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 또래폭력 가해ㆍ피해 집단의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

        조수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74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of peer violence on school adjustment and attitude toward peer violence.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594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 measuring bullying, victimization and adjustment at school and attitude for peer violence. To examine bullying and victimization of peer violence, the Elementary School Violenc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Initiative for Safe School Seoul Council(2002) was used. Adjustment at school was assessed by the 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made by Lim(1993), and modified by Yoon(1994). Attitude for peer violence was assessed by the Permissive Attitude Questionnaire developed by Rigby and Slee(1993) and Perry at al(1986) and revised by Kim(2000) and the Probability of Aggression Questionnaire based on Perry's Self Efficacy Scale and prepared by Kim(2000).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 α,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First, a descriptive analysis showed that 49.9% of the students had experiences of bulling and victimization both. This mount was much more than one of students had experiences of either bullying(18.1%) or victimization(7%). Second, according to the level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of peer violenc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existed in school adjustment and attitude toward peer violence. The Bully/Victim students had the most difficulty on adjustment at school and the Bully/Victim students and the people experienced bulling others had high permissive attitude level for bullying and probability of aggression. Moreover, one being a victim in peer violence had more and less level in probability of aggression. Third, this study was found that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within bullying and victimization of peer violence and adjustment at school and attitude toward peer violence. The more they experienced victimization, the more they adjust at school in Bully/Victim Group. Permissive attitude and probability of aggression was also produced from the students who had more experiences bullying others in Bully/Victim group and Bullies as well. Besides, it was found that the probability of aggression had also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bullying experience of Victim group. Forth, victimization was proved a major factor influencing on the adjustment at school and bullying experience on peer violence predicting the permissive attitude for bullying and probability of aggression in Bully/Victim group. Bullying experience was also a influencing variable explaining the attitude for bulling of the students mainly bullying other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chool adjustment and attitude for peer violence was affected by the bullying and victimization of peer violence especially in Bully/Victim Group. Therefore, a comprehensive approach and strategy not making up for peer violence problems as simply diving the students as bullies or victims so far is required to solve the severe problems of school adjustment and repetition of peer violence among Bully/Victim students.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또래폭력의 가해ㆍ피해경험이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아동들이 실제 경험하고 있는 또래폭력 가해ㆍ피해 현황이 어떠한지 가해ㆍ피해 중첩성을 고려해서 알아보고, 아동들의 가해ㆍ피해경험 정도에 따라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허용도, 행위가능성)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또래폭력경험이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와 부산시에 소재한 3개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대상은 총 594명으로 하였다.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서울특별시ㆍ자녀안심운동 서울협의회(2002)의 초등학생 학교폭력 척도를 사용하였고, 학교적응은 임정순(1993)이 개발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유윤희(1994)가 재구성하고 최진희(2000)가 다시 수정ㆍ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를 설명해주는 또래폭력에 대한 허용도와 행위가능성은 Rigby와 Slee(1993) 그리고 Perry와 동료들(1986)의 것을 번안한 김예성(2000)의 또래폭력 허용도 척도와, Perry와 동료들(1986)이 제시한 자기효능감(self-efficacy)척도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김예성(2000)의 또래폭력 행위가능성 척도에 의해 측정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척도들의 신뢰도 검사를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 정도에 따른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이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경험하고 있는 또래폭력 수준은 75%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또래폭력의 가해ㆍ피해경험을 동시에 하고 있는 아동(49.9%)이 가장 많았고, 가해만을 주로 경험하는 아동(18.1%)과 피해만을 주로 경험하는 아동(7%)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은 그 정도에 따라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에 있어서는 또래폭력 가해ㆍ피해를 모두 경험하는 아동들이 학교적응에 있어서 가장 큰 어려움을 보였고, 또래폭력의 허용도와 행위가능성에 있어서는 가해ㆍ피해를 동시에 경험하는 아동과 가해만 주로 경험하는 아동들 모두 또래폭력에 대한 높은 허용도와 행위가능성을 보였다. 한편, 피해경험만 주로 하는 아동들 역시, 행위가능성에 있어서는 무경험 아동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행위가능성을 보였다. 셋째, 또래폭력 경험에 따른 집단별 가해ㆍ피해경험과 학교적응,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교적응에 있어서는 가해ㆍ피해경험을 모두 하는 아동의 경우, 그들의 피해경험이 많을수록 학교에 더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폭력 허용도와 행위가능성에 있어서는 가해ㆍ피해경험 모두, 그리고 가해경험만 주로 하는 아동, 둘 다 그들의 가해경험이 많을수록 높은 또래폭력 허용도와 행위가능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해경험만 많은 아동들도 행위가능성에 있어서는 그들의 가해경험이 많을수록 높은 행위가능성을 보였다. 넷째,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을 모두 하는 아동의 경우, 그들의 가해ㆍ피해경험이 학교적응과 또래폭력에 대한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ㆍ피해집단의 경우, 그들의 피해경험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해경험은 또래폭력에 대한 허용도와 행위가능성에 역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가해경험만 주로 하는 아동의 경우에도 그들의 가해경험은 또래폭력에 대한 허용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학생의 또래폭력은 실제 가해, 또는 피해만을 경험하는 아동보다 가해와 피해를 동시에 경험하는 아동들이 훨씬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또래폭력 가해ㆍ피해 중첩성을 보이는 아동들은 또래폭력 가해ㆍ피해경험이 그들의 학교적응과 또 다른 또래폭력을 시도할 수 있는 또래폭력에 대한 허용적 태도와 행위가능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또래폭력 가해ㆍ피해 중첩경험 아동들의 특성을 밝혀냄으로써, 또래폭력의 문제를 이전과 같이 가해자 또는 피해자로 구분해서 처리하지 않고, 가해ㆍ피해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보다 포괄적인 접근과 해결책이 요구되어져야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 아동학대 신고의무자의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윤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7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reporting intention and perception factors related with reporting intention of the reporting obligators against the child abuse as described in the Child Welfare Law. It is also to explore the influences of the preception level on the reporting intention of the child abuse. To achieve the objectives, total number of 271 child abuse reporting obligators were subjected to this study, who worked for various institutions from kindergartens, nursing rooms, schools, social welfare centers, hospitals, village offices(dong office), and district offices. To examine the perception on the seriousness of the child abuse, the measure used in the child abuse perception survey report in 2003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Central Child Abuse Prevention Center, was modified as 5 point measure and used for this study. To measure the reporting effectiveness and obstacles thereof, Ahn Jaejin(2002) Measure was used. In addition, SPSS statistic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materials of this study. First,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examined in order to inspect the respective perception level of child abuse reporting intention, seriousness of the child abuse, effectiveness of the reporting, and obstacles against reporting. Logistic regressive analysis was made in order to examine influences of seriousness of the child abuse, effectiveness of the reporting, and obstacles against reporting, regarding the reporting intention. Major results foun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80 percent of the reporting obligators subjected to this study answered that they had intention to report when they discovered child abuse case, indicating significantly high level of reporting intention as a whole. Second, the reporting obligators subjected to this study had significantly high level of perception on the seriousness of the child abuse and effectiveness of the reporting, whereas they had relatively low level of perception of the obstacles against the reporting. Third, the perception of the seriousness of the child abuse was high in general, however, such perception did not influence on the actual reporting intention of the child abuse.