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울산 생태산업단지를 위한 효율적인 네트워크 정보 시스템 구축 방안

        이명이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75

        기업체들은 개별 기업차원에서 방지시설 투자와 환경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높아진 환경 질에 대한 요구수준에 부응하기에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른 지역사회 화합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으로 지역 사회와 공존하는 울산 생태산업단지 조성의 필요성이 증대 되었다. 각종의 이용 가능한 자원을 제공하는 입장과 필요한 자원을 제공받는 입장에서 환경적, 경제적, 기술적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한 체계적인 정보 시스템 구축은 생태산업단지의 첫 걸음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울산지역 특성에 따른 생태산업단지 정보를 제공하고, 효율적인 생태산업단지 정보관리 및 정보 활용을 할 수 있게 하며 더불어 전문적인 생태산업단지 정보화 시스템 구축을 지향하는 울산 생태산업단지 네트워크 정보 시스템 구축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개별 기업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 부산물, 폐열 등을 재활용하여 수요 기업의 원료로 재사용 할 수 있게 만들고, 부산물 재자원화를 위한 기업 간 자원네트워킹(Eco-networking) 구축, 생태산업단지 개념을 도입한 생태산업단지의 자원순환망을 구축하여 최종적으로는 울산 생태산업단지 구축을 위한 효과적인 네트워크 및 정보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울산지역 생태산업단지 네트워크 정보 시스템의 개발은 생태산업단지를 개발하고 유지하기 위한 기반 시스템으로 환경 기술적으로 생태 산업단지의 설계, 테스트, 최적화 및 통합을 달성함과 동시에 이를 총체적,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생태산업단지의 환경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Even though many companies are doing their best to pay attention to their environmental impact management and investing in prevention facilities, in many particular circumstances and dimensions they may feel that something more is needed to meet the high standards of environmental quality. It became necessary to construct a network system linking the Ulsan Eco-Industrial Park in co-existence with local society for the harmonization of local environmental and industrial objectives. When it comes to differing points of view, exchanging information with each stake-holder about the available resources might be the first initiative which the Eco-Industrial Park can take by constructing a systematic information system to examine the available environmental, economical, technical resources. This study gives the EIP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Ulsan area,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usefulness of efficient Eco-Industrial information management in application, suggests the construction of an efficient building plan of network-information-system for Eco-Industrial Park Ulsan and moves us closer toward building such a specialized EIP information system. This study makes each company re-use materials, such as the polluted residuum and the waste heat which they discharge, by recycling. It also aims to build a resource network system (which is called Eco-networking) among the corporations for the re-resource of the residuum. Consequently, establishing a resource-cycle network is introduced in the concept of EIP. This methodology can provide an efficient information network system for building of the EIP Ulsan. Through building of the EIP network information system, we can not only revitalize the EIP system but also produce an environmental-technically useful program to develop and preserve the optimization, integration, planning of the EIP project. Moreover, by managing the system wholly and systematically we may look forward to an improved EIP environment in the future.

      • 배터리 제조공정의 제조정보 및 원가정보 자동산출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신동근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논문은 배터리 생산 제조라인에서 모델변경이 빈번한 공정의 제조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효율적인 공정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모델별 제조원가를 분석하여 빠른 의사결정을 제공하는 모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단계에서 원가정보와 제조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표준모델을 개발하여 생산라인에 적용하였으며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가산정 모듈은 제품모델별로 직접경비와 간접경비를 계산할 수 있도록 표준모델을 설정하여 유사모델에 대한 원가산정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였으며, 투입인원과 생산효율에 따른 생산량에 따라 제조원가를 시뮬레이션 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원가와 관련한 변수의 변화에 따른 세부 생산 원가를 추정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둘째, 작업지시서 모듈은 모델별 세부 공정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고, 작업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사진을 제공함으로써 생산현장에서 제품 및 제조정보를 즉시 조회하여 모델변환 시간과 에러를 최대로 줄여서 전체적인 생산성 향상과 실패비용을 줄이는데 직접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셋째, 제품 규격관리 모듈은 생산관리자 및 책임자가 생산제품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공정검사 시 제품규격을 모니터링 하여야 하므로, 모델별 제품에 대한 규격을 별도 모듈로 구성하여 제품규격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 배터리 생산라인의 제조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함으로 기존 생산 공정에서 문제가 되었던 정보공유 및 부정확한 정보 전달의 한계와 실수예방 효과가 있으며, 모델별, 공정별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공정이상 발생시 대처능력의 향상과 설비변경 및 셋팅 시간 단축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imed at development of model which provides quick determination by analysis of manufacturing cost per each model and immediate grasp of the manufacturing information of battery manufacturing process that model change is frequent.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standard model by making database the cost and manufacturing information on design stage, applied it to manufacturing line. The principl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module for cost calculating is composed to easy to calculate the cost of similar model by establishment the standard model which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direct and indirect cost per each product model. Detail manufacturing cost can be estimated in accordance with change of cost relevant fluent by design it possibly to simulate the manufacturing cost according to manufacturing quantity of using personnel and manufacturing efficiency. Second, working instruction module checks information of detail process per each model, also supplies detail picture of working method. This can bring direct efficiency to improve overall manufacturing, to reduce failure cost with reduction of model change time and error. Third, As manufacturing manager and responsible person should monitor control module of product size in process inspection to verify the propriety of product, it is composed to check product size in real time by composing the product size of model as separate module. As result of this research, the limit and error about information sharing and inaccurate information transfer which was problem in previous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prevented by suppling information of battery manufacturing line efficiently. Also by sharing information of each model and process, dealing ability against happening of process problem can be improved, time for facility change and setting up can be reduced remarkably.

