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등교사 임용시험 문항과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배관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 영어 임용시험의 문항과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알아봄으로써 중등교사 영어 임용시험과 영어 교사 양성기관인 교육대학원이 얼마나 연계성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정한 연구대상은 2013학년도∼2015학년도 영어 임용시험 문항과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이다. 교육대학원의 선정은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원양성기관 평가 발표 자료에 공개된 A∼D 등급 교육대학원 중에 각 등급별로 2개씩 총 8개의 교육대학원을 선정하였다.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임용시험 문항과 교육과정 교과목을 영어교육학, 영어학, 일반영어, 영문학 총 4개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그 후에 임용시험 문항과 교육과정 교과목의 각 영역별 퍼센트 비율을 구하였다. 2013∼2015학년도 임용시험 문항의 영역별 평균 퍼센트 비율과 각 등급별 교육대학원 평균 퍼센트 비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교육대학원 전체 등급 평균 퍼센트 비율과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를 일표본 T검정을 통해서 살펴봄으로써 연계성 여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한 임용시험과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각 영역별 퍼센트 비율 평균값은 다음과 같았다. 임용시험 출제문항의 영역별 평균은 영어교육학 42.7%, 영어학 21.2%, 일반영어 22.1%, 영문학 14.1%였다.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영역별 평균은 영어교육학 45.6%, 영어학 21.1%, 일반영어 10.6%, 영문학 22.9%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임용시험과 교육대학원의 연계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B등급 교육대학원의 영어교육학 영역과 일반영어 영역의 비율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C등급 교육대학원의 영문학 영역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A∼D등급 교육대학원의 일반영어 영역 비율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연계성을 위한 비율수정을 할 때 연계성이 있다고 검증된 영역을 참고하여 수정하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the national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and the curricula for the English Education Major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progressed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items from 2013 to 2015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into four domains English pedagogy, English linguistics, general English and English literature to find each proportion of the domains. Second, based on the evaluation report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selected two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rom each of the A,B,C and D rank. In other words, the total number of the selected graduate school is eight. The curricula were separated and analyzed in the same way above. Finally, this study compared the average of the percentages of each domain of the examinations items and the curricula respectively. The one-sample test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y correlate with each other. This study brought out the following results. The proportions of the examination items are English pedagogy 42.7%, English linguistics 21.2%, general English 22.1%, English literature 14.1%. The proportions of the curricula are English pedagogy 45.6%, English linguistics 21.1%, general English 10.6%, English literature 22.9%. Comparing the figures, this study found that the examination items and the curricula correlate well except for the domains of English education and general English of the B rank graduate school, the domain of English literature of the C rank graduate school, and the domain of general English of the A∼D rank graduate school. Based on the result, a concrete suggestion was made to improv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amination and the curricula. The suggestion is that the proportions of the domains that were determined not to correlate with the examination should be fixed. If they are fixed properly, the proportions can be determined to correlate with the examination. If the suggestion is accepted, the examination and the curricula can be mo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과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의 연계성 분석

