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박물관 전시·교육을 통해 본 전통문화 콘텐츠의 의미와 해석

        김진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미래문화유산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83

        본 연구는 전통문화 콘텐츠를 해석하고 대중들이 효율적으로 즐길 수 있 도록 기술 과학적으로 발전한‘뮤제오그라피아(Museografia)’에 관한 것 이다.‘전통문화 콘텐츠’는 전통문화의 다양한 형태와 수단으로 박물관에 서 대중들에게 보여주는 옵션이다. 이에 국립민속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의 전시, 교육 현황과 특성을 논하였다. 박물관이 이제는 양적 성장이 아닌 질적 성장이 필요하며 박물관이 문화 소비의 장으로서도 기능한다. 따라서 박물관에서부터 전통문화의 진흥을 위한 효과적인 전시 연출기법 도입과 전시 공감각적 구조 등에 대한 분석과 변화가 필요하다. 시대적 변화와 흐름에 따라 발현되는 요구들을 충족하기 위한 일부 전통문 화 콘텐츠 전시에는 첨단 디지털 기술의 적절한 활용도 뒷받침 되어야 한 다. 또한 경쟁력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관람객의 수요에 맞게 맞춤형 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대중들에게 전통문화의 인식 제고를 위 한 측면과 전통문화의 속성을 현대적 또는 미래지향적으로 재해석하여 계 승,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전통문화의 여러 속성 중‘자연친화적’이고 인간의 심리를 안정시키는 특징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디지털화된 전통문화 콘텐츠도 역사적인 맥락과 전통문화의 속성에서 이탈할 수는 없 고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 그래서 균형을 잡으며 전통문화 콘텐 츠를 재해석할 때는 감각적인 요소가 고려된다. 이에 박물관은 사회적 상 호작용을 중시하고 열린 문화 공간으로 성장해야 한다. 주제어 : 박물관, 전시, 교육, 전통문화 콘텐츠, 상호작용 This study is about 'Museografia,' which has been technologically and scientifically developed to interpret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and allow the public to enjoy them efficiently.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is an option shown to the public at the museum in various forms and means of traditional culture. Accordingly, through the exhibitions 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were discussed. The museum now needs qualitative growth, not quantitative growth, and the museum also functions as a venue for cultural consump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compelling exhibition-directing techniques to promote traditional culture from the museum and to analyze and change the synesthetic structure of the exhibition. Appropriate use of advanced digital technology should also be supported in the exhibit of some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to meet the demands expressed according to the changes and trends of the tim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education to meet visitors' needs through competitive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a way to raise awareness of traditional culture to the public is necessary to inherit and develop the aspects and attributes of traditional culture in a modern or future-oriented reinterpretation. Among the various qualities of conventional culture,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nature-friendly' and stabilize human psychology should be actively utilized. Digitized standard cultural contents cannot escape traditional culture's historical context and properties, and interaction with visitors is essential. Therefore, sensory factors are considered when reinterpret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while balancing. Accordingly, the museum should value social interaction and grow into an open cultural space. Key words : Museum, Exhibition, Education, Traditional culture content, Interaction

      • 종가 음식 유산‘동곳떡’의 전승과 의미 고찰

        권미화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미래문화유산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03

        2010년 이후 유네스코에서 인류 무형유산으로 음식 유산이 지속해서 등 재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음식 유산과 관련하여 관심이 커졌다. 지자체에 서는 그 지역의 특별한 전통음식을 발굴하여 부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 다. K-Culture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지면서 K-Food에 관한 관 심도 더욱 집중되고 있으며, 특히 차별화된 전통음식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종가의 전통음식은 접빈음식과 제례음식으로 구분된다. 이 글에서는 봉 화 닭실마을의 제례음식인 동곳떡에 주목하여 그 유래와 특징을 알아보았 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다른 지역의 떡(䭏)을 함께 분석해 보았다. 동곳떡의 제작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종가의 전승 주체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불천위제사의 동곳떡은 오랫동안 혈연공동체를 통 하여 전승된 우리나라 전통음식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와 마을공동체의 공유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역사성과 사회문화적 특성이 지속 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분석하였다. 요즈음 농촌 지역은 인구 감소와 종가의 해체 등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연구의 대상 지역에서 종가 음식은 혈연공동체뿐만 아니라 지역 정체성을 확립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전승되고 있다. 현재 제례 의식은 변 화하고 있지만, 그 근본적인 가치와 정신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동곳 떡 만들기 전통은 이러한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를 마 을 유산으로 공유하고, 미래에도 지속해서 창의적인 전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주제어: 음식 유산, 불천위제사, 동곳떡, 혈연공동체, 지역 정체성 Since 2010, UNESCO's continuous listing of food heritage as an intangible human heritage has sparked increased interest in food heritage in South Korea. Local governments are actively engaged in discovering and highlighting unique traditional local cuisines. With heightened global interest in K-Culture, the focus on K-Food has intensified, mainly drawing attention from consumers toward distinctive conventional cuisines. The traditional foods of the Head Family are notably categorized into everyday meals and ceremonial dishes. This article explores the origi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onggot rice cake, a ceremonial dish from Bonghwa Daksil Village. Additionally,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rice cakes from various regions. To examine the production process of Donggot rice cak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daughter-in-law of the head family. It was confirmed that the' Donggot-tteok' from the Bulcheonwi ancestral rites has held enduring value as a traditional Korean cuisine cultural heritage transmitted through blood-related communities and fostering shared community values. Furthermore, an analysis revealed the impact of its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attributes on its continuity. Rural areas face challenges like population decline and the dismantling of ancestral homes. In the studied region, ancestral home cuisine is a binding force for blood-related communities and a crucial means of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While ceremonial rituals are evolving, their fundamental values and essence persist. The tradition of making Donggot rice cake plays a pivotal role in this process, underscoring the necessity to share it as a village heritage, ensuring sustained and creative transmission for the future. Keywords: Food heritage, Bulcheonwi ancestral rites, Donggot-tteok, Kinship community, Regional identity

