 방향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아파트 주거문화 특성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일간지의 아파트 관련기사의 주제 특성을 분석한 결과, 주거문화의 측면, 즉 물리적, 행태적, 가치적 측면 중, 행태적인 측면이 가치적인 측면이나 물리적 측면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이로서 신문매체의 주요관심은 물리적 환경이나 주거가치보다는, 주택경기, 개발재개발, 재건축리모델링, 정책법규 등 주거와 관련된 공적인 행태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각 측면 별 양적특성을 살펴보면 물리적 측면에서는 수도권 중심적인 문화, 교통환경조망의 입지여건의 부각, 다양한 주거유형의 등장, 다양한 평면의 개발 등이 그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마감재와 통신설비도 최근 10년간 관심의 대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행태적 측면에서는 시세, 공급 및 분양 등 주택경기에 대한 관심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정책법규는 주로 주택 공급에 관련된 법규, 즉, 부동산 경기나 투기, 주택가격형성 등을 통제하기 위한 법으로서의 기능이 강하게 부각되고 있었다. 재건축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였으며, 리모델링은 재건축으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가치적 측면에서는 하위문화성과 경제성이 주거가치 중 가장 높은 빈도수를 나타내고 있었다. 경제적 가치에서는 투자가치가 실수요가치나 유지관리의 경제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문화적 가치 중에서도 다양성과 고급성이 강조되었다. 이와 함께 지난 10년간 부각되었던 주거가치로는 건강, 안전, 기술지원성, 환경, 거주자특성 등이 있었으며, 특히 환경가치에서는 친환경과 함께 생활편의성이 최근의 환경가치로 새로이 부각되었다.둘째, 아파트 주거문화의 물리적, 행태적, 가치적 측면의 관계특성을 살펴본 결과, 물리적 환경에 대한 공적 관심은 주로 시세나 공급분양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시세나 공급분양관련 기사에서는 지역, 규모, 주거유형이 중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리적 측면에 내재해 있는 주거가치 중 가장 두드러지는 속성은 고급성, 다양화, 차별화이며 이러한 가치는 주거유형, 공간구성, 단지배치 등의 계획에서 중요한 개념이 되고 있었다. 행태적 측면에 내재해 있는 주거가치 중 가장 두드러지는 속성은 경제성, 친환경, 안전이며 이러한 가치의 영향을 받는 공적행태 측면의 항목은 공급, 재개발재건축, 리모델링 등이었다.셋째, 아파트 주거문화의 특성의 시간적 변화를 살펴본 결과 재건축, 친환경, 건강 등에 대한 관심은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상복합, 고급성, 차별화, 리모델링 등에 대한 관심은 지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경기정책 등의 영향을 받아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성이나 통신설비에 대한 관심은 하나의 정점에서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이유로는 관심의 안정세에 들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기타, 실버타운, 노인항목은 특정한 추세가 없이 변동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아 관심도의 불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대중매체를 통해 드러난 우리나라 아파트 주거문화의 특성이 시사하는 바를 다음과 같이 결론지을 수 있었다.첫째, 신문매체에 나타난 아파트 물리적 환경의 특성은 고층고밀화, 정보화 및 지능화, 다품종화로 나타났다. 초고층 주상복합, 재건축, 재개발에 대한 기사빈도는 안정세에 있거나 증가하는 추세였으며, 이는 수도권중심의 문화와 도심의 한정된 주거용지, 가구 수 증가로 인해 앞으로 아파트 주거문화는 고층고밀화나 기존 주거지의 재건축, 재개발 위주가 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외환위기나 주택경기의 부진 속에서 전체적인 기사빈도가 감소하였던 90년대 후반에도 정보화지능화에 대한 기사빈도는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그 내용을 살펴보면 주거와 관련한 제반 서비스 산업의 연계라든지, 주거관련 설비들이 통합적으로 운영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90년대 이후 주거유형에 대한 기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특히, 일반적 계층을 위한 보편화된 상품보다는 주상복합, 오피스텔, 원룸 등 다양한 주거유형들이 부각되었다. 또한 이러한 주거유형과 함께 부각된 가치는 생활편의성이었다. 둘째, 주거문화와 정책은 여전히 상호 밀접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아파트 주거문화가 공공정책에 의해서 자리 잡음으로 인해 아직도 미성숙한 모습으로 남아있음을 의미한다. 정책법규 등은 부동산 경기나 투기, 주택가격형성 등을 통제하기 위한 법으로서의 기능이 강하게 부각되고 있었다. 또한 주거를 투기와 재산증식의 수단으로 여기는 분위기는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신문매체도 이러한 사실에 다소 공헌하고 있었는데, 그 예로서 분양안내와 관련된 기사는 실수요가치보다는 투자가치를 강조하고 있었으며, 정책변화와 관련한 기사에서도, 앞으로 주택시장에서의 투자방향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선시공후분양, 원가공개 등의 제도는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투자심리의 조절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셋째, 주거문화의 고급성, 투기성 등의 편중된 경향에도 불구하고 수요자의 주거개념은 다양하고 질적인 향상을 꾀하며, 가치적 진보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경제적, 규제적 제한으로 인하여 새로운 디자인 시도를 하지 못하였던 이전시기에 비해 미분양이나 분양가 자율화는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의 변화와 더불어 다양성과 차별화에 의한 새로운 디자인을 시도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함께 정보화 사회로 인한 다양한 가치에의 접근과 평가가 가능해짐으로 인해 수요자 들은 다원적인 세계 속에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치에로의 판단을 해나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본 연구는 국내 아파트 주거문화의 특성을 물리적 환경과 행태, 주거가치의 상호 관계적 측면에서 이해하며, 주거환경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 간의 관계와 물리적 환경에 내재하는 의미나 가치를 밝힘으로서 주거문화를 총체적인 시각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대중매체에 나타난 아파트 주거문화 현상을 피상적인 현상의 파악만이 아닌 주거문화의 제반요소간의 관계를 밝히고 또한 그 정체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주거문화의 특성에 대한 바른 이해와 앞으로의 변화를 예측함으로서 바람직한 주거문화의 형성을 위한 토대가 될 수 있으리라고 본다. Mass media are perceived as an important information channel, and is used as an indicator of social interests and demands. The information of apartments reported on the mass media in the last 10 years represents the general transit of living and sociocultural patterns due to the pluralistic value structure of post-industrial society, changing household composition and behaviors as well as the change in housing markets and financing.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social interests of domestic mass media in the last 10 years based on a comprehensive approach of living culture,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intrinsic values. Physical environment, behavior, and value were utilized to analyze a cultural aspect of the apartment living-related facts, and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se three categories were examined to draw the residential culture in relation to apartments.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apartment-related articles of the major domestic daily newspapers in the past 10 years and content analysis as the main method was employed in this study.The focus of this study was on three properties of the residential culture of apartments. First,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living culture included three aspects – physical, behavioral, and value, and the special features of the current apartments were examined in order to quantify each component. Second,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correlations of the three component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each component. Third, the chronological analysis was adopted in this study so as to provide the outlooks of apartment liv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hown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n the apartment-related articles on major daily newspapers showed that the articles about the behavioral aspect outnumbered those of physical and value aspects. This finding implied that daily newspapers is likely to concern more economic and social behaviors of apartments such as housing market, developmentredevelopment, constructionreconstruction and policy and