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과 고등학교 현장의 영어 쓰기 교육에 대한 연구

        문정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서울지역 인문계 고등학교의 영어 쓰기 교육 및 쓰기 수행평가 실태와 NEAT에 대한 고등학교 영어교사들의 인식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고등학교의 영어 쓰기 교육 및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NEAT의 효과적 정착을 위해 필요한 대처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일반고 및 자율고 포함)의 49명의 영어교사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작성된 설문지를 토대로 그 결과를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응답자 중 두 명의 교사를 인터뷰하여 그 내용을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보충적 해석으로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에서 영어 쓰기 교육이 여전히 타 기능 수업에 비해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설문조사 결과, 고등학교 영어수업에서 과반수 이상(53.1%)의 교사가 쓰기 교육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쓰기 교육을 하는 경우에도 수업 중 쓰기 교육의 비율이 10%미만인 교사가 52.2%로 조사되어 독해위주 입시교육의 심각성을 입증하였다. 하지만, 쓰기 교육활동을 하는 교사의 65.2%가 본인의 쓰기 수업이 NEAT대비에 도움이 된다고 긍정적으로 답하였다는 점에서 수업 중 쓰기 교육을 촉진시키는 것이 NEAT대비에 도움이 될것으로 기대되었다. 둘째, 전체 수행평가 중 쓰기 평가가 차지하는 비율이 20%이하라고 답한 교사가 78.2%를 차지함에 따라 실질적인 표현능력 평가로서의 쓰기 수행평가는 고등학교에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점에 대해서는 47.8%의 교사가 담당 학생 수를 감축해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적절한 지도안이나 평가기준의 보급(26.2%), 교사의 잡무에 소모되는 시간 절감(13%), 교사연수를 통한 교사의 전문성 강화(13%)순으로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다. 위 내용들은 기존 선행연구들에서 밝힌 수행평가의 개선점으로 자주 등장해 왔던 내용이지만, 본 연구에서도 동일하게 등장하여 여전히 수행평가의 운영상의 한계가 개선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셋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NEAT의 전반적인 사항을 잘 이해하고 있었고 NEAT가 교육현장에 미칠 교육과정의 변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었으나, 동시에 사교육 증가와 학업성취도의 빈부격차 심화 등 NEAT가 미칠 부정적 세환효과에 대해 우려하고 있었다. NEAT의 시행시기에 대해서는 찬반의견이 비등한것으로 나타났지만, 대부분의 교사들이 NEAT가 시행될 경우 학생들이나 영어교사들이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그룹간 NEAT에 대한 인식 비교를 해본 결과, 최종학력과 NEAT연수 경험 등이 특히 NEAT에 대한 교사의 준비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NEAT연수가 교사들의 인식변화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는 몇 가지 제언을 덧붙이고자 한다. 먼저, 현재 우리나라 고등학교 현장에서 적용가능한 쓰기 수업 및 평가 모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교육의 주체인 현장교사들의 경우에도 자신들이 가진 노하우를 타학교의 영어교사들과 공유하는 다양한 연구활동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NEAT연수경험의 유무가 교사들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꿔줄 수 있는 만큼, NEAT연수에 참여하도록 독려하는 다양한 방안을 고려해야한다. 첫째로, 교사들의 자발적 교육의사를 방해하는 물리적, 환경적 요인을 제거하고 교육과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개선을 도모해야한다. 둘째로, 기존의 일회성 연수에서 벗어나 지속적이고 단계적인 연수체계를 만들어 연수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해야한다.

      • 원어민과 양방향 화상수업이 초등학교 4학년 어린이의 영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애실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원어민과 화상수업이 초등영어교육에서 어린이들에게 영어 사용 환경을 제공하고 기존의 단순히 말하고 따라하는 활동에서 벗어나 어린이들이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고 의사소통 면의 말하기와 듣기에서 효율성을 높여 영어사용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현재 우리 나라의 초등 영어 교육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영어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는 과거에는 주로 문자언어와 정확성을 중시했지만 현재는 음성언어와 유창성을 강조하는 영어교육으로서의 전환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적 환경에서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는데, 우리 나라와 같이 외국어로서의 영어(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환경에서는 언어입력과 의사소통에 참여하는 대화자 쌍방간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기대하기가 힘이 들다. 이를 보완하고자 1996년부터 `영어로 수업하고 진행하는 영어수업(Teaching English in English, TEE)이 권장되어 왔고, 1996년부터 원어민 영어 교사 초빙 프로그램(English Program in Korean, EPIK)이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TEE의 경우 교사의 개인 능력과 어린이의 수준의 차이로 인하여 수업의 질이 크게 차이나고 있으며, 각 교육청에 따른 원어민 교사의 수급 문제는 중?고등학교 수업에서는 일부 적극적인 도입을 검토하여 수급이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가 여러 있으나 초등학교 영어의 경우 그 활용이 크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인천의 경우에도 몇 개의 일부 소수 사립 초등학교에서만 원어민을 활용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원어민 활용 수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해당 교육청의 예산 및 원어민 수 부족, 체계적인 원어민 활용 수업 계획 미비 등과 같은 이유를 들 수 있다. 한편,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초등학교 영어교육에 관한 많은 컨텐츠와 수업기술을 통하여 공교육에서 영어 교수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한창이다. 특히 인터넷과 화상회의 시스템 등 다양한 정보통신 매체로 인하여 시공간의 제약이 없이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원격교육이 가능해졌으며, 2000년부터 교육부 원격대학설립 인가를 승인한 이후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에서의 가상대학이 설립, 추진되고 있으며 원격연수는 이미 교사들에게 친숙한 원격교육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는 실시간 온라인 화상교육으로서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면대면 수업과 유사한 학습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 영어과 중등교사 1차 임용시험 문항 분석 : 2014-2018학년도 문항을 중심으로