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hild abuse reporting wa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reporting intention was, and the lower the perception of the reporting obstacle, the higher the reporting intention of the child abuse. Regar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the child abuse seriousness was not directly led to the reporting intention thereof. Thus, it was an implication that the media report and education heavily inclined to seriousness of the child abuse should be overcome, through the mass media and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Ultimately, the public relations and education contents that were focused on the seriousness of the child abuse should be overcome, instead, the effectiveness of the child abuse reporting should be emphasized, and eliminating fear and anxiety to report child abuse as obstacles should be emphasized. It is anticipated for this study to be utilized as basic materials necessary to devise practical plans to elevate the low reporting rate of the child abuse reporting obligators of Korea, in order to prevent, detect earlier and treat the child abuse cases. 본 연구는 아동복지법에 명시된 신고의무자들의 아동학대에 대한 신고의도와 신고의도에 관련되는 인식 요인들의 수준을 알아보며, 이러한 인식 수준이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10개 지역구, 경기도 4개 직할시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 학교, 사회복지관 및 병원, 동사무소, 구청 등의 각 기관에 근무하는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총 271명을 최종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아동학대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ㆍ중앙아동학대예방센터에서 2003년 조사한 아동학대인식조사보고서에서 사용한 척도를 5점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아동학대 신고의 효과성과 장애물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안재진(2002)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먼저 연구 대상자들의 아동학대 신고의도, 아동학대의 심각성, 신고의 효과성, 신고의 장애물 각각의 인식수준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알아보았으며, 아동학대의 심각성, 신고의 효과성, 신고의 장애물이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인 신고의무자들의 80%이상이 아동학대사례를 발견했을때 신고의사가 있다고 대답해 이들의 전반적인 아동학대 신고의도는 상당히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자인 신고의무자들은 아동학대의 심각성에 대한 상당히 높은 인식과 신고의 효과성에 대한 비교적 높은 인식, 그리고 신고의 장애물에 대한 비교적 낮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자들의 아동학대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으나, 이러한 인식이 실질적인 아동학대의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동학대 신고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아동학대 신고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아동학대의 신고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 신고의 장애물에 대한 인식도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아동학대 신고의 장애물에 대한 인식이 낮을수록 아동학대 신고의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아동학대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은 곧바로 아동학대의 신고의도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이는 대중매체와 아동학대 예방교육을 통해 아동학대의 심각성에 치우쳐 보도하고 교육하는 단계를 넘어서야 함을 의미하고 있다. 결국 홍보와 교육의 내용에 있어서 아동학대의 심각성에 대한 내용위주의 전달에서 탈피하여, 아동학대 신고의 효과성을 각인시키고, 아동학대 신고의 장애물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함을 해소시키는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앞으로의 아동학대 예방과 조기발견 및 치료를 위한 우리나라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들의 낮은 신고율 문제를 제고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아동이 지각하는 학급풍토와 또래괴롭힘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이현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1743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하는 학급풍토가 또래괴롭힘에 대한 태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아동의 성별과 학년에 따라 또래괴롭힘에 대한 태도에 차이를 보이는지, 아동이 지각하는 학급풍토와 또래괴롭힘에 태한 태도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학급풍토를 결정하는 교사와 또래의 행동특성이 또래괴롭힘에 대한 태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와 의정부시에 소재한 2개의 초등학교 4, 5, 6학년 45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분석대상은 436명이었다. 아동이 지각하는 학급풍토를 측정하기 위해 Halpin과 Croft가 개발한 조직풍토 기술 질문지(OCDQ : Organization Climate Description Questionare)를 김창걸(1985)이 초등학교 학급 설정에 적합하게 수정시킨 것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또래괴롭힘에 대한 허용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Rigby와 Slee(1993)의 척도와 Perry와 동료들(1986)의 척도를 번안하여 초등학생에게 알맞게 재구성한 김예성(2000)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래괴롭힘 행위가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Perry와 동료들(1986)이 제시한 자기효능감(self-efficacy)척도를 바탕으로 김예성(2000)이 추가 구성한 또래괴롭힘 행위가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아동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또래괴롭힘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아동이 지각하는 학급풍토와 교사, 그리고 또래의 행동특성이 또래괴롭힘에 대한 태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아가 여아보다, 6학년이 4, 5학년보다 또래괴롭힘에 대해 더 허용적인 태도를 가지며, 행위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하는 학급풍토와 또래괴롭힘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학급을 통제적, 방임적 풍토라고 지각한 아동은 또래괴롭힘에 대해 더 허용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동이 학급을 통제적 풍토로 지각할수록 또래괴롭힘 행위가능성이 높아지고, 친교적 풍토로 지각할수록 또래괴롭힘 행위가능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이 지각하는 교사 및 또래의 행동특성과 또래괴롭힘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동이 교사의 지시성과 방임성, 또래의 추종성과 임의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교사의 추진성을 낮게 지각할수록 또래괴롭힘에 대해 더 허용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동이 교사의 지시성과 방임성, 또래의 추종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또래괴롭힘 행위가능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아동이 지각하는 학급풍토와 교사, 그리고 또래의 행동특성이 또래괴롭힘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학급의 분위기뿐만 아니라, 학급분위기를 이끄는 교사의 태도와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며 학급환경에 초점을 두는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 of classroom climate children perceive with attitude toward peer bullying. For this study,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to 450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firth, fifth and sixth grade from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Uijeongbu city and Seoul. To measure the class climate children perceive, OCDQ (Organizational Climate Description Questionnaire) developed by Halpin and Croft and adjusted by Kim. Chang-Geul in 1985 adoptable to elementary school condition was used. For measurement of attitude toward peer bullying, the measurement tool of Kim, Ye-Seong(2000)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statistics program and tested with Cronbachs α, Two-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compared to female students, and students of sixth grade, compared to students of forth and fifth grade, have more permissive attitude toward peer bullying and higher conducting possibility. Second, considering the relation of the classroom climate children perceive with attitude toward peer bullying, children who perceive the classroom climate as controlled and laissez-faire present more permissive attitude toward peer bullying. And the more controlled the children perceive the classroom climate as,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peer bullying is. The more familiar the children perceive the classroom climate as, the lower the possibility of peer bullying is. Third, considering the relation of teacher and peer behavior characteristics children perceive with attitude toward peer bullying, the attitude toward peer bullying is more permissive when children perceive the directiveness and nonintervention of teacher and following and voluntariness of children. And the possibility of peer bullying is high when children highly perceive the directiveness and nonintervention of teacher and following of peer.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the classroom climate children perceive and teacher and peer behavior characteristics have effects on attitude toward peer bullying. This conclusion emphasizes the attitude and role of teacher to lead the classroom climate and implies the necessity of intervention focusing on the classroom environment.

