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구지역의 음악공연에 대한 비평 분석 : 2000년 이후 지역 언론지의 비평을 중심으로

        노수경 영남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35

        Analysis on Criticism on Musical Performances in Daegu -With Special Emphasis on Local Media Issued Since 2000- Nho, SooKyoung Department of Administration of Art Graduate School of Art & Design Yeungnam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Min, JooSik) Abstract Since the 20th century, criticism of art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art management. The role of criticism to discuss the values of art has become the standard for art consumers to choose art products, and this came to produce art criticisms for the purpose of selling art products. 'The absence of criticism' has risen as an issue in the overall artistic circles. This paper aims to grasp whether the criticism on music performances in Daegu is playing its role as art criticism properly or not and to study how criticism should develop for the advancement of field of musical art in the region. The range of study is major daily newspapers and art magazines issued in Daegu since 2000 until 2010. Maeil Shinmun and the Yeongnamilbo were selected as the major daily newspapers, and Daegu Munhwa was selected as the major art magazine. This paper determined and classified the standards for criticism on music in order to analyze the criticism on music of three media. The kinds of criticism on music were classified into concerts, created music, situations of musical society and musical festivals. The forms of criticism were classified by the methods of criticism, by the methods of description and by types of critics, and were even classified in more details into analytic criticism, impressive criticism, comparative criticism, professional criticism, criticism in the form of reports, cultural criticism and criticism in the form of essays. The types of critics were classified into reporters, persons related to music including professional critics and others. This paper assorted the criticisms on music in Maeil Shinmun, the Yeongnamilbo and Daegu Munhwa on the basis of these standards, and analyzed the ratio of each category. It's already a past history that art is recognized with its existence itself. Art has become a product with an obligation to catch the public eye, and diverse efforts to create 'art consumers' have emerged. That is, art has come to have a duty to actively show its special value to the consumers with no understanding about art, and attention has been paid to criticism on art as the best means to satisfy that. The culture of criticism has not been absent but failed to keep up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The pressure on the artistic circles for a shift in generations and the artists who failed to feel the needs for groping for directions for criticism to develop are partly responsible for that. The development of culture of criticism suitable to the era would come under not only Daegu but also every city and every nation. If we acknowledge the purpose and diversity of critics and accept criticism not as attack but as attention and affection, we will be able to maintain the culture of criticism not harming the original role of criticism. 국 문 요 지 대구지역의 음악공연에 대한 비평 분석 -2000년 이후 지역 언론지의 비평을 중심으로- 노 수 경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예술행정학과 예술행정학 전공 지도교수 : 민주식 20세기 이후 예술비평은 예술경영과 밀접한 연관을 가진다. 예술의 가치를 논하는 비평의 역할이 곧 예술 소비자들에게 예술상품 선택의 기준이 되었고 이는 곧 예술상품을 판매하는 목적으로 예술비평들을 양산하게 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대구지역의 음악공연 비평이 예술비평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지역 음악예술분야 발전을 위해 비평이 어떻게 발전해야 할 것인가를 연구함에 있다. 연구범위는 대구지역에서 발행되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의 주요 일간지와 예술잡지이다. 주요 일간지로는 매일신문, 영남일보를 선택하였고 주요 예술잡지로는 대구문화를 선택했다. 세 매체의 음악비평을 분석하기 위해 음악 비평의 기준을 정하고 분류하였다. 음악비평의 종류는 연주회, 창작곡, 음악사회적상황 그리고 음악축제로 구분하였다. 비평의 형식은 비평 방식상, 서술방식상 그리고 비평가의 유형으로 분류했고 더 세부적으로 분석적 비평, 인상비평, 비교비평, 전문적 비평, 보고형식 비평, 문화 비평, 수필형식 비평으로 구분하였다. 비평가의 유형은 기자와 전문비평가를 포함한 음악관계자 그리고 그 외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기준을 토대로 매일신문, 영남일보, 대구문화의 음악비평문을 가려내고 각 분류별 비율을 분석하였다. 세 매체의 음악비평 분석을 통해 대구지역 음악공연 비평은 비평문의 목적성이 뚜렷하지 않고 대중과 비평가가 소통할 비평의 장이 부족하며 비평을 두려워하는 문화를 갖고 있다는 문제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음악 비평가는 당대의 음악현상과 쟁점을 진단하고 그 비전을 제시하는 작업을 해야 하는 음악비평의 보편적 지향점을 염두에 두어 대구지역 음악공연 비평의 현재를 진단하고 지향점을 고민하였다. 예술이 존재 자체로 인정을 받는 것은 이미 지난 시대의 이야기가 되었다. 예술은 대중의 이목을 집중시켜야 하는 의무를 가진 상품이 되었고 ‘예술 소비자’를 창출해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대두되었다. 즉, 예술이 가지는 특별한 가치를 예술에 대한 이해도가 없는 소비자들에게 적극적으로 보여야 할 의무를 가지게 되었고 예술 비평은 이를 충족해 주는 가장 좋은 수단으로 주목받았다. 비평문화는 부재한 것이 아니라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지 못했다. 그 것은 세대교체에 대한 예술계의 부담감과 비평의 발전 방향 모색에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던 예술가들에게도 책임이 있다. 시대에 맞는 비평문화의 발전은 대구지역 뿐 만 아니라 모든 도시, 나라에 해당이 될 것이다. 목적성과 비평가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비평을 비난이 아닌 관심과 애정으로 받아들인다면 비평이 갖는 고유의 역할을 해치지 않고 비평문화를 이어갈 수 있을 것이다.

