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의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 : 수도권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를 중심으로

        조형기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91

        The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the field of disabled sport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job turnover on disabled sports leaders working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21.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questionnaire, and the retriev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using the IBM SPSS 21.0 statistics program to analyze frequency,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guidance work, additional income, age, major fields, working period, average monthly income, average monthly allowance, city and province, work type, and reason for job choice differed in job satisfac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in gender, marital status, and possession of second-degree certificates for disabled sports instructor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urnover intentions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differences in intention to change jobs depending on reasons for working, working period, average monthly income, average monthly allowance, belonging to cities and provinces, and choosing jobs other than guidance work.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intention to change jobs in gender, marital status, possession of second-degree certificates for sports instructors for the disabled, incidental income, age, final age, major, and working. Third, the working environment of disabled sports leaders affected job satisfaction, and among the sub-factors of the work environment, the work environment and work environment were correlated with job descriptive indicators, but the welfare environment was not correlated with job descriptive indicators. Among the subfactors of the working environment, the work environment and the welfare environment were found to be correlated with the job satisfaction index, but the work environment was not correlated with the job satisfaction index. Fourth, the working environment of disabled sports leaders affected the intention of changing jobs, and among the sub-factors of the working environment,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welfare environment were found to be correlated with the intention of changing jobs. 본 연구는 수도권에서 근무하는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를 대상으로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장애인생활체육분야의 효과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2021년 수도권에서 근무하는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수집을 진행하였으며 회수한 설문지는 IBM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났다. 지도업무 외 업무담당, 부수적 수입, 연령, 전공분야, 근무기간, 월 평균 수입, 월 평균 수당, 소속된 시·도, 근무소속형태, 직업선택이유에 따라 직무만족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별, 결혼유무, 장애인스포츠지도사 2급 자격증 소지여부, 최종학령에서는 직무만족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났다. 지도업무 외 업무당당, 근무기간, 월 평균 수입, 월 평균 수당, 소속된 시·도, 직업선택이유에 따라 이직의도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별, 결혼유무, 장애인스포츠 지도사 2급 자격증 소지여부, 부수적 수입, 연령, 최종학령, 전공분야, 근무소속형태에서는 이직의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의 근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환경의 하위 요인 중 작업환경, 업무환경은 직무기술지표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복지환경은 직무기술지표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환경의 하위 요인 중 작업환경, 복지환경은 직무만족지표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업무환경은 직무만족지표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생활체육지도자들의 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환경의 하위 요인 중 작업환경과 업무환경, 복지환경은 이직의도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장애인체육 행정조직 구성원의 직무환경이 행정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Job Environment of Disability Sports Administrative Organization Workers on the Administrative Service Quality

        양영재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체육 행정조직 구성원의 직무환경이 행정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장애인체육 행정조직 중 대한장애인체육회와 17개 시도장애인체육회, 149 개 시군구장애인체육회에 근무하고 있는 행정직 직원을 대상으로 연구에 관한 내용과 목적을 설명한 후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을 이용하여 총 17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그 중 연구의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 9명의자료를 제외한 후 총 161명의 자료를 연구에 활용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통해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그리고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장애인체육 행정조직 구성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환경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소속과 직위는 조직정책 요인에서 차이가 있었고, 연령대는 급여 요인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근무지역에서는 물리적 환경, 조직정책 요인에서 차이가 있었고, 근무기간에서는 동료, 조직정책 요인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급여수준에서는 급여 요인에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성별, 장애여부, 최종학력, 고용형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장애인체육 행정조직 구성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행정서비스 품질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최종학력은 확신성, 유형성, 공감성 요인에서 차이가 있었고, 근무지역은 확신성, 유형성 요인에서, 근무기간은 공감성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성별, 소속, 연령대, 장애여부, 고용형태, 직위, 급여수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장애인체육 행정조직 구성원들의 직무환경과 행정서비스 품질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체육 행정조직 구성원의 직무환경이 행정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신뢰성 요인은 직무환경의 급여, 물리적 환경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응성 요인은 직무환경의 물리적 환경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신성 요인은 직무환경의 동료,물리적 환경, 급여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감성 요인은 직무환경의 급여, 물리적 환경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형성 요인은 직무환경의 물리적 환경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impact of job environment of disability sports administrative organization workers on administrative service quality.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70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the self-administration method after explaining the contents and purpose of the study to the administrative staff working at the Korea Paralympic Committee, 17 provincial para sports associations, and 149 city and district para sports associations among the disability sports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in Korea, After excluding 9 data that did not meet the purpose of the study, a total of 161 data were used for the study, and a questionnaire was used as a research tool, and data processing was conduct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1 program to conduc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job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sports administrative organization workers, and found that affiliation and position differed in organizational policy factors, and age group differed in salary factors. For work area, there were differences in physical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policy factors, and For work period, there were differences in colleagues and organizational policy factors. For salary level, there were differences in salary factor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disability, final education, or employment type. Second,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sports administrative organization workers, and found that the final education leve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ssurance, tangibility, and empathy factors, the location of work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ssurance and tangibility factors, and the duration of work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empathy factor.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ffiliation, age group, disability, employment type, position, or salary level.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job environment and administrative services quality of disability sports administrative organization workers. Four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 job environment on the administrative service quality of disability sports administrative organization workers showed that the reliability factor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salary and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of the job environment, and the responsiveness factor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physical environment factor of the job environment. assuarance fact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workers, physical environment, and salary factors of the job environment, and empathy fact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lary and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of the job environment. Finally, the tangibility fact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hysical environment factor of the job environment.