      •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정은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74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parental conflicts perceived by children, children's daily hassles, and their stress coping behaviors. For that purpose, 410 children attending the fifth and sixth grades in two elementary schools in Busan City were surveyed. The measurement tools included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CPIC) developed by Grych et al.(1992) and tested for validity by Gwon Yeong-ok and Lee Jeong-deok(1997), the questionnaire by Seo Yeong-mi(1998) based on the School Children's Daily Hassles Scale developed by Min Ha-yeong and Yu Ahn-jin(1998) with the teacher-related items excluded, and the revised version of the Children's Stress Coping Behaviors Scale developed by Min Ha-yeong and Yu Ahn-jin(1998).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statistics program and tested with Cronbach's α,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 between the parental conflicted perceived by children and childrens daily hassle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e parent-related and friends-isolation stress were significantly related positive to all the subareas of parental conflic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friends-conflict stress and all the subareas of parental conflicts except for self-blame and stability, and between their study stress with all the subareas of parental conflicts except for self-blame. Of the subareas of the parental conflicts, the frequency, intensity, problem solving, and perceived threat were influential to the children's parent-related stress, while the frequency and perceived threat to their friends-isolation stress. In addition, the perceived threat and coping efficiency of parental conflicts affected their friends-conflicts stress, while the frequency, problem solving, perceived threat, triangle relationships, and stability their study stress. Second,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daily hassles and stress coping behaviors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all the areas, and children turned out to adopt diverse coping behaviors at the same time under daily hassle situations. They used passive, offensive, and avoidance coping behaviors a lot to deal with their parent-related and friends-isolation stress, passive and offensive coping behaviors a lot to deal with their friends-conflicts stress, and active, passive, offensive, and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behaviors a lot to deal with their study stress. Thus it's clear that parental conflicts served as critical stressors of not only parents-related stress but also all the daily hassles of children. Considering that children do use many different coping behaviors simultaneously under all the stress situations, it's implied that smooth resolutions of parental conflicts can have positive impacts on childrens stress and stress coping behaviors.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살펴보았고, 이러한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는 대처행동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부산시에 소재한 2개의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4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을 측정하기 위해 Grych 등(1992)이 개발하고 권영옥과 이정덕(1997)이 타당도를 검증한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 척도(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CPIC)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민하영과 유안진(1998)이 개발한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생활스트레스 척도 중 교사관련 스트레스를 제외하고 수정 제작한 서영미(1998)의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민하영과 유안진(1998)이 개발한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를 수정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그리고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와의 관계,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또한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이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일상적 생활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부모관련 스트레스와 친구-소외관련 스트레스는 부모갈등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친구-갈등관련 스트레스는 자기비난과 안정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그리고 학업관련 스트레스는 자기비난을 제외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부모관련 스트레스에는 부모갈등의 빈도, 강도, 문제해결, 지각된 위협이, 친구-소외관련 스트레스에는 부모갈등의 빈도와 지각된 위협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친구-갈등관련 스트레스에는 지각된 위협과 대처효율성이, 학업관련 스트레스에는 부모갈등의 빈도, 문제해결, 지각된 위협, 삼각관계와 안정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아동은 모든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상황에서 여러 가지 대처행동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부모관련 스트레스와 친구-소외관련 스트레스에서는 소극적, 공격적, 회피적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하였고, 친구-갈등관련 스트레스에서는 소극적이고 공격적인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학업관련 스트레스에서는 적극적, 소극적, 공격적,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부모갈등은 부모관련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아동의 모든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에 중요한 스트레스원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동이 모든 스트레스 상황에서 여러 가지 대처행동을 동시에 사용하여 자신의 스트레스를 해결해 나가려는 행동을 보인다는 점에서 부모의 원만한 부모갈등 해결이 아동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안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 청소년의 여가활동참여가 여가만족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지역의 중학생 중심으로

        이행연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727

        As this study is on the effect of participation of youths in leisure activity on leisure satisfac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t has established research themes on the purpose of examining relations among time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by establishing the hypothetic model on the basis of former study on leisure satisfac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Research theme 1.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ime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sexuality, grade, health condition, and school record-of youths? Research theme 2. How time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affects leisure satisfaction? Research theme 3. How youths' time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affect their school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has collected 573 copies of the survey sheets resulted from surveying the first second, third grade of students-100 boys and girls from each grade, a total of 600 students-of Y Middle School, M Middle School located in Seodaemoongu, Seoul, and the final 569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excluding the 27 copies from collected data for their lack of sincerity. Questionnaires were used as survey tool, and the collected data from the survey was processed by Cronbach's alpha calculation to verify the reliability. T-test, member variable analysis, Duncan's post examination, frequency analysis, technique analysis, disper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processed to know the participan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sexuality, grade, etc.)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the time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the leisure satisfac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rough study method and procedure as above, this study has drawn conclusions as follow. At first, with respect to the youths' difference on leisure satisfaction, men showed higher leisure satisfaction in every aspect, and students in the first grade, healthy, high rank from the sections of grades, health condition, and school record showed higher leisure satisfaction. At second, in regard to school life satisfaction of youths, girl students were higher than boy students, and students in the first grade, healthy, high rank from the sections of grades, health condition, and school record showed higher school life satisfaction. At third, with reference to effects of youths' time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on leisure satisfaction, physical activity time affects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it showed that mental activity time, physical activity time, recreational activity time, and social activity time affect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metal activity time, physical activity time, recreational activity time, social activity time affect social satisfaction. In addition, it disclosed that physical activity time, recreational activity time, and social activity time affect restful satisfaction, and physical activity time, recreational time, social activity time affect physiological satisfaction, and physical activity time, recreational activity time, social activity time affect environmental satisfaction. At fourth,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youths' time of leisure participation on school life satisfaction, it revealed that mental activity time, physical activity time. and recreational activity time affect friendship, and physical activity time, recreational activity time, social activity time affect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mental activity, physical activity, recreational activity, social activity affect learning activity. Also, it showed that physical activity, recreational activity, social activity affect school event, and physical activity time, creational activity time, social activity time affect regulation observance. 