        염지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의 교육과정과 '중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영어과 시험 문항을 분석하고, 둘 사이의 연계성에 관하여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영어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양성과 임용이 얼마나 적절하게 연계되어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6개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을 영어교육학, 영어학, 영문학, 일반영어의 4대 영역으로 분류하여 영역별 출제 비율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 1차 시험 문항을 위와 같이 4대 영역으로 분류하여 영역별 출제 비율을 연도별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위 결과를 토대로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과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 1차 시험 문항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교원양성기관 전공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교육전공 평가에서 A등급, B등급, C등급을 받은 교원양성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교육대학원을 각각 2개씩 선정하여, 각 학교별로 교육과정 전공과목을 4대 영역으로 분류하고, 각 영역별 비율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을 A, B, C등급으로 분류하여 등급에 따라 영역별 평균 비율을 분석한 후, 6개 교육대학원의 영역별 비율의 전체 평균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6개의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 전공과목의 비율을 등급별로 분석한 결과, 우수하고 전문성 있는 영어교사를 양성하기에 비교적 적합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교육대학원은 A등급 교육대학원이라고 할 수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교육과정의 운영에 있어서 각 등급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보아, 교원양성기관 평가 결과는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의 차이에서 온 결과이기도 하겠지만, 그보다는 교원, 교육성과, 시설 및 행․재정, 발전노력 및 특성화 등의 다른 평가항목의 차이에서 온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6개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의 영역별 전체 평균 비율을 분석한 결과, 영어교육학(45.2%), 영어학(22.7%), 영문학(18.6%), 일반영어(13.5%)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르면, 교육과정에서 전공과목이 영어교육학 영역에 다소 편중된 모습을 보이고 일반영어 영역은 낮은 비중을 보여, 표면상으로는 영역 간에 다소 불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교육대학원의 입학 자격 요건과 그에 따른 학생들의 학사학위 전공 및 영어능력 수준 등 교육대학원의 특수한 여건, 영어교육에 있어서의 각 영역의 중요도 등을 고려하여 볼 때, 교육대학원이 교육과정을 대체로 적절하게 운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2009학년도부터 2012학년도까지 최근 4년간 실시된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 1차 시험 문항을 연도별로 영어교육학, 영어학, 영문학, 일반영어의 4대 영역으로 출제 비율을 분석하여 4개년의 평균 비율을 산출한 결과, 일반영어(36.9%), 영어교육학(35.3%), 영어학(18.3%), 영문학(9.5%)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이 일반영어 영역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출제되고 있는 모습을 통하여, 임용시험이 현시대가 요구하는 영어교사의 자질 및 능력을 적절하게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제7차 및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이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신장하는 것에 가장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영어구사력이 우수한 교사의 확보가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임용시험 문항의 영역별 출제 비율에서 일반영어 영역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모습은 임용시험이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된 교사의 역할을 평가에 잘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영어교육학 영역도 일반영어 영역과 비슷하게 높은 출제 비율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임용시험이 영어교사의 자질과 능력을 평가함에 있어서 영어교육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교수 능력을 강조함으로써, 영어교사로서의 전문성을 중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비율을 살펴본 결과, 임용시험 제도가 개편된 2009학년도부터 출제 영역별 비율을 정해놓음으로써 그 비율이 비교적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었다. 따라서 2009학년도에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 제도가 새롭게 개편된 이후로 그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과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 문항의 연계성을 살펴본 결과, 영어학 영역과 영어교육학 영역은 비교적 연계성이 높은 편이었으며, 영문학 영역과 일반영어 영역은 연계성이 낮은 편이었다. 이는 교육대학원 등급별 비율과 임용시험 출제 비율 간의 분석, 그리고 교육대학원 전체 평균 비율과 임용시험 출제 비율 간의 분석에서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수치상으로만 분석한 것이므로, 이를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교육대학원의 제반 여건을 고려하여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수하고 전문성 있는 교사의 양성과 임용을 위하여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과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과 둘 사이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과정에서 일반영어 영역의 심화 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에서 영문학 영역에서 순수학문이나 이론 위주의 교과목들의 비중은 낮추고 영어교육 현장과 연계되는 교과목들을 제공하여, 영어영문학전공 교육과정과 차별화되는 교육과정을 운영하여야 한다. 셋째, 임용시험의 영문학 영역과 영미문화 영역에서는 각 영역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 있어야 풀 수 있는 문항, 그리고 타 영역의 문항과 구별되는 독창성을 지니는 문항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일반영어 영역에 있어서 교육과정과 임용시험의 연계성을 직접적으로 높이고자 한다면, 임용시험 2․3차 시험에 대비하는 교과목을 개발하는 것이 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원에서 방학기간을 이용하여 임용시험 특강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도 교육과정과 임용시험의 연계를 꾀하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제언이 교육과정과 임용시험에 반영된다면 보다 바람직한 교원 양성과 선발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icula for the English Education Major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and correlations between them. It ultimately aims to evaluate how well educating teachers and selecting teachers a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progress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elected the English Education Major of six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hich give the students a teacher’s certificat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for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which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nounced in 2010 and 2011. The curricula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into four domains, which are English Pedagogy, English Linguistics, English Literature and General English. Second, the 160 examination items for the national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from 2009 to 2012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into the same four domains as above, and then each domain was divided into subcategories. Lastly,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urricula for the English Education Major in the six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average of the percentages according to each domain of the curricula and the examination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nglish Pedagogy domain had the highest average percentage(45.2%) of the four domains when the curricula for the English Education Major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ere analyzed. This means the curricula reflected well specialization and professionalism of the English Education Major as a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On the other hand, General English domain had the lowest average percentage(13.5%), but that resulted from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or example, the fact that most graduate students already took a lot of General English courses during their undergraduate studies. Second, General English domain had the highest average percentage(36.9%) of the four domains when the examination items for the national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urricula reflected well the goals of the 7th curriculum and the teacher’s qualities currently required. Also, English Pedagogy domain had the second highest percentage(35.3%) by a narrow margin over General English. This means the examination continues to lay importance on theoretical knowledge and teaching ability as well as English language ability when the teacher’s qualities are evaluated. Lastly, the curricula and the selection examination we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English Linguistics and English Pedagogy domains, but they were not closely connected in the English Literature and General English domains when connections between the two were analyzed. However, this study drew the conclusion that the curricula and the selection examination tend to be properly correlated on the whole if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considered as mentioned above.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curriculum, the selection examination and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five concrete suggestions are made: First, more advanced and intensive courses in General English need to be developed. Second, the importance of the pure literature subjects need to be reduced, and more practical subjects which are related to the education field are required to be developed instead. Third, the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needs to offer original items which require specialized knowledge in the English Literature and English Culture domains. Fourth, the courses which prepare for the second or the third examination in the teacher selection process are required to be developed. Lastly,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can open a special lecture series on the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during vacations. Educating teachers and selecting teachers can be closely related with each other if the suggestions in this thesis are reflected in the curricula for the English Education Major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secondary English teacher selection examination.