      • 환자 안전 제고를 위한 동시적 의약품처방조제지원시스템 도입에 따른 사용자 영향 분석

        최종수 숭실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9727

        Medical errors commonly occur during the course of providing health care and they are adverse drug events, improper transfusions, wrong-site surgery, mistaken patient identities and etc.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dynamic Drug Utilization Review(DUR) system which reviews, analyzes, and interprets medication data when prescribing, will play a key part in reducing such medical errors and improving safety. However, Healthcare industry has traditionally been slower in adopting such effici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in the practice than other industries such as banking, automotive, and etc. Although they are endorsed by the government, massive resistance is often put up in adoption and usage. To date, several studies have generally focused on empirical analysis of the usage pattern and the effects after adoption of DUR. However, there was no research about reviewing physicians’ anxiety and its impact on improving safety. This paper analyze what is the physicians’ anxiety in adopting and using DUR system and is its impact with respect to improving patient safety in outpatient clinical settings. To measure work inconvenience as a kind of the physicians’ anxiety, the whole prescription data during 1 week from January 2nd to 8th in 2012 right after adoption of DUR were analysed. To measure user usefulness as a impact on the personal, an augmented version of the DeLone and McLean IS success model(2003) for survey, which used 4 constructs (DUR system quality, user satisfaction, work inconvenience, user usefulness), was employed. Questionnaires were sent to 650 full time physicians at S. Hospital, and 54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Of these 54 questionnaires, 20 were invalidated because 7 were returned incomplete and 13 were insincere. Although 5.2% useable responses were received, it was consistent with the user population of DUR. Because the sample size was not large, multiple linear regression was adopted to test the hypotheses. Through factor analysis, the means of variables were used for each of the constructs.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were used to assess the validity. Cronbach’s Alpha was used to assess the reliability. All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0. For interpretation of rejected hypotheses, in-depth interviews of 6 physicians were performed. As results of statistic analyses, consistent with other studies examining the success of medical information systems, the system quality of the DUR system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user satisfaction. As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whole prescription data revealed additional work loads for physicians when prescribing, the work inconvenience is negatively related with the user satisfaction. However, the work inconvenience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user usefulness. According to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work inconvenience such as additional work loads affects the user satisfaction, a kind of subjective assessment but it does not influences on the user usefulness, a kind of objective evaluation. This interesting finding means that physicians, who have strong professional ethics, put their top priority on patient safety, even though they feel work inconvenience with using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such as DUR system. As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whole prescription data, DUR conflict events, which mainly included duplicate medications and contraindicated drug interactions for outpatients, were 2.77%. Further research is needed whether these events are substantially devo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DUR such as improving patient safety and cost reduction or not. 우리나라는 2012년 1월부터 국가 전체 모든 의료기관에서 의사가 외래 환자 진료 시 환자에게 의약품 처방을 내릴 때 임상적 의사결정(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CDSS)을 지원하는, 즉, 의약품 성분 중복이나 병용금기를 체크하고, 알레르기 같은 정보를 경고하는, 동시적 의약품 사용평가(concurrent Drug Utilization Review, cDUR)을 세계 최초로 적용하였다. 이와 같이 의약품 사용 전에 정한 기준에 따라 평가하는 구조화되고 지속적인 노력을 의약품 사용평가(DUR)는 의료 오류(Medical Error)를 방지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금융이나 자동차 산업과 같이 일반적인 산업에서는 효율적인 정보시스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반면, 헬스케어 산업에서는 정보시스템의 도입에 따른 사용자의 업무 부담으로 인하여 병원정보시스템 도입에 적극적이지 않거나 도입 후 활용에 대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제까지 많은 DUR관련 연구들은 적절한 의약품 사용에 따른 환자의 안전에 대한 실증적 분석에 초점을 맞춰왔지만, DUR 시스템 사용에 따른 실 사용자인 의사의 관점에서 업무 불편성을 고려한 사용자 영향을 분석, 연구한 것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자 안전 제고를 위한 cDUR 시스템 적용 후 일개 의료기관에서 환자 진료 시 처방 형태 및 처방 소요시간에 대한 정량적 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 분석으로 DUR 시스템 사용에 따른 사용자인 의사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 진료 시 처방 형태 및 처방 소요시간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위하여 DUR 시스템 도입 후 2012년 1월 2일부터 8일까지 1주일 동안의 사용 실적을 전수조사였으며, 사용자인 의사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하여 DeLone & McLean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2003)를 확장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구성은 리커트 5점 척도를 기준으로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로 구성된 DUR 시스템 품질, 사용 만족도, 업무 불편성 및 사용자 유용성으로 구성하였다. 설문방법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법을 사용하여 S종합병원 의사 중 2012년 1월 외래 환자 처방을 내린 의사 약 6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54부를 회수하였다. 결측 답변을 포함한 설문 7부, 불성실 응답 13부를 제외한 34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타당성 분석, 신뢰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위하여 IBM SPSS Statistics 2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였으며, 가설 검증 후 기각된 가설에 대해서는 의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 분석 결과, 헬스케어가 아닌 다른 산업의 정보시스템이나 병원 내 다른 용도의 정보시스템의 성공평가에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그리고 서비스 품질이 영향을 미치는 것과 같이, DUR 시스템 사용자 만족도에 DUR 시스템 품질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래 환자 진료 시 처방 형태 및 처방 소요시간에 대한 정량적 분석의 결과, DUR 시스템은 기존의 업무에 추가 업무가 가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는 설문조사에 반영되어 업무 불편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업무 불편성은 사용자 개인의 주관적인 평가인 사용자 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직업윤리에 해당하는 객관적인 평가이 사용자 유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DUR 시스템 도입은 추가적인 업무의 발생으로 업무 불편성은 있지만, DUR 시스템은 사용자인 의사에게 처방 시 유용하게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사들은 DUR 시스템을 사용함에 있어 불편함을 느끼지만, DUR 시스템은 환자 안전 제고 및 비용 감소를 통한 국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DUR 도입 목적은 환자 안전 제고를 통한 국민의 건강 증진이다. 환자 진료 시 처방 형태에 대한 정량적 분석의 결과, 2.77%의 환자에게서 DUR 팝업 메시지가 발생하였다. 즉, DUR 시스템 적용 전후 처방의 내용 비교 분석을 통해서 환자에게 미치는 안전성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여 본질적인 목적에 부합한지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도 나타났듯이 DUR 팝업 메시지의 대부분은 의약품 성분중복(99%)이다. 비록 부가적인 효과이기는 하나, 성분중복 처방의 감소에 따른 환자 및 보험자(국가) 차원에서 경제적인 효과 측정을 향후 연구 후 결과를 제시한다면 DUR 활성화에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정보 유출 위험 관리 프레임워크의 설계 및 구현