      • 지적장애인탁구의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 연구

        김만진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탁구의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탁구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여 오랫동안 그 현장을 지켜본 연구 참여자 5명을 선정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그 내용들을 분석하여 30개의 개념, 13개의 범주, 7개의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탁구에서 스포츠등급이 가지는 의미는 먼저 지적장애유형(지적장애, 지적장애를 동반한 자폐성장애)을 구분하고, 각 유형 안에서 지적장애 정도에 따라 동등한 조건에서의 경쟁을 의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적장애인에게 있어서 지적능력의 차이는 노력만으로 극복하기 어려운 한계이기 때문에 중증지적장애인과 경증지적장애인을 통합으로 경쟁하게 하는 것은 불합리한 조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적장애인탁구에서 통합경기의 이유를 살펴보면, 장애인스포츠에 대한 인식이나 관심이 여전히 부족하여 통합체급에 관한 문제점을 크게 인식하지 못하였고, 관련기관이나 단체에서는 중증지적장애인선수가 몇 명되지 않는 소수라는 인식과 과거 시행했던 계획을 관례대로 적용함으로써 중증지적장애인탁구선수들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발전시키지 못하였음 볼 수 있었다. 또 다른 이유는 중증지적장애인을 위해 장애유형별로 등급을 구분하자는 목소리가 지금까지 없었다는 것이다. 휠체어나 스탠딩 선수들은 자신들에게 불합리한 것들에 대해 충분히 주장하고, 시정을 요구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중증지적장애인 본인들은 주장할 수 있는 능력이 크게 제한됨으로써 보호자 또는 관련기관이나 단체에서 적극적으로 대변하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지적장애인탁구의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을 위해 중증지적장애인선수와 경증지적장애인선수의 수준차이는 노력으로 극복할 수 없는 그 한계를 인정하고, 제도를 개선하여 스포츠등급을 구분함으로써 비교적 비슷하게 경쟁이 될 수 있게 함으로써 중증지적장애인 및 보호자들이 스스로 포기하지 않고, 일상적인 탁구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증대시켜야 활성화가 가능하다고 제시되었다. 또한 지적장애인탁구의 스포츠등급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전문가들의 충분한 연구를 통해 지적장애유형(지적장애, 자폐성장애)을 먼저 나눈 다음, 각 유형별 세부등급을 구분하여야 한다고 말하였고, 생활체육대회에서는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로 구분하고 구 복지카드의 1급, 2급, 3급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하였다. 셋째, 지적장애유형별(지적장애, 지적장애를 동반한 자폐성장애)로 스포츠등급이 구분이 되어 지적장애인들의 탁구가 활성화되면, 중증지적장애인들의 탁구활동 참여기회가 확대되고 보호자 입장에서는 중증지적장애인을 지원하는데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사한 역량을 지닌 선수들끼리 경쟁을 하게 됨으로써 보호자들이 자신의 자녀도 탁구경기 참여가 가능하겠다는 인식이 증대되어 많은 중증장애인과 보호자들이 탁구활동에 참여함으로써 건강유지와 즐거움 등의 삶의 질이 긍정적으로 변화될 것이라고 제시되었다. 끝으로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생활체육이나 기타 대회에서는 지적장애인탁구선수들의 스포츠등급이 장애유형별로 구분되고, 지적장애 수준을 고려한 경쟁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많은 중증지적장애인들과 보호자들이 탁구활동에 참여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주요어 : 중증지적장애인, 지적장애정도, 생활체육, 장애인탁구 This study aims to promote sport participation in table tenni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this end, five research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directly and indirectly in table tennis for the disabled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and 30 concepts, 13 categories, and 7 topic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sports grades in table tennis for the disabled was to distinguish type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ism disorders) first, and to compete with severely intellectual and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each type was found to be unreasonable. In addition, the reason for the integrated game in table tennis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was that there was still a lack of awareness or interest in sports for the disabled, and related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failed to develop specific plans for table tennis players. Another reason is that there has been no voice so far to classify grades by type of disability for people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Wheelchair or standing athletes can claim and demand correction for unreasonable things, but relatively severely intellectually challenged themselves are greatly limited in their ability to claim, indicating that they must actively represent their guardians,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Second, in order to revitalize sports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thlete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walls that cannot be overcome by effort from the beginning, and should recognize the limitations and improve the system to help severely disabled and guardians participate in daily table tennis activities. He also said that in order to distinguish the sports grades of table tennis for the intellectual disabled, the type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intelligence and autism) should be divided first through sufficient research by experts, and it is desirable to classify each type. Third, if the sports class is divided by intellectual disability type (intellectual and autistic), the opportunity for the intellectual disabled to participate in table tennis activities can be expanded. Finally, we hope that the sports grades of table tennis play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ll be divided into disability types and compete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intellectual disability, which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for many severely intellectual disabled and guardians to participate in table tennis activities. Key Word: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degree of intellectual disability, sports for all, table tennis for the disabled