      • 중등 영어 교원 양성과정과 임용시험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박고운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839

        세계화 시대에 걸 맞는 인재를 양성하고 국가 경쟁력을 키우고자 우리나라는 영어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많은 투자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는 말처럼 높은 질의 영어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수한 영어교사를 확보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수한 영어교사를 확보하기 위한 중등 영어 교원 양성과정과 임용시험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등 영어 교원 양성과정은 교육과정, 수업운영, 교수진, 행·재정 및 시설설비 등 여러 측면에서 논의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중등 영어 교원 양성 기관, 교육과정, 전임 교수의 전공을 중심으로 중등 영어 교원 양성과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우리나라 중등 영어 교원은 39개교의 사범대학과 2개교의 일반대학 교육과(영어), 88개교의 일반대학 교직과정(영어), 그리고 92개교의 교육대학원에서 양성되고 있다. 즉, 중등 영어 교원 양성 기관은 221개교이며 교육대학원생을 제외한 영어교직과정에 있는 예비교사의 수는 매년 평균 1,700명에 달한다. 하지만 현재 중등 영어과 임용시험 모집인원에 비해 약 3∼4배나 많은 예비교사가 양성되고 있어 교원 수급불균형 문제는 매우 심각할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양성 기관을 통해 배출된 예비교원들의 질적 수준에서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중등 교원 양성 기관의 교육과정의 경우, 현재 교육과정에 대한 법적규제나 제한이 명시되어 있지 않아 중등 교원 양성 기관마다 교육과정이 다르고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중등 영어 교원 양성 기관의 교육과정이 우수한 영어 교원을 양성하기에 적합하게 운영되는지 살펴보기 위해 국/사립, 지역/서울 분포를 고려하여 10개의 사범대학 영어교육과를 선정하였다. 전공교과목은 영어교육학, 영어학, 영문학, 일반영어, 영미문화 5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어교육학 영역의 전공교과목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문학과 어학 중심의 전공교과목도 꽤 제공하고 있어 영어교육과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한 채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사범대학 영어교육과와 같이 영어 교육 전문가를 양성한다는 교육목표를 가진 TESOL (Teaching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미국의 10개 대학과 우리나라 3개 대학을 선정하였다. TESOL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사범대학 영어교육과의 교육과정과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는 TESOL 교육과정에 비해 영어교육학 영역의 교과목이 부족하고, 순수학문 또는 이론 중심의 교과목 비중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육과정 구성에 참여하는 인사인 대학 교수진의 전공 비율을 살펴본 결과, 전임 교수의 전공 및 구성 비율이 각 대학의 전공교과목 편성·운영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최근 4년간 출제된 2009∼2012학년도 중등 영어과 임용시험 1, 2차 시험의 영역별 비중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2009학년도를 제외한 2010, 2011, 2012학년도 1차 시험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제시한 출제비율인 교과교육학 25∼35%, 교과내용학 75∼65% 내에서 출제되었다. 최근 4년간 치러진 2차 시험 역시 모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한 교과교육학 35∼55%, 교과내용학 65∼45% 비율에 맞춰 출제되었다. 중등 영어과 임용시험 1, 2차 시험과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육과정의 세부 영역별 비중을 통해 연계성을 살펴본 결과, 임용시험은 사범대 영어교육과에서 제공하는 영문학 영역의 과목보다 낮은 비율로 출제되었고, 일반영어 영역의 과목보다 높은 비율로 출제되었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중등 영어 교원 양성과정과 임용시험에 관한 설문지는 예비교사들의 인식도를 반영하는 자료로 전국의 사범대학 영어교육 전공생 69명, 비 사범대 영어교직과정생 9명,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전공생 30명인 총 108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와 앞서 연구한 자료를 바탕으로 중등 영어 교원 양성과정과 임용시험의 문제점 및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중등 영어 교원 양성과정의 경우, 이론 중심의 교과목 편성 및 운영, 교수 중심의 교과목 편성 및 운영, 교육실습과정의 부실, 교원 양성 기관의 난립을 문제점으로 들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실용 중심의 교과목 확대, 교과교육학 전공 교수진 확충, 교육실습과정의 강화, 교원 양성 기관의 통폐합을 제시할 수 있다. 중등 영어과 임용시험의 경우, 중등 영어 교원 양성 기관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부족, 과도한 사교육비 유발, 임용시험 제도의 일관성 및 지속성 부족이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현 중등 영어과 임용시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과교육학의 출제 비율 확대, 논술시험 점수 및 평가기준 공개, 임용시험 제도의 일관성 및 지속성 확보를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등 영어 교원 양성과정과 중등 영어과 임용시험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살펴보았다. 위의 연구는 사범대학의 교육과정을 살펴보았으나 일반대학 영어교직과정과 교육대학원 같은 다양한 기관의 교육과정을 포함하여 분석한다면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또한 교육과정과 임용시험 합격률을 비교·분석하여 둘 사이의 연계성을 알아보는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해본다.