        홍영란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9711

        각종 해킹 기술의 발전뿐만 아니라 조직 내 내부자에 의한 정보 유출 위험 요소들이 많아지고 있는 환경에서 정보 유출 위험관리는 정보보호 프로세스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보 유출 위험 관리는 신규 연구 분야이기 때문에 위험 평가와 보호 대책과 관련된 기술적 대응이 유출 사고가 일어난 부분에 대해서만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기존의 침입 분야에서 사용되는 정보보호 방법, 관련 용어 그리고 기술적 조치들이 그대로 적용되어 유출 분야의 특수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런 경향은 침입 방지와 같은 수동적 대응이 아닌 유출 위험의 노출에 대한 적극적 대응이라는 정보 유출 위험 관리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 유출 방지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정보 유출 위험 관리 프레임워크의 설계를 제안한다. 정보 유출 위험 관리 프레임워크는 기존의 유출방지 기술 평가 모델을 기초로 정보 유출 위험 영역을 추가하여 위험관리 프레임워크를 설계한다. 따라서 정보자산의 분류는 이미 선행되었음을 전제로 한다. 정보 유출 위험관리 프레임워크는 위험 평가와 이에 대한 대책 수립 및 이행 후 효과 측정으로 구성된다. 위험 평가 영역은 기존의 유출방지 기술 평가 모델에서 언급하고 있는 탐지가능성, 정보 중요성, 접근용이성, 복제용이성이라는 네 가지의 평가 속성에 신규 속성으로서 감사 위해성, 데이터 휘발성, 데이터 노출성, 사용 특이성이라는 네 가지 속성을 더 포함시킨다. 여덟 개의 속성 중 정보 중요성은 DRM에서 언급하고 있는 문서의 중요도 등급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기술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DRM 기술 이외에 DRM의 문서 등급화는 관리적 측면으로 고려하여 이를 데이터 노출성과 치환시킨 후, 데이터 노출성 속성에 정보 중요성을 포함시킨다. 사용 특이성은 탐지 가능성 속성을 포함시키기 때문에 본 연구의 프레임워크에서는 탐지 가능성을 사용 특수성에 포함시킨다. 따라서 위험 관리 프레임워크에서 사용되는 속성은 총 여섯 개로서 사용 특이성, 데이터 노출성, 감사 위해성, 데이터 휘발성, 접근용이성, 복제용이성으로 정리된다. 이 여섯 개의 속성을 심각성과 발생가능성이라는 두 가지 영역으로 정리하여 정보 유출 위험 관리 프레임워크를 설계한다. 첫 번째 영역인 심각성에는 기존 모델의 속성인 정보 중요성을 데이터 노출성에 포함시키고 이외에 감사 위해성과 데이터 휘발성을 추가한다. 두 번째 영역인 발생가능성에는 기존 속성인 접근용이성과 복제용이성 이외에 기존 속성인 탐지 가능성을 사용 특이성에 포함시켜 위험 관리 프레임워크를 설계한다. 평가 후, 각 영역 별 속성에 대한 평가 항목과 평가 지수를 제시하여 위험도를 계산한 후 위험 감소대책을 수립한다. 기존의 정보유출방지 기술평가 모델의 대책을 수용하면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신규 평가 속성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구현 결과를 소개한다. 개인정보 등 중요 정보에 대한 유출 위험 관리는 주기적으로 실시하게 되므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에 따라 조직 내 정보 자산에 대한 위험 관리를 변화 관리의 형태로 실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정보 유출 위험관리 프레임워크는 침입에 대한 위험 관리 위주로 설계된 기존의 기술 평가 모델에 새로운 평가 속성과 이에 대한 대책을 제시함으로써 개인정보 등 중요 정보 유출의 위험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안하는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정보 유출 위험 관리에 대한 프로세스를 정립하여 정보 유출 위험에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면 본 연구의 모델은 정보보호 거버넌스 체계에서 정보유출 방지 분야가 독립성을 구축하는데 효과적으로 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risk management of data loss is a main requisite in the information security process recently. We confront the environment that hacking techniques have been enhanced as well as that the data loss risks are having been grown by insiders. Nevertheless, because the risk management of data loss is relatively new part, risk assessment, countermeasures and related technical response are borrowed from the intrusion part. Terms and security methods used in the existing security part are adapted in the data loss part. It means that we meet the limits that it cannot reflect the specificity of the data loss. This trend makes response to the data loss insufficient. I suggested that the framework for the risk management of data loss be designed from the data loss prevention view, and implemented it as a research result. The risk management framework of data loss is designed by adding the risk domain of data loss based on the existing assessment model of the data loss techniques. So, the premise is that the information asset is already sorted. The suggested framework is made up of risk assessment, countermeasure construction and effect measurement. There are 6 attributes in 2 risk assessment domains. Two risk assessment domains are seriousness and probability. Seriousness is made up of 3 attributes-data exposure, audit risk and data volatility. Probability is made up of another 3 attributes - copyability, accessibility and specificity. Each attribute has its own assessment item. We calculate the degree of risk according to the items. The countermeasures are provided as a assessment risk. Information asset is inclined to be changed as the time flows. It means the assessment items and countermeasures can be added in the proposed framework. It is the change management. I have a purpose that there can be the effectiveness to manage the risk of data loss systematically with the use of proposed framework.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model contributes to make the data loss part independent in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by process management.

