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기 성학대 피해자의 성적 재피해자화에 대한 변인 연구

        허정은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363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a victim of childhood sexual abuse from adulthood sexual violence by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incident, environmental variables, and long-term aftereffect of the victim as well as influences of each variable over adulthood sexual revictimization. The target population was females currently age 18 to 30 years old, and the total number of samples was 1064. 384(37%) reported sexual victimization more than once in their lifetime. The number of samples who was exposed to sexual abuse before 16 years old was 309(28.3%) and out of them, 119(10.8%) experienced adulthood sexual revictimization. Out of all victims who reported adulthood sexual violence, 61.5% experienced childhood sexual abuse. In the study 1, the variables affecting sexual revictimization were examined; characteristics of incident(seriousness, time of incident, period of the incident, level of violence, relationship with the assailant, whether to report or not, the assailant’s response upon reporting - accept, evasion, criticize), environmental variables (family function, social support, drinking behavior), long-term aftereffect (psychological unadjustment, traumagenic dynamics, traumatic sexualization, emotional dysreguration)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as follows. First, the younger victim of childhood sexual abuse was, the more severe level of violence they were exposed to and the incident was less possibly reported. Second, in the case that the incident happe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was accompanied by violence, it was highly possible to result in adulthood sexual revictimization. In addition, it was identified that the seriousness of the incident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assailant were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Third, family function of victim and social suppor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dulthood sexual victimization, and social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xual revictimiztion. Fourt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hood victim’s psychological unadjustment, traumagenic dynamics, and emotional dysreguration, and in particular, psychological unadjustment and traumagenic dynamics ha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for adulthood sexual victimization. Fifth, it showed that there was difference in seriousness of the incident and level of violence between single childhood sexual abuse victimized group and sexual revictimized group. The sexual revictimized group was inferior to single victimized group in terms of family function, perceived social support negative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rinking behavior. For sexual revictimized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logical unadjustment, traumagenic dynamics, and emotional dysreguration between groups. The study 2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long-term aftereffect (psychological unadjustment, traumagenic dynamics, and emotional dysreguration) over childhood victim’s sexual revictimization. Each influential variable for sexual revictimization was studied and it was found that childhood sexual abuse affected traumagenic dynamics which worsened emotional dysreguration. In addi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childhood victim’s traumagenic dynamics and emotional dysreguration worsened her psychological unadjustment, which more likely resulted in adulthood sexual revictimization. This showed that sexual revictimization was gradually affected by the sexual abuse victim’s traumagenic dynamics, emotional dysreguration, and even psychological unadjustment. The result indicated that a victim of childhood sexual abuse involved the risk for sexual revictimization, thus there should be appropriate counselling and education by considering these causes for sexual revitimization and their influences. 본 연구는 아동기 성학대 피해자의 사건특성변인과 환경변인, 장기적인 후유증을 확인하고 성인기 성적 재피해자화가 일어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통해 아동기 성학대 피해자의 장기적인 후유증과 성인기 성피해를 예방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은 만 18세 이상 30세 미만의 성인 여성이었으며 총 표본 수는 1064명이었다. 생애 기간 동안 1회 이상 성관련 피해를 보고한 경우는 384명(37%)로 조사되었다. 16세 이전에 성학대에 노출된 표본은 309명(28.3%)이었으며 그 중 성인기 성적 재피해를 경험한 표본은 119명(10.8%)로 나타났다. 성인기에 성폭력 피해를 보고한 피해자 중 아동기 성학대 경험이 있는 경우는 61.5%로 조사되었다. 연구1에서는 아동기 성학대 피해자의 사건특성변인(피해시기, 피해강도, 피해기간, 폭력차원, 가해자와의 관계, 발고유무, 발고당시 대상의 반응-수용, 회피, 비난), 환경변인(가족기능, 사회적지지, 음주행동), 장기적인 후유증(심리적 부적응, 외상유발역동, 외상적 성화, 정서조절곤란)이 성적 재피해자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에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성학대 피해자의 연령이 어릴수록 더 심한 폭력차원에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건에 대한 발고는 발고하지 않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기 성학대의 피해기간이 길고 폭력차원이 동반된 경우에 성인기 성적 재피해가 나타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해강도와 가해자와의 관계가 성적 재피해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아동기 성학대 피해자의 가족기능과 사회적 지지가 성인기 성피해와 부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가 성적 재피해에 대해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아동기 성학대 피해자의 심리적 부적응, 외상유발역동, 정서조절곤란은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부적응, 외상유발역동이 성인기 성피해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기 성학대 단일피해 집단과 성적 재피해 집단 간의 차이에서 아동기 성학대의 피해강도와 폭력차원이 집단 간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 재피해 집단이 아동기 단일 피해 집단에 비해 가족기능이 떨어지고, 사회적 지지를 부족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주행동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 재피해 집단과 아동기 단일피집단의 장기적인 후유증에 대한 집단 간 차이는 외상적 성화를 제외한 심리적 부적응, 외상유발역동, 정서조절 곤란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재피해 집단이 모두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2에서는 연구1에서 확인된 아동기 성학대 피해자의 성적 재피해자화발생 경로에서 장기적인 후유증(심리적 부적응, 외상유발역동,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각 변인의 성적 재피해자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동기 성학대 피해가 외상유발역동에 영향을 주며 이는 정서조절곤란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여 아동기 성학대 피해자의 성인기 심리적 부적응은 외상유발역동과 정서조절곤란의 영향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성학대 피해가 심각하고, 이에 따른 심리적 부적응이 증가할수록 성인기 성적 재피해가 증가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이런 연구 결과를 통해 아동기 성학대 피해자의 장기적인 후유증이 성적 재피해자화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된 바 아동기 성학대 피해자에 대한 치료와 교육에서 장기적인 관점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성인기 성적 재피해가 나타난 피해자의 상담과정에서도 이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아동기 성학대 피해자의 성적 재피해자화에 대한 관련성을 밝히는데 의의가 있으며 추후 성적 재피해자화에 대한 추가적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여대생의 성인애착이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송슬기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6383