      • 교원 양성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연구 :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소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8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urriculum of English education major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pre-service teacher training institute is appropriately structured to train future English teachers in current English education field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sirable curriculum. As a basis for judging whether or not a proper curriculum is composed, this study analyzed the ratio of the distribution of the question types between pedagogical areas (교과교육학), content areas (교과내용학), and General English (English reading and English writing) of the National Teachers' Bar Exams of the past five years (2014-2018).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compared the distribution ratio of those three areas to graduate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find out the appropriate distribution ratio of each three area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wo analyses were performed. First, the curricular of the 43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hree areas mentioned above. Then the National Teachers's Bar Exams from 2014 to 2018)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 second and third period exam items. Finally, the two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compared in order to presen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urriculum structures and to suggest the appropriate proportion of the three areas : English pedagogical subject area, the English content area, the general English area.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general English domain in the Bar Exams are as high as that of the domains of the pedagogical area and the content area. Second, all of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ocus on the content and pedagogical areas and the general English domain (reading and writing) are not significantly taken care of. Third, the distribution proportion of content and pedagogical domains of the curriculum are coincided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Bar Exam. However, the general English domain is rarely correlated with the curriculum construc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ill be able to cultivate future English teachers with genuine English ability by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General English subjects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practical field of English Education today. Additionally, unlike the previous studies, which compared the domains of the pedagogical area and the content area of the curriculum,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focuses on the ratio and distribution in the general English domain composed of English reading and English writing. 본 연구는 교원양성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의 교육과정이 오늘날의 영어교육현장에 적절한 영어교사를 양성하기에 적절히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바람직한 교육과정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적절한 교육과정구성의 여부를 판단할 근거로서는 교원임용고사의 교과교육학, 교과내용학, 일반영어(영어독해 및 영어작문)의 출제비율을 영역별 출제문항 수 및 배점을 기준으로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각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 분포비율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8)의“표시과목 <영어>의 교사 자격 기준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 근거하여 2014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의 2교시 전공 A와 3교시 전공 B의 문항을 분류한 뒤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분석한다. 첫째,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에 해당하는 과목을 전체로 묶어 하나의 단위로 구분하고 영어독해와 영어작문을 각각의 단위로 구분하여 교과교육/교과내용, 영어독해, 영어작문 총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분석방법 1). 둘째, 교과교육학/교과내용학 문항 중, 독해와 작문 능력이 뒷받침되어야 풀 수 있는 문항은 독해 혹은 작문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분석방법 2). 그리고 2015년도와 2016년도에 실시된 제 4주기 교원양성기관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양성 기능을 수행하는 교육대학원 총 44개를 선정, 각 대학을 등급별로 나누어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의 두 결과를 바탕으로 임용고사에서의 독해와 작문의 비중과 교육과정에서 해당 과목들의 비중을 비교 분석하여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편성 현황과 적절한 편성 비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4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 지난 5년간의 개편된 임용고사의 문항 중 일반영어를 중심으로 분석해 본 결과, 일반 영어(영어독해 및 영어 작문)의 비중이 전공 영역 문항의 비중 못지않게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양성기관 평가 등급에 상관없이 모든 교육대학원은 대부분의 교육을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에 중점을 두고 있었으며, 영어독해 및 영어작문과 같은 실질적인 기능 향상을 위한 일반영어의 수업 편성은 미미한 실정이었다. 셋째, 교육대학원 교육과정과 임용고사 문항의 연계성을 살펴본 결과,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 등 전공 관련 과목의 편성은 임용고사의 경향과 대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왔다. 그러나 임용고사에서 일반영어로 대표되는 영어독해와 영어작문 과목을 교육과정과 비교해 보았을 때, 임용고사에서의 높은 출제 비율과는 대조적으로 교육과정의 반영률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편성을 임용고사 출제 비율이라는 기준에 맞추어 분석한 결과,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은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 과목만 중점 편성, 지도하고 일반영어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교육대학원은 현장 영어교육의 추세 및 방향에 맞추어 일반영어의 비중을 좀 더 늘려 균형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만 진정한 능력을 갖춘 영어교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본 연구의 결론이다. 마지막으로 전공 영역과 일반영어 영역의 출제 문항을 골고루 비교했던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본 연구는 영어독해와 영어작문으로 구성된 일반영어 영역에서의 출제 비율 및 분포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유치원 영어전담 교사의 전공에 따른 유아 영어교육 인식연구