        임인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2014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의 영어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문항 분석을 통하여 전반적인 출제경향을 파악하는 것에 있다. 중등교사 임용시험이 우수한 능력과 지질을 갖춘 교사를 선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만큼 출제 경향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먼저, 4대 평가 영역(영어교육, 영어학, 영미문학, 일반영어)의 영역별 출제 비율을 구하였다. 그리고 각 평가영역의 세부영역을 ‘표시과목 「영어」의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 따라 분류하여 세부영역별 문항 수, 배점, 출제 비율을 구하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제시한 출제 기준 비율이 잘 준수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4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 실시된 영어과 중등교사 1차 임용시험 문항의 평가영역별 출제 비율은 영어교육 영역(41.5%), 영어학 영역(24%), 영미문학 영역(14%), 일반영어 영역(20.5%)로 나타났다. 둘째, 2014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 실시된 영어과 중등교사 1차 임용시험 문항의 각 평가영역의 세부영역 분석 결과, 먼저 영어교육영역의 세부영역 출제 비율은 제2언어습득 및 학습이론(7%), 영어교재론 및 교육과정(2.25%), 영어평가(5.5%), 영어교수법(12.5%), 4기능·어휘/문법지도 및 ICT 활용지도(14.25%)로 나타났다. 영어학의 경우, 음운·어형지도(6.5%), 구문·의미지도(3.75%), 담화·화용지도(0%), 영문법지도(11%), 음성학지도(2.75%)이며, 영미문학의 세부영역은 영미시지도(4.25%), 영미소설지도(8.75%), 영미희곡지도(1%), 영미문화지도(0%)와 같이 나타났다. 일반영어의 세부영역은 영어듣기(2.5%), 영어읽기(9.5%), 영어쓰기(9.5%)의 비율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2014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 실시된 영어과 중등교사 1차 임용시험이 ‘표시과목 「영어」의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 영어교육론(41.5%), 영문학개론(14%), 영어문법(11%), 영어학개론(10.25%), 영어독해(9.5%), 영어작문(9.5%), 영어응용음성학(2.75%), 영어회화/실용영어(2.5%), 영미문화(0%)의 비율로 나타났다. 이는 교과교육학(41.5%), 교과내용학(57.25%)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고시한 출제 기준 비율인 교과교육학(25%-35%), 교과내용학(65-75%)과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임용시험의 출제 기준 비율은 수험자와 출제자 모두에게 임용시험의 기준이 되는 중요한 자료로서 정확한 수치의 출제 비율을 제시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살펴본 최근 5년간의 임용시험 출제 비율을 바탕으로, 제시된 출제 기준 비율과 실제 비율의 불일치(gap) 현상을 좁히기 위하여 현재 명기되어 있는 출제 기준 비율을 수정 및 재정립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훌륭한 영어교사의 양성 및 선발 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영어 교육의 긍정적 발전에 토대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questions from the 2014 to 2018 to identify the overall test trends. As the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selecting teachers with excellent skills and intelligence, it is necessary to know the trends of the test by item analysis. To do this, first, the ratio of the four major assessment areas (English education, English linguistics, English literature, and general English) was found. And then, the detailed areas of each assessment area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Elements of Evaluation Areas and Contents’ presen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o obtain the number of questions, scores, and test rates and to confirm that the criteria presen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were complied well.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atio is subject pedagogy(41.5%) and the subject content education(57.25%),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criteria the subject pedagogy(25-35%) and the subjects content education(65-75%) announc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criteria should be important for both test-takers and examiners, so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should present the correct ratio of each assessment area. Therefore, based on the last five years of the secondary school English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results in this study, it will be necessary to modify and re-establish the criteria to reduce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presented and actual rates. Through this, I hope that it will be the foundation for positive development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as well as training and selection of excellent English teachers.