      • 고객관계관리(CRM)의 관점에서 본 공연예술의 관객개발 : 대구오페라하우스를 중심으로

        박민석 영남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35

        고객관계관리(CRM)의 관점에서 본 공연예술의 관객개발 - 대구오페라하우스를 중심으로- 박 민 석 영남대학교 문화예술디자인대학원 예술행정학과 예술행정학 전공 지도교수 : 민 주 식 국문초록 지난 수십년 동안 우리는 경제발전을 위한 산업화 위주의 경제정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여 왔었다. 하지만 후기 산업사회에 접어들면서 문화의 중요성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국민들의 지적 수준 향상과 더불어 인간이 인간답게 살기 위한 수단으로 문화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문화의 산업화와 더불어 국가 경쟁력을 결정짓는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으로 인식되어짐에 따라서 공연예술에 대한 경제적 부가가치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는 시대가 되었다. 또한 국가의 브랜드화를 위한 수단으로 공연예술이 그 가치를 높여가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공연예술은 산업적인 측면에서 윈도우 효과를 가장 직접적으로 가져올 수 있는 효과적인 경제 매개체로 인식되어지면서, 이로 인해 효율적인 경영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로 하게 된 것이다. 또한, 문화예술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더불어 사회적으로 사람들의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함께 문화예술 중에 공연예술의 체험이 보편화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급격한 사회적 변화로 공연예술분야에서 경영은 체계적이지 못한 운영으로 효율성면에서 다소 미흡한 부분들이 발견되고 있다. 그 문제점으로 공연예술분야에서의 경영방식이 여전히 공연기획자 중심의 운영을 통해서 공연을 관람하는 관람객과의 소통에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초기 제작비용이 상대적으로 큰 공연예술분야는 홍보, 마케팅기법의 비전문화로 인해 효율적인 운영이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필자는 일반적인 기업에서의 고객관계관리(CRM)를 공연예술 분야에서도 적극 도입하고 전문화 및 세분화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대구오페라하우스를 중심으로 고객관계관리를 통한 공연예술의 관객개발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즉, 기존 고객관계유지 및 예비고객을 대구오페라하우스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해외의 선진 오페라 전용극장들의 프로그램들을 연구하고 국내 우수사례에 대해서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및 우수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이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체계적인 고객관계관리를 위해 순수예술분야인 오페라의 저변확대를 위한 전문적 경영기법을 ,도입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이에 본연구자는 관계마케팅 기법을 적극 활용하고 관계마케팅의 수단으로 웹사이트의 활성화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웹을 통해서 고객과 소통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노력들이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것이다. 경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결국은 고객과의 소통의 장으로써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적은 웹을 활성화하고 이러한 활성화는 관객개발이라는 결과를 가져 올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구오페라하우스는 재단법인 출범과 더불어 지속적인 관객개발을 위해 고객과 소통하고,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보다 전문적인 기관으로 자리 잡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핵심어: 문화예술, 문화예술교육, 고객관계관리, 관계마케팅, 공연예술, 오페라극장, 관객개발, 서비스스케이프, 미디어마케팅, 정기회원제도 M.A. Thesis Audience Development for Performing Arts from the View point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CRM) - Focusing on Daegu Opera House - Min-Seok Park Department of Art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Arts and Design Culture Yeungnam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Joo-sik Min) Abstract For the last several decades, Korea has invested lots of time and efforts in pursuing industralization-oriented economic policy for economic development. Since the post-industrial society, however, Korea has paid more attention to cultural activities. As the citizens have become intellectually more developed, they have turned their attention to diverse cultural activities, including performing arts. As a result, the cultural industries have advanced substantially. They have been perceived as important industries with high added values, which can influenc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t has led to the rising interest in the economic value of performing arts. In fact, performing arts have boosted their value as a tool for nation branding. As performing arts have been perceived as an 'economic medium' whose value can dramatically rise over time, effective management methods need to be studied as to the field. Meanwhile, rising interest in cultural arts has changed the lifestyle of people. In particular, performing arts have garnered tremendous attention, leading to widespread experience in the field. However, the management of performing arts have been rather inefficient and unsystematic. It is related to the rapid social changes. The problem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performing arts management still revolves around production agencies. As a result,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 the customers ― is quite limited. Second, operation of performing arts has been inefficient as the initial production cost is relatively high and marketing and advertising have been ineffectiv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which is used in corporations, should be actively adopted by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along with specialization and segmentation. This study explores audience development for performing arts through CRM with focus on Daegu Opera House. To maintain existing customers and attract new customers to Daegu Opera House, the following are suggested. First, advanced opera theaters in other countries should be studied and emulated. Second, domestic benchmarking is also necessary through regular monitoring and research into outstanding cases. The results should be actively adopted for continuous development. Third, specialized management methods should be adopted to increase the customer base of opera, a pure art, for systematic CRM. Thus, this study focuses on website stimulation as a tool for CRM, actively utilizing its marketing methods. It was done under the belief that customer-oriented programs and services should be developed and offered steadily on the web. For more efficient management, website can stimulate customer interaction as it can be done anywhere, anytime. Such stimulation will lead to audience development. Daegu Opera House has the potential to become a specialized performing arts venue after establishing its foundation. To that end, it needs to engage in customer interaction and to seek expert opinions for continuous audience development. Keywords : Culture and Arts, Arts Education,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Relationship Marketing, Performing Arts, Opera House, Audience development, Media Marketing, Regular membership system