본 연구는 청소년의 여가활동참여가 여가만족도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로써 여가만족과 학교생활만족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기초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여 여가활동참여시간, 여가만족, 학교생활만족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 건강상태 및 성적)에 따라 여가활동참여시간, 여가만족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청소년의 여가활동참여시간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청소년의 여가활동참여시간이 학교생화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 서대문구에 소재하고 있는 Y중학교, M중학교에 재학중인 1, 2, 3학년들을 대상으로 남녀 각각 100명씩 총 600명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573부를 수거하였으며, 회수된 자료 중 불성실한 27부를 제외하고 56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알파계수로 처리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 등), 여가활동참여, 여가활동참여시간, 여가만족, 학교생활만족도 등을 알기위해 t-test, 일원변량분석, Duncan의 사후 검정, 빈도분석, 기술분석,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청소년들의 여가만족도의 차이에서는 모든 면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여가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에서는 1학년, 건강상태에서는 좋음, 학교성적에서는 상위인 학생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들의 학교생활만족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에서는 1학년, 건강상태에서는 좋음, 성적에서는 상위인 학생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들의 여가활동참여시간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심리적 만족은 신체적 활동시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적 만족에서는 정신적 활동시간, 신체적 활동시간, 오락적 활동시간, 사회적 활동시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만족에서는 정신적 활동시간, 신체적 활동시간, 오락적 활동시간, 사회적 활동시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휴식적 만족에서는 신체적 활동시간, 오락적 활동시간, 사회적 활동시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리적 만족에서는 신체적 활동시간, 오락적 활동시간, 사회적 활동시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적 만족에서는 신체적 활동시간, 오락적 활동시간, 사회적 활동시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들의 여가참여시간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교우관계에서는 정신적 활동시간, 신체적 활동시간, 오락적 활동시간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관계에서는 신체적 활동시간, 오락적 활동시간, 사회적 활동시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활동에서는 정신적 활동시간, 신체적 활동시간, 오락적 활동시간, 사회적 활동시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행사에서는 신체적 활동시간, 오락적 활동시간, 사회적 활동시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규칙준수에서는 신체적 활동시간, 오락적 활동시간, 사회적 활동시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청소년이 지각하는 자아탄력성, 부모역할책임의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가정건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병래 한서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51727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adolescents' perception of ego resilience,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and family strength affect school adjustment and examine mediated effect of family strength during adolescents' perception of ego resiliency and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 For this, following subjects of inquiry have been selected. First, do adolescents' perception of ego resilience, family strength and adolescents' sense on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have an effect on school adjustment? Second, do adolescents' perception of ego resilience and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have an effect on family strength? Third, do family strength play a mediated role in correlations among adolescents' perception of ego resilience,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and school adjustment ? To seek answers, a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61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Gyeonggi-do, Incheon, Chungcheong-do and Daejeon selected by convenient sampling.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25, 2016 to April 15, 2016 by visiting research.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ce verification, correlation verification and path analysis of latent variables. SPSS 23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ce verification and correlation verification, and Lisrel 18.80 was used for path analysis of latent variable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ose adolescents whose ego is resilient and believed that their parents fulfilled roles and responsibilities adapted better to school life than others. Whether they are high school 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outcome was the same. On the other hand, family strength did not have a direct impact on school adjustment. Second, how adolescents' ego resilience and their sense on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affected family strength appeared different. While adolescents' ego resiliency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family strength , those adolescents who thought their parents fulfilled roles and responsibilities believed their family is strong. Third, when adolescents' ego resilience and their sense on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were considered as mediated variables for family strength, how they affect school adjustment came out different. While mediated effect of family strength did not show between adolescents' ego 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mediated effect of family strength was shown between adolescents' sense on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and school adjustment. However, whereas mediated effect of how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 family strength had no meaning to school adjustment, mediated effect of how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 family strength had great meaning to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above, a conclusion was drawn as follows: First, the ability of school adjustment by adolescents is based on their resilient growth of ego and on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The higher adolescents' ego resilience and the greater their sense on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they adapted better to school life. Therefore, parents need to focus on properly acknowledging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s well as nurturing ego resilience of their children so that they can adapt to school life. Second, the study revealed high school students are less affected by home environment compared to middle school students. What this means is that high school students adapted well to school life even if family strength revealed low or they failed to adapt to school life despite showing high family strength. As such, an in-depth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personal factors and factors outside home as protection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need to be conducted. Third, despite what this study showed, strengthening family bonds, exchanging positive communications and efforts made by all family members sharing their roles are required for school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is research,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regarded family strength to be very important and regardless of school adjustment, they wanted home environment to be healthy and sought psychological stability. Thus even if their children are high school students, parents need to work hard to form identities and build common values and culture that can be shared among family members to establish psychological stability. This study identified what roles adolescents' ego resilience and their sense on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play in adolescents' important psychological stage of life such as their family strength and school adjustment ; On one hand, family strength can be a major connection point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increase their school adjustment. But on the other hand, mediated effect thinking their family is strong by high school students had little relevance to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showed there are differences in factors that affect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chool adjustment and concluded exploring factors and offering guidances need to be differentiated accordingly.