      • 한미 초등학교 영어교과서에서 영어단어의 문화의미 연구

        권미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교과서를 통해서 학생들이 영미문화권의 특징과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여 의사소통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한국 초등학교 5, 6학년 영어교과서와 미국의 초등학교 1, 2학년 교과서의 영어단어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는 한국의 초등학교 교과서를 통해 학생들이 영미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파악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이라는 한국 영어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영미문화의 시스템을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과 영어 교과서의 구성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미국의 교육과정과 한국의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미국의 초등학교 교육 목표와 한국 초등학교 영어교육 목표의 연계성을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두 나라의 교과서에 실린 교육내용과 단어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특히 반복어휘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빈도 율을 토대로 두 교과서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어휘들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세 번째로 한국의 초등학교 5, 6학년 영어교과서에 실린 문화내용들을 분석하여 영미권의 문화를 소개하는 비중을 알아보았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해 얻은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와 문장구성의 수준을 고려하여 미국의 초등학교 1, 2학년 교과서와 한국 초등학교 5, 6학년의 영어교과서를 대상으로 반복어휘와 표현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국 초등학교 1, 2학년 교과서에는 people, citizen 등의 시민을 일컫는 말들과 animal, water, plant 등의 자연과 관련한 어휘들의 반복이 많았다. 교과서 내용에서 자연보호의 필요성, 자연을 보호하는 방법, 자유, 평등, 미국의 역사 및 미국인의 권리, 에너지 절약, 이를 위한 시민의 행동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반면 한국 초등학교 5, 6학년 영어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반복된 어휘로는 what, good, go 등이었는데 이상의 반복어휘를 통해서는 영어교과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개념 등을 제시하기 힘들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반복되는 어휘의 비율에서 미국은 시민 문화 교육의 차원이고 한국이 영어교육은 단순히 일상생활을 묻고 대답하는 차원으로 이를 통해서는 미국 문화를 알게 하기 힘들다. 또한 교육내용의 구성은 Dialog 1과 Dialog 2로 되어 있는데 전자는 기본적인 의사소통기술에, 후자는 pattern drill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식의 묻고 대답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일 뿐이다. 미국 문화를 접하게 하기 위한 교과서라면 people, citizen, animal, water, plant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질문과 대답 문항이 다루어지는 것이 옳을 것이다. 따라서 한국의 초등학교 영어교과서의 어휘는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회의 문화나 사고방식을 가르칠 수 있는 어휘들을 보충할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 초등학교 5, 6학년의 영어교과서에서 영어권의 생활양식, 영어권에서 문화적으로 적절한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양식, 영어권 문화와 우리 문화의 언어적, 문화적 차이의 세 가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본 결과 5, 6학년 교과서에는 영어교과서를 통해서 영어권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기보다는 영어로써 한국을 소개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교사용 지도서에 각 단원 4차시에 영미문화에 대한 안내가 box로 제시되고 있지만 그 내용을 기본 대화로 구성하여 제시하는 것이 학습에 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셋째, 한국의 외국어 교육의 목표는 원활한 의사소통이다. 이를 위해서는 목표언어를 사용하는 국민들의 문화와 사고방식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미국은 K-12학제로 고등학교까지 무상으로 의무교육을 실시한다. 의무교육을 통해 가르치고자 하는 교육의 목표는 선량한 시민으로의 육성이다. 그래서 각급 교육기관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것이 citizenship이다. 선량한 시민이 되기 위해서 미국의 교육과정은 유치원 교육부터 자유, 평등, 봉사의 개념을 가르친다. 따라서 미국의 학생들은 어려서부터 이런 개념들이 부지불식간에 그들의 사고방식으로 자리를 잡게 되는 것이다. 우리 학생들이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그들과 오해의 소지 없이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그 사회를 담고 있는 그들의 사고방식과 문화를 알고 있을 때 그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한국의 초등학교 영어교과서에 영어 모국어 국가의 문화 시스템과 사고방식이 반영되어 영어교과를 통해 학생들이 그들의 문화를 언어와 함께 배울 수 있도록 교과서 구성에 고려를 해야 할 것이다.

      • 초등 5학년 영어 교과서의 게임 활동 분석

        최혜란 군산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2009 개정교육과정에 의해 제작된 초등학교 5학년 영어검정교과서 5종의 게임 활동을 조직형태, 목적, 언어기능, 성취동기, 승부요소, 게임에 사용된 자료의 6가지 기준에 따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게임 활동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알아보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교과서 제작 시 교과서 게임선정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교과서 게임 활동을 6가지 분석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게임 활동을 조직 형태에 따라 분석한 결과 모둠활동이 차지하는 비율이 5종 교과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짝 활동), 전체 활동, 개별 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의 학급이 다인수학생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과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상황임을 감안하면 상호작용을 통한 의사소통 기회 제공을 위해서 개별 활동은 줄어들고 모둠 활동과 짝 활동이 늘어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둠활동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은 바람직한 방향이며 모둠활동을 통하여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개정교육과정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다. 또한 게임 조직형태에 따라 교사의 역할에 큰 차이가 발생하므로 학급별 학생 구성원의 특징에 따라 게임 조직형태가 바람직하게 변화되는 유연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서 게임 활동을 게임의 목적에 따라 분석한 결과 언어 연습을 위한 게임과 의사소통 게임이 거의 같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영어교육의 목표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영어교육의 목표가 ‘기초적인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 영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다’ 라는 일관된 목표를 가지고 있기에 초등학생들의 학습 수준과 특성을 고려하여 언어연습 및 의사소통능력 향상이라는 두 가지 목적의 게임이 균형 있게 포함되어지도록 교과서 게임 활동이 구성되어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교과서 게임 활동을 언어 기능에 따라 분석한 결과 5종 교과서 모두 듣기와 말하기 두 기능을 통합하여 구성한 게임이 가장 많았고 이전 교과서보다 문자언어와 음성언어의 기능적 통합을 위한 노력이 게임 활동에도 나타나고 있다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아울러 5종 교과서 모두 여러 단원을 묶어서 내용을 복습하는 단원을 마련 해 놓고 그 단원에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4가지 기능을 모두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었으며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4가지 기능을 모두 통합한 게임의 수도 이전 개정교육과정에서보다 조금 비율이 향상 되었다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언어기능의 통합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 지속적으로 영어교육에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교과서 게임 활동을 게임의 성취동기에 따라 분석한 결과 5종의 교과서에는 경쟁심을 요구하는 게임이 협동심을 요구하는 게임보다 더 많았다. 