regulations than physical environment or value. After the quantification of each category, it was noted that the category of physical environment has dealt with urban culture centered upon metropolitan areas, transportation, different types of housing, and new developments with floor plans. Also the growing attention to interior finishes and communication was found in the past decade. Much of the behavioral aspect of apartment-living articles was in line with housing market, and it was found that the interest was in housing price, occupancy, supply and demand. In particular, housing supply-oriented regulations that control real estate transactions and speculations were dominant. Since the redevelopment of apartments was of concern, the remodeling has been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to solve social and financial problems arising from redevelopment. The analysis of the value of apartment living showed that sub-culture and economic efficiency were on the highest frequency. The focus of economic value was mostly on investment, and the emphasis of the sub-cultural values was on diversification and sophistication. The residential values had shifted to health, safety, technical support, environmentally friendliness, and inhabitation in the last 10 years. Especially, the value on environment was on ecological sustainability and convenience. Second, the relation among the physical environment, behavior, and value was examined and it was found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of apartment living was mostly related to public attention to housing price and supply and demand, and many of the relevant articles dealt with location and size of housing developments, and housing types. Furthermore, the behavioral aspect of apartment living in the study was associated with the economic efficiency, environmentally friendliness and safety. The growing attention to housing supply, redevelopment, and remodeling was obvious. Third, the chronological analysis of apartment living as residential culture showed steadily growing interests in redevelopment, environmentally friendliness and health. Development of business-residential complex, sophistication and differentiation in apartments, and remodeling were prevalent in the coverage, and the phenomenon were influenced by housing policies and market. The interest in diversification and communication had been sharply growing, and stabilized at certain point. However, the number of articles on senior town and the elderly fluctuated because of t! he instability of interest.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residential culture in relation to apartment living were summarized as below. First, daily newspapers in the aspect of physical environment of apartment focused on high-rise building, high density development, intelligent building, and diversification. The number of the articles on the large scale development of businessresidential complex and redevelopment had been steadily growing, and it indicated that the limited residential land and in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led to the issues. Although the national economic crisis and sluggish housing market in 1990s caused striking decrease in the real-estate related articles, the number of the articles on intelligent building dramatically increased. Contents of those articles were mainly about the residential service industry and home automation. Articles on housing types has increased continuously since the 90''s when different types of residential life such as businessresidential complex, OfficeTel and studios became popular. In addition, the easy and convenient residential life was dominant behind the phenomenon. Second, residential culture and public policies still were interrelated, and residential culture has been largely affected by the policies of the government. Public regulations were mainly used as a tool to control housing market and speculation due to the fact that the real-estate market has been widely used as an investment tool. It is acknowledged that the newspapers also played a key role in the investment-driven market. For example, articles of new apartment developments described estimated price of housing rather than actual value while the articles on housing policies also focused on prediction of housing value in the housing market. With all the circumstances, the first-build and after! -sell development and price deregulations will contribute to sound real estate transactions. Third, sophistication and speculation were prevalent, and the residential culture directed to quality of housing began to accommodate different values of consumers. In fact, economic restrictions and social regulations led to the consumer-based housing market, and differentiation in apartments.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sidential culture of apartments in the aspects of physical environment, behavior, and valu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the three components. Furthermore,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residential culture by enlightening the meaning and values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drawing the factors affecting apartment living.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the relations among the elements of residential culture were examined and the properties of the culture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housing-related articles on mass media. This study facilitates correct understanding on the features of residential culture and its prediction, and further is us! ed as a basis for sound and constructive residential culture.

      •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상황변화에 다른 주거환경 선호에 관한 연구

        황선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75