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하는 자아탄력성과 부모역할책임의식 및 가정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자아탄력성과 부모역할책임의식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가정건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자아탄력성과 가정건강성 및 부모역할책임의식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자아탄력성과 부모역할책임의식은 가정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자아탄력성과 부모의 역할책임의식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가정건강성은 매개적 역할을 수행하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도, 인천, 충청도 및 대전 지역에 소재한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중⋅고등학생 6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3월 25일부터 2016년 4월 15일까지 방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차이검증, 상관검증, 잠재변인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기술통계, 차이검증, 상관검증은 SPSS 23을 사용하여 처리하였고, 잠재변인 경로분석은 Lisrel18.8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가 탄력적인 청소년과 부모가 역할책임을 다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청소년은 학교생활에 더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이든 중학생이든 차이가 없었다. 반면 가정건강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자아탄력성과 부모역할책임의식이 가정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은 가정건강성에 직접적인 효과를 주지 못했으나, 부모가 역할책임의식을 다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청소년은 가정이 건강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자아탄력성과 부모역할책임의식이 가정건강성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경로에서 가정건강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은 반면, 부모역할책임의식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경로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다만, 고등학생의 경우 가정이 건강하다고 인식하는 것이 주는 매개효과가 학교생활적응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고, 중학생의 경우에는 가정이 건강하다고 인식하는 것이 주는 매개효과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능력은 자아의 탄력적인 성장과 부모가 역할책임을 다하고 있다는 인식에서 비롯된다는 점이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부모가 부모역할을 바르게 인식하고 책임을 다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청소년자녀는 학교생활을 보다 더 잘 할 수 있다. 따라서 부모는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해, 부모역할에 대한 책임을 바르게 인식하고 자녀의 자아탄력성을 키워주는데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둘째, 청소년 후기에 해당하는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가정환경의 영향을 덜 받는다는 점이다. 즉, 고등학생의 경우, 가정건강성이 낮아도 학교생활적응을 잘 할 수 있으며, 반대로 가정건강성이 높아도, 학교생활적응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고등학생의 학교 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으로서의 개인요인과 가정밖의 요인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고등학생에게도 바람직한 학교생활적응을 위해서는 가족 간의 유대를 강화하고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하며 가족 내 역할을 공유하는 가족원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가정건강성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바, 이들은 학교 생활적응과 상관없이 가정환경이 건강하고 심리적으로 안정되기를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자녀가 고등학생일 경우에도 부모는, 가정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가족 간의 정체감을 갖도록 노력하고 가족이 공유할 수 있는 공통의 가치관 형성 및 문화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자아탄력성과 부모역할책임의식이 청소년의 가정건강성 및 학교생활적응과 같은 삶의 주요 국면으로 적용되는 심리적 과정을 규명하였으며, 가정건강성이 중학생들에게는 학교생활적응을 발달시키기 위한 주요 연결점이 될 수 있고, 반면에 고등학생들에게는 가정이 건강하다고 인식하는 것이 주는 매개효과가 학교생활과는 큰 관련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구조에 차이가 있고, 결과적으로 요인탐색과 지도방안이 차별화되어야함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 크리스천 부모들의 홈스쿨링 선택 동기와 갈등요인

        이수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711

        본 연구는 크리스천 부모들이 홈스쿨링을 선택한 동기와 갈등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이것이 진정 크리스천 가정에 새로운 대안적 교육방법이 될 수 있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크리스천 부모들이 학교교육 대신 홈스쿨링을 선택한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홈스쿨링을 하면서 어떠한 변화가 있는가? 셋째, 홈스쿨링의 갈등 요인은 무엇인가? 넷째, 홈스쿨링을 하는데 있어 부모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크리스천 홈스쿨링 10가정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편의표본추출(convenience or accidental sampling)을 사용한 연구대상 선정, 자료수집, 자료 분석, 대상자 면담, 보고서 작성의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면담한 내용은 사례집으로 엮은 후 주제별 유목화를 하여 분석 · 정리하여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크리스천 부모들의 홈스쿨링 선택 동기는 ① 종교적인 신념 ② 학교교육에 대한 불만 ③ 자녀의 수준과 특성을 고려한 교육 ④ 지역적 상황로 범주화할 수 있다. 둘째, 홈스쿨링을 하고 나서의 변화는 ① 신앙심 강화 ② 가족관계 향상 ③ 자녀의 긍정적 변화 ④ 가정 내에서의 역할분담 ⑤ 사회성 발달로 범주화할 수 있다. 셋째, 크리스천 부모들의 홈스쿨링의 갈등요인 중 홈스쿨링을 시행하기까지의 갈등요인은 ① 교재 및 콘텐츠가 부족한 현실에 대한 두려움, ② 부부간 의견불일치, ③ 홈스쿨링에 대한 주위의 인식부족, ④ 학교과정 이수에 대한 아쉬움 이렇게 네 가지로, 홈스쿨링 시행상의 갈등요인은 ① 자녀에 대한 지나친 기대, ② 경제적 어려움, ③ 주위의 인식부족 ④ 자녀들과의 이견, ⑤ 부족한 교재 및 네트워크, ⑥ 부부간 상호비협조, ⑦ 많은 시간과 자유에 따른 문제들, ⑧ 또래친구의 부족 이렇게 여덟 가지로 범주화할 수 있다. 넷째, 홈스쿨링을 하는 데 있어 부모의 역할은, ① 안내자 ② 모델링 ③ 동역자로 범주화할 수 있다. 크리스천 부모들이 홈스쿨링을 선택한 동기는 다르나 홈스쿨링을 통해 자녀들은 신앙적인 면, 관계성 및 사회성, 교육적인 면에서 긍정적인 변화와 발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그들의 홈스쿨링 선택에 대해 만족을 주고 있었다. 또한 이들이 겪었던 또 겪고 있는 다양한 갈등요인들은 홈스쿨링 경험이 쌓이면서 완화되어가고 새로운 방법으로 긍정적 전환을 이루고 있었으며 이 중심에는 그들의 신앙이 주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 같은 점으로 미루어보아 홈스쿨링은 크리스천 가정에 긍정적인 교육적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본다. 그러나 홈스쿨러 숫자 파악이 어려운 현실에서 본 연구에서 면담한 10가정만으로 우리나라 크리스천 홈스쿨링 가정을 대표한다고 말하는데 다소 무리가 있음이 아쉽다. 속히 홈스쿨링의 제도적 뒷받침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른 후속 연구들이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더욱 풍성해져서 홈스쿨링의 장점은 부각되고 단점은 개선, 보완되어짐으로 말미암아 홈스쿨링을 기대하는 크리스천 가정에 좋은 지침이 되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researches have the purpose by knowing the reason Christians parents choose homeschooling and by understanding their conflicts, to see whether homeschooling could be really new alternative education method for christians famili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following: First, why do Christian parents choose homeschooling instead of regular schooling? Second, what are some changes while they have homeschooled? Third, what are the conflicts of homeschoolong? Forth, What is the role of homeschooling parents? To solve the problems above I had the case study of ten homeschoolong families. I selected first the subject of study using Convenience or accidental sampling, collected materials, analyzed materials, interviewed the related persons, and finally composed the report. The contents of interviewing were compiled into cases, classified and analyzed into subjects. The result of researches are followed as this; First, the motivation that Christian parents choose homeschooling is ① their religious faith ② dissatisfaction with regular schooling ③ for customed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④ for local situation. Second, changes after homeschooling are ① enhancement of faith ② closer family relationship ③ development of childrens inner being ④ allotment of the role in house chore ⑤ improvement in social relationship. Third, conflicts in the beginning of homeschooling of conflicts for homeschooling faimlies are ① fear about insufficient texts and contents at present ② disagreement between husband and wife ③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homeschooling at present ④ lingering attachment about the certificates of schooling curriculum. Next four conflicts of what homeschooling Christians families have are ① too high expectation for their children ② finance problems ③ other peoples thinking ④ disagreement with children ⑤ insufficient texts or network ⑥ only one spouse in charge of homeschooling ⑦ dealing with so much time causing trouble ⑧ a few friends of their age, in all eight things classified like above. Forth, the role of homeschooling parents is ① to be a guider ② to be a model ③ to be a coworker. The motivation that Christian parents choose homeschooling are all different, but through homeschooling, children are showed to have been properly changing and positively developing in faith, relationship or social relationship, and learning levels so the Christians families are satisfied with their homeschoolong. And the conflicts and problems that they had and now have been struggled with, have been moderating in homeschooling background, and with new method, have been making a turning point positively. The main reason being changed like above is by their faith in God. Base on that, I think it shows that homeschooling could be the alternative education for Christians families. But with difficulty in finding out the number of homeschoolers, in this research, it is difficult to say only ten homeschoolers whom I interviewed represent all Christians homeshoolers in Korea. By establishing a social system, researching homeschooling further in sequence, realizing and improving the merit of homeschooling, and revising the defect of homeschooling, I expect better instructions for Christian families who are potential homeschoolers, soon.