이전 교과서와 달리 모둠 내 협동심을 전제하면서 다른 모둠들과 경쟁을 하면서 게임의 재미와 성취감을 얻을 수 있는 모둠 간 경쟁 & 모둠 내 협동의 게임 비율이 높아졌다는 점은 최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인성교육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게임의 특성상 경쟁심 요소를 배제할 수 없지만 경쟁심과 협동심의 요소가 적절히 포함되어진 게임 활동으로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과서 게임 활동을 게임의 승부요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 5종 교과서 모두 행운 요소에 의한 게임이 학습자의 능력에 의한 게임보다 더 많았다. 게임 활동을 구성할 때 학습자들의 학습상황을 적절히 판단하여 능력과 행운의 요소가 고루 포함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초등학교 학생들에게는 적극적인 언어사용기회 제공에 의미를 둔다면 행운요소가 능력요소 보다 좀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보기에 5종 교과서 모두 균형 있게 능력요소와 행운요소가 포함된 게임 활동을 구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1,2차시의 경우 학습능력이 낮은 학습자들을 위해 행운요소를 더 포함시키고 단원 학습이 진행되면서 4,5차시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들의 흥미를 능력요소를 더 포함시키는 융통성을 보이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다. 여섯째, 교과서 게임 활동을 게임에 사용된 자료에 따라 분석한 결과 5종 교과서 모두 게임 활동을 하면서 여러 가지 종류의 자료들을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카드자료 유형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유형은 그림카드 유형이었으며, 다음으로 학생용 단어나 문장카드 유형이었다. 문자언어교육을 위한 단어나 문장카드를 활용한 게임의 수가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문자언어 교육을 위한 단어나 문장카드가 충분히 제공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2009 개정 교육과정 5학년 영어교과서도 대체로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적합하고 흥미도와 난이도에서 5학년 학생들에게 알맞은 것으로 보이며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목표인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학생들이 효과적인 영어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게임 활동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과서마다 제공하고 있는 게임 활동을 교사가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업 준비에 필요한 자료를 쉽게 준비할 수 있거나 제작시간을 줄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출판사별로 일선 교사들로부터 피드백을 통해 게임 활동을 위해 필요한 자료들을 보충 지원해 주어야 한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생용 영어 교과서 구성 시 카드자료 및 그림 자료 등이 모두 포함되도록 하여 교사가 추가로 인쇄 복사하여 주지 않아도 수업진행에 어려움이 생기지 않고 학습에 방해가 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멀티미디어 자료와 정보 통신 기술(ICT) 도구 등 흥미로운 교육 매체를 통해 창의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에 이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멀티미디어 자료와 정보통신 기술(ICT) 도구 같은 교육 매체를 적절히 활용하도록 한다.’라고 제시하는 부분을 고려할 때,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 교과서 게임 활동에서는 멀티미디어 자료와 정보통신 기술(ICT) 도구를 이용한 게임자료 제공으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다인수 학습에서 어렵게 여겨지는 수준별 게임 활동도 가능하게 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game activities in fifth grade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which were published in 2015. In this study, I examined five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and conducted analysis by using six categories. First, by analyzing the gam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attern of organization, I found that the rate of group activities was the highest among the five textbooks. For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courses composed of many students, group activities and pair activities were increased, while individual activities were decreased to give students more chances of interaction. It is the desirable way and is needed to apply to the Education Laws of 2015 by the study of methods for improving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the learners. When analyzing the gam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game, the games for language practice and communication were well-balanced. There are the same goals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in the Education Laws of 2009 and 2015. Both purpose of the language practice and communic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game activity considering the feature and the level of the learners. The third result that was found related to how games were used to practice language skills. In the five textbooks, games which incorporated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were most often showed. The cooperations of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and the integrations of four skills were increased. It means that the cooperations of four skills will be applied to the English education continually. Fourth, in the five textbooks, games which required a competitive spirit were observed at a higher rate than games that required the spirit of teamwork. The latest Education Laws have emphasized moral character education. We can't cut out the competitive spirit in games, but we should make games include both the competitive spirit and the spirit of teamwork. Fifth, when analyzing the games in accordance to the elements of victory for the game, games won by the element of luck were accounted for more than games by the English ability of the learners in the five textbooks. When we focus on providing equal opportunity for using English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best to include the element of luck more than the game by the ability of learners. So I found five textbooks contained a well balanced luck and ability. Finally, by analysing the gam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materials used in the game I found that the variety tools was used most often in the textbooks. The most commonly used type was the picture-card type. The numbers of games which used the word-cards and the sentence-cards for written language education was maintained continually. It was decided the word -cards and the sentence-cards for writte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sufficiently in the Education Laws of 2015. It was shown that the textbook for fifth graders is mostly adequate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interest, English level, and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stud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 want to propose something as follows. Firstly, the teaching materials such as pictures, cards and work sheets for teaching effectively should be provided to teachers who want to use the game activities in the textbooks and reduce the time for making materials. Secondly, using multimedia materials and ICT tools can lead students to have more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and help all the students of different level enjoy the game activities in the class.