        우리나라는 경제성장과 더불어 영양 상태와 의료수준의 개선으로 평균수명이 빠른 속도로 연장되어 현재 79.1세(남자 76.2세, 여자82.6세)이며, 2030년에는 81.9세로 예상된다. 이러한 평균수명의 연장과 함께 저조한 출산율은 고령화의 속도를 가속화하고 있다. 특히, 2020년 베이비부머의 시작인 1955년생이 65세를 넘기면서 매년 70만에서 80만명의 새로운 노인들이 탄생할 것이며, 이에 따라 2010년 현재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중은 10.9%이지만 2020년에는 15.6%, 2026에는 이 비율이 20.8%가 되면서 빠른 속도로 초고령 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통계청2006). 노인인구 비중의 증대는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사회적으로는 고용구조의 변화, 젊은 층의 부양부담 증가, 노인복지 재정부담 증대 등이 야기될 것이며, 개인적으로는 수명연장과 건강악화 및 경제력 약화, 은퇴로 인한 사회적 노화 등에 따른 삶의 형태(life-span) 변화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송하승.2006). 이러한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함께 노인 부양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의 변화가 예측되는 시점에서 노인의 생활 요구를 충족시키는 환경 조성에 대한 과제에 직면해왔다. 특히 고령자에게 있어서 주거의 질은 심리적인 안정과 삶에 대한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노인을 위한 주거환경은 노후의 삶에서 그 역할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으며,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요구 즉 노인의 모든 행태적 욕구를 수용 해 줄 수 있어야 한다. 주거의 질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는 시점을 맞아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생활을 대비한 적절한 주거환경을 개발하는데 다양한 접근이 포용되어야 한다. 이에는 설계자의 입장에서 보다 바람직한 합리적인 제안을 할 수도 있고, 거주자의 입장에서 계획에 필요한 요구를 파악하는 방법도 있다. 후자의 경우 대표적인 것이 주거 선호에 관한 연구이다. 베이비붐 세대 스스로가 노후의 삶을 어떻게 보내느냐하는 것은 스스로의 삶을 유지하기 위해 어떠한 주거를 선호하는지와 연관이 있으며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화 문제에 주목하여 이에 대한 성공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향후 노인인구의 핵심적인 구성 집단이자 노인주거환경이 본격적으로 계획되는 시기의 주요한 대상이 될 베이비붐 세대가 선호하는 주거환경특성을 노후 상황별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가 기대하는 바는 노후의 건강하고 활기찬 주거대안을 제시하고자 하고자 한다. 한편, 노후 주거선호를 파악할 때 노년기를 하나의 일관된 단계로 보기보다는 노화되는 과정상의 상황을 기준으로 세분화하여 파악하는 것이 노년기 전체의 요구를 파악하는 데 보다 정확한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오찬옥,이연숙,1993; 고성룡,1990; 박태환,1990).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노후의 생활을 부부동거와 건강상태에 따라 4가지 상황으로 설정한 선행연구(오찬옥,이연숙,1992)의 두 변수를 기준으로 노년기를 세분하여 상황별 주거요구 및 주거선호를 파악하는 것으로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실증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강남구 및 서초구에 거주하는 베이비붐 세대로 가까운 미래에 실질적으로 이주의 계획을 가진 주된 소비 계층으로 제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는 문항의 이해정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강남구에 거주하는 베이비붐 세대 15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미비한 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작성하였다. 본 조사는 2010년 4월 20일부터 2010년 5월 30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조사는 직접방문을 통해 설문지를 현장에서 배부와 수집을 동시에 하는 방법으로 총 200부가 배부되었고, 회수한 설문지 중 문항에 대한 응답이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한 자료를 제외한 15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도구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주거환경 특성을 질문하였으며 노후의 주거 특성으로 선호하는 주거의 위치, 형태, 규모, 소유방식, 유형, 주거선택요인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및 노후 인식과 노후를 대비한 생활 실태를 살펴보면 이들이 희망하는 평균수명은 86.9세이며, 희망 퇴직연령은 69.2세, 인식하는 노후 시작 시기는 64.9세로 나타났다. 노후를 대비한 생활 실태에 대해서는 5점 척도를 기준으로 응답자의 전체 평균은 3.5이며 심리적 노후대비 생활실태에 대한 점수가 평균 3.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신체적, 사회적 노후대비 생활실태가 평균 3.5점이며 이에 비해 경제적 노후대비 생활실태가 3.4로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로 비교할 때 ‘노후에 자녀에게 의존하지 않고 자립적으로 살고자 대비를 한다.’는 심리적 노후대비의 항목이 4.1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이에 반하여 ‘정부의 노인 소득보장 정책에 대해서 알고 있다.’의 경제적 노후대비 생활실태에 대한 항목에서는 2.8점의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주거계획특성에 관한 선호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베이비붐 세대가 선호하는 지리적 주거 위치는 전반적으로 부부가 동거하며 건강 시에는 도시근교를, 그 외의 경우에는 도심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향은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부부가 동거하며 건강할 시 도시근교를 선호하다가 혼자거주하며 건강악화 시에 도심지를 선호하는 결과와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심지에 대한 선호 성향이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연구의 응답자들이 강남구와 서초구에 거주하는 집단으로 지역에 대한 자부심과 애착심이 높고, 지역 내 편익시설과 교통시설의 용이성에 대한 만족감이 높은 것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리나라의 베이비붐 세대는 도심 상경을 통해 도심에서 직장 생활을 영위한 사람들로서 익숙해진 도심을 떠나서 지방 이주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며, 경제적?사회적 인프라가 정비되어 교양 오락이 풍부하고 소비기회가 많은 도심으로 역 회귀할 가능성이 높다. 이들은 은퇴 후 재취업을 희망하는 세대로 고용기회가 많은 도심부를 떠나기 어려우며, 특히 가족의 개호 환경 등을 고려할 때 자식이 있는 도심부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주택형태에 대한 선호는 노후의 4가지 상황에서 모두 아파트 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혼자/건강악화 시에는 응답자 전체의 69.3%가 아파트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 상황별 주거규모에 대한 선호는 상황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며, 부부가 동거할 경우 건강 할 때는 31-40평 정도의 규모를 선호하였고, 건강이 악화되었을 경우 21-30평을 선호하였다. 혼자 거주 시에는 21-30평을, 건강이 악화되었을 때는 20평 이하의 작은 규모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가장 많은 변화를 보이는 것은 20평 이하의 규모로 부부동거/건강시는 다른 평수에 비해서 6.0%로 낮은 선호 경향을 보이지만 열등한 상황인 혼자/건강악화시에는 45.3%로 선호하는 성향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베이비붐 세대가 노후 주거규모에 대하여 노후상황변인 중 건강상태 보다 부부동거여부에 의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노후상황별 주거 소유방식에 대한 선호는 4가지 상황 모두에서 자가를 소유하려는 성향이 절대적이다. 반면, 임대에 대한 선호는 부부동거/건강시에 4.7%인데 반해 혼자/건강악화 시에는 20.7%로 점차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노인계획주거 이주에 대한 선호는 부부동거여부 보다 건강상태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건강할 시에는 비계획주거에 거주하지만 건강이 악화되었을 시 노인 계획주거로의 이주를 희망하였다. 이는 베이비붐 세대가 기존 세대보다 더 독립적인 세대로 자녀에게 의존하지 않고 자립적으로 살고자 하며, 스스로를 돌볼 수 있다는 자신감이 강한 특성이 있기(Levy, M.&B.A. Weitz.2002) 때문에 노인계획주거유형의 개발 시 노후 상황에 따른 요구나 필요에 맞는 적절한 환경을 고려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 노인계획주거에 대한 선호는 건강 악화시에 높게 나타나며, 부부가 동거하며 한 사람의 건악이 악화될 시에는 노인복지주택과 요양형주택에 대한 선호가 18.7%, 18.0%, 혼자 거주하며 건강이 악화되었을 때에는 요양형주택에 대한 선호가 44.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다른 주거유형에 대한 선호도 비교적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상황변화와는 상관없이 일괄적인 선호를 보이기보다는 상황에 따라 선호유형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선호하는 노인주거유형의 응답을 바탕으로 각 상황별 주거이동의 패턴을 파악하면 총 80가지의 패턴이 나타나며, 상위 7순위의 패턴이 전체의 41.3%에 해당하는 것으로 빈도는 낮으나 개인에 따라 다양한 주거이동 패턴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노후상황별 선호하는 주거선택요인에 대해서는 각 상황별 5순위를 차지하는 개별항목의 선호를 조사하면 거의 유사한 것으로 특히 교통편리성에 대한 항목은 모든 상황에서 주거 선택 시 중요시 여기는 계획요소임을 나타냈다. 베이비붐 세대는 기존 세대보다 활동적이며, 여가생활 및 문화생활을 즐기는 집단으로 생활권 내에서의 편리한 이동수단에 대한 요구가 크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접근성에 대해서는 부부가 동거하며 건강시에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부부동거/건강시에는 교통의 접근성과 더불어 근린시설의 접근성에 대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자녀와의 근접성에 대해서도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건강상태보다는 배우자유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혼자 살게 되었을 때 자녀와의 근접성을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보인다. 주거선택 시 쾌적한 환경은 누구나 고려할 것이다. 본 응답자인 베이비붐 세대도 주변 자연환경과 주변분위기, 일조 및 채광의 쾌적성과 관련된 항목에 대해서는 노후 모든 상황에서 모두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쾌적성은 특히 주거환경 요구 중 가장 감각적인 요인으로서 노후의 신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부부동거/건강악화시, 혼자/건강시, 혼자/건강악화시에는 지역복지서비스에 대한 요구도를 보인 것으로 이는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생활에 지역 사회 내에서 보호와 관리 및 서비스 제공을 기대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서비스 및 복지 인프라를 거주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크게 시사하고 있다. 