      •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안현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71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eta-analyze the studies on variables related to parent-child communication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succeeding studies on it. As for the materials of this study,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n parent-child communication presented first from 1987 to August of 2004, which were included in the list of theses for doctors and masters degrees i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collected were 65 papers in total, in which parent-child communication was the dependent variable while variables related to it were the independent variable. Meta-analyzing the selected papers produced three variable groups and effect size for each of 30 subvariables. Effect size for each variabl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effect size and correlation coefficient R among the variable groups, and percentages were used to identify how much effect each related variable had on the dependent variable: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 dependent variable was divided into the functional communication (open communication, bilateral communication, positive communication) and the dysfunctional communication (closed communication, unilateral communication, authoritarian communication, negativ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the dependent variables from the selected papers were parents job; parents income; parents age; the existence of parents educational level; the existence of parents job; adolescents age; sex; religion; grade; birth order; academic achievement; the number of siblings; communication time; familys atmosphere; cohesion; adaptability; communication way; cohabitation type; socioeconomic status; quality of living; religion; the existence of real parents; living district; family type; friendship.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the three variable groups: parental variable group, adolescent variable group and environmental variable group. Second, the mean of effect size (d) was used to calculate the effect of each variable group on the functional and the dysfunctional parent-child communications that were the dependent variables. The extent of the effect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functional and the dysfunctional parent-child communications for each variable group. Then, it was found that all of the three variable groups had a little effect on the functional and the dysfunctional parent-child communications. There were also very few differences between the variable groups. Only the environmental variable group had a relatively moderate effect on the functional parent-child communication. Third, the functional and the dysfunctional parent-child communications were assumed to be one dependent variable: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n, it was divided into three dependent variables in terms of the functional and the dysfunctional parent-child communications. Calculated were effect size, correlation coefficient R and percentage of subvariables that affected the dependent variables, in order to identify the orders for each variable group, within variables and for each of the total 30 subvariables, As the result of it, the environmental variable group among the three variable groups showed a high effect on all the three dependent variables. The subvariables within the environmental variable group also ranked high in effect size for each subvariable, regardless of variable group. It suggested that a familys environmental factors in terms of family relationships as well as interactions between family members were important variables that had more effects on many parent-child communications than personal variables of parents or adolescents. The theoretical meaning can be described as the follows: First, collecting and classifying the variables related parent-child communication, which had already been presented in the existing studies, made it possible to reach a conceptual agreement the previous studies had not. In addition, drawing the results from the synthetic study reduced the inefficiency of repeating similar studies and provided a chance to expand the study issue into a new area. Second, in terms of methodological aspects, the existing descriptive technique of document analysis had a bad influence that documents were added or excluded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subjective or the consistency of the results. However, meta-analysis, a technique that analyzes documents statistically by making related studies numerical and integrating them, helped drawing general conclusions more strongly and reliably.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that these results laid the groundwork for a systematic and efficient study on parent-child communication, as well as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and deepening the area. 본 연구는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들을 메타분석하여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후속 연구의 기초 틀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자료는 국회도서관의 석ㆍ박사 학위논문 목록을 근거로 처음발표가 시작된 1987년부터 2004년 8월까지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선행연구들 가운데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관련된 변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논문을 총 65편을 수집하였다. 연구대상 논문을 메타분석한 결과, 3개 변인군과 30개의 하위변인별 효과크기가 산출되었으며, 각 변인별 효과크기, 평균과 표준편차, 변인군간 효과크기와 상관계수r, 백분위 값들을 통하여 관련변인들이 각각 종속변인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고자 하였으며, 종속변인을 다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 분류에 따라 순기능(順機能)적인 의사소통(개방적인 의사소통, 쌍방향적인 의사소통, 긍정적 의사소통)과 역기능(逆機能)적인 의사소통(폐쇄적인 의사소통, 일방적인 의사소통, 권의지향적 의사소통, 부정적 의사소통)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연구대상 논문에서 추출된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은 부모직업, 부모소득, 부모연령, 부모교육유무, 모취업유무, 자녀연령, 성별, 종교, 학년, 출생순위, 성적, 형제수이고, 대화시간, 가정분위기, 응집성, 적응성, 대화방법, 동거형태, 사회경제적지위, 생활정도, 종교, 친부모여부, 거주지역, 가족형태, 교우관계이었으며, 추출된 변인을 그 특성에 따라 3개의 변인군 즉, 부모변인군, 자녀변인군, 환경변인군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변인군별 부모-자녀간 순기능과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평균 효과크기(d)로 산출하였다. 이들의 영향정도를 변인군별 순기능과 역기능적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순서로 살펴보면, 우선 부모변인군의 사례수는 각각 291과 139로 나타났으며, 효과크기는 .148과 .094이고, 자녀변인군의 사례수는 각각 219과 142로 나타났으며, 효과크기는 .111과 .148로 부모변인군 과는 달리 역기능적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더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변인군의 사례수는 각각 167과 162이었으며, 효과크기는 .488과 .199로 부모변인군과 마찬가지로 부모-자녀간 순기능적 의사소통에 더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3개의 변인군 모두 부모-자녀간 순기능과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적었으며, 변인군별 차이도 아주 적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다만 환경변인군만이 부모-자녀간 순기능적 의사소통에 비교적 중간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수준이었다. 셋째, 종속변인을 부모-자녀간 순기능과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하나의 종속변인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3개로 분류하여,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추출된 하위변인들의 효과크기와 상관계수 r과 백분위를 산출하여, 변인군별 순위와 변인내에서의 순위, 전체 30개 하위변위별 순위를 살펴보았다. 부모-자녀간 순기능적 의사소통에는 환경변인군(ES=.488)이 중간정도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하위 변인별 순위는 적응성(ES=1.702)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족형태(ES=.009)는 가장 낮은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의사소통에는 역시 환경변인(ES=.199)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변인별 순위는 환경변인의 대화시간(ES=.957)이 큰 영향을 미치고, 모취업유무(ES=.018)는 가장 적은 영향을 나타내었다. 