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앙일간지 지방판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대전·충남지역을 중심으로

        전성우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19

        새로운 생활양식이자 가치인 풀뿌리민주주의의 성공적인 정착과 활성화를 위해 지역언론의 중요성은 새삼 강조할 필요도 없다. 이 같은 맥락에서 그동안 지방신문을 비롯한 지역언론의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한 연구와 논의는 학계와 언론계, 시민사회운동단체 등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중앙지의 지방판은 이 논의 마당에서 늘 소외되어 왔다. 그렇다고 중앙언론에 대한 연구와 논의에서 지방판의 자리가 있었던 것도 전혀 아니다. 중앙지의 지방판은 중앙언론과 지역언론의 사이에서 사각지대로 방치되어 왔다. 본 연구는 중앙지의 지방판을 이 같은 연구 논의 마당에 올리기 위한 목적으로 출발했다. 엄연히 지역의 사안만을 다루는 지면인 중앙지의 지방판은 지역언론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는 지방판을 담당하는 중앙지의 지방주재기자들이 해당 지역의 언론인임과 더불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지방 신문시장은 사실상 중앙지가 장악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지방의 수많은 독자들이 중앙지 지방판을 보고 있다는 사실을 반증하며 이 같은 맥락에서 볼 때 중앙지 지방판이 지역언론에 대한 연구와 논의 마당에서 제외될 하등의 이유가 없는 것이다. 지역언론은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해야 한다. 본 연구는 지역언론에서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적지 않은 몫을 담당하고 있는 중앙지 지방판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알찬 지면을 만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우선 그 실태를 분석했다. 10개 중앙일간지의 지방판(중부판)의 지면 수와 기사의 양, 기사의 유형, 기사의 주제 등을 분석하고, 주재기자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각 신문사의 지역취재 및 지방판 제작시스템을 조사했다. 이 같은 연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앙지 지방판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그 결과는‘지역밀착형 보도’‘생활밀착형 보도’ 로 압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매일 지방판을 발행하는 상시적인 지방판 제작시스템 등의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하지만 조사 결과 중앙지의 지방판 발행일은 주당 3~6회로 들쭉날쭉했다. 중앙지는 여전히 지방 독자에 대한 지면 배려에 인색하고 소홀하다. 지면 분석 결과 지방판 기사는 지방행정기사가 가장 많았고 문화체육기사, 교육기사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행정기사의 상당수는 보도자료에 의존하는 관급기사였다. 기사의 유형 또한 스트레이트, 박스 등으로 단순화되어 있었다. 해설, 칼럼, 투고 등은 지방판에서 거의 찾아보기 힘들었다. 따라서 지방판 기사의 주제와 유형 등을 좀더 다양화시켜 독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들어 일부 중앙지를 중심으로 지방 보도를 활성화하려는 새로운 노력을 기울이는 모습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조선일보가 주재기자들이 편집까지 담당하는 사실상의 ‘지방 편집국 체제’를 운영하고, 중앙일보가 ‘네이션와이드’란 지방기획면을 주 1회 고정 제작하는 것 등이 그 좋은 예이다. 한국일보와 한겨레 등도 지방주재기자들이 공동 취재한 지역의 이슈를 기획기사로 과감히 키워 전국적인 이슈로 부각시키는 편집을 자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중앙지들이 ‘지방’을 점차 중요한 분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There is no necessity for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 local press deliberately for the revitalization and the successful resettlement of grass-root democracy that is new way of our lives and a value. In this context during that time the study and a discussion about the revitalization program of a local press including a local newspaper have progressed actively around the academic world, the press and a civil-society-movement-body and so on. However a regional edition has always kept at a distance in the ground of this discussion. And there was no absolutely the place of a regional edition in the study and a discussion about the central press. The regional edition of the central press has been left to the dead ground between the central press and the local press. This research started for the purpose of bringing up the regional edition of the central press in the ground of this discussion. Solemnly the regional edition of a central press, the paper space that deals with only plans of the region, functions as the local press. This is a plain truth with the fact that stationed reporters of the region who have charge of the regional edition are journalists of a relevant region. Now central presses actually domain a local paper market in our country. This means that many country people read the regional edition of a central press and in this context it is very important in the study and the discussion about the local press. The local press should make contribution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local people. This study analysed the reality for the purpose of revitalizing the function of the regional edition of a central press that take a great sha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d finding the devices of making the best paper space. This research analysed the number of paper space, quantity, types and subjects of a press news in the regional edition(the middle regional edition) of 10 central daily newspaper and investigated how each newspaper company gathers regional news, and the production system of a regional edition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stationed reporter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research's analysis, I presented the revitalizing plan of the regional edition of a central press. The result is 'a regional-close -adhesion- type news' and 'a life-close-adhesion-type news'. For this, infra, such as an ordinary production system of a regional edition that publishes it at ordinary times, should be established. But in consequence of the research the date of issue of a central press was uneven 3 or 6 times every week. The central press is yet stingy and indifferent in the concern about the paper space for local readers. As a result of the paper space analysis, there was most numerous local administration news, next cultural sports news, then educational news in a regional edition. A large percentage of a administrative news is government issue that depends on news data. In addition the type of news was simplified with a straight-article, box-article and so on. We little found commentary, column, the reader's contribution in a regional edition. So there is a need for an effort to satisfy reader's desire through diversifying the subject and type of a regional edition news. Recently we see such aspects that try to revitalize a local news around a certain central press. Good examles : In Chosun daily newspaper's case, stationed reporters run 'a local editorial department system' in fact and In Jungang daily newspaper's case, ‘Nation Wide’, a paper space for a local planning, is produced fixedly one time each week. Hankook daily newspaper and Hangyearee showed often editing that stationed local reporters gather news together and boldly stand out into country issue from the local issue. This is affirmatively evaluated in the light that central presses begin to see 'a local' as a important field.