        While unstable and unsatisfactory romantic relationship results in psycho-emotional problems or maladjustment to life with loss of self-control, satisfactory romantic relationship allows one to pursue balanced development of personality as a person and emotional well-being. Also, romantic relationship in early adulthood has been established as a societal normative procedure because the average wedding age of women tends to increase as women’s social statuses promot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that play great roles in enhancing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and investigate influence of self-identity from the relationship of the two. That is to say, with female university students as its subjects, and with adult attachmen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romantic relationship as a dependent one, it tries to test the effects of self-identity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1 female university students (average age 21.05) attending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the close relation experience questionnaire (Fraley, Waller and Brennan, 2000) adapted by Kim(2004), the scale of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Snyder, 1979) factor-analyzed by Lee(2000), and the Korean self-identity test made up and modified by Lee(1999).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both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evasion, two dimension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dult attach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ir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Also, the two dimensio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self-identity. But self-ident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Second, this study confirmed the influence of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nd evasion) and self-identity on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based on associations among individual variables, and as a resul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turned out to be Also, of the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self-identity had the greatest influence, and then attachment anxiety turned out as the next significant variable. However, attachment evasion did not have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statistically. Third,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self-identity mediated the influence of the two dimensions of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evasion, self-identity turned out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and attachment anxiety and evasion. In order to make itself distinct from previous studies that have addressed only the rel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this study has established self-identity, a variable greatly related with the two, as a mediating variable to attempt deeper and wider exploration of the intermediate course. As such, again we can confirm the importance of adult attachment, a variable increasing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and learn that self-identity has indirect influence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Based on such results, in actual consulting scenes, we can give help to visitors with unstable attachment for the intervention direction of the consulting in relation with their level of self-identity. Including this, the study has discussed its limitations and made suggestions. 안정적이지 못하고 불만족스러운 이성관계는 심리정서적인 문제나 자신에 대한 통제력 상실 등의 생활 속 부적응을 초래하는 반면, 만족스러운 이성관계는 한 인간으로서 균형적인 인격의 발달과 정서적인 안녕을 도모한다. 또한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높아져감에 따라 그들의 결혼 평균 연령이 증가하고 추세로, 성인기 초기의 이성관계에 대한 욕구와 관심 또한 높아져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이성관계만족도와 관련성이 높은 성인애착이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둘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표를 두었다. 즉, 여대생을 연구대상으로 성인애착을 독립변인, 이성관계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상정하였으며, 이 둘의 사이에서 자아정체감을 매개변인으로서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중인 여대생 321명(평균 연령 21.05세)으로 연구 도구는 김성현(2004)이 번안한 친밀 관계 경험 질문지(Fraley, Waller & Brennan, 2000), 이복동(2000)이 요인분석한 이성관계만족도 척도(Snyder, 1979), 이승국(1999)이 일부 보완하고 수정한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여대생의 성인애착의 두 차원인 애착불안, 애착회피는 모두 이성관계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자아정체감과의 관계에서 또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반면에 자아정체감은 이성관계만족도와 유의하게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각 변인들 간의 연관성을 토대로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와 자아정체감이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각 변인들간의 설명력은 16.1%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성관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아정체감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쳤으며, 그 다음의 유의한 변인은 애착불안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애착회피는 통계적으로 이성관계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성인애착의 두 가지 차원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정체감이 매개하는지를 확인한 결과, 자아정체감은 애착불안·애착회피와 이성관계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단순히 성인애착과 이성관계만족도의 관련성에 대해서만 다루었던 선행연구들과 차별성을 두기위해 그 둘과 큰 연관성이 있는 변인인 자아정체감을 매개변인으로 상정하여 그 중간과정에 대하여 보다 심층적이고, 폭 넓은 탐색을 시도하였다. 이로서 이성관계만족도를 높여주는 변인인 성인애착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아정체감이 성인애착과 이성관계만족도 사이에서의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상담 장면에서 불안정 애착이 형성된 내담자에게 자아정체감 수준과 관련하여 상담의 개입 방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비롯하여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초기 성인의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에 관한 연구 : 자살 경로 분석