부모-자녀간 순기능과 역기능 의사소통을 하나의 종속변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으로 보았을 때 역시 환경변인군(ES=.346)의 효과크기가 가장 높았으며, 하위변인별 효과크기 순위는 적응성(ES=.729), 응집성(ES=.627), 대화시간(ES=.534)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족형태(ES=.016)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변인군 중 환경변인군의 효과크기가 3개의 종속변인에 대해 적은 영향을 미치는 정도이었지만 모두 높았고, 변인군 구별 없이 하위변인별 효과크기 순위에서도 환경변인군내의 하위변인들이 높은 순위를 나타내었다. 이는 부모와 자녀의 개인변인보다는 가족이라는 구성원내의 상호작용과 가족간의 관계적 측면에서 가족내 환경요인이 더 많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론적 의의는 다음의 두 가지 정도로 설명이 가능하다. 첫째, 이미 축척되어온 관련 연구들을 통해 제시되어 왔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관련 변인을 수렴, 유목화함으로써 기존의 연구들이 도달하지 못했던 개념적 합의에 도달할 수 있었다. 또한 통합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여 비슷한 연구들이 반복되는 비효율성을 지양하고 연구문제를 새로운 연구 분야로 확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둘째, 방법론적 측면에서의 의의를 보면 기존의 기술적 문헌분석기법들이 연구자의 주관이나 결과의 일치여부에 따라 가감되는 폐단을 낳았던 점에 반해 관련연구를 모두 수량화 하여 이를 통합하는 통계적 문헌분석 기법인 메타분석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강력하고 신뢰로운 일반적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더불어 표집된 다양한 연구 결과를 평균 효과크기(d)로 변환하고 상관계수 r과 백분위를 산출함으로써 보다 더 변인별 명확한 통일된 수치로 제시하였다는 점이 의미롭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이 되었다는 점과 영역을 넓히고 심화시키는데 기여하리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유아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부모의 언어표현과 대처 방식

        이윤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17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ess of kindergarten and nursing room teachers from the verbal expressions of the parents, and the reacting ways for such stress. In addition, it was to examine and explore the reacting methods for more desirable measures in interactions between stressed out teachers and parents, and to adopt appropriate methods to the actual education sit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otal 21 teachers in 8 kindergarten and nursing rooms as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 site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that was to directly participate in the actual education site, to collect and analyze the materials through interviews, and to interpret the meanings. A non-structural interview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that was to set issues and problems of which only the interviewer wished to hear from the interviewee, and to conduct interviews without predetermined concrete questions, procedures or interview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the 2nd of October and 18th of October, on 21 teachers of the kindergarten and nursing rooms, by the non-structural interview, on the parents verbal expressions causing stress to the teachers and the teachers reacting ways thereupon. The interview dates and time were determined for teachers convenience, and twenty minutes to one hour was spent per teacher. For the material analysis, a researcher made transcription from the recorded tapes, materials made during the interviews were integrated with the transcriptions, preliminary criteria was determined, the material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criteria, and appropriateness of the classified materials was inspected repeatedly. The recording method of the interview with the teachers was to write down word by word in principle. The results of the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to explore the verbal expressions of parents causing stress were classified into four issues as follows: first, safety issue occurring in the institutions and responsibilities thereof, second, interference issue by the parents against the curriculum of the institutions, third, differences in opinion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n the behaviors of the children within the institutions, and fourth, impolite verbal and behavioral conducts of the parents against the teachers. The reacting ways of the teachers against the stress were classified into the parent-centered reacting way and the teacher-centered reacting way. The parent-centered reacting way included, first, explanation of situations, second, taking measures to solve problems, third, studying the insufficient points and area, fourth, admission of the mistakes and apology, and fifth, accepting the demands of the parents. The teacher-centered reacting way included, first, abandon the conversations, second, endurance, third, attitude changes against the parents or children, fourth, seek consultations with the colleagues and predecessor teachers, and fifth, contemplation on ones teaching ability and take up on another occup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kindergarten and nursing room teachers had enormous stress from the verbal expressions of the parents, and had reacting ways of their own. This study was significant, for it inspected the stress caused by the verbal expressions of the parents on the kindergarten and nursing room teachers and it provided the frame for future research on various influences of the parents against the teachers, in a more specialized way. Furthermore, the reacting ways against the stress were directly heard from the teachers themselves, hence enabling the basic material presentation for the desirable measures against the stress from the parents.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부모의 언어표현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는 무엇이며, 이러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대처방식을 알아봄으로써 스트레스를 받은 교사가 부모와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 대처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 현장에 적용하도록 하는 것에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부모의 언어표현은 무엇인가? 2. 유아교사는 스트레스를 주는 부모의 언어표현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있는 유아교육 기관인 유치원과 어린이집 8곳, 총 21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연구자가 직접 현장에 들어가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그 의미를 해석하는 현장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면접방법은 면접자가 피 면접자로부터 듣고 싶은 화제나 문제점만을 정해놓고, 구체적인 질문내용이나 절차 또는 면담의 방법 등은 정하지 않고 면접하는 비구조적인 면접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10월 2일부터 18일까지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21명을 대상으로 비구조적 면접방법으로 진행되었고, 이를 통해 유아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부모의 언어표현에는 무엇이 있으며, 그 대처 방식은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면담일정과 면담시간은 교사의 편의를 고려하여 결정하였고, 1인당 20분에서 1시간가량 소요되었다. 면담은 각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빈 교실이나 사무실에서 진행되었으며, 면담 내용은 사전 허락을 얻어 처음부터 끝까지 녹음 되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녹음된 자료를 통해 연구자가 녹음테이프를 전사하여 전사본을 만들었으며, 면접 시 작성된 자료를 전사본과 함께 통합하였다. 연구자는 통합된 자료의 수차례 정독을 통해 예비범주를 만든 뒤 범주에 따라 자료를 분류하였고, 분류된 자료의 적합성을 반복하여 검토하면서 자료를 분석하였다. 교사와의 면담을 기록하는 방법은 되도록 말 그대로를 옮기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본 연구자가 유아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부모의 언어표현은 무엇인지 탐색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와의 개별면담을 실시한 결과 교사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부모의 언어는 4가지로 분류되었다. 이 4가지를 살펴보면, 1) 기관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와 책임소재의 문제, 2) 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한 부모의 간섭문제, 3) 기관 내 유아행동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의견차이 문제, 4) 교사에 대한 부모의 예의 없는 언행문제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스트레스의 종류에 대한 교사의 대처 방식은 부모 중심적 대처 방식과 교사 중심적 대처 방식으로 나누었다. 부모 중심적 대처 방식으로는 ① 상황 설명, ② 문제해결을 위해 대책 마련, ③ 부족한 부분에 대한 공부, ④ 실수를 인정하고 사과, ⑤ 부모의 요구를 수용한다 등이 있다. 