현재 대도시 중위권에서 살고 있는 베이비붐 세대는 주거의 지역이나 형태, 규모, 분양방식에 있어서 다양하게 분산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특히 강남구과 서초구의 대도시권에 익숙하며, 현재 거주 중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으로 그 빈도는 낮지만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은 향후 대단히 큰 변화를 암시한다. 우리나라의 주택은 인구가 성장하고 핵가족화 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공급해왔다. 현재서부터 계속 인구학적인 변화 특히 고령화 사회로 인한 변화에 직면해 있으며 고령자가 사회적 다수로 있을 수 있다는 것은 인생의 주기에 있어서 확대기가 아닌 축소기의 국면이 많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주택은 축소기를 맞게 되는 사람들을 위해서 대전환을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베이비붐 세대가 바로 그 시작세대로서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 초점을 맞추어 주거선호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더욱이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후기간이 상당히 길어질 것을 염두에 둘 때 어떠한 노인을 위한 주거가 계획되어야 할 것인가를 볼 때 다양하고 포괄적으로 접근하여 노후 전 기간에 선호를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특히 상황의 변화라는 것이 인생전반 주기에 있어서 주택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을 재확인 하였으며, 따라서 노년기를 동질적 그룹이 아니라 인생에 있어서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 긴 기간임을 생각할 때 이질적인 단계로 보고 향후 이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주택 개발은 인구의 고령화를 대비해서, 특히 대규모의 축소기인 인구학적인 변화에 대응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화와 은퇴를 앞두고 주택 상품개발의 대전환과 주택시장의 접근방법이 대대적으로 달라져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고령화에 대해서 사회적 위기의식을 느끼고 실질적으로 공공부분에 있어서의 우려와 기초적인 연구는 있었지만 민간부분에서, 특히 주택 계획, 건축, 상품개발 차원에서 중상류층의 움직임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발전하지 못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이것을 시작한 연구로서 이후 주택 시장과 상품개발 예측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사용되리라 기대되어 진다.

      • 가족친화형 유비쿼터스 주거환경 계획요소에 대한 연구 : 맞벌이 주부를 대상으로

        이유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75

        기혼여성의 취업증대는 사회발전으로 인한 여성권위의 상승이라고 평가할 수도 있으나 가사노동에 대한 법적·사회적인 보장이 없는 상태에서의 여성의 취업은 탁아 및 가사노동과 직장이라는 이중부담을 가져다주고 여러 가지 가족 문제 및 갈등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전통적으로 가족이 담당해오던 육아, 노인돌봄 등의 기능이 약화되고 있는 점에 착안해 가족의 기능을 지역공동체가 보완할 수 있도록 공동체의 개념을 도입한 가족친화형 주거환경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부의 취업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으로서 가족친화형 주거환경에 대하여 알아보고 가사 및 자녀 양육의 어려움을 덜어주는 방법에 대하여 주거환경과 커뮤니티 차원에서 접근하되 이를 유비쿼터스 주거환경과 접목하여 맞벌이 가족을 대상으로 한 가족친화형 유비쿼터스 주거환경 계획요소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홈네트워크서비스 중에서 맞벌이 주부의 가사 및 육아노동을 지원해줄 수 있는 서비스를 추출하여 맞벌이 주부를 대상으로 요구도를 조사하였다.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문헌조사, 방문조사, 설문조사로 구성되었는데 설문조사도구의 개발은 가족친화형 주거환경과 홈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문헌조사, 국내 미래주택전시관의 방문조사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가족친화형 유비쿼터스 주거환경을 단위세대공간과 실내외 공유공간으로 나눈 후 실내외 공유공간에 해당되는 서비스항목들은 가족친화형 주거환경 계획요소와 결합하고 재정리하여 각각의 계획요소 항목에 대한 요구도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맞벌이주부 173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그 중 160개의 유효표본을 가지고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연구의 결과 분석을 정리하면 먼저, 조사대상자들은 전반적으로 가족친화형 유비쿼터스 주거환경이 편리한 가사 및 육아생활을 지원하고, 보다 안정적인 주거환경이 보장해 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었고 설문조사에서 제시한 대부분의 홈네트워크서비스에 있어서 보통이상의 요구도가 측정되었다. 안전성과 편리성과 관련된 홈네트워크 서비스 항목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단위세대 공간보다 실내외 공유공간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공무원이라는 표집대상의 한정과 한국사회에 팽배해져 있는 가족이기주의 요인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조사응답자의 막내자녀나이, 취업형태월평균소득에 따라서 요구도가 다르게 특정되었는데, 막내자녀나이가 많고 맞벌이 주부의 취업형태가 종일제인 경우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월평균소득 차이에 있어서는 단위세대와 실내외 공유공간의 요구도 차이형태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단위세대의 경우에는 소득이 많을수록, 실내외 공유공간의 경우에는 소득이 적을수록 요구도가 높았다. 많은 조사응답자들이 홈네트워크서비스의 비싼 비용과 조작의 어려움을 우려하고 있었고 지나친 자동화로 인한 생활의 능동성 저해를 걱정하며 최소한의 필요한 기능만을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이 후에 진행될 연구에 대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본 연구의 설문 조사에서 제시한 홈네트워크 서비스들이 모두 이미 개발되어있는 아이템이기 때문에 이후의 연구에서는 기존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조사에서 더 나아가 조사대상자들의 새로운 요구를 파악하여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가족친화형 주거환경은 본래 맞벌이 가족뿐만이 아니라 요즘 다양화되고 있는 한국의 여러 가지 가족 형태를 위한 주거 대안이기 때문에 이후 연구에서는 한부모 가족, 다문화 가족, 기러기 가족 등으로 표집을 보다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가족친화형 유비쿼터스 주거환경은 맞벌이 주부의 가사 및 육아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주거대안으로서 진정 필요한 요소만을 중심으로 개인의 특성과 기호에 따라 융통성 있게 개발된다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한국의 가족형태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하나의 효과적인 해결방안이 될 것이다. The number of working mothers has become constantly increased in our society, and this social phenomenon will be continuous. As they should perform two roles at home and in their work place, their living characteristics and housing needs may be different from those of single income, and the family-friendly ubiquitous housing can be an good alternative plan. Based on the assumption this study was performed.A total of 160 questionnaires was surveyed for an analyzing the housing needs of double income households. Subjects consisted of wives having jobs with 0-12year old children. The questionnaire includes the planning elements of family friendly ubiquitous housing. The data was an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χ2-test, ANOVA, and using the SPSS package.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1) Most of the respondents general and positive perceptions about friendly ubiquitous housing environment. The results of needs for each space's home network system, showed highly in basic services which support residents' life in safe and convenient aspects such as safety warning system, automatic waste disposal system and cleaning service.2) On the other hand, there are lower rate in community spaces. because the job of respondents were limited to public servant who can adjust their time flexibly, so they don't need communal services urgently. Family self-centeredness which is spread to Korea society is another factor of the lower needs.3) The housing need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age of the youngest child, monthly average income, and the type of employment (full-time/part-time). The group of full-time job and the highest age group showed higher needs of family friendly housing environment. Depending on the monthly average income, the result appeared different between individual unit spaces and communal spaces. In individual unit spaces, the higher monthly income group, the higher needs was measured, but in communal spaces part, the lowest income group showed the highest needs for the communal services.4) A large number of respondents hope that the ubiquitous services is needed in minimal range of essential convenience. Many of them worry about becoming passive because of home automation.For the following study, more various sampling in job type, family type is needed such as single-parent family, multi-culture family. Furthermore, new needs of respondents should be surveyed because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needs based on existing home network services.