      • 무대예술전문인의 고용환경 안정화 방안 연구 : 무대음향전문인의 경우를 중심으로

        홍산 영남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35

        M.A. Thesis A Study on Stabilization of the Employment Environment for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 mainly focused on sound engineering professionals - HONG, San Department of Arts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Art & Design Yeungnam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Min, Joosik) ABSTRACT As various popular theater performances bring about a new trend toward larger and highly-rated performances, it began to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issue to ensure the safety of performing venues as well as to verify the professionalism for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Hence, a professional qualifications system for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is introduced in order to improve onstage technical staff performing work and to enhance the value of the related performance. With the introduction of such professional qualifications system, certified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are recognized as specialized experts in their fields. However, the social recognition of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environment and employment policy remains unchanged. This study identifie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employment environment especially for sound engineers among all certified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by analyzing sound engineers’ business roles. Also, this study proposes alternatives through diverse cases from abroad. The main work duty of sound engineers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own planning performances in their performance hall and external performances in a rented hall or venue. Range of service roles for sound engineers varies according to performance planning nature, but in reality, the roles of sound engineers even in own planning performances in their performance hall are very limited in that typically, their planning team casts an entire performance program with its team members including outside sound engineers. Thus, the primary business role for sound engineer is to work in external performances in a rented hall or venue. Nevertheless, sound engineers often experience in such external performances in a rented hall or venue that their work became insignificant in the performance due to many kinds of indirect support that may reduce the value of the sound engineers’ roles. Although sound engineers are obligatorily placed on the public theater by the performance law, the work duty of sound engineers in such conditions is relatively limited. Therefore, employment environment for sound engineers are mainly centered on working in larger performance settings which may change their employment market as a form of outsourcing type. The principle issues in these changed conditions of outsourcing strategies are followings: - The social tendency to avoid studying in the fields of natural sciences engineering in college - Lack of official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 Excessively sensitive performance hall management to social trends - Sound engineers’ attitude toward their fundamental work duty To solve these issues, sound engineers needs to have basic knowledge to become a beneficial member of society. In addition, in contrast to the current governmental policy which is mainly focused on fostering entry level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it needs to be changed to managing the professionals to become more confident in their fields. To make the better conditions for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establishing a well-arranged management agency is needed. This will improve employment environment for such professionals better, and will help them better achieve state-of-the-art technologies. Also, it will help the current professionals to become more proficient in their professions. Furthermore, the social awareness for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needs to be changed. Rather than just supporting their related artists, theatrical arts & technicians need to be recognized as the equivalent status as professional artist by receiving continuous governmental support and by enhancing various activities to aid an active social life through the performing arts professional associations. Finally, sound engineers need to increase their professional value. In order to raise the value, improving the business structure and flexible management skills are also required. In other words, the role of sound engineers needs to be extended from their fixed management and supporting work duty to managing entire performance design. The higher the value of the sound engineers become, the more stable employment environment for them will be. 국 문 요 지 무대예술전문인의 고용환경 안정화 방안 홍 산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예술행정학과 예술행정학 전공 지도교수 : 민주식 공연이 대형화·고급화 추세로 변화함에 따라 공연의 안전성 확보와 공연장에 종사하는 무대기술인력에 대한 전문성이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에 무대기술인력에 대한 전문성과 공연작품의 예술적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무대예술전문인 자격제도가 도입된다. 무대예술전문인 자격제도 도입으로 양성된 무대예술전문인은 직업적 전문성을 자격제도를 통하여 인정받았지만, 무대예술전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나 고용환경의 변화는 변함이 없다. 이에 본 논문은 공연장에 종사하는 무대예술전문인 중 무대음향전문인을 대상으로 무대음향전문인의 업무 역할을 분석하여 내·외부적으로 고용환경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외 사례를 통하여 대안을 제시한다. 무대음향전문인의 업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자체기획공연일 경우와 외부대관공연일 경우로 나눠진다. 업무범위가 공연기획 성격에 따라 분류되지만 현실적으로 자체기획공연도 대부분 외부공연을 섭외하는 수준이기 때문에 무대음향전문인의 업무범위는 외부대관공연의 업무라 볼 수 있고, 외부대관공연일 경우 간접적인 지원의 역할로 공연작품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공연법에 의해 공공공연장에 무대음향전문인 의무배치가 실시되고 있지만, 무대음향전문인의 업무 범위를 보면 중요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결국 대형공연장을 중심으로 무대기술인력의 고용환경은 아웃소싱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아웃소싱 형태로 변화된 무대음향전문인의 고용환경의 문제점은 이공계 기피현상인 사회적 풍토와 무대예술전문인에 대한 관리 기구 부재, 사회적 분위기에 민감한 공연장 운영, 무대음향전문인의 근무 마인드에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선 무대음향전문인 스스로 자각적인 사회구성원으로써 기본소양이 갖춰져야 하며, 지금까지 정부정책이 무대예술전문인 양성에 초점이 있었다면 이제부터 무대예술전문인 관리로 초점의 변화가 필요하다. 무대예술전문인 관리 기구를 만들어 무대예술전문인의 고용환경 개선과, 빠르게 변화하는 무대기술에 대처하고, 전문성을 확고하기 위해 지속적인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무대예술전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도 중요하다. 무대예술전문인이 예술가의 보조적 수단이 아닌, 전문분야로서 인정받고 예술가의 동등한 입장으로 평가받도록 정부의 지원과 무대예술전문인 협회의 적극적인 사회 활동이 필요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무대음향전문인은 스스로의 가치를 만들어 가야 한다.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업무 구조의 개선이 필요하고, 탄력적인 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즉, 관리·지원의 고정적인 업무에서 벗어나 점차 디자인, 운영 부분까지의 업무 범위가 확대되어야 한다. 무대음향전문인의 가치가 높아질수록 고용환경은 안정화 될 것이다.