      • 고객지향 수주생산시스템의 생산정보 효율화 방안연구

        목민수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11

        고객지향 수주 생산 환경은 항공기, 선박, 선박엔진 등 매우 복잡한 제품구조와 1대에서 2대정도의 아주 적은 주문량 그리고 매우 복잡한 생산 공정을 가지고 있다. 한마디로 제품수명주기 전반에 걸쳐 고객의 요구를 제품에 반영해야 하는 생산 환경으로 정의 될 수 있다. 이러한 고객지향 수주 생산 환경에서의 BOM(Bill of Materials) 변경업무는 영업, 설계, 생산, 조달, 원가, AS등의 기업 내 거의 모든 부문에 걸쳐 정보연계가 발생한다. 또한 각 부문 간의 정보연계는 매우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이들 변경 내용들은 각 부문의 업무 및 관련 정보시스템에 즉각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BOM의 정보연계는 제조기업이 제품정보 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품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는 BOM이 기업에서 단일화 된 정보로 있지 않기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접근하였다. 첫 번째 방안은 현실적으로 고비용 투자가 어려운 투자 여력을 전제로 제조 BOM 중심으로 구성된 ERP를 그대로 유지하고 설계팀이 접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설계팀의 접근을 위해서는 설계BOM을 제조BOM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에 설계BOM과 제조BOM의 공통점을 통해 서로의 코드를 찾아 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방안으로는 현 ERP시스템의 재구축방안이다. 이 방안은 한 회사에서 서로의 코드가 단일화 되지 않아 발생 되었던 문제를 처음부터 새로 모델링해야 한다는 목표로 접근하였다. 코드 단일화 방법에 있어서는 기존 제조코드를 삭제하면서 설계중심의 코드로 단일화 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 방안으로는 전략적 투자를 한다는 전제로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시스템을 도입하는 방법이다. PLM 도입 전 부서별 현재 프로세스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향후에 도입하여 얻어질 수 있는 기능 및 기대효과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기업정보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BOM정보를 연계하는 방법과 단일화방법, 더 나아가 새로운 정보시스템을 도입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이로 인해 신속한 BOM 구축이 가능해져 납기단축과 정확한 생산계획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customer-oriented make-to-order system consists of complex product manufacturing procedures and complex products such as aircraft, vessel, and vessel engine with very small product orders of one or two at a time. In other words, it can be defined as a production environment where the producer has to apply the customer’s needs throughout the product life-cycle. The changing BOM in such a customer-oriented make-to-order system results in information connection between most of the company’s departments including sales, design, production, procurement, costs, and after-services. Furthermore, such information connection between departments have to interconnect with one another in order to apply the changes of BOM information immediately. Hence, information connection of BOM is the most important step for a manufacturing company to construct a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is thesis deals with solutions for the problems to be caused due to the company not to have a single unified piece of BOM data about the product. The first method is, under the assumption that a investment in large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manufacturing BOM based on ERP and to allow the design team access. In order to allow the design team access, we need a way to present our design BOM as manufacturing BOM, hence we suggested a method of using the common aspects of the two BOMs to find each other’s BOM. As a second method, we can reconstruct the current ERP system. This method proposes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existence of multiple BOMs by remodeling the entire system. In order to unify the BOM, we would delete the existing manufacture BOM and follow the design BOM. As a third method, assuming that we make strategic investments, we can construct the PLM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System. Before implementing PLM, we have analyze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process and demand of each department in order to suggest possible gains by introduction of PLM. In summary this thesis deals with connections of the BOM information and unification of them, and suggestion of introduction a new system. Furthermore, it will allow us to expect how a construction of exact BOM will shorten delivery time and will reveal the other various effects as a precise manufacturing plan.