      • 한국 치매노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거환경 연구

        이윤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9775

        재택 치매노인의 인구가 전체 치매노인의 거의 90%이상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환경 분야에서의 치매관련 연구는 시설 디자인에 관한 이론과 실험에 국한한 것이었다. 이러한 치매시설디자인에 대한 연구와 실험에서 자택과 같은 디자인이 치유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결과가 보고 되었으며 또한, 이미 고령사회에 도달한 선진 국가들의 복지정책 방향은 재택 지향적인 선회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현 주거환경의 적합성 평가와 개선요구에 따른 바람직한 주거환경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특히, 치매의 종류와 증상의 정도에 따른 주거환경의 개선요구의 차이를 밝히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중점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치매노인 가족의 주거현황과 주거환경의 물리적 측면에 대한 의식은 어떠한가, 둘째, 치매 종류 및 정도에 따른 치매노인의 생활 장애 및 가족의 부양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주거환경의 물리적 측면의 개선요구와 방안은 무엇인가, 셋째,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현 주거환경의 적합성 평가와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넷째, 물리적 환경의 지원성은 치매노인 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과 수도권지역에 거주하는 치매노인의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유의 표집방식을 사용한 총 30사례로 구성되었다. 조사기간은 2003년 9월부터 11월까지였으며, 심층조사대상인 12사례의 가구는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면접과 관찰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도구 중 주거환경 개선사항에 대한 항목들을 다시 추출하여 30사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치매노인 가족들은 치매증상과 물리적 환경과의 관련성에 있어서 물리적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실제적인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소극적으로 대처하였다. 이는 치매노인 가족들이 치매노인의 증상완화를 위한 물리적 환경 개선의 필요성은 인식하나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기지는 못하고 있기 때문이거나 또는 구체적인 개선 방안에 대한 지식이 없음에 기인한 결과로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주거 환경 개선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치매노인 가족들이 주거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복지관련 종사자들로 하여금 환경의 개선방안에 대한 지식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앞으로는 치매노인 부양자들에게 안전사고 예방과 케어를 원활히 하기 위한 물리적 환경 개선의 경험과 개선방안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게 하고 복지종사자들에게도 정보를 제공하는 교육과 토론의 장이 필요하다. 또한,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주택개선 보조 및 지원에 대한 정책과 제도의 정착도 요구된다. 2) 치매 종류 및 정도에 따른 주거환경의 물리적 환경 측면에서 본 개선요구에 대한 조사결과, 경증 단계의 치매증상에 대처한 주거환경 개선 항목의 경우 공통적인 요구사항은 화장실 외부에서 일어나는 생활 장애와 관련된 것과 정신적인 불안증상에 대처한 항목, 치매노인을 계속 관찰할 수 있는 환경의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알츠하이머성의 경우에는 옥외 배회증상과 관련된 항목이 주로 나타난 반면 혈관성 치매는 배회증상과 관련한 항목이 하위차원에서 나타나는 대신, 화장실 내·외부에서 일어나는 실금증상과 관련된 항목들이 자주 언급되었다. 중등증 단계의 치매증상에 대처한 주거환경 개선 항목에서는 화장실 내부에서 일어나는 증상 대처 및 배회증상, 화기관리에 대한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알츠하이머성의 경우에는 화장실 내부의 증상 대처, 옥내배회에 대한 배려와 함께 정신적 불안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환경개선의 필요성이 많이 나타났다. 이에 비해 혈관성치매의 경우는 배회나 인지력 저하로 인한 안전사고와 관련한 항목에 대한 요구가 적게 나타났다. 중증 단계의 치매증상에 대처한 주거환경 개선 항목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 사례는 심각한 배회 증상에 대처하는 항목이 상위차원에서 요구되었다. 혈관성 치매의 경우에는 배회증상에 대처한 항목과 화장실 내·외부 관련, 정신적인 불안증상과 신체장애와 관련한 항목들이 상위차원에서 나타났다. 3) 치매노인 가족을 위한 주거환경의 적합성을 파악하기 위해 치유 환경, 케어 환경, 안전한 환경, 쾌적한 환경, 보조적 환경, 사회적 환경의 5가지 차원에 대한 현황과 앞으로의 개선방안을 살펴 본 결과, 현재 우리나라의 거주환경이 단독주택에서 아파트와 다가구주택으로 전환되면서 이들이 가지고 있는 획일적인 디자인 특성과 인위적인 환경 특성, 즉 친자연적인 특성이 결여된 환경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치유환경에 대한 지원성측면에서는 단독주택이 높이 평가되었고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경우라도 베란다에 정원이 형성된 사례와 단지 내에 정원이 있는 사례, 주택 내부에 케어보조설비나 기기 사용과 증상을 배려하여 야간조명이나 화장실 내 벤치사용 등을 실시한 사례, 환경의 변화 없이 거주기간이 긴 사례에서 지원성이 높게 평가 되었다. 케어환경에 대한 영역별 개선정도는 소극적인 환경 개선사항들의 요구가 높았다. 그러나 실제 개선된 사항에 대한 향후 개선 요구정도는 적극적인 물리적 환경개선 사항에서 높게 나타나 앞으로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적극적인 환경 개선에 대한 확충이 매우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앞으로는 각각의 증상과 관련하여 이러한 환경요소들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향후 실제 치매노인 가족들로 하여금 물리적 환경의 치유효과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으며 일반적인 주택에도 도입이 반영된다면 앞으로 주택 개발에 많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 물리적 환경의 지원성이 치매노인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은 삶의 질을 구성하는 각 영역과 치매의 임상적 증상의 특징과 관련하여 설명될 수 있다. 즉, 행동·지각 능력 차원은 인지·정신적인 능력저하가 진전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특성과 신체·정신적 장애가 동시에 진행되는 혈관성 치매의 특성으로 인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심리적 안녕감 차원의 경우 알츠하이머성은 중증에 이르러 주부양자의 객관적 부양부담의 정도가 낮아지는 반면에 혈관성의 경우는 더 높아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치매의 종류와 정도별 차이에 따른 연관성을 통해 물리적 환경의 지원성이 치매노인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크다는 것을 규명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주거환경의 물리적 환경측면은 치매노인 가족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며 치매 발병 후 평균 10년에서 최고 20년간의 유병기간이 지속된다고 볼 때 치매노인을 위한 주거환경 개선은 매우 시급하다고 하겠다. 또한 이러한 주거환경의 개선을 위해서는 치매의 종류 및 정도에 따른 특성에 기인한 체계적인 개선방안의 제시가 중요하며 치매노인의 문제행동과 생활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지역사회와 연계되어 개발된 재택복지서비스가 전 지역사회로 파급됨으로써 궁극적으로 거시적인 주거환경의 관점에서 치매노인 가족의 주거환경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궁극적인 한국치매노인 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에 관하여 실증적인 규명을 했다는 점에서 매우 의의가 있으며 향후 치매노인을 위한 주택과 환경디자인 개발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pite the fact that demented elderly cared at home accounts for over 90% of the total demented elderly, dementia-related researches in the field of environment have been limited to theories and experiments about design of facilities in Korea. As a result of hitherto researches and experiments on designs of dementia treatment facilities, it was found that the same design of the treatment facilities as the design in the victim's own house has a therapeutic effect. The finding is supported by the examples of the advanced countries that have already reached an aging society and where the welfare policy for demented elderly changes to home care. In the light of such developments, this study assesses the adequacy of the current housing environment for the life quality of the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people and suggests desirable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s that can meet the requirements. This study particularly puts the emphasis on the finding and summarizes the different requirements for improvement that vary according to the types and degrees of dementia.