      • 학교교육과의 연계를 통한 문화예술회관의 예술교육프로그램 활성화방안 : 대구광역시 봉산문화회관을 중심으로

        정선영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19

        현대사회는 지식․문화가 중요시되는 지식기반사회로 전환되면서 개인이 창의력과 상상력을 최대한 발휘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사회 변화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예술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선진국을 비롯한 상당수 국가들이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민의 문화적 감수성과 창의성, 문제해결능력을 키우는데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힘을 싣고 있다. 우리나라 문화예술회관에서의 예술교육프로그램 중요성 인식은 문화관광부가 2005년 문화예술교육의 법․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영역별 정책 사업을 본격적으로 수행해 나감으로써 시작되었으며,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혁신적인 마인드로 본격적인 예술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례도 있지만 대부분 일회성인 것이 많고, 관객증식이나 현대 국가의 문화정책이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과는 거리가 멀어진 상태다. 학교에서의 예술교육은 정규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구분되는데 지식 중심 교과가 대부분이며 예술교육은 음악과 미술뿐으로 성적 위주의 평가중심의 예술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2011년부터 적용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된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예술교육 역시 학교 내에서 진행하기에는 공간과 시간의 부족, 교사의 전문성 문제, 전문 프로그램 부재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사회문제로 인해 예술 향유자들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예술교육을 통한 예술 향유자 확대는 문화예술회관과 교육의 기회를 누구에게나 균등하게 제공하는 학교가 서로 연계하여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이를 대구 봉산문화회관에서 2007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미숙아놀자! 예술아카데미’ 예술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학교와 함께 연계하여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 첫째, 봉산문화회관-학교-행정부서의 네트워크 체계를 구축하여 각 기관의 역할을 재확인하고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기 위한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둘째, 연극 및 뮤지컬 장르 특성화 프로그램, 대상과 기간별로 세분화된 프로그램, 교사워크숍프로그램 등 다양한 예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교육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인트라넷이 구축되어야 한다. 넷째, 프로그램 개발, 실행, 결과에 대한 평가를 통해 예술교육프로그램의 내실화를 실현해야 한다. 다섯째, 이러한 결과를 반영한 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회관과 학교의 예술교육에 관한 이론 연구와 봉산문화회관 내부 자료를 바탕으로 현황과 문제점을 통해 연계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고 개발모형을 제시한 데에 그 의의가 있으며, 사례분석에서 해외와 비교 분석할 수 있을 만큼 예술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는 문화예술회관으로 범위가 좁혀져 우리나라 전체 문화예술회관의 상황을 대변하고 있지는 않다는 점이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As the modern society is being converted to knowledge-based society concerning about knowledge and culture, individuals are expected to exhibit one’s most creativity and imagination while the importance of arts education to correspond to the requirements of the social changes is gathering strength. For this, many countries including advanced countries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arts education, try to improve cultural sensitivity,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capability, consequently improving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recognition for the importance of arts education program by cultural/arts centers started when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established the legal and systematic foundation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2005 and has aggressively executed the policy program by fields. Then, there were several programs of arts education to bring up the talented persons suitable for the modern society but almost of them were temporary and disposable and far from the education of creative personnel required from increase of audience and/or the policies on culture in a modern country. Arts education in a school is classified into regular subject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but the education is almost maintained by knowledge-based subjects while arts education is just the appraisal-based education to evaluate students by the scores in art and music subjects. The arts education through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newly introduced in ‘2009 Revised Curriculum’ and applicable from 2011 is also limited due to insufficient space and time, lack of teachers’ specialty and lack of special programs. Therefore, the study recognizes that in the situation the population of arts is reduced due to various social problems, the expansion of the population of arts by means of arts education would be meaningful when the cultural/arts centers and the schools providing balanced opportunities to anyone are linked each other and developed, in which Bongsan Cultural Center in Daegu was selected as a case study, suggesting the directions in the link with the school as the center started and has executed ‘Misuk! Play with me! Arts Academy’ since 2007. As a result, firstly, Bongsan Cultural Center, schools and administration can be networked, necessarily reconfirming the roles of tripod institutes and making the circumstances to activate the program. Secondly, various arts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cluding genre specialty program of play and musical, subdivide programs by subjects and periods and workshop program for teachers. Thirdly, the educational materials and Intranet to share them should be structured. Fourthly, the arts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substantially maintained by the appraisal for the development, execution and results of a program. Finally, an arts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by reflecting the results. The study focus on the necessity of link between cultural/arts centers and school through the present status and problems,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ies on the arts education of cultural/arts center and school and the internal data of Bongsan Cultural Center, and the measures to activate. The study is meaningful in view of suggesting the development model. However, it is limited that the case study might not represen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ultural/arts center in the territory as the scope is reduced to the cultural/arts centers that currently providing arts education programs, not comparing to overseas cases unfortunately.

      • 경남문화예술회관의 발전방안 - 시설 및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하선주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19

        지역의 대표적 문화공간인 문예회관은 문화예술 활성화와 지역주민의 문화향수권 신장 그리고 중앙 집중화 되어 있는 문화현상을 해소하고 지역주민의 문화 복지 향상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경남문화예술회관의 운영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기반을 둔 경남 및 진주지역의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하면서 ‘경남문화예술회관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여 보았다. 경남의 대표 문화공간으로서 경남문화예술회관이 공공 문화공간으로 가져야 할 의무로 고려되어야 할 것은 개방적인 공공의 공간으로서의 역할, 지역의 문화공간들을 선도하고 교육하는 기관, 문화향수권의 함양, 공공 예술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 등이다. 이러한 전제하에 향후 경남문화예술회관의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소공연장을 건립해야 한다. 문예회관의 소재지인 진주의 문화‧예술 시설을 살펴보면 소규모 공연을 위한 시설이 없으며, 현재 지역의 예술가 및 단체들이 대안으로 청소년 수련원의 강당을 사용하고 있으나 공연을 위한 시설물이 아니므로 지역 예술가들의 발표에 제한이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소공연장이 들어설 적합한 장소는 현재 주차장의 활용이 바람직 할 것이며 소공연장의 건립으로 사라지는 주차장의 대안공간으로서는 지하 주차장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현재 주차장 시설에 소공연장과 기존 주차장 및 지하 주자창의 적절한 배합으로 시설균형을 맞추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둘째, 문예정보실을 조성해야 한다. 지식정보사회가 진전되면서 문화예술의 사회경제적 가치는 더욱 커질 것이며 이와 관련하여 문화활동에 대한 수요도 다양화, 개성화, 고도화, 주체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민의 문화활동도 단순히 문화예술을 향유하는 소극적인 차원에서 점차 문화예술에 관한 감성, 상상력, 지식과 비판력을 습득하는 문화학습형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뉴미디어를 통한 예술체험 및 학습기회가 점차 커지고 있다. 문화∙예술 자료를 보관하고 또 각종 문화 예술관련 발행물, 잡지, 도서, 음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자료나 해당기관이 실시하는 제작물 자료 등을 구비하며, 뉴미디어를 활용한 문예체험이 활성화 되어 있으므로 인터넷 열람부스를 설치하는 등, 이러한 환경변화에 적합한 문화서비스 공간을 갖춤으로써, 지역민이 손쉽게 이러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경남문화예술회관은 설계 당시부터 편의시설이나 문화서비스 공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공연관람객의 편의제공과 지역민이 언제든지 상시 머무를 수 있는 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간을 확보해 관객들의 편의 제공 및 지역민에 대한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한다. 문예회관의 ‘교육 기능’은 지역주민의 문화향수 능력을 신장하는 ‘문화복지’의 정책을 완수하고 구체적으로 실천할 때 그 의미가 있다. 이것은 물론 지역민들이 보다 자발적으로 다양한 문화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적극적 의미의 ‘문화향유권’ 신장의 목표를 이룰 때 가능해진다. 지역민에게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예술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을 갖게 하여 예술의 이해와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예술을 일상생활의 중요한 부분으로 관람행위와 창조행위가 일상의 습관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문예회관에서는 교육프로그램의 실시를 위해 미리 연구하고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고 예술행정 연구자들은 보다 깊이 있는 조사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현장에서 바람직한 교육프로그램이 실시될 수 있도록 보다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경남문화예술회관은 단지 도의 재산 및 건물을 관리 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인들에게 활동의 장을 제공하며 지역문화를 창출하는 거점이 되고 능동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의 공간으로 강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경남의 특색있는 문화를 창출하고 수준 높은 예술을 우수한 시설의 생활권역에서 감상하도록 하며 지역민의 문화복지를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는 경남의 문화도시 형성의 거점, 지역경제 및 문화민주주의 활성화를 통한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하여야 할 것이다.