      •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 절대평가 전환에 따른 영어학습의 변화 연구

        이지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시작으로 영어영역의 평가방식이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 체제로 전환됨에 따라 영어 교육 현장 및 학습자의 정의적 요소에 어떠한 영향이 있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절대평가 전환 정책 도입 시기의 취지와 현실과의 부합 정도를 확인, 분석함으로써 절대평가 체제의 안정적인 정착과 우리나라 학교 영어교육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에 대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능 영어 절대평가 전환이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학습 부담 및 경쟁 구도, 영어학습 동기)에 미친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수능 영어 절대평가 전환이 학교 내 영어 수업 방식에 미친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수능 영어 절대평가 전환이 사교육 참여에 미친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수능 영어 절대평가 전환에 대한 학생, 학교 교사, 사교육 강사의 의견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하여 수도권(서울 및 경인지역) 소재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7학번 학생 81명, 18학번 학생 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절대평가 체제의 첫 수능을 치른 18학번 학생 중 5명과 대학 입시 지도 경험이 있는 학교 교사 4명, 사교육 강사 4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에 참여한 18학번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수능 영어영역 절대평가 전환으로 인해 시험 점수에 대한 경쟁이 완화되고 영어 학습 부담이 경감되었다고 답하여 평가의 긍정적인 환류효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상대평가 체제의 17학번 학생들에 비해 영어학습에 대한 도구적 동기가 낮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평가 체제의 변화와 관계없이 고등학교 영어 수업은 여전히 문제풀이 중심으로 진행되며 읽기/듣기 영역의 비중이 쓰기/말하기 영역에 비해 현저히 큰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수능 영어 평가 체제의 변화만으로는 학교 영어교육 정상화를 이루기에 한계가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영어 사교육 참여율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오히려 영어 외 타 교과의 사교육 참여율이 증가하면서 사교육의 풍선효과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수능 영어영역 절대평가 실시에 대하여 학생들은 학습 부담이 경감되었다는 이유로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으나, 학교 교사 및 사교육 강사들은 평가 체제 변화가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는 없다고 지적하고 학생들의 전반적인 영어 수준이 낮아질 것을 우려하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학교 영어교육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언어의 네 가지 기능을 고루 다루기 위한 교사 교육과 평가 도구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절대평가 체제를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교육 선진국의 시험 유형 및 평가 과정을 연구함으로써 문제풀이 중심의 영어 학습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초등영어 방과후 북클럽 활동 : 영어 4기능 통합 및 문학 반응을 중심으로

        최정윤 서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영어를 익히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언어 입력과 발화 기회가 필요하다. 하지만 교육과정에 따른 영어수업 시수만으로는 학습자의 필요를 채우기에 역부족이다. 방과후 영어교육은 학생들을 방과후에 보호하고 지역 간 계층 간 교육 격차를 줄이는 기능을 하는 동시에, 학습자들이 영어 노출 시간과 영어 사용 기회를 확보하게 한다. 한편, 문자언어에 익숙한 고학년 학습자들은 읽기와 쓰기를 기반으로 말하기를 할 수 있음에도 교육과정에 따른 영어수업에서 문자언어는 음성언어로 목표어 학습을 한 후에 연계하여 학습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실제 언어생활에서 모국어 화자는 언어기능을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위계적 순서로 사용하지 않고 통합해서 사용한다. 따라서 고학년 학습자들은 영어 4기능을 통합하여 사용하는 학습경험을 할 필요가 있다. 방과후 북클럽에서 학습자들은 문학텍스트를 읽고 자신의 생각을 쓰고 말하며 친구의 말을 듣고 반응한다. 그리고 영어 4기능을 통합하여 문학토의를 하는 가운데 감수성과 사고력이 신장된다. 본 연구는 초등영어 방과후 북클럽에서 고학년 학습자들이 영어 4기능을 통합 학습하는 과정과 문학텍스트에 반응하는 양상을 탐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영어 방과후 북클럽에서 학습자들의 영어 4기능이 어떻게 통합 및 발달하는가? 둘째, 초등영어 방과후 북클럽에서 학습자들이 문학텍스트에 반응하는 양상은 어떠한가? 위에 제기한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6학년 학습자 5명을 대상으로 실험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습자들은 총 세 번의 세션동안 세 권의 문학텍스트를 읽고 토의 활동을 했으며, 한 세션은 기반 쌓기, 발전하기 및 확장하기의 3단계로 이루어졌다. 먼저 기반 쌓기는 학습자들이 문학토의를 위해 배경지식을 쌓고 텍스트 내용을 이해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그래서 텍스트의 양과 수준에 따라 기반 쌓기가 2주 동안 진행되기도 하였다. 첫 번째 기반 쌓기 시간에는 학생들의 배경지식을 활성화하고 텍스트를 함께 읽었다. 그리고 1차 토의를 통해 텍스트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에 답하기를 한 뒤 인상 깊은 단어들에 대해 나누었다. 두 번째 기반 쌓기 시간에는 배경지식 쌓기 활동을 하고 텍스트를 읽었다. 