        양선미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6383

        초기 성인의 자살행동에 대한 전체적 구조화와 자살 문제의 예방지원체계 구축에 대한 실증적 고찰을 위해서는 개인 내적인 요소와 사회 환경적 요소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사고-행동’틀 내에서 보다 포괄적이고 통합적으로 자살 경로를 설명하고 있는 Joiner(2005)의 대인관계 심리학적 이론(Interpersonal-Psychological Theory), O’Connor(2011)의 통합적 동기-의지 모형(Integrated Motivational-Volitional model), Klonsky와 May(2015)의 3단계 자살 이론(The Three-Step Theory of Suicide)에서 공통적으로 주요하게 언급되고 있는 변인들을 검증하여 우리나라 초기 성인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자살 경로 모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20대 성인 남녀였으며, 총 표본 수는 528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사고-행동’틀을 기초로 하는 세 가지 자살 이론 모형(Joiner, 2005; O’Connor, 2011; Klonsky & May, 2015)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종합하여 자살 문제에 있어 가장 일반적이면서도 핵심적으로 언급되는 위험 요소들을 주요 변인으로 상정하였다. 그리고 자살 문제가 사회 병리적인 현상을 반영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한국 사회의 초기 성인들이 직면하고 있는 현실적 어려움과 사회 문화적 환경을 포함시켰다. 또한 자살사고와 자살행동의 연속적인 관계를 전제하고, 자살사고와 자살행동의 차별적인 특성을 구분하고자 자살사고와 자살행동 간의 관계 방향과 상호작용의 강도를 조절하는 변인을 함께 다루었다. 이에 자살사고 및 자살행동에 대한 주요 변인은 패배감, 속박감, 좌절된 대인관계욕구, 무망감, 습득된 자살실행력이며, 이들의 인과 관계와 그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패배감, 속박감, 좌절된 대인관계욕구가 자살사고 및 자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무망감의 매개효과 모형을 가정하였다. 또한 자살사고와 자살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서 습득된 자살실행력의 조절효과 모형을 통해 자살 경로를 분석하였다.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배감, 속박감, 좌절된 대인관계욕구가 자살사고 및 자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무망감의 매개효과 모형은 적합도 지수는 적절하였으나 패배감과 좌절된 대인관계욕구만이 무망감을 매개로 하여 자살사고 및 자살행동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구조 모형은 남녀 간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자살사고에서 자살행동으로 이행하는 경로에서 습득된 자살실행력의 조절 효과 모형은 타당한 기준으로 적합도 지수를 만족하였고, 자살사고와 습득된 자살실행력 각각 자살행동에 대해 주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조절효과의 정도는 미약하고 제한적이었으며, 습득된 자살실행력과 자살행동 간의 관계 방향이 부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기 성인의 자살경로 분석에서‘사고-행동’틀의 자살 이론 모형들이 국내에서도 적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살 관련 주요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와 잠재적으로 영향을 받는 상호작용 관계를 정교화 하였다. 무엇보다 한국 사회의 경제무기력, 소득양극화, 고용절벽 위기에 직면한 청년들이 처한 포기와 좌절, 절망적인 특성을 주요 변인 상정에 반영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 모형은 우리나라 초기 성인의 자살 문제를 더 잘 예측하고 보다 실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겠다. 더불어 자살사고에서 자살행동에 이르는 전체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의 제시는 자살 문제에 대한 개인의 상담 과정뿐만이 아니라 사회 구조 및 환경적 차원 등이 포함된 국가적 자살 예방 제도와 정책 마련에도 종합적인 안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시사된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의 제한점을 고려한 자살 관련‘사고-행동’변인들의 추가적 검증을 통해 자살사고와 자살시도 및 자살행동을 차별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심리적 기제를 확인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자살 위험성 변인들을 다차원적으로 구조화하여 자살경로 구축에 대한 지속적이고 독창적인 시도를 제언한다. 본 연구는 자살사고에서 자살행동으로까지 이르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잠재 요소들을 밝히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자살 예방을 위한 실제적 개입에서 경험적 자료의 기반을 마련해 주고자 하였다. It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both individual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order to examine the overall structure of early adult suicides and to establish a system of preventive support for suicide problems. In this study, Joiner(2005)'s Interpersonal-Psychological Theory, O'Connor(2011)’s Integrated Motivational-Volition Model, Klonsky and May(2015)’s The Three-Step Theory of Suicide that describe the path of suicide more comprehensively and integratedly within the 'ideation-to-action' framework can be used to confirm and apply to key early adult suicide model. For this, the study has selected 528 samples in total comprised of male and female adults in their 20s and inspected preceding studies on the three suicide theory (Joiner, 2005; O'Connor, 2011; Klonsky & May, 2015) based on the ‘ideation-to-action’ framework with the risk factors that are most generally and essentially mentioned in suicide issues as measurement variable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suicide issues reflect the socio-pathological phenomenon, the real-life