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중 수변공간 조경시설물 이용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감숙성(甘肅省) 지역을 중심으로

        유일예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35

        A total of six sites, three each from waterfront parks in Korea and China, were sele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universality and differentiation in the actual use of and satisfaction with watersid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country and region. Particularly through the detailed analysis on the general status of waterside faciliti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visitors, motivation of visits, and usage patterns of landscape facilities, we could gain some insights for activating the use of waterside space. As for the waterfront park facilities, all the facilities near water are classified as important hydroponics facilities both in Korea and China. In other words, there is a universality in which more facilities are installed in direct proximity to the water or as close to the water as possible compared to other sections of the parks in the two countries. Therefore, there are more visitors to this place than other places regardless of age and gender. Meanwhile, in terms of the safety (e.g railings of the floating bridges), Korean facilities are higher than those of China and are found to show more care for viewers of various age groups. In sum, 'design for all', a concept introduced in Korea with a view to make it easy for anybody to use the facilities conveniently despite problems of disability, age, social background and etc. features a marked differentiation. The landscape facilities which demonstrate the greatest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are the rest facilities such as pavilions. There are clear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appearance and usage of rest facilities. The pavilions of the waterfront parks in China are built mostly in classic Chinese style. The so-called typical Chinese style that combines stone, wood, color paintings, and masonry is remarkably reflected. Korea's rest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display a combination of modern and classic styles. Unlike Chinese pavilions that have chairs only, the facilities built in Korea are well harmonized particularly with the lifestyle of local residents and their facilities are not limited to use for rest only. The program that is commonly provided by the operators of the waterfront parks in Korea and China is a music fountain. In Korea, it is operated at Eunpa Park of Gunsan City and Deokjin Park of Jeonju City whereas it is operated in Jinxing Park only in China. The installation of the music fountain is thought to bring more fun and appreciation to the visitors which, as a result, leads to a side effect that makes the impression to the waterfront parks more favorable.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facilities users. In Korea, the most users by gender are 'women (70.7% replied from 104 people)', by age group 'from 20 to 29 (51.0% from 75), by social position of 'students (41.1% from 60)', by yearly income of less than '3 million Won (60.5% from 89)', and by academic background of 'university graduates (84.4% from 124)'. In China, it is found that the most visitors by gender are 'men (51.8% from 43)', by age group 'from 30 to 39 (39.1% from 34)', by social position of 'salaried men (31.4% from 27)', by yearly income of less than '3 million Won (46.0% from 40)', and by academic background of 'university graduates (64.4% from 56)’. Similarities are found in the yearly income and academic background, while the age group, gender and social position of the main groups of users were different. This seems to have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the parks are located. As for the motives of using waterfront parks, most respondents in Korea (45.6%, 67 people) replied that they visit the parks for leisure activities such as rest and conversation, whereas most replies in China (33.7%, 29 people) said that they use them for gatherings and etc. Especially in case of China, the waterside parks are frequented as a place for social gatherings with families and friends because meals are available at the parks. It is my wish that the present study on the actual utiliza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waterfront parks in Korea and China can contribute to enhancement of awareness and appreciation of each culture in this global era. I have to admit, however, that I failed in this study to identify in detail and systematically the causes for the universality and differentiation existing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visitors to landscape facilities. I would like to leave it as a future research project, though.

      • 한?중국 대학캠퍼스 내 조경시설물 이용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와 무한시를 중심으로-

        라정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35

        The present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actual conditions and usage of as well as satisfaction with outdoor landscape facilities installed near 3 outdoor areas at the campuses of 6 Korean and Chinese universities. The outcomes of the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actual states of landscape facilities by type of construction at the campuses of universities showed that chairs, tables, trash cans, street lights, monuments, direction signs and avenues for the handicapped are generally well maintained except for drinking fountains which do not function satisfactorily. By universit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Jeonju University in Korea and South-central University for Nationalities(中南民族大) in China are found to have fairly good landscape facilities by type of construction, while China's China University of Geosciences(中國地質大) doesn't seem to be fully equipped with landscape facilities although it could not be precisely determined because its central library was under construction during the site inspection. As long as vending machine and pergola are concerned particularly, Chinese universities are not satisfactorily furnished compared to the Korean counterparts, due probably to the differences in size and system of universities as well as to the different cultural customs with one another. Second, as per general characters of the people using outdoor facilities at Korean and Chinese universities' campuses, users are mostly the students of the universities in the range of age from 20 to 29 and they use the areas surrounding the central libraries in the first place and then student centers and museums in order. Third, the biggest number of times persons use landscape facilities at the universities in Jeollabuk-do, Korea amounts to 4 or more a week, whereas that at the universities in Hubei province, China is 3 times a week. Besides, the term from lunch time to afternoon is found to be the most favored hours for using landscape facilities in general. The users choose the facilities primarily for the purpose of recreation, meditation and reading while they actually spend time for the most part relaxing, talking and learning. Chairs, drinking fountains, trash cans, pergola and pavilions are named in order as the facilities needed to be reinforced or supplemented, which may be suggested to take into account with priority when beefing up the landscape facilities in the future. Fourth, landscape facilities are used mainly for recreation, meditation and reading and women use them more frequently than men. Ways of using landscape facilities include mostly forms of relaxing, talking and learning. Men tend to be involved mainly in light activities such as relaxing and talking while women are engaged mostly in learning. Fifth, people at large use landscape facilities longer than students with about 30 minutes to one hour whereas students use them for 2 hours or longer because, it is assumed, the latter have more leisure hours than the former and different style of usage from the former. The purpose of using landscape facilities is in general for taking rest, followed by meditation, reading, short wait, meeting and talking, play and sports in order. Sixth, in terms of overall satisfaction with use of landscape facilities by region, the campuses of universities in Jeollabuk-do, Korea make a good score in the items such as material, design, harmony of buildings with facilities, suitability to reading, relaxation and talking as well as surrounding environment and landscape condition compared to the campuses of universities in Hubei province, China. The reason for such difference may be attributed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s and cultures of both countries and to the special aspects of regions, environments and users. Seventh, with regard to satisfaction with landscape facilities by gender, it was revealed that male users express more satisfaction with size of gardens and quality of tables and chairs than female counterparts. This could imply that women own stronger propensity to keep refined sense for beauty and pleasure in daily living normally in contrast with men. By users, students find more interest in the number of trash cans than the general public, which might be caused from the fact that general people need to use trash cans more frequently in the course of their daily activities performed outside.