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 first, how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think about their housing environment and its physical environment; second, the disability degree of the demented elderly in daily living, the burden on families to support them, the requirements and methods to improve the aspe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housing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third, the assessment of the adequacy of the current housing environment for the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and the method to improve; fourth, the influence of the affordance to what extent the environment afford behavior of residents on the lifequality of the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This study examined 30 cases of subjects that were sorted out of the main caregiverof demented elderly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purposing sampling.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betweenSeptember and November 2003. The author personally visited 12 families subject to the depth investigation to have interviews with the main caregiverand to conduct observation. The items about the improvement of housing environment were sorted out with investigation tools to conduct a survey.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analysis is summed up as follows: 1)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who were well aware of the relationship of dementia symptoms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importa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have no definite or positive awareness of the necessity for improvement. Their indifference to improvement,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residents' reluctance to act despite th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r their lack of knowledge about improvements, showed that institutional supports are requir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housing environment. For the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to hav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and for the welfare workers to share knowledge about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s, and to help demented elderly caregiver take care of victims with ease and prevent accidents, an opportunity for education and discussion should be provided so that welfare workers share and provide their experience and information about the improvement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It also showed the necessity for education and information service as part of the policies for the settlement of the political system for the subsidies and supports to improve the housing environment. 2) As for the requirements for improvemen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housing according to types and degree of dementia, the case that most requires improvemen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was found to be case in the middle stageof Alzheimer's disease and the serious stage in case of Vascular dementia. To be specific, victims of a mild case of all types asked for the improvement of housing environment concerned with symptoms happening outside the toilet. Victims of a mild case ofAlzheimer's disease particularly ask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items concerned with symptoms of wandering outside the house. Mild cases of Vascular dementia asked much for the improvement of items concerned with feces and urinary incontinence inside and outside the house, while the request for the items concerned with wandering symptoms stood low. Items asked to cope with the moderate case of all types of dementia included: measures to cope with symptoms happening inside the toilet and the danger offire. In addition to measures against happenings inside the toilet, mild cases of Alzheimer's disease asked for the measures to cope with wandering outside the house, environmental improvement concerned with mental disorder and accidents. In contrast to it, items concerned with wandering or accidents due to failure of recognition were comparatively few in the mild case of Vascular dementia. Common items for the improvement of housing environment to cope with severecases of dementia were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all symptoms. In addition to the measures to cope with serious symptoms of wandering which both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dementia asked for, a serious case of Vascular dementia asked much for the measures to cope with happenings inside and outside the toilet. 3) To assess its adequacy, the housing environment for the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was examined in five aspects: therapeutic, care, safety, refresh, equipment and social environment. In its overall assessment, environmental factors scored low marks due to the lack of nature-friendliness resulted from standardized design and the artificial environment of apartments and multi-family houses which have recently become the typical housing of Koreans instead of independent houses. By housing types, independent house scored a high rating in the assessment or feasibility to afford a therapeutic environment. Even in the case of residing in an apartment, cases such as having made a garden on a veranda, having a garden within the compound, using care-assistant devices within the house, having installed night lighting, using a bench inside the toilet and having lived for a long time without changing environment, scored a high rating in being affordable. These environmental factors requirefor further research with reference to the different symptoms. Such research is expected to enhance the awareness of residents about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if introduced to the general housing,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general housing. 