      • 지역문화예술 지원정책 개선방안 연구 : 대구광역시의 주요 공공지원사업 현황분석을 중심으로

        김완수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19

        문화예술의 중요성은 경제성의 측면이 아닌 예술자체에 내재된 가치의 측면에서 찾아야 하며, 정부의 예술지원의 방향 또한 근본적으로는 이러한 관점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최근 사회적으로 문화예술의 사회적 비전과 가치, 창의성이 중요하다는 공감대가 넓게 퍼져 가고 있어서, 문화예술이 지닌 본연의 의미를 존중하고 문화예술의 가치를 사회 전반에 확대시키는 것에 문화예술지원정책의 방향이 맞춰져 있다. 이로 인해 대중의 예술적 취향 형성의 문제는 대부분의 정부의 문화예술정책에 중심이 되며, 문화예술에 대한 접근 증진은 곧 정부의 문화예술지원에 대한 정당성을 가장 확실하게 입증해 주게 된다. 이러한 문화예술지원은 예술가들에게 직접적인 지원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문화예술의 기반을 조성하고 문화예술이 생활 속에서 살아 숨 쉴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예술 창작역량을 강화하고 예술의 수월성을 증진 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문화예술시스템을 이루는 각 기능이 균형감 있게 상호연계하고 다른 기능을 추동하여 작동하게 하는 종합적인 문화예술시스템 구축과 문화예술시장 활성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과 요구에 의해 우리나라의 모든 지방자치단체는 문화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구광역시에서도 고품격 문화도시 조성을 위해 문화기반시설 확충과 문화예술단체 활동지원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인간과 문화중심의 도시 공간 조성을 위해 정부 주도의 문화예술 정책 기조를 현장 중심과 민간 자율로 전환, 과거 공공지원에 의존하던 기초예술 분야의 자생력을 강화하는 한편, 소외 계층에 대한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해 나감으로써 계층․지역․장르 간 문화양극화를 해소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대구문화재단을 설립하고, 문화창조발전소, 문화창작교류센터, 시립미술관, 뮤지컬 전용극장 건립 등 문화기반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하여 생활권내 다양한 문화공간을 제공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하여 산업적 발전으로의 지원체제 전환을 모색하는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그러나 대구광역시 지자체 정부는 아직도 관료제 메커니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데, ‘문화발전’을 위해서 시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지만, 강력한 정책적 지원이 ‘문화발전’을 보장할 수 없는 본질적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지원은 간섭을 초래할 것이다. ‘야수 패러다임’에서 말하고 있는 것처럼 미녀가 자신을 아름답게 꾸미는 것은 그녀 자신에게 맡겨져야 한다는 것이다. 요컨대 문화예술지원정책의 헤게모니와 관련된 부분과 문화정책과 행정 간의 내적 불균형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정책분야간의 상호연계성을 체계적으로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대구광역시 지자체 정부는 문화예술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가치에 주목하여야 하며, 고품격 문화도시 조성을 위해 장기적 안목에서 문화예술의 체질개선과 기초체력을 강화하는 '문화예술 펀더멘탈(Fundamental)'이 조성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 주력하고, 이를 위해 대구의 도시 정체성 및 이미지 강화, 공공성 증진을 위한 기여, 문화중심도시로서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기초적 부분에서부터 우선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향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 속에서 대구광역시는 문화예술 발전을 위한 지자체의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하여야 하며,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것은 문화예술에 대한 시각의 변화라고 생각된다. 즉 외부 요인에 따라 흔들리지 않는 균형 있는 예산의 배분과 지역 문화예술 발전에 적합한 예술행정가의 중용, 단기적 성과에 집착하지 않는 자세가 필요해 보이는 것이다.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ts should be sought not from the economic aspect, but from the aspect of value immanent in arts itself. The government support of arts should also be directed basically centering around this viewpoint. Currently th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s support policy is set upon the respect of the proper meaning of culture and arts and the expans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s to the entire society, as the sympathy that the social vision, value and creativity of culture and arts are important spreads out through society. Accordingly the problem of public artistic taste is mostly at the center of government's culture and arts policy, and the increased approach to culture and arts proves the justice of government's culture and arts support most clearly. As for such culture and arts support, the direct support of artists is important, but the competence of artistic creation should be reinforced and artistic superiority should be promoted by creating the base of culture and arts and the condition in which culture and arts is alive. The most necessary for that is the establishment of a general culture and arts system in which each function constituting the culture and arts system is mutually connected in balance and drives other functions to operate, and the activation of culture and arts market. With such social phenomena and demands, all the domestic local governments are struggling to promote cultural competitiveness. In this situation, Daegu Metropolitan City makes efforts to expand the cultural infrastructure and support the activity of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 for developing a high-class cultural city. For developing human-and-culture-centered urban space, the self-vitality in the field of basic arts that relied on public support in the past should be reinforced by turning the government-oriented basis of culture and arts policy into field-oriented and private self-control. On the other hand,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 cultural polarization among classes, regions and genres should be solved by expanding the alienated class's opportunity of cultural enjoyment. Based on such recognition, much efforts are made to present various cultural space within the life zone by keeping expanding basic cultural facilities including Daegu cultural foundation, cultural creation power plant, culture and creation exchange center, city museum of arts and musical-only theater. In the long run, the efforts to grope for the transition of support system into industrial development are paralleled based on the culture and arts. The local government of Daegu Metropolitan City has not yet escaped the bureaucratical mechanism. Though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municipal government to take action positively for 'cultural development', a strong administrative support has a fundamental limitation not to guarantee the 'cultural development' and such support might incur interference. As mentioned at 'Beast Paradigm', the act of making-up beautifully shall be assigned to the beauty herself. In summary, there is inner imbalance among the hegemony-related part in culture and arts support policy, culture policy and administration, and the mutual connection among fields of policy are not yet formed systematically. From this viewpoint, the local government of Daegu Metropolitan City should pay attention to the values the culture and art itself has. It should concentrate it´s efforts on establishing a system that can form 'culture and arts fundamental' to improve the structure of culture and arts and reinforce the fundamentals in order to formulate high-class cultural city in the long run. For that, it is necessary to systemize its direction of priority support for fundamental part so as to reinforce the urban identity and image of Daegu, contribute to promotion of public service and prepare the competitiveness as a culture-oriented city. In such context, Daegu Metropolitan City should reestablish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local self-governing body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and the urgent improvement may be the change of viewpoint on culture and arts. In other words, the distribution of balanced budget never shaking according to any outer elements, the promotion of artistic administrators appropriate for local culture and arts development and the attitude not obsessed with a shot-term result seem necessary.