      • 시각장애인의 장애인체육 참여형태에 따른 생활만족 및 운동지속의도에 관한 연구

        이민우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7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der leadership style on the handicapped archers’ athletic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the handicapped ar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38th National Para Games held in Korea in October 2018 and acquiring their consents. Out of total 62 handicapped archers, data of 53 archers were analyzed except for 9 cases with omissions and errors. Conclusions drawn out from the analysis of data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the leadership style perceived by the handicapped archer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in the autocratic behavior which is a sub-factor of the leadership style with age of over 50 standing the highest followed by age of 30 through 50 and the age under 30.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raining and instructional behaviors, which are sub-factors of the leadership style based on career, an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thletic competency in democratic behavior and positive reward behavior, which are sub-factors of the leadership style based on athletic competency.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the athletic performance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handicapped ar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hletic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athletic competency.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 perceived by the handicapped archers and athletic performance, positive reward behavior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m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raining and instructional behavior and athletic performance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positive reward behavior. Finally,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effect of leadership style perceived by the handicapped archers on athletic performance, positive reward behavior among the sub-factors of leadership sty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thletic performance.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체육활동 참여형태에 따른 생활만족과 운동지속의도의 차이를 확인하고 참여형태가 생활만족과 운동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각장애인스포츠연맹, 전국의 시각장애인연합회 및 복지관 등에서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남·여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48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누락된 설문지 15개를 제외하고 총 133개의 설문지를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인의 운동경력에 따른 생활만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각장애인의 성별에 따른 운동지속의도는 운동습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각장애인의 장애등급에 따른 운동지속의도는 운동습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각장애인의 연령에 따른 운동지속의도는 운동습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시각장애인의 운동경력에 따른 운동지속의도는 운동능력, 운동습관, 운동환경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시각장애인의 체육활동 참여형태에 따른 생활만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곱째, 시각장애인의 체육활동 참여형태에 따른 운동지속의도에는 운동능력, 운동습관, 운동환경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시각장애인의 생활만족과 운동지속의도의 하위 요인의 각 변수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생활만족은 운동능력, 운동습관, 운동환경, 운동관심, 운동친구에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운동능력은 운동습관, 운동환경, 운동관심, 운동친구에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운동습관은 운동환경, 운동관심, 운동친구에서 정적상관이 있었고, 운동환경은 운동관심, 운동친구에서 정적상관이 있었고, 운동관심은 운동친구에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사회적 기업이 운영하는 발달장애 체육센터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별별생활체육센터를 중심으로

        김지수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59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Star-Star Sports Center, a sports center for developmental disability operated by social enterprises. As the purpose state, the first 'Why do social enterprises operate sports centers for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the second 'How do social enterprises operate sports centers for developmental disability?' were set in two ways. The data of this study selected in-depth interview data for one representative of a social enterprise who led the establishment of a sports center, two instructors who worked a sports center, and thre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ho used the sports center program. In addition, the sports center's operation white paper, business plan, survey results, and recruitment information were secured, and news articles and media interviews on social enterprise Bearbetter were also referenced. The collected data used a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was used. First, sentences or conversations that reveal the meaning or gist related to the research question were selected from the contents of the in-depth interview and literature data transcribed. In addition, the subject was selected and named for the first time based on repeated contents or meanings among the derived data. The sub-themes and the sub-themes were summarized and grouped into sub-themes by summarizing the meanings given through individualization, and then grouped into the same subject and classified into sub-themes. In addition, the contents classified by subject were reviewed whether they were accurately classified through a cross-checking process,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summarized.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on the first purpose state, a total of 2 major themes and 6 sub themes were derived. The two major themes were derived as "Creating Healthy Jobs (reasons for establishment)" and "Sports Faciliti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Disability (reasons for operation and maintenance)."In the first major themes. "Creating Healthy Jobs," we were able to confirm the motivation for establishing a sports center for social enterprises to create healthy job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s well as simple employment. In the second major theme, "Sports Faciliti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Disability," we were able to see why separate sports centers should be operated and maintained through the identity of welfare facilities for employees, the realization of "Work-label" of employees, and further efforts to revitalize community developmental disability. Through these results, the core theme of the research problem was derived from the phrase "What No One Doe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on the second purpose state, a total of 5 major themes and 11 sub-themes were derived. The five major themes were "continued investment (resource)" "Contradictory Answers, Daily Sports (branding)," "Free and Friendly Sports Welfare Facilities, "Professional Talents (trainers)" and "Customized Content (program) that anyone can enjoy." The first major theme, "Continuous investment as long as the company exist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nancial structure for operating the sports center. In the second major theme, "The Answer to Conflict, Sports for All," the branding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 which provides daily sports activities that are not special to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ho show special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third major theme, "Free and Friendly Sports Welfare Space," the sports center space operated as a welfare sports center in a company was characterized by a developmentally disabled-friendly composition. In the fourth major themes, "Professional Talent Who Understands Disability," the characteristics were the recruitment of talent who can understand and match disability and the guidance method that leads to user achievement. The last fifth major themes, "Customized Content for Anyone to Enjoy,"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s that provide users with opportunities to choose and elicit willingness to re-participate through pleasure, and pursuing customized programs for the disabled in the community. the Center was solidifying its identity as a new model that did not exist before, so the core theme of "Korea's Fitst Social Enterprise Sports Center" was deriv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argets sports centers operated by social enterprises that have not been introduced in the field of sports for the disabled. In particula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at sports facilities advocated small-scale developmental disability-friendly facilities compared to large-scale sports centers for the disabled, which are establish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new model will provide basic data to reconsider the necessity of developing various types of sports center model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and the value of sports service providers in the third sector to which social enterprises belong.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이 운영하는 발달장애 체육센터인 별별생활체육센터라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질적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로 첫 번째 ‘사회적 기업은 발달장애 체육센터를 왜 운영하는가?’, 두 번째 ‘사회적 기업은 발달장애 체육센터를 어떻게 운영하는가?’로 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로는 체육센터 설립을 주도한 사회적 기업 대표 1인, 체육센터에서 근무하거나 근무하였던 지도자 2인, 체육센터 프로그램을 이용했던 발달장애인 3인의 심층 면담자료를 선정했다. 추가적으로 체육센터의 운영백서, 사업계획서, 설문조사결과, 모집안내문 등을 확보했으며, 사회적 기업 베어베터에 관한 뉴스기사와 언론 인터뷰도 참고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전사된 심층면담 및 문헌자료 내용들 중에서 연구 문제와 관련된 의미나 요지가 잘 드러나 있는 문장 혹은 대화들을 선별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자료들 중에서 반복되는 내용들이나 의미들을 토대로 주제를 선별하여 최초로 이름을 부여하였다. 소주제 및 대주제는 개별화를 통해 부여된 의미들을 요약하여 소주제로 묶고 이를 동일 주제로 다시 묶어 대주제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주제별로 분류된 내용은 교차 확인 과정을 거쳐 정확하게 분류하였는지를 검토하였고 분석 결과를 요약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자료분석 결과 총 2가지의 대주제와 6가지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2가지 대주제는 ‘건강한 일자리 만들기(설립의 이유)’,‘발달장애 특성에 맞는 체육시설(운영 및 유지의 이유)’로 도출되었다. 첫 번째 대주제‘건강한 일자리 만들기’에서는 단순한 고용뿐만 아니라 발달장애인의 건강한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사회적 기업의 체육센터 설립동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대주제‘발달장애 특성에 맞는 체육시설’에서는 직원들을 위한 복지시설로서의 정체성과 이를 통한 직원들의 ‘워라벨’실현, 더 나아가 지역사회 발달장애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통해 별별생활체육센터가 운영되고 유지되어야 하는 이유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연구문제의 핵심주제는 ‘아무도 하지 않는 일’이라는 문구로 도출되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자료분석 결과 총 5가지의 대주제와 11가지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5가지 대주제는 ‘회사가 존재하는 한 계속되는 투가(재원)’,‘모순의 해답, 생활체육(브랜딩)’, ‘자유롭고 친화적인 스포츠 복지 공간(시설)’, ‘장애를 이해하는 전문 인재(지도자)’,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맞춤형 콘텐츠(프로그램)’로 도출었다. 첫 번째 대주제‘회사가 존재하는 한 계속되는 투자’에서는 체육센터를 운영하기위한 재원구조에 대한 특성이 나타났다. 두 번째 대주제‘모순의 해답, 생활체육’에서는 특별한 특성을 보이는 발달장애인에게 특별하지 않은 일상적 체육활동을 제공한다는 별별생활체육센터만의 브랜딩 특성이 나타났다. 세 번째 대주제‘자유롭고 친화적인 스포츠 복지 공간’에서는 기업 내 복지 스포츠센터로 운영되는 체육센터 공간을 발달장애인 친화적으로 구성한 특성이 나타났다. 네 번째 대주제‘장애를 이해하는 전문 인재’에서는 장애를 이해하고 이에 맞춰 줄 수 있는 인재가 채용된 점과 이용자의 성취를 이끌어내는 지도방식이 그 특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다섯 번째 대주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맞춤형 콘텐츠’에서는 이용자에게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고 즐거움을 통한 재참여의지를 이끌어내는 프로그램 특성과 지역사회 발달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추구하는 특성이 나타났다. 이를 종합했을 때 별별생활체육센터는 기존에 없었던 새로운 모델로서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있었기 때문에‘국내 최초 사회적 기업형 체육센터’라는 핵심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장애인체육 분야에서 소개되지 않은 사회적 기업이 운영하는 체육센터를 대상으로 한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체육시설에 한해서는 정부와 지자체 주도로 설립되고 있는 큰 규모의 장애인체육센터에 비해 작은 규모의 발달장애 친화적 시설을 표방한 것에 그 차별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이러한 새로운 모델을 통해 장애특성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체육센터 모델 개발의 필요성과 사회적 기업이 속한 제3섹터 영역에서의 체육 서비스 제공 기관으로서의 가치를 재고해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장애인양궁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운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영주 한국체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59