      • 특성화고등학교 조경교육 실태 분석 및 개선방향

        민혜경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35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도래로 산업구조가 변화하게 되면서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이 바뀌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하면서 기존 교육체제는 산업화 시대에 적합하지만 21세기 환경에는 맞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조경 직업교육기관 중 기초단계에 해당하는 특성화고등학교는 중요성에 비해 논의와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현 조경 산업계는 청년 인력의 양적 부족과 신입사원의 직무능력 부족으로 인한 질적 저하로 우수한 기술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산업계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을 미래 인재로 인식하고 교육에 대한 깊은 고찰을 통해 경쟁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설립목적인 전문가 양성을 위해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 인력의 역량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조경과 학생들의 취업역량 증진을 위해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조경을 단일 전공으로 운영 중인 4개소의 고등학교를 선정하였다. 특성화고등학교 평가 개념 및 관련 연구 동향을 고찰하여 교육을 진단하기 위한 분석의 틀을 도출하였다. 또한 실무자와 졸업생을 대상으로 산업계 요구 및 교육의 효용성을 도출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해 현직 교사 심층인터뷰를 하였다. 산업계 요구를 분석한 결과로 졸업예정자가 갖추어야 할 지식·기술, 태도적 역량을 도출하였다. 지식은 용어, 수행 과정에 대한 이해 등과 같은 조경 기초 지식과 식물에 대한 지식으로 조사되었다. 기술은 컴퓨터 기술, 시공 실무기술, 관리 실무기술로 조사되었다. 태도는 책임감, 성실함, 인내 등으로 고등학교 졸업생뿐만 아니라 취업준비생에게 요구되는 자세로 조사되었다. 교육목표 분석 결과는 목표 내용으로 인재 양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나 조경의 특성인 가치, 영역, 대상, 과제에 대해 명확하게 제시한 곳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교육과정 분석 결과는 교육활동이 조경 기능사 수준의 내용을 중심으로 이론과 실습교육을 진행하고 있었고 실습 비율이 더 높은 것을 보아 현장성 있는 교육의 중요성을 학교에서 인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현장 실습의 경우 조경 회사 현장 실습 비율이 낮았는데 이는 조경 산업체 부족, 지역별 회사 규모의 차이, 낮은 임금, 긴 노동시간과 높은 업무 강도, 고학력을 선호하는 학생과 부모님의 인식, 조경과 졸업생에 대한 무관심이 원인인 것으로 도출되었다. 교육지원 분석 결과는 학교 내 실습시설들은 기능사 수준의 학습활동을 진행하기에 충분하였다. 그리고 취업지도 조직이 학교별로 갖춰져 있으나 구인·구직에 대한 정보를 산업체와 교환하고 있지 않아 체제 구축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경과 교원 배치에 있어서 조경학과 전공자보다 타 분야 전공자 유입이 증가하게 되면서 오히려 전문성에 대한 교사 역량이 떨어지게 되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교육성과 분석 결과는 매년 조경과 학생들의 진로가 취업보다 진학이 높은 것으로 밝혀지고 취직하는 조경 회사는 주로 시공 회사, 골프장, 묘목 생산업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개선방향으로는 실무 활용도가 높은 학습 내용을 편성하여 학생들의 전문성을 높이도록 제안하였다. 이와 함께 교사의 전문성을 증진하기 위해 교원자격검정 표시과목에서 조경을 분리하거나 조경학과 학부 출신 교사가 조경과에 먼저 배치하도록 하고 산학협력 연수체제를 구성하여 역량을 높이도록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등학교 조경교육, 구인·구직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공유하도록 하여 산업계와 학교 간에 소통 부재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조경교육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교육활동의 전반적인 현황을 진단하고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With introduction of knowledge-based society in the 21st century, industrial structure has changed, along with the talent demanded by society. Furthermore, as importance of education that cultivates brilliant minds is emphasized, it has been argued that conventional education system may be appropriate for industrial age, but does not suit the 21st century.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which is the basic stage in landscape architectural education institutions lacks of discussion and research despite its necessity. Current landscape industry faces difficulty in procuring fine trained workers due to quantitative deficit of young manpower and qualitative deterioration due to lack of work skills in new employees. In such circumstances, the industry must recognize student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s their future talents and raise their competitiveness with deep contemplation on their education. This study has attempted to study what competence as a skilled worker the industry needs for training of professionals which is the institutional purpos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provides plans for improvement in employment of landscape majors by analyzing the education system based on such findings. 4 high schools that have landscape as a single major have been selected for subjects of the study. Concep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evaluation and current trends on related researches have been studied to deduce a template for analysis of education. Furthermore,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study demand of the industry and evaluate effectiveness of education on actual workers and graduates. Then, in-depth interview with current teacher has been conducted to analyz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in the education system. Analysis on demands by the industry has depicted knowledge, technique, and attitudinal capability that a graduate should know. The knowledge is reveled to be: fundamental landscape knowledge like terms and understanding on operation process; knowledge on plants. As for technique, it has turned out to be computer skill, actual construction skill, actual management skill; for behavior, responsibility, sincerity, and patience have turned out to be demanded in job-seekers as well as high school graduates. Though analysis of education goal contains contents on training as its intended content,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does not clearly proposes contents on value, area, subject, and task which are characteristic of landscaping. In analysis of education process, as theoretical and practical education have been conducted mainly with contents in level of landscape technician education with more focus on the practical,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schools recognize importance of real-like education. Also, as for field practice, percentage of field experience in landscaping company is low, which is considered to be due to lack of landscaping companies, regional disparity in company size, low salary, long hours, high work intensity, student's and parent's preference for higher education, and indifference to landscaping and graduates. In analysis of education support, training facilities in school have been sufficient to conduct education in technician level. Also, employment guidance system is prepared in each school, but the schools are not exchanging information on work opportunities with the industry, requiring establishment of system for information exchange. Furthermore, in allocation of landscape teachers, ratio of those with degrees other than landscaping is increasing, which proposes a problem of deteriorated professionalism in teaching. In analysis of education outcome, landscaping students choose to receive higher education rather than finding a job and landscaping companies they are employed are mostly construction companies, golf courses, and seedling companies. As for plans for improvement, it has been proposed to raise professionality of students by programming a learning contents with high practical use. Furthermore, to improve professionalism of teacher, excluding landscaping from subjects in teacher accreditation test or teacher whose major is landscape has priority in allocation to landscaping. Industry-academic in-service training can be used to improve capability. Finally, information on high school landscaping education and job opportunities are to be shared in internet so that lack of conversation between industry and school would be solved다.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diagnosed overall status of landscape education and proposing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with arguments and research on high school landscape education non-existent. Keywords: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Landscape Architectural Education, industrial demand, employment capability