      • 커뮤니티아트의 사례분석과 지역에서의 발전 방안

        오지은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19

        문화․예술이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기가 도래했고 우리나라 역시 문화․예술을 이용한 국가 및 지역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여러 가지 정책과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빠른 경제의 성장으로 국민의 생활여건이 나아지면서 삶의 가치를 중요시하는 의식의 변화가 일어나 최근에 대중의 참여를 바탕으로 하는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우리나라의 문화․예술은 엘리트 문화가 중심인 고급예술을 중심으로 지원되고 향유하도록 권장되어지고 있으며, 특히나 문화공간과 양질의 문화공연의 경우는 대도시의 일부계층을 중심으로 향유되어지고 있음을 부인 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최근 들어 매체의 발달로 인해 대중예술의 발달로 대중은 예술의 향유자와 소비자와 같은 과거의 위치를 벗어나기 시작했다. 자신이 속한 지역, 학교, 직장, 온․오프라인 동호회 등을 중심으로 참여를 통한 창조 중심의 예술 활동이 이뤄지고 있으며 이러한 형태들을 일컬어 커뮤니티아트라고 한다. 본 논문은 지역사회의 가장 큰 이슈인 문화․예술을 통한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문화 발전의 밑거름이 되는 공동체 문화를 세분화 하여 그중 문화 예술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커뮤니티아트 사례를 분석하여 해외의 사례와 국내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커뮤니티아트의 대구광역시지역 내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대구광역시 지역은 아직 커뮤니티아트의 개념 및 중요성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몇몇의 공동체들의 움직임은 예전부터 있어 왔으며 이들은 문화․예술을 중심으로 공동체를 발전시키며 유지하고 있다. 대구광역시 커뮤니티아트의 자발성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를 통해 더욱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문화․예술의 새로운 형태인 커뮤니티아트의 사업이 최근 들어 공공의 분야에서 빠른 속도로 확산되어 가고 있으나 아직은 커뮤니티아트에 대한 연구와 프로그램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나 우리나라의 경우 다문화 가정 및 소외계층을 위한 커뮤니티아트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으며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자발성을 중심으로 행해지는 커뮤니티아트를 지역에서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도 중요하지만 더불어 지역민의 관심과 참여가 중요하다. 지역의 공감대가 형성되고 이해관계가 성립 될 때 지역의 문화․예술과 더불어 경제가 발전하고 경쟁력이 강화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끊임없는 커뮤니티아트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질 때 커뮤니티아트가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gradually depends on culture and arts, lots of policies and programs to reinforce the national and regional competitiveness utilizing culture and arts are being promoted. Especially, rapidly growing economy improves living conditions of the nation and they focus on the value of life, increasing the concern about culture and arts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the general public. However, it is not uncommon in the country that arts and culture are supported mainly for elite-oriented high grade arts and especially, cultural space and quality cultural performances are unfortunately targeted mainly for a part of levels in large cities. Recently, as the development of media developed the popular arts, the general public starts escaping from the past situation in which the person who enjoys arts is the consumer. Creative arts activities are led by participating in arts clubs of region, school, work place and on-off line, which is so called community arts. The study is intended to subdivide the community culture, which is the foundation to improve the living quality of inhabitants and develop the regional culture through the culture and arts, the hottest issue of community, to analyze a case study of the community arts among the foresaid statements, to compare and analyze home/overseas cases and to subsequently comprehend the plans to develop the community arts within a region. Daegu metropolitan area seems not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concept and significance of community arts. However, from old times, several communities have concerned about the subject and they still develop and maintain their community focusing on culture and arts. Through the study to b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while not impairing the spontaneous community arts of Daegu, several plans to activate them are suggested. While the community arts business, a new type of culture and arts, is recently spreading to the public sector, the study and program on the community arts are not still insufficient. Especially, some community arts program for multi culture families and neglected class of people are being executed in the territory an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effort to solve regional issues already started. To more develop the community arts, voluntarily produced, in a region, the government support is important but more importantly, the residents in a community should be concerned about and participate in it. The culture and arts in a region and the economy will be developed and more competitive as long as the people in a community agree with and truthfully understand the community arts. For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community arts will be activated as long as the community arts is further studied and they voluntarily participate in it.