      • 고객만족이 기업의 이익과 가치에 미치는 영향

        김민기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97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firm’s performance. So in order to find out it, I analyze the result of the firm’s profitability and value. First, I concluded that the customer satisfaction is reflected most in the company’s profit and the shareholder value, by investigating the previous studies. So the dependent variable configures as ROA(Return On Assets), ROE(Return On Equity), PBR(Price Earning Ratio) and Tobin’s q. The next, to make clear industrial by difference, I classified the industry into the manufacturing and the service industrial. The last,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carried forward of the customer satisfaction, I categorized the customer satisfaction into the current term and the former term.

      • 고객지향 수주생산 환경에서의 제품정보 통합 시스템을 위한 제품사양체계

        정순일 울산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9711

        In recent, a general trend is observed towards more customized products and shorter product life cycles in manufacturing companies. In these companies, customers often wish to influence the product they order and to get a variant of product that meets their requirements. Also, many companies are putting more and more effort into modifying and improving existing products in order to satisfy customer demands and/or processing requirements. As a result, global market has experienced enormous change in recent years. Also, manufacturers have converted from competing to improve quality and reduce cost of their products to a customer-oriented strategy. This environment is called as a customer-oriented manufacturing environments. To consider the customer demands throughly, companies must be made to satisfy from the initial point of contact with customer. It is a self-evident truth that the customer specification derived from the customer demands and the product specification is converted from the customer specification through the several processes. Nevertheless, because manufacturing companies was not able to adequate management for the customer specification and the product specification, manufacturers is investing a lot of time and capital to carry out the design and production of product. Therefore,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 is decided how to manages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rationally and efficiently. Hence, the product specification management becomes an inevitable process. Product specification management is a process for consistently managing the product information through the product life cycle. Therefore, this dissertation proposes a methodology of the product specification management in the customer-oriented manufacturing environments. The aims of this dissertation are to establish the product specification management in theoretical domain, to develop a product specification framework and product specification management procedure, and to show that the product specification framework and management procedure is systematically applicable to customer-oriented manufacturing enterprises. Research contents performed to achieving this aims as listed below. First, we proposes the product specification framework for the customer-oriented manufacturing environments. This framework is founded on the product specification based product structure which is made of model, specification, function, and part. Second, we needs a logical procedure to apply the product specification framework most efficiently. For this reason, we proposes the product specification management procedure which explodes so that we produce the most appropriate design specification from the customer specification. To make rapidly and stably the design specification, we applied the case based reasoning(CBR) technique at the product specification management procedure. Third, to quickly respond customer's quotation request, quotation management is a very important task. But this task is very complex, time-consuming, resource-consuming, and difficult process because it is related with many departments within company. For effective and efficient quotation management, the concept of product specification framework is introduced because a quotation BOM can be created from product specification. Thus, this dissertation proposes a product specification framework based quotation process. Lastly, we proposes a development methodology of a product specification based product data integration system. Also, we shows that the product specification based product data integration system is implemented for product data integration at a ship engine manufacturing enterprise. The product specification framework systematically manages the product information more efficiently supports interface between all departments of customer-oriented manufacturing enterprise. Therefore, the product specification framework is a core concept of the product data integration system. Because the product data integration system offers complete managed product information during product life cycle, it has been managed to the core information system of the ship engine manufacturing enterprise. For this reason, the product specification framework charges the role of information model that integrates application systems of each department by using the product specification based product information. Accordingly, the product specification framework based product data integration system will be core system in the building domain of enterprise integration system. 