        국문요약 장애인양궁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운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장애인체육전공 정 영 주 본 연구는 장애인양궁선수들을 대상으로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과 운동성과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여 장애인양궁에서 지도자의 지도행동 유형이 선수의 운동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8년 10월 국내에서 개최된 제 38회전국장애인체육대회에 참가한 장애인양궁선수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동의를 받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6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누락되거나 잘못 기입된 자료 9개를 제외하고 총 5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의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양궁선수들이 개인적 특성에 따라 인식하는 지도행동 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에 따른 지도행동유형의 하위요인인 전제적 행동에서는 50세 이상, 30세-50세 미만, 30세미만 순으로 높게 나타나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력에 따른 지도행동유형의 하위요인인 훈련과 지시행동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기력에 따른 지도행동유형의 하위요인인 민주적 행동과 긍정적 보상행동에서는 경기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양궁선수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운동성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경기력에 따른 운동성과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양궁선수들이 인식하는 지도행동 유형과 운동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보상행동은 민주적 행동에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사회적 지지행동은 훈련과 지시행동에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성과는 긍정적 보상행동에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장애인양궁선수들이 인식하는 지도행동 유형이 운동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도행동유형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보상행동이 운동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장애인양궁, 장애인양궁 지도자, 장애인양궁 선수, 지도행동유형, 운동성과 ABSTRACT Influence of Para-Archery Leaders Coaching Behavior Types on Athletic Performance Jung, Young-Joo Department of Disability Sport Graduate School of Sports and Leisure studies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der leadership style on the handicapped archers’ athletic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the handicapped ar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38th National Para Games held in Korea in October 2018 and acquiring their consents. Out of total 62 handicapped archers, data of 53 archers were analyzed except for 9 cases with omissions and errors. Conclusions drawn out from the analysis of data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the leadership style perceived by the handicapped archer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in the autocratic behavior which is a sub-factor of the leadership style with age of over 50 standing the highest followed by age of 30 through 50 and the age under 30.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raining and instructional behaviors, which are sub-factors of the leadership style based on career, an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thletic competency in democratic behavior and positive reward behavior, which are sub-factors of the leadership style based on athletic competency.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the athletic performance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handicapped arc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hletic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athletic competency.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 perceived by the handicapped archers and athletic performance, positive reward behavior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m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raining and instructional behavior and athletic performance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positive reward behavior. Finally,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effect of leadership style perceived by the handicapped archers on athletic performance, positive reward behavior among the sub-factors of leadership sty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thletic performance. Keywords: Para-archery, Archers of para-archery, Instructors of para-archery, Coaching behavior type, Athletic performance