      • 언론인의 트위터 이용동기가 기사 및 프로그램 활용행태에 미치는 영향

        이민정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19

        소셜미디어가 기존의 커뉴니케이션 방식에 혁신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그 영향력을 확대해가면서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언론인들이 소셜미디어에 대해 어떤 점을 기대하고 이용을 통해 어떻게 기사 및 프로그램에 활용을 하는지, 그리고 언론인 중에서도 트위터 이용에 있어서 기자와 PD 집단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 지에 대해서의 연구는 아직 초보적인 수준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출발하여 이용 동기에서 비롯된 이용자 행위에 초점을 맞추어 언론인들이 트위터를 활용하는데 어떠한 행태를 보이는가를 다루고 이와 더불어 연령, 경력, 소속, 직종으로 구분하여 이용 동기와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나아가 언론인들의 트위터 이용과 이에 대한 인식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현재 언론사에 재직하고 있는 기사 및 방송사에 재직하고 있는 기자와 PD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론인의 인구통계학적 속성에 따른 트위터 이용동기를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 평균값, 아노바, T검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언론인의 SNS 이용동기는 연령, 경력, 소속, 부서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언론인의 트위터 이용동기와 기사 및 프로그램 활용행태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이용동기 변수 세 가지와 이용자의 활동성 변수 네 가지, 기사 및 프로그램 활용행태 변수 네 가지에 대하여 각각 회귀분석을 실시한였다. 그 결과 이용 동기요인에 따라 기사 및 프로그램 활용행태에 각각 영향을 미쳤다. 이용동기와 이용자의 활동성과의 관계에서는 오락·친교 수단으로서의 이용동기가 답글 횟수 활동에 영향을 미쳤고, 학습,정보추구로 인한 동기는 리트윗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동기와 기사 및 프로그램 활용행태와의 관계에서는 오락·친교수단으로서의 이용동기가 대화상대수에 영향을 미쳤다. 트위터의 우수성으로 인한 동기는 팔로윙 및 팔로워수, 기사 및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학습,정보추구로 인한 이용동기는 기사 및 프로그램 활용행태 네가지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자와 PD는 집단간 트위터 이용동기와 기사 및 프로그램 활용행태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자·와 PD집단 간은 이용동기에 대한 인식, 이용자의 활동성, 기사 및 프로그램 활용행태에 관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언론인들의 트위터 이용에 대한 활용과 인식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기 위해 주관식 개방형 질문에 대해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트위터를 기사 및 프로그램제작에 활용하는 것을 방송프로그램이나 언론인들의 실제 사례에 대한 응답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트위터를 이용해 구체적 사례 또는 제보수집을 하고 독자와의 쌍방향 소통을 통해 여론 파악이나 반응을 살피고 있었고, 트위터 활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언론인들은 이용동기 및 이용행태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지만 기술적인 진화에 따른 이용뿐만 아니라 그들의 태도나 충족하고자 하는 활용행태 등에 중요한 영향을 받으며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그동안‘사람들이 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가?’에 대한 다양한 연구 결과는 많았지만 뉴스생산의 중심에 있는 언론인들의 연구는 미흡 한 배경 위에서 실질적으로 언론인들이 트위터를 어떻게 이용하는 지에 대한 기술적 분석을 통해 언론인들의 트위터 활용행태를 파악했다는 데에 의의를 가질 수 있다. 트위터는 새로운 SNS 서비스로서 단순한 채팅의 의미를 넘어서 다양한 모바일 기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타인과 끊임없는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서비스이며, 이러한 트위터를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하려는 언론인들에게 본 연구가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Social media has raised innovative changes in existing communication ways and expanded its influence. Various studies on this are being conducted. However, it's still rudimentary in the studies on what practically journalists expect in social media and how to use it in articles and programs,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reporters and PD group among journalists. This study from this background was to deal with what kinds of types journalists used Twitter with a focus on users' behaviors from using motives, to analyze using motives and using patterns by separating age, experience, affiliation, occupation, further to investigate what journalists' Twitter use and its awareness was.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15 reporters and PD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the press and broadcasting company, it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alysis, the mean values ANOVA, T-test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witter using motives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attributes in journalists. The results showed that SNS using motives of journalist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ge, experience, affiliation, department. Second, each regression about 3 variables in using motives and 4 users' active variables, 4 active patterns variables in articles and program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witter using motives of journalists and using patterns in articles and programs. As a result, using patterns in articles and programs were affected depending on using motives. With regard to the relation between using motives and activities of users, it showed that using motives as a menas of entertainment, friendship had an influence on the number of commenting, using motives as a means of learning, information seeking had an influence on the number of Retweet. With regards to the relation between using motives and using patterns in article and program, using motives b entertainment, friendship affected the number of contacts. Motivation due to learning, information seeking affected 4 kinds of using patterns in articles and programs. Third, with regard to intergroup Twitter using motives and using patterns in articles and programs of the reporters and PDs, t-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y difference. As a result, intergroup relationships between reporters and PDs didn't shown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wareness on using motives, users' activities, using patterns in articles and programs. Fourth, qualitative analysis on subjective open-type questions was conducted to find what journalists' using and awareness in Twitter are. As a result, it was found to use Twitter in articles and programs production through responding on actual examples or tips using Twitter and investigated public opinion and its response, recognized Twitter positively.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shown that journalists didn't display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sing motives and using patterns, but the used it with being affected by using patterns to meet their attitudes as well as using depending on technical evolution. Various studies results on ‘Why do people use social media?’were common but the studies on the journalists in the center of news production were insufficient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witter using patterns of journalists through technical analysis on how journalists actually used Twitter. Twitter is a new SNS service to possible to communicate constantly with other people through a variety of mobile devices beyond simple chatt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he journalists to use Twitter for various purposes practically.

      • 제2공항 공론형 여론조사 공표 전후 언론보도 비교

        이승환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19

        2015년 11월 10일 제주 제2공항 예정지 발표된 이후부터 2022년 8월 현재까지 제주 제2공항을 둘러싼 갈등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이해 당사자들은 제주 제2공항 도민여론조사를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여론조사 진행은 순탄하지 않았다. 여론조사 실시 방식, 여론조사 대상, 여론조사 문항 등 여러 문제에 가로막혔다. 그중 가장 심각한 문제는 여론조사 주관 기관을 선정하는 문제였다. 여론조사 주관 기관은 여론조사 진행에 큰 영향을 미치는 안심번호 발급과 연관이 있다. 제주도는 여론조사 주관 기관을 제주도로 하려고 했으나 안심번호 발급에 번번이 실패하였다. 안심번호 발급에 문제가 생기면서 도민여론조사 진행이 불가능한 상황까지 이르렀다. 이에 제주도는 여론조사 주관 기관을 제주특별자치도기자협회 소속 9개 언론사로 변경하여 마침내 2021년 2월 15일부터 17일까지 총 3일간 도민 2000명과 성산읍 주민 500을 대상으로 도민여론조사를 진행했다. 하지만 도민여론조사 결과 발표 이후에도 갈등은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민여론조사를 진행했음에도 갈등이 해소 되지 않은 제주 제2공항 건설 언론보도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을 진행했다. 분석을 위해 제2공항 예정지가 처음 보도된 2015년 11월 10일을 기점으로 2021년 12월 31일까지의 제2공항을 키워드로 한 언론보도를 수집하였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 중 단어 빈도 분석, 언어 네트워크분석, 토픽 모델링을 사용하여 언론 기사 내용안에 등장하는 단어의 속성을 추출하였다. 또한, 이슈의 변화 흐름을 분석하기 위해 기사 내용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이슈의 세부 주제를 파악했다. 제주 제2공항 언론보도에 대한 단어 빈도 분석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제주 제2공항 기사는 갈등에 주목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민, 국토교통부, 주민, 윈희룡 등을 갈등의 주체로 보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2공항 갈등과 관련된 이슈로 제2공항 예정지 입지 선정 문제, 기존 공항 확충, 부동산, 도민여론조사 등을 다루고 있는 것이 파악되었다. 제주 제2공항 관련 기사에 대한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총 10개의 토픽이 추출 되었다. 도민여론조사 공표 전·후 토픽 구성 비율 비교 결과, 토픽 1을 제외한 나머지 9개의 토픽 모두에서 구성 비율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인 토픽에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제2공항 갈등과 관계성이 높은 토픽에 대한 단어 빈도 분석과 기사 내용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각 토픽에 대한 세부 이슈에 변화가 나타났으며 여론조사 공표 이전 보다 공표 이후 반대에 관한 보도가 줄어든 것이 확인 되었으며 갈등 관리 토픽이 높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사 성향에 따라 토픽 구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보 성향 전국지와 보수 성향 전국지의 토픽은 비슷한 구성 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전국지와 제주 지역지는 토픽 구성 비율에서 차이를 보였다. 전국지에 비해 제주 지역지가 제주 내 이슈인 제주 관련 사업이나, 도의회 발언에 주목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제주 지역지에 비해 전국지가 제주 부동산 시장에 관심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민여론조사 공표 전·후 언론사 성향에 따른 토픽 구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진보 성향 전국지의 경우 여론조사 이전보다 여론조사 이후 원희룡 전 제주도지사의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수 성향 전국지의 경우 여론조사 이전 관심이 높았던 부동산 시장에 대해 여론조사 보도 이후에는 관심이 적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주 지역지의 경우 도민여론조사 이전 제2공항을 제주 발전과 관련된 사업으로 보는 시각이 강했으나 도민여론조사 이후에는 갈등 상황으로 보는 시각이 강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 보면, 제주 제2공항에 대한 언론보도는 갈등 관련 논의들을 주로 다루었다. 갈등 관련 논의들은 주로 예정지 입지 선정, 반대 주민 및 반대 단체의 행동, 갈등 해소를 위한 갈등 관리 등의 주제를 중점적으로 다룬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민여론조사 공표 전·후에 따라 각 토픽의 구성 비율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도민여론조사 이전 제주 제2공항 언론보도는 반대 주민 및 반대 단체 행동에 주목하고 있었으나 도민여론조사 이후 갈등 해소에 조금 더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언론사 성향별 토픽 구성 비율을 비교한 결과, 진보 성향 전국지와 보수 성향 전국지의 토픽 구성 비율을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제주 지역지의 경우 다른 토픽 구성 비율을 보였으며 전국지와 다르게 제주 제2공항을 제주 지역 발전과 연관 지어 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The conflict around Jeju 2nd Airport has not been settled since it was revealed where it will be located on November 10, 2015, and it won't be until August 2022. The parties involved decided to conduct a public opinion poll of the people living near Jeju 2nd Airport in order to resolve this dispute. The survey, however, was not a success. It was obstructed by a number of problems, including the poll's content, methodology, and questionnaire. The choice of the polling firm was the one that caused the most serious issues. The polling organization is associated with the distribution of safety numbers, which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oll's development. Jeju Island made several attempts to get the polling organization to issue a safety number, but they all failed. It was difficult to carry out a resident public opinion poll since there was an issue with the safe number's issuance. In response, Jeju Island changed the polling organization to nine media outlets affiliated with the Journalists Association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finally conducted a public opinion survey of 2,000 residents and 500 residents of Seongsan-eup over the course of three days from February 15 to 17, 2021. Even after the findings of the public opinion poll were announced, the dispute yet persists. Although a public opinion survey was done, the construction of Jeju's second airport did not end the conflict, and text mining was used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media coverage of the project.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news articles with the keyword "second airport" were gathered from November 10, 2015, the day the second airport's proposed location was initially revealed, through December 31, 2021. Using word frequency analysis, language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mong other text mining approaches, the characteristics of terms that appeared in the text of media articles were extracted. Additionally, the specific issues of the issue were determined by examining the article's contents in order to examine the issue's flow of changes. Word frequency and language network analyses performed on media reports from Jeju 2nd Airport revealed that the article there is paying attention to the dispute. It was discovered that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locals, and Win Hee-ryong were thought to be the main targets of conflict. The site of the second airport, airport expansion at existing airports, real estate, and resident surveys on public opinion are other factors related to the disagreement over the second airport that have been discovered. Ten different subjects were extracted during topic modeling analysis of articles about Jeju 2nd Airport. It was determined that, with the exception of topic 1, the composition ratio in all nine subjects was different when comparing the composition ratio of topics before and after the release of the public opinion poll. Word frequency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of articles on subjects closely related to the second airport conflict were done to confirm changes in particular topics. The study led to changes in each topic's specific issues, a decline in reports of opposition after the poll's publication compared to before, and an increase in conflict resolution subjects. It was determined that the themes of the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national newspapers displayed comparable composition percentages after studying the difference in the composition of topics according to the propensity of media firms. The ratio of topic composition varied between national and Jeju regional publications, though. It was proven that regional publications in Jeju are more attentive to provincial council comments and projects that are exclusive to Jeju than national newspapers are. Furthermore, it was discovered that national newspapers were more interested in the Jeju real estate market than Jeju regional newspapers. It was determined that former Jeju Governor Won Hee-interest ryong's grew after the public opinion poll by comparing the changes in issue composition between media trends before and after the survey's release. It was proven that after the poll's results, less interest in the real estate market emerged, contrary to what was reported by conservative national publications, which had previously expressed a great deal of interest in it. In the instance of Jeju, there was a strong belief that the second airport was a development-related project prior to the public opinion poll, but after the study, the belief that it was a contentious situation grew stronger. When viewed collectively, media coverage of Jeju Airport 2 primarily focused on issues of conflicts. The location of the planned site, the actions of opposing people and groups,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were determined to be the main issues of conflict-related talks. Additionally, the composition ratio of each topic varied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public opinion survey. Prior to the province public opinion survey, media coverage at Jeju 2nd Airport focused on the behavior of opposing citizens and opposing groups, but it was established that following the provincial public opinion survey, they turned their attention more toward resolving issues. Finally, it was determined that the topic composition ratios of the conservative national newspaper and the progressive national newspaper were comparable after comparing the topic composition ratio by media propensit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Jeju region, it was proven that the composition ratio of various issues was displayed, and unlike the entire country, Jeju 2nd Airport was viewed in conne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Jeju region.