제조기업은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제품을 우수한 품질, 저렴한 비용으로 빠른 시간에 만들어 공급한다는 것을 기본 전략으로 세우고 이를 실현하고자 한다. 특히,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제품을 비용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문제는 현대 제조기업의 최우선 해결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제조기업들은 생산 환경에 따라 설계, 자재, 생산, 품질, 경영 등의 각 부문에 대해 업무 혁신 방안 수립 및 수행과 최신의 정보시스템을 운영하여 해결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설계 부문에서는 CAD 시스템의 성능개선과 같은 부분적인 설계자동화에 집중하고 있고, 생산, 자재, 품질부문에서는 생산현장 중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생산성 향상 기법이나 정보시스템의 적용에 투자하고 있지만, 이를 통한 개선은 한계점에 이르렀다. 고객의 요구를 최우선으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고객과의 최초 접점에서부터 고객이 만족하도록 하여야 한다. 고객의 요구는 고객사양으로 도출되고, 고객사양이 여러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물리적인 제품사양으로 변환된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은 고객사양과 제품사양에 대한 관리를 적절하게 수행하지 못함으로 인해 제품설계와 생산에 대한 기업내 인적, 물적 자원과 비용의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제품에 대한 고객의 요구사항을 철저히 반영해야 하는 고객지향 수주생산 환경에서는 제품 수주시 고객사양이 완벽하게 결정되지 않는다. 고객사양이 확정되었다 하더라도 충분한 기술적인 검토가 이루어진 후 제품 설계가 이루어진다. 또한, 사양의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기능별 제품구조가 확정되기 이전에는 부품, 조립품, 그리고 제품을 생산할 수 없다. 따라서 사양정보를 얼마나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경쟁력이 결정되고 있다. 이에 고객지향 수주생산 환경을 보유한 기업에서는 제품사양관리의 최적화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고객지향 수주생산 환경에서의 제품사양관리는 기업 업무의 시작을 어느 방향으로 어떻게 진행하느냐를 결정하는 이정표이다. 하지만, 고객지향 수주생산 환경의 고유 특성으로 인해 제품사양관리가 기업 전반의 정보시스템에 미치는 중요성과 그에 따른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이론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제품정보 통합 관리 기술이 제조 분야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대해서는 산업계 전반에 걸쳐 인식도는 높으나 기업에서 제품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의지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객지향 수주생산 환경을 가진 'H' 기업의 선박 엔진 제조 부문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고객지향 수주생산 환경에서 발생하는 사양 관련 문제들을 제품사양관리의 이론적인 영역에서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체계와 절차를 개발하여 연구 대상 기업의 문제에 적용함으로써, 고객지향 수주생산 환경을 가진 제조 기업들에 체계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객지향 수주생산 환경을 가진 기업의 합리적인 제품사양관리와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연구한다. 첫째, 고객지향 수주생산 환경에서의 제품사양과 제품구조를 통합하는 제품사양 기반 제품구조와 제품사양체계를 제시한다. 제품사양 기반 제품구조는 제품구조 내에 사양정보를 포함함으로써 고객이 요구한 사양에 대해 가장 적합한 제품구조를 추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품사양 기반 제품구조에 대한 정의를 기반으로 하여 모델, 사양정의, 기능분류, 그리고 부품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품사양체계를 제시하고, 제품사양체계가 제품정보 통합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정의한다. 둘째, 제품사양체계를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고객지향 수주생산 환경에 적합한 논리적인 절차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객사양을 이용하여 가장 적합한 설계사양과 제품사양을 생성하도록 전개하는 제품사양관리 절차를 제시한다. 또한, 제품사양관리 절차가 보다 더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설계사양을 도출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례기반 추론(CBR) 기법을 적용한다. 셋째, 제품사양체계와 제품사양관리 절차를 이용하여 고객지향 수주생산 환경을 가진 기업의 견적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견적업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주어진 자원의 소비를 최소화하고 신속히 사양대비 높은 정확도로 견적을 제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견적 담당자가 직접 사양에 가장 적합한 견적 BOM을 생성하고, 적합한 견적가격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품사양체계와 제품사양관리 절차를 도입한 견적 프로세스를 정의한다. 넷째, 제품사양관리를 기반으로 한 제품정보 통합 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제품사양체계와 제품사양관리 절차를 연구대상 기업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정보공학 방법론을 기반으로 하여 독자적으로 개발한 제품정보 통합 시스템 개발 방법론을 제시한다. 또한, 제품사양체계와 제품사양관리 절차의 일관성과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료흐름도와 개체관계도를 이용하여 제품정보 통합 시스템을 모형화 하고 연구대상 기업에 제품정보 통합 시스템을 구현한 사례를 보인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제품사양체계는 고객지향 수주생산 환경을 보유한 기업의 모든 부문에서 사용하는 제품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며, 각 부문에 일원화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제품정보 통합 체계의 핵심이다. 따라서 제품사양체계와 제품사양관리 절차를 활용한 제품정보 통합 시스템은 고객의 요구에 즉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제품수명주기 동안의 모든 제품정보를 통합, 관리하도록 하기 때문에, 연구 대상 기업의 핵심 정보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품사양체계는 제품사양기반의 제품정보를 이용하여 기업 각 부문의 응용 시스템을 통합하는 정보 모델의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제품사양체계와 제품사양관리 절차를 기반으로 하는 제품정보 통합 시스템은 향후 기업통합시스템 구축 영역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하고 불확실한 제품변이, 복잡한 제품구조와 생산 공정, 고객지향 수주생산 환경 등을 고려하고 있으므로 선박엔진 제조기업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조선, 해양 구조물, 항공기 산업 등에도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산업디자인 관련 아이템의 전자상거래에 관한 연구