difficulties and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faced by the early-stage adults in Korean society have been incorporated into hypothesizing potential variables. This study has also dealt with the direction of relationship between the suicidal ideation to suicidal behavior and the variables that regulate the extent of their interactivity to distinguish th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of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behavior, assuming the presence of a continuous relationship of the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behavior. The major variables include defeat, entrapment,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and their causal relationship and influence. In particular, it has assumed the mediating effect model of hopelessness in estimating the effect of defeat, entrapment,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on the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behavior. In addition, the study has analyzed the pathways of suicide through the moderating effect model of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e ideation and suicide behavior.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effect of defeat, entrapment and the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on the suicide ideation and suicidal behavior, the goodness of fit index of the mediating effect model of hopelessness is found to be appropriate but the defeat and the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only a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athway to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behavior with hopelessness serving as a mediator. This structural model has made no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sample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model of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from a pathway of transition from suicidal ideation to suicide behavior has met the goodness of fit index based on a reasonable standard, and the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are found to have a key effect on the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behavior. However, the extent of the moderating effect is weak and limited with a negative significance in direc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and suicidal behavior. This study has hint at the application of the suicide theory models of 'ideation-to-action framework” in early stage adults to the Korean cases, and has elaborated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key suicide related variables and the interactional relationships that are potentially affected. Above all, research efforts to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ociety in collecting and hypothesizing potential variables within the 'ideation-to-action' framework demonstrates a more extended and practical model that can be useful in better predicting suicide issues in early stage adults in Korea . In addition, presenting a holistic and integrated perspective ranging from suicidal ideation to suicidal behavior is expect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national effort to prevent suicide and to prepare policies in consideration of all relevant factors, including social structure and environmental issues as well as personal counseling on suicide. Follow-up studies should further verify the 'ideation-to-action' variables that relate to suicide attempts with the limited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taken into account and identify the psychological mechanism that can distinguish between suicidal ideation, suicide attempt, and suicidal behavior. It is also suggested that follow-up studies structuralize suicide risk variables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and make continuous original attempts of building suicide pathways. This study finds its meanings in that it identifies potential factors that play key roles throughout the process from suicidal ideation to suicidal behavior, and intends to prepare a basis for empirical data in practical intervention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uicide in the future.