      • 지방신문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대전지역 신문기자와 독자의 의식비교

        김형중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19

        The present is greeting the flooded generation with the various media sorts. In the midst of diversifying mass media with on introduction of the new media, it is a reality for the newspapers to hugely struggle therein. The Korean newspapers, as with the economic crisis, arehaving a crisis due to the rapid decrease in the advertisement rate. As of this year, there has had one of the provincial newspapers requesting for the legal management and of the number of newspaper publishing companies closing down has increased. The provincial newspaper publishing companies, which are more reliant upon the advertisement than the metropolitan newspapers, are at the more critical state. It is at a point where, in order for the local newspapers to survive, it has to either create a good quality of newspaper centralized in the readers or lead the readers fitted to the editing method of the newspaper publishing company. As for the second case, the reality is lacking with the various tastes of the readers, and it seems that the readers level is not yet up to that height. Thus, it is more practical in making the good quality newspapers upon centralizing in the readers. Already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re are many successful stories appealing by publishing the newspapers created according by the readers. With this, there are many ongoing consciousness researches and strategic studies of the consumer, people, only to make a good quality of newspapers centralizing in the readers. Therefore, the way of activating the newspapers is to make the news oriented to the readers. It is viewed that it is rather difficult to make the new good quality of newspaper for the readers just with an ordinary newspaper publishing systems.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readers, a novel frame will be required. In order for the newspaper publishing companies to break out of the common way of thinking and the given frame and originate a new frame, they must first reform the business through such as the new minds and the bold investments. The business innovation methods are diversified as the offensive advertisement, active sales activity, reformation of newspaper delivering, and community cooperation construction. Among thes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of how well the newspaper publisher is exactly acknowledging what the kind of newspaper the customer is satisfied and desiring. This type of recognition is becoming an essential element more so for the provincial newspapers suffering from the business operation. One of the foremost fundamental in a way of making the newspaper centralizing in the readers is that there needs to be a survey of the peoples ways of thinking. Because Unless the publishers knew what people are thinking about, it would be hard to make the newspaper satisfactory. In this research, it studies upon the idea of whether there would be a difference in thinking in between the people mostly composed of the employees (the customers) and the local reporters (the press). The customers and press thought of good quality newspapers were looked into for comparisons, then the local papers activation method was groped in grounding on the indicated. As the result of the survey, the people wanted to see the good quality newspaper that is the one with an articles digging out the bright side of the society and presenting the life of the people. In addition, the portion the local newspapers were to pay attention to be thought as the local governing as well as profoundly reporting the economic area while actively functioning for the pending problems at the local regions. Moreover, as much as the reporters producing of the articles, the qualification of the reporter was considered important. The difference in between customers and the press was that though the customers were aware of the troubling views whereas the press was more into the helping side on the local society developments. In addition, the consumer wanted the articles related to health and entertainment, when the press was leaning more towards the local government matters. Moreover, as for the local newspapers needed improvement part, on the contrast of the customers feeling that the reporters dealings about the society essential issues were shabby, the press tended to be comparatively understanding for them. In looking at the result as the above, the difference of thinking in between the customer and press has had existed and the provincial newspaper publishing companies were to spend further effort in re-training and qualification matters of the new producing reporters while working on the just criticism along with the obtaining of the positive consciousness. For the activation of the local paper, there is a necessity of lessening the gap in between the customer and the press, and focus on creating the newspaper that is made as for the people. Also there needs to be the look-over on why the U. S. newspapers are going towards the peoples favoring for the paper, and the importance of study and practice in the field was reoccurred. One could obtain the result that the only way for the provincial newspaper to survive is to convert into the showing newspapers, and customer-oriented newspapers with good qualities. These could be possible that the metropolitan newspapers are differentiat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address and the papers are required.