교사 중심적 대처 방식으로는 ① 대화를 포기한다, ② 참는다, ③ 부모 및 유아를 대하는 태도의 변화, ④ 동료 및 선임교사에게 조언 구하기, ⑤ 교사의 자질과 이직에 대해 고려한다 등이 있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는 부모의 언어표현에 의해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교사 나름대로의 대처 방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사가 부모의 언어표현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보다 전문적으로 부모가 교사에게 미치는 여러 가지 영향에 대해 연구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스트레스에 대한 교사의 대처 방식을 직접 교사로부터 들음으로써 부모가 주는 스트레스에 대해 어떻게 하면 바람직하게 대처할 수 있을지를 연구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아동·청소년친화도시 평가지표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홍승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3539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ssessment tools to diagnose the child friendly level in the community. Community environments in which children and adolescents are growing can be monitored diversely and comprehensive and can be found the change of trend continually through assessment tools. To develop assessment tools, related literature was reviewed. To reflect Korea specific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198 children and adolescents between 11 and 18 and 104 parents living in Seoul, Daejeon and Hwaseong (n=302) were interviewed in depth. Analyzing suc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aterials, 90 preliminary questionnaires in 6 areas were developed. Questionnaires were classified as objective tools and subjective tools through the content validity test by 18 experts and the verification by preliminary survey with 85 children, adolescents, parents. From the analysis, preliminary questionnaires were classified objective and subjective tools. And then survey subjects of subjective tools were classified as those for parents, children and adolescents. Objective tools are that professionals check the fact based on laws and institutions. 20 objective questionnaires were induced. While subjective tools are to check subjective perception of children, adolescents and parents on their community environments. 38 subjective questionnaires for parents and 35 subjective questionnair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induced. Subjective tools were collected for the evidence materials for construct validity and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validity. For this, 432 children and adolescents between 11 and 18 and 201 parents living in Seoul, Daejeon and Hwaseong (n=633) were surveyed. Additionally,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on child­friendliness level in the community, 451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same region were survey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20 questions in 6 areas were induced as objective tools; 2 questions in health and social services, 8 questions in safety and protection environments, 1 question in educational environments, 3 questions in play and leisure environments, 2 questions in social participation and 3 questions in policy foundation. Second, as subjective tools, 33 questions in 6 areas were induced for parents; 5 questions in health and social services, 8 questions in safety and protection environments, 6 question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7 questions in play and leisure environments, 4 questions in social participation and 3 questions in policy founda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30 questions in 5 areas were induced; 3 questions in health and social services, 8 questions in safety and protection environments, 6 question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7 questions in play and leisure environments, 6 questions in social environments in which social participation and policy foundation are combined. Reliability coefficient of evaluation tools for parents and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as very high as higher than .90, and all sub­areas showed satisfactory reliability level such as higher than .80. Third, children and adolescents evaluated their community environments negatively in general. While they evaluated educational environments as relatively fair out of 5 sub­areas, they thought social conditions for participation, environments for the protection and safe growth, and various resources of communities to grow healthily insufficient. They perceived the environments in which they could enjoy play and do leisure activities most insufficient out of 5 sub­areas.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consider various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s of cit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at is to say, we can conclude that the policy should be developed considering various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s in a multilateral way focusing on services such as housing and transportation environments, cultural facilities, play space,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far beyond focusing only on education. Child Friendly Assessment tools is provides the orientation of policies that the community should pursu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rough the survey re sult analysis applying assessment tools, they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s to set up priority and practice plan of policies, and to construct foundation to build a child friendly city.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아동·청소년친화수준을 진단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된 아동·청소년친화도시 평가지표를 통해 현재 아동·청소년의 성장 환경을 종합적·체계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그 변화의 추이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아동·청소년친화도시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 국내·외 관련 문헌을 검토하였으며, 우리나라 사회·문화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서울시, 대전시, 화성시에 거주하는 11세~18세 아동, 청소년 198명과 부모 104명의 총 302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의 결과를 분석하여 총 6개 영역의 90개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선정된 예비문항은 아동·청소년복지 관련 전문가 18인이 2차에 걸쳐 구성영역과 문항의 적절성을 평가하였으며, 아동, 청소년, 부모 85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의 문제점을 수정·보완하였다. 이러한 검증과정을 거쳐 예비문항을 객관지표와 주관지표로 분류하였으며, 주관지표의 평가대상자도 부모, 아동·청소년으로 구분하였다. 객관지표는 법과 제도에서 지방자치단체의 관리·감독을 명시하고 있는 사항을 전문가가 평가하는 내용이며 20개 문항을 선정하였다. 주관지표는 지역사회 환경에 대한 직·간접적 경험과 인식 등을 확인하는 내용이며 부모용의 경우 38개, 아동·청소년용의 경우 35개 문항을 선정하였다. 주관지표의 경우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서울시, 대전시, 화성시에 거주하는 11세~18세 아동·청소년 432명과 그들의 부모 201명의 총 63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또한 검증된 주관지표를 활용하여 지역사회 아동·청소년친화수준에 대한 아동·청소년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같은 지역의 아동·청소년 45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지표는 건강 환경 2문항, 안전과 보호 환경 8문항, 교육 환경 1문항, 놀이와 여가 환경 3문항, 사회 참여 2문항, 정책기반 3문항의 총 6개 영역 20개 문항을 선정하였다. 둘째, 주관지표 중 부모용은 건강 환경 5문항, 안전과 보호환경 8문항, 교육 환경 6문항, 놀이와 여가 환경 7문항, 사회 참여 4문항, 정책기반 3문항의 총 6개 영역 33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아동·청소년용은 건강 환경 3문항, 안전과 보호환경 8문항, 교육 환경 6문항, 놀이와 여가 환경 7문항, 사회참여와 정책기반이 합쳐진 사회 환경 6문항의 총 5개 영역 3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부모용과 아동·청소년용 평가지표의 전체 신뢰도 계수는 모두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하위영역에서도 .80 이상의 만족할 만한 신뢰도 수준을 보였다. 셋째, 아동·청소년은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 환경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총 5개 하위영역 중 교육을 위한 환경은 비교적 잘 갖추어져 있다고 평가한 반면, 참여를 위한 사회적 여건과 안전하게 보호받으며 성장할 수 있는 환경,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은 부족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무엇보다 놀이를 즐기고 여가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이 가장 미흡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아동·청소년정책의 주된 영역이었던 교육 서비스뿐만 아니라 주거 및 교통 환경, 문화시설, 놀이 공간, 사회참여활동 등 도시의 다양한 사회적·물리적 환경을 포괄적으로 고려한 정책이 분명히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아동·청소년평가지표는 아동·청소년친화도시가 추구해야 할 정책점 지향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가치와 목적에 비추어 현재 지역사회가 도달한 상태와 수준을 평가할 수 있으며 향후 종합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하는데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아동·청소년의 관점에서 성장환경을 점검하고, 그 결과를 정책수립에 반영하는 과정을 통해 아동·청소년의 삶의 질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