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박물관 전시·교육을 통해 본 전통문화 콘텐츠의 의미와 해석 = The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Seen through Museum Exhibitions and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140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전통문화 콘텐츠를 해석하고 대중들이 효율적으로 즐길 수 있 도록 기술 과학적으로 발전한‘뮤제오그라피아(Museografia)’에 관한 것 이다.‘전통문화 콘텐츠’는 전통문화의 다...

      본 연구는 전통문화 콘텐츠를 해석하고 대중들이 효율적으로 즐길 수 있 도록 기술 과학적으로 발전한‘뮤제오그라피아(Museografia)’에 관한 것 이다.‘전통문화 콘텐츠’는 전통문화의 다양한 형태와 수단으로 박물관에 서 대중들에게 보여주는 옵션이다. 이에 국립민속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의 전시, 교육 현황과 특성을 논하였다. 박물관이 이제는 양적 성장이 아닌 질적 성장이 필요하며 박물관이 문화 소비의 장으로서도 기능한다. 따라서 박물관에서부터 전통문화의 진흥을 위한 효과적인 전시 연출기법 도입과 전시 공감각적 구조 등에 대한 분석과 변화가 필요하다. 시대적 변화와 흐름에 따라 발현되는 요구들을 충족하기 위한 일부 전통문 화 콘텐츠 전시에는 첨단 디지털 기술의 적절한 활용도 뒷받침 되어야 한 다. 또한 경쟁력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관람객의 수요에 맞게 맞춤형 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대중들에게 전통문화의 인식 제고를 위 한 측면과 전통문화의 속성을 현대적 또는 미래지향적으로 재해석하여 계 승,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전통문화의 여러 속성 중‘자연친화적’이고 인간의 심리를 안정시키는 특징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디지털화된 전통문화 콘텐츠도 역사적인 맥락과 전통문화의 속성에서 이탈할 수는 없 고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 그래서 균형을 잡으며 전통문화 콘텐 츠를 재해석할 때는 감각적인 요소가 고려된다. 이에 박물관은 사회적 상 호작용을 중시하고 열린 문화 공간으로 성장해야 한다. 주제어 : 박물관, 전시, 교육, 전통문화 콘텐츠, 상호작용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Museografia,' which has been technologically and scientifically developed to interpret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and allow the public to enjoy them efficiently.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is an option shown to the public a...

      This study is about 'Museografia,' which has been technologically and scientifically developed to interpret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and allow the public to enjoy them efficiently.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is an option shown to the public at the museum in various forms and means of traditional culture. Accordingly, through the exhibitions 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were discussed. The museum now needs qualitative growth, not quantitative growth, and the museum also functions as a venue for cultural consump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compelling exhibition-directing techniques to promote traditional culture from the museum and to analyze and change the synesthetic structure of the exhibition. Appropriate use of advanced digital technology should also be supported in the exhibit of some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to meet the demands expressed according to the changes and trends of the tim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education to meet visitors' needs through competitive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a way to raise awareness of traditional culture to the public is necessary
      to inherit and develop the aspects and attributes of traditional culture in a modern or future-oriented reinterpretation. Among the various qualities of conventional culture,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nature-friendly' and stabilize human psychology should be actively utilized. Digitized standard cultural contents cannot escape traditional culture's historical context and properties, and interaction with visitors is essential. Therefore, sensory factors are considered when reinterpret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while balancing. Accordingly, the museum should value social interaction and grow into an open cultural space.
      Key words : Museum, Exhibition, Education, Traditional culture
      content, Intera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2. 선행연구 검토· 2
      • 3.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6
      • Ⅱ. 박물관 전통문화 콘텐츠 전시 현황과 특징· 9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 2. 선행연구 검토· 2
      • 3.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6
      • Ⅱ. 박물관 전통문화 콘텐츠 전시 현황과 특징· 9
      • 1. 국립민속박물관 전시 현황과 특성 9
      • 1) <호랑이 神(신)나다> 전시 9
      • 2) <까레이치, 고려사람> 전시 11
      • 2. 국립중앙박물관 전시 현황과 특성 13
      • 1) <외규장각 의궤, 그 고귀함의 의미> 전시 14
      • 2) <영원한 여정, 특별한 동행: 상형토기와 토우장식토기> 전시 ·· 18
      • 3. 국립고궁박물관 전시 현황과 특성 23
      • 1) <고궁연화> 전시 · 23
      • 2) <궁중현판> 전시 · 27
      • Ⅲ. 박물관 전통문화 콘텐츠 교육 현황과 특징 31
      • 1. 국립민속박물관 교육 현황과 특성 31
      • 1)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 대상 교육프로그램 현황 32
      • 2) 국립민속박물관 서울관 일반인 대상 교육프로그램 현황·· 34
      • 3) 국립민속박물관 파주관 일반인 대상 교육프로그램 현황·· 38
      • 2. 국립중앙박물관 교육 현황과 특성 40
      • 1) 국립중앙박물관의 가상공간 교육 시도 40
      • 2) 국립중앙박물관 전문인력 대상 교육프로그램 45
      • 3. 국립고궁박물관 교육 현황과 특성 48
      • 1) 국립고궁박물관 어린이, 학급단체 대상 교육프로그램 현황· 48
      • 2) 국립고궁박물관 어린이, 학급단체 대상 교육프로그램 특성· 50
      • Ⅳ. 박물관 전통문화 콘텐츠의 의미와 해석 53
      • 1. 박물관 전통문화 콘텐츠의 의미 53
      • 1) 전시 내용과 연출 기법 53
      • 2)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내용 61
      • 2. 박물관 전통문화 콘텐츠의 해석 67
      • 1) 전통문화 콘텐츠의 핵심 가치 연구 67
      • 2) 관람객 맞춤형 콘텐츠 개발 필요 72
      • 3) 디지털 사회에서 전통문화 콘텐츠의 재해석· 78
      • Ⅴ. 결론 83
      • 참고문헌 88
      • Abstract · 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