      • 韓國의 대표 보수언론과 진보언론의 프레임 비교 분석 : 사드(THAAD) 관련 보도를 중심으로

        조박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19

        언론은 한 나라의 가장 기본적인 정치적 사회적 구조를 반영한다. 달리 말하면, 국제적인 사건이나 이슈에 대한 뉴스 보도가 나라별 문화적 차이로 인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언론보도는 언론사의 논조에 따라 다르게 틀 지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동일한 이슈라 하더라도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보도의 시각이나 관점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물론 사드와 같이 해당 국가뿐만 아니라 주변국과의 관계 또한 중요한 이슈의 경우에는 이해관계에 있는 국가들의 사회적, 외교적, 문화적, 경제적, 군사적 등 다양한 관점에서의 논의가 전개되기도 한다. 이는 특정 이슈의 범주가 국내를 넘어 외교적 문제를 포함할 경우, 언론사의 논조보다 해당 이슈에 대한 국가적, 외교적 입장에서의 관점이 더욱 중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최근 외교적 이슈로 부각한 한국의 사드 배치와 관련한 논의들이 언론사의 논조에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드’ 관련 보도에 대한 한국의 대표 보수언론인 <조선일보>와 진보언론인 <한겨레> 간의 프레임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한국에서 사드에 대한 논의가 처음 시작된 시점인 1999년 1월 22일부터 사드의 배치장소를 비롯하여 사전결정을 마무리 한 2016년 9월 30일까지이다. 분석 자료는 두 신문사 홈페이지에서 ‘사드’를 검색하여 수집하였다. <한겨레>의 경우, 홈페이지에서 추출된 기사들 가운데 한겨레에 저작권이 없는 경우에 한해 해당 언론사에 직접 문의하여 구별방법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조선일보 734건, 한겨레 729건의 기사를 추출하였다. 이후 1차 분석 작업을 거쳐 사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사 121건을 제외했다. 이에 최종 분석대상 기사는 조선일보 649건, 한겨레 693건으로 총 1324건이다. 분석유목은 보도 량, 정보원, 프레임, 보도태도 등이다. 보도 량은 두 신문사의 보도 건수와 유형을 비교하였다. 정보원은 뉴스에 등장한 정보원의 국적과 직업유형을 구분하였다. 프레임은 ‘안보 프레임’, ‘정치 갈등 프레임’, ‘신 냉전 프레임’, ‘경제 프레임’, ‘풀뿌리 민주주의 프레임’, ‘패권 프레임’, ‘사드 사양 프레임’, ‘북한위협 프레임’, ‘한미동맹 프레임’, ‘기타 프레임’ 등 10개 프레임으로 분류했다. 분석결과, 두 신문사 간 보도 량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에서는 사설과 칼럼, 연재기사 등이 비교적 많이 나타났으며, <한겨레>의 경우에는 스트레이트와 해설기사가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보원의 국적에서는 한국 정보원이 가장 많이 등장했고, 미국과 중국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일본, 북한, 러시아 정보원도 등장했지만 그 비율은 높지 않았다. 정보원의 직업유형은 <조선일보>에서 전문가와 익명 정보원이 더 많이 등장했고, <한겨레>의 경우에는 시민단체와 일반인이 더 많이 등장했다. 사드 관련 보도에서 가장 자주 나타난 프레임은 ‘신 냉전 프레임’이었다. 한국에 사드를 배치하게 되면 아시아에서의 한국의 위치가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조선일보>의 경우에는, ‘안보 프레임’, ‘사드사양 프레임’, ‘한미동맹 프레임’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한겨레>는 ‘풀뿌리 민주주의 프레임’을 더 강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도태도는 두 신문사 간 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났다. <조선일보>는 찬성태도를 보였고, 정부의 입장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보도하였다. 사드에 대한 보도에서도 <조선일보>는 ‘북한위협 프레임’, ‘한미동맹 프레임’ 등을 사용하였고, 이러한 프레임들은 정부의 관점과도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한겨레>는 주로 사드에 대한 한국정부의 정책과 입장을 비판하는 입장을 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사드’에 대한 한국의 보수신문과 진보신문 간의 보도시각, 보도태도 등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ress reflects the most fundamental political and social structure of Korea. In other words, the news reports of international events or issues may vary in different countries due to cultural differences. Furthermore, press reports generally have a tendency of being edited differently based on the tone of the press company. This demonstrates that even regarding a singular issue, the perspective and point of view of a report may vary depending on the tendency of the press company. Of course discussions are made on important issues, such as THAAD, which affect not only the relevant country, but the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countries. This occurs from various perspectives - including social, diplomatic, cultural, economic, and military views. It signifies that if the scope of a specific issue includes diplomatic problems outside national borders, the perception from national and diplomatic positions on the issue may be further emphasized than the tone of the press. In this regard, it is worth examining whether the discussions related to the arrangement of THAAD in Korea, which surfaced as a recent diplomatic issue, have been affected by the tone of the press. Thus,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frame of Korea’s key conservative press <ChosunIlbo> and progressive press <Hangyore> on reports related to ‘THAAD’. The period of research was from January 22, 1999, the starting point of discussions on THAAD in Korea, to September 30, 2016, the point at which all prior determinations including the location to arrange THAAD had been set. As data for analysis, the keyword ‘THAAD’ was searched on the websites of the two newspaper companies to be collected. With <Hankyore>, the articles extracted from the website, on whichthe copyright was not owned by Hankyore, were directly inquired to the relevant press companies to identify the articles. Through this process, 734 articles fromChosunIlbo and 729 articles fromHankyore were extracted. After a primary analysis process, 121 articles that were not directly related to THAAD were eliminated. Thus, there were a total of 1324 final articles for analysis: 649 articles by ChosunIlbo and 693 articles by Hankyore. The categories of analysis included the report quantity, source, frame, and attitude of the piece. With respect to the quantity, the number and types of reports of the two press companies were compared. With respect to source, the category was further categorized into the nationality and occupation of the source that appeared on the news. The category of frame was categorized into 10 frames, including ‘security frame’, ‘political conflict frame’, ‘new cold war frame’, ‘economy frame’, ‘grass-root democracy frame’, ‘hegemony frame’, ‘THAAD specifications frame’, ‘North Korea threat frame’, ‘Korea-USA alliance frame’, and ‘other’. The result of analysis display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press companies concerning the quantity. ChosunIlbo displayed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editorials, columns, and running stories; however,Hankyore displayed more straight-forward and narrative articles. With respect to the sources, Korean was the most common nationality of sources, followed by the USA and China. There were also Japanese, North Korean, Russian, and other sources, but these appeared less frequently. The most common occupation of the sources included professionals and anonymous sources in the ChosunIlbo, and private organizations and the public in Hankyore. The most common frame in THAAD-related reports was the ‘new cold war frame’. This signifies that once THAAD is placed in Korea, the position of Korea in Asia may suffer. In the ChosunIlbo in particular, it was identified that the security frame, THAAD specifications frame, and Korea-USA alliance frame featured highly whereas theHankyore further emphasized the grass root democracy frame. With respect to the reporting attitude, a clear difference was displayed between the two press companies. <ChosunIlbo> displayed a notably serious attitude towards THAAD, and reported positively on the government’s position. In the process of reporting on THAAD, <ChosunIlbo>centered its reporting on the North Korean threat frame and Korea-USA alliance frame - this did not display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government’s stated stance. In contrast, <Hankyore> appeared to be more critical on the Korean government’s policies and position on THAAD.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reporting time and attitude of Korea’s progressive press and conservative pres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tendency of the press concerning ‘THAAD’.