        김대운 서울산업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9711

        산업디자인 관련 아이템의 전자상거래에 관한 연구란 신지식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는 3D산업 즉 Digital, DNA와 더불어 Design 산업에 대한 전자상거래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디자인분야 중 특히 산업디자인 분야는 한국상품의 세계 수출경쟁력 제고를 위한 중요한 분야이지만 세계와 견주어 볼 때 그 낙후성을 면치 못하는 실정이므로, IT산업과 접목된 정보화와 전자상거래 부문에서는 선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중요한 연구 분야라 할 수 있다. 산업디자인은 일반적으로 EndUser와 Manufactory의 요구사항 즉 Needs와 Designer의 안목 즉, Seeds를 통하여 신개념의 제품에 대한 Idea를 도출하고 Concept을 얻는다. 이를 통하여 Idea-Sketch Rendering Design Modeling Mock-Up등의 Design Process를 통해 Product을 개발하게 된다. 본 논문은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통하여 이러한 Design Process에 필요하고 Process에서의 중간산출물로 발생하는 Item에 대한 거래를 활성화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Needs & Seeds로 부터 싹튼 아이디어와 컨셉을 하나의 아이템으로 거래를 도모하고 아이디어가 구체화된 아이디어 스켓치와 랜더링 까지 거래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연구함으로써 상품화되지 못하고 중간 Process 단계에서 사장되는 훌륭한 디자인 아이템을 최종의 상품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Designer와 Manufacture와 EndUser사이의 Buyer와 Seller로서의 역할을 구체화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Needs & Seeds, Idea & Concept, Idea-Sketch Rendering, Design Mock-Up & Working Mock-Up, Product 등의 아이템이 전자상거래에 따른 수급 주체와 Process에 의하여 크게 Proposal, Monitoring, Trading으로 대별된다. Proposal 은 Seller의 관점에서 Design 관련 Item을 판매하고자 공개하는 것으로 요약되며, Monitoring은 Buyer 관점에서 구매코자 하는 Item의 Quality에 대한 일반인 전문가의 Evaluation과, 상표의장 등록되었거나 개발진행 중인 Design Item에 대한 Monitoring으로 요약된다. 마지막으로 Trading은 Buyer와 Seller의 거래조건이 맞을 때 Internet을 통한 On-Line Transaction이 원활하고 안전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지불, 보안, 인증, 배송의 관점에서 다루어졌다. 디자이너의 입장에서는 더 많은 디자인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디자인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조업체 입장에서는 원하는 제품을 언제든지 새로운 디자인으로 개선할 수 있고 신상품을 개발하는데 최소의 개발기간으로 제품의 Life-Cycle을 조절하여 시장을 주도할 수 있다. End-User로 사용자 입장에서도 사용하면서 불편했던 점들과 개선을 요하는 사항에 대한 고객으로서의 당연한 요구를 관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래를 통하여 그에 대한 금전적인 대가도 누릴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 연구되는 전자상거래시스템은 전체적으로 eMarketPlace를 운영코자하는 입장에서 관리운영을 위한 인력과 Back-Office가 최소화되어 현실적으로 거래 가능토록 연구되어 유사한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는 Prototyping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 Study on Electronic Commerce for Industrial Design Related Items is a research to find a method for e-commerce in the 3D Industry, which are Digital, DNA and Design industry. Among design areas, Industrial design is especially important to improve competitiveness of Korean products but it falls behind other countries. So this is an important area to preoccupy the field of information related with IT industry and e-commerce. Usually Industrial design derives an idea for new concept product through the needs of end-user and manufactory and then product is developed through Design process such as idea sketch, rendering, design modeling and mock-up.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italize trade for some items which are necessary for design process or which are made as mid products. If the idea and concept from needs&seeds could be dealt in business and idea sketch and rendering which is more specific than idea itself could be dealt in business, we could specify the role of buyer and seller among Designer, Manufactory, and EndUser by developing finished goods which failed in production or which were thrown away in the process. In this research, items such as Needs & Seeds, Idea & Concept, Idea-Sketch Rendering, Design Mock-Up & Working Mock-Up and Product are divided into Proposal, Monitoring and Trading according to the subject of supply and demand and process in e-commerce. Proposal means that seller discloses design related items for sale and Monitoring is to monitor the evaluation of customers and professionals for the quality of items -these covers finished goods and products under development- with the buyer's view. Trading covers payment, security, certification and delivery to make on-line transaction safe and smooth when the product meet the buyer's need. With this system, designers could have much more chances for design and shorten the period for design. Manufacturers could change the products into new design and lead the market by controlling product's life cycle with minimizing the development period for new product. Also end-user can reflect inconvenience while they are using the products, demand improvement and get financial profit. E-commerce system treated i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apply to similar system because it is practical way to operate eMarketPlace and minimize the manpower and back-office system.