      • 무대예술전문인 자격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전주열 영남대학교 문화예술디자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현재까지 여전히 답보 상태에 있는 무대예술전문인 자격제도에 대한 세부적인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했다. 그리고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접근방식에서 무대예술전문인 자격제도를 ‘자격증의 취득’과 ‘자격증의 활용’이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여 고찰했다. 우선, ‘자격증 취득’에 관한 세 가지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대예술전문인의 전문분야가 세 가지로 단순화되어 있는데, 본 연구는 무대기계전문인 분야를 무대기계와 무대장치로 세분화하고, 무대음향전문인 분야를 무대음향과 무대영상으로 세분화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했다. 둘째, 기존의 공연장/공연업 종사자로 구분된 전문인들의 실무경력 인정기준은 일원화되지 못하여 형평성의 문제가 발생하고, 업무분야와 무관한 공사가 실무경력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실무경력 인정기준을 포지티브(positive)성 규제에서 네거티브(negative)성 규제로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검정합격인정절차를 통해 자격증을 취득한 전문인들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과 자격보유에 따른 역량평가의 후속조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무대예술분야 종사자들을 위한 전문교육기관이 설립되고, 자격증 취득자들에 대한 재교육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구체적으로, 연간 1회의 법정의무 교육과 세분화된 전문분야에 관한 온라인 강의 개설, 국내외 직무연수 및 지역순회 교육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자격증 활용’에 관한 두 가지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 우리나라 공연장 규모를 보면, 무대예술전문인의 의무배치기준을 피할 수 있는 500석 미만의 공연장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즉, 현재의 의무배치기준은 공연장들의 객석 수 줄이기를 통해 유명무실한 기준이 되고 있다. 따라서 객석 수 500석 이상부터 적용되는 무대예술전문인 의무배치기준을 300석으로 하향 조정하여 적용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하향 조정의 무대예술전문인 의무배치를 시행한다면, 보다 안전하고 완성도 높은 공연 진행이 가능해 질 것이다. 둘째, 현 의무배치기준 위반에 대한 처벌 규정은 공연장 관련 처벌 기준에 비해 솜방망이식 처벌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무대예술전문인의 의무배치 위반에 따른 행정처분이 강화되어야 하며, 무대예술전문인의 의무배치 위반에 대해서 횟수에 따라 1차 200만원, 2차 400만원, 3차 800만원의 누진세를 부과해야 한다. 이러한 처벌 규정 강화로 인해 정당한 자격증을 소유한 무대예술전문인의 현장 활용 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가 제안한 개선방안들은 무엇보다 현장의 절실한 요구를 반영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우리나라의 공연문화예술 발전을 위해 제도적으로 반드시 정착시켜야 할 우선 과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 경상북도립국악단 운영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이인원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19