      • 地方議會 議員의 言論 認識과 活用 實態에 關한 硏究

        박용수 광주대학교 (광주경상대학) 1996 국내석사

        RANK : 248719

        This paper researches the council member's recongnition and contact of mass communication and their behaviors of utilizing mass communication. It aims at revealing how the council member recognize mass communication, how actively they are participating in and approaching to it, how they are utilizing it and how different they recognize it according to each variable such as their council, career, education and whether they have an influential post or not. For these, this study carries out the questionnaire on the object of members of Kwangju City Council, Chonnam Provincial Council and five County Councils in Kwangju-city. 128 responses collected are processed by SAS computer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The characteristics by variables on how different in the recognitin and attitude to mass communication they have according to four variables such as their council, career, education and whether they have an influential post or not are verified with χ^2.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most of council member don't recognize greatly the influence and usefulness of mass communication. But, it is recognized that mass communication has not communicated the working results of the council member properly and it has neglected or treated council member negatively. Then it is analyzed due to these factors that the reliability of mass communication by the council member is low. Such a trend is dominant in the council member who belong to higher level Council, are reelected, had the education higher than university and have an influential post. Second, considerable the council member(46.8% of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y have suffered the damage by an unjust or incorrect report and it is examined that they have the great consciousness of damage by mass media. The rate of respondents who have suffered the damage by the incorrect report over twice is high as 49.2%. However, only 26.4% of the council member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express their will of legal measures and the rest of them choose the settlement out of court. This trend is most dominant in the council member who have an influential post and is remarkable in those who are higher level council and and are reelected. Third, it is shown that the council member's contacts to the journalists are not so frequent. 41.4% of the respondents have few contacts with the journalists. While the appearance of council member in a newspaper is mainly on the people movement column, only one third of council member have the experience that they appeared in newspaper or broadcasting discussion meeting program requiring more professionalism once a year. The council member's contacts with mass communication are more actively made by the council member who are higher level council, reelected, have the education more than university and an influential post. Fourth, it is found that most of the council member are not accustomed to their public relations to mass communication and lack the ability to make the materials for it. The council member who have never thought of the materials of the public relations and have no ability to make them reach 51.9%. The council member who have tried mass communication play are just one third of respondents. Such a trend is remarkable in the council member who are lower level council, elected newly, have the education under high school and are not assigned to an influential post. They refer to the development of the professionalism, the release of reporting materials and the management of jurnalists as more effective methods for the public relations to mass communication. Fifth, the more reliable on the mass communication the council member are, the more active in utilizing mass communication and contacting it they are. And it is analyzed that the more active in contacting mass communication they are, the more frequent in appearing in the newspaper they are. Especially, it is shown that the council member damaged by an incorrect report recognize the influence of mass communication greatly and they are more active in the management of the journalists and utilizing mass communication.

      • 부산일보 셉테드 보도의 정책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김형 경성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언론보도와 정책형성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셉테드 보도의 정책형성 사례를 분석했다. 셉테드 보도의 정책형성 사례는 2014년 1월부터 현재까지 시행 중인 ‘부산시 범죄예방 도시디자인(셉테드) 조례’가 제정된 과정을 의미하며 부산일보의 ‘범죄 예방의 새로운 대안, 셉테드’ 기획기사가 범죄예방 도시디자인 조례를 제정하는 데 ‘촉발제’ 역할을 했다. 이와 같은 셉테드 정책형성 사례는 언론보도와 정책형성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한 분석 자료가 됐다. 본 연구는 셉테드 보도의 정책형성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실시하고 셉테드 보도의 정책형성에 참여한 전문가, 경찰, 교수, 기자, 그리고 공무원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언론이 심층 보도한 셉테드 의제가 어떤 과정을 거쳐 부산시의 정책으로 형성됐는지, 셉테드 보도의 정책형성은 언론학과 정책학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 정책형성과 어떻게 다른지, 셉테드 보도의 정책형성에서 언론은 구체적으로 무슨 역할을 했는지 등을 세부적으로 분석했다. 이와 같은 연구를 실시하기 위해 본 연구는 언론보도와 정책형성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우선 파악했다. 선행연구에서 언론은 ‘정보 전달 기능’, ‘의제 설정과 여론 형성 기능’, ‘적극적 참여 또는 해결자 역할(공공저널리즘)’, ‘정책학 분야의 제한적 참여형’ 등 4가지 기능이나 역할을 하며 정책형성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하지만 셉테드 보도의 정책형성은 공공저널리즘처럼 언론의 적극적 정책 참여 형태를 띠면서도 시민의 참여 없이 전문가, 정책 담당자 등과 함께 추진해 공공저널리즘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또 사회 문제를 해결할 대안이 시민에게 확산되는 ‘공론화 단계’가 정책형성 이후에 발생하고, 정책이 형성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는 시민단체, 정치인 등의 정치 활동 과정이 미약했다. 셉테드 보도의 정책형성이 신속히 이뤄진 이유로는 언론사의 적극적 보도 태도와 의지, 시의성, 중요성, 공익성 등 셉테드 의제의 높은 뉴스가치, 일회성 보도에 그치지 않고 해결책까지 제시한 공공저널리즘 수행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부산일보는 여론 형성, 논제 형성과 설정, 정치 활동 등 정책형성을 주도하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언론의 영향력으로 공익적 의제가 신속히 정책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개인이나 집단의 이익을 위해 언론의 힘을 이용하려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는 문제점이 드러났다. 특히 소위 정치권과 행정당국이 미디어를 활용하려는 ‘미디어화(Mediatization)’ 현상도 가속화되고 있다.. 따라서 언론은 정책형성 과정에 적극 참여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보다 신중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 대통령 탄핵사건 보도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 5개 일간신문의 정파성과 담론경쟁을 중심으로