      • 공공부문 정보화사업의 정보전략계획수립에 관한 연구

        유인상 서울산업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9711

        정보계획수립 방법론(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Methodology : ISP Methodology)이란 정보시스템 계획 수립에 필요한 절차와 구성요소를 체계적으로 정의해두고, 또한 이의 수행에 필요한 도구, 기법 및 지침을 규정해 둔 것이다. 정보계획수립은 정보시스템 분야의 가장 주된 관심사로서 그 목적은 기업의 경영목표 및 경영전략의 효과적 수행에 필요한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기업 전체적인 관점에서 정보체계(Information Architecture)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일관성 있고 효과적인 시스템 구축을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정보계획수립 방법의 개념은 1970년대 후반부터 정보시스템을 보다 전사적 관점에서 시스템 위주의 정보시스템 계획수립이라는 개념으로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공공부문에 있어서도 정보계획수립 방법론을 활용한 정보화전략계획수립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정보시스템 구축이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공공부문에 있어서 다수의 정보전략계획수립을 추진한 결과 ISP 발주 시 확실한 목적의식 결여와 공공부문의 권장 방법론인 관리기법/1(혹은 Method/1으로 불림)의 일관된 접근 부재, ISP와 IT(Information Technology) 마스터플랜(Master Plan)과의 관계 모호성, 전략 부재의 사업 혹은 IT 전략설정의 어려움 등이 수행상의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부문의 ISP 추진 시 문제점들을 유발시키는 전략부문을 명확히 하기 위한 공공부문의 경영전략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안함으로서 공공부문의 ISP가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프레임워크(Framework)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영전략수립을 위한 프레임워크(Framework)로부터 추출하였으며, 연 300억원 규모로 40여 개의 세부 과제를 수행하고 있는 ‘정보화지원사업 발전방안 수립’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정보화지원사업 발전방안 수립’ 시 공공부문을 위한 경영전략 프레임워크를 적용해 본 결과 1994년부터 추진해 오고 있는 정보화지원사업의 성과와 그 이면에 존재하는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향후 공공부문 정보화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상기의 예와 같이 공공부문의 정보전략계획 수립 시 해당 사업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사용하여 경영전략을 우선 수립함으로서, 정보전략계획 수립을 좀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ISP) is a set of process to find strategy or solution and establish performing plan on how to connect with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apply them in establishing a vision of an organization. The Public Sector's Informatization has been driven with the Method/1 methodology as a standard; however it has not been used in the information planning. Though the Method/1 had the information planning process, it was not used. It was not because of defects of this methodology itself but becaus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Sector differed from private companies. The problems appear different from private companies when performing ISP because of lack of apparent management goals, non-existence of competitors/management strategy, business monopolization, obscurity of ISP/master plan, and etc. As a solution to solve the problems stated above, I suggest the management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first and linked to ISP. For this job done, I also suggest a framework of the management strategy establishing process after configuring it appropriately to the Public Sector. It is expected to reduce the difficulty occurred due to lack of management goals or non-existence of management strategy, through establishing ISP based on the management strategy framework for the Public Sector suggested by this study.

      • 유제품 가공공장의 생산정보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박노신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11

        국내 유제품 가공산업은 정부의 국내시장 보호아래 공급중심의 양적 소비확대에 치중한 나머지 단순한 가공제품인 시유 중심으로 성장하여 왔다. 이로 인해 수입개방과 시장경쟁의 심화, 소비패턴 등과 같은 환경변화에 대한 경쟁능력이 크게 미흡한 실정이다. 이제는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 중심의 시대에서 모든 기업의 지속가능 여부는 그 기업의 제품을 소비하는 최종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러한 소비자선택의 시대에 정보시스템은 지속가능성의 확보와 시장환경의 변화에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재무, 원가, 구매, 제품기획, 설계, 생산, 품질관리, 판매 및 애프터서비스에 이르는 여러 업무 중에서도 생산 현장은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 특히 품질의 일관성 유지와 생산성 향상을 통한 원가절감을 위해서 바람직한 공정계획의 수립과 함께 실적에 근거를 둔 정확한 생산정보를 알아야 현장 관리자가 의사결정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제품 가공산업의 생산현장에 존재하고 있는 제조, 생산, 자재수급 등의 활동상황을 수집하고, 이 데이터를 최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유제품 가공산업 현장경영에 실제 활용이 가능한 생산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그 실행과정을 사례중심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유제품 가공산업에 맞는 생산관리의 프로세스와 적합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체계적과정을 제시하고, 실제 구현된 L사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제시한 시스템의 유효성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An excessive extension in quantitative consumption on the back of governmental protection of domestic market, the dairy industry has grown up centering around the milk, simply processed product which has lowered the competition for the environment of openness of import, market competition, consumption culture in the age of keen market competition and consumers’ choice determine the victory or defeat of the whole business. To survive in this consumer choice age,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built up as a means of active measures. Among various affairs such as finance, price, purchase, product planning, design, production, quality management, sale & A/S, production site could have the severest difficulties. For a desirable setup and change of processing plan, the manufactung information based on actual results should be unveiled for the person managing the site to make a quick and accurate decision. In this thesis, the activities of manufacturing, production, material supply and demand which are being carried out in the industrial site that dairy products were collect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managed in optimal state for them to be used in the dairy industrial bus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