4) The influence that the afforda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has on the life quality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can be explained by relating each sector of living quality with characteristics of clinical symptoms of dementia. For example, most cases related to behavioral and perceptive abilities can be said to have relations with characteristics of Alzheimer's disease that shows a decline in perceptive and mental a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Vascular dementia that shows a simultaneous development of physical and mental disability in most cases. As for the psychological comfort, the relative difficulty of the main caregiver with caring reduces in case of Alzheimer's disease, while it rises in case of Vascular dementia, as the symptom approaches in seriousness. These show that afforda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has much influence on the life quality of the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relations between types and different degrees of dementia. In conclusio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housing has influence on the life quality of the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and the improvement of the housing environment is urgently required considering the fact that symptoms of dementia last for 10 years on average up to 20 years from an attack of the disease. In such improvement of the housing environment, it is important to work out a plan according to the type of dementia and degree of symptom with a focus on the minimization of problematicbehaviors and living disabilities of the victim, as different types and degrees of dementia show different symptoms. What's most important, however, is that housing development should be conducted in cooperation with the community so that welfare service for home care can be diffused across the whole community and housing environment for the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can be improved in a macroscopic viewpoint.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that it has positively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housing environment on the life of families with demented elderly and is expected to be using in the housing development for the elderly and the environment design for demented elderly.

      • 장기요양 보호대상 노인을 위한 주거환경 디자인 연구 : 일본의 웰페어 테크노하우스 분석연구

        구한나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75

        지난 20세기의 산업화를 통한 경제성장 및 의료의 발달은 인간 수명율의 증가를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생산 인구의 감소까지 더 해져 고령인구의 비율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고령화에 따라 장기요양보호대상 노인과 재택 케어를 희망하는 노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 현상은 케어가 가능한 주거환경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더욱이, 주택이라는 공간이 장기요양 보호대상 노인에게는 특히, 생활의 기반 전부가 되는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대상으로하는 주택에 대한 연구가 거의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지리적으로 우리나라와 근접하여 있으며 문화적 유사성을 지녔을 뿐만 아니라 앞서 고령화를 겪으면서 노인복지정책, 노인주택, 복지기기 등이 발전된 일본의 장기요양 보호노인 주택의 연구와 파악은 향후 국내의 다양한 노인 주거환경의 제공과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일본 장기요양 보호대상 노인을위한 주거모델로 소개되어 온 웰페어 테크노하우스의 분석을 통해 장기요양 보호대상 노인을 위한 주거공간 디자인 특성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우선 문헌고찰을 통해 장기요양 보호대상 노인에 대해 이해하고 노인주거환경이론 및 관련 복지정책 및 주택정책을 살펴봄으로써 케어가 가능한 노인주택의 계획 및 개발을 위해 필요한 제반 조건들과 이러한 주택을 가능하게 하는 관련복지기기나 서비스 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택하였으며 문헌과 웹사이트, 그리고 현장을 통해 수집한 15개의 월페어 테크노하우스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사례를 평면구성적 특성, 공간구성적 특성, 케어관련 특성으로 구분지어 분석하였으며 이 결과를 장기요양 보호대상 노인의 행태적인 특성과 관련지어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내용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면구성적 특성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사례가 장방형의 평면을 지니고 있으며, 평면 배치 특성에 있어서도 복도 중심형이 주를 이루고 부수적으로는 실인접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공간별 위치를 살펴보면, 진입로, 현관, 거실, 그리고 외부데크가 주로 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특히 전면의 외부데크는 거주자들로 하여금 외부환경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계단이나 엘리베이터, 화장실은 중심부에, 침실과 식당은 중심부나 후면에, 그리고 욕실과 부엌은 후면에 배치되는 경우가 가장 빈번하였다. 또한, 다다미공간은 어느 특정한 위치에 배치하기 보다는 필요에 따라 거실 혹은 식당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으며 그 높이는 의자에 앉은 사람의 눈높이와 맞도록 높여져 있다. 둘째, 공간구성에서 나타난 특성을 종합해보면, 현관-거실-침실의 공간의 경우 일반적으로 거실과 침실은 현관에서 독립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두 공간을 분리하거나 인접하여 구성하였다. 침실-화장실-욕실은 서로 인접하여 일렬배치를 이루는 경우가 많았으며, 부엌-식당-거실은 일자형의 개방된 평면의 형태나 거실이나 부엌이 분리된 형태로 연결하였다. 실내.외부 공간의 연계성의 경우, 침실이나 거실, 혹은 양방향에서 외부공간 혹은 외부데크로의 접근이 가능하였으며, 거실, 침실, 화장실은 주로 창문을 통해 외부와 간접적으로 연결하였다. 셋째, 케어관련 특성을 종합해보면, 무장애 공간을 기본으로 하여 진입로나 현관의 경우, 계단과 램프의 설치, 자동감지시스템, 단차해소기 및 벤치 등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으로의 진입에 있어 장애를 제거하였다. 또한, 실내공간은 문턱을 제거하거나 휠체어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폭의 복도로 구성하고 있으며, 현관, 복도, 계단 및 엘리베이터, 침실, 화장실, 욕실 등에 손잡이를 설치하였다. 또한, 수평적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천장의 전동식 리프트는 케어공간인 침실, 화장실, 욕실에 설치하였으며, 수직적 이동은 의자식 계단 승강기와 홈 엘리베이터를 통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 외에, 부엌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혹은 상하개폐 형식의 상부수납장을 사용하고, 식당에는 유압식 높이조절 테이블을 사용하여 휠체어 사용자도 접근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신체기능의 저하와 동작의 변화에 대응 가능한 전동식 침대, 높이조절 세면대 및 좌변기, 접이식 의자 등의 생활복지기기는 주로 케어공간에 사용되었으며 의료복지기기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넷째, 노인의 신체적 혹은 사회심리적 행태와 관련된 공간 디자인 특성을 종합해보면, 주택의 무장애화, 다양한 설비와 기기의 사용을 통해 이동성과 체력에 대해 가장 많이 배려하고 있었으며, 바닥 난방 설비 등을 통해 체감의 둔화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사회심리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외부공간과의 직접적인 연결이나 침실 혹은 거실의 넓은 창을 통해 개방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회적 고립감을 해소하였다. 