        김지영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823

        현재 유치원 영어교육은 객관적인 효과성이 검증되지 않은 채 시행되고 있어 유아 인지발달의 문제, 영어교육 방법의 문제, 유아 영어교사의 자질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유치원 영어전담 교사의 인식을 교사 전공에 따라 분석하여 유아 영어교육의 현 실태와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영어교사로 유아 관련 전공 교사 3인, 영어 관련 전공 교사 3인, 그리고 유아와 영어 관련 전공 교사 3인으로 하였다. 유아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유아 영어교육에서의 유아 인지발달, 유아 영어 교수방법, 유아 영어교사 전문성에 대한 면담이 진행되었다. 면담한 내용은 전사하여 교사의 수업을 관찰한 내용과 함께 체계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한 내용은 근거이론에 의해 코딩과 교사 전공에 따라 내용을 범주화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문제에 따른 유치원 유아전담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 영어교육의 현 실태와 개선방안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영어교사는 교사가 소속된 회사와 유치원에서 제공하는 교재가 유아 인지발달에 적합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므로 유아 영어교육 자료를 보급하는 회사와 유치원에서는 유아 인지발달에 적합한 수업 교재와 수업자료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유아 영어교사는 유치원 영어수업에서 교사의 영어 사용은 유아의 수업흥미도, 수업집중, 수업참여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므로 교사는 유아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수준을 고려하여 영어와 한국어를 혼합하여 수업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유아 영어교사가 지녀야 할 자질로 유아 영어교사는 유아교사와 영어교사가 지녀야할 자질을 갖춰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하지만 교사 채용시 영어교사의 전문성을 중요하게 고려하므로 교사를 채용할 때 유아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유아 영어교사는 객관적 기준이 없는 유아 영어교육 과정의 안정성 문제에 대해 지적하였다. 그러므로 교사 전문성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문성을 지닌 유아 영어교사를 양성하고 유아 영어교육과 유아 교육과정의 통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conditions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and find the way to improve English education quality in kindergarten by analyzing the perspectives stated by kindergarten English teachers according to their major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1) What are the current conditions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related to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and how to improve them? 2) What are the current conditions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method and how to improve them? 3) What are the current qualifications of the kindergarten English teacher and how to improve them?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English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observing their classes. The data were then analyzed based on Grounded Theory Approach by categorizing and comparing the data according to teachers' majors: childhood, English, and both childhood and English. The result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ived the text books, which the companies and kindergartens offered, were not appropriate for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Thus, the companies and kindergartens, which regulate materials for kindergarten English education, need to develop class materials considering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Second, the teachers stated that the teacher's English speaking proficiency affects children's class interests, attention, and participation. This implies that the teacher needs to use Korean and English considering children's understanding level of language input. Third, the teachers perceived kindergarten English teachers should be qualified with an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nglish education. However, companies and kindergartens regarded English professionalism as the important quality for kindergarten English teachers. In addition, the teachers expressed their concern of the unsystematic curriculum of kindergarten English education which lacks an objective educational criteria. This study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ory driven, systematic programs to train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and to integrate kindergarten English education into the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Nu ri curriculum.