      • 장애인아이스하키 활성화방안 연구

        한민수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59

        본 연구는 델파이(Delphi)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국내 장애인아이스하키 종목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관련 분야별 관계자들의 견해를 균형 있게 확인하고 다양한 대안을 탐색하여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장애인아이스하키 종목과 관련된 협회 관계자, 장애인체육 관련 기관 전문가, 10년 이상의 선수 경력 및 지도 경력이 있는 15명의 전문가를 모집단으로 구성하여 각 단계별 설문을 실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는 개방형 설문을 통해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으며, 설문에 대한 응답은 내용분석을 통해 반복되는 단어와 주제를 분류하고 범주화하였으며, 2차 델파이조사에서는 응답한 내용을 토대로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5개의 영역별로 중요요인을 다시 검증하였다. 3차 델파이조사에서는 리커트(likert)식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SPSS 22.0 프로그램과 Microsoft Excel을 사용하여 요인별 평균, 표준편차, Cronbach’s α를 구하고 내용타당도지수, 합의도를 산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의 파라아이스하키 종목 활성화에 대한 제약요인은 실업팀 부족, 생활체육저변 부족, 선수층의 고연령 및 세대교체 미흡, 선수육성체계 및 선수자원 부족, 전문인력 인프라 부족, 부족한 시설 인프라, 행‧재정지원 부족, 홍보 부족, 종목별 중장기 계획 부족, 종목 및 시설 접근성 부족, 지도자 및 전문인력 고용 불안정 등 총 11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국내의 파라아이스하키 종목 활성화를 위한 기회요인으로는 동계패럴림픽 메달 획득, 파라아이스하키 아카데미 운영, 대학 동호인 및 일반 동호인팀 창단, 평창동계패럴림픽 레거시, 전문실업팀, 국제대회 개최 등 총 8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국내의 파라아이스하키 종목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전용훈련시설 구축 및 확대와 기존 시설 접근성 확보, 파라아이스하키 생활체육 활성화 예산 확대, 은퇴선수 지원, 후원사 유치, 레거시 활용, 장애인식 개선 사업 증가 등 총 18개의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국내의 파라아이스하키 종목 활성화를 위한 세부 방안 중 우선순위는 제약요인, 기회요인 그리고 활성화 방안의 정책적 요인에서 적합성 검증 상위 5개를 선정하였다. 먼저, 제약요인으로는 생활체육 저변부족, 선수육성체계 및 선수자원 부족, 홍보부족, 실업팀 부족, 지도자 및 전문인력 고용불안정으로 나타났다. 기회요인으로는 동계패럴림픽 메달획득, 파라아이스하키 아카데미 운영, 대학동호인 및 일반 동호인팀 창단, 클럽팀 활성화, 장애인전용 체육시설 확충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정책적 요인으로는 시‧도 파라아이스하키 클럽팀 창단 확대 및 지자체 지원체계 구축, 선수발굴 프로그램 확대, 파라아이스하키 종목 강습회 및 체험 확대, 미디어 홍보확대, 레거시 활용으로 도출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에서 활성화를 위해 제시된 각 요인과 우선순위를 통해 향후 국내 장애인아이스하키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스포츠강국으로서의 면모를 갖출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alance the perspective of stakeholders in various related fields, as well as explore and present various alternatives to revitalize the domestic Para Ice Hockey(PIH) sport using the Delphi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15 expert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and guidance, including association officials related to PIH events for the disabled in Korea, were surveyed at each stage. The first Delphi survey was freely announced through an open survey, and the responses to the survey were classified and categorized through content analysis. In the second Delphi survey, priority was given based on the responses from the first survey, and key factors were verified again for each of the five parts of the survey. In the third Delphi survey,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Likert 5- point scale. The collected results were obtain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Microsoft Excel to obtain the mean, standard deviation, Cronbach’s a by factor, content validity index, and agreement.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11 constraints on activating PIH in Korea, included are; lack of teams for the unemployed, lack of variety of ages and generational replacement of athletes, lack of professional infrastructure, lack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lack of mid-to long-term planning, lack of access to sports facilities, and instability of leaders and professional humans. Secondly, there are eight opportunities to revitalize PIH events in Korea. These include winning medals at the Winter Paralympics, operating a PIH academy, founding university and ordinary club teams, the Pyeongchang Winter Paralympics legacy, a professional team for the unemployed, and finally, hosting international competitions. Thirdly, there are a total of 18 factors to revitalize PIH in Korea, including building and expanding dedicated training facilities, securing access to existing facilities, expanding budgets for PIH, supporting retired players, attracting sponsors, using legacy, and improving disability awareness. Fourth, among the detailed measures to revitalize domestic PIH stocks, the top five limitations, opportunity factors and policy factors of conformity measures were selected through suitability verification. To summarize, the limitations were found to be a lack of the base of available daily sports, a lack of athlete training systems and athlete resources, a lack of public relations, a lack of teams for the unemployed, and instability in hiring leaders and professionals. Opportunities include winning medals at the Winter Paralympics, operating the PIH Academy, establishing a university and ordinary club teams, revitalizing club teams, and expanding sports facilities for the disabled. Finally, the policy factors for the revitalization plan were to expand the establishment of the regional PIH club team, establish a support system for local governments, expand athlete programs, expand PIH classes and experiences, expand media publicity, and bring into effective action, legacy. This study was conducted at each part through experts related to PIH in Korea using Delphi research method as a study to revitalize PIH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through each factor and priority presented for action in this study’s results,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activation of PIH and to realize Korea’s potential to become a sports powerhouse.