      • 비교과 조경교육으로서 조경디자인캠프의 변화 과정 분석

        안주연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35

        As time changes, competence that must be covered in landscape design has variously changed. However, in our current regular landscape education, it is difficult for universities to reflect such demands spontaneously when revising curriculums by themselves.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camp, the first and oldest extracurricular landscape education in Korea, has advantage in that it has flexible curriculum than formal education and has responded to call of ages for over 20 years since 1994, training 1,166 future landscape architects. However, diachronic analysis and inspection have not been conducted, which it faces a problem that it may lead to habitual program without any contemplation on future improvements. This study attempts to systemize data on landscape design camp that has been held by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for last 23 years and analyze its course of change diachronically, with aim of critical contemplation on achievements of landscape design camp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 Analysis and evaluation have been conducted with categories for analysis on course of change and categories on student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which are established based on 5 criteria; aim of education, subjects of education, environment of education, content of education, and method of education. To summarize major results, it is as following. In aim of education, linkage to actual practice has been priority in intial stages, but recently, the aim has been shifted into a new education for growing creativity. Student and teacher have shown different opinions on one common goal while some goals have shown relatively low satisfaction than their importance in which education must be conducted according to reestablished education goals that take era and position into account. Whereas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related majors and hands-on workers were active in the past, the education is conducted primarily with landscape architecture majors. The students are taking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related majors positively. Most of the students are juniors or seniors and the level of current education is appropriate for juniors and seniors. As for education environment, the events have been held mostly near Seoul and regardless of student's origin, students prefer the camp to be held in vicinity of Seoul. Having the camp near Seoul has shown to have positive influence in increasing time for exchange between tutor and student. Short period is problematic in various aspects and as it demands voluntary participation due to its extracurricular nature, it has been learned that proactive learning environment is established. In the content of education, the contents have changed in each session and since the 20th camp, former sporadic contents have been integrated into place-centered education and it has achieved positive effects in many aspects. Overall satisfaction on education contents are higher in recent camps, but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re is disparity with the work conducted in actual business. Also, it has limitations that it is mainly conducted in design studio and other programs are not as diverse as the earlier camps. As for method of education, when the place of camp is closer to tutor's business area, and when there are two tutors, it has shown more positive influence, while teamwork among the tutors has given a lot of influence. In recent camps, satisfaction on education method has been high, which it is considered to be because it is held in metropolitan area and the education is conducted with two tutors per studio.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reviewed landscape architecture camp from the perspective or extracurricular education related to specialty and has made diachronic review and inspection based on the data accumulated for last 20 years. However, the present study is limited in that some items are not analyzed in all camps due to non-existent records in each camp, and that analysis is not clearly performed on disparity between each camp as all students and tutors who have enlisted in the program has not been included for sample group. 시대가 변하면서 조경교육에서 다루어져야 할 역량도 다양하게 변화해 왔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정규조경교육은 대학에서 자율적으로 교육 과정을 개편하기에 그러한 요구를 시시각각 반영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국내 최초이자 가장 오랜 기간 진행된 비교과 조경교육인 조경디자인캠프는 정규교육에 비해서 교육과정을 탄력적으로 편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1994년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시대에 반응하며 1,166명의 예비조경가를 배출하였다. 하지만 통시적인 분석과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아 향후 발전적 모색 없이 습관적 개최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에 놓여있다. 본 연구는 지난 23년간 조경학회 주최로 진행되어온 조경디자인캠프에 대한 자료들을 체계화하고, 변화 과정을 통시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학습자 입장에서 조경디자인캠프의 성과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육목표, 교육대상, 교육환경, 교육내용, 교육방법 총 다섯 가지 범주를 바탕으로 변화 과정 분석의 항목과 학습자 인식 및 만족도 평가 항목을 설정하여 분석과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도출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목표로 초기에는 실무 연계가 중요하게 다루어졌지만, 최근에는 창의성 함양을 위한 새로운 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나의 목표에 대해 학습자와 교육자가 견해 차이를 보이기도 하였으며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은 목표도 있어 시대와 입장을 고려하여 교육목표를 재정립하고 그에 맞는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과거 관련 학과 학생과 실무자의 참여가 비교적 활발했다면 최근에는 조경학과 학생 위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학습자들은 관련 학과 학생의 참여를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참가한 학생들의 학년은 3, 4학년이 대부분이었으며 현재의 교육 수준도 3, 4학년에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교육환경으로 개최 장소는 대부분 수도권에서 개최되었으며 지방, 수도권 학생에 상관없이 학생들은 대부분 수도권 개최를 선호하고 있었다. 수도권 개최는 튜터와 학생의 교류시간을 늘리는데 긍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짧은 기간은 다양한 면에서 문제가 되고 있었으며, 비교과교육으로 자발적 참여를 전제로 하기에 전체적으로 능동적인 면학 분위기가 조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육내용에 있어서 회차별로 변화를 거듭하여 20회부터는 이전 산발적인 교육내용이 장소 중심으로 일체화되었으며 많은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교육내용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최근 회차에서 높았지만 실제 실무에서 하는 일과 괴리가 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설계스튜디오 중심으로 진행되며 나머지 프로그램들이 초기에 비해 다양하지 않은 한계점이 있었다. 수도권 학생보다 지방 학생들이 실무에 대한 이해도 향상, 문화적 소양 함양, 프로그램 구성, 튜터의 교육 방식에 대해 더 만족하고 있었다. 교육방법은 개최 장소가 튜터의 활동지와 가까울수록, 튜터의 명수는 두 명일 때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튜터들 간의 팀워크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최근 회차에서 교육방법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는데 이는 수도권에서 개최되었으며 스튜디오 당 두 명의 튜터로 진행되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공과 연계된 비교과 교육의 측면으로 조경디자인캠프를 바라보았고, 지난 20년간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점검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회차별 기록의 유무가 달라 전체 회에 걸친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항목이 있으며, 모든 회차별 학습자와 튜터를 표본 집단으로 하지 못해 회차별 차이에 따른 명백한 분석을 하지 못한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 신문을 통해 본 조경의 정책과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김효수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35

        국 문 초 록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더불어 리우선언과 웰빙개념의 등장을 통해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확대되고, 쾌적한 자연환경 및 여가공간에 대한 도시주민들의 욕구 또한 가치관의 변화와 함께 급증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방자치제 이후 민선시장들은 공원녹지정책을 통해 도시내의 공원녹지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도시내의 녹지 확대와 시민참여를 통한 쾌적한 도시환경을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공원녹지정책은 주로 도시계획 수립시 계획가․전문가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른 공원녹지배치가 이루어지고, 행정은 이러한 계획에 따라 도시공원법상의 1인당 공원녹지면적을 충족하는데 급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어 가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요소 중의 하나인 조경에 대해 보다 능동적․적극적인 행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에서 도시민의 조경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 정책이 추진되어야 하며 이에 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민이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현실을 인식하기보다는 매스미디어중의 하나인 신문에 의존하여 현실세계를 보는 경우가 많고 특히, 정책이 도시민의 인식에 기초하여 수립되기도 하지만 정책이 신문에 홍보됨으로 해서 도시민의 인식제고와 참여를 촉구하기도 하여 일반 시민여론 내지 인식이 신문기사를 통해 집약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문기사의 분석을 통해서 지방자치를 전후한 조경의 정책과 도시민들의 인식변화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지방자치제도를 수립한 1995년 전후 5년과 민선시장에 의해 공원녹지정책이 활발하였던 기간을 포함한 총 16년 동안의 기간(1990~2005)이며, 내용적 범위는 신문기사 중 조경관련 특집․연재․사설기사를 대상으로 정책과 시민인식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삼았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얻고 각 대학 및 특수대학원의 교과과정의 키워드를 선정하여 신문검색을 통해 전체 경향분석과 키워드별 빈도 및 내용분석을 통해 시정단계별 조경의 정책과 인식변화의 해석 및 전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적으로 제시하면 먼저, 1단계(민선이전)에는 녹지파괴에 따른 녹지 및 공원의 보호 및 확충을 의식하여 녹지, 공원의 키워드가 주를 이루고 여기에 자연경관, 원형경관, 하천경관, 도시경관을 의미하는 경관이 남산경관회복사업의 일환인 외인아파트 철거에 의해서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1단계에서는 국가 정책적으로 도시공원, 녹지 및 도시경관개선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고 도시공원 및 녹지가 중요도시정책이슈로 등장하였다. 2단계(민선1기)에서는 지방자치제도를 통한 민선시장의 「공원녹지 확충 5개년계획」을 통해 공원 및 녹지조성과 많은 이전적지들의 공원화 사업으로 공원 및 녹지의 키워드가 증가하였고, 도시의 오염된 하천의 생태적 복원사업으로 생태키워드가 증가하였다. 또한 조망상태에 따른 아파트 가격 차이와 조망권 침해소송 등 경관이 조망권이라는 개념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즉, 민선시대 초반에는 공원녹지 및 경관에 대한 시민인식 증진이 이루어졌고, 시민참여 증대와 생태공원개념이 등장하였으며, 시민운동에 의해 담장허물기, 걷고싶은거리, 마을마당 등 기존 공원녹지 개념이 확장되었다. 3단계(민선2기)에서는 공원, 생태, 녹지, 경관, 여가의 키워드가 주를 이루었고 2단계에 착공된 이전적지 공원들이 개장하면서 언론의 조명을 받았다. 특히, 「생명의 나무 1000만 그루심기」정책 사업을 통해 생활주변녹화, 희망의 숲 조성사업, 숲속여행 프로그램 등 시민 참여형 녹화운동이 증가하여 시민참여활동이 본격화 되었다. 마지막 4단계(민선3기)에서는 공원, 복원, 여가, 생태, 녹지, 경관의 키워드가 나타났고, 공원은 생태공원, 옥상공원, 농업공원, 학교공원화 등의 내용이 나타났다. 특히, 청계천복원을 통해 복원의 키워드가 급증하였고 주5일 근무제의 실시로 인한 여가시간 및 활동량이 증가하여 각종 테마파크, 관광사업 등 여가의 키워드가 증가했다. 이 단계에서는 「생활권녹지 100만평 늘리기정책」사업을 통해 시민들의 참여와 협력으로 본격적인 시민사회가 도래하였다. 한편, 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시민들의 응원문화 욕구가 증가하여 서울광장이 조성되었으며, 2003년에는 시민단체와 시민사회가 파트너쉽 형태로 참여하여 서울 그린트러스트가 창립되었다. 특히 웰빙개념의 유행과 주 5일 근무제 실시를 통해 여가공간의 요구도가 증가하였고 푸른도시국이 신설되었으며, 조망경관의 가치인식이 급속히 확산되었고 환경인식이 질적으로 심화 되고 다변화 되었다. 이처럼 1~4단계에서 정책 및 인식변화는 생태적인 접근, 공급효율적인 접근, 도시경관적인 접근, 시민 참여적인 접근등 다차원적인 접근의 수요가 나타나게 되었으며 특히, 조경관련 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 시민의 참여와 협력은 가장 중요한 원동력이 되고 있어 향후 이에 대한 객관성 있고 타당성 있는 조사를 통해서 시민수요의 파악이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분석대상 신문으로 발행부수와 데이터베이스 구축환경이 가장 양호한 조선일보를 선택하였지만, 이 신문이 한국 신문 전체를 대표한다고 보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어 더욱 완성도 있는 연구가 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신문의 분석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신문을 통해서 조경의 정책 및 인식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조경을 대표하는 키워드를 전국의 각 대학 및 특수대학원의 교과과정에서 선정하였다. 하지만, 대학과 특수대학원이 일반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조경의 경향을 그대로 반영한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업계 및 사회에서 사용되는 키워드를 종합하여 선정하는 객관적인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변화되는 사회적 상황과 외적 요구에 의해서 조경이 양적․질적 성장과 변화를 이루어져 왔으며, 이에 따라 도시민의 인식과 지자체의 정책이 어떤 변화를 겪어 왔는가를 여론매체인 신문기사를 통해 해석하고 전망하였는데 이러한 연구결과는 새로운 시민참여시대 오픈 스페이스의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하겠다. 주요어 : 신문, 공원녹지정책, 인식변화, 조경