그리고 2차 토의를 통해 텍스트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에 답하기를 하고 자신이 좋아하는 문장과 장면에 대해 이야기했다. 다음으로, 발전하기는 학습자들이 읽은 문학텍스트에 대해 본격적으로 토의하는 단계이다. 이 때 학습자들은 오디오북을 들으면서 책을 읽고 나서, 3차 토의를 통해 주어진 문장의 일부를 완성하여 쓰고 이야기했다. 또한 텍스트 내용을 자신, 타인, 세계와 연관 짓고 토의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확장하기는 학습자들이 문학텍스트에 대한 반응을 심화 및 정리하고 토의하는 단계이다. 이 때 학습자들은 텍스트를 소리 내어 읽고 북리뷰 쓰기를 한 뒤에 4차 토의에서 각자 작성한 북리뷰를 발표하였다. 그러고 나서 책과 관련된 주제들에 대해 자유롭게 토의하면서 한 세션을 마무리 지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방과후 북클럽을 통해서 학습자들의 영어 4기능이 통합하여 발달했다. 첫째, 학습자들은 읽기 입력을 말하기 발화에 사용하며 읽기와 말하기 기능을 통합하였다. 학생들은 쉬운 단어 바로 인용, 어려운 단어의 의미협상을 통한 의미 파악 후 인용, 그리고 문장 바로 활용 등을 하며 문학토의에 참여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은 말하기와 쓰기의 상호작용으로 표현을 생성하고 확장했다. 학습자들은 토의에서 발표한 의견을 구체화하는 글쓰기를 하였으며, 역으로 토의 전 쓰기 활동을 통해 토의에서 말할 내용을 계획하기도 했다. 셋째, 학습자들 간 음성언어 상호작용이 점진적으로 발달하였다. 초반에 학습자들은 동료 학습자의 말을 들어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자신의 말하기에만 집중했다. 그러나 서서히 동료 학습자의 말에 동의 여부나 느낀 점을 짧게 표현하는 활성화 단계를 거쳤고, 친구의 생각을 듣고 자신의 의견 표현하기, 교사 및 친구에게 들은 표현을 말하기에 활용하기 등 역동적 상호작용 양상까지도 보였다. 다음으로, 방과후 북클럽을 통해 학습자들의 사회적 감수성과 사고력이 계발되었다. 첫째, 학습자들은 문학토의에 참여하여 자아, 타인, 사회에 대해 인식하게 되었다. 학습자들은 동료 학습자의 생각을 듣고 반응하는 가운데 자신을 돌아보고, 가족과 친구, 더 나아가 사회 문제에 대해 성찰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은 사고력을 통해 토의하였다. 학습자들은 문학토의가 진행될수록 분석적, 종합적, 평가적 사고를 하면서 텍스트 제목을 이해하고, 토의의 결론을 도출하며, 텍스트와 작가를 비평하는 모습을 보였다. 초등영어 방과후 북클럽 활동의 연구결과가 초등영어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북클럽을 통해서 학습자들에게 양질의 언어입력과 실제적인 발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들이 북클럽에서 함께 책을 읽고 토의를 하면서 영어 4기능을 통합 학습할 수 있다. 셋째, 아동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북클럽은 학습자들의 사회적 감수성과 사고력을 자극하고 신장시킨다. 본 연구가 초등영어교육에 위와 같은 긍정적 시사점을 제공할지라도 다음의 제한점이 있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은 5명으로 그 수가 적다. 따라서 많은 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북클럽 활동의 지도 방안이 고려되지 않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텍스트는 이야기체 문학텍스트에 한정되어 있어서 시, 드라마 등 다른 장르의 문학텍스트나 비문학텍스트의 북클럽 활용 방안에 대해서는 논의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하는 초등영어 북클럽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방과후 영어교육으로의 북클럽 활동 연구결과를 제시한 것이므로 학급 단위의 북클럽 활동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초등 고학년 학습자들을 위한 영어 4기능 통합 학습 방안들이 더욱 다양하게 연구되어 음성언어 중심 초등영어교육의 한계점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 고등학교 영어 발음 교육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와 교과서 분석

        강승희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국문 초록 7차 교육과정 개편 이후 우리나라 학생들은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음성 위주의 영어 교육을 받고 있다. 이 외에도 영어 유치원, 영어 마을, 해외 연수 등 다양한 조기 영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전반적인 한국인들의 음성 영어 능력은 크게 나아지지 않고 있다. 이는 중, 고등학교로 진학하면서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바뀌게 되어 영어를 듣고 말하는 능력이 대폭 축소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영어 발음 교육에 등한시 되어 있는 고등학생들의 영어 발음 교육 실태와 의견을 살펴봄으로써, 영어 발음 학습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일학년 영어 교과서에서 나타나는 영어 발음 교육 양상을 살펴보아, 고등 영어 발음 교육의 현황을 알고 그 문제점과 개선점을 찾기 위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학생들의 영어 발음 교육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의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분석을 위해 SPSS 12.0을 사용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학교 외에 영어 발음 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59%로 다소 낮게 나타났고 이 학생들의 만족도도 55.9%로 낮게 나타났다. 학생들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자음은 [ð], [ʤ]등 모음은 [æ], [ε]등으로 한국인들에게 존재하지 않는 자음이나 이음으로 존재하는 자음, 이완 모음을 어려워하고 있었다. 또 예상외로 74%의 학생들이 여전히 물리적으로 발음할줄 모르는 발음기호가 있다고 응답하여, 이 부분에 대한 교과서의 보완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학생들(82%)은 영어 발음 교육의 중요함을 인식하고, 자음, 모음의 소리법과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점 등을 내용을 배우고 싶다고 답하였다. 그리고 62%의 학생들이 원활한 의사소통의 목적으로 학교에서의 교육을 희망하고 있었다. 교과서 분석은 고등학교 일학년 총 8종의 교과서를 이용하여 영어 발음 교육이 나오는 학습 횟수, 구성, 내용, 학습 유형의 네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학습 횟수 평균은 한 단원당 6.88회로 나타나 작은 학습량을 반영했다. 