      • 장애인태권도 품새 심판의 판정에 대한 스트레스 요인 탐색

        변기찬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43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and literature searches on Poomsae referees who participated in the Poomsae Competition (a competition approved by the Korea Paralympic Taekwondo Association) for the past three year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how to cope with stress factors generated and recognized during the activities of Poomsae referee for the disabled and the improvements in Poomsae games. First, Poomsae referees with disabilities were being used as a stressor in the game due to poor concentration of Poomsae referees or a momentary mistake in the absence of detailed regulations. In the judgment of Poomsae for the disabled, technical skills are scored by looking at the movements demonstrated by the disabled Poomsae player, and the expressiveness is judged and scored through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overall Poomsae movement. In particular, missing or mistakenly pressing the details of the action will result in the exclusion of one's score as the highest or lowest point. Therefore, for the quality of the Poomsae competition and better accurate judgment of the players, referees must urgently supplement and improve their efforts to improve their concentration and make skilled referee decisions not to make mistakes. Second, as for the judgment of Poomsae for the disabled, which requires expertise, the allocation of referees currently conducted by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gathers on the day of the Poomsae game and makes judgment decisions along with practical and theoretical education.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the proficiency of referees as there are not many taekwondo competitions for the disabled. Currently, there are very few judges who act as professional referees, and it is difficult to find professional referees because they combine gym and other tasks, and there are many variations in scoring standards, which can cause damage to players. Since Poomsae competition is held by type of disability,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in Poomsae judgment are required, and it can be seen as an important part. In addition, in the case of Poomsae professional referees, there is always anxiety about mechanical errors in scoring devices relating to competition. These various situations cause stress as a referee. Therefore, all handicapped Poomsae referees must be composed of professional referees and must be conducted with detailed and accurate judgment of Poomsae referees when competing. Third, stress from improved treatment of referees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required expertise and concentration to be conducted as scoring competitions, while taekwondo competitions for the disabled had relatively small daily fees and poor rest areas. The referees preferred realistic daily expenses and equipment payments for treatment improvements, and the competition should be held in places where facilities such as rest areas are not inconvenient for disabled athletes. It shall improve the treatment of referees and the environment of the stadium by securing budget so that it can be helpful for judgment of referees. Fourth, the evaluation system for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expresses difficulties in judging judgment. The classification of disabilities in the Taekwondo Poomsae competition conducted by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is divided into the dea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the visually disabled, the physically disabled, and the athletic disabled. Here again, the game should be divid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sability, but in the case of the new intellectually disabled parts competition, the level of disability is not properly distinguished. Poomsae referees perceive it as an unreasonable judgment evaluation because they are currently conducting a Poomsae game based on the designated official Poomsae, and they believe that intellectually disabled players should be demonstrated by distinguishing their disabilities. Therefore, according to the exact degree of disability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we hope that the Poomsae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will be revised and distributed, not by official Poomsae, to promote many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festival. Fifth, if you look at the lack of Poomsae scoring standards for disabled athletes, the disabled taekwondo competition distinguishes the types of disabilities, so each disability rule should be presented and explained sufficiently by disabilit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oomsae competition for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proper evaluation methods should be implemented by diversifying scoring standards suitable for the degree of disability and minorities of disability. The criteria for properly making referee decisions are not clear, which causes stress in the decision. In order to clarify the criteria for judgment based on the degree of disability, the judges should be trained according to the disability level so that the disabled players can know whether they appl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disability, played properly, and even judged the situation. The stressors of judging refereeing for disabled Poomsae can be divided into direct and indirect stress, which can be seen as stress caus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game and unreasonable situations for disabled players or leaders. As a way for individuals to deal with stress relief by disabled judges, they see themselves as professional Poomsae referees and operating stress-handling methods tailored to individuals. The disabled Taekwondo Poomsae Referee expresses his strong will and pride in his responsibilities and duties while performing his own refereeing activities, faithfully fulfilling his role as a Poomsae Referee for the disabled. Therefore, referees also play an important role as part of the game, so they should find and suggest to the association what can be improved to help disabled athletes, family members, leaders and association officials.