또한, 다다미 공간 등 노인에게 문화적으로 익숙한 환경이나 정원 등의 자연환경을 통해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이동성을 보조하는 다양한 기기와 설비는 자립적인 생활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웰페어 테크노하우스는 무장애 공간, 개방된 공간, 가변화가 가능한 공간, 문화적인 요소의 적용 등으로 특징 지어질 수 있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Aging in Place(거택)를 지향하려면 어떠한 측면이 고려되어야 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거택을 촉진하는 노인주택은 거주자인 장기요양 보호대상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인 기능을 향상시키고 유지시켜 줄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단순히 무장애 건축으로만 접근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즉, 노인주택은 안전을 제공하고 노화기능을 보완해 줌과 동시에 자신이 생활해 온 주택에서 지속적으로 삶의 양식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무력함 등을 방지하고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적절한 자극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본 내에서 점차 사라져 가는 웰페어 테크노하우스와 관련된 자료들을 분석 정리하여 기록을 남기는 데 그 의의가 크며, 이는 향후 국내 장기요양 보호대상 노인주택의 계획 및 개발에 있어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또한, 노인 집합주거 시설뿐만 아니라 국내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일반 집합주택 등의 주거공간으로 확대 적용할 수 있으리라 예상되며, 더 나아가서는 단독주택에도 적용되어 향후 고령화 되어도 부분적인 변경만으로 계속 거주할 수 있는 주택의 개발하는데 있어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an ideal housing design for the elderly with long-term care needs. Specifically, it analyzed the Welfare Techno-House being proposed as a model of residence in Japan for the elderly with long-term care needs. Likewise, literature review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elderly with long-term care needs and to study environmental theory for the elderly, welfare policy, and housing policy to find out the principles such as welfare appliances and related service for the housing development for the elderly. This study used content analysis to evaluate 15 Welfare Techno-House cases from literature review, website, and fieldwork. The selected cases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ed framework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lan construction, space construction, and care. Likewise, the results were analyzed collectively by relating them to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th long-term care needs. The content analysis of the cases revealed that from the plan construction perspective, most cases have a square floor and corridor-oriented or adjacent space arrangement. In terms of position per space, the ramp, entry, living room, and outside deck are arranged at the front. In particular, the deck allows the elderly to interact with people. Likewise, the stairs, elevators, and rest rooms ar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house, with the bedrooms and dining rooms arranged either at the center or rear. Similarly, bathrooms and kitchens are arranged at the rear.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distinct Tadami space; instead, it is included as the dinning or living room as necessary. From the space construction perspective,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living room and bedroom are separated or adjacent to each other, while the spaces are connected from the entry directly. Likewise, the bedroom, the restroom, the bathroom are adjacent with one another and arranged in a row. On the other hand, the kitchen, the dining room, the living room are either arranged in a row or the living room or kitchen is separated from the other rooms. In the case of interior and exterior space connection, it is possible to enter from the bedrooms, living rooms, or both directions and exit to the outside or the decks. Moreover, the interior spaces are connected with the outside indirectly through the windows of the living rooms, bedrooms, and restrooms. In addition,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from a care related perspective indicated that the houses including approaches and entries have no barrier. The installation of stairs and ramps, auto-detect system, lift, and bench is designed to help people enter into the rooms. Likewise, there is sufficient corridor space for the wheelchairs, with grab bars installed at the entry, corridor, stairs, home elevators, bedrooms, restrooms, and bathrooms. To assist horizontal movement, automatic lifts are installed at the ceiling of bedrooms, restrooms, and bathrooms that constitute care space in the houses. On the other hand, chair lifts and home elevators are installed to allow vertical movement. In the kitchen, the height of the counter is adjustable and the upper cabinet movable. Similarly, the height of the dining table is adjustable to accommodate the elderly in wheelchairs. Appliances for everyday use such as the automatic control bed, lavatory, and toilet are also installed and designed to respond to the needs of the elderly with declining physical functions or change in mobility. However, there are few medical welfare appliances used.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vis-a-vis the elderly's physical and social psychological behavior considered the mobility and physical strength of the elderly. This trend is manifested in houses with barrier-free space, various facilities, and special appliances. Likewise, floor heating addresses problems due to decrease of bodily sensation. In the social psychology point of view, the house provides physical and psychological openness. It solves the problem due to separation from the society through the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interior and exterior space, as well as the indirect connection through the wide windows. Similarly, the natural environment such as gardens and culturally familiar environment such as Tadami offer a sense of psychological security to the elderly. Various facilities and appliances also enable them to have an independent life by enabling mobility. Overall, the Welfare Techno-House is characterized by a barrier-free space, feeling of openness, cultural application, etc. It provides the basis as to what kinds of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achieve an ideal 'Aging in Place'. Such aging in places for the elderly should enhance and maintain the residents' physical, mental, and psychological function. Nonetheless, they should not merely be barrier-free space, i.e., houses should not only enable safety and assist elderly with deteriorating functions but also allow the residents to live continuously in the houses where they have lived. Likewise, they should provide the appropriate stimulus in order to discourage feelings of helplessness and promote active and independent lives. In conclusion, the study was able to summarize the data related to Welfare Techno-House. It is expected to serve as the basis for planning and development of future housing for the elderly with long-term care needs. Likewise, it can also be extensively applied to the congregated housing for the elderly and the collective housing that is the prevailing housing style in Korea. Moreover, it is expected to be usfu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ouses where the elderly can continuously live, requiring only partial remodeling to accommodate changing needs due to aging hereaf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