영어 발음 교육의 구성은 독립형, 다른 영역과 혼합된 유형, 또 이 두 유형을 섞어 놓은 형이 있었으며, 모두 말하기와 듣기 이후에 이루어진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컨텐츠 내용은 모음보다는 자음을, 분절음보다는 초분절음의 컨텐츠가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나, 영어 발음 교육 컨텐츠가 영역별로 골고루 배분되는 점이 필요했다. 학습 유형은 대부분 단순 제시형으로 개별 활동이나 짝 활동은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어,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요구되어 졌다. 위의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문제점은, 기초 조사를 통해 나타난 학생들의 학교 영어 발음 교육에 대해 바라는 점들이 교과서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그 개선점으로 학생들의 의견 조사를 토대로 하여 고등학교 교과서에 나온 영어 발음 교육에 세 가지를 제안한다. 첫째, 의사소통 중심 교육을 위한 영어 발음 교육 컨텐츠양의 증대, 둘째 학생들의 요구를 수용한 컨텐츠의 균형 있는 선별, 셋째 영어 발음 교육의 학습 유형의 다양화이다. 앞으로 학생들의 영어 발음 교육 실태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가 선행되어, 위와 같은 개선이 이루어지면, 고등학교 학습자를 위한 영어 발음 교육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궁극적으로 한국인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 통합교육으로서의 영어교육

        김성수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영어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의 모든 단계, 실제 교육여건 및 교육과정개발 참여자들의 역할 등 교육과정에 관련된 모든 요인들이 교육목표달성이라는 하나의 방향으로 일관되어야 한다. 이 요인들 중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이 바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라는 문제에 관한 ‘수업내용 및 활동의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수업 내용 및 활동 구성의 틀을 주제 중심 통합 교육과정에 두고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질 수업 내용과 활동에 대해 논하였다. 주제중심 통합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은 이론적 전제에 기초한다. 즉 언어교수가 언어화 학습자의 실세계를 통합하여 상황맥락 속에서 총체적으로 가르쳐질 때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때 언어와 학습자의 실세계인 내용의 통합이 일반 교과 내용과 목표어 문학 및 문화에서 끌어낸 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교육과정은, 이러한 이론적 전제 위에서, 다음과 같은 절차에 다라 교육내용을 구성한다. 먼저, 교육내용을 구성하는 3가지 요소를 언어와 소재 그리고 문화를 파악하고, 이들은 각각 언어목표, 내용목표, 문화목표로 설정한다. 각각의 목표에 따라 언어목표의 목록, 소재목표의 목록, 문화목표의 목록을 작성한 뒤, 내용구성의 기준 또는 출발점을 주제로 삼고 이 주제를 중심으로 수업내용 및 활동을 구성한다. 일반 교과내용과 언어를 통합하여 언어를 교수하는 가장 성공적인 주제 중심 통합 교육과정은 집중언어 프로그램이다. 최근 응용언어학자들이 이론적으로 뒷받침하듯이, 내용과 언어의 통합은 실제로 의사소통의 필요와 목적이 있는 상황에 학습자를 처하게 함으로써 학습자에게 강한 학습의 동기를 부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습자는 언어 자체보다 내용의 이해에 초점을 맞추게 되고, 내용이해 및 학습에 필요한 언어활동을 하기 위하여 언어규칙들을 실제 언어사용현장에서 활용하게 된다. 즉 의미 있는 의사소통을 하게 된다. 첫째, 우리나라의 영어학습자들은 영어의 중요성과 영어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는 있지만, 영어학습의 동기를 유발하고 유지해나가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학교 수업 밖에서는 영어사용의 기회가 거의 없어 영어사용의 필요성을 갖지 못하게 되고 결국 학습의 동기가 약화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현재의 영어교육에 실제세계의 지식 및 경험에 관한 내용이 부족한 것도 학습자들의 동기 유발 및 유지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학습은 뚜렷한 영어 학습의 목적을 갖지 못하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둘째, 제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 중심의 열린 영어교육을 지향하며 수준별 교육과정을 제시한다. 학습자 개개의 특성 및 학습발달 수준을 중시하는 열린교육은 교과통합주제를 중심으로 한 통합교육과정 속에서 소집단 활동 및 탐구학습 활동을 통해 실현된다. 또한 수업의 목표설정에서부터 학습 활동의 선정에 이르기까지 학습자의 요구와 특성이 반영되며 학습자는 자신의 수준에 맞는 수업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열린 교육을 영어교과에서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주제 중심 통합 접근법이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이 접근법에 기초한 영어수업의 목표와 활동의 선정에 학습자의 필요가 반영되고 학습자가 실세계 지식을 얻는데 도움이 되는 교육내용이 제공된다. 그리고 주제별 통합수업은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학습자들이 자신의 수준에 맞는 활동을 선택하여 언어를 사용하게 함으로써, 수준별 교육과정이 가장 자연스럽고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특릉 제공한다. 셋째, 주제중심 통합 교육과정은 영어 학습에 가장 기존이 되는 어휘학습과 영어구조학습에 효과적이다. 이 접근법에 따른 수업에서는 영어구조와 어휘가 의미 있는 맥락 속에서 제시되고 사용할 수 있는 기호가 제공됨으로써 영어구조와 어휘를 전체 상황 속에서 인식하여 기억하게 된다. 특히 언어구조를 알아도 어휘를 모르면 말을 할 수 없듯이 학습자의 어휘지식은 곧 그의 의사소통능력과 직결된다. 어휘는 서로 의미상 관련 있는 단어들과 함께 연상하며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하나의 주제와 관련된 상황 속에서 그 주제와 의미상 관계있는 어휘들을 같이 학습할 수 있는 주제 중심 통합 접근법의 효과가 강조된다.