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 will develop a systematic and practical response for Poomsae referees, and establish a task force or research team to provide universal awareness of disabled people. In addition, we look forward to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we live together and creating new milestones for the disabled to become a venue for the festival. 본 연구는 장애인태권도 품새 심판의 판정에 대한 스트레스 요인 탐색을 규명하기 위해 2020년까지 대한태권도협회 품새 상임심판 중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품새 심판으로서 최근 3년 이상 대한장애인 품새 대회(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에서 승인한 대회)를 참여한 품새 심판을 대상으로 면담 및 문헌 탐색을 실시하였다. 장애인태권도 품새 심판 활동 중에 생성되어 인지하는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대처 방식과 품새 경기의 개선점에 대해 정리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장애인 품새 심판은 심판들과 다른 판정의 결과에 따른 사항으로 장애인 품새 경기에 따른 경기 규칙서는 있으나 세부 규정서가 없는 상황에서 장애인 품새 심판원들의 집중도가 떨어지거나, 순간의 실수로 인한 판정 등으로 경기에서 스트레스 요인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장애인 품새 판정에는 장애인 품새 선수가 시연하는 동작을 보며 기술성을 채점하고, 전체적 품새 동작 수행 과정을 통하여 표현력을 판단하고 채점하는 것이다. 특히 동작의 세밀한 부분을 놓치거나, 잘못 누른 경우와 자신의 점수가 최고점이나 최저점으로 배제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하기에 품새 경기 대회의 질적인 면과 선수들의 보다 나은 정확한 판정을 위해서도 심판은 집중력을 높이고, 실수를 하지 않기 위한 숙련된 심판 판정을 위해 본인의 노력으로 시급하게 보완하고 개선해야 할 문제이다. 둘째, 전문성이 필요한 장애인 품새 심판에 대한 사항으로는 현재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에서 시행하고 있는 경기 심판 배정의 경우 품새 경기가 있는 당일에 모여 실기와 이론교육을 통해 습득한 내용을 첨부하여 심판 판정에 임하고 있다. 특히 장애인태권도 경기는 대회가 많이 열리지 않아 심판들의 숙련 과정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 현재 전문 심판으로 활동하는 심판이 극소수이며, 체육관이나 다른 일들을 겸업하고 있어서 전문성이 있는 심판들을 찾아보기 힘들고, 점수 채점에 관한 기준도 제각각인 경우가 있어 많은 편차가 발생하기도 하여, 제대로 숙지하지 못한 판정으로 인해 선수들에게 피해가 발생할 소지가 많다. 장애 유형별로 품새 경기가 이루어지고 있기에 품새 판정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고, 중요한 부분이라 볼 수 있다. 또한 품새 전문 심판의 경우 겨루기에 대한 채점에 관련한 채점기기의 기계적 오류에 대한 불안감이 항상 내재 되어있다. 위와 같은 여러 가지 상황으로 인하여 심판으로서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장애인 품새 심판들은 하나같이 전문적인 심판으로 구성하여 겨루기면 겨루기 심판이, 품새면 품새 심판이 세밀하고, 정확한 심판 판정으로 시행해야 한다. 셋째, 심판의 처우개선과 외부 환경 등에서 오는 스트레스는 장애인 품새 경기는 채점 경기로 실시하기에 전문성과 집중력이 필요하며, 장애인 태권도 경기는 대회 재정상의 문제로 상대적으로 적은 일비와 휴식 공간의 부실 등은 품새 경기 대회에서 심판 판정과 함께 심판들에게 스트레스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심판들은 처우개선의 사항에는 현실적인 일비와 비품 지급을 선호하였고, 경기장의 외부 환경으로는 휴식 공간 등 시설물에 대해서도 장애인 선수들에게 불편함이 없는 경기 시설이 되어있는 곳에서 대회를 시행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예산 확보를 통해 심판들의 처우개선 및 경기장의 환경을 개선하여 심판 판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지적장애인들의 장애 정도에 따른 평가제도에 대해 심판 판정에 애로사항을 표현하고 있다.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에서 실시하는 장애인태권도 품새 경기의 장애 분류는 청각장애인부, 지적장애인부, 시각장애인부, 지체장애인부, 운동장애인부로 구분하여 시행하고 있다. 여기에서 다시 장애의 정도에 따라 구분하여 경기를 시행하여야 하는데 지적장애인부 품새 경기의 경우에는 제대로 장애 정도의 구분이 이루어지지 않고 시행되고 있다. 품새 심판들은 현재 지정된 공인 품새를 기본으로 품새 경기를 진행하고 있어 불합리한 판정 평가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지적장애인 선수를 확실히 장애 정도를 구분하여 품새나 동작을 시연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기에 지적장애인 선수에 대한 품새 판정에 대해 회의감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지적장애인부에 대한 정확한 장애 정도에 따라 지적장애인에 맞는 품새를 수정 보완하여 실시하고, 특히 중증지적장애인의 경우 공인 품새가 아닌 새로운 장애인 품새나 장애 수준별 동작 등을 제작하여 보급함으로써, 지적장애인들이 대회에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홍보하고, 즐거운 축제의 경기를 통해 모든 장애인 선수들이 다시 참가하고 싶은 대회를 선사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길 기대한다. 다섯째, 장애인 선수들의 품새 채점 기준이 결여되는 사항에 대해 알아보면 장애인태권도 경기는 장애 유형을 구분하고 있기에 각각 장애별 경기 규칙이 제시되고 그에 대한 장애별로 설명이 충분하게 이루어져야 하는데, 현재로선 여기에 대한 내용이 전혀 없는 사항이다. 특히 지적장애인들의 품새 경기의 경우 장애 정도에 맞는 채점 기준을 다변화하여 장애 의 경증과 중증에 맞는 품새나 동작이 만들어져서 제대로 된 평가 방법을 시행하여야 한다. 심판 판정을 제대로 할 수 있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판정에 스트레스를 받는 요인이 발생한다. 장애 정도에 따른 판단 기준을 명확히 할 수 있도록 심판들에게 장애 등급별에 맞는 교육을 실시하여 상황에 따라 장애인 선수들이 제대로 등급에 맞춰 신청 했는지, 제대로 시합을 뛰는지, 심판이 상황 판단까지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장애인 품새 심판 판정에 관한 스트레스 요인은 직접적인 스트레스와 간접적인 스트레스로 나눌 수 있는데 직접적인 스트레스는 경기를 통해 심판 판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우이며, 간접적인 스트레스는 경기의 외부적인 환경과 장애인 선수나 지도자들의 입장에서 오는 불합리한 상황 등으로 발생하는 스트레스라 볼 수 있다. 장애인 심판들의 스트레스 해소에 대한 개인들의 대처 방식으로는 본인들 스스로 전문적인 품새 심판으로서 개인에 맞는 스트레스 대처 방식을 운영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장애인태권도 품새 심판은 스스로 심판 활동을 수행하면서 책임감과 사명감을 가지고 불편한 부분은 스스로 감내하면서 본인들의 책무에 대한 투철한 의지와 자긍심을 표명하고 있으며, 장애인 선수들을 위한 봉사의 의무를 마음속으로 다짐하면서 장애인 품새 심판으로 해야 할 역할에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그러므로 심판도 경기의 일부분으로의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기에 경기에 보탬이 될 수 있는 부분을 찾아 개선될 수 있는 사항을 협회에 건의하여 장애인 선수들이나 가족, 지도자, 협회 관계자들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대한장애인태권도협회 차원에서도 품새 심판들을 위한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대처 방식을 개발하고, 또한 태스크포스나 연구팀을 만들어 협회 관계자, 지도자, 심판들에게 교육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보편적 인식뿐만 아니라, 이것을 기반으로 대한태권도협회, 국기원 세계태권도연수원, 세계태권도연맹 등과 협력하여 장애인 품새의 유형별에 관련하여 전문적인 교육을 추진하고, 지적장애인을 포함한 장애인들의 입장에서 등급별에 맞는 새로운 품새나 동작을 제작하고, 표준화하여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품새와 동작을 지정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여 빠른 시기에 패럴림픽 대회에 품새가 참가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더 불어 함께 살아가는 환경을 만들고 장애인들을 위한 새로운 이정표를 만들어 축제의 장이 되는 경기가 될 수 있길 기대해 본다.