      • EAP 코퍼스 기반 영어교육 어휘 목록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

        이제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9807

        영어로 쓰여진 학술적인 글을 읽는데 있어 겪는 어려움 중 하나는 어휘와 관련된 문제이다. 실제로 많은 학생들이 학문적인 글에서 특히 자주 사용되는 학술 어휘에 친숙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종류의 어휘와 관련한 대표적인 연구는 Coxhead(2000)의 AWL(Academic Word List)이다. AWL은 전공에 상관없이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어휘를 목록화한 것으로 영어로 쓰여진 학문적 글을 읽는데 많은 도움을 주지만, 많은 선행 연구 결과에 따르면 특정 전공에서만 특히 자주 사용되는 전문 어휘의 학습이 병행되어야 학습자들은 이러한 글을 읽는데 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영어교육 분야의 전문 코퍼스 구축을 통해 해당 분야의 전문 어휘를 밝히고 이를 학습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어 습득론, 영어 교수법, 기타 과목의 세 가지 하위 코퍼스로 구성된 총 300,000 단어 수준의 영어교육 전문 코퍼스를 구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해당 코퍼스의 빈출 어휘 중 기본 어휘와 학술 어휘를 제외한 어휘 중 빈도와 범위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어휘를 영어교육 전문 어휘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모두 181개의 어휘가 선정되었는데, 이 단어들은 영어교육 코퍼스의 어휘 분포의 약 3.24%를 차지한 반면 소설 장르의 경우에는 0.23%만을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해당 어휘들이 영어교육 분야의 주요 어휘임을 나타내주는 차이로, 이러한 어휘들이 영어교육 분야의 영어 텍스트를 읽는 것을 준비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되어 이를 학습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방향 설정을 위해 학생 요구 조사와 코퍼스 관련 연구들에 대한 메타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구 분석 결과 학생들은 휴대가 가능한 형태의 자료 개발을 원하였고, 전공 어휘가 영어교육 분야에서 정확히 어떠한 의미와 용법으로 사용되는지 알 수 있도록 다양한 예문을 담아줄 것을 바랬다. 메타 분석 결과로는 연역적이고 표현 기능에 치중하는 것보다 귀납적이고 이해 기능을 위주로 코퍼스 활용 영어 학습이 진행되었을 때 더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영어교육 전공 어휘 교수-학습 자료는 소책자 형태와 eBook 형태의 두 가지로 개발하였고, 그 내용으로는 기본적 정의와 더불에 코퍼스 분석 소프트웨어를 통해 추출한 다양한 예시문을 담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자료의 1차 개발 후에는 영어교육 분야의 전문가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파일럿을 실시하였다. 선택형 문항에 대한 응답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이었으며, 개방형 질문에 있었던 요구를 바탕으로 하여 발음을 들을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고, 해당 어휘를 클릭할 경우 원문을 볼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는 등의 기능 추가를 통해 2차 자료 개발을 완료하였다. 요구 조사와 메타 분석, 코퍼스 기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개발된 전공 어휘 학습 자료는 품사와 정의, 발음과 같은 기존의 사전적 정보와 더불어 다양한 예문과 연어 관련 정보를 수록한 형태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교재는 영어교육 분야 전문 어휘의 의미와 용법을 귀납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해줌과 동시에 해당 분야의 영어 텍스트를 원활히 읽기 위한 준비 자료로서 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ne of the most difficult aspects of reading EAP texts is vocabulary that is used more frequently in academic texts. In fact, academic vocabulary causes a great deal of difficulty for learners because students are generally not familiar with it. One famous study in the field of academic vocabulary is AWL (Academic Word List) developed by Averil Coxhead (Coxhead, 2000). It is created in order to play the important role in the general academic fields. However, many academic texts contain lots of words that are used in specific fields.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tried to make technical vocabulary list and teaching materials for English education major. To do this, EAP corpus for English education was constructed. The corpus consisted of about 300,000 running words of written academic texts from various books about second language acquisition, foreign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and so on. With it, the frequency and range of words outside the basic words (GSL, West, 1953) and the academic words (AWL, Coxhead, 2000) of English were examined. The technical vocabulary list for English Education contains 181 word families that account for 3.24% of the total words in English Education corpus but only 0.23% of the tokens in a fiction collection. This difference means that the technical vocabulary list contains principle words in English Education major, and it can be used for various educational purposes, especially the preparation for reading the English texts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According to need analysis, students want the portable type of material, and it included various sample sentences and exact meaning in English education field. The results of meta-analysis of corpus-based research showed that inductive type and comprehension type of activities had more positive effects than deductive and production type. So the material for technical vocabulary was developed as the booklet and e-book type, and it had various sample sentences and definition in English education discipline. Sample sentences and lexical bundles for each word were extracted using AntConc 3.2.4m (Anthony, 2012). And the booklet type of material was developed with Pages '09, and the e-book type was made through iBooks Author. After developing the first draft of material, the pilot test was implemented to the students and experts in English Education. The responses were generally positive, but some parts of materials were revised according to responses such as pronunciation sounds and hyperlink to original texts. The material for technical vocabulary in English education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need analysis, meta analysis, and corpus-based analysis. It had not only the basic information including pronunciation and part of speech but also the sample sentences and the collocation information of each word.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can learn the meaning and usage of technical vocabulary inductively.