        윤철수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2017년 3월10일 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 헌정사상 처음으로 현직 대통령에 대한 파면을 선고한 역사적인 사건과 관련해, 소위 비선실세 국정농단 및 박근혜 대통령 탄핵을 전후한 시기에 나타난 미디어 담론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페어클라우(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 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의 이론적 틀을 차용하여 탄핵사건 관련 담론들은 텍스트 구성에 있어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 시기별 주요 담론들은 어떤 변화의 과정을 거치며 의미를 재구성하는지, 그리고 탄핵사건을 둘러싸고 경쟁하는 담론들은 무엇이고, 쟁점이슈 담론 구성에 있어 신문사의 정파성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기간은 2014년 11월1일부터 2017년 3월31일까지이며, 시기별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이를 4시기로 구분하였다. 분석대상 신문은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5개 신문이고, ‘1면’ 뉴스, 사설, ‘오피니언’ 지면의 내부칼럼과 외부칼럼 등 총 2,642건을 최종 분석대상 기사자료로 선정했다. 분석방법에 있어서는 질적 분석을 중심으로 수행하되, 방법론적인 엄밀성을 강화하기 위해 계량적 내용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첫 번째로 대통령 탄핵사건 관련 미디어 담론의 흐름과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내용분석을 실시한 결과 담론구성에 있어 시기별, 신문사별 차이가 확인되었다. 먼저 탄핵사건 관련 뉴스담론의 유형(대주제)은 ‘대통령 의혹/책임’이 가장 많았고, 이어 ‘측근비리와 ‘비선실세 국정농단’, ‘대립 갈등’, ‘탄핵’, ‘대기업/재벌 책임’, ‘국정수습’, ‘촛불/시국선언’ 순으로 나타났다. 신문사별로는 ‘대통령 의혹/책임’과 ‘대기업/재벌 책임’은 진보신문에서, ‘대립 갈등’은 보수신문에서 보다 더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탄핵사건 관련 담론의 텍스트 구성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주제어는 ‘최순실 국정개입’이고, 다음으로 ‘대통령의 현실인식/책임’, ‘대통령 측근에 제기된 의혹’,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정윤회 문건’, ‘촛불집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기별로 보면, 제1시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주제어는 ‘정윤회 문건’으로 나타났다. 반면 제2시기에서는 ‘최순실 국정개입’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대통령 현실인식/책임’, ‘촛불집회’ 등의 순이었다. 제3시기에서는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4시기에서는 ‘대통령 구속 찬반’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각 뉴스텍스트에서 나타난 보도태도를 분석한 결과 ‘부정/비판/반대’ 논조가 54.7%로 가장 많았고, ‘중립적’ 26.7%, ‘긍정/옹호/지지’ 18.6%의 비율을 보였다. 이어 ‘비선실세 국정농단’ 논란이 제기되었던 2014년 비선실세 정윤회 국정농단 의혹, 2016년 비선실세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두 케이스를 비교대상으로 설정하여 이항대립(二項對立) 구도의 담론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 정윤회 국정농단 의혹 사건에서는 ‘정윤회 문건’을 매개로 하여 ‘비선실세 국정농단’ 담론과 ‘찌라시’ 담론이 대립하는 구도가 나타났다. 뉴스담론 텍스트 구성은 신문사에 따라 차이가 확인되었는데, 진보신문에서는 사건의 본질을 ‘국정농단 사건’으로 규정하며 대통령의 책임과 강력한 후속조치를 촉구하고 있는데 반해, 보수신문 중 <조선일보>의 경우 ‘정윤회 문건=찌라시’ 및 범죄행위로서 ‘문건 유출’을 강조하는 텍스트 구성 빈도가 높았다. 반면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에서는 보수, 진보신문 구분 없이 비판적 논조를 이어나가며 ‘최순실=대통령 책임’ 담론이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대통령과 청와대에서 해명 입장 등을 통하여 미르재단 대기업 모금 지원과 관련한 ‘강제 모금’ 담론은 ‘재계 주도’ 담론으로, ‘최순실=대통령’ 담론은 ‘최순실 개인 일탈’ 담론으로 각각 담론적 변화를 시도했으나 실제 이항대립적 구도는 형성되지 않았다. 이는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이 여러 가지 비리 및 특혜 사건이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으면서 중대성이 크고, ‘촛불’로 상징되는 성난 민심이 이미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확산되고 있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세 번째로, 대통령 탄핵사건을 둘러싼 담론들이 어떻게 담론적 실천으로 재구성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접합이론을 통한 담론 변화의 과정을 탐색했다. 이 결과 첫째, 2014년 11월 ‘정윤회 문건’ 파문에서는 ‘비선실세 국정농단’과 ‘찌라시(허위 문건)’ 2개 축의 담론이 형성되어 있었는데, 이중 ‘비선실세 국정농단’ 담론은 대통령 핵심측근으로 불리는 일명 ‘문고리 권력 3인방’, ‘국정개입’, ‘십상시(十常侍)’를 접합시키고, ‘찌라시’ 담론을 탈접합시키는 방법으로 해 구성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찌라시’ 담론은 대통령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비선실세 국정농단’ 담론을 탈접합 시키고, 대신 ‘문건유출 사건’과 ‘검찰수사’ 담론을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사건의 본질을 국정농단이 아니라 문건유출이란 범죄행위로 돌리고 있었다. 둘째, 대통령의 공무원 임면권 남용 논란을 불러온 문화체육관 광부 인사개입 논란에서는 ‘문체부 인사 게이트’ 담론과 ‘체육계 적폐’ 담론 2개 축을 중심으로 각각 논리성 강화를 위한 담론요소들을 결합시키고 있었다. 셋째, 미르·K스포츠재단 의혹사건에서는 ‘최순실 게이트’ 담론과 ‘대기업 자발적 모금’ 담론이 대립하였다. ‘최순실 게이트 담론’은 미르·K스포츠 재단 관련 의혹 규명이 핵심인데, ‘대기업 강제모금’과 ‘청와대 개입’, ‘전경련 해체’를 접합시키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반면 ‘대기업 자발적 모금’ 담론은 ‘인식공격성 폭로 및 비방’, ‘대기업 순수 의지’, ‘문화 융성’ 등을 접합시키고, ‘최순실 친분’은 탈접합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되었다. 네 번째로, 탄핵사건을 둘러싼 쟁점이슈를 중심으로 하여 담론경쟁 구도 및 정파성 차이를 분석하였는데, 이 결과 최순실의 국정농단 사건이 터진 후 박근혜 대통령의 3번에 걸친 대국민 담화 사과는 1차 담화에서부터 ‘거짓 해명’ 논란이 일면서 오히려 역효과만 크게 초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거짓 해명’이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고, 이는 진보언론은 물론 보수언론으로부터도 강력히 비판받는 상황에 직면하는 원인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정수습 방안과 관련한 미디어 담론은 정파성에 따른 담론전략의 차이가 확인됐는데, 진보언론은 ‘탄핵 촉구’ 담론이라는 일관성을 유지하며 탄핵 당위성의 논리를 더욱 확장하는 양상을 보였다. 반면 보수 언론은 ‘2선 후퇴’,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 전환’, ‘질서 있는 퇴진론’, ‘탄핵절차 불가피’ 등으로 담론전략이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특징을 보였다. 셋째, ‘세월호 7시간’ 논란에서는 진보언론에서는 대통령이 참사 당일 관저에 머물러 있으면서 대통령으로서의 직책을 성실히 수행하지 않았다는 담론을 편 반면, 보수언론 중 <조선일보>에서는 무분별한 의혹제기 담론으로 대립각을 세웠다. 넷째, 재벌기업 청문회와 검찰 수사 관련한 이슈에서는 신문사의 정파성에 따라 논조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났다. 모금지원에 연루된 재벌기업 총수들에 대한 청문회나 검찰조사에 대해서는 보수언론 대부분이 ‘피해자’ 및 ‘경제위기’ 담론을 통해 재벌 총수들을 적극 옹호하는 논조를 취한 반면, 진보언론에서는 대기업들의 자금 지원을 정경유착의 적폐로 규정하면서, 재벌개혁을 촉구했다. 다섯째, 헌재 탄핵심판 선고를 둘러싼 담론에서는 보수언론과 진보언론 모두 ‘승복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으나, 검찰의 대통령 소환조사 시점에서는 다시 대립각을 세웠다. 진보언론에서는 ‘법과 원칙’, ‘법 앞의 평등’, ‘범죄사실의 중대성’ 등의 프레임을 연결하며 구속수사 당위성을 강조하는 담론전략을 편 반면, 보수언론들은 불구속 수사 필요성을 역설하는 담론을 형성시켰다. 본 연구는 비판적 담론분석의 틀을 이용하여 헌정 사상 초유의 대통령 탄핵사건과 관련해 국가적 위기의 대혼란 상황에서 나타난 언론의 뉴스담론 메커니즘을 규명해 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또한 비판적 담론분석의 방법론적 측면에서, 탄핵사건 관련 뉴스기사의 ‘텍스트 분석’에서부터, 담론의 생성 및 변화 흐름을 탐색하기 위해 홀(Hall)의 접합이론을 접목시켜 분석틀을 마련한 ‘담론적 실천’ 분석, 그리고 텍스트가 담론적 실천을 통해 헤게모니를 어떻게 재구성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설정한 ‘사회문화적 실천’ 분석 등을 통해 여러 의미있는 성과들이 도출된 것도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비판적 담론분석의 방법론을 체계화시키고, 담론이론을 정립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features of media discourse about the rul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that formally impeached the incumbent president on March 10, 2017, a first in the nation’s history. Articles on the first page, editorials and opinion pieces of the Kyunghyang Shinmun, Donga Ilbo, Chosun Ilbo, Jungang Ilbo and Hankyoreh were analyzed in the frame of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n the development and features of discourse about the presidential impeachment showed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discourse over time and by individual news paper company. “Suspicion/responsibility of the president”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topic in the news discourse. “Close allies’ corruption”, “secret commander’s influence on governmental decisions”, “discord, confrontation”, “impeachment”, “responsibilities of conglomerate and chaebol”, “normalization of state affairs” and “candlelight vigil and declaration on the deplorable state of affairs” followed. “Suspicion/responsibility of the president” and “responsibilities of conglomerate and chaebol” frequently appeared in the progressive news paper while “discord, confrontation” repeatedly appeared in the conservative news paper.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text composition of the discourse about the impeachment, “masterminding governmental policy and decision making by the president’s confidant, Choi Soon-sil”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topic. “President’s awareness of the reality and responsibilities”, “suspicion raised concerning president’s close allies”, “impeachment ruling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Chung Yoon-hoi’s dossier” and “candlelight vigil” followed. When examined by the passage of time, at the first phase, “Chung Yoon-hoi’s dossier”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key word. “Masterminding governmental policy and decision making by Choi Soon-sil”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one and “president’s awareness of the reality and responsibilities” and “candlelight vigil” followed during the second phase. “Impeachment ruling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one at the third phase and “imprisonment of the president” was frequently used at the fourth phase. Discourse text analysis was made on the allegation of the masterminding governmental policy and decision making by Chung Yoon-hoi in 2014 and by Choi Soon-sil” in 2016 in the frame of the binary opposition. In the Chung Yoon-hui’s case, the discourse about “secret commander’s influence on governmental decisions” conflicted with the “gossip” discourse in the parameter of “Chung Yoon-hoi’s dossier.” The progressive newspapers defined the case as the “criminal influence on governmental decision by civilians” and stressed the president’s responsibilities and asked for strong punishment. Meanwhile, Chosun Ilbo, one of the conservative newspapers, highlighted the “leaking of the confidential document” as a criminal act. On the contrary, both of the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newspapers criticized Choi Soon-sil’s influence on governmental decisions. The discourse about the president’s fault for Choi’s acts was extensively spread. Third, changes of the discourse were examined within the theory of articulation to see how the discourse about the presidential impeachment was restructured into the discourse practice. Results show that the case of the “Chung Yoon-hoi’s dossier” in November, 2014 had two main discourses: “secret commander’s influence on governmental decisions” and “gossip.” The discourse about the “secret commander’s influence on governmental decisions” articulated with the “president’s close three allies” and “intervention in state affairs.” Meanwhile, the “gossip discourse” tried to turn readers’ attention to the leaking of the confidential document, not to the improper influence on governmental affairs by articulating with the “leaking of the confidential document” and “prosecution-led investigation.” Regarding the intervention in the personnel affairs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two major discourses about the “personnel affairs gate scandal“ and the ”deep-rooted bad practices in sports circle“ articulated with discourse factors to fortify logicality. And regarding the allegation against the Mir, K-Sports Foundation, the discourse about the “Choi Soon-sil gate” and the “voluntary funding by conglomerates” conflicted. Fourth, the discourse competition structure surrounding the presidential impeachment related issues and differences in partisanship were analyzed. The statements of the three rounds of apologies about Choi Soon-sil’s wrong influence on governmental decisions released by the president brought a reverse effect amid controversy over the truth of the statement. Regarding the plans to normalize the state affairs, differences in discourse strategies by partisanship were observed. The progressive newspapers consistently urged the presidential impeachment. Meanwhile, the conservative newspapers constantly changed their discourse strategies from “fence-sitting president”, “switching to acting president system”, and “orderly resignation” to “impeachment, inevitable.” Regarding the controversy over the secret seven-hour meeting after the sinking of Sewol Ferry, the progressive newspapers wrote that the president failed to perform her duties even if she was in the presidential residence on the day the ferry sank. Meanwhile, the conservative Chosun Ilbo argued that the progressive newspapers imprudently cast doubts on the president. Regarding the issues related to the hearings of conglomerate leaders and the prosecution investigation, the overall tone of a newspaper differs based on partisanship. Regarding the hearings and prosecution investigation of heads of conglomerates who were involved in the illegal funding, most of the conservative newspapers strongly defended the conglomerates arguing that they were “victims” and discoursing “economic crisis.” Meanwhile, the progressive newspapers urged reformation of the conglomerates saying the funding was a part of a back-scratching alliance of government and businesses. In the discourse about the impeachment ruling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both of the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newspapers used “acceptance frame.” However, the two sides disagreed on the timing of summons of the president for investigation by the prosecution. While the progressive newspapers emphasized that custody investigation of the president was justified, the conservative newspapers stressed that the presidential investigation should be made without deten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the mechanism of news discourses about the unprecedented presidential impeachment in the constitutional history was revealed in the frame of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t is also significant that various methodological attempts for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ere made to produce meaningful results. Result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codification of methodology of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d development of discourse theory.