      • 외상경험과 사후반추사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이수연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635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불안의 발생 및 유지 요인으로 알려진 외상경험과 사후반추사고의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자비자비가 긍정적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지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21명으로(남자 103명, 여자 318명, 평균 연령 만 19.99세), 연구 도구는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SIAS), 발표불안 척도(SAS), 외상경험 척도, 사후반추 사고 척도(PRQ), 자기자비 척도(SC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각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사회불안(대인불안 및 발표불안)은 외상경험, 사후반추사고와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자기자비와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외상경험과 사후반추사고, 자기자비가 대인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이들 변인들의 설명력은 52.8%이었다. 사후반추사고와 외상경험, 자기자비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사후반추사고를 많이 하고 외상 경험이 많고, 자기자비 수준은 낮을수록 사회불안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외상경험과 사후반추사고, 자기자비가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이들 변인들의 설명력은 24.2%이었다. 사후반추사고, 자기자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후반추사고 수준이 높고 자기자비 수준이 낮을수록 사회불안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외상경험이 사회불안(대인불안 및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외상경험이 사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기자비를 통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후반추사고가 사회불안(대인불안 및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후반추사고는 사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자비를 통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사회불안 관련 연구들이 대부분 부정적 인지에 초점을 맞추었던 것에 비해 사회불안을 줄이기 위한 긍정적 변인으로서 자기자비를 탐색하였으며, 본 연구를 토대로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이들을 위한 치료적 개입에 있어 자기자비의 촉진과 외상경험, 사후반추사고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비롯하여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여성 성폭력 피해 경험자의 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감의 조절효과

        전희원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6335

        본 연구에서는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인으로 지각된 통제감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825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질문지 및 외상 사건 리스트,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 성폭력 귀인척도(RAQ)를 사용하였다. 성폭력 피해 경험을 가장 고통스러운 경험으로 지각한 52명의 설문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감 중 과거 통제감(행동적 자기비난)이 조절 효과를 보였다. 외상사건으로 인한 당시 고통과 최근 고통 모두 지각된 과거 통제감의 상호작용으로 외상 후 성장에 부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통제감이 낮은 경우는 외상 당시의 고통을 더 크게 지각 할수록 더 많은 외상 후 성장을 하지만, 과거 통제감이 높은 경우는 외상 후 성장에 방해가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성폭력 피해 경험자의 회복과 성장을 의미하는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양적 연구이다. 둘째, 성폭력 피해경험자의 심리치료에서 중요한 주제인 지각된 통제감에 대한 연구이며, 지각된 통제감을 과거 통제감, 현재 통제감, 미래 통제감, 대리자 통제감, 미래 발생가능성으로 나누어 확인하였다. 셋째, 성폭력 피해 경험자의 외상경험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외상경험과 지각된 통제감이 상호작용하여 외상 후 성장의 부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여 통제감과 자기비난에 대한 치료적 개입 방향을 찾을 수 있었다는 의의가 있다.

      • 경계선 성격특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

        우희정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6335

        본 연구는 경계선 성격특성을 가진 이들의 주요 문제가 대인관계적인 맥락에서 발생한다는 기존의 연구와 관련하여 경계선 성격특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둘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대학생 총 611명(남자274명, 여자337명)이었고, 연구도구는 경계선 성격특성 척도(PAI-BOR), 대인관계문제 척도(KIIP-SC), 정서조절곤란 척도(DERS), 거절민감성 척도(RSQ)이다. 자료 분석은 상관관계분석 및 Baron과 Kenny(1986)에 따른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계선 성격특성과 대인관계문제, 정서조절곤란과 거절민감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경계선 성격특성이 높아질수록 정서조절곤란과 거절민감성이 높아지고, 이러한 높은 정서조절의 곤란과 거절민감성은 대인관계문제를 높이게 된다. 둘째, 경계선 성격특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과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서조절곤란과 거절민감성 두 변인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계선 성격특성이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정서조절곤란과 거절민감성을 통하여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 하였다.