      • 교육대학원 영어전공 교과과정 실태조사 및 만족도 연구

        조혜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807

        교육대학원이 교과과정에 있어서 현직교사의 재교육과 예비교사의 양성, 교육전문가의 전문성 제고 등을 목적으로 한다면 그에 맞는 교과과정이 조직되고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교육대학원은 이러한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교과과정을 운영하지 못하여 교육대학원의 특수한 목적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수요자인 학생들은 교육대학원의 진학 동기나 직업 등에 따라서 공부하려는 목적이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소재 교육대학원의 영어교육 전공과정을 살펴보고 응답자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 교육대학원의 영어교육 교과과정의 인식과 만족도,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교수방법과 학습 환경에 대한 만족도, 교육대학원 행정과 복지에 관한 만족도,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발전 방향에 대해서 살펴 보왔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학생들은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이 교육현장과 연계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에서 전문적 소양 습득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육대학원 행정과 복지면에서 행정서비스의 신속한 처리와 친절한 응답이 만족요소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생들은 교육대학원에서 제공하는 장학금에 대해서는 금액과 기회의 제약을 드러내며 불만족하고 있다는 결과는 보여줬다. 교육대학원 영어전공 프로그램에서 가장 개선할 부분으로는 교과과정의 개선을 꼽았다. 현재 진행되는 교육과정이 재교육을 원하는 현직교원을 위한 과정과 교원양성을 위한 예비교사양성 과정이 분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들어났다. 교육대학원은 수요자인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를 위하여 개선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은 최대한 노력해야한다. 또한 나라의 기둥인 청소년들을 가르치고 있거나 가르칠 학생들을 교육시킨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좀 더 높은 수준의 다양한 교육서비스를 제공하여 교육 만족도를 높여야겠다. If the curriculum objective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re re-training current teachers, producing new teachers, and boosting the professionalism of educational experts, the compatible curriculum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Howeve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not able to accomplish such objectives by failing to operate such curriculum that meets the demands of students. Each of them has a different purpose for studying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epending on their reasons for studying or their occup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examined the English education major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located in Seoul and explored the following: perception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epending on personal background of responden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in English education major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atisfaction in teaching methods of English education 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satisfaction in administration and welfare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English education 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study revealed that the student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ink the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s linked to the actual educational scene. In terms of satisfaction in curriculum, most of respondents stated it was helpful in cultivating their expertise. As for administration and welfare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prompt handling of their administrative services and friendly responses were the satisfying factors. However, the students were dissatisfied with the amount and frequency of scholarships offered by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for the biggest area for improvement in English education major of the graduate school, it was the curriculum, according to respondents. Since the current curriculum doesn't have separate programs between current teachers seeking re-training and teacher candidates in need of new training, the students wanted improvement on that area.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make their best efforts to boos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ir students. In addition, they should offer more variety of high-quality educational services to current and future educators for youths, the potential driving force of the country, to boost the satisfaction level of learners.

      • 중등 영어교사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양성과정 비교연구 : 한국과 핀란드를 중심으로

        이현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807

        지구촌 사회가 된 오늘날, 영어 의사소통 능력은 필수적으로 갖춰야 할 역량이 되었다. 이에 따라 교육부에서는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영어교사들에게 영어로 영어를 수업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으나 학교 현장을 들여다보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 그 이유로 다른 다양한 요인들과 함께 교사의 영어구사력 부족과 자신감 결여, 경험 부족 등이 지적되고 있다. 사범대학에서 4년의 교육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의 역량이 부족하다면 그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양성되는지 그 과정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으며, 영어교사의 영어구사력 및 영어교육 역량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써 우리나라와 유사한 환경에 있는 해외의 우수 교사 양성과정과 비교 분석해본다면 이에 대한 긍정적인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예비 영어교사들의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교사양성기관에서 예비교사를 훈련시키는 양성과정을 분석해보고, 핀란드의 영어 교사 양성과정과 비교하여 의사소통능력 중심의 교사훈련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핀란드를 비교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모국어가 영어와 다른 어족이고,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상황에 있으며, 영어권 국가의 식민지배를 당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영어 환경과 유사하고 핀란드의 성찰적 예비교사 교육은 우수한 교사를 배출해내는 성공적인 사례로 인정받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국내외 석•박사 논문 및 학술지, 국가정책자료, 문헌자료, 관련 서적 등을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국과 핀란드의 교사양성기관의 영어교육전공 교과과정, 수업방식 및 교수언어, 교육실습, 그리고 TEE 수업을 위한 교사교육을 중심으로 각 나라의 영어교사 양성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을 의사소통 중심으로 개편할 필요가 있다. 예비 영어교사들의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교사 양성기관은 의사소통능력과 관련된 교과목을 더 개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교육시킬 수 있는 강좌를 개설해야 한다. 둘째, 지나친 이론 중심과 강의식 수업에서 벗어나 다양한 수업 방식을 활용하는 강의를 구성해야 한다. 이론과 실제가 적절한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이론 수업과 함께 예비 교사들이 학교 구성원들과 진정한 의사소통을 해 볼 수 있도록 소규모 토의 및 창의적 발표 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는 수업을 개설하여 예비 교사들이 이론적 교수 개념과 더불어 의사소통능력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전반적인 양성과정에서 예비 영어교사들이 영어에 노출되는 빈도를 높여야 한다. 수업 시연, 토론, 발표 등을 통해 영어를 사용하는 비중을 높여서 우리나라 예비 영어교사들이 영어에 노출되는 빈도수를 높이고 전공과 관련된 영어전용 강좌를 개설하여 교실 영어를 충분히 연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넷째, 교육실습 체제를 강화시켜야 한다. 교육실습의 기간을 늘려야 하며 학교 내 체계적인 교생 지도 시스템을 마련하고 의사소통중심의 수업을 실행해 볼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여 예비 영어교사들이 교육실습을 통해 TEE수업에 대한 충분한 교수 경험을 해보고 이에 대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are essential in today’s world because the world is getting smaller and becoming more connected. Therefore, the Ministry of Education encourages English teachers to teach English in English, but it does not work well because they are not confident in their ability to teach English in English. Pre-service English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examined if English teachers lack the capability to teach English in English even they completed a 4-year course of study in college of education. Comparing and analyzing our teacher education programs with other countries’ which are in EFL situation can give posit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English teachers’ proficiency in English.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pre-service English teacher education programs between Korea and Finland to enhance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for English teachers in Korea. The reason to compare our program with Finish education program is that English environment in Finland is similar to ours; Finnish and English are not cognate languages, Finland is in EFL situation, and Finland was not colonized by English-speaking countries. Also, a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model in Finland is well known as a successful way to train competent teachers. This study is based on dissertations from home and abroad, journals, materials of national policy, related publications and analyzed in the area of curriculum, teaching process, medium of instruction, teaching practice and teacher education for TEE(Teaching English in Englis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course of study in education colleges should be reorganized with communicative approach. To improve English proficiency for pre-service English teachers, the teacher training agency should develop courses related to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open the classes. Second, methods of teaching in the classroom should be varied to facilitate teachers’ L2 communicative competence. Pre-service teachers acquire communicative competence from interaction with others, so various activities such as presentation and discussion must be activated in the class. Third, pre-service English teachers should have more exposure to English and more chances to speak English with others in classes. The department must create an English-speaking environment which enabled them to speak English through coursework such as micro-teaching, discussion and presentation. Fourth, the teaching practice system should be improved. The teaching practice period should be expanded and in-service teachers should guide trainee teachers properly. Student teachers can be confidence in their classes through sufficient experience of teaching.