      • 부여 정림사지 정비를 통해 본 문화재 조경의 특성

        김미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19

        The project to refurbish the Jeongnimsa temple site started based on the objective of restoring the original structure of the temple, however, it was gradually transferred to implement as a landscaping maintenance project over time that constructs a landscape of the temple area. With paying attention to these facts, this study was progressed with the objective to organize the ro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ing by investigating the cultural heritage maintenance project of Jeongnimsa temple site. Through studying the literature, this study recorded the changing process of the cultural heritage landscape of Jeongnimsa temple site in each period over the past 100 years and analyzed the maintenance aspects of the elements consisting of the cultural heritage landscape of Jeongnimsa temple site along with the field survey. This study was started with defining the role of landscaping that is to create, maintain, and manage the figurative cultural heritage landscapes represented by the historical sites as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landscaping'. Afterward, this study collected the literature data related to the cultural heritage maintenance project of Jeongnimsa temple site such as the historical survey reports and designated documents of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 official documents held by the National Archives, the scientific investigations and academic research reports, maintenance plans, press releases, photographs, and tourist information from 1909 to 2020. Then, the changing state of the cultural heritage landscapes in Jeongnimsa temple site was identifi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from the perspective of landscaping. To this end, the elements composing the cultural heritage landscape were classified into the target and scope of designation as a cultural heritage, land use, topography, moving lines, facilities, vegetation, and refurbishing method for historical structures by referring to the plans of 「Guidelines for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a Comprehensive Historical Sites Maintenance Plan」. As a final process, this study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landscaping by analyzing the maintenance aspects of landscape elements and by applying the fundamental principles such as ‘preservation of original state’, ‘maintaining of authenticity’, and ‘harmony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with focusing on the repetitive tendency.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ultural heritage landscaping identified through the example of refurbishing Jeongnimsa temple site was a project that included division of territory, plan for moving lines, protection and maintenance methods for excavated historic structures, introduction of facilities and structures, and planting management in order to construct a safe preservation environment for cultural heritage targeting the protected area within the cultural heritage zone as well as the adjacent outer spaces. Second, it was divided into 5 periods based on the time when the changes in the management organization and major policies for the cultural heritag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Buyeo-gun were occurred to understand the changing states in the cultural heritage landscape of Jeongnimsa temple site. These are; ‘the investigation and protection period for historical spots (1909-1945)’ when the temple was named due to the first excavation survey and a selective designation of cultural heritage by Japanese imperialism, ‘the construction period of Baekje Tower Park (1946-1967)’, which was constructed as a park imitating the urban plan establishe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fter the liberation, ‘the implementation period of the Baekje Cultural Area Development Project (1968-1989)’, which was designated as a cultural heritage site by the central government along with excavation surveys and maintenance of historic structures, ‘the stagnated period due to a limitation in recovery of original form (1990-1998)’, which was constructed as the plant-oriented park due to the difficulties of historical verification although planned to operate after restoring the entire area of the temple, ‘the creation period of foundation for cultural enjoyment (1999-2020)’, which was designated as a World Heritage Site while restoring as a Buddhist temple of the foundation ear of Baekje Dynasty as well as constructing the museum. Third, this study explored the maintenance aspects of the elements composing the cultural heritage landscape of Jeongnimsa temple site. First of all, the target and scope of designation were expanded from ‘point’ to ‘plane’, and the cultural heritage reservation area was additionally designated by reflecting the potential to be expanded as archaeological remains. In terms of land use, the area of Jeongnimsa temple site, which was farmland, has been used as a park, school, and factory site through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in the 1940s and was changed to a historical site and a neighborhood park in the 1980s. The space of Jeongnimsa temple site was divided into the conservation section of the central area and the utilization section of the entire museum area, and the utilization section was changed from the maintenance for improving the viewing environment to the maintenance for expanding the enjoyment of cultural heritage as a supplementary role of accommodating the limited functions in the conservation section. Regarding topography, the elevation difference within the temple area occurred more than 5m due to the continued deformation and damage of the terrain after the fall of Baekje Dynasty.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terrain were identified, no maintenance was attempted to restore it. It was verified that moving lines have a tendency of changing from frontal entry to side entry as an increase of the number of facilities due to an expansion of the cultural heritage zone. In order to restore the original moving lines of Jeongnimsa temple site, a maintenance was implemented as a direction toward improving the entry system. The maintenance methods of historical structures were changed from the maintenance of maintaining the original forms to that of utilizing them as a landscape resource in the case of the stone cultural heritages together with scientific preservation and protection. In the case of the historical structures identified in 3 excavation surveys, the maintenance method was changed to enhance visibility by reproducing from the flat surface mark of the soil covering to the stylobate part. In the process of maintenance, it was confirmed that maintenance of the flat surface mark was easy to change, but the maintenance in architectural reproducing and restoring can be hardly changed. Facilities were improved to the design system that puts the cultural heritage in priority and changed from the protection and information facilities to the viewing and convenience facilities with expans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rastructure for cultural enjoyment has been introduced as a maintenance aspect since the 2000s. In vegetation, the changing aspects were identified from the planting with shielding and boundary purposes to the major elements form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of cultural heritages through a planting plan suitable for space. By examining the elements composing the cultural heritage landscape of Jeongnimsa temple site, it was also found a change from the method of showing the representative landscape through a maintenance of each historical structure to the method of enabling the experience in cultural heritage landscape through creating an atmosphere of the entire space. Even though the roles of landscaping were identified from the time when constructed as a park after the 1940s, the cultural heritage landscaping became led to the maintenance of Jeongnimsa temple site as its maintenance direction has shifted to a creation of a cultural heritage landscape from a restoration of original structures after Jeongnimsa temple site was designated as a historical site in the 1980s.