      • 포털뉴스의 AI알고리즘 도입과 구독 서비스에 대한 지역 언론인들의 인식

        신윤경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국내 이용자들의 이용률이 높은 인터넷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 모바일 뉴스를 중심으로 알고리즘 편집과 뉴스 콘텐츠 제휴 서비스 전환 이후 언론 뉴스 제작 관행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지역성 구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지역 언론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봤다. 이를 위해 네이버 구독 서비스에 진입한 언론사와 진입을 못한 언론사 종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해 지역성 구현에 대한 인식을 확인했다. 지역 언론 노조 관계자와 포털 관계자의 인터뷰를 추가해 상호간의 인식 차이를 비교했다. 이와 함께 지역 언론인들의 포털의 알고리즘 도입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했다. 연구결과 포털은 지역 언론사에 운영과 뉴스 제작 관행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포털이 도입한 AI알고리즘 역시 주요한 게이트키퍼로서 역할을 한다는 인식이 나타났다. 지역 언론인들은 지역성 확보를 위해 AI알고리즘과 구독 채널 선정 기준에 대한 공개를 요구하고 있다. This research analyzed local journalists’ perception of the changes in news production practices caused by the portal’s adoption of algorithm technology. It also focused on their perception changes by the initiation of subscription services. The study further examined how journalists see the portal’s implementation of the locality under the influence of such technology. Naver Mobile News, the biggest portal site in the nation, was the subject of the questionnaire. Journalists, who work for both entered and un-entered media, were interviewed asking their understanding of the locality. Union workers were also interviewed to see if any differences exists between the two group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portal news service influences the media practices, and the journalists believe that the AI algorithm functions essential gatekeeper in the chain of news production. In addition, the research found that the journalists raise their voices for the transparency of the algorithm and for the selection standard of entered media outlets.

      •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 간의 갈등에 관한 연구 : 진주시 대 경남일보 사례 분석