      • 공주 상신리 계룡산도자예술촌의 지속가능한 발전 연구

        이재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미래문화유산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87

        우리의 도자기 문화는 중국으로부터 유입되어 고려청자, 분청사기, 조선 백자로 발전해왔다. 분청사기는 14세기 후반부터 16세기 중반까지 성행한 중국과 일본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우리의 고유한 도자기 양식이다. 우리나라의 독창적인 분청사기는 자연스럽고 우아하면서도 특유한 투박함과 세련미를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다. 특히 계룡산분청사기는 철화 분청사기의 정교한 특성을 훌륭하게 재현하고 있지만, 이를 계승하고 있는 계룡산도예촌은 다양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계룡산 분청사기의 전통을 이어가는 계룡산도예촌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여러모로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다양한 자료를 분석하고, 도예 작가들의 실천적 의지를 종합적으로 해석하여, 도예촌의 주체성, 장소 정체성, 제작기법의 독창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상신리 도예촌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분청사기의 재현을 목적으로 재료와 제작기법, 도자 문화와 도요지의 지역적 특성, 도자 유적의 활용 등에 관한 연구는 많았지만, 정통성과 지속 전승을 위한 연구는 부족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1990년 이후 반포면 상신리 일원에 조성된 계룡산도예촌의 생성 배경과 함께, 철화분청의 전승과 복원을 위한 과정과 현재까지의 변화를 통시적으로 살펴 보았다. 또한 국내에서 유일한 철화 분청사기의 원조로서의 정통성을 확립하고 이를 유지·전승하기 위한 문화와 정책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특히 실제 전승하고 있는 주체의 목소리를 직접 청취하고 분석하는 질적 조사방법론을 활용한 연구라는 점이 큰 의의가 있다. 이 연구 성과가 향후 계룡산도예촌의 정통성과 지속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계룡산분청사기, 철화 분청사기, 계룡산 도예촌, 정통성, 주체성, 장소 정체성, 제작기법의 독창성,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 Our ceramic culture has evolved from China into Goryeo celadon, Buncheong ware, and Joseon white porcelain. Buncheong ware, prevalent from the late 14th to mid-16th centuries, is a unique pottery style exclusive to Korea, not found in China or Japan. Korea's distinctive Buncheong ware encapsulates a natural, elegant essence while embracing its inherent rustic charm and sophistication. Gyeryongsan Buncheong ware excellently reproduces the intricate characteristics of iron-painted Buncheong ware. However, Gyeryongsan Ceramic Village, preserving this legacy, faces various challenges. Hence, this paper thoroughly analyzes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es for Gyeryongsan Ceramic Village, continuing the tradition of Gyeryongsan Buncheong ware. The research delves deep into various aspects, analyzing diverse data and interpreting the pragmatic determination of pottery artists. It categorizes the village's autonomy, the identity of the place, and excellence in production techniques for comprehensive analysis. Ultimately, it proposes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es for Sangsin-ri Ceramics Village. While numerous studies focused on materials, production techniques, regional characteristics of pottery culture, and the utilization of pottery sites for Buncheong ware reproduction,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regarding authenticity and continuous transmission.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 holistic overview of Gyeryongsan Ceramic Village's formation background since 1990 in Banpo-myeon, Sangsin-ri, and examines the processes of inheriting and restoring iron-painted Buncheong celadon alongside its current transformations. It also investigates the cultural and policy aspects required to establish and perpetuate the authenticity of the unique iron-painted Buncheong ware, the only one of its kind in Korea. This research is notably significant for utiliz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that involve directly listening to and analyzing the voices of those involved in the transmission and anticipating that the outcomes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authenticity and continuous development of Gyeryongsan Ceramic Village in the future. Keywords: Gyeryongsan Buncheong Ware, Iron-painted Buncheong Ware, Gyeryongsan Ceramic Village, Autonomy, Identity of the Place, Excellence in Production Techniques,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