      • 가치중심의 수용전념치료(ACT)가 청소년 자살생각 감소에 미치는 효과

        유춘자 서울여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36335

        본 연구의 목적은 가치중심의 수용전념치료(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 ACT)가 청소년 자살생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치’는 인간의 실존과 관계되는 삶의 의미, 삶의 질, 삶의 안녕감과 유사한 의미이다. 이러한 의미의‘가치’는 자살생각에 대한 보호요인으로써 자살생각 감소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가치’라는 변인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가치’를 신뢰롭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타당화하고, (2)‘가치’중심의 ACT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청소년 자살생각 변화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Smout, Davies, Burns, 및 Christie(2014)가 개발한 가치질문지(Valuing Questionnaire)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화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부산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한국판 가치질문지(K-VQ)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2개 요인이 타당하게 나왔으며 내적합치도와 문항 간 총점 간 상관이 높은 정도로 나타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관련 척도들과의 상관을 통해 수렴타당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판 가치질문지(K-VQ)가 수용전념치료의 철학적이고 이론적인 삶의 가치를 잘 반영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청소년 보호를 위해 설립된 기관에 입소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 자살생각 변화에 효과가 있는 가치인 가치발견, 가치탐색의 작업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가치중심의 ACT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울과 자살생각이 평균 이상인 청소년을 ACT집단과 통제집단에 배정하였다. 가치중심의 ACT프로그램은 총 10회기 2시간씩 5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ACT집단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우울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수용행동, 마음챙김 및 자기자비에서도 점수 변화가 있었다. 또한, 가치관련 하위요인에서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 이후 추후 측정에서는 자살생각, 우울에서 감소가 지속되었다. 자기자비는 효과 크기가 크게 나타났고, 삶의-진전, 삶의-방해에서는 중간크기의 효과가 나타났다. 수용행동, 마음챙김 등은 효과 크기가 작게 나타났다. 이렇듯‘가치’중심의 ACT프로그램은 청소년 자살생각 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가치중심의 ACT프로그램이 청소년 자살생각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ACT의 핵심 기제 중 하나인 ‘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신뢰할 만한 도구를 타당화하였고, 가치중심 ACT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입효과 연구에서도 자살생각, 우울에서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음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실행된 가치중심의 ACT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에게 그 시기에 나타나는 자살생각을 줄이고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도록 그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value-based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on adolescent suicidal ideation.‘Value' is similar to the humane existential meaning of life, quality of life, and well-being of life. Such meaning of value is expected to reduce suicidal ideation as a preventive factor against it. However, research about 'value' is insufficiently conducted. Thus, this research examines (1) validate a scale measuring value, (2) design a value-based ACT program so a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changes of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In the study 1, I translated Valuing Questionnaire(VQ) that was designed by Smout, Davies, Burns, and Christie(2014) in Korean and conducted validity examination. For doing this, I gathered data from college students in Seoul, Gyeonggi, Busan and examine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VQ as well as factor structure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two factors are validly generated, as well a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the item total correlation are high so that reliability is confirmed. With these indicators related, convergent validity is proper, thus, it is confirmed that K-VQ is reliable scale to measure the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value of life that reflects ACT's frame. In the study 2, I designed value based ACT program with major contents of value exploration that are thought to be impactful in changing suicidal ideation for adolescents in a youth protective center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To do this, adolescents with depressive and suicidal ideation at above average levels are distributed to ACT group and control group. Value based ACT program is consisted of the total 10 meetings during 5 weeks, with 2 hours per week. As a result, ACT group adolescents showed reduced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on, acceptance behavior,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scores are changed. Value related subfactors also proved its effectiveness. A post-test after the program continuously showed reduced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on. Self-compassion showed a large effect size, as well as life-progress and life-obstacle, showed medium effect sizes. Like this,‘value' focused ACT program showed effective in reducing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Therefore, it suggests that value-based ACT program is impactful to suicidal ideation reduction. This study validates the reliable scale that measures 'value' which is a central mechanism of ACT program and examined the therapeutic program's effectiveness in reduction of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s. Finally, it is meaningful to find that the value-based ACT program programmed in this study helps suicidal ideation and supports healthy life in adolesc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