      • 중등영어과 임용시험과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육과정의 타당성 분석

        신혜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807

        본 연구는 사범대학 영어교육과와 교사선발시험인 임용시험이 시대 흐름에 따른 변화된 영어교사의 역할을 수행해 낼 수 있는 우수한 교사를 양성하고 선발하기에 적절한 교육과정과 시험으로 이루어져 있는 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육과정을 영어기능, 영어교육, 영어학, 영미문학, 영미문화의 5개 영역으로 전공교과목을 분류·분석하고, 개선되어 실시된 2009학년도와 2010학년도 임용시험을 영역별로 나누어 분석하여 이 둘 사이의 연관성을 찾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수한 10개의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육과정은 영어교육영역에 가장 많은 과목수를 개설하여 교사양성이라는 목표에 맞게 사범대학의 전문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나, 현재 변화된 교사의 역할을 고려해 보았을 때, 낮은 영어기능영역과 높은 영미문학영역의 전공교과목 비율은 이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영어기능영역에 더욱 많은 전공교과목을 개설하고, 영미문학영역의 과목 수를 줄이거나 영미문학관련 과목들을 영어교육영역과 연계하여 통합된 과목을 개설하는 등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임용시험의 개선이 이루어진 이후 치러진 2009학년도와 2010학년도의 임용시험을 분석해 본 결과, 영역별 출제문항의 비율이 두 해 동안 큰 차이 없이 출제되고 있어 개선이 이루어진 이 후 안정적으로 시험제도가 정착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시험문항의 내용도 전공지식과 관련된 문항뿐 아니라 일반영어실력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항들도 출제되고 있어 영어를 구사해 낼 수 있는 인재를 양성을 목표로 하는 변화된 교사역할에 맞게 예비교사들의 기본실력을 측정해 낼 수 있는 타당한 평가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육과정의 영역별 평균비율과 개선된 임용시험의 영역별 평균비율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교육과정과 임용시험 사이에 영어교육영역과 영어학영역처럼 긴밀한 연관성을 보여 비슷한 비율을 나타내는 영역들도 있었으나, 영어기능영역과 영미문화영역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는 둘 사이의 연관성이 낮음을 보여 주고 있다. 임용시험에서 먼저 변화된 시대에 따른 우수한 교사를 선발하기 위해 제도나 시행방법 등의 부분에서 보완되고 개선이 이루어져 정착되고 안정화되어 가고 있다. 하지만 사범대학 영어교육과의 교육과정 변화는 아직 미흡한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우수한 영어 교사를 양성해 내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개선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