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landscaping for Jeongnimsa temple site are summarized in terms of the hierarchical nature and uniqueness that ar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preservation in historic sites, the scalability and reversibility associated with the principle of maintaining authenticity, and the utility and aesthetics that ar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preservation, utilization, and harmony. The hierarchical nature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space of Jeongnimsa temple site was divided into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reas to prevent the deformation and damage of cultural heritages, and the status of a cultural heritage was enhanced through the design of facilities. The uniqueness is associated with not only the restoration of a frontal entry scheme, which is the original moving lines of ancient temples, by constructing an entry space but also the fact of constructing the landscape of Baekje temples through planting. The scalability corresponds to tasks that expanded the area to be refurbished considering the likelihood of excavating the burial cultural heritage and that minimized the damages to buried historic structures by the maintenance limited to the ground. The reversibility plays the role of maintaining not only the cultural heritage landscape through landscaping for the reserved spaces of which original form cannot be identified but also the authenticity of the cultural heritage landscaping for Jeongnimsa temple site through a maintenance technique for historical structures that accommodates the values of the cultural heritage that were newly investigated. The utility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way of enjoying the cultural heritage was enhanced by offering the open spaces within an urban center to visitors and diversifying the programs such as night-time use. Finally, the aesthetics can be explained that Jeongnimsa temple site not only contributes to the urban ecological environment as the base of a green belt of Buyeo but also plays a role in enhancing the quality of cultural heritages through the design of structures and facilities that consist of the landscape. As examined thus far, it is expected that the outcomes of this study, which explored the maintenance project of Jeongnimsa temple site,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projects to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and tha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landscaping for Jeongnimsa temple site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status of landscaping in the cultural heritage maintenance. 정림사지 정비사업은 사찰을 구성하는 건물의 원형복원을 목표로 시작되었으나 점차 시간이 흐르면서 사역(寺域)의 경관을 조성하는 조경 정비로 이행되었다. 이러한 사실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정림사지 문화재 정비사업을 고찰함으로써 조경의 역할과 특성을 정리하려는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서 지난 100여 년간 정림사지 문화재 경관의 변화 과정을 시기별로 기록하고, 현장조사와 함께 정림사지의 문화재 경관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정비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사적을 대표로 하는 면적인 형태의 문화재 경관을 조성·유지·관리하기 위한 조경의 역할을 ‘문화재 조경’이라는 개념으로 정의하며 시작하고, 다음으로 1909년부터 2020년까지 정림사지 문화재 정비사업과 관련된 조선총독부박물관 소장 고적조사 및 지정 문서, 국가기록원 소장 공문서, 학술조사 및 연구보고서, 정비계획서, 보도자료, 사진자료, 관광안내자료와 같은 문헌 자료를 수집하여 조경의 관점에서 정림사지 문화재 경관의 변화상을 확인하였다. 이 작업을 위하여 문화재 경관을 구성하는 요소를 「사적 종합정비계획의 수립 및 시행에 관한 지침」의 계획 항목을 참고하여 지정 대상 및 범위, 토지이용, 지형, 동선체계, 유구정비수법, 시설물, 식생으로 구분하였다. 마지막 과정으로 경관 구성 요소의 정비 양상을 분석하여 반복되는 경향을 중심으로 ‘원형보존’, ‘진정성 유지’, ‘보존 및 활용의 조화’라는 사적 정비의 기본원칙을 적용하여 문화재 조경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림사지 정비 사례를 통해서 파악한 문화재 조경은 문화재구역 내 보호구역과 인접한 외부공간을 대상으로 문화재의 온전한 보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영역 구분 및 동선계획, 발굴유구의 보호 및 정비수법, 시설물과 구조물 도입, 식재 관리를 포함하는 작업이다. 둘째, 정림사지 문화재 경관의 변화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국가와 부여군의 문화재 관리조직 및 주요 정책의 변화가 이루어진 시점을 기준으로 5개 시기로 구분하였다. 일제의 선택적 문화재 지정과 최초의 발굴조사로 사찰명이 밝혀졌던 ‘고적조사 및 보호기(1909-1945)’, 광복 이후 일제강점기에 수립했던 도시계획을 답습하여 공원으로 조성했던 ‘백제탑공원 조성기(1946-1967)’, 발굴조사와 유구의 정비와 함께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되었던 ‘백제문화권개발사업 시행기(1968-1989)’, 사찰 전체 영역의 재현복원과 운영을 계획하였으나 고증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수목 식재를 중심으로 공원을 조성한 ‘원형복원 한계의 침체기(1990-1998)’, 박물관 건립과 백제 창건시기 가람으로 회복하면서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문화향유의 기반조성기(1999-2020)’이다. 셋째, 정림사지 문화재 경관 구성 요소의 정비 양상을 고찰하였다. 먼저 지정대상 및 범위는 ‘점’에서 ‘면’으로 확대되었으며 고고유적으로서 잠재된 확장가능성을 반영하여 문화재 보호구역이 추가 지정되었다. 토지이용은 경작지였던 정림사지 일원이 1940년대 토지구획을 통해 공원·학교·공장부지로 이용되다가 1980년대에 사적과 근린공원으로 변화되었다. 정림사지 공간을 중심사역의 보존영역과 박물관 일원의 활용영역으로 구분하고, 활용영역은 보존영역에서 제한되는 기능을 수용하는 보완의 역할로 관람환경 개선을 위한 정비에서 문화유산 향유의 확대를 위한 정비로 변화되었다. 지형은 백제 시대 폐사 이후 지형의 변형과 훼손이 계속된 결과, 사역 내 표고차가 5m 이상 발생하였다. 발굴조사를 통해 원지형의 특성을 밝혀냈지만 이에 대한 정비는 시도되지 못했다. 동선체계는 문화재구역이 확대됨에 따라 도입되는 시설물이 증가할수록 정면 진입에서 측면 진입으로 변화되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정림사지 원형동선의 회복을 위하여 진입체계를 개선하는 방향의 정비가 이루어졌다. 유구정비수법은 석조문화재의 경우 원형유지를 위한 보수에서 보존과학적 보호와 함께 경관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정비로 변화되었다. 세 차례의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발굴유구는 복토 후 평면표시에서 기단부까지 입체재현의 정비수법을 통해 가시성을 높이는 정비로 변화되었다. 정비 과정에서 평면표시의 정비는 변경이 용이하지만 건축적 재현복원의 정비는 변경이 어렵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시설물은 문화재를 우선하는 디자인 체계로 개선되었으며 보호 및 안내시설에서 관람 및 편의시설의 확충으로 변화되고, 2000년대 이후 문화향유를 위한 기반시설이 도입되는 정비 양상이 확인되었다. 식생은 차폐와 경계 목적의 식재에서 공간에 적합한 식재계획을 통하여 문화재의 역사문화경관을 형성하는 주요 요소로 변화되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정림사지 문화재 경관 구성 요소를 고찰함으로써 개별 유구의 정비로 대표 경관을 보여주는 방식에서 전체 공간의 분위기 조성을 통해 문화재 경관을 경험하도록 전환되었음을 확인하였다. 1940년대 이후 공원으로 조성된 시기부터 조경의 역할이 확인되지만 1980년대 사적으로 지정된 이후 정림사지의 정비 방향이 건축의 원형복원에서 문화재 경관 조성으로 전환되어 문화재 조경이 정림사지 정비를 주도하게 된 것이다. 넷째, 정림사지 문화재 조경의 특성을 사적의 원형보존 원칙에 부합하는 위계성과 고유성, 진정성 유지 원칙과 연계된 확장성과 가역성, 보존·활용 조화 원칙에 따른 효용성과 심미성으로 정리하였다. 위계성은 정림사지의 공간을 보존과 활용영역으로 구분하여 문화재의 변형과 훼손을 방지하고 시설물 디자인으로 문화재의 위상을 제고한 사실로 설명할 수 있다. 고유성은 진입공간을 조성하여 고대사찰의 원형동선인 정면 진입을 회복한 것과 식재를 통해서 백제사찰의 경관을 조성한 사실과 관련된다. 확장성은 매장문화재의 발굴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비 영역을 확대하고, 지상부에 한정된 정비로 매장된 유구의 훼손을 최소화한 작업에 해당한다. 가역성은 원형을 확인할 수 없는 유보적 공간에 대한 조경 처리로 문화재 경관을 유지하고, 새롭게 규명된 문화재의 가치를 수용할 수 있는 유구 정비 기법을 통해서 정림사지 문화재 경관의 진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효용성은 도심 내 오픈스페이스를 방문자에게 제공하고 야간이용 등 프로그램을 다양화하여 문화재 향유 방식을 증대시킨 점으로 설명할 수 있다. 마지막 심미성은 정림사지가 부여 녹지축의 거점으로서 도시생태환경에 기여하고 경관을 구성하는 구조물, 시설물의 디자인을 통해서 문화재 품격을 높이는 역할로 설명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정림사지 정비 사업을 고찰한 본 연구의 성과는 향후 진행될 사업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고, 정림사지 문화재 조경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문화재 정비에서 조경의 위상을 세우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브랜드 아파트 조경 공간의 차별화 양상