      • 지체장애인의 휠체어테니스 참여가 신체적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윤아영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43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휠체어 테니스 참여가 신체적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참여정도에 따라 신체적 자아효능감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휠체어 테니스의 기초자료와 향후 연구 기초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대상자는 휠체어 테니스를 참여하고 있는 전국 20세 이상 지체장애인 성인 남녀 100명과 휠체어 테니스를 참여하지 않은 성인 남녀 1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적으로 206명의 자료를 SPSS 21.0(Window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처리는 독립표본 T검정과 참여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아효능감의 영향을 보기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휠체어 테니스 참여 여부에 따른 신체적 자아효능감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휠체어 테니스를 참여한 대상자들의 신체적 자아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정도에 따른 참여기간과 참여빈도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참여강도(시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으며, 휠체어 테니스의 참여로 신체적 자아효능감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휠체어 테니스의 참여정도에서는 참여강도에 따라 신체적 자아효능감의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and future research on wheelchair tennis by analyzing the impact of wheelchair tennis participation on physical self-effectiveness and the impact of physical self-effectivenes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0 disabled men and women aged 20 or older and 106 adul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wheelchair tennis. Finally, 206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Windows Program), and data processing was conduct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see the effects of physical self-effectiveness based on particip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self-effectivenes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participated in wheelchair tennis, and the physical self-effectiveness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wheelchair tennis was hi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and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nsity of participation (time).

      • 지적장애 단거리 육상선수의 루틴훈련이 스타트구간 기록에 미치는 효과

        유승수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research was planed to investigate how the performance routine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start section record for 16 male sprinter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eight weeks, three times a week, and more than 120 minutes per session, and the homogeneity between groups was verified based on three preliminary tests, and after 18 experimental studies, the results were derived from a total of 24 studies. During the 18th experimental study period, additional performance routine programs were conducted only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16 study subjects, including 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8 in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test and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s pre-test was reduced by about 0.88 seconds from 5.89 seconds to 5.08 seconds, and the control group's pre-test record was reduced by 0.51 seconds from 5.92 seconds to 5.41 seconds on average.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re-test and post-test between the group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ore significant difference than the control group. When comparing the pre-test and post-tes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additionally conducted the performance routine program performed more record reduction than the control group.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rtened 0.88 seconds on average, and the control group shortened 0.51 seconds, so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additional routine programs reduced more records than the control group. Combining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repeated training by modifying and applying performance routines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intellectually disabled track and field athletes reduces the start section record of sprinters. Therefore, repeated performance routine training is required for intellectually disabled sprinters, and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will ease the psychological burden on disabled sports athletes if many follow-up studies are conducted according to various sports and types of disabilities. In addition, if continuous and developmental research continues in the sports field for the disabled, it is believed that many psychological technologies necessary for each type of disability and event can be promoted in sports for the disabled.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 중고등학생 남자 단거리 육상선수 16명을 대상으로 수행루틴 프로그램이 스타트구간기록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규명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는 8주, 주 3회, 회당 120분이상으로 진행되었으며, 3회기의 사전검사를 바탕으로 집단 간 동질성을 검증하였고, 18회기의 실험연구를 한 후 사후검사를 사전검사와 동일하게 3회기 실시하여 총24회기의 연구를 통해서 결과를 도출해 내었다. 18회기 실험연구기간동안에는 실험집단에게만 수행루틴프로그램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 8명과 통제집단 8명까지 16명의 연구대상자 모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사전검사가 평균적으로 5초89에서 사후검사 5초08로 약 0.88초 단축되었고, 통제집단의 사전검사기록이 평균적으로 5초92에서 사후검사기록 5초41로 0.51초 단축되었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비교하였을 때, 수행루틴프로그램을 추가적으로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많은 기록단축을 하게 된 결과가 나타났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를 비교해보면 실험집단이 평균적으로 0.88초 단축하였고, 통제집단은 0.51초를 단축해서 추가적으로 수행루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많은 기록단축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조합해보면 지적장애인 육상선수들의 특성에 맞게 수행루틴을 수정 및 적용하여 반복적인 훈련을 하게 되면, 단거리 육상선수들의 스타트 구간기록이 단축되는 결과를 가져옴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적장애 단거리 육상선수들에게 반복적인 수행루틴 프로그램 훈련이 필요하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지적장애 육상에서뿐만 아니라 장애인체육에서 여러 가지 종목과 다양한 장애 유형에 따라서 많은 후속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장애인스포츠 선수들에게 심리적인 부담을 덜어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장애인체육 현장에서 지속적이고 발전적인 연구가 이어진다면 장애인스포츠에서 각 장애 유형과 종목에 맞게 필요한 심리기술의 많은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