        한중기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19

        As the local government system representing the flower of grass-roots democracy has been activated and the function of criticism done by the local press has been reinforced, there have been distinctiv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regional press. As long as these two entities have continue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while performing their unique roles in each social system, it has seemed inevitable that the changes in their relationship would continue. Local governments should keep collecting public opinion in political process and the press forms critical public opinions while observing and indicating whether the political activities of the former would work properly. This can largely be considered a positive function. However, as local governments and the press have exchanged concrete and active effects by forming mutually equal relationships as the players of power structure in local society since the consolidation of decentralization, there have been increasingly more factors causing conflicts. In this aspect, this paper analyzed through case studies on what factors have triggered the 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regional press and through what processes they have been resolved in the passage of time dynamically and it began to model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them.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se conflicts would be highly probable to show up in various forms along with the further development of our local government system,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ases through the in-depth observation. It first conducted preliminary theoretical researches on the relation between government and the press, the 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s or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environmental NGOs and applied them to actual cases of conflicts for analysis. In terms of theoretical researches, the study looked closely into the functions and roles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regional press within the power structure of local society as their regional background. Especially, the factors of structural conflicts between those two entities have been in part confirm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how much the power structure of regional society and the news frame of the press. Seco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regional press. The relationship model with the highest conflict factors among various relationship models between government and the press was an interpenetration model. It has been conceived that this model underwent more active interactions while having an equ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s and politics, thus having many factors for conflicts.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level of close observation and criticism of the press against political system together with the enhancement in freedom of speech. Furthermore, it has come to a conclusion that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s and the press would be a mutual control among ‘the model of pendulum movement between government and the press’. Third, the study rearranged the concept of conflicts caused by the press release along with the investigation on the libel of public officials and freedom of speech. The 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the regional press were defined as ‘a current state, in which the confrontational or adversarial behaviors affected regional soc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their perspective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regional agenda and repeating the interpenetrations as the official doer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official doer of the regional press within the power structure of local community.’ Fourth, the study established an analysis model for the cases of conflicts. In order to examine the factors of 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regional press dynamically in the passage of time, it set up a frame to analyze them according to the primary aspects as below: four stages of classification by time such as potential conflicts - occurrence and expansion of conflicts - incubation or continuance of conflicts - resolution of conflicts, systematic factors, behavior characteristics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Based on the said theoretical investigation, this study created five research questions for the analysis of conflict cases between Jinju City and the Gyeongnam Ilbo occurred actually in Gyeongnam area. <Research question 1> what were the factors of conflicts by stage? <Research question 2> what characteristics did the behaviors of conflicts show by stage? <Research question 3> what were the conflicts about? <Research question 4> what characteristics did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conflicts have? <Research question 5> what effects did the social 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the press have on local community? In order to solve the said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figured out the changes in each stage and conflict factors as to the situations of conflicts based on the case analysis models established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After the analysis, the conflict factors by stage between the two entities could be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 In the stage of potential conflicts,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 editing according to the conflicts among the governing political powers in the community and the subsequent disunion in the process of recruiting regional politicians and the appearance of new management in the press. In the stage of occurrence and expansion of conflicts, the following was analyzed as the primary factors: administrative pressure of Jinju City according to the reinforcement of critical release function against the policies of Jinju City and its mayor, excessive distrust between them, request for arbitration to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and legal countermeasures and intervention of regional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n the stage of incubation or continuance of conflicts, there were incubated or temporary conflicts while the following factors were interacting complicatedly such as the claims for damage, continuous administrative sanctions, replacement of the management of the Gyeongnam Ilbo, changes in the attitudes of news coverage and release and heightened public opinions wanting to resolve the conflicts for regional development. This study confirmed the correlations among the collision regarding each of their unique duties, the feature factors of behaviors and the variables of regional environment while pursuing the common purpose of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analysis of conflict relationship between the cases in question. It has been no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s were more than anything else crucial in the establishment of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regional pres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y. It has been analyz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a further interest in the performers consisting of local governments and of the regional press in charge of setting up regional agenda. Besides, it has been shown that the advisabl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regional press should be control- and reciprocity-based in the confrontational and supplementary relationship while both fulfilling their unique roles. This study on the conflicts between Jinju local government and local press the Gyeongnam Ilbo was meaningful in that there have been no researches concerning this issue even if such cases of conflicts have coexisted. 풀뿌리 민주주의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지방자치제도가 활성화되고 지역 언론의 비판 기능이 강화되면서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의 관계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이 각자의 사회 체계 속에서 고유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하는 한 양자 간 관계 변화는 계속될 수밖에 없다. 지방정부는 정치과정에서 지속적인 여론수렴을 해야 하며, 언론은 그와 같은 정치활동 행위가 제대로 작동 하는가를 관찰, 지적하면서 비판적인 여론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관계는 대체로 순기능적인 관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지방분권이 강화된 이후 지방정부와 언론이 지역사회의 권력구조의 한 축으로서 상호 대등한 관계를 형성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로 발전하면서 갈등의 요소가 더욱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 사이의 갈등이 어떤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시간의 변화에 따라 어떤 전개 과정을 거쳐서 해소되는지를 사례 연구를 통해 동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지방정부와 언론과의 관계를 모델링하기 위해서 출발했다.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 간의 갈등은 우리나라의 지방자치제도가 더욱 활성화될수록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개연성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보다 심도 있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사례 분석에 접목을 시도했다. 본 연구는 정부와 언론 관계의 선행 연구와 지방정부 간 또는 지방정부와 환경NGO간 갈등 관계의 선행 연구를 통해 이론적으로 고찰한 뒤 실제 갈등 사례에 적용시켜 분석했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먼저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의 지역적 배경이 되는 지역 사회의 권력구조 내에서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의 기능과 역할적 측면을 살펴보았다. 특히 지역사회 권력 구조와 지역 언론의 뉴스 프레임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고찰을 통해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의 구조적 갈등 요인을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는,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과의 관계에 대해 고찰했다. 정부와 언론의 다양한 관계 모델 중 갈등유발 요인이 가장 많은 관계 모델은 상호 침투형 모델이다. 상호 침투형 모델은 언론과 정치 간에 대등한 관계를 이루면서 보다 적극적인 상호 작용을 거치게 되기 때문에 그 만큼 갈등의 요인도 많다는 의미로 인식되었다. 이는 언론 자유 신장과 더불어 정치체계에 대한 언론의 감시와 비판 수위가 상향 조정되었기 때문이다. 아울러, 바람직한 정부와 언론의 관계는 ‘정부와 언론 관계의 진자 운동 모형’ 중에서 상호 견제적 관계라는 추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세 번째로는, 공직자의 명예훼손과 언론 자유에 대한 고찰과 함께 언론 보도로 인한 갈등의 개념을 정리했다.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의 갈등은 ‘지역사회 권력구조 내의 공식적 행위자인 지방정부와 비공식적 행위자인 지역 언론이 주체가 되어 지역 의제 설정을 두고 상호 침투작용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치관의 차이에 따른 대립적 또는 적대적 행동이 지역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현재화된 상태’로 정의했다. 네 번째로는, 갈등 사례 분석을 위한 분석 모델을 구축했다.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 간 갈등 발생요인들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동태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갈등 사례를 잠재적 갈등-갈등 발생 및 증폭-갈등의 잠복 혹은 지속-갈등 해결 이라는 4단계의 시간적 분류와 제도적 요인, 행위자 특성 요인, 환경적 요인의 3가지 주요 요인 측면에서 분석하는 틀을 구축했다. 이와 같은 이론적 고찰을 토대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실제 경남지역에서 2008년도에 발생했던 지방정부인 진주시와 지역 언론사인 경남일보 사이의 갈등 사례 분석을 위해 5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했다. <연구문제 1> 갈등의 단계별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갈등의 행위자들이 단계별로 보여 준 특성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3> 갈등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4> 갈등의 해소 과정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 <연구문제 5>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의 사회적 갈등이 지역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해 구축한 사례 분석 모델을 토대로 갈등국면에 대한 단계적 변화와 갈등요인을 파악했다. 분석 결과 진주시와 경남일보의 단계별 갈등 요인은 다음과 같이 정리됐다. 갈등의 잠재단계에서는 지역 집권 정치세력 간 갈등과 이에 따른 지역 정치인 충원과정에서의 분열, 언론사의 새로운 경영진 등장에 따른 편집방향의 변화로 파악됐다. 갈등의 발생 및 증폭 단계에서는 진주시의 정책 및 시장에 대한 비평적 보도 기능 강화에 따른 진주시의 행정적 탄압, 상호간의 극심한 불신, 언론중재위 중재신청과 법적 대응, 지역 시민사회 단체의 개입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갈등의 잠복 혹은 지속 단계에서는 손해배상 청구 소송의 진행과 지속적인 행정적 제재조치, 경남일보 경영진의 교체 및 취재와 보도 태도 변화, 지역 발전을 위한 갈등 해소 여론 고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갈등관계가 잠복하거나 혹은 일시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 대상의 갈등 관계 분석을 통해 지역의 발전이라는 공동의 목적을 추구하면서 상호 고유의 업무 기능에 대한 충돌과 행위자들의 특성 요인 및 지역 환경의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했다. 궁극적으로 지속발전 가능한 지역사회를 위해서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관계 설정에 있어서 무엇 보다 행위자들의 특성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지방정부를 구성하는 행위자와 지역 의제를 설정하는 지역 언론을 구성하는 행위자에 대한 일반의 관심이 더욱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바람직한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의 관계는 양자 간 고유의 역할 수행에 충실하면서, 상호 대립적 보완적 관계 속에서 견제와 공생을 오가는 견제적 호혜 관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지방정부인 진주시와 지역 언론사인 경남일보 사이의 갈등에 대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갈등 사례가 정도만 달리할 뿐 상존하는 것인데도 불구하고, 그동안 이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에 있어서 나름대로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