        신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19

        2017년 8월 통계청에서 발표한 인구주택 총 조사 자료에 따르면 아파트는 주거 형태 중 전체의 60.1%를 차지하고 있다. 1962년 대한주택공사가 발족되고 최초의 단지 개념인 마포아파트가 건설된 이후, 한국의 아파트는 약 55년이 지난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1999년 이후, 민간 건설사들이 브랜드를 대대적으로 홍보하면서 건설사 간 경쟁이 본격화되었는데, 이를 브랜드 아파트 시대라 할 수 있다. 브랜드 아파트의 차별화 전략의 일환으로 옥외 공간의 조경 분야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그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으며 브랜드별 차별화 전략이 조경 공간에 잘 구현되고 있는가라는 몇 가지 의문을 가지고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브랜드 아파트에서 고객 만족도 및 브랜드 경쟁력이 높은 5개의 브랜드(래미안, 자이, 푸르지오, e편한세상, 힐스테이트)를 선정하여 진행되었다. 시간적 범위는 건설사들이 브랜드를 론칭(Launching)하기 시작한 1999년 이후로 설정하고 공간적 범위는 수도권에 위치한 대상지로 한정하였다. 브랜드별 차별화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8개의 개념어를 선정하였는데, 선행 연구의 분류 사례와 심사평 및 신문기사 검색을 통해 도출하였다. 키워드를 분류하고 각 키워드들을 대표할 수 있는 개념어를 선정하였으며 개념어는 공공, 편의, 자연, 상징, 웰빙, 가든, 친환경, 테마의 8가지로 구성되었다. 개념어는 전문가 설문 분석을 통해 관련 키워드들과의 적합도 검증 과정을 거쳐 분석의 기준으로 정하였으며 모든 분석 과정이 개념어를 기준으로 진행되었다. 대상지 평가를 위한 평가모형은 델파이 및 AHP(계층 분석적 의사결정방법) 분석 기법을 통해 개발되었다. 8개의 각 개념어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항목을 도출하는 과정은 전문가 설문 분석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총 40개의 평가항목을 선정하고 정량적 평가가 가능하도록 평가지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브랜드 가치 기준 분석, 대상지 평가 및 분석 그리고 개념어별 차별화 양상 분석의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브랜드 가치 기준 분석은 건설사 홈페이지를 통해 브랜드의 핵심가치를 고찰하고 살기 좋은 아파트상 심사평과 조경 관련 신문기사 검색 등을 통해 사회적 인식을 파악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대상지 평가 및 분석은 브랜드별 4개씩 총 20개의 수도권 대상지를 선정하여 대상지 평가모형에 의해 평가하였으며, 평가 결과를 개념어별 평가지수로 나타내었다. 개념어별 차별화 양상 분석은 평가항목에 나타난 브랜드별 차별화 양상을 평가 결과 및 사례 사진 등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고찰하고 아파트 조경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세 가지 기준에서 나타난 브랜드 아파트 조경 공간의 차별화 양상은 핵심가치, 사회적 인식, 대상지 평가 및 분석에서 모두 다른 결과를 보였다. 각 브랜드의 핵심가치는 브랜드별로 다르게 나타났지만, 사회적 인식은 대부분의 브랜드에서 가든, 친환경, 웰빙, 상징 등의 개념어로 분류되었다. 대상지 평가 및 분석은 모든 브랜드가 편의, 자연, 상징의 개념어로 나타났는데 이는 브랜드의 핵심가치와 사회적 인식이 실제 조경 공간에 잘 구현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아파트 브랜드는 고유의 핵심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차별화 전략을 인터넷, 광고 매체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었다. 아파트라는 상품을 구성하는 건축, 전기 등의 타 분야와 함께 조경 공간은 차별화의 중요한 요소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브랜드의 핵심가치 및 사회적 인식과 대상지 평가의 결과가 일치하지 않음으로써 조경 공간에서 차별화 전략이 잘 구현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조경 공간이 편의시설 제공, 기본적인 녹지 확보 등의 역할에 그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조경 공간의 차별화 양상에서 몇 가지 사례를 통해 브랜드별 차이보다 아파트 조경의 시대적 흐름이나 유행의 차이가 더 크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아파트 조경의 시대적 흐름에 대한 연구에서 탈피하여 브랜드와 차별화라는 두 가지 주제를 다뤘다는 점, 브랜드 아파트 조경 공간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모형을 개발하였다는 점, 아파트 조경 공간의 차별화 요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다만, 대상지의 시기 및 지역적 기준은 동일하게 갖추었으나 브랜드별로 다르게 책정되는 공사비에 대한 부분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은 본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자동차, 가전, 스마트폰, 서비스 등의 모든 산업의 발전이 1등 브랜드를 쫓아가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지만, 결국 그 이후에 많은 기업들이 자신들만의 성능과 디자인 등을 앞세운 차별화 전략을 바탕으로 노력했을 때 그 산업은 한 단계 더 도약한다. 아파트 조경 공간의 차별화 전략에서 다양성을 확보하고 기술적인 발전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힘은 바로 각 건설사들이 가지고 있는 브랜드 차별화를 실제 구현하는 데서 시작되며 학계의 지속적인 관심과 후속 연구가 이 시기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a Census in Population and Housing conduct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NSO) at August in 2017, apartment housing represented 61% of all kinds of housing types. In south Korea, apartment buildings have been substantially changed and developed for about 50 years since the Mapo apartment complex ,which meant the first apartment complex in Korea, was built in 1962. After 1999, private construction companies have extensively promoted theirs own brands and started the competition in earnest among the companies. we can call this period the brand apartment era.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which deals with external spaces of apartment buildings, has been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as part of differentiation strategy of brand apartments. This study was started with casting several doubts on playing the role for the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and embodying brand differentiation strategy in the landscape fields. In this study, top five brands, which was high-ranked in Customer Satisfaction Index (CSI) and brand competitiveness part, are selected. These are as follows: Raemian, Xi, Prugio, e-Pyeonhansesang, Hillstate. The temporal range of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was limited to the time after 1999, which construction companies started to launch their own brands. The spatial range was limited to the target plac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o review differentiation aspects in each brand, concept words were extracted based on keywords found in the case of classification of advanced researches and reviews, and by the searching newspapers articles. The concept words were selected by dividing with keywords and representing each keyword. There were 8 different concept words including Public, Convenience, Nature, Symbol, Well-being, Garden, Environmentally-friendliness, and Theme. The goodness of fit was verified by expert survey, and process of every analysis is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concept words. To examine the target places, model for evaluation was developed by Delphi method and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model. The process to deduct evaluation criteria for examining the eight concept words was performed by reviewing expert survey. Total 40 evaluation criteria was selected and evaluation index was set up for quantitative analysis. This study was performed three steps as follows: analysis of brand value criteria, review and analysis for the designated places, and analysis of differentiation aspects by concept words. In the frist step as the analysis of brand value criteria, web-sites of construction companies were searched for examining core value points for each brand and social recognition was compared and examined through reviews of the Awards a nice apartment to live and the relating landscape newspapers articles. In the second step as the review and analysis for the target places, It was performed that the target places including total 20 metropolitan places, which was selected four places by each brand, were reviewed by the model for evaluation of the target places and the result of evaluation was analyzed by evaluation index for each concept word. In the third step as the analysis of differentiation aspects for the concept words, differentiation aspects by each brand found in the evaluation criteria was specifically examined by the reviews and specific example pictures and was extracted various issues for apartment landscape fields. All differentiated aspects of brand apartment external spaces found in the three standards - review and analysis of core value, social recognition, and target places - were found different results. Core value were differently represented in each brand, however, social recognition was divided with concept words like garden, environmentally-friendliness, well-being, and symbol in almost all of brands. In the review and analysis of the target places, convenience, nature, and symbol were represented as concept words in every brand. It meant that core value and social recognition of brand did not reflect in actual landscape spaces. Each apartment brand has had its own unique core value and has actively promoted its differentiation strategy using the internet and advertising media, and etc. The apartment landscape spaces with other elements like architecture, electricity, and so on, which is composing of apartment as a commodity, has played the role as the major element of differentiation. It was, however, found that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was not well reflected in the landscape spaces because it was not matched the core value and social recognition of a brand with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target places in each brand. It meant that the role of landscape spaces was limited to providing convenient facilities and basic green spaces.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s in the stream of times and trends are greater than the differences by brands through reviewing several examples shown in the differentiation aspects of landscape spa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dealing with two subjects like brand and differentiation out of studying the apartment external spaces in the stream of times, developing the model for evaluation, which can evaluate landscape spaces in brand apartments, and providing the data about differentiation elements of apartment landscape spaces. It was, however, limited because it did not reflect the different cost of public housing for construction even though a period of time and a regional standard in the target places were coincided. The development of every industry like cars, home electric appliances, smart phones, and services is started to chase the number one brand in each industry. After that, however, when companies have tried by its own differentiation strategy with theirs own performance and design, the industry relating the companies has been took a leap forward. The power, which can lead diversity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in differentiation strategy of apartment landscape spaces, will be started to adopt brand differentiation to the actual apartment external spaces in each architectural company and continued interest and follow-up studies in academic community will help hasten the time.