        경상북도립국악단 운영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이 인 원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예술행정학과 예술행정전공 지도교수 민 주 식 요 약 경상북도립국악단은 경상북도에서 설립하고 운영하는 국악예술단체이다. 예술단체의 경영은 조직과 자본, 관객의 세 가지 요소를 유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며, 그것을 통해 좋은 공연을 만들어 관객들에게 우수한 예술 작품을 향유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21세기의 새로운 문화 환경을 맞아 경상북도립국악단 운영의 특성화 내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경상북도립국악단의 창단 이후 현재까지(1992-2009)의 조직운영, 재정운용, 공연활동, 프로그램 등의 총체적인 분석을 통해 운영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비교단체로 같은 도립 국악관현악단인 강원도립국악관현악단, 경기도립국악단, 전라남도립국악단, 전라북도립국악관현악단의 운영현황을 분석하였고 참고로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운영현황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경상북도립국악단의 운영개선방안 도출에 반영하였다. 경상북도립국악단의 설립목적은 민족고유음악의 계승발전과 건전한 도민 정서함양으로 향토문화예술창달에 기여하고 도민 화합과 기상을 진작함이다. 1992년 창단된 이래 곽태천, 김용만, 윤명구지휘자를 거쳐 현재 김만석 상임지휘자에 이르렀다. 창단이후 현재까지(1992-2009)의 연주현황은 정기연주회 100회, 찾아가는 연주회 145회, 청소년국악교실 161회, 초청연주회 571회, 기획연주회 34회로 총 1,011회이다. 이중 국내교류가 35회, 국제교류가 18회 이루어졌다. 2003년부터 시작된 찾아가는 연주회는 일반적인 시․군 순회공연에서 점차 문화 복지구현의 형태로 확대되고 있다. 경상북도립국악단의 운영 실태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도출한 문제점으로는 관료적 운영체제가 갖는 경직성과 비전문성, 획일적 운영, 공무원의 이해부족과 잦은 인사이동 등이다. 단체 운영에 있어서는 행정기관의 통제로 인하여 창작활동의 기반인 자율성과 독립성이 약화된 채 운영되고 있다. 창단초기의 조직제도가 한 번도 개편되지 않았으며 홍보․마케팅의 전문 인력 없이 23개 시․군을 순회공연하고 있다. 설립목적을 유효하게 달성하려는 구체적인 목표가 미흡하며 공연활동에 필요한 예산의 부족과 부족한 재원을 충원할 수 있는 외부 재원조성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단원 복지 미흡으로 인한 사기저하, 연주활동을 위한 시설의 열악함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시․군 간의 편중된 공연활동, 경상북도를 순회 공연함에 따른 관객확보의 취약, 경북에 중심거점도시가 없고 주공연장 부재로 인한 공연활동의 제약, 국제교류의식의 미약 등이 제기되었다. 경상북도립국악단의 정체성에 상응하지 못하는 공연활동,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자는 경상북도립국악단의 실태 분석을 통해 드러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간략하면 다음과 같다. 경상북도립국악단의 차별화로 전통음악의 원형보존과 계승발전을, 특성화 전략으로 찾아가는 연주회의 체계적 지방화를 제시하였다. 차별화와 특성화 전략을 구현하기 위하여 대외적인 환경개선과 대내적인 과제가 필요함을 언급하였으며, 대외적으로는 예술단운영 전문조직을 구성하여 예술단체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확보하도록 하고, 예술단 운영기금 등 재원조성을 위한 법제도를 마련하여 운영의 활성화를 도모해야 함을 밝혔다. 대내적으로는 국악단의 임무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중․장기 발전 방안 계획수립을 강조하였다. 예술단체는 예술성의 함양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예술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평가제도의 개선, 지도위원 위촉제도 신설, 타 국․공립 국악단체 연주자와의 순환보직제도 신설, 무급연수단원 제도를 통한 부족단원 충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프로그램으로는 경북도립국악단의 브랜드 레퍼토리를 구축한다. 관객 설문조사를 통해 우수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고정 레퍼토리화하고 시․군을 순회공연 한다. 잊혀져가는 전통음악을 발굴, 재현하는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타 단체와의 차별성을 도모한다. 연령별, 계층별, 지역별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장기적으로 도청이전과 연계하여 국악전용공연장을 건립한다. 주공연장을 기반으로 상설공연, 국악예술교육, 국악연구의 유기적인 운영시스템을 구축하여 대내외적으로 한국전통문화를 선양하고 세계적인 지역도시 경상북도의 전통문화 브랜드를 장기적으로 구축해 나간다. 경상북도립국악단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하여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홍보활동을 전개한다. 특히 예술단 전용홈페이지를 개설하여 지식정보화시대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고 회원관리를 통해 관객층을 개척하고 팬클럽을 확보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국악단의 효율적인 운영과 자생력 함양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행정기관으로부터 자율성과 독립성을 확보해야 하고, 창의적인 예술 활동을 구현하기 위하여 안정적인 재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예술성을 함양하고 좋은 공연을 만들어 도민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개선방안을 토대로 앞으로 더 발전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M.A. Thesis Research on the Management System and Improvement Plans for the Gyeongsangbukdo Provincial Orchestra of Korean Music Lee, In-Won Department of Art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Art & Design Yeungnam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Min, Joo-Sik ) Abstract The Gyeongsangbukdo Provincial Orchestra of Korean Music is a local art organization established and managed by Gyeongsnabukdo. An art organization is managed by a systematic connection of organization, capital, and audience. Such a systematic connection produces a fine performance which provides local communities with opportunities to enjoy artistic works.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Gyeongsangbukdo Provincial Orchestra of Korean Music in order to find ways to specialize and revitalize its operation for the new cultural environment of the 21st century. To this end, the general management system and problems in the Gyeongsangbukdo Provincial Orchestra of Korean Music, including the organization management, 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activities, and performance programs, are examined and analyzed. Furthermore, the management systems of the Gangwon Provincial Orchestra of Korean Music, Gyeonggi Provincial Traditional Music Orchestra, Jeollanamdo Provincial Institute for Korea Traditional Performing Arts, Jeollabukdo Provincial Orchestra of Korean Music, and The National Orchestra of Korea are reviewed and compared with that of the Gyeongsangbukdo Provincial Orchestra of Korean Music. And the results are adapted for an improvement program of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Gyeongsangbukdo Provincial Orchestra of Korean Music. The analysis of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Gyeongsangbukdo Provincial Orchestra of Korean Music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problems revealed in the study exist both in the administration and the organization itself. The problems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are the rigidity and non-professionalism caused by the bureaucratic management system, a lack of understanding by the officials, and frequent personnel changes. The problems revealed in the art organization are the inadequate management system, lack of professional workforce, poor understanding of advertisement and marketing, lack of short-term and long-term developmental plans of the management, and the limited opportunities to demonstrate leadership. Second, the Gyeongsangbukdo Provincial Orchestra of Korean Music suffers from an insufficient budget for various performance activities and faces difficulties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Other problems include the weakening of the members' moral due to the poor well-fare system and the poor facilities for performance activities. Third, frequent performances have resulted in low-quality performances and unbalanced performances among different towns and cities. And the vast areas to conduct performances have led to an inability to attract audiences. Lack of base cities and main performance centers limits the performance activities. Furthermore, there is littl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Fourth, the performances don't correspond to the identity of the Gyeongsangbukdo Provincial Orchestra of Korean Music because they lack their own unique programs, which can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organizations. Furthermore, the performance of court music and Korean classical music have been decreased. Based on these findings, a new development plan for organization management, financial management, and performance programs is suggested for an effective management of the orchestra as follows: First, the management system and the organization of the orchestra should be improved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ism. Autonomy and independence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he organization, and specialization of planning, production, advertisement, and marketing should be strengthened by securing a personnel of professionals in arts administration and arts management. For long-term development, professionalism and the independence of the orchestra should be guaranteed and enhanced by establishing a management of professionals for an art organization. Second, the mission and vision of the orchestra should be established to provide a mid- to long-term developmental plan. It should effectively embody the publicity and value-oriented vision and mission and try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and provide efficient service.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a so-called management board of Provincial Arts Organization or a development board of arts so that it can guarantee the consistency, fairness, and professionalism in art policies. As for the financial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atic environment to collect outside funds, such as the management fund to support the art organization, and thus provide a stable base for the revitalization of performance and production as well as the well-fare of the members. Four major proposals can be made for the performance activities. First, the artistic level as well as the performance level of the members should be improved by the improvement of the evaluation system, the establishment of an advisory committee and a circulation system of performers with other art institutions, and an unpaid trainee system. Second, specialized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to convert every day activity spaces in the local communities into artistic spaces by planning cultural well-fare activities for the socially weak and the culturally alienated, or by planning targeted performances for different generat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local community recognition level of the orchestra by consistent advertisement and to attract larger audiences and encourage the establishment of fan clubs by introducing its own homepage. Fourth, an exclusive performance hall for Korean music needs to be built for long-term development. Regular performances at the hall, and the education of and research on Korean music will provide more opportunity for the public to have contact with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Korea as well as around the world, and it will also help to establish a unique traditional cultural brand of Gyeongsanbukdo. As for the performance program,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Gyeongsangbukdo Provincial Orchestra of Korean Music both as a mediator of preserving the originality of traditional music and as an agency for popularizing Korean music at the same time. It is desirable to try to establish its unique identity, differentiated from other art organizations, by developing a program to find forgotten traditional music and to reproduce it. In the mean time, the Gyeongsangbukdo Provincial Orchestra of Korean Music needs to establish its own repertoire and develop an excellent program for provincial performances. As shown above, it is necessary to secure its autonomy and independence from the administration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the enhancement of its self-development. As well, stable management fund will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creative artistic performances. This will lead to better performances of a higher artistic level which will ultimately be a benefit for the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e suggestions of the thesis, further improvement plans will need to be tri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