      • 웹을 통한 영어학습이 초등 4학년 아동의 영어 듣기ㆍ어휘력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 사이버가정학습을 중심으로

        송재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web-based education affects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listening ability, vocabulary skills, and their interest in the English language. In seeking the best approach to effective English education in our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attempt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does web-based education affect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listening ability? Does web-based learning have a greater effect on higher achievers than on lower? Second, how does web-based education affect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vocabulary skills? Third, how does web-based education affect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interest.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48 students from S Elementary School in Busan were selected and split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each of which again wa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groups based on their English fluency. This study was carried out over 15 weeks, during which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web-based learning while the control group followed general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English Teaching Guidebook.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required to express their impressions concerning 'Busan Cyber Study at Home' on the web boar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with respect to listening abilities. Scores and the graphs show a slight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ough not significant, there was a more positive effect with web-based education than with the general education methodology, especially among the lower level students. Second, again, there was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tudents in their vocabulary skill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the lower experimental group. The scores and graphs indicate a more positive eff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respect to vocabulary skills. Third, there was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tudents in their interest level, but their impressions, recorded on the web board 'Busan Cyber Study at Home', show that their self-confidence, interest, and abilities in English were enhance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First, the ‘Busan Cyber Study at Home' web site is comprehensive, including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thus, if all of the capabilities of the web site were used the students would achieve higher results and be even more motivated. By developing supplementary and advanced content more comprehensively, the web site would have a much greater effect on the students' listening ability, vocabulary skills, and interest in English. Second, 63% of the students, i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ich skill became better after using the web site, indicated speaking ability; therefore, more study with respect to 'speaking ability' and this web site are indicated. Third, the term of the study was too short; and differing levels at school, differing characteristics among classes, and the limited number of students make generalizations from this study difficult. More studies on this topic are needed. Fourth,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web-based learning, but few about the web site, 'Busan Cyber Study at Home'. It is hoped that many studies will be done on the 'Busan Cyber Study at Home' web site so that students may take advantage of effective web-based study, enhance achievement levels, and avoid the high cost of private education. The 'Busan Cyber Study at Home' web site can be accessed at any time, anywhere. 본 연구는 초등 4학년 아동에게 웹을 통한 영어학습이 아동의 영어 듣기능력, 어휘력 및 흥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효과적인 초등 영어교육의 방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웹을 통한 교육이 초등 4학년 아동의 영어 듣기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1) 웹을 통한 교육이 초등 4학년 아동의 영어 듣기능력에 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상·하 집단 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웹을 통한 교육이 초등 4학년 아동의 영어 어휘력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1) 웹을 통한 교육이 초등 4학년 아동의 영어 어휘력에 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상·하 집단 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3) 웹을 통한 교육이 초등 4학년 아동의 영어 흥미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3-1) 웹을 통한 교육이 초등 4학년 아동의 영어 흥미도에 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상·하 집단 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S초등학교 2개 학급 4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각 집단에서 상·하 수준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영향을 알아보았다. 15주간 실험집단은 학습 전개의 후반부, 정리 단계에서 웹을 활용한 수업을 하고 통제집단은 일반 교사용지도서에 따른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실험 후 웹 게시판에 웹 활용 소감문을 올리도록 하였다. 실험결과는 첫째, 웹을 통한 교육이 초등 4학년 아동의 영어 듣기능력에 있어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나왔으나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 및 실험 하 집단의 평균점수가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왔으며 사전·사후 비교검사에서도 실험집단 및 실험 하 집단의 그래프의 기울기가 크게 나타나 웹을 통한 영어교육이 일반 수업을 적용한 교육보다 긍정적인 의미가 있다고 보여 지며 특히 하 수준의 아동들에게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다고 보여 진다. 둘째, 웹을 통한 교육이 초등 4학년 아동의 영어 어휘력향상에 사전·사후 차이 검증에서 하 수준의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사후검사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는 나오지 않았으나 사후 평균점수 및 사전·사후 변화그래프를 볼 때 웹을 통한 영어교육이 일반 수업을 적용한 영어교육보다 영어 어휘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여 진다. 셋째, 영어 학습 흥미도에 대한 집단별 및 상·하 수준별 사후검사 결과와 사전·사후 차이 검증결과는 유의미하지 않게 나왔으나 웹 게시판에 올린 실험반 아동의 소감 및 설문조사를 볼 때 사이버가정학습 후 영어에 대한 자신감이 늘었다는 아동이 60%, 흥미도가 높아졌다는 아동이 70%, 영어실력이 많이 늘었다는 아동이 91%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콘텐츠 뿐만 아니라 쪽지기능, 게시판기능, 과제부여 기능, 평가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한다면 아동들의 학습동기와 성취도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학습콘텐츠의 보충 심화 과정 또한 더욱 다양하게 개발하여 아동들에게 부족하거나 필요한 부분을 보충·심화할 수 있게 한다면 아동들의 학습효과를 더욱 높여 학생들의 영어 듣기, 어휘력 및 흥미도 또한 더욱 높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 이후 영어의 어떤 기능이 좋아졌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말하기 능력이 좋아졌다고 생각하는 아동이 19명(63%)으로 제일 많은 것으로 보아 웹을 통한 영어교육이 아동들의 말하기 기능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셋째, 실험기간이 짧고 학교별 수준, 학급의 집단별 특성이 달라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따르므로 실험기간을 좀 더 길게 하거나, 학급의 집단별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많은 집단을 대상으로 아동들의 학급집단의 성격적 요인까지 고려한 연구, 또는 다른 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 같다. 넷째, 인터넷의 영어학습 사이트를 교사가 직접 찾아서 활용한 연구는 많으나 구축된 지 얼마 안 되는 부산사이버가정학습을 이용한 연구논문은 아직 찾아보기가 어려운 것 같다. 웹을 활용한 영어교육의 장점을 살려 학부모에겐 사교육비를 절감할 수 있고 아동들에게는 학업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부산사이버가정학습을 이용한 연구가 많이 나왔으면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