      • 근린생활시설 대지의 조경실태와 녹지기능 증진방안 : 춘천시를 대상으로

        이두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19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mpliance status of legal standard on landscaping as well as the associated problems and seek the measures for the legislative enhancement of the building site and the promotion of greenspace functions based on the actual survey on the landscaping conditions for neighborhood facilities lots in Chuncheon. To this end, a total of 62 target sites were selected among newly established neighborhood facilities in Chuncheon by a random sampling, and various factors such as landscaping area, trees planted and potential planting space within the lots of study targets were investigated through actual survey on each study spot.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landscaping conditions and identified the compliance status of legal standard on landscaping, as well as measured and analyzed environmental-ecological functions by planting trees such as carbon uptake and storage, air purific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performed above, this study sought the measures for improving the legislative aspects of landscaping in the lots of neighborhood facilities and for promoting the greenspace functions by each planting space of dot-based, linear-based and, face-based perspectives. In analysis results of landscaping conditions for study target lots, only 6.5% of the entire study target lots complied with the legislative standard. This is attributed that the plan in compliance with the legislative standard was not reflected in the construction stage, or that the usage was changed after an approval for use. The samples that did not comply with the standard for landscaping area accounted for 48.4% of entire area, and even 22.6% of the entire area did not have any landscaping area at all. Meanwhile, the planting space width of 1∼2m was the most in case of the planting space around the building and the boundary sector of site, and that of 3m was the most in the planting space between buildings. In case of the planting space less than 1m, there existed trees with poorly grown. Among the samples that secured landscaping area, 56% in trees and 69% in shrubs were not complied with the quantity standard for planting trees. Moreover, the number of trees planted was merely half of the standard, and there were many samples with no trees. The trees planted were in order of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Pinus densiflora, Zelkova serrata, Taxus cuspidata, Thuja orientalis depending on the importance values of the study target. On the one hand, the average size of trees planted after completion of construction were 1.3±0.1m in width, 5.1±0.6cm in diameter of breast height(DBH) and 2.3±0.1m in height. The characterized tree species of Chuncheon is a ginkgo tree, and only 4.8% of the total samples in study targets were in compliance with the quantity standard. The average carbon uptake amount per unit area by planting trees was 0.2±0.0t/ha/yr, and the average carbon storage amount was 1.7±0.4t/ha. The average uptake amount of air pollutants was 0.4±0.2kg/ha/yr in SO2, 1.0±0.5kg/ha/yr in NO2, 2.8±1.4kg/ha/yr in O3, 0.4±0.1kg/ha/yr in PM2.5, and O2 production was 0.6±0.2t/ha/yr. Through the outcomes of the study thus far, the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prepared included as follows; doubling up the mandatory landscaping area, revising the criteria for width and area in planting trees to 3m and 10m2, establishing the monitoring system, and implementing the incentive system. Moreover, the measures to improvement the greenspace functions include followings; applying the planting techniques in multi-layered structures, utilizing the planting techniques for saving of building energy, securing the maximum clearance distance between buildings and trees, constructing the lower rising height in planting space, planting the tree species having high-carbon absorption efficacy, artificial ground planting, minimizing the unnecessary impervious area, and providing education programs for participation of building owners and residents. Meanwhile, in case of applying the improvement measures in a planting space around the building, a boundary sector of site, and a face-based planting space of the lots model in the neighborhood facilities, it was revealed that 30 years later after planting, the annual carbon uptake amount would be raised by 6.5 to 7.7 times, not only that, showing 6.7 to 8.9 times in SO2, 7.4 times in NO2, 12.0 to 16.1 times in O3, 1.3∼1.7 times in PM2.5 compared to those of the present. When the improvement measures were applied in a dot-based planting space, the annual carbon uptake amount in 30 years after planting would increase to 2.7 times, and showing 8.9 times in SO2, 8.8 times in NO2, 8.8 times in O3, 1.8 times in PM2.5. In addition, tree planting of potential planting space in the lots of study targets can improve the planting area by around twice of the existing area and the quantity of planting trees by around 1.5 times. This study has established the base for landscaping conditions and the compliance of legislative standard in building sites, and it is anticipated that the outcomes of this study, which are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each type of planting space in building lots, can be used as the data to refer by the building owners and resident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did not consider a passive tendency in securing greenspace area of the neighborhood facilities, which are the study targets and the place of concentrated commercial activities. Subsequent study covering the maintenance of landscaping area as well as the measures for growth and management in trees planted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춘천시의 근린생활시설 대지를 대상으로 조경실태를 실사하여, 법제적 조경기준의 준수 여부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건축물 대지의 법제적 개선 및 녹지기능 증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춘천시의 신축 근린생활시설을 대상으로 임의표본추출 하여 총 62개소의 대상지를 선정하고 연구대상 대지 내 조경면적, 식재 수목, 잠재식재공간 등을 현장 실사하였다. 조경실태 분석 및 법제적 조경기준 준수 여부를 파악하고 식재 수목에 의한 탄소흡수 및 저장, 대기정화 등의 환경생태적 기능을 계량 분석하였다. 상기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근린생활시설 대지의 조경 법제적 개선과 선적, 면적, 점적 식재공간 유형별 녹지기능 증진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대상 대지의 조경실태 분석 결과 법제적 기준을 모두 준수한 연구대상 대지는 전체의 6.5%에 불과하였다. 이는 법제적 기준을 준수한 계획안이 시공단계에서 미반영되거나, 사용승인 후 용도를 변경한 것으로 판단된다. 조경면적 기준을 미준수한 표본은 전체의 48.4%이었으며, 전체의 22.6%는 조경면적이 부재하였다. 한편, 식재공간의 폭은 건물식재대 및 대지경계부의 경우 1∼2m가 가장 많았으며, 중정은 3m 이상이 더 많았다. 식재 폭 1m 미만은 생장 불량의 수목이 존재하였다. 식재 수목 수량 기준은 조경면적을 확보한 표본 중 교목 56%, 관목 69%가 미준수하였다. 아울러, 식재 수목 수량은 기준의 절반에 불과하였으며 수목이 부재한 표본이 다수 존재하였다. 식재 수목은 연구대상 상대우점치에 따라 철쭉류, 소나무, 느티나무, 주목, 측백나무 등의 순이었다. 한편, 준공 후 식재한 교목의 평균 규격은 수관폭 1.3±0.1m, 흉고직경 5.1±0.6cm, 수고 2.3±0.1m이었다. 교목 식재규격 기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춘천시 특성수종은 은행나무로서 수량 기준을 준수한 연구대상 표본은 전체의 4.8%에 불과하였다. 한편, 연구대상 대지의 식재 수목에 의한 단위면적당 탄소흡수량은 평균 0.2±0.0t/ha/yr이고, 탄소저쟝량은 평균 1.7±0.4t/ha이었다. 평균 대기오염물질 흡수량은 SO2 0.4±0.2kg/ha/yr, NO2 1.0±0.5kg/ha/yr, O3 2.8±1.4kg/ha/yr, PM2.5 0.4±0.1kg/ha/yr이고, O2 생산은 0.6±0.2t/ha/yr이었다. 상기한 연구결과를 통해 마련한 법제적 개선방안은 최소 의무조경면적 기준 2배 증강, 식재 폭 및 면적 기준 각각 3m, 10m2 개정, 모니터링 제도 마련, 건축물 전력세금 완화 인센티브제 도입 등이다. 더불어, 녹지기능 증진방안은 다층구조 식재기법 적용, 건축물에너지절약형 식재기법 활용, 건축물과 수목 간 최대 이격거리 확보, 식재공간의 점고 낮게 조성, 탄소흡수능이 높은 수종 식재, 인공지반 녹화, 불필요한 불투수 면적 최소화, 건축주 및 주민참여 교육 프로그램 제공 등이다. 한편, 근린생활시설 대지모델에 건축물식재대, 대지경계부, 면적 식재공간에 개선방안을 적용한 경우 식재 30년 후 연간 탄소흡수량은 현존보다 약 6.5∼7.7배 증가하였으며, SO2 6.7∼8.9배, NO2 5.5∼7.4배, O3 12.0∼16.1배, PM2.5 1.4∼1.7배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적 식재공간에 개선방안을 적용한 경우 식재 30년 후는 현존보다 연간 탄소흡수량 2.7배, SO2 8.9배, NO2 8.8배, O3 8.8배, PM2.5 1.8배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연구대상 대지의 잠재식재공간의 수목 식재는 현존보다 식재면적을 약 2배 더 증진하고, 교목 식재수량을 약 1.5배 증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건축물 대지의 조경실태 기반 및 법제적 기준의 준거를 마련하였으며, 건축물 대지의 식재공간 유형별 개선방안을 건축주와 시민들이 활용하는 자료로 이용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의 한계성은 연구대상인 상업활동이 집중되는 시설인 근린생활시설은 녹지면적 확보에 소극적인 경향을 고려하지 않은 점이다. 향후 건축물 대지의 조경면적 유지, 식재 수목 생장 및 관리방안을 포함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인천국제공항 여객터미널의 실내조경 이용 후 평가 : 제1터미널을 중심으로

        이수지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19

        산업화에 의한 도시화는 인류의 삶에 물질적 풍요는 안겨주었지만, 건강한 정신 의 육성을 위한 쾌적한 환경 제공이라는 측면에선 부족했다. 이는 곧 도시인의 생 활 형태를 실내위주로 변화시키는 계기로 작동하였으나, 그에 따른 스트레스 및 부 작용을 낳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도시화는 인간에게 새로운 환경 조성의 과제를 안 겨준 것이다. 변화된 생활상에 맞추어 실내에도 자연이 도입되기 시작하였고, 그로 인해 실내 조경이라는 분야의 개척과 학문적 개념이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실내조경은 조경과는 다르게 옥외공간이 아닌 실내에 자연환경을 조성하는 전문 분야이기 때문에, 작게는 가정집에서부터 크게는 메가 프로젝트(Mega Project)의 공간까지 그 범위가 아주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현재는 실내조경의 조성 유무 (有無)로 인해 내부 공간의 이미지 및 이용자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칠 정도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인천국제공항은 21세기 동북아시아의 허브공항이며, 2001년 3월에 역사적인 개 항을 하게 됨으로써 공항시설의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게 되었다. 다양한 문화시 설은 인천국제공항의 더 나은 발전과 많은 외국 이용객들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 주고 공항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특히, 인천국제공항 은 실내 환경 개선과 미적 경관 향상을 목적으로 여객터미널 내 벽면녹화와 조 경 식물의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였고, 공기정화 뿐만 아니라 환경 친화적 공간 조성에도 꾸준히 힘쓰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천국제공항 실내조경 만족도와 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을 수행하여 이용 후 평가를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향후 실내조경 계획 시 고려할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국제공항 이용객의 성별 비율은 비슷하며, 여행을 목적으로 2~4시간 정 도 머무르는 것이 주된 행태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출발 티켓팅 시간과 보안검사, 출국심사 시간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었다. 더하여 본 연구의 중점이 되는 실내조경시설의 이용 여부를 구체적으로 확인해본 결과 이용을 해 본 적이 없다는 항목이 반수 이상으로(64.5%) 높게 나타났다. 출·입국을 위해 시간적으로 여유롭지 못한 방문 이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인천국제공항 실내조경에 대한 이용객들의 만족도 분석 결과 비교적 만족하 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는 만족도에 대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인천국제공항 실내조경에 대하여 만 족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식생의 종류에 따른 만족도 연구에 따르면 주로 여성은 화 초형을, 남성은 수목형을 선호한다는 결과가 있다. 현재의 인천국제공항 여객터미널 에는 화려한 꽃 보다는 녹색 잎의 초화류와 관목 등 수목형 형태의 식재가 주로 되 어 있다. 즉, 이러한 이유로 인천국제공항 여객터미널 실내조경 만족도는 남성이 높 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인천국제공항 실내조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능성, 인지성, 접 근성, 이용성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하였다. 다양한 식물의 서식 환경을 제공하고, 실 내 조경 건축 재료의 경직성을 완화하고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제공하고 있다는 요인 이 기능성 측면의 중요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인지성에서는 실내정원이 시야에 언제든지 들어오고 있다는 점, 접근성에서는 실내정원 주변에 적재물이 없어 접근이 용이하다는 점, 이용성에서는 인천공항 실내정원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부족하여 많이 생겼으면 한다는 점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다양한 식물 서식환경을 제공하여 건축적인 경직성을 완화하고 안정감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점을 강화하고, 실내조경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 도입을 통해 이용객의 욕구를 높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싱가폴과 덴버, 오슬로 국제공항과 같은 해외 사례 에서는 자연을 실내공간으로 끌어들여와 자연과 건축이 하나가 된 실내조경을 볼 수 있다. 식물의 도입으로 건축적 경직성을 완화하고, 이용객들에게 안정감을 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식물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한 실내 조경 사례들을 국내 실 정에 맞게 도입하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인천국제공항은 대한민국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의 대부분이 가장 먼저 접하는 장소이다. 좋은 국가 이미지를 전달하고, 지금보다 쾌적한 환경을 조성함과 동시에 인천국제공항 이용객들이 실내조경에 대한 관심으로 실내조경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그 방법에 대한 연구가 계속해서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추석 기간에 한정된 조사로 이용객의 특성에 따른 시기별, 이용 패턴별 등 다양하게 분 석하지 못한 점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계절별, 이벤트별로 조성되는 인천국제공항 실내조경 계획의 전반적인 사항에 